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12
265 87차 종합학술대회 프로그램 및 초록 세부전문학회발표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and antiplatelet drugs 전남대학교병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근래 심혈관질환이나 뇌혈관질환이 있거나 관상동맥 중 재술을 받은 경우 등 항혈전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이 급격 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자들에서 수술이나 다른 처치를 위해서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의 일시적인 투 여 중지가 필요한 환자에서의 주술기관리는 임상적으로 흔 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환자에서 항혈소판제나 항 응고제의 투여 중지 동안 혈전색전증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이나 처치 중 약물투여 지속으로 발생할 수 있 는 출혈위험도와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주술기동안 항혈전치료 주술기 동안 항혈전치료의 중지는 뇌졸중이나 기계판막 거치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의 위험성을 증가시켜, 뇌졸중발 생환자의 70%에서 주요 기능장애와 사망에 이르게 하고, 15%의 환자에서 치명적인 기계판막의 혈전을 야기하여 심 근허혈을 증가시켜 사망률이 24배 증가한다. 이와 유사하 drug-eluting stent를 삽입한 환자에서 6개월 이내에 항혈 소판제의 투여 중지는 스탠트 혈전증과 이에 따른 심근경 색의 위험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면 주술기동안 항혈전치료의 지속은 수술 출혈을 증가시키 , 출혈과 관련된 여러가지 합병증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 러한 출혈경향은 수술 후 항혈전치료의 시작을 지연시켜 고위험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 .따라서 혈전색전위험성과 출혈위험성의 균형된 조절이 요구되어진다. Vitamine K antagonists (VKA)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의 주술기 관리 Vitamine K antagonists (VKA)는 동맥 및 정맥 혈전색전증 의 예방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가장 보편 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경우는 기계판막거치, 만성 심방세동, 정맥 혈전색전증이 있다. 수술전 VKAs의 투여 중지와 재개 주요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주술기 출혈위험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VKAs의 중단이 요구되어 진다. 이 경우 약 INR 이 정상화되는 데 수술 전 5일 정도의 투여 중단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 후 VKA를 재개 시 INR 1.5항응고효과를 얻기 위해서 대략 48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VKA에 의한 수술후 출혈증가가능 성은 지연된 항응고효과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VKA치료재개는 보통 수술 당일 저녁이나 다음날 아침(1224)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응고제의 “Bridging” VKAs를 투여하는 주요 3가지 질환(기계판막, 만성 심방 세동, 정맥혈전색전증)이 있는 환자에서 항응고치료의 중단 은 주술기 동안 혈전색전증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위험성은 특히 고위험군 환자에서 증가하며, 따라서 고위험환자군의 분류와 작용시간이 짧은 약물로의 “bridging” 필요하다. 위의 3가지 질환에 있어 환자군은 혈전색전증 의 발생 위험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Table 1). 위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출혈 위험성 때문에 항응고제의 투여 중지가 요구되어질때, 고위험군의 환자에서 는 치료농도(therapeutic-dose)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의 피하주입이나 unfractionated heparin (UFH)의 정맥 투여를, 중등도 위험군에서는 치료농도의 UFHLMWH, 는 저농도의 LMWH “bridge”로 권장된다. 저위험군에서는 저 농도의 LMWH 피하주입이나 bridging 하지 않는 것이 권장 된다. 항응고제의 bridging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주술기 관리 주술기 항응고 치료: 치료 농도의 UFHbridge 항응고 제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들어 정맥으로 투여하는 불편함 때문에 그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 LMWH의 피하투여가 UFH를 대신해 최근에 사용이 급격히

Upload: others

Post on 12-Sep-2021

1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265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 세부 문학회발표 □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and antiplatelet drugs

남 학교병원 의과 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정 성 태

근래 심 질환이나 뇌 질환이 있거나 상동맥

재술을 받은 경우 등 항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이 격

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자들에서 수술이나

다른 처치를 해서 항 소 제나 항응고제의 일시 인 투

여 지가 필요한 환자에서의 주술기 리는 임상 으로 흔

한 문제로 두되고 있다. 이런 환자에서 항 소 제나 항

응고제의 투여 지 동안 색 증의 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이나 처치 약물투여 지속으로 발생할 수 있

는 출 험도와 한 조화가 필요하다.

주술기동안 항 치료

주술기 동안 항 치료의 지는 뇌졸 이나 기계 막

거치 환자에서 색 증의 험성을 증가시켜, 뇌졸 발

생환자의 70%에서 주요 기능장애와 사망에 이르게 하고,

15%의 환자에서 치명 인 기계 막의 을 야기하여 심

근허 을 증가시켜 사망률이 2−4배 증가한다. 이와 유사하

게 drug-eluting stent를 삽입한 환자에서 6개월 이내에 항

소 제의 투여 지는 스탠트 증과 이에 따른 심근경

색의 험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반

면 주술기동안 항 치료의 지속은 수술 출 을 증가시키

고, 출 과 련된 여러가지 합병증을 증가시킨다. 한 이

러한 출 경향은 수술 후 항 치료의 시작을 지연시켜

고 험환자에서 색 증의 험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

다.따라서 색 험성과 출 험성의 균형된 조 이

요구되어진다.

Vitamine K antagonists (VKA)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의 주술기 리

Vitamine K antagonists (VKA)는 동맥 정맥 색 증

의 방목 으로 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어지는 경우는 기계 막거치, 만성 심방세동,

정맥 색 증이 있다.

수술 VKAs의 투여 지와 재개

주요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주술기 출 험성을 최소화

하기 해 VKAs의 단이 요구되어 진다. 이 경우 약 INR

이 정상화되는 데 수술 5일 정도의 투여 단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 후 VKA를 재개 시 INR > 1.5의

항응고효과를 얻기 해서 략 48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과 으로 VKA에 의한 수술후 출 증가가능

성은 지연된 항응고효과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VKA의

치료재개는 보통 수술 당일 녁이나 다음날 아침(12−24시

간)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반 이다.

