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711년부터 8세기...

21
|한국중동학회논총 |제35권 제1호 [2014. 06]: 151~171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711년부터 8세기 말까지 코르도바의 종교적 관용을 중심으로-* |주 동 근**| Joo, Dong-Keun 1) A Study on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Based on Religious Tolerance in Cordova from CE 711 to the end of 8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meanings of religious tolerance in modern society by considering the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may be viewed in many different ways. I deal with religious tolerance in Cordova from CE 711 to the end of 8th century. There were different stages of religious tolerance of Mughit al-Rumi, Musa Ibn Nusayr, and Abd al-Rahman the First. In addition, the strategic value of the Jews, a civilized policy and convivencia, the tolerance that was secured by regulatory policy rather than the social equality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study the religious intolerance of Christian dynasty at the same time was compared with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And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was drawn. Modern society is a pluralistic society in terms of both religious and cultural * 이 논문은 2012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2S1A5B5A07036569).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정관리연구소 선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5-Dec-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151~171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711년부터 8세기 말까지 코르도바의 종교적

관용을 중심으로-*

|주 동 근**|Joo, Dong-Keun

1)

A Study on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Based on Religious Tolerance in Cordova from CE 711 to the end of 8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meanings of religious tolerance in modern society by considering the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may be viewed in many different ways. I deal with religious tolerance in Cordova from CE 711 to the end of 8th century. There were different stages of religious tolerance of Mughit al-Rumi, Musa Ibn Nusayr, and Abd al-Rahman the First. In addition, the strategic value of the Jews, a civilized policy and convivencia, the tolerance that was secured by regulatory policy rather than the social equality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study the religious intolerance of Christian dynasty at the same time was compared with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And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tolerance in medieval Muslim Spain was drawn. Modern society is a pluralistic society in terms of both religious and cultural

* 이 논문은 2012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2S1A5B5A07036569).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정관리연구소 선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15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aspects, so redefining these belief systems and value systems is immin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pluralistic suggestions of religious tolerance.

[Key Words : Religious Tolerance, Medieval Muslim Spain, Umayyad Dynasty in Cordova]

I. 서론

1. 연구의 목적

현대사회에서 종교적 관용만큼 시대적 사명감으로 우리에게 절실하게 다가

오는 주제는 드물 것이다. 그러나 서구 유럽에서의 종교적 관용에 대한 논의는

중세 이후 인문주의자들의 등장 이후 시작되었다. 물론 헬레니즘 문화 속에서

성장한 고대 스토아학파의 윤리학에서 종교적 관용의 사상이 기원한 것으로 보

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논의의 시작은 중세 이후 인문주의자들의 종교

적 화해에 관한 주장 이후라고 보고 있다.

즉 관용은 종교적 맥락에서 중요하며 종교개혁 이후의 종교 다원화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로부터 발생하였다(김용환 1997, 72-75). 그리고 중세 이후 인문주

의자들의 등장 시기는 마르틴 루터(Luther)의 종교개혁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이것은 이들이 주장한 종교적 화해도 로마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대립에 관

한 범주에 국한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로마제국의 콘스탄티누스(Constantinus) 1세가 313년 기독교를 공인한 이후,

서구 유럽에서는 중세 말기까지 관용 사상 특히 종교적 관용이 주장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왜냐하면 기독교 공인 이후 공표된 종교 관용령은 제국적 관용을

법제화한 것뿐이었고 종교적 관용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한 테오도시우스(Theodosius) 1세가 392년 기독교를 국교화한 이후에는 당연한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53

결과로 이교 및 이교도에 대해서 종교적 관용 정책은 거의 없었다. 즉 종교적

으로는 예외 없이 무관용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그러나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는 콘비벤시아(Convivencia) 즉 역사적으로

유명한 관용과 상호 의존의 기풍이 생성되고 있었다. 중세시대 알-안달루스

(al-Andalus)2)에서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은 오랫동안 유럽 대륙에 하나의 역

할 모델을 제공하는 공존의 문명을 누렸다(Lewis 2008, 310-311). 관용은 다른 개

인이나 집단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즉 다른 정체성 간의 경계를 인정하

면서 그 차이에 대한 것을 수용하는 것이다. 종교의 자유가 법과 제도로 국가

로부터 개입의 금지를 보장받아야 하는 것이라면, 종교적 관용은 타 종교 및 종

파에 대한 차이를 인정하고 그 존재를 수용하는 것이다(강휘원 2008, 20-21). 이

러한 관점에서 종교적 관용을 정의할 때,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의 종교적 관

용은 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것이다. 더군다나 중세의 시작을 서로마제국의

멸망시점인 5세기가 아닌 프랑크왕국 카롤링거 왕조의 출범시점인 8세기경으

로 가정한다면3), 중세의 시작에서 보여준 무슬림 스페인에서의 종교적 관용은

그 시대 기독교 왕국들의 어두운 면과 배치되어 더욱 선명하게 부각된다고 아

니 할 수 없다.

종교적 신념에 의한 독단성과 배타성 및 비관용성으로 인한 폐해와 비참함

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대사회에서 종교적 관용은 어렵지만 꼭 필요한

것임에 틀림없다(김은정 2009, 1).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세 무슬림 스페인

의 종교적 관용에 대하여 고찰해 봄으로써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적 관용의 의미

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하여 보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종교적, 문화적

으로 다원화된 사회이므로 이러한 다원화된 신념체계와 가치체계 등에 대한 인

2) 고트족 귀족들은 그들이 자리 잡은 지역을 란다-흘라우츠(landa-hlauts)라 불렀다. 이것은 라틴어

sortes gothica(고트족의 땅)을 고트식으로 읽은 것이다. 후에 무슬림이 서고트족을 몰아내고 이

지역을 차지한 후 란다-흘라우츠를 아랍식으로 읽으면서 알-안달루스(al-andalus)가 되었다(Lewis

2010, 175-176).

