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rock art

9
일러두기 1. 이 책은 울산암각화박물관이 실시한 한국암각화 유적조사 도록이다. 2. 도록의 내용은 한국의 암각화 : 부산, 경남, 전라, 제주편 과 한국의 암각화 : 대구, 경북편 의 유적조사 내용을 묶은 것이다. 3. 본고에 실린 조사내용과 도면 등은 암각화 박물관에서 제작한 것으로 내용상의 오류는 본서의 편집자에게 있음을 밝혀둔다. 4. 도면과 사진은 암각화박물관에서 제작·촬영한 것이며, 일부 사진과 도면은 해당 조사기관 또는 조사자의 협조를 받아 수록하였다. 5. 암각화 유적과 유물의 명칭, 고유번호는 암각화박물관의 분류기준에 따라 부여하였으며, 발굴유적은 해당 조사기관의 기준을 따랐다. 6. 학술적인 목적으로 본서의 내용과 도면을 인용 또는 사용할때 출처를 명시해야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할 경우 암각화박물관의 사용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국의 암각화 KOREAN ROCK ART 부산·경남·전라·제주·대구·경북 Busan·Gyeongnam·Cheonla·Jeju·Deagu·Gyeongbuk 2015

Upload: independent

Post on 11-Dec-2023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일러두기

1.이책은울산암각화박물관이실시한한국암각화유적조사도록이다.

2.도록의내용은한국의암각화:부산,경남,전라,제주편과 한국의암각화:대구,경북편의유적조사내용을묶은것이다.

3.본고에실린조사내용과도면등은암각화박물관에서제작한것으로 내용상의오류는본서의편집자에게있음을밝혀둔다.

4.도면과사진은암각화박물관에서제작·촬영한것이며,일부사진과도면은 해당조사기관또는조사자의협조를받아수록하였다.

5.암각화유적과유물의명칭,고유번호는암각화박물관의분류기준에따라부여하였으며, 발굴유적은해당조사기관의기준을따랐다.

6.학술적인목적으로본서의내용과도면을인용또는사용할때출처를명시해야하고, 다른용도로사용할경우암각화박물관의사용승인을받아야한다.

한국의 암각화KOREAN ROCK ART

부산·경남·전라·제주·대구·경북 篇Busan·Gyeongnam·Cheonla·Jeju·Deagu·Gyeongbuk

2015

Preface Theulsanpetroglyphmuseumwasopenedasaspecialanduniquemuseumfor

petroglyphinKoreaonMay2008.Thearcheologicalsitesofpetroglyphhavebeen

discoveredfrommorethan30sitestillnowsincethesiteofCheonjeon-ri,Ulju

wasreportedtotheacademicworld.Therewasnoinvestigatingreportmadeafter

precisestudyonmostoftherockartsitesexcludingsomesitessuchastheBangudae

petroglyphandChunjeon-ripetroglyphwhichwerecontrolledasnationaltreasures

tillstartingthesurveyontheKoreanpetroglyphbyourmuseum.Becauseofthis

reason,thelevelofstudyonKoreanpetroglyphwasinsufficientdata,andthestudies

arebeingcontinuedveryfortunatelybythesacrificeandeffortbyafewresearchers.

Webelievedthatthebasicdatashallbeacquiredurgentlythroughinvestigatingthe

petroglyphtoactivatethestudyonKoreanpetroglyph,andstartedtoinvestigatethe

rockartsitesformallythroughacquiringtheinvestigatorsandbudgetin2009.Asa

result,wepublishedtheinvestigationreportontheregionsinBusan,Gyeongnam,

CheollaandJeju in2010,andDaeguandGyeongbukin2011.Thesurveyreport

waspublishedcontainingtheintegrated informationontheBangudaepetroglyph

atDaegok-ri,Uljuofwhichsurveyreporthadbeenpublishedin2012afewtimes.

Andthen,weareinvestigatingtherockartsitesinCheonjeon-riwheretherecords

ofpre-historicandhistoricagearecarvedtogetherfrom2013.Theinvestigation

reportonthepetroglyphofChunjeon-riwillbepublishedattheendof2017.We

believethatitisveryinspiringopportunitywhichshowsthebrightfutureofstudy

onKoreanpetroglyphthatthestudy isbeingactivatedwhichwas instagnation

whileweprovidedthebasicdatatotheresearchersandrelatedorganizationthrough

investigatingthepetroglyphandpublishingthesurveyreport.

Thisbookisthecombinationofthe『Koreanpetroglyph:Busan,Gyeongnam,

Cheolla andJeju』published in2011 and the 『Koreanpetroglyph :Daeguand

Gyeongbuk』publishedin2012.Itisexpectedthatwewillcompileallbasicdataon

Koreanpetroglyphwhichwasplannedinthebeginningwhenwewillpublishthe

reportonChunjeon-ripetroglyphasplanned.Wewillbeginthein-depthstudyby

themeandthecomparisonstudybetweenKoreanandanothercountrypetroglyph.

