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25
|한국중동학회논총 |제34권 제4호 [2014. 02]: 1~25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김 강 석*| Kim, Kang-suk 1) Eisenhower's Failure in the Making of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American global strategy towards the Middle East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traits. In this sense,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the failure of American global cold war policy due to the conflicts between American global containment strategy and the unique aspects in the Middle East. The failure of the Baghdad Pact can be considered as a historical case in which American global cold war policy ended up failure after misperceiving regional traits of Nasserism, that is Arab nationalism led by Gamal Abdel Nasser. In this regard, the United States tried to manipulate Nasser's revolutionary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However, this manipulation strategy can be seen as the outcome of misperceiving Nasser's intentions. With this in mind, after the Anglo-Egyptian treaty on the Suez Canal in 1954, Washington tried to establish good relations with the military junta through various strategies such as economic aid and the Alpha plan. However, Nasser participated in the Bandung conference and purchased weapons from the Communist bloc contrary to American expectation. Above all,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Eisenhower's idea of the Middl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중동아프리카학과 강사,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9-Ap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1~25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김 강 석*|Kim, Kang-suk

1)

Eisenhower's Failure in the Making of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American global strategy towards the Middle East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traits. In this sense,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the failure of American global cold war policy due to the conflicts between American global containment strategy and the unique aspects in the Middle East. The failure of the Baghdad Pact can be considered as a historical case in which American global cold war policy ended up failure after misperceiving regional traits of Nasserism, that is Arab nationalism led by Gamal Abdel Nasser.

In this regard, the United States tried to manipulate Nasser's revolutionary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However, this manipulation strategy can be seen as the outcome of misperceiving Nasser's intentions. With this in mind, after the Anglo-Egyptian treaty on the Suez Canal in 1954, Washington tried to establish good relations with the military junta through various strategies such as economic aid and the Alpha plan. However, Nasser participated in the Bandung conference and purchased weapons from the Communist bloc contrary to American expectation.

Above all,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Eisenhower's idea of the Middl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중동아프리카학과 강사, E-mail: [email protected]

Page 2: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East collective security had fundamental limits stemming from the absence of collective identity and difference of threat perceptions among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With such inherit problems, it is difficult to bring Egypt into American sphere of influence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rivalry, thus resulting in the outbreak of the Suez War.

On the other hand, the Eisenhower doctrine to contain Nasser's influence after the Suez War can also be regarded as the American strategy resulted from mis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Nasserism. Contrary to American expectation, the authority of Khadim al-haramain (Keepers of the two holy places) in Saudi Arabia could not confront with Nasserism since Arab people more supported Nasser with his Arab nationalism particularly after the Suez War.

Accordingly, after experiencing regional turmoil, Washington became aware of the Nasser's enormous influence and changed its coercive strategy into conciliatory one. Under this transformed strategy, the Baghdad Pact had to remain as the Northern Tier without expanding into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After all, the idea of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ended in failure when the Baghdad Pact was dissolved into CENTO in 1959 after Iraqi withdrawal.

[Key Words : The Baghdad Pact, Nasserism, misperception, MEDO, Eisenhower, New Look.]

I. 서론

냉전 시기 미국은 봉쇄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각 지역의 차별성을 뛰어 넘는

일관된 논리에 따라서 자신의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Gaddis,

1982). 그런데 이러한 보편 전략으로서의 냉전 정책은 각 지역의 특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추진됨으로 말미암아 실패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이는 해당

지역의 고유한 문제가 적절히 고려되지 않음으로써 미국의 세계 전략과 지역적

특성간의 상충의 문제가 대두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이렇게 미국이 지역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냉전 정책을 추구함으로써 나타나는 정책 실패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Page 3: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3

문제의식은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기 미국이 세계 전략에 입각해 중동지역에 추

진하였던 다자안보의 문제를 연구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뉴룩전략(New

Look) 하에서 모색되었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은 미국이 지역적 특

성에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세계 전략을 추구함으로써 냉전 정책이 실패한 사

례로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은 미국의 보편적 냉전 정책의 일환으로서 추

진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뉴룩전략의 주요 내용 가운데 하나는

집단안보의 추구였다는 점과 한국전쟁 이후 ANZUS, SEATO와 같은 집단방위체

제가 다른 지역에서도 강구되었다는 점을 통해서 드러난다. 특히 미국은 유럽

전체 석유 소비량의 90%를 공급함으로써 유럽 안보를 위한 에너지원 역할을 담

당하는 중동지역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NATO와 SEATO를 연결하는 집단방

위체제 창설을 중요한 과제로 보았다(Hahn 2004, 150).

둘째,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원인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대상은 나

세리즘(Nasserism).1).이라는 중동 지역의 고유한 특성에서 비롯된 문제이기 때

문이다. 이는 아랍 국가들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미쳤던 나세리즘을 주도한 이

집트 나세르 정권이 미국의 의도와는 달리 미국의 집단방위정책 구상에 반발했

음을 의미한다. 미국은 나세리즘을 미국의 전략적 목표 달성에 유리하게 활용

하기 위해 나세리즘에 대한 정책적 대응에 주력하였으나 성과를 거둘 수 없었

다.

셋째, 미국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의 결여라는 문제를 오식

(misperception)이라는 분석적 개념으로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식과 오식

의 문제는 외교정책 결정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2) 따라

1) 나세리즘(Nasserism)은 나세르 사상과 이집트의 대내적, 그리고 대외적 정치간의 상호 관계를 설

명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된 이념이다. 이집트의 중심 이데올로기인 나세리즘은

이집트는 물론 아랍세계와 중동지역 더 나아가 제3세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는

데 그 시작은 1952년 이집트 군사 혁명부터이며 그가 사망한 1970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나세

르 정권의 공식 이념이었고, 이데올로기 범위면에서도 아랍민족주의와 아랍사회주의 모두를 포

함하고 있었다. (박종평, 1995, 90). 아랍민족주의에 대한 연구로는 다음을 참조할 것(황병하

1997).

