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14
신사업자는 자동 업자는 OSMU(One Source Multi-Use) 개념을 확대, N-스크린 전략의 환으로 사업을 추 IT융합 5대 강국을 만들겠다라는 포부. 이미 현대자동 (005380)를 통해 Co tion BUY: 유비벨록스(089850), 현대모비스(012330) 유비벨록스: 자동차용 앱스토어 구축은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제공 가능한 최적의 기업 자료공표일 9 May 2011 2011 하반기 스몰캡 이슈분석(1) 유진 Small-Cap (1) 스마트카(Smart-Car): 차 안에서 놀자 똑똑한 차 를 만들어라: 스마트카(Smart-Car) 경쟁 지난 2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래스(MWC) 2011에서 현대자동차-삼성전자, 르노삼성-SK텔레콤이 각각 손잡고 스마트카를 개발하겠다고 발표 Ford, BMW, Audi, GM 등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도 앞 다투어 스마트카 시장에 진출 스마트카는 자동차시장의 New Trend. 15년 약 1억대의 자동차에 네트워크 접속기능 탑재, 20년 북미, 유럽, 아시아의 모든 자동차가 커넥티드 단말이 될 것으로 예상(ATLAS, 2011) 활발한 사업 제휴: 자동차 업계, 통신사업자, 단말기 관련 사업자 Small-Cap 박종선 Tel. 368-6076 [email protected] Small-Cap 변준호 Tel. 368-6141 [email protected] 자동차의 선택 요인은 디자인, 성능, 가격, 연비 등에서 친환경과 스마트기능을 추가 차를 단말기시장으로 인식, 가입자 확대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창출에 이용 솔루션 및 컨텐츠 사 우리 정부는 2015년까지 차량IT를 포함, 차량원격제어 시스템이 상용화. 또한 2013년까지 차량용 App store를 상 용화 시킬 예정. SK텔레콤(017670)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마트카 사업을 계획 nvic 현대모비스: 현대차그룹 스마트카 공급의 실질적인 최종 공급업체 자료: 유진투자증권

Upload: others

Post on 23-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신사업자는 자동

– 업자는 OSMU(One Source Multi-Use) 개념을 확대, N-스크린 전략의

환으로 사업을 추

– IT융합 5대 강국을 만들겠다라는 포부. 이미 현대자동

(005380)를 통해

Co tion BUY: 유비벨록스(089850), 현대모비스(012330)

유비벨록스: 자동차용 앱스토어 구축은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제공 가능한 최적의 기업

자료공표일 9 May 2011

2011 하반기 스몰캡 이슈분석(1)

유진 Small-Cap

(1) 스마트카(Smart-Car): 차 안에서 놀자

‘똑똑한 차’를 만들어라: 스마트카(Smart-Car) 경쟁

– 지난 2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래스(MWC) 2011’에서 현대자동차-삼성전자,

르노삼성-SK텔레콤이 각각 손잡고 스마트카를 개발하겠다고 발표

– Ford, BMW, Audi, GM 등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도 앞 다투어 스마트카 시장에 진출

– 스마트카는 자동차시장의 New Trend. ‘15년 약 1억대의 자동차에 네트워크 접속기능 탑재,

‘20년 북미, 유럽, 아시아의 모든 자동차가 커넥티드 단말이 될 것으로 예상(ATLAS, 2011)

활발한 사업 제휴: 자동차 업계, 통신사업자, 단말기 관련 사업자 Small-Cap 박종선

Tel. 368-6076

[email protected]

Small-Cap 변준호

Tel. 368-6141

[email protected]

– 자동차의 선택 요인은 디자인, 성능, 가격, 연비 등에서 친환경과 스마트기능을 추가

– 통 차를 단말기시장으로 인식, 가입자 확대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창출에 이용