ThereasonofactiveprogressoftheinvestigationonKoreanpetroglyphisbecause

therewereawholeheartedsupportbyUlsancityandclosecooperationamongthe

researchers.Wewillmakemoreefforttobeacornerstonetoactivatethestudyon

thepetroglyphinthefuture.

December2015

DirectorofUlsanPetroglyphMuseum Sangmog Lee

우리박물관은2008년5월국내유일의암각화전문박물관으로개관하였습니다.

1970년울주천전리유적이처음으로학계에보고된이후지금까지약30여곳

에이르는암각화유적들이전국에걸쳐발견되었습니다.우리박물관이한국암각화

유적조사를시작할당시까지국보로지정관리되고있는울주대곡리반구대암각화

와천전리각석같은일부유적을제외한대부분의유적들이정밀한현장조사를통

한조사보고서가부재한상태에있었습니다.이로인해우리나라암각화연구는상

당히부진한상태에머물고있었고그나마소수의연구자들의희생과노력으로연구

가이어지고있었습니다.우리박물관은국내암각화연구의활성화를위해가장우

선적으로암각화유적조사를통한기초자료확보가시급하다고보고,2009년조사

인력과예산을확보하여본격적인유적조사를시작하였습니다.그결과물로2010년

부산,경남,전라,제주도지역을2011년대구와경북지역에대한조사보고서를발

간하였습니다.그리고2012년은이미몇차례조사보고서가발간된바있는울주대

곡리반구대암각화에대해서는종합적인내용을담은조사보고서를발간하였습니

다.그리고2013년부터선사시대와역사시대기록이함께새겨져있는천전리유적

에대한조사를진행하고있습니다.천전리암각화에대한조사보고서는내년말에

발간할예정에있습니다.우리박물관이암각화유적조사와조사보고서를발간해국

내외연구자와관련기관에기초자료를제공하면서다소침체상태에있었던국내암

각화연구에다시활력이생기고있다는사실은한국암각화연구의밝은미래를보

여주는매우고무적인일이라생각됩니다.

이책은우리박물관에서2011년발간한『한국의암각화:부산경남전라제주』와

2012년발간한『한국의암각화:대구경북』을다시묶은것입니다.예정대로내년천

전리암각화에대한보고서를발간하게되면,우리박물관이당초계획한우리나라암

각화에대한기초자료를집대성하게될것으로기대됩니다.이후부터는좀더심도

깊은주제별연구와국외암각화와의비교연구를시작할예정입니다.그동안한국암

각화유적조사가순조롭게진행될수있었던것은우리시의전폭적인지원과관련기

관과연구자들의긴밀한협조가있었기때문입니다.앞으로도우리박물관이암각화

연구활성화에자그마한디딤돌이될수있도록더욱노력하도록하겠습니다.

