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108
2 0 1 2 발간등록번호 ( (뒷면아래) 국립환경과학원 http://www.nier.go.kr

Upload: others

Post on 30-Dec-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012년도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

국립환경과학원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110-0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

(A planning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 emission factor for atmospheric

emission sources)

- 최종보고서 -

2012.11

NIER-SP2012-091

(뒷면아래)

국립환경과학원 http://www.nier.go.kr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

사업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 11

연 구 기 관 :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간 : 2012.05.15 - 2012.11.14

연 구 책 임 자: 이우근 (강원대학교)

연 구 보 조 원: 최수철 (강원대학교)

손영금 (강원대학교)

김예슬 (강원대학교)

김 봄 (강원대학교)

Page 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i

목 차

목차 ······················································································ⅰ

요약문 ··················································································ⅻ

제 1장 서 론 ·······································································1

Ⅰ.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Ⅱ. 연구 목표 및 방법 ·········································································6

1. 연구목표 ···································································································6

2. 연구내용 및 방법 ···················································································7

2.1 국내외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7

2.2 VOCs 배출원에 대한 외국 정책사례 조사 및 저감방안 검토 ··········9

2.3 오존 관리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VOCs 배출원 분류 및 VOCs

관리정책에 대한 향후 연구계획(로드맵) 검토 ···········································10

제 2장 연구 결과 ····························································11

Ⅰ. 국내외 VOCs 배출원별 배출량 비교 및 국내 배출량 신뢰도

평가 ········································································································11

1. 국내 VOCs 배출량 ·············································································11

1.1 인위적 배출원 ····························································································11

1.1.1 에너지산업 연소 ·····························································································12

1.1.2 비산업 연소 ·····································································································14

1.1.3 제조업 연소 ·····································································································16

1.1.4 생산 공정 ···········································································································18

1.1.5 에너지수송 및 저장 ·······················································································20

1.1.6 유기용제 사용 ···································································································20

ii

1.1.7 도로이동오염원 ·································································································22

1.1.8 비도로 이동오염원 ···························································································24

1.1.9 폐기물 처리 ·····································································································25

1.1.10 기타 면오염원 ·································································································25

1.2 자연배출원 ··································································································26

2. 미국 VOCs 배출량 ···············································································27

2.1 인위적 배출원 ····························································································27

2.1.1 연료연소 ···········································································································28

2.1.3 도로이동오염원 ·································································································30

2.1.4 비도로 이동오염원 ···························································································30

2.1.5 유기용제 ···········································································································31

2.1.6 화재 ·····················································································································32

2.1.7 농업 ···················································································································32

2.1.8 원유시설・주유소 ·····························································································33

2.1.9 기타 비산업 ·······································································································33

2.1.10 폐기물 처리 ·····································································································34

2.2 자연 배출원 ································································································34

3. 유럽의 VOCs 배출량 ···········································································35

3.1 인위적 배출원 ··························································································35

3.1.1 연료 연소 ·········································································································35

3.1.2 비도로 이동오염원 ···························································································36

3.1.3 도로이동오염원 ·································································································37

3.1.4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38

3.1.5 산업공정 ·············································································································39

3.1.6 유기용제 사용 ···································································································41

3.1.7 농업 ·····················································································································43

3.1.8 폐기물 ·················································································································45

3.1.9 기타 면오염원 ···································································································47

3.2 자연 배출원 ································································································47

4. 국내 배출량 신뢰도 평가 ·································································48

4.1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48

4.1.1 연료 연소 ···········································································································48

Page 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iii

4.1.2 생산 공정 ···········································································································49

4.1.3 에너지 수송 및 저장 ·······················································································49

4.1.4 유기용제 사용 ···································································································50

4.1.5 도로이동오염원 ·································································································50

4.1.6 비도로 이동오염원 ···························································································51

4.1.7 폐기물 처리 ·······································································································51

4.1.8 기타 면오염원 ···································································································52

4.2 국내 VOCs 배출원의 DARS 평가 ·························································53

