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100
연구보고 00- 1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문화융합을 위한 내용 형식의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00. 12 책임연구자 : 김학천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방송진흥원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Upload: others

Post on 21-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연 구보고 00- 1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운영에 관한 연구

- 문화 융 합을 위 한 내용 및 형 식의 독 일과 의

비교 를 중 심으 로 -

2000 . 12

책임연구자 : 김학천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방송진흥원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Page 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보 고서 를 발간 하 며

국내에서도 남북 방송교류를 비롯하여 통일대비 방송에 대한 논의가 수없이 이루

어졌고, 금년에는 남북정상회담의 영향으로 거의 모든 기관에서 통일방송 관련 세미

나나 토론회가 열린바 있다. 아쉬운 것은 아직도 교류의 당위성이나 통일 후 방송에

대한 추상적 전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통일과정에서 그리고 통일 후에 방송이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통

합에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전제하고, 통일 독일에 대한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그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교류의 전단계, 통합단계, 실험단계 이후의 양상

등이 분명하게 노출된 독일의 사례를 현장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복

잡하게 얽혀있는 남북한 방송 교류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잘 드러나 있듯이 통일 후 독일은 공영위주의 지상파 채널을 유

지하면서 케이블 및 위성을 통한 민영방송의 참여 및 증가에 따라 문화적 보완

책으로 어린이 청소년채널 및 다큐멘터리채널을 신설하고 각 주에 설치된 ARD

기본채널 외의 제 3채널은 증가한 지역정보 채널로 활용하고자 했다. 프로그램

에 있어서도 국가 전체적으로는 장르의 균형, 즉 편성균형을 기하여 정보 40%,

교양 30%, 오락 30% 선을 유지하도록 하되 오락으로 특성화된 채널이라 하더

라도 하나의 장르가 50%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여 오락의 범람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통일과정, 그리고 그 후 서독지역의 방송이 통합시책의 시행에서부터 프로그

램의 내용에 이르기까지 동독을 다루는 방법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불공정했

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는 국내 방송사들이 북한문제에 접근하는 데 있어 하나

의 준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 분석이 필요한 대목이다. 이를 위해 연

구자가 독일의 한스브레도프연구소(Hans- Bredow Institut )와 구서독 지역 및

동독지역 학자들이 나서서 일정기간의 방송내용을 전량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

했다는 점은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대목이기도 하다.

이 보고서의 전반적 내용과 결과, 제언 등은 독일의 통일방송에 관심이 있는 연구

자나 방송현업인 뿐만 아니라 방송위원회, 정부 담당 부처의 정책 입안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독일 통일방송에 대한 구체적

- i -

Page 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분석이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구 동독지역의 방송에 대한 실제적 분석 자료는 향후

통일방송 관련 연구나 정책 입안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방송진흥원의 자체 연구과제이나 오랜 동안 독일방송에 관심을

기울여 온 건국대학교 김학천 교수님에 의해 위탁연구과제로 수행되었다. 구체적

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독일 현지에서 체류하며 자료수집과 분석에 노고를

아끼지 않으시고, 그 결과로 훌륭한 성과물을 제출해 주신 김학천 교수님의 노고

에 다시 한번 각별한 감사를 드린다.

2000년 12월

한국방송진흥원

원장 이 경 자

- ii -

Page 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요 약 문

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급작스럽게 시장 과 경쟁 만을 앞세운 방송에 대하여 이를 활용하

는 오늘의 당사자들도 만족하지 못할 때 이를 그대로, 한번도 비슷한 방송 프로

그램을 접해보지 못한 북한 수용자에게 권유하고 접근하도록 할 수 있을까 하

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조만간 남한과 북한의 비교적 폭넓은 방송교류가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시점

에서 남과 북이 각각 유지하는 방송성향과 전혀 다른 프로그램을 오로지 교류

용 으로만 만들 것인가, 하는 의문도 검토했다.

교류의 전단계, 통합단계, 실험단계 이후의 양상 등이 분명하게 노출된 독일

의 경우를 분석 비교하여 해답이 어려운 남한과 북한의 교류 프로그램 성향을

제시했다.

독일에서는 통일 전의 20년 이상을 구서독의 전파가 구동독을 석권하다시피

했는데도 통일 후 판명된 서독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정적인 것이었다.

즉 서독은 동독을 겨냥하여 의회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민주주의 인식을 확산

시키며, 자본주의 체제의 자유롭고 풍성한 정보 및 전달체계를 알리고자 하였

다. 그러나 통일 이후 확인된 서독에 대한 인식은 자본주의 사회의 제반 약점

들, 즉 몰인정 경쟁사회, 소비사외, 폭력과 불안정이 공존하는 사회로 각인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의 토대를 제공한 것은 반드시 방송만으로 한정할 수는 없지

만 적어도 방송이 그와 같은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지는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기적으로 급속하게 이루어진 통일은 동·서독 양

체제의 방대한 방송구조를 개편, 통합하는데도 충분한 합의를 거치지 못한 일방

적인 정책시행의 형태를 나타냈다.

그 결과 이미 간격이 벌어져 있던 정서적인 감정에 더욱 이질감과 소외의 감

정을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인, 또는 사회구조적인 통일은 어느

만큼 달성했으나 문화적인, 감정적인 동질성 회복은 아직도 무거운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방송을 통한 그와 같은 과제의 해결책으로 독일은 채널정책과 프로그램 정책

양면에서 순화대책을 병행하고 있다.

- iii -

Page 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2 . 주요 연구내용

1) 독일의 통일 후 채널 정책

통일 후 독일은 공영위주의 지상파 채널을 유지하면서 케이블 및 위성을 통

한 민영방송의 참여 및 증가에 따라 문화적 보완책으로 어린이 청소년채널 및

다큐멘터리채널을 신설하고 각 주에 설치된 ARD 기본채널 외의 제 3채널은 증

가한 지역정보 채널로 활용하고자 했다.

동독지역에 설립한 공영채널을 통하여 지역정서에 맞고 전국적으로도 필요한

방송내용을 보급토록 하고 있다.

공영방송은 특성화 정책에 맞추어 종합채널로서, 문화채널로서 역할을 하지만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의 단위 방송사로 하여금 별도의 교양물이

나 연극은 방송하는 보조채널을 운영케 하기도 한다.

2) 프로그램 대책

공영과 민영으로 나누어진 2원 체제에서도 국가 전체적으로는 장르의 균형,

즉 편성균형을 기하여 정보 40%, 교양 30%, 오락 30% 선을 유지하도록 하되

오락으로 특성화된 채널이라 하더라도 하나의 장르가 50%를 넘지 않도록 권장

하고 사실상 그와 같은 특성화 대책은 유지되고 있다.

프로그램의 품질은 자율적 규제를 위주로 하지만 드라마와 쇼와 같은 순수

오락프로그램보다는 기존의 프로그램 경향을 다소 변경한 인포테인먼

트 (infortainment ) 프로그램을 증가시키는 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3) 기타 동질성 회복 대책

통일과 함께 독일의 방송계는 통합시책의 시행에서부터 프로그램의 내용에

이르기까지 동독을 다루는 방법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불공정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물론 동독지역의 시청자를 중심으로 제기된 불만이었다. 그 실체를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고자 독일의 한스·브레도프 방송연구소(Hans- Bredow

Institut )와 구서독 지역 및 동독지역 학자들이 나서서 일정기간의 방송내용을

전량 분석하는 작업을 시행했다. 그 결과를 토대로 구조적인 불공정과 그에 따

- iv -

Page 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른 불만을 해소시키겠다는 연구작업인 것이다. 그 연구 결과의 일부분을 이 연

구에서 예시했다.

3 . 연구 결과

통일 독일의 채널정책과 프로그램 정책 그리고 동질성 회복 대책에 대한 검

토를 근거로 하여 한국의 통일(후)방송에 관하여 편성정책과 프로그램 편성방

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독일의 전체방송체계가 보여주는

비중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검을 제시했다. 이것은 한국의 방송환경이 변화한

동기가 상업성의 추구라는 점에서는 당연한 결과이겠으나 통일이라는 불가피한

변혁을 전제로 했을 때는 고려할 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요컨대, 편성의 보편적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상당히 긴 기간의 저항이

나 혼란에 직면할 것이란 예측을 하게 한다. 자본주의가 프로그램에 그대로 투

영된다는 사실은 방송을 전제로 했을 때 문화의 극단적 단계를 의미하는 것이

며 공산주의 역시 문화의 보편주의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통일을 전제로 한 남한의 방송과제는 편성과 프로그램 품질의 균형

적 보편성을 첫째로 지적하게 된다. 균형적 보편성이란 여가(餘暇), 정보(情報),

비판(批判)의 기능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양상은 통일을 이룬 독일의 방송에서는 확인된 셈이다. 한국의 방

송이 아직도 편성의 균형이 취약하고 생활정보, 의견형성, 기능이 부족하고 각

종 이해집단의 권력에 밀리는 현상은 통일방송을 위한 기반의 가장 큰 취약점

이 되는 것이다.

4 . 연구 결과의 활용 범위

국내에서도 남북 방송교류를 비롯하여 통일대비 방송에 대한 논의가 수없이 이루

어졌고, 금년에는 남북정상회담의 영향으로 거의 모든 기관에서 통일방송 관련 세미

나나 토론회가 열린바 있다. 아쉬운 것은 아직도 교류의 당위성이나 통일 후 방송에

대한 추상적 전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통일과정에서 그리고 통일 후에 방송이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통

합에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전제하고, 통일 독일에 대한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그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 v -

Page 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이 연구는 독일의 통일방송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나 방송현업인 뿐만 아니라 방

송위원회, 정부 담당 부처의 정책 입안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독일 통일방송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구 동독지역의 방송에 대한 실제적 분석 자료는 향후 통일방송 관련 연구나 정책

입안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5 . 제 언

통일 이전의 이른 바 교류프로그램의 확립은 완전 차단된 극단의 양 체제가

방송을 가교로 삼아서 만난다는 점에서 독일에서도 전례를 만들지 못한 어려운

과제이다. 다만 지금까지의 이념위주의 프로그램의 성과와 현실을 고려하고 새

로운 수용자군의 필요를 감안할 때 교류프로그램의 소재영역은 다음 네 가지

정도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언어의 발전 및 동질성 회복의 토대로서의 역할 재인식과 그에 따른 남

북의 방송 언어 통일협의 및 시범이다.

둘째, 일종의 문화, 기술, 사회환경의 과시를 통한 방송교류의 시도보다는 생

활경제의 향상과 이를 통한 방송교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산업, 생활, 직

업정보교류프로그램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연, 문화정보의 교류를 위한 다큐멘터리 공동기획이다.

넷째, 독일의 사례에 비추어 북한이 제작한 드라마 유형의 프로그램을 구입하

되 위에 제시한 생활경제 정보 프로그램과 교환하고 상호방송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시도된 교류프로그램은 절반 이상의 상황과시나 설득을 위한 의도

를 감안할 때 대중의 접근방침은 프로그램 그 자체의 구성기술보다 훨씬 앞서

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통일 후 프로그램의 형태결정 및 보급의 개요는 북한을 영상산업

산출물의 소비시장으로만 설정하는 일을 자제하는 데서 비롯될 것이다. 그것은

곧 우리가 스스로 불만으로 여기는 방송의 문화적 측면, 저널리즘의 측면을 본

질에 입각해서 재구성하는 일이 될 것이다.

여기에는 방송에 관한 산업적 측면을 미디어 교육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알

리는 계획도 있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방송의 정보기능과 저널리즘 기능의

본래 모습을 역시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기획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독일의 예에서 확인한 요건, 즉 방송에 반영되는 남과 북의 양상에 관

- vi -

Page 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한 실질적 공정성, 또는 물리적 공정성을 반영하는 방안에 대하여 예측하고 실

현가능성을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물론 영상산업의 전진 자체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며 방송의 본질에

다시 접근하는 기회일 뿐인 것이다.

- vii -

Page 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 연구의 목적과 범위 3

Ⅱ. 통일 후 독일의 방송 4

1. 통일 후 10년의 진단 4

2 . 방송통일의 과정과 과제 10

1) 프로그램의 조기 수용 12

2) 통일기 방송설계와 문제들 14

3) 동독방송 해산의 실제 18

3. 서독 방송계의 결의와 전망 2 1

4 . 비판과 현실/ 대책 24

1) 방송의 상호기여와 통일상대에 대한 인식 26

2) 언어문제 34

3) ORB (Ost deu t sch e Ru n dfu n k B r an den bu r g) 문제 34

5. 개선정책과 프로그램 37

1) 공영방송의 강화, 보완 대책 37

2) 민영방송의 위치와 특색 4 1

6 . 소 결 46

Ⅲ. 한국의 방송교류 및 통일 프로그램 4 9

1. 교류를 위한 전제조건 49

1) 편성의 변화 5 1

2) 내용 품질의 변화 53

2 . 대북방송의 개선 57

1) 대북방송의 성찰 57

2) 교류프로그램 구상 60

- viii -

Page 1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3.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문제 64

1) 협의의 범위와 성격 66

2) 남과 북의 작업 사례 67

3) 수정언어의 반영과 교류프로그램의 시작 68

Ⅳ. 결론, 새편성 경향과 통합과제 7 0

1. 교류 프로그램의 시안 70

1) 우리말 바로잡기 프로그램 7 1

2) 산업, 경제, 교육프로그램 72

3) 자연, 과학 다큐멘터리 72

4 ) 픽션의 공동제작 73

2 . 통합 프로그램에 관한 제안 73

1) 정책적 관점 74

2) 프로그램의 관점 75

참고문헌

- ix -

Page 1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표 목차

<표Ⅱ- 1> 동독방송 재편작업 일람 19

<표Ⅱ- 2> 1995년의 동·서독의 텔레비전 시청 27

<표Ⅱ- 3> 시청그룹별 독일에 대한 인식 29

<표Ⅱ- 4> 동독지역 방송 프로그램 내의 테마 영역의 차이 33

<표Ⅱ- 5> ORB의 평일 편성 36

<표Ⅱ- 6> 최근의 공영방송 편성개요 40

<표Ⅱ- 7> 최근의 상업방송 편성 개요 42

<표Ⅱ- 8> 정치 매거진 및 르뽀 프로그램의 시청률 및 시장 점유율 44

<표Ⅱ- 9> 독일방송의 편성 평균 4 5

<표Ⅲ- 1> 한국의 1998년 가을 각 채널 편성 분포 5 1

<표Ⅲ- 2> 두 채널간 유형별 중복 현황 52

<표Ⅲ- 3> 전 시간대 평균 가구 시청률 및 채널 점유율 추세 56

- x -

Page 1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그림 목차

[그림Ⅱ- 2] 독일 통일과 방송정책 경과 일람 17

[그림Ⅱ- 3] 방송포맷의 동·서독 주제대비 32

[그림Ⅱ- 4 ] 방송내용 중의 동·서독 주제 대비 32

[그림Ⅱ- 5] 통일 이후 공영채널 (보완) 개요 38

[그림Ⅲ- 1] 94년 음악/ 쇼/ 게임 프로그램 AI 변화 - 서울 54

[그림Ⅲ- 2] 95- 96년 음악/ 쇼/ 게임 프로그램 AI변화 추이 - 서울 54

- xi -

Page 1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Ⅰ . 서 론

1. 연구의 배경

국가에 따라서는 기간의 차이는 있으나 정치체제가 바뀜에 따라 언론의 존재양식

도 그 모습을 달리한 곳이 많다. 그러나 한국의 형편은 두 가지 측면에서 거의 변

화가 없이 두 세대를 이어오고 있다.

첫째는 방송미디어가 2차 대전이 끝나고 좌우가 갈라진 이후 방송끼리 또는 사회

현상과 함께 남북이 서로 접근해 본 일이 없다는 사실이며, 둘째는 각각의 체제 속

에서 자기 위치를 일사불란하게 지켰다는 사실이다. 자기 위치를 지켰다는 것은 사

회문화적 인식이 조금씩은 달라졌음에도 북쪽의 방송은 유일한 정치 이념만을 보급

하는 규제적 수단에서 한치도 변화하지 않았고 남쪽의 방송은 정치이념과 맞부딪는

갈등을 피해서 대중의 기호만을 결정적 구실로 삼는 상업성 확대 전략을 멈추거나

주저한 일이 없다는 뜻이 된다.

결국 한쪽은 정치적 도구로 한 쪽은 상업적 수단으로만 존재영역을 인정받은 것

이다. 해방이후 두 세대에 굳어진 두 가지 특성들은 이제 어느 시기에 공통의 목표

를 지향하면서 만나게 될 때 이를 성취하는 방법과 효과전망에 대해서는 전혀 가늠

하기 어렵다는 점을 예측하게 된다.

방송, 특히 텔레비전 방송은 흥미 있고 경제적인 접촉을 기하기 위하여 여러 쟝르

를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형식이 어떠하든 표현의 주된 도구는 언어이다. 이 언어

자체가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내용을 함께 다루어 가기가 어려울 정도로 높은 분

단의 장벽을 만들었다. 같은 언어를 쓰고 흩어진 가족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보편

적 생활도구인 방송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는 정서까지도 단절의 벽에 가려진 것이

다.

이에 비하여 독일은 이미 70년대에 들어서면서 동독인들이 서독 텔레비전방송의

주 시청자가 되면서 동과 서의 분단이 자기들 책임이 아닌 연합국의 정책 때문임을

심정적으로 확인하면서 이념의 장벽을 조금씩이나마 엷게 만들어가고 있었다.

1

Page 1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그렇게 해서 통일이 이루어지지만 10년이 지난 후에는 통일시의 감격과는 달리

매우 새로운 감정의 분단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 이유중의 하나로 통일 전후의 방송

행태를 지적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한다면 통일, 또는 교류의 확대를 전제로 한 한국의 방송상

황은 몇 가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방송의 일반적 통합보급 이전에 방송의 기본성격과 기여기능을 남과 북에

알려야 한다는 과제이다. 남과 북이 동의하고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방송의 교류는

필수적인 것이다. 교류란 공동제작을 해서 배포하거나 각기 별도로 만든 프로그램을

구매, 또는 교환하여 방송하는 행위를 뜻한다. 이를 통해서만 각각 방송에 관한 왜

곡된 인식을 바로 잡거나 설득하여 더 긴밀한 보급의 단계로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과제는 물론 방송의 일반적 보급이 가능해졌을 때 남과 북이 이를 거부

감 없이 수용하여 실질적 통일의식을 고정시켜 주는 일이다. 오늘날의 사람들 생활

행태에 방송이 주는 영향력은 거의 절대적이라고 볼 때 신뢰성을 잃은 방송이나 비

판과 경계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방송은 다른 부문의 융합이나 이해에도 오히려 걸

림돌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의 제한적 수용 정도는 곧 문화와 정서융합

의 속도가 지연되고 있음을 뜻할 것이다.

통일 전에 이미 긴밀한 교류가 있었던 독일의 통일 후 방송의 보급과정과 그에

관한 반응은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통일 전후의 방송의

행태에 관한 연구에 있어 독일과 한국의 근본적인 차이점도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공공성에 관한 이해와 유지대책이다. 독일은 전통적으로 방송의 기본철학

을 공공성으로 설정하였고 통일에 직면해서 동쪽에서 유지한 강제적이고 조작된 공

공성이 만나는 사례를 보여준다. 한국은 외면적 공공성과 내면적 상업성이 구축한

방송이었고 북쪽은 강제적 공공성의 수준을 넘어 정치의 도구로서만 기능하던 방송

이었다.

이들이 만날 때의 상황과 여기서 나타나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프로그램 형태에

관해서는 실로 여러 가지의 가설을 필요로 할 것이다.

- 2 -

Page 1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2 .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방송전파가 이미 국경을 없어진지 오래되지만 한국은 남북의 대치 상황 속에

법적인 단절, 전파기술을 통한 단절, 그리고 방해전파까지 활용하는 완전한 단절상

태를 유지해 왔다. 일부 라디오를 통한 프로그램의 유입이 있었으나 그 역시 법과

감시의 통제대상으로 지극히 제한적 청취만 가능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방송의 기능이 더욱 새롭게 인식되고

어떤 형태로든 연결의 가능성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될 시점에 이르렀다.

남과 북의 방송교류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상황은 주로 북한의 방송체제와 특성,

남한의 대북 라디오 방송의 특성과 방향, 독일의 통일 전후의 방송교류 상황, 독일

의 통일 후의 방송조직 개편상황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나마도 이러한 연구

들은 대부분이 거시적 정책과 관련된 관찰과 분석이었으며,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천

착했어야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이나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초보적인 단계에서나마 방송교류의 시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

에서 다음 세 가지를 중점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독일의 통일 전후 문화, 정서적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송의 기여 방법과

그것이 지체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한국의 남북 방송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상 구성의 기초적인 필요조건들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셋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념이 전혀 다른 두 체제의 방송 프로그램을 통한 동질

성 추구의 핵심사항의 예측과 제안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또한 아직 남과 북이 완전에 가까운 단절상태이며 충분한 교류의 시점

을 가늠하기 어려운 형편인 만큼 남한의 방송이 통합성을 지향할 때 어려움으로

대두될 수 있는 취약점을 지적하여 통합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경제성을 지니도록

하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실질적 비교를 하기 위하여 통일 10년을 맞는 독일 현지의 방송연구소

(Han s- B r edow In st it u t in Hambu r g Un iver sit a et )와 구 동독 지역의 동독

브란덴부르그방송(ORB- Ost deu t sch la n d Ru n dfu n k Br an d en bu r g)에서의 인터

뷰와 연구자료 및 국내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이행되었다.

- 3 -

Page 1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Ⅱ . 통일 후 독일의 방송

1. 통일 후 10년의 진단

독일의 통일과 통일 후 제반 사회환경 및 국민들의 의식변화 과정은 세계 어느

곳에나 참고가 됨직한 양상을 보인다. 더구나 이차 대전을 전후하여 분단의 매듭이

만들어진 상황에서 독일은 그 마지막 매듭을 이미 10년 전에 풀었고, 한국은 해결

의 첫 매듭을 더듬고 있는 입장에서 독일은 흔치않은 자료가 되고 있음은 분명하다.

한국 뿐 아니라 하나의 국가 속에 정서적 통일을 이루지 못한 분쟁봉합지역에도

역시 상처치유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약 20년의 끈질긴 동방정책(Ost P olit ik )을 통해서 경제, 문화, 정치적 원조와

상대의 자존심 유지시키기를 시도했으나 독일은 막상 통일에 이르러서는 치밀한

사전 계획이 없이 그간 추진한 동방정책을 마감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동서독은 분단기에 서방과 공산권에서 가장 윤택한 경제환경을 누리는 형편이었

지만 이차 대전의 전승국들이 마련한 분할정책에 불만이었고 동방정책 과정에서 이

데올로기를 전제로 했던 두 개의 독일정책도 이미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무너지는

헝가리를 기화로 공산주의의 급격한 쇠퇴와 서독의 자유를 인접한 지역에서 경험하

고 교류하면서 복잡한 정치적 흥정보다는 일거에 시행하는 통일정책이 자유에 접근

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로 인정해서 이른 바 치밀한 계획 없는 흡수통합이 이루어

진 것이다.

게르만족 특유의 치밀성과 준비성은 이미 허물어지기 시작한 동독과 서독변화에

있어서는 적용이 되지 않은 셈이다. 물론 빌리·브란트가 주축이 된 동방정책 그

자체가 궁극적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독일의 숙명적인 방침이긴 했으나 정책을 실현

시키는 구체적인 항목들은 일찍부터 동서독의 무모한 적대감의 해소, 교류, 상호 인

정 등이었다.

이와 같은 교류와 정서의 접근을 토대로 하여 70년대 초 동서독기본조약이 마련

되고 통일은 이미 적당한 때를 기다리는 사안으로 대세를 형성해갔다. 그리고 그

- 4 -

Page 1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간의 베를린이 상징하는 바 미, 영, 불, 소의 간섭 내지 점령개념을 뛰어넘어 복잡

한 주변국, 강대국과의 협의 절차 없이 통일이 이루어졌다.

당시 공산권 경제를 거의 주도하다시피 한 2천만 가까운 동독인구가 일시에 사회,

경제, 문화를 포기하고 서독에 흡수됨으로써 정치적 통일은 획기적으로 이루어졌으

나 오랜 세월 누적된 실질적 통일의 과제들은 통일 당시에 즉시 해결되는 국면을

맞지는 못한 것이다. 서독이 지니고 있던 현금차원의 경제력으로 시급한 생계와

통화정책 등은 급한 조절이 가능했으나 장기적 안목에서의 고용, 교육, 행정체계의

확립 등은 뒤로 미루게 된 것이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이미 70년대부터 동독의 시청자를 점유한 방송을 의지하여

민주주의적, 자본주의적 생활방식의 확립을 기대한 것이다.

실제로 통일 전의 서독은 동독의 시청자 점유율을 파악하면서도 별도의 이데올로

기 선전물은 방송하지 않았고 방송전체가 사회주의 체제에 대해서 의회주의를 인식

시키는데 기여하기만을 바랐다.1)

결국 독일이 이룩한 급격한 통일은 이처럼 마련된 통합분위기에 의해 일반적인

정치, 경제적 과제는 밀어 놓은 채 성사된 것이며 서독이 지니고 있던 경제적 저력

과 수 십 년간 축적된 강대국 때문에 강제로 나뉘어 있던 독일의 동질성이 합쳐질

기회를 얻은 것이다.