2015년12월

울산박물관장

발간사

이 상 목

Contents

Ⅰ. 유적조사 _ 8Investigation

Ⅱ. 암각화 _ 18Petroglyph

Ⅳ. 고찰 _ 154Comprehensive review

부산 복천동 고분 출토 암각화 22 Bokchen-dong, Busan

경남 함안 도항리 암각화 26Dohang-ri, Haman, Gyengnam

경남 밀양 살내 유적 출토 암각화 30Anin-ri, Milyang, Gyengnam

경남 밀양 신안 유적 출토 암각화 34Hwalsung-dong, Milyang, Gyeongnam

경남 의령 마쌍리 유적 출토 암각화 40Massang-ri, Euiryeong, Gyeongnam

경남 사천 본촌리 유적 출토 암각화 44Bonchon-ri, Sacheon, Gyeongnam

경남 남해 양아리 암각화 48Yanga-ri, Namhae, Gyeongnam

전남 여수 오림동 암각화 52Orim-dong, Yeosu, Jeonnam

전남 나주 운곡동 암각화 56Ungok-dong, Naju, Jeonnam

전북 남원 대곡리 암각화 68Daegok-ri, Namwon, Jeonbuk

제주 광령리 암각화 74 Gwangryung-ri, Jeju

대구 진천동 입석 암각화 78Jincheon-dong, Daegu

대구 천내리 암각화 82Cheonnae-ri, Daegu

경북 경주 안심리 암각화 86Ansim-ri, Gyeongju, Gyeongbuk

경북 경주 석장동 암각화 92Seokjang-dong, Gyeongju, Gyeongbuk

경북 포항 인비리 암각화 98Inbi-ri, Pohang, Gyeongbuk

경북 포항 칠포리 암각화 102Chilpo-ri, Pohang, Gyeongbuk

경북 영천 보성리 암각화 120Boseong-ri, Yeongcheon, Gyeongbuk

경북 고령 양전동 암각화 124Yangjeon-dong, Goryeong, Gyeongbuk

경북 고령 안화리 암각화 130Anhwa-ri, Goryeong, Gyeongbuk

경북 고령 봉평리 암각화 136Bongpyung-ri, Goryeong, Gyeongbuk

경북 고령 지산동 30호 고분 출토 암각화 140Jisan-dong, Goryeong, Gyeongbuk

경북 안동 수곡리 암각화 144Sugok-ri, Andong, Gyeongbuk

경북 영주 가흥동 암각화 150Gaheung-dong, Youngju, Gyeongbuk

155154

03고찰Comprehensive review

유적의 입지L o c a t i o n o f t h e s i t e

주제와 제작시기T h e m e a n d d a t a t i o n

ㆍ154

ㆍ155

156 157

The site of petroglyphs registered in this book for 23 places except

the Bangudae site in Ulsan of which report had been published

already, the site in Chunjeon-ri, Ulsan where is under study and newly

discovered site in the mean time. The firstly reported site in Koreas

was in Chunjeon-ri, Ulsan in 1970. Bangudae and site in Goryeong

Yangjeon-dong were discovered in next year.

The petroglyphs which had been known to the residents were

found from the exposed cliffs or rocks above the ground in the early

stage. But many sites were discovered in the course of archeological

excavating the underground site, for example, Orim-dong in Yeosu,

Dohang-ri in Haman, Jisan-dong in Goryeong, Bokcheondong in

Busan, Bonchon-ri in Sacheon, Jinchun-dong in Daegu, Salnae

in Milyang, Shinan in Milyang, Ungok-dong in Naju, Massang-ri in

Euiryeong. It was because the rescue excavating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rapid territory development partly, on the other hand, it

resulted from the chang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urveyors on the

petroglyph. Because they were not easily found if the investigator did

not pay attention carefully in case that the petroglyphs excavated from

the buried ruins and relics. In case of the petroglyphs exposed above

the ground, they were the ones carved into the rock face comparatively

deep by the skill of picking, grinding and turned picking with specific

motives such as the Geompa-style (* handle of stone dagger form),

concentric circles, vulva and rock hole. It is difficult to decide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in technique of making and specific motives

simply. The figuration engraved deeply with grinding and turned picking

must have been carved repeatedly, and they were probably made

in repetition through a certain ritual. On the contrary, the petroglyphs

discovered in the course of excavation were engraved very shallow

on the rock face relatively, but they were comparatively intact until

the excavation as they had been buried into the ground. As it was

discussed in the above, the petroglyphs excavated from the buried

ruins provide the important information and reasons to estimate the

meaning and pattern change of the figuration and comparatively exact

time of making as well. A few characteristic feat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oriented to the petroglyph site registered in this book.

이 책에 수록된 암각화 유적은 이미 별도 보고서를 발간

한 울산 반구대 유적과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울산 천전리

유적과 그 사이 새롭게 발견된 유적을 제외한 23곳이다. 우

리나라에서 암각화가 처음 학계에 보고된 것은 1970년 울

산 천전리 유적으로 이듬해 울산 반구대와 고령 양전동 유

적이 발견되었다. 암각화 연구 초창기에는 주로 지상에 노출

된 자연 상태의 절벽이나 바위에 새겨진 암각화로 이미 그

지역 주민들이 오래 전부터 알고 있던 것을 연구자들이 찾

아낸 것들이다. 반면 여수 오림동, 함안 도항리, 고령 지산동,

부산 복천동, 사천 본촌리, 대구 진천동, 밀양 살내, 밀양 신

안, 나주 운곡동, 의령 마쌍리 등은 매장유적 발굴조사 과정

에서 발견된 것들로 최근에 발굴과정에서 발견된 것들도 많

다. 이는 급격한 국토개발로 인해 구제발굴이 크게 증가한

원인도 있지만, 발굴 조사자들의 암각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

에 기인한 결과라고 하겠다. 땅속에 묻힌 매장유구에서 출

토된 암각화의 경우 발굴조사자가 세심하게 주의하지 않으

면 발견하기 어려운 것들이기 때문이다. 지상에서 노출된 암

각화의 경우 주로 검파형(석검손잡이 형태), 동심원, 음문, 바

위구멍 등 특정한 모티브를 쪼기와 갈기, 돌려 파기 수법으

로 암면에 비교적 깊이 새긴 것들이다. 이러한 제작기법상의

특징과 특정 모티브와의 관계를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갈기

와 돌려 파기로 깊이 새긴 그림은 반복적으로 덧새긴 것들

로 어떤 의식을 통해 반복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발굴과정에서 출토된 암각화는 상대적으로 암면에 매우 얕

게 새겨져 있지만 땅속에 매장되어 발굴당시까지 비교적 온

전하게 남아 있는 것들이다. 이처럼 매장유구에서 출토된 암

각화들은 비교적 명확한 제작시기뿐만 아니라 그림의 의미

와 유형변화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와 근거를 제

공해주고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암각화 유적을 중심으로 몇

가지 특징적인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t seemed that those petroglyphs excavated from ancient tomb

