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2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Upload: others

Post on 19-Jul-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손 영 희

Page 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지 도 김 조 자 교 수

이 논문을 박사 학위 논문으 로 제 출함

200 1년 6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손 영 희

Page 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손영희의 박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 1년 6월 일

Page 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감사의 글

학위과정동안 늘 긴장속에서 지내왔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 긴장은 의미 있고

보람된 시간이었습니다. 관심 분야가 넓어졌고 보다 깊은 학문적 혜안에 눈을 돌리

게 되었습니다. 한 과정에 마침표를 찍었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또 다른 시

작을 계획해 봅니다. 그 동안 받기만 했던 사랑에 보답해야 하는 마음으로 모든 것

을 주관하여 주신 하나님께 우선 감사를 드립니다.

본 논문의 계획에서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학문적 통찰력으로 전반적인 틀을 잡

아 주시고 이끌어 주신 김조자 학장님, 예리한 시각과 날카로운 지적가운데서도 따

뜻함을 느낄 수 있었던 오가실 교수님, 전반적인 틀과 논문의 세밀한 부분까지 꼼꼼

히 지도해 주시고 격려를 보내주신 유지수 교수님, 멀리 캐나다에서도 세심한 지도

와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고일선 교수님, 논문지도를 흔쾌히 허락하시고 도움을 주

신 한대석 교수님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학위과정 동안 늘 관심과 배려를 보내주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의 학장님을 비롯

한 여러 교수님들, 그리고 국립의료원 간호대학의 학장님과 선후배 교수님들께도 감

사를 드립니다. 자료수집을 쾌히 허락해 주신 여러 기관과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

무엇보다도 피곤하고 불편한 가운데서도 끝까지 성실하게 응답해주신 연구대상자 여

러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면서 작은 결실이지만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

면 하는 마음입니다.

기도로 후원해 주시고 저의 빈자리에 항상 울타리가 되어 주신 어머님, 누구보다

도 가장 기뻐하시고 계실 친정아버님, 공부하는 아내에게 불편함이 많았을텐데도 말

없이 모든 것을 편하게 받아주고 격려와 사랑을 보내준 남편, 언제나 도움을 마다하

지 않던 사랑하는 아들 태원과 세원에게도 사랑과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시간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제 출발은 늦었지만

학문에 더욱 정진하면서 후학들에게 열과 성을 다 하는 것으로 받은 사랑에 보답하

고자합니다.

2001년 6월

손 영 희

Page 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차 례

차 례 ⅰ

표차례 ⅲ

그림차례 ⅳ

부록차례 ⅳ

국문요약 ⅴ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 문헌고찰 4

1.건강증진 행위에 영향 미치는 요인 4

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22

Ⅲ . 연구의 가설적 모형 25

1.가설적모형 25

2.변수의 정의 30

3.연구의 가설 32

Ⅳ . 연구방법 34

1. 연구설계 34

2. 연구대상 및 표집 34

3. 연구도구 35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9

- i -

Page 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5. 자료분석 방법 41

Ⅴ . 연구결과 4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2. 대상자의 질병과 관련된 특성 44

3.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45

4. 연구변수의 상관관계 48

5. 가설적 모형의 검증 52

6. 모형의 수정 및 검증 63

7. 연구가설의 검증 75

Ⅵ . 논의 78

1.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78

2. 연구의 의의 85

Ⅶ . 결론 및 제언 87

1. 요약 및 결론 87

2. 제언 90

참고 문 헌 91

부록 106

영문 요 약 115

- ii -

Page 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표 차 례

표 1. 가설적 모형의 이론변수와 측정변수 30

표 2. 연구 도구의 신뢰도 36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3

표 4. 대상자의 질병과 관련된 특성 44

표 5.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46

표 6. 연구변수의 상관관계 행렬 49

표 7. 연구변수의 공분산 행렬 51

표 8. 가설적 모형의 부합지수 53

표 9. 가설적 모형의 모수추정치(γ,β), T 값 및 SM C 58

표 10. 가설적 모형의 효과계수 62

표 11. 수정 모형의 부합지수 64

표 12. 수정 모형의 모수추정치 (γ,β), T 값 및 SM C 69

표 13. 수정 모형의 효과계수 74

- iii -

Page 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그 림 차 례

그림1. 연구의 가설적 모형 26

그림2. 가설적 모형의 경로도해 60

그림3. 수정 모형의 표준화잔차와 st em - leaf plot 66

그림4. 수정 모형의 Q - plot 67

그림5. 수정 모형의 경로도해 71

부 록 차 례

부록1. 설문지 106

부록2. 가설적 모형의 표준화잔차와 st em - leaf plot 113

부록3. 가설적 모형의 Q- plot 114

- iv -

Page 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국문요약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 주는 요인들을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

한 후 이를 검증한 공변량구조 분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가설적 모

형을 구축하여 가설적 모형과 실제 수집된 자료간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예측 모

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7개의 이론 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7개 이론 변수에

대한 측정 변수는 모두 12개이다. 외생변수로는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이며, 내생

변수로는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 행위

로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 보고형 설문지로 되어 있으며 2001년 2월 8일부터 3월 10일

까지 서울 지역에 소재한 인공신장실 7곳을 선택하여 그곳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236명을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대

상자 수는 230명이었다. 연구도구의 Cronbach ' s α값은 .66에서 .91의 범위를 나타

냈다.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 6명이 면담을 통해서 수집하거나 또는

본인이 직접 기재하도록 한 후, 설문지에 누락되는 항목이 없도록 점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 S S 9.02W IN program과 LISREL 8.12program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 부합도는 x 2 =128.56, p =.000, df=40, x 2/ df=3.21,

GF I=.91, A GF I=.83, RMR =.043, NNF I=.97, NF I=.97, CN =114.45로 모형수정이 필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수정은 간명성과 부합지수 및 이론적인 근거를 고려

- v -

Page 1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하면서 수정지수가 높은 4개 경로의 오차 상관 관계를 추가하였다. 수정모형의 부

합도는 x 2 =52.75, p =.035, df=36, x 2/ df=1.47, GF I=.96, A GF I=.92, RMR =.03,

NNF I=.99, NF I=.99, CN =255.47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보다 간명하면서도 부합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2. 가설적 모형에서 선정된 18개 경로 중 10개의 경로가 직접효과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계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나온 2개 경로는 기각되고

결과적으로 직접효과에서는 8개 경로가 지지되었다. 지지되지 않은 8개 경로

중 6개 경로는 간접효과 및 총 효과에서 유의하게 지지되어 총 18개 경로 중 14

개 경로가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변수는 사회적 지지, 건

강상태, 자기 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이었으며 내적건강통제위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자기 효능과 건강상태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

는 강력한 예측 변수였다. 특히 건강상태는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타나 건강상

태가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

으나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측 변수였고 지각된 장애성은 총효과에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건강상태는 직접적인 영향에서는 계수 방

향이 - 방향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에서는 계수 방향이 +방향으로 나타나 결과적으

로 총효과에서는 서로 상쇄되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을 통

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은 자기효능을 통해서 건

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으로 영향 주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 v i -

Page 1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지각된 장애성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상태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자기효능과 사회적 지지및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특히 자기 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은 간명하면서도

설명력이 높은 포괄적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액투

석 환자의 삶의 질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 심 용 어 : 혈액투석환자, 건강증진 행위

- v ii -

Page 1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Ⅰ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만성신부전은 신 조직이 더 이상 가능할 수 없는 상태로 완치가 불가능한 불가

역적 질환이다. 따라서 다른 만성질환과는 달리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받아야만 생

명연장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 나라에는 약 4만 명의 신장병 환자가 있고, 매년 약

3천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있다(보건복지 통계 연보, 1999).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혈액투석 환자들의 평균 수명은 연장되고 있으며, 이

들의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혈액투석 환자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

세에 있다. 이와 같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의 수명이 연장되고 그 숫자가

증가하면서 최근 이들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다른 만성질환과는 다르게 생명을 기계에 의존해야 하므로

많은 정신적인 부담을 가진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죽음에 대한 공포, 주당 2- 3

차례 반복되는 장시간의 치료로 인한 사회활동의 제한, 이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

움, 가족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감의 변화, 성적인 문제 등이 그것이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이러한 정신적인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오심, 구토, 소양증, 인지과정의 장

애, 근육경련, 피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신체적 문제들을 경험한다. 이러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대한 혈액투석환자의 반응은 불안과 우울 증세로 나타난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우울과 불안이 다른 만성질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다 (한상익과 김종익, 1987).

혈액투석 환자들의 우울은 신장이 기능을 못하게 되었다는 상실감, 식욕감퇴,

성적능력의 감소 및 불면증을 초래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 치료를 거부하거나 우

울증에서 벗어나기 위해 약물중독 및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많은 혈액투석환자

들은 자신이 투석을 받아야한다는 사실에 분노를 나타내며 이러한 분노 조절의

어려움은 대인관계는 물론 가족들과 의료진과의 관계에서도 장애로 나타난다.

- 1 -

Page 1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치료기간이 길어지면서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위축되기도

하면서 소극적인 성격이 되고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면서 고립되어 간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혈액투석환자들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많이 저하되어 있다

(St out , 1987).

최근 건강증진 행위는 질병 예방의 비용 측면이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건강

관리에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김성혜 (1993)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오복자 (1993)의 자궁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오현수(1993)의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현수 (1993)

의 연구결과에서는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변수들 중에서 오직 건강증진 행위만

이 삶의 질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행위는 혈액투석

환자에 있어서도 이들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가 될것으로 생각된다.

건강이 단지 질병이 없는 상태 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으로 최적의 안녕 상태 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정의되면서 그러한 건강을 증진시키

는 활동이 간호의 중요한 역할로 대두되고 있다. 간호사의 윤리강령에서도 간호의

기본 책임을 건강증진, 질병의 예방, 건강의 회복 및 고통의 경감이라고 밝히고 있

으며, 건강증진을 간호의 기본책임의 하나로 지적하고 있다.

지금까지 건강관련행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많은 연구들이 건강신념 모형의

틀에서 이루어졌다. 건강신념모형은 1950년대 초 질병예방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

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이 모형에 기초한 연구들은 질병예방행위와 환자역할행

위 및 질병행위에 초점을 두었다. 이행이 처방된 처치내용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건강증진 행위는 건강에 대한 개인의 참여를 중요시하고 질병에 적응하기

위한 행위 뿐 아니라 일반적인 안녕을 위한 필수적인 건강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즉 건강증진 행위는 본인에게 책임성과 주도성이 주어지는 것으로서 대상자 중심

의 개념이며 치료관련 행위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건강한 삶을 위해 수

행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M oore, 1990).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

- 2 -

Page 1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아가 합병증과 부작용으로 인한 의료비지출을 감소시켜 의료비절감 효과도 가져올

수 있으며, 혈액투석 환자들의 경제문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서미례, 1997).

그러나 혈액투석환자의 건강관련행위에 대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치료지시이

행이나 자가간호행위와 관련된 변수들의 단순한 상관관계만을 제시한 연구 (백훈

정, 1992; 이미숙, 1996; 장미영, 1996; 서미례, 1997) 이고,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들은

특정개념이나 현상을 중심으로 건강관련행위를 연구한 결과 서로 상이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어, 혈액투석환자의 건강관련행위를 설명하는 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건강

증진 행위에 영향 주는 변수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개

발의 지침을 제공하여 이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2 .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 각 개념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대

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

위에 대한 직·간접적 영향을 밝히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다.

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 간접효

과 및 총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상호간의 인과적 관계 및 그 강도를 규명한다.

3 ) 가설적 모형과 실제 자료간의 부합도를 검증하고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 3 -

Page 1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Ⅱ . 문헌고찰

본 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틀이 되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건강증진 행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사회적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에 대한 내용과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상

관관계 및 혈액투석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대해서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

로 고찰하고자 한다.

1.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 사회적 지지

(1 ) 사 회 적 지 지와 건 강 증 진 행 위 와 의 관 계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는 다차원적 개념으로서 주로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

을 주는 변인으로, 또는 스트레스의 충격을 감소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서 연구되어 왔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학자들간의 개념 정의에는 다소 차이가 있

지만, 박지원 (1985)은 대략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존경, 애정, 관심, 신뢰, 경험의 행위를 포함한 정서적지지, 둘째는 개인

이 문제에 대처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적지지, 셋째는 일을

대신해 주거나 돈, 물건을 제공하는 등 필요시 직접적으로 돕는 행위를 포함한 물

질적지지, 그리고 넷째는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거나 부정하는 등 자기 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이다.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대체로 상호작용을 통해서인데 낯선 사람들

과의 일시적이며 불안정한 상호작용이라기 보다는 대체적으로 안정된 사회맥락에

서 일어나기 때문에 지지의 근원은 부모, 배우자, 친구들, 직장동료, 전문가 등이

며, 이와 같은 구조적인 것뿐만 아니라 이들 관계에서 얻어지는 지지의 내용이나

- 4 -

Page 1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질이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삶의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를

중재하고 직접적인 효과를 주기 때문에 개인의 안녕에 중요하며 건강과 사회 심

리적 안녕에 역동적인 관계가 있다. 그 중에서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

지의 예측인자들은 친구, 지지 망의 크기, 연령, 성별, 결혼상태, 경제상태, 위협이

되는 생활사건으로부터의 높은 질적 지지 등이다(H orm an , 1989).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 주는 원천으로는 배우자나 친척, 친구들과 같이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개별적 지지원과 의료전문가들이나 조직 및 기관 등에서 주어지는

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오가실, 한정석, 1990).

따라서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 결속을 통하여 의미 있는 사람들로부터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물질적 조력이라고 할 수 있다.

만성질환 자들은 그들의 가족구성원에 의해 무엇보다 크게 영향을 받게 되며,

가족의 지지는 만성질환자의 장단기적 회복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환

자에게는 의료인이 정보적, 정서적인 지지 체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족 등

의 비공식적인 관계에 의한 것보다는 의료인 등에 의한 공식적인 지지가 더 효과

적이라고 보고하였다 (Kaplan , 1977).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환경을 통합하는 능력이나 지침으로서 건강에 직접적이

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으로 보는 측면(W einert , 1987)과 생활사건에

따라 반응이나 해석을 조정하여 질병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중재병인으로 완충효

과가 있다는 측면으로 구분한다 (오가실 등, 1994; 최스미, 1993; W einert , 1987).

그러나 T h oit s (1982)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가 스트레스의 완충효과에 치

중되고 있으며, 정확하지 않은 개념적 정의를 포함한 방법론적 결함들로 인하여

사회적 지지를 다원적 개념으로 다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와 다른

변수들의 상호작용 효과로 인하여 연구결과가 혼동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심리적인 적응을 도와 좌절을 극복하게 하고 질병으로부

터 회복기간을 단축시키고 힘을 강화하여 재활 기간을 단축시킨다는 측면에서 완

충효과가 강조되고 있다(Murphy , 1986; Christm an , 1990)

많은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 행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밝혔다 (박

재순, 1995; 서연옥,1995; 윤순녕과 김정희,1999; Hubbard, Muhlenkam p & Brown ,

- 5 -

Page 1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1984: W ankle, 1985: Zimm erm an & Connor , 1989; Riffle, y oho & S am s , 1989;

Yascheski & M ahon , 1989; F rank, Cam bell & Shields , 1992; M cM anu s , 1996)

연구 결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박재순 (1995)

및 서연옥 (1995)의 연구, 제조업에 종사하는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윤순녕과

김정희 (1999) 연구결과에서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 행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만성질환자의 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검증한 연구에서

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주현자, 1993),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문희, 1995),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박오장, 1997, 김숙영, 서연옥, 1997)

에서 사회적 지지는 만성질환자의 이행에 우선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Hubb ard, Muhlenkam p과 Brow n (1984)은 5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 행위는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사회

적 지지가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변량의 14%를 설명한다고 하였다. W ankle (1985)

의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이었다.

Zimm erm an과 Conn or (1989)는 건강행위를 변화시키는데 가족과 친구, 의료진들

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그 중에서 가족의 도움이 가장 크다고 하였다.

Riffle, y oh o와 S am s (1989)도 노인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조사한 결과, 사회적 지지

와 건강증진 행위의 하위개념인 자아실현, 건강책임, 대인관계 지지와 스트레스 관

리간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 가족구성원이나 친구, 동료와의 상호관계가 좋을수

록 개인은 건강증진 행위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Yascheski와 M ah on (1989)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실천에 긍정

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연령, 교육정도 및 성별 등 인

구학적 변수간의 인과구조를 설명하였는데 사회적 지지는 건강실천과 가장 유의

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 r ank , Camb ell과 Shields (1992)는 사회적 관계(사회적 지지와 가족관계)가 건

강행위에 직접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에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가 건강행위

(r =.32)에 직접 효과가 있었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위 간의 연관성을 이

- 6 -

Page 1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해하는데 가족기능이 일차적인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에 있는 35명의 만성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 (M cM anu s , 1996)에서도 사회적 상호작용과 건강증

진 생활양식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결과도 일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건강

증진 행위 예측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2 ) 사 회 적 지 지와 내 적 건 강통 제 위 , 자기 효 능 및 자 아 존 중 감 과의 관 계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도와 좌절을 극복하게 하고 문제 해결 시

에 도전을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개인의 능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완충 효과로서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와 내적건강통제위의 관계를 살펴보면, 박재순 (1995)은 중년후기 여

성의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내적건강통제위에 영향을 줌

으로써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과의 관계를 보면, Cox (1986)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

록 자기효능이 높다고 하였으며 이는 구미옥 (1992)의 당뇨환자에 대한 연구와 중

년여성 (박재순, 1995; 서연옥, 1995), 암환자 (오복자, 1994), 대학생 (임미영; 1999)

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서연

옥 (1995)의 연구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임미영 (1999)의 연구결과에서 사회적 지

지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한편, Muhlenkam p와 S ayles (1986)는 98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

지와 자아존중감, 자가간호 실천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

호의 실천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으나, 사회적 지지는 자가간호에 직

접적인 효과가 없었으며,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 7 -

Page 1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고 할 수 있다.

2 ) 건강상태

(1 ) 건 강 상 태 와 건 강 증 진 행위 와 의 관 계

최근 들어 건강지각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인간은 대부분

건강에 대해 그들 스스로가 인지하고 어떻게 느끼는가에 따라 주로 행동하므로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건강증진 행위의 동기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

이다(이미자, 1992). 최근에 임상적인 사정 대신에 주관적 건강상태를 이용한 연구

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좋게 평가하는 것이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큰 영향이 있

다고 하여 자가 평가한 건강상태가 임상적인 사정결과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고

(Cockerham , Sh arp , & W ilcox , 1983 ; W are, Brook , Davis & Lohr , 1981)보고하

였다. 대상자 스스로가 자가 평가한 건강상태는 보통 안녕 지향적인 평가이므로,

질병보다는 안녕을 강조하고 있는 건강증진 측면에서 본다면 자가평가에 의한 건

강평가 방법은 다른 방법보다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F ehir , 1988). 주관적으로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객관적인 측정보다 생리적, 생물학적 변화를 더 잘 인

지하며,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체계간의 저항과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강의 사회 심리적 구성요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Goldst ein , Sieg el

& Boy er , 1984).

Sm ith , Shelly와 Denn er st ein (1994)의 연구에서 건강을 나쁘게 지각하는 것은

신체적으로 아픈 상태에 있음을 반영하고, 좋게 지각하는 것은 질병이 없는 상태

일 뿐 아니라 연령, 결혼상태, 직업상태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자아상

(self - im ag e)을 포함한 보다 복합적인 개념을 반영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건강상태

는 객관적으로 측정된 건강상태 보다 본인의 주관적인 느낌에 의한 건강 상태가

더 정확하게 대상자의 상태를 반영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8 -

Page 2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H ann er (1986)의 연구에서는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간에 유의한 상관관

계를 보였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한 Nicholas (1993)의 연구에서도 건강상태와 자가

간호 실천이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Riffle, Yoh o와 S am s (1989)는 노인집단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상태가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주요 예측요인임을 밝혔다.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과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관계는 많은 선행연구 (박

재순, 1995; 서연옥, 1995; 박나진, 1997; 임미영, 1999; 김영미, 2000; 김명숙, 1999;

Dishm an , S allis & Ob stein , 1985; Speake,Cow art &P ellet ,1989; Killeen ,1989; ;

Desm ond et al., 1993; Duffy ,1993 ) 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박재순

(1995), 서연옥 (1995)의 연구결과와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박나진 (1997), 김

영미(2000)의 연구결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김명숙 (1999)의 결과에서 건강상태

와 건강증진 행위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상태가 높을수

록 건강증진 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uffy (1993)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유

의한 예측인자로 현재의 건강상태와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을 제시하였다.