솔루션 및 컨텐츠 사

일 진

우리 정부는 2015년까지 차량IT를 포함,

차 차량원격제어 시스템이 상용화. 또한 2013년까지 차량용 App store를 상

용화 시킬 예정. SK텔레콤(017670)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마트카 사업을 계획

nvic

– 현대모비스: 현대차그룹 스마트카 공급의 실질적인 최종 공급업체

자료: 유진투자증권

Page 2: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Contents

스마트카(Smart-Car): 내 차가 똑똑해진다

3 본격적인 스마트카(Smart-Car) 경쟁: 현대차그룹이 뛰어 들었다

4 스마트카가 급부상하고 있는 이유

5 스마트카는 ITS, 텔레매틱스의 완성판

6 자동차가 IT와 만나는 New trend를 발견하라

7

7

8

스마트카 시장의 미래에 주목하자

국내 스마트카 시장은 성장 초입

정부, 2015년까지 차량IT 등 IT융합 5대 강국 포부

해외 완성차업체도 스마트카 경쟁에 이미 돌입

어떤 분야가 주목 받을 것인가

10 스마트카 관련 산업은 어디까지?

11 관심산업: 솔루션 및 단말기 업체에 관심

어떤 종목을 살 것인가?

12 Conviction BUY: 유비벨록스, 현대모비스

기타 종목 Comment: MDS테크 13

Page 3: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스마트카(Smart-Car): 내 차가 똑똑해진다

<유진 스몰캡팀이 보는 핵심 키워드>

– 자동차, 선택 기준이 바뀐다: 디자인, 성능, 가격은 과거, 미래에는 IT 스마트기능이 급부상

– 우리 정부는 2015년까지 차량IT를 포함, IT융합 5대 강국을 만들겠다는 의지 표명

– 완성차 업체, 통신사업자,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단말기 제조 사업자들의 활발한 제휴 봇물

본격적인 스마트카(Smart-Car) 경쟁: 현대차그룹이 뛰어 들었다

지금까지 자동차의 선택기준은 디자인, 연비, 성능, 가격 등 이었다. 이제는 두 가지가 추가된다. 친환경과

스마트카 기능, 즉 차량 IT(스마트카)이다.

2011년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MWC) 2011’에서 현대자동차와 삼성전

자, 르노삼성과 SK텔레콤이 각각 손잡고 스마트카를 개발하겠다고 공식 발표를 했다. 현대차는 2013년부

터 출시되는 전 차종에 태블릿 PC을 장착할 계획이다. 또한 르노삼성은 SK텔레콤과 함께 올해 내에 휴대폰

을 이용해 자동차의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진단하고 제어해 차량 도난방지, 긴급구조 통신, AV시스템 연동,

자동차 원격검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통제시스템(MIV)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최근 CES(국제가전박람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미국 Ford사는 음성을 기반으로 운전 중에도 자유롭게 통화

를 하고, 이메일 확인 및 웹 컨텐츠를 이용하는 등 사무실이나 가정에서처럼 손쉽게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Ford사 뿐만 아니라 BMW, Audi, GM, 현대차, 기아차 등 많은 완

성차업체들이 앞 다투어 스마트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스마트카는 이미 자동차시장의 새로운 트렌드인데, 2015년 약 1억대의 자동차에 네트워크 접속기능이 탑재

되고 2020년 북미, 유럽, 아시아의 모든 자동차에 커넥티드 단말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ATLAS).

도표 1 도표 2

자료: 언론사, 유진투자증권 자료: 유비벨록스, 유진투자증권

www.Eugenefn.com _3

Page 4: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스마트카가 급부상하고 있는 이유

자동차시장에서의 경쟁력은 무엇일까 고민하는 시기이다. 과거에는 성능과 디자인이 중요했지만, 지금은 친

환경과 스마트 기능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최근 미국 빅3 자동차업체의 부활과 함께 전세계 자동차는

친환경자동차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으며, 더불어 자동차의 지능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지능형

차로의 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자.

1) 첫째, 소비자가 이미 스마트기기에 익숙해지면서 자동차에서도 이런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내비게

이션 기능의 편리성을 확인한 소비자는 이제 태블릿PC와 같은 단말기가 자동차에 내장되기를 바란다. 차량

안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기 바라는 것이다.

2) 둘째, 지능화되는 통신사업자에게는 또 다른 고객과 서비스 창구가 필요하다. 가정내 통신, 개인 휴대폰

통신에서 이제는 자동차도 하나의 통신수단에 포함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싶다는 것이다.