Page 4: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서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이 나세리즘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음을 오식

의 개념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관점에 토대할 때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이라는 사

례는 미국의 보편적 냉전 정책이 지역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추진됨

으로 말미암아 실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아이

젠하워 행정부 시기 뉴룩전략 하에서 추진된 미국의 집단방위체제 구축 시도가

왜 중동지역에서는 실패했는가?’라는 핵심 질문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둘 것이다. 이러한 핵심 질문의 규명은 미국의 보편적 세계 전략과 지역적 특

성간의 상충성의 문제에 대한 이해의 측면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고 보여 진다.

Ⅱ. 미국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실패

1. 뉴룩전략과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등장

1950년 4월에 발표된 NSC 68은 전 세계에 걸친 소련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의 재무장을 요구하였다.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NSC 68이 상정하였던 소련

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수용하였지만 과연 미국의 재정이 이것을 감

당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크게 회의적이었다. 따라서 아이젠하워 행정

부는 팽창한 과도한 군사비를 삭감하고 적자재정을 개선하는 것을 최대 과제로

꼽으면서 새로운 국가안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1953년 5월 3그룹의 태스크

포스팀을 출범시키고 각 그룹이 구상한 보고서의 차이점보다는 유사성에 주목

하면서 통일된 정책을 입안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근거해 1953년 10월 NSC 162

의 초안이 만들어졌고, 태스크 포스 B가 주도적으로 제안했던 안을 채택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1954년 1월 7일 의회에서 행한 연두교서에서 발표된 뉴룩전략

2) 국제정치에서 인식과 오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대표적 논의로는 다음을 참조할 것(Robert

Jervis, 1976)

Page 5: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5

(New Look)이다(권오신 2005, 155-156).

뉴룩전략에는 핵전력과 함께 전략코스트의 삭감이라는 동기에 기반한 동맹,

심리전, 은밀행동, 교섭과 같은 다양한 전략이 동반되었다. 무엇보다 NSC 162/2

의 주요 내용 가운데 하나는 미국의 국가안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집단방위

체제에 의존하는 것이라는 점이 명시되어 있었다.3) 이러한 측면에서 뉴룩전략

은 집단방위체제를 통한 대소봉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아이젠하워 행정부

는 NATO, SEATO, ANZUS와 같은 집단방위체제의 유지 및 확대를 통해 대소봉

쇄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지역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럽, 동남

아시아 등에 시도되었던 집단방위체제가 중동지역에서도 뉴룩전략에 따라 추

진된 것이었다. 특히 미국은 NATO와 SEATO를 연결하려 했기에 중동 집단방위

체제는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2. MEDO 그리고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창설과 해체

원래 미국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은 아이젠하워 행정부 출범 이전부터

논의되고 있었다. 즉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중동지역에서 대소봉

쇄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집단방위체제 추진을 모색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의 결과 구체화된 방안으로서 최초 등장하게 된 것이 1951년 10월 13일 미

국·영국·프랑스·터키 4개국이 이집트에 설치에 관하여 제안한 중동사령부

(MEC: Middle East Command)이다. 이후 중동사령부가 발전되어 아이젠하워 행

정부가 NATO와 유사한 기구를 만들고자 창설을 시도한 것이 MEDO(MEDO:

3) 뉴룩전략이 공식화된 NSC 162/2의 결론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미국 군부는

전략 계획에 있어서 장기적인 시간개념을 채택해야 한다. 따라서 미국은 공산주의자들의 공격

으로 인한 특정한 최대 위험의 해에 직면했다는 NSC 68의 예언을 포기한 것이다. 둘째, 전 세계

의 미국은 실질적으로 감축되어야 하며, 국가의 방위는 경제적 안정을 해치지 않고 혹은 국가의

근본적인 가치와 제도를 손상시키지 않고서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미국은 필요하다면 공산침

략을 억지하거나 혹은 그것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기의 사용을 위협하거나 실제로 그것을 사용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미국은 장래에 집단안보에 더 의존해야만 한다. 동맹체와

지역 방위에 대한 자신들의 책임을 수용하는 것은 공산침략에 대하여 세계를 지키는 것뿐 아니

라 미국의 국가안보목표를 달성하는 데 마찬가지로 중요하다(이철순 2002, 181).

Page 6: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Middle East Defense Organization)이다(서재만 2003, 55). 그리고 이러한 중동 집

단방위체제는 뉴룩전략(New Look) 하에 지역을 뛰어넘어 NATO, SEATO, ANZUS

등과 함께 미국이 일관되게 추진하던 냉전 정책의 산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미국은 MEDO의 성공이 아랍 국가들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이집트 나세르 민족주의 정권의 협조 여하에 달려 있다고 보고, 이집트를 회원

국으로 포섭하려 했으나 나세르는 가입을 거부하였다. 미국의 요구에 대한 이

집트의 불응으로 미국은 소련과 국경선을 근접하고 있는 터어키, 파키스탄, 이

란의 이른바 북부지역(Northern Tier)에 위치한 비아랍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제

한적 방위망을 우선적으로 창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당장 MEDO구상이 실현

되기 어려웠다 하더라도 석유 자원 확보의 중심지역으로서 아랍국가를 포괄하

는 집단방위체제의 중요성이 감소된 것은 아니었다.4) 따라서 미국은 북부지역

방위망을 통해 NATO의 터어키와 SEATO의 파키스탄을 연결하여 대소 봉쇄선을

구축함과 동시에 이것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아랍 국가를 포괄하는 중동 집단

방위체제를 완성하고자 하였다. 미국은 직접 회원국으로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배후에서 회원국들에 대한 지원에 주력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1955년 이란, 터

어키, 파키스탄, 영국, 이라크로 구성된 바그다드 조약기구(the Baghdad Pact)가

탄생하게 되었다.

그런데 바그다드 조약기구는 아랍 국가들의 가입을 둘러싼 역내 갈등의 진

원지가 되었고, 미국이 의도한 대로 아랍 국가들의 추가적 가입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무엇보다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유일 아랍 회원국이던 이라크가 1958

년 7월 군사 쿠데타 발생으로 회원국에서 탈퇴하자 미국은 바그다드 조약기구

의 향후 처리 방향을 고민하였다. 1958년 7월 29일 NSC Planning Board는 위기

에 봉착한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처리를 위한 4가지 안으로서 1) 해체 2) 북부지

역 방위망 개념으로 존속 3) 영국 탈퇴 이후 존속 4) 존속 및 미국의 가입을 제

4) 아이젠하워는 NSC 회의에서 MEDO의 개념이 당장 비현실적이라 하더라도 MEDO를 지향해야 한

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NSC-155, United States Objectives and Policies with Respect to the Near

East, 14 July 1953, FRUS 1952-54, Vol. 9, Part 1. p. 396.