Speake, Cow ard와 P ellet (1989)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현재의 건강상

태가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하위개념인 영양, 자아실현 등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

였으며 Killeen (1989)은 현재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건강증진 행위에

더 많이 참여한다고 하였다. Gillis 와 P erry (1991)의 연구에서도 건강상태는 신체

활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Dishm an 및S allis 와 Ob stein (1985)은

건강상태를 좋게 지각하는 것이 신체활동의 유지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대상자의 실제적인 건강상태를 반영

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으며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2) 건강상태와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건강상태와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보면, 김영미

- 9 -

Page 2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2000)는 산업장 근로자 280명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행위 예측요인에서 건강상

태와 자기효능,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 및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김명숙 (1999)은 간호사 286명을 대상으로 한 간호사

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요인에서 건강상태와 자기효능,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두 연구 모두에서 건강상태와 지

각된 장애성은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미례 (1997)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환자역할이행이 높다고 하였다.

임미영 (1999)은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예측모형에서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자아존

중감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및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

며 특히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은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

강상태가 좋을수록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은 높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3 ) 내적건강통제 위

(1 ) 내 적 건 강 통 제위 와 건 강 증진 행 위 와 의 관 계

건강통제위는 사회학습이론에서 유도된 개념으로 어떤 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은

그 행위가 가져올 결과와 그 결과의 보상적 가치에 대한 기대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어떤 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개인적인 신념이라고 볼 수

있다.

통제위는 개인에게 일어난 것 (결과)이 자신에 의해 (내적통제위) 또는 외적 요

인에 의해 (외적통제위) 통제된다는 개인의 일반화된 신념(generalized belief )이다.

이는 행위에 영향을 주는데 일반적으로 내적통제위를 가진 사람이 외적통제위를

가진 사람보다 독립적이고 자신의 판단에 의존하며 타인의 영향이나 통제에 민감

- 10 -

Page 2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하지 않고 건강정보를 더 적극적으로 찾고 학습하여 건강행위를 잘하는 경향이

있다(Phares , 1976).

W allston 및 W allst on과 Dev ellis (1978)은 Rott er의 통제위 개념을 건강영역에

적용하여 자기활동 효능성에 대한 개인적 신념을 내적, 우연, 그리고 유력한 타인

의 범주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도구의 측정으로 건강습관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후에 많은 연구가 이 도구를 이용하여 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보

고하여 왔다.

이러한 통제위는 행동결정에 있어 인간의 인지를 고려하며 또한 행위의 강화

사이에서 주위 환경을 조절하려는 기대와 관련하여 행위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

서 자기 효능과 같은 맥락을 유지하고 있다(Ban dura , 1977).

통제위는 개인의 기질적 개념화 (T rait con ceptu alizat ion )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일어나는 사건을 통제할 수 있다는 개인의 일반화된 신념(Generalized Belief )을

나타내는 반면 자기효능은 자신이 환경과의 매우 특별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갖게 되는 기대에 의거하여 주어진 상황에 대해 할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

한 신념 (Specific - Dom ain Belief)을 나타낸다.

그리고 통제위와 자기효능이론 모두에서 자기통제(S elf- Control)의 기전을 강조

하고 있지만 자기효능에서는 모방 과정을 통한 행동의 조절과 획득에 초점을 맞

추고 있다.

내적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논문을 살펴보면 Speake 및

Cow art와 P ellet (1989)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내적 통제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가 높다고 하였고, 이영휘(1988)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내

적건강통제위가 개인, 가족, 지역사회에 대한 치료, 예방, 개발행위를 포함하는 건

강행위 실천과 관련됨을 보고하였다. 이태화(1989)는 성인 34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내적건강통제위가 건강생활양식과 관련된다고 보고하였다.

신혜숙 (1997)은 여대생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행위에서 내적건강 통제위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Duffy (1993)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 내적통제위는 건강증진생활방식에 유의한 예측인자라고 하였다.

이 외에도 다수의 연구 (박재순, 1995; 김효정과 박영숙, 1997; 이규난, 김순례,

- 11 -

Page 2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1998; 김경미, 1999; P ender et al., 1990)에서 내적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행위와의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

을 주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2 ) 내 적 통 제 위 와 자 기 효 능 및 자 아 존 중감 과 의 관 계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 자기가 전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가진 사람은 자기 효능의 신념이 높아서 건강 유지를 위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

집하거나 건강을 해할 가능성이 높은 행동이나 유해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회피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한테 더욱 잘 나타난다.

따라서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인 사람일수록 자기 효능과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내적건강통제위는 자기 효능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내적통제위와 자기효능과의 상관 관계에서는 중년후기 여성 417명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행위 모형구축에서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재순, 1995).

발전소 근무 근로자 280명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행위 예측요인에서도 내적

통제위와 자기효능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미, 2000).

흡연, 비흡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행위 연구에서 내적통제위가 높

은 경우 자기효능도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건강증진 행위도 높은 것

으로 나타나 내적통제위는 자기효능을 매개로 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밝혀졌다(M art in elli, 1999).

내적통제위와 자아존중감의 상관 관계에서는 위암환자 169명을 대상으로 한 건

강증진 행위 예측모형에서 내적건강통제위와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즉,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오복자, 1994).

또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내적건

강통제위는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미, 1999).

- 12 -

Page 2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14세- 19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제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에서도 내적통제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ullis &

Mullis , 199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내적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효

과 뿐 아니라 자기효능 및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효과

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내적건강통제의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과 자아존중

감은 높다고 할 수 있다.

4 ) 자기효능

(1 ) 자 기 효 능 과 건 강 증 진 행위 와 의 관 계

자기효능 이론은 Bandura가 인간의 인지를 강조하면서 제시한 이론으로 심리

학 분야에서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한 이론이다.

자기효능은 어떤 사람이 가진 기술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그가 가지고 있는

기술로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판단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 효능이란 특수한 상항에서 특수한 행위를 수행하는 개인의 믿음과

자신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Ban dura , 1977).

Bandura (1977)는 사회학습이론에서 자기효능 개념을 인간행동 변화의 주요결정

인자로 제안하면서 자기효능은 성취경험, 언어적 설득 및 대리경험으로부터 도출

되며 이들에 의해 학습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자기효능은 개인적 숙련성에

대한 기대이며 개인의 자기효능부족의 가장 심각한 상태는 자신에 대한 통제를

완전히 상실하는 것이라고 함으로써 개별성을 강조하였다. 즉 자기효능 개념의 가

장 기본적인 속성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과 내적인 힘이며 학습되

어지며 개별적인 것이다 (구미옥 등, 1994).

또한 자기효능은 개인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행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며 이는 시행한 행위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개

인의 평가 기대와는 구분된다 (김남성, 1991). Ban dura (1986)는 또한 지각된 자기효

- 13 -

Page 2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능이란 정해진 업무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화하고 실행하는 능

력에 대한 개인의 판단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특히 자기효능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건강행위를 변화시키는데 직접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김주현, 1995). 즉 자기효

능이 높은 사람은 어려운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할 것이며

자기효능이 낮은 사람은 쉽게 포기하게 된다.

이상의 결과를 고찰하면 자기 효능이란 특이한 상황에서 개인이 어떤 행위를

수행할 때 그가 그 행위를 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자기효능은 여러 연구에서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가장 강력한 예측인

자로 확인되었다 (구미옥, 1992; 오현수, 1993; 박재순, 1995; 김효정과 박영숙,

1997; 이미라, 1997; 김희주, 1997; 송영신, 이미라, 안은경, 1997; 이종경, 1997; 소

희영, 이영란, 손식영, 1997; 조루시아와 최순희, 1998; 박은숙 등, 1998; 이규난과

김순례, 1998; 홍명희, 2000; 정미숙, 1999; 임미영, 1999; P ender et al., 1990;

W eitzel & W aller , 1990; M cAuley & Jacob son , 1991; Desm on d et al,. 1993).

자기효능은 개인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서, 건강증진 생활방

식인 자아실현, 대인관계지지, 스트레스 관리와의 상관관계가 건강통제위 개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W eit zel, 1989; P alank , 1991).

따라서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를 직접적으로 동기화 시키고 행동의 시행이

나 유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P ender , 1996).

자기 효능과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미옥 (1992)은 당뇨환자의 자기 효능은 자가간호행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오현수 (1993)는 만성관절염 환자의 자기 효능과 건강증진 실

천행위와 긍정적 관계가 있었음을 보고하였고, 오복자 (1994)는 위암환자의 자기효

능이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종경 (1997)은 요통환자의 운동예측 모형에서 운동효능은 운동이행과 직접적

인 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임미영(1999)은 한국대학생의 건강증진예측 모형에서

자가효능이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건강증진센

터에 내원한 17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정미숙, 1999)에서도 자기효능이 건강증진

- 14 -

Page 2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행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많은 연구들이 자가효능과

건강증진 행위의 상관성을 보고하면서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

는 변수라고 하였다.

W aller 등 (1988)의 연구에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군과 참여하지 않

는 군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증진 프로

그램에 참여하는 군의 생활방식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수는 자기효능으로 나타

났다. 이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에 관련된 요인을 밝힌

Alexy (1991)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Gotn er와 Jenkin s (1990)는 수술 후 회복기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자

기효능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Kelly , Zy zan ski와 A lem agno (1991)의 연구에서는

건강증진에 대한 동기와 행위변화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 자기효능이라

고 하였다.

Lu sk , Ronis , Kerr (1994)는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

방식에 가장 큰 직접 효과를 주는 요인이 자기효능임을 밝혔다.

W eit zel(1989)은 노동자 179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모델을 검증한 연구에서 인

구학적인 변수와 인지 지각요인 중 자기효능이 단계적인 다중회귀분석에서 건강

증진 행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라고 하였다.

또한 19- 70세인 397명의 멕시코계 미국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Duffy , Rossow &

H erm andez, 1996)에서도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생활습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

계가 있었고, 근로자들의 청각보호기 사용을 설명하는 건강증진모형을 검증하는

연구(Lu sk , Ronis & Kerr , 1994)에서도 편의추출한 645명의 전동장치 근로자의 청

각보호기 사용은 자기효능이 높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5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Lu sk , Ronis와 H ogan (1997)의 연구에서도 자기

효능은 소음에 노출시 귀마개의 사용과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이었다. M artinelli (1999)의 23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기효

능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의 수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은 건강

증진 생활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15 -

Page 2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자기효능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성공적인 과거경험이며 자기효능과 관련되어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지식, 태도, 대중매체 등을 들 수 있는데, 자기효능

의 신념이 강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과 비교했을 때 목표성취를 방해하는 도전

이나 어려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을 한다(M cGuire, 1981).

이러한 자기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으로 제시된 것은 성취경험과 대

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으로서(Ban dura , 1986) 건강행위의 유형이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중재방법이 적용되어 왔다(구미옥 등, 1994). 역할모델이나

사회적 강화와 같은 특수한 행위에 중점을 둔 중재방법들은 자기효능과 목표가

되는 행위를 증가시키고, 지속적인 환경변화와 사회적 지지는 신체활동과 자기효

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H ofesteller , S allis , & Hov ell, 1990).

자기효능을 이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중년 여성에게 제공하는 실험연구(김

금자, 1999)에서도 효능기대를 높이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건강증진

행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연구로 자기효능을 이용한 교육프로

그램(송애리, 1998)이 중년여성의 자기효능을 증가시켰고 증가된 자기효능은 폐경

관리 수행을 증진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고찰하면 자기효능은 개인이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 신념으로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로 많은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따라서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며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

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2 ) 자 기 효 능 과 내 적 통 제 위 와의 관 계

통제위는 개인에게 일어난 것 (결과)이 자신에 의해 (내적통제위) 또는 외적요인

(외적통제위)에 의해 통제된다는 개인의 일반적인 신념이다.

통제위는 자기효능과 구분된다. 즉, 통제위는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인 반

면에 자기효능은 특정상황에서의 특정행위에 대한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

또한 통제위는 자기효능보다는 행위와 결과간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과 주

로 관련되며 자신의 행위에 의해 결과가 결정된다는 확신은 자기효능 정도에 따

- 16 -

Page 2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Bandura , 1986; Law ran ce, M cLeroy , 1986). 즉 효

능기대가 어떤 과업을 성취할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라면, 결과기

대는 그 행동에 의해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판단이다. Bandura (1986)는 이 두가지

기대는 서로 상반된 것이 아니고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자기효능과 내적통제위의 상관관계에서 내적통제위가 자기효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결과(박재순, 1995; 김영미, 2000; M artinelli, 1999 )는 있으나 자

기효능이 내적통제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밝혀진 바가 드물다. 그러나 통제위

와 자기효능과의 관계를 정리한 Rosen st ock , Strech er와 Becker (1988)에 의하면 어

떤 행위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내적통제위와 자기효능이 둘다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이 내적통제행위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검증은 필요한 것으

로 판단되어 검증하고자 한다.

이상의 결과를 고찰하면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또

한 내적건강통제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 지각된 장애성

(1 ) 지 각 된 장 애성 과 건 강 증진 행 위 와 의 관 계

지각된 장애성은 인간 행동이 외적자극에 대하여 개인이 의미를 가질 때 영향

을 받게 되므로 건강증진 행위와 부정적 관계가 예측된다. 여러 가지 실험연구에

서 예상되는 장애는 특정행위에 참여하거나 실제 이행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는 쓸모 없음, 불편함, 비용 부담, 어려움, 시간 소모 등

과 관련된 개념으로 구성되며, 종종 걸림돌, 장애물, 주어진 행동을 이해하는데 드

는 개인적 손실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는 보통 회피를 동기화 시킨다. 행동하기

어렵고 장애가 많을 때 행동은 잘 일어나지 않으며, 반대로 행동하기 쉽고 장애가

적을 때에는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각된 장애성은 Becker (1974)의 건강신념 모형에 포함된 이래 현재까지 관심

을 불러일으켰으며 많은 연구에서 건강증진 행위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

- 17 -

Page 2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다 (구미옥, 1992, 1994; 오복자, 1994; 이종경, 1997; 박나진, 1997; 조루시아, 최순

희, 1998; 윤순녕과 김정희, 1999; 김경미, 1999; 정미숙, 1999; S allis et al., 1989;

P en der , W alker , S echrist & Strom borg , 1990; Kerr , 1994; Lu sk , Ronis & Kerr ,

1994; Jones & Nies , 1994; Garcia , Norton - Broda & F renn , 1995; Lu sk , Ronis &

H og an , 1997).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69명의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오복자,

1994)에서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준 유의한 변수였다. 그리고

산욕부 104명을 대상으로한 연구(조루시아, 최순희, 1998)와 요통환자 200명을 대

상으로 한 연구 (이종경, 1997), 건강증진센터 내원자 17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정

미숙, 1999)에서도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지

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직접효과에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연구에서 지각된 장애성과 건강증진 행위는 역상관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 echrist , W alker 및 P ender (1987), S allis 등 (1989) 및 Steinh ardt와

Dishm an (1989)의 연구에서 운동행위에 대한 지각된 장애성이 운동을 예측하는 가

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또한 자각된 장애성은 건강행위의 지속적인 이행과

가장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지각된 장애성의 내용으로 가장 흔히 보고되는

것은 시간 부족으로 나타났다(Slenker , Price, Robert s & Jur s , 1984).

특히 Lu sk 및 Ronis와 Hogan (1997)의 연구에서는 지각된 장애성이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였다. Hofest ett er , S allis와 Hov ell (1990)은

성인 205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운동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한 장애성이 가장 큰 영향변수라 하였다.

그리고 근로자들의 청각보호기 사용을 설명하는 건강증진모형을 검증한 연구

(Lu sk , Ronis& Kerr , 1994)에서 645명의 전동장치 근로자의 청각보호기 사용은

장애성이 낮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각된 장애성과 건강증진 행위와는 유의한 역상관

- 18 -

Page 3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낮

다고 할 수 있다.

(2 ) 지 각 된 장 애성 과 자 기 효능 및 자 아 존중 감 과 의 관계

당뇨환자의 자가간호 행위를 연구한 구미옥 (1992, 1994)의 연구에서 지각된 장

애성은 자가간호 행위에 대한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으나 자기효능을 통한 간

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모형에서 지각된

장애성은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즉, 지각된 장

애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임미영, 1999.)

김경미 (1999)는 항암요법을 받는 소화기 암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요인에

서 지각된 장애성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찰할 때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

주는 요인이며 또한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도 있다고 할

수 있다.

6 ) 자아존중감

(1 ) 자 아 존 중 감 과 건 강 증 진 행 위 와 의 관계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에 대한 부정적 태도 또는 긍정적 평가와 관련하여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말한다. Crou ch와 Straub (1983)는 인생 초기

의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비교적 변하지 않는 토대에서 형성되는 기초적 자아존

중감과 인생 후기에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계속되는 평가를 통해 발전되는 기능

적 자아존중감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자아존중감은 실제로 기초적 자아존중감을 능가할 수 있고 변할 수 있

는 것이며 성인에서 자아존중감은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경험을 통해 변화된

- 19 -

Page 3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다고 하였다. 그밖에 Miller (1992)는 자아존중감은 만성질환자가 적응할 수 있게

하는 힘의 원천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건강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은 많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그 중 하나가 자아존중감이다. 높은 자아존

중감은 새로운 역할에 대한 책임과 목표 성취에 대한 개인의 잠재력을 제공한다.

P ollock (1984)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성격 특성으로서 사회 심리적 적

응에 영향을 주며, 강인성의 개념과 함께 개인의 내적 지지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있는 인간으로 인지하는 것으

로서 자신의 능력, 성공여부, 중요성 등 자신의 가치에 대한 개인적 판단으로 자신

이 얼마나 자신의 기준에 잘 부합했는가를 분석하고 타인과 비교하여 자신의 수

행이 얼마나 훌륭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진다.

자아존중감은 1982년 P en der가 건강증진 모형을 발표할 때에는 자아존중감 개

념을 모형에 포함시켰으나 실증적 증거의 부족으로 제외시켰다. 그러나 건강증진

행위와의 영향요인을 조사한 연구들이 뒤따라 발표되면서 3차 개정된 건강증진

모형(P en der , 1996)에서 자아존중감을 개인의 심리 요인에 포함시켰다.

김혜숙과 최연순(1993)은 자애개념과 자아존중감이 청년의 정신건강에 결정적

역할을 가져오게 하며 더불어 좋은 건강을 가져오게 한다고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서 이 욕구의 충족여부는 중요한 문제라

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알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알

아야 한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의 기초가 되고 건강한 사회적 능력을

가져오는 기반이 되므로 자아존중감이 낮으면 질병에 걸리기 쉽고 높으면 질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T aft , 1985).

건강관련행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로는 먼저, H allal (1982)은

유방자가검진행위와 건강신념, 건강통제위, 자아개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대상자가 유방자가검진 시행횟수가 많았다고 하였고 Duffy (1988)의 262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연성건강통제위(13% ), 자아존중감 (6% ), 건강

상태(2% ), 건강관심(2% ), 고학력 (1% ), 내적통제위 (1% )가 전체 건강증진 생활양식

의 25%를 설명한다고 하였다. 이태화(1989)와 박인숙 (1995)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

- 20 -

Page 3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

행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영향력있는 변

인은 자아존중감이라고 하였다.

윤진(1990)의 285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건강증진 행위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2.1%이었

다. 이혜련(1995)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가간호수행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가간

호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김건효 (1999)는 혈액투석환자의 자존감,

사회적지지와 자가간호 이행과의 연구에서 자존감과 자가간호 이행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백경신과 최연희(1998)는 당뇨환자의 환자역할행위에 관한 연구에

서 자아존중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도

많은 연구(이태화, 1989; 최스미, 1993; 이종경과 한애경, 1996; 오복자, 1996; 전정

자와 김영희, 1996; 김효정, 박영숙 등, 1997; 박명희, 1997; 김희주, 1997; 이미라,

1997; 이규난과 김순례, 1998; 이경희와 김태주, 1999)에서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

생활 양식과의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된 연구를 고찰한 결과 자

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실천하는데 긍정적 태도를 보인다

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고찰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다고 할 수 있다.