그리고 통일 후 그 거대한 경제체제는 게르만 족 특유의 생활방식으로 아주 천천

히, 그리고 매우 냉철하게 변화와 재조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후 10년이 흘렀다. 강제로, 남의 뜻에 따라 분단되었던 나라가 재통일을 한

뒤 보편화한 세계 경쟁의 와중에서 나름대로 더 나은 삶의 방식을 구현하는데 필사

적인 노력을 했겠으나 10년 후 나타난 결과는 하나의 시각만으로 평가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게 되었다.

2000년 10월 초, 정확하게 동서독의 통일이 정치적으로 결정, 선언된 10월 3일

을 전후하여 당사자인 독일 뿐 아니라 전 세계는 극적으로 성사된 10년 전의 통일

과 그 완성을 위해 몸부림 쳐온 독일의 과정들을 분석하고 평가했다. 그런데 외부의

관찰자들이 볼 수 있는 국면은 대체로 세 가지의 조금씩은 서로 다른 통일의 성취

1) 김학천, 분단국 방송수용에 관한 고찰 , <현대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이론>, 한길사, 1987,p .386.

- 5 -

Page 1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를 보여주고 있었다.

첫째는 국가를 이끌고 가는 정치그룹의 견해이고, 둘째는 여론과 정부견해를 취합

하여 전달하는 언론매체의 보도이며, 마지막은 일반적인 대중여론, 또는 서민층의

직접적인 평가와 의견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세 가지 견해 중에서 해외에 전달되

는 통일의 평가는 상당부문 세 번째 서민들의 의견을 가장 많이 인용하는 특성을

보인다는 점이 특이하다.

우선 첫 번째 견해, 즉 통일 십 년을 맞는 독일 정치권의 견해와 평가는 그 분야

의 책임자들이며 장래를 이끌어야 하는 담당자들인 만큼 상당히 낙관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통일 10년째를 기념하는 국경일을 며칠 앞두고 연방의회에서는 정치적

평가를 시도했다.

여기에서 수상 슈뢰더는 통일을 위한 투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는 전제로

구 동독은 무혈혁명으로 정당정치를 확립하였고, 그 후 전례 없는 발전을 이룩했다

고 자평했다.2) 다른 정치인들도 구 동독이 독재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의 영역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는 모두 수긍했으나 일부 정당과 정치가들은 구 동독의 입장에서

얻은 것 못지 않게 잃은 것을 상기하자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특히 근로복지 상황과 교육여건의 변화에 대해서는 날카로운 반론을 제시하는 형

편이었다. 이와 같은 회의적인 문제제기에 대하여 독일의 식자층은 상당히 유화적이

고 규범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역시 통일기념일(10년)을 맞아 신문사가 보낸 의견 설문에 원로(방송)작가

마틴·발서는 이 나라가 무슨 시험장 같은 관찰을 받는 일은 이제 끝나야 한다고

쓰고 있다.3) 그는 뜯어보면 볼수록 어딘가 병든 구석은 나타나게 마련이다. 독일

은 지금 좌익과 극우가 공존하고 구 서독과 동독 때만큼 애착을 갖지 못할지 모르

지만 다른 나라라고 다를 게 있겠는가. 독일 역사상 강제가 아닌 통일만한 민주주의

의 발전이 또 어디에 있겠는가. 모든 기대는 무조건 독일에 대해서만 쏟을 게 아니

라 스스로에게로 돌려야 하는 것이다. 조로(早老)를 경계할 일이다 라고 했다.

물론 다른 문인은 10년 동안 나아진 것은 손톱만큼도 없다고 부정적 견해를 보이

기도 하지만 이와 같은 의견을 모두 합쳐 절반의 성공이란 정치적 낙관주의를 보이

2) Fr ankfur t Allgemeine , 2000, 9월 30일자.3) Die Zeit 2000, 9월 28일.

- 6 -

Page 1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는 것이다. 요컨대 독일의 정치권은 10년 전 통일의 성사에서부터 10년 후의 결실

에 이르기까지 매우 포괄적이고 선언적인 평가에 머물고 있는 셈인데 이에 대해 구

체적이고도 증거가 분명한 반론은 어느 부문에서도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치권의 평가는 각 대중매체의 조사 결과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

었다.

우선 슈피겔은 통일 10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대대적인 사회조사를 시행하여 10년

의 결산을 하고 각 분야에 쏟아지는 비판에 대하여 과학적인 응답을 하려고 노력했

다. 그러므로 2000년 9월말의 슈피겔은 비록 포괄적이지만 지극히 본질적인 문제에

대하여 조사결과를 싣고 있다.

그 중 주요 설문은

① 독일 통일이 당신 개인에게 어떻게 비쳤는가.

② 오늘 날 개인적인 경제사정은 어떠한가.

③ 새로운 독일에서 당신의 경제사정은 언제쯤 개선되리라고 믿는가.

④ 오늘날의 동부지역에서의 경제사정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등이었다. 슈피겔은 10년 전 통일 직후에 같은 설문으로 조사했고 그 결과를 현

재의 응답과 비교해서 내놓고 있다.4)

첫 번째, 통일이 개인에게 유익한 영향을 주었는가 여부는 긍정적 대답이 90년의

23%에서 2천년에 4 7%로 대폭 늘어난 반면, 그저 그렇다는 대답은 10년 전 54 %

에서 36%로 줄고 아예 단점이 더 많다는 대답도 2 1%에서 16%로 줄었다. 그러나

10년이 지나도록 구 동독지역의 16%가 통일에 부정적이라는 사실은 독일 전체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두 번째, 개인적인 경제사정은 10년 전 대체로 좋다 가 42%에서 4 7%로 약간

늘고, 좋지 않다는 14 %에서 9%로 줄어서 느리지만 경제사정이 호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세 번째, 새로운 독일에서 경제사정이 놓아질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다수가

4년에서 5년, 또는 6년에서 10년을 지목하고 있다. 다만 90년도에 2 , 3년 내에

4) 슈피겔은 500명의 동독지역 내의 피조사자를 선정, 2000년 9월 15일에 조사, 통일 특집으로

발표했다.

- 7 -

Page 2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좋아지겠다고 응답한 약간 성급한 사람은 30 %에서 15%로 줄어든 현상이 두드

러진다.

마지막으로 동독지역 내의 현재 경제상황에 대해서는 대체로 좋다는 항목이 10년

사이 1%에서 9%로 늘어났지만 그저 그렇다가 17%에서 53%로 증가함으로써 기

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나쁘다와 아주 나쁘다는 각기

56%에서 29%로 , 그리고 26%에서 8%로 줄어서 만족하지는 못하지만 상황이 호

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자이트지(Die Zeit )가 비슷한 시기에 구체적 항목을 지적해서 조사한

결과는 통일 후 10년에 어떤 요소가 독일사회에 불만으로 등장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Ⅱ- 1] 독일 통일 후 좋아진 것, 나빠진 것, 그대로인 것

*출처 : Die Zeit , 2000년 9월 28일.

위 표의 배열로 볼 때 많은 설문사항을 주고 생활에 밀착되었으되 서로 대립되는

응답사항을 뽑은 듯하다.

- 8 -

Page 2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그렇다 하더라도 통일 후 평가의 항목군은 독일사회의 통일과제를 비교적 일목요

연하게 보여준다 하겠다. 우선 투자결과로 나타나는 가시적인 경제체계는 슈피겔의

조사처럼 만족한 수준, 또는 만족에 가까운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업을 위시해서 교육, 정서, 안전 등 투자의 간접효과를 노리는 분야는 인

정을 받지 못하거나 불만이 쌓인 분야로 나타나고 있다. 투자보다는 인간관계가 표

출되는 분야가 불만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정서와 문화부문의 불만, 불안 등이 통일의 결과를 대표하는 것으

로 해외에 비춰지기도 하며 서민계층의 통일정서를 말해주는 지수로 나타나기도 한

다.

사실상 서민의 정서를 대표하는 고용 문제는 1997년 현재 베를린을 포함하는 동

독 지역의 실업률이 17 .3%에서 2 1.7%에 이르는 반면, 서독지역은 8%에서 17%

까지의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런 분포가 수도인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근처에서는 늘 고용을 주제로 한

시위가 끊이지 않고 서민들의 입에서는 통일 전보다 높아진 마음의 장벽을 지적하

게 한다. 모든 생산구조와 그에 따른 생활구조가 자본주의 체제인 구 서독의 체제로

출발함에 따라 동독인도 신속하게 여기에 부응해야 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마음의 체제변신은 만족할 만한 상태가 아닌 것이다.

결국 화합보다는 조금은 딱하게 보는 기다림이 있을 뿐 동쪽과 서쪽은 서로 틀린

정서의 생활그룹으로 분리된 채 오늘을 맞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음의 분할은

두 가지 측면에서 실제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첫째는 구 동독의 공산당이 주축

이 되었던 민사당이 동독지역에서 점차 득표율을 높이고 있는 현상이며5) 두 번째로

는 통일이전부터 동독지역의 수신률을 지배하던 서독지역을 본거지로 한 방송의

인기가 하락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정치와 문화현상을 대표하는 이 분야의

의견으로는 모두 동독인의 짓밟힌 자존심을 들고 있다.

실제로 98년 연방선거에서는 민사당의 지지율은 25%정도로 이것은 서독지역에서

의 득표율의 10배를 상회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동서독을 통틀어 잘못된 정책

에서 원인을 찾고 있으며 특히 동독지역의 주민들은 옛 사회주의의 이상이 부실해

서 좌초한 게 아니라 순전히 무능한 정치인들 때문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6)

5) 한겨레 21, 소외로 얼룩진 통독의 자화상 , 2000년 8월 3일, 319호.

- 9 -

Page 2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이것은 당장 해결할 생활경제 일부가 호전되었다 하더라도 예전의 사회주의 정서

에 대한 근본적인 기대는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통일 후 10년이 지난 지금 구 동독지역은 아직도 거대한 공사장이라고 불릴 정

도의 신축, 개축의 과정에 있고 농촌지역은 생활방편을 획기적으로 바꿀만한 계기를

얻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들어왔다가 정착하지 못하고 그대로 빠져나가 버리는 서

독(지역)의 자본은 동독지역을 낙후상태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하면서 생활의 차이,

정서의 차이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어쨌든 현재도 잘 나가는 서독지역의 1인당 GDP가 5만 마르크라면 동독지역은

그 절반에 가까운 2∼3만 마르크 정도이기 때문이다.

2 . 방송통일의 과정과 과제

독일은 통일의 개념을 표시할 때 몇 가지 상징적 어휘를 사용한다. 단일화

(E in h eit )나 선회(Wen de) 또는 변동(Wa n del )으로 표시하거나 통일이란 표현이

필요할 때는 반드시 재통일(Wieder ver ein n igu n g)이라고 표시하는 것이다. 좀체

그냥 통일(Ver ein n igu n g)이나 혁명(Revolu t u on )이란 용어는 피하는 것이다.

특히 방송과 관련하여 통일을 표현할 때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통일 직후 동독에서의 텔레비전의 역할을 연구한 루데스

(P .Lu de s) 같은 연구자는 혁명(Revolu t u on )과 선회(Wen de)의 개념을 다시 정

리하고 이를 방송통일에 적용할 때는 혁명적 선회(Revolu t u on a er e Wen d e)라는

표현을 확정해서 쓰고 있다.7)

이와 같은 밑에 깔린 생각들이 섬세한 정치적 계산을 피하고 신속하게 장벽을 부

순 것이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특히 동독지역에 있던 매스·미디어 기구의 변화도

와해나 파국의 개념에 접근하는 일이 없이 판 새로짜기(Umbr u ch )의 용어만을 사

용한다. 재통일이 생활 각 부문에 미치는 영향들을 면밀하게 계산한 결과로 보여지

6) 슈피겔 조사로 동독의 끝장은 72%가 정치인의 무능으로 보고 있다. (90년 71%)7) Peter Lu des , "Die Rolle des F ern sehen s bie der r evolut ion aeren Wen de in der

DDR," Publizist ik , 1991, p .201.

- 10 -

Page 2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서와 문화적 통일은 앞장에서 지적한 것처럼 큰 과

제로 남고 있다.

독일의 통일은 비슷한 체제가 내부에서 일으킨 갈등으로 분할되어 있다가 합쳐진

경우가 아니었다. 한 시대를 대표하는 상이한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분할되고 미국과

소련의 체제로 표현되는 냉전체제 속에서 전혀 접근하기 어려운 사상을 바탕으로

대립하던 체제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 시대의 문화체계, 또는 정치체계를 대변하

는 방송도 그 이념과 체제와 동떨어진 채 존재할 수는 없었다. 이것이 시대의 흐름

에 따라 바뀌게 되는 현상이 일어났을 뿐이다.

문화변동 또는 혁명이 있었던 셈인데 그 변화현상에 따라 방송, 특히 동독지역의

방송은 새판짜기(Umbr u ch ) 현상을 맞게된 것이다.

전통적인 독일신문방송학(Pu blizist ik )에서는 이미 60년대에 이런 현상에 대한

정의를 내린 바 있다. 즉 기능공시학의 주창자 프라케(H .P r a k k e )는 한 시대의 시

대사조라든가 이를 전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양상은 강력한 것에서 열세한 것으로 변

할 수 있으며 한 시대의 우세했던 잔여물로서 열세한 커뮤니케이션은 특정상황에서

만 열세한 것이며 이들의 타협과정을 여론전으로 지칭하며 우세한 것과 열세한 것

의 상호교환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긴장이 대두되거나 위기상황이 된다고 한 것이

다.8)

과거의 동서독의 매스·미디어 양태가 통일을 기점으로 프라케의 지적처럼 강세

의 언론이 약세로, 또한 약세의 커뮤니케이션 위상이 강세로 변한 것과는 다르지만

독일인들의 표현대로 판 새로짜기의 수준이라 하더라도 혁명과 맞먹는 대변혁임에

는 틀림없다. 프라케가 지적한 바 변혁기의 여론전과 긴장의 기간이 짧았을 뿐이다.

그것은 물론 통일 이전의 방송의 교류- , 또는 동독으로의 대규모 유입과 서독의 연

구, 그리고 동독의 대비책에도 기인할 것이다.

그러므로 독일에서의 통일과 방송의 관계이해는 장기간의 서독 프로그램 동독유

입, 동독의 대처방안, 통일 후 동독주민의 반응 및 그에 관한 통일독일의 프로그램

대책을 관찰해야 가능할 것이다.

8) H . Pr akke , Kommunik at ion der Gesellschaft Muenst er 1968, p .43.

- 11 -

Page 2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1) 프로그램의 조기 수용

구 동독은 이미 70년대에 서독의 프로그램 접촉율이 80%에 이르고 80년대 중반

엔 동독국민의 90% 가량이 서독 TV프로그램에 접한 것으로 집계되었다.9) 이 집계

가 발표되자 동독정부는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은 특이한 반응을 보였다. 이미 70

년대에 동독 스스로 전문연구소를 동원하여 서독 TV의 시청률이 70%선이라는 것

을 공표한 일이 있는 것이다.10)

이와 같은 이데올로기의 국경을 넘는 방송에 대해서 동독은 물론 처음에는 이를

금지하고 막았으나 수신자체가 언제나 매우 좋은 상태이거나 그런 대로 볼 수 있

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서독방면으로 가는 정신적 도피자를 심하게 탄압할 생각

은 없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심리적 토대는 곧 통일을 향한 내면의 의지로 해석해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1980년대 중반에 시사 주간지 슈피겔은 이미 서독 TV의 뉴스 프로그램

(Tageoch au , Heu t e)이 동독에서 85%의 수용율을 보인다고 전하고 계급의 적이

만드는 서독방송이 동독의 시청자를 장악했음을 지적했다.11)

이런 상황하에서 전문가들은 동독 프로그램이 시청자를 점유한 비율은 10% 이내

로 보고 있었다. 이것은 사실상 80년대에 들어오면서 방송은 통일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현상이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서독은 방송 통하여 동독에 영향을 주는 내용을 의회주의, 즉

민주주의의 실천방안에 두게 되었다. 그 의도에 따라 70년대 이후 80년대에 이르기

까지 뉴스와 시사프로그램의 정치적 공정성에 유념하게 되었다.

이 점은 비평가들과 방송당사자들 스스로 TV채널 3개가 내보내는 뉴스, 시사물

의 공정성을 정기적으로 분석하여 공표 하는 전례를 낳았다.12) 그러나 이와 같은

9) Nober t Linke , "Die Rezept ion der Pr ogr amme von ARD un d ZDF in der DDR alsGegen st and der SED- Kommunik at ion spolit ik ," Publizist ik , 1987. 32 J g. p .47.

10) Gerh ar d Wet t ig, Der Kampf um die fr eie Nachr icht , 1977, p .63.11) Die Spiegel , 39 J g, 1985, Hf 45.12) 독일 매스·미디어 정기 분석자인 Her mann Meyn은 Massen Medien in BRD란 연속

편집 강의록을 통하여 시사물, 뉴스의 공정성을 정기 점검했고 70년대 이후 18편의 프로그램

분석은 대부분 중립, 여와 야가 동수의 편향을 보이는 기록을 남겼다.

- 12 -

Page 2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프로그램 성향이 모두 동독만을 겨냥한 전략은 아니었기 때문에 서독은 다른 서구

의 여러 나라처럼 전형적인 공영방송에도 교양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로 오락물을 배

치하였고 여론이 반영되는 시사물에서는 의견, 주장과 함께 갈등이 노출되기도 했다.

이런 양상은 동독정부로 하여금 정보보다는 갈등에 관심을 돌리게 했고 동독국민

에게는 교양, 시사물보다는 오락물이 더 활용가치를 지니는 프로그램으로 수용되었다.

동독의 집권층은 서독이 의회주의에 강조점을 두고 방송하는 내용 중에서 다원주

의, 또는 자본주의적 경쟁양상에 대해서는 그것이 자본주의 특유의 갈등이고 소모적

경쟁이란 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그러나 활기 있게 전개되면서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오락물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 그러다가 결국 공산주의로서도 오락은 오락으로 대하는 방안

뿐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고 새삼스러울 정도로 오락에 관한 정치적, 또는 사회주의

적 의미를 부각시키기 시작했다. 대중의 접근이 용이한 텔레비전이란 딱딱하고 무미

건조한 당의 선전내용보다 실생활에 접근할 수 있는 요소(Leben sn a eh e)로 규정짓

고 그 요소의 개념은 교양과 오락이 변증법적으로 어울리는 양상이라고 해석했

다.13) 요컨대 동독 텔레비전에서도 오락물의 양을 늘리고 방송에 적극성을 띤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락물도 오락 속에 진실과 정보를 삽입시키는 이른 바 자본주의

식 방식은 따라가지 못함으로써 서독의 프로그램과 경쟁하는 환경을 조성하지는 못

했다. 당시에 서독은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동독 내에서 기능 하는 것에 대하여 동

독 SE D당중앙위원회 소속 의견연구소(In st it u t fu er Mein u n sfor sch u n g)나 칼

마르크스 대학의 신문학과 연구물, 또는 라이프찌히의 청소년연구소의 발표물을 통

하여 개괄적 파악을 하거나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상호간 여행자들에게 조사연

구를 실시하여 자료를 획득했다.

그리고 동독지역의 시청자를 거의 장악하고 있음을 확연히 알면서도 서독은 방송

을 통하여 내보내는 별도의 메시지(프로그램)는 마련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서 동

독은 기본채널인 1TV를 통하여 검은 채널 (Sch war ze Ka n n a l ) 이란 대 서방 프

로그램을 방송했고, 2TV를 서독의 ZDF에 비교되는 정도의 오락보강 채널로 사용

했다. 공산권이 보강한 오락이란 것도 서방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80년대

13) Nobert Linke, 위의 논문 p.47.

- 13 -

Page 2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후반의 공산권TV의 오락 역시 수사물(셜록 홈즈) , 오페라, 무용, 외화, 가요 및 춤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14)

동독의 체제가 결정적으로 흔들리기 직전인 1988년에 텔레비전 전체의 편성양상

을 본다면, 주당 160시간 방송에 60시간이 재방이며, 연간 스포츠 1500개 프로그

램, 850개 어린이 프로그램, 650개의 보도, 홍보물, 530개의 오락, 250개 청

소년, 250개 교양, 120개의 영화 및 시리즈물로 구성되었다.15)

이중에서 외국에서 수입한 프로그램(서독포함)은 영화 1100편, 연속물 400편,

보도, 홍보관련 350편으로 되어 있다.

체제의 지탱이 어려워질 무렵 전 텔레비전의 오락물이 30%에 이르고 그 중에

70%가 외국 수입물이었다는 기록은 이미 방송의 정치적 관심이 어디로 쏠려 있는

가를 나타낸다고 하겠다.

2 ) 통일기 방송설계와 문제들

통일 직후 이른 바 전국의 방송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맡은 직함을 새국가(동독)

의 방송구조개편 위임자(Ru n dfu n k beau ft r a gt er der n eu en La en der )라고 불렀

다. 이 위임자는 루돌프·뮬펜즐(Ru dolf Mu eh lfen zl )이었는데 1990년 가을부터

이듬해 연말까지 통일로 흡수된 동독을 포함하여 당시로서는 거대한 전국의 방송망

을 전혀 새롭게 재편하는 전권을 위임받은 것이다. 이 임무를 끝내고 5년 후 한국

세미나에 초청되어 당시에 이룬 업적 중 한국의 전망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부

분의 경험을 발표한 일이 있다.16)

여기에서 그는 한국에 소개하고 싶은 방송정비사업기구(E in r ich t u n g)의 핵심요

소와 매우 잘 처리한 항목 및 과제를 소개하고 있다. 독일은 1990년 10월 3일 행

정적, 법적인 통일절차를 끝낸 뒤 방송의 새판짜기 작업은 그 해 10월부터 시작해

서 이듬해 연말을 기해 작업을 끝낸 것으로 되어 있다.

14) 87년 10월 중 하루를 선택한 프로그램 편성은 DDR의 2TV와 BRD의 ZDF가 뉴스의 분량

만 차이가 있을 뿐 거의 같은 양상이었다.15) Sen der Frei Ber lin , Rundfunk im Umbruch , SFB Werk st st t Heft , 1991, Ber lin .16) Ru dolf Muehlfenzl , Auft r ag und Wir ken der "Einr ichtung" 1996,

(MBC 창사기념 제 1회 통일방송 국제포럼)

- 14 -

Page 2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물론 이 시기까지 동과 서는 서로 결코 간단치 않은 방송개선에 대한 의견과 비

판, 그리고 실제적인 실행작업을 펼친 바 있다. 그 작업이 간단치 않았던 까닭은 동

독 쪽에서 운영하던 방송을 중단하는 일이 없이 새판짜기(Umbr u ch )를 완성해야

되었기 때문이다.

우선 서독 쪽에서는 케이블 및 위성방송연합(B u n d esver ban d Kabel u n d

Sat ellit en )이 나서서 동독 쪽의 방송정비에 관해서 의견을 내놓았다. 내용은 텔레

비전의 기본채널은 각각 ARD와 ZDF에 귀속시키고 나머지, 즉 세 번째 채널 등은

모두 케이블과 위성연합, 즉 민영방송에 넘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동독지역의 시장

을 선점 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러나 이 제안은 동서독 양쪽에서 반응을 얻지 못했다. 동독 쪽에서는 새로 된

방송사장이 제 3채널은 서독의 전형적인 공영방송과 같은 공영체제로 만들어 동독

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뜻을 지녔기 때문이고17) 서독으로서는 집권당인 CDU가

공영·민영의 2원조직 의사를 갖고 있었음에도 상업방송 조직이 먼저 나서서 제도

를 결정짓는 일은 바라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역시 많이 논의되던 서독 쪽

의 개혁 제안은 동유럽 대상 라디오방송을 하던 DLF사 사장이 제안한 동독주권역

에 모두 새로운 방송을 설치하자는 주장이 있었다.

이것은 이른바 ARD- Ost 주장으로 동독 내 방송체계를 온전하게 유지하거나 독

자적인 확장을 할 수 있는, 동독 측으로서는 귀담아 들음직한 제안이었으나 이른 바

동독 내에 혁명이 진행되던 시기에 부질없는 사전간섭으로 간주되어 반발을 초래하

는 선에서 끝나고 말았다.

어쨌든 서독은 동독이 혁명에 가까운 변화를 추구해서 DF F라는 새로운 방송체계

를 만들어 상황이 어떻게 변하든 동독지역의 문화체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으

나 이를 인정하려 들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서독은 오로지 통합(흡수통합)에만 관심을 갖는 정책방안을 준비했다는

것이 동독 쪽 비판자들의 지적이다.18) 다만 장벽이 공식적으로 허물어지기 전 동

독 측은 방송의 자체생존을 위한 일련의 민주화대책, 즉 사장을 바꾸고 방송이 종전

17) SF B , R undfunk im Umbruch , SFB Werk st st t hef t , 1994 .18) W. Muehl- Benninghau s , 이우승 역, 〈서독 TV프로그램에 대한 동독인들의 거부현상〉,

《통일전후 독일방송자료집》, 문화방송, 1996.