3) 중세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서로마제국 멸망시점인 476년으로 본다. 하지만 학자(Pirenne 등)에

따라서 중세의 시작을 프랑크왕국 카롤링거 왕조의 출범시점인 751년으로 보기도 한다.

15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식의 재정립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종교적 관용에 관한 다원적

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에서의 방법은 해석학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정성적 연구방법을 이용

하였다. 해석학은 중요문헌과 서적, 서면 등으로 전달된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

는 것이다(안영섭 1996, 138-139). 본 연구에서는 중세 무슬림 스페인 시대가 기

술된 역사서 등 문헌류에 부여된 의미들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자료

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이 시도되었다. 해석학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분석

기법은 소위 해석적 순환관계(hermeneutic circle)라고 부르는 절차인데, 이 방법

은 텍스트 및 대화의 일부를 전체와 연결시키고 다시 부분으로 되돌아가는 방

법을 묘사하고 있다(남궁근 2011, 370). 따라서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 서고트족

이 지배하던 히스파니아 시대, 프랑크왕국을 비롯한 기독교 왕국 시대, 중세 무

슬림 스페인 시대 등의 문서를 해석할 때까지 이 같은 순환적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른 해석은 이전의 해석 및 이해와 연계되었다.

또한 제3장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의 제3절 '압드 알-라흐만 1

세4)의 종교적 관용'에서는 문화기술적 방법이 일부 사용되었다. 문화기술적 방

법은 상이한 문화에서 사회구성원들이 사회현상에 대처하는 방법을 어떻게 개

발하고 채택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남궁근 2011, 369). 본 연구에서는

중세 무슬림 스페인 시대에서 지배층의 종교가 변화하는 과정을 상이한 문화에

서의 사회현상이라고 인식하고, 이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대처 방법들을 문화

기술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4) '압드 알-라흐만(Abd al-Rahma_n) 1세'의 아랍어 표기는 '김정위(2002). 이슬람사전, 서울, 학문

사.'를 참조하였다.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55

II. 시대적 배경

1.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 서고트(Visigoth)족의 알-안달루스

알-안달루스는 무슬림이 정복한 스페인 지역을 가리키며, 이베리아 반도를

통칭하는 의미로 후에 스페인을 지칭하는 라틴어 고유명사가 되었다. 로마제국

시대에는 히스파니아(Hispania)로 불리었다.

서고트족은 서로마제국 멸망(476년) 이전에도 알라리크 1세, 에우리크 등의

왕들이 피레네 산맥 북쪽의 골(Gaul) 지방과 알-안달루스를 강력히 통치하였다.

그리고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에는 그 전에 비해 영향력은 쇠퇴하였으나 알라리

크 2세 등의 왕들이 지속적으로 그 지역들을 통치하였다. 그러나 507년,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시조인 클로비스(Clovis)와의 부예 전투에서 패하면서 골

지방은 대부분 잃어버리고 알-안달루스 지역만 영향력 아래에 두게 되었다.

Oman(2007, 122-134)은 서고트족이 통치하던 알-안달루스는 중세라는 시대를

감안하더라도 불분명한 것이 많았으며, 알-안달루스를 통치하던 23명의 서고트

왕 중에서 단지 8명만이 왕위를 후대에게 순조롭게 물려주었다고 하였다. 즉

서고트족은 711년까지 200년 이상 알-안달루스를 통치하였지만 그들이 안정된

국가체제를 완비하고 국정을 수행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서고트족의 질서는

수직적인 위계체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으로는 불안정한 시기가 더욱 많

았다. 물론 레오비길드, 시시부트, 레카레드 등의 왕들의 경우에는 정치적으로

안정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레카레드 왕 같은 경우에는 아리우스주의와

가톨릭주의의 종교적인 분열을 종식시키기도 하였다(Geary 2002, 118-130).

2. 서고트족의 아리우스(Arius)주의와 반유대주의

아리우스주의자들은 삼위간의 위격적 구별을 무시해버린 사벨리우스주의

15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Sabellianism)를 방어하기 위해서 삼위간의 위격적 구별을 강조한 종속론을 부

각시킨 신학자들이다. 이러한 아리우스주의자들은 아리우스(Arius)를 비롯하여

디오니시우스(Dionysius), 루키아누스(Lucianus), 유세비우스(Eusebius) 등이 있다

(Gonzalez 2002, 46-49). 즉 아리우스주의는 예수 그리스도는 인정하지만 그에게

신성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거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고트족은 알-안달루스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이면서 그 당시 폐쇄적인 서고

트족의 체제 속에서도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

고 4-5세기경에 거의 모든 게르만족들이 받아들였던 아리우스 교리를 서고트족

도 받아들였다. 따라서 알-안달루스의 서고트족은 삼위일체의 기독교 교리를

믿는 알-안달루스의 타 민족과는 다른 종교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 당시 알-안

달루스의 타 민족이라면 히스파니아계 로마인, 그리이스인, 갈리시아인, 바스

크인, 켈트인 등을 의미하였고, 이외 유대인은 당연히 유대교 교리를 믿는 타

민족이었다.

