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국어 –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 기본서 01:...

32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 공무원 국어 –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본서 01: p.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강 *상단 표 수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본서 01: p.8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2강 *해설 수정 이 글은 ‘주만 저수지의 백조’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ê 이 글은 ‘주남 저수지의 백조’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본서 01: p.8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3강 *(1) 문장의 화제와 정보 ① 문장의 기본구조 표 수정 ê 주어부(화제) 서술부(화제에 대한 정보) 속성 민중이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였다 주어의 행동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 주어의 작용 인간은 예술에 대한 본능을 지닌다 주어의 특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본서 01: p.9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3강 ② 전제적 의미 : 전제(前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논증에서 결론의 근 거를 가리키는 전제이고, 또 하나는 어떤 진술이 성립하기 위하여 미리 옳다고 받아들이거나, 있어야 할 조건을 가리키는 전제이다. 언어 영역 에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주어부(화제) 서술부(화제에 대한 정보) 속성 민중이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였다 주어의 행동 호랑이가 사냥감을 덮쳤다. 주어의 작용 인간은 예술에 대한 본능을 지닌다 주어의 특징 전달 언어적 의사소통 언어 표현에 의해 메시지가 전달됨 반언어적 의사소통 발음, 성량, 억양, 속도, 어조 등에 의해 전달됨(언어에 부수되는 표현) 비언어적 의사소통 자세, 손동작, 몸동작, 얼굴 표정, 눈맞춤, 옷차림 등에 의해 전달됨(언어 외적 표현)

Upload: others

Post on 18-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

    공무원 국어 –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강

    *상단 표 수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8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2강

    *해설 수정

    이 글은 ‘주만 저수지의 백조’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ê

    이 글은 ‘주남 저수지의 백조’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8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3강

    *(1) 문장의 화제와 정보 ① 문장의 기본구조 표 수정

    ê

    주어부(화제) 서술부(화제에 대한 정보) 속성① 민중이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였다 주어의 행동②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 주어의 작용③ 인간은 예술에 대한 본능을 지닌다 주어의 특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9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3강

    ② 전제적 의미 : 전제(前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논증에서 결론의 근거를 가리키는 전제이고, 또 하나는 어떤 진술이 성립하기 위하여 미리 옳다고 받아들이거나, 있어야 할 조건을 가리키는 전제이다. 언어 영역에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주어부(화제) 서술부(화제에 대한 정보) 속성① 민중이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였다 주어의 행동② 호랑이가 사냥감을 덮쳤다. 주어의 작용③ 인간은 예술에 대한 본능을 지닌다 주어의 특징

    전달

    언어적 의사소통 언어 표현에 의해 메시지가 전달됨반언어적의사소통

    발음, 성량, 억양, 속도, 어조 등에 의해 전달됨(언어에 부수되는 표현)

    비언어적의사소통

    자세, 손동작, 몸동작, 얼굴 표정, 눈맞춤, 옷차림 등에 의해 전달됨(언어 외적 표현)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

    ê

    ② 전제적 의미 : 전제(前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논증에서 결론의 근거를 가리키는 전제이고, 또 하나는 어떤 진술이 성립하기 위하여 미리 옳다고 받아들이거나, 있어야 할 조건을 가리키는 전제이다. 글의 독해에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0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4강

    *③ 문단 주제의 파악 박스 아래 → 옆의 내용 중 변경

    ~ 문장 ②의 중심 내용은 ‘중요성이 인식된 것은 역사가 되었고,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은 것은 역사가 될 수 없었다.’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식과 월식’, ‘금속 활자’는 하나의 사건이다. 그러므로 ②에서 초점은 ‘중요성의 인식’에 놓인다. 결국 이 문단의 중심내용은 ‘어떤 사건이 중요하다고 인식될 때 역사로 기록된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ê

    ~ 문장 ②의 중심 내용은 ‘중요성이 인식된 것은 역사가 되었고,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은 것은 역사가 될 수 없었다.’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식과 월식’, ‘금속 활자’는 하나의 사건이다. 그러므로 ②에서 서술의 초점은 ‘중요성의 인식’에 놓인다. 결국 이 문단의 중심내용은 ‘어떤 사건이 중요하다고 인식될 때 역사로 기록된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0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4강

    → 윗글에서는 ‘그’의 행동을 관찰자적 서술자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려내고 있다.

    ê

    윗글에서는 ‘그’의 행동을 관찰자적 서술자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0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4강

    *(2) 글의 기본 구조의 두 번째 문단 수정

    내용 전개 방식은 논리적인 구성이라고도 불리는 정태적인 방식과 시간적 순서를 고려한 동태적인 구성으로 나뉜다. 설명적인 글은 주로 ‘문제와 해결’, ‘원인과 결과’, ‘비교와 대조’의 방식을 취하거나 혹은 화제를 순서대로 제시하는 ‘나열’, ‘주장과 근거’ 등의 전개 방식을 취한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1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6강

    *3 추론적 독해 밑 박스 수정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3

    ■ 추론적 독해의 방법 : 추론적 독해의 관건은 담화의 여러 가지 표지들을 단서로 사용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또한 독자 자신의 배경지식과 험을 적극적으로 떠올려 추론 과정에 사용해야 한다.