Page 7: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7

시하였다.5) 이러한 대안들 가운데 미국은 북부지역 방위망의 개념으로 바그다

드 조약기구를 존속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1959년 8월 21일 바그다드 조약기구

는 NATO와 SEATO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의미에서 CENTO(The Central Treaty

Organization)로 개명을 하게 되었고, 이것은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과 함께

해체될 때까지 존속하게 되었던 것이다(Yesilbursa 2005, 215).

미국은 CENTO의 전략적 가치를 크게 중시하지 않았다. 이란을 제외한 다른

회원국들은 NATO와 SEATO를 통해서 전략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기에 미국

은 CENTO와의 정치적·군사적 연계를 강화하려 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후신인 CENTO가 지속되었지만 소련 봉쇄라는 본래의 목적 달성에

한계가 있었고, 미국이 계획한 아랍 국가들을 포괄하는 형태로 유지될 수 없었

다는 측면에서 미국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은 실패한 것으로 평가해 볼 수

있다.

5) 각 안을 다음과 같이 비교·분석하였다. 1) 해체: 회원국들이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해체하도록

하는 것은 미국이 아랍민족주의에 반대하고 있다는 아랍인들의 인식을 감소시키고, 미국의 행

동에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계기이다. 해체한다 하더라도 터어키, 이란, 파키스탄의 기존 회원국

들은 미국과의 양자협정과 NATO, SEATO의 회원국으로 활동하면 충분하다. 2) 북부지역 방위망

으로 존속: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해체는 소련과 UAR이 원했던 것을 실행하는 것으로 그들의

승리를 인정하는 것이며 회원국인 터어키, 이란, 파키스탄의 자신감 상실과 같은 악영향을 줄

것이다. 3) 영국과 미국의 가입없이 존속: 영국의 탈퇴는 이란이 희망하는 것으로 바그다드 조약

기구와 제국주의와의 결부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미국의 가입: 파키스탄에게 중동지역

에 있어 미국의 지속적인 이해관계를 재확인시키면서 공산주의 침략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보여주는 계기이다. NSC Paper Prepared by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Planning Board. July 29,

1958. "Issues arising out of the situation in the Near East" FRUS 1958-60, Vol. 12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4). pp. 120-121.

Page 8: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Ⅲ. 나세리즘 조정 실패와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약화

1. 중동 집단방위체제의 근원적 한계

미국이 추구했던 중동 집단방위체제 내에는 안보 협력을 모색하는 아랍 국

가와 비아랍 국가 간의 공통의 집합적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이 결여되어 있

었다. 다자협력에 있어서 집합적 정체성의 중요성은 구성주의자들에 의해 제기

된 바 있다. 대표적으로 해머와 카젠스타인(Hemmer & Katzenstein)은 유럽에 비

해 동아시아에서 다자주의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서 집합적 정체성의 결

여라는 관념적 요인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주었다(Hemmer & Katzenstein 2002).

이렇듯 집합적 정체성의 문제는 주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안보 협력을 달

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그런데 중동 집단방위체제는 아

랍 국가와 비아랍 국가를 아우르는 과정에서 집합적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었기

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나세리즘의 영향을 받았던 아랍 국가

들과 비아랍 국가들 간에는 언어, 역사 등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왈트(Stephen Walt)는 동맹관계의 쇠퇴와 지속에 관한 그의 논문에서

동맹 와해의 이유로 위협인식의 변화, 신뢰도의 저하, 국내 정치적 상황의 변화

라는 세 가지 원인을 제시하였다(Stephen Walt 1997). 이 세 가지 중 왈트가 와

해요인으로 가장 중시하는 것은 원래의 동맹이 기초하고 있던 외부적 위협의

정체성과 속성의 변화, 또는 그에 대한 상이한 인식의 문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위협인식의 상이성은 다른 두 요인과 함께 동맹관계를 이해하는 중

요한 변수로 평가할 수 있다(신욱희 2007, 20)

여기에서 중동 집단방위체제에 속한 아랍 국가와 비아랍 국가 간에는 위협

인식의 차이가 존재했으며, 이로부터 소련 봉쇄를 위한 동맹체 와해의 원인이

위협인식의 상이성에 있을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아랍 국가들은

Page 9: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9

소련보다는 이스라엘을 위협으로 인식했던 반면, 비아랍 국가들은 소련을 이스

라엘보다 더 큰 위협으로 인식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동 집단방위체제가 내포한 두 가지 한계로 제시한 집합적 정체성

과 위협인식의 상이성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어느 국

가가 위협을 느껴 동맹 상대를 정하고 동맹을 결성하는 데에는 반드시 정체성

이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전재성 2004, 73). 이러한 측면에서 아랍

국가들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은 이스라엘을 더 큰 위협으로 인식했던 반면, 비

아랍 국가들의 정체성은 소련의 위협을 크게 인식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한계점은 무함마드 하사나인 하이칼(Muhammad Hasanayn Haykal)의

아랍어 회고록에서 소개하고 있는 나세르와 이라크의 누리 사이드(Nuri al-Said)

간의 아래와 같은 논쟁에서 반영되어 나타난다.

자말 압둘 나세르는 아랍인들에게 요구되는 것이 유용한 움마(Ummah)의 통일성

과 안전에 기초한 아랍 체제이며 2차 대전 당시 전략적 필요성으로 요구되었던

지정학적인 중동체제가 아니라고 보았다. 나세르는 중동체제는 터어키, 이란, 파

키스탄을 포함할 것으로 전망했었지만 아마도 이스라엘과 간접적으로 영국까지

포함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들 국가들과 아랍 국가들 간에는 유용

한 통일체의 결성 또는 안보 협력을 이루어낼 수 없다고 보았다.