- 15 -

Page 2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처럼 당의 수중에서 벗어나는 제도개선을 꾀하고 아울러 프로그램의 개선까지 시도

하여 전과는 다른 수용자의 호응을 얻었으나 서독 측의 단순 흡수통일 방안으로 인

하여 일거에 퇴출되고 마는 상황이 벌어졌을 뿐이다.

이것은 또한 동독 쪽의 자구노력에 비하여 서독 쪽의 준비는 상대적으로 미흡했

음을 뜻하기도 한다. 상대적이란 여타의 정치, 경제적 준비, 또는 각종 선거에 대

비한 급한 정책에 비하여 방송정책에 관한 그간의 연구결과를 알리고 합의에 이르

는 방안이 미흡하다는 의미가 된다.

- 16 -

Page 2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그림Ⅱ- 2 ] 독일 통일과 방송정책 경과 일람

- 17 -

Page 3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3 ) 동독방송 해산의 실제

통일 이후 어느 정도 들뜬 분위기가 가라앉자 동독지역 언론, 특히 방송의 재편정

책에 관한 전국의 관심이 고조되었다.

비교적 장기로 기한을 잡아 이른 바 문화통일의 어려운 과업으로 인식되었기 때

문이다. 때문에 이 업무를 위임받은 뮬펜즐은 5년 후 한국에서 그 경험을 발표하면

서 무엇보다 국가의 최고 집권자인 수상으로부터 이 업무를 수행한 이후에도 다른

자리를 만들어 주는 정치적 보상이 없다는 점을 전제로 해서 일을 맡았음을 자랑삼

아 밝히고 있다.19)

이 작업은 물론 정치권에서 위임받은 권한을 임의적으로 발휘한 것은 아니고 통

일 전후에 만든 이른바 통일조약의 방송부문 조항(제 36조)을 바탕으로 한 활동이

었다. 그 조항에는 동독의 라디오방송과 텔레비전방송이 종전의 소관업무를 수행하

는 경우에 199 1년 12월 3 1일까지만 연장된다로 되어 있고 그 이후는 각 주가 공

공법을 제정하여 새로 출발할 수 있는 방송기구를 새로 구성하여 방송하도록 규정

한 것이다. 다른 여러 사항에 앞서서 동독의 방송체계가 해산되는 기간을 명시했고

이것은 방송재편기구의 활동시한이기도 했다.

독일도 물론 경험이 없던 이런 과업에 대하여 매우 어려움을 느꼈으나 책임자 뮬

펜즐은 고문단과 자문위원회 및 40∼50명의 직원을 데리고 대체로 다음과 같은 업

무를 처리했음을 밝히고 있다.

19) Muehlfen zl은 1996년 11월 MBC 통일문제연구소가 주최하는 국제포럼 분단국 통합과 방

송에서 동독방송재편기구의 과제와 영향이란 제목으로 당시의 경험을 비교적 소상하게 밝힌

바 있다.

- 18 -

Page 3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표Ⅱ- 3 > 동독방송 재편작업 일람

핵 심 과 제 잘 처 리 된 일 미 진 한 과 제

·약 1만 명의 해고작업 및

재편

· 1640가지의 논의 및 해

결 과제 설정

·동독방송자료의 정부보관

서 이관

·고정(기술) 자산의 ORB,MDR로의 재이관

·기한 내(15개월) 처리

·DFF 프로그램을 유지하

면서 재편완료

·해직자들의 취업장려

·작업 중 여론 반영(조사

를 토대로 작업)·동독 내 기존의 9개의 교

향악단 및 1개 발레단의

해산 방지

·구동독 문화자산 유지

·우수 프로그램 제작 법인

체로 이관

·자문위원단 중 일부 반대

그룹 탈퇴

·전원 구제 불가능

·공영, 민영의 2원 구조정

·구 동독 문화자산 유지,보호 미흡

위의 작업일람은 물론 뮬펜즐의 발표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는 작업의 시

작과 함께 만난 어려움은 인력감축이란 점을 숨기지 않았다. 통일 직전 국영방송시

기에서 DF F로 넘어오는 혁명기에 이미 않은 수가 감축되었지만 뮬펜즐은 대략 1만

명을 줄인 것으로 표현했다.20)

물론 해산작업과정에서 그 중의 되도록 많은 수가 새로 구성되는 ORB와 MDR

로 재취업하도록 최선을 다했다고 했으며 순수한 해직자는 방송일선의 전문성과는

관련이 없는 정당파견자, 감시요원, 기타 이데올로기 주창자들이었다고 했다.

물론 이 문제는 통일 이후도 긴 기간 동안 불만의 요소로 남은 문제였다.

다음에 중요하게 처리한 문제는 기존의 동독방송이 보유하고 있던 자료들을 처리

하는 문제였다. 방송의 경제적 운용을 위해서 방송자료의 중요성은 두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기록되고 취재된 자료들은 개별방송사나 제작자들이 배타

적으로 소유하는 관행 때문에 이를 수합하고 분류하고 정부의 자료센터로 이관하는

일은 참으로 어려웠을 것이란 짐작을 하게 한다.

그러나 이 어려운 과업이 끝내 어렵게 남아 있는 것은 당초부터 쉽지 않을 것이

란 예상을 하게 한 정서적, 문화적 통일을 위한 방송의 재편방안이었을 것이다. 뮬

20) 통일 후 이 정책의 비판자들은 7800명 정도를 4700명으로 줄였다고 했으나, 뮬펜즐은 총 1만 명을 정리하고 그중 3분의 2는 재취업시켰다고 말하고 있다. 인구 2천만 정도의 구동독의

방송인 수는 참고할 가치가 있다.

- 19 -

Page 3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펜즐은 해산운명에 부닥친 9개의 교향악단과 1개의 발레단을 각기 다른 방송기관에

존속 조치함으로써 통일조약 제 35조에 명기된 구동독 문화자산 유지 조항에 충실

했다고 강변하지만 외부의 비판은 바로 이 구동독 문화유산 유지 부분에서 최고의

취약점을 보인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21)

실제로 뮬펜즐도 한국에서 발표한 위 논문에서 새 방송사들은 방송 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신적 장벽을 극복하고 동서독 사람들이 서로 타인으로 느끼지 않고 일상

생활 속에서 융화시키는 역할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방송통합이 된 5년 후

에 이 과제가 독일 방송역사에 가장 크게 도전 받고 있음을 실토했다.22)

정서, 문화적 통일의 과제가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시급성을 요하는 과제라는 고

백은 그가 5년 전 시행한 방송통일 대책이 적어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룩하는 정

서통일에는 성공하지 못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법적으로는 통일조약 35조를 지키기 위하여 동독의 방송사 직원과 문화전문단체

의 명맥을 최대한 살렸다고 했지만 방송을 통한 실제적, 정서적 통일은 10년 후에

도 5년 전처럼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통일의 일반 상황으로 앞에

인용한 표에서 의견표명의 자유, 가능성은 매우 좋은 상태임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

것은 매스·미디어 운영기구의 외적 만족도 임을 알게 해 준다.

혁명기의 동독은 DF F의 독자적인 유지 정착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대대적으로 개

선하였고 방송내부의 사정과는 관계없이 시청률을 크게 올리고 종전의 서독 측 방

송과 경쟁선상에 서는 의욕을 보였는데 이때 두드러지게 관심을 고조시킨 프로그램

은 시사물(Ak t u elle Ka mer a )과 청소년 대상방송(E LF 99)이었다.

해체 개혁과정에서 DF F가 성공시킨 주요, 우수 프로그램은 방송사 밖의 제작법

인으로 하여금 인수하여 제작토록 조치하였으나 그것 역시 방송전체의 문화적 명맥

을 유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한 듯 하다.

21) Knut Hickethier , Das Zerschlagen der Einricht ung in 'Mauer Show ' , 1992,Ber lin .

22) Ru dolf Muehlfen zl , "Auft r ag un d wirken der ' Einr ichtung'", Ein Kapit elMediengeschicht e der Wiederv ereinigung , 1997, Seoul , p .24.

- 20 -

Page 3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3 . 서독 방송계의 결의와 전망

독일은 이차 대전 이후 방송이 권력과 분리되는 목표를 완강하게 추구했고 그것

을 방송의 최고의 가치로 인정해 왔다. 통일 전의 서독은 위와 같은 독립성의 원칙

에다 지방자치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방송체계의 독립성, 자율성을 각주 단위의 방

송사가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각각의 방송사가 능률과 경제성을 추구하고 불

균형한 비대를 막기 위하여 구성한 협회성격의 협력체가 ARD였다.

그러므로 각주 단위의 공영방송 및 전국 네트워크인 ZDF는 이 ARD의 자동회원

사인 동시에 방송사의 규모와 능력에 맞게 전국 배급의 프로그램을 수합하여 편성

하는 채널이 ARD채널이 되는 것이다.

물론 위성, 케이블 등 뉴미디어 채널이 민간방송으로 이원체계를 확립하고 있지만

수용자와 방송문화 견인의 주도권은 아직 ARD , 즉 공영체계가 쥐고 있는 것이 독

일의 형편이다. 그와 같은 여건에서 혁명과 방송의 전면재편의 시기를 맞아 ARD로

서, 또는 ARD 대표로서의 정책과 전망에 관한 견해는 곧 방송의 핵심적이고 주도

적인 정책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ARD가 내린 통일시기의 방송환경에 대한

평가와 과제의 필요성, 추진방법 등은 독일방송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견해가 될

것이다.

통일이 이루어지고 뮬펜즐이 방송의 재편작업을 끝낼 무렵 당시의 ARD편성국장

인 디트리히·슈바르쯔코프(Diet r ich Sch war zk opf)의 통일방송전망을 분석하여

당시의 주장과 진행과정의 격차를 점검해 볼 수 있다.23) 독일은 전국을 관통하는

1채널인 ARD를 통해서 1년에 동안 새로운 통일, 통합방송을 준비(예측)하고 있

던 동독지역의 DF F의 프로그램을 93편 방송해주고 9편의 공동제작을 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ARD로서는 이것이 ARD전체 편성량의 8%임을 지적하고 장차 통일체

제에서 같이 일할 예비방송으로 결코 적은 편성량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동독이 통일 직전, 골수 공산정권이 물러서던 이른 바 혁명기에

서독의 방송팀이 동독지역과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던 1차 연결을 고려한다면

2차 본격적인 통합편성이 될 것이다. 이 때 ARD는 장차 방송체계가 정비, 통합된

23) 디트리히·슈바르쯔코프, 통일방송과 임무 , 이우승 편역, <통일 전후 독일방송자료집>,MBC 통일방송연구 2, 1996.

- 21 -

Page 3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뒤에는 20%의 편성규모를 동독지역 방송이 맡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 20%에는 베

르린 방송의 8%를 포함하기 때문에 순수한 동독지역의 ARD편성비율은 12%선이

었고 실제 ORB와 MDR이 가동되기 시작하면서 포츠담에 위치한 동독 브란덴부르

크방송(ORB )은 2% , 라이프찌히에 위치한 중부독일방송(MDR)은 8%를 맡게 되

었다.

절대적인 시간규모로서 그 과다를 따지는 일은 어렵다. 다만 통일 이후 비판의 핵

심은 방송내용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특히 동부독일의 중심부였던 브란덴부르크 주

는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었던 자유 베를린방송(SF B )과 통합을 반대하면서 어려

운 방송운영을 감내하고 동독의 정서를 전하는 채널로 10년 째 버티는 점이 그러하

다.

당시의 방송주체인 ARD는 통일이 반드시 걸머져야 하는 통합과 문화적 동질성

의 확보를 위해 방송이 필연적인 도구임을 강조하고 우선 변화를 겪은 동독에 대하

여 ARD정신의 이해를 촉구했다. 그것이 방송통일과 동질성 회복의 전제조건인

바, 우선 보도부문에서

- 지역 우선의 방송을 하되 이제 전국 연결이 보장된다는 점을 이해시키고

- 국가, 국민공동의 관심사에 대하여 적극성을 지니며

- 되도록 근거 있는 여론(조사 등)을 전하고

- 의견의 자유와 다양성이 보장되는 자유민주주의 자세를 견지할 것

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송통일의 전제조건 뒤에는 혁명 및 통일 이후에 편성을 유지

해 온 DF F에 대한 서독 측의 불신, 즉 아직도 편파성이 남아있고, 권력비호의 구

습이 잔존하고, 이권화의 조짐이 있었다는 비판이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상호신뢰가 회복되지 못한 상태에서 방송주도 세력의 주장은 실제 프로그

램 제작의 기준이 명료하고 필연성을 띠었음에도 오래도록 동과 서가 서로 믿음과

책임을 교환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통일기에 ARD가 내놓은 문화적 동질성과 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제작 원칙은 분

단국 어디에나 참고가 될 만한 것이었는바,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다.

- 한 국가, 한민족이라는 소속감을 갖게 한다. (통합의 어려움이 있다면 이에 관한

침묵과 억제도 있어서는 안 된다24) )

- 22 -

Page 3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 동서의 선입견, 편견 없애기

- 분단상황의 역사와 발전을 이해시키고 이를 존중토록 한다.

- 상호 거부감을 없애도록 한다.

- 인위적 화합 강요나 이를 위한 사실의 왜곡 미화를 지양한다.

- 언어 통합을 이루는 노력을 해야 한다.

- 지역문화의 이해를 돕는다.

- 동서의 지역특성을 보장한다.

- 구체제의 향수, 유대감 조장 태도를 지양한다.

- 동부지역의 피해의식을 과장하거나 일반화하지 않는다.

- 문학작품의 각색 드라마를 권장한다.

- 오락경향의 상호 배타적 현상을 지양한다.

- 시청률 경쟁을 지양하고 공영과 민영의 차별성을 유지한다.

위와 같은 원칙들이 준수될 경우 변화의 전망으로는

- 독일의 지역문화가 이전보다 훨씬 원활하게 전달될 것이며

- 공영방송에서는 문학작품의 드라마화와 대형 다큐멘터리의 제작, 보급이 활성

화 될 것이고

- 수준, 독창성, 흥미 등의 요소가 민영방송의 그것과는 차별되는 경향으로 만들

어 질 것이다.

라고 했으며 이 점이 독일 공영방송의 궁극적인 동질성 확보 방안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ARD체제의 또 하나의 축을 이루는 ZDF도 통일과 관련한 방송의 변화전

망과 그 당위성에 대해서 강조했는데25)강조 항목에 앞서서 통일과 방송의 재편이

이루어진 후에도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에서의 통일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때문에 심정적 이질감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 점은 특이하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 지적한 방송의 통일 방안으로

- 통일은 획일화가 아니다.

24) 서독의 방송법에 준하는 방송방침(ZDF )에는 비민주적 현상에 대한 비판은 방송의 의무다라

는 적극적이고 특이한 조항이 있었다.25) Dieter St olt e , "St aat liche Einheit un d Kommunikat ion ," Ein B ild der dent schen

Wirk lichk eit , am Main 1992. <독일통일 전후 독일 방송자료집>, 1996, 재인용.

- 23 -

Page 3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 비판도 활성화해야 한다. (비판과 합의, 적대화 통합의 균형, 조정)

- 다양성 보장

을 지적한 것이다. 이들 의견 및 주장은 당시의 공영방송의 책임주역들로서 밝힌 것

이기 때문에 동질성 회복과 방송문화 재편의 길잡이였어야 하는 것이다. ARD쪽은

방송통일의 정치적 규범과 공영성을 유지 발전시키는 프로그램 성향에 대하여 과제

와 전망을 내놓았고 ZDF측은 주로 저널리즘 특성에 대한 주장을 내놓은 것이다.

이 과제들은 여타의 분단국에서 볼 때 매우 일반적이고 중요한 해결과제들로써,

새로운 소속감, 선입견과 역사의 이해. 언어통합, 새로운 공영방송의 프로그램 요

소, 지역문화, 시청률경쟁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때 내놓은 과제와 일종의 약속은 10년을 지나면서 사실상 국가의 전체 통일

모습을 그려 보인 역할을 했으나 여전히 과제로 남았고 이루어지지 않은 정부의

책임자는 통일과업의 연장선에 있다는 표현을 하게 만들었다.

결국 이와 같은 혁명→통일, 재구성→개혁의 결산에 대해서는 매우 거센 비판과

비판받을 현실을 노출하기도 했다.

4 . 비판과 현실/ 대책

이념이 다른 분단국이 30년 가까운 방송의 교류26)와 기타 정치, 경제적인 완전분

단을 피하고 어느 정도 가능성 있고 예측할 수 있었던 통일을 이룩했음에도 기대했

던 무난한 통일을 이루기에는 많은 미진한 사항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

그 미진한 사항의 대부분이 상호 인식과 인식에 따른 인간관계들로 집약됨으로써

오히려 방송에 대한 성찰은 90년대 초와 중반, 그리고 새 천년을 맞으면서도 거의

완결되지 못한 과업으로 남게 된 셈이다. 여기에서 통일 이후 10년간을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서 표현한 것은 그때마다 나름대로 방송을 통한 독일의 동질성 회복,

또는 정서적, 문화적 통일의 대책이 있었기 때문이다.

26) 여기에서 교류란 방송전파가 기술적으로 국경을 넘나들었다는 뜻이다. 동독은 TV 각 채널과

라디오를 통해서 최소한의 이념 P·R 프로그램을 송출했고 서독은 그와 같은 대책을 쓰지

않았다.

- 24 -

Page 3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통일 후 방송은 서독과 동독 쪽의 연구자, 또는 현장 방송인들로부터 상당한 비판

을 받았다.

방송을 전권을 가지고 재편한 뮬펜즐은 그 재편작업이 청산작업(Abwicklu n g) 아

니고 재건작업(Au fba u ar beit ) 이었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하지만27) 비판의 시작은

바로 그것이 재건작업이 아니고 청산작업이라는 대목에서 비롯된다.

아무리 예측한 통일이라 하더라도 반세기가 단절된 의식, 습성 등 생활요인과 재

통일 전에도 존재했던 이른 바 지역문화 특성은 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 체계

를 하루아침에 모두 바꾸어 놓아서는 유지가 어렵다는 논리인 것이다.

통일 충격의 완충지역으로 그 DF F의 기능기간이 있었긴 하지만 그 DF F의 역할

과 기대를 보는 안목은 너무 큰 차이로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통일 전과 후에 방송이 상호 주고 받은 영향력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서독은 전통적으로 자유민주주의의 이념과 실제를 동쪽으로 보냈고 동

쪽은 그 메시지에 의거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있어 자본, 건설 등 외적요인을 오히려

압도하는 쪽으로 기대했으나 사실은 크게 다르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즉 자유민주주의의 유통보다는 자유로운 오락물의 유통이 있었을 뿐이라는 평가

가 그것이다. 더구나 이 오락 위주의 방송유통은 동독의 입장에서 서독사회-자본주

의 사회의 모습을 왜곡되게 전한 주원인이 된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성향의 불합리성, 불공정성이 동질성 회복의 장벽이며 일반정책의

신뢰성을 회복하는데도 전혀 도움이 안 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일었다.

편성에 대한 비판은 통일방송정책의 궁극적인 관찰요소가 되었다. 이 비판에 대한

대처는 하루아침에 시정하기 어려운 사항인 만큼 독일의 가장 권위 있는 방송연구

소가 90년대 후반 이후 집중적인 연구주제로 삼고 우선 그 실상을 조사하여 공표하

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28)

이와 같은 편성에 관한 비판은 동독지역의 방송구조 재편과도 관련을 가지면서

동독지역 방송의 특성 형성과 독일 전역의 방송성향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

27) H . Muehlfen zl , 위의 논문 p .45.28) 1997년부터 Hans- Bredow방송연구소가 주동이 된"Die Dar st ellung Ost deut schlands"

란 연속조사연구로 미세한 분석이 이루어지고Ost deut schland im Fernsehen으로 출간되

고 있다. 이 연구는 그간 동독에서 수신된 모든 프로그램의 동·서의 연관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 25 -

Page 3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었다.

통일방송에 대한 기대와 비판은 위에 제시한 교류과정, 정책, 프로그램문제로 압

축되지만 그 결론과 방향은 물론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귀결되었다.

이 비판들 중엔 서독 쪽에서 보는 동독에 대한 보편적 결함- , 즉 민주주의 환경과

거리가 있는 생활방식, 인식, 그리고 방송에 대한 이해와 실용방법 등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요한 비판과 개선대책은 흡수통합으로 인하여 방송재편과 개혁의 전

권을 지녔던 서독의 정책결정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이 대부분을 이룬다.29)

1) 방송의 상호기여와 통일상대에 대한 인식

서독이 오랜 동안 자기방송 프로그램이 동독 수용자를 장악한 것을 알면서도 이

념적 대항선전 프로그램을 편성하지 않은 채 방송을 계속했고, 각 신문과 방송관련

잡지들은 동독의 방송안내 정보를 그대로 싣고 있었다.

특히 동독에서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보도나 교양이었기보다는 오락 쪽에 치우쳐

있었다는 사실도 분명했다. 그런데 그 오락물의 수용의미는 커뮤니케이션 기본이론

이 지적하는 바 궁색한 동독사회에서 대리만족을 이루고 조작적인 정보내용에 저항

을 할 수 있다는 이유들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30)

통일 훨씬 이전에 서구사회의 정보를 얻는데는 서독의 방송이 유용했으나 자기들

에게 급격한 생활환경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하자 이들은 훨씬 현실감 있고

공정하며 쓸모 있는 정보를 원했던 것이다.

그러나 통일에 임박해서부터, 그리고 서독의 방송권력이 동독의 프로그램 제작에

영향을 미친 후 보도의 내용과 성향은 서독정책홍보로 일관되거나 동독에서 체제저

항을 하던 정치적 투사들만 브라운관을 채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서독프로그램 접촉을 감소하게 한 원인이 되었고 여기에 DF F가 종래의

29) 통합정책 및 편성정책의 통일관련 비판은 90년대 초 독일의 주요학자 및 연구기관의 주요 연

구과제였다. 그 중에 가장 비중을 지니는 연구는 서독측 학자인 Knut Hickethier와 동독측

학자인 Wolfgang Muehl- Benningh aus이었다. 이 논문의 주요 비판항목도 위 두 학자의

통일방송정책의 문제점과 서독방송에 대한 동독인들의 거부현상을 참고한 것이다.30) W. M. Benningh aus , 위의 논문, p .96.

- 26 -

Page 3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권력의 종속형태에서 벗어난 방송을 시도하게 되자 동독의 시청자들은 두 가지 반

응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하나는 전통적으로 강화된 독일의 공영방송을 덜 보는 경

향이었고 또 한가지는 과거보다 더 단순 오락 쪽에 치우친 수용 행태를 나타내었다

는 것이다.

<표Ⅱ- 4 > 19 9 5년의 동·서독의 텔레비전 시청(%)

채 널 서 부 동 부 차 이

ARD

ZDF

RT L

SAT 1

PRO 7

ARD 3

3 SAT

RT L 2

KABEL 1

VOX

DSF

N- T V

Eurosport

15.7

15.4

16.9

14.2

9.5

9.3

0.9

4.3

3.2

2.5

1.4

0.3

1.1

11.0

12.3

19.6

16.6

11.3

10.9

0.7

5.6

2.3

2.7

1.1

0.2

1.2

서부 + 4.7

서부 + 3.1

동부 + 2.7

동부 + 2.4

동부 + 1.8

동부 + 1.6

서부 + 0.2

동부 + 1.3

서부 + 0.9

동부 + 0.2

서부 + 0.3

서부 + 0.1

동부 + 0.1

출처: Her mann Meyn ; Ma ssen Medien in Deut schland , UVK Medien ,1999.

여기에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나타내는 채널들은 공영(ARD, ZDF , ARD 3 등)과

민영( RTL , SAT 1, PRO 7 등)으로 구분되는데 공영은 물론 보도, 정보, 교양이

주축이 되고 민영은 오락물을 훨씬 많게 편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민영방송은 수신

설비 때문에 통일 전의 동독에서의 수신율은 고려할만하지 않다는 사실을 참작해야

하는 것이다. 더구나 통일 직전 민영방송협의회는 공영과 함께 시장을 개척할 수 있

는 대안을 내놓았으나 당국이 이를 제도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동서독의 통화정책, 즉 화폐비율을 같게 하는 단기적 균형정책으로 인하여 통일

후 짧은 기간 내에 위성수신시설을 구매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오락 선호경향은 다

- 27 -

Page 4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소 오를 수 있었으나 통일 전후를 중심으로 해서 언제나 일정하게 상승한 모양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갑자기 바뀐 경제환경이 신속하게 호전되는 기색이 보이지 않자 사람들은 텔

레비전에서 순수한 오락보다는 생활관련 정보를 더욱 선호했는데 이때도 기대하는

정보가치를 찾지 못하고 편향된 보도에 더 많이 접하게 되자 주춤했던 오락성향이

다시 되살아난 현상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공영과 민영방송체계를

분명히 구분하고,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을 또한 분명히 구분하여 어느 정도 대립적인

수용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방송을 통하여 형성된 통일상대에 대한 인상과 인식을 지적할 수 있다. 역

시 오랜 동안의 전파교류가 있었던 역사를 지닌 만큼 시행한 투자에 상응하는 인식,

즉 동질성을 인정하는 일은 당연할 수 있다. 이미 서독은 서방사회에서 그리고 동독

은 사회주의 국가군 중에서 성공한 경제모델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 직후에 비교적 선입견이 없을 만한 동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

사는 그 항목 자체가 이미 고정되어 있을 듯 싶은 자본주의국가의 어두운 그림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31)

통일 당시 공영방송사에 근무하고 있던 클리멘트(Tibor Klim en t )가 조사한 방송

을 통한 서독의 사회인상에 대한 조사항목은 사실상 10년 후인 2000년에 신문이

조사한 인상항목-연구의 맨 앞에 제시한 조사내용- 과 정신문화의 부문의 항목에서

많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서독 텔레비전을 보는 양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리한

15∼16세 청소년의 인식판정은 다음과 같았다.