4.2.1 DARS(Data Attribute Rating System) 평가 ···············································53

4.2.2 국내 배출원의 DARS 평가 결과 ···································································54

Ⅱ.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방안 ·· 57

1.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검토 ·······························································57

1.1 에너지산업 연소 ······················································································58

1.2 비산업 연소 ································································································61

1.3 제조업 연소 ································································································63

1.4 생산 공정 ····································································································64

1.4.1 석유산업공정 ···································································································65

1.4.2 제품생산 ·············································································································65

1.5 에너지 수송 및 저장 ················································································73

1.6 유기용제 사용 ····························································································74

1.6.1 도장시설 ·············································································································74

1.6.2 세정시설 ·············································································································75

1.6.3 세탁시설 ·············································································································76

1.6.4 기타 유기용제사용 ·························································································76

1.7 도로이동오염원 ··························································································79

1.8 비도로 이동오염원 ····················································································80

1.8.1 농업기계 ·············································································································80

1.8.2 건설장비 ·············································································································81

1.8.3 철도 ·····················································································································83

1.8.4 항공 ·····················································································································84

1.8.5 선박 ·····················································································································85

1.9 폐기물 처리 ······························································································86

1.10 기타 면오염원 ··························································································86

iv

2. 배출량 신뢰도 향상을 위한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방향 ·············87

2.1 연료 연소 ····································································································87

2.1.1 배출원 목록비교 ·····························································································87

2.1.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88

2.2 생산 공정 ····································································································93

2.2.1 배출원 목록비교 ·······························································································94

2.2.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96

2.3 에너지 수송 및 저장 ············································································100

2.3.1 배출원 목록비교 ···························································································100

2.3.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101

2.4 유기용제 사용 ··························································································102

2.4.1 배출원 목록비교 ···························································································102

2.4.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103

2.5 폐기물 처리 ····························································································109

2.5.1 배출원 목록비교 ···························································································109

2.5.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110

2.6 기타 면오염원 ··························································································111

2.6.1 배출원 목록비교 ···························································································111

2.6.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112

2.7 농업 ············································································································113

2.8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방향 ··································································114

Ⅲ. 국내외 VOCs 관리현황 ···························································116

1. 국내 VOC 저감 대책 ········································································116

1.1 국내의 VOCs 정의 ················································································116

1.2 국내의 VOCs 저감 대책 ······································································118

1.2.1 사업장 부문 ·····································································································118

1.2.2 면오염원 부문 ·································································································118

1.2.3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118

1.2.4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 ···············································································118

Page 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v

2. 국외 VOCs 저감 대책 ·······································································120

2.1 미국의 VOCs 관리 현황 ········································································120

2.2 유럽의 VOCs 관리 현황 ········································································122

2.3 일본의 VOCs 관리 현황 ········································································125

Ⅳ. 대기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한 VOCs 관리방향 ·················127

1. 국외 POCP를 고려한 오존생성기여도 ··········································130

1.1 미국 ············································································································130

1.2 영국 ············································································································131

2. 국내 POCP를 고려한 오존생성기여도 ··········································132

3. 수도권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 및 POCP기여도 ····················135

3.1 서울시 ········································································································135

3.1.1 도로이동오염원 ·······························································································136

3.1.2 유기용제 사용 ·······························································································137

3.2 인천시 ········································································································138

3.2.1 도로이동오염원 ·······························································································139

3.2.2 유기용제 사용 ·······························································································139

3.3 경기도 ········································································································140

3.3.1 도로이동오염원 ·······························································································141

3.3.2 유기용제 사용 ·······························································································142

4. 대기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한 VOCs 관리방향 ···························143

Ⅴ. VOCs 배출량 산정개선을 위한 연구방향 및 로드맵 ·········144

1. VOCs 인벤토리 업데이트 주기 제안 ···········································144

1.1 인벤토리 업데이트 필요성 ··································································145

1.2 업데이트 주기 제안 ················································································145

vi

2. 향후 연구계획 로드맵 ·······································································146