항응고제의 “Bridging”

VKAs를 투여하는 주요 3가지 질환(기계 막, 만성 심방

세동, 정맥 색 증)이 있는 환자에서 항응고치료의 단

은 주술기 동안 색 증의 험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험성은 특히 고 험군 환자에서 증가하며, 따라서

고 험환자군의 분류와 작용시간이 짧은 약물로의 “bridging”

이 필요하다. 의 3가지 질환에 있어 환자군은 색 증

의 발생 험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Table 1).

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출 험성 때문에

항응고제의 투여 지가 요구되어질때, 고 험군의 환자에서

는 치료농도(therapeutic-dose)의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의 피하주입이나 unfractionated heparin (UFH)의 정맥

투여를, 등도 험군에서는 치료농도의 UFH나 LMWH,

는 농도의 LMWH “bridge”로 권장된다. 험군에서는

농도의 LMWH 피하주입이나 bridging 하지 않는 것이 권장

된다.

항응고제의 bridging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주술기

주술기 항응고 치료: 치료 농도의 UFH은 bridge 항응고

제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들어 정맥으로

투여하는 불편함 때문에 그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

LMWH의 피하투여가 UFH를 신해 최근에 사용이 격히

Page 2: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266

Table 1. 환자군에 따른 주술기 색 증 험도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LMWH (dalteparin, enoxapar-

in, tinzaparin, daltepain)이 재 사용되고 있다. 농도의

UFH (5,000 IU bid)나 LMWH (enoxaprin 30 mg bid, dal-

treparin 5,000 IU qd)는 특히 고 험군 환자에서 DVT 방

목 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술 bridging 약제의 단: UFH의 반감기는 약 45분

정도로 수술 4시간 에(약 5번의 제거반감기) 투여를 단

하면 된다. LMWH의 경우 제거 반감기가 약 4−5시간으로

수술 20−25시간 에 하루 총용량의 반을 마지으로 투

여한다.

항 소 제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의 주술기 리

근래에 bare metal stent (BMS)나 drug eluting stent (DES)

거치 후 항 소 제를 투여받는 환자들이 더 증가하

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의 주술기 리는 다양한 심 질

환의 발생 가능성 때문에 더 복잡해지고 있는 양상이

다. 이런 환자에서 부분 aspirin이나 clopidogrel, dipyr-

idamole, cilostozol 등의 약물을 단독 는 병합하여 사용하

고 있어 이러한 약물들의 주술기동안 리에 해 이해가

필요하다.

수수 항 소 제제의 투여 단

Aspirin: Aspirin의 반감기는 약 15−20분 정도로 짧지만,

aspirin은 cyclooxygenase-1의 억제를 통해 소 기능의 비가

역 인 변화를 일으켜 그 효과가 7−10일 동안 지속된다.

Aspirin 투여 단 후 약 5일 째에 소 의 약 50%만 정상

기능을 하고, 7−10일째에는 90% 이상의 소 이 정상기

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Clopidogrel: Thienopyridine 유도체인 clopidogrel은 상동

맥 스탠트 삽입 후 이 항 소 제(dual-antiplatelet)치료 시

aspirin과 함께 표 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adenosine diphos-

phate (ADP) 소 수용체를 억제하여 소 의 활성화와

응집을 억제한다. Clopidogrel 투여 단 후 소 pool이

정상화 되는데 수일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aspirin

과 마찬가지로 수술 7−10일 단이 권장된다. 다른

thienopyridine 유도체인 ticlopidine은 심각한 부작용의 험

성 때문에 재 임상에서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고 있다.

Dipyridamole: Dipyriamole은 pyrimidopyrimidine 유도체로

항 소 과 확장제의 특성이 있이며, 주로 뇌 질환

이 있는 환자에서 뇌졸 의 방목 으로 aspirin과 병합 요

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Dipyridamole의 소 에 한 효과

는 가역 이고 제거반감기가 략 10시간이다. 하지만 di-

pyridamole은 aspirin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수술 두 약

제의 항 소 효과를 제거하기 해 aspirin과 함께 7−10일

동안 단한다.

Cilostazol: Cilostazol은 phosphodiesterase 억제제로서 항

소 과 확장 효과를 가지며 cyclic adenosine mono-

Page 3: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정성태: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and antiplatelet drugs

267

phosphate (cAMP)를 통해 소 의 활성화와 응집을 억제하

며 그 효과는 가역 이다. 이 약제는 상동맥 질환이나 말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사용되며 약물 반감기는

략 10시간 정도이다. 수술 2−3일정도 투여 단이 필요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 소 제를 복용 인 환자에서의 수술

에서 말한 항 소 제들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의

수술은 출 험도와 색 증의 험도를 고려하여 투

약을 지하던지 계속 유지하던지 결정해야될 것이다. 먼

고 험군이 아닌 환자에서 비심장수술이 정되어 있다면

항 소 제를 지한다. 하지만 심장질환 발생의 고 험군

환자와 상동맥우회술이 정인 환자에서는 aspirin을 수술

까지 계속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clopidogrel은 모든 수

술에서 최소 5일 에는 단하여야 하며 보통 수술 10일

이 에 단하는 것이 권장된다.

항 소 제 치료의 재개

수술 일시 으로 항 소 제를 단했던 환자는 수술

후 한 지 이 유지된다면 가능한 빨리 다시 투여하는

것이 일반 이다. Aspirin과 clopidogrel의 경우 략 수술 다

음날 아침(24시간 후)부터 다시 복용을 시작한다.

