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70
工學碩士學位 論文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Industrial Complex Odor 2011 2 仁荷大學校 大學院 環 境 工 學 科 白 承 侖

Upload: others

Post on 25-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工學碩士學位 論文

공장 악취에 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의

업종별 상 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Industrial Complex Odor

2011 年 2 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環 境 工 學 科

白 承 侖

工學碩士學位 論文

공장 악취에 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의

업종별 상 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Industrial Complex Odor

2011 年 2 月

指 敎授 黃 龍 雨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大學院

環 境 工 學 科

白 承 侖

이 論文을 白承侖의 碩士學位論文으로 認定함

2011 年 2 月

主審

副審

委員

- i -

요약문

악취는 감각공해로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큰 반면 다양한 발생원

을 가지고 있어 감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의 N 공업단지에서 발생한 악취를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

기기분석법으로 측정하 다 측정한 결과를 도 업 기계제조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의 세 업종으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를 악하 으며 검지 과 HPLC를 활용한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증명하 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사업장 후단부의 총 69지 에서 시료

를 채취하여 측정하 다 각 업종별 공기희석 능법 평균희석배수는 도

업의 경우 336으로 가장 높은 평균값을 타나내었으며 기계제조업 224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업종별 평균값은

석유화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

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 상

계수는 0562로 나타났다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계수는 도 업의 경우

0889로 가장 높은 상 성이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

업의 상 계수는 각각 0723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는 075 이상일

때 lsquo강한 상 계rsquo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성 악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분석을 통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결과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에 따른 반응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할 수 있었으며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장에서 악취센서 측정결과를 통해 략 인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를 악하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ii -

Abstract

As a sensory pollution odor has difficulty of reduction that it has

various sources but strong impact o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odor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odor

sensor and device utilizing method then to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classified by industries in N industrial complex Incheon

Plating industry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

manufactur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industrial categories and

correlations of the data were foun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Data has been proved by instrumental analysis using

detector tubes and HPLC

Samples were measured from 69 points in stake inlet and outlet of

workplace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As a

result the average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plating industry

was performed 336 and its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224 and 285 as a

average The average of odor sensor in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was performed 1062 as a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lating industrys average value of odor sensor was

848 and 72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in 69 points was 0562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classified by industry were observed 0889 in plating industry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0723

and 0832 As a result correlated with industry classification could be

confirmed as the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instrumental analysis ammonia has high concentration about

plating industry and it could prove for the good ammonia sensitivity

of the odor sensor response

Results of this study Odor concentration formulas were able to

implement the expression of each industry and can be tool of

- iii -

measure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ing odor sensors in the

field determine previous assessment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s considered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工學碩士學位 論文

공장 악취에 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의

업종별 상 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Industrial Complex Odor

2011 年 2 月

指 敎授 黃 龍 雨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大學院

環 境 工 學 科

白 承 侖

이 論文을 白承侖의 碩士學位論文으로 認定함

2011 年 2 月

主審

副審

委員

- i -

요약문

악취는 감각공해로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큰 반면 다양한 발생원

을 가지고 있어 감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의 N 공업단지에서 발생한 악취를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

기기분석법으로 측정하 다 측정한 결과를 도 업 기계제조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의 세 업종으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를 악하 으며 검지 과 HPLC를 활용한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증명하 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사업장 후단부의 총 69지 에서 시료

를 채취하여 측정하 다 각 업종별 공기희석 능법 평균희석배수는 도

업의 경우 336으로 가장 높은 평균값을 타나내었으며 기계제조업 224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업종별 평균값은

석유화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

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 상

계수는 0562로 나타났다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계수는 도 업의 경우

0889로 가장 높은 상 성이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

업의 상 계수는 각각 0723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는 075 이상일

때 lsquo강한 상 계rsquo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성 악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분석을 통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결과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에 따른 반응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할 수 있었으며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장에서 악취센서 측정결과를 통해 략 인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를 악하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ii -

Abstract

As a sensory pollution odor has difficulty of reduction that it has

various sources but strong impact o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odor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odor

sensor and device utilizing method then to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classified by industries in N industrial complex Incheon

Plating industry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

manufactur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industrial categories and

correlations of the data were foun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Data has been proved by instrumental analysis using

detector tubes and HPLC

Samples were measured from 69 points in stake inlet and outlet of

workplace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As a

result the average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plating industry

was performed 336 and its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224 and 285 as a

average The average of odor sensor in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was performed 1062 as a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lating industrys average value of odor sensor was

848 and 72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in 69 points was 0562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classified by industry were observed 0889 in plating industry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0723

and 0832 As a result correlated with industry classification could be

confirmed as the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instrumental analysis ammonia has high concentration about

plating industry and it could prove for the good ammonia sensitivity

of the odor sensor response

Results of this study Odor concentration formulas were able to

implement the expression of each industry and can be tool of

- iii -

measure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ing odor sensors in the

field determine previous assessment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s considered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이 論文을 白承侖의 碩士學位論文으로 認定함

2011 年 2 月

主審

副審

委員

- i -

요약문

악취는 감각공해로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큰 반면 다양한 발생원

을 가지고 있어 감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의 N 공업단지에서 발생한 악취를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

기기분석법으로 측정하 다 측정한 결과를 도 업 기계제조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의 세 업종으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를 악하 으며 검지 과 HPLC를 활용한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증명하 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사업장 후단부의 총 69지 에서 시료

를 채취하여 측정하 다 각 업종별 공기희석 능법 평균희석배수는 도

업의 경우 336으로 가장 높은 평균값을 타나내었으며 기계제조업 224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업종별 평균값은

석유화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

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 상

계수는 0562로 나타났다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계수는 도 업의 경우

0889로 가장 높은 상 성이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

업의 상 계수는 각각 0723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는 075 이상일

때 lsquo강한 상 계rsquo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성 악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분석을 통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결과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에 따른 반응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할 수 있었으며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장에서 악취센서 측정결과를 통해 략 인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를 악하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ii -

Abstract

As a sensory pollution odor has difficulty of reduction that it has

various sources but strong impact o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odor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odor

sensor and device utilizing method then to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classified by industries in N industrial complex Incheon

Plating industry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

manufactur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industrial categories and

correlations of the data were foun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Data has been proved by instrumental analysis using

detector tubes and HPLC

Samples were measured from 69 points in stake inlet and outlet of

workplace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As a

result the average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plating industry

was performed 336 and its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224 and 285 as a

average The average of odor sensor in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was performed 1062 as a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lating industrys average value of odor sensor was

848 and 72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in 69 points was 0562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classified by industry were observed 0889 in plating industry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0723

and 0832 As a result correlated with industry classification could be

confirmed as the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instrumental analysis ammonia has high concentration about

plating industry and it could prove for the good ammonia sensitivity

of the odor sensor response

Results of this study Odor concentration formulas were able to

implement the expression of each industry and can be tool of

- iii -

measure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ing odor sensors in the

field determine previous assessment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s considered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i -

요약문

악취는 감각공해로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큰 반면 다양한 발생원

을 가지고 있어 감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의 N 공업단지에서 발생한 악취를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

기기분석법으로 측정하 다 측정한 결과를 도 업 기계제조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의 세 업종으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를 악하 으며 검지 과 HPLC를 활용한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증명하 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사업장 후단부의 총 69지 에서 시료

를 채취하여 측정하 다 각 업종별 공기희석 능법 평균희석배수는 도

업의 경우 336으로 가장 높은 평균값을 타나내었으며 기계제조업 224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업종별 평균값은

석유화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

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 상

계수는 0562로 나타났다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계수는 도 업의 경우

0889로 가장 높은 상 성이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

업의 상 계수는 각각 0723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는 075 이상일

때 lsquo강한 상 계rsquo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상 성 악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분석을 통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결과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에 따른 반응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할 수 있었으며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장에서 악취센서 측정결과를 통해 략 인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를 악하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ii -

Abstract

As a sensory pollution odor has difficulty of reduction that it has

various sources but strong impact o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odor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odor

sensor and device utilizing method then to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classified by industries in N industrial complex Incheon