2.1 VOCs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147

(1) 석유제품 산업의 석유정제 공정별 배출계수 개발연구 ···························147

(2)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발 연구 ·····································148

(3) 도장시설별 배출계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연구 ·············149

(4) 세정시설의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150

(5)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151

(6)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152

(7) 산림에서의 VOCs 배출계수 및 자연배출원 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연구 ··153

(8) 누락 VOC 배출원 및 배출계수 개발 연구 ················································154

(9) 농업 부문의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연구 ·····························155

2.2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관리방안 연구 ·······································156

2.3 VOCs 관리 로드맵 ··················································································157

제 3장 참 고 문 헌 ······················································158

Page 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vii

표 차 례

<표 1-1> 국가별 오염물질 배출량 비교 ·····························································································1

<표 1-2> 수도권 지역의 PM10, NOx 농도 ······················································································2

<표 1-3> 연도별 오존주의보 발령 현황 ·····························································································3

<표 1-4> 수도권의 오존주의보 발령횟수(2007년~2010년) ······························································3

<표 1-5> 수도권 ‘07~’09년 오염물질별 삭감계획 및 실적 ·····························································5

<표 1-6> 목표 대기질 달성을 위한 배출허용총량 ···········································································6

<표 2-1> 에너지산업 연소 부문 VOCs 배출량 (‘09) ·····································································13

<표 2-2> 비산업 연소 부문 VOCs 배출량 ('09) ·············································································15

<표 2-3> 제조업 연소 부문 VOC 배출량 ('09) ···············································································17

<표 2-4> 생산 공정 부문 VOCs 배출량 ('09) ·················································································19

<표 2-5> 에너지수송 및 저장 부문 VOCs 배출량 ('09) ·····························································20

<표 2-6> 유기용제 사용 부문 VOCs 배출량 ('09) ·········································································21

<표 2-7>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09) ·····································································22

<표 2-8>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09) ·······························································24

<표 2-9> 폐기물 처리 부문 VOCs 배출량 ('09) ·········································································25

<표 2-10> 기타 면 오염원 VOCs 배출량 ('09) ···············································································26

<표 2-11> 자연오염원의 VOCs 배출량(‘00) ·····················································································26

<표 2-12> 연료 연소 부분의 VOCs 배출량 ·····················································································28

<표 2-13> 산업 공정 부분의 VOCs 배출량 ·····················································································29

<표 2-14>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 ···········································································30

<표 2-15>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 ···································································31

<표 2-16>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VOCs 배출량 ·············································································31

<표 2-17> 화재 부문의 VOCs 배출량 ·······························································································32

<표 2-18> 농업 부문의 VOCs 배출량 ·······························································································32

<표 2-19> 원유시설・주유소 부문의 VOCs 배출량 ·······································································33

<표 2-20> 기타 비산업 부문의 VOCs 배출량 ·················································································33

<표 2-21> 폐기물 처리 부문의 VOCs 배출량 ·················································································34

<표 2-22> 식생 부문의 VOCs 배출량 ·······························································································34

<표 2-23> 연료 연소 부문의 VOCs 배출량 ·····················································································36

<표 2-24> 비도로 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 ···············································································37

<표 2-25> 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 ···················································································38

<표 2-26>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부문의 VOCs 배출량 ·······························································38

<표 2-27> 광물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39

<표 2-28> 화학물질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40

<표 2-29> 금속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40

<표 2-30> 기타 생산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41

<표 2-31> 도료사용 부문의 VOCs 배출량 ·······················································································42

<표 2-32> 세정 및 세탁부문의 VOCs 배출량 ·················································································42

viii

<표 2-33> 화학제품 부문의 VOCs 배출량 ·····················································································43

<표 2-34>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VOCs 배출량 ···································································43

<표 2-35> 분뇨 관리부문의 VOCs 배출량 ·······················································································44

<표 2-36> 농업 토양부문의 VOCs 배출량 ·······················································································44

<표 2-37> 노천 소각부문의 VOCs 배출량 ·······················································································45

