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8
1994 30( 1) : 105-111 18 CT (conventional chest CT (thin (high spatial frequency algori thm, , (tar- geted image reconstruction) , kVp/mA (7 -10). 1985 Nakada Somatom Plus S CT scanner (Siemens , Erlangen, spatial frequency algori thm, HRCT Somatom Plus (phantom) , CT 1 kilo- voltpeak milliampere (reconstruc- tion) window -750HU, window 1200 - 105 -

Upload: others

Post on 26-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오 유 환·김 정 혁·서 원 혁

목 적 .지금까지는 폐실질 질환을 위한 고해상 CT스캔에서 고공간 주파수 연산기법을 사용하여 왔

다. 이 언구는 고해상 CT스캔에서 고공간 주파수 연산과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기법을 사용하여 얻은

폐실질 영상에 대하여 두 연산기법의 효과를 서로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및 방법 :세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쌍선 해상도 모형, 수술후 얻은 폐 표본, 2명의 정상인 및 18

명의 폐실질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고공간 주파수 언산과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기법을 각각 사용하여

고해상 CT스캔을 한 후 얻은 폐실질 영상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쌍섣 해상도 모형 연구에서는 두 연산기법 사이에 해상도의 차이는 관잘되지 않았지만 초고

공간 주파수 연산을 이용한 경우 앙측 바깥선들이 더욱 두껍게 나타났다. 폐 실질 상세도는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을 이용한 경우가 고공간 주파수 연산에 비해 95%에서 같거나 우월하였다. 폐실질 선예도

는 전 예에서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이 우월하였다. 노이즈는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에서 더 증가 하였

지만 영상판독에 지장을 주지는 않았다. 정상 폐실질으I CT감약은 미세하지만 고공간 주파수 연산에서

더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반적인 영상의 시각적 선호도는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을 사용한 경우

고공간 주파수 연산에 비해 78%에서 같거나 우월하였다.

결 론: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기법은 고공간 주파수 연산기법에 비해 폐실질의 고해상 CT어|서 영상

의 전반적인 시각적 질을향상시컸다.

서 론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이하 HRCT로 칭함)은 현재

폐실질 질환을 진단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1 -6).

HRCT는 “High-Res이ution"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

는 흉부 CT 기법 (conventional chest CT technique) 에

비해 첫째는 앓은 시준 (thin collimation)의 사용, 둘째는

고공간 주파수 연산 (high spatial frequency algori thm,

이하 HSFA로 칭함) , 셋째는 표적화된 영상 재구성 (tar­

geted image reconstruction) , 넷째는 증가된 kVp/mA

기볍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7 -10). 이 중 HSFA는 1985

년 Nakada 등(2)이 흉부 CT에서 영상 재구성시 HSFA를

이용한이래 일반적인 흉부 CT 기법에서 사용되는저공간

주파수 연산인 표준 연조직 알고리즘에 비해 영상의 매끄

러움을 줄이고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걱 폐구조물을 좀더

명확하게 보이기위한 역할로써(11) 흉부 고해상 CT를 위

하여 사용되어왔다.

1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3년 7월 6일 접수하여 1993년 g월 15일에 채택되었음

최근에 제작된 Somatom Plus S CT scanner (Siemens, Erlangen, Germany)는 기존의 표준 연조직 알고리즘과

HSFA외에도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Ultrahigh spatial

frequency algori thm, 이하 UHSFA로 칭함)이 더 추가되

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지금까지 흉부

HRCT 스캔시 사용되어온 HSFA와 새로이 이용할 수 있

는 UHSFA를 비교 연구하여 흉부 HRCT에서 어떠한 알

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가를 결정하기 위하

여 모형과폐 표본및 환자를이용하여 본실험을하였다.

대상및방법

Somatom Plus S를 사용하여 모형 (phantom) , 폐 표본

및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T 스캔을 하였다. 스캔시 절

편 두께는 1 mm로 하고 1초 스캔을 사용하였으며 kilo­

voltpeak (kVp)와 milliampere (mA)는 스캔 대상에 따

라 조정하였다.CT 스캔 후 얻은 원 데이타(raw data)를

HSFA와 UHSFA를 이 용하여 각각 재구성 (reconstruc­

tion) 하였고 각 영상은 폐실질을 잘 보기 위해서 window

level은 -750HU, window width는 1200 -1500HU로 조

정하였다.