--------(중략)--------

나세르는 미국이 이스라엘에 대항할 수 있는 무기를 아랍 국가들에게 절대 주지

않을 것이라며 반박하였다. ---- 또한 터어키, 이란, 파키스탄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위협을 느끼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스라엘에 대항해 전쟁을 벌이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슬람 유대로 말하자면 이 세 국가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아시아의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프리카의 세네갈, 기니와 같은 국가도 있는

것으로 이슬람적 유대와 안보 문제는 별개의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종교

이외에도 역사, 문화, 언어, 지리 등이 통일이 되어야만 결속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Haykal 2003, 126-129).

Page 10: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1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하이칼의 회고록에서 주목할 점은 나세르가 미국이 주도하는 바그다드 조약

기구가 아닌 아랍 국가들의 자생적인 방위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된 이유

이다. 이는 미국이 주도하는 중동체제에서는 아랍 국가들의 최대의 적인 이스

라엘의 위협에 대비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특히 나세르는 언어, 문화,

역사 등이 일치하지 않는 안보 공동체로는 국가 간에 결속이 생성되기 어렵다

고 보았는데, 이는 비아랍 국가를 포함한 중동 집단방위체제 내에서는 집합적

정체성이 결여되어 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켜 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집합적 정체성의 결여, 위협인식의 상이성이라는 중동체제에

내재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2. 나세리즘 조정 실패와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약화

1) 나세르의 공산권과의 결속 및 비동맹주의 추구

1954년 10월 19일 영국-이집트 수에즈 운하 군사기지 협정의 체결은 미국에

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미국은 영국-이집트간의 협정 체결이 성공

함으로써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에 반대하였던 나세르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FRUS 1952-54 Vol 9, 197).

이와 관련하여 미국은 영국군의 철수가 완료된다면 나세르 혁명 정부의 경

제 개발에 대한 욕구로 인하여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상했

다는 논리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리의 요지는 영국군의 철수 이

후 이집트는 국유화와 군사력 강화라는 혁명 정부의 목표를 감당해 낼만한 방

어능력이 결여되어 있었고, 이러한 근대화에 대한 새 정부의 열망을 뒷받침하

기 위해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Stevens 1957, 143)

그런데 영국-이집트 조약 체결 이후 이집트의 MEDO 가입 가능성에 대한 미

국의 낙관적인 전망은 나세르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오식한 것으로

Page 11: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11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영국-이집트 조약 체결이 나세르에게 의미한 것은 미국에

대한 협조를 위한 초석이 다져진 것이 아니라 혁명 과업을 이어가야 할 아랍민

족주의의 진보를 향한 시점이 다가온 것이었기 때문이다. 즉 후라니(Albert

Hourani)가 지적한 바와 같이 나세르에게 수에즈 운하 기지 협정 체결이 갖는

의미는 드디어 영국의 그늘 아래에서 ‘복종과 자유’라는 선택을 강요받는 대

신 ‘자주와 독립’의 진정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계기가 찾아온 것이었다

(Takeyh 2000, 51)

영국군 철수 및 알파플랜 수립 등 미국의 조정 전략에도 불구하고, 나세르

혁명 정부의 행보는 미국이 상정한 궤적을 이탈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나

세르의 행동 패턴은 다음의 3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나세르는 이스라엘에 대비할 수 있는 아랍 국가들로 구성된 자생적 방

위체제 구축을 위한 실질적 노력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와의 안보동맹

결성을 가속화였다. 이는 1955년 10월 이집트, 시리아, 사우디아라바아 3개국

간 체결된 군사방위협정으로서 이스라엘의 위협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

로 군사협력을 강화할 것을 표방한 것이었다. 이러한 3국간의 안보협정 체결은

향후 아랍 연맹(Arab League)을 중심으로 한 아랍 자체의 방위기구를 창설하여

아랍 국가들의 안보 불안을 해소하겠다는 목표 하에 추진된 것이었다.(Hasou

1982, 81)

둘째, 나세르는 외교노선으로서 비동맹 중립주의를 표방하였다. 따라서 1955

년 4월 비동맹회의인 반둥회의에 참가한 나세르는 미국을 포함한 서구와의 동

맹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중립주의 노선을 강조하였다. 초기 아랍 국가

들은 반둥 회의 참가를 꺼리는 분위기였으나 파키스탄, 인도, 버마, 인도네시아

등 다수 국가들이 제시한 이스라엘을 제외하자는 건의가 채택되면서 참여의사

를 표명하게 되었다. 특히 나세르는 아프리카 지역의 많은 국가들의 참여를 기

대하였기에 반둥회의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Stevens 1957,

146-148).

셋째, 나세르는 미국이 1950년 5월 3개국 공동선언(Tripartite Declaration)6)을

Page 12: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1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근거로 군사적 지원을 거부하자 공산권 국가로부터 무기 도입을 강구하면서 공

산권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갔다. 따라서 1955년 9월 27일 나세르는 체코슬로바

키아로부터 1억 5천만 파운드 상당의 군사 무기 도입 결정을 미국에게 통보하

기에 이른다(서재만 2004, 11). 이러한 동구권으로부터 무기 구입의 촉매 역할

을 한 계기는 1955년 2월과 8월의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등에 대한 공습이었다.

이스라엘과의 잦은 갈등으로 인해 이집트의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인식이 고조

되자 나세르는 무기 원조를 받기 위해서는 공산권과도 거래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2) 나세리즘 조정 실패와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약화

1954년 영국-이집트 수에즈 운하 기지 협정 체결은 미국의 나세리즘 조정 정

책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동 협정 체결의 성과에 고무된 미국

은 아랍-이스라엘 갈등 해결을 통해 나세르 정권과 나아가 아랍 국가들을 자유

진영의 세력권으로 유도하고,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축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

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미국은 1955년 1월 영국과 더불어 아랍-이스라엘 갈등

해결을 위한 비밀작전인 ‘알파플랜(Alpha Plan)'을 수립하였다. 알파플랜은 영

국의 에블린 쉬버그(Evelyn Shuckburgh)와 미국의 프랜시스 러셀(Francis Russell)

이 워싱턴에서 공동작업을 거친 후 1955년 4월말 런던에서 세부사항을 조율한

아랍-이스라엘 갈등 해결을 위한 영미 비밀 합동 전략이었다. 알파플랜의 주요

내용은 예루살렘을 국제사회의 보호 아래 위치시키고, 이스라엘 일부 영토를

팔레스타인 난민 정착 및 도로 건설 등에 할양하는 조건으로 이스라엘 국경을

보장하고, 아랍 국가들의 이스라엘에 대한 경제 제제를 종결하는 것을 담고 있

었다(Yesilbursa 2005, 126).