Plating industry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

manufactur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industrial categories and

correlations of the data were foun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Data has been proved by instrumental analysis using

detector tubes and HPLC

Samples were measured from 69 points in stake inlet and outlet of

workplace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As a

result the average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plating industry

was performed 336 and its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224 and 285 as a

average The average of odor sensor in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was performed 1062 as a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lating industrys average value of odor sensor was

848 and 72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in 69 points was 0562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classified by industry were observed 0889 in plating industry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0723

and 0832 As a result correlated with industry classification could be

confirmed as the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instrumental analysis ammonia has high concentration about

plating industry and it could prove for the good ammonia sensitivity

of the odor sensor response

Results of this study Odor concentration formulas were able to

implement the expression of each industry and can be tool of

- iii -

measure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ing odor sensors in the

field determine previous assessment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s considered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ii -

Abstract

As a sensory pollution odor has difficulty of reduction that it has

various sources but strong impact o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odor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odor

sensor and device utilizing method then to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classified by industries in N industrial complex Incheon

Plating industry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

manufactur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industrial categories and

correlations of the data were foun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Data has been proved by instrumental analysis using

detector tubes and HPLC

Samples were measured from 69 points in stake inlet and outlet of

workplace using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As a

result the average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plating industry

was performed 336 and its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224 and 285 as a

average The average of odor sensor in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was performed 1062 as a highest average value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lating industrys average value of odor sensor was

848 and 72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odor sensor in 69 points was 0562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classified by industry were observed 0889 in plating industry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had 0723

and 0832 As a result correlated with industry classification could be

confirmed as the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instrumental analysis ammonia has high concentration about

plating industry and it could prove for the good ammonia sensitivity

of the odor sensor response

Results of this study Odor concentration formulas were able to

implement the expression of each industry and can be tool of

- iii -

measure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ing odor sensors in the

field determine previous assessment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s considered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iii -

measured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ing odor sensors in the

field determine previous assessment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s considered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iv -

목 차

요약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i

목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iv

List of Tabl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

List of Figur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vii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문헌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1 악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212 지정악취물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22 국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1 국내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22 해외 악취 리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2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3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 시료채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1 시료채취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312 채취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32 분석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1 공기희석 능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322 악취센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v -

323 기기분석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4 연구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42 악취센서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2

43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43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44 기기분석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441 도 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442 기계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444 악취센서와의 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45 악취 농도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3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6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8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vi -

List of Tables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6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6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 37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9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8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9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mi-

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0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

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

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vii -

List of Figures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2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Fig 5 Photo of sampl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Fig 7 Detector tub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3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8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0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Tota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lating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Equipment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5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

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6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log concentration of ammoni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 -

1 서 론

지속되는 산업화와 발 하는 경제성장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의 질에

한 욕구가 증 되면서 우리 주변의 환경문제에 한 심이 커져가고 있

다 그 악취는 삶의 질과 련된 주요한 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에 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이를 리

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악취 오염은 주민의 민원이나 불만의 형태로 표면화되어 범 하게 나

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 문제와 련된 피해 진정건수에 한 통계

자료 2007년 발간된 ldquo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rdquo에 따르면 2006년의 경우 악취 민원은 4797건이 발생하여 년(4302

건) 비 115 증가하 으며 2003년 이후 지속 으로 증가(연평균 145)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악취는 근본 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이 크고 복잡하며 경제 사회

인 측면에도 향을 미친다 따라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지역사회의 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의 피해를 이기 해서는 악취와 그 특성에 한 실태

조사와 분석방법의 개선이 꾸 히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허용기 의 과여부를 정하기 한 악취의 측정은 공기희석 능

법에 의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악취물질배출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에 의해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한

다 한 정부에서 발표한 악취오염 리 종합계획에 의하면 간이악취측정

기(이하 악취센서)의 사용을 극 으로 검토하여 악취 정인의 부족과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악취의 경우

기타의 다른 감각공해와 달리 발생원이 다양하고 비교 사람들의 생활공

간과 근 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도 쉽게 감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악취에 의한 향을 감시키는 기술의 개발

뿐만 아니라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 -

본 연구에서는 공단악취에 하여 악취의 객 인 데이터 수집을 한

방안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와 악취센서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

고 상 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 다

본 연구의 공간 배경인 인천 역시는 102701 km2의 면 에

2767073명(2010년 14분기 기 )의 인구가 살고 있는 역 생활권으로서

규모의 공단이 여러 곳에 조성되어있고 공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318000여명(2009년 44분기 기 )에 이를 정도로 공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이다2)

이로 인해 인천 역시의 악취 련 민원은

2006년 기 810건으로 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악취 련 민원이

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공간 배경인 N 공

업단지의 경우 2009년 9개 시도(20개 지역)를 상으로 지정된 악취 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며 기환경규제지역인 인천 역시 내에서

도 엄격한 배출허용기 치를 용받고 있어 철 한 리와 규제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

석 능법을 활용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공기희석 능

법과 악취센서를 활용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비교하여 도식화된 데이터를

계식으로 산출하여 상 계를 악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 다 최

종 으로는 공기희석 능법의 정인이 수행하는 역할을 악취센서로 체

하 을 때 악취센서가 장 활용성이 낮은 공기희석 능법의 단 을 보완

할 수 있는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의 활용성 증 를 목표로 하 다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 -

2 문헌연구

21 악취 악취유발물질

211 악취

악취란 lsquo악취방지법rsquo 제2조 1항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환경정책기본법상 기오염 수질오염 소

음 진동 등과 함께 독립된 환경오염으로 정의되어 있다3)

일반 으로 악취는 사람들의 활동 역 주변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물질이 단독으로 는 복합 성분의 물질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측정이나 정이 어렵다 악취는 메스꺼움

호흡 장애 등의 신체 피해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후각을 통해

감지하는 특성상 불쾌감 등을 래하여 정신 인 피해를 유발하는 감각공

해로서 분류된다 악취의 정도는 개인별로 심리 요인 습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한 평소 자주 노출되어 익숙한 취기에 비

해 노출도가 낮은 생소한 취기의 경우 더 쉽고 빠르게 감지하며 불쾌도

역시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한 강한 취기를 가진 경우에도

지속 으로 취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농도변화에 한 민감도는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 인자가 서로 상 계를 가지며

악취발생에 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 -

212 지정악취유발물질

재 lsquo악취방지법rsquo에서는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의 사업장으로 구분하여

2005년부터 복합취기 12종의 지정악취물질에 하여 배출허용기 을

용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톨루엔 등 5개 항목 2010년부터 지방산화합

물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재 22개 항목에 하여 용하고 있다3)

각 지정악취 물질은 크게 5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Table 1에

지정악취물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물리 middot화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 -

N ClassificationMalodorous

substance

Molecular

formular

Molecular

weight

(g)

Odor

threshold

(ppm)

Boiling

point

()

1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H2S 3408 00178 -6033

2 Dimethyl sulfide C2H6S 620 000224 37

3Dimethyl

disulfideC2H6H2 995 00123 109

4Methyl

mercaptanCH4S 4811 000105 6

5Amines

Ammonia NH3 1703 575 -33

6 Trimethylamine C3H9N 5911 000240 287

7

Aldehydes

Acetaldehyde C2H4O 4405 0186 21

8 Propionaldehyde C3H6O 5805 00086 49

9 n-Butyraldehyde C4H8O 7212 000891 75

10 n-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3 103

11 i-Valeraldehyde C5H10O 8613 000224 92

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C7H9 9214 155 111

13 Styrene C8H8 10414 0099 146

14 Xylene C8H10 10617 0851 139

15Methylethyl-

ketone

CH3COC2

H5

7211 7044 796

16Methyliso-

butylketone

CH3COC

H2CH(CH

3)2

10016 0017 117

17 i-Butyl alcohol(CH3)2CH

CH2OH7412 001 108

18 Butyl acetate CH3CO2C2

H5

11616 0008 127

19

Fatty acids

Propionic acidCH3CH2C

OOH7408 0002 141

20 n-Butyric acidCH3(CH2)2

COOH8811 000007 162

21 n-Valeric acidCH3(CH2)3

COOH10213 00001 186

22 i-Valeric acid

(CH3)2CH

CH2COO

H

10213 000005 176

Table 1 Physicalmiddotchemical characteristic of malodorous substance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6 -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 발생원과 인 발생원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자연 발생원은 미생물 는 박테리아의 사활동에 의한