(2 ) 자 아 존 중 감 과 자 기 효 능 과의 관 계

자기 효능은 어떤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다. 자신

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높다는 것은 자신에 대한 태도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자기 효능은 증진될 수 있다(Sherer & Maddux , 1982).

대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모형에서 자아존

중감은 자기효능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

기효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미영, 1999).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있어서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자기효

능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1 -

Page 3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2 .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혈액투석 환자는 완치가 불가능하고 다른 만성질환과는 달리 기계에 의존하여

생명을 연장한다. 따라서 이들은 장기간의 지속적인 치료와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생존율이 높아지고 이들의 수명이 연장

되고 혈액투석 환자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건강증진 행위는 질병 예방의 비용효과 측면이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건강 관리에 주요 관심이 되고 있다. 건강증진 행위는 안녕 수준, 자아실현 및 자

기 성취를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 행위로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행위라고 할

수 있으며(P en der & pen der 1987) 인간- 환경의 상호 과정에서 삶의 형태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P ar se, 1990). 김성혜 (1993)의 노인을 대상으

로 한 연구와 오복자(1993)의 자궁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오복자(1994)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에게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는 것은 바로 삶의 질에 영향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첫째, 지속적인 처치와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약물복용, 식이와 수분제한 등 혈액투석과 관련된 행위의 수행,

안녕 상태의 유지, 건강유지를 위한 생활 습관의 변화이며 둘째, 혈액투석환자는

일주일에 2- 3회 통원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건강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자신에

게 있다는 것이며 셋째, 혈액투석 환자는 완치가 불가능하므로 그들의 일상 생활

속에 건강증진 행위가 통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혈액투석환자의 식이요법은 몸속의 노폐물의 축적을 감소시켜 요독증을 방지하

며, 신장의 기능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적절히

제한된 양질의 단백질 섭취와 충분한 열량섭취가 이루어져야 하며, 부종과 혈압상

승을 방지하기 위한 염분의 제한과 폐나 다른 기관의 수분축적 방지와 투석 시의

- 22 -

Page 3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고혈압, 심폐부종, 심부전을 예방하기 위해 수분이 제한되어야 한다 (Lan caster ,

1984).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부분의 환자들이 약을 복용하므로 적절한 지시에 따

른 약물복용이 필수적이지만 배설불량으로 약물의 지속시간이 길어져 예상외의

효과를 나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혈액투석환자는 피로가 쉽게 오므로 격렬한 운동은 피하고 체조나 걷기, 가벼

운 등산 정도가 좋으며, 피로를 느끼지 않을 정도의 운동이 도움이 된다. 수면은

휴식에 중요하므로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건강수준이 약

화되어 있고,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체에서 일어나는 증상과 증

후에 민감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스트레스원에 노출되어 있는 혈액투석 환자에

게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이들이 건강증진 행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사회생활관리는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욕구만족과 보람을 느끼는 영역이지만,

혈액투석환자 자신이나 의료인에 의해 간과되기 쉽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 상호간

의 신뢰와 도움이 바탕이 되는 감정적인 결속으로 여러 가지 정보와 심리적 지지

를 줌으로써 위기를 경험하는 개인을 보호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시켜

준다(Broadh ead & Kaplan , 1991).

이행이 처방된 처치내용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건강증진 행위는 건강에

대한 개인의 참여를 중요시하고, 질병에 적응하기 위한 행위뿐 아니라 일반적인

안녕을 위한 필수적인 건강관련 행위를 포함하며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건강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는 질병중심에서 안녕 중심으로 그 초점이 바뀌어

져 왔으므로, 행위의 접근도 단일한 것에서 통합된 형태로 다양하다. 행위요소들 간

에는 상호관련성이 있으며, 한가지 행위에 대한 결정요인이 다른 행위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P ender & Pender , 1987). 그러나 이런 다양한 행위의 궁극적 목표는 최

적의 안녕 상태로 나아가는 데에 있으므로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이나 예방, 현재 건

강상태의 유지, 증진 등은 안녕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의 한 단계로 볼 수 있다.

건강증진 행위란 생명, 건강, 안녕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일상생활 활동을

스스로 수행하는 행위를 말하며, 개인이 건강에 책임을 느끼고, 생활 양식의 변화

- 23 -

Page 3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를 가져옴으로써 좋은 건강 상태와 높은 수준의 안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 ann er , 1991). 건강증진 행위는 간호분야에서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자신을 돌볼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고,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선택

을 하며, 의도적인 활동을 하는 책임감이 있고, 사고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안녕 수준은 그 사람의 건강증진 행위 수행 능력 정도와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의식의 강화 및 행동의 변화, 바람직한 건강습관을 지지하는 환경조성의

결합을 통해 강화될 수 있다 (O 'Don ell, 1989).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목표는

단순히 환자가 치료 지시 이행을 잘 하도록 하는 소극적인 방법보다는 이들이 건

강증진 행위를 통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건강관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삶의 질 향상이나 비용- 효과면 에서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24 -

Page 3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Ⅲ . 연구의 가설적 모형

1. 가설적 모형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선행연구 결과와 문

헌고찰을 근거로 하여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자기 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을 포함하여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이 혈액투석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들이 있었지만,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중재 가능성이 있

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개발이 본 연구의 목적인데 반하여 인구학적 특성

들은 이미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으로서 간호중재 전략에는 중요하

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중재를 통하여 변화가 어려운 요인들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지지 , 건강상태 , 내적통제위 , 지각된 장애성 , 자아존중감은 단일변수로

측정하였고 , 자기효능은 구체적 자기효능과 일반적 자기효능으로 측정하였으며 ,

건강증진 행위는 자아실현 , 건강책임 , 운동 및 영양 , 대인관계 및 스트레스 관리

영역으로 측정하였다 .

각 요인 간의 경로에 대해 살펴보면 < 그림 1> 과 같다 .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에 있어서 의미 있는 사람에 대한 기대 및 영향,

건강전문인과의 상호작용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이 건강증진 행

위에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P en der & P en der ,1987).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에서는 사회적 지지는 인간 행동의 매개요인으로 작

용하여 인간의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했으며, 이성적 행위이론에서는 행

위수행의도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시하고 있다.

- 25 -

Page 3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2

6-

Page 3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많은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윤순녕과

김정희, 1999; 주현자, 1993; 박재순, 1995; 서연옥, 1995; 김숙영과 서연옥, 1997;

Zim m erm an과 Connor , 1989, Riffle, Yoho & S am s , 1989; Yasch eski & M ahom ,

1989; F rank , Camb ell & Shields , 1992; Lu sk , Ronis & H og an , 1997), 또한 사회

적 지지는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이를 통

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미옥, 1992; 박재

순, 1995; 서연옥, 1995; 오복자, 1994, 1996; 임미영, 1999; Cox ,1986)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와 내적건강

통제위, 자기효능,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건강상태는 인간행동이 자기강화 즉 행동결과에 대해 주관적으로 만족스러움을

느낄 때 영향을 받으므로 스스로 건강하다고 만족스럽게 생각한 경우, 건강증진

행위와 긍정적인 관계가 예측된다. 따라서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서연옥, 1995; 박재순, 1995; 박나진, 1997; 임미영, 1999; 김명숙,

1999; 김영미, 2000; P ender et al., 1990; Duffy , 1993) 또한 건강상태는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박나진, 1997; 서미례,

1997; 김명숙, 1999; 임미영, 1999; 김영미, 2000; Lew is , 1982), 이를 통하여 건강증

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경로로 또한 자기효

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에 직접적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건강통제위는 행동의 강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에 영향을 받게되고 행동결

과나 강화가 자신의 노력과 능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건강증진 행위와 긍정적인

관계가 예측된다. 따라서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

고 (이영휘, 1988; 이태화, 1989; 박재순, 1995; 신혜숙, 1997; 김경미, 1999; 김영미,

2000; Speake, Cow art & P ellet , 1989; P en der , W alker , S echrist & Stromb org ,

1990; Duffy , 1993), 또한 자기효능,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오복

- 27 -

Page 3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자, 1994; 박재순, 1995; 김경미, 1999; Lew is , 1982; Mullis & Mullis , 1997;

M art in elli, 1999) 이를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또한

자기효능,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해 건강증진 행위에 간

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자기효능은 Bandura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Bandura는 자기효능의 영향요인으로 성공적인 성취경험을 제시하였다. 성취 경

험은 행동 수정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으로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자기 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구미옥, 1992; 오현

수, 1993; 오복자, 1994; 박재순, 1995; 장미영, 1996; 김희주, 1997; 이미라, 1997;

이종경, 1997; 박나진, 1997; 김명숙, 1999, 임미영, 1999; S allis et al., 1989; Alexy ,

1991; P ender et al., 1990), 내적통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경로를 설정하였다.

선행연구 조사 결과 자기 효능이 내적건강통제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결

과는 없었으나 내적통제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를 정리한 Rosen st ock , Str echer

와 Becker (1988)에 의하면 어떤 행위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내적통제위나 자기효능

이 둘다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건강증진 행위에 있어서 자기효능과 내적통

제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자기효능에서 내적통제

위로 가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이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

을 주는 경로와 내적건강통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해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지각된 장애성은 인간행동이 처벌 등의 외적 변별자극에 대하여, 개인이 의미

를 가질 때 영향을 받게 되므로, 건강증진 행위와 부정적인 관계가 예측된다

(P ender , 1996).

따라서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그 영향은 부

- 28 -

Page 4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정적 상관관계 (구미옥, 1992, 1994; 오복자, 1994; 박나진, 1997; 이종경, 1997; 김경

미, 1999; S allis et al., 1989)이며, 또한 지각된 장애성은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구미옥, 1992; 오복자, 1994; 임미영, 1999; 김경미,

1999), 이를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또한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해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인간행동이 자신에 대한 가치 감에 영향을 받으므로, 건강증진

행위와 긍정적인 관계가 예측된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화, 1989; 윤진, 1990; 오복자, 1994; 박명희,

1997; 김경미, 1999; 박미화, 1999; 이경희, 김태주, 1999; 임미영, 1999). 또한 자아

존중감은 자기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

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오복자, 1994; Sherer & M addux , 1982).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또한 자기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해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상을 요약하면 설정된 가설모형의 외생변수는 사회적 지지 (ξ1), 건강상태 (ξ

2)이며, 내생변수는 내적건강통제위 (η1), 자기효능(η2), 지각된 장애성 (η3), 자아

존중감 (η4), 건강증진 행위 (η5)이다.

가설적 모형에서 제시된 이론변수와 측정변수는 < 표 1> 과 같다 .

- 29 -

Page 4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표 1> 가설적 모형의 이론변수와 측정변수

이론변수 측정변수 오차

외생변수 사회적지지 (ξ1) 사회적지지 (X 1) δ1

건강상태 (ξ2) 건강상태 (X2) δ2

내생변수 내적건강통제위 (η1) 내적건강통제위 (Y 1) ε1

자기효능 (η2) 구체적자기효능 (Y2) ε2

일반적자기효능 (Y3) ε3

지각된장애성(η3) 지각된장애성(Y4) ε4

자아존중감 (η4) 자아존중감 (Y5) ε5

건강증진행위(η5) 자아실현 (Y6) ε6

건강책임 (Y7) ε7

운동및영양 (Y8) ε8

대인관계 (Y9) ε9

스트레스관리(Y 10) ε10

2 . 변수의 정의

1 ) 외생변수

(1 ) 사 회 적 지 지

사회적 결속을 통해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의미 있는 사람의 조직망으로서 대

인관계적 상호작용을 통해 받는 물질적, 정신적 도움 (N orbeck , Lin sey & Carrier ,

1981)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Cohen과 H oberm an (1983)에 의해 개발된 대인관계

지지척도 (In terper son al Support Ev aulat ion List : ISEL )를 서문자(1988)가 수정하

여 사용한 도구에 의해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2 ) 건 강 상 태

- 30 -

Page 4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현재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본인의 주관적인 평가 (P ender , 1996)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Speake 및 Cow art와 P ellet (1989)의 건강상태 자가평가도구를 본 연구

자가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이다.

2 ) 내생변수

(1 ) 내 적 건 강 통 제위 (In tern al H e alth L oc u s of Con tro l )

건강과 관련된 결과나 강화에 대한 일반화된 기대나 신념의 일부로 건강이나

질병이 자신으로 인해 기인한다고 지각함을 의미한다(W allston , W allst on , &

Dev ellis , 1978). 본 연구에서는 W allst on , W allst on과 Dev ellis (1978)가 개발한 다

차원적 건강통제위 척도 중 내적건강통제위 척도로 측정한 점수이다.

(2 ) 자 기 효 능

개인이 어떠한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

념 (Bandura ,1977)으로 일반적 자기효능은 Sherer와 M addux (1982)의 일반적 자기

효능척도를 기초로 김주현 (1995)이 개발한 일반적 자기효능 도구로 측정한 점수이

며, 구체적 자기효능은 혈액투석환자가 건강증진 행위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정도로서 김주현 (1995)이 혈액투석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구체적 자기효

능도구에 의해 측정한 점수이다.

(3 ) 지 각 된 장 애성

건강증진 행위를 수행하는데 따르는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지각하는 것으로서

건강증진 행위를 피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것(P adilla & Bulcav ag e, 1991)을 말한

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환자가 건강증진 행위를 수행하는데 따르는 부정적 측

면에 대해 지각하는 정도를 말하며 문정순(1990)의 건강신념측정 도구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혈액투석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한 도구에 의해 측정한 점수이다.

- 31 -

Page 4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4 ) 자 아 존 중 감

자아개념의 평가 적인 요소로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 있는 인간으

로 인지하는 것(T aft , 1985)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

감 측정도구(Self- E steem Scale )를 전병재(1974)가 번안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이다.

(5 ) 건 강 증 진 행위

생활양식과 관련된 활동으로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능동적으로 환경에 반응

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녕 수준을 높이고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행위로 영양 및 운동, 스트레스 관리, 건강책임, 대인관계, 자아실현의 하위개념으

로 구성된다(W alker , Volk an , S echrist & P ender , 1988). 본 연구에서는 W alker ,

Volk an , S echrist & P ender (1988)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혈액투석환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한 도구에 의해 측

정한 점수이다.

3 . 연구가설

<그림 1> 의 가설적 모형에서 도출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적 모형 내의 각

경로는 각각 연구의 가설이 된다.

내 적 건 강통 제 위 를 내생 변 수 로 하는 가 설

가설1.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 것이다 (γ11).

가설2. 자기효능이 높을수록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 것이다(β12).

자 기 효 능을 내 생 변 수로 하 는 가설

가설3.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이 높을 것이다(β21).

가설4.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이 높을 것이다 (γ21).

가설5.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자기효능이 높을 것이다(γ22).

- 32 -

Page 4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가설6.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기효능이 높을 것이다 (β24).

가설7.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이 낮을 것이다(β23).

지 각 된 장 애 성 을 내생 변 수 로 하는 가 설

가설8.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을 것이다(γ32).

자 아 존 중감 을 내 생 변수 로 하 는 가 설

가설9.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β41).

가설10.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γ41).

가설11.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γ42).

가설12.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을 것이다 (β43).

건 강 증 진 행 위 행 위 를 내 생 변 수 로 하 는 가 설

가설13.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 (γ51.)

가설14.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β51).

가설15. 자기효능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β52).

가설16.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β53).

가설17.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 (β54).

가설18.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γ52).

- 33 -

Page 4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Ⅳ .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 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한 후 공변량으로 모형의 부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설명적 구조

분석 연구이다.

2 . 연구대상 및 표집

본 연구는 의도표집방법에 의해 추출된 서울지역에 소재한 혈액투석실에서 투

석을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편의표출

(conv enient sampling )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236매였으나 불완전하게 응답한 6

매을 제외한 총 20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18세 이상의 혈액투석 환자로 혈액투석기간이 3개월 이상 경과한 자

2) 1주일에 2- 3회씩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자

3)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다른 신체적, 정신적 질환이 없는 자

4)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답할 수 있는 자

5)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 34 -

Page 4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3 . 연구도구

본 연구도구는 예비조사시 일반적 특성 7문항, 질병과 관련된 특성 4문항, 사회

적 지지 18문항, 건강상태 2문항, 내적건강통제위 6문항, 구체적 자기효능 9문항,

일반적 자기효능 7문항, 지각된 장애성 11문항, 자아존중감 10문항, 건강증진 행위

34문항으로서 총 10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예비조사의 문항분석결과를 참조하여 자아존중감 1문항, 건강증

진 행위 1문항을 삭제하여 총106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의 문항 구성과 도구의 신뢰도는 <표 2> 와 같다.

연구도구의 작성시 가장 유의했던 사항은 쉽게 피곤하거나 기력이 없는 혈액투

석환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문항수를 가능한 많지 않도록 하는데 에 역

점을 두었다.

본 연구도구는 자기 보고형 설문지로서 대부분이 기존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

도가 검증된 도구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의 예비조사는 2001년 1월 9일부터 1월 22일까지 서울 지역에 소재하

고 있는 3차 의료기관에 소속된 인공신장실 두 곳을 선택하여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39명을 임의로 선정한 후 실시하였다.

1 )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Coh en과 Hoberm an (1983)에 의해 개발된 대인관계 지지척도

(In t erper sonal Support Ev alu ation List : ISEL )를 기초로 서문자 (1988)가 편마비

환자에 맞도록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8문항의 4점 척도로 구

성되어 있으며 점수 범위는 최저 18점에서 최고 7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

적 지지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

=.90이었다. 그후 서연옥 (1995)의 연구에서는 Cronbach s α=.90이었으며, 본 연구

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에서는 Cronbach s α=.92이었으며, 본 조사에

- 35 -

Page 4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서는 Cronbach s α=.91로 나타났다.

<표 2> 연구도구의 신뢰도

연구도구 문항수 점수범위 Cronb ach ' s α

외 생 변수

사회적지지 18 18- 72 .91

건강상태 2 2- 10 .74

내 생 변수

내적통제위 6 6- 36 .84

자기효능 16 16- 64 .88

구체적자기효능 9 9- 36 .75

일반적자기효능 7 7- 28 .75

지각된장애성 11 4- 44 .70

자아존중감 9 9- 36 .74

건강증진행위 33 33- 132 .91

자아실현 7 7- 28 .82

건강책임 6 6- 24 .70

운동및영양 6 6- 24 .78

대인관계 7 7- 28 .81

스트레스관리 7 7- 28 .66

2 ) 건강상태

건강상태는 Speake 및 Cow art와 P ellet (1989)이 사용한 건강상태 자가 평가 도

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현재 자신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과 동년배의 다른 사람과 비교한 자신의 건강상태 지각에 대한 내용으로 구

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년배의 다른 사람과 비교한 건강 상태에 대한 지각

을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다른 사람과 비교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로 수

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2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범위는 최저 2점에서 최고 10점

- 36 -

Page 4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박재순 (1995)의 연구에서 Cronbach s α=.73이었으며, 본 연구

에서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에서는 Cronbach s α=.75, 본 조사에서는 Cronbach s

α=.74로 나타났다.

* 내 생 변 수 측 정 도 구

1 ) 내적건강통제 위

내적건강통제위 척도는 W allston , W allst on과 Dev ellis (1978)에 의해 개발된 다

차원적 건강통제위 (Multidim ent ion al H ealth Locu s of Control S cale : MHLC)척

도 18문항 중 내적건강통제위를 나타내는 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6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범위는 최저 6점에서 최고 3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

록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5점 척도로 재구성하여 사용한 오복자 (1994)의 연구에서

Cronbach s α=.82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에서 Cronbach s

α=.74, 본 조사에서는 Cronbach s α=.84로 나타났다.

2 ) 자기 효능

(1 ) 구 체 적 자 기 효 능

구체적 자기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선행 연구를 기초하여 김주현(1995)이

혈액 투석 환자에게 맞도록 작성한 도구를 사용했다. 이 도구는 개발 당시 간호학

교수 3인, 인공신장실 간호사 3인의 자문을 받아서 작성되었다.

도구는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점 척도이다.

점수 범위는 최저 9점에서 최고 3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구체적 자기 효능감

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37 -

Page 4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당시 Cronbach s α=.81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

도는 예비조사시 Cronbach s α=.77, 본 조사에서는 Cronbach s α=.75로 나타났다.