No. 30 in Jisan-dong, Goryeong and Bokcheon-dong, Busan had

been adopted the petroglyph carved on the natural rock face in the

course of building the ancient tomb. These petroglyphs could be used

for counting the lower limit chronology of the figurations. The working

tribe for building the ancient tomb should have not used the figuration

on the natural rock face by destroying them if they had regarded

the petroglyphs as sacred ones. Even though more careful review

is necessary whether these cases were the practices of vandalism

destroying the sites of different religion or culture intentionally, but

they are the cases showing how the working group for ancient tomb

accepted the petroglyphs carved previously. Once again, the working

tribe for building the ancient tomb and the group which engraved

the petroglyphs had totally different ideology, otherwis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working tribe appeared after the symbolism of

the petroglyph had been extinct completely. The Geompa-style

petroglyphs were carved on the rock face exposed above the ground,

but the Geompa-style petroglyphs remained with a part of shap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in Jisan-dong, Goryeong can be

used for assuming the lower limit chronology of the figuration style.

And the most of the sites in Bonchon-ri in Sacheon, Massang-ri in

Euiryeong, Salnae in Milyang and Shinan in Milyang are estimated

made in Bronze Age in consideration of the relics and details on the

figuration which had been buried together with the ruins.

고령 지산동 30호분과 부산 복천동 고분에서 출토된 암

각화는 고분 축조과정에 자연암면에 새겨진 암각화가 채석

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암각화들은 그림의 하한연

대 추정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만일 고분 축조집단이 암각

화를 신성하게 여겼다면 자연 암면에 새겨진 그림을 훼손해

고분 벽석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

례는 다른 종교나 문화적 잔재를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반달

리즘(vandalism)의 흔적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지만, 고분 축조집단이 이전에 새겨진 암각화를 어

떻게 받아들였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분축조 집단은 암각화를 새긴 집단과 전혀 이질

적인 관념을 소유하였거나 암각화의 상징성이 완전히 소멸

한 이후 집단이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검파형 암각화가 대부

분 지상에 노출된 암면에 새겨져 있지만, 고령 지산동 고분

에서 출토된 일부 형태만 남아 있는 검파형 암각화는 그림

의 하한연대를 유추하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그리고 사천

본촌리, 의령 마쌍리, 밀양 살내, 밀양 신안 등은 유구에 공

반된 유물들과 그림의 내용 등을 볼 때 대부분 청동기시대

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The petroglyph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ones engraved on

the natural rock face and the ones related to the buried ruins. In

case of the petroglyphs excavated from the buried ruins,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the capstone, altar or residential area related to

the sites of dolmen and the ones attracted in the course of building

the ancient tomb. Out of these, the site in Dohang-ri, Haman, Salnae

Milyang and Shin Milyang and Jinchun-dong, Daegu which were

equipped with eh facilities of tomb area are considered as a kind of

altar facility related to the religious ritual of the tribe in Bronze Age. Even

though the petroglyphs were not discovered, the site in Deokchun-ri,

Changwon, Yulha-ri, Gimhae and Jin-dong, Masan could be counted

as site in similar structure with described site.

암각화를 입지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자연 암벽에 새겨진

것과 매장유구와 관련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매장유구에서

출토된 암각화의 경우, 지석묘 유적과 관련된 상석이나 제단

또는 주거지, 고분 축조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세분할 수 있

다. 이중 함안 도항리와 밀양 살내, 밀양 신안, 대구 진천동 유

적의 경우 묘역시설을 갖춘 유적으로 청동기시대 집단의 종교

의식과 관련된 일종의 제단시설로 판단된다. 암각화는 발견되

지 않았지만,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유적으로 창원 덕천리,

김해 율하리, 마산 진동 유적 등을 꼽을 수 있다.

1. 유적의 입지 Location of the site

표 1 . 암각화 유적의 입지 Table 1 . Location of petroglyph sites

158 159

The petroglyphs were summarized by its theme in the following

<Table 3>. The most popular motives of the petroglyph were dagger,

Geompa-style, concentric circles, rock hole and vulva. The most of

the patterns of Geompa-style so called as Korean style petroglyph

were engraved on the natural rock.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on the meaning of the petroglyphs. Eunchang Lee who found the

petroglyphs in Yangjeon-ri, Goryeong regarded the Geompa-style

figuration as a kind of ghost face and considered the place as an altar

of Bronze Age. Hwasup Song identified Geompa-style as the grip of

the dagger imitated the stone dagger and regarded it as an image of

mother goddess containing the symbol of woman. Myungsoo Chang

presumed it as an image of god made in shape of shield or suit of

armor. Se-kwon Im regarded it as an image of sun god on the basis

that it was similar with the petroglyphs in humain face, inner Mongolia

inside China, Sang-gil Lee presumed that it explained the Geompa-

style shape·shield type bronze bowl, the ritual artifact in Bronze Age

and assumed as expression of shaman’s body.