- 105 -

Page 2: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Fig . 1. Li ne-pair phantom reconstructed

by using HSFA(A) and UHSFA(B)

Grouped line pairs represent reso­

lutions 014, 6, 8, 10, 12 Ip /cm , respect­

ively. Maximum resol ution with both

algorithms is 10 Ip/cm(arrow) . But outer

lines 01 the line pairs with maximum

resolution looked thicker on UHSFA than

those on HSFA

ι낄 혔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30( 1) : 105 - 111

4

10

~ 4

、썼 6깨 、8IL 두 곳에서 125 kVp /80 mA로 스캔을 하였고 FOV는

cm로 하였다. 각 부위마다 원 데이타는 HSFA와

UHSFA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이 서로 다른 2개의 영상을

재구성하여 모두 4개의 영상을얻었다.

부위

12

b

a

환 자

정상 2명과 미만성 폐질환이 있는 환자 18명 등 모두 20

예를 대상으로 흉부 CT 스캔을 시행하였다. 18명의 폐질

환중에는 갑상선암으로부터의 혈행성 폐전이, 세기관지폐

포암, 유방암으로부터의 임파성 폐전이, 미만성 세기관지

염 (diffuse panbronchiolitis) , 규폐증, 원인이 규명되지 않

은 미만성 폐출혈 각 1예씩 6예와 속럽결핵증, 특발성 폐섬

유화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기 관지 확장증,

폐 표본 (lung specimen)

폐암 환자에서 폐 절제한 후에 얻은 신선한 한 개의 폐

표본을 대상으로 CT 스캔을 하였다. 폐 표본은 기관지속

으로 삽입된 튜브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산소를 주입하

여 충분히 펴진 상태에서 종양부위를피하여 정상폐조직

Prelerred AI gorithml

Observer

HSFA

1 st

2nd

3rd

Noise* (%)

Table 1 . Cumulative Data Irom Evaluation 0121 Scans by Three Observers

Parenchymal

~harpness( %)

Parenchymal

Detail( %)

형 (phantom)

Plexiglas 해상도 모형 (Siemens model)을 137 kVp /

220 mA로 스캔을 하고 FOV(field ofview)는 10 cm로 하

였다. 원 데이타는 HSFA와 UHSFA를 이 용하여 각각 À~

구성한 2개의 영상을 얻어서 공간 해상도에 대한 두 가지

재구성 연산(reconstruction algorithm)의 차이를 비교 하

였다.

nU

nU

nU

nu

nU

nU

2 (9)

1 (5)

0

3 (5) 0

10 (48)

13 (62)

13 (62)

36 (57)

10 (48)

10(48)

11 (52)

31 (49)

o

nu

nU

nu

Subtotal

Equal **

1st

2nd

3rd

Subtotal o

9 (43)

7 (33)

8 (38)

24 (38)

11 (52)

11 (52)

10 (48)

32 (51)

21 (1 00)

21 (1 00)

21 (1 00)

63(100)

UHSFA #

1 st

2nd

3rd

Subtotal

63 (100)

- 106

63 (100)

* Data reler to algorithm producing greatest amount 01 noise **Equal means that HSFA and UHSFA were judged to be equivalent # AII parameters assessed were greater on UHSFA than on HSFA(p<0.001)

63 (100) Total

Page 3: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오유환 외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업

기관지결핵증 각 2예씩 8예 및 폐기종(emphysema) 4예가

있였다.

CT 스캔은 환자가 홉기 후 숨을 정지한 상태에서 137

kVp / 220 mA의 조건으로 시행하였으며 FOV는 30-35

cm로 하여 상용( routine ) 흉부 HRCT를 시행한 후 저자

가병변이 잘 보이는두부위를정해서 스캔을 다시 시행하

여 각 부위 마다 원 데이타를 HSFA와 UHSFA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이 서로 다른 2영상으로 재구성하여 각 환자마다