서고트족의 레카레드(재위 586년-601년) 왕은 진정한 전국 규모의 왕정을 확

립하기 위해서 종교적 개종을 밀어 붙어야 한다고 판단했으며, 그는 589년 제3

차 톨레도공의회에서 가톨릭주의를 서고트 왕국의 공식교리로 받아들였다

(Lewis 2008, 175-184). 이에 따라 레카레드 왕은 왕국 내에서 가톨릭이 아닌 자

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의 체제 내에서 종교적 관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서고트 왕국이 공식적으로 아리우스주의를 포기한 것을 의미하

였으며, 그 이후 유대인들만이 서고트 왕국 체제 내에서 유일한 비가톨릭 세력

이었다. 따라서 아리우스 교리를 믿는 일부 기독교 신자들과 유대인들은 서고

트 왕국 내에서 견딜 수 없는 심한 박해를 받았다.

서고트 왕국의 시시부트 왕이 볼 때, 유대인 공동체는 그가 추구하는 단일

기독교 왕국의 건설과 양립할 수 없었다. 특히 에히카 왕(재위 687년-702년)의

반유대주의 정책은 서고트 왕들 중에서도 가장 강력하게 시행되었다. 이에 따

라 유대인들에 대하여 강압적인 개종, 개종을 거부하는 유대인의 강제 추방, 재

산 몰수 등의 가혹한 조치가 취해졌다. 이로 인하여 유대인들은 감내하기 어려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57

운 고통을 겪었다(Constable 2011, 21-23). 이에 대한 결과로 일부 유대인은 이민

을 떠났고, 일부 유대인은 개종하였으며, 일부 유대인 지도자는 북아프리카 및

이집트의 유대인 공동체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서고트 왕국의 종교적 무관용 및 인종차별주의 정책 시행의 결과는

711년 이슬람세력의 알-안달루스 정복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서고트 왕국의

종교적 무관용은 이슬람 세력이 알-안달루스를 정복하게 되는 여러 계기 중 하

나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711년, 이슬람세력의 알-안달루스 정복

우마이야(Umayyad) 왕조의 무사 이븐 누사이르(Musa Ibn Nusayr)와 타리크

이븐 지야드(Tariq Ibn Ziyad)는 711년, 알-안달루스를 정복하였다. 북아프리카

항구도시 탕헤르(Ta_nger)의 지사 타리크는 710년 히스파니아의 정탐에 이어 711

년 본격적으로 히스파니아를 정복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북아프리카 카이로우

안의 무사 이븐 누사이르 총독의 명을 받아 지브롤터5) 해협을 건너 알-안달루

스의 헤라클레스의 곶에 상륙하였다. 타리크와 함께 히스파니아 정복에 참가한

2명의 수하 장군은 타리프 이븐 딸립과 무기트 알-루미이다(Lewis 2008,

189-192). 이 중, 무기트 알-루미는 제3장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서 언급할 그 무기트 알-루미와 동일인물이다.

무기트 알-루미는 무사 이븐 누사이르 총독의 지시를 받고 우마이야 왕조의

알-왈리드 칼리프에게 알-안달루스 정복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칼리프는 무사 이븐 누사이르 총독에게 714년 우마이야 왕조의 수도인 다마스

쿠스로의 소환을 명하였고, 총독은 이에 응하지 않고 정복 전쟁을 계속 진행하

였다. 그리하여 그 후 알-안달루스에 처음 상륙한지 불과 4년 여 만에 무사 이

5) 지브롤터(Gibraltar)라는 이름은 자발 알 타리크(Gebel al Tarik)에서 유래되었는데, 타리크의 산이

라는 뜻이다(Gibbon 2009, 342-343). 타리크는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수하 장군인 타리크 이븐

지야드를 지칭하며, 루와타 베르베르 출신이다.

15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븐 누사이르와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거의 모든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하였다.

그 후 우마이야 왕조의 술라이만 칼리프는 717년-718년까지의 동로마 제국과

의 전쟁에서 패하였다.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함락에 실패한 것이

다. 이에 따라 지중해 동쪽 끝에서 유럽으로 가는 통로는 봉쇄되었고, 이제 북

아프리카의 서쪽 끝에서 유럽대륙으로 들어가는 문제를 고려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우마이야 왕조의 유럽 대륙으로의 진출과 맞물리게 된 알-안달루스의

정복은 우마이야 왕조의 붕괴와 압바스 왕조의 출현으로 인하여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그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압드 알-라흐만 1세는 새로

운 왕조를 열고 그 전까지 공감하기 힘들었던 종교적 관용의 모습을 알-안달루

스에서 보여주었다. B. Lewis(2010, 334-337)는 만약 다힐(dakhil: 이주자)이라는

별명을 얻은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압드 알-라흐만 1세가 없었다면, 아랍인의

스페인 지배는 의외로 빨리 끝나 버렸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하였다. 압드 알-라

흐만 1세는 압바스 왕조에 의해서 멸망한 우마이야 왕조의 수명을 750년에서

1031년까지 연장시켜 주었다. 또한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수도 코르도바를 그

당시 서양에서 가장 문명화된 도시로 발전시켰고, 그에 걸맞게 알-안달루스를

종교적 관용이 허용되던 국가의 모습으로 후대에 각인시켰다.

Ⅲ.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711년부터 8세기 말까지 코르도바의 종교적 관용을 중심으로 고

찰하였다. 즉 무기트 알-루미(Mughit al-Rumi), 무사 이븐 누사이르(Musa Ibn

Nusayr), 압드 알-라흐만(Abd Al-Rahma_n) 1세 등의 종교적 관용의 사례들을 고

찰하였다. 또한 압드 알-라흐만 1세의 종교적 관용의 사례에서는 유대인의 전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59

략적 가치, 공존의 문명을 함께 누리는 형태로서의 관용 등에 대해서도 함께 알

아보았다.