The following facts could be found on the pattern of Geompa-style

shape through this study. In case of the stone daggers found from

the sites in Salnae, Milyang, there were the drawing expressed the

handle of stone dagger in vulva and the drawing connecting the blade

and grip with the line. In addition, the petroglyph in Shinan, Milyang

expressed the dagger and concentric circles side by side. The vulva

facing down was engraved at the bottom of capstone in dolmen. The

grip of the dagger expressed in Orim-dong, Yeosu and Inbi-ri, Pohang

was very similar with the Geompa-style pattern in its shape. The

petroglyph in Massang-ri, Euiryeong which make estimate the relation

between the dagger and Geompa-style expressed the Geompa-style

pattern by facial engraving overly on the dagger engraved with lines.

From this cas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Geompa-style pattern had

been closely related with the stone dagger from the time of making.

암각화를 주제별로 정리해보면 <표3>과 같다. 가장 흔한

그림의 모티브는 검과 검파형, 동심원, 바위구멍, 음문 등이

다. 일명 한국형 암각화로 불리는 검파형 문양은 대부분 자

연 암면에 새겨져 있으며, 그림의 의미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의 다양한 견해가 있다. 고령 양전리 암각화를 발견한 이은

창은 검파형 그림을 일종의 귀면(鬼面)으로 보고 이곳을 청

동기시대 제단으로 보았다.1) 송화섭은 검파형을 석검을 모

방한 검의 손잡이로 보고 여성의 상징을 담은 지모신상으로

파악하였으며2), 장명수는 방패나 갑옷을 형상화한 신상으로

추정했다.3) 임세권은 중국 내몽고 인면 암각화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태양 신상으로 보았으며4), 이상길은 청동기시

대 의기인 검파형·방패형 동기와 무복의 모티브를 설명하

고 샤먼의 신체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하였다.5)

이번 조사를 통해서 검파형 문양에 대한 다음과 같은 사실

을 확인할 수 있다. 밀양 살내유적에 발견된 석검의 경우 손잡

이를 음문으로 표현된 그림과 분리된 검신과 손잡이를 선으로

이어놓은 그림이 있다. 또 밀양 신안 암각화는 검과 동심원을

나란히 표현한 것도 있으며, 지석묘 상석 하단부에는 아래 방

향으로 향하고 있는 음문을 새기고 있다. 여수 오림동과 포항

인비리에 표현된 검의 손잡이는 검파형 문양과 형태적으로 매

우 유사함을 볼 수 있다. 검과 검파형의 관련성을 추론할 수 있

는 의령 마쌍리 암각화에서는 선각으로 새긴 검 위에 검파형

문양을 면각으로 덧새겨 표현하고 있다. 이를 볼 때 검파형 문

양은 발생당시부터 석검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사실을 추

론할 수 있다.6)

1) 이은창, 「고령 양전동 암각화 조사약보」, 『고고미술』 112, 1971

2) 송화섭, 「한반도 선사시대 기하문 암각화의 유형과 성격」, 『선사와 고대』 5, 1993

3) 장명수, 「한국 암각화 편년」, 『한국의 암각화』, 1996

4) 임세권, 『한국의 암각화』,1999

5) 이상길, 『청동기시대 의례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1999

6) 반면 사천 본촌리에서는 숫돌에 동검 한 자루가 새겨져 있으며, 고령 봉평리에서는 세형동검이 표현되어 있다. 동검의 경우 검파형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여줄 만한 그림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검을 모티브로 한 상징이 동검에서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1) Eunchang Lee, 「Brief report for investigating petroglyphs in Yangjeon-dong, Goryeong」, 『Arts of Archeology』112, 1971

2) Hwasup Song, 「The patterns and nature of geometric pattern petroglyphs in prehistoric age of Korean peninsular」, 『Prehistory and Ancient times』5, 1993

3) Myungsoo Chang, 「Yearbook of Korean petroglyph」, 『Korean petroglyphs』, 19964) Se-kwon Im, 『Korean petroglyphs』,1999

5) Sang-gil Lee, 『An archeological study on the rituals in Bronze Age』, 1999

6) On the other hand, a bronze dagger was engraved on the grinding stone in Bonchon-ri, Sacheon and a slender bronze dagger was engraved in the Bongpyung-ri, Goryeong. In case of bronze dagger, the figuration which can show the direct relation with the Geompa-style had not been found, but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symbol with motive of dagger can be applied to the bronze dagger.