분해과정 즉 외부의 개입 없이 일상 인 동식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

는 악취유발물질을 의미하며 인 발생원은 인간의 활동범 내에서

행해지는 발생원으로서 가정에서부터 규모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원인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7)

특히 자연 발생원의 경우 인 발생원에 비해 악취유발물질의

량은 더 크게 존재하나 발생 분포면 이 넓어 농도수 이 극히 낮으므

로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 인 요인이 개입되어 있는 상

태에서 발생하는 악취유발물질은 지속 으로 고농도의 취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8)9)

이와 같은 인 발생원에는 속

제품의 제조 가공시설을 비롯하여 도 공장 화학약품 제조공장 석유

제품 가공공장 사료공장 하수처리시설 등을 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악

취물질들은 공정에 따라 단일성분 는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발생하는데 업종뿐만 아니라 작업의 규모 가공공정 리방법 입지조

건 등에 따라 취기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6)

이에 기환경보

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오염물질의 규제를 실시하는 한편 주민

의 주거생활을 보호하기 한 생활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지정하고 부분

의 사업장에 한 규제기 과 내용을 따로 명시하여 악취에 한 피해를

일 수 있도록 리하고 있다10)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의 냄새특성 배

출허용기 을 아래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7 -

Table 2 Odor characteristic and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malodorous substance (ppm)

NMalodorous

substanceOdor descrip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ElsewhereIndustrial

area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1Hydrogen

sulfideRotten eggs 002 006 002~006

2Dimethyl

sulfideUnpleasant decay 001 005 001~005

3Dimethyl

disulfideDecay garlic 0009 003 0009~003

4Methyl

mercaptanDecayed cabbage 0002 0004

0002~

0004

5 Ammonia Ammoniacal decay 1 2 1~2

6Trimethyl-

amine

Pungent ammoniacal

fishy0005 002 0005~002

7 Acetaldehyde Pungent 005 01 005~01

8Propion-

aldehydePungent suffocating odor 005 01 005~01

9n-Butyraldeh

ydePungent 0009 003 0009~002

10n-Valeraldehy

dePungent unpleasant 0009 002 0009~002

11i-Valeraldehy

deUnpleasant putrid apple 0003 0006

0003~

0006

12 Toluene Benzene-like 10 30 10~30

13 Styrene Decay fragrant 047 08 04~08

14 Xylene Benzene-like 1 2 1~2

15Methylethyl-

ketonePungent Acetone-like 13 35 13~35

16Methyliso-

butylketone Irritant 1 3 1~3

17i-Butyl

alcoholIrritant 09 40 09~40

18 Butyl acetate Irritant 1 4 1~4

19Propionic

acid

Irritant pungent

disagreeable rancid003 007 003~007

20 n-Butyric acid Sweaty 0001 0002 0001~0002

21 n-Valeric acid Old sweaty sox 00009 0002 00009~0002

22 i-Valeric acid Rancid cheese stench 0001 0004 0001~0004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8 -

한 악취유발물질의 발생원을 범주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첫째 폐기물의 소각 화장품 산업 농약생산 열 생산시설(지역난방)

과 련된 취기 등을 유기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구분하

고 둘째 식품산업과 련된 취기를 유기화합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

생원으로 구분하며 셋째 축산물 어류 젤라틴 등을 가공하는 산업시설을

동물부산물의 기성 분해에 의한 발생원으로 넷째 규모 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동물 배설물에 의한 발생원 등과 같이 4가지 범주로 구

분한다11)

표 인 악취 물질의 성분별 특성에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유황화합물

악취물질 유황화합물질에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존재한다 아

주 낮은 농도에도 악취를 느낄 수 있으며 자극성이 심하고 하수 분뇨

축산폐수 처리장 생선처리공장 화학공장 등 거의 모든 악취발생시설

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는 산성계열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은 성계열로 물에 녹지 않는 난용

성 물질이다12)

나 질소화합물

질소화합물 표 인 악취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가 있으며 분자

물질의 아민류로서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이러한 아민류의 악

취원인물질은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느낄 수 있다 농도에서도 감

지가 가능하고 강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에는 축산사업

장 계분건조공장 분뇨 하수처리장 비료제조공장 쓰 기 처리장 등이

있다 아민류는 R-NH2 R2-NH R2-N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며 암모

니아와 같이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서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이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극성이 낮은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12)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1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9 -

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과 화학 성질이 비슷하며 주요 악취유발물

질로서 스티 이 있으며 6각 는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황 는 질소화합물보다는 악취가 은 편이나 이 역시 농도에서 강

한 자극성 악취물질이며 장기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12)

석유화학

공장 FRP제조공장 합 는 착제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라 알데하이드류 톤류

알데하이드와 톤은 극성인 카르보닐기(gt C=O)를 가지고 있으므로 극

성화합물이며 알데하이드와 톤은 용매와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으

므로 물에 어느 정도 용해되지만 탄소수가 5를 넘으면 거의 물에 녹지

않는다12)

석유화학공장 비료제조공장 담배제조공장 산제조공장 생선

처리공장 등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마 지방산류

지방산은 짝수 탄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가진 기름이나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12 14 18의 탄소사슬을 갖는다 기름은 주로 불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며 반면에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경향이

크다12)

축산식료품 제조공장 화장터 유지공장 분제조공장 분뇨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지방산 악취가 발생된다

바 지방족 알코올류

R-OH 구조를 갖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알코올이라 부르며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이 있다 모든 알코올류는 물에 잘 용해되

며 환각 마취 기능이 있으며 특히 메틸알코올은 음용시 인체에 치명상을

주는 물질이다 알코올제조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0 -

사 페놀류

페놀은 낙동강에 식수오염을 일으키게 했던 오염 물질로 리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지만 공기의 산화를 받으

면 연분홍이나 갈색을 띈다 페놀은 물에 용해되며 산성을 나타내는 극성

액체이고 염소이온 등과 반응하면 악취가 상승한다12)

크 졸은 악취가

심하며 소독제로 사용한다 페놀류는 화학공장 크 졸 제조공장 자기

제조공장 등에서 악취물질로 배출된다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1 -

22 국내외 악취 리 황

221 국내 악취 리 황

우리나라의 배출시설에 한 악취물질 배출규제는 악취방지법 시행

규칙에 의해 공업지역(Industrial area)과 기타지역(Elsewhere)으로 구분하

여 배출허용기 을 설정하고 있다 배출허용기 은 배출구(Stake outlet)와

배출경계지역(Boundary area)을 상으로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dilution factor)를 그 기 으로 한다 생활악취의 규제를 해 악취방지법

에서는 악취발생물질의 소각을 합한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사업장 악취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역과 같이 악취의 리

가 필요한 지역은 특별시장 역시장 도지사가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

하기 하여 lsquo악취 리지역rsquo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배출허용기 설정 주

기 인 측정 등을 통하여 악취의 리를 극 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악취 리지역 내에서는 지정악취물질 농도 악취정도 등의 주기

인 악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효율 인 악취 리 책 방안 마련을 연구

하고 있다

Table 3에 국내의 복합악취 배출허용기 을 나타내었다

Table 3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of complex odor

Classification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Strict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dilution factor)

Industrial area Elsewhere Industrial area Elsewhere

Stake outlet 1000 ge 500 ge 500~1000 300~500

Boundary area 20 ge 15 ge 15 ~20 10~15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2 -

222 해외 악취 리 황

가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악취는 지역 문제로서 앙정부가 아닌

각 지역의 심 상임을 주장하며 지역 인 악취 문제와 규제에 하여

특별한 여를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 지방정부의 지역 차원에

서 악취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실시된 50개 주의 악취 규제

담당부국에 한 설문 조사 결과 31개주가 악취 규제에 한 규정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3)

