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6
pp. 476 - 481, 1990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26 (3) 476 - 481 , 1990 - Abstract- CT Findings of 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 for Variceal Bl eeding Hyun Kim, M.D. , Hee Jeong Ro , M.D. , Si Won Kang, M.D. , Yong Whee Bahk, M.D. , Nam Jong Baeg, M.D:. Department of Radiology, S t. Catholic University Medica1 College 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EE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management of bleeding esophageal varlces . Authors reviewed CT indings of mediastinal ple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EES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and complication. The mediastinal and changes within 3 days (n=20) after EES were esophageal thlck- ening (80 %), esophageal lamination (40 %), paraesophageal gas collection (35 %J, para- esophageal mediastinal effusion (80 %), and pleural effuslon (50 %). Af ter 2 months (n= 5) , all these findings were disappeared , except for mild resldual esophageal thlckening. The knowledge of CT findings after EES appeared essential for CT scan Images per- formed In the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severe postprocedural complications an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dex Words: Esophagus , varices 71 . 75 Endoscopy Sclerosis 7 1. 45 Thorax, CT 68 .1211 1. . •• •• Department of Interna1 Medicine, Daejon S t. Hospita1, Cathollc University Medica1 Col1ege - 476 -

Upload: others

Post on 01-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大 韓 放 射 線 훌훌 쩔 會 註 第26卷 第3號 pp. 476 - 481, 1990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6 (3 ) 476 - 481 , 1990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가톨릭대학 의학부 부속 대전성모병원 방사선과학교실

김 현 • 노 희 정 • 강 시 원 • 박 용 휘 • 백 남 종**

- Abstract-

CT Findings of 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 for Variceal Bleeding

Hyun Kim, M.D. , Hee Jeong Ro, M.D. , Si Won Kang, M.D. ,

Yong Whee Bahk, M.D. , Nam Jong Baeg, M.D:.

Department of Radiology, Da링on S t. Mary능 Hospit외,

Catholic University Medica1 College

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EE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management

of bleeding esophageal varlces . Authors reviewed CT indings of mediastinal 없ld ple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EES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and complication. The

mediastinal and pleur외 changes within 3 days (n=20) after EES were esophageal thlck­

ening (80 %), esophageal lamination (40 %), paraesophageal gas collection (35 %J, para­

esophageal mediastinal effusion (80 %), and pleural effuslon (50 %). After 2 months (n=

5) , all these findings were disappeared , except for mild resldual esophageal thlckening.

The knowledge of CT findings after EES appeared essential for CT scan Images per­

formed In the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severe postprocedural complications an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dex Words: Esophagus , varices 71 .75

Endoscopy

Sclerosis 7 1.45

Thorax, CT 68.1211

1. 서 료응 」

식도정맥류 출혈은 임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구급성

• 이 논문의 요지는 1989년도 대한방사선의학회 추계학 술대 회 에 서 발표되 었으며 • 1990년도 가톨릭 중앙의 료 원 학술연구 보조비로 이루어졌음 .

•• 가톨릭대학 의학부 부속 대전성모병원 내과학교실 •• Department of Interna1 Medicine, Daejon S t. MruγS

Hospita1, Cathollc University Medica1 Col1ege 이 논문은 1990년 3월 30일 접수하여 1990 '녕 5월 28일 에 채돼되었음

질환이며, 사망율이 높다. 최근 식도정맥류 출혈에 대

한 치료방법의 하나로 내시 경적 경화요법이 광범위하

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경화요법의 치

료효과 판단기준에 대한 체계적인 추구가 없었던 것으

로 알고 었다.