(2 ) 일 반 적 자 기 효 능

Sherer와 M addux (1982)가 특정 상황에 국한되지 않은 일반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을 측정하고자 개발하였으며, 모두 17문항,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자기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주현 (1995)이 Sherer와

M addux (1982)의 일반적 자기효능 척도를 참고로 하여 간호학 교수 5인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4점 척도로 긍정문항 6문항, 부정문항 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정문항의 점수는 역으로 환산하였다.

점수 범위는 최저 7점에서 최고 28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자기 효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김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 ach s α=.88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시 Cronbach s α=.86이었고, 본 조사시

Cronbach s α=.75로 나타났다.

(3 ) 지 각 된 장 애성

지각된 장애성은 문정순 (1990)의 건강신념 측정도구의 장애성 문항들을 기초하

여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정 당시, 간호학 교수 2인, 인공신장실 간호사 2

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였다. 이 도구는 11개 문항,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 범위는 최저 4점에서 최고 4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높

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시 Cronb ach s α=.73이었고, 본

조사시 Cronb ach s α=.70으로 나타났다.

(4 ) 자 아 존 중 감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를 전

병재(197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구의 문항수는 본래 10개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비 조사의 문항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1문항을 제외

- 38 -

Page 5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한 9문항으로 수정하였다.

본 도구는 4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긍정문항 5문항과 부정문항 4문항으로 총 9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정문항은 점수 계산시 역으로 환산하였다. 점수 범위

는 최저 9점에서 최고 3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10문항을 그대로 사용한 오복자(1994)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73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와 본 조사에

서 동일하게 Cronbach s α=.74로 나타났다.

(5 ) 건 강 증 진 행위

건강증진 행위 측정도구는 W alker , Volkan , S echrist 및 P en der (1988)가 개발한

48문항의 건강증진 생활양식도구(HP LP )를 기초로 혈액투석환자의 특성을 고려하

여 간호학 교수 2인, 인공신장실 간호사 2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수

정된 도구는 총 34문항이었으나 예비조사의 문헌분석을 참고하여 1문항을 삭제하

고 총 33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건강증진 행위의 하부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 실현 7문항, 건강 책

임 6문항, 운동 및 영양 6문항, 대인관계 7문항, 스트레스 관리 7문항으로서 전체

33문항의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 범위는 최저 33점에서 최고 13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 증진 행위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건강 증진 행위의

문항 내용과 점수 범위가 다르긴 하지만,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복자(1994)

의 연구에서는 도구의 신뢰도가 Cronbach s α=.89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예비 조사에서 Cronbach s α=.92, 본 조사에서는 Cronbach s α

=.91로 나타났다.

4 .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자료 수집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에 소속된 인공신장실 2곳과 병

원 및 의원급이 운영하는 인공신장실 5곳을 선정하여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

- 39 -

Page 5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절차는 병원의 간호 부서에 협조 공문을 보내거나 개인 병원의 경우 간호부서와

원장을 직접 방문하여 동의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예비 조사는 2001년 1월 9일부터 1월 2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01년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 조

사에서 39매였고 본 조사에서는 총 236매였으나 불완전하게 응답한 6매를 제외한

230매를 실제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자료 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가 직접 하거나 인공신장실 근무 경험이 있는 간호사 4

명과 인공신장실 임상 실습을 거친 간호대학생 2명을 연구보조자로 활용하여

이들에게 설문지 조사 방법과 조사 절차에 대한 내용을 교육한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자료수집 방법은 환자가 혈액 투석을 받기 위해서 혈액 투석 실을 방문 할 때

에 연구자나 연구 보조자들이 환자를 직접 만나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를 받은 후에 실시하였다.

3 )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환자가 혈액 투석을 받는 중이거나 또는 대기실에서

대기하는 동안 설문지를 배부하고 설문지 내용을 설명한 후, 본인이 할 수 있

는 경우에는 직접 기록하도록 하고, 눈이 잘 보이지 않거나 몹시 피로하거나

기력이 없거나 등의 이유로 본인이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연구 보조자가 설문

지 내용을 읽어 준 후 설문지에 기록하도록 하거나 또는 1:1 면담을 통해서 대

신 작성하도록 하였다.

4 ) 환자 자신이 설문지를 작성한 경우에는 연구 보조자가 반드시 설문지 전체를

확인 한 후 회수하도록 하여 누락되는 항목이 없도록 하였다.

5 ) 설문지 작성에는 4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설문지 작성이 끝난 후

연구 대상자들에게 작은 성의를 표시하였다.

- 40 -

Page 5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5 .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의 구체적인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수집된 자료는 SP S S 9.02 W IN 프로그램과 LIS REL 8.12 W IN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

1) S P S S 9.02 W IN progr 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변수

에 대한 서술적 통계 및 연구변수의 신뢰도 , 요인분석 , 상관관계를 분석하

였다 .

2) W in dow s LIS REL 8.12 program 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검증

및 가설검증을 위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하였으며 , 모수추정방식은 가중

최소자승법 (Gen erally w eight ed Lea st S qu are : W LS )으로 하였다 .

3 )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자료에 적합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적합도검증

은χ²통계량 , χ²통계량/ 자유도 (df ), 자유도 , 기초부합지수 (GF I), 조정

부합지수 (A GF I ), 원소간 평균 자승잔차 (RM R ), 비표준부합지수 (NNF I), 표

준부합지수 (NF I), Crit ical N um b er (CN ), 표준화잔차 (S R ), st em leaf plot ,

Q - plot을 이용하였다 .

4 ) 모형의 수정은 다중상관자승치 (S M C ), 표준화잔차 (SR ), 결정계수

(Coefficient of Det erm in at ion ), 수정지수 (M odificat ion In dex ), T 값을 근

거로 수정하였다 .

- 41 -

Page 5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Ⅴ .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 표 3> 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은 만 19세- 79세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49.2세로 나타났다.

20- 29세가 6.1% , 30- 39세가 17.8% , 40- 49세 25.2% , 50- 59세 27.9% , 60세 이상

이 23%를 차지하여 50대 이상이 50.9%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가 62.6% , 여자가 37.4%로 나타났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16.5% ,

기혼이 70.9% , 이혼 및 사별이 12.6%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무학 및 초등학교 졸이 9.6% , 중학교가 10.4% , 고등학교가 47.8% ,

대학교 이상이 32.2%로 나타나 고등학교 이상이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상태는 직업이 있는 경우가 32.2% , 직업이 없는 경우가 67.8%로 나타나

많은 환자들이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상태는 넉넉한 편이다 9.1%, 지낼만하다 36.5% , 약간 어렵다 29.6%, 많이

어렵다 24.8%로 나타나 전체의 54.4%가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가 38.3%로 가장 많았으며, 천주교 12.6% , 불교 15.7% , 기타 및

무교가 33.4%로 나타났다.

- 42 -

Page 5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 =230

특 성 구 분 빈도 (명)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연령 20- 29 14 6.1

30- 39 41 17.8 49.24±12.86

40- 49 58 25.2

50- 59 64 27.9

60- 69 42 18.2

70세 이상 11 4.8

성별 남자 144 62.6

여자 86 37.4

결혼상태 기혼 163 70.9

미혼 38 16.5

이혼 및 사별 29 12.6

교육수준 무학 및 초등학교졸 22 9.6

중학교 24 10.4

고등학교 110 47.8

대학교이상 74 32.2

직업 유 74 32.2

무 156 67.8

경제상태 넉넉한편이다 21 9.1

지낼만하다 84 36.5

약간어렵다 68 29.6

많이어렵다 57 24.8

종교 기독교 88 38.3

천주교 29 12.6

불교 36 15.7

기타 및 무교 77 33.4

- 43 -

Page 5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2 . 대 상 자 의 질 병 과 관 련 된 특 성

대상자의 질병과 관련된 특성은 < 표 4> 와 같다 .

투석기간은 3개월부터 271개월까지로 평균 71.23개월이며 1년미만이 13.5% ,

1년 - 3년 미만이 23.5% , 3년 - 5년 미만이 21.3% , 5년 - 10년 미만이 20.4% , 10년이

상이 21.3%로 나타났다 .

< 표 4> 대상자의 질병과 관련된 특성n =230

특성 구분 빈도 (명)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투석기간 3개월- 1년미만 31 13.5

1년 - 3년미만 54 23.5 71.23±63.34

3년 - 5년미만 49 21.3

5년 - 10년미만 47 20.4

10년 - 15년미만 25 10.9

15년 - 20년미만 24 10.4

주당투석횟수 2회 15 6.5 2.94±0.25

3회 215 93.5

현재합병증 유 76 33.0

무 154 67.0

건강교육받은경험 유 53 23.0

무 117 77.0

- 44 -

Page 5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주당 투석 횟수는 주 2회가 6.5% , 주 3회가 93.5%로 나타났다.

현재 합병증 유무에 있어서는 합병증이 있다 가 33.0% , 없다 가 67.0%로 나

타났다.

건강 교육받은 경험 유무에서는 있다 가 23.0% , 없다 가 77.0%로 나타나 대

부분의 환자들이 건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연구 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의 결과는 <표 5> 와 같다.

외생 변수 중에서 사회적 지지는 72점 만점에 최저 18점부터 최고 71점의 점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은 48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4점 만점에 평

균 2.67점으로 나타나 혈액 투석 환자가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 정도는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10점 만점에 최저 2점부터 최고 10점까지의 점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은 6.2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5점 만점에 평균 3.08점으로써

중간 이상의 건강상태를 인지하고 있었다.

내생 변수에서는 내적건강통제위가 36점 만점에 최저 13점부터 최고 36점의 점

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은 30.5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6점 만점

에 평균 5.09점으로 나타나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서는 36점 만점에 최저 15점부터 최고 36점까지의 점수 분포를 보

였으며 평균은 25.8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4점 만점에 평균 2.87

점으로써 중간 이상의 점수로 나타났다.

구체적 자기 효능에서는 36점 만점에 최저 9점부터 최고 36점까지의 점수 분포

를 보였으며 평균은 25.5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4점 만점에 평균

2.84점으로 나타나 중간 이상의 구체적 자기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자기 효능에서는 28점 만점에 최저 10점부터 최고 28점까지의 점수분포

- 45 -

Page 5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를 보였으며 평균은 19.4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4점 만점에 평균

2.77점으로 나타나 중간 이상의 자기 효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지각된 장애성에서는 44점 만점에 최저 12점부터 최고 44점까지의 점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은 26.2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4점 만점에 평균

2.39점으로써 지각된 장애성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표 5>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변 수

이론변수 측정변수 평균 표준편차 점수분포 왜도 첨도

사회적지지 사회적지지 48.0 13.1 18- 71 - .31 * - .81 **

건강상태 건강상태 6.2 1.8 2- 10 - .37 ** .03

건강통제위 내적건강통제위 30.5 4.6 13- 36 - .84 ** .65 *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25.8 4.4 15- 36 .17 - .21

자기효능 구체적자기효능 25.5 5.1 9- 36 - .31 * .36

일반적자기효능 19.4 3.9 10- 28 - .11 - .22

장애성 지각된장애성 26.2 5.4 12- 44 - .02 - .02

건강증진행위 92.4 15.9 49- 131 - .07 - .02

자아실현 21.8 4.1 10- 28 - .38 * - .31

건강책임 16.7 3.8 6- 24 - .09 - .52 *

운동 및 영양 16.3 4.3 6- 24 - .23 - .50 *

대인관계 20.3 4.4 7- 28 - .26 * - .29

스트레스관리 17.3 4.1 8- 28 - .28 * - .27

*p < .05 **p < .001

- 46 -

Page 5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건강 증진 행위에 있어서는 132점 만점에 최저 49점부터 최고 131점까지의 점

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은 92.4점이었다. 이를 평균 평점으로 환산하면 4점 만점

에 평균 2.78점으로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

로 한 오복자 (1994),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박재순 (1995),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서현미 (2001)의 결과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영역별 평균 평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최고 4점 만점에 자아실현 영역이

평균 3.1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대인관계 영역이 평균 2.90점이었으며, 건

강 책임 2.79점, 운동 및 영양 2.72점, 스트레스관리 2.47점 순으로 나타나 건강증

진 행위에 있어서는 자아실현 영역이 가장 높고, 스트레스 관리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건강증진 행위 영역에서 자아 실현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한

서연옥 (1995), W alker 등 (198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측정치들의 정규분포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 값을 Z- score로 표

준화시켜 유의 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왜도에서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구체

적 자기 효능, 건강증진 행위의 자아실현,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영역에서

p< .05로 유의하였고, 내적건강통제위는 p< .001에서 유의한 값을 나타냈다.

첨도에서는 내적건강통제위, 건강증진 행위의 건강책임, 운동 및 영양 영역이

p< .05로 유의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p< .001에서 유의한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

결과는 정규분포 가정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변량 정규분포

분석시에도 왜도와 첨도가 모두 정규분포 가정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x 2

=128.56, p = .000).

따라서 LISREL 변수 추정은 일반가중최소자승법 (W eighted Least S qu are,

W LS )을 이용하였다. 일반가중최소자승법은 다변량 정규분포를 벗어나는 변수일

때 권장되는 분석방법 (조선배, 1996)으로 경험자료에 대한 정상분포의 가정 없이

정확한 미지수의 계산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법이다 (이순묵, 1990).

- 47 -

Page 5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4 . 연구변수의 상관관계

상관관계 행렬은 연구의 변수들이 어떤 방향이고 어느 정도 관계를 가지고 있

는지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측정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행렬은 <표 6>과 같다.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모든 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장애성과는 역상관관계(r =- .2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특히 자아존중감 (r =.51), 대인관계(r =.64), 스트레스관리 (r =.56)와

높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의 모든 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장애성과는 역상관관계 (r =- .30)를 보였고, 특히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 (r =.42)가 높았다.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의 모든 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지각된 장애성과는 역상관관계 (r =.- 17)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의 모든 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특히 지각된 장애성(r =- .35) 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운동 및 영양

과는 높은 상관관계 (r =.66)를 나타냈다.

일반적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모든 변수에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지각된 장애성과는 역상관관계(r =- .28) 를 나타냈고, 자아존중감과는 높은 상관관

계 (r =.53)를 보였다.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의 모든 변수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의 모든 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특히 자아실현과 높은 상관관계(r =.55)를 나타냈다.

- 48 -

Page 6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4

9-

Page 6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본 연구에서 공변량 구조분석에 사용한 공분산행렬은 <표 7> 과 같다. 공분산행

렬을 분석자료로 이용하면 LISREL 개념에 보다 충실한 개념을 얻게 해 주고 측

정 단위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다른 모집단이나 표본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타당한 비교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관행렬보다 미지수 (param eter )계산이 더 안

정적일 수 있다 (양병화, 2000). 또한 상관행렬을 가지고 분석할 경우에는 모형이

바뀌며 제기되는 x 2 - 통계값 이나 다른 여러 가지 부합도의 지수가 올바르지 못하

며 추정 값에 대한 표준오차가 바르지 못할 수 있다.

- 50 -

Page 6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5

1-

Page 6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5 . 가설적 모형의 검증

1 ) 가설적 모형의 인정 성

가설적 모형의 검증에 앞서 우선 모형이 검증될 수 있는 모형인가를 파악하는

모델의 인정성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지

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건강증진 행위를 포함한 7개의 이론변수로 구성되어 있

으며 측정모형에서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일반적 자기효능, 구

체적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동 및 영양, 대

인관계, 스트레스관리를 포함한 12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 측정변수는 12개이므로 주어지는 전체 정보의 수는

78개가 되고 측정변수의 미지수는 12개이며 이론변수에서는 4개의 특징수 매트릭

스에 포함된 미지의 수가 26개이다. 그러므로 가설적 모형에서 주어지는 미지수

전체는 38개가 된다. 따라서 정보의 수보다 미지의 수가 작아 자유도 (정보의 수-

미지의 수)는 40이다. 이 결과는 모형의 식별을 위한 필요조건이 인정된다.

2 ) 가설적 모형의 부합 도 검증

연구자가 설정한 모형이 좋은 모형인지 아닌지를 아는 방법은 여러 가지 부합

지수를 해석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이는 가설적 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부합하

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평가에 있어서 전반적 부합도가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지를 평가하는데 필

요한 정보라면 세부적 부합도는 잘 부합되지 않는 모형에서 더 나은 모형을 찾는

데 필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전반적인 부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부합지수 가운데, x 2통계량, x 2

통계량/ 자유도(df), 기초부합지수(Goodness of Fit Index :GFI), 조정부합지수(Adjusted

- 52 -

Page 6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Goodnes s of F it Index :A GF I), 원소간 평균 자승잔차 (Root M ean Residual :

RMR ), 비표준부합지수 (Non N orm ed F it Index : NNF I), 표준화부합지수 (Norm ed

F it In dex :NF I), 임계수 (Crit ical Num ber :CN )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 대한 부합지수는 < 표 8> 에 나타난 바와 같다.

x 2는 가설적 모형과 자료가 일치되는 상태를 귀무가설로 보고 검정하는 방법

이다.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유의하다는 것은 가설적 모형과 자료가 일치하지 않다

는 것을 의미하며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은 가설적 모형이 실제자료를 잘 반영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부합도 평가에서 x 2이 크고 확률값이 P〈.05 이면 모형은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x 2 =128.56, p =.000으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과 자료가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x 2는 표본크기가 200이상인 경우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 유의한 수준으로 나

오는 경우가 많아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야 한다. 표본의 크기가 크면 두 행렬간

의 차이가 작아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제 모형이 적합

하여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x 2를 자유도로 나눈 값이 1.0∼2.0 범위이면 아주 적합하고, 2.0∼3.0이면 보통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조선배,1999).

본 연구에서는 x 2통계량/ 자유도가 3.21로 나타나 모형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8> 가설적 모형의 부합지수

x 2 df x 2/ df GF I A GF I RMR NNF I NF I CN

128.56 40 3.21 .91 .83 .043 .97 .97 114.45

(p =.000)

- 53 -

Page 6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기초부합지수 (GF I)는 모형이 자료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며 표본의

크기나 다변량 정규 분포 가정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값이 0∼1사이에 있으며 0.9이상이면 좋은 부합지수를 보인다고 할 수 있고,

GF I가 음수이면 모형이 매우 좋지 않은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GF I가 .91로 나타나 비교적 실제 자료와 모형이 잘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기초부합지수의 해석은 회귀분석에 다중상관자승치(R2 )와 비슷하며

설정된 모형이 자료를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조정부합지수 (A GF I)는 GF I를 자유도에 대하여 수정한 값으로 가설 모형의 간

명도를 평가할 수 있는 부합도이다. 보통 0.9이상이면 가설 모형이 잘 부합된다고

할 수 있는데(조선배,1996), 본 연구의 조정부합지수는 .83으로 나타나 부합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소간 평균 자승잔차(RMR)는 자료로부터 계산된 공분산 행렬과 미지수들을 측

정하여 재생산한 공분산 행렬의 원소간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잔차평균이라고도 한다. 이 값이 0.5 이하이면 모형이 잘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043으로 나타나 모형이 실제 자료와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표준부합지수(NNF I)는 기초모형(측정 변수간의 공변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 간명한 모형)을 자료에 맞지 않는 최악의 모형으로 보고 이 모형과 연구자

가 설정한 모형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 값은 보통 0∼1사이에 있으며 보통 0.9보다

크면 잘 맞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표본 크기에 가장 영향을 안 받는 좋은 부합

지수 중 하나로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모형의 적합성을 잘 설명한다. 본 연

구에서는 NNF I가 .97로 나타나 모형이 실제자료와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부합지수 (NF I)는 비표준부합지수 (NNF I)를 표준화한 값으로 모든 측정문항

이 하나의 요인을 측정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null모형과 연구자가 설정한 모형간

의 차이를 비율로 계산한 것이다 (양병화, 2000). 설정된 모형이 최악의 모형인 경

- 54 -

Page 6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우 0에 가깝고, 최적의 모형이 설정된 경우 1에 가깝다. 보통 0.9이상이면 잘 부합

되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이순묵, 1990). 본 연구에서는 .97로 나타나 모형이

실제자료와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계수 (CN )는 가설적 모형이 통계적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를 추정하는 것으로

이 값이 200이상이면 가설 모형이 공분산구조를 적절하게 산출하였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114.45로 나타나서 모형의 부합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을 전반적인 부합지수를 가지고 평가한 결과 모형의 부

합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모형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모형의 세부적 부합도를 보기 위해 표준화잔차 (St an dardized Residual:

SR )와 Quant ile (Q )- plot 및 수정지수(M odificat ion In dex )를 가지고 평가하였다.