    ê

    ■ 추론적 독해의 방법 : 추론적 독해의 관건은 담화의 여러 가지 표지들을 단서로 사용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또한 독자 자신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떠올려 추론 과정에 사용해야 한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2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6강

    *(3) 글쓴이의 개인적 배경, 시대적 배경, 집필 상황 등과 관련짓기 내용 중 하단에 추가

    ※ 신귀 : 신령스러운 거북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2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6강

    *상단 박스 안에서 ● 감동을 주는 요인 내용 중 수정

    - 우리 역사에 나오는 신비한 이기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는 명쾌한 논리ê

    - 우리 역사에 나오는 신비한 이야기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는 명쾌한 논리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3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9강

    가 3번째 줄 : (차)로써 è 此(차)로써나 2번째 줄 : (차)를 佈明(포명)함이며 è 此(차)를 佈明(포명)함이며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4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9강

    *가운데 기미독립선언서 표 中

    표현

    ① 장중하고 강건한 어조②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여 서술하였다.③ 비유, 열거, 대구, 영탄 등의 수사법 사용(대구법, 열거법) è 삭제④ 전체적으로 두괄식 구성(부분적으로는 미괄식 구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4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9강

    *01번 문제, 해설 및 정답수정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4

    01 이글의 밑줄 친 ㉠~㉣의 한자가 바르게 표기된 것은? è 한자 표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世界萬邦 ② ㉡ 誥하야 ③ ㉢ 民族自存 ④ ㉣ 政權

    [해설] ㉠ 世界萬邦, ㉡ 告, ㉢ 民族自存 è ㉠ 世界萬邦, ㉡ 告, ㉢ 民族自存

    정답 : ④ è ②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4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19강

    *05번 문제수정

    이 글의 요지는? è 이 글 (나)의 요지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4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0강

    *11번 문제 [해설] 수정

    이 글은 연설문이며 식사문이다. 자신의 견해를 주장하거나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문학적인 표현보다 건조하고 냉정하며 논리 정연한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ê

    이 글은 연설문이며 식사문임에도 불구하고 비유적이며 문학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다. 자신의 견해를 주장하거나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글에서는 문학적인 표현보다 건조하고 냉정하며 논리 정연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6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1강

    *32번 문제 [해설] 수정

    (나)는 좌익의 계급주의에 맞서~ è (다)는 좌익의 계급주의에 맞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6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2강

    *[해설] 추가

    [해설] [다]는 영구적 속성을 지닌 대상들과 일시적 속성을 지닌 대상들을 대조의 방식으로 서술하였다. ① 정의 ② 서사 ③ 분석 ④ 직유, 의인 ⑤에서는 풍수와 도깨비를 대조의 방법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6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2강

    * 하단 중간 표 수정

    세계 인류가 ~희망이요, 이상이다.

    · 대등적 연결어미 ‘-이’로 이어진 문장

    ê

    세계 인류가 ~희망이요, 이상이다.

    · 대등적 연결어미 ‘-이’, ‘-요’로 이어진 문장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6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2강

    *37번 문제 교체

    37번과 39번의 문제 및 해설을 서로 교체해 줍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7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2강

    *지문 삭제

    54~57 지문 가 삭제 (p.175의 지문 가, 나를 볼 것)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8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3강

    *67번 선택지 및 정답 수정

    ③ 풍(畫風) è 화풍(畫風)

    정답 ⑤ è ①, ⑤ (정답이 두 개입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8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4강

    *76번 선택지 수정

    ③ 더 이상 과학 기술의 발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다.

    ê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6

    ③ 더 이상 과학 기술이 발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19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4강

    *81~85 지문 다 수정

    ~ 결코 일반화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겠지만 스스로 아끼지 못한 문명은 외래 문명에 텃밭을 빼앗기고 말 것이라는 예측을 해도 큰 무리는 없을 듯싶다. 내가 당당해야 남을 수용할 수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0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5강

    *94~95 지문 가장 마지막에 단락에 문장 추가 및 해설 수정

    ~ 만약, 인류의 생산 활동의 부산물인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및 토양 오염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환경 문제’는 ‘환경오염’의 차원을 넘어 ‘환경 파괴’로 치닫게 될 것이다. 그 다음의 결과야 불을 보듯 뻔하지 않은가? 미래의 환경 보전과 개발은 양립할 수 없다.

    [해설] 이 글에서 필자는 ‘환경 보전과 조화를 이루는 개발’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보전과 개발이 양립할 수 없다는 내용이 적절하다.

    ê

    [해설] 이 글의 마지막 단락에서 필자는 ‘환경 보전과 조화를 이루는 개발’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보전과 개발이 양립할 수 없다는 내용이 적절하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0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5강

    *정답 수정

    정답 99. ② è 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0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5강

    *해설 수정

    107 [해설] ③ 분류(정태) è 구분(정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2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8강

    *기출문제표기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7

    144번 +2009. 국가직 7급

    *144번 [해설] 추가

    ① 전체 집합의 특징으로 부분의 특징을 말함 : 분할의 오류③ 부분의 속성으로 전체의 속성을 말함 : 결합의 오류④ 오류 없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2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9강

    *146번 문제 지문 수정

    정선아리랑의 탯줄을 아우라지 가는 길, 기차는 간이역 ‘여량’에 선다. 도화지로 가는 딸을 배웅나온 듯한 어머니가 서 있다.