4개의 영상을 얻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CT 영상을

사용한 재구성 알고리즘에 따라 UHSFA와 HSFA 두군으

로 나누어 세명의 방사선과 전문의에 의해서 각각 폐실질

상세도{lung parenchymal detail) , 폐실질 선예도(sharp­

ness ), 노이즈(noise) 항목 등을 중심으로 비교 평가하게

하였다. 각 관찰자는 항목별로 두 군을 비교하여 어느 한

쪽이 우수한 지 흑은 서로 같은 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전

체적 인 정상 폐실질의 시각적 CT 감약( attenuation)과 시

각적 선호도(overall visual preference) 에 대한 차이에 대

해서도 두군을 대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시각적 CT 감

약의 평가는 CT 영상에서 폐병변 부위 사이에 보이는 정

상 폐조직 부위의 CT 밀도가 시각적으로 HSFA와 UH

SFA 두 군을 비교하여 어느 한 쪽이 증가하였는 지 흑은

서로 같은 지를 세 관찰자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하였다. 각

비교 결과는 x2 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고, P 값이

0.005 이하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다고 보았다.

결 과

Plexiglas 해상도 모형의 CT 스캔에서는 공간 해상도에

대한 HSFA와 UHSFA의 두 알고리즘간에 쌍선 해상도

a b

(line -pair resolution) 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알고

리즘 모두 최대 10 lp / cm의 해상력을 나타내였다(Fig. 1).

그렇지만 최대 해상력인 10 lp / cm에서 4개의 선들이 균일

한 두께로 보인 HSFA와는 달리 UHSFA에서는 양측 외곽

선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보였다.

폐 표본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21개의 CT 스캔에서 세

관찰자의 전체 63개 평가(Table 1) 에서 폐실질 상세도는

UHSFA가 우월한 것이 24개 (38%) , UHSFA와 HSFA가

서로 같은 것이 36개 (57% ) , HSFA가 우월한 것이 3개

(5% )이었다(Fig. 2). 폐실질 선예도는 63개의 평가 모두

UHSFA에서 더 우월하였고(Fig. 3) HSFA에서 선예도가

더 좋거나 UHSFA와 같다고 평가한 경우는 세 관찰자 모

두 1개도 없었다. 노이즈는 UHSFA와 HSFA가 서로 차이

가 없었던 것이 31개 (49%) , UHSFA에서 노이즈가 더 증

가한 경우가 32개 (51% ) 였다. HSFA에서 노이즈가 더 증

가되었다고 평가한 예는 세 관찰자 모두 l개도 없었다.

정상 폐실질 부위의 시각적 CT 감약에 대한 두 알고리

즘의 효과에서 HSFA는 UHSFA보다 증가된 시각적 CT

감약을 76 - 81%( 평 균, 79% ) 에서 보였고 HSFA와 UH

SFA가 같은 CT 감약을 보인 경우는 19-24% (평균,

21%)이었다(Fig. 4). UHSF A가 정상 폐실질 부위에서

HSFA보다 증가된 시각적 CT 감약을 보인 것으로 평가한

예는 세 관찰자 모두 없었다(Table 2).

전반적인 시각적 선호도는 21개의 CT 스캔중 11 - 18개

( 52- 85% ) 에서 UHSFA가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UH

SFA와 HSFA가 서로 같다고 평가한 것은 1-4개 (5 - 19%)

이었고 HSFA가 더 우수하다고 한 것은 2-6개 00- 29% )

이었다. 따라서 UHSFA가 시각적 선호도에서 더 우수하

거나 같다고 한 것은 전체 63개의 평가 중 49개 (78% )

Fig . 2. CT images 01 normal lung specimen which was taken in patient with bronchogenic carcinoma. A and B, HSFA(A) and UHSFA(B). Small branches 01 p비 monary vessels(black arrows) are sharper and better delined with UHSFA. Image noise , seen as line linear streaks posteriorly in lungs , is more prominent on image reconstructed by using UHSFA , but was not believed to signilicantly degrade image quality. A black rim(white arrows) 01 lower density than the surrounding air is noted outside the pul­monary vessels(B). These rim effects are due to the “。vershoot - undershoot" artilact.

- 107 -

Page 4: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대 한방사선 의 학회 지 1994;30(1) ; 105-111

w 뺏,.