이에 저자들은 경화요법의 치료효과를 판단하는 기

준을 찾기 위하여 경화요법 전후에 전산화단충검사

(CT)를 시행하여 식도와 그 주위 종격동의 변화 그라

고 흉악의 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 476 -

Page 2: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 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1 989년 3월부터 10월까지 가톨릭대학 의학부 부속

대전성모병원에 식도정맥류 출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

자중 식도경화요법을 받은다음 임상적으로 합병증이

없었던 25예를 대상으로 관찰을 시도하였다. 대상환

자는 남자 21 명, 여자 4명 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7-

61세(평균 50세)이었다. 내시경검사상 식도정맥류의

정도는 grade II.N(lI 5 , ill :9 , N : ll)이었다1 ) 식도경

화요법은 숙련된 내과의사가 위내시경 (gastrofi ber

scope , Olympus GIF-G 10 )를 사용하여 시 행 하였다2-

4 ) 경화제로는 ethanolomine oleate (23예 )와 항생제

인 cefazoline (2예 )을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는 정막내

로 주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경 화제 주사에는

23게 이 지 바늘(Varijec t™ clear sclerotherapy needle ,

Microvassive)을 이용하였으며, 식도하부에서 부터

상부로 식도벽을 따라 12시, 3시, 6시 , 9시 방향으로

2-3ml씩 여러 층에 걸쳐 6- 1 0회 ( 평균 7 . 2회 ) 주λ}하

였다. 1회 경화요법에 사용된 경화제 총량은 17-29.

5 m\( 평균 20.6m l ) 이었다.

CT는 기 관분기 점 (carin a)에 서 횡 격 막하 5cm까지

10 mm간격, 10 mm두께로 촬영하였으며, 조영을 위

해 요드함유 조영제 100- 1 50ml를 뭉치 (bolu s)로 주입

하였다. 또한 20예에서는 경화요법후 3일 이내 에 그리

고 5예에서는 2개월후에 시행하였다.

CT소견은 경화요법 전후 그리고 조영증강 전후 식

도의 모양, 식도벽의 두께 , 식도주위 종격동의 변화,

흉막강 변화동을 체계적으로 분석 · 검토하였으며, 자

료의 통계적 처리는 3일이내 군에 대해서만 하였다.

m. 성 적

1 ) 식도

경화요법전의 식도벽 두께는 8- 15 mm ( 평균 10.6

mm) 이 었으나, 경화요법후 두께는 9-30 mm ( 평균

17.7 mm ) 이었다. 식도벽은 국소성 혹은 전반적으로

두꺼워졌는데, 16예 (80 % ) 에서 식도벽 이 경화요법전

보다 두꺼워졌다(Fig. 1). 8예 (40 % ) 에서 는 식도벽

중간충이 저농도음영으로 나타나면서 내외 식도벽이

강하게 조영 되 는 특이 한 충상소견(lam i nated app-

a

Fig. 1. Esophageal wall thickening(a ,b) Nodular enhancing wall of lower esophagus with varices before 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 -rapy(a). After the sclerotherapy , the wall of the esophagus was more thickened. and measured to llmm(b).

earance)을 나타냈다(Fig.2). 또한 7예 ( 35 % ) 에서 식

도벽을 포함한 식도주위에 작은 기포음영이 나타났다

(Fig.3). 기포음영의 직경은 2mm이 내 이었고 갯수는

3개 이내이었다.

2) 식도주위 종격동

경화요법후 16예 ( 80 % ) 에서 식도주위 종격동에 전

체적으로 균일한 저농도음영의 액체 집적이 있었는데

(Fig.4). 대부분 경계가 뚜렷하였으며 Hounsfie ld un.

it(HU) 수치는 -26에서 +28범위에 있었다. 이러한

저농도음영은 54 %에서 9시방향 , 25 %에서 3시방향,

14 %에서 1 2시방향, 7 %에서 6시방향에 나타났다.

