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8

Click here to load reader

Upload: techsuda

Post on 12-Jun-2015

614 views

Category:

Technology


3 download

DESCRIPTION

2009, 07, 15. 대한민국 지식경제부 “전기먹는 하마”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그린화 대책 발표했다. 데이터센터와 전기 문제를 심층 연구해 제시한 첫번째 정부 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아주 켰다. 또 데이터센터와 전기 문제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하고 국내 현황도 파악해 전달해준 아주 소중한 기초 데이터다. 2006년, 2007년 데이터센터와 전기 문제를 집중 다뤘고 그 덕분에 정부가 제대로 방향을 잡고 선행연구를 하고 정책을 마련하게 되어 취재했던 기자로서 가슴이 참 뿌듯했다.

TRANSCRIPT

Page 1: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1 -

보도자료 http://www.mke.go.kr

2009년 7월 16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정보통신산업과 양병내 과장, 도화선 주무관(02-2110-4808)

“전기먹는 하마”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그린화 대책 발표

- 통합솔루션 기술개발 등에 총 417억원 투자,

그린 IDC 인증제 도입, 그린 PC방 시범사업 추진 -

□ 지식경제부(장관 이윤호)는 16일, 에너지절감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이슈가 제기되고 있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전력소비량을 획기적

으로 줄이기 위해「차세대 IDC 그린화 추진방안」을 수립․발표하였음

□ 현재 국내 IDC는 약 70개로, 최근 IT인프라의 양적 확장에 따라

전력사용량은 최근 3년간 연평균 45% 증가하여 ‘08년 11.2억

Kwh의 전력이 소비되었음

* 전체 전력 소비량 3,850억Kwh('08년)의 0.3%에 해당하며, 울산광역시(인구

111만명) 가정용 전력소비량(12.6억Kwh)과 유사

** ‘09년에는 15.1억K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대형 IDC 1개의 연간 전력사용량은 약 6만MWh로,

- 5개의 대형 IDC가 9만 가구 규모의 경기도 광주시 가정용

전력사용량과 유사한 전력을 소비

* 국내 1가구당 연간 전력사용량은 약 3.5MWh('08년 기준)

ㅇ IDC는 수많은 서버 장비뿐만 아니라 안정성․신뢰성 보장을 위한

2중 전원시설, 냉각장비, 공조시설 등이 24시간 가동됨에 따라

- 냉각비용을 포함한 전기료가 IDC 전체 운영비용의 1/3 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사업자에 큰 부담이 되고 있음

□ 이에 정부는 “전기먹는 하마”로 불리우는 IDC의 전력사용량을

‘13년까지 30% 절감하기 위해 IDC의 그린화에 ‘13년까지 5년간

총 417억원을 지원할 계획

ㅇ 또한 ’10년에 그린 IDC 인증제 를 도입함과 아울러 작은 IDC

규모인 PC방 그린화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하였음

- 2 -

□ 세부적인 정책과제로 첫째, IDC 그린화를 위한 기술경쟁력 확보를

적극 지원

ㅇ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인 고효율저장장치,

그린웨어 등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 고효율 직류(DC)변환장치, 고효율 냉난방 관리 시스템, 전력관리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고성능(SSD)스토리지 등

ㅇ IDC 전체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레고형 그린 IDC 통합 솔루션

개발을 추진(‘13년까지 총 217억원 지원)

* 그린 IDC 통합 솔루션 및 IDC 규모와 서비스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레고형 패키지 솔루션 개발

□ 둘째, 그린 IDC의 조기 산업화를 위해 테스트베드 구축, 표준화

지원, 인증제 도입 등의 인프라를 구축

ㅇ IDC 그린화 기술의 안정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R&D와 연계하여 표준화 추진

- KT 목동 IDC에 민관매칭으로 그린 IDC 테스트베드를 구축

('09.7월)하여 ‘13년까지 총 81억원 지원

ㅇ 그린 IDC 인증제 및 인센티브 마련을 통해 그린 IDC 장비의

사용 촉진

- 시행이 보다 용이한 서버, 스토리지 등 IDC 장비 인증제도를

‘10년 상반기 중에 도입하고, 센터단위의 IDC 시스템 인증

제도는 ’11년 중으로 추진

- 그린 IDC 인증 장비를 사용하거나, 그린 IDC로 인증받는 경우

조달청 우선구매, IDC 사업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 다양한

인센티브 지급 추진

Page 2: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3 -

* 미국의 경우 Energy Star, 80 Plus(고효율전원공급장치인증) 제도를 운영

중이며, 건물에 대해서는 US GBC(Green Building Council)의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인증제도 운영 중