31) Tibor Kliment , "Fern sehnut zung in Ost deut schlan d un d das Bild von derBundesrepublik ," Rundfunk und Fernseh , Hans- Bredow In st it ut , 1994, 42 Hf,p .491.

- 28 -

Page 4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표Ⅱ- 5 > 시청그룹별 독일에 대한 인식(%)

독일의 상(像)적게 보는

사람평균 시청자

많이 보는

사람

저돌적 경쟁사회

과잉물질사회

소비공포

성과 압력

외국인에 적대감

파시즘

어린이 보호

사회보장

연대감

92

83

73

93

81

50

57

49

55

80

77

71

92

85

42

75

60

70

73

64

60

89

80

51

70

57

71

출처: Ru n dfu n k u n d F er n seh , 1994 , Hf 42 .

연구자는 이 조사에서 서독사회의 상을 결정하는데 많은 시간을 시청하는 수용자

가 긍정적인 인상표명이 많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보다 중요한 점은 전형적인

자본주의사회의 어두운 측면에 대해서, 그리고 오랜 동안 통일투자를 해온 같은 민

족의 인상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 대답을 했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와 같은 인상결정은 통일 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방송을 통해서 대폭

수정되었다거나 방송 그 자체의 변화라도 모색케 했다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고 있

는 것이다. 다만 독일방송은 공영을 위주로 한 2원 구조의 보강은 끊임없이 시도하

여 독일전체의 방송체계는 전과같이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통일된 독일방송이 동서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통합된 국가로의 귀속감을 갖도록

방송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ARD 현장책임자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동독출신의 학

자 베닝하우스(B en n in gh au s )는 통일 직후 일정기간이 지나도록 동독지역 시청자

들에게 동질감을 제고시킬만한 방송이 되지 못했음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이 지적은 프로그램 전체를 분석하여 계량화한 것은 아니었지만 지적 항목 대부

분에 대해서 동서독 어느 곳의 전문가도 구체적인 반론을 제시하지 않았다. 편성과

내용구성의 취약점을 대부분 인정한 셈이 된 것이다.

동독지역 전문가의 안목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주관적 요소가 가미될 수 있었

- 29 -

Page 4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지만 다음과 같은 그의 지적과 90년대 후반의 실제 내용분석을 비교해 볼 때 프로

그램에 관한 지적은 대부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그는 통일 후 프로그램 전반적 부족사항으로,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동독에 관해서는 사건, 사고 등을 통한 단견, 편견만을

보도했다.

-경제불안에 대한 실질적 토론의 장을 기대했으나 대부분 피상적이었고 짧은 기

간 안에 동독지역에 경제부흥을 이루었다는 P·R성 보도만 무성했다.

-특히 ARD, ZDF는 동독의 경제붕괴와 처절한 쟁의들에 관해서 외면했다.

-정책, 조치, 국민경제 관계에서 솔직한 보도보다는 서독지역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서만 보도할 뿐 동독관련보도는 부정적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동독지역의 정치적 책임자를 지목하는데 혼선을 이루었다. (20%내외의 책임 범

위가 있었지만 전체를 매도하는 듯한 분위기가 오래 지속되었다)

-방송출연 연예인들이 너무 갑작스럽게 서독인 들로 바뀌었다.

-통일을 전후하여 지나치게 동독의 반체제 인사만 출연하여 흑백논리로 영웅시

되고 그로 인한 거부감이 높아졌다.

- DF F가 문을 닫은 후 새로운 방송의 새 인물과 새 목소리는 참신성보다는 막연

하지만 불안감을 고조시켰다.

-방송문화 주도권은 너무 철저하게 서독 측이 장악했다.

방송의 공영성과 문화주의를 오래도록 유지했던 독일 방송으로서는 대변혁기를

지나는 동안 노출시킨 프로그램 구성의 취약점으로서는 매우 심각한 경향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동독의 전문가가 분석하고 지적한 위의 경향이 일관되게 약점을 형성

한 것은 아니고 짧은 기간 안에 다소의 변화를 보이긴 했다.

매스·미디어의 내용변화가 생긴 시기적인 계기는 변화(Wen de)의 직전, 혁신과

재편시기(Umbr u ch ) , 통일의 과도기, 의회 선거 시기 등이다.32) 이 시기에 방송

뿐 아니라 모든 미디어와 대중들의 움직임은 하나의 경향으로 묶어 설명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변화를 보였다는 것이다.

다만 그런 변화의 와중에서 미리 대비한 매스·미디어의 내용체계를 과시하지 못

32) Monika Lindgen s & Susanne Mahle , "Vom Medienbooom zur Medienbar r ier e ,"Fernsehe und Hoerfunk , Hans- Brewdow In st it u te , 1994 , p .100.

- 30 -

Page 4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하고 지극히 상식적인 혼란을 보인 것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관점에서 새로운 수

용자 계층, 즉 동독주민의 이해능력, 지적수준, 내재된 인지시스템 등 수용능력에

전제되어야 할 요소들을 소홀히 다루었기 때문이라는 진단을 하고 있는 것이다.33)

서독 및 통일 후의 방송체계가 동질성 회복으로 분명한 목표를 설정했음에도 불구

하고 일반적 정치행태와 매스·미디어의 동향은 후에 비판자들로 하여금

-서독의 방송이 내부 민족문제(특히 동독의 구체적 면모)보다는 서방세계의 동

향과 평가에만 관심을 쏟고,

-공산체제 시대에 대한 흑백논리적 분석은 동독주민들의 이웃동료 등 인간관계

를 와해시켰고

-결국 쉽사리 회복할 수 없는 2등 국민이란 자괴감만 길러 놓았다.

는 평가를 내린 것이다.

이런 현상에 대한 서독 쪽의 분석과 권유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근본적으로 자본

주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참여방식을 빨리 익히도록 독려했고 동서독 매스·미디

어가 이런 혼란에서 빨리 벗어나도록 가장 강력한 의지로 채택한 정책은 지역화정

책이었다.34 )

그러나 통일 후 동질성 회복을 막거나 기여가 부실한 방송에 대한 비판은 매우

주관적인 것이었고 이미 대중의 기호와 독일이 주창하는 방송철학에 따라 운용되던

것이었기에 하루아침에 동독만을 염려하는 방송체계로 바꾸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동독지역에서의 방송내용 분석> 연구인 것이다.

이 연구는 단순한 연구라기보다, 그 동안 방송과 통일관계에서 생성된 쟁점의 확

인하고, 확인된 내용에 따라 비판적 소지를 줄일 방안의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

들어진 일종의 정책방안에 가깝다 할 것이다. 실제로 이 연구는 동독의 두 개의 주

가 관장하는 미디어 관련기구, 라이프찌히 대학, 그리고 서독 쪽의 함부르크 대학

내 한스·브레도프 방송연구소와 공동으로 추진되고 있다.35)

이 연구는 방송을 통하여 동독을 반영하는 모든 측면을 망라하여 계량화하는 조

33) W. M. Benningh aus , 위의 논문 p .108.34) Wiebke Moehr ing, "Die Entwicklung der Lokalber icht er st at t ung in den neuen

Laendern ," Massen Medien und Zeit ungsgeschicht e , Koeln , 1999, p .558.35) 이 연구는 한스·브레도프 연구소의 1999∼2000년 프로젝트로 실제 이론적인 설계와 진행

및 발간을 맡고 있다.

- 31 -

Page 4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사연구이다. 그러므로 방송의 장르별, 주제별, 시간별, 출연자별, 장소별 요소들을

서독의 그것과 비교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1997년부터 1998년에 걸치는 내용분

석은 일단 그 결과를 1999년에 발간하여 후속적인 세부 내용을 계속하여 분속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 간추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Ⅱ- 3 ] 방송포맷의 동·서독 주제대비( 19 9 7 )

*비율: 1 :2 .8 , 1 :3 .8 , 1 :2 , 1 : 1.7 , 1:3 .3*샘플: ARD / ZDF (공영) , RTL / SAT 1, P개 7 (민영)

[그림Ⅱ- 4 ] 방송내용 중의 동·서독 주제 대비 ( 19 9 7 )(Info rm at io n / Info t a in m e nt 평균)

출처: Ost deu t sch la n d im F er n seh en , k oped , 1999 .

- 32 -

Page 4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동독은 인구규모로 구 서독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방송 수신료를 총괄적으로 징

수하여 각 주 방송사에 주의 인구비례로 배분하던 배분원칙에 비추어 방송내용이

포함하는 동독지분에 대하여 이론적으로는 서로 논쟁을 할만한 비율이 아닐지도 모

른다. 그러나 나타난 양상으로는 방송당국이 설명을 해야 할 분량임에는 틀림없다.

<표Ⅱ- 6 > 동독지역 방송 프로그램 내의 테마 영역의 차이(%)

테마영역 ARD ZDF RT L SAT .1 Pro 7 계 N3 MDR

정치

기타

15.2 13.3 9.1 20.5 19.220.6 24.1 39.8 41.7 32.764.2 62.6 51.5 37.9 48.1

15.229.755.1

11.3 53.234.0 12.954.7 33.9

n대비

165 195 88 132 521:1.4 1:1.8 1:4.4 1:2.0 1:1.7

6321:2.0

150 1711:3.0 1:0.2

경제

기타

12.4 11.7 10.6 15.4 5.028.1 32.0 30.3 25.6 30.059.6 56.3 59.1 59.0 65.0

11.729.458.9

14.5 62.831.3 8.854.2 28.3

n대비

89 128 66 78 401:2.3 1:2.7 1:2.9 1:1.7 1:6

4011:2.5

131 1131:2.2 1:0.1

문화

기타

5.2 3.4 3.2 9.4 041.4 36.0 45.2 28.3 21.453.4 60.7 51.6 62.3 78.6

4.737.058.3

11.6 46.441.9 16.046.5 37.6

n대비

58 89 62 53 141:8 1:10.6 1:14 1:3.0 -

2761:7.9

86 1251:3.6 1:0.3

사회

기타

0 8.2 3.6 19.0 036.1 38.8 32.1 28.6 22.263.9 53.1 64.3 52.4 77.8

5.933.660.5

12.8 51.044.7 13.742.6 35.3

n대비

36 49 28 21 18- 1:4.7 1:8.9 1:1.5 -

1521:5.7

47 511:3.5 1:0.3

개인

영역

기타

10.7 11.3 12.7 14.4 4.453.3 41.5 55.7 56.7 44.436.0 47.2 31,7 28.9 51.1

12.052.735.3

13.3 52.651.7 18.635.0 28.8

n대비

150 106 221 194 451:5 1:3.7 1:4.4 1:3.9 1:10.1

7161:4.4

120 2741:3.9 1:0.4

스포츠

기타

1.2 2.4 8.1 0 04.9 10.6 24.3 10.0 7.7

93.9 87.1 67.6 90.0 92.3

3.312.484.3

3.2 22.19.7 3.587.1 74.3

n 82 85 74 20 13 274 31 113

환경/교통

기타

5.6 6.3 0 4.8 37.572.2 56.3 0 47.6 37.522.2 37.5 0 47.6 25.0

13.552.833.7

19.0 48.471.4 29.09.5 22.6

n 18 16 0 21 8 89 21 31

기타

기타

66.7 0 0 0 033.3 40.0 0 0 00 60.0 0 0 0

25.037.537.5

22.2 81.855.6 18.222.2 0

n 3 5 0 0 0 8 9 11

출처: Ost deut schland im F ernsehen , koped ,1999.

- 33 -

Page 4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프로그램의 계량화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분석한 위 결과에서도 방송이 동질성 회

복이나 문화변동에 끼친 부정적 영향력을 백 퍼센트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방송이

통일국가 주민들에게 보편적인 기여를 하는데 결함이 없었다는 측면도 보여주지 못

했다. 통일 후 십 년만에 나온 일종의 총 조사는 쟁점을 다루고 설명할 계기를 마련

했음은 분명하다 하겠다.

2 ) 언어문제

일반적으로 40년간의 정치적 분단은 언어소통에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사회체제의 이질성은 아무리 같은 언어를 쓰는 민족이라 하더라도 생활환

경 및 생활조건과 관련한 언어체계를 많이 바꾸어 놓았을 것이기 때문이다.36)

실제로 동독학자 베닝하우스는 동서독의 언어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특히 정부프

로그램에서 이해수준이 다르고 제작 행태도 각기 다르다고 했다.

그러나 독일의 연구자의 견해와 방송현장에서는 언어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37)

독일은 북부와 남부가 억양이 다른 사투리를 지니고 있으나 무대어로 표현되는

표준어는 오랜 세월 다듬어졌고 표준어를 보호하는 연구단체도 활발히 활동하는 나

라라는 점은 고려할 만 하다.

3 ) ORB(Ostde uts che Rundf unk Bra nde nbu rg ) 문제

ORB는 동독 브란덴부르크 방송의 약어이다. 이 방송사는 베를린을 둘러싸고 있

는 브란덴부르크 주가 설립한 공영방송이다.

통일 후 동독지역은 두 개의 공영방송사를 설립했는데 하나는 브란덴부르크 주

방송이고 또 하나는 중동부 지역의 3개 주를 하나의 방송사영역으로 엮은 MDR

(Mit t eldeu t sch e Ru n dfu n k ) , 즉 중부독일방송이다. 동독은 원래 베를린을 제외

36) Benninghau s , 위의 논문, p .108.37) 한스·브레도프 연구소의 동독방송연구팀과 ORB방송간부와 인터뷰에서 언어문제를 물었으

나 아무 문제가 없다는 응답이었다.

- 34 -

Page 4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하고 5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복잡한 논의 끝에 북부지역의 메클렌부르크-포

포메른 주는 기존의 서독지역 방송인 NDR (북독일방송-함부르크 소재) 관할지역으

로 들어가고 삭센, 삭센-안할트, 튜링겐 3개 주는 연합하여 동독의 중심부인 라이프

찌히에 ARD회원사인 MDR을 설립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브란덴부르크 주는 독자적인 RB r (Ru n dfu n k

Br a n den bu r g)방송을 설립하려다 성공하지 못하고 ARD의 회원국인 ORB를 설립

한 것이다.

ORB는 경제가 어려운 동독지역의 단 1개 주를 배경으로 ARD회원사로 존립하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게다가 지역의 중앙부에 오랫동안 권위 있게 활동하던 SF B-자유 베를린방송이

버티고 있었기 때문에 통일 후도 곧바로 동베를린 방송처럼 SF B 관할지역으로 들

어가는 방안들이 논의된 것이다. 그러나 브란덴부르크 주는 독자적인 설립을 고집

했다.

그것은 통일 전부터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주 일대에 큰 영향력을 지니던 SF B

에 방송 모두를 위탁, 의지할 경우 이 지역의 문화 특성은 유지할 수 없다는 주장을

배경으로 했다. 그러나 그 주장의 내면에는 통일 전후에 접해 온 서독 위주의 방송

에 대한 반발과 정서의 대립 등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은 모두 연구 기

록으로 남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창설시에 지역문화 창달과 이익 대변의 보루가 되겠다고 자임한 점,38)

불과 2∼2 .75%의 ARD 편성지분을 한사코 환경보호나 청소년 문제로 메꾸어 온

점,39) 그리고 아직 분단국의 상태로 있는 국가에 대한 방송프로그램 부문의 조언으

로 통일 후 바뀌는 경제사정과 사회변혁에 대하여 시청자가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편성, 제작해 주어야 하며, 통합된 측의 국민들에 대한 자존심 유지에 성패를 걸어

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한 점에서 그러하다.

ORB는 이제 통일 후 10년이 되었고 가장 작은 규모의 방송으로 40) 상업채널

38) Benninghau s의 위의 논문, p .64.39) 2000년 10월 ORB의 국제적인 간부인 Fr au Bauer와 연구자의 인터뷰에서 특히 이 점을

강조한 바 있다.40) 규모가 작다는 것은 동독지역의 1개 주를 방송영역으로 하였고 실제 점유율은 1999년 현재

4.9%임에도 방송사를 운영한다는 의미이다.

- 35 -

Page 4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더 이상 그대로 유지되기는 어려운 상황에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전국 연결 편성 2 .75%4 1) 지역방송시간 매일 5시간 정도로 10년 동안 변모

한 동독지역의 자존심을 북돋는 채널로 자부하고 있는 것이다.

<표Ⅱ- 5 > O RB의 평일 편성 ( 2 0 0 0년 10월. 수요일 )

6 : 30 방송고등학교

7 : 00 어린이 시간

7 : 45 방송대학

8 : 15 학교방송

8 : 45 브란덴부르크 소식 (시사)9 : 30 Abend 저널 (어제 뉴스)

10 : 15 증권, 직업정보

10 : 30 인터뷰, 대담

11 : 15 자연 / 학술

12 : 15 노동현장, 정보

12 : 30 현장 르뽀

12 : 45 지역, 오락

13 : 30 영화, 극

15 : 15 브란덴부르크 소식

15 : 30 시청자 안내, 참여, 상담

16 : 45 브란덴부르크 소식

17 : 00 정시 뉴스

17 : 15 ARD 뷔페

18 : 00 6시 시사물

18 : 30 동화

18 : 40 지역, 일기예보

18 : 45 오후 저널, 일기, 전화

19 : 30 브란덴부르크 시사

19 : 45 뉴스

20 : 15 오락, 르뽀, 매거진, 고향 (요일별)21 : 30 브란덴부르크 시사, 자연, 토크 (요일별)22 : 15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토크 (요일별)0 : 00 시사 카메라

1 : 00 Abend 저널, 시사카메라, 오늘의 주제

출처: ORB주간 편성표. 2000년 10월.

4 1) ARD편성 2.75%는 전국으로 주 2편 정도의 프로그램을 제작, 제공한다는 뜻이다.

- 36 -

Page 4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ORB의 편성은 전형적인 공영 특색을 갖추고 있다. 교육, 보도, 시사물, 지역방

송, 청소년물 등이 주축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시사카메라(Ak t u elle Kam er a ) 는

통일 전 동독 시절의 인기 시사물로 이를 다시 복원하여 편성한 점이 이채롭다.

5 . 개선정책과 프로그램

모든 방송정책은 궁극적으로 프로그램의 구현방식으로 종결된다. 그러므로 사회가

표시하고 있는 방송에 대한 요구도 일차적으로는 채널정책으로 수용이 되지만 결국

은 프로그램의 조절이나 개선을 통하여 사회요구에 응답하게 되는 것이다.

공중파와 위성, 케이블을 거미줄같이 연결하고 대부분의 지역이 광케이블로 연결

된 독일은 통일 전 일 년쯤, 통일 후 일 년쯤의 방송조절, 개선기간이 있었지만 동

쪽과 서쪽을 망라하여 상당히 예민한 비판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십 년이 지난 시기까지 정서적 동질감 회복에 성공하지 못한 원인도 적지 않은

부분의 책임을 방송에서 찾고 있는 형편이기 때문이다.

제도 개혁과 결정에 법원이 참여하고 매우 신중한 방법으로 대처하는 독일사회에

서 통일 이후도 이른 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송정책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수행

한 셈이다. 이들 정책의 큰 줄기는, 공영방송의 강화 및 변화, 민영방송의 위상정

립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두 정책개요는 독일 고유의 방송철학과 특색을

훼손하지 않고 새로 등장한 동부의 수용자와 역시 새로이 설계해야 할 방송의 시장

(경쟁)요구를 수용하고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변화정책은 각각 채널정책과

프로그램 정책으로 대별할 수 있다.

1) 공영방송의 강화, 보완 대책

공영방송은 1960년대 이후로 ARD, ZDF가 주축이 되어왔다. 각 주에 한 개 방

송사 씩 설립되어 수신료를 나누는 근거로 인구비례를 따랐고, 부족한 예산은 이른

바 블럭광고로 채워 온 공영방송은 통일 이후 동독에 대한 공정한 관심부족이란 지

적을 받았고 여기에 민간방송이 틈새를 비집고 들어 왔다. 그러나 공영방송은 맞대

응 하는 정책보다는 이미 확립한 방송방침을 확대 심화하는 대책을 선택했다. 그에

- 37 -

Page 5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상응하는 가장 두드러진 대책은, ARD소속의 3TV를 교양과 함께 지역정보 채널로

개선하고, 어린이 채널(KIKA)과 다큐멘터리(또는 의회 채널)채널(P h oen ix)을 신

설하여 과도한 상업주의를 견제하고42) , ARD와 ZDF를 좀더 충실하게 계열화하되

두 체계의 소모적 경쟁은 계속하여 배제한다는 것이다.

[그림Ⅱ- 5 ] 통일 이후 공영채널 (보완) 개요

42) 어린이 채널(KIKA )과 다큐멘터리채널(Phoenix )의 설치는 통일 이후 구멍이

난 방송체계를 메우는 대책 중 대표적인 사례라고 독일방송의 연구진들

(Hans - Bredow연구소)이 2천년 9월 인터뷰를 통해 설명했다.

- 38 -

A R D

BR. HR. NDR

RB. SR. SWF .

SFB. WDRORB

MDR

종합채널

(주단위)

Z D F

3 T V

종합채널

(전국)

동독지역 3TV

뉴스전문

지역중심

구동독지역

KIKA

PHOENIX

어린이채널

더큐채널

3 SAT

Arte

위성, 교양

(오스트리아 스위스 공동)

더큐채널 (프랑스 공동)

N · T V

BR- alpha T heater3 TV 보완

교양

연극전문

Page 5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통일 후 새로 ARD회원사가 된 ORB와 MDR은 1996년 이후 각각 2 .75%와

11.5%의 편성을 담당한다. 이것은 종래의 ARD회원사인 BR (바이에른 방송)이

14 .5% , HR (헷센 방송)이 7 .0% , NDR (북독일 방송)이 16 .25% , RB (라디오브

레멘)이 2 .5% , SR (살란드 방송)이 2 .5% , SWF (남서독 방송)이 16 .75% ,

WDR (서독일 방송)이 22%인 점에서 볼 때 처음부터 중견 주립방송으로 출발했음

을 알 수 있다.43)

한편 전국적으로 교양과 교육으로 특성화되어 있던 ARD 3TV가 각 주별로 지역

정보를 위주로 하는 채널로의 변화에 주목하게 된다. 편성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지

역에 필요한 방송내용을 구성하여 1TV, 즉 기본채널을 보완하고 타 지역으로도 각

주의 정보를 전하는 방식은 특히 통일 후에 부족한 채널역량을 늘리는데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물론 프로그램을 자사 제작물로만 메우는 것이 아니라 전국적

으로 교환연결하고 재방송을 늘려 거의 1TV의 영역을 보완하거나 비슷한 무게로

성장하는 것이다. 종래의 교육영역을 살리기 위하여 바이에른 방송이 주동이 되어

BR- alph a채널을 설치하여 어학, 과학, 민속 등을 다루고 있다.

전통적으로 제 2공영이었던 ZDF는 ARD의 회원사로서 1977년에 통일독일의

방송방침을 보완하는 어린이채널과 다큐멘터리 채널을 공동운영하고 독일의 전통적

고급문화인 연극과 연극관련 내용을 방송하는 시어터(Th ea t er )채널을 1999년부터

운영하게 되었다.

ARD와 공동운영 분야는 위성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3 SAT와 Ar t e채널로 확대

되었다. 그리고 ARD와 ZDF는 경쟁을 지양하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뉴스

분야에서 경쟁지양은 두드러진다.44)

43) Hans- Br an don Inst itu t e , Int ern at ionales Handbuch fuer Hoefunk undFernsehen , 2000 / 2001, p .215.

44) ARD. ZDF는 오전뉴스의 경우 It em을 달리한다. 평일의 시사종합믈은 공동으로 처리하되

주단위로 바꾸어가며 맡는다.

- 39 -

Page 5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표Ⅱ- 6 > 최근의 공영방송 편성개요(%)

ARD 1996 1997 1998

정보/ 교양

픽션

넌퓍션

음악

스포츠

어린이·청소년

기타

광고

일일시간기준(분)

42.125.712.74.34.17.62.01.5

1422

43.327.28.95.03.59.01.61.5

1418

41.827.77.54.38.26.92.01.6

1420

ZDF 1996 1997 1998

정보/ 교양

픽션

넌퓍션

음악

스포츠

어린이·청소년

기타

광고

일일시간기준(분)

40.030.0

7.23.76.67.82.71.6

1354

44.926.67.44.15.27.62.61.5

1409

42.327.710.22.26.46.92.71.6

1418

출처 : Media Per spekt iven , 1999.