각 주마다 독자 인 악취 규제를 채택하

고 있는데 불법방해에 의한 것이 17개주 환경 기기 에 의한 정기

을 마련하고 있는 주가 6개주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는 10개주 발생원

에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한 곳이 9개주 기기분석법에 의한 농도규제가

1개주 행정지도 2개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주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규제방안을 함께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악취오염사고가 발생한

주의 경우 능시험법에 의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었다

능시험의 정에 있어서 정원의 산정은 최소 3인 이상의 정원이

면 가능한 주도 존재하나 부분 6~8명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능시험법에 의한 시험방법은 크게 세 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14)

1) 센토미터(Scentometer)법

장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5 in times 6 in times 25 in

인 상자모양의 측정기를 사용한다 측정기는 일반 으로 세 개의 공기 유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2개의 공기 유입구에는 활성탄 필터를 부착

하여 청정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 청

정공기와 희석되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5)

유입구의 구멍(orifice)의

크기를 선택함에 따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측정한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 일리노이 주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3 -

2) ASTM 주사기법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에서 규정하는 측정법으

로 유리로 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희석시킨 후 희석된 악취를 방출

한다 정원은 주사기 끝 부분을 코에 고 방출된 악취를 감지하여

능시험 후 악취의 유무를 단하는 측정방법이다16)

시험이 진행됨에 따

라 희석배수를 증가시켜 더 이상 감지할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악취

농도로서 정한다 코네티컷 주 미네소타 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허 등17)

이 논문에서 ASTM법을 이용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최 오차를 선정하고 암모니아 이산화황 디메틸설 이드에 한 측정

재 성 등에 해 연구를 수행하 다

3) 올팩토미터(Olfactometer)법

Olfactometer는 펌 자밸 악취시료 공 용 밸 유량계 등을 사

용하여 악취시료를 희석하여 정인에게 공 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장치

로써 희석방식에 따라 회 식 는 고정 식 Olfactometer와 유량조

식 Olfactomet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18)

Olfactometer법

은 주사기법과 비교하 을 때 평균 으로 2~3배정도 감도가 높다고 알려

져 있다 Olfactometer법은 재 미국에서 심 으로 악취 측정에 사용되

고 있는 방법이다 국내의 경우 정 등19)

이 ls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

발과 성능평가rsquo 논문에서 Syringe와 MFC(Mass flow controller)를 히

혼합하여 제작한 Olfactometer의 활용방안 마련에 한 연구를 수행하

나 일본

일본은 환경법상 lsquo 기에 련되는 법령rsquo과는 별도로 1971년 6월 lsquo생활

환경에 련되는 법령rsquo에 lsquo악취방지법rsquo을 제정하여 악취방지를 한 노력

을 해오고 있다 일본의 악취방지법은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산업 활동

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규제하여 생활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4 -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이를 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공장과 기

타 사업장으로부터 악취물질의 배출 출을 규제하기 한 규제지역

규제기 의 설정 규제기 반 사업장에 한 개선권고 명령 등

을 지정하고 있다

규제 상 물질은 1971년 악취방지법 제정 시 5개 물질이었으나 진

으로 확 되어 1993년 이후 22개 물질을 지정하여 용하고 있다 규제

기 으로 부지경계선을 제1호 배출구를 제2호 배출수를 제3호 규제로 구

분하여 지정악취물질에 해 각각 차이를 두어 설정하고 있다21)

Table 4

에 일본의 악취방지법상 악취물질과 규제항목을 나타내었다22)

능시험법의 경우 삼 비교식 취 법을 채택하여 실행하고 있다 삼

비교식 취 법의 경우 정인은 6인으로 구성된다 실험 방법은 채취

된 시료를 3개 1조로 하여 냄새주머니에 무취공기를 주입한 후 실리콘고

무 마개로 한다 그 1개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정시험 희석배수가

되도록 조제한다 정인은 한 조가 되는 3개의 냄새주머니를 정하여

시료가스가 주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냄새주머니 1개를 선정하게 된다

이 후 1호 규제에 하여는 희석배수를 10배씩 증가시키며 3회씩 실험을

실시한다 이때 평균 정답률을 구하여 그 값이 058 이상의 경우는 다시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며 058 미만의 경우는 선정

조작을 종료한다 2호 규제의 경우 3배씩 측정가스의 희석을 반복하며

정인 원 혹은 1인을 제외하고 회답이 틀리면 선정조작을 종료한다23)

삼 비교식 취 법은 국내의 공기희석 능법과 유사하나 부지경계선

(1호 규제)과 배출구(2호 규제)의 시료 채취량 정방법 정인 수

를 6명으로 구성한다는 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 배출구의 희석배수

정 시 국내의 경우 단계의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감지한계 희석

배수로 결정하는 반면 일본은 최종희석배수와 단계 희석배수의 log 평

균값을 감지한계 희석배수로 결정한다는 차이 이 있다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5 -

Table 4 Malodorous substance and regulation standard(Japan)

Classification Boundary area Stake outlet Wastewater

Ammonia O O

Hydrogen sulfide O O O

Dimethyl sulfide O O

Dimethyl disulfide O O

Methyl mercaptan O O

Trimethylamine O O

Acetaldehyde O

Propionaldehyde O O

n-Butyraldehyde O O

i-Butyraldehyde O O

n-Valeraldehyde O O

i-Valeraldehyde O O

Toluene O O

Styrene O

Xylene O O

Ethylacetate O O

Methyliso-

butylketone O O

i-Butyl alcohol O O

Propionic acid O

n-Butyric acid O

n-Valeric acid O

i-Valeric acid O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6 -

다 독일

독일의 경우 악취문제는 악취배출원과 거주 지역 사이의 역으로 인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지역과 사업장내의 거리가 평균 으로

1000 m이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역과 복되어 민원이 제기된다

기질에 한 요구조건의 법 기 는 Federal Emission Control Act

와 Technical Instruction on Air Quality Control이다24)

이 후 North

Rhine-Westphalia에서 기 악취에 한 지령을 개발하 다 이는

재 발생하고 있는 악취의 측정방법 발생이 상되는 악취의 계산 한계값

으로 표 되는 기질 필요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취 측정법은 패 에 의한 측정과 분산 모델링 두 가지를 선정하여 사

용하고 있다 분산모델링은 후각측정 유량검출 기상학 인 조건을 바탕

으로 연간 악취진도로 표시되는 악취를 계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14)

라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악취정책은 괴로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lsquo불법방해

지rsquo와 lsquo정량 에서의 기질 기 rsquo 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환경의 질 목표는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의 백분율을 기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 악취에 의한 괴로움을 당하는 인구가

12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량 인 방법은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악취농도를 확인한 후 분산

모델링을 통해 발생된 주변지역에서의 악취에 한 괴로움을 일으키는 농

도의 발생빈도를 계산한다14) 25)

마 만

만의 경우 1979년부터 악취에 한 규제법이 마련되었으며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악취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측정방법은 일본과 동일한 삼

비교식 취 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악취 농도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13)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7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231 도 업

도 은 크게 기도 화학도 용융도 으로 구분된다 일반 으로

도 공정은 부분 유사하나 용융도 의 경우 개방된 시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악취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타 도

종류에 비하여 악취발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1에 나타내었다 도 공정은

일반 으로 탈지공정(Degreasing) 산세공정(Pickling) 수세공정(Water

washing) 럭스공정(Flux) 건조공정(Drying) 도 공정(Plating) 냉각공

정(Water cooling) 마무리공정(Finishing and Inspection)으로 구분된다

탈지 공정이란 원자재에서 함께 유입된 기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며 산세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붙어있

는 철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특히 산세공정에서는 산과 철 불

순물 등이 반응하면서 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악취유발물질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 염화암모늄(NH4Cl)등을 이용하여 도 상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화 등을 막는 럭스 공정이나 도 공정에서 암모니아

알데하이드 계열의 악취물질이 발생하게 된다26) 27)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8 -

Fig 1 Generic process chart of plating industry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2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19 -

232 기계제조업

속압형제품 제조업 속단조제품 제조업 롤러베어링 제조업 등을

기계제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은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조

씩 상이하나 주된 생산공정은 원료를 용융시키는 주조공정 용융된 원

료의 스 일을 제거한 후 일정한 폭과 두께로 조 하여 간 제품으로 가

공하는 압연 공정 단middot연마 가공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기계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아래의 Fig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