    ê

    정선아리랑의 탯줄을 아우라지 가는 길, 기차는 간이역 ‘여량’에 선다. 도화지로 가는 딸을 배웅나온 듯한 어머니가 서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2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9강

    *기출문제표기

    148번 +2013. 국가직 9급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3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29강

    *기출문제표기

    154번 +2012. 지방직 9급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3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0강

    *164번 지문 ‘깨달음’ 에 밑줄

    이 글은 강희맹이 젊어서는 벼룩을 꺼리지 않다가 나이 들어 벼룩을 꺼리게 된 까닭을 서술하고 있다. 이 글에서 글쓴이는 소소한 일상의 체험에서 삶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4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0강

    *167번 정답 수정

    정답 ① è ③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5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1강

    *(3) 역사성 중 박스 내용 추가

    언어의 추상성언어 기호의 수는 제한되어 있는데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대상은 무한하기 때문에 대상들 사이의 공통된 속성을 뽑아서 말소리와 의미를 연결한 언어의 특성. 예를 들어, 구체적인 개개인의 공통적 속성을 뽑아 ‘사랑’이라는 추상적인 언어로 표현하며, 각각의 구체적 식물의 공통적 속성을 뽑아내어 추상적인 개념인 ‘꽃’, ‘나무’ 등으로 표현하는 것

    *(4) 규칙성 내용 중 오타 수정

    하나의 언어에는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단위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문법 단위 내 또는 문법 단위 간에 특정한 규칙이 존재한다. 이어 따라 언중(言衆)이 그들의 언어에 대한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 내고 비문법적인 문장을 바르게 고칠 수 있는 것이다.

    ê

    하나의 언어에는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단위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문법 단위 내 또는 문법 단위 간에 특정한 규칙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언중(言衆)이 그들의 언어에 대한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 내고 비문법적인 문장을 바르게 고칠 수 있는 것이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5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3강

    *하단 오타 수정

    ② 이중모음 : 발음하는 동안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음으로, 반모음 ‘j’ 또는 ‘w’와 단모음이 결함하여 이루어짐. 11개

    ê

    ② 이중모음 : 발음하는 동안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음으로, 반모음 ‘j’ 또는 ‘w’와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짐. 11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5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3강

    ③ 반모음 : 모음과 자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음으로 ‘j’ 또는 ‘w’음성적 성질로 보면 모음과 비슷하지만, 반드시 다른 모음과 붙어야 발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하다. 또한 반조음은 조음 동작의 변화 속도가 빨라서 길이가 짧으며 음성적으로는 미끄러지는 듯한 특성을 지녀 ‘활음’이라 부른다.

    ê

    ③ 반모음 : 모음과 자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음으로 ‘j’ 또는 ‘w’의 음성적 성질로 보면 모음과 비슷하지만, 반드시 다른 모음과 붙어야 발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하다. 또한 반모음은 조음 동작의 변화 속도가 빨라서 길이가 짧으며 음성적으로는 미끄러지는 듯한 특성을 지녀 ‘활음’이라 부른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6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4강

    ㉠ 자음 동화의 종류

    방향순행 동화역행 동화상호 동화

    정도 완전 동화불완전 동화 è

    방향에 따라순행 동화역행 동화상호 동화

    정도에 따라 완전 동화불완전 동화

    ㉡ 자음 동화 적용의 예

    ⓐ 비음화

    (鼻音化) è 속성에 따라

    비음화(鼻音化)

    ⓑ 유음화

    (流音化) è 속성에 따라

    유음화(流音化)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6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4강

    *④ 모음 조화 표 가장 밑에 추가

    ※ 주춧돌, -둥이, 장구, 호두, 발가숭이, 보통이, 오뚝이 등은 표준어로 삼음. 현대국어에서는 규칙성이 약화됨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6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4강

    *추가 및 규칙 2 표 맨 밑에 수정

    ⑦ 된소리 현상(경음화 - 필연적 현상)

    ● 넓게 → [널게] è ● 넓게 → [널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6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5강

    *추가 및 규칙 3 표 밑 ※ 문장 수정

    (2) 음운첨가 ① 사잇소리 현상 – 수의적 현상 :

    ※ ~ 다음의 6개 한자어만 사이시옷을 붙임. è ~ 단, 다음의 6개 한자어만 사이시옷을 붙임.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6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5강

    *오타 수정

    (4) 음운 탈락 ① 자음군 단순화 : 음절 말의 겹받침 가운데 하나가 탈라하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 ê

    ① 자음군 단순화 : 음절 끝의 겹받침 가운데 하나가 탈라하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6강

    *상단 박스 내용 수정

    ~ 이는 학교 문법에 따르라 ‘으’가 탈락하는 규칙활용이다. ê

    ~ 이는 학교 문법에 따라 ‘으’가 탈락하는 규칙활용이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6강