<표 2-38> 기타 농업부문의 VOCs 배출량 ·······················································································45

<표 2-39> 매립 부문의 VOCs 배출량 ·······························································································46

<표 2-40> 폐수처리 부문의 VOCs 배출량 ·····················································································46

<표 2-41> 폐기물 소각 부문의 VOCs 배출량 ·················································································46

<표 2-42> 기타 폐기물 부문의 VOCs 배출량 ·················································································47

<표 2-43> 기타 면오염원 부분의 VOCs 배출량 ·············································································47

<표 2-44> 자연 식생 부문의 VOCs 배출량 ···················································································47

<표 2-45> 연료 연소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48

<표 2-46> 생산 공정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49

<표 2-47>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49

<표 2-48> 유기용제 사용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50

<표 2-49>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51

<표 2-50>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51

<표 2-51> 폐기물 처리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52

<표 2-52> 기타 면오염원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52

<표 2-53> DARS Scoring box ···········································································································53

<표 2-54> VOCs 배출원 중분류별 DARS 평가 점수 ····································································56

<표 2-55> 공공/민간발전 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59

<표 2-56> 공공/민간발전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59

<표 2-57> 공공/민간발전 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59

<표 2-58> 지역난방/석유정제 보일러/공정로 부문의 배출계수 ···············································60

<표 2-59> 지역난방/석유정제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60

<표 2-60> 지역난방/석유정제 내연기관 부문의 배출계수 ···························································60

<표 2-61> 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61

<표 2-62> 기타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61

<표 2-63>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62

<표 2-64> 고정엔진 부문의 배출계수 ·······························································································62

<표 2-65> 기타장비 부문의 배출계수 ·······························································································62

<표 2-66> 보일러 및 공정로/기타 부문의 배출계수 ·····································································63

<표 2-67> 연소시설의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63

<표 2-68> 연소시설의 고정엔진 부문의 배출계수 ·········································································64

<표 2-69> 연소시설의 기타 고정장비 부문의 배출계수 ·······························································64

<표 2-70> 석유산업공정 부문의 배출계수 ·······················································································65

<표 2-71> 코크스 오븐(누출 및 소화) 부문 배출계수 ·································································65

<표 2-72> 출선공정 부문 배출계수 ·································································································66

<표 2-73> 전기로 부문 배출계수 ·····································································································66

Page 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ix

<표 2-74> 암모니아 생산 부문 배출계수 ·························································································66

<표 2-75> 황산암모늄 생산 부문 배출계수 ···················································································67

<표 2-76> 카본블랙 생산 부문 배출계수 ·······················································································67

<표 2-77> 에틸렌 부문 배출계수 ·······································································································67

<표 2-78> 프로필렌 부문 배출계수 ···································································································68

<표 2-79> 1,2 디클로로에탄+염화비닐 부문의 배출계수 ······························································68

<표 2-80>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부문의 배출계수 ··································································68

<표 2-81>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부문의 배출계수 ··································································69

<표 2-82>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부문의 배출계수 ·································································69

<표 2-83> 폴리프로필렌 부문의 배출계수 ·······················································································69

<표 2-84> 스틸렌 부문의 배출계수 ···································································································70

<표 2-85> 폴리스틸렌 부문의 배출계수 ···························································································70

<표 2-86>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BR) 부문의 배출계수 ··························································70

<표 2-87>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부문의 배출계수 ·········································································70

<표 2-88>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 부문의 배출계수 ·······························71

<표 2-89> 무수프탈산 부문 배출계수 ·······························································································71

<표 2-90> 아크릴로니트릴 부문 배출계수 ·····················································································71

<표 2-91> 합판 생산 부문의 배출계수 ···························································································72

<표 2-92> 유리(탄소제거공정) 부문의 배출계수 ·············································································72

<표 2-93> 식음료 가공 부문의 배출계수 ·························································································73

<표 2-94>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계수 ·······································································73

<표 2-95> 유기용제 사용부문 도장시설 부문의 배출계수 ···························································75

