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안전인프라확실히다지겠다”pdf.electimes.com/pdf/2009-10-09/19386.pdf12...

1
12 2009년 10월 8일 목요일 제2530호 “그동안 우리나라 승강기 산업은 꾸준한 성장세 를 거듭했고, 설치 증가율은 중국, 일본에 이어 세 계 3위로 강국입니다. 하지만 국내 승강기 산업의 현주소는 그렇지 못한 게 사실입니다. 대부분 산업 자체가 외국계 기업 소유고, 연간 8000억원대의 유 지보수 시장은 대기업과 700여개에 이르는 중소업 체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보수료 가격인하로 경 쟁력은 이미 바닥난 상태죠. 이로 인한 보수부실은 매년 승강기 안전사고가 급격히 증가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2008년 승강기 안전사고는 전년 대비 58%(97→153건)나 증가했습니다. 사고 발생에 따른 사상자도 181명('07년 108명)으로 전 년 대비 68%나 늘었습니다. 게다가 IMF 이후 입 지를 굳힌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인 오티스, 티센크 루프, 미쓰비시 등이 연 3조원 규모의 국내 승강기 시장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국 내 승강기 산업이 위기를 겪게 된 것은 지나치게 내수에만 의존해온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 에다 몇 해 동안 이어진 건설 경기침체와 국제금융 시장 불안으로 내수에 의존했던 국내 승강기 중소 기업들은 더욱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치열 한 내수경쟁이 원가에도 미치는 덤핑경쟁으로 이 어지고 그나마 경쟁력이 있던 중저가 제품도 중국 산에 밀려 고전하고 있습니다. 지금 승관원이 주도 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승강기대학 설립과 거 창 승강기산업밸리 조성은 국내 승강기 산업의 경 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치의 일환입니다. 우리 나라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전 문 엔지니어를 육성하고, 약화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승강기 산업클러스터가 반드시 필요합니 다. 이는 다국적기업 중심의 산업을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현재 국내 승강기 제도에서는 비상정지장치, 조 속기, 상승과속방지장치, 승강장문잠금장치, 완충기 등 5개 장치만 강제 안전인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장치에 대해 안전인증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LSAC는 승강 기대학과 관련 제조업체들과 연계해 산�학�연 네트 워크를 구성해 각종 승강기 안전사고 발생 원인을 찾아 분석하고, 시험 평가해 안전 환경을 조성하자 는 차원입니다. 또한 승강기 핵심 부품기술을 개발 하고, 이를 양산시키는 연구개발이 주요목적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UL 인증획득은 임의인증이지만 미국에서 UL규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성이 높 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LSAC도 UL인증과 같이 임 의인증방식을 채택해 기업이 원하고, 필요한 부분을 시험�평가할 계획입니다. 현재 승관원은 한국광기 술원과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등과 업무협약을 통 해 다양한 시험인증분야에 대한 전문 인력, 시험설 비 및 품질시스템을 직간접적으로 공유 및 구축해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40만대에 가까운 승강기 가 운행되고 있는데 에스컬레이터 설치비율은 2만 여대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안전사고 발생률로 보 면 70%이상이 에스컬레이터입니다. 핸드레일을 잡지 않고 걷거나 뛰다가 발생하는 전도사고가 대 부분입니다. 승관원은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 예 방을 위해 다중이용시설인 지하철이나 공항과 안 전 업무협약을 통해 공동대처하고 있죠. 실제로 올 해 상반기 지하철 및 철도역사에서 발생한 에스컬 레이터 안전사고는 21건으로 지난해 34건에 비해 38%나 감소했습니다. 앞으로 승관원은 대형 백화 점이나 마트 등으로 업무협약을 확대해 에스컬레 이터 안전사고를 예방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예 정입니다.” “저는 승강기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선 철저한 안전검사도 중요하지만, 승강기 설 계부터 제조, 설치, 유지보수 등 전반적인 산업 시 스템이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승관원이 거창에 설립한 승강기대학과 승강기안 전성평가센터(LSAC) 개소는 우리나라 승강기시 스템을 안정화 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믿 고 있습니다. 머지않아 우리나라는 승강기 안전 분야에서는 세계의 부러움을 살 것으로 확신합니 다.” “우리나라는 사무용뿐만 아니라 주거용으로 고 층건물 선호도가 높은데다, 초고속 승강기 등 신기 술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의 특성 때문에 최첨단 엘 리베이터 시장에서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와있다 고 알고 있습니다. 150층 이상 되는 랜드마크급 초 고층 건물들도 속속 건설계획이 발표되고 있죠. 승 관원은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기종에 대한 안전사 고 예방을 위해 관련기업체와 공동으로 기종에 대 한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안전사고 예방에 철 저히 대비해 나갈 것입니다.” “정밀검사는 15년이 도래한 승강기는 물론, 중대 한 사고가 발생한 승강기를 대상으로 시행합니다. 