상동맥 스탠트 삽입 환자에서의 수술 리

스태트 삽입환자에서의 항 소 치료: Bare metal 스탠

트나 drug-eluting 스탠트를 삽입 인 환자에서 항 소 제의

투여 지는 스탠트 증의 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환자에서 특히 최근에 스

탠트를 삽입하 다면 수술 후 스탠트 증이 크게 증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이러한 스탠트 증에 의

한 심근경색은 50% 이상의 환자에서 범 한 범 이고 치

명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Kaluza 등의 연구에 의한면 최

근에 스탠트를 삽입하고 비심장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항

소 제의 투여 지는 수술 후 20%의 환자가 사망한 결과

를 야기했다. 따라서 스탠트 삽입환자에서의 정수술은 스

탠트가 내피화(endotheliallization)되어 증의 험성이 감

소할 때까지 연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DES에서 항 소 치

료는 clopidogrel을 sirolimus-eluting stent를 사용한 경우 최소

한 3개월, pacritaxel-eluting stent를 사용한 경우 최소 6개월

사용을 권고하고 있고, 부분의 DES 거치환자에서 aspirin

과 clopidogrel을 1년 동안 같이 사용하는 이 항 소 제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BMS의 경우 6주, DES의 경

우 1년 동안 정수술을 연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스탠트 삽입환자에서 주술기 리: 치과치료, 백내장 수

술, 피부과수술 등과 같은 수술에서는 항 소 제 투여 지

가 필수 이는 않으며, 오히려 계속 유지하는 것이 권고된

다. 하지만 뇌신경수술 등과 같이 출 에 의한 험성이 높

은 수술에 있어서 스탠트 삽입 조기에 수술이 필요하다면

항 소 제의 투여 단이 불가피하다. 이런 경우에는 작용

시간이 짧은 항 소 제나 항응고제가 “bridge”로 사용 되어

진다. 이런한 약물로 UFH나 LMWH, direct thrombin 억제제,

glycoprotein IIb/IIIa억제제 등이 있다.

참 고 문 헌

1. Ansell JE. The perioperative management of warfarin therapy.

Arch Intern Med 2003; 163: 881-3.

2. McKenna R. Abnormal coagulation in the postoperative period

contributing to excessive bleeding. Med Clin North Am 2001; 85:

1277-310.

3. Torn M, Rosendaal FR. Oral anticoagulation in surgical

procedures: risks and recommendations. Br J Haematol 2003; 123:

676-82.

4. Anonymous. Prevention of pulmonary embolism and deep vein

thrombosis with low dose aspirin: Pulmonary Embolism Prevention

(PEP) trial. Lancet 2000; 355: 1295-302.

5. Dunn AS, Turpie AG.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receiving oral anticoagulants: a systematic review. Arch Intern

Med 2003; 163: 901-8.

6. Kaplan RC, Tirschwell DL, Longstreth WT Jr, et al. Vascular

events, mortality, and preventive therapy following ischemic stroke

in the elderly. Neurology 2005; 65: 835-42.

7. Martinelli J, Jiminez A, Rabago G, et al. Mechanical cardiac valve

thrombosis: is thrombectomy justified? Circulation 1991; 84(suppl):

70S-5S.

8. Stone GW, Aronow HD. Long-term care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cus on the role of antiplatelet therapy.

Mayo Clin Proc 2006; 81: 641-52.

9. Rao SV, Jollis JG, Harrington RA, et al. Relationship of blood

transfusion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JAMA 2004; 292: 1555-62.

10. Douketis JD, Johnson JA, Turpie AG. Low-molecularweight

heparin as bridging anticoagulation during interruption of warfarin:

assessment of a standardized periprocedural anticoagulation

regimen. Arch Intern Med 2004; 164: 1319-26.

11. White RH, McKittrick T, Hutchinson R, et al.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warfarin therapy: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Ann Intern Med 1995; 122: 40-2.

12. Jaffer AK, Ahmed M, Brotman DJ, et al. Low-molecularweight-

heparins as periprocedural anticoagulation for patients on long-

term warfarin therapy: a standardized bridging therapy protocol.

J Thromb Thrombolysis 2005; 20: 11-6.

13. Hammerstingl C, Tripp C, Schmidt H, et al. Periprocedural

bridging therapy with low-molecular-weight heparin in chronically

anticoagulated patients with prosthetic mechanical heart valves:

experience in 116 patients from the prospective BRAVE registry.

Page 4: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268

J Heart Valve Dis 2007; 16: 285-92.

14. Santamaria MA, Mateo J, Pujol N, et al. Management of

anticoagulation in patients who require colonoscopy or gastro-

scopy: saftey and efficacy of sodic bemiparin. Blood 2004; 105:

4060.

15. Roth GJ, Majerus PW. The mechanism of the effect ofaspirin on

human platelets: I. Acetylation of a particulatefraction protein. J

Clin Invest 1975; 56: 624-32.

16. Roth GJ, Stanford N, Majerus PW. Acetylation of prostaglandin

synthase by aspirin. Proc Natl Acad Sci U S A 1975; 72: 3073-6.

17. Lenz TL, Hilleman DE. Aggrenox: a fixed-dose combination of

aspirin and dipyridamole. Ann Pharmacother 2000; 34: 1283-90.

18. Iakovou I, Schmidt T, Bonizzoni E, et al. Incidence,predictors, and

outcome of thrombosis after successfulimplantation of drug-eluting

stents. JAMA 2005; 293: 2126-30.

19. Kaluza GL, Joseph J, Lee JR, et al. Catastrophic outcomes of

noncardiac surgery soon after coronary stenting. J Am Coll Cardiol

2000; 35: 1288-94.

20. Spyropoulos AC, Turpie AGG, Dunn AS, et al. Clinical outcomes

with unfractionated heparin or low-molecularweight heparin as

bridging therapy in patients on long-term oral anticoagulants: the

REGIMEN registry. J Thromb Haemost 2006; 4: 1246-52.