업의 특성상 주조공정과 최종 공정에서 악취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주조

공정의 경우 주형의 원료가 되는 주물사와 결력의 향상을 해 투입한

페놀수지 퓨란수지 에스테르 등이 주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결합하게 되면서 알데하이드류 아민류 벤젠 등의 악취물질의 발생 원

인이 된다 한 제품을 최종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원료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28)

기계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벤젠과 톨루엔 등의 물질은 잠재 인 발암 물질이며 페놀의 경우에도 인

체에 유해한 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0 -

Fig 2 Generic process chart of equipment manufacturing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1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통해 생산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각종 기 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라스틱 가공 섬

유제품의 생산 페인트 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는 산업이다 석유제품(Naphtha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업의 원자재

가 되는 기 화학제품이 생산되므로 제조원가가 원료비에 의해 결정되어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여러 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제품을 생

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트라이메틸아민 황화수소 알데하이드 화합물

등 다양한 악취원인물질을 배출하게 된다30)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착

제 제조업의 일반 인 공정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2 -

Fig 3 Generic process chart of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3 -

3 연구방법

31 시료채취

311 시료채취 배경

본 연구의 상지역인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치를 Fig 4에 나타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N 공업단지를 심으로 70여개 지 의 배출구

후단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의 채취는 우천이나 강설을 피해

맑은 날 주간에 실시하 다 측정 사업장은 가구 제조업 도 업 화학약

품생산업 속제품 생산업을 비롯하여 도색업 사료 제조업 등 다양한 업

종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업체의 규모 역시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부터 100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 다

Fig 4 Point of odor measurement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4 -

312 채취방법

시료주머니와 채취 은 취기 성분이 흡착 투과 는 상호반응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사용하며 채취

용기의 재질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같은 재질은 최소한의 합부에서도

그 사용이 합하지 않다 본 조사에서는 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종 가

스유기용제에 뛰어난 내성을 가진 폴리 로린비닐 재질의 Tedlar bag을

이용하여 채취를 실시하 다 Tedlar bag은 5 L 용량의 것으로 공기 정량

펌 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 다 시료의 채취 시료주머니는 무취

공기로 1회 이상 세척하고 후각을 통하여 무취상태를 확인하 으며 채취

펌 도 사용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취공기로 10분 이상 세척한

후 사용하 다

시료의 채취 장 사진을 아래의 Fig 5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채취는 배출

구의 후단에서 실시되었으며 채취 펌 와 시료 은 시료로 3분간

흘려보내 발생 가능한 오차값을 최소화 한 후 사용하 다 시료주머니는

무취공기로 세척한 상태에서 시료를 1회 이상 채우고 배기한 후 채취하

다 일정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 에 수분이나 먼지가 함유되어 있다

고 단될 경우에는 채취 끝부분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채워 제거한

후 채취하 다

Fig 5 Photo of sampling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5 -

32 분석방법

321 공기희석 능법

악취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실험은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31)

에 하여 분석

을 실시하 다

가 정인의 선정

1) 거름종이(길이 14 cm 폭 7 mm) 6매를 1조로 하여 그 4매는

Table 5의 시험액 각각에 나머지 2매는 증류수에 약 1 cm정도 길

이를 5분간 담가둔다

2) 6매 1조의 거름종이를 피검자에게 주어 냄새가 나는 거름종이 4

매를 선택하게 하여 4종류의 시험액을 모두 알아맞히고 그 시험액

의 취기감도를 Table 6에 나타낸 악취도 3 4로 정한 사람을 정

인으로 선정한다

3) 정인은 5인 이상으로 구성하고 정인 구성은 당일에 한하여 유

효한 것으로 한다

Table 5 Test solution for odor panel

Odorant Concentration Odor description

Acetic acid 10 wt Sour

Trimethylamine 01 wt Decay

Methylcyclopentenone 32 wt Sweet

Phenol 10 wt Medicinal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6 -

Table 6 Sensitivity of odor test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 상 인 무취

1감지취기

(Threshold)간신히 느낄 수 있는 냄새

2보통취기

(Moderate)잘 맡아보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강한취기

(Strong)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4극심한취기

(Very Strong)잘 맡아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아주 강한 냄새

5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호흡할 수 없을 정도의 견디기 어려운 냄새

나 능시험

능시험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희석배수가 낮은 것부터 순차 으

로 실시하 다

1) 정요원에게 채취한 냄새시료를 공 하여 평가 상 냄새를 인식시

키고 5분간 휴식한다

2) 최 희석배수(부지경계선 10배 배출구시료 300배)를 각 정요원

에게 단계별로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니 2개를 1조로 제작하여

나 어 다

3) 정요원은 능시험용 마스크를 쓰고 시료희석주머니와 무취주머

니를 손으로 러주며 각각 2~3 간 냄새를 맡게 한다

4) 정인은 두 주머니의 냄새가 감지되면 표 냄새가 감지되지 않

으면 times표로 기록 표시하며 1조의 능시험 차가 완료되면 다시 최

의 희석배수 2조를 제작하여 능 시험한다

5) 한 단계의 시험이 끝나면 신선한 공기로 5분 이상 호흡 후 다음 단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7 -

계의 시험을 행한다

6) 최 희석배수 2조의 시험 후 정답률을 산출하여 정답률이 06 미만

일 경우 정시험을 끝낸다 정답율의 산정은 시료냄새주머니를 선

정한 경우 100 무취냄새주머니를 선정한 경우 000으로 한다

7) 능시험 결과 무취로 정된 희석배수의 바로 단계 희석배수를

각 정인의 ldquo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rdquo로 한다

8) 각 정인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최 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나머지를 기하 평균한 값을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

로 한다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8 -

능시험을 통하여 정인 체의 냄새감지한계 희석배수를 계산하는

계산식의 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Example of calculation method

악취 정요원

1차 평가2차 평가

(times1000)

3차 평가

(times3000)희석배수(times300) 희석배수(times300)

A times

B times -

C times -

D times times -

E times -

( ldquordquo 시료희석주머니 정 시 정답 ldquotimesrdquo 냄새주머니 정 시 오답)

악취 정요원 계산과정 비고 체의 희석배수

A

최소 최 값

제외

(A D 제외)

timestimes

B times

C times

D

E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3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29 -

322 악취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의 희석배수 결과와 악취센서 결과값과의

상 성을 도출하기 해 악취센서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악취센서는 Fig 6에 나타낸 일본 COSMOS사의

XP-329N 모델이었으며 속산화물반도체 하나인 산화제이주석(SnO2)

으로 만든 센서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모델이었다

악취센서는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의 차이를 보이기 때

문에 그 종류 한 다양하다 표 인 악취센서로서 XP-329는 냄새물질

에 폭넓게 감응하며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XP-329S는 황화수소나 메틸메

르캅탄 등 황계열 악취물질에 하려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XP-329N은 의 두 기종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암모니아에 해

높은 감도를 나타낸다32)

Fig 6 Odor sensor(XP-329N model)

악취센서는 미량펌 에 의한 자동흡입방식으로 기체상 악취물질이 약

02 Lmin의 유속으로 흡입되어 센서소자에서 반응하게 되며 항의 변

화로 나타나는 감지성분의 수 이 0부터 2000까지의 구체 인 수치로 나

타나게 된다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0 -

시료의 분석은 사업장 배출구 후단에서 직 측정하 으며 센서의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까지 진행하 다 측정 middot후에는 무취공

기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보정하 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보정값을 용시

켜 결과값을 산출하 다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1 -

323 기기분석법

사업장 배출구 후단의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기 하여 기기분석법

을 실시하 다 업종별로 주요발생악취물질 이라고 단되는 항목을 설정

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이를 토 로 공기희석 능법 악취센서

결과값을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기기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방