오 래된 승강기 일수록 상대적으로 사고위험이 높기 때 문에 앞으로 정밀검사로 인한 이용자 안전 확보가 상 당부분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정밀검사에서만 도입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 용한 검사기법은 전기기계장치에서 과부하 등으로 발생되는 이상발열 현상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승 강기 사후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함께 승관원은 안전검사 결과를 고객이 쉽게 이 해할 수 있도록 빔프로젝트를 활용한‘고객감동 현 장설명회’도 모든 승강기 관리주체를 대상으로 실시 하고 있습니다.” 김동우 기자<dwkim@> 승강기대학 운영 통해 전문인력 배출되면 안전은 덤세계적 인증기관 UL과 기술교류로 승강기 안전 강화 그동안 우리나라 승강기산업을 보고 가 장 절실히 느낀점이 있다면? 거창에 승강기안전성평가센터(LSAC)를 개소했는데? 승강기안전 강화를 위해 어떤 일을 해왔 는지? 승강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원장님 만의 복안이 있다면? 인터뷰 김남덕 승강기안전관리원 원장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김남덕 원장<사진>은 세계에 유례를 찾아 없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승 강기를 전문화시켜 대학을 설립, 체계적이고 특화된 교육을 통해 승강기관련 전문가를 배출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세계최초로 설립된 한국승강기대학은 내년 신입생을 받는다. 김 원장은“침체된 국내 승강기 산업을 살리고, 세계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새로 화두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미 해외 기업에게 내수시장을 내준 상태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자 생능력을 상실한 기업에게 활로를 터주기 위해선 전 문 인력 인프라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는 안전사고 예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원장의 판단이다. 승강기대학은 2013년부터 매년 220명의 전문엔지니어를 배출한다. 여기에는 승강기 안전분야를 비롯해 유지보수, 설계, 전자 등 관련분야 망라된다. 승강기 전문대학의 설립이란 시대흐 름을 정확히 읽어낸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김남덕 원 장을 그의 직무실에서 만났다. 다음은 김원장의 일문일답. 올해부터 승강기정밀안전검사가 시행 되고 있는데 ? 초고속 승강기의 안전을 위해 어떤 계획 을 갖고 있는가? “승강기 안전인프라 확실히 다지겠다” 한국승강기대학 조감도. 15년동안 쉬지않고 운행해 온 노후승강기! 안전하게 운행되고 있을까요? 안심하세요! 정밀안전검사 가 여러분의 안전을 지켜 드립니다! 도와주세요 !! 131,400시간 = 5,475일 = 15년 시간을 쉬지 않고 오르락 내리락 정밀안전검사란? 정밀안전검사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정밀안전검사는 매년 받아야 하나요? 정밀안전검사의 효과는 무엇이 있나요? 정밀안전검사를 받아야 하는 대상은? 승강기 설치 후 15년이 도래한 경우 성능의 저하로 인하여 이용자의 안전을 침해할 우려가 있어, 사고예방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브레이크 등 노후 상태에 따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정밀검사하는 제도입니다. 사고 등 특별한 경우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설치 후 15년이 도래하는 해에 1회만 실시하고 그 이후에는 정기검사를 받으면 됩니다. (정밀안전검사를 받는 해의 정기검사는 면제됩니다) ☞ 완성∙정기∙수시검사 결과 결함원인이 불명확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밀안전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승강기 ☞ 승강기의 결함으로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 승강기 ☞ 설치 후 15년이 도래한 승강기 ☞ 승강기의 성능저하로 이용자의 안전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한 경우 승강기의 종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약 84,000원~238,000원입니다.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www.kesi.or.kr) �승강기의 불안전 요소에 대한 정밀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기의 노후로 인한 성능저하로 정원초과 등에 의한 미끄러짐 사고 등을 근본적으로 사전 예측하여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합니다.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보상 및 행정비용 등이 경감됩니다. 서울지원 서울북부지원 서울동부지원 서울서부지원 경기지원 경기북부지원 경기동부지원 경기서부지원 인천지원 강원지원 대전지원 충북지원 천안지원 부산지원 대구지원 구미지원 032) 432-6061 033) 734-6295~6 042) 633-0450~2 043) 287-0092~4 041) 523-0454~6 051) 441-8796~8 053) 742-7846~8 054) 473-8934~6 정밀안전검사 문의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검사총괄팀 02) 3463-8590 052) 275-8775 055) 252-3710 062) 367-7504~8 063) 253-2997 064) 751-2812~4 02) 3463-8040 02) 711-3621 02) 948-3337 02) 3281-8677 031) 259-7950 031) 905-7635~7 031) 704-3157~9 031) 399-2884 울산지원 경남지원 광주지원 전북지원 제주지원 성능개선을 위해 리모델링을 한 경우에도 받아야 하나요? 승강기의 안전성 확인 또는 성능개선을 위한 리모델링 후 수시검사를 받은 경우 다음의 기간이 도래한 해에 받으면 됩니다. ☞ 리모델링 범위(부분 또는 전면교체)에 관계없이 하중시험을 포함한 수시검사를 받은 승강기는 검사합격일로부터 15년 ☞ 안전성 확인을 위하여 하중시험을 포함한 수시검사를 받은 경우 검사합격일로부터 15년