표 3. 유적별 주요문양Table 3 . Location of petroglyph sites

2. 주제와 제작시기 Theme and datation

160 161

Most of the figuration for dagger were discovered from ruins in

spite of the similarity in shape between the dagger and Geompa-

style. But Geompa-style was different in the point that it was carved on

the natural rock face. In addition, the triangle on the top of Geompa-

style in Seokjang-ri and Chilpo-ri was too short and narrow to regard

it as a blade of dagger simply. The reversed triangle engraved with

vulva in Chilpo-ri seemed to express the penis rather than dagger.

The Geompa-style figuration in Bosung-ri, Yangjeon-dong, Chilpo-

ri, Daegok-ri and Anhwa-ri were rather different with the shape of

dagger grip in its shape and decoration. It was rather difficult to decide

from this that the Geompa-style was motivated with the dagger simply.

The drawing of vulva was expressed together with the dagger and

Geompa-style, but there were cases of expression independently

like Sugok-ri, Andong. The petroglyphs engraved on the stone plat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in Jisan-dong had an image of

human expressed with 3 dots for the head and stretched arms and

legs and exaggeratedly expressed penis. There were the figuration in

shape of combined penis and vulva at the bottom of it and drawing of

penis(Fig. 6) expressed with 2 dots and bold lines at the left end of the

stone plate. There was a drawing expressed with vulva in reversed

triangle at the left and right of the dagger end expressed like penis

in petroglyphs of Chilpo-ri, Pohang(Fig. 7). This drawing seemed to

remind the connection of sexual organs like the case of Jisan-dong.

The combined drawing of Geompa-style and triangle (or reversed

triangle) could be seen in the site of Chilpo-ri. (Fig. 8). It was carved

far from the Geompa-style in section I, as the side of Geompa-style

in zone II and side by side with Geompa-style in section III. These

triangular patterns had been interpreted as stone arrowhead till today.

But it seemed that the reversed triangle was a vulva and the triangle

was a penis (or dagger blade) in considering the case of site in Salnae

and entire context of the figuration.

검과 검파형의 형태적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검 그림의

대부분이 유구에서 발견되지만 검파형 그림은 자연암벽에

새겨졌다는 차이가 있다. 또 석장리와 칠포리에서는 검파형

상단에 삼각형은 단순히 검신으로 보기에는 길이가 지나치

게 짧고 폭이 넓다. 또 역삼각형을 음문과 함께 새긴 칠포리

그림은 검보다 남근을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보성리, 양전

동, 칠포리, 대곡리, 안화리의 검파형 그림은 형태와 장식에

있어 검 손잡이 형태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이를 보면 검파

형을 단순히 검을 모티브로 하였다고 속단하기는 다소 어려

움이 있다. 음문 그림은 검이나 검파형 그림과 함께 표현되

기도 하지만, 안동 수곡리처럼 단독으로 표현된 경우도 있

다. 지산동 고분에서 출토된 석판에 새겨진 암각화는 사람

의 머리를 세 개의 점으로 팔과 다리를 벌리고 남근을 과장

되게 표현한 인물상이 있다. 그 아래에 남근과 음문이 결합

된 형태의 그림과 석판 좌측 말단부에 두 개의 점과 굵은 선

으로 표현한 남근 그림이 있다(그림 6). 포항 칠포리 암각화

에서는 남근처럼 표현한 검 끝 좌우에 역삼각형 음문을 표

현한 그림이 있다(그림 7). 이 그림 또한 지산동처럼 생식기

의 결합을 연상시키는 그림으로 보인다. 그리고 칠포리 유적

에서는 검파형과 삼각형(또는 역삼각형)을 조합한 그림도 볼

수 있다(그림 8). Ⅰ구역에서는 검파형과 떨어진 형태로 Ⅱ

구역에서는 검파형 옆 그리고 Ⅲ구역에서는 검파형과 나란

히 표현되어 있다. 이런 삼각 형태는 지금까지 석촉으로 설

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살내 유적의 사례와 전체적인

그림의 맥락을 따져보면, 역삼각형은 음문으로 삼각형은 남

근(또는 검신)을 모티브로 보인다.

그림2. 포항 칠포리 암각화(I구역 4호)Fig. 2. Petroglyph in Chilpo-ri, Pohang(No. 4 in zone I)

그림1. 고령 지산동 암각화

Fig. 1. Petroglyph in Jisan-dong, Goryeong

1

2

3

4

56

7

8

9

0 50cm

1

2

3

4

5 67 8

9

10

11

12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그림3. 포항 칠포리 암각화(좌-I 구역 1호, 중-Ⅱ구역 1호, 우-Ⅲ구역 1호)Fig. 3. Petroglyph in Chilpo-ri, Pohang( No.1 in zone left-I, No. 1 in zone middle -Ⅱ, No. 1 in zone right-Ⅲ)

그림4 . 경주 석장리 암각화(화살표-역삼각형태의 음문그림) Fig. 4. Petroglyph in Seokjang-ri, Kyungju (Arrow-Drawing of reversed triangular vulva)