Page 5: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269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 세부 문학회발표 □

Intraoperative application of point-of-care-testing in coagulation

건국 학교 의과 문 학원 마취통증의학교실

김 성

지 은 “활성화, 응괴의 형성 그리고 응괴의 융해”의 세

과정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때 응괴는 소 -섬유소의 그

물망으로 형성되며 소 이 80−90%, 섬유소가 10−20%의

역할을 각각 담당하게 된다. 응고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는 일반 으로 ACT, PT/INR, aPTT, 소 수, 섬유소원 농

도 등이 이용되는데 채 후 결과를 얻기까지 시간 지연,

이 아닌 장으로 검사를 한다는 , 소 기능에

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그리고 환자의 체온에서

측정된 방법이 아니라는 등으로 성기 주술기 상태를

정말로 반 하는지는 의문으로 남는다. 이러한 제한 을 극

복하는 방법들이 응고 상태를 평가하는 point-of-care testing

이라고 할 수 있으며 thromboelastography (TEG®), rotational

thromboelastometry (ROTEM®), Sonoclot® 등이 여기에 해당

된다.

앞서 언 했듯이 응괴의 형성에 있어서 소 의 역할

이 요한데 소 의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들은 다양하다.

한 최근 심 질환의 증가에 의해 응고 상태에 향을

미치는 여러 약제들, 를 들어 아스피린, 클로피도그 등

을 복용하는 경우 이 약제들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는

이 약제들을 복용하지 않았을 경우 응고 기능은 어떠한 지

를 평가할 수 있어야 되며 이를 해 TEG® platelet mapping

assay, VerifyNowTM 그리고 PFA-10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traoperative point-of-care testing in coagulation은 과도한

출 이 있는 경우 요한데 특히 심장수술에 있어서 심폐

기의 충진액 심정지액에 의한 정질액의 과도한 주입,

액 응고계의 과도한 활성화, 과도한 섬유소 융해, 헤 린

로타민의 사용 그리고 다형핵구의 엘라스타아제 분비

등에 의해 지 장애를 보이기 쉽기 때문이다.

궁극 인 point-of-care testing in coagulation은 빠른 시간

내에 액의 응고 상태를 단하여 부족한 소 , 섬유소

원 그리고 응고 인자들을 하게 보충하여 불필요한 수

을 이는 것에 그 목 이 있다고 하겠다.

Page 6: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270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 세부 문학회발표 □

Perioperative management of refractory bleeding: hemostatic intervention

울산 학교 의과 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이 은 호

Perioperative refractory bleeding with massive transfusion is

an important clinical problem and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is no universal definition, how-

ever massive bleeding has been defined as [1]: loss of an en-

tire blood volume equivalent within 24 h; or loss of 50% of

blood volume within 3 h; or continuing blood loss at a rate of

150 mL/min; or continuing blood loss at a rate of 1.5 mL/kg/min

over 20 min; or rapid blood loss leading to decompensation

and circulatory failure, despite the support of blood products,

volume replacement, and all accepted surgical and interven-

tional treatments to stop bleeding.

Surgical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i.e., embolization)

play a central role in the management of massive bleeding;

however, medical management and in particular prohemostatic

therapie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ient outcome.

Indeed, surgery and massive transfusion are associated with coa-

gulopathy secondary to tissue injury, dilution and consumption

of coagulation factors and platelets, platelet dysfunction, fi-

brinolysis, anemia, hypocalcemia, hypothermia, and acidosis [2].

Anesthesiologists are often called on to correct coagulopathy

in patients who are actively bleeding despite blood transfusion

(RBC, FFP, platelets and cryoprecipitate) and other therapies.

Therefore, clinicians must understand some of the potential

pharmacologic therapies available to reverse bleeding. The

medications that have been most extensively evaluated as he-

mostatic agents include antifibrinolytics (aprotinin, epsilon-ami-

nocaproic acid, and tranexamic acid), protamine, desmopressin,

and topical hemostatic agents [3,4]. In addition, a growing

number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suggest that “off-label”

use of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rFVIIa, Eptacog alfa,

NovoSeven; Novo Nordisk, Baagsvaerd, Denmark), a drug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hemophilia or other

congenital hemostasis and coagulation defects, may be effective

in controlling refractory bleeding in trauma, obstetrical, and

surgical patients with complex acquired coagulation abnormal-

ities [5]. These prohemostatic agents for perioperative use will

be reviewed.

Hemostatic agents

Antifinrinolytics

Hyperfibrinolysis is significant for coagulopathy, and anti-

fibrinolytics possess a potential for reducing the blood loss and

thereby improve the outcome of coagulopathic bleeding. Antifi-

brinolytic agents reduce the blood loss in patients with both

and exaggerated fibrinolytic responses to surgery. The two syn-

thetic antifibrinolytic agents available include the lysine ana-

logues, such as epsilon-aminocaproic acid and tranexamic acid,

which competitively inhibit activation of plasminogen to reduce

conversion of plasminogen to plasmin, an enzyme that de-

grades fibrin clots, fibrinogen, and other plasma proteins, in-

cluding the procoagulant factors V and VIII. Tranexamic acid

also directly inhibits plasmin, but higher doses are required

than are needed to reduce plasmin formation [6]. In a

Cochrane review of antifibrinolytics, tranexamic acid reduced

the need for transfusion by approximately one-third (RR, 0.61;

95% CI, 0.54-0.70), with a similar, although less pronounced

benefit for aminocaproic acid (RR, 0.75; 95% CI, 0.58-0.96)

[7]. There is, however, no evidence to support that prophy-

lactic or empiric use of antifibrinolytic drugs reduces allogenic

blood transfusion in trauma patients sustaining a massive blood

loss [3], although the role of this therapy in trauma patients is

under evaluation.