Upload: others

Post on 07-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승강기안전인프라확실히다지겠다”pdf.electimes.com/pdf/2009-10-09/19386.pdf12 2009년10월8일목요일 제2530호 “그동안우리나라승강기산업은꾸준한성장세

12 2009년 10월 8일목요일 제2530호

● ● ● ● ●

“그동안 우리나라 승강기 산업은 꾸준한 성장세

를 거듭했고, 설치 증가율은 중국, 일본에 이어 세

계 3위로 강국입니다. 하지만 국내 승강기 산업의

현주소는 그렇지 못한 게 사실입니다. 부분 산업

자체가 외국계 기업 소유고, 연간 8000억원 의 유

지보수 시장은 기업과 700여개에 이르는 중소업

체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보수료 가격인하로 경

쟁력은 이미 바닥난 상태죠. 이로 인한 보수부실은

매년 승강기 안전사고가 급격히 증가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2008년 승강기 안전사고는

전년 비 58%(97→153건)나 증가했습니다. 사고

발생에 따른 사상자도 181명('07년 108명)으로 전

년 비 68%나 늘었습니다. 게다가 IMF 이후 입

지를 굳힌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인 오티스, 티센크

루프, 미쓰비시 등이 연 3조원 규모의 국내 승강기

시장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국

내 승강기 산업이 위기를 겪게 된 것은 지나치게

내수에만 의존해온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

에다 몇 해 동안 이어진 건설 경기침체와 국제금융

시장 불안으로 내수에 의존했던 국내 승강기 중소

기업들은 더욱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치열

한 내수경쟁이 원가에도 미치는 덤핑경쟁으로 이

어지고 그나마 경쟁력이 있던 중저가 제품도 중국

산에 려 고전하고 있습니다. 지금 승관원이 주도

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승강기 학 설립과 거

창 승강기산업밸리 조성은 국내 승강기 산업의 경

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치의 일환입니다. 우리

나라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상 적으로 빈약한 전

문 엔지니어를 육성하고, 약화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승강기 산업클러스터가 반드시 필요합니

다. 이는 다국적기업 중심의 산업을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현재 국내 승강기 제도에서는 비상정지장치, 조

속기, 상승과속방지장치, 승강장문잠금장치, 완충기

등 5개 장치만 강제 안전인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장치에

해 안전인증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LSAC는 승강

기 학과 관련 제조업체들과 연계해 산�학�연 네트

워크를 구성해 각종 승강기 안전사고 발생 원인을

찾아 분석하고, 시험 평가해 안전 환경을 조성하자

는 차원입니다. 또한 승강기 핵심 부품기술을 개발

하고, 이를 양산시키는 연구개발이 주요목적입니다.