6) 3개국 선언(Tripartite Declaration)이란 1950년 5월 25일 영국, 프랑스, 미국 3개국이 공동성명을

발표한 것으로 그 주요 내용은 서방 국가들은 무력으로 현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아랍 국가들과

이스라엘 양측의 행동을 저지하고, 동시에 무기판매를 금지하며, 국경선의 변동을 막기 위한

UN의 대내외적 활동을 지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ge 13: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13

이 같은 나세르의 예기치 않은 행동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1955년 12월 17일

아스완 댐 건설 지원을 약속하면서 나세르 정권의 태도 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

속하였다. 따라서 미국의 아스완 댐 건설 지원은 나세르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유인책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Touval 1982, 121). 더욱이 미국은

1955년 12월부터 1956년 3월까지 전 국방부 차관 로버트 앤더슨(Robert

Anderson)을 특사로 파견하여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평화 협상 체결을 위한

마지막 조율을 시도하였다. 이는 알파플랜이 의도한 성과를 달성하지 못함에

따라 특사 파견을 통해 이집트와 이스라엘 양국 갈등을 해결해 보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특사 파견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토와 난민 문제 등을

포함한 현안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합의 획득에 실패하고 말았다. 앤더

슨 특사 파견의 성과가 수포로 돌아간 이후 미국은 나세르 정권에 대한 친화적

조정 정책을 재고하고 강경 조정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1956년 3

월 이른바 오메가플랜(Omega Plan)으로 명명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고, 나세

르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오메가플랜은 당근이 아니라 채찍을 동원해서

라도 나세르의 노선 변화를 이끌고,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수립하도록 만들

겠다는 새로운 방법의 조정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다(Yaqub 1991, 42).

오메가플랜의 구체적인 방안에는 이집트에 대한 대항적 패권국으로서 사우

디아라비아의 육성, 아스완 댐 건설 지원 등 약속한 경제 원조 제공의 철회, 이

집트의 동맹국인 시리아의 약화, 바그다드 조약기구에 대한 지원을 담고 있었

다. 미국은 오메가플랜의 실행 방안으로서 1956년 7월 19일 아스완 댐 원조 약

속 철회를 공표하였다.

그러나 오메가 플랜은 미국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집

트는 시리아와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공산권과의 결속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

무엇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의 하나였던 아스완

댐 건설 계획이 차질을 입게 되자 나세르는 혁명 5주년 기념일인 1956년 7월 26

일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선언하게 되었다.

Page 14: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1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수에즈 운하 국유화는 국제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고, 1956년 7월 이

문제를 협의할 국제회의가 영국에서 개최되었다. 동 회의에서 미국과 영국은

나세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두고 이견을 표출하였다. 즉 영국은 군사력 사용이

라는 강경 노선을 추구하였지만, 미국은 무력사용은 오히려 나세르의 입지를

강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제기 하에 오메가플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같은 영미간의 이견은 다음 달 열린 8월 런던회의에서도 좁혀

지지 않았다. 9월에 접어들면서 무력충돌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고, 미국

은 SCUA(Suez Canal Users Association)의 설립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에즈 운하

를 통과하는 선박의 통행료를 징수하자는 것이었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Takeyh 2000, 133-136). 따라서 무력사용을 반대하던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56년 10월 29일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 3개 연합군의 이집트 공격에 의해 수

에즈 전쟁이 발발하기에 이른다.

수에즈 전쟁 발발로 미국은 영국을 포함한 우방국의 침공을 지지해야 하는

지 아니면 무력으로 현상변경을 금할 것을 결의한 1950년 3개국 선언의 입장을

지지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했다. 1956년 11월 5일 소련이 영국과 프랑스

에 대한 최후통첩을 발표하고, 미소 공동 개입을 제안하자 미국은 동맹국들의

철수를 종용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해 나갔다(Yaqub 1991, 63-64). 결국 영불

에 대한 소련의 위협, 미국의 반대, 영국 내 국내정치적 반발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영국은 1956년 11월 6일 UN의 휴전 요구를 받아들이게 되고, 전쟁은 종

결되었으나 바그다드 조약기구는 더욱 약화되게 되었다.

Page 15: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15

Ⅳ. 나세리즘 봉쇄 실패와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해체

1. 왕정연합의 결성과 나세리즘 봉쇄 시도

수에즈 전쟁 이후 나세르는 아랍 지역의 카리스마적인 지도자로 등장하였고,

나세리즘의 영향력은 급격히 팽창하게 되었다. 즉 나세르는 수에즈 전쟁의 군

사적 패배를 정치적 승리로 전환시켰다고 볼 수 있다(Shemesh 1990, 157-160).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력이 사라지면서 발생한 힘의 진공을 나세리즘이

채우게 된다면 중동 지역이 공산화될 것을 우려하였다.

따라서 미국은 나세리즘이 더 이상 조정의 대상이 아니라 봉쇄의 대상이 되

었다는 판단 하에 나세리즘을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구사고자 하였다. 그리

고 이러한 봉쇄 전략의 핵심은 왕정국가들을 활용하여 나세리즘의 이데올로기

적 영향을 상쇄한다는 것이었다. 미국은 이슬람 성지의 수호자로서 사우디아라

비아의 사우드 국왕이 무슬림들에게 갖는 권위를 잘 활용한다면 나세르에 대적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을 하였다.

또한 미국의 나세리즘 봉쇄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더불어 나세리즘의 영향력

에 위협을 느끼고 있던 이라크, 요르단과 같은 보수 왕정 국가들과의 공동 전선

을 통해 시도되었다. 따라서 1957년 3월 12일부터 5월 7일까지 아이젠하워독트

린의 수용 촉구 및 각국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특별 대사로 파견된 제임스

리차드(James P. Richards)의 이면의 방문 목적은 나세리즘을 견제하기 위한 보

수 정권의 결집을 강화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Yesilbursa 2005, 188).