1. 무기트 알-루미(Mughit al-Rumi)의 종교적 관용

타리크는 711년 7월, 시도니아(Sidonia)6)에서 서고트 왕국 로데리크 왕의 군

대를 궤멸시켰다. 그 다음 해에 타리크는 카디스 주를 가로질러 톨레도 공략에

나섰고, 그의 휘하 장군인 무기트 알-루미는 약 700명의 기마병으로 코르도바를

공략하였다. Jayyusi(2000, 7-9)에 의하면 무기트가 코르도바의 방어를 맡고있던

서고트 왕국 군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도시 안으로 진입하였을 때, 그들은

많은 시민들 특히 유대인들의 환영을 받았다고 하였다.

무기트는 코르도바에서 역사적인 종교적 관용의 선례를 남겼다. 그는 협조

적인 기독교도 및 유대인들, 무슬림 수비대가 함께 코르도바의 방어를 맡도록

위임하였다. 무기트의 선례는 기독교도, 유대인, 무슬림 등 유일신을 믿는 세

종교 신도들의 상호 의존이라는 기풍을 조성하였다(Taha 1989, 86-92). 이것은

단지 콘비벤시아 즉 공존이라는 기풍을 조성하는 단계를 넘어서, 그 후 수 세기

동안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 문화를 유럽지역의 기독교 문화와 구별 짓게 하

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Constable(2011, 21-23)이 언급하였듯이 서고트 왕국의 에히카 왕이 강력

한 반유대주의 정책을 시행하여 유대인들이 무기트의 군대를 해방군 정도로 인

식한 측면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대인들의 인식이 무기트의 무슬림, 유대

인, 기독교도들의 상호 의존이라는 기풍을 조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또한 무기트는 부족한 무슬림 지상군을 충원하는 방법을 고심하고 있

었다.

그러나 코르도바에서의 무기트의 종교적 관용은 종교를 바라보는 그의 관점

6) 아랍어로는 샤두나라고 한다. 시도니아는 현재의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카디스 주에 위치한

메디나-시도니아(Medina-Sidonia)를 가리킨다.

16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것이 보다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그는 그리

스인이며 기독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교 및 이

교도라는 이질적인 요인에 대한 판단보다는 처해진 상황에서 함께 힘을 모아

난국을 헤쳐 나가는 것이 보다 우위에 있는 가치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수 세기동안 알-안달루스에서 전개될 종교적 관용의 토대가 되었고, 정

치적 · 종교적인 선례가 되었다.

2. 무사 이븐 누사이르(Musa Ibn Nusayr)의 종교적 관용

무사는 712년 6월, 베르베르인과 예멘계 아랍인 등이 주축인 약 2만 명의 군

대와 함께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이베리아 반도 남쪽 끝에 도착했다. 그 곳은

알헤시라스 만 부근이었다. 그리고 그해 겨울에 세비야(Sevilla)7)를 공략하여 함

락시켰다. Taha(1989, 86-92)에 의하면 무사는 총 20개 연대 중 4개 연대만 세비

야에 남겨두었으며, 세비야의 행정을 유대인과 협조적인 기독교도들에게 위임

하였다. 즉 무기트가 코르도바에서 보여준 종교를 극복한 상호의존의 선례를

다시 한 번 세비야에서 보여준 것이다.

무사는 세비야 공략 후 그 다음해 7월에 서고트 왕국 중에서 가장 방어 준비

가 잘 된 도시로 알려진 메리다(Me_rida)를 함락시켰다. 무사가 메리다를 함락시

킨 후 처음 시행한 조치는 메리다의 기독교도와 유대인들이 본인의 의사에 따

라서 자유롭게 메리다를 떠나는 것을 허용한 것이다. 그 다음 메리다를 다스릴

중추세력을 종교를 초월하여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행정 체제를 확립하였

다(Gerber 1994, 37-39).

무사는 북아프리카에서 알-안달루스로 넘어올 때, 그의 맏아들 압드 알-아지

즈를 부사령관으로 데려왔다. 압드 알-아지즈는 713년 4월, 즉 무사가 메리다를

함락시키기 약 3개월 전에 무르시아(Murcia)를 함락시켰다. 무르시아는 고대 카

7) 세비야의 옛 이름은 히스팔리스(Hispalis)이며, 로만 히스파니아의 주도였던 도시이다. 현재는 스

페인 세비야 주의 주도이다.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61

르타고가 이베리아 반도를 지배할 때 사라고사와 함께 중심축이었던 도시이며,

세구라강 연안에 위치하고 있다. 무르시아의 대공 테오데미르는 항복하였고 항

복 조약에 서명하였는데 그 내용은 그 당시로서는 상당히 관대한 것이다.

압드 알-아지즈는 역시 무기트의 선례를 따랐고, 정치적 관용과 종교적 관용

을 동시에 베푸는 현실적인 정책을 시행하였다. 즉 테오데미르 대공에게 오리

후엘라의 성채를 비롯하여 지중해 연안 도시인 로르카, 알리칸테 등을 자치령

으로 통치하도록 한 것이다(Kennedy 1996, 12-18). 항복 조약은 종교 선택에 있

어서 강요받지 않을 것이고, 교회가 온전히 보존될 것이며, 대공의 부하들의 신

체의 자유를 허용될 것이다 등의 관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Constable

2011, 35-37). 또한 조약의 의무 사항들도 있었는데, 기독교도들이나 유대인들이

무슬림들을 두려워하게 하여서는 안 된다는 사항과 아울러 대부분의 시민들의

자유를 허용한다는 사항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3. 압드 알-라흐만(Abd al-Rahma_n) 1세의 종교적 관용