Protamine

Protamine is the only available therapeutic approach to re-

verse unfractionated heparin. Protamine is a polypeptide com-

posed of nearly 70% arginine residues, and thus has a high

pKa to reverse the acidic molecule heparin by forming a simple

acid-base interaction [8]. Protamine does not reverse low-mo-

Page 7: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이은호:Perioperative management of refractory bleeding: hemostatic intervention

271

Fig. 1. Mechanism of Action of Recombinant Factor VIIa. When the vessel wall is disrupted, subendothelial tissue factor becomes exposed to

circulating blood and may bind factor VIIa (A). This binding activates factor X, and activated factor X (factor Xa) generates small amounts of

thrombin. The thrombin (factor IIa) in turn activates platelets and factors V and VIII. Activated platelets bind circulating factor VIIa (B), resulting

in further factor Xa generation as well as activation of factor IX. Activated factor IX (factor IXa) (with its cofactor VIIIa) yields additional factor

Xa. The complex of factor Xa and its cofactor Va then converts prothrombin (factor II) into thrombin (factor IIa) in amounts that are sufficient

to induce the conversion of fibrinogen to fibrin.

lecular-weight heparin. After administration, protamine rapidly

reverses heparin as noted by return of activated clotting times,

but also with marked elevations of plasma concentrations of

prothrombin fragment, thrombinfiantithrombin III complex, and

fibrin monomer.

Protamine can cause adverse reactions including anaphylaxis,

acute pulmonary vasoconstriction and right ventricular failure,

and hypotension. Patients with diabetes are at an increased risk

for adverse reactions due to the presence of neutral protamine

Hagedorn (NPH), which contains insulin and protamine, caus-

ing increased protamine sensitization. Individuals reported at

risk for protamine reactions include patients with vasectomy,

multiple drug allergies, and prior protamine exposure [9].

Desmopressin

Desmopressin is the V2 analog of arginine vasopressin that

stimulates the release of ultralarge von Willebrand factor multi-

mers from endothelial cells [3]. Desmopressin increases von

Willebrand factor and associated factor VIII levels. Desmo-

pressin induces release of normal von Willebrand factor from

cellular compartments. Desmopressin shortens the bleeding time

of patients with mild forms of hemophilia A or von Wille-

brand disease.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desmo-

pressin is efficacious in conditions, such as surgery, other than

mild hemophilia A and von Willebrand’s disease [3,10]. The

use of desmopressin in some patients who have bleeding as a

consequence of inherited and acquired defects of platelet func-

tion may be considered. Desmopressin should be administered

by slow intravenous infusion (over 15−30 min) at a dose of

0.3 μg/kg to avoid hypotension [11].

Topical hemostatic agents

Orthopedic, neuro, cardiac, and vascular surgeons use topical

agents to promote hemostasis locally at the site of surgery.

Topical hemostatic agents are classified based on their mecha-

nism of action and include physical or mechanical agents,

caustic agents, biologic physical agents, and physiologic agents.

Gelatin sponges or Gelfoam are composed of purified pork

Page 8: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272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skin gelatin that increases contact activation to help create top-

ical clot.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also known as

Surgicel or Oxycel, works like Gelfoam. Microfibrillar collagen

(Avitene) is derived from bovine skin and works in a similar

fashion. Collagen sponges, coming in a wide variety of differ-

ent commercial forms, are derived from bovine Achilles tendon

or bovine skin. Topical thrombin is commonly used. Until re-

cently, bovine-derived thrombin was the only topical thrombin

available. Floseal is bovine thrombin and cross-linked gelatin

granules mixed together [11].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rFVIIa)

Recently, rFVIIa (Eptacog alfa, NovoSeven; Novo Nordisk,

Baagsvaerd, Denmark), a drug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hemophiliacs with inhibitors, has been explored as

an adjuvant therapy for hemorrhage control in various non-

hemophiliac bleeding situations, including surgical or non-surgi-

cal situations. Wider applications of rFVIIa are under develop-

ment [5].

This agent is produced from a baby hamster cell line and is

very similar to endogenous FVIIa. Experimental data indicate

that high doses of rFVIIa enhance thrombin generation through

both tissue factor-dependent and tissue factor-independent path-

ways (Fig. 1). Pharmacological concentrations of rFVIIa bind

to thrombin-activated platelets with low affinity. Once bound

to the platelet, rFVIIa generates small amounts of FXa even in

the absence of FVIII/FIX, leading to dose-dependent production

of thrombin on the platelet surface. Addition of rFVIIa to he-

mophilic plasma in vitro also prolongs the clot lysis time, a

finding that may be attributable to increased activation of

thrombin-activatable fibrinolysis inhibitor (TAFI) and/or normal-

ization of fibrin permeability resulting from a tighter fibrin

network [3,12].

The hemostatic efficacy of exogenous rFVIIa thus appears to

be mediated through enhanced platelet-surface FXa generation.

The resulting increase in thrombin production leads to en-

hanced platelet aggregation, full activation of TAFI and FXIII,

and production of a tight fibrin plug. These mechanisms may

explain the hemostatic efficacy of rFVIIa not only in hemo-

philia, but also in other coagulopaties caused by impaired

thrombin generation.

Since the first report of rFVIIa administered to a trauma pa-

tient in 1999 [13], there has been an off-label use of this po-

tent hemostatic agent for the various non-hemophilic bleeding

conditions [5]. The compound has been found effective in con-

trolling intractable bleeding in trauma, obstetrical and surgical

patients with complex acquired coagulation abnormalities.

Efficacy is usually appreciated through the response to rFVIIa

in terms of amount of RBC units required before and after ad-

ministration of the drug. Sevente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ave been reported (surgery, trauma, infection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14]. Only four studies found a reduction in

the transfusion requirements or blood loss, and no study has

reported a survival benefit in the rFVIIa-treated arm. However,

in patients with a massive uncontrolled blood loss who do not

respond to conventional treatment, the administration of rFVIIa

may be important for the damage control strategy [5,15].

Berkhof and Eikenboom [16] found from 32 cases with an un-

controlled massive blood loss, a reduction in transfusion re-

quirements after administration of rFVIIa and a 56% survival.

Similarly, in cardiac patients with postoperative bleeding, sig-

nificantly fewer patients in the rFVIIa group underwent re-do

surgery as a result of bleeding or required allogeneic

transfusions. There was, however, a trend towards more serious

adverse events in the rFVIIa groups as compared with con-

trols, emphasizing that the risk of thrombembolic complications

should be included when considering the use of rFVIIa [17].