□ 셋째, 그린 IDC의 확산 촉진을 위한 보급사업 추진

ㅇ 행안부 및 관련기관 간 협의를 통해 공공기관 시범사업을 추진

하여 공공부문에서 그린 IDC를 선도적으로 추진

ㅇ 아울러 중점 시범사업으로 ‘09년 4/4분기부터 작은 IDC 규모로

전력소비량이 많은 PC방의 그린화 시범사업을 추진

- 기존/신규 PC방에 그린 PC방 솔루션을 개발․도입하여 전력

낭비 개선, 관리효율성 증대, 발열과 소음 감소로 쾌적한

PC방 환경 구축

현재 PC방 그린화된 PC방

▪ 비위생적이고 소음이 심함 ▪ 깨끗하고 소음이 적음

▪ 전력 낭비가 많음 ▪ 전력의 효율적 사용▪ 보수․관리 어려움 ▪ 보수․관리 용이

- PC방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사업 추진

․그린 PC방 솔루션 도입 비용 및 내부 설비 구축비용의 일부를지원(정부-지자체-민간 매칭 사업으로 추진)

‘09년 ‘10년 ‘11년 ‘12년▪프로토타입 제작

▪시범사업: 5개 PC방

(4/4분기)

▪상용 시스템 설계

▪시범사업: 30개

(상용 프로토타입)

▪상용 시스템 구현

▪시범사업: 100개

(상용 PC방 시스템)

▪차세대 PC방 적용

▪시범사업: 100개

(진화된 PC방 시스템)

- 아울러, ‘10년 상반기에는 그린 PC방 인증제도 를 도입하여

그린 PC방의 확산을 유도할 계획임

ㅇ 이와 같은 그린 PC방 사업으로 인해 30%의 전기요금 절감이 기대됨

- 50대 사용 PC방의 경우, 기존 PC방 대비 연 54.7MW 전력소모 감소

(30%) 및 연 547만원 비용 절감(30%), 연 23톤 CO2 발생량 감소

- 4 -

[그린 PC방 개념도]

붙임 : 차세대 IDC 그린화 추진방안

Page 3: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차세대 IDC 그린화 추진방안

【붙임】: 차세대 IDC 그린화 추진방안 세부내용

2009. 7.

지 식 경 제 부

목 차

Ⅰ. 추진 배경 1

Ⅱ. 그린 IDC 국내외 현황 및 경쟁력 분석 3

Ⅲ. 그린 IDC 발전 비전 및 목표 4

Ⅳ. 주요 추진과제 5

1. 신규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경쟁력 확보 5

2. 조기 산업화를 위한 지원 인프라 구축 6

3. 그린화 확산 촉진을 위한 보급 사업 추진 8

<참고자료> 10

□ IDC 전력 소모 및 센터 증가 현황

Page 4: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1 -

I. 추진 배경

1. IDC 개요 및 현황

□ IDC 정의

ㅇ IDC(Internet Data Center)는 인터넷 사업 및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인 설비인프라(전원 등), 시스템(H/W, S/W 자원), 인터넷

접속과 운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 IDC 유형별 분류

① (상용데이터센터*) 일반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서버 호스팅,

코로케이션** 등의 서비스를 실시

* 협의의 의미로 통상적으로 IDC로 불리고 있음** 코로케이션(Colocation): 장비 및 설비 위탁관리*** 대표기업: KT, LG Dacom, SK브로드밴드, 호스트웨이 등

② (데이터센터) 중앙집중식 환경의 전용건물에 기업망 중심의

내부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대표기업: 삼성SDS, LG CNS, SK C&C 등