특히 미국은 나세르의 경쟁자로 사우드를 육성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이라

크-요르단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왕정 연합(King's Coalition)을 결성하고자 하였

다. 엘리 포데(Elie Podeh)는 왕정 연합의 목적이 나세르에 대한 대항에 있었고,

이라크와 사우디라아비아의 협력의 기반은 이미 나세르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

시점에 생성되었다고 평가하였다(Podeh 1993, 94-95). 미국은 이라크와 사우디

Page 16: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1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아라비아 양국 간 협력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 사우드를 국빈으로 초청하였

다. 사우드 방문의 공식 목적은 미국의 다란(Dhahran) 공군기지 대여 갱신문제

에 관한 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이었으나 미국은 1957년 2월 6-7일 양일간 이라크

압달라 왕세자와 사우드 간의 회담 자리를 마련해 주었다.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양국 관계는 1957년 5월 11일-14일 사우드의

이라크 방문을 통해 더욱 돈독해 지게 되었고, 친미 성향의 요르단의 후세인 국

왕과의 연합을 통해 비로소 왕정연합이 구체화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미국은

보수 왕정 국가들의 결속을 다지도록 함으로써 의도했던 왕정연합 결성을 통해

나세리즘의 영향력을 상쇄시키려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봉쇄

전략의 핵심은 이슬람 성지의 수호자라는 논리로 사우드를 활용해 나세르의 카

리스마적 권위에 대항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 기초한 것이었다.

2. 나세리즘 봉쇄 실패와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해체

1) 나세리즘의 영향력에 대한 오식과 봉쇄 실패

1957년 7-8월 발발한 시리아 위기는 나세리즘에 대항할 존재로 여겨졌던 사

우디아라비아 사우드 국왕의 한계를 드러낸 사건이었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

시리아 공산화 위기와 미국-시리아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자 미국은 1957년 8월

24일 로이 핸더슨 국무부 차관(Loy W. Henderson)을 중동 지역에 파견함과 동

시에 유럽의 항공모함을 터어키의 아데나 기지로 이동시키고, 공군의 출동대기

를 명하면서 시리아에 대한 무력 사용을 고려하기에 이르렀다(Yaqub 1991,

318). 그런데 미국은 군사력 사용은 자칫 다른 아랍 국가들에게 부정적 파급 효

과를 미친다고 보고 신중을 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미국은 이슬람 성지의 수

호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의 군사적 행동을 무신론적 공산주의로부터 이

슬람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비호해 준다면 아랍 국가들의 여론이 악화되는 것

을 막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점은 1957년 8월 21일 아이젠하워가 사우드

Page 17: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17

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알 수 있다.

저(덜레스)는 최근 시리아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염려를 당신(사

우드)과 나누기를 소망합니다.... 시리아가 소련 공산주의의 위성국가로 전락될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는 것 같습니다....우리는 시리아의 주변 이웃 국가들이 외

부의 군사적 개입없이 이 문제를 다루어 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믿고 있습

니다. 이슬람의 성지 수호국(Keeper of the Holy Places of Islam)으로서 국왕의 특

별한 직책에 비추어 볼 때, 저는 국왕께서 공산주의의 무신론적 신조가 무슬림 세

계에 만연하지 않도록 최대한의 영향력을 발휘해 주실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FRUS 1995-57 Vol 13, 645-646).

그런데 이 같은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요청에 대하여 사우드 국왕은 이스라

엘과의 아까바 만 분쟁을 언급하면서 수락을 거절하였을 뿐만 아니라 1957년 9

월 25일 시리아를 방문하여 오히려 미국의 군사 개입을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

하였다. 이는 사우드에 반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내의 반대 세력들의 여론

악화를 막고, 사우드 자신을 ‘아랍민족주의의 구현자’7)로 등장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였다(Yaqub 1991, 168-169).

왜 사우드는 동맹국으로서 미국이 원하는 역할을 감당하지 못했는가? 이는

사우드가 미국의 제의를 수락했을 경우 나세리즘을 추종하는 아랍인들로부터

공격당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고 볼 수 있다(Yaqub 1991, 162-163). 이는

아랍인들은 이슬람 성지 수호자로서 사우드에 대한 추종보다 아랍 민족주의의

리더로서 나세르를 지지하였고, 나세리즘의 까우미야 정체성이 이슬람의 움마

정체성보다 더 우위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958년 2월 1일 나세르를 대통령으로 하고, 의회와 정당, 군대를 통합시킨 시

리아와 이집트 간의 연합체인 통일아랍공화국(UAR: United Arab Republic)이 결

7) 1957년 10월 10일 사우드의 레바논 방문 시 아랍의 언론들은 사우드를 사막의 사자(the Desert

Lion), 아랍민족주의의 구현자(embodiment of Arab Nationalism)라는 칭호로 찬사를 표시하게 이

른다.

Page 18: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1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성되었다. UAR의 탄생은 아랍 통합을 주장하였던 나세리즘이 구체화되어 나타

난 국가연합이라는 측면에서 나세리즘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

래하였다.

이렇게 나세르의 대항마로서 사우드의 역할이 제한되는 가운데 레바논, 이라

크, 요르단 등에도 정치적 불안이 고조되었다. 특히 요르단에서는 1958년 6월

요르단 왕정 체제에 불만을 품은 일부 군 장교들에 의한 쿠데타 음모가 발각되

었다. 차별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던 군 장교들의 쿠데타 이유는 공화국을 수

립한 이후 아랍연합과 단절하고 UAR과 결속을 강화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

다(Dann 1989, 86-87). 쿠데타의 전모가 드러나자 후세인 왕의 불안감은 더욱 커

지게 되었고, 아랍연합의 일원인 동맹국 이라크로부터의 군사적 지원을 요구하

였다.

요르단으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은 이라크는 1958년 7월 13일 바그다드 북동

쪽의 잘라울라(Jalawla) 지방에 있던 압둘 까심(Abdul Qasim) 장군이 지휘하는

제19․20여단을 바그다드를 거쳐 요르단으로 이동할 것을 명령하였다. 그런데

당시 까심은 나세리즘을 추종하는 이라크 자유장교단의 일원으로 누리 사이드

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1958년 7월 14일 자신이 지휘하는 군부대가 바

그다드를 통과하는 순간, 쿠데타를 시도하여 이라크 왕정은 몰락하고 공화체제

가 수립되었다(Yesilbursa 2005, 202). 레바논은 이라크에서 쿠데타가 발생하자

미국의 군사 개입을 요구하였고, 요르단도 군사 행동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아이젠하워는 중동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1958년 7월 15일 1만 5천

명의 미 해병대를 베이루트로 파병하였다.