'?n

a b

Fig . 3 . CT images in patient with pulmonary hematogenous metastasis. a and b, HSFA(a) and UHSFA(b). Small nodules(arrows) are more sharply delined with UHSFA than those with HSFA

a b

Fig . 4. CT images 01 lung parenchyma in patient with diffuse panbronchi이 itis . A and B, HSFA(A) and UHSFA(B). The visual CT attenuation 01 normal lung parenchyma(arrows) slightly more increased on image reconstructed by using HSFA

이었다(Table 3) .

고 찰

CT는 근래 우수한 대조해상력 (contrast resolution)과

단층촬영특성 (tomographic nature)에 의하여 폐실질 질

환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 흉부 CT는 국소 혹

은 미만성 흉부 질환 환자에셔 8-10 mm의 절편 두께와

표준 연조직 알고리즘(standard soft tissue algori thm)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폐, 종격동, 늑막 및 흉벽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고해상 CT 는 여러가지 기술적 매

개변수(parameter)를 통해 공간 해상력을 증가시켜 임상

적으로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이 의섬되는 환자를 중심으로 폐설질을 자세히 관

찰하기 위하여 시용되고 있다. 고해상 CT에서 앓은 절편

두께 (1 -2 mm)는 부피 평균화(volume averaging)를 줄이

고 작은 구조물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이며 , 골

알고리즘(bone algorithm)을 이용한 재구성은 영상의 매

끄러움(smoothing)을 줄이고 미세한 폐실질 구조물을 좀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1 , 11 - 14). 고

해상 CT에서 문제가 되는 노이즈는 증가된 kVp와 mA을

이용하여 광자유입 (photon flux)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소

화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UHSFA라는 parameter가 추가

된 CT 스캐너를야용하여 흉부 고해상 CT에서 사용하여

왔던 기 존의 HSFA와 UHSFA 두가지 알고리즘을 서로 비

교하므로써 폐실질 질환을 평가하는데 있어 UHSFA가

HSFA에 비해 상세도와선예도빛 선호도에서 우수하다는

것을보여주였다.

108

모형을 이용한 연구에서 HSFA와 UHSFA는 모두 최대

10 lp / cm의 쌍선 해상도를 보여 두 알고리즘간에 해상도

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10 lp / cm에 해당하는 쌍선에

Page 5: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오유환 외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 법

Table 2. Visual CT Attenuation 01 Normal Lungs Parenchyma 은 위와 같은 edge-overshoot 와 Kernell 효과에 의 해 경

먼쁜만。n Reconstructi on Algorithm(n=21)* 계부위의 CT 농도가 더 증가되어 나타나는 artifact 로 사

Observer Algorithm

HSFA(%) :I:I: Equal (%)** UHSFA

1 st 16(76) 5(24) 0

2nd 17(81) 4(19) 0

3rd 17(81) 4(19) 0

Total(n =63) 50(79) 13(21 ) 0

* Data reler to algorithm producing increased visual CT at­tenuation

** Equa l means that HSFA and UHSFA were judged to be 01 eq ui valent

:1:1: Visual CT attenuation was more increased on HSFA than on UHSFA(p (. 001 )

Table 3. Overali Visual Prelerence Based on Reconstruction Algorithm(n=21 )

Observer Prelerred Algorithm

HSFA(%) Equal (%)* UHSFA( %)**

1 st 6(29) 4(19) 11 (52)

2nd 2(10) 1 (5) 18(85)

3rd 6(29) 1 (5) 14(66)

TotaHn=63) 14(22) 6(10) 43(68)

* Equal means that HSFA and UHSFA were judged to be 01 equal quality

** Observers prelerred UHSFA(p(. 001)

서 HSFA는 4개의 선들이 균일한 두께로 보인 반면

UHSFA에서는 양측 외곽선이 더 두껍게 관찰되었다. 이

모형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저자들은 2개의 서로 다른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한 흉부 고해상 CT 에서 정상 및 비 정상 폐실질의 작은 구조물들이 보일 수 있는 정도는 서로