스마트카 관련 세계시장은 2015년 2,112억 달러에 달하고(도표 4), 국내시장도 12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도표 5).

도표 3

자료: 전자부품연구원, 유진투자증권

도표 4 도표 5

세계 스마트카 시장규모

0

500

1,000

1,500

2,000

2,5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달러)국내 스마트카 시장규모

0

20

40

60

80

100

120

14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달러)

자료: ETRI(2010년 IT산업전망), 유진투자증권 자료: ETRI(2010년 IT산업전망), 유진투자증권

4_ www.Eugenefn.com

Page 5: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스마트카는 ITS, 텔레매틱스의 완성판

스마트카는 ITS와 텔레메틱스 기술의 완성판이다. 차량내 태블릿PC를 통해 무선통신, 차량용 앱스토어, 스

마트폰을 활용한 차량 원격제어, 보다 개인화된 스마트키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차량용 앱스토

어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이용은 물론 인터넷 서핑과 원격시동, 사고 자동통보, 원격진단 등 현재 스마트폰

앱스토어만큼 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카는 태블릿PC를 탑재해서 이종 단말기와 접속하여 앱스토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같은 사용환

경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스마트카는 좁은 의미에서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IT

기술이 차량과 접속한 것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에서는 과거의 ITS(지능형 교통체계)와 텔레매틱스 기

능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미래의 차랑용IT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것이라 정의 할 수 있다.

도표 6

과거과거

ITS(지능형교통체계)

현재

텔레매틱스 스마트카 미래의 차량용 IT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

에 전자, 제어 및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목,

수집된 교통정보 및 서

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운영 및 관

리를 과학화·자동화하

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

전성을 향상시키는 교

통체계.

Telecommunication(

원격통신)과

Informatics(정보과학)

이 합쳐진 단어.

무선통신을 이용해 차

량과 센터를 연결, 센터

에서 차량 운행 중 요구

하는 각종 정보와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

차량에 IT기술을 입혀

이종 Embedded

Device와의

Connectivity를 기반으

App store,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같은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

IT의 진화와 맞물려 차

량 생활이 발전 될 것으

로 예상되며,

인공지능 및 기타 기술

간의 Convergence를

통해

지능화, 로봇화, 편리

한 공간화가 진행 되리

라 예상 됨.

자료: 유진투자증권

도표 7

자료: 유비벨록스, 유진투자증권

www.Eugenefn.com _5

Page 6: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자동차가 IT와 만나는 new trend를 발견하라

스마트카의 기술적용 범위는 다양하다. WiFi, 3G, LTE와 같은 통신 영역, 스마트폰을 활용한 차량 원격제

어 영역, 스마트키를 활용한 차량의 개인화 영역, 차량과 이종 Device간의 Connectivity, 차량용 App

store, 이런 모든 기술들이 구동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Open Platform 등 다양한 영역에서 스마트카

사업은 전개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카 시대가 열리면서 자동차 업계와 IT 관련업체와의 사업제휴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에

접목할 IT 분야의 기술은 1) 무선랜, 3G, LTE와 같은 통신분야, 2) 스마트기기 등을 이용한 원격제어 및 다

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분야, 3) 스마트키를 활용한 개인화 분야, 4) 차량과 이종 기기간의 연

결 분야, 5)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오픈 플랫폼 분야 등이 있다.

도표 8

차량용

Open Platform

Connectivity

Map /

Navigation

App

Smart Phone

Smart Key

3G/ LTEWiFi/ BT

차량 진단

참고: WIFI(Wireless Fidelity, 무선랜), BT(Bluetooth), LTE(Long Term Evolution)

자료: 유비벨록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9

OEM-ICT 업체 제휴 강화 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의 지속적인 발전

Google

- Google maps 활용 목적지 전송서비스

- GM: 안드로이드폰 연계 온스타 서비스

- BMW: 구글맵스 활용 로컬 서치 및 맵핑

Microsoft

- Ford: MS Hohm이용 전기차 충전 관리

- FIAT : Eco Drive solution

차량기기의 고사양/고성능化

- 동영상, 내비게이션 외 DMB, 음악재생 등

복합 기능 제공

- 블루투스, USB 등 외부기기와의 연결성 확대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된 차량용 OS 발표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lliance 발표(’09.3)