편성에서 장르구분은 시기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도 하지만 현재는 대체로 위의

분류방법을 쓰는데 여기서 정보 / 교양은 뉴스, 일기, 시사종합물, 정치정보, 경제,

지역정보, 역사, 문화정보, 학술, 기술, 상담, 자연, 사회지식, 영예정보, 오락정보

등을 포함한다. 픽션은 영화, TV극, 시리즈물, 무대극을 지칭한다. 논픽션오락은

토크쇼, 게임, 쇼 등을 포함한다. 음악은 경음악과 고전음악으로 분류되고, 스포츠

는 스포츠정보, 시합으로 분류된다.

어린이·청소년물은 픽션과 논픽션을 모두 포함하며 기타 프로그램은 종교프로그

램 및 프로그램 안내가 포함된다.

1996년부터 1998년은 어린이채널과 다큐멘터리 채널이 가동된 전후가 되는데 이

시기에 편성의 큰 틀은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동서의 지역을 고려한 공

- 40 -

Page 5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영방송의 집중적인 대책으로는

- 3TV와 주방송(ARD)을 통한 지역방송의 대폭확대

-어린이채널 설치 후에도 기본채널에 일정량의 어린이·청소년물 편성(ORB의 집

중참여)

- ZDF의 픽션 장르가 5%정도 많지만 논픽션 오락 부문에서 ARD보다 같은 시

간만큼 적어서 공영으로서의 편성 균형을 유지하는 점

-픽션(TV극, 영화, 시리즈)부분의 상당량은 문화적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모두

저급한 오락으로 분류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편성은 통일 후 5년 이상을 넘기면서 공영채널보다 민영채널이, 정보 장르

보다 오락분야의 동쪽유입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공영정책이 고정되어 있음을 보

여준다.

이울러 연구자가 현지에서 확인하기로는 1977년 이후 방송되는 어린이채널이 대

상범위가 비교적 넓어서 취학 전후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만화·유치원 수준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성인들에게도 흥미를 주는 자연, 탐구 등을 다룬 프로그램이 많다는 뜻이다. 다큐

멘터리 채널도 이 부문 에 관심을 지닌 수용자에게 매력을 주는 수준으로 방송된다.

특히 동부에서 비슷한 오락물에 실증을 느낀 수용자에게 쉽고 유익하게 접근하는

채널로 기능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아직도 동부의 방송인들과 분석자들

은 하루 30분 정도 민영방송의 오락물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다고 지적하는 형편이

다. 이런 현상은 각종 자료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2 ) 민영방송의 위치와 특색

공영방송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조금 앞서는 점유율을 확보한 민영 상업방송채널

은 RTL과 SAT 1, P r o Sieben이다.

이들은 특히 통일 이후 동쪽지역의 공영방송에 대한 정서적 불만을 토대로 하여

신속하게 시청권을 확대시켰다.

- 41 -

Page 5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표Ⅱ- 7 > 최근의 상업방송 편성 개요(% )

RT L 1996 1997 1998

정보/ 교양

픽션

넌픽션

음악

스포츠

어린이·청소년

기타

광고

일일시간기준(분)

17.233.716.40.56.16.64.1

15.41440

16.733.119.30.24.26.14.4

16.01440

20.219.121.6

0.73.56.04.7

13.91440

SAT 1(%) 1996 1997 1998

정보/ 교양

픽션

넌픽션

음악

스포츠

어린이·청소년

기타

광고

일일시간기준(분)

12.740.618.50.23.81.84.9

17.61438

16.139.818.30.43.21.54.8

15.91437

16.737.818.20.34.72.24.1

16.01439

Pro Sieben (%) 1996 1997 1998

정보/ 교양

픽션

넌픽션

음악

스포츠

어린이·청소년

기타

광고

일일시간기준(분)

11.650.5

7.3-0.4

13.62.8

13.71415

9.350.4

6.1--

14.84.0

15.31421

8.650.010.2

--

11.04.9

14.51438

출처 : Media Per spekt iven , 1999.

RTL과 SAT 1, P r o Sieben은 오락중심의 채널이며 주로 픽션과 오락을 다룬

다. 그러나 정보/ 교양도 10%이상 편성하고 특히 어린이·청소년물에 일정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들 상업채널은 모두 위성과 케이블을 연결하여 수신하는 체계지만

- 42 -

Page 5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가정의 수신기에서는 제도나 미디어 기술 성격과 관련하여 구분할 점은 없다.

수신자의 입장에서는 모두 같은 기술적 성격의 채널이란 뜻이다. 케이블로 연결되

는 방송체계는 위의 3개의 채널 외에 머독이 참여하는 VOX채널, 여성채널로 불리

는 TM3가 있고, 영화와 드라마류 만을 위주로 하는 Kabel 1, RTL2 ,

Su per - RTL이 있고, 스포츠와 뉴스 전문채널도 별도로 있다. 즉 DSF (Deu sch e

Spor t F er n seh en )과 Eu r ospor t 및 CNN , NTV 등이 있는 것이다. 이들 민영

방송은 모두 10개 내외의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결국 독일의 방송체계는 약

40%내외의 점유율을 갖는 세 개의 공영방송 네트워크 (ARD , ZDF , 3TV)와 이에

비견되는 세 개의 민간방송망(RTL , SAT 1, Pr o7)으로 주축을 형성한다.

그 외의 채널들은 전국의 보급망을 갖추고 있으나 점유율은 지극히 미미한 편이

다. 특히 프로그램을 놓고 볼 때 Pr o7이나 VOX는 심야에 선정성이 지극히 높은

프로그램이 편성되어 있다.

연구자가 10월 중 모니터 한 결과 일주 동안에 특정 민영방송에서 포르노에 가

까운 프로그램이 3∼4회씩 방송되는 형편이었다. 그러나 이들 채널과 프로그램은

매우 낮은 시청률을 유지하면서 군소 채널의 위상에 머물고 있다.

2%내외의 점유율로 그와 같은 선정성 프로그램을 송출하며 특히 오락을 선호하

는 동부지역에서도 그와 같은 채널을 선호하는 흔적은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고 있

다. 트렌디 성격을 위주로 한 10대 청소년을 목표로 한 흥행물(쇼)도 거의 눈에

띠지 않는다. 즉 섹스관련 프로그램은 이미 다른 문화체계에도 보편화되어 있어 방

송을 통하여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세태는 아니라는 뜻이다. 그 대신 상당히 많은 량

의 TV극과 영화는 범죄수사물과 총격전이 등장하는 액션물이 차지한다.

동독 쪽에서는 민영방송에 대한 접촉률이 높지만 모든 오락물을 고르게 선택하지

않는 양상이다. 통일 직후에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사라진 익숙한 얼굴과 언어 때문

이라고 했다. 독일의 방송사들은 없어지기 전에 DF F로 하여금 여유 있는 프로그램

제작을 권장했고 서독 쪽은 다큐멘터리와 문예극의 제작을 강조했었다. 그 밖에 프

로그램에 대한 신뢰성과 편성, 그리고 접촉의 문제도 지속적인 관심사이었으나 통일

이후는 2원 방송제도까지 가미되어 전과는 다른 측정과 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신뢰성, 또는 공정성의 판별과 관련해서 헤르만·메인(Her m an n Meyn )은 70년

대 이후 독일 매스·커뮤니케이션 구조를 정리하고 발표한 학자인데 80년 대 까지

- 43 -

Page 5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는 방송에서 시사물의 공정성을 조사하여 발표하곤 했다. 그러나 통일 이후는 채널

과 프로그램이 많아졌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접촉도와 시장점유율을 조사하여 전국

적인 기능상태를 조사 발표했다.

<표Ⅱ- 8 > 정치 매거진 및 르뽀 프로그램의 시청률 및 시장 점유율

방 송 사

1997편 성 시 간

1997시 청 률

(in %)시장점유율 (%)

Frontal ZDF Di. 21.00 4.15 14.0Bonn Dirket ZDF So. 19.10 3.89 15.4Monitor ARD Do. 20 15/ 21.00 3.79 13.2Die Reportage ZDF Fr . 21.15 3.77 13.2WISO ZDF Do. 21.00/ 21.15

Mo. 19 25 3.48 13.7- WISO Do. 21.00/ 21.15 3.75 12.2- WISO Mo. 1925 3.46 13.9Fakt ARD Mo. 21.00 3.44 11.9Panoram a ARD Do. 20.15/ 21.00 3.41 11.8Report ARD Mo. 21.00 3.41 11.8Welt spiegel ARD So. 19.10 3.22 12.4Kontraste ARD Do. 21.00 3.07 10.9Spiegel T V RT L So. 22.00 2.99 13.6Exclusiv ARD Fr . 21.45/ 22.00 2.92 11.3Plusminus ARD Di. 21.30 2.72 10.1Stern T V RT L Mi. 22.15 2.65 17.4Politbarometer ZDF monatl. Fr . 22.15 2.54 10.4Auslandsjournal ZDF Mo. 21.00

Do. 21.15 2.49 8.7- Auslandsjournal Mo. 21.00 2.73 8.5- Auslandsjournal Do. 21.15 2.45 8.8Globus ARD Mi. 21. 45 2.33 9.6Mona Lisa ZDF So. 18. 15 2.17 10.4Kennzeichen D ZDF Mi. 22. 15 2.14 11.5Focus T V Pro 7 Mo. 22.00 1.87 9.4Laender spigel ZDF Sa. 17. 05 1.69 13.0ZDF - Abendm ag azin ZDF Mo.- Fr . 17. 00 1.64 13.1Spiegel T V Reportage SAT .1 Di. 23. 15 1.50 12.2Hallo Deutschland ZDF Mo.- Fr . 17. 15 1.36 12.1Blickpunkt ZDF So. 12. 47 1.31 12.6Damals ZDF So. 13. 15 1.24 11.4Priv atfernsehn ARD So./ So. 22. 45 1.13 6.524Stunden - Reportage SAT .1 So. 23. 00 1.04 12.7Zuendstaff ZDF Do. 22. 15 0.94 6.9K1 Das Mag azin Kabel Do. 23. 00 0.42 3.2Zeit T V - Mag azin VOX So. 11. 00 0.17 2.1

(3 년간의 결과 ) (1995∼1997)

출처 ZDF 내부 자료

- 44 -

Page 5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이 표에서는 아직 독일방송의 편성중추를 형성하는 시사매거진의 위상을 알 수

있으며 공영과 민영이 저널리즘 부문의 기여도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청

률과 시장점유율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한다.

통일과 관련해서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 부여된 공공성의 문제는 앞장에서 지적한

것처럼 동서독의 다루는 문제의 수자상의 차이는 현저해도 정치적인 불공정이 노골

적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리포트」나 「모니터」같은 프로그램에서는 방송의 자

유나 내적인 정치문제에 관한 공정성 문제가 논쟁으로 다루어지는 광장이기도 하

다.45) 분포균형을 측정하여 편성전체의 평형상태를 표시하기도 했다. 지금까지는

커다랗게 기울어진 프로그램이 지적되지는 않는다.46)

독일은 아직은 동서간에 방송에 관하여 나타난 갈등을 해소하는 정책을 공공연하

게 편성에 반영한 일은 없다.

방송의 자유를 해치지 않으면서 자율적으로 편성과 프로그램에 반영한다. 묵시적

행태가 있은 뿐이다. 이제 「절반의 통일」을 시사하면서 심리적인 동질성 회복에

문제가 많다고 인정하는 형편에서는 방송의 조절과 개선은 일차적인 과업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매우 산발적이겠으나 그와 같은 노력으로 나타난 방송의 편성면모는 표와 같다.

<표Ⅱ- 9 > 독일방송의 편성 평균(% )

1998년 4주 평균 연평균(광고제외)

정보/ 교양

픽션

넌픽션

음악

스포츠

어린이·청소년

기타

25.934.513.7

1.54.56.6

13.3

24.437.212.5

1.54.36.6

13.5

계 100.0 100.0

출처 : Massen Ma dien in Deut schland (Herman Meyn) , 1999.

45) Hermann Meyn , 위의 책 s .199.46) Hermann Meyn의 표현에 따르면 80년대까지는 각기 편향된 정치성조차도 프로그램 숫자

에 있어서는 여와 야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 45 -

Page 5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통일 문제에 직접적으로 다대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겠으나 장벽이 없어진 지

금도 민주주의를 과시하는 방송행태로 공개채널, 또는 시민액서스채널의 존재를 고

려해야 할 것이다. 1998년 현재로 독일은 전국적으로 62개의 공개채널(Offen e

Ka n al )을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개설과 이용이 자유로운 채널이므로 개설한 주가 있고 없는 주도 있

다. 전국에 4개의 주는 없는 것으로 되어 있고 라인란트·팔쯔 같은 곳은 2 1개를

보유한다. 물론 대부분 케이블방식이다. 제작은 시민 스스로 하지만 더러 방송기관

이 보조해 주기도 한다. 선착순 방송을 하므로 여러 종류의 주제가 등장한다. 심지

어는 극우와 전쟁소재에 대한 주장까지 있었다. 일찍부터 공영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그대로이다.

채널의 개설은 앞으로도 상승 추세이다. 그것이 시행하는 민주주의의 시범도 이제

곧 평가의 단계에 이르러야 할 것이다.

6 . 소 결

아무리 같은 분단국이었다고 하지만 한나라의 통일구조와 과제를 일목요연하게

보기는 어렵다. 더구나 다양성을 가치의 핵심으로 생각하는 서구사회의 경우는 더

어려운 일이다. 다만 그 통일구조의 내부에서 커뮤니케이션의 과제, 그 중에서도 방

송매체가 기여하고, 문제를 일으키고, 전망을 제공한 측면도 그들 스스로가 인정하

고 분석한 범위 안에서 이를 분류하고 종합하고 평가할 뿐이다.

통일과정에서 독일은 모든 정책을 적절하게 동시에 수행하면 효과가 있을 뿐 아

니라 당위성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급한 과제로서 경제부흥정책은 매우 과감하

고 신속하게 서둘렀다.

그러나 엄청난 경제적 투자와 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정서와는 별개의 사실이란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빠

른 미디어인 방송- , 방송프로그램을 인정받는 일이었다. 여기에서는 상당기간 성공

하지 못했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또한 방송내용에 수긍하고 공감해 주는 정서와 분단국민이 다시 동질성을 회복하

- 46 -

Page 5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는 일은 별개의 사안이 아님에도 이를 별도로 다루고 별도로 인식했다는 인상을 받

게 된다.

우선 동독인들은 하루아침에 서독인과 똑같이 되기에 앞서 이를 수없이 반복해주

는 방송에 대해서

-시대적 과제라 할지라도 그 시급성을 구분해 주고, 현장을 그대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기대했다는 점,

-갑작스런 전체 변화, 즉 인물과 내용이 다 바뀌는 방송에 대해서는 적응하는

방법을 몰랐다는 점,

-지향하는 바 커뮤니케이션 정책을 수용할 태세가 전혀 안되어 있었는데 생소한

메시지들이 일방적으로 흘러들었다는 점을 동질성 회복에 대한 절대적 장애사항

으로 들고 있는 것이다.

천문학적 액수가 제시되는, 건설과 고용을 위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정

보들을 미디어에 대한 동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통일 자체는

언제나 반쯤만 이루어진 상태에서 머물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문화적

차원의 동질성이란 느린 속도로 이루어지는 속성을 인정한다 하더라고 방송 외의

변화상황의 전달과 방송 내의 구조변경 자체는 분리해서 생각하고 실행할 필요성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현장을 그대로 생생하게 전하는 일이나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을 바꾸는 속도는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지만 변화를 받아들일 태세- , 즉 커뮤니케이션이 무리없이

이루어지는 토대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독일은 그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가 하는 답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쉽고 기초적인 해결방안을 마련

하기 위하여 동독에 관한 전체 방송프로그램 분석을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매우 장황한 방법이지만 확실한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다음으로 방송 전체의 개선정책 골격을 유지하면서 동질성 회복을 추구하는 측면

을 볼 수 있었다.

즉 방송의 기본적인 철학을 포기하거나 바꾸지 않으면서 시장의 행태를 합리화하

는 방법이 그것이다.

공영방송을 체제와 내용에 있어 방송문화의 중심에 위치시키면서 민영방송의 진

입과 성장을 돕는 방식을 확인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물론 이원체제의 조

- 47 -

Page 6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화를 유지시킬만한 커뮤니케이션 토대, 즉 시청자의 지적 수준, 이해의 범위, 방송

철학에 관한 합의의 정도가 인정받을 만한 환경이 전제되었다.

1만 명이 해고된 동독 방송의 인력구조 재편의 문제는 어느 나라에서나 돌출할

수 있는 산업구조 변경의 과제일 수 있으나 이들의 움직임과 관련한 프로그램상의

실제 표현문제와 그로 인한 수용자의 반응문제는 순전히 산업구조의 변동 차원이

아니라 문화변동과 다른 정책에 미치는 부수적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되어야 할 과

제일 것이다.

- 48 -

Page 6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Ⅲ . 한국의 방송교류 및 통일 프로그램

1. 교류를 위한 전제조건

날 때부터 다른 이념과 다른 생활철학이 주입된 사람들, 비록 조상이 같고 당대에

헤어진 가족이 있고 말이 같다고 해도 지리적인 거리를 넘어 개인들의 차원에서는

단 한번의 의사소통이 없던 사람들과 어떤 형태의 방송을 공유할 것인가, 이 어려운

물음에 답하는 데는 실로 여러 방안이 있을 것이다.

방송이 만들어지고 배포되는 일은 정밀한 과학이지만 이를 구상하고 효력을 예측

하는 일은 매우 주관적이고 감성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젠가는 분단이전처럼 함

께 살아야 한다는 생활본능이 있다면 이제는 그 생활을 지배하다시피 하는 방송의

합리적인 본 모습도 어딘가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방송의 그 본 보습은 두 세대를 건너 뛰어 하나의 생활영역으로 들어오는

북한동포들에게만 해당되는 특수한 모습이 아니라 지구촌의 한 지역 주민으로써 남

쪽 사람들에게도 해당되는 모습이 될 것이다.

북한 사람들에게만 어울리는 방송은 별도로 이미 50년 간 유지되었다면 이제 남

쪽에서 생각하는 또 다른 북한주민용 방송이 아니라 한반도의 생활주민 모두에게

어울리는 방송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통일용 방송이 아니라 통일 후 전체의 방송에 생각이 머물게 되

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거는 지금까지의 우리의 방송, 즉 남쪽에서 운영해 온 방송의 참 모

습에 관한 성찰을 전제로 하게되는 것이다.

우리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거나 문제가 있다는 방송을 통일 후에 확대된 시청자에

게도 권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가 영위하는 방송에 부족함이 없다고 확신

한다면 통일 후의 방송, 또는 그 이전이라도 북한과 연결하는 방송도 별다른 체계를

구상할 필요가 없겠지만 우리가 지금 접하고 있는 방송이 있는 그대로 한민족 전체

의 방송으로 연결되어서는 안 된다는 전제를 하게 된다.

- 49 -

Page 6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남한은 북한을 생각하기에 앞서 방송에 관해서는 남한 스스로 많은 갈등요인을

안고 지내왔다. 그 갈등요인과 전망하는 바 방송의 참모습을 점검해야 비로소 공유

할 방송의 모습이 나타나리라고 생각하게 된다.

또한 통일 후 방송은 널려있는 여러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작업은 아닐뿐더러

세계에서 그 유례도 찾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더구나 어렵게 구상한 통일 프

로그램은 과연 언제 확실하게 활용하겠는가 하는 의문에도 쉽사리 대답할 수는 없

다. 다만 갈라졌던 하나의 나라가 적대관계를 마감하고 정보의 바다를 유연하게 헤

쳐나가는 경쟁력 있는 국민으로서 영위해야 할 방송은 그 활용시기가 멀던 가깝던

이제 당위적 과제로 떠올랐을 뿐이다.

남과 북은 워낙 판이한 방송을 유지했기 때문에 동질성 확립을 목표로 한 방송의

구상이라면 공산주의 방송에 대해서도 점검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그 부분은 이 연

구의 범위에 포함하지는 않았다. 어디까지나 남쪽의 방송을 기존으로 비전을 설정했

기 때문이다.

우리가 영위하고 있는 방송이라 하더라도 새로운 방송체계로 개선하거나 적어도

북한이 수용할 수 있는 방송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우리 것의 정체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물론 그 정체성이란 쉽게 단언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 사회나 긴 기간 동

안 다양한 의견을 동원하여 논의하게 마련이고 사회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부족

부분은 정체성 확립의 새로운 쟁점으로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정체성의 윤곽에 더 가깝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논의된 부족부분, 또는 사

회가 불만으로 표시한 부분을 관찰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방송이 시작된 이래 그 내용 때문에 겪은 갈등은 대체로

- 공익성과 상업성의 힘겨운 대결

- 공정성과 프로그램의 보편성의 부조화

- 공공성과 소유개념에 따른 패권주의 대립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우리의 방송이 개선된 체제를 갖추기 위해서는 편성의 변화, 프로그램

품질의 변화, 경쟁방법의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필요성은 전혀 정서가 다른 동족과 방송을 공유하는 시점에서 처

음이며 마지막인 방송의 제 모습 갖추기 기회로 이용될 전망인 것이다.

- 50 -

Page 6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1) 편성의 변화

한국의 텔레비전방송 편성은 60년 대 초 시작과 함께 집중된 지역, 즉 수도권만

을 중심으로 한 광고경쟁과 인기경쟁의 여파로 방송의 규범을 중시하는 경향을 유

지하지 못했다.

방송의 정책기구와 방송사 자체도 소모적 경쟁이나 품질저하를 우려하여 법 조항

으로 균형을 규제해 놓았지만 오락을 위주로 경쟁에 앞서려고 했던 방침들로 인하

여 균형을 위한 법적 규제조항은 거의 사문화 되다시피 무시되었다.

프로그램 장르를 완전무결하게 분류하는 객관적 기준이란 게 없었기 때문에 방송

사와 행정 및 규제기관의 분류는 일치하지 않는 모순을 드러내었다. 또한 프로그램

장르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프로그램의 장르를 분류한 규정은 점점 더 규제

력을 잃게 되었다. 보도, 교양, 오락의 분류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류의 법적 규정이 다소 무리하고 막연했다는 점과 방송사가

그 규정에 부합되는 분석, 분류를 무시하고 실제는 차이가 나는 편성을 운영했다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일 수 있다. 법에 들어맞도록 만든 허위의 편성은 프로그램

전체의 신뢰성을 잃는 결과가 되었다는 뜻이다.

실제로 전문연구기관이 최근에 분석한 편성에서 장르의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표Ⅲ- 1> 한국의 19 9 8년 가을 각 채널 편성 분포(분(%) )

채널 쟝르 보 도 교 양 오 락 총 계

KBS 1 22.5(35.7) 2350(38.0) 1624(26,3) 6180(100)

KBS 2 890(14.4) 1855(30.0) 3435(55.6) 6180(100)

MBC 1605(26.0) 685(11.1) 3890(63.9) 6180(100)

SBS 1330(21.8) 680(11.2) 4070(67.0 6080(100)

총 계 6030(25.6) 5570(22.6) 13020(52.9) 24620(100)

출처: 한국방송개발원, 98- 02 , 토론회 보고서.

이 표에서 오락의 분량은 위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편성이 시행될 당시의 법으로

는 최대한 오락은 50%를 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4 7) 이와 같은 추세와 관행은 어차

피 우리가 방송의 경향을 새롭게 만들어야 하는 시점에서는 프로그램의 양상과 관

- 51 -

Page 6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련하여 가장 큰 과제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역시 같은 이유로 짚어야 하는 편성의 과제는 중복편성 현상이다. 전국을 장악하

는 3개의 네트워크가 중복편성을 비판받는 형편이라면 오늘날의 방송 본질인 다양

성은 포기한 셈이 된다. 게다가 중복되는 분야가 공익적인 면이라기 보다는 다분히

소비적이고 향락적이고 자극적인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이를 비판하게 되는 것이다.

중복률 자체는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장르의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매년

소모적 중복현상이 지적되었다. 새로 출발한 상업, 민영채널(SB S)이 정착할 무렵

인 1994년에 KB S 1과 MB C는 35 . 1% , KB S 2와 MB C는 25 .2% , KB S 2와

SB S는 42 .6% , MB C와 SB S는 25 .1%로 나타나고 있다.48)

그러나 이와 같은 포괄적인 비율은 프로그램 장르, 특히 방송사들이 집중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분야에서는 매우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표Ⅲ- 2 > 두 채널간 유형별 중복 현황(% )

중복채널

프로그램

KBS1- KBS2

(15.3)

KBS 1- MBC

(35.1)

KBS1- SBS

(14.7)

KBS2- MBC

(25.2)

KBS2- SBS

(42.6)

MBC- SBS

(25.1)

뉴스

다큐멘터리

토론/ 대담

드라마

코미디

영화

만화/ 인형극

버라이어티쇼

토크쇼

퀴즈/ 게임

스포츠

생활정보

학습

문화예술

기타

14.4

5.7

-

4.4

-

-

-

-

-

3.7

54.3

36.5

-

-

-

74.0

9.0

-

4.3

-

-

-

38.4

-

41.5

66.7

29.0

-

-

-

18.6

-

-

7.5

-

-

-

-

-

-

36.0

21.4

61.9

-

-

30.2

12.4

-

53.4

41.4

15.0

35.7

-

16.7

10.3

56.7

26.1

-

-

-

29.7

1.7

-

46.8

65.7

41.4

80.9

23.9

-

14.3

41.7

63.6

-

-

-

24.7

22.4

-

42.5

36.0

-

40.4

-

-

-

16.9

28.1

14.1

-

-

출처 : 방송위원회, <94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분석 보고서 (Ⅱ) >

47) 방송사가 분류하여 관련 행정부처에 제출한 편성은 이와 다르며 보고서에 법을 어긴 편성은

없었다.48) 방송위원회,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분석 보고서 Ⅰ>, 1994 , p .28.