압드 알-라흐만 1세(731-788)는 755년 8월, 약 일천 명의 기병과 함께 지브롤

터 해협을 건너 알무네카르에 상륙하였다. 그는 다음해 5월, 코르도바의 과달

키비르 강 연안에서 유수프 안-안달루스 총독을 패퇴시키고 알-안달루스에 후

기 우마이야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그는 바로 그해부터 베르베르인, 시리아인,

예멘인들의 반란을 진압하여야 하였고, 행정부 관리들의 인정을 받아야 하였으

며,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시민들을 하나로 묶는 일련의 조치들을 취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압드 알-라흐만 1세가 알-안달루스 코르도바에서 새로 출범한 정권은

상황에 의해서 혹은 그 필요성에 의해서 태생적으로 비부족적일 수밖에 없었다

(Al-Maqqari 2012, 76-77). 또한 이슬람에서는 무슬림과 기독교도 및 유대인들을

노예로 삼는 일을 비난하였지만, 기독교는 노예제도에 대해서 모호한 입장이었

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노예를 면천하여 주는 것은 미덕에 속했다

16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Clarence-Smith 2005, 12-25). 이러한 이유로 압드 알-라흐만 1세의 군사 중 노예

출신 군사들은 그 제도 덕분에 면천을 받을 수 있었고 신분상승을 통하여 그들

만의 동질성 있는 계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압드 알-라흐만 1세는 종족이나 부족 등의 경계를 초월하여 법과 공공

의 관행을 확립하였다. 발라디윤(baladiyyun), 무왈라둔(muwalladun), 알-샤미윤

(al-shamiyyun),8) 베르베르인, 아랍인 등을 가리지 않고 모든 무슬림에게 공평한

사회를 지향하였다(Jayyusi 2002, 16-20). 즉 압드 알-라흐만 1세 이전까지만 해도

마왈리(mawali)9)는 아랍인 무슬림에 비해서 상대적인 홀대를 받았으나 그는 이

러한 현실 및 관념의 경계를 초월하여 국정을 운영하였다. 그리고 딤미

(dhimmi)10)는 서고트의 법전에 따라 권리와 특권 등이 보장되었으며 특히 유대

인에게는 랍비 및 랍비 관련 법률이 별도로 적용되었다.

압드 알-라흐만 1세가 알-안달루스에서 통치 기반을 다지는 과정에서 유대인

들의 전략적 가치는 컸기 때문에, 그는 유대인의 자유를 타 종족에 비해서 비교

적 관대하게 허용하였다(Stillman 1999, 24-30). 유대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

에서 그들의 협력은 압드 알-라흐만 1세의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Barrucand & Bednorz 2002, 31). 따라서 유대인들도 압드 알-라흐만 1세의 호의

적인 정책에 부응하여 알-안달루스가 아닌 기타 지역의 유대인 공동체와 긴밀

한 유대 관계를 가지면서 압드 알-라흐만 1세의 통치 기반 구축에 상당 부분 기

여를 하였다. 그리고 자의 반, 타의 반에 의해서 기독교의 성향이 짙은 사라고

사, 팜플로나 등의 지역으로 이주를 하여 기독교 성향을 일정 부분 희석시키는

데 이바지함으로써 후기 우마이야 왕조 정권 초기의 정국 안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8) 발라디윤은 알-안달루스에 최초로 건너온 아랍인 정착자들을 가리킨다. 주로 남부 아랍과 예멘

출신들이다. 무왈라드(muwallad)의 복수형이 무왈라둔이다. 무왈라드는 비아랍인 개종자를 가

리키며, 주로 알-안달루스의 비아랍인 개종자를 지칭한다. 알-샤미윤은 시리아 북부 아랍인들을

가리킨다. 주로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지역 출신들이다.

9) mawla의 복수형이 마왈리이다. 마왈리는 비아랍인 무슬림을 가리킨다.

10) 딤미는 딤마(dhimma, 경전의 사람들 즉 기독교인, 유대인 등의 지위를 관리하는 체제)의 체제

아래 보호받는 시민들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피정복지의 비무슬림을 지칭한다.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63

유대인들은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온 무슬림들에게 국가 운영의 세부적인 사

항들에 대해서 운영의 틀을 제시하고 그 구동 방법을 실제로 보여주었다. 그리

고 그에 따라 유대인들은 고위 관리인 비지르까지 승진하기도 하였고 도시의

행정 최고책임자 자리에 오르기도 하였다(Gerber 1994, 37-39). 그리고 종교에

따라 상인 길드, 수공업 길드 등으로 편성된 이슬람교도, 기독교도, 유대교도들

은 교역을 통해서 부를 쌓았으며 그 부를 다시 알-안달루스에 투자 및 환원을

하였다. 이에 따라 알-안달루스의 경제는 그 당시로서는 경이로운 성장을 하게

되었다(Kennedy 1996, 33-39). 그리고 수공업 길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사회적

영향력이 컸던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수공업 길드가 자신의 이권을 관철시키

는 과정 등을 통하여 이미 알-안달루스에서는 사회 참여의 길이 조금씩 열리고

있었다.