표준화 잔차는 원소간 평균 자승잔차 (RMR )의 부산물로 나오는 잔차 행렬의 각

원소들을 표준화시킨 값이다. 정규분포의 표준화 값과 유사하게 해석되며, 표준화

잔차의 절대값이 2.58이상이면 그에 해당하는 공변량모형에서 추정 변수가 부적합

함을 의미하며 모형이 측정변수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함을 의미한다(이순묵,

1990). 그러나 표준화 잔차는 추정모델의 어느 부분에서 고유오차가 발생하고 있

는지를 확실하게 설명해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조선배, 1996).

본 연구에서의 표준화 잔차 (SR )는 <부록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 잔차

의 중위 값이 - .47, 가장 작은 표준화 잔차 값이 - 4.81, 가장 큰 표준화 잔차 값이

5.77로 나타나 모형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st em - leaf plot은 표준화 잔차(SR )값들이 가지는 분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

로 plot의 분포는 대부분 값이 0을 중심으로 양쪽이 대칭 되는 정상 분포 모양이

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 부록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상 분포 모양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 모형이 잘 부합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Q - plot은 표준잔차 (SR )를 정규분포 일때와 비교하여 2차 평면상에 나타냄으로

써 X축에는 표준잔차, Y축에는 정규 분포에 따르는 N orm al Quantile을 표시하고

- 55 -

Page 6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있다. Q - plot은 다변량정상분포를 평가할 수 있는 결과이기도 하다. 잔차에 대한

분포가 45°를 따라 분포하면 다변량정상분포를 가정할 수 있다 (양병화, 2000).

Q- plot상에 있는 점들을 하나의 직선으로 연결할 때 기울기가 1보다 크면 모형이

자료에 잘 맞는 것을 의미하며 1보다 작으면 모형의 부합도가 잘 맞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록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형의 기울기가 1보다 아래로

기울어져 모형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정지수는 모형의 미지수가 추가되는 경우 모형의 부합도가 얼마나 증가하는

가를 나타내는 숫자이다.

즉 모형에서 특정 미지수를 풀어주었 때(fr ee ), x 2값이 얼마나 감소하는가 (모형

이 개선되는가)를 의미한다(양병화, 2000). 따라서 어떤 미지수가 가장 큰 수정지

수를 보인다면 그 미지수를 풀어주었을 때 보다 나은 모형을 찾을 수 있다. 수정

지수는 적어도 5이상, 조금 보수적인 경우에는 10이상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Joreskog & S orbom , 1989). 모형의 수정지수를 근거로 하여 적합한 모형을 찾을

때 우선 수정지수 경로가 이론적으로 타당한가를 먼저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을 세부적 부합도를 가지고 평가한 결과 표준화잔차의

중위 값이 .47이었으며, 표준화 잔차는 4.81∼5.77의 범위로 나타났다. Q - plot은 기

울기가 1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정지수도 5이상인 것이 있어 모형수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 가설적 모형의 모수 추정치 및 총효과

가설적 모형의 모수추정 (param et er est im at es )은 가중최소자승법에 의한 모수추

정치(γ, β)와 표준오차, 고정지수(T )와 다중상관자승치(squard multiple correlation :

SM C)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에 제시한 바와 같다.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은 T 값의 절대치로 알 수 있으며, T 는 표본이 클수

- 56 -

Page 6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록 표준 정규분포 (Z- 통계량)에 근사하고 절대 값이 1.96이상이면 유의수준 .05에

서, 2.58이상이면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중상관자승

은 회귀분석의 R2과 같으며 한 개념이 예측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를 나타낸

다 (조선배, 1996).

내적 건강 통제위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자기 효능 (β12 =2.18 T =2.71)이었

으며 전체 예측 변수에 의한 내적건강통제위의 설명력은 13%로 나타났다. 자기효

능이 높을수록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자기효능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사회적 지지(γ2 1 =.26, T =4.10), 건강상태

(γ22 =.10, T =2.93), 자아존중감 (β24 =.50, T =2.40)이었으며 자기효능에 가장 크게 영

향을 준 변수는 자아 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전체 예측 변수에 의한 자기 효능의

설명력은 63%로 나타났다. 자기효능은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높다고 할 수 있다.

지각된 장애성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지각된 건강상태 (γ3 2 =- .17, T =- 4.82)

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1%로 나타났다. 계수의 방향이 - 를 나타내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 57 -

Page 6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표 9> 가설적 모형의 모수추정치 (γ , β ), T 값 및 S M C

내생변수/ 예측변수 경로계수 (표준오차 ) T 값 S M C

내적통제위

사회적지지 (γ11 ) - .69 ( .37) - 1.89 .13

자기효능 (β12 ) 2.18 ( .80) 2.71 **

자기효능

사회적지지 (γ2 1 ) .26 ( .06) 4 .10 ** .63

건강상태 (γ22 ) .10 ( .03) 2.93 **

내적건강통제위 (β2 1 ) - .07 ( .10) - .68

지각된장애성 (β23 ) .07 ( .07) .99

자아존중감 (β24 ) .50 ( .21) 2.40 *

지각된장애성

건강상태 (γ32 ) - .17 ( .21) - 4 .82 ** .11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γ4 1 ) .33 ( .04) 8 .22 ** .33

건강상태 (γ42 ) .07 ( .04) 2.02 *

내적건강통제위 (β4 1 ) - .18 ( .09) - 2.00 *

지각된장애성 (β43 ) - .25 ( .06) - 4 .27 **

건강증진 행위

사회적지지 (γ5 1 ) - .03 ( .13) - .22 .95

건강상태 (γ52 ) - .09 ( .04) - 2.13 *

내적건강통제위 (β5 1 ) - .02 ( .05) - .33

자기효능 (β52 ) 1.21 ( .43) 2.78 **

지각된장애성 (β53 ) - .09 ( .06) - 1.46

자아존중감 (β54 ) - .13 ( .15) - .82

*p < .05 **p < .001

- 58 -

Page 7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사회적 지지 (γ4 1 =.33, T =8.22), 지각된

건강상태 (γ42 =.07, T =2.02), 내적 건강 통제위(β4 1 =- .18, T =- 2.00), 지각된 장애성

(β43 =- .25, T =- 4.27)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였다. 내적건강통제위, 지각된 장애성은 계수의 방향이 - 로 나타나 자아존

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설

명력은 33%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통제위 성향이 낮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준 변수는 건강상태 (γ52 =- .09 , T =- 2.13 ), 자기효능

(β5 2 =1.21, T =2.78)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상태는 경로계수가 - 방향을 나타내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건강증진 행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예측 변수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은 95%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행위는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자기효능이 높을수록 높다고 할 수 있다.

가설적 모형의 경로도해는 <그림 2> 에 제시된 바와 같다.

- 59 -

Page 7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6

0-

Page 7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4 ) 가설적 모형의 효과 계수

본 연구의 예측변수들이 내생변수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10> 과 같다.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와 자기 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사회적지지,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장애성은 직접적· 간접적 영향은 없었으나 총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적 영향의 계수 방향이 - 로 나타나 총 효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내적 건강통제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자기효능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 지지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총 효과에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효능

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효과도 유의하게 나

타났다. 지각된 장애성은 자기효능에 간접효과는 있으나 계수방향이 - 로 나타났으

며 총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상태가 지각된 장애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왔으며, 계수방향이 - 로 나타났고 이는 총 효과에

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지각

된 장애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내적건강통제위와 지각된 장애성은 경로계

수가 - 방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 61 -

Page 7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표 10> 가설적 모형의 효과계수

내생변수/ 예측변수 직접효과(T 값) 간접효과 (T 값) 총효과(T 값)

내적통제위

사회적지지 (γ11) - .69(- 1.89) .87 ( 2.54)* .17 ( 2.66)**

자기효능 (β12) 2.18( 2.71)** - .56 (- .76)** 1.62( 6.01)**

자기효능

사회적지지 (γ21) .26( 4.10)** .14 ( 2.26)* .40( .71)**

건강상태 (γ22) .10( 2.93)** .01( .29) .11( 3.33)**

내적건강통제위 (β21) - .07(- .68) - .05 (- 1.19) - .12(- 1.48)

지각된장애성 (β23) .07 ( .99 ) - .11(- 2.12)* - .04 (- .89 )

자아존중감 (β24) .50( 2.40)* - .13 (- .74) .37 ( 4.47)**

지각된장애성

건강상태 (γ32) - .17(- 4.82)** - - .17 ( .04)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γ41) .33( 8.22)** - .03 (- 1.77) .30( 9.14)**

건강상태 (γ42) .07( 2.02)* .00( .06) .07 ( 2.30)*

내적건강통제위 (β41) - .18(- 2.00)* .05 ( .70) - .13 (- 3.39)**

지각된장애성 (β43) - .25(- 4.27)** .02( .81) - .23 (- 4.64)

건강증진행위

사회적지지 (γ51) - .03(- .22) .44 ( 3.24)** .41(11.32)**

건강상태 (γ52) - .09(- 2.13)* .13 ( 2.90)** .04 ( 1.44)

내적건강통제위 (β51) - .02(- .33) - .12(- 1.44) - .14 (- 1.54)

자기효능 (β52) 1.21( 2.78)** - .30(- 1.00) .91( 1.91)**

지각된장애성 (β53) - .09(- 1.46) - .02(- .31) - .11(- 2.43)*

자아존중감 (β54) - .13 (- .82) .46 (- 2.77)** .33 ( 3.86 )**

*p < .05 **p < .001

- 62 -

Page 7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6 . 모형의 수정 및 검증

1 ) 모형의 수정 과정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검증 결과 수정 모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어 모형

수정을 시도하였다. 모형 수정은 모형의 간명도를 높이는 방향과 모형의 부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고려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에도 통계적 유의성에만 의존해서는

안되며 이론적 근거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모형 수정은 일반적으로 3가지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기존의 이론변수를 유지하면서 자유특징수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이론변수를

유지하면서 자유특징수를 고정하거나 그리고 이론변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

법이다 (이순묵, 1990).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는 모형의 전반적인 부합지수를 평가한 결과 모형의

부합도가 좋지 않고, 표준화잔차도 기준치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모형의

부합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수정하였다.

모형수정시에 통계적 유의성과 이론적 근거를 고려하면서 위의 세 가지 방법으

로 모형 수정을 시도했지만 이론 변수를 유지하면서 자유특징수를 추가하는 방법

이외의 다른 수정 방법에서는 모형의 전반적 부합지수나 표준화잔차에서 별다른

호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전반적 부합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이론

변수를 유지하면서 자유특징수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모형을 수정하였다.

어떤 자유특징수를 추가할 것인가 하는 결정은 수정지수(M odificat ion Index )를

참고하였다.

수정지수는 지수가 5이상 또는 조금 보수적인 경우에는 10이상인 경우에 고정

특징수를 자유특징수로 바꾸어준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 지수가 높은 경로로 나타난 운동 및 영양과 일반적 자기

효능, 자아실현과 구체적 자기 효능, 운동 및 영양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 63 -

Page 7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운동 및 영양의 오차 공분산관계를 추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수정된 모형은 직접효과 경로에서는 가설적 모형과 크게 변화가 없

었지만 전반적인 부합지수와 표준화잔차가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2 ) 수정모형의 부합 도 검증

모형의 수정은 부합도를 유지하면서 간명한 모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수정

된 모형이 가설적 모형보다 실제 자료를 잘 반영하면서 모형의 간명성을 만족시

키는지는 우도비검증 ( x 2 - difference)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과 수정모형을 우도비검증을 통하여 비교해보면, 가설모

형과 수정모형의 x 2통계 값의 차이 (128.56- 52.75=75.81)가 자유도의 차이(40- 36=4)

보다 훨씬 큰 것(75.81> 4)으로 나타나 수정 모형의 부합도나 간명도가 월등하게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설적 모형에서 특히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x 2통계값, x 2/ df , A GF I, CN이 수정모형에서는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설적 모형에서 특히 부적합 것으로 나타난 x 2통

계값, x 2/ df가 많이 감소되어 수정 모형에서는 그 범위가 1.0- 2.0 범위 내에 있어

서 아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정부합지수(A GF I)도 수정 모형에서는 0.9이

상으로 나타나 모형이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게수 (CN )도 가설적 모형에서는 200이하로 나타났으나 수정모형에서는 200이

상으로 나타나 모형의 부합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표 11> 수정모형의 부합지수

x 2 df x 2/ df GF I A GF I RMR NNF I NF I CN

52.75 36 1.47 .96 .92 .03 .99 .99 255.47

(p = .035)

- 64 -

Page 7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가설적 모형의 표준화잔차는 <부록2>에서 보는바와 같이- 4.81- 5.77이었으나 수

정모형에서는 < 그림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 2.84- 3.11로 나타나 범위가 많이 축

소되었으며 특히 중위도는 .02로 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모형의 잔차량에 대한 stem - leaf plot도 <그림 3>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0

을 중심으로 대칭성을 보이며 Q- plot도 < 그림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설적 모

형에 비해 기울기가 1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모형이 실제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5 -

Page 7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그림 3> 수정모형의 표준화잔차와 stem - leaf plot

SUMMARY ST AT IST ICS F OR ST ANDARIZED RESIDUA LS

SMALLEST ST A NDARDIZED RESIDUAL =- 2.84

MEDIAN ST ANDARDIZED RESIDUAL =.02

LARGEST ST ANDARDIZED RESIDUAL =3.11

ST EMLEA F PLOT

- 2:8743220

- 1:887664422

- 0:99888887764433222111110

0:1123345556667889

1:01134445567788

2:0467899

3:01

가장 큰 음적 표준화잔차량 지각된 장애성과 구체적 효능과의 잔차 - 2.68

대인관계와 건강책임과의 잔차 - 2.84

가장 큰 양적 표준화잔차량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2.81

일반적효능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2.65

자아실현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2.58

운동및영양과 건강책임과의 잔차 3.11

대인관계와 대인관계와의 잔차 2.93

건강상태와 자아실현과의 잔차 3.02

건강상태와 건강상태와의 잔차 2.89

- 66 -

Page 7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그림 4> 수정모형의 Q- plot

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 .. . .. . x .. . x .. . x .. . x .. . xx .

N . . xx x .O . . *x .R . . xx* .M . . x x* .A . . xxxx .L . . *xxx .

. . xx .Q . xx*x .U . x* .A . xx .N . x x*x .T . x*x. .I . *. .L . x * x .E . *x . .S . x* . .

. x x . .

. x . .

. x . .

. x . .

. x . .

. . .

. x . .

. . .

. . .

. . .

. . .

. . .

. . .-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3.5STANDARDIZED RESIDUALS

- 67 -

Page 7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3 ) 수정모형의 모수 추 정치 및 총효과

수정모형의 모수 추정치 및 총효과는 < 표 12>에 제시된 바와 같다.

모수값은 표준화된 값을 사용하여 모형 내에서 각기 다른 변수들의 효과를 비

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수값의 통계적 유의성은 T 값의 절대치가 1.96이상은

p< .05, 2.58이상은 p< .001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이순묵 1996).

각 내생변수를 기준으로 이론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적건강통제위는 자기 효능이 높을수록 (β12 =1.50, T =3.11) 내적건강통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내적 건강 통제위가 예측 변수

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정도는 28%이었다.

자기 효능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γ2 1 =.22, T =5.25),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β24 =.33, T =3.80) 자기 효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

하였다. 자기 효능이 예측 변수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정도는 70%이었다. 특히 자

기 효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이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상태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γ32 =- .18, T =- 4.89) 지각된 장애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지각된 장애성이 예측변수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정도는 10%이었다.

- 68 -

Page 8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표 12> 수정모형의 모수추정치 (γ ,β ), T 값 및 S M C

*p < .05 **p < .001

내생변수/ 예측변수 경로계수 (표준오차 ) T 값 S M C

내적통제위

사회적지지 (γ11) - .19 (.18) - 1.06 .28

자기효능 (β12) 1.50 (.48) 3.11 **

자기효능

사회적지지 (γ21) .22 (.04) 5.25 ** .70

건강상태 (γ22) .05 (.03) 1.69

내적건강통제위 (β21) .02 (.05) .42

지각된장애성 (β23) - .05 (.05) - 1.00

자아존중감 (β24) .33 (.09) 3.80 **

지각된장애성

건강상태 (γ32) - .18 (.04) - 4.89 ** .10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γ41) .29 (.04) 7.15 ** .34

건강상태 (γ42) .13 (.03) 3.96 **

내적건강통제위 (β41) - .13 (.06) - 1.98 *

지각된장애성 (β43) - .26 (.06) - 4.62 **

건강증진행위

사회적지지 (γ51) .13 (.09) 1.47 .90

건강상태 (γ52) - .10 (.04) - 2.70 **

내적건강통제위 (β51) - .60 (.05) - 1.20

자기효능 (β52) 1.20 (.39) 3.12 **

지각된장애성 (β53) .01 (.06) .09

자아존중감 (β54) - .21 (.12) - 1.82

- 69 -

Page 8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 (γ4 1 =.29, T =7.15)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γ42 =.13, T =3.96)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건강통제위, 지각된 장애성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여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β4 1 =- .13, T =- 1.98), 지각된 장

애성이 높을수록 (β4 3 =- .26, T =- 4.62)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자아존중감이 예측변수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정도는 34%이었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행위에서는 자기 효능이 높을수록(β52 =1.20, T =3.12) 건강증진 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γ52 =- .10, T =- 2.70) 건강증진 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행위가 예

측변수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정도는 90%이었다.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가장 많

이 주는 변수는 자기효능이었다.

수정모형의 경로도해는 < 그림 5>와 같다.

- 70 -

Page 8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7

1-

Page 8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4 ) 수정모형의 효과 분 석

수정모형에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내생변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 표

13>과 같다.

내적건강통제위에 직접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자기효능(β12 =1.50, T =3.11)이었으

며 간접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γ11 =.47, T =2.89)로 확인되었으며 자기

효능(β12 =1.45, T =4.20), 사회적 지지(γ11 =.28, T =4.65)는 총효과에서도 유의하였다.

자기효능에 직접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 (γ2 1 =.22, T =5.25), 자아존중

감 (β24 =.33, T =3.80)이었으며 간접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 (γ2 1 =.09,

T =3.54), 건강상태 (γ22 =.06, T =3.71), 지각된 장애성 (β23 =- .08, T =- 3.08)이었다.

특히 지각된 장애성은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내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총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 (γ2 1 =.31, T =8.10), 건강상태(γ22 =.11,

T =3.94), 지각된 장애성(β2 3 =- .14, T =- 2.64), 자아존중감 (β24 =.32, T =4.81)이었다.

지각된 장애성은 총효과에서도 직접효과에서와 같이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타

났다.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은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효과가 유의하

게 나타남으로써 총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은 자기 효능에 직접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아존

중감에 영향을 미쳐 자기 효능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지각된 장애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건강상태가 직접효과 (γ32 =- .18,

T =- 4.89), 총효과 (γ32 =- .18, T =- 4.81)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수 방

향이 - 방향을 나타내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에 직접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γ4 1 =.29, T =7.15), 건강상

태 (γ42 =.13, T =3.96), 내적건강통제위 (β4 1 =- .13, T =- 1.98), 지각된 장애성 (β43 =- .26,

- 72 -

Page 8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T =- 4.62)이었으며 내적건강통제위와 지각된 장애성은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

내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

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에 총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 (γ4 1 =.26,

T =7.72), 건강상태(γ42 =.16, T =5.07), 내적건강통제위 (β4 1 =- .12, T =- 2.35), 지각된

장애성 (β43 =- .23, T =- 4.71)이었으며 내적건강통제위와 지각된 장애성은 총효과에

서도 직접효과에서와 같이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건강상태(γ5 2 =- .10, T =- 2.70), 자기

효능(β5 2 =1.20, T =3.12)이며 특히 건강상태는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내 건강

상태가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효과

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γ5 1 =.30, T =3.38), 건강상태(γ5 2 =.09, T =2.68), 자아

존중감 (β54 =.37, T =2.83)이며 총효과가 유의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 (γ51=.43,

T =11.29), 자기효능(β52 =1.12, T =2.84), 지각된 장애성 (β53 =- .10, T =- 2.01), 자아존

중감(β5 4 =.16, T =2.44)이었다. 지각된 장애성은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내 지각

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 정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기 효능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

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기 효능에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도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

을 주기보다는 자기 효능에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준

다고 볼 수 있다.