    *확인문제 1번 선택지 수정

    ⑤ 문법적인 의미만을 가진 형태소는 5개이다. è 자립할 수 없는 형태소는 5개이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7강

    *㉡ 굴절 접사(어미) 박스 내용 수정

    휘날리는 : 휘- + 날리 + 는 è 휘- + 날 / 리 + 는 접두사 어근 굴절 접사(어미) 접두사 어간 / 파생접미사 굴절 접사(어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7강

    ㉡ 합성어의 종류 표 중 종속 합성어에서 (예) 풋나물 삭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7강

    *확인문제 1번 정답 수정

    1. ③ è 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8강

    *확인문제 1, 2번 정답 수정

    1. ① è ③

    2. ③ è 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8강

    *㉡ 명사의 갈래 중 상단 표에 첨가

    사용 범위 è

    사용 범위(의미에 따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7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38강

    *② 대명사(대이름씨)의 ㉠ 대명사의 성질 표 수정

    ● 관형사의 꾸밈은 받을 수 없으나, 용언의 관형형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온갖 자네 (X), 멋진 자네 (O)

    ê

    ● 관형사의 꾸밈은 받을 수 없으나, 미지칭 대명사와 부정칭 대명사의 경우, 지시관형사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 용언의 관형형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온갖 자네 (X), 멋진 자네 (O) 미지칭 : 그 무엇(O), 그 누구(O), 그 어디(O) 부정칭 : 그 무엇이든(O), 그 누구든(O), 그 어디든(O)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8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0강

    *2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③ ㉢ 관형사 è 감탄사

    *2, 4번 문제 정답 수정

    2. ⑤ è ①

    4. ⑤ è ②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8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0강

    *하단 참고자료 수정

    ■ ‘-적(的)’이 붙은 말의 품사 ● 부사어로 쓰인 것은 부사 비교적, 가급적 è 비교적 크다, 가급적 삼가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9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0강

    *3번 문제 정답수정

    3, ⑤ è ③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9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1강

    *㉠ 관형어의 형태 중 표 마지막 줄 수정

    연주의 얼굴에 졸음의 기운이 남아 있다. è 연주의 얼굴에 졸음의 기운이 남아 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29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1강

    *(3) 독립 성분 중 독립어의 형태 표에서 밑줄 긋기

    감탄사

    아, 눈이 부시다. 여보, 이쪽에 줄을 서시오. 야, 드디어 우리들이 기다리던 축제다. 쯧쯧, 어른이 모범이 되어야하지 않는가?

    체언 + 호격 조사 주연아, 너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싶구나!제시어 청춘, 이것은 듣기만 해도 가슴이 설레는 말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0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2강

    *상단 참고자료 홑문장? or 겹문장? 설명 수정

    ㉠은 ‘희윤이는 희재와 닮았다.’는 문장이 순서를 바꾼 것으로, 이 때 ‘희재와’는 필수 부사어이므로 홑문장이 된다. 반면 ㉡은 표면 구조에서 볼 때 서술어가 하나인 홑문장이지만 기저 구조를 보면 ‘서울은 도시이다.’와 ‘부산은 도시이다’가 합쳐진 겹문장이다.

    ê

    ㉠은 ‘희윤이는 희재와 닮았다.’는 문장의 순서를 바꾼 것으로, 이 때 ‘희재와’는 필수 부사어이므로 홑문장이 된다. 반면 ㉡은 표면 구조에서 볼 때 서술어가 하나인 홑문장이지만 기저 구조를 보면 ‘RV는 다목적 차량이다.’와 ‘SUV는 다목적 차량이다’가 합쳐진 겹문장이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0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3강

    *② 객체 높임법 표에서 객체높임 (예) 수정

    할아버지께서 신문을 읽으신다. è 할아버지께 신문을 가져다 드렸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0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4강

    *표 수정

    ㉠ 과거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를 말한다.

    과거시제

    과거시제 선어말 어미‘-았-/-었-, -있었-/-었었, -더-’ 등 사용

    어제는 달걀찜을 먹었다.

    용언에 관형사형 어미,관형사형 어미 ‘-던’을 사용

    ‘-(으)ㄴ’, ‘-던’의 사용

    내가 먹은 밥이야.아이들과 행복했던 시간을 떠올렸다.

    명사에 서술격 조사+ 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시간 부사어‘이미, 어제, 옛날’ 등을 사용

    그는 서울로 이미 떠난 상태이다.

    ㉡ 현재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를 말한다.

    현재시제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ㄴ-/ -는-’을 사용혜수가 영화를 본다. / 그가 밥을 먹는다.

    용언에 관형사형 어미또는 형용사

    ‘-는’ / 관형사형 어미 ‘-(으)ㄴ’ 이 쓰이거나 선어말 어미 없이 실현내가 먹는 밥이야참 예쁜 혜림이.혜림이는 참 예쁘다.

    명사에 서술격 조사 ‘이다’의 사용혜림이가 먹는 치킨이다.