- 52 -

Page 6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90년대 중반의 자료가 인용된 것은 이 부문의 정책과 현상은 2000년대에 들어서

면서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형편이며 드라마와 오락에 관한 한 채널들이 특성을

지니면서 수용자에게 다양성을 보완해 주고 선택의 폭을 넓혀 줄 전망이 보이지 않

기 때문이다.

독일의 경우는 공영채널과 상업채널이 장르 별로 편성 규모를 달리한다는 점과

공영끼리의 이른 바 교차 편성으로 낭비성을 줄이고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있는 점

은 앞장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통일을 전제한다면 한반도의 새로운 절반과 연결되는 방송이 보도, 드라마, 오락

이 반 이상 겹치는 방송체계를 운영할 수는 없을 것이다. 위성 등 뉴미디어 채널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하더라도 지금까지의 설비와 인력을 위주로 한 대형 방송체계는

앞으로도 기존의 영향력을 유지할 것이며 그에 따라 방송체계의 낭비성과 경쟁체제

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은 더욱 낭비이기 때문이다.

2 ) 내용 품질의 변화

방송프로그램이 재미가 없고 유익하기만 한 성향을 추구한다면 일반 시청자들의

요구는 분명할 것이다. 좀 더 흥미 있게 만들라는 요구를 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방

송의 편성은 오락물과 교양물의 배치에 관하여 지금까지는 언제나 한가지 비판만

들어 왔을 것이다. 오락 부문이 법적 규정을 넘어 지나치게 많으며 그와 같은 성향

때문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하는 교양물은 양과 질에 있어 상대적인 홀대를 받아왔

다는 것이다.

오락기능을 중시할 수밖에 없는 텔레비전 방송에서 오락물이 타 부문에 비하여

좀 많다는 점이 곧 결점은 아닐 것이다. 그보다 더 중시할 문제는 품질일 것이다.

단순 시청률에만 시달리는 방송사에 대하여 어느 정도 품질에 관심을 갖도록 방송

위원회는 AI (Appr ecia t ion In d ex) 조사를 개발하여 90년대에 지속적으로 시행하

고 그 결과를 방송사에 제공했다. 단위 프로그램의 흥미와 유익성의 평가를 통하

여 단순 시청률의 멍에에서 좀 벗어나 내용 품질에 관한 반영을 참고하도록 한 것

이다.

그러나 조사하고자 하는 흥미와 유익성은 어느 정도 서로 대치되거나 모순되는

- 53 -

Page 6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성격 때문에 결과는 매번 비슷한 수치를 보이게 되었고 현장에서 중시하는 시청자

규모의 파악과는 거리가 있었다.

결국 조사는 계속되지 못했지만 프로그램이 장르 별로 받은 평가수준이 햇수별로

변하는 모양은 의미 있는 결과였다.49)

[그림Ⅲ- 1] 9 4년 음악/ 쇼/ 게임 프로그램 A I 변화 - 서울

[그림Ⅲ- 2 ] 9 5- 9 6년 음악/ 쇼/ 게임 프로그램 A I변화 추이 - 서울

출처 : 방송위원회, 《청소년 프로그램 편성》 1997 , p .280.

49) 김학천, 〈청소년 프로그램 편성〉, 방송위원회, 1997, p .272.

- 54 -

KBS 1

MBC

KBS 2

KBS 1

평균

SBS

KBS 1

MBC

KBS 2

SBS

Page 6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예시된 표는 전형적인 오락 장르인 쇼, 음악, 게임 분야의 AI조사 변화였다. 여기

에서 매월 결과가 나왔지만 1개월 단위의 결과 연결은 매우 수평적 형태를 유지하

지만 94년부터 96년까지 해가 바뀌면서 전체적으로 총점 수준이 내려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경향은 대상이 한정되는 어린이, 노인대상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대

략 비슷하다.

눈에 보이게 폭락한 것은 아니지만 즐기는 프로그램의 수준이 기준연도에 비해서

결코 올라가는 일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비판을 포함한 90년대의 평가는

대략 이런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

일상사에 기준을 두고 보편성을 추구하는 텔레비전이 해마다 수준이 다른 프로그

램을 제공해서 시청자의 인식과 습관을 모두 바꿀 수는 없는 일이지만 내용 수준이

현상유지도 못한다면 이는 다른 분야의 발전과도 균형을 이루니 못하는 것이다. 쟝

르끼리 비교할 때도 특히 하향평가를 받은 장르는 코미디, 드라마. 쇼, 게임, 영화

의 순이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정서가 전혀 다른 시청자 군을 형성하려 할 때(통일 전) 또는

이미 같은 시청자 군으로 통합했을 때(통일 후)의 프로그램 성향을 예측하는 지표

로 삼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우리 자신이 신뢰하지 않는 프로그

램 수준을 문화 동질성을 추구하는 목표로 활용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다.

쟝르별, 연도별 평가총점의 하향 이유와 상승방법에 대한 새로운 결정이 곧 새 시

청자 유치의 방안일 수 있음을 지적하려는 것이다.

3 ) 시청률 경쟁문제

시청률 경쟁은 시청률을 포함한 인기, 경영 등 방송 존립을 위한 총체적인 경쟁개

념이 되었다. 광고주에게 방송투자를 위한 최소한의 기본적인 정보토대가 되도록 한

수단이었으나 지금은 그 범위를 모두 넘어선 경쟁개념이 되었다는 뜻이다. 방송사

내외의 조건들을 개선하고 프로그램의 장래를 예측하는데 활용하는 시책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없겠으나 경쟁이 주는 폐해, 즉

- 시청률의 미세한 차이를 이유로 프로그램의 성향을 즉시 바꾸고,

- 통속적인 인기를 공익성의 배분 기준으로 삼으며,

- 55 -

Page 6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 경쟁이 첨예하다고 판단될 때 품질의 하향조정을 결정하며,

- 역시 미미한 정도의 시청률 상승을 위하여 방송의 다양성을 포기하는 일

등의 현상이 보편화하는 경향을 경계하게 된 것이다. 또한 시청률은 그 차이에 민감

해질수록 국가 전체의 방송철학의 추구나 기본정책의 시행 등은 구조적으로 어려워

진다. 그리고 이념이 다른 시청자 군이 형성될 때, 즉 방송에 대한 철학이 전혀 다

른 시청자 군이 통합될 때, 방송이 갖는 중립적인 위상을 모색하기는 점점 어려워질

것이다.

<표Ⅲ- 3 > 전 시간대 평균 가구 시청률 및 채널 점유율 추세( 19 9 8년 12월)

총가구

시청률

(HUT )

KBS 1 KBS 2 MBC SBS

시청률 점유율 시청률 점유율 시청률 점유율 시청률 점유율

12월

51.2

(49.6)

<47.5>

11.8

(14.4)

< 12.9>

23

(29)

< 27>

11.1

(11.1)

< 11.6>

22

(22)

<24>

15.9

(14.1)

< 11.1>

31

(28)

<23>

11.5

(9.2)

< 11.4>

22

(19)

< 24>

평균

48.6

(45.9)

<45.4>

12.1

(12.9)

< 12.2>

25

(28)

< 27>

10.1

(10.4)

< 10.9>

21

(23)

<24>

14.8

(12.3)

< 10.9>

30

(27)

<24>

10.9

(9.8)

< 10.9>

23

(21)

< 24>

* ( ) 1997년, < > 1996년 통계

출처: 《방송문화총람》, 방송문화진흥회, 1999 .

위 표의 분포는 3개의 메이저 네트워크가 전국의 시청자를 상당히 안정적으로 분

점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단위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일상적으로 30%내외에

서 높은 접촉률을 보이고 10%이내에서 비교적 적은 반응을 표시한다.

이런 결과는 계속해서 변화하지만 채널 전체로서는 크게 앞서거나 뒤떨어지지 않

는 현상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틀은 서구의 안정적 채널구도와 비슷한 모

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몇몇 단위프로그램의 일상적 변화에 채널전체의

성향을 담보하면서 품질을 낮추거나 편성 장르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깨트리는데 있

는 것이다.

5년이나 10년에 한번쯤 나타나는 채널의 반분현상(50% 이상의 시청률을 나타내

는 일)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런 현상은 프로그램 모두에 적용시킬 수 있는 현상

- 56 -

Page 6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은 아닐뿐더러 어느 채널에도 기회가 주어지는 시기적인 성공일 뿐이다. 그리고 그

와 같은 성공은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와 사회의 필요가 맞아떨어질 때

생기는 현상으로 결코 일상사는 아닌 것이다.

이런 점에서 통일 프로그램의 구상을 위해서는 그토록 촉박하고 근거가 미약한

경쟁개념은 정리해야 하는 전제가 필요하다.

2 . 대북방송의 개선

1) 대북 방송의 성찰

통일 후 방송에 대한 불만이 결코 줄어들지 않았다 하더라도 독일의 통일 전 수

십 년에 걸친 전파의 교류가 이룬 공적은 부인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전파의 교류에 관해서는 연구의 대상을 거의 지니지 못했다. 북쪽

은 라디오에조차 고정된 장치를 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일부위험을 걸고 몰래 듣는

계층이나 일본, 중국 등 북한을 둘러싸고 있는 지역을 통한 간접효과를 기대하고 비

록 라디오를 통해서나마 대북방송은 적극적으로 시행되었다.

대북 방송은 그 성격을 전파전에서 북한을 제압하는 대항 커뮤니케이션으로 설정

했지만 실제목표는 평화통일 촉진 분위기를 조성하고, 자유민주체제의 우월성을 홍

보하며, 공산주의의 비판의식을 증진시키고 공산권 동포 등 해외교민들의 친한의식

을 고취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대북 방송은 나름대로 채널 안정기인 80년대엔 사회교육 방송을 필두로

하여 KB S소속의 나머지 라디오채널과도 연결하여 하루 83시간 20분을 보도

18 .9% , 비판 2 1% , 선전 59 .9%로 구성하였다.50)

이 무렵 독일에서는 모든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자유롭게 국경을 넘었지만 특별히

목표 자체를 동부에 두고 시행한 방송은 역시 라디오인 DLF (Deu t sch la n d- fu n k )

였다. 이것은 동독뿐만 아니라 동구권의 여러 공산국가를 겨냥했기 때문에 11개의

50) KBS, KBS 연지, 1987, p .171. 여기에서 하루 83시간 20분은 각 라디오채널의 대북방송

과 재방송시간을 포함한 것임

- 57 -

Page 7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언어로 방송을 내보냈다.

방송 시간으로서는 우리와 비교할 바가 아니었다. 우리의 대북 방송의 피드백도

공식적으로 집계할 형편이 전혀 아니었기 때문에 수용자 반응을 고려함이 없이 방

송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체제나 이념에 대한 비판은 20%내외였고 나머지는 뉴스와 남쪽의 홍보에

할애했기 때문에 1차 대전이나 2차 대전시 교전국에 보내는 심리전 차원의 전방방

송은 아니었다 하더라도 견제를 목표로 한 대항 커뮤니케이션이었던 점은 분명하다.

이 시기에 동구권 대상 채널이었던 DLF의 편성은 뉴스와 음악만으로 채워져 있

던 것과도 크게 비교가 된다.

텔레비전은 완전 봉쇄된 환경에서 라디오가 주는 내용, 즉 정보/ 논설, 북한 요원

들을 목표로 한 대상방송, 해외동포(특히 조총련)에게 보내는 소식, 통일교육, 극화

된 비판, 이산가족 편지, 사연, 역사, 홍보, 오락, 스포츠는 그런대로 지극히 제한된

청취자에게는 국경을 넘는 정보와 위안의 역할을 했을 것이나 방송전체가 겨냥하고

있던 목적은 이룰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시기에 텔레비전은 국내를 대상으로 하여

공산권 내의 내용들이 풍자와 비판의 목적을 지닌 채 픽션과 제한된 자료를 바탕으

로 제공되곤 했다.

또한 텔레비전은 몇 차례 적십자사회담에 동행하여 취재한 내용, 또는 해외동포가

취재한 내용을 구경거리수준에서 공개함으로써 남쪽의 시청자에게 호기심과 궁금증

을 자극하는 효과는 있었지만 정보를 교환하는 수준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리고 북

한으로 하여금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는 쉽사리 방송을 개방해서는 안 된다는 폐

쇄의식을 한결 강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지금까지 노력을 기울인 대북 라디오 방송은 북한으로 하여금 일부 청취자

라도 정보 습득의 수단으로 이용하거나 남쪽에서 활기 있게 활용되는 오락의 수단

으로도 이용되지 못하고 방어해야 하는 일차적 경계대상으로만 이해된 셈이다.

정보와 선전수단으로서의 대북 방송의 낭비성에 대하여 이미 80년대 초부터 의문

이 일었으며 딱딱한 이념선전보다 차라리 오락에 역점을 두자는 제의들이 있었지

만51) 그로 인하여 방송의 형태가 대폭적으로 바뀌지는 않았다.

51) 김학천, 분단국의 방송수용에 관한 고찰 , <현대사회와 커뮤니케이션이론>, 한길사, 1989,p .396.

- 58 -

Page 7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대북 방송이 그런대로 대폭적으로 변화한 시기는 2000년대에 들어와 남북정상회

담이 이루어진 뒤이다. 막연하나마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송내용 변화요구에 따라

2000년 6월 현재로 KB S는 공산주의 사상에 대한 반박논리를 개발하고 전달할 목

적으로 80년대 초에 시작된 「노동당 간부들에게」와 갈등의 역사 드라마「남북 분

단 50년사」를 폐지하고 문학성 있는 소설을 원작으로 한 「라디오극장」과 남한에

대한 정보성 프로그램인 「안녕하세요, 서울입니다」를 시작한 것이다.52) 정치색

짙은 프로그램을 포기한 것은 방송의 효과를 염두에 둔다면 너무 늦은 변화임이 분

명하다.

그러나 고급 문예물을 드라마화해서 송출하는 것은 통일 전후의 독일의 전례로

볼 때보다 생산적인 변화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조금이라도 청취자가 있다고 가정

한다면 그것이 접근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 밖의 대북, 또는 통일관련 프로그램의 변화는 각종 북한관련 소재를 다룸에 있

어 희화화, 지나친 풍자. 정치적 맞대결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방식이 거의 없어졌다

는 점이다. 그리고 지극히 피상적이고 조작의 분위기가 가시지 않은 채 일부 북한취

재 프로그램 제작이 시도되었다는 점이다.

이들 시도는 남쪽에서의 방송사들의 경쟁수준에서만 알려졌을 뿐 내용에 관한 획

기적 변화나 북쪽을 고려한 기술적 변화가 없는 가운데 시도된 것인 만큼 아직은

광고, P R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여기에서 분단시기에 활동한 독일의

DLF방송을 다시 상기할 필요가 있다. 동쪽을 향해서 뉴스와 음악만 방송한 DLF

이었지만 그 시기는 텔레비전이 거의 모든 방송영역을 장악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제는 라디오의 역할이 오히려 탄탄해진 시기이다. 게다가 북쪽과 연결이 가능한

유일한 매체인 만큼 메시지를 보내는 노력 자체는 줄일 필요가 없을 것이다.

다만 지금까지의 우리의 경험과 타 분단국의 경험을 토대로 대북 라디오 프로그

램의 원칙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이데올로기 비판과 설득은 피한다.

-북한에서 접하기 어려운 정보들을 단순하게, 반복해서 전해준다.

-다양성을 제고하고 민주주의의 생활상을 들려준다는 목표로 너무 현란하고 북

쪽의 사정과 동떨어진 내용을 과시하지 않는다.

52) 중앙일보, 2000년 7월 6일.

- 59 -

Page 7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북쪽에서 수용할 수 있는 경향과 수준의 음악을 많이 포함한다.

-국민의 정부 이후 공식적으로는 개방된 북한방송에 대한 반응을 신중하게 반영

한다. (남쪽에서도 북한방송을 어떤 형태로든 접한다는 사실을 북에 알리는 것

은 여러모로 유익하다고 생각된다. 초보적이지만 전파를 통한 대화가교를 예측

해 보는 것이다)

-문예적인 드라마도 쉽고, 이해가 빠르도록 구성하되 북과 남의 과제인 언어 문

제 등이 반영되도록 한다. (지금은 일방적 송출이지만 제기한 언어문제 등에 반

응이 온다면 연결은 아주 빨라질 것이다)

-방송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을 것이란 심증을 얻

게 한다.

지금은 통합은 고사하고 교류가 가능해지는 전망조차 하기 힘든 시점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방송이 지닌 기능 자체를 포기할 수 없는 입장이다. 여기에 목적하는 바를

앞당겨 성취할 왕도가 없는 형편이기에 대북 방송은 이제 가장 상식적이고 무리하

지 않는 방법으로 끈질기게 노력하는 방안만 있을 뿐이다.

2 ) 교류프로그램 구상

방송프로그램의 교류는 물론 방송통합이나 통일 첫 단계일 수 있다. 완벽하게 단

절된 환경에서 일방적인 대응 커뮤니케이션만 유지시키다가 어떤 형태로든 남과 북

의 호응이 있는 상태에서 만들어진 방송내용물을 우리는 교류프로그램이라 부르고

있다. 그러니까 엄밀한 의미에서 남과 북 사이에 지금까지 진행된 프로그램 양태를

종합해서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교류프로그램으로 인식하는 형태는 남과 북이 합의하여 만들되 남

이나 북에서 또는 방송하는 과정까지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는 지금까지의

교류는 지극히 일부 취재의 허용 정도라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사실상 프로그램 교류나 그것을 위한 공동제작의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남북 정상회담의 협의, 제작, 방송을 들 수 있으나 거대한 정치상황 중의 지극히 일

부였던 점을 생각하면 방송인들이 지적하는 공동작업의 시작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방송이 중심이 된 협의에 기초한 방송행위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 60 -

Page 7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텔레비전 중계가 없는 정상회담은 상상할 수가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전문학자들

은 그 드라마적인 감성중심의 전개방식과 내용을 이해하는데 별반 도움이 되지 않

는 그래픽의 이용, 그것이 정치프로그램 임에도 불구하고 북쪽의 연출의도는 전혀

짚을 수 없는 감성중심의 전달이 주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53)

이것은 곧 전체 방향을 가늠하는 프로그램의 차분한 준비결여와 방송준비보다 정

치적 과시에만 치우친 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방송인 의 입장에서는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를 바탕으로 남북한이 공감대

를 형성할 수 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다큐멘터리나 역사극 제작이 우선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54) 다만 이를 위해서는 탈 이데올로기, 민족주의, 미래지향적 실용주의

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상대방 전파가 자기 사회를 교란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감이 전제되어야

하고 일과성 이벤트에 흥분하지 말 것도 주문한다. 그러한 신뢰의 바탕 위에서 상호

협의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가장 어려운 사안이 상호협의일 것이다.

이와 같은 정치적 결정을 최종의 교류관련 결정이라고 생각하여 현재의 대북 채

널인 사회교육방송을 공산권에 사는 모든 동포(북한포함)를 포함하는 한민족의 방

송가교로써 한겨레방송으로 확대 개편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55) 그러나 이런 모

든 제안과 구상은 북한이 협의에 응하거나 그를 통하여 최소한의 영향력이라도 지

닐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최소한의 교류협의에

북한이 나설 수 있는 방송카드를 보여주는 일, 이를 준비하는 단계임을 알려 줄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는 것이다.

사실 그 방법은 방송교류의 방안인 동시에 통일 후도 장기간 유지해야 할 입장에

서는 순서를 따라 진행하되 다루는 분야는 먼저 정보성향(스포츠, 교양, 외국어, 음

악) 프로그램을 앞세우고 다음 단계는 예술적 공연물(드라마)이 되고 가장 마지막

단계로 뉴스를 들고 있긴 하다.56)

대체로 타당한 순서일 수 있으나 여기에서 반드시 고려할 사항은

53) 이재경, 남북정상회담에 TV중계가 없었다 . 《MBC가이드》, MBC 2000, 7월, p .47.54) 박동영, 〈남북정상회담 중계협상부터 방송까지〉, 《방송문화》, 2000년 7월, P .39.55) 이정춘, 〈분단국의 실패한 방송과 준비된 방송〉, 「여의도 클럽 2000년 추계포럼」2000.56) 김연진, 〈남북한 방송프로그램 교류를 위한 바람직한 프로그램 유형과 내용〉, 「여의도 클

럽 2000 추계포럼」.

- 61 -

Page 7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북한 측이 고유한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분야에는 협동작업이 어려운 것이라

는 점이다.

-남쪽에서 알게 모르게 부각시켜 온 선정성, 퇴폐성, 불륜, 사치, 소비성을 제거

하고도 흥미 있게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스포츠 등 전문영역일수록 언어문제가 대두된다는 점이다.

-프로그램과는 직접 관련이 없지만 우리의 방송구도는 모두 경쟁관계로 구성되

어 있다는 점이다.

-여러 장애사항을 극복하고 북한의 필요를 우선하는 안목을 지닐 수 있는가 하

는 점이다.

여기서 경쟁관계와 북한의 필요를 우선하는 안목이란 우리 방송사들이 지금까지

북한접근에서 보여 온 이벤트성이나 특종성격의 과시 행태를 뜻하며 북한의 필요란

그곳의 정치특권계급의 필요성이 아니라 일반대중의 기대하는 바를 뜻한다.

특히 방송사나 방송관련기관들의 경쟁적 제안과 시도는 북한으로 하여금, 또는 참

여하는 남쪽의 실무자들에게도 일의 본질을 흐리게 하고 부차적인 목적과 본래의

목표를 뒤바꿀 가능성도 예상케 하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교류프로그램, 또는 공동제작·배포 프로그램은 대체

로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남과 북이 같이 필요로 하는 것, 그 속에는 정치, 문화적 과시요소가 제일 적게

들어 있으며 마음을 트고 시청취 했을 때 빠르게 이득이 되는 것.

-교류의 업적만을 과시하는 것이 아닌 정보성, 내용이 있는 오락.

-정치성보다는 휴머니즘이 앞서는 문예, 예술작품, 또는 자연, 역사 다큐멘터리.

위 세 가지 중 첫 번째 항목은 산업, 생산 생활의 향상을 다루는 경제적, 기술적 프

로그램을 엄두에 둔 것이다. 연예인이나 명사를 위주로 한 프로그램보다 평범한 생

활인이 정보로서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형편이 어려운 북한 못지 않게 우리도

필요한 형편이 아닐까 한다.

독일은 교류의 첫 단계부터 대부분 드라마 류를 다루었다고 지적했는데 이는 양

쪽 독일이 국제적인 기준으로 부유했던 편이며 광범위한 정보는 제한 받지 않는 일

반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두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오락물을 구상하고 결정하는 일은 첫 번째 항목에 비하여 오히려 어렵

- 62 -

Page 7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다고 생각된다. 오락물에 대한 우리의 기존관념과 북한의 잣대는 현격하게 다를 것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류의 바탕이 되고 훈련이 되는 분야로 정치, 사회적인 메

시지에 비하면 훨씬 쉽고 유리할 것이다. 세 번째 자연, 예술, 과학 등은 다른 설명

이 필요치 않을 것이지만 이 항목에서는 언어의 문제가 매우 복잡하게 대두될 것이

다. 그러나 구상하고 제안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분야임에는 틀림없다.

다음에 이를 현실화시키는 방법의 과제가 있다. 이제 북한관련 프로그램을 제한하

거나. 기획하거나, 만드는데는 언어학자, 방송기술자, 연출가, 연구 또는 행정가가

필요한 시점인데 이와 같은 방송그룹을 운영할 수 있는 기관은 대체로 열 곳쯤 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네트워크 방송사가 그 절반쯤이고 나머지는 방송관련연구소, 전문인집단이

있는 것이다. 이들은 대부분 인력과 재정능력을 지녔으며 오랜 동안의 국가의 염원

에 대해서 모두 적극적이다. 그래서 실제 실행국면에 마주쳤을 때는 경쟁분위기에

휩싸이거나 시장개척의 유혹을 받게 된다. 어떤 이유에서건 아직은 정치적인 대면밖

에 할 수 없는 북한에 대해서 방송교류의 개념이 올바로 전달되고 반응시키기에는

혼란스러운 체계인 것이다.

방송교류가 일정한 수준에 오르도록 기초를 닦는 일은 위에 지적한 전문가 집단

이 한 곳에 소속되어 일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물론 적시에 낼 수 있는 보도방송까

지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정책적으로 또는 문화적으로 시도하는 교류프로그

램은 경쟁이 심한 방송사보다는 다른 곳, 이를테면 방송관련 연구소에서 다루는 방

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각 방송사는 교류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의 자율성을 갖고 있으며 이미 상당

한 경험을 지닌 통일관련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남북교류의 첫 단계는 경쟁과

홍보의 차원을 넘는 공동의 투자 영역이란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독일은 물론 이 업무에는 ARD라는 공영방송협의체를 활용하였다.