□ 국내 IDC 시장 현황

ㅇ 국내 IDC는 약 70개이며 서비스 시장 규모는 ‘08년 약 7,850억원

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IDC집중화로 연평균 25% 성장中

- KT는 수요증가에 따라 ‘08년 목동 IDC센터를 대폭 확장하였으며, LG CNS도 부평과 상암센터에 이어 ’09년 구로센터 신축

* (미국) ‘07년 210억달러 규모(추정)로 2005년(161억달러) 대비 연평균 14% 증가

* (일본) ‘07년 9,023억엔 규모로 2012년 1조 4,552억엔 규모로 증가 예상

ㅇ 유형별로는 코로케이션 형태가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버호스팅 형태가 30%를 차지

* 관련 산업인 서버(server)의 국내 시장은 연간 1조4천억원, 스토리지

(storage) 국내 시장은 연간 9천억원 규모로 추정

- 2 -

2. IDC 문제점 및 주요이슈

□ IDC는 에너지 과소비 건물 (“전기먹는 하마”)

ㅇ IDC는 수많은 서버장비뿐만 아니라 안정성․신뢰성 보장을 위한

2중 전원시설, 냉각장비,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시설등이 24시간 가동

ㅇ 이에 따라 전기료 및 냉각 비용이 IDC 전체 비용의 1/3 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이 문제는 모든 사업자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

* ‘08년 IDC 전력소모량은 11.2억 Kwh 으로, 이는 울산광역시(인구111만명)

가정용 전력소비량(12.6억 Kwh)과 유사

** ‘09년에는 15.1억 K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IT인프라의 양적 확장에 따른 전력사용량 급증

ㅇ 인터넷 사용 및 관련 서비스의 증가 등으로 주요 업체들은

신규 IDC를 건립하거나, 규모를 확대중

* 기존 대규모 IDC는 5층 내외인데 비해 최근 신축 건물은 10층을 상회

ㅇ 이에 따라 서버․스토리지 등 인프라의 양적 확장 및 서버

운영, 공조(냉각) 최적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급속히 증가중

* ‘06~’08년간 국내 IDC 전력사용량 연평균 증가율 45%

□ 에너지 非효율적인 IDC 장비

ㅇ 과거 IDC 장비는 전력효율보다는 프로세스 파워에 집중

ㅇ 이에 따라 관련 장비인 서버 CPU 평균 사용률은 8~15%,

스토리지 평균 사용률은 45% 수준으로 에너지 非효율적인 상황

☞ 앞으로 전기요금 인상 등 에너지 요인이 중요한 상황에서

IT 산업과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고효율․저전력 장비 및 솔루션

도입, 전력설비 개선 등 IDC의 그린化가 매우 시급한 과제

Page 5: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3 -

Ⅱ. 그린 IDC 국내외 현황 및 경쟁력 분석

1. 그린 IDC 관련 국내외 동향

ㅇ NTT(日), IBM(美) 등은 IDC에서의 전력손실 최소화를 위해 IDC

배전의 DC(직류)로의 교체, 그린 컴퓨팅 기술개발 등을 추진중

* NTT는 IDC의 배전을 DC로 교체, 1억kWh(일반가정 3만가구 연간소비량,석유 6만5천 드럼)의 소비전력과 35,000t의 CO2 배출량 절감 추진중

**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는 AC(교류)배전을 DC(직류)로 전환하기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중

ㅇ 국내 KT는 남수원 IDC에 48V DC 배전化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해

8~9% 가량 전력 소비가 향상되었지만 상용화 수준에는 미흡

2. 국내 산업의 경쟁력 현황

□ 장비 및 솔루션의 높은 대외 의존도

ㅇ 기술 선점 및 독과점 기업의 시장 지배에 따라 IDC 핵심장비인

서버의 97%, 스토리지의 100%를 외산이 독식

* 서버시장은 HP, IBM, SUN, Dell 등 주요 4개사에의해시장독과점체제 형성** 스토리지시장은EMC, Hitachi, HP 등주요3개사가전체시장의70%이상을독점

ㅇ 기술경쟁력이 약한 국내 IDC 업체들은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독자적인 솔루션 개발 노력보다는 외산장비 활용에 치중