같은 반면 작은 선상 구조물들의 경계는 UHSFA에서 좀

더 두껍게 강조되어 나타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따라

서 UHSFA 에서 작은 폐실질 구조물들이 좀 더 잘 보이는

것은 HSFA에 비해 장점이 될 수있지만실제 두께보다더

과장되어 나타나는 것은 단점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

은 현상은 “ overshoot -undershoot" artifact 로 인한 것이

며 CT 영상 재구성시 좀 더 높은 공간주파수 연산을 이용 함에따라 구조물의 경계에서 부피평균화가 줄어들고

(Kernell effect) 상대 적 으로 경 계 증강 (edge enhance

ment) 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15, 16). Zerhouni (16) 등

은 Pfizer AS & E 스캐너를 이용하여 고공간주파수 연산

이용시 폐결절의 크기가작을수록결절의 CT 농도가증가

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임 (17) 등은 GE 9800 스캐너를 이

용하여 폐결절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공간주파수 연산에서

폐결절의 CT 농도가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으며 그 이유는 고공간주파수 연산에 의한 overshoot 효과가 주된 원인이

라고 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공간주파수 연산

(UHSFA)을 이용한 우리의 연구에서 모형의 작은 선상구

조물중 양측 외곽선의 경계가 두껍게 강조되어 보이는 것

료된다.

1개의 폐 표본 CT 스캔과 201경의 환자 CT 스캔에서 폐 실질 상세도는 UHSFA에서 일부(38%) 우수한 것으로 관

찰되었고, 폐실질 선예도는 UHSFA를 이용한 영상에서

모두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이즈는 51%에서

UHSFA를 사용할 때 더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 되었지만

세 관찰자 모두 전체척인 영상질에는 노이즈가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Mayo 등(13)은 GE

9800 스캐너를 이용하여 표준 연조직 알고리즘과 HSFA를

서로 비교 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공칸주파수를 이용한

HSFA에서 노이즈가 더 증가 되었지만 영상 판독에 지장

을줄 정도는아니었다고보고한바있다. 이에 비해 우리의

연구에서는 HSFA와 UHSFA 를 비교하였으므로 직접

Mayo 등의 연구와 비교할 수는 없지만 결과는 예측한 바

대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공간주파수 연산 (UHSFA) 을

이용한 영상에서 noise 가 더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영상판

독어 noise 가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정상 폐실질 부위의 실제 CT 밀도(HU) 측정치는 두 알

고리즘에서 서로 같았지만 시각적 CT 감약에서는 79%에

서 HSFA가 UHSFA에 비해 전반적으로미세한증가를보

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HSFA에서는 정상 폐실질의 폐

불투명도(Iung opacity)가 UHSFA 에 비해 안개가 낀 듯

이 어렴풋하게 증가되어 보였으며 이러한 CT 감약의 시각 적 차이는 폐실질의 병변 부위와 인접한 정상 부위와의 대

조도(contrast)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

HSFA로 재구성한 영상에서 소결절, 망상형, 젖빛 유리양

불투명도 (ground glass opacity) 등 증가된 폐 불투명도

로 보이는 병변은 인접한 정상 폐실질과 경계가 좀 더 불

명확해지고, 감소된 폐 불투명도로 보이는 폐기종 같은 병

변은 상대적으로 정상 폐실질과의 대조도가 좋아질 수 있

다. 실제로 4명의 폐기종 환자중 2명에서는 크기가 작은 중

심소엽 기종(centri lobular emphysema)의 병변 부위를

인지 하기가 HSFA를 이용한 영상에서 더 수월하였다. 그

렇지만 폐는 인체 장기중 고유 대조도(inherent contrast)

가 가장 뛰어난 곳에 속하므로(18) 이러한 미세한 대조도

의 차이가영상판독에는큰영향을미치지 않으리라고생

각된다.

전체적 인 시각적 선호도에서는 세 관찰자가 22%에서

HSFA를 선호한 반면 68%에서는 UHSFA를 선호하여

UHSFA가 시각적 선호도에서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이유는 주로 선예도와 상세도가 UHSFA에서 더 뛰어

나고 저자들의 예에서 증가된 폐음영을 보이는 질환이 상

대적으로 많아 인접한 정상 폐실질과의 대조도에서도

UHSFA 가 우월하게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척 으로 UHSFA를 이 용하면 HSFA 보다 흉부 고해

상 CT에서 폐실질의 시각적 영상의 질이 향상되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선상으로 보이는 작은 구조물들이 상