- Platform/OS 표준화단체로 Open IVI 추진

- 60개회원사참여

통신업체 주도의 표준화 단체 설립(’09.2)

- LTE 기반의 차량 Mobile Platform 표준화

- 26개 업체 참여

Mercedes-Benz: 주차위치 찾기, 원격

Door제어

OnStar: 전기차 충전모니터링/제어

Chrysler: 차량매뉴얼, 오퍼레이션가이드

Honda: 에코 드라이빙 모니터링

자료: 현대자동차, 유진투자증권

6_ www.Eugenefn.com

Page 7: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스마트카 시장의 미래에 주목하자

국내 스마트카 시장은 성장 초입

국내는 1990년대 중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시작으로 차량IT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이

후 텔레매틱스를 거쳐 현재 스마트카 시장이 도래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카시장은 현대자동차그룹이 선도하고 있는데 ‘블루링크(Blue Link)’를 공개(CES)해 차량용원격

제어 시스템 상용화, 2013년 차량용 앱스토어 오픈, 차량내 태블릿PC 내장 등이 알려지고 있다.

정부, 2015년까지 차량IT 등 IT융합 5대 강국 포부

현대기아차는 인터넷 포털 NHN과 콘텐츠 서비스를 중점으로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또한 기아자동차는 유

비벨록스와 지난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에 참가하여 ‘카 위젯’을 선보였고, 현대차도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을 선보였다. 현대차는 또한 유비벨록스와 ‘모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1

월 현대차에서 발표한 신차 ‘5G 그랜저’에 상용화해 주목을 받았다. 현대차는 이와 별도로 스마트폰으로 전

기차 배터리 잔량과 주행거리 확인, 충전 상황 모니터링 등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시스템의 상용화 작업도 준

비 중이다.

우리 정부는 정책적으로 차량IT사업을 성공사례로 발표하며 2015년 까지 ‘IT융합 5대 강국’으로 만들겠다

라는 포부를 밝힌바 있다. 예를 들어 1) 현대자동차를 통해 차량원격제어 시스템이 상용화 되었으며, 2) 또

한 현대차는 2013년 6월까지 차량용 App store를 상용화 시킬 예정으로, 일련의 기술적용 및 제품들을

2010 CES, 2011 CES에서 대외적으로 공개한 바 있다. 3) 또한 이동통신사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마

트카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미 T-map 서비스를 상용화 하여 이를 확대할 계획에 있다.

도표 10 도표 11ㅏㄹ전

구분 기 능 – 2010년 7월, 기획재정부 정책발표(IT융합 확산전략)

. 범정부 차원의 IT융합 확산전략 마련 – 인터넷 연결 웹서핑

. 2015년 85조원 규모의 IT융합 내수시장 창출 – 직접 개발한 앱스토어 . 향후 5년간 1조 7천억 투자

. 차량IT사업 성공사례로 발표 – 스마트폰 원격 시동, 문열림 – 2010 CES 기아자동차 컨버전스 서비스 발표 – 교통정보, 내비게이션 기능 차량용

앱스토어– SKT MIV(Mobile In Vehicle) 개발

– SKT T-map 서비스 상용화

– 현대자동차 2011 CES Bluelink 발표

– 5G 그랜저 ‘모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상용화

– 2013년 현대자동차 모든 차량에 태블릿PC 탑재

– 2013년 차량용 앱스토어 오픈 예정

– 사고 자동통보, 원격진단

– 영상인식 안전장치

– 연료절감 에코코치

– 손 동작으로 오디오 조작

자료: 유비벨록스, 유진투자증권 자료: 유진투자증권

www.Eugenefn.com _7

Page 8: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해외 완성차업체도 스마트카 경쟁에 이미 돌입

해외에서도 Ford, Audi, BMW, GM 등이 서비스 경쟁을 하고 있다. Ford는 2010년 CES 기조연설에서

SYNC라는 서비스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음성으로 서비스 및 차량을 제어하고, 전화통화, e-mail, Media