* 국내는 삼성전자, 이슬림, 유니와이드 등 소수의 토종 산업체만 존재

□ 신규시장 진입을 위한 경쟁력 확보 필요

ㅇ 서버, 스토리지 등은 원천기술 부재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한계

ㅇ 다만, 신규시장으로 부각되는 그린시장에 특화된 핵심기술 확보,

제품화 등을 통해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가 가능

- 4 -

Ⅲ. 그린 IDC 발전 비전 및 목표

그린 IDC 발전 비전

IDC 그린화를 통한 녹색성장 실현

목 표■‘13년까지 IDC 전력사용량 30% 절감(’08년 약 1,100Gwh)

■'13년까지 IDC 장비 선진화율 10% 달성(‘08년 2%)

추진

전략

경쟁력 확보

가능 분야

그린화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기술/제품

개발 및 상용화

산업경쟁력

제고

경쟁력 확보

불가능 분야

외산 중 고효율 제품

사용 유도

에너지

절감

추진

과제

기술경쟁력 확보① 그린화 기술을 접목한 원천기술개발

② 그린 IDC 통합 패키지 상품화

산업지원

인프라 구축

③ 그린 IDC 테스트베드 구축

④ 표준화 추진

⑤ 그린 IDC 인증제 도입

그린화 확산

보급 사업 추진

⑥ 공공기관 시범사업 추진

⑦ 그린 PC방 시범사업 추진

Page 6: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5 -

Ⅳ. 주요 추진과제

1 신규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경쟁력 확보

◇ 그린화 기술을 접목한 IDC 장비 및 솔루션 원천 기술 개발 추진

◇ 패키지 제품화를 통한 국내외 시장 창출 도모

ꊱ 그린화 기술을 접목한 원천기술 개발로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

ㅇ 그린컴퓨팅 인프라 기술, 자원관리 기술, 솔루션 및 스토리지개발 등 경쟁력 확보 가능 분야에 전략적 R&D 추진

* 재원소요: ’09~’13까지 R&D에 총 175억원 지원

** 현재우리나라는고효율저장장치, 그린웨어, 고효율IDC인프라부분등에서경쟁력보유

ㅇ 서버 가상화 관리 SW 및 스토리지․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개발등 가상화(Virtualization)를 통한 클라우드컴퓨팅 기반 구축(‘09년 115억)

ꊲ 그린 IDC 통합 패키지 제품화를 통한 신규시장 창출

ㅇ IDC 전체 전력 소모를 줄이는 통합 솔루션 상용화 개발

* 하드웨어 레벨의 전력절감 기술, 전력절감 소프트웨어, 새로운 냉각방식 등이통합된 그린화 패키지 솔루션

ㅇ IDC의 규모 및 서비스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레고형패키지 솔루션 개발

* 재원소요: ’10~’13까지 상용화 R&D에 총 42억원 지원

⇒ 그린화 기술의 국가경쟁력 확보 및 타산업 그린화 선도

- 6 -

2 조기 산업화를 위한 지원 인프라 구축

◇ 개발된 기술의 안정성․신뢰성 시험 등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표준화 지원, 인증제 추진 등 인프라 체계 구축

ꊳ 그린 IDC 테스트베드 구축

ㅇ 산·학·연에서 개발된 기술들을 통합적으로 시험․검증하여 기술의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

* KT 목동IDC(1층, 30~40평 규모)에 민관매칭으로 테스트베드를 구축(’09.7월~)

** 재원소요: ’09~’13까지 총 81억원 지원

ㅇ 에너지 절감을 위한 최적 솔루션에 대한 가이드라인 확보

< 테스트베드 구축 주요 내용 >

① 테스트베드 구축 환경 상면 확보

② DC 배전체계 구축

③ 전력 절감 지원 가상화 엔진 기술 도입

④ 전력 절감 운영 소프트웨어 도입

⑤ 관련 솔루션의 국산화 타당성 및 상호운용성 분석

⑥ 외산제품과의 벤치마킹 테스트 실시

ꊴ 그린 IDC 표준화 추진

ㅇ 그린 IDC 전력공급 시스템, 에너지 사용 모니터링, 자원관리기술, 그린 IDC 성능 시험규격 등 표준 개발

* R&D와 연계하여 표준화 연구개발 추진(‘10~’13, 14억원)