더욱이 미국의 레바논 파병과 함께 영국도 이라크 쿠데타 발생 2일 후인 7월

17일 요르단으로 군대를 파병하여 후세인 왕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UAR의 탄

생 이후 주변 아랍 국가들에게 나타난 위기 상황은 나세리즘의 강한 영향력을

봉쇄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왜 미국이 의도한 보수 왕정

국가들의 결집과 이에 따른 나세리즘의 견제는 성공할 수 없었는가? 이는 미국

이 의도한 대로 성지수호자(Khadim al-haramain)로서의 권위를 활용해 아랍 대

Page 19: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19

중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었던 나세리즘의 까우미야 정체성을 상쇄할 수

없었던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동지역 전체에 흐르는 나세

리즘의 물결 속에서 미국은 나세리즘의 영향력을 오식하고, 아랍인들의 반제국

주의적 민족주의에 대한 열망을 약화시키거나 봉쇄할 수 없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8)

2) 미국의 나세리즘 수용 정책과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해체

아랍인들의 나세리즘에 대한 열망 하에서 나타난 일련의 위기를 겪고 나서

미국은 나세리즘에 대한 봉쇄 전략이 성공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미국은 새로운 대중동 전략 수립을 모색하게 되었다. 미국의 새로운 대중동 정

책은 국가안보회의 사무국(NSC Planning Board)의 연구를 기반으로 수립되었다.

국가안보회의는 미국의 대중동 정책 5가지 목표를 제시하면서 정책 목표 달성

이 난관에 봉착한 원인은 미국은 나세리즘에 반대하는 보수 정권을 지지한 반

면, 소련은 나세리즘의 보호자가 되고자 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더욱이

미국의 대이스라엘 정책은 나세리즘과의 갈등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을 상

기하면서 나세리즘에 대항한 전략에서 수용 전략으로의 변화를 모색해야 함을

지적하였다(FRUS 1958-60 Vol 12, 145-152).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1958년 11월 4일 미국의 새로운 대 중동전략인

NSC 5820/1이 발표되었다. NSC 5820/1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세르에 상징되는 급진적 아랍민족주의의 수용 정책이 미국의 이익에 배치되는

점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아랍민족주의와 효율적인 관계를

세우기 위해 노력해라. 중동 지역의 국민들과 정부에게 미국이 추구하는 주요한

목적(소련의 지배를 막는 것, 서유럽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중동 석유의 보

급)은 근본적으로 아랍민족주의의 목표와 양립할 수 있는 반면, 공산주의의 목적

8) 다음의 비망록을 참조할 것. Memorandum of Conference with President Eisenhower, July 23, 1958,

3 p.m. FRUS 1958-60, Vol. 12, p. 98.

Page 20: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2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은 아랍민족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라. 필요한 경우

중립주의 정책의 국가들이 소련과의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중립정책을 받아들여라. 지역 평화에 위협이 되지 않고, 사람들의 희망

을 담고 있는 한 아랍통합의 사상을 지지하라(FRUS 1958-60 Vol 12, 190).

이렇게 미국은 나세리즘의 중립주의를 수용하고 아랍통합의 사상을 받아들

여야 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변화된 전략 하에서 미국은 바그다드 조약

기구의 진로를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1958년 7월 이라크 쿠데타로 까심

(Qassim) 정부가 수립되면서 이라크는 냉전 구도 하의 친미 진영에서 사실상 이

탈하게 되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이라크는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탈퇴하였고,

미국은 변화된 전략 하에서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확대하여 중동 집단방위체제

를 구축하려는 계획을 사실상 포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바그다드 조약기구는

중앙조약기구로 명맥을 이어가게 되었지만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뉴룩전략에

토대한 글로벌 냉전전략의 중동 적용은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Ⅴ. 결론

NATO와 SEATO를 연결하는 중동 집단방위체제는 유럽 안보를 위한 에너지

원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아랍 국가들을 포괄하는 중동 집단방위체제로서

MEDO와 같은 형태를 지향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은 이란, 터어키, 파키스탄과

같은 비아랍 국가를 중심으로 한 제한적인 북부지역 방위망을 창설한 후 점진

적 확대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중동체제 구상은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뉴룩전략에 따라서

SEATO, NATO, ANZUS와 같은 전 세계적인 다자안보체제와 더불어 추진되었는

데. 이는 나세리즘이 존재하는 중동지역에서는 근본적 한계를 노정시키게 되었

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동체제는 아랍 국가와 비아랍 국가 간의 다자안보체제

Page 21: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21

형성을 위한 공통의 가치, 규범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이집트로 대표되는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을 소련보다 더 큰 위협으로 인식했

던 반면 비아랍 회원국들은 소련에 대한 위협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이는

중동 집단방위체제 내에는 집합적 정체성의 결여와 위협인식의 상이성이라는

다자안보기구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근원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음을 의

미하는 것이었다.

아이젠하워 행정부가 주도한 중동 집단방위체제는 이와 같은 내재된 한계를

안은 채 나세르 혁명 정부를 포섭하기 위한 조정 정책을 통해 실질적으로 추진

되었다. 1954년 영국-이집트 수에즈 운하 기지 협정 체결은 미국의 나세리즘 조

정 정책이 탄력을 얻는 계기가 되었고, 미국은 알파플랜 등을 통해 나세르 정권

을 자유 진영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하지만 이는

미국이 나세르의 의도를 정확히 포착하지 못하고 정책결정자들이 나세리즘을

오식한 채 추진한 전략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나세르는 미국의 중재로 성

사된 영국군의 이집트 철수 이후 미국의 기대와는 달리 이집트-시리아-사우디

아라비아간의 3국 안보동맹 형성, 비동맹 중립주의 노선 표방, 공산권과의 결속

강화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나세르의 일탈 행동에 대해 미국은 앤더슨 특사 파

견을 통해 타협점을 찾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강경 조정 정책인 오메가플

랜으로 전략적 수정을 가하게 되었다.