3) 흉막강

경화요법후 8예에서 흉막강에 삼출액이 새로이 나

” “

Page 3: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 大韓放射線醫學會誌 · 第 26 卷 第 3 號 1990 -

Fig. 2. The laminated appearance of the esophagus. Post-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 CT scan of lower esophagus showed ring- like inner high. middle low, and outer high densities giving a lami­na ted appearance(arrow)

Fig. 3. Paraesophageal gas collection. CT scan showed a small round radiolucent air col­lection at paraesophageal mediastinum medial to the esophagus(arrow).

타났고 2예에서는 이미 있었던 삼출액이 증가되었다.

이들 10예 중 4예 는 양측성, 6예는 면측성이었다 삼출

액 은 좌측에 더 많았다(Fig.5).

4) 2개월이후 C'

경 화요법후 3일이내 에 CT를 실시한 20예중 2예와

경화요법후 바로 CT를 시행하지 않은 3예 를 경화요

법후 2개월만에 CT를 실시하였는데 , 이 들 5예에서는

종격동 및 흉막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고 단지 식도

벽의 비 후상만이 관찰되었다(Fig. 6).

Fig. 4. Paraesophageal mediastinal effusion(a ,d) CT scan revealed the well defined small amount of low density f1uid collection around the esophagus , especially at right side- paraesophageal mediasti­num , which was measured to about 16 HU(cursor box)(a) . The scan just below the above scan. The paraesophageal mediastinal effusion was measured about-26 HU(b). This represented extravasation of the oily scJeroseng agent(ethanolamine 이eate) .

Fig. 5. Pleural effusions CT scan showed a newly developed bilateral pleural effusions(arrow) after endoscopic esophageal scJer­otherapy with left predominance.

- 478 -

Page 4: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깅 핸 외 : 출헬성 식도정액류 내시 정적 경화 요엄후의 선안화단총촬영 소견 -

Fig. 6. CT scan of 2 months fafter endo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 This scan showed only a mild esophageal wall thick­ening without other definite abnormality such as paresophageal mediastinal effusion. pleural effusion etc

N 고 *~ E극

식도정맥류 출혈에 대한 내시 경적 경화요법 (endo .

scopic esophageal sclerotherapy. endoscopic injec.

tion sclerotherapy)은 Crafford와 Frenkner( 1939년 )

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 이래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

해온 치료법으로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되어, 최큰

에는 식도정맥류 출혈의 일차적 선택으로 광범위하게

시술되고 있다5-8)

사용 되 는 경 화제 (sclerosing agent)는 여 러 가지 가

있으나, ethanolamine oleate와 polidocanol이 흔히

쓰이며, 경화제 에 의해 혈관 및 혈관주위 에 염증성 변

화가 일어나고 혈전증이 초래된 다. 이러한 혈전증은

경화요법 시행후 24시간 이내에 발생되며, 1개월후에

섬유화(fibrosis)가 초래된다12 1 경화요법후 여러가지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는 식

도천공, 출혈성 식도궤양, 패혈증, 호흡부전증퉁이

보고되고 있다13-까식도조영술을 시행하여 30일이내의 급성변화와 30일 이후의 만성변화에 대해 보고하였는데, 초기에는 식

도점막의 궈1 양, 내 강축소, 누공 , 식도열상 및 천공둥

이 발생할 수 있고, 1개월 이후에 는 식도의 협착, 불

규칙한 모습, 식도벽 결손, 식도 운동이상 및 내강폐

쇄 퉁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Rose 퉁19 1은 경화요법

의 식도조영상에서 비정상소견으로 전차궤도처럼 생

- 479

긴 충만결손과 결절상 점막을 60 %에서 볼 수 았었다

고 하였다. Saks 동2이은 경화요법후 흉부x-선 사진

상, 종괴 에 의 한 식 도 기 정 맥 함요(azygoesophageal

recess)의 변형, 불선명한 왼쪽 대동맥선음영 (pe ri.

aortic stripe) , 중간기 관지 후벽 의 비 후, 기 관후벽 또

는 식 도 기 관 선 음 영 (psoterior trach eal or tracheoeso.