    시간 부사어 현재, 지금, 오늘 등지금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고 있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1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4강

    *① 피동문의 구조 표 중 능동문과 피동문 사이의 화살표 삭제

    능동문 주어 + 목적어 + 능동사 포수가 참새를 잡았다

    피동문 주어 + 부사어 + 피동사 참새가 포수에게 잡혔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1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4강

    *확인문제 정답 수정

    ⑤ è ④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1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5강

    *확인문제 수정

    1. 다음 중 파생적 사동사가 아닌 것은?

    *확인문제 정답 수정

    2. ④ è 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1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5강

    *③ 부정문의 특징에서 밑줄의 위치 수정

    ㉠ ‘안’ 부정문의 특징 ⓐ ‘-하다’ 파생 동사의 부정문은 ‘-안 하다, -하지 않다’의 형식이 된다. 그는 오늘 종일 일 안 했지? / 그는 오늘 종일 일하지 않았지? ⓑ ‘-하다’ 파생 형용사의 부정문은 ‘안-하다, -하지 않다’의 형식이 된다. 집이 안 깨끗하다. / 집이 깨끗하지 않다. ⓒ 무엇을 부정하는가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진다.(중의성) 손님이 다 오지 않았다. (의미:손님 모두가 오지 않았다. / 손님 일부가 오지 않았다.)

    ㉡ ‘못’ 부정문의 특징 ⓐ 짧은 부정문은 ‘못-하다’로 쓰이지 않고, ‘-못 하다’의 형식이 된다.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6

    나는 오늘 못 일한다.(×)/ 나는 오늘 일 못 한다.(○) ⓑ 중의성 관련 문제는 ‘안’ 부정문과 동일하다. 답을 몇 개 쓰지 못했다. (의미:답을 몇 개는 쓰지 못했다. / 답을 몇 개밖에 쓰지 못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1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6강

    *확인문제 ⑮ 정답 수정

    ⑮ 뿌리 뽑아야, è 근절해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2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6강

    *하단 명사화 구성의 종류에서 ①번의 수정

    그가 걸어온 길을 보거라. è 그들이 바라는 것은 민주주의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2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6강

    *⑨ 문제 수정

    조그만 사과의 ( ) 씨를 보아라.→ 조그만 사과의, 씨를 보아라.→ 사과의 ( ) 씨를 보아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2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6강

    *③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표에서 두 번째 교정문 문장 수정

    날씨가 맑았지만 캠핑 온 사람들이 전혀 (없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2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7강

    *확인문제 2번 정답 수정

    2. 하느라고 è 하노라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3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7강

    *상단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의 원인에서 ① 수정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7

    ①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우리말의 문법 규칙에 어긋하게 쓰는 경우 : 내 의견은 너랑 틀려 → 내 의경은 너랑 달라.

    ê

    ①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우리말의 문법 규칙에 어긋나게 쓰는 경우 : 내 의견은 너랑 틀려 → 내 의견은 너랑 달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3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7강

    *중간 박스 내용 중 수정

    ■불필요한 피동 표현‘된다’ ~ è 씌어지다 / 쓰여지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3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8강

    *확인문제 2번 정답 수정

    2. ④ è ③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4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9강

    하단 박스의 ■ ‘이, 그, 저’ 의 파생 지시 표현에서오른쪽 마지막 ‘두구 가리킴’ è ‘두루 가리킴’ 으로 수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4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9강

    *① 지시 표현의 종류 중 ㉠ 지시대명사의 수정

    저것 좀 보십시오. ‘저것’ 에 밑줄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4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49강

    *(2) 높임 표현의 예시문 대화 수정

    송 과장:승진 축하해. 지금 속도라면 나보다 빨리 부장 되겠어.문 과장:아이 선배님두. 이번엔 운이 좋아서 된 거지 항상 이렇겠어요?

    송 과장:그럼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문 차장님께서 이번 시장 조사 결과를 보고하여 주시겠습니다.문 과장:영업부의 문○○입니다. 이번 시장 조사는 10대 후반의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것입니다.

    → 식당에서 문 과장이 송 과장을 높이는 이유는 송 과장이 문 과장의 선배이기 때문이다.→ 회의실에서 높이는 관계가 달라진 이유는 개인적으로는 송 과장이 문 과장보다 선배이지만 공식적인 자리이기 때문에 두 사람은 서로를 동등한 수준에서 높이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5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0강

    *하단 ■ ‘가다’의 유의어와 반의어 표 중 수정

    예) 유의어 반의어산에 가다 이동하다 오다

    시계가 가다 작동하다 자다(서다)맛이 가다 상하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37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1강

    *55번 문제 해설 삭제

    해설 삭제(해당 내용과 다른 해설임)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p.40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3강*129번 문제 해설 삭제

    해설 삭제(해당 내용과 다른 해설임)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1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2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4강

    *195번 문제 해설 삭제

    해설 삭제(해당 내용과 다른 해설임)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2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4강

    *201번 문제 선택지 ①번 수정

    ① 손밭 è 손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3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4강

    *219번 문제 해설 수정

    ③ 주체 높임법이 잘못 사용되었다. è 압존법이 잘못 사용되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4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7강

    *확인문제 선택지 ③번 수정

    ③ 늴리리 è 늴리리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6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7강

    하단 확인문제 삭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6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7강

    *확인문제와 선택지 수정다음 한글 맞춤법 표기 규정을 참고할 때 표기가 잘못된 것은?