109 -

Page 6: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4 ; 30( 1) : 105- 111

적으로 좀 더 두껍게 보일 수 있다는 점과 폐기종같이 정

상 폐실질보다 낮은 CT 감약을 보이는 폐질환에서는 미세 하나마 대 조도가 낮아보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 C그 고 C그 ~

‘-헌

luse inliltrative lung disease. Part 2. Am Rev Respir Dis 1990

; 1 42 1 440-1 448

9. Webb WR. High-resolu tion CT 01 th e lung parenchyma

Rad iol Cli n North Am 1989 ; 27: 1 085-1 097

10. Zerhouni EA. Computed tomography 01 the pulmonary

parenchyma. An overview. Chest 1989; 95: 901-907

11 . Murata K, Khan A, Rojas KA, Herman PG. Optimization 01

computed tomography technique to demonstrate the line

1. Zerhouni EA, Naid ich DP, Stit ik FP, et al. Computed tom- structure 01 the lung. Invest Radio l. 1988 ; 23: 170-175

。graphy 01 the pulmonary parenchyma. 11. Interstitial dis- 12. Yoshimura H, Hatakeyama M, Otsuji H, et a l. Pu lmonary as-

ease. J Thorac Imaging 1985; 1 : 54-64 bestosis ; CT study 01 Subpleural cu rvilinear shadow. Radi-

2. Nakata H, Kim oto T, Nakayama T, et a l. Diffuse peripheral ology 1986; 158: 653-658

lung disease: evaluation by high-resolution CT. Radiology 13. Mayo JR, Webb WR, Gould R, et al. High resolution CT 01

1985 ;157 : 181 -185 the lungs:optimal approach. Radiology 1987;163:507-510

3. Müller NL, Miller RR , Webb WR , et al. Fi brosing alveolit is : 14. Zwirewich CV, Terriff B, M lI er N. High spatial Irequency

CT-pathologic correlat ion. Radi ology 1986 ; 160: 585-588. (bone) algorithm improves quality 01 standard CT 01 the

4. Munk PL, M Ile r NL, Miller RR , Ost row DN. Pulmonary thorax. AJR 1989;153:1169-1 173

Iymphangitic carcinomatosis: CT and pathologic lindings. 15. Joseph PM, Hilal SK, Schu lz RA, Kelcz F. Clinical and exper-

Radiology 1988; 705-709 imental investigation 01 a smooth ed CT reconstruction al -

5. Meziane MA, Hruban RH , Zerhoun i EA, et al. High-resol ution gorithm. Radiology 1980 ; 134 : 507-516

CT 01 the lung parenchyma with pathologic correlat ion. 16. Zerhouni EA, Spivey JF, Morgan RH , et a l. Factors

RadioGraphics 1988; 8 27-54 inlluencing quantitative CT measurements 01 solitary p비-

6. Müller NL, Mawson JB, Mathieson JR, Abbound R, Ostrow monary nodules. J Comput Ass ist Tomogr 1982; 6

DN , Champion P Sarcoidosis: correlation 01 extent 01 dis- 1075-1087 ease at CT with clin ical, lunct ional, and rad iographic 17. 1m JG , Gamsu G, Gordon D, et al. CT densitometry 01 pul

lindings. Radiology 1989; 171 613-618 monary nodules in a Irozen human thorax. AJR 1988; 150

7. Mül ler NL , Miller RR. Computed tomography 01 chronic dil- 61-66

luse inliltrative lung disease. Part 1. Am Rev Respir Dis 1990 18. Naidi ch DP, Zerhouni EA, Siegelman SS. Computed Tom

; 142 : 1206-1215 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01 the Thorax. 2nd

8. Mül ler NL, Miller RR. Computed tomography 01 chronic dil- edition . New York: Raven Press , 1991 ; 11 -12

- 110 -

Page 7: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오유환 외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초고공간 주파수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4 ; 30( 1) : 105- 111

Comparative Study between Ultrahigh Spatial Frequency Algorithm and High Spatial Frequency Algorithm in

High-Resolution CT of the Lungs

Yu Whan Oh M.D. , Jung Hyuk Kim, M.D. , Won Hyuck Suh , M.D.