phageal stripe)의 비후, 흉막삼출액, 무기폐, 선상의

폐음영, 심장후부의 연조직 음영등의 소견을 볼 수 있

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이중 흉막상출액은 50 %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내시경적 경화요볍후 CT소견에 대해서는 Halden

퉁21 1 이 처 음으로 보고하였는데 , 두꺼 워 진 식 도벽 의 외

연만이 조영증강되고 색전된 정맥은 조영중강되지 않

아 마치 식 도암과 같은 소견을 보였다고 하였다. 그후

로 Mauro 퉁22 1과 Ikezoe 퉁깅)이 경 화요법 후의 종격

동, 흉막 및 폐에 대한 CT소견을 보고하였는데, 주요

한 식도의 변화는 식도벽의 비후와 함께 중앙부위가

저음영으로 보이고 내외벽이 고음영을 보인 고리모양

의 충상식 도(laminated esophagus)라고 하였다. 이 러

한 충상식 도를 Mauro둥은 100 %, Ikez。 둥은 53 % 에

서 볼 수 있었다고 하였는데, 저자들은 40 %에서 볼

수 있었다. 중앙부위 의 저음영은 색전되어 조영증강

되지 않는 정맥류, 급성염증성 반웅, 부종, 출혈, 경

화제퉁이 혼재되어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현빈

도의 차이는 아마도 경화제의 주입회수, 주입량, 주입

방법, 내시경의 숙련도 및 경화요법후 CT촬영의 시

간간격둥과 같은 변수 때문으로 생각된다. 식도 주위

종격동에 저음영의 액체상의 축적은 식도벽이 앓고 장

막충이 없기 때문에 경화제가 식도벽 밖으로 유출되어

혈종퉁과 같이 집적된 것으로 생각된다. 종격동에 축

적된 액체와 늑막강액과 서로 연결되어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바(Fig.7) , 흉악강액 또한 반웅성 흉막삼

출액에 경화제, 혈액퉁이 혼합되어 나타난다고 여겨

진다. 이러한 것은 식도벽의 저음영, 종격동의 저음

영, 그리고 흉막액의 HU수치가 유사한 것으로 알 수

있다. Mauro 퉁낌은 오른쪽에 늑막삼출액 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고 하였으나, 저자들에 있어서는 기존익

흉막삼출액이 경화요법후에 그 양이 중가된 경우 왼쪽

에 더 많은 양의 증가가 있었고 새로이 편측성으로 발

생된 경우에는 모두 왼쪽에만 발생하였다. 식도 주위

종격동에 액체상의 축적 이 식도의 9시방향, 즉 오른쪽

에서 많이 관찰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흉막삼출액

Page 5: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大韓放射線뿔學會託 第 26 卷 第 3 號 1990

Table 1. CT Findings after Endoscopic Esophageal S cJertherapy within 3 Days

Findings Number of cases(n = 20l Per cent

Esophageal wall thickening

Laminated esophagus

Paraesophageal gas collection

Paraesophageal mediastinal effusion

Pleural effusion

Fig. 7. CT scan after endoscopic esophageal scJer­otherapy showed low density paraesophageal effu­sion continuous to a left pleura1 effusion.

이 왼쪽에 더 많이 고였던 이유는, 아마도 오른쪽은

폐가 종격동쪽으로 많이 함몰되어 식도 기정맥함요를

이루므로 유출된 경화제가 늑막강으로 쉽게 축적되기

어려우나, 왼쪽은 오른쪽보다 식도 주위 종격동의 공

간이 넓고 또한 하부식도는 그 진행방향이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24 ) 식도 주위 종격동에 고인 액체가 바