- 73 -

Page 8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표 13> 수정모형의 효과계수

내생변수/ 예측변수 직접효과 (T 값) 간접효과 (T 값) 총효과 (T 값)

내적통제위

사회적지지 (γ11) - .19 (- 1.06) .47 ( 2.89) ** .28 ( 4.65) **

자기효능 (β12) 1.50( 3.11) ** - .04 ( - .25) 1.45 ( 4.20) **

자기효능

사회적지지 (γ21) .22( 5.25) ** .09( 3.54) ** .31( 8.10) **

건강상태 (γ22) .05 ( 1.69) .06( 3.71) ** .11( 3.94) **

내적건강통제위 (β21) .02( .42) - .04 (- 1.54) - .02( - .29)

지각된장애성 (β23) - .05 (- 1.00) - .08 (- 3.08) ** - .14 (- 2.64) **

자아존중감 (β24) .33 ( 3.80) ** - .01( - .25) .32( 4.81) **

지각된장애성

건강상태 (γ32) - .18 (- 4.89) ** — - .18 (- 4.81) **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γ41) .29 ( 7.15) ** - .04 (- 1.91) .26 ( 7.72) **

건강상태 (γ42) .13 ( 3.96) ** .03 ( 1.43) .16 ( 5.07) **

내적건강통제위 (β41) - .13 (- 1.98) * .00( .24) - .12(- 2.35) *

지각된장애성 (β43) - .26 (- 4.62) ** .03 ( 1.32) - .23 (- 4.71) **

건강증진 행위

사회적지지 (γ51) .13 ( 1.47) .30( 3.38) ** .43 (11.29) **

건강상태 (γ52) - .10(- 2.70) ** .09 ( 2.68) ** - .01( - .19)

내적건강통제위 (β51) - .06 (- 1.20) .00( .07) - .06 ( - .97)

자기효능 (β52) 1.20( 3.12) ** - .09 ( - .76) 1.12( 2.84) **

지각된장애성 (β53) .01( .09) - .10(- 1.66) - .10(- 2.01) *

자아존중감 (β54) - .21(- 1.82) .37 ( 2.83) ** .16 ( 2.44) *

*p < .05, **p < .001

- 74 -

Page 8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7 . 연구 가설의 검증

본 연구의 가설의 검증은 <표 13> 에 의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정된 총 18개의 가설에서 14개의 가설이 지지되었고 4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1.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 것이다 (γ11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11=- .19, T =- 1.06)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간접효과(γ11 =.47,

T =2.89)와 총효과 (γ11 =.28, T =4.6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2. 자기 효능이 높을수록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 것이다 (β12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12 =1.50, T =3.11)와 총효과 (β12 =1.45, T =4.20)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3. 내적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이 높을 것이다 (β2 1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2 1 =.02, T =.42), 간접효과 (β2 1 =- .04, T =- 1.54), 총효과(β

2 1 =- .02, T =- .29)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가설 4.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이 높을 것이다(γ2 1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2 1 =.22, T =5.25)와 간접효과 (γ2 1 =.09, T =3.54) 및 총효과

(γ2 1 =.31, T =8.1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5.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이 높을 것이다 (γ22 ).

이 가설은 직접효과 (γ2 2 =.05, T =1.69)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 (γ22 =.06,

T =3.71)와 총효과 (γ2 2 =.11, T =3.9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6.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이 높을 것이다 (β24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24 =.33, T =3.80)와 총효과 (β24 =.32, T =4.8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 75 -

Page 8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가설 7.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은 낮을 것이다 (β2 3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23 =- .05, T =- 1.00)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

효과(β23 =- .08, T =- 3.08)와 총효과 (β23 =- .14, T =- 2.6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8.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을 것이다(γ3 2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32 =- .18, T =- 4.89)와 총효과 (γ32 =- .18, T =- 4.81)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9.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β4 1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4 1 =- .13, T =- 1.98)와 총효과 (β4 1 =- .12, T =- 2.35)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여 나왔으나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와 기각되었다.

가설 10.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γ4 1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4 1 =.29, T =7.15)와 총효과 (γ4 1 =.26, T =7.7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1.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γ42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42 =.13, T =3.96)와 총효과 (γ42 =.16, T =5.0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2.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을 것이다 (β43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43 =- .26, T =- 4.62)와 총효과 (β43 =- .23, T =- 4.71)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3.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 (γ5 1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5 1 =.13, T =1.47)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

(γ5 1 =.30, T =3.38)와 총효과(γ5 1 =.43, T =11.29)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 76 -

Page 8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가설 14.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β5 1 ).

이 가설은 직접효과 (β5 1 =- .06, T =- 1.20), 간접효과 (β5 1 =.00, T =.07) 및 총효과

(β5 1 =- .06, T =- .97)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가설 15. 자기효능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 (β5 2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52 =1.20, T =3.12)와 총효과 (β52 =1.12, T =2.84)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6.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β5 3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53 =.01, T =.09)와 간접효과 (β53 =- .10, T =- 1.66)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총효과 (β53 =- .10, T =- 2.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

지되었다.

가설 17.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 (β54 ).

이 가설은 직접효과(β54 =- .21, T =- 1.8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

(β54 =.37, T =2.83)와 총효과(β54 =.16, T =2.4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8.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을 것이다 (γ5 2 ).

이 가설은 직접효과(γ52 =- .10, T =- 2.70)와 간접효과(γ5 2 =.09, T =2.68)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으나 총효과(γ52 =- .01, T =- .19)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왔으며 직접효과의 방향이 - 방향으로 나와 이 가설은 기각되었다.

- 77 -

Page 8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Ⅵ . 논 의

1.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외생변수로는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를 포함하였고

내생변수로는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건강증진 행위

를 포함하여 2개의 외생변수와 5개의 내생변수로 구성하였으며 가설적 모형은 7개

의 이론변수와 12개의 측정변수로 구성하였다. 하나의 이론변수에 하나의 측정변수

를 사용한 이론변수는 측정변수의 오차 변량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양병화, 2000).

구축된 가설적 모형은 검증 결과 전반적 부합지수와 세부지수가 좋지 않아 모

형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을 평가하고 해석할 때 어느 한가지 부합지수에만 의존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형수정의 근거는 전반적인 부

합지수와 수정지수, 표준화잔차, 경로계수, 이론의 타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모형수정이 통계에만 의존하여 이루어진다면 통계적으로는 입증된다

하더라도 비논리적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모형수정은 경험적 정당성보다는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타당성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모형수정은 논리적 타당성과 간명성 및 전반적 부합지수 및 세부적

지수를 고려하여 여러 형태로 수정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수정지수가 높은 운동 및

영양과 일반적 자기효능, 자아실현과 구체적 자기효능, 운동 및 영양과 자아존중

감, 사회적 지지와 운동 및 영양의 오차 공분산 관계를 추가함으로써 모형의 간명

성과 부합지수가 크게 향상되었다.

수정된 모형은 모형의 간명성과 전반적 부합지수에 있어서 가설적 모형보다 크

게 향상되어 모형의 실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에서 설정된 18개의 경로에서 10개의 경로가 직접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

- 78 -

Page 9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의했으나 2개경로 (내적통제위에서 자아존중감, 건강상태에서 건강증진 행위로 가

는 경로)는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내 기각되고 결과적으로 8개의 경로가 직접

효과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효과에서 지지되지 않은 8개의 경로 중 6개의 경로는 간접효과 및 총효과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총 14개의 경로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본 모형은 혈액투석 환자들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

한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하고

설명하기에 적합한 포괄적인 모형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는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

타났으며 이를 하부 영역별로 보면 자아실현, 대인관계에서 비교적 높은 정도를

보인 반면 건강책임, 운동 및 영양은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관리영역

에서 가장 낮은 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들이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상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상자들의 77%가 건강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혈액투석 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위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여러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 행위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

였다(박재순,1995; 서연옥,1995: Gillis , 1993).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지

만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을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고 또는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자기효능에 간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을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행위 수행에 결정요인은 주변의 지지보다는 개인적인 신념과 책

임감이 더 관련되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

- 79 -

Page 9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기효능,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개인의

신념이나 책임감에 영향을 줌으로써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결과는 Ch am pion (1990)의 유방자가검진 행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대인 관계 영향이 유의하지 않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혈액투석 환자들의 경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심리적 특성상 사회적 지

지는 이들의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은 이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혈액투석 환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지할수록 자신의 행위에 대한 자

신감을 가지게 되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며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이

러한 요인들은 건강증진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가족들이 함께 참여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도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는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건강상태가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는 직접적 효과에서는 계수 방향

이 - 방향으로 나왔고 간접적 효과에서는 계수 방향이 +방향으로 나왔으나 총효과

에서는 건강증진 행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왔다는 것은 건강 상태가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행위와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결과들 (F ehir ,1988; W eit zel, 1989; Killeen , 1989; W eitzel & W aller ,1990 ;

P en der et al.,1990; Duffy ,1993)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에서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서연옥

(1995), 박재순(1995)의 연구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복자 (1996)의 연구 결

과에서는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행위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복자 (1996)의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건강증진 행위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호한 건강 상태가 행위의 동기가 된

- 80 -

Page 9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다는 P ender의 가정이 현재 치료과정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건

강상태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설정에 신중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Nichola s (1993)는 개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건강상태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변수간의 방향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개인의 건강상태가 건강

증진 행위에 선행 요인인지 아니면 건강증진 행위의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인지는

또는 양방향간의 관계인지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

상태가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경로를 보면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은 자기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건강상

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이 낮았던

것은 혈액투석 환자들은 계속 치료과정에 있는 환자들이기 때문에 건강상태가 하

나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혈액투석 환자들은 건강한 사

람들과는 다르게 건강증진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의식 보다는 건강이 나빠진 후에

건강증진 행위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내적건강통제위는 이와 관련된 모든 경로가 유의성이 없었으며 단지 자아존중

감에만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수 방향이 - 방향이었다.

따라서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건강통제위는 결과 기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자

기 자신에 행위에 의해 보상이 주어진다고 믿는 성향을 말한다.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 기대와 관련하여 많은 주목을 받았으나 일관되지 못하고 설명력이 낮았다

(Rock , M ey erow it z, M aisto & W allst on , 1987).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

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지지되기도 하고 (김효정과 박영숙, 1997; 이규난, 김순

례,1998; Duffy , 1988; Speake, Cow art & P ellet , 1989; P ender et al,, 1990), 지지

되지 않기도 하여 (W eit zel, 1989) 그 결과가 일관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하여

W allston , W allst on과 Dev ellis (1978)는 질병과 관련된 구체적인 통제위 척도를 사

용할 것과 Rock , M ey erow itz, M aist o와 W allston (1987)은 건강통제위 개념을 좀

- 81 -

Page 9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더 세분화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오복자(1994, 1996)의 연구에서도 내적건

강통제위가 건강증진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여 대상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내적건강통제위 도구만을 사용하였는데 건강통제위 척도 전체, 즉

3차원을 모두 측정하여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기효능은 건강통제위를 설명하는 직접적 효과 및 총효과가 있었다. 자기효능

은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

다 (구미옥, 1992 ;이영휘, 1994; 박재순, 1995; 서연옥, 1995 ; 이숙자, 박은숙, 박영

주, 1996 ;오복자, 1996 ;Gillis , 1993; Duffy , Ros sow & H erm andez, 1996). 이 결

과는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이 건강증진 행위에 중요한 예측변수로 확인된 결과와

일치한다. 자기효능은 자신이 환경과의 매우 특별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자신

이 주어진 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자기효

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된다. 자기효능은 사

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의해서 직접 영향을 받는 변수이고 자아존중감은 사회

적 지지에 의해서 직접 영향을 받는 변수이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자기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거나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ndura (1986)는 자기효능은 인간의 행동방식, 사고유형,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

쳐 다양한 방법으로 인간의 심리적 및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즉

어떤 행위를 할 것인가 하는 행위 선택을 결정할 때와 어떤 행위를 할 때 노력의

정도와 또 그 행위의 지속 정도를 결정할 때에 자기효능이 높은 경우에는 어려움

을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며 실패의 원인을 노력 부족으로 돌린다고

하였다.

- 82 -

Page 9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를 위해서는 자

기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간접적 효과는 없었지만 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내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건

강증진 행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장애성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방향

으로 직접효과를 주고 자기효능에도 부정적 방향으로 간접효과를 주어 자아존중

감과 자기효능을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의 총효과에서 부정적 방향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낮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운동행위, 보호구의 착용행위, 건강행위에 예측요인으로 지각된 장

애성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연구들(Pender et al., 1990; Lu sk , Ronis & Kerr ,

1994; Garcia , Nort on - Broda & F rem ,1995)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장

애성은 건강증진 행위의 지속적인 이행과 가장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시간 부

족이 가장 많은 장애 내용으로 나타났다(Slenker , Price, Robert s & Jur s , 1984).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복자(1994)의 연구에서는 지각된 장애성이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직접적 효과에 유의하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

서는 지각된 장애성이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간접적 효과에는 유의하지 않았으

며 총 효과에서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오복자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차

이를 보이고 있다. 이 결과는 지각된 장애성의 내용으로 가장 흔히 보고되는 것이

시간 부족이었으나 본 연구 대상자의 경우 전체 67%가 직업이 없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지만 간접적인 효과, 총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지각된 장애성에 의한 직접적 영향을 받으나 내적건강통제위와 지각된 장애성과

는 계수 방향이 - 방향을 나타내 내적건강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고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

중감은 자기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아존중

- 83 -

Page 9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자기효능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 행위의 영향 요인이라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

하였다 (이태화,1989; 윤 진,1990; 박인숙,1995; 이종경과 한애경,1996; Muhlenkam p

& S ayles ,1986; Duffy ,1988). 그러나 이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이태화(1989)나 박인숙(1995)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에서는 자

아존중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라고 보고하여 자기효능이 건

강증진 행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들의 경우 건강한 사람들과 비교

할 때에 자아존중감 즉 자신의 가치보다는 직접적으로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다는

자기 효능이 이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의 예측변수는 건강증진 행위를 90%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변수는 자기효능과 건강

상태였으며 간접적인 영향을 준 변수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으로 나

타났, 지각된 장애성은 직·간접적 영향은 없었지만 총효과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자기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이 결

과는 자기 효능이 건강증진 행위에 중요한 결정 요인이라고 보고한 박재순(1995),

서연옥(1995), 이숙자, 박은숙, 박영주(1996), 오복자(1996), 이미라(1997), 임미영

(1999), P ender등(1990), Gillis (1993), Duffy (199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자기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자기효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고 자아존중감을 통하

여 간접적으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가 건강증

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타났고 자아

- 84 -

Page 9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존중감을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자기효능과 건강상태에 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및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직·간접적영향은 없었지만 총효

과에서 영향이 있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

발할 때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중요한 요인인 자기효능, 사회적 지

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 연구의 의의

본 연구의 의의를 간호이론, 간호연구, 간호실무 측면에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 간호이론 측면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 주는 요인들을 포괄적으

로 다루어,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변수와 변수 상호간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관

심 현상에 대한 설명적 차원의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모형은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설명력이 높아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

증진 행위를 예측하는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 간호연구 측면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시도함으로

써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중재시 자가 간호에 초점을 둔 질병 중심에서 벗어나

건강 지향적인 연구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각

- 85 -

Page 9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각의 이론적 경로는 이들 경로를 구성하는 예측변수와 결과변수 간의 관계에 대

한 추론을 도출하여 서술연구와 중재연구의 기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3 ) 간호실무 측면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건강

증진 행위에 영향 주는 변수를 간호중재의 기틀로 제공하여 간호실무에서 혈액투

석환자의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강력한 예측 변수로 확인된 자기 효능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은 간호 중재를 통하여 변화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므

로 이 개념들을 이용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실

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86 -

Page 9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Ⅶ .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최근 의료 기술의 발달로 혈액투석 환자들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다른 만성 질환과는 달리 질

병과 관련된 여러 가지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혈액투석 환자들은 우울과 불안이 다른 만성 질환

환자들에 비해서 높으며 이들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전반적인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다.

건강증진 행위는 질병예방의 비용효과 측면과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건강 관

리의 주요 관심사이다. 신체적, 심리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들은 건강 증진 행위를 통해서 이들의 삶의 질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중요한 요소

로 생각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 주는 제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예

측모형을 구축하여 간호 중재의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

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주요개념을 선정한 후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적 모형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하는 외생변수는 사회

적 지지와 건강상태이며 내생변수는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

아존중감 및 건강증진 행위이다.

구축된 가설적 모형은 7개의 이론변수로 구성되어 있고 측정변수는 12개이다.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0년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 서울 지역에

- 87 -

Page 9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소재하고 있는 인공신장실 7곳을 선택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236명을 대상

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실제 분석된 자료는 230매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과 관련된 특성 및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SP S S 9.02, W IN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적 모형의 검증 및 수정

모형의 검증은 LISREL 8.12 W IN program을 사용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분석 결과 모형의 전반적인 부합지수는 x 2 =128.56, p =.000,

df=40, x 2/ df=3.21, GF I=.91, A GF I=.83, RMR =.043, NNF I=.97, NF I=.97, CN =114.45

로 나타나 모형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모형 수정은 간명성과 부합지수 및 이론적인 근거를 고려하면서 여러 가지 방

법으로 수정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수정지수가 높은 4개 경로의 오차 상관관계를

추가함으로써 모형의 간명도와 전반적 부합지수가 크게 향상되었다.

수정모형의 전반적인 부합도는 x 2 =52.75, p =.035, df=36, x 2/ df=1.47, GF I=.96,

A GF I=.92, RMR =.03, NNF I=.99, NF I=.99, CN =255.47 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보다

간명하면서도 부합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된 18개의 경로 중 10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나왔으나 2개 경로는 계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나와 결과적으로 8개의

경로가 직접 효과에서 유의하게 지지되었고 6개의 경로는 간접효과 및 총효

과에서 유의하게 지지되어 총18개의 경로 중 14개의 경로가 유의하게 지지

되었다.

2)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지

지, 건강상태,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이었으며 내적건강통제위

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이 건강증진 행위를 90% 설명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과 건강상태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강력한 예측변수였다. 건강

- 88 -

Page 10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상태는 계수 방향이 - 방향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

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 영향은

없었으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이다.

즉, 사회적 지지는 자기 효능과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은 자기 효능을 통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에 강력한 예측변수인 자기효능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 주는 변수이며 또한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영향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에 직접적으로 영향 주는 변수

는 자기효능, 건강상태이며 간접적으로 영향 주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으로 밝혀졌으며 직·간접적인 영향은 없었지만 총 효과에 영향 주는

변수는 지각된 장애성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은 자기효능을 통

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자기효능,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은 변화할 수 있는 요인들이기 때문에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 사회적 지지, 자아존

중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모형은 혈액투석 환자들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간명하면

서도 설명력이 높은 포괄적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 89 -

Page 10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2 . 제 언

1)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

정도가 높다는 결과는 많은 연구에서 지지를 받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계수의

방향이 - 방향으로 나와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 정도가 낮은 것으

로 나왔다. 따라서 질병 과정에 있는 사람과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반

복연구를 통해서 두 변수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2) 본 연구 결과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

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 변인의 영향력이 입증되었고 특히 자기효능은 혈액투

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변수였다. 이 결과를 기반

으로 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3 ) 본 연구에서는 내적건강통제위가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연구에서 내적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력 있

는 변수로 보고되기도 하고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여 일관성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명확하게 검증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 )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자기효능이

나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간접적인 효과가 입증되었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에게

직접 행하는 간호 중재도 중요하지만 지지 망의 많은 부분이 환자와 가까운

가족이라고 생각할 때에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가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90 -

Page 10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참고문헌

구미옥 (1992). 당뇨병 환자의 자기간호 행위와 대사조절에 관한 구조모형. 서울대

학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구미옥 (1994).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 자기조절, 상황적 장애, 자기간호행위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4 (4), 635- 651.

구미옥, 유재순, 권인각, 김혜옥, 이은옥 (1994). 자기효능 이론이 적용된 건강행위

관련 연구의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4 (2). 278- 302.