Play, USB 등 IT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다. Audi는 Google Map기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선

보였고, BMW는 앱스토어를 구축하여 자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Ford는 2011년 상반기부터 음성 기반으로 운전 중에 자유롭게 통화하고, 이메일 확인과 웹 콘텐츠를 이용

하는 등 집처럼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SYNC’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도요타와 MS는 클라우

드 플랫폼 ‘애저(Azure)’를 차세대 전기차에 담아 전 세계 어디에서나 실시간으로 차량에서 데이터를 주고받

을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자동차 업계와 IT 관련 11개 업체가 모여 ‘카 커넥티비티 컨소시업’을 구축하였다. 현대기아차,

GM, 다임러, 폭스바겐 등 자동차업체와 삼성, LG, 노키아 등이 대상이다. 컨소시엄의 목표는 자동차 안에

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기술표준을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물론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기술을 자동차에 결합한 첨단 기능 등도 연구할 계획이다.

‘ ’도표 12

자료: 유비벨록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13 도표 14 ‘ ’

자료: 유비벨록스, 유진투자증권 자료: 유진투자증권

8_ www.Eugenefn.com

Page 9: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도표 15

통신사 서비스 내용

– [M파워메터] 아이폰의 중력감지기능인 ‘G-센서’를 활용해 다양한

주행성능을 측정 BMW의

M파워메터 – [로드사이드 어시스턴스] 미니보유자를 대상으로 운전 중 비상사태

발생시, 대처방법 제공

– [폴스바겐의 폴로/시로코챌린지] 폴로와 시로코를 주행해 볼 수 있는

3D 시뮬레이션 게임제공

* 실제 차량과 유사한 배기음/주행감 구현 폭스바겐의폴로/

시로코챌린지 – [제네바살롱 2010] 제네바모터쇼에 출품된 모델 감상, 카탈로그신청,

시승 예약 등을 제공

– [뉴SM5] SM5의 이미지감상, SM5의 광고음악/시동음/엔진음을

벨소리와 효과음으로 지원, 날씨정보 및 세차지수 알림 제공

르노삼성의

뉴SM5

– 엠브레이스는 휴즈 텔레매틱스가 개발한 스마트폰-벤츠 연동서비스

– 현재 차량문 제어, 위치파악, A/S 관리 등을 지원하며 향후 차량상태

점검, 운행 통계 등의 서비스 제공 예정

– 본 서비스는 1999년 이후 생산된 차량을 대상으로 $280에 장착 가능

벤츠의

엠브레이스

(Mbrace)

GM의

스마트폰

온스타(Onstar)

– 스마트폰 온스타는 전기차 ‘시보레볼트’를 스마트폰으로 제어 가능한

텔레매틱스

– 원거리상에서의 차량문 개폐, 시동 걸기 기능제공

– 배터리잔량, 충전시간, 주행가능거리 등 전기차의 특성을 반영한 차량

이용 정보 확인가능

– 아이드라이버는 아이폰의 무선랜 기능을 이용해 자동차에 장치한 운전용

설비를 원격 조정하는 프로그램

– 현재 앱피론사와 독일연구기관이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

앱피론의

아이드라이버

– 아이폰의 화면버튼과 가속센서를 이용해 액셀·브레이크의 조작과 함께

핸들의 움직임까지 제공 (iDriver)

자료: 현대자동차, 유진투자증권

도표 16

자료: BMW, 유진투자증권

www.Eugenefn.com _9

Page 10: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어떤 분야가 주목 받을 것인가

스마트카 관련 산업은 어디까지?

스마트카의 범위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어떤 기능을 구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산업이 연관될 수 있다.