<표 2-96> 유기용제 사용부문 세정 부문의 배출계수 ···································································75

<표 2-97> 유기용제 사용부문 세탁(드라이클리닝) 부문의 배출계수 ·········································76

<표 2-98> 유기용제 사용부문 인쇄시설 부문의 배출계수 ···························································77

<표 2-99> 유기용제 사용부문 가정 및 산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계수 ···················77

<표 2-100> 농업기계 VOCs 배출계수 및 평균 정격출력 ·····························································80

<표 2-101> 건설기계별 VOCs 배출계수 ···························································································81

<표 2-102> 콘크리트펌프, 공기압축기, 천공기(3종) 배출계수 ·····················································82

<표 2-103> 건설기계별 평균정격출력 ·······························································································82

<표 2-104> 열차종별 배출계수 ···········································································································83

<표 2-105> 선박부문 VOCs 배출계수 ·······························································································86

<표 2-106>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 ·····················································································86

<표 2-107> 산불 및 화재 부문의 배출계수 ···················································································86

<표 2-108> 연료 연소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88

<표 2-109> 비산업 연소(유럽) ·············································································································89

<표 2-110> 공공 전기 및 열 생산(유럽) ···························································································89

<표 2-111> 석유 정제(유럽) ·················································································································90

<표 2-112> 가정의 연소 (유럽) ···········································································································90

<표 2-113> 에너지 산업 연소(국내) ···································································································91

<표 2-114> 비산업 연소(국내) ·············································································································92

x

<표 2-115> 제조업 연소(국내) ·············································································································93

<표 2-116> 생산 공정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94

<표 2-117> 석탄 채굴 부문의 EU 배출계수 ····················································································95

<표 2-118> 천연가스 생산 부문의 EU 배출계수 ············································································96

<표 2-119> 석유 산업 공정 부문의 유럽, 국내 배출계수 비교 ················································97

<표 2-120>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98

<표 2-121>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100

<표 2-122> 에너지 수송 및 저장 ·····································································································101

<표 2-123> 도장 시설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102

<표 2-124> 도장 시설 ·······················································································································104

<표 2-125> 세정 및 세탁 ·················································································································105

<표 2-126> 기타 유기용제 사용 ·····································································································107

<표 2-127> 폐기물 처리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109

<표 2-128> 폐기물 소각 ···················································································································110

<표 2-129>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111

<표 2-130> 기타 면오염원 ···············································································································112

<표 2-131> 분뇨관리 ···························································································································113

<표 2-132>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방향 ·························································································115

<표 2-133>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117

<표 2-134> VOCs 저감대책 추진현황 ·····························································································119

<표 2-135> 미국의 VOCs 규제 현황 ·······························································································120

<표 2-136> Solvent Directive의 VOCs 규제항목 ·········································································123

<표 2-137> EU의 배출원별 주요 저감 대책 ··················································································124

<표 2-138> 일본의 VOCs 규제 현황 ·······························································································126

<표 2-139> 수도권, 광화학측정망대기오염물질 측정망 농도 및 오존생성기여율 ················128

<표 2-140> 국내외 배출원별 Speciation 자료 비교 ·····································································132

<표 2-141> 배출원별 국내 Species profile ·····················································································133

<부록 A1 : On-Road mobile source> ························································································ 161

<부록 A2 : Oil Station source> ··································································································· 162

<부록 A3 : Petroleum transport and storage> ······································································ 165

<부록 A4 : Municipal waste incineration> ··············································································· 167

<부록 A5 : Municipal waste landfill source> ·········································································· 169

<부록 A6 : Surface coating Operations-Solvent-Case Paint> ········································· 170

<부록 A7 : Coil coating> ··············································································································· 171

<부록 A8 : Automobile refinishing coating source> ···························································· 172

<부록 A9 : Degreasing composite> ···························································································· 175

<부록 A10 : Asphaltic concrete-In place Road Asphalt> ·················································· 176

<부록 A11 : Printing> ····················································································································· 177