** 표준화기구 ITU-T에서는 ‘09년 10월부터 Power Feeding 관련 표준화착수예정

*** ITU-T, IEC, ETSI, ATIS, ECMA 등 국제표준화 기구는 네트워크 통신 장비에

대한 전력 효율화, 에너지 측정, 서버 요구사항 등의 표준 개발 중

Page 7: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7 -

ꊵ 『그린 IDC 인증제』 도입 추진

◇ 단계적 추진 : 시행이 보다 용이한 IDC 장비에 대한 인증제도를

먼저 도입한 후, 센터 단위의 IDC 시스템 인증제도 도입

① IDC 장비 인증(‘10년 상반기)

ㅇ 서버, 라우터 등 표준 제정이 가능한 개별 IT장비에 대해서 고효율

기자재인증 또는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대상 품목으로 추가

* 인증대상장비(예) : 랙냉방기, 서버, 스토리지, 라우터등

* 미국의 경우 Energy Star, 80 Plus(고효율전원공급장치인증) 제도 운영 중

ㅇ 이 경우 조달청 우선구매, IDC사업자의 장비 설치시 보조금

지원(예시: 설치자금 융자, 장려금 등) 등 인센티브 가능

- 또한, 기존 IDC 설비 교체의 경우 IDC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사용자

(End-user)의 불만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방안 검토(예시: 사용료 감면)

② 센터단위의 IDC 시스템 인증(‘11년~)

ㅇ 데이터센터 단위로 에너지절감기준 마련, 평가 툴 개발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시스템 표준 마련을 추진

* 미국의 경우 US GBC(Green Building Council)의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인증제도 운영 중

** 우리나라에서는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 운영 중이며, 인증 건물에 대해

취․등록세 감면, 건축기준 완화,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융자 지원 중

ㅇ IDC 신규구축 및 기존센터 효율화시 보조금 등 인센티브방안 강구

⇒ 고효율 장비 사용 유도를 통해 ‘13년까지 PUE 1.5 수준(현재

한국 평균 2.5~2.0)으로 IDC 장비의 에너지효율성 제고

* PUE(Power Usage Effectiveness): 美 green grid에서 개발한 에너지효율성 지표

=Total Facility Power(총 전력량)

IT Equipment Power(IT장비 사용전력)

- 8 -

3 그린화 확산 촉진을 위한 보급 사업 추진

◇ 공공기관 우선 적용, 그린PC방 시범사업 등을 통해 그린IDC의

민간 확산 및 그린기술의 타산업 연계 확산 도모

ꊶ 공공기관 시범사업 추진

ㅇ 정부통합전산센터, 공공건물의 전산실을 중심으로 시범 적용

하여 정부 차원에서 그린 IDC 선도적 추진

- 행안부, 관련기관 간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계획 마련(‘09년말)

ㅇ 그린 IDC협의회 회원사 시범적용 등을 통해 민간으로 확대 유도

ꊷ 그린 PC방 시범사업 추진

ㅇ 작은 IDC 규모로 PC 다보유 대표시설인 PC방 그린화 추진을 통해

그린화 기술의 타산업과의 연계모델 제시 및 PC업계의 그린화 촉진

현재 PC방 그린화된 PC방

▪ 비위생적이고 소음이 심함 ▪ 깨끗하고 소음이 적음

▪ 전력 낭비가 많음 ▪ 전력의 효율적 사용▪ 보수․관리 어려움 ▪ 보수․관리 용이

ㅇ PC방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사업 추진

- 이 경우 그린 PC방 솔루션 도입 비용 및 내부 설비 구축 비용의일부를 지원(정부-지자체-민간 매칭 사업으로 추진)

‘09년 ‘10년 ‘11년 ‘12년▪프로토타입 제작

▪시범사업: 5개 PC방

(4/4분기)

▪상용 시스템 설계

▪시범사업: 30개

(상용 프로토타입)

▪상용 시스템 구현

▪시범사업: 100개

(상용 PC방 시스템)

▪차세대 PC방 적용

▪시범사업: 100개

(진화된 PC방 시스템)

ㅇ 그린 PC방 인증제도 도입(‘10년 초)