- 63 -

Page 7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3 .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문제

한국의 통일과 방송에 관한 논의는 실로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으나 이해와

설득을 위한 논의는 오히려 비정치적인 부문에서 시작하는 것이 가능성을 높일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가장 앞서는 과제가 될 수 있다.

언어의 문제는 흔히 논의되는 방송을 통한 동질성 회복의 과제 때문에도 중요하

지만 이제 언어 그 자체의 정비와 정돈을 위해서도 계기를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의 생활범위 안에서 언어는 두 가지 요인으로 변화를 겼었다.

하나는 생활환경의 변화와 복잡성 때문에 이를 설명하고 강조하거나 더욱 집중적

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바뀐 경우이고 또 하나는 더 손쉬운 설득을 위한 변모일 것

이다. 전자를 시류에 따른 일종의 패션 같은 양상이라면 후자는 비교적 정치 이데올

로기의 성취를 위한 변모일 것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이 어떤 것이었든 그 궁극적

목표는 설득이었을 것이다. 설득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최종의 목표인 태도변화

의 유일한 토대가 된다.

커뮤니케이션 태동기에 도비파트(E . Dovifa t )는 설득의 정의를 작가 그림

(Gr imm )에게서 인용하였다.57)

그림은 설득의 의미를 진실이 관철된 것 내지는 진실의 증언이 모든 의혹을 극복

해 낸 상태라고 하였다. 비단 이러한 정의가 아니더라도 매스·미디어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형편에서 언어를 통한 이해와 진실의 연결은 곧 내용의 신뢰성과 관계를

생각하게 한다.

비교하는 입장에서 동독과 서독은 언어 변동의 차이로 인하여 방송프로그램 중

정보 프로그램에서 이해가 엇갈린다는 지적이 있었다.

같은 언어를 쓴다는 사실은 사실상 정치, 경제, 문화 모든 면에 걸쳐서 동질성의

바탕이 된다는 점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때문에 한 세대 이상을 떨어져 살았다해도

재회의 시점에서는 분할된 세월을 전혀 의식하지 않은 채 대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민족과 독일에 모두 적용된다.

그러니 독일어는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같은 독일 외의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하는

57) Gr imm은 독일어 표준화에 기여한 작가이다.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E . Dovlfat는 이 정의

를 Grimms Deut sches Woet erbuch . 1897에서 인용하고 있다.

- 64 -

Page 7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언어로 국경과 문화권의 범위는 한국과는 약간 다르다.

그러나 한민족의 경우도 서로 개인적인 만남에서는 이해의 범위 안에서 공통의

개념을 활용하려고 노력할 것이지만 매스·미디어를 활용하는 경우는 더 일반화하

기 위해서 또는 설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최근에 조성된 언어나 첨예한 어휘를

사용하려들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른 바 이질감은 높아질 수 있고 매스·미디어자체의 신뢰감

도 변동될 수 있을 것이다.

남북의 언어는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서로 다른 개발의 과정을 겪었다. 어원과 문

법체계 자체가 모두 바뀌지 않아서 알아듣고 대화할 수 있는 수준에 있을 뿐 느끼

는 강도와 의도는 전혀 다를 수 있을 만큼 변화한 것이다. 또한 그와 같은 변화의

범위를 전혀 알 수 없을 만큼 단절된 채 진행되었다.

남쪽은 북쪽의 언어체계의 변화를 자세하게 파악하고 충분할 만큼의 분석은 진행

해왔다.

이제 이질적인 변화양상을 얼마큼, 어떻게 조절해서 공통의 매스·미디어 사용시

에 감정적 이질감을 줄이고 설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겠는가 하는 조절방안이 남

아 있을 뿐이다.

지금의 남북의 언어 차이는 지역마다 편재하는 사투리와는 다르다. 사투리는 이해

되는 범위 한에서 강약과 고저장단이 다르다는 정도이며 기본적인 의미해석은 같은

것이었지만 남북 언어의 차이는 오히려 표현은 쉽지만 생소한 강조방식이 가미되어

정서적인 설득이 어려운 의미변화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른바 이데올로기성 변화가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그 동안 남북언어의 이질감 문제는 방송계와 국어학계에서 비교적 빈번하게 논의

되었다. 대체로 언어가 달라진 양상과 원활한 메시지 전달이나 교환을 위하여 벌어

진 격차를 빨리 좁혀야 한다는 주장이 원론적인 차원에서 나오곤 했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는 못했다. 다만 우리의 방송, 통일정책, 언어연구기구들

은 나름대로의 접근 가능한 방법은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한국 프로듀서 연합회와 평화문제 연구소는 언어의 이질화를 극복하는데는

학술적 연구를 거쳐 공동규범을 마련하자는 주장을 했다.58)

58) 평화문제연구소·한국프로듀서연합회, 남북한 언어의 통일 , <통일·북한 핸드북>, 1996,

- 65 -

Page 7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둘째, 신문의 교열기자협회는 단체가 발행하는 <말과 글>을 통하여 이질화를 걱정

하고 우려하는 단계를 넘어서, 통일의 분위기를 살려 현재 무분별한 외래어 수입 때

문에 만신창이가 되어있는 한글을 새롭게 다듬는 기회로 이용한다는 취지를 밝히고

있다.59)

여기에서는 다른 나라들도 국어순화에는 매우 오랜 기간이 걸렸음을 지적하고 우

리도 통일 전 뿐 아니라 통일 후도 지속적으로 벌여야 할 사업임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로, 이 부문의 전문가들은 남북한 양측이 서로 상대방의 언어현실을 인정하고

이해하도록 노력하고, 언어통일이 필요할 때는 1933년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정신

으로 돌아가야 하며, 남북한 양측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지금부터라도 신조어

생산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0)

마지막으로 정부는 1996년 8월 어문규범통일을 위한 남북국어학자 회의가 중국

에서 한번 있은 후로는 이 문제에 관한 북측과의 공식협의는 없는 것으로 되어 있

다.61) 적절한 시기에 남북의 어문교류를 활성화할 의도만 있을 뿐 실제활동은 없다

는 의미이다. 또한 앞으로도 남북언어통일을 위한 사업에도 정부는 직접 나서지 않

고 민간단체가 협의의 주역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었다.

1) 협의의 범위와 성격

언어가 여타의 필수품과 다른 점은 의식을 담고, 알리고 , 다른 모든 필수품의 위

치를 각인하는 데 있을 것이다.

그래서 언젠가는 다시 하나가 되는 미래에 장애가 없고 갈등을 줄이면서 삶의 생

산성을 높이자는 의도로 남북은 협의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를 시행하는

원칙자체를 너무 융통성 없이 세운다면 국민의 안팎에 편재한 언어들은 고치는데

현실성이 부족할 수 있을 것이다. 분단 이전의 한극 맞춤법 통일안을 기준으로 삼는

방법 등이 그러하다.

p .514 .59) 한국 교열기자협회, <말과 글>, 2000 여름호, Vol . 83, p .16.60) 김상준, 통일에 대비하는 방송언어, <방송문화>, 2000 8, 한국방송협회, p .10.61) 남북정상회담 직후 문화관광부장관과 교열기자협회의 인터뷰에서 담당장관은 이렇게 말했다.

- 66 -

Page 7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연구자가 10년 전에 돌아본 만주의 조선족 마을에는 40∼50년 전에 상용하던 순

수한 우리말이 그대로 쓰이고 있는 현장을 본 일이 있다. 이들 언어 중 생활현장에

서 그대로 쓰이는 언어들은 고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물론 여러 전문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북한과 공동연구위원회를 구성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현재

로서는 실현성이 적은 만큼 남쪽만이라도 별도로 구성하여 결과를 넘겨주고 협의를

촉진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남과 북의 변한 언어를 모두 대상으로 하여 분할 전의 언어를 되찾는 일은 가히

언어 혁명에 해당하는 일로 생활감각 자체가 복잡해진 시점에서는 매우 어렵고 현

실성이 적다는 뜻이다. 다만 가능한 생활어를 통일하는 작업은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다는 말이다.

결정된 말의 쓰임새는 방송에서 비롯될 것임으로 연구와 보급의 주체는 전문한글

연구기관과 방송사가 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그와 같은 작업의 결과를 북한에

전하는 일과 그것에 귀기울이게 하는 일은 어렵고 막연하지만 시작하지 않는다면

통일에 관한 다른 사항들도 논의할 의미가 없겠기 때문이다.

요약해서 말한다면 남북한을 통틀어 활용방법과 표현양식에서 일탈해버린 우리말

을 남북한이 같이 쓴다는 전제아래 아주 기본적이고 쉬운 용어부터 바로 잡는 작업

을 시작한다는 의미가 된다.

2 ) 남과 북의 작업 사례

이미 일탈한 언어의 개선과 수정은 남의 분야부터 지적하거나 반드시 같이 고쳐

야 한다고 상호주의를 주장한다면 그것은 언어순화보다는 정치논쟁으로 변하기 쉬

울 것이다. 더구나 현재의 남쪽의 우리 형편은 매스·미디어를 통해서 제 뜻을 잃어

버리거나 순화된 표기방식을 포기해버린 말들이 양산되고 있는 시점이다.

불필요하거나 왜곡된 외래어의 사용이 대표적이다. 또한 습관화했다는 이유 외에

는 딴 구실을 찾기 어려운 한문 표현도 늘 스스로 지적하는 부분이다.

이들 셀 수 없는 많은 용어들 중 북한과 같이 사용하는 용어를 순위별로 우리가

먼저 고치는 의사를 표명하는 방법이 있다. 누구에게 표명하는가, 무조건 북쪽을 향

하여 개정을 통고하는가, 그럴 필요는 없을 것이다. 북한이 귀담아 듣도록 종용하는

- 67 -

Page 8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일을 포기할 필요는 없지만 우리 내부의 토론부터 시작해도 좋을 것이다.

이를테면 이산가족과 흩어진 가족의 표현이 그러하다. 이처럼 굳이 고집할 이

유가 없는 한문용어, 즉 양쪽에서 들으면 즉시 이해가 가능하고 특별한 감정을 유발

하지 않는 한문용어와 외래어 표시는 바꾸는 시도를 해 볼만하다는 뜻이다. 여기에

는 정보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스포츠, 레저산업부문의 용어들이 첨가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북쪽에 대해서도 변경하거나 바꿀 수 있는 언어를 제시해 주고 그

이유와 의미에 대해서도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직도 쓰고 있는 냉전시대의

이데올로기성이 강한 언어가 우선할 것인데, 이를테면 원쑤나 놈과 같은 용어들이

다.

상대방이 그 언어를 얼마나 중시하는가 또는 사회이념의 무게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고려할 때 전혀 개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다고 염려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언젠가는 통일해서 쓸 용어에 대한 연구와 전망제공을 먼저 하는 것뿐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뜻으로 전달한다 하더라도 스스로의 위치와 이

념을 포함하는 상징어들은 고치려 들지 않을 것이다.

이를테면 인민이나 국민과 같은 용어들이다. 실제로 평양의 사회과학 출판사가

펴냈다는 <조선말대사전>에는 북에서 빈번하게 쓰는 용어로 인민을 들고 있다.62)

그에 비하여 남쪽에서는 사람이란 말을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용어는

억지로 고치도록 강요할 필요 없이 중간개념의 용어가 쓰여지지 않는다면 미루어

놓고 자연스런 변화를 기다릴 수 있다.

그보다는 감정순화에 역행하는 이념어와 상업주의가 동원된 남쪽의 어설픈 외래

어를 고치는 일을 우선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는 뜻이다.

3 ) 수정언어의 반영과 교류프로그램의 시작

남과 북은 자기 영역에서 충분하게 활용한 뒤에 교류를 하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고 처음부터 남과 북의 시청자를 의식하면서 동시에 만드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업적인 교류로 이루어지던가 문화적인 교환의 의미를 지던가 여하튼

62) <중앙일보>, 2000년 11월 3일자.

- 68 -

Page 8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교류를 먼저 의식하고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은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다.

이런 경우에 통일 직후 독일의 방침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ARD편성국장의 문

예물 드라마와 다큐멘터리의 제작교환 장려가 그것이다. 비용을 해결하고 얼마간의

이익을 남기는 전제로 공동제작을 기획하되 여기에 초보적인 언어정비의 실험을 곁

들인다는 계획을 반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작품 속에서는 지금까지 써

오던 언어 체계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작품구성 성분으로 남기는 방법이 있다. 그것

은 남북 양쪽이 수긍하는 객관적 해설용어를 따로 사용하면서 고쳐야 할 이질적 언

어들을 일단 돌출시키는 방법이다.

어려운 작업의 접근방법으로 마음을 열고 언어를 넓게 활용하는 방법이 되는 것

이다. 언어를 바꾸고 개선하려는 최종의 종착점은 어차피 일반 시청자가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내용이 중도적이고 객관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지식정보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보도와 지식정보 프로그램의 차이를 명백하게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장차의

삶을 가늠하는데 도움이 되는 남과 북의 과학, 예술, 체육 등의 현장을 전해주는 프

로그램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최초로 시도한 백두산과 지리산의 멋진 모습 전달도 의미가 있겠지만 그보다는

가까운 생활용어-그것도 아주 생소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내용전달에 문제가 되는

영역을 찾아서 프로그램을 구성하되 거기에서 야기되는 언어의 문제를 부수적으로

논의하면서 진행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다시 지적하거니와 지식정보 프로그램이란 남과 북이 서로의 수준을 과시하려는

기획이 아니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라도 언젠가는 협동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부문

부터 접근하는 방식이 되는 것이다. 금강산 관광의 개방과정, 협의과정 등이 돈거래

상황을 제외하고 프로그램으로 엮어지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 69 -

Page 8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Ⅳ . 결론 : 새로운 편성경향과 통합과제

1. 교류 프로그램의 시안

이 연구는 북한과의 통일을 예상하면서 공동시청 프로그램의 구성을 예측해보는

것이었다. 우리와는 문화적 정치적 배경과 토대는 다르지만 이념을 구실로 하여 지

역을 분할하고 한 세대 이상을 살아 온 독일의 전례가 있어 방송운용을 통한 공통

의 과제와 해결방안을 찾고 비교하는 일 또한 과제의 하나였다.

그러나 통일을 예상한다고 하더라도 방송프로그램이 지금까지의 경험체계와는 전

혀 다른 형태를 고안할 수는 없는 일이다. 모든 형식과 내용은 거의 빠짐없이 개발

하고 보급해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지금까지 만들고 보급해온 방송프로그램의 양상을 참고하

고 견주어서 남북의 최대한의 공통요인을 찾아내는 작업이 되는 것이다. 북한의 프

로그램은 많은 양은 아니지만 두 가지 경로를 거쳐 남쪽에 전달되었다.

하나는 국내의 큰 방송사인 KB S . MB C , 또는 E B S를 통하여 발췌되고 선정된

프로그램이지만 정기적으로 방송이 된 것이고, 또 하나는 최근에 북으로부터 수입하

여 방송한 일련의 영화들, 안중근, 임꺽정, 홍길동 등이 그것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매스·미디어 개발의 초기 단계에 있을 법한 신기효과(n ovelt y

effect )는 얻은 수 있었으나 보편적 요구에 따른 정보성이나 흥미를 나아내지는 못

했다. 그러나 방송을 교류하거나 통일 후에 어떤 방식으로 공통의 요인을 찾을 것인

가 하는 의문에는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홍보와 조작

에 치우친 방송이 새로운 시청자, 더구나 대립하는 입장의 시청자에게 얼마나 감동

을 주거나 감상의 자료로 기능을 갖겠는가 히는 점이다.

이 점은 우리가 북한프로그램을 볼 때와 기회가 닿아서 남쪽의 프로그램을 북한

에서 볼 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모처럼 북에서 수입하여 남쪽에서 전파를 통하여 전달된 몇 가지 영화들도 이 범

주를 벗어나지 않았다.

- 70 -

Page 8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남북 정상회담 이후의 하나의 공동제작, 역시 한두 번의 상대방 취재방송 역시 방

송으로 독립적 기능을 염두에 둔 프로그램으로는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의 순수 교류프로그램으로는 보기 어렵다. 그러한 프로그램 속에는 신뢰하

고 노출시키는 사람과 자연의 모습이 담기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형태로든 프로그램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한국의 방송자세에도 변화가 필

요하다는 생각이다. 비록 일회성 교류를 전제로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더라도 원래 남

쪽의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교류 프로그램과는 전혀 다르다는 인식은 방송에 대한

흥미도 반감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지나친 기대가 될지 모르지만 이 기회에 우리 프

로그램의 반성적인 취약점을 보완, 개선할 기회도 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프로그

램을 통한 남북소통을 위해서는 몇 가지 큰 전제를 생각할 수 있다.

- 어느 정도 목표를 설정한 공공성, 공익성 회복

- 대상에 따라 필요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정보성, 교육성 회복,

- 수준별 영역별 특성화를 전제로 한 오락물의 변화,

- 방송의 지역화, 지방화,

위에 적은 사항들은 물론 포괄적이고 단시일 내에 개선을 완료하기는 어려운 것들

이지만 남과 북 어느 것을 위해서나 필요한 사항임에는 틀림없다. 이를 기반으로 하

여 몇 가지 교류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제안할 수 있다.

1) 우리말 바로잡기 프로그램

처음으로 시도한 초보적인 남북 공동작업에서 방송용어의 차이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실례가 나타났다.63) 북한에는 카메라를 움직이는 기본용어들이 모두 우리말로

되어 있어서 제작자는 각각 그 중의 언어구사를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98년 9월부터 외국의 지명을 모두 현지어로 부르기로 했기 때문에64 ) 그 표

현법을 사전에 조율하지 않으면 우스꽝스런 프로그램이 되기 쉬운 것이다.

언어통일을 위한 프로그램은 정치성이 적은데다 생활, 문화, 사회가 단계적으로

표시되는 장점이 있어 공동작업으로 접근하기에 적절하며 또 필수적이라고 생각된

63) 박동영, 중계협상부터 방송까지 , 《방송문화》, 2000, 7 . p .38.64) 연합연감, 북한현황, 1999.

- 71 -

Page 8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다. 우리 방송사가 구성하고 있는 남북협력교류위원회 속에 우리말 분과를 설치 또

는 확대하고 치밀한 기획 하에 북한에 제의해 볼만한 분야인 것이다.

시리즈로 구성될 경우에 생활용어, 전문어, 연구발표회, 현장구성 등 다양하고 흥

미도 있는 구성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 산업, 경제, 교육프로그램

인력양성에서 취업에 이르기까지 양성과 배출, 그리고 산업현장에 이르기까지 남

과 북 어디에서나 필요한 삶의 기본정보가 담기는 프로그램이다. 언젠가 통일이 될

때를 예상할 수도 있고 또는 현재의 위치에서 기본적인 생활경제정보를 교환하여

생활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뚜렷하게 부각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미 지금도 협의는 막후에서 하고 실제 거래가 진행되는 과정이나 끝난 후에 공

개가 되는 경제생활들이 서로 아쉬운 부분을 짚어가며 프로그램에 담는 형식이다.

산업과 인력양성에 관한 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남쪽이 크게 앞서가고 있지만 자원

의 활용이나 숨겨진 부분의 북쪽생활과 평형되게 다룬다는 전제가 가능하다면 지금

으로서는 가장 필요한 정보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호간에 과시적인 측면이 아니라 부족하고 갈등을 겪는 분야부터 내용선정을 하

는 이유는 물론 북쪽이 공개를 꺼리는 성향 때문이다. 경원선 기차길을 복원하는 과

정을 담으면서 그에 따르는 산업측면을 다루어 포함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3 ) 자연, 과학 다큐멘터리

이 분야는 역사, 문화분야보다 덜 정치적이다. 그래서 산업정보 프로그램 다음으

로 시도할만한 분야가 된다. 2000년 정상회담이 끝난 후 한국교육방송공사가 기증

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비록 해설과 장면은 다시 손질이 되었다지만 북한에서

방송이 된 것은 이 분야의 진전 가능성을 보인 것이기도 하다.

통일 후 이미 10년이 지났지만 독일은 좀체 가까워지지 않은 동서의 정서를 공영

방송이 주도하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접근시키고 있는 사례는 매우 중요하게

보인다.

- 72 -

Page 8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4 ) 픽션의 공동제작

통일 후 독일의 동부지역은 새로운 통일 프로그램에 불만을 표시하고 구동독 시

절에 만든 드라마 류를 방송한 것으로 유명하다.

실제로 서독 쪽의 방송당국도 동부지역의 정서적, 감정적 단절을 최소화하기 위

하여 구시대 작품을 권장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 장르는 통일 전부터 공동제작과 방

송을 시행했음에도 그런 현상을 나타내었다. 북한의 경우는 특히 공연 예술 분야에

서 자신을 나타내고 있는 편이다.

이와 같이 자신 있는 부문을 부추겨 주고 영상 또는 라디오를 통하여 남쪽에 전달

되는 상황을 북에도 알리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남과 북에서 공동으로 공개한다는

일은 상당부분 북에 알리는 쪽에 비중을 둘 것이기 때문이다. 상호 구매를 통하여

교환될 형편이 아니기 때문에 상호공개로 얻을 수 있는 홍보성 이익을 보장해 주는

방법이 될 것이다.

2 . 통합 프로그램에 관한 제안

통일 후 한반도를 통합하여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시점

에서 프로그램의 구체적 성격을 제한하는 것은 적절치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윤곽을 구체화해놓지 못하면 언제 올지 모를 프로그램의 공동사용 시

기에 맞추지 못할뿐더러 다른 분야의 동질성 추구에도 커다란 장애가 될 것은 분명

한 것이다.

여기에서 다시 한번 간추릴 사항은 독일이 통일 전 30년에 가까운 방송전파 유입

이 있었음에도 상호간에 목표로 삼고 있던 방송의 역할은 상당히 빗나간 결과를 낳

았다는 점이다.

이차대전이 끝나고 과거를 거울삼아 정부와 상업자본으로부터 독립된 방송을 제

일의 목표로 삼던 독일은 구동독을 향해서 의회주의, 즉 민주주의의 살아있는 현장

을 확인시키고자 했고 동독은 공산주의에서 얻을 수 없는 활기 있는 생활정보와 오

- 73 -

Page 8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락을 얻으려 했다.

그러나 서독의 방송이 동독을 휩쓸던 시기가 지나면서 그 방송을 통하여 동독국

민의 뇌리에 남은 서독의 상은 냉혹한 경쟁사회, 황금만능사회, 소비공포의 사회,

배타적 사회 등의 자본주의 취약점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후에도 건강, 교육, 여가, 취업, 사회정의, 범죄에 대처기능

등에 대해서 한껏 불만이 고조된 감정을 나타내는 사회가 되었다. 그 책임을 모두

방송이 지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방송에 기대했던 균형과 조정, 그리고 촉진기능

에 대해서도 매우 불만을 표시하는 형편이 된 것이다. 이것은 동과 서의 기대의 차

이 때문이기도 하지만 여하튼 방송을 통하여 이룩하려던 주된 목적은 실패한 셈이

기도 하다. 그것은 어쩌면 방송프로그램의 일방적 흐름에 의지해서 국가 전체의 생

산적 문화통합이나 동질성 회복에는 등한했던 까닭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10년 후인 지금도 방송사와 전문연구자들은 공영과 민영채널 모두를 대상

으로 소홀했던 공공성 증진과 공익성, 공정성 강화에 새로운 노력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 공정성이란 정치권력과 관련된 공정성이 아니라 통합된 지역과 종합한 지역

의 현실과 시급성을 알리는 태도를 말한다. 즉 동과 서의 시급성과 현실이 프로그램

안에 균형 있게 반영되는가 하는 공정성을 뜻한다. 이 부분에서 동독 쪽은 본질적인

의심을 하고 있으며 그 불신 자세는 여타 정서적 동질성 회복의 해로운 장벽으로

등장한 것이다.

독일의 그와 같은 통일 전 후의 방송현상은 비록 역사와 사회배경이 다소 다르긴

하지만 참고 선례는 될 수 있는 것이다.

한반도를 국가적인 견지에서 통일된 방송영역으로 볼 때 최종적인 설득 메시지인

프로그램 정책은 두 가지 관점에서 예측하고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1) 정책적 관점

방송을 통한 교류와 의사소통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한국의 방송인들은 세 가지

결론을 내고 있다.65) 즉 남한의 방송은 북한의 방송에 대해 지배적인 입장에 서지

65) 여의도 클럽, <남북한 방송프로그램 교류의 방향성 정립>, 여의도 클럽 추계포럼 , 2000년11월.

- 74 -

Page 8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말아야 할 것, 과 북한이 방송의 보고라는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 또

한 통일을 이끌어내기 위한 긍정적 방향의 프로그램 개발 등이다.

이것은 바꾸어 표현한다면 교류 협의기구를 통하여 남과 북의 입장과 필요성이

충분히 반영되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뜻하는 것이며, 북한을 단순한 방송시장으로만

인식하고 유입을 서둘러서는 안 된다는 표현일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들을 실제 프로그램 정책에 적용한다면 우리의 방송현상 입장에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바,

-공공성과 상업성의 균형 조정, 오락물의 개선.