로 늑막강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식

도 열상 또는 천공으로 인한 종격동농양이 발생되었을

때는 종격동이 넓어지고, 기종격동(pneumomediast­

inum) , 수기 흉(hydropheumothorax)동의 소견을 보

인다25 ) 따라서 종격 동에 공기 또는 공기 수면상이 보

이면 종격동농양을 의심할 수 있다. Maur。 동은 식도

주위종격동이나 흉악강에 공기음영의 유무를 조사하

였으나 1예도 발견할 수 없었다. 저자틀은 식도벽 또

는 식도주위 종격동에 작은 기포를 관찰할 수 있었는

데 이러한 공기음영은 바륨식도조영상과 비교하여 본

바, 종격동염 또는 농양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식도벽의

결손 또는 궤양부위에 포획된 공기였고 일부는 경화제

주입시 우연히 공기가 같이 주입되어 발견되었으리라

생각된다. Ikezoe 퉁23 )은 경화요법후 48시간이내에 관

16

8

7

16

10

- 480

80

40

35

80

50

찰되었던 소견들은 일주일 이후에 시행한 추적 CT에

서 현저하게 개선되었다고 하였다. 저자들 또한 경화

요법후 2개월이 지난 환자들에 대해 CT를 시행한 결

과 경도의 식도벽 비후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경화

요법후 48-72시간 이내에 볼 수 있었던 종격동 및 늑

막강의 변화는 경화제 주입에 따른 급성반응으로 여겨

진다 경화요법후 관찰되는 식도벽의 비후, 식도주위

종격동의 저음영 동은 Boerhaave 증후군 , Mallory­

Weiss 증후군 또는 외상후에 볼 수 있는 식도혈종25

긴 ) ’ 식도종양21갱) ’ 식도주위 임파절비대 21 )퉁과 감별해

야 될 것이다.

V . 결 르르 」

최 근 8개월동안에 가톨릭대학 의학부 부속 대전성

모병원에서 식도정맥류출혈로 인해 내시경적 경화요

법을 받은 환자 25명에 대해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시 경적 경화요볍후 3일 이내의 CT소견은 식

도벽의 비후 (80 %) 및 식도벽 층화현상 (40 %), 식도

주위 기포음영 ( 35 % ), 식도주위 종격동내 액체집적

(80 %) 및 흉막삼출액 (50 %) 이 었다(Table 1).

2. 이들 CT소견은 경화제에 대한 일과성 염증성 반

응으로 사료된다. 이들 소견이 경화요법 시행후 일주

일 이상 나타날 경우 합병증을 의심하여야 한다.

REFERENCES

1 정정명, 정해철, 설상영 퉁. 식도정맥류의 내시경적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소화기병학회지 1985; 17 :

51-58

2. Sivak MV Jr, Stout DJ , Skipper G. Endoscopic

injection scJerosis(EISl of esophagea1 varices.

Gastrointest Endosc 1981; 27:52-57

3. Cello JP , Grendell JH , Crass RA et a1. Endosco­

pic s cJerotherapy versus portacav외 shunt in

Page 6: 출혈성 식도정맥류 내시경적 경화요법후의...-김 현 외 출혈성 식도정맥류 매시경석 경화 요업후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n. 대상 및 방법

검 핸 외 : 출헬성 식도정액류 내시정석 정화 요업후의 선산화안층촬영 소견 -

patients with severe cirrhosis and variceal

hemorrhage. New Engl J Med 1984; 311:1589-

1597

4. Takase Y, Ozake A, Orii K et a1. lnjection scler­

otherapy of esophageal varices for patients

undergoing emergency and elective surgery.