법을 이용하 다 첫 번째로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hograp-

hy)를 이용하 으며 두 번째로 암모니아 황계열물질 톨루엔 등의 악

취물질은 검지 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가 검지 법

검지 은 Fig 7에 나타낸 일본 Gastec사의 검지 을 사용하 다

Fig 7 Detector tubes

검지 은 안지름 약 3 mm 길이 약 130 mm인 유리 에 실리카겔

는 알루미나겔에 흡착시킨 검지제(피검 기체 성분과 화학 으로 반응하여

착색 는 변색하는 시약)를 60~80 mm 길이에 충 한 것으로 의 양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다 이 을 일정한 용 의 주사기 모양으로 된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2 -

기체 채취용 펌 는 진공펌 에 장치하고 끝의 노즐에서 시료기체를

도입한다 검지제의 변색은 입구에서 차 안쪽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

분의 길이를 농도 도표와 조하여 피검 성분 기체의 농도를 구한다33)

Table 8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지 의 측정범 와 종류를 나타내었다

Table 8 Specification of detector tubes

Item Product number Measurement range(ppm)

Ammonia 3L 05 ~78

Hydrogen sulfide 4LT 01 ~ 4

Methylmercaptan 71 025 ~ 140

Toluene 122L 1 ~ 140

검지 의 경우 측정자의 으로 변색되는 부분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로 인해 측정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미세한 오차값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하여 농도 측정 시 농도 독에 한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2회씩 반복 측정을 실시하 다

나 HPLC

알데히드 계열의 악취물질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

hography)를 사용하 다 HPLC는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

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

etonitrile)용매로 추출하여 자외선(UV) 검출기의 360 nm 장에서 분석하

는 방법이다

채취한 시료는 DNPH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추출하 으며 카트리지를

이용한 추출 과정에서 공기 시료 존재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해 카트

리지 단부에 약 15 g의 KI가 충진된 오존 스크러버를 장착하여 오존으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3 -

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 다31)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Fig 8에 나타낸 HPLC를 이용하여 농도 분석을

실시하 고 분석 시 운 조건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Fig 8 HPLC analysis equipment

Table 9 Operation condition(HPLC)

HPLC Operation condition

Column Agilent eclipse XDB-C18 5 μm

Eluent Acetonitrilewater(73)

Flow rate 20 mLmin

Gradient elution 20 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360 nm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4 -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도 업 16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도 업 사업장은 1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부터 50명 이상의 사업장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규모에 따라 주요 생산물의 종류도 차이를

보 다

Table 10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lating industry)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lating

industry

1 N Plating(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2 N Plating(O)

3 K Plating(I) Steel chairs tables

pipes

Wet scrubber

(Alkali)4 K Plating(O)

5 D Co(I) Bike helmets phone

cases cosmetic cases

Wet scrubber

(Acid Alkali)6 D Co(O)

7 I Co(I) Chrome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8 I Co(O)

9 IT Co(O)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

10 A Co(I) Aluminum plating

products

Wet scrubber

(Alkali)11 A Co(O)

12 H metal 1(I)Bike parts phone

cases reels(fish)

anodizing products

jewelry

Wet scrubber

(Alkali)13 H metal 1(O)

14 H metal 2(I) Activated carbon

Adsorption15 H metal 2(O)

16 H metal 3(O)Wet scrubber

(Alkal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도 업종 사업장은 알루미늄과 크롬 도 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악취방

지시설의 경우 부분 흡수식 처리방법을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1

개 사업장의 경우 활성탄 흡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5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기계제조업

34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1에 나타내었

다 기계제조업 사업장은 N 공업단지의 남쪽 구역에 집되어 치하고

있었으며 자동차 부품 자제품 부품 베어링 등의 부속품을 주로 생

산하고 있었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흡수식 처리방법과 흡착식 처리방법을 약 41의

비율로 도입하여 운 되고 있었으며 용량은 사업장의 규모 발생악취의

농도 사업장 내의 악취방지시설 수에 따라서 50 m3min 이하의 소규

모부터 400 m3min 이상의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6 -

Table 11 Outline of collection poin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Equipment

manufacturing

17 A Co(I) Heavy equipment

componen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18 A Co(O)

19 M industry(O) BearingsActivated carbon

Adsorption

20 C Co 1(O)Metal powder

magnetic powder

core conductive

pastes

Wet scrubber

(Acid)21 C Co 2(O)

22 M Tech 1(O)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23 M Tech 2(I)

24 M Tech 2(O)

25 U Co 1(I)Tube fittings

instrumentation

valves pipe fittings

Wet scrubber

(Acid Alkali)

26 U Co 1(O)

27 U Co 2(I)

28 U Co 2(O)

29 S tech(I) Heavy equipment

components

Wet scrubber

(water)30 S tech(O)

31 B electronics(I) Electronic

components

Wet scrubber

(Acid Alkali)32 B electronics(O)

33 I Co(O) PipesActivated carbon

Adsorption

34 R Co 1(O)

BearingsWet scrubber

(Acid)

35 R Co 2(I)

36 R Co 2(O)

37 R Co 3(I)

38 R Co 4(O)

39 S Tech(I) Screws springs

shafts

Activated carbon

Adsorption40 S Tech(O)

41 M Co(I) Automobile parts

screws

Wet scrubber

(Alkali)42 M Co(O)

43 D cast(I) Automobile parts

gas stove parts

Wet scrubber

(Alkali)44 D cast(O)

45 S die casting(I)Automobile parts

Wet scrubber

(Alkali)46 S die casting(O)

47 D Co(I)Bearings

Wet scrubber

(Acid)48 D Co(O)

49 H Co(I)Metal powder

Wet scrubber

(Acid)50 H Co(I)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7 -

본 연구에서 측정한 N 공업단지의 70여개 지 의 업종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19개 지 의 주요 생산물 악취방지시설의 공정을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사업장은 화학약품과 합성수지 라스틱

제품 착제 등을 주로 생산하 다 부분의 사업장에서 흡수식 처리

방법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2 Outline of collection point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Industrial

categoryN Collection Point Product

Odor treatment

process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51 E Co(I) Synthetic resinsWet scrubber

(Acid Alkali)

52 I Co(I)Plastic containers

Wet scrubber

(Alkali)53 I Co(O)

54 E Co(I)Synthetic resins

Wet scrubber

(Acid Alkali)55 E Co(O)

56 S Chemistry(I) Rubbers goodsActivated carbon

Adsorption

57 J Co(I)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58 J Co(O)

59 O Co(O)

Glues polishes tapesWet scrubber

(Acid Alkali)60 O Co(I)

61 O Co(O)

62 B Chemistry(O)

ChemicalsWet scrubber

(water)

63 B Chemistry(I)

64 B Chemistry(O)

65 B Chemistry(O)

66 N Chems(I) Synthetic resins

chemicals

Wet scrubber

(Acid Alkali)67 N Chems(O)

68 H Chemistry(I)Chemicals

Activated carbon

Adsorption69 H Chemistry(O)

I Stake inlet O Stake outlet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8 -

41 공기희석 능법 결과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 조사결

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9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경우 공기희석

능법 최 희석배수를 300배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인이 첫 희석배수인

300배에서 취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100배수(배출구 최소악취)로 산정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당해 희석배수에서 감지하지 못할 경우 한

단계 아래의 희석배수 값을 용하도록 하고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방법을 토 로 총 69개 지 의 배출구 middot후

단에 하여 실험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 몇몇 사업장에서 배출구 단

부의 희석배수가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구 후단부의 경우 희석배수 최 값은 도

업종의 6지 석유화학제품제조업종의 62지 에서 각각 448을 나타내

었으며 최소값은 기계제조업종의 17지 22지 에서 각각 100을 나타

내어 모든 배출구에서 공업지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 5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ment results 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4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39 -

공기희석 능법을 이용한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복합악취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측정지 체 69개 지 의 공

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평균값은 267로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값은 도

업이 336으로 가장 높은 결과값을 보 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각각 224 285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446 후단부 평균값은 251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281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177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357 후단부 평균값 232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3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3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3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446

Stake outlet 9 251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281

Stake outlet 20 177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357

Stake outlet 11 232

Total

Stake inlet 29 342

Stake outlet 40 212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0 -

42 악취센서 결과

본 연구는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객 인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최종

으로는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그 목 으

로 하고 있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분류하여

Fig 10에 나타내었다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총 69개 지 의 악취를 측정