1) 스마트카를 위한 우선 조건은 첨단 센서와 컴퓨팅 기술이다. 자동차는 따지고 보면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수입하고, 이를 활용하는 집합체이다. 최근에 이런 자동차에 IT의 첨단 기능이 들어가면서

스마트한 자동차로 변신하고 있는 것이다. 사고발생을 막기 위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 차량 자세

제어장치(VDC), 사고발생 순간을 정확히 감지해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등이 대표 시스템이다. 친

환경자동차라 불리는 하이브리드카, 전기차·배터리 관리·연료감지, 조향장치, 엔진제어 기능 등도 빼놓을

수 없는 스마트카를 위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2) 스마트카를 위한 IT의 기본소자라 볼 수 있는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각되고 있

다. 자동차용 반도체는 전장부문에서 주행과 밀접한 핵심제어는 물론, 차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한 서비스제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일반 전자부품과는 달리 안정성 등을 첨가한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자동차용 MCU, MEMS, 센서, 광학제품 등을 별도로 개발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스틱스(SA)의 보고서에 의하면, 차 한대당 필요한 자동차용 반도체 규모는

‘10년 260달러에서 ‘16년에는 328달러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가트너는 차량용 반도체시장이

‘10년 177억 달러 규모에서 ‘14년에은 228억달러까지 연평균 6.8%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도표 17 도표 18

1 2.55

10

15

22

30

35

50

0

10

20

30

40

50

6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30

전자부품 비중(%)

연료분사

전자화

에어백

ABS

전자화

ADA

APS

GPR

ITS

전자화

-

5.0

10.0

15.0

20.0

25.0

2008A 2009A 2010F 2011F 2012F 2013F 2014F

자동차 반도체 시장규모

(십억달러)

자료: Bosch, PSA, Freescale Strategy, 유진투자증권 자료: Gartner(2009.12), 유진투자증권

10_ www.Eugenefn.com

Page 11: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관심산업: 솔루션 및 단말기 업체에 관심

스마트카 관련산업은 무선서비스 솔루션, 자동차 시스템반도체, 터치스크린, 전장부품 등이 있다. 서비스 초

기에는 앱스토어 및 솔루션 등을 구축하는 초기 비용이 발생하고, 점차 제품으로 확대시에 내장되는 단말기

에 관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터치스크린 등의 수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서비스 솔루션 업종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는 업체는 현대차가 지분을 5.76% 보유하고 있는 유비벨록

스이다. 현대차와 함께 차량IT 기술을 지속적으로 해왔으며, 올해 1월 출시한 5G그랜저에 스마트폰을 활용

한 차량원격제어 시스템인 모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했다. 2013년 전 차종에 보급 예정인 앱스토

어 서비스를 위해 연간 30억원의 개발비를 지원받아 꾸준히 R&D를 수행 중이다. 단말기 자동차용 운영체

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MDS테크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이미지 센서를 개발한 엠텍비젼, DMB 등 차량 멀티미디어에 디지털방

송수신용 집적회로(IC) 공급을 추진하고 있는 다믈멀티미디어, 현대차와 차량 멀티미디어용 시스템제어칩

용역을 진행 중인 씨앤에스 등도 지켜볼 만하다.

또한 태블릿PC의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고 있는 멜파스, 이엘케이 등과, 스마트카 관련 모든 솔루션을 시스템

과 함께 공급하고 연동하는 현대모비스 또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도표 19

Supply Chain (국내업체 중심)

앱스토어

통신 분야 차량, 단말 분야

다양한부가 서비스

자동차 제조업체

현대차기아차삼성르노한국GM

차량용 단말기

현대모비스

통신사업자

KTSK브로드밴드SKTLGU+

앱스토어 솔루션

유비벨록스

휴대폰 지조업체

삼성전자LG전자팬택계열

차량용 반도체

씨앤에스

임베디드 S/W

MDS테크놀로지

단말기 앱스토어

유비벨록스

인터넷컨텐츠

무선통신

ITS(지능형교통방송)텔레매틱스

차량관리서비스연료절약길안내서비스

사고 자동통보원격진단 및 제어

서비스 플랫폼 분야

근처 맛집 찾기근처 주유소 찾기

근처 사고통보

국내외 인터넷방송다양한 실시간 검색

인터넷영상전화실시간 음악감상

컨텐츠 제공업체

NHNDaum

서비스 제공업체

현대차기아차

앱스토어 서비스

현대차

터치스크린

멜파스

AV칩

다물멀티미디어

GUI

디지탈아리아

자료: 유진투자증권

www.Eugenefn.com _11

Page 12: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어떤 종목을 살 것인가?