이러한 알-안달루스 사회의 분위기는 동시대의 피레네 산맥 너머 프랑크 왕

국을 비롯한 기독교 국가들의 상황과 비교한다면 실로 경이로운 것이다. 즉 로

마 제국의 식민지 및 서고트 왕국이었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그동안 찾아보기

어려웠던 종족 간 상호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동 시대의 기독교 왕

국들에서는 물물교환 경제가 아직도 행해지고 있을 때, 알-안달루스에서는 무

역과 상업의 경제 특히 지속적인 국제 무역을 바탕으로 한 초기 시장경제11)가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

Ⅳ.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의 의의

제2장에서 시대적 배경, 제3장에서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대

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제4장에서는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

11) 물론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경제는 국가가 결정한 가격 통제에 따라 구동되었다. 다만 상호

협력의 기풍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경제 질서가 싹트고 있었고, 이것을 시장경제의 초

기 형태로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16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의 의의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즉 그 시대와 지역, 상황 등에 있어서 종교적

관용은 어떠한 의의가 있었는지를 역사적인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 무기트 알-루미의 종교적 관용의 의의는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 종교

적 관용의 길을 열었다는 것이다.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 이슬람 세력은 711

년부터 1492년까지 약 780년 동안 정복세력으로서 남아있었다. 이후 중세 무슬

림 스페인 통치자들은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을 합하여도 전체 인구의 2% 이내

에 불과한 인구를 가지고 어떻게 통치 기반을 안정화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과

제였다. 그리하여 그 통치자들은 중세 무슬림 스페인 사회가 이미 다원화된 사

회임을 감지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그 당시까지만 하여도 허용되지 않았던

법적 · 제도적 자유, 종교적 자유, 문화적 · 관습적 자유 등을 허용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독교 신자들은 개종의 압력을 받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교회에 출석하는데 있어 어떤 문제도 없었다. 즉 딤미의 종교와 사회제

도 등은 존중되었던 것이다. Collins(1995, 94-102)는 740년대에 이르러서야 소수

의 알-안달루스 시민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무왈라둔은 지즈야(jizya)12) 납세의 의무가 면제되었고 모든 마왈리는 발라디윤

의 특권을 함께 누릴 수 있었다.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의 이러한 정책 시행의 배경에는 무기트의 역사적

종교적 관용의 선례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이슬람 세력이 코르도바를 함

락시키고 그 도시의 방어를 협조적인 기독교도, 유대인, 이슬람군이 함께 맡기

로 한 결정은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의 종교적 관용의 첫 출발이었다는 것이

다. 이교도들과의 상호 의존 즉 공존의 형태는 모든 종류의 관용의 시작일 수

밖에 없다.

둘째,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종교적 관용의 의의는 알-안달루스의 시민들에

게 종교적 관용의 실체를 인식하게 해 준 것이다. 무사는 세비야를 함락시킨

12) 무슬림의 통치 지역에서 비무슬림들이 납부하는 세금이다. 일종의 보호비 명목의 인두세라고

할 수 있다.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65

후 세비야의 행정을 유대인과 협조적인 기독교도들에게 위임하였고, 메리다를

함락시킨 후 메리다의 기독교도와 유대인들에게 본인의 의사에 따라서 자유롭

게 메리다를 떠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 조치는 당시만 하여도 상당히 획기적

인 조치였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이교도들에게 개종을 강요하고 이에 응하지

않을 시 생명에 위협을 가하거나 노예로 삼아버리는 일들이 비일비재하였기 때

문이다.

또한 무사의 맏아들 압드 알-아지즈도 테오데미르 대공에게 항복을 받은 후

무사의 종교적 관용 못지않은 종교적 관용의 실체를 보여주었다. 그는 항복 조

약의 내용에 있어, 무르시아 시민들이 개종을 강요받지 않을 것이고 교회가 불

에 타 없어지지 않을 것이며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명기하여

이를 문서화하였다. 이것은 Kennedy(1996, 12-18)의 언급처럼 정치적 관용과 종

교적 관용을 동시에 베푸는 정책이었다. 왜냐하면 이 정책은 무르시아와의 전

쟁 후의 흐트러진 민심을 빠르게 수습하고 그 지역의 통치 기반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정책이었고 동시에, 기독교 왕국이었던 서고트 왕국 시민들의 이슬람

교 개종 강요에 대한 근심과 우려를 불식시켜준 정책이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그 항복 조약의 의무사항에는 기존의 알-안달루스에서의 일반 시

민의 자유를 허용하는 전통이 존중되어 대부분의 시민들의 자유를 새로운 통치

기조의 틀 속에서 일정 부분 허용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이것은 코르도바

와 세비야 등의 유대인들이 자의적으로 이슬람 세력의 통치를 받아들이는 것을

보면서, 새로운 무슬림 군주가 가진 이슬람 세력에 의한 통치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었는지도 모른다. 즉 서고트 왕국 내의 고위 귀족들과 그들의 휘하에 있

는 수하들이 새로운 무슬림 군주에게 복종할 수밖에 없으리라는 기대 및 자신

감을 가지고 시행된 고도로 의도된 정책이었다.

그리고 압드 알-아지즈가 테오데미르 대공에게 오리후엘라 성채와 로르카,

알리칸테 등을 자치령으로 통치하도록 한 것도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

다. 즉 자치령으로 통치하도록 허용하더라도 새로운 무슬림 군주에게 복종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자신감의 표현이며, 이에 따라 정치적 관용 정책을 종교적

16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관용 정책과 함께 시행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압드 알-라흐만 1세의 종교적 관용의 의의는 사회적 평등이 아닌 규제

에 의해 확보되는 관용의 형태를 보여준 것이다. 이것은 사회적 평등으로서의

관용과는 접근 방법이 다른 것이어서, 규제가 시행되면서 그 규제만큼 관용이

확보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관용은 권리의 일종이 아니며 권위를 바탕으로

해서 A가 B에게 제공하는 허가의 일종도 아니다. 관용은 자유와 관련되어 있으

며 자유를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유 없이는 관용도 있을 수 없다(김용환

1990, 206-207). 즉 관용에 있어서 자유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면, 압드