    ê

    다음 할글 맞춤법 표기 규정에 해당하는 것은?

    ⑤ 배불뚝이 è 부스러기로 수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7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7강

    *확인문제 정답 수정

    정답 ② è 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7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7강

    *확인문제 선택지 수정

    ② 제삿날 è 못자리

    ⑤ 자릿세 è 베갯잇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9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중간 회색박스 확인문제 뒤로 위치 이동

    확인문제

    다음 띄어쓰기 규정을 참고할 때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9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확인문제 박스안 내용 수정

    제49항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제50항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9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확인문제 2번째 정답 수정

    정답 줄이고 è 주리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동사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9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확인문제 수정

    담장을 따라 (한창 / 한참)을 걸어가는 기와집이 나왔다.

    ê

    담장을 따라 (한창 / 한참)을 걸어가자 기와집이 나왔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49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확인문제 정답 수정

    들렸다가 è 들렀다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51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확인문제 선택지 ①번 수정

    ① 강낭콩 è 강남콩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51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58강

    *확인문제 선택지 ①, ②번 및 정답 수정

    ① 수꿩 è 수탉

    ② 수놈 è 수톨쩌귀

    정답 ④ è ②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0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19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④ 하늘은 맑지만[말짜만] è 하늘은 맑지만[말찌만]

    *21번 문제 선택지 수정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2

    ⑤ 연변에 살던 분들은 한글 자모 ‘지읒을’[지으즐] 서울사람과는 달리 발음한다.

    ê

    ⑤ 연변에 살던 분들은 한글 자모 ‘지읒을’[지으들] 서울사람과는 달리 발음한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0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23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① 되어 → 원칙[되어], 혀용[되어] è 되어 → 원칙[되어], 허용[되여]⑤ 멋있다 → 원칙[머싣따], 허용[머싣따] è 멋있다 → 원칙[머딛따], 허용[머싣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0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26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④ 값은[갑쓸] è 값은[갑쓴]

    *29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④ 우리 강산 푸르고 맑게[말게] 가꾸어 è 우리 강산 푸르고 맑게[말게]

    ⑤ 내가 곧 갈게[갈게] è 내가 곧 갈게[갈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0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35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① 아이를 안고[안꼬] è 아이를 안고[안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0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39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① 하늘이 맑게[말게] 개었다. è 하늘이 맑게[말께] 개었다.

    *41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① 밟고 → [발꼬] è 밟고 → [밥꼬]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3

    ⑤ 맑게 → [말게] è 맑게 → [말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0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49번 문제 박스 중 수정

    (다) 공염불(空念佛) è 공념불(空念佛)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1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59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⑤ 내과(內科) è 냇과(內科)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1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1강

    *62번 문제 해설 수정

    해설 ① 낳을V듯 싶다 è 낳을V듯싶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1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71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③ 곰곰이 è 곰곰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1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90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③ 그것은 걷잡이도 이틀은 걸릴 일이다. è 그것은 걷잡아도 이틀은 걸릴 일이다.

    ⑤ 마음을 먹은 김에 상대 팀을 밀어붙이자. è 마음을 먹은 김에 상대 팀을 밀어부치자.

    *92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① 오늘은 왠지 바람이 불 것 같다. è 오늘은 웬지 바람이 불 것 같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2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102번 문제 선택지에 밑줄 삽입

    102 밑줄 친 부분을 고쳐 쓴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 건물에서는 흡연을 삼가시오. → 삼가시오.② 학교 담에는 덩굴이 뒤엉켜 있다. → 넝쿨 ③ 눈이 부시게 푸르른 하늘. → 푸른 ④ 한국인은 김치를 담궈 먹는다. → 담가

    *102번 문제 해설 수정

    덩굴/넝쿨(o) è ‘덩굴’이 맞는 표현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2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105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② 강낭콩, 사흘날, 꺽꽂이 è 강남콩, 사흘날, 꺽꽂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2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121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⑤ ㉢ 개수 è 갯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2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129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② 높다랗다 è 높따랗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3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2강

    *135번 문제 선택지 수정

    ② 뒤편에 è 뒷편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32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3강

    *140번 문제 정답 수정

    140. ③ è ④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5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4강

    *㉠ 한자 차용 표기의 원리 표 가장 끝 수정

    之五後(god) è 之五後(지오뒤)

    *ⓐ 고유 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내용 추가 및 삭제

    → 동일 인물을 두 가지 방법으로 표기함 素那(흴 소, 어찌 나), 金川(쇠 금, 내 천) -음독:‘소나’로 읽음(당시 발음은 素那와 金川 모두 동일했을 것으로 추정) 金川(쇠 금, 내 천) -훈독(석독):‘쇠내’로 읽음 → 이후에 ‘금천’이라고 읽는 방식으로 변함→ 우리 말의 인명이나 지명을 표기하는 데 있어 한자의 음차나 훈차의 방법을 사용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5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5강

    *㉡ 한자 차용 표기의 종류의 박스 중 수정

    ● 한문을 한문 문장 식으로 è 한자를 한문 문장 식으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5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5강

    *상단 표 중 향찰 내용 추가

    향찰(鄕札)