Recommended doses for hemophilia patients are 90 μg/kg

rFVIIa, whereas children might require doses up to 270 μg/kg

rFVIIa. Patients with Glanzmann’s thrombasthenia are recomme-

nded to receive doses of rFVIIa up to 90 μg/kg (range: 80−120 μg/kg). In adults, the clearance rate of rFVIIa is ∼30−35

ml/kg/h. To maintain rFVIIa efficacy, repeated dosing is neces-

sary approximately every 2 h. However, clearance and recovery

rate as well as the ability to generate thrombin on platelets sur-

faces vary among individuals. Off-label rFVIIa has been used in

concentrations varying between 20 and 400 μg/kg.

By contrast,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und no increased advantage of higher doses of rFVIIa above

90 μg/kg. Considering the wide range of clinical conditions,

patient populations and various administration protocols, no

dose recommendations for the off-label use of rFVIIa can be

provided. However, the majority of clinical studies showed a

beneficial effect of rFVIIa therapy used in concentrations of 60

−120 μg/kg. Importantly, because the efficacy of rFVIIa ther-

apy depends on various conditions, it is recommended to cor-

rect the following preconditioning factors before its admin-

istration; hematocrit (>24%), platelets (>50.000/ml), acidosis

(pH ≥ 7.2), fibrinogen (>100 mg/dl), avoid hypothermia [5].

The success of rFVIIa therapy needs to be monitored by clin-

Page 9: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이은호:Perioperative management of refractory bleeding: hemostatic intervention

273

ical judgement and laboratory assays including prothrombin

time and TEG measurements. Further, patients receiving rFVIIa

need to be carefully monitor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rapy

for thrombo-embolic adverse events.

Because rFVIIa is such a potent and expensive hemostatic

agent, the administration of this substance must be done under

careful weighing of benefit versus potential harm. Its exact

place in the perioperative setting with massive bleeding has to

be determined in further clinical trials.

Conclusion

In summary, perioperative severe bleeding with massive

transfusion is an important clinical problem and contributor to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ssociated coagulopathy is multi-

factorial, including loss and dilution of coagulation factors,

anaemia, thrombocytopaenia, hypothermia, acidosis and hypocal-

caemia. Further, coagulopathy might be aggravated by the acti-

vation of protein C and fibrinolytic pathway, as well as coagu-

lation disorders.

To terminate bleeding, treatment strategies include surgical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i.e., embolization), reversal of

anticoagulation (e.g., protamine), the application of blood prod-

ucts (e.g., RBC, FFP, platelets, fibrinogen and cryoprecipitate)

and other hemostatic agents (e.g., antifibrinolytics and desmo-

pressin). Further, acidosis, hypothermia and anemia should be

avoided. If severe bleeding persists despite these measures, the

use of rFVIIa might be considered. The available data broadly

indicate that antifibrinolytics (lysine analogues) and rFVIIa are

potent hemostatic agents but that desmopressin is less effica-

cious. Antifibrinolytics are used almost exclusively for prophy-

laxis against anticipated major blood loss, whereas rFVIIa is

used not only to prevent but also to treat excessive bleeding.

The role of antifibrinolytic agents in the treatment of massive

refractory hemorrhage has not been established to date.

The choice among hemostatic agents is ultimately based on

the clinician’s sense of the expected therapeutic efficacy, the

safety profile, and the costs - a balance that may vary depend-

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tients and specific

clinical settings. The use of any drug that potentiates hemo-

stasis inevitably carries a risk of thrombosis, particularly in pa-

tients with atherosclerosis or risk factors for thrombosis.

References

1. Grottke O, Henzler D, Rossaint R. Use of blood and blood

products in trauma. Best Pract Res Clin Anaesthesiol 2007; 21:

257-70.

2. Levy JH. Massive transfusion coagulopathy. Semin Hematol 2006;

43: S59-63.

3. Mannucci PM, Levi M.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jor blood

loss. N Engl J Med 2007; 356: 2301-11.

4. Rossaint R, Duranteau J, Stahel PF, Spahn DR. Nonsurgical

treatment of major bleeding. Anesthesiol Clin 2007; 25: 35-48,

viii.

5. Grottke O, Henzler D, Rossaint R. Activated recombinant factor

VII (rFVIIa). Best Pract Res Clin Anaesthesiol 2010; 24: 95-106.

6. Fergusson DA, Hebert PC, Mazer CD, Fremes S, MacAdams C,

Murkin JM, et al. A comparison of aprotinin and lysine analogues

in high-risk cardiac surgery. N Engl J Med 2008; 358: 2319-31.

7. Henry DA, Carless PA, Moxey AJ, O'Connell D, Stokes BJ,

McClelland B, et al. Anti-fibrinolytic use for minimising

perioperative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 CD001886.

8. Levy JH, Tanaka KA. Prohemostatic agents to prevent perio-

perative blood loss. Semin Thromb Hemost 2008; 34: 439-44.

9. Levy JH, Adkinson NF, Jr. Anaphylaxis during cardiac surgery:

implications for clinicians. Anesth Analg 2008; 106: 392-403.

10. Wong AY, Irwin MG, Hui TW, Fung SK, Fan ST, Ma ES.

Desmopressin does not decrease blood loss and transfusion

requirements in patients undergoing hepatectomy. Can J Anaesth

2003; 50: 14-20.

11. Levy JH, Azran M. Anesthetic concerns for patients with

coagulopathy. Curr Opin Anaesthesiol 2010; 23: 400-5.

12. Franchini M, Lippi G.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mechanisms of action and current indications. Semin Thromb

Hemost 2010; 36: 485-92.

13. Kenet G, Walden R, Eldad A, Martinowitz U. Treatment of

traumatic bleeding with recombinant factor VIIa. Lancet 1999;

354: 1879.

14. Johansson PI. Off-label use of recombinant factor VIIa for

treatment of haemorrhage: results from randomized clinical trials.

Vox Sang 2008; 95: 1-7.