한 결과 최 값은 기계제조업종의 49지 에서 1595로 나타났으며 최소값

은 기계제조업종의 18지 에서 430으로 나타났다

Fig 10 Measurement results by odor sensor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1 -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악취센서 결과에 한 업종별 평균값을

Table 14에 나타내었다 배출구의 middot후단을 포함한 69개 사업장의 악취

센서 측정 평균값은 878로 조사되었다 업종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석유화

학제조업의 경우 1062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기계제조업과

도 업의 평균값은 각각 848 723으로 나타났다

배출구 후단의 평균값을 구분하 을때 도 업의 단부 평균값은

820 후단부 평균값은 647로 나타났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단부 평균값

은 940이었으며 후단부의 경우 783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은

단부 평균값 1095 후단부 평균값 1038로 각각 나타났다

후단부 공기희석 능법 평균값을 통한 제거효율은 도 업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계제조업 17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4 Measurement averag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Odor

sensor)

Industrial

categoryCollection Point Number of industry Average

Plating

industry

Stake inlet 7 820

Stake outlet 9 647

Equipment

manufacturing

Stake inlet 14 940

Stake outlet 20 78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Stake inlet 8 1095

Stake outlet 11 1038

Total

Stake inlet 29 954

Stake outlet 40 823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2 -

43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계

김 등34)

이 술한 확률과 통계 이론 기 에 따르면 상 계수는 두

변수간의 련성을 구하기 해 보편 으로 이용되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R =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

의 계에서 상 계수 값은 025 이하일 때 무상 025 ~ 075

사이일 때 일정한 상 계 075 이상일 때 강한 상 계를 가지고 있

팽 등35)

은 매립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등의 악취가 집 으로 발

생하는 장에서 직 능법과 악취센서의 수값과의 상 계를 악하

는데 그 결과 회귀식은 Y= 0160(X) + 249 상 계수(R)는 0953으로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법령에서는 직

능법이 규제 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악취측정법으로서의 실성이 낮아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측정값을 토 로 그 상 성을 악하 다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69개 측정지 에서 측정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조사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316 상 계수(R)는

056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 계수 값을 통한 69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상호 상 계를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악취센서의 측정값이 공기희석 능법을 체하기

에는 낮은 수치로 단된다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3 -

Fig 11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Total)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경우 여러 업종의 사업장에서 악취물질을 발

생시키고 있고 그 특징 한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분석하기

해서는 N공업단지의 사업장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 계를

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상 사업장을 도 업 석

유화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3가지로 분류하여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의 상 계를 조사하 다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4 -

43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

다 이는 사업장별로 규모 운 리상태 악취방지시설의 유지 리 상

태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791 상 계수

(R)는 0889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도 업 16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2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lating industry)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5 -

43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

서 조사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주요 발생 악취

물질 발생농도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게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별

로 주요 생산품 공정 등이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

된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

(R2)는 0525 상 계수(R)는 0723으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기계제

조업 34개 지 의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일정한 상 계rsquo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3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Equipment manufacturing)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6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공기희석 능법

과 악취센서 조사결과를 Fig 14에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X)에 한 악취센서 측정값(Y)의 결정계수(R2)는 0693 상 계수(R)는

0832로 나타났다 상 계수를 통한 석유화학제품제조업 19개 지 의 공기

희석 능법과 악취센서는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14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Petrochemicals manufacturing)

의 결과로부터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

결과의 상 성은 모든 사업장을 상으로 악한 상 성에 비해 더 높은

상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희석배수의 값은 일정하더라도

악취센서의 결과값이 업종에 따라 조 씩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계가공 도 석유제품의 생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의 성상이 조

씩 상이하고 악취의 성분에 따라 악취센서의 항값이 다르게 변화하

여 반응한 것으로 단된다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7 -

44 기기분석 결과

업종별 분류를 통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결과를 바탕

으로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 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증명하기 하여 업종별로 표 인 지정악취물질을 선

정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농도값을 측정하 다

총 6가지 악취물질에 한 기기분석을 실시하 으며 검지 법과 HPLC

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다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8 -

441 도 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도 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5에

나타내었다 도 업체 총 7지 에 한 악취물질의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

모니아 057 ppm 황화수소 0006 ppm 메틸메르캅탄 0003 ppm 톨루엔

186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6 ppm 등으로 나타났다 도 업의 경

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암모니

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암모니아이며 본 기기분석을 통하여 이

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5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lating

industry)

(ppm)

Industrial category Plating industry

Point 1 4 8 10 11 15 16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7 05 04 10 07 05 02 057

Hydrogen

sulfide001 001 ND 001 ND 001 ND 0006

Methyl

mercaptanND 001 001 ND ND ND ND 0003

Toluene 5 ND 2 2 2 2 ND 186

HPLC

Acetalde-

hydeND

000

7ND

001

5ND

000

6

001

50006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ND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5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49 -

442 기계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기계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6에 나타내었다 기계제조업체 총 4지 에 한 각 항목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20 ppm 황화수소 0005 ppm 톨루엔 350 ppm 아세트알

데하이드 0004 ppm 등으로 나타났다 메틸메르캅탄은 기계제조업의 모

든 측정지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기계제조업의 경우 지 별로 주요 생

산품 공정 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측정된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가 지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으로 단된다

Table 16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Equipme-

nt manufacturing)

(ppm)

Industrial category Equipment manufacturing

Point 20 21 28 29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1 01 04 02 020

Hydrogen

sulfideND ND 002 ND 0005

Methyl

mercaptanND ND ND ND ND

Toluene 5 5 2 2 350

HPLC

Acetalde-

hydeND 0012 0004 ND 0004

Butyalde-

hydeND ND ND ND ND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0 -

Industrial category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Point 52 58 64 65 67 68 Average

Detector

tube

Ammonia 04 02 03 08 04 08 048

Hydrogen

sulfide001 004 001 004 001 ND 0018

Methyl

mercaptanND ND ND 005 ND 003 0013

Toluene 5 5 ND 10 5 5 5

HPLC

Acetalde-

hyde0013 0018 ND 0008 ND ND 0007

Butyalde-

hydeND ND ND ND ND ND ND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 한 기기분석 결과를

Table 17에 나타내었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체 총 6지 에 한 각 항목

별 평균농도는 암모니아 048 ppm 황화수소 0018 ppm 메틸메르캅탄

0013 ppm 톨루엔 5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0007 ppm 등으로 나타

났다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조사항목 톨루엔이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타 업종에 비해 황화수소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경우 주요발생물질이 황화수소이며 본 기기분

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 할 수 있었다

Table 17 Measurement results by detector tubes and HPLC(Petroche-

micals manufacturing)

(ppm)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1: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1 -

444 악취센서와의 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악취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에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2)

Table 18에 업종별 측정평균값과 상 계수(R)를 나

타내었다

Table 18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and correl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Ammonia

(ppm)

Correlation

(R)

Plating industry 336 723 057 088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020 0723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048 0832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살펴보면 도 업에서 057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계제조업과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각 048 ppm

020 ppm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에서 도 업 석유화학

제품제조업이 lsquo강한 상 계rsquo로 확인되었는데 이 때 상 계수(R)은 도

업이 0889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이 0832로 도 업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와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를 기기분석과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 농도값이 도 업에서 가장 높고 석유화학제품제조

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암모니아

에 높은 감도를 갖고 있는 악취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는 것으로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2: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2 -

단되며 한 업종별로 암모니아 농도와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 측정값의 상 계수(R)가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도 업 석유화

학제품제조업 기계제조업의 순으로 상 계수(R)가 결정된 것에 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3: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3 -

45 악취 농도식

451 악취농도식의 구 활용

업종별로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악취센서 측정값에 따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구 하 다

도 업의 악취 농도식(식 41)

⋯⋯⋯⋯⋯⋯⋯⋯⋯ (41)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기계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2)

⋯⋯⋯⋯⋯⋯⋯⋯⋯ (42)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석유화학제품제조업의 악취 농도식(식 43)

⋯⋯⋯⋯⋯⋯⋯⋯⋯ (43)

X = 측정된 악취센서의 값

Y =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

악취센서를 이용하여 악취를 측정할 경우에 업종에 따라 식 41 ~ 43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4: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4 -