    ∙한자를 빌려 쓰되 의미를 전하는 부분은 뜻을 빌려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 등의 문법적 요소는 음을 빌려 표기함∙신라의 향가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차자 표기.∙표기 원리는 이두, 구결과 차이가 없으나, 한자 차용 표기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전면적으로 표기함(실제 신라인들은 한자로 읽지 않고 우리 말로 읽음). 石乙 投多(석을 투다:돌을 던지다) 山伊 高古 花伊 美多(산이 고고 화이 미다:산이 높고 꽃이 예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5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6강

    *ⓒ 이두(吏讀)와 구결(口訣) 표기 내용 수정

    ∙이두 : 단어를 국어의 문장 구조에 따라 배열하고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하여 문장의 의미 및 문맥을 분명하게 표기하기 위한 차자 표기법이다(단어의 재배열 – 우리말 어순). → 주로 공적(公的) 문서에 이용

    (박스 생략)

    현대어 역 : 제 나라를 배반하고 다른 나라를 내통하여 모반하는 일

    ê

    현대어 역 : 제 나라를 배반하고 다른 나라를 몰래 상통하여 모반하는 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5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6강

    *하단의 수정

    -+-아 → 고 → 고와 è -+-아 → 고 → 고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6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7강

    *자음의 소실 순서 표 수정

    ᄫ(순경음 비읍)

    15세기 중엽(세조 이후)

    ① 오(양성 모음) 돕+아 ⇒ 도 ⇒ 도와② 우(음성 모음) 덥+어 ⇒ 더 ⇒ 더워③ 이(중성 모음) 쉽+이 ⇒ 쉬 ⇒ 쉬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65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7강

    ⓓ ‘ㅣ’모음 역행 동화:모음 ‘ㅣ’의 영향으로 앞선 모음의 소리가 변하여 모음 ‘ㅣ’와 유사한 소리의 모음으로 바뀌었다(당시 후설 이중 모음이던 ‘H[ai]’와 ‘ㅔ[ai]’가 각각 [Ꮛ]와 [e]로 단모음화 되어 전설모음에 가까워짐).ⓔ 밺다 > 싫다 è 슳다 > 싫다 , 거츨다 > 거칠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7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9강

    *(4) 문장의 변천 표에 추가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 ㄱ. 이 리 너희 죵가 - 권8, 94장 → 이 딸(아이)이 너희의 종이냐 ㄴ. 앗가 디 잇니여 - 권6, 25장 → 아까운 뜻이 있느냐 ⓑ ㄱ. 이 엇던 광명(光明)고 - 권10, 7장 → 이 어떤 광명인가 ㄴ. 무슴 글을 강뇨 - → 무슨 글을 강하느냐(읽느냐)

    *두 번째 참고 박스 안 중세 국어의 2인칭 의문문 중 내용 수정

    중세국어에서는 2인칭에 대한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이 구별되지 않는다.

    *2인칭 의문문 표 밑 내용 수정

    → ㉠,㉡에서 ‘네’와 ‘그듸’는 2인칭 대명사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7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9강

    *ⓑ 의문문과 ⓒ 명령문 박스 안의 내용 추가의문문

    ㄱ. 내 이제 엇뎨야 지옥(地獄) 잇 해 가리잇고 → 내 이제 어떻게 하여야 지옥 있는 땅에 가겠는가? - 권21, 25장

    ㄴ. 주인(主人)이 므슴 차바 손 녀 노닛가

    → 주인이 무슨 음식을 손수 다니며 만드오? - 권6, 16장

    ㄷ. 마 주글 내어니 자손(子孫) 의론(議論)리여

    → 곧 죽을 나인데 자손에 대해 논하겠는가? -권1, 7장

    음식을

    곧 죽을 나인데 논하겠는가?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8

    ⓒ 명령문 표 수정

    명령문

    ㄱ. 님금하 아쇼셔 → 임금쎄서는 아십시오. - 125장

    ㄴ. 엇뎨 부톄라 닛가 그 들 닐어쎠

    → 어찌 부처라고 하는가? 그 뜻을 말하오. - 권6, 16장

    ㄷ. 너희 디마니 혼 이리 잇니 리 나가라

    → 너희가 소홀히 한 일이 있으니 빨리 나가라 - 권2, 6장

    말하오

    소흘히 한 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7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69강

    *상단 박스 내용 수정

    ㉠ 내 혼승만이 총명니 부텨옷 보면 당다이 득도 리 리니- 권6, 40장부처를 보면

    ê

    ㉠ 내 만이 총명니 부텨옷 보면 당다이 득도 리 리니- 권6, 40장부처를 보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8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0강

    고려泓 è 鴻크다 홍

    山뫼 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81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0강

    *제목 중 내용 삭제

    2. 고대 국어의 특징(문학 작품 삽입)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2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8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1강

    *2. 중세 국어의 표기 방법 중 수정

    (1) 연서(連書) : 이어쓰기이어쓰기, 입술소리 아래에 ‘o’을 이어 쓰면~

    (2) 병서 : 나란히쓰기나란히쓰기, 초성이나 종성을 합칠~

    (3) 부서 : 붙여쓰기붙여쓰기, 중성이 초성과 합칠 때에는~

    (4) 성음법 : 음절 이루기음절 이루기, 모든 글자, 즉 초성,~

    (5) 가점 : 점찍기점찍기, 소리의 높낮이인 성조를 나타내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8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1강