김건효 (1999). 혈액투석 환자의 자존감, 사회적 지지, 자가간호 이행간의 관계 연

구.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석사 학위 논문.

김경미 (1999).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소화기암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석사 학위 논문.

김귀분 (1993). 노인들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존감 및 건강관행과의 관계 연구.

경희간호연구지, 16 (1), 213- 243.

김금자 (1999).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9 (3), 541- 550.

김남성 (1991). 인지적 행동수정. 교육과학사.

김명숙 (1999). 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과 관련요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김성혜 (1993).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숙영 (1995). 성인병 환자들의 건강과 관련된 자기조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대

한간호, 34 (4), 44- 46.

- 91 -

Page 10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김숙영, 서연옥(1997). 고혈압 환자의 자가 간호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인

간호학회지, 9 (3), 438- 452.

김영미 (2000). 산업장 교대근무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요인. 고신대학교 대

학원. 간호학 석사 학위 논문

김주현 (1995). 혈액투석환자에게 적용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김혜숙, 최연순(1993). 미혼임부와 기혼임부의 건강증진 행위 차이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23권 2호, 255- 268.

김효정, 박영숙 (1997).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기본간

호학회지, 4 (2). 283- 299.

김희주 (1997). 입원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문정순 (1990). 성인의 건강신념 측정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문희(1995). 암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불안감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 전남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박나진 (1997).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부산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명희 (1997).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 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392), 139- 156.

박미화 (1999).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성인

간호학회지. 11(2), 96- 106.

박오장 (1997). 사회적 지지가 고혈압 환자의 역할 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성인

간호학회지. 9 (2), 175- 188.

- 92 -

Page 10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박은숙, 김순자,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행자, 한금선 (1998). 노인의 건강증진행

위 및 삶의 질간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6 (2). 238- 250.

박인숙 (1995).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박재순 (1995).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모형구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 (2), 257- 282.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

위 논문.

백경신과 최연희(1998). 당뇨병 환자의 역할 행위 이행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0(3), 480- 491.

백훈정 (1992). 혈액투석적용 만성신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와 자가간호 수

행정도와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1999). 보건 복지 통계 연보

서문자 (1988). 편마비 환자의 퇴원 후 적응상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미례 (1997).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 효능감과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삶의 질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연옥 (199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연구. 간호학 탐구,

3 (2),

서연옥 (1995).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서연옥 (1996).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강인성 성역활 특성의 관계. 여성건

강간호학회지, 2(1), 119- 134.

서현미 (2001).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소희영, 이영란, 손식영(1997). 고등학생의 건강행위 결정요소. 성인간호학회지,

- 93 -

Page 10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9 (1), 44- 54.

송애리 (1998). 폐경 관리를 위한 효능기대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4 (3), 348- 364.

송영신, 이미라, 안은경 (1997).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

회지, 27 (3). 541- 549.

신혜숙 (1997). 여대생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행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3 (2).

194- 204.

양병화 (2000).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오가실, 서미혜, 이선옥, 김정아, 오경옥, 정추자 및 김희순(1994). S ocial support의

한국적 의미. 대한간호학회지. 24(2), 264- 277.

오가실, 한정석 (1990). 스트레스 생활사건, 건강문제, 대응,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간호학회지, 20(3), 414- 429.

오복자 (1993). 자궁암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간의 관계연구. 삼육대학교

논문집, 25. 79- 86.

오복자 (1994). 위암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예측모형. 서울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오복자 (1996). 위암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구조모형 II. 대한간호학회지,

26 (3), 632- 652.

오현수 (1993).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23 (4),

617- 630.

윤순녕, 김정희(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 관련 요인 분석

- P en der의 건강증진 모형 적용. 한국산업간호학회지, 8 (2), 130- 140.

윤 진 (1990). 산업장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그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4 -

Page 10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은 영, 구미옥 (1999). 일지역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건강통제위 및 건강통제위

반 응 유형. 대한간호학회지, 29 (3), 625- 638.

이경희, 김태주 (1999).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6 (2), 310- 319.

이규난, 김순례 (1998). 충북지역 교사들의 건강증진생활방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9 (1). 30- 39.

이미라 (1997).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

지, 21(1), 156- 168.

이미숙 (1992). 혈액투석환자의 가족지지, 무력감과 자가간호와의 관계 연구. 조선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이미자 (1992).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희망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숙자, 박은숙, 박영주 (1996). 한국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모형. 대한간호

학회지. 26 (2), 320- 337.

이순묵 (1990). 공변량구조분석. 서울: 성원사.

이영휘 (1988). 충남 일부 주민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건강 행위와의 관계 연구. 대

한간호학회지. 18 (2), 118- 125.

이영휘 (1994).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자가간호 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종경 (1997). 요통환자의 운동예측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종경, 한애경 (1996).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 성

인간호학회지, 8 (1), 55- 68.

이태화 (1989).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95 -

Page 10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이혜련 (1995).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가간호 수행 간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석사 학위 논문.

임미영 (1999). 한국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장미영 (1996).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 효능감, 건강관련 강인성과 이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석사 학위 논문.

전병재 (1974). S elf - est eem : A t est of it s m easurability , 연세논총, 11. 107- 129.

전정자, 김영희(1996).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

와의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8 (1), 41- 54.

정미숙 (1999). 건강증진 센터 내원자의 건강증진 행위. 충남대학교 석사 학

위 논문.

조루시아, 최순희 (1998). 산욕부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

학회지 5 (2). 353- 361.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주현자 (1993).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 수행 정도. 경북대

학교 석사 학위 논문.

최스미 (1993). 오토바이 사고환자의 안전모 착용여부에 따른 뇌손상 비교와 자아

존중감, 건강통제위 성격, 건강증진 행위의 비교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3 (4),

585- 601.

한상익, 김종익(1987). 혈액투석에 따른 정서상태와 인지기능의 변화. 가톨릭대학

의학부 논문집 40(1), 315- 323.

홍명희 (2000). 중년 여성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 양식

간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Alexy , B . B . (1991). F actor A s sociat ed w ith P art icipation or N onpart iciat ion in

- 96 -

Page 10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a w orkplace W ellness Center . Research in Nur sing and H ealth , 14, 33- 40.

Ban dura , A . (1977). S elf- Efficacy : T ow ord a unify ing theory of b ehavioral

chang e. P sy ch ological Rev iew , 84 (2), 191- 215.

Ban dura , A .(1986). S elf - Efficacy : S oeial F oundat ion s of T hou ght & A ction , A

S ocial Cognit iv e T heory , Prent ice - Hall , Inc .,

Becker , M . H . (1974). T he Health Belief M odel and P er sonal H ealth Behavior :

Charles B . Slack In c.

Broadh ead, W . E . & Kaplan , B . H (1991). S ocial support & cancer patient .

Cancer . 67, 794- 799.

Cham pion , V . L .(1990). Brest self ex amination in w om an an d older : A

prospectiv e study . Journal of Beh avioral M edicin e, 13 (6), 523- 538.

Christm an . N . J .(1990). Un cert ain ty and aduju stm ent during radiotherapy .

Nur sin g Research . 39, 17- 20

Cock erham , W . C., Sh arp , K . & W ilcox , J . A .(1983). A ging an d perceiv ed

health st atu s , Journal of Geront ology , 38, 349- 355.

Coh en , S ., H oberm an , H .(1983). P osit iv e ev ent s an d social support s as buffer s

of life chan ge str es s . Journal of Applied S ocial P sy ch ology , 13, 99- 125.

Cox , C. L .(1986). T he in ter action m odel of client h ealth beh avior : Application t o

the stu dy of comm um ity based elder s , A dv an ced Nur sing S cience, 90(1),

40- 57.

Crou ch , M . A . & Straub , V .(1983). Enhan cem ent of S elf- E steem in A dult s ,

F am ily an d com m unity Health , 6 (2), 76- 78.

- 97 -

Page 10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Desm ond, A . W ., Conrad, K , M ., M ontg om ery , A . & Sim on , K . A .(1993).

F actor s as sociat ed w ith m ale w orker ' s eng agem ent in phy sical act iv ity .

AA OHN , 41(2), 73- 83.

Dishm an , R . K ., S allis , J . F . & Ob st ein , D . R .(1985). T he det erm in ant s of

phy sical act iv ity and ex ercise. Public Health Report s , 100, 158- 171.

Duffy , M . E ..(1988). Det erm in ant s of H ealth Prom otion in Midlife W om an .

Nur sin g Research , 37 (358- 362).

Duffy , M . E .(1993). Determ inant s of H ealth Prom otin g Lifesty les in older

per son . Im age : Journ al of Nur sing S cholar ship , 25 (1), 23- 28.

Duffy , M . E ., Rossow , R . & H erm an dez, M .(1996). Correlat es of h ealth

prom otion act iv it ies in em ploy ed m ex ican am erican w om en . Nur sin g

Research , 45 (1), 18- 24.

F ehir , J , S .(1988). S elf- r at ed h ealth statu s efficacy , m otiv at ion an d select ed

dem ographics as det erm in ant s of h ealth of h ealth - prom otin g life sty le .

Doctoral Dissertat ion . T he Un ev er sity of T ex as at Au stin .

F rank , P ., Camb ell, T . L . & Shields , C. G.(1992). S ocial r elat ion ships and

health : T h e Relativ e roles of fam ily fun ct ioning an d social support .

S ocial S cien ce M edicin e., 34 (7), 779- 788.

Garcia A , Nort on - Broda M . A ., F rem M .(1995). Gen der an d dev elopm ent al

differences in ex ercise beliefs am ong y outh and predict ion of ex ercise

ehavior . J . S chool H ealth . 65(6), 213- 219.

Gillis , A . & P erry , A .(1991). T h e relation ships bet w een p sy sical act iv ity an d

health - prom otin g beh avior s in m id - life w om an , Journal of A dv anced

Nur sin g , 16, 229- 310.

Gillis , A . J .(1993). Det erm in ant s of a H ealth - Prom otin g Lifesty le : an Integrat iv e

- 98 -

Page 11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Rev iew . Journal of A dv an ced Nur sing , 18, 345- 353.

Goldst ein , M . S ., Siegel, J . M . & Boy er , R .(1984). Predict ing chan ges in

perceiv ed health st atu s , Am erican Journ al of Public H ealth , 74, 611- 614.

Gotn er , S . R . & Jenkin s , L. S .(1990). S elf- efficacy an d act iv ity lev el follow ing

cardiac surg ery . Journ al of adv an ced Nursin g , 15, 1132- 1138.

H allal, H . C.(1982). T he Relat ion ship of Health Beliefs , h ealth Locu s of Control,

an d S elf Concept to the Pract ice of Brea st S elf - Ex am in ation in A dult

W om en . Nur sing Research , 31(3). 137- 142.

H ann er , M . E .(1986). F act or s r elat ed to prom otion of health - seekin g behavior s

in th e aged. Unpublish ed doctoral dis sert ation .

H ofest et ter , C, R ., S allis , J . F . & H ov ell, M . F .(1990). S om e health dim en sion s

of self- efficacy : analy sis of theoret ical specificity . S ocial S cience

M edicine, 31(9), 1051- 1056.

H orm an , S .(1989). T he role of social support on h ealth throughout th e lifecy cle.

H ealth Edu cat ion , 20(4), 18- 21.

Hubbard , P ., Muhlenkam p, A . F . & Brow n , N .(1984). T h e relat ion ship bet w een

social support an d self - care practices . Nur sing Research , 33, 266- 270.

Jon es , M . & Nies , M . A .(1994). T he relat ion ship of perceiv ed b enefit s of

barr ier s to reported ex ercise in older African Am ercian w om en . Public

H ealth Nur sing , 13 (2), 151- 158.

Joreskog , K . G., & S orb om , D.(1989). LISREL 7 : A guide t o th e program and

applicat ion s . Chicago, S cientific S oft w are Int ernation al In c.

Kaplan , R . M .(1977). "S ocial Support an d S ocial H ealth ", edited by sar son , I. G.

& S ar son . B . R .(1985). S ocial Support : T heory , Research and

Applicat ion s , 95- 110.

- 99 -

Page 11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Kelly , R . B ., Zy zan ski, S . J ., & Alem agn o, S . A .(1991). Predict ion of m otiv at ion

an d behav ior chan ge follow in g h ealth prom otion ; role of h ealth belief ,

social support , and self- efficacy . S ocial S cience & M edicin e, 32(3),

311- 320.

Kerr , M . J .(1994). F act or s r elated t o M ex ican - Am erican W orker ' s U se of

H earin g Prot ect ion . Ann Arbor , Mich : Univ er sity of Michigan

Dissert at ion Ab str act s In tern at ional, 1994, Univ er sity Microfilm s No.

9501083.

Killeen , M .(1989). Health prom otion pract ices of fam ily care giv er s . Health

Valu es , 13(4), 3- 10.

Lancast er , L . E .(1984). T h e pat ient w ith en d st ag e renal disea se. New York :

John W iley & S on s .

Law rance, L. & M cLeroy , K . R.(1986). S elf - efficacy an d h ealth edu cat ion .

Journal of S chool H ealth . 56 (8), 317- 321.

Lew is , F . M .(1982). Experien ced per son al control an d quality of life in

late - stag e can cer pat ient s . Nur sing Research , 31(21), 113- 119.

Lu sk S . L ., Ronis D, L . Kerr M . J .(1994). T est of th e h ealth prom otion m odel

of w orker ' s u se of hearing prot ect ion . Nur sing Research , 43(3), 151- 157.

Lu sk , S , L ., Ronis , D. L ., & Hogan , M . M .(1997). T est of the health prom otion

m odel as a cau sal m odel of con struction w ork er s ' u se of h earin g

protection . Research in Nur sin g & H ealth , 20, 183- 194.

M art in elli, A . M .(1999). An ex plon atory m odel of v ariables influen cing health

prom otion behavior s in sm okin g an d non sm ocking college student s .

Public Health Nur sing , 16 (4). 263- 269.

M cAuley , E . & Jacob son , L.(1991). S elf - efficacy an d ex ercise participat ion in

- 100 -

Page 11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sedentary adult fem ales . Am erican Journal of H ealth P rom otion , 5 (3),

185- 191.

M cGuire, W . J .(1981). "T h eoret ical foundat ion of campaign s ." Rice, R . E . &

P arisley , W . J .(Eds ), In Public com municat ion cam paign s , S age, Bev erly

Hills , CA , 41- 70.

M cM anu s , E . M .(1996). Health Prom otion an d S ocial Support for

Com m unity - based client s w ith chronic m ental illn ess . Nur sin gconn ect ion s ,

W int er , 9 (4), 49- 55

Miller , J . F .(1992). Copin g w ith chronic illnes s : ov ercom in g pow erlessnes s (2n d

Eds ). Philadelphia : F . A . Davis Co.

M oore, P . V ., W illiam son , G. C.(1990). Health prom otion : ev olut ion of a con cept .

Nur sin g Clin ics of N orth Am erica , 19, 195- 206.

Muhlenkam p A . F ., S ayles J . A .(1986). Deternin ant s of posit iv e health

act iv it ies of nur sin g clin ic client s , Nur sin g Research , 34 (6), 327- 332.

Muhlenkam p A . F ., Brow n N , J S an ds M (1985). S elf - est eem , social support

an d positiv e health practices . Nur sing Research , 35, 334- 338.

Mullis , A . K ., & Mullis , R .(1997). Vocat ional int er est s adolescent s : r elat ion ship s

bet w een self - est eem an d locu s of control. P sy chologic Report s , 8 (3),

1363- 1371.

Murphy , S . A .(1986). P erception s of st r es s , copin g and recov ery on e an d three

t ear s natural disast er . Is su es in M ental H ealth Nur sing , 8, 67- 77.

Nicholas , P . K .(1993). Hardines s , self - care pract ices an d perceiv ed health st atu s

In older adult s . Journ al of A dv an ced Nursin g , 18 (7), 1085- 1094.

Norbeck , J . S ., Lin sey , A . M . & Carrier , L . L .(1981). T h e dev elopm ent of an

in strum ent t o m easure social support . Nur sin g Research , 30(5), 264- 269.

- 10 1 -

Page 11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O 'Donell (1989). Defin it on of health prom otion : partⅢ. Ex pan ding the definit ion .

Am erican Journal of health prom otion . 3 (3):5

P adilla . G. V . & Bulcav age , L . M .(1991). T heories u sed in patient/ h ealth

education . S em in ar s in Oncology Nur sing , 7(2), 87- 96.

P alank , C. L .(1991). Det erminant s of health - prom otiv e behavior : a r ev iew of

curr ent r esearch . Nur sing Clinics of North A m erica , 26 (4), 815- 832.

P ar se , R .(1990). H ealth : A P er sonal Com m itm ent . Nur sin g S cien ce Quart er ly ,

3 (3), 136- 140.

P en der , N . J .(1982). H ealth Prom otion in Nur sin g Pract ice (2n d ed.), N orw alk ,

CT : Appleton & Lan ge.

P en der , N . J ., & P en der A . R . (1987). H ealth Prom otion in Nur sing Pract ice (2nd

ed.), Appleton & Lan ge St am ford, Conneticut .

P en der , N . J ., W alker , S . N ., S echrist , K . R ., & Strom borg , M . F .(1990).

Predict ing H ealth P rom otin g Lifesty les in th e W orkplace. Nur sing

Research , 39 (6), 326- 332.

P en der , N . J .(1996). H ealth Prom otion in Nur sin g Pract ice (3rd ed.), Appleton &

Lang e St am ford, Connet icut .

Phares , E , J .(1976). Locu s of Control in P er sonality . M orrist ow n : Gen eral

learning P ress .

P ollock , S . E .(1984). T h e stress r espon ce Crit ical Care Qu at erly , 6 (4), 1- 11.

Riffle, K . L ., Yoho, J . & S am s , J .(1989). Health - prom otin g beh avior s , perceiv ed

social support , and self- r eport ed h ealth of appalachian elderly . Public

H ealth Nur sing , 6 (4), 204- 211.

Rock , D, L ., M ey erow it z, B . E ., M aist o, S A ., & W allston , K . A .(1987). T he

- 102 -

Page 11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Deviat ion & V alidation of Six Mult idim en sion al Health locu s of Control

S cale Clu st er s . Research in Nur sing & H ealth . 10, 185- 195.

Rosenberg , M .(1965). S ociety an d the adolescent self Im ag e, Prin cet on NJ ,

Prin cet on Univ er sity P ress .

Rosen st ock , I. M,. Strecher , V, J. & Becker , M, H.(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summer ), pp. 175- 183.

S allis , J . F ., H ov ell, M . F ., H ofst ter , C. R ., F au cher , P ., E lder , J . P ., Blanch ard,

J ., Casper son , C. J ., P ow ell, K . E ., & Christ en son , G. M .(1989). A

Mult iv ariat e Stu dy of Determ inant s of Vigorou s Ex ercise in a com m unity

S am ple. Prev ent iv e M edicin e, 18, 20- 34.

S echrist , K . R ., W alker , S . N ., & P ender , N . J .(1987). Dev elopm ent an d

P sy chom etric Ev aluat ion of the Ex ercise Benifit s/ Barr ier s S cale. Research

in Nursin g & H ealth , 10, 357- 365.

Sherer , M ., & M addux , J . E .(1982). T he S elf - Efficacy S cale : Con stru ct ion &

Validat ion , P sy chological Report s , 51. 663- 667.

Slenker , S . F ., Price, J . H ., Robert s , S . M ., & Jur s , S . G.(1984). Jogg er s Ver su s

Non - Ex erciser s : An An aly sis of Kn ow ledge, Att itudes an d Beliefs about

Jog ging . Research Quart er ly for Ex ercise and Sport s , 55 (4), 371- 378.

Sm ith , A . M ., Shelly , M . & Denner stein , L .(1994). S elf - r ated health : b iological

cont inuum or social discont inuity , S ocial S cience and M edicine, 39 (1),

77- 83.

Speake, D. L ., Cow art , M . E ., & P ellet , K .(1989). H ealth percept ion s an d life

sty les of th e elderly . Research in Nursin g & H ealth , 12, 93- 100.

St out . J . P .(1987). Quality if Life of High - Risk an d Elderly Dialy sis P at ient s in

the U .K .., Dialy sis& T ran splant at ion .16 (12). 674- 677.