알-라흐만 1세는 종교적 관용 정책을 시의적절하게 시행하였다. 왜냐하면 그는

교회의 건축, 종교 행사, 복식의 차별, 승마의 허가 등 규제를 시행하였지만, 역

설적으로 규제가 시행되지 않은 사항들에 대해서는 자유를 공식적으로 허용하

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중세 무슬림 스페인 시대의 콘비벤시아

즉 관용과 상호의존이라는 사회적 현상의 성격을 규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이러한 의미에서 압드 알-라흐만 1세가 이교도들에게 허용한 자유는 폭넓은

것이다. 특히 그는 세파라드13) 유대인들의 전략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들의 자

유를 확대시켜 나갔으며, 이에 대한 보답으로 유대인들은 압드 알-라흐만 1세

에게 행정적 능력, 경제적 부, 충성도 등을 제공하였다(Stillman 1999, 24-30).

또한 압드 알-라흐만 1세는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사회 공동체의 구성을 종

교적 관용을 바탕으로 한 정치적 관용에 의하여 이루려고 하였다. 종교, 종족,

부족 등의 경계를 초월하여 법과 제도를 확립한 것은 그 좋은 예이다. 즉 모즈

아랍인들에게는 서고트 법전을, 유대인들에게는 랍비 법률을, 무슬림들에게는

코란의 원칙을 각각 적용하였다. 이것은 사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게 통합

이라는 실질적인 개념을 인식시켜 준 것이며, 새로이 출범한 왕조의 성공적인

안착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것은 동시대의 프랑크 왕국을 비롯한 기독교 국가들과의 사회 분위기와는

13) 세파라드(Sefarad)는 유대인들이 사는 알-안달루스 지역 즉 이베리아 반도 지역을 지칭한다.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67

전혀 상반된 것이다(Menocal 2002, 28-41). 당시의 프랑크 왕국을 비롯한 기독교

국가들의 통치자들은 기독교로의 개종과 일치가 국가 정책의 지상과제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었다. Einhard(1969, 33-37)에 의하면,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

뉴(Charlemagne) 왕은 작센(Sachsen)족과 길고 처절하고 험난한 전쟁을 하였는

데 작센족은 악마를 숭배하고 있었고 기독교에 적대적이었으며 결국 샤를마뉴

가 작센족으로 부터 기독교 신앙에 귀의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내었다고 하였다.

33년을 끌어오던 이 전쟁은 샤를마뉴가 조건을 제시하고 작센족들이 이를 받아

들임으로써 종결되었는데, 그 최후의 조건은 작센족의 조상 전래의 악마숭배와

악습을 버리고 기독교 신앙과 종교를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중세 스페인을 손에 넣은 무슬림들이 800년 가까이 그곳을 통치하면서 찬란

한 문명을 꽃피울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들이 현지 기독교인들과 유대인들을

포용했기 때문이었다(김영경 2004, 71). 피레네 산맥 이동의 기독교 국가들이

중세의 어두운 시기에 침잠하여 있을 때, 중세 무슬림 스페인에서는 당시의 첨

단 학문과 문학, 예술 등 제 문명이 피레네 산맥 이동의 국가들보다 200년 이상

앞서가며 발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명의 발전은 압드 알-라흐만 1세의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사회 공동체 구성원의 통합이 토대가 되었으며, 이러한 통합

은 바로 종교적 관용 그리고 종교적 관용을 바탕으로 한 정치적 관용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이븐 할둔'은 역사가 진실과 다른 허위의 이야기로 전달 될 수 있는 위험을

경고하였다(김정아 2010, 52-53). 즉 역사는 진실의 이야기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다. Kennedy(1996, 102-109)는 로마제국의 식민지였고 서고트 왕국의 영토

였던 알-안달루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던 종교적 관용, 종족 간 상호 협력 덕

16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분에 후기 우마이야 왕조의 코르도바는 점차 확대되고 풍요로워졌다고 하였다.

그 후 코르도바는 10세기에 유럽에서 가장 번영된 도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알-안달루스에서의 안정과 번영은 서양 중세 문명의 진전에도 크게 기여하였

다. 즉 역사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도, 중세시대 초기에 무슬림 스페인이 보여

준 종교적 관용은 주목할 만 하였다. 더군다나 동시대의 피레네 산맥 이동의

기독교 왕국들이 보여준 종교의 개종 강요 및 무관용 정책과 비교하여 볼 때,

그들의 종교적 관용은 사회 공동체 구성원의 통합과 이를 토대로 한 사회 공동

체의 발전에 있어 비중 있는 의미를 부여할 만한 것이다.

21세기에는 새로운 도전이 요구된다. 이 도전은 자신의 기준을 견지하면서

다른 규범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 그리고 다양한 견해를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지에 성패가 달려 있다(유달승 2006, 97-98). 즉 현대사회에서 이루어지

는 모든 도전에 있어 자신과 다른 신념체계와 가치체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

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이미 종교적, 문화적

으로 다원화된 사회이므로 이러한 다원화된 신념체계와 가치체계 등에 대한 인

식의 재정립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종교적 관용의 다원적인 시

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원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 관용의 시작은 상호 의존

즉 공존이라는 것이다. 무기트 알-루미의 역사적 선례가 시사하는 것처럼, 상호

의존의 관념이 종교적 관용 속에 내재되어 있지 않다면 관용이 시작될 수가 없

다. 통치 세력 및 기득권 세력 등이 이교도들에게 호혜의 형식으로 종교적 관

용 정책을 시행한다면 그것은 종교적 관용의 형식만 빌렸을 뿐, 진정한 종교적

관용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상호 의존 즉 더불어 함께 살아간다

는 인식이 없다면 모든 관용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둘째, 종교적 관용은 이교도들에게 종교적 관용의 실체를 인식하게 하여 줄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이다. 무사 이븐 누사이르와 압드 알-아지즈 등의 역사