표적으로 미국의 UL 인증획득은 임의인증이지만

미국에서 UL규격에 한 소비자들의 신뢰성이 높

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LSAC도 UL인증과 같이 임

의인증방식을 채택해 기업이 원하고, 필요한 부분을

시험�평가할 계획입니다. 현재 승관원은 한국광기

술원과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등과 업무협약을 통

해 다양한 시험인증분야에 한 전문 인력, 시험설

비 및 품질시스템을 직간접적으로 공유 및 구축해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40만 에 가까운 승강기

가 운행되고 있는데 에스컬레이터 설치비율은 2만

여 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안전사고 발생률로 보

면 70%이상이 에스컬레이터입니다. 핸드레일을

잡지 않고 걷거나 뛰다가 발생하는 전도사고가

부분입니다. 승관원은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 예

방을 위해 다중이용시설인 지하철이나 공항과 안

전 업무협약을 통해 공동 처하고 있죠. 실제로 올

해 상반기 지하철 및 철도역사에서 발생한 에스컬

레이터 안전사고는 21건으로 지난해 34건에 비해

38%나 감소했습니다. 앞으로 승관원은 형 백화

점이나 마트 등으로 업무협약을 확 해 에스컬레

이터 안전사고를 예방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예

정입니다.”

“저는 승강기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선 철저한 안전검사도 중요하지만, 승강기 설

계부터 제조, 설치, 유지보수 등 전반적인 산업 시

스템이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승관원이 거창에 설립한 승강기 학과 승강기안

전성평가센터(LSAC) 개소는 우리나라 승강기시

스템을 안정화 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믿

고 있습니다. 머지않아 우리나라는 승강기 안전

분야에서는 세계의 부러움을 살 것으로 확신합니

다.”

“우리나라는 사무용뿐만 아니라 주거용으로 고

층건물 선호도가 높은데다, 초고속 승강기 등 신기

술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의 특성 때문에 최첨단 엘

리베이터 시장에서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와있다

고 알고 있습니다. 150층 이상 되는 랜드마크급 초

고층 건물들도 속속 건설계획이 발표되고 있죠. 승

관원은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기종에 한 안전사

고 예방을 위해 관련기업체와 공동으로 기종에

한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안전사고 예방에 철

저히 비해 나갈 것입니다.”

“정 검사는 15년이 도래한 승강기는 물론, 중

한 사고가 발생한 승강기를 상으로 시행합니다. 오

래된 승강기 일수록 상 적으로 사고위험이 높기 때

문에 앞으로 정 검사로 인한 이용자 안전 확보가 상

당부분 효과를 낼 것으로 기 합니다.

특히 정 검사에서만 도입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

용한 검사기법은 전기기계장치에서 과부하 등으로

발생되는 이상발열 현상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승

강기 사후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함께 승관원은 안전검사 결과를 고객이 쉽게 이

해할 수 있도록 빔프로젝트를 활용한‘고객감동 현

장설명회’도 모든 승강기 관리주체를 상으로 실시

하고 있습니다.”

김동우 기자<dwkim@>

승강기 학 운 통해 전문인력 배출되면‘안전은 덤’

세계적 인증기관 UL과 기술교류로 승강기 안전 강화

그동안 우리나라 승강기산업을 보고 가

장 절실히 느낀점이 있다면?

거창에 승강기안전성평가센터(LSAC)를

개소했는데?

승강기안전 강화를 위해 어떤 일을 해왔

는지?

승강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원장님

만의 복안이 있다면?