Department o( Radiology , Korea University School o( Medicine

Purpose: To date, the high spatial frequency algorithm (HSFA) which reduces image smoothing and

increases spatial resolution has been used for the evaluation of parenchymal lung diseases in thin-section

high-resolution C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ultrah igh spatial frequency algorithm (UHSFA) with the high

spatial frequency algorithm in the assessment of thin section images of the lung parenchyma.

Materials and Methods: Three radi이 ogists compared the UHSFA and HSFA on identical CT images in a

line-pair resolution phantom , one lung specimen , 2 patients with normal lung and 18 patients with abnormal

lung parenchyma

Results: Scanning of a line-pair resolution phantom demonstrated no difference in resolution between two

techniques but it showed that outer lines of the line pairs with maximal resolution looked thicker on UHSFA

than those on HSFA. Lung parenchymal detail with UHSFA was judged equal or superior to HSFA in 95 % of

images. Lung parenchymal sharpness was improved with UHSFA in all images‘ Although UHSFA resulted in an

increase in visible noise, observers did not found that image noise interfered with image interpretation. The vis­

ual CT attenuation of normal lung parenchyma is minimally increased in images with HSFA. The overall visual

preference of the images reconstructed on UHSFA was considered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ose

reconstructed on HSFA in 78 % of images

Conclusion: The ultrahigh spatial frequency algorithm improved the overall visual quality of the images in

p비monary parenchymal high-resolution CT

Index Words: Lung , CT

Computed tomography, technology

Address r eprinted request to : Yu Whan Oh,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Korea University Hospital 126-1, 5- ka, Anam- dong, Sungbuk-ku, Seoul 136-705, Korea

Page 8: 연산과 고공간 주파수 연산 기법의 비교연구1 - KoreaMed...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 : 105-111 흉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초고공간

1994년도 국제 학술대회 일정표 [ill]

1994/04/24 - 29 94th Meeting American Roentgen Ray Society venue: Hi1ton Hotel New Orleans, LA, USA.

contact: American Roentgen Ray Soc, 1891 Preston White Orive, Reston, V A 22091 , USA

(tel: 1-703 - 6488992 ; fax: 1 -703 - 2648863) [ RA0077J

1994/04/28 - 이 Annual Meeting Society for Pediatric Radiology venue : Broadmoor Hotel Colorado Springs, C, USA

contact: Univ. of colorado, Oep t. of Radiology, 4200 East Ninth Ave., Oenver, CO 80262, USA. (tel: 1-303-2704512; fax:

1994/04/29-30 5th Annual Congress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Urology venue : Goteborg, Sweden.

contact : O r. P. Mouriquand, Mar f1eet Close 1, Great Shelford, Cambridge CB2 5LA, United Kingdom. (tel : 44 - 223 - 844362; fax: 44 - 223 - 844387) [ 002852 J

1994/04/30-05 Annual Meeting Ass. Univ. Radiologists/Soc. Chairmen of Academic Rad. Depts

venue : Westin Hotel Boston, USA.

contact: Sheila A. Aubin, Ass. of Univ. Padiologists, 1891 Preston White Orive, Reston, VA 22091 , USA. (tel: 1 -703 - 6488900 ; fax:

1994/05 /00 - 00 Esdir Seminar - Diagnostic Imaging of Renal and Adrenal Pathology

venue : Sophia, Bulgaria

contact: O r. Z. Tonchev, Boul G. Sofiisky 3, 1606 Sofia, Bulgaria

(te1: 359-2-51541 ; fax : [000865 J

1994/05 1이 -06 32nd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uroradiology venue : Opryland Hotel Nashville, Tennessee, USA.

contact: Ms. Bonnie Mack, AM . Soc. Neuroradiology, 2210 Midwest Road, s. 207, Oak Brook, IL 60521 , USA. (tel: 1 -708 - 5740220; fax: 1 -708 - 574066 1)

1994/05 /23 - 25 52nd Annual Congress British Institute of Radiology venue: Harrogate, United Kingdom.

contact: BIR, 36 Portland Place, London WIN 4AT, United Kingdom. (tel :44-71-5804085; fax:44-71-2553209) [RA0074J

제공 : 대한 방사선의학회 국제협력위원회

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