1956년 발발한 수에즈 전쟁은 오메가플랜에 따른 아스완 댐 건설 지원 철회

의 여파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는데, 전쟁 이후 바그다드 조약기구는 약화될 수

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영국과 이스라엘 동맹군의 아랍 영토에 대한 공격은 반

서방 감정을 더욱 고조시켰고, 이라크 내부에서 일어난 정권 퇴진 운동은 바그

다드 조약기구의 입지를 약화시킬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수에즈 전

쟁 이후 강화된 나세리즘이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력이 떠난 힘의 공백을 채우

게 된다면 중동 전역이 공산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우려하였다. 따라서 워싱턴

은 나세리즘을 봉쇄하기 위해서 무슬림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슬람

성지의 수호자로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의 권위를 이용하려 하였다. 이러한 측

Page 22: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2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면에서 아이젠하워독트린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요르단을 중심으로 한

왕정연합의 결성은 나세리즘에 맞서기 위해 미국이 추진하려 했던 대항 동맹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나세리즘 봉쇄 정책은 수에즈 전쟁 이후 증폭한 나세리즘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잘못된 인식에 근거한 미국의 전략적 선택이었다

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국은 전후 나세리즘의 영향력을 오식하였고,

UAR의 탄생, 이라크 쿠데타, 레바논과 요르단의 정치 불안 등 일련의 위기 속

에서 정책결정자들은 자신들의 나세리즘에 대한 대항 정책이 성공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워싱턴은 나세리즘 봉쇄 정책을 버리고, 나세리즘 수용

정책으로 전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변화된 미국의 외교전략 하에서 미국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

은 추동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었고, 이라크의 탈퇴는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해

체로 나타나게 되었다. 비록 바그다드조약기구의 후신인 CENTO가 존속했다 하

더라도 미국이 원래 계획한 아랍 국가와 비아랍 국가를 포괄하는 중동 집단방

위체제는 실현될 수 없었다는 측면에서 아이젠하워 행정부 글로벌 냉전 전략인

다자안보체제의 중동 지역 구축 시도는 실패로 끝난 것으로 평가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바그다드 조약기구의 실패 사례는 글로벌 전략을 지역

에 무비판적으로 투사해 왔던 미국의 외교 전략이 중동 지역의 고유한 특성으

로 인해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이러한 과거 사례가 오늘

날 미국의 대 중동 외교정책 추진 과정에 주는 함의는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이

중동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세계전략의 적절한 변용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상기

시켜 준다.

[주제어 : 바그다드조약기구, 뉴룩전략, 나세리즘, 오식, 중동 집단방위체제]

Page 23: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23

참고문헌

1. 1차 자료

U.S. Department of State. 1986.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2-1954. Vol. 9. The Near and Middle East.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9-91.

U.S. Department of State. 1992.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Vol. 12. Near East: Multilateral Relations; Iran; Iraq.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9-91

U.S. Department of State. 1989.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Vol. 13. Near East: Jordan-Yeme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9-91.

U.S. Department of Sta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8-1960. Vol. 11.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2-93.

U.S. Department of Sta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8-1960. Vol. 12.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9-91.

2. 2차 자료

권오신 (2005). “아이젠하워 대외정책의 기조: 뉴룩정책과 아이젠하워 독트린”, 미국사 연구제21집.

박종평 (1995). "낫세르 권위주의정권에 관한 연구: 정치, 경제적 시각", 경희대

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서재만 (2003). “냉전초기 중동의 안보에 관한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제24

권, 1호.___ (2004). “수에즈 전쟁 연구”, 중동연구제23권, 1호.신욱희 (2007). “비대칭적 동맹에서의 갈등: 정치심리학적 측면”, 국방연구제

50권, 1호.이철순 (2002). “아이젠하워 정권의 뉴룩전략과 미국의 대한정책”, 동아시아

냉전과 한미일 관계. 해외 한국학 평론 제3호,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

연구소.전재성 (2004). “동맹이론과 한국의 동맹정책”, 국방연구제47권, 2호. 황병하 (1997). “아랍민족주의와 아랍통합 운동”, 중동연구제16권, 2호.

Page 24: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2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4권 제4호 [2014. 02]

Adler, Emanuel and Barnett, Michael(1998). eds. Security Communit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n, Uriel(1989). King Hussein and the Challenge of Arab Radicalism, Jordan, 1955-1967,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Gaddis, J.L.(1982) Strategies of Containm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aykal, Muhammad Hasanayn(2003). Li misr La Li Abd al-Nasr. Cairo: Dar

Al-Shuruq.Hasou, Tawfiq(1982). The Struggle for the Arab World : Egypt's Nasser and the

Arab League. London: KPI.Hahn, Peter L(2004). Caught in the Middle East, 1945-1961. Chapel Hil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Hemmer, C. and Katzenstein, P(2002). "Why is there no NATO in Asia? Collective

Identity, Regionalism, and the Origins of Multilateralism," International Organization, 56(3).

Jervis, Robert(1976).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odeh, Elie(1993). "The Struggle Over Arab Hegemony after the Suez Crisis", Middle Eastern Studies, 29(1).

Shemesh, Moshe(1990). "Egypt: From Military Defeat to Political Victory," in S.I. Troen. (eds.), The Suez-Sinai Crisis, 1956: retrospective and reappraisal. London: Taylor & Francis.

Stevens, George. G(1957). "Arab Nationalism and Bandung," Middle East Journal (Spring).

Takeyh, Ray(2000). The Origins of Eisenhower Doctrine: The US, Britain, and Nasser;s Egypt, 1953-57. New York: St. Martin's Press.

Touval, Saadia(1982). The Peace Brokers: Mediators in the Arab-Israeli Conflict, 1948-1979.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Walt, Stephen(1997). "Why Alliance Endure or Collapse," Survival. 39(1).Yaqub, Salim(1991). Containing Arab Nationalism: The Eisenhower Doctrine and

the Middle East.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Yesilbursa, Behcet Kemal(2005). The Baghdad Pact: Anglo-American defence

policies in the Middle East, 1950-1959. New York: Frank Cass.

Page 25: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government in order to make Egypt to join in the Middle East collective security system. ... 논의의

|김강석|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중동 집단방위체제 구상의 좌절 | 25

논문접수일: 2013년 12월 30일

심사완료일: 2014년 02월 02일

게재확정일: 2014년 02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