적 선례가 시사하는 것처럼, 종교적 관용이 실제의 행동 지침 및 강령으로 행해

졌을 때 종교적 관용이라는 하나의 현상이 구현되었다. 즉 종교적 관용이라는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69

것은 이념이나 구호의 모습으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현상으로 구현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한 선례에서 전쟁 후 통치 기반을 가장 빠르게 안

정화 시킬 수 있는 정책이 되었고, 질시와 반목으로 어수선해진 민심도 가장 빠

르게 수습할 수 있는 방안이 되었다. 따라서 종교적 관용에 있어 이교도들에게

종교적 관용의 실체를 인식시켜 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것을 시사

해 주고 있다.

셋째, 종교적 관용의 형태는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된다는 것이다. 압드 알-라

흐만 1세의 역사적 선례가 시사하는 것처럼, 종교적 관용은 사회적 평등이 아

닌 규제에 의해 확보되는 관용의 형태로도 구현되었다. 그러나 이 규제에 의해

확보되는 관용은 역설적으로 이교도들의 종교적 자유를 확대하는데 많은 기여

를 하였다. 왜냐하면 규제로 공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자유가 공식적으

로 인정되었고, 정국이 점차 안정됨에 따라 규제완화도 점진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었다. 또한 각 종교의 신자들에게 각각의 법전 및 법률을 적용시킨 것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일이었다. 이것은 종교적 관용의 형태는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되지만 이 다양함 속에 오히려 사회적 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동력이 내

재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주제어 : 종교적 관용, 중세 무슬림 스페인, 후기 우마이야 왕조]

17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참 고 문 헌

강휘원(2008). “근대 기독교의 종교적 자유와 관용의 상대성 오류”, 현상과 인

식 제32권 제1/2호, 13-37.김영경(2004). “종교 다원주의의 도전과 이슬람”,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제14

권 제1호, 63-80.김용환(1990). “관용에 대한 철학적 분석(Ⅱ) -Hobbes와 Locke의 종교적 관용론

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제64집, 203-229. ______(1997). 관용과 열린사회, 서울, 철학과현실사.김은정(2009). “레싱의 현자 나탄에 나타난 종교적 관용의 비판적 고찰”, 독일

문학 제50권 제4호, 1-24.김정아(2010). “이븐 칼둔의 '무캇디마'에 나타난 종교와 역사관”, 한국중동학

회논총 제31-1호, 47-79.김정위(2002). 이슬람 사전, 서울, 학문사.남궁근(2011). 행정조사방법론, 서울, 법문사.안영섭(1996). 사회과학방법론 총설, 서울, 법문사.유달승(2006). “문명충돌론과 문명대화론의 비교연구: 세계화의 인식론을 중심

으로”,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제16권 제1호, 79-100.Al-Maqqari, Ahmed.(2012). The History of the Mohammedan Dynasties in Spain:

Extracted from the Nafhu-T-Tib Min Ghosni-L Andalusi-R-Rattib Vol. 2, Rarebooksclub.

Barrucand, Marianne. & Bednorz, Achim.(2002). Moorish Architecture, Taschen America Llc.

Clarence-Smith, W. Gervase.(2005). Islam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Oxford Univ. Press.

Collins, Roger.(1995). The Arab Conquest of Spain 710-797, Blackwell Pub.Constable, R. Olivia.(2011). Medieval Iberia: Readings from Christian, Muslim and

Jewish Sources, Univ. of Pennsylvania Press.Einhard(1969). The Life of Charlemagne, trans. by Lewis Thorpe, Penguin Books.

이경구 역(2012). 샤를마뉴의 생애,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Geary, Patrick.(2002). The Myth of Nations: The Medieval Origins of Europ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Gerber, S. Jane.(1994). Jews of Spain: A History of the Sephardic Experience, Free

Press.Gibbon, Edward.(1995).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주동근| 중세 무슬림 스페인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연구 | 171

Random House Inc. 송은주 외 역(2009). 로마제국쇠망사, 서울, 민음

사.Gonzalez, Justo L.(2002).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Abingdon Press.Jayyusi, Salma Khadra.(2000). The Legacy of Muslim Spain Vol. 1, Humanities

Press._______________________.(2002). The Legacy of Muslim Spain Vol. 2, Humanities

Press.Kennedy, Hugh.(1996). Muslim Spain and Portugal: A Political History of

al-andalus, London, Longman Ltd.Lewis, Bernard.(1976). The World of Islam, Thames and Hudson. 김호동 역(2010).

이슬람 1400년, 서울, 까치글방. Lewis, David L.(2008). God's Crucible: Islam and the making of Europe, New

York, Norton Inc. 이종인 역(2010). 신의 용광로, 서울, 책과함께.Menocal, M. Rosa.(2002). The Ornament of the World: How Muslims, Jews, and

Christians Created a Culture of Tolerance in Medieval Spain, New York, Back Bay Books.

Oman, Charles.(2007). A History of the Art of War: The Middle Ages from the Fourth to the Fourteenth Century, Kessinger Publishing Llc.

Stillman, A. Norman.(1999). The Jews of Arab Lands: A History and Source Book,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Taha, Abdulwahid Dhannun.(1989). Muslim Conquest and Settlement of North Africa and Spain, London, Routledge.

논문접수일: 2014년 04월 15일

심사완료일: 2014년 05월 25일

게재확정일: 2014년 06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