인터뷰

김남덕 승강기안전관리원 원장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김남덕 원장<사진>은 세계에

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승

강기를 전문화시켜 학을 설립, 체계적이고 특화된

교육을 통해 승강기관련 전문가를 배출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세계최초로 설립된 한국승강기 학은 내년

봄 신입생을 받는다. 김 원장은“침체된 국내 승강기

산업을 살리고, 세계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새로

운 화두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미 해외 기업에게

내수시장을 내준 상태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자

생능력을 상실한 기업에게 활로를 터주기 위해선 전

문 인력 인프라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는 안전사고 예방과도 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김 원장의 판단이다. 승강기 학은 2013년부터 매년

220명의 전문엔지니어를 배출한다. 여기에는 승강기

안전분야를 비롯해 유지보수, 설계, 전자 등 관련분야

가 총 망라된다. 승강기 전문 학의 설립이란 시 흐

름을 정확히 읽어낸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김남덕 원

장을 그의 직무실에서 만났다.

다음은 김원장의 일문일답.

올해부터 승강기정 안전검사가 시행

되고 있는데 ?

초고속 승강기의 안전을 위해 어떤 계획

을 갖고 있는가?

“승강기안전인프라확실히다지겠다”

한국승강기 학 조감도.

15년동안 쉬지않고 운행해 온 노후승강기! 안전하게 운행되고 있을까요?

안심하세요! 정 안전검사 가 여러분의 안전을 지켜 드립니다!

도와주세요 !!

131,400시간 = 5,475일 = 15년

시간을 쉬지 않고 오르락 내리락

정 안전검사란?

정 안전검사수수료는얼마인가요?

정 안전검사는매년받아야하나요?

정 안전검사의효과는무엇이있나요?

정 안전검사를받아야하는 상은?

승강기 설치 후 15년이 도래한 경우 성능의 저하로인하여 이용자의 안전을 침해할 우려가 있어, 사고예방과안전성 확보를 위해 브레이크 등 노후 상태에 따라안전에 직접적인 향을 미치는 요소를 정 검사하는제도입니다.

사고 등 특별한 경우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설치 후 15년이 도래하는 해에 1회만 실시하고그 이후에는 정기검사를 받으면 됩니다.(정 안전검사를 받는 해의 정기검사는 면제됩니다)

☞ 완성∙정기∙수시검사 결과 결함원인이 불명확하여사고예방과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 안전검사가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승강기

☞ 승강기의 결함으로 중 한 사고가 발생한 승강기

☞ 설치 후 15년이 도래한 승강기

☞ 승강기의 성능저하로 이용자의 안전을 침해할우려가 있는 것으로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한 경우

승강기의 종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약 84,000원~238,000원입니다.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면확인이 가능합니다. (www.kesi.or.kr)

�승강기의 불안전 요소에 한 정 한 확인이 가능합니다.�기기의 노후로 인한 성능저하로 정원초과 등에 의한

미끄러짐 사고 등을 근본적으로 사전 예측하여 안전사고예방이 가능합니다.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보상 및 행정비용 등이경감됩니다.

서울지원서울북부지원서울동부지원서울서부지원경기지원경기북부지원경기동부지원경기서부지원

인천지원강원지원

전지원충북지원천안지원부산지원

구지원구미지원

032) 432-6061033) 734-6295~6042) 633-0450~2043) 287-0092~4041) 523-0454~6 051) 441-8796~8053) 742-7846~8054) 473-8934~6

정 안전검사 문의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검사총괄팀 02) 3463-8590

052) 275-8775055) 252-3710062) 367-7504~8063) 253-2997064) 751-2812~4

02) 3463-804002) 711-362102) 948-333702) 3281-8677031) 259-7950031) 905-7635~7031) 704-3157~9031) 399-2884

울산지원경남지원광주지원전북지원제주지원

성능개선을위해리모델링을한경우에도받아야하나요?

승강기의 안전성 확인 또는 성능개선을 위한 리모델링 후수시검사를 받은 경우 다음의 기간이 도래한 해에받으면 됩니다.

☞ 리모델링 범위(부분 또는 전면교체)에 관계없이하중시험을 포함한 수시검사를 받은 승강기는검사합격일로부터 15년

☞ 안전성 확인을 위하여 하중시험을 포함한 수시검사를받은 경우 검사합격일로부터 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