-방송의 지방화, 특히 북한지역의 방송성향의 유지기간 및 변화의 단계, 방법 등

의 설정.

-북한 방송편성 중 전국적으로 인정받을만한 분야의 분석 및 권장.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전문 방송인들 스스로 지적한 북한을 방송의 보고로만

이용하는 시장경쟁 통제개념은 참으로 중요한 시사점이 될 것이다. 실제 중견간부

인 방송전문인들은 방송에 대한 의식과 경제사정 모두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북쪽을

향하여 방송사의 자율경쟁과 능력에 따른 개척이라는 미명하에 벌일 수 있는 선점

경쟁을 경계하고 있지만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뚜렷한 장치와 치밀한 협의가 필

요하기 때문이다.

2 ) 프로그램의 관점

채널정책 또는 편성정책과 실제 프로그램 구성원칙은 모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

어 엄격한 구분이 어렵기는 하다. 그러나 남과 북의 현재의 프로그램 현실을 참고하

면 오랜 기간 거부감으로 일관하지 않을 프로그램 성향을 예측할 수는 있는 것이다.

독일은 통일 후 거부감을 줄이고 프로그램으로 동쪽을 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문예드라마와 다큐멘터리, 그리고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을 강화했다.

그 중에서도 어린이·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은 공영과 민영 모두가 특성에 관계없

이 일정량을 편성하고 보급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통일 전 서독 프로그램에 오랫

동안 접해 온 청소년 세대에게 누적된 방송효과에 대한 인정이기도 하다. 이런 점을

참작한다면,

- 75 -

Page 8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첫째 오락의 변화에 관한 편성상의 전망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전체

편성량의 3분의 2가량을 점하고 있는 각 채널의 오락물 중 일부를 거부감 없이 즐

기고 생산적인 감상이 이루어지도록 예술수준의 픽션과 다큐멘터리로 보충하는 방

법이 될 것이다.66) 다양성과 장르의 균형을 강조하면서 공익적이거나 공공적인 프

로그램의 강화만을 주장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지만 서구의 편성 예에서 실질적 오

락물은 20∼30%에 달하고 우리가 이해하는 넓은 의미의 오락물 속에 경계가 모호

한 교양물이 포함되는 방법을 참작할 만하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해서 매스·미디어

의 문화기능에 대한 교육적 설명이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른 바 미디어교육이 그것이다. 이런 시도와 성향은 북쪽뿐 아니라 남쪽에서도

그대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오락물의 품질개선을 들 수 있다. 오락물 품질개선이란 간단한 표현이지만

그 안에는 지나친 상업주의, 과소비, 선정주의에 대한 경계와 한정되어 독점에 가까

운 네트워크 사이의 과도한 경쟁지양 등 자본주의 체계가 지닌 대부분의 방송병폐

를 감소시킨다는 뜻이 들어 있다.

통일이 되고 희미하게나마 북쪽이 시장으로 떠오른다해도 어느 자본주의 국가에

도 그렇게 많이 편성된 일이 없는 10대 쇼, 코미디, 연예계소식, 트렌디 드라마, 불

륜드라마, 폭력드라마를 그대로 보급시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점은 연구

의 서두부터 지적한 바 현재의 시점에서 한반도 전체 방송의 프로그램 위상 정립이

라는 시도로서도 의미를 지니게 된다.

다만 과도한 상업주의의 통제라 하더라도 방송의 상업성을 모두 배제한다는 뜻은

아니다. 상업정보, 즉 광고의 타당성과 필요성은 별도로 교육할 수 있는 계획을 지

녀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진보된 미디어교육으로서 광고개념과 방법의 보급은 북

쪽에 대해서는 일반 프로그램만큼이나 중요한 항목이 될 것이다.

세 번째는 정치교육, 여론교육, 보도물의 실체를 협의하고 , 실험하고, 안정시키

는 일이 될 것이다.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사를 소통하고 여론을 형성하고 이를 사회

에 확인시키는 일을 매스·미디어의 감시기능, 또는 의견형성기능이라고 한다.

66) 우리 나라의 각 채널 편성은 (KBS 1, EBS 제외)대부분 60%내외의 오락물을 편성한다.서구(독일)의 경우 그 중의 절반, 즉 30% 정도가 이른 바 예술적 픽션물과 다큐멘터리,청소년물이 차지하는 편성이다.

- 76 -

Page 8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우리의 텔레비전은 전통적으로 이 기능에 취약했다. 독일은 이미 70년대부터 프

로그램이 동독지역을 장악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대치하고 있는 지역으로 보내는 메

시지의 의미를 의회주의, 민주주의를 보여주는 일로 설정했다. 또한 반드시 동독을

위한 조치는 아니지만 서독은 전통적인 편성인 토론위주의 방송을 계속했다. 이를

통하여 서독의 민주적 실체는 파악했지만 통일을 전후하여 동독의 산업경제, 실업문

제, 교육 및 자존심 유지문제 등에 가려서 정치적 민주주의 메시지는 매몰되었을 뿐

이다.

공산주의 시절의 동독방송의 보도신뢰성은 물론 취약하게 인식했지만 서독의 보

도에 대해서도 높은 신뢰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통일 후는 동독의 거주하는 시

청자들은 독일 전역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출연자, 현장, 주제의 빈도를 헤아리

기 시작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보도의 공정성을 가늠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공감하는 보도프로그램이란 거의 영원한 숙

제일 수도 있는 것이다. 텔레비전을 통한 저널리즘의 확립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각각의 위치에서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는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교류협력기구를 통

하여 교차취재를 의논하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저널리즘에 대하여 아주 초보적인 논

의부터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진실보도의 의미와 이해득실을 새

롭게 논의해보는 단계를 거치자는 의미이다.

위에 제시한 프로그램이 반영되는 편성안은 결국 단계별로 여러 개가 형성된다고

예측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특히 위성방송이 실현되어 거대한 예

산이 필요한 송신과제를 극복하고 전파가 수용될 수 있는 기술체계를 구상하고, 출

발 시부터 남과 북을 관통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심사 숙고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우선 북한에서도 수신되는 방송체계가 교류의 통합의 첫걸음이란 뜻이다.

- 77 -

Page 9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Abst ract

A St u dy on Kor ea Reu n ifica t ion B r oa dca st in g Sy st em

- 78 -

Page 91: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참 고 문 헌

신문 및 간행물

말과글편집부, 이질화된 남북의 말글 , <말과 글>, 2000 여름호.

이재경, 남북 정상회담에 TV중계가 없었다 , <MB C 가이드>, 2000년 7월.

박동영, 남북 정상회담 중계현장에서 방송까지 , <방송문화>, 2000년 7월.

김상준, 통일에 대비하는 방송언어 , <방송문화>, 2000년 8월.

중앙일보사, 대북방송의 변화 , <중앙일보>, 2000년 7월 6일.

- - - - - - - - - - , 남북에서 쓰이는 말 , <중앙일보>, 2000년 11월 3일.

한겨레신문사, 소외로 얼룩진 남북의 말글 , <한겨레 2 1>, 2000년 여름호.

보고서 및 논문

김연진, 남북한 방송프로그램 교류를 위한 바람직한 프로그램유형과 내용 , 여의도

클럽 2000 추계포럼, 2000년 9월.

김학천, 분단국의 방송수용에 관한 고찰 ,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한길사, 1989 .

- - - - - - , 청소년 프로그램 편성 , <청소년 TV 시청형태 조사연구 종합보고서>, 방

송위원회, 1997 .

문화방송, <남북방송교류의 전망과 통일방송의 기능>, 1996 .

- - - - - - - - , <분단국 통합과 방송>, 1997 .

방송문화진흥회, <방송문화 총람>, 1999 .

방송위원회, <94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분석 보고서 Ⅱ>, 1995.

연합통신, <연합연감>, 1999 .

이정춘, 분단국의 실패한 방송과 준비된 방송 , 여의도 클럽 2000 추계포럼발표

문, 2000년 9월.

KB S , <KB S 연지>, 1987 .

- 79 -

Page 92: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통신개발연구원, <남북통일 대비한 방송정책 기본방향에 관한 연구>, 1992 .

평화문제연구소/ 한국프로듀서연합회, 남북언어의 통일 , <통일·북한 핸드북>,

1996 .

한국방송개발원, <한국방송의 품격과 정체성의 현주소>, 한국방송개발원토론회 보고

서 98- 02 , 1998 .

독일 신문 및 간행물

Adolf Gr imme In st it u t , J ah r bu ch F er n seh , 2000 .

ARD, Fu n k k or r espon den z 48 , 1999 .

ARD, J ah r bu ch , 1999 .

Der Spiegel , Die wied er ver ein igt en Deu t sch en 2 , Okt , 2000 , Nr 40 .

- - - - - - - - - - - - , 1985 , 39J g .

Die Zeit , Wie st eh t ' s mit d en Sch lagloech er n ? , Wieder ver ein igu n g , 28 ,

Sep , 2000 .

Fr a n k fu r t er Allgemein e Zeit u n g , St r eit u eber die E in h eit geh t weit er ,

30 , Sep , 2000 .

Ha n s- Br edow In st it u t , Ru n dfu n k u n d F er n seh , 1994 , Hf 42 .

Media P er spekt iven , 3, 1990 .

- - - - - - - - - - - - - - - , 1999 .

ORB , P r ogr am plan , Ok t , 1999 .

독일 보고서 및 논문

Ar t u r Wa n dk e , Zu r M edien ordn u ng n ach d er W en d e bis zu r st aat lich en

E in h eit Deu t sch lan d s , B er lin , ZUM 12/ 1993 .

Ast r ed Seger t , Zwisch en Wen d e u n d En de des DF F , Mediu m 23 ,

1993 .

- 80 -

Page 93: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B eat e Sch n eider , Ma ssen medien im P r ozess Der deu t sch en

Ver ein igu n g , M edieng esch icht e d er B u n d esd eu t sch lan d , Koeln ,

1999 .

Dit r ich Sch war zk opf / Diet er St ole , 통일과 방송임무 , <통일전후 독일방송자

료집>, MB C , 1996 .

Ger h a r d Wet t ig , Der Kam p f u m die fr eie N ach richt , B er lin , 1977 .

Ha n s- Br edow In st it u t , In t ern at ion ales Han db u ch fu er Hoefu n k u n d

Fern seh , Ha mbu r g , 2000/ 200 1.

Her m an n Meyn , Ma ssen m edien in Deu t sch lan d , UV K M ed ien , 1999 .

H . Pr ak k e , Kom m u n ik at ion d er Gesellsch aft Mu en st er , 1968 .

In ge Gr a essle , Der Eu r op aeisch e Fern seh , Ku lt u r Kan al A rt e , 신창섭

역, <유럽문화채널 아르테 TV>, 한울, 1995

Kn u t Hick et h ier , Da s Zer sch lagen der Ein r ich t u n g , M au er sh ow ,

B er lin , 1992 .

Mon ik a Lin dgen s & Su san n e Mah le , "Vom Medien boom zu r

Medien bar r ier e ," R u n d fu n k u n d Fern seh e , H·B· In st it u t ,

1994 .

Nober t Lin k e , "Die Rezept ion der P r ogr amm e von ARD u n d ZDF in

d er DDR a ls Gegen st a n d d er SE D- Kommu n ik a t ion spolit ik ,"

Pubu liz ist ik , 1987 , 32J g .

P et er Lu des , "Die Rolle des F er n seh en s bei der r evolu t ion a er en Wen de

in der DDR ," Pub liz ist ik , 199 1.

Rolan d Tick y & Sylbia Diet l , "Deu sch lan d ein ig Ru n dfu n klan d ?"

M u en ch en , 2000 .

Ru d olf Mu eh lfen zl , A u ft rag u n d W irk en d er "E in r icht u ng , " Seou l , 1997 .

SF B , R u n d fu n k im Um bru ch , S FB W erk st at t Heft , B er lin , 199 1.

Tibor Klim en t , "F er n seh n u t zu n g in Ost deu t sch lan d u n d da s von der

B u n d es- Repu blik ," R u n dfu n k u n d Fern seh , Hambu r g , 1994 .

Wer n er Fr u eh & Uwe Ha sebr in k , Ost d eut sch lan d im Fern seh en ,

- 81 -

Page 94: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Kopa ed , 1000 .

Wiebk e Moeh r in g , "Die En t wick lu n g der Lok alber ich t er st a t t u n g in den

n eu en La en der n ," M assen m ed ien u n d Zeit g esch icht e , Koeln ,

1999 .

- 82 -

Page 95: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A b s t r a c t

Th e St u dy of B r oa dca st in g Sy st em a n d

Ma n a gem en t for t h e Age of R eu n ifica t ion of

Kor ea :

A Com p a r i son wit h Ger m a n y in P r ogr a m

Con t en t a n d F or m a t for Cu lt u r a l

Con v er gen ce

1 . P u r p o s e of S t u d y

T h e s t u d y s t a r t s on a qu e s t i on of h ow N or t h Kor e a n w h o

n ev er w a t ch e d S ou t h Kor e a n p r ogr a m s u n d e r s t a n d s t h e

p r ogr a m s a ft e r u n i fy in g N or t h a n d S ou t h K or e a . Al t h ou gh

W e s t G er m a n b r oa d ca s t in g d om i n a n t ly w a s s er v i ce d i n E a s t

G er m a n y ov er 2 0 y e a r s , a n ev a lu a t i on of E a s t G er m a n t o t h e

W e s t G e r m a n s oci e t y m e a s u r e d a t p os t - u n i fi ca t i on w a s n e ga t iv e

. W e s t G er m a n y h a d t r i e d t o s p r e a d t h e s p r i t e of d e m ocr a cy

a n d ca p i t a l i sm t h r ou gh b r oa d ca s t in g t a r ge t i n g E a s t G e r m a n .

H ow ev er , a p e r ce p t i on of E a s t G e r m a n t o W e s t G e r m a n y

id e n t i fi e d a ft e r u n i fi ca t ion i n d i ca t e s n e ga t iv e a s p e ct s of

ca p i t a l i sm s u ch a s a s oci e t y of cr u e l com p e t i t i on a n d e x ce s s iv e

con su m p t i on , a n d a s oci e t y of coe x i s t i n g v i ol e n ce a n d

u n s t a b l e n e s s . N o e v i d e n ce e x p l a in s a d ir e ct r e l a t i on sh i p

b et w e e n t h e n e g a t iv e p er ce p t i on s a n d t h e r ol e of W e s t G e r m a n

b r oa d ca s t i n g . H ow e v e r , w e ca n con clu d e t h a t W e s t G er m a n

- 83 -

Page 96: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b r oa d ca s t i n g fa il e d t o con t r ib u t e r e d u cin g t h e n e g a t iv e

p e r ce p t i on s . Al t h ou gh G er m a n y a ch i e v e d u n ifi ca t i on in e con om y

a n d s oci a l s t r u ct u r e , t h e y h a v e t o fin d a s olu t i on t o r e cov e r a

n a t i on a l id e n t i fi ca t ion i n cu l t u r e a n d em ot i on .

T h e s t u d y a n a ly z e s t h e ca s e of G e r m a n u n ifi ca t i on focu s i n g on

a r ol e of W e s t G e r m a n b r oa d ca s t i n g , a n d su g ge s t s s om e

con s i d e r a t i on s for p r e p a r i n g a ct u a l e x ch a n ge of b r oa d ca s t i n g

b et w e e n S ou t h a n d N or t h Kor e a .

2 . M a i n C on t e n t of t h e S t u d y

1) C h a n n el P ol icy a ft e r G e r m a n U n ifi ca t i on

Aft e r G er m a n U n ifi ca t i on , G e r m a n y k e e p s a ce n t r a l r ol e of

p u b l i c t e r r i t or ia l b r oa d ca s t i n g w i t h b u i l d i n g n e w ch a n n e l s of

ch i l d r e n a n d d ocu m e n t a r y a s cu l t u r a l com p l e m e n t d u e t o a n

em e r g e n ce of n e w p r iv a t e b r oa d ca s t i n g com p a n i e s t h r ou gh ca b l e

a n d s a t e l l i t e . I n a d d i t i on , G er m a n y a s s i gn s t h r e e ch a n n e l s i n

A R D n ot i n clu d i n g b a s i c ch a n n el for l oca l in for m a t i on ch a n n e l s

a n d u s e s a p u b l i c ch a n n el b u i l t i n E a s t G er m a n t e r r i t or y for a

d i s t r ib u t i on w a y of p r ogr a m s a p p e a l i n g t o l oca l em ot i on a s w e l l

a s n a t i on a l n e e d .

2 ) G e r m a n P r ogr a m m i n g P ol i cy

I n a d u a l sy s t e m con s i s t i n g of p u b l i c a n d p r iv a t e

b r oa d ca s t i n g , G er m a n y t r ie s t o k e e p a ge n r e b a l a n ce t h r ou gh

m a i n t a i n i n g p r ogr a m m in g b a l a n ce su ch a s a p r ogr a m m i n g

gu i d e l i n e of 4 0 % of i n for m a t i on , 30 % of cu l t u r e a n d e d u ca t i on ,

a n d 30 % of e n t e r t a i n m e n t . E n t e r t a i n m e n t ch a n n e l i s

r e com m e n d e d t o k e e p l e s s 50 % of p r ogr a m m in g i n t h e on e g e n r e

t o m a i n t a i n a s p i r it of p r ogr a m m in g b a l a n ce p ol icy .

- 84 -

Page 97: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3 ) O t h e r P ol icy t o R e cov e r N a t i on a l Id e n t i fi ca t i on

G e r m a n b r oa d ca s t i n g h a s fa ce d s om e h a r d cr i t i ci sm s r a i s e d b y

E a s t G e r m a n i n t h a t W e s t G e r m a n b r oa d ca s t i n g s h ow e d

u n fa i r n e s s i n fr om u n ifica t i on p ol i cy t o p r ogr a m con t e n t . T o

u n d e r s t a n d p r ob l em s a n d t o b u i l d s olu t i on s , H a n s- B r e d ow

in s t i t u t ion a n d s ch ol a r s of E a s t a n d W e s t G e r m a n y con d u ct e d a

p r oj e ct t o a n a ly z e a l l p r ogr a m s t e l e v i s e d in E a s t G er m a n

t er r i t or y . B a s e d on t h e r e s u l t of t h e a n a ly s i s , t h e y s u gg e s t e d a

p l a n t o s olv e s t r u ct u r a l u n fa i r n e s s a n d E a s t G er m a n ' s

d i s con t e n t . T h e s t u d y p r e s e n t s a p a r t of r e s u l t s of t h e p r oj e ct .

3 . R e s u l t s of t h e S t u d y

T h e s t u d y p r e s e n t s a b r oa d ca s t i n g p ol i cy a n d d ir e ct i on of

p r ogr a m m i n g for p o s t - u n i fi ca t ion of Kor e a b a s e d on r ev ie w of

G er m a n ch a n n el a n d p r ogr a m m i n g p ol i ci e s a n d p ol i cy t o r e cov e r

n a t i on a l id e n t i fi ca t ion a ft e r u n i fy i n g W e s t a n d E a s t G er m a n y .

T h e s t u d y d e s cr ib e s s i t u a t i on a l d i ffe r e n ce s b e t w e e n Kor e a a n d

G er m a n y su ch a s t h e d e gr e e of ca p i t a l i z a t i on of b r oa d ca s t i n g

a n d t h e d e gr e e of e m ot i on a l a n d cu l t u r a l d i ffe r e n ce . T h e

d iffe r e n ce s i n d i ca t e s t h a t w e h a v e t o ca r efu l ly p r e p a r e a

com p r e h e n s iv e p l a n i n clu d i n g m or e v a r i a b l e s i n t h a t u n i fi ca t i on

i s u n a v oi d a b l e a n d u n e x p e ct a b l e s t r u ct u r a l r ev olu t i on i n Kor e a n

s oci e t y . C on s i d er i n g t h e d i ffe r e n ce s , w e ca n e x p e ct t h a t

w e w il l fa ce m u ch m or e r e s i s t a n ce fr om N or t h Kor e a n or i e n t e d

in t h e i r com m u n i s m cu l t u r e , i f w e fa i l t o m a k e u n iv e r s a l

b a l a n ce i n p r ogr a m m i n g . A u n iv er s a l b a l a n ce m e a n s a b a l a n ce d

s t a t e i n t h e fu n ct i on s of l e i s u r e , i n for m a t i on , a n d cr it ici sm .

T h e u n iv e r s a l b a l a n ce w a s fou n d i n t h e ca s e of G er m a n y ,

h ow ev e r , K or e a n b r oa d ca s t i n g s h ow s a n u n b a l a n ce d s t a t e i n

p r ogr a m m i n g a n d a l a ck of fu n ct i on s of i n for m a t i on a n d op i n i on

for m a t i on . T h e cu r r e n t s i t u a t i on of Kor e a n b r oa d ca s t i n g w i l l

m a k e s a n i n fr a s t r u ct u r e of b r oa d ca s t i n g for u n i fi ca t i on w e a k .

- 85 -

Page 98: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4 . Su g ge s t i on s

T h e s t u d y s u gg e s t s fou r a r e a s of p r ogr a m con t e n t s for

ex ch a n gin g p r ogr a m s b e for e t h e u n ifi ca t i on of S ou t h a n d N or t h

Kor e a . T h e p r ogr a m s p r od u ce d i n t h e a r e a s m a y cr e a t e n e w

a u d i e n ce gr ou p t o a cce p t i d e ol ogi ca l ly a n d cu l t u r a l ly d iffe r e n t

b r oa d ca s t i n g p r ogr a m s , a n d fi n a l ly con t r ib u t e s t o d e v e l op

b r oa d ca s t i n g p r ogr a m s for t h e a g e of u n i fi ca t i on .

F i r s t ly , w e h a v e t o u n ify Kor e a n l a n gu a ge a n d t o d em on s t r a t e

t h e ou t p u t of t h e e ffor t of u n i fi ca t i on of l a n gu a g e . I t w i l l

d ev e l op ou r l a n gu a ge a n d r e cov er ou r id e n t i fi ca t ion .

S e con d ly , w e n e e d t o p r od u ce p r ogr a m s in clu d i n g in for m a t i on

of i n d u s t r y , l i fe a n d j ob t o ga i n a cr e d ib i l i t y of e x ch a n gi n g

p r ogr a m s r a t h er t h a n p r ogr a m s sh ow i n g su p er i or i t y of cu l t u r e ,

t e ch n ol ogy , a n d s oci a l e n v i r on m e n t .

T h ir d ly , w e h a v e t o con s i d er a co- p r od u ct i on of d ocu m e n t a r y

p r ogr a m for ex ch a n gin g cu l t u r a l in for m a t i on .

F i n a l ly , con s i d e r i n g t h e ca s e of G e r m a n y , w e n e e d t o b u y a

t y p e of d r a m a p r ogr a m s p r od u ce d in N or t h K or e a b u t i t s h ou l d

b e i n for m a t i on p r ogr a m s p r od u ce d i n S ou t h Kor e a a s a n

ex ch a n g e w it h N or t h Kor e a n p r ogr a m s . Al l p r ogr a m sh ou l d b e

a ir e d in b ot h cou n t r i e s w i t h ou t a n y a d d i t i on a l con d i t i on .

- 86 -

Page 99: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연구보고 00 - 13

한 국 통 일 후 방 송 체 제 와 운 영 에 관 한 연 구

- 문화융합을 위한 내용과 형식의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00년 12월 일 인쇄2000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 이 경 자

발행처 한국방송진흥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3- 5전화: 3219- 5400 FAX: 2649- 7312

이 책은 방송위원회가 조성 및 관리·운영하는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

펴낸 책입니다.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연구진과 한국방송진흥원을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본 보고서 내용은 본원이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 :/ / www .kbi.re.kr )를통해서 온라인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발간물 관리번호 R1100- L00- 00130696

Page 100: 한국 통일 후 방송체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2010-04-30 · Ⅱ. 통일후독일의방송 4 1. 통일후 10년의진단 4 2. 방송통일의과정과과제 10 1) 프로그램의조기수용

동독 혁명기

(1989 중반 ∼ 1990중반)통 일 기

(1990 중반 ∼ 1990.10)방송 재편기

(1990.10 ∼ 1999.12.31)

DFF(Deutsches Fe rnse hese n) 창설

동독 1990. 3(국영방송 폐지 )

- 시민혁명위원회 구성 자율개혁주장

- 언론심의위원회 구성 독자생존모색

- Akuelle Ka mera- ELF 99 등 프로그램 개선 임시방송법 통과 DFF 해체

※ 시청률 향상 DFF 해체수용 - ARD 재구성 (동독 1TV 포함)방송개혁 전권인 임명 - ZDF 보강 (동독3TV 포함)(통일 조약 적용) MDR 구성 , ORD 구성

DEF 불신

통합기획

( 공민영 2원 체제) 채널 보

서독민영방송단체 동독방송의 - 어린이 채

서독 ARD, ZDF로 합병제안 - 더큐 채널

DLF 측 (거부됨)ARD- Ost 구성제안

인원 조절 동독(국영시) 14,000 명 → 혁명시 7,500 명 → 재

[그림Ⅱ- 2 ] 독일 통일과 방송정책 경과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