을 사용함으로써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다고

단된다 특히 종합 상 계를 통한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보다

각 업종별 악취 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오차율을 히 일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해 각 업종별로 측정된 악취센서값을 업종별 악취 농

도식에 입하여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역산하고 실제 측정된 희석

배수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 다 Table 19에 업종별 측정평균값 계산

값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19 Measurement average of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and

error rate according to industrial category

Industrial category

Analysis data

Calculate

data

Error rate

()

Air

dilution

olfactory

Odor

sensor

Plating industry 336 723 338 059

Equipment manufacturing 224 848 224 009

Petrochemicals manufacturing 285 1062 285 002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센서 측정값을 활용한 공기희석 능

법 희석배수는 계산식에 의한 략 인 값이므로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에

는 한계가 존재하나 장에서 바로 측정하여 략 인 악취정도를 악

할 수 있는 장 선행 측정의 개념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단된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5: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5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김 등36)

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지정악취물질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

서 사이에는 일정한 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악취물질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악취센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34773(X) + 8657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347 상 계수(R)은 059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암모니아 농도의 지수값과 악취센서 사이의 조사결

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Comparison of odor sensor and concentration of ammonia

도 업 7지 에 하여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의 상 성을 조

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는 Y =

70928(X) + 31499 의 상 식을 따르며 결정계수(R2)은 0567 상 계수(R)

은 0753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된 김 등36)

의 연구와 비교하여 보면 시료 종류에 차이가 존

재함으로써 상 식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조

사한 도 업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와 악취센서 사이에 상 계수 075 이

상의 lsquo강한 상 계rsqu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6: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6 -

5 결 론

인천 역시 N 공업단지를 심으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 능법을 활용

하여 업종별 악취의 특성을 분석하 다 한 이를 악취농도식으로 구

하어 악취센서가 장측정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인천 역시 N 공업단지의 공기희석 능법 측정결과 모든 사업장의 배

출구 후단부에서 엄격한 배출허용기 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단부에서 배출허용기 을 상회하는 경우가 존재하 으나 방지

시설을 거친 후단부의 경우 배출허용기 이하로 감소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 사이의 비교결과 두 측정방법 사이의 업종

별 상 성을 악할 수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악취의 성분이 상이하

기 때문에 상 계수에 따른 상 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3) 기기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지정악취물질의 측정에서 암모니아는 도

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에 해

민감도가 좋은 악취센서의 특성상 본 기기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악취

센서의 반응성을 증명 할 수 있었으며 공기희석 능법과 악취센서와

의 상 계에 한 신뢰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 각 업종별 악취농도식을 구 하고 구 된 악취농도식을 통해 공기희

석 능법 희석배수를 구하 을 때 오차율은 도 업 059 기계제조업

009 석유화학제품제조업 0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악취농도

식을 통한 희석배수값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7: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7 -

있다 최종 으로 악취농도식을 활용할 경우 도 업에 하여 장에

서 측정하여 략 인 공기희석 능법 희석배수를 악할 수 있는

장 선행 평가방법의 개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단된다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8: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8 -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년 악취 민원 실태분석 2007년 악취 리방향(2007)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0)

3 환경부 악취방지법(2010)

4 김희강 김동술 김신도 김윤신 나진균 이종범 정일래 홍민선 기

오염개론 동화기술 pp 1~2(1993)

5 Harold J R Odor and VOC control handbook MacGrawHill pp

147~160(1998)

6 노태목 악취 평가를 한 취기센서의 활용에 한 연구 학교

석사학 논문(2001)

7 김학민 복합취기 센서를 이용한 환경악취 평가방법 개발 활용에

한 연구 학교 박사학 논문(2001)

8 Martin G and Laffort P Odors and deodorization in the environ-

mental VHC Publisher pp 22~24(1994)

9 동일교역 부설연구소 악취분석세미나 자료집(1995)

10 환경부 기환경보 법(2010)

11 Lecloirec P Gueux H Paillard H Anselme C Martin G and

Laffort P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tudy of

odorous pollution VCH Publisher pp 213~215(1994)

12 김노 악취 황과 탈취신기술 환경 리연구소(1996)

13 환경부 악취방지 종합시책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2006)

14 한진석 ldquo악취의 국내middot외 규제동향rdquo 공기청정기술(2006)

15 김외숙 냄새물질의 물질농도와 후각에 의한 능평가간 상 계 연

구 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2009)

16 ASTM International Analyze organic compounds found in water

with a new ASTM guide Powerplant chemistry(2002)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69: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59 -

17 허목 허철구 ldquoASTM 주사기법에 의한 환경악취의 능측정법에

한 연구rdquo 한환경공학회지 12(3) 1~8(1990)

18 Schulz T J and Harreveld A P International moves towards

standardisation of odour measurement using olfactometr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4(4) 541~547(1996)

19 정구희 손찬웅 박민수 김학민 김선태 ldquo악취평가용 Olfactometer의

개발과 성능 평가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3(11) 109~110(2003)

20 일본 환경성 악취방지법(2005)

21 Shigeoka 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dor measurement in

Japan-The action system to Quality Control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7(11) 18~20(2007)

22 일본 환경성 악취물질 규제 가이드라인(2001)

23 아오야마 요시히로 ldquo일본의 악취 동향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4(11) 5~17(2004)

24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9~126(2001)

25 Hoshika Y Imamura T Muto G and Van Gemert L J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dor Threshold Values of Several

Odorants in Japan and in The Netherlands Environmental Research

61(1) 78(1993)

26 김재 박정구 정을규 오제범 김 교 ldquo용융아연도 제조시설 악취

발생특성 악취 감방안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9(4) 30~

36(2009)

27 환경부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리메뉴얼 마련(2008)

28 김종선 신철호 정태섭 안문호 길인섭 김덕 ldquo주물공정에서 발생

하는 VOCs 악취 유발물질의 특성에 한 연구rdquo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2007(11) 45~52(2007)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Page 70: 공장 악취에 대한 악취센서와 공기희석관능법의 업종별 상관성 ... · 2019-06-23 · 석유화학제품제조업 285로 나타났다. 악취센서의 경우

- 60 -

29 Gioda A Sales J A Cavalcanti P M S Maia M F Neto F R

A Exposure to high levels of benzene and risk of canc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14(4) 259~262(2005)

30 송일석 조덕희 ldquo반월middot시화공단 화학업종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조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2006(11) 18~23(2006)

31 환경부 악취공정시험법(2007)

32 요시에 야스키 ldquo냄새센서를 이용한 악취 리rdquo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 70~75(2002)

33 국립환경연구원 인천서구지역 악취 배출원조사 감방안 연구 최

종보고서(2003)

34 김혜경 윤진희 확률과 통계 이론 기 경문사(2004)

35 팽종인 김학민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성 평가rdquo

환경 리학회지 7(3) 481~487(2001)

36 김남천 조수 ldquo환경악취평가를 한 복합취기센서 측정결과의 활

용rdquo 환경 리학회지 10(2) 135~141(2004)

  • 1 서론
  • 2 문헌연구
    • 21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
      • 211 악취
      • 212 지정악취물질
        • 22 국내외 악취관리현황
          • 221 국내 악취관리현황
          • 222 해외 악취관리현황
            • 23 업종별 악취물질의 특성
              • 231 도금업
              • 232 기계제조업
              • 2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3 연구방법
                    • 31 시료채취
                      • 311 시료채취 배경
                      • 312 채취방법
                        • 32 분석방법
                          • 321 공기희석관능법
                          • 322 악취센서
                          • 323 기기분석법
                              • 4 연구결과
                                • 41 공기희석관능법 결과
                                • 42 악취센서 결과
                                • 43 공기희석관능법과 악취센서의 상관관계
                                  • 431 도금업
                                  • 432 기계제조업
                                  • 43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 기기분석 결과
                                      • 441 도금업
                                      • 442 기계제조업
                                      • 443 석유화학제품제조업
                                      • 444 악취센서와의 관계
                                        • 45 악취 농도식
                                          • 451 악취농도식의 구현 및 활용
                                          • 452 악취농도식의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