- 103 -

Page 11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St einhardt , M . A . & Dishm an , R . K .(1989). Reliability & V alidity of Ex pect ed

Outcom es & Barrier s for Habitual Phy sical A ct iv ity . Journ al of

Occupat ion al M edicin e, 3196), 536- 546.

T aft , L . B .(1985). S elf - est eem in later life : a nur sin g per spect iv e . A dv an ed in

Nur sin g S cien ce, 8(1), 77- 84.

T anner (1991). A ssis sm ent of a h ealth prom otiv e life - sty le . Nur sing clinics of

North A m erica . (4) : 845- 854.

T h oit s , P . A .(1982). Con ceptual, m ethodological an d th eoret ical problem 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s a ag ain st life st res s . Journ al of

H ealth an d S oeial Behavior , 23, 145- 159.

W alker , S . N ., V olkan , K , S echrist , K . R . & P en der , N . J .(1988).

H ealth - prom otin g lifesty les of older adult s : Com parison s w ith y oun g an d

m iddle - ag ed adult s , corr elat es and patt ern s , A dv an ces in Nur sing

S cience , 11, 76- 90.

W aller , P .R ., Crow , C., S an d, D & Becker , H .(1988). Health relat ed att itu des

an d h ealth prom oting behav ior s : differ ences bet w een health fair at t ender s

an d com m unity com parison group , Am erican Journ al of Health

Prom otion , 3(1), 17- 24.

W allston , K . A ., W allston , B . S ., & Dev ellis , R .(1978). Dev elopm ent oj the

Mult idim en sion al H ealth Locu s of Contr al (MHLC) S cales . H ealth

Education M on ograph s , 6 (2), 160- 171.

W ankle , L . M .(1985). P er sonal and situat ion al factor s affect ing inv olv em ent :

T h e im port ance of enjoym ent . Research Qu arter ly for Ex ercise an d

Sport , 56 (3), 275- 282.

W are, J . E ., Brook , R .H ., Davis , A . R . & Lohr , K . N .(1981). Choosin g m easures

- 104 -

Page 11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of health st atu s for indiv idual in gen eral population s . Am erican Joutnal

of Public Health , 71, 620- 625.

W einert , C.(1987). A social support m easure : P RQ 85. Nur sin g Research ,

36 (5), 273- 277.

W eitzel, M . H .(1989). A t est of th e health prom otion m odel w ith blu e color

w orker s . Nur sin g Research , 38 (2), 99- 104.

W eitzel, M . H & W aller , P .(1990). Predict iv e fact or s for health prom otiv e

beh avior s in w hite, hispanic, and black blu e- collar w orker s . F am ily

Com m unity H ealth , 13 (1), 23- 34.

Yascheski A . & M ahon , N . E .(1989). A casu al m odel of positiv e h ealth

pract ices : T he relat ion ship b etw een approach an d replication , Nur sing

Research , 38 (2), 88- 93.

Zim m erm an , R . S ., & Conn or , C.(1989). H ealth prom otion in cont ex t : the effect

of significant other s on health b ehavior chang e. Health Educat ion

Qu at erly , 16 (1), 57- 75.

- 105 -

Page 11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부 록】

< 부 록 1> 설 문 지

부탁의 말씀

안녕하십니까?

저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재학생입니다 .

본 설문지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분들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내용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무기명으로 처리되며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 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

질문지 내용에 정답이나 오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각 문항에 대하여 정 확 하 고 솔 직 하 게 한 문 항 도 빠 짐 없 이

기재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2001년 2월

연구자 손 영 희 드림

- 106 -

Page 11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일반 적 특 성 >

* 해 당란 에 ∨ 로 표 시 하 거 나 기 입 해 주 십시 오 .

1. 연령 : 만 세

2. 성별 : ①남자 ,②여자

3. 결혼상태 : ①미혼 , ②기혼 , ③이혼 및 사별 , ④기타

4. 교육수준 : ①국졸 , ②중졸 , ③고졸 , ④대졸 이상

5. 직업 : ①유 , ②무

6. 경제상태 : ①아주 넉넉한 편이다 , ②조금 넉넉한 편이다 , ③지낼 만 하다 ,

④약간 어렵다 , ⑤많이 어렵다 .

7. 종교 : ①기독교 , ②천주교 , ③불교 , ④기타

8. 처음 혈액투석을 시작한 시기 : 년도 월부터 시작함

9. 매주 받고 있는 투석 횟수: 매주 회

10. 현재 합병증 : 있다 , 없다

11. 혈액투석과 관련된 건강증진교육을 받은 경험 : ①유 , ②무

* 다 음 문 항 중 귀하 에 상 태 를 잘 표 현 하고 있 는 칸에 ∨ 표 하 여 주 십 시 오 .

매 우

좋 다

비교적

좋 다

보 통

이 다

조 금

나쁘다

매 우

나쁘다

1. 현재 귀하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는 어느 정도

입니까?

2. 귀하와 비슷한 연령의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다른 사람과 비교할 때, 귀하의 건강

상태는 어떠합니까?.

- 107 -

Page 119: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다음 각 문항을 읽은 후 귀하의 상태를 잘 표현하고 있는 칸에 ∨를 하여 주십시오 .

항 상그렇다

자 주그렇다

가 끔그렇다

거 의그렇지않 다

1. 내가 하는 일을 잘 한다고 인정해 준다.

2. 내 주변에는 나와 같이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이 있다

3. 아파서 병원에 가야할 때, 나를 데려다줄 사람이 있다.

4. 내가 하는 일에 있어서 잘 잘못을 분명하게 말해줄 사람이 있다.

5. 내 친지나 친구들은 내가 그들에게 필요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6. 자신이아끼는물건(예 : 자동차)을쾌히빌려줄사람이있다.

7. 내 주변에는 나 자신의 문제 때문에 상의하기 위해 찾아가고 싶은 사람이 있다.

8. 나는 다른 사람보다 내 생활에 만족한다.9. 내가 아는 사람들은 대부분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

지고 있다.

10. 내가 해야할 일이 있을 때, 도움을 청할 사람이 있다.

11. 외롭고 우울할 때, 전화로 얘기할 사람이 내 주변에 있다.

12. 내가 아플 때, 나의 일을 대신해 줄 사람을 찾을 수 있다.

13. 내가 식사를 같이 하고 싶을 때 쾌히 응해줄 사람을 찾을 수 있다.

14. 나는 정기적으로 가족이나 친구들과 만나서 즐겁게 지낸다.

15. 나는 다른 사람에 비해 친구나 친지들과 가깝다.

16. 내가 직업이나 생활방식을 바꾸어야 할 때 나에게 조언을 해 줄 사람이 있다.

17. 은행시간 마감 전에 세금을 꼭 내야 할 때 내 대신 그 일을 해 줄 사람이 있다.

18. 내가 외출하고 싶을 때는 언제든지 같이 동행해줄 사람이 있다.

- 108 -

Page 120: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다음 각 문항에서 건강에 대한 귀하의 생각과 가장 일치하는 칸에 ∨표를 하여 주십시오.

매 우

동의함

대체로

동의함

약 간

동의함

약 간

반대함

대체로

반대함

아 주

반대함

1.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나 자신의 행동에

달려있다.

2. 건강관리는 내 스스로 하는 것이다.

3. 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내 탓이다.

4. 건강은 내가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달려있다

5. 내가 건강관리를 잘하면 병을 피할

수 있다.6. 내가 건강을 위하여 조치를 취한다면 건강

을 유지할 수 있다.

* 다음문장을 읽 은 후 평소 귀하 께서 자기자신 에 대해 생각하 는 바와 일치하 는

칸 에 ∨표 를 하 여 주 십 시 오 .

매 우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대체로그렇지않 다

거 의그렇지않 다

1. 나는 적어도 내가 다른 사람과 같은 정도로 가치 있

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 나는 좋은 성품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3. 나는 대체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쉽게 갖는다.*

4.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같은 정도로 일을 잘 할 수 있다

5.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고 생

각한다.*

6.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적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7. 나는 대체로 나 자신에 대해 만족한다.

8. 나는 가끔 내가 쓸모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9.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 109 -

Page 121: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다 음 은 각 문 항 에 대 한 귀 하 의 자 신 감을 보 는 것 입 니다 . 귀하 의 생 각 과 가장

일 치 하는 칸 에 ∨를 하 여 주십 시 오 .

매 우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대체로그렇지않 다

거 의그렇지않 다

1. 나는 정해진 양만큼만 수분을 섭취할 수 있다.

2. 나는 음식의 종류나 양을 지시된 대로 섭취할 수 있다.

3. 나는 싱겁게 식사를 할 수 있다.

4. 나는 규칙적으로 알맞은 운동을 할 수 있다.

5. 나는 피곤하고 힘이든 때는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다.

6. 나는 정신적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잘 처리할 수 있다.

7. 나는 지시된 약물을 잘 복용할 수 있다.

8. 나는지시된대로혈액투석용혈관을잘관리할수있다.

9. 나는 밤에 푹 잘 수 있다.

* 다 음은 건강증진 행위 와 관련된 장애 요인입 니다 . 귀하의 생각과 일 치하는 칸

에 ∨하여 주십시오

매 우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대체로그렇지않 다

거 의그렇지않 다

1. 나는 어떤 일을 계획할 때, 그 일을 할 수 있다

고 확신한다.

2. 나는 무슨 일이든 한번 시도하여 안되면 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한다.

3. 나는즐겁지못한일이라도그것을끝낼때까지매달린다.

4. 나는 어떤 일이든 하려고 결정하면, 즉시 시행한다.

5. 나는 실패했을 때 더욱 열심히 한다.

6. 나는 자립적인 사람이다.

7. 나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문제

들을 잘 해결하지 못한다.*

- 110 -

Page 122: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다 음은 건강증진 행위 와 관련된 장애 요인입 니다 . 귀하의 생각과 일 치하는 칸

에 ∨를 하여 주십시오 .

매 우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대체로그렇지않 다

거 의그렇지않 다

1. 나태하고게으른성격때문에규칙적인운동을하기힘들다.

2. 운동이나 건강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경제적

으로 부담된다.

3. 치료에 드는 병원비 및 비용은 부담이 된다.

4. 사회생활로 인하여 제한된 식생활을 지키기 힘들다.

5. 제한된 식생활은 구미를 잃게 한다.

6. 사회생활로 인하여 병원을 방문하는데 에 시간적

어려움이 있다.

7. 규칙적인 운동은 피곤하게 하고 지치게 한다.

8. 아무 것도 할 의욕이 없다.

9. 운동하는 중에 다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10. 운동할 수 있는 편리한 시설과 장소가 없다.

11. 자신에 대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기 어렵다.

* 다음 문항은 맞고 틀린 답이 있 는 것은 아닙니 다 . 각문 항을 읽 은 후 귀하가

현재 실천하고 있는 내용 과 가 장일치 하는 칸에 ∨표를 하여 주십시오 .

항 상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가 끔

그렇다

거의그렇지않 다

1. 매일 매일을 즐겁게 살려고 노력한다.

2.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고 변화하려고 한다.

3. 나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알고 있다.

4. 살아가는 데에 나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5. 건강에 영향을 주는 주위 환경에 관심을 갖는다.

6. 나 자신을 좋아한다.

7. 현실성 있는 삶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8. 혈액 투석할 시간과 날짜를 반드시 지킨다.

- 111 -

Page 123: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표 계속>

항 상그렇다

대체로그렇다

가 끔그렇다

거의그렇지않 다

9. 평소와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곧 병원을 방문한다.

10. 건강과 관련된 잡지나 T V 프로그램을 본다.

11.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주치의와 상의하여 영양제를 먹는다.

12. 필요한 경우에는 집에서 혈압을 자주 측정한다.

13. 신체의 변화를 자주 관찰하고 확인한다.

14. 규칙적으로 주 3회 이상, 운동(걷기, 맨손체조, 몸펴

기운동 등)을 한다.

15. 적절한 체중이 유지되도록 한다.

16. 하루 세끼 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17. 가공식품보다 자연식품을 주로 먹는다.

18. 음식은 가능한 싱겁게 먹는다.

19. 처방된 대로 수분섭취를 조절한다.

20. 개인적인 문제와 관심사를 상의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

21. 주위 사람들과 편안한 대인관계를 유지한다.

22. 친한 친구와 자주 만난다.

23. 다른 사람에게 관심, 사랑, 따뜻함을 쉽게 표현한다.

24.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알게 되는 것이 즐겁다.

25.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한다.

26. 나는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낸다.

27.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시간을 가진다.

28. 자기전에근육을이완시키기위해더운물목욕을자주한다.

29. 매일 일정한 휴식시간을 가진다.

30. 자기 전에 그날의 걱정과 생각을 잊고 될 수 있으

면 즐거운 생각을 하려고 한다.

31. 감정을 솔직히 표현한다.(울거나 화를 낸다.)

32. 긴장을해소하기위한특별한방법(예: 이완요법)을이용한다.

33. 현재나에게스트레스를주는요인이무엇인지를알고있다.

♠수고하셨습니다 . 대단히 감사합니다.♠

- 112 -

Page 124: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부 록 2 > 가 설 적 모 형의 표 준 화 잔차 와 s t em - le af plo t

SUMMARY ST AT IST ICS F OR ST ANDARDIZED RESIDUALS

SMALLEST ST A NDARDIZED RESIDUAL = - 4.81

MEDIAN ST A NDARDIZED RESIDUAL = - .47

LA RGEST ST ANDARDIZED RE SIDUAL = 5.77

ST EMLEA F PLOT

- 4:8

- 2:941109983220

- 0:98887664433211000977776665543332111

0:12456700122346888

2:566013589

4:0428

가장 큰 음적 표준화잔차 - 지각된 장애성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 2.84

지각된 장애성과 구체적효능과의 잔차 - 3.42

지각된 장애성과 일반적효능과의 잔차 - 3.06

대인관계와 건강책임과의 잔차 - 2.88

대인관계와 운동및영양과의 잔차 - 3.05

스트레스관리와 구체적효능과의 잔차 - 3.04

사회적 지지와 구체적효능과의 잔차 - 3.94

사회적 지지와 운동및영양과의 잔차 - 4.81

가장 큰 양적 표준화잔차 -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5.77

구체적효능과 구체적효능과의 잔차 3.84

일반적효능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4.09

일반적효능과 일반적효능과의 잔차 3.52

지각된장애성과 지각된장애성과의 잔차 2.63

자아실현과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3.92

자아실현과 자아실현과의 잔차 3.13

운동및영양과 구체적효능과의 잔차 4.38

대인관계와 대인관계와의 잔차 2.97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과의 잔차 3.33

건강상태와 건강상태와의 잔차 2.65

- 113 -

Page 12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 부 록 3 > 가 설 적 모 형 의 Q - plot

3.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 . .. . x. . x. . x. . x. . *

N . . x x x .O . . x* .R . . x x .M . . *xx .A . .x *x .L . * x. xx .

. xx* . .Q . **x . .U . xxx . .A . xx . .N . *x . .T . x*x . .I . x* x . .L . ** . .E . *x . .S . * x . .

. xx . .

. x . .

. x . .

. x . .x . .. . .x . .. . .. . .. . .. . .. . .. . .

- 3 .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 3. 5

STANDARDIZED RESIDUALS

- 114 -

Page 126: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A B S T RA CT

A Predictiv e M odel for H ealth Prom otion

B eh av ior of Kore an P atient s on H em odialy s i s

Shon , Young H ee

Departm ent of Nur sin g

T he Graduate S ch ool

Yon sei Univ er sity

T h e purpose of this study w as to identify the factor s influ encing health

prom otion behav ior an d to dev elop a predictiv e m odel that ex plain s health

prom otion beh avior in Korean pat ient on hem odialy sis .

A hypothesis m odel w a s con structed on the ba sis of an ext en siv e review of

the lit er ature on health prom otion behav ior .

T h e ex ogen ou s v ariables of the hypothet ical m odel w ere social support an d

health statu s . T he endogen ou s v ariables w ere int ernal h ealth locu s of control,

self - efficacy , perceiv ed barr ier s an d self - est eem .

T h e dat a w ere collected bet w een F ebruary 8 and M arch 10, 2001. T h e

sam ple w as 230 pat ient s r eceiv in g h em odialy sis at on e of sev en hem odialy sis

center s locat ed in S eoul.

T h e research t ool w as a quest ionn air e dev eloped by th e research er ba sed on

the lit er ature r eview and th e Cronbach ' s alph a scores r ang ed from .66 t o .91.

T h e collect ed data w ere an aly zed u sin g SP S S 9.02 W IN program for

descript iv e st at istical analy sis and LISREL 8.12 W IN program for cov ariance

structural an aly sis .

- 115 -

Page 127: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T h e result s ar e as follow s .

1. T he ov erall m easure of fitn ess of th e hypoth etical m odel t o the data w as

not g ood ( x 2 =128.56, p =.000, df=40, x 2/ df=3.21, GF I=.91, A GF I=.83, RMR =.043,

NNF I=.97, NF I=.97, CN =114.45)

M odificat ion in dex es of the m odel w ere m odified by con sidering theoretical

im plicat ion s an d statist ical significance of param et er est im at es .

A m odified m odel w a s con structed by addin g four path param eter est im at es

w ith high m odification in dex es .

T h e revised m odel show ed a m u ch higher degree of fitnes s t o th e em pirical

data ( x 2 =52.75, p=.035, df=36, x 2/ df=1.47, GFI=.96, AGFI=.92, RMR=.03, NNFI=.99,

NF I=.99, CN =255.47)

In the final m odel 90% of the v arian ce in h ealth prom otion behav ior w as

ex plain ed.

2. F or int ernal health locu s of control self - efficacy (β12=1.50, T =3.11) h ad a

significant dir ect effect , an d social support h ad a significant in dir ect effect (γ

=.47, T =2.89) and a tot al effect (γ=.28, T =4.65).

F or th e self - efficacy , social support (γ2 1 =.22, T =5.25) an d self- esteem

(β24 =.33, T =3.80) each had a significant dir ect effect , health statu s had a

significant indir ect effect (γ=.06, T =3.71) an d a t ot al effect ,(γ=.11, T =3.94) an d

perceiv ed barr ier s h ad a significant indir ect effect (γ=.08, T =- 3.08) an d a t ot al

effect (γ=- .14, T =- 2.64).

H ealth st atu s had a significant dir ect effect (γ3 2 =- .18, T =- 4.89) on perceiv ed

barr ier s .

S ocial support (γ4 1 =- .29, T =7.15), h ealth st atu s (γ42 =.14, T =3.96), int ern al

health locu s of control (β4 1 =- .13, T =- 1.98) and perceiv ed barr ier s (β42 =- .26,

T =- 4.62) each had a significant dir ect effect on self- esteem .

- 116 -

Page 128: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 은 90%이었다

F or health prom otion beh avior , health st atu s (γ52 =- .10, T =- 2.70) an d self

efficacy (β52 =1.20, T =3.12) each had a significant dir ect effect ,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 dir ect effect (γ=.30, T =3.38) an d a tot al effect (γ=.43,

T =11.29), health st atu s h ad a significant indir ect effect (γ=.09, T =2.68) but not

significant t ot al effect , perceiv ed barr ier s had a significant t otal effect (γ=- .10,

T =- 2.01) but n ot a significant dir ect and indir ect effect , an d self- esteem had a

significant in dir ect effect (γ=.37, T =2.83) an d a t ot al effect (γ=.16, T =2.44).

T h e fin ding s sh ow ed that social support , self - efficacy , perceiv ed b arrier s an d

self - est eem each h ad significant effect on h ealth prom otion behavior .

In these v ariables , self- efficacy w a s th e m ost significant factor . S elf - est eem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 S ocial support had the m ost

significant effect on self - est eem . T h e result s of this study show ed that

self - efficacy h ad th e m ost significant dir ect effect on health prom otion

beh avior . S ocial support , perceiv ed barr ier s an d self - est eem each had a

significant in dir ect and tot al effect on h ealth prom otion behavior .

F rom this stu dy it is possible t o conclude th at in dev eloping nur sing

in t erv ent ion str ategies for h ealth prom otion beh avior in patient s on

hem odialy sis it is n eces sary t o dev elop str at egies that increa se self- efficacy ,

social support an d self - est eem an d that r educe perceiv ed barr ier s .

K ey W ord s : h em odialy sis pat ient , health prom otion behav ior

- 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