15. Johansson PI, Ostrowski SR, Secher NH. Management of major

blood loss: An update. Acta Anaesthesiol Scand 2010.

16. Berkhof FF, Eikenboom JC. Efficacy of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in patients with massive uncontrolled bleeding: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analysis. Transfusion 2009; 49: 570-7.

17. Gill R, Herbertson M, Vuylsteke A, Olsen PS, von Heymann C,

Mythen M,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in the setting of

bleeding after cardiac surgery. Circulation 2009; 120: 21-7.

Page 10: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274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 세부 문학회발표 □

수혈관련 급성 폐손상

경북 학교 의과 학 마취통증의학교실

곽 경 화

Table 1. Diagnostic Criteria for TRALI and Possible TRALI

1. TRALI criteria

a. ALI (acute lung injury)

Acute onset

Hypoxemia

In research setting

Ratio of Pao2/Fio2 ≤ 300 or

Spo2 < 90% on room air

Nonresearch setting

Ratio of Pao2/Fio2 ≤ 300 or

Spo2 < 90% on room air

Other clinical evidence of hypoxia

Bilateral infiltrates on frontal chest radiograph

No evidence of left atrial hypertension (i.e., circulatory overload)

b. No preexisting ALI before transfusion

c. During or within 6 hr of transfusion

d. No temporal relationship to an alternative risk factor for ALI

2. Possible TRALI

a. ALI

b. No preexisting ALI before transfusion

c. During or within 6 hr of transfusion

d. A clear temporal relationship to an alternative risk factor for ALI

Kleinman S, et al. Transfusion 2004; 44: 1774-89.

수 로 인한 성 폐손상은 1957년 Brittingham에 의해 처

음 기술된 이후 1983년 Popovsky 등에 의해 수 련 성

폐손상(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TRALI)으로 처음

명명되었다[1,2]. 정확한 발생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최근

TRALI에 한 인식의 증가와 진단기 에 한 동의가 이루

어지면서 TRALI는 수 과 련된 이환율과 사망률의 가장

흔한 원인인자로 보고되고 있다[3].

TRALI는 수 후 6시간 특히 1−2시간 이내에 갑작스러

운 호흡부 증상과 함께 산소 증, 압 등이 동시에

찰되며, 흉부 X-선 촬 상 미만성 폐부종의 소견이 나타

나는 임상 증후군이다[4]. TRALI는 불명확한 진단기 때문

에 잘 인지되어 지지 않다가, 2004년 토론토에서 열렸던

Canadian Consensus Conference에서 비로소 TRALI의 임상

인 진단 기 이 제시되었다(Table 1) [5]. Canadian Consensus

의 정의는 수 외 성 폐손상을 래할 수 있는 다른

험인자가 없는 “TRALI”와 패 증, 폐렴, 응고장애, 손상 등

성 폐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험인자가 있는

“Possible TRALI”를 세분하여 구분하 다. 재 제시된 기

에 의하면 TRALI는 진단을 한 특정 생화학 지표가 없

고 수 후 갑작스러운 산소증과 단순 흉부 촬 상 양측

성 폐부종 소견 등 임상 방사선학 인 소견에 의존해

서 진단되어지므로 수 후 용 과부하와 련된 폐부종

같은 유사한 증상 소견을 유발하는 질환들과의 감별이

필수 이다.

TRALI의 발생률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추정 발생

률은 0.08-8%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4,6-8]. 그러나 발생률은

TRALI의 정의, 연구방법, 연구 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2004년 제시된 Canadian Consensus

정의에 의해 진단되어진 TRALI의 발생 빈도는 이 에 비해

높게 보고되었으며 특히 환자들을 상으로 한 경우 더

욱 높은 발생률을 보 다[6,7]. 이는 TRALI 정의에 “possible

TRALI”에 한 항목을 포함시킴으로써 수 외 성 폐손

상을 래할 수 있는 원인 인자가 많은 환자에서 TRALI

발생에 한 인식의 증가가 발생률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

으로 보인다.

TRALI는 구나 장이 들어있는 모든 액 성분에서 유

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신선동결 장과

소 등 장이 풍부한 성분에 의해 호발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선동결 장은 FDA와 국에서 보고된

TRALI 환자 사망원인의 가장 흔한 액 성분이며[9] 환

자들을 상으로 향 코호트 임상감시연구에서도 신선

동결 장과 소 이 가장 큰 험인자로 보고되었다[6].

TRALI를 유발하는 기 은 명확히 밝 져 있지 않으나 두

가지 기 이 제시되고 있다. 첫 번째 기 은 수 후 발생

하는 항원-항체 반응(antibody-mediated mechanism)에 의한

폐손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 액의 장내에

있는 Human Leukocyte Antigen (HLA)이나 Human Neutrophil

Antigen (HNA)에 한 항체가 여한다. 보고된 TRALI 환

자의 수 액 내 65−90%에서 HLA 항체가 존재하는 것

으로 보고되며[4,10-12], 환자의 부분에서 항체에 상응하

Page 11: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곽경화:수 련 성 폐손상

275

는 항원(HLA class I, HLA class II or neurtophil-specific anti-

gens, 특히 HNA-3a)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2].

여성 헌 자에서 임신기간 동안 동종면역(allo-immuniza-

tion)에 의하여 HLA 항체가 액에 있을 가능성은 임신한

횟수와 비례하며, 동종면역의 빈도는 임신을 하지 않았을

경우 1.7%에서 3회 이상 임신한 경우 29.8%까지 증가한다

[13]. 복부 동맥류 열 환자를 상으로 한 연구에서 장

수 시 임신력이 있는 여성 헌 자에서 남성 헌 자로

환한 경우 수술 후 6시간 이내 성 폐손상의 발생률이

36%에서 21%로 감소했다[14]. 이는 항원-항체 반응이

TRALI의 요한 병인임을 보여주는 결과들이다.

