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이정현한국남동발전차장(신영흥화력건설본부공사 …pdf.electimes.com/pdf/2013-01-02/56228.110408.pdf · 이정현한국남동발전차장(신영흥화력건설본부공사

시화공단에서 방조제를 따라 섬 2개를 건너야 비로

소 나오는 곳.

저 멀리 인천 송도 신도시의 위용이, 반 편 바다

넘어 충남 왜목마을이 희미하게 펼쳐지는 곳. 바로

흥도다.

지금 흥도에는 화력발전소가 한창 건설되고 있

다. 흥화력 5~6호기다. 총사업비 2조3300억원에 연

인원 265만명이 투입되는 공사. 2010년 12월 착공했

으니, 벌써 만 2년이 흘 다.

높이 200m 굴뚝(연돌)이 삭풍에 다져진

동토(凍土)를 딛고 우뚝 솟아있다. 연돌을

중심으로 쌓아올린 철골구조물은 얼핏 봐

도 육중하다.

“전체 공정의 73%가 진행됐어요. 내년 4

월에 보일러와 주요 배관을 상 로 수압

시험을 예정하고 있죠.”

이정현 한국남동발전 차장(신 흥화력

건설본부 공사관리팀)은“내년 이맘때면 전체 공정의

95%를 소화할 전망”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준공은 5

호기가 2014년 6월, 6호기가 그해 12월이다.

이 차장의 안내를 받아 승강기에 올라탔다. 공사현

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간이승강기다.

철컥. 문을 수동으로 여닫고 버튼을 누르자 굉음이

솟구친다.

중력의 반 편으로 몸이 떠오를 때마다 낙조를 앞

둔 태양은 금빛 물비늘을 서해에 더욱 짙게 뿌려댄다.

1분쯤 올라왔을까. 지상보다 하늘이 더 가깝게 느껴

질 무렵, 승강기가 멈춰 선다.

“93.4m에요. 이 지점이 바로 5호기 보일러 꼭 기

입니다.”

발판엔 구멍이 숭숭 뚫려있다. 밑은 아련하다. 고소

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올라오지 말라는 무언의 경고

나 다름없다.

이 차장은 아무렇지도 않은 듯 이곳, 저곳을 가리키

며 설명을 곁들인다. 매일 오르내리는 공간이라 익숙

해져서 그렇단다. 지금은 어느 정도 골격을 갖춘 상태

라 그나마 덜 하지만, 건설초기엔 서커스가 따로 없었

단다.

익숙함은 타성의 또 다른 이름. 안전사고는 이럴 때

엄습해온다.

“지금 우리 모습도 폐쇄회로 TV에 찍히고 있어요.

지상에 있는 안전통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을 하고 있죠.”

남동발전은 착공과 함께 시공협력사들과 함께 안

전통제센터를 구축∙운 하고 있다. CCTV를 통해

인부들이 규정 로 작업하는지 실시간 확인하는 등

사고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일명‘안전 스마트 아이

(Smart Eye)’다. ‘안전경찰’로 통하는 전문요원

35~40명도 현장을 수시로 돌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

지하고 있다.

“두 달에 한 번씩 협력업체 관계자들과 함께‘위험

예지훈련’도 실시하고 있어요. 안전보건 행동지침서

‘안전경찰’수십명수시로순찰

CCTV로건설현장실시간점검도

2013년 1월 3일목요일신년특집

흥화력5~6호기건설현장을가다

수도권전력공급의보루“사고는없다”이정현 한국남동발전 차장(신 흥화력건설본부 공사관리팀)이 흥화력 5~6호기 보일러가 들어설 지점꼭 기에서 바닷가 회처리장이 구축될 장소를 가리키고 있다.

남동발전 관계자들이 흥화력 5~6호기 건설현장에 마련한 안전통제센터에서 CCTV가 실시간으로 전송해온 화면을 바라보며 인부들이 안전규정에 맞게 작업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흥화력5~6호기건설개요

▲위치: 인천광역시 옹진군 흥면 외1리

▲용량: 174만kW(87만kW급 2기)

▲사업기간: 49개월(2010년 12월 착공, 2014년 12월 준공)

▲총사업비: 2조3300억원

▲설비형식: 초임계압 관류형, 석탄 전소방식

▲설계: 현 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주기기 공급사: 두산중공업(보일러), 히타치(터빈발전기)

▲시공사: GS건설 컨소시엄(주설비 건설), SK건설 컨소시엄(보조설비 토건), 포스코건설 컨소시엄(부지조성)

“건설공사의 근간은 안전입니다.”

김학현 한국남동발전 신 흥화력건설본부장은

“협력업체와 긴 한 소통으로 단 한건의 안전사고

없는 건설현장을 구현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건설현장 곳곳을 CCTV로 실시간 살펴볼 수 있

는‘안전 스마트 아이(Smart Eye) 시스템을 운 해왔습니다. 외부기관에 의뢰해 각종 가시설물도 주1회씩 안전진

단하고 있죠. 안전담당자들과도 매월 머리를 맞 고 있습니다.”

그는 안전과 함께‘안정’에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고 했다.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공사기간을 과거 1~4호

기 보다 6개월이나 단축해야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발전소는 수많은 부품이 상호 유기적으로 조합되고 작동해야 비로소 제 기능을 발휘하는 종합 플랜트입니다.

설계, 제작, 시공, 시운전 등 모든 과정에서 각계 종사자들이 사명감 속에 업무에 매달려야 고효율 발전소는 비로소

탄생합니다. 하지만 얼 뚱땅 만들면 품질저하는 불 보듯 뻔합니다.”

그는 공기단축을 위해 설계초기부터 1308건의 개선사항을 사전에 도출해냈다고 말했다. 공사비가 불필요하게 나

가는 걸 막기 위한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런 노력 덕분에 당초 계획 로 공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시운전 작업은 2013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완벽한(Perfect) 발전소 구현을 위한 스마트

(Smart) 시운전’이란 슬로건 아래 설비가 조기에 안정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는 신 흥화력건설본부 180여 직원들이 매일 아침 8시부터 10분간 아침체조를 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며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5~6호기 완공은 물론 머지않아 7~8호기가 건설될 미래를 그려보며 희망

의 빛을 여는 선두주자가 되겠다고도 했다.

김 학 현남동발전 신 흥화력건설본부장

건설공사의근간은안전

6개월공기단축…품질제고에역점

희망의빛열어가는선두주자될터

를 만들기도 했죠. 이 지침서는 출근시간이나 안전교

육을 실시할 때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자와 동행한 유 남동발전 차장(신 흥화력

건설본부 경 지원팀)의 설명이다. 신 흥화력건설

본부는 안전보건경 시스템인 KOSHA 18001과

OHSAS 18001 인증을 최근 취득하기도 했다. 국내

발전소 건설현장 가운데 최초다.

흥화력은 수도권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초기지다. 5~6호기가 종합 준공되는 내년 말,

흥화력은 총 508만kW의 초 형 발전단지로 거듭

난다.

흥화력은 안정과 안전이란 두 가지 숙제를 함께

짊어져야할 수도권 유일의 기저부하 발전소인 것이

다.

인천 흥도= 황인국 기자<centa19@>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