162 163

The triangular and reversed triangular patterns could be seen

in Seokjang-ri in Kyung and Inbi-ri in Pohang. The vulva shape

expressed with short vertical lines and dots in the vulva was in

Seokjang-ri.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dagger end was not exact

as the petroglyph was carved on the capstone of dolmen moved

from other place in the site in Inbi-ri. It seemed to be more feasible to

consider the triangle expressed with 2 stone daggers and a triangle in

parallel as a dagger blade or vulva rather than the stone arrowhead in

Sugok-ri, Andong. More than 40 figuration of vulva were expressed in

various combinations on the wide and flat rock. The basic pattern of the

vulva was expressed with short vertical lines or arrow in the ∩ pattern

expressed with single or double lines.

삼각형과 역삼각형은 경주 석장리와 포항 인비리에서도

볼 수 있다. 석장리에서는 역삼각형에 짧은 세로줄이나 점을

표현한 음문 형상이 있다. 또 인비리 유적은 다른 곳에서 옮

겨진 지석묘 상석에 암각화가 새져져 있어 검 끝의 방향이

정확하지 않다. 두 점의 석검과 나란히 표현된 삼각형은 석

촉이라기보다는 검신이나 음문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

다. 안동 수곡리에서는 너른 수평 바위에 40여점의 음문 그

림이 다양한 조합으로 표현되어 있다. 음문의 기본적인 형태

는 한 겹 또는 두 겹의 ∩자형에 짧은 세로선이나 화살표로

표현하고 있다.

Hwasup Song the petroglyphs of sexual organs classified into a few

patterns and regarded them as related to the Geompa-style petroglyph.

He pointed out that the stone dagger and Geompa-style petroglyph

were made at dolmen society in Bronze Age and regarded the pattern

of sexual organ of female for reflecting the agricultural farming society

which emphasized the power of baby birth by the female. And he

regarded the Geompa-style pattern for the symbol of female derived

from the sexual organ pattern.7) Myungsu Chang considered it was

related to the ritual of birth and identified it as an inclusion of afterlife view

of regeneration belief.8) The pattern of vulva was a drawing appeared

in the art of second half of Paleolithic Age, and its symbolic meaning

could be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era, but it could be

counted a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motives of the drawing. The

researchers of the structuralism defined the contrast of male and female

symbols for the binomial conflict and identified it as a basic structure of

human reasoning. André Leroi-Gourhan who adopted the structuralism

theory to the prehistoric arts had explained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while they analyzed the animal images and

signs expressed on the mural inside the cave. Denis Viaolu asserted

that the repeated expression of the theme and the one which enables

to recognize a certain inherent structure inside could be seen as a

sign.9) It seemed that the drawing like the vulva could be seen a kind

of sign in Korean petroglyphs. It could be interpreted as a binomial

contrast structure like penis/vulva=dagger blade/handle=Geompa-

style/triangle=triangle/reversed triangle was approached in the

viewpoint of structuralism.

송화섭은 생식기관을 표현한 암각화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검파형 암각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석검

과 검파형 암각화가 청동기시대 고인돌 사회에서 제작된 것

을 지적하고, 여성생식기 문양에 대해 여성의 출산력이 강

조되는 농경사회를 반영하는 상징물로 보았다. 그리고 검파

형 문양을 생식기 문양에서 파생한 여성의 심볼로 보았다.7)

장명수는 이런 그림을 당시 생산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보

고 재생신앙의 내세관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하였다.8) 음문

형상은 이미 후기구석기 미술에서 나타나는 그림으로서 시

대적 맥락에 따라 상징하는 의미는 달라지겠지만 그림의 가

장 기본적인 모티브 중에 하나로 볼 수 있다. 구조주의 연구

자들은 이 같은 남성과 여성의 상징의 대비를 이항적 대립

으로 규정하고, 인간사유의 기본적인 구조로 파악하고 있다.

선사미술에 구조주의 이론을 적용한 르와-꾸우랑은 동굴벽

화에 표현된 동물상과 기호를 분석하면서 남성과 여성의 대

응관계로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비알루는 주제가 반복적으

로 표현되거나 그 속에 어떤 내적구조를 인지할 수 있는 것

을 기호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9) 우리나라 암각화에서도

음문과 같은 그림을 일종의 기호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에 구조주의 관점으로 접근하면 남근/음문=검신/손잡이=검

파형/삼각형=삼각형/역삼각형과 같은 이항적 대립 구조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림6 . 안동 수곡리 암각화 Fig. 6. Petroglyph in Sugok-ri, Andong

7) 송화섭, 2006, ≪포항 칠포리의 생식기 암각화≫, 한국암각화연구 8집

8) 장명수, 1999, ≪암각화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선사인들의 신앙사유≫, 한국암각화연구 창간호