그러나 TRALI의 5−15%에서는 수 자나 헌 자의 액

에서 HLA 혹은 HNA 항체가 발견되지 않으며, 많은 경우

항체가 있는 헌 자의 액이 TRALI를 유발하지 않는다

[15]. 항원-항체 반응과 무 해 보이는 이러한 상을 설명

하기 해 두 단계의 면역반응 이론(Two hit mechanism)이

제기되었다[16].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선행인자가 폐 의

내피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사이토카인를 분비시켜 호 구를

응집시킨다. 환자의 패 증, 심각한 감염, 수술 등이 이러한

첫 번째 반응의 선행자극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

는 액의 장기간 동안 축 되어진 항체 혹은 생활성 지

질(bioactive lipid) 등 생물학 반응의 활성인자가 포함된

액제제가 수 되면 폐 내 응집된 백 구를 활성화시

켜 내피 세포의 손상을 유발하게 한다. 어떠한 경로든

결국 내피 세포의 손상, 모세 출, 성구의

외 유출을 유발하여 성 폐손상을 유발한다.

TRALI는 임상 으로 48−96시간 이내에 증상이 호 되기

시작되며 약 80%의 환자는 인공호흡기의 사용을 통하여 장

기 인 부작용 없이 1−4일 이내에 폐침윤 소견도 호 된

다[17]. 그러나 발병자 5−10%의 환자가 사망하는 것으

로 보고되는 치명 인 수 의 합병증이므로 TRALI의 발생

을 감소시키고 방할 수 있는 략이 필요하다.

수 용 신선동결 장은 남성 헌 자의 액만을 사용하

고, 성분채 소 의 경우에는 가 임신경력이 있는 여

성 헌 자의 헌 을 배제시키거나 성분채 소 을 한

여성 헌 자의 경우 HLA pre-screening을 시행하는 것도 방

법이 될 수 있다. 2009년 Annual Serious Hazards of

Transfusion (SHOT)보고에 의하면, 국에서 2003년 말부터

우선 으로 남성 헌 자의 액으로 신선동결 장을 공

한 결과 TRALI 발생 빈도가 이 에 비해 히 감소했다

고 보고하 다. SHOT는 TRALI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해 신선동결 장이나 성분채 소 의 경우 으로 남

성 헌 자의 액만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오래

장된 액은 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액 내 생활성 지질

이 증가하여 성구를 자극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 신선한 세포성분을 수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임

신경력이 있는 여성 헌 자의 헌 을 배제하고 신선한

액을 사용하는 것은 명백하게 TRALI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액의 활용도와 공 면에서 실 인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수 을 피하고 반드시 필요한 경

우 수 하는 것이 TRALI의 방을 한 가장 기본 인

략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Brittingham TE. Immunologic studies on leukocytes. Vox Sang

1957; 2: 242-8.

2. Popovsky MA, Abel MD, Moore SB.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associated with passive transfer of antileukocyte

antibodies. Am Rev Respir Dis 1983; 128: 185-9.

3. Goldman M, Webert KE, Arnold DM, Freedman J, Hannon J,

Blajchman MA. Proceedings of a consensus conference: towards

and understanding of TRALI. Transfus Med Rev 2005; 19: 2-31.

4. Popovsky MA, Moore SB. Diagnostic and pathogenetic conside-

rations in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Transfusion 1985;

25: 573-7.

5. Kleinmann S, Caulfield T, Chan P, Davenport R, McFarland J,

McPhedran S, et al.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ransfusion-

related acute lung injury: statement of a consensus panel.

Transfusion 2004; 44: 1774-89.

6. Gajic O, Rana R, Winters J, Yilmaz M, Mendez JL, Rickman OB,

et al.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in the critically ill:

prospective nested case control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 176: 886-91.

7. Rana R, Fernandez-Perez ER, Khan SA, Rana S, Winters JL,

Lesnick TG, et al.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and

pulmonary edema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Transfusion 2006; 46: 1478-83.

8. Wiersum-Osselton JC, Porcelijn L, van Stein D, Vlaar AP, Beckers

EA, Schipperus MR.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TRALI) in the Netherlands in 2002-2005. Ned Tijdschr Geneeskd

2008; 152: 1784-8.

9. Holness L, Knippen MA, Simmons L, Lachenbruch PA. Fatalities

caused by TRALI. Transfus Med Rev 2004;18:184-8.

10. Popovsky MA, Haley NR.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ransfusion-

related acute lung injury: demographics: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and morbidity. Immunohematology 2000; 16: 157-9.

11. Kopko PM, Paglieroni TG, Popovsky MA, Muto KN, MacKenzie

MR, Holland PV. TRALI: correlation of antigen-antibody and

monocyte activation in donor recipient pairs. Transfusion 2003; 43:

177-84.

12. Wallis JP, Lubenko A, Wells AW, Chapman CE. Single hospital

experience of TRALI. Transfusion 2003; 43: 1053-9.

13. Triulzi D, Kakaiya R, Kleiman S, Busch M, Norris P, Steele W,

et al. Relationship of HLA antibodies in blood donors to

pregnancy and transfusion history. Transfusion 2007; 47(suppl 2):

Page 12: Perioperative thrombotic risk, thromboprophylaxis, anticoagulant

276

제87차 종합학술 회 로그램 록

2A.

14. Wright SE, Snowden CP, Athey SC, Leaver AA, Clarkson JM,

Chapman CE, et al. Acute lung injury after ruptured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the effect of excluding donations from

females from the production of fresh frozen plasma. Crit Care Med

2008; 36: 1796-802.

15. Eder AF, Herron R, Strupp A, Edward BD, Notari EP, Chambers

LA, et al. Transfusion related acute lung injury surveillance

(2003-2005) and the potential impact of the selective use of

plasma from male donors in the American Red Cross. Transfusion

2007; 47: 599-607.

16. Silliman CC, Ambruso DR, Boshkov LK.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Blood 2005; 105: 2266-73.

17. Moore SB.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TRALI): clinical

presentation, treatment, and prognosis. Crit Care Med 2006; 34:

S114-S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