    *(7) 한자음 표기의 표 제목 수정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주요 문법적 특징 è 중세 국어의 주요 문법적 특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8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1강

    *(1) 문법 표 수정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주요 문법적 특징모음조화

    양성 모음( , 아, 오, 옴)과 음성 모음(ㅡ, 어, 우, 움)이 자기끼리만 어울림 메:+움+에 비르수미오:비릇+움+이오 초미니라:+옴+이니라

    두음법칙

    글자의 첫소리가 발음할 때 제약을 받음(두음법칙 미실현) 니르고져 ⇒ 이르고자, 거동만 니근 ⇒ 거동만 익은

    구개음화

    ㄷ,ㅌ 이 ㅣ 앞에서 구개음(ㅈ,ㅊ)으로 변화하는 현상(구개음화 미실현) 굳이 ⇒ 구디 ⇒ 구지, 같이 ⇒ 가티 ⇒ 가치

    원순모음화

    ㅁ,ㅂ,ㅍ 아래의 ㅡ 가 ㅜ 로 변함(원순모음화 미실현) 믈 ⇒ 물, 불 ⇒ 불, 스믈 ⇒ 스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3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8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2강

    *상단 표 수정

    르불규칙

    ‘르’로 끝나는 어간+어/아 일 경우 ‘ㄹ’을 모음 사이에 표기함 부르+어 ⇒ 불러, 이르+어 ⇒ 일러

    ê

    르불규칙

    ‘르’로 끝나는 어간에 어미 ‘어/아’가 결합할 경우 ‘ㄹ’을 모음 사이에 표기함 부르+어 ⇒ 불러, 이르+어 ⇒ 일러

    (2) 어휘

    어휘

    ∙어린(어리석은)∙녀름(여름)∙노미(어리석은 → 나이가 적은, 의미 이동) è (열매 → 여름, 의미이동)∙겨집(아내 → 여성 비칭, 의미 축소)∙하니라(많다 → 하다. ‘다’:현대어 ‘하다’, 의미 이동)∙져믄(어린 → 젊은. 의미 이동)∙어엿비(불쌍하게 → 예쁘게, 의미 이동)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90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3강

    * 박스 중 ⑤번 수정

    ⑤ 감행 목적 : è 간행 목적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93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4강

    *⑦ 소실문자의 순서 표 중 추가

    ㅸ(ㅂ 순경음)

    15세기 중엽(세조 이후)

    ① 오(양성 모음) 돕+아 ⇒ 도 ⇒ 도와② 우(음성 모음) 덥+어 ⇒ 더 ⇒ 더워③ ㅇ(중성 모음) 쉽+이 ⇒ 쉬 ⇒ 쉬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3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97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5강

    *상단 표에 추가

    문법

    ∙명사형 어미‘-기’의 사용이 많음. 셔품쓰기, 년구기, 글읇기∙특수한 여격 조사가 쓰임. 사의손, 뉘손, 스승님∙사잇소리‘ㅅ’이 쓰임(관형격조사). 高麗ㅅ사, 漢ㅅ사, 漢ㅅ말∙2인칭의 문형 어미의 혼란이 나타남. 너~ 잘뇨(‘다’가 맞는 표현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98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5강

    *하단 에서 달라진 점의 표 수정

    표기법

    ∙끊어 적기(분철)가 확대된 모습을 보인다. ( 한 것이, 믈속으로셔, 긔운이)∙거듭 적기(중철) 표기가 나타난다. ( 믈빗, 것)∙어중이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된 예가 있다.( 올나)

    è 용언의 ‘ᄘ’활용형이 나타난다.( 올나)∙‘ᅌ’이 쓰이지 않는다.(걀 반)∙재음소화 표기가 나타난다.(걀 , 븟흐며)∙재음소화란 ‘ㅊ, ㅋ, ㅌ, ㅍ’ 을 ‘ㅈ+ㅎ, ㄷ+ㅎ, ㅂ+ㅎ’ 으로 2차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걀 깊은 → 깁흔, 높이 → 높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699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6강

    이보할지(李甫割指)

    니보 뇽안현 사이니 그 아비 방이 사오나온 병을 어더 거의 죽게 디ㅗ니 ~ è 되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704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6강

    *확인문제 정답 수정

    정답 ⑤ è ④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 국어 신한수 교수

    정오표 : 기본서 - 01 / 동영상강의 – 1 ~ 77강 3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기본서 01: p.706 – 동영상강의: 기본교재 77강

    *04번 문제 선택지 수정

    들 뜻을 ⇒(가)의 ‘들’의 ‘ㅳ’과 달리 (나)에는 이두에 서로 다른 자음을 나란히 표기하지 않는다.

    ê

    들 뜻을 ⇒

    (가)의 ‘들’에서는 어두에 서로 다른 자음을 나란히 표기한 반면 (나)에는 이두에 서로 다른 자음을 나란히 표기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