Surgery 1982; 92:474-479

5. 기춘석, 신현성, 주상언 퉁. 식도정맥류 출혈에 있

어서 내시경적 경화요법의 치료효과. 대 한소화기병

학회 지 1983; 15 : 55-62

6 주상언 , 정 효철, 황홍곤 둥. 식도정맥류 출혈에 대한

내시 경적 경 화요법의 치료성적 및 예 후. 대 한내과학

회 지 1984; 27 : 892-898

7. Paquet KJ , Oberhammer E . Sclerotherapy of

bleeding oesophageal varices by means of en­

doscopy. Endoscopy 1978; 10:7-12

8. Hedbery SE , Fowler DL, Ryan RLR. 1매ection

sclerotherapy of esophageal varices using etha­

nolamic oleate. Am J Surg 1982; 143:462-431

9. Telbranche J , Northover JMA, Bornman P et a1.

A prospective evaluation of i띠ection sclerothe­

rapy in the treatment of acute bleeding from

esophageal varices. Surgery 1979; 85:239-244

10. Johnston GW, Rodgers HW. A review of 15

years experince in the use of sclerotherapy in

the control of acute hemorrhage from

esophageal varices . Brit J Surg 1973; 60:797-

799

11. Denck H. Esophageal sclerotherapy of bleeding

esophageal varices. J Cardovas Surg 1971 ;

12:146

12. Evans DMD , Jones DB , Cleary BK et 외

Oesophageal varices treated by sclerotherapy: a

histopathologic study. Gut 1982; 23:615-620

13. Ayres SJ , Goff JS , Warren GH et a l. Esophageal

ulceration and bleeding after flexible fiberoptic

esophageal vein sclerosis. Gastroenterology

1982; 83:131-136

14. Barsoum MS , Mooro HA, Bolous FI et 외. The

complications of 띠ection sclerotherapy of

bleeding oesophageal varices . Br J Surg 1982;

69:79-81

15. Carr-Locke DL , Sidky L. Broncho-esophageal

fistula , a late complication of endoscopic

vaiceal sclerotherapy. Gut 1982: 23 ‘ 1005-1007

16. McGrew W, Goodin J , Stuck W. Fetal complica­

tion of endoscopic scferotherapy, serratia mar­

cescens bacteremia with delayed esophageal

perforation. Gastroinstest Endosc 1985; 31:329

-332

17. Monroe P , Morrow CF, Millen JE et a l. Acute

respiratory failure after sodium morrhuate

esophageal sclerotherapy. Gastroenterology

1983; 85:693-699

18. Agha FP. The esophagus after endoscopic injec­

tion sclerotherapy: acute and chronic changes.

Radiology 1984; 153:37-42

19. Rose JD , Roberts GM , Smith PM. The radiolo­

gical appearances of the esophagus after scle,­

ro therapy for varices. Clin Radiol 1985; 36 :355-

358

20. Saks BJ, Kilby AE , Dietrich PA et a1. Pleural

and mediastinal changes following endoscopic

injection sclerotherapy of esophageal varices.

Radiology 1983; 149:639-642

2 1. Halden WJ , Harnsberger HR, Mancuso AA.

Computed tomography of esophageal varices af­

ter sclerotherapy. AJR 1983; 140:1195-1196

22 . Mauro MA, Jaques PF, Swantkowski TM et 외

CT after uncomplicated esophageal sclerothe­

rapy. AJR 1986; 147:57-60

23 . Ikezoe J , Morimoto S , Akira M et 외 Computed

tomography following endoscopic sclerotherapy

of esophageal varices. Acta Radiologica 1987;

28:415-420

24. Goss CM. In. Gray’s anatomy. 29th ed. Phi­

ladelphia : Lea & Febiger , 1973; 1200

25. Brown BM. Computed tomography of meCl ias­

tinal abscess secondary to post-traumatic

esophageal laceration. JCAT 1984; 765-767

26. Demos TC , Okrent DH , Studlo JD et a l. Spon­

taneous esophageal hematoma diagnosed by

computed tomography. JCAT 1986; 10:133-135

27. Herbetko J , Brunton FJ. Esophageal h emato­

ma: report of three cases. Clin Radiol 1988;

39:462-463

28. Hoevels J. Raute-Kreinsen U, Reiter J et a l.

Vascular neoplasm of the esophagus with life­

threatening hemorrhage. Acta Radiologica

1986: 27:29-32

- 4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