도표 20

업체명 현대모비스

(012330)

유비벨록스

(089850)

멜파스

(096640)

MDS테크 씨앤에스

(086960) (038880)

디지탈아리아

(115450)

시가총액(십억원) 35,341.1 127.4 740.9 63.2 156.6 42.8

주요제품 모듈 72%

부품 28%

모바일 39%, ITO패널 49%

윈도우 40%

임베디 41%,

OS번들 36%

제품 58%

용역 42%

2D GUI 60%

3D GUI 28%스마트 39%

수출비중 62% 3% 80% 0% 23% 42%

주요 고객 현대차 SKT,LGU+ 삼성전자 삼성전자 현대차 삼성전자,LGE

Valuation (2010A)

매출액(십억원) 22,144 80 252 62 31 11

매출액증가율(%) 28.5 78.5 66.1 11.9 41.3 3.4

영업이익(십억원) 2,331 11 38 8 1 3

영업이익증가율(%) 37.6 127.0 117.9 16.3 흑전 9.9

11.06 8.6 13.8 9.3 na 13.4PER(배)

EPS growth(%) 51.8 59.2 -46.9 45.1 적지 -10.7

Valuation (2011E)

매출액(십억원) 26,356 106 422 71 na 15

매출액증가율(%) 67.7 na 19.0 31.9 14.4 35.2

영업이익(십억원) 62 na 2,892 15 10 5

영업이익증가율(%) 63.1 na 24.1 35.5 27.1 37.9

PER(배) 10.5 8.6 12.6 6.2 na 9.7

EPS growth(%) 33.3 24.7 65.8 29.5 na 42.1

참고: 현대모비스는 연결기준

자료: Fnguide, 유진투자증권

Conviction BUY

유비벨록스 (089850)

국내 모바일 솔루션 사업자 1위로 스마트기기 확대와 함께 솔루션 도입 및 확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현대차가 지분 5.7%를 보유, 스마트카 관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현대차는 2013년

앱스토어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모든 차량에 적용할 예정인데, 동사가 앱스토어를 구축, 운영 및 컨텐츠

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 (012330)

자동차 전장부품업체 국내 1위사로 자동차 전장부품 비중을 늘리고 있다. 현대기아차그룹의 스마트카 추진

의 실질적인 최종 공급업체이다. 다양한 솔루션과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차량IT 산업 부상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견할 수 있을 전망이다.

12_ www.Eugenefn.com

Page 13: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기타 종목 Comment

MDS테크 (086960)

스마트폰, 국방, 항공, 자동차 등의 정보가전기기 관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 국내 1위의 시장점

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IT융복합화 및 정보기기 확대에 따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장착이 증가하면

서 동사에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2010년 매출액은 621억원, 영업이익은 81억원으로 전년대비 +11.9%, +16.2% 증가하면서 양호한 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2011년에도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www.Eugenefn.com _13

Page 14: Small-Cap · 2014. 4. 12. · - Window Embedded 7, Linux 기반 ‘MeeGo’ 등 차량 플랫폼을 주도하기 위한 Alliance 강화 Smartphone 연계서비스 확대 BMW주축의GENEVI

Analyst 박종선/변준호 | 스몰캡

Compliance Notice 당 사는 자료 작성일 기준으로 지난 3개월 간 해당종목에 대해서 유가증권 발행에 참여한 적이 없습니다

당사는 본 자료 발간일을 기준으로 해당종목의 주식을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 사는 동 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조사분석담당자는 자료작성일 현재 동 종목과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동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조사분석담당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투자기간 및 투자등급

종목추천 및 업종추천 투자기간: 12개월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상기 투자등급은 4월 1일부터 변경 적용함

변경후 변경전

ㆍSTRONG BUY: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0%이상 ㆍBUY 1: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25%이상

ㆍBUY: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5%이상~+50%미만 ㆍBUY 2: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5%이상~+25%미만

ㆍHOLD: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이상∼ +15%미만 ㆍHOLD: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이상∼+15%미만

ㆍREDUCE: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미만 ㆍREDUCE: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미만

14_ www.Eugenef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