< 기대효과 >

▪ 50대 사용 PC방의 경우, 기존 PC방 대비- 연 54.7MW 전력소모 감소(30%) 및 연 547만원 비용 절감(30%),

연 23톤의 CO2 발생량 감소

Page 8: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 9 -

< 참고 : 국내 PC방 인프라 그린화 세부 방안 >

ㅇ 국내 상업용 PC방 시설 증가에 따라 PC방의 전력소비, 유지 및

관리비용 증가

* 전국 PC방 점포는 2만여 곳이며, PC 보급 대수는 백만대 초과

* 한여름 PC 50대 + 에어컨 2대 기준 전기요금 150만원/월

ㅇ 에너지 절감 및 PC방 구축․운영비가 절감되는 그린 PC방

솔루션 개발 및 도입 등 추진

* 그린 PC방 솔루션 주요 내용

- 그린 PC 사용(DC 전원, 저전력 프로세서 등 탑재)

- 격리 배치된 랙 타입 PC시스템

- 자율 전력 관리(미사용 PC 전력 자동 차단 등)

- 사용자 동적 관리(사용 유형에 따른 자원 할당 등)

- 유해한 콘텐츠 다운로드 차단 등 그린 콘텐츠 관리

⇒ 전력 낭비 개선, 관리효율성 증대, 발열과 소음 감소로

쾌적한 PC방 환경 구축

ㅇ 그린 PC방의 확대를 위해 시범사업 추진(‘09~)

- 시범적용 업체를 선정하여 그린 PC방 솔루션을 적용해봄으로써

그린화 기술 적용 전후 분석 실시

-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그린 PC방 확대 추진

- 10 -

【참고】IDC 전력 소모 및 센터 증가 현황

□ 국내 주요 IDC의 전력소모량은 ‘06~’08년까지 연평균 45% 증가,

‘08년 11.2억Kwh 소비

ㅇ 이는 전체 전력 소비량 3,850억Kwh('08년)의 0.3%에 해당하며, 울산

광역시(인구111만명) 가정용 전력소비량(12.6억Kwh, ‘08)과 유사* C사 IDC 1개 전력소모량 = 6,300만Kwh

** 전세계 IDC 전력사용량은5년마다2배씩증가, ‘11년1,000억Kwh 예상(파리市 16년사용)

< 주요 IDC 전력사용량 추이 >(단위 : MWH)

전력사용량 07년도

증가율

08년도

증가율

평균

증가율‘06 ‘07 ‘08

A사 120,077 145,443 178,627 21% 23% 22%

B사 25,808 38,471 47,811 49% 24% 37%

C사 23,129 30,854 63,000 33% 104% 69%

D사 23,955 40,718 46,468 70% 14% 42%

* 출처 :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09)

ㅇ 전력소모량 증가에 따른 전기료 납입 규모도 급격히 증가

- A사의 전기요금은 ‘06~’08년까지 평균 23% 증가하여 ‘09년 175억원 예상

(단위: 억원)

구 분 ‘06 ‘07 ‘08 ‘09(예상)

전기료납입요금 94.4 114.3 141.3 174.7증가율 - 21% 24% 24%

□ 또한, 고객서비스 및 신규 수요 확대에 따라 정부, 기업 등에서

기존 IDC의 확장, 신규 IDC 건립으로 IDC는 지속적으로 증가 예상

< 주요 IDC 신축 현황 >

년도 신축 현황 및 예정2007 정부통합전산센터(광주), LG CNS(상암), 롯데정보통신(구로)2008 KT(목동), 온세텔레콤(분당), 아시아나IDT(강서), CJ시스템즈(성남)

2009~(예정)LG데이콤/LG CNS(구로), 동부 CNI(용인 죽전), 한화 S&C,

우리금융정보시스템, 국민은행, 더존IT-산업은행 등

ㅇ 기존 대규모 IDC는 5층 내외인데 비해 최근 신축 건물은 대부분 10층을 상회

ㅇ IDC 상면면적 증가: ‘07년 33,000㎡ 증가 → ’08년 36,000㎡ 증가* IDC 전체 상면면적(추정): ‘06년 392,800㎡ → ’07년 425,800㎡→ ’08년 46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