9) 이상목, 2011. ≪선사시대 기호에 대한 이론적 접근≫, 고고학논총, 경북대학교출판부

7) Hwasup Song, 2006, ≪Petroglyph of sexual organ in Chilpo-ri, Pohang≫, 8th edition of A study on Korean Petroglyph

8) 장명수, 1999, ≪암각화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선사인들의 신앙사유≫, 한국암각화연구 창간호

9) Sangmog Lee, 2011.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signs of prehistoric age≫, Collection of archeological theses, Department of Publication of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그림5 . 포항 인비리 암각화Fig.5. Petroglyph in Inbi-ri, Pohang

IB R1 - face A

1

2

3

0 50cm

164 165

The rock hole called as cup-mark was the most frequent theme

appeared in the petroglyphs. It was the pattern appeared most

frequently in dolmen regardless of the time.10) Furthermore, there were

cases resulted from the ritual event of civil belief recently. There were

engraved rock holes separately and the ones connected with other

figuration in the petroglyph sites. From this fact, it seemed that the rock

hole was inclusive the diversified meanings depending on the site

and timely context rather than it was carved with same intention. Once

again, some of them were expressed as a symbol and it could be seen

as an expressing skill constituting the drawing or an outcome from a

certain action. It is out of the category of petroglyph when it was a mark

left by a certain ritual or action. On the contrary, the concentric circles

seemed to be more obvious in its make time and intention. It could be

seen mainly in the sites like the dolmens in Bronze Age, the pictogram

and relics like bronze mirror. Consequently, the motives of concentric

circle and the dagger could be established as criteria for estimating

the make time of the petroglyph by taking granted for a symbolic

expression reflecting the ideology of the era. Especially, the dagger was

an important prestige item and burial accessories in dolmen society

of Bronze Age. It seemed to be inherent of such symbolic meaning

in the petroglyph too. The relics related with the Geompa-style shape

were the stone dagger, shield, armor, Geompa-style artifact, sheath of

bronze dagger. (Table 4). Accordingly, the petroglyphs engraved with

the dagger, Geompa-style and vulva seemed to be made mostly in

Bronze Ag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petroglyph, nature

of the drawing and comparison with related relics. The most recent

chronological limit of the some petroglyph was considered for the

beginning of Iron Age.

일명 성혈이라고도 하는 바위구멍은 암각화에서 가장 흔

한 주제로 지석묘뿐만 아니라 시대를 불문하고 가장 많이

나타나는 형태이다.10) 심지어 최근까지 민간신앙의 의례 행

위의 결과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암각화 유적에서 보면

바위구멍이 별개로 새겨진 것도 있고 다른 그림과 연관해

나타나는 것도 있다. 이를 볼 때 바위구멍은 모두 같은 의도

로 새겨졌다기보다는 유적과 시대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미

를 내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상징으로

표현된 것도 있고, 다른 그림을 구성하는 표현기법이나 어

떤 행위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의식이나 행

위에 의해 남겨진 흔적이라면 암각화의 범주에서 벗어나게

된다. 반면 동심원은 바위구멍보다는 제작시기와 의도가 분

명한 것으로 보인다. 주로 청동기시대 지석묘나 입석 같은

유구와 동경 같은 유물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동심원과 검

모티브는 시대적 관념을 반영하는 하나의 상징표현으로 삼

아 암각화의 제작시기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검은 청동기시대 지석묘 사회의 중요한 위세

품과 부장품으로서 암각화도 이와 같은 상징적 의미를 내포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검파형 형태와 관련된 유물은 석

검, 방패, 갑옷, 검파형 동기, 동검 칼집 등을 들 수 있다(표

4). 따라서 암각화의 입지, 그림의 성격, 관련유물과의 비교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볼 때, 검과 검파형, 음문 등이 새겨

진 암각화들은 대부분 청동기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일부 그림은 그 하한연대가 초기철기시대까지 내려오는 것

으로 판단된다.

10) 바위구멍의 경우 지석묘 상석에서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지만 아직 그 정확한 수나 양상이 파악되지 않았다. 앞으로 지석묘나 제작시기가 분명한 바위구멍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조사가 진행된다면, 암각화의 내용이 한층 풍부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10) In case of rock holes, they were discovered frequently from the capstone of dolmen. But its exact quantity and features were not identified yet. The information on the petroglyph will be enriched when the systematic survey is made for dolmen or the rock holes which are evident for its make time.

암각화Petroglyph

관련 유물Related relics

표4. 암각화와 관련유물 Table 4 . Petroglyph and related relics

시대Age

청동기시대 Bronze Age

(BC 10~BC 3C)

괴정동Goejung-dong

동서리Dongseo-ri

다호리Daho-ri

傳 평양傳 Pyungyang

초기철기시대 Early Iron Age

(BC 3~0 C)

오림동 석장리 양전리

부성리

칠포리

대곡리

인회리

기흥동

칠포리

대복리

인비리

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