<부록 A12 :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 178

Page 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xi

그 림 차 례

<그림 2-1> 국내 VOCs 배출량 (‘09) ·································································································11

<그림 2-2> 에너지산업 연소 부분 중분류 별 VOCs 배출량 (‘09) ·············································12

<그림 2-3> 비산업 연소 부문 중분류 별 VOCs 배출량 (‘09) ···················································14

<그림 2-4> 제조업 연소 부문 중분류 별 VOCs 배출량 (‘09) ·····················································16

<그림 2-5> 생산 공정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18

<그림 2-6>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21

<그림 2-7> 도도로이동오염원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22

<그림 2-8> 비도로이동오염원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24

<그림 2-9> 폐기물 처리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25

<그림 2-10> 기타 면오염원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26

<그림 2-11> 미국의 VOCs 배출기여도 ·····························································································27

<그림 2-12> 유럽의 VOCs 배출기여도 ·····························································································35

<그림 2-13> 국내 VOCs 배출원별 배출량의 DARS 평가 ····························································55

<그림 2-14> 국내 VOCs 배출원별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DARS 평가 ····································55

<그림 2-15> 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 흐름 ·····················································································79

<그림 2-16> 국내 석탄 수급동향 ·····································································································95

<그림 2-17> 미국 배출량 기여도 ·································································································130

<그림 2-18>미국 오존생성기여도 ·····································································································130

<그림 2-19> 영국 배출량 기여도 ···································································································131

<그림 2-20> 영국 오존생성기여도 ·································································································131

<그림 2-21> 국내 배출량기여도 ·····································································································134

<그림 2-22> 국내 오존생성기여도 ···································································································134

<그림 2-23> VOCs 배출원의 배출량기여도(서울시) ··································································135

<그림 2-24> VOCs 배출원의 오존생성기여도(서울시) ································································135

<그림 2-25> 도로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서울시) ··············136

<그림 2-26> 유기용제사용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서울시) ··········137

<그림 2-27> VOCs 배출원의 배출량기여도(인천시) ··································································138

<그림 2-28> VOCs 배출원의 오존생성기여도(인천시) ····························································138

<그림 2-29> 도로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인천시) ················139

<그림 2-30> 유기용제사용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인천시) ············140

<그림 2-31> VOCs 배출원의 배출량기여도(경기도) ····································································141

<그림 2-32> VOCs 배출원의 오존생성기여도(경기도) ································································141

<그림 2-33> 도로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경기도) ··············141

<그림 2-34> 유기용제사용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경기도) ············142

xii

요 약 문

1. 제목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

2. 연구배경(필요성) 및 목적

오존은 대기중의 질소산화물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광화학반응으로 인해

생성되는데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총 5년간에 걸쳐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향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광화학 대기오염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국립환경과학원, 2006)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내의 오존오염은

VOCs-limited 조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대기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해

서는 VOCs 배출원의 배출량 관리가 요구된다.

VOCs 배출원 관리를 위해서는 배출기여도가 높은 배출원을 우선적으로 관

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배출원별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VOCs 배출량 산정방법은 국내 실정에 적합하지 않

은 국외 배출계수 적용하거나 활동도 자료 미확보에 따라 가정법을 통한 배

출량산정으로 배출량에 대한 신뢰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VOCs

배출원의 저감대책 또한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있지 못하다는 우려의 목소리

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OCs 배출원별 배출량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개선

이 필요한 배출계수 및 국내 누락배출원을 파악하고자 하며 보안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연구 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한다.

VOCs는 화학종에 따라 오존생성능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며, 배출원별 배출

되는 VOCs 화학종도 모두 다르다. 이는 서로 다른 배출원에서 동일한 양의

VOCs가 배출된다 하더라도 구성하는 VOCs 화학종이 달라 생성되는 오존량

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함께

검토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VOCs 배출원 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기 연구된 배출원별 VOCs 화학종 데이터와 VOCs 화학종별 오존 생성

능을 바탕으로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Page 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xiii

3.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 VOCs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추진 방

법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외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 국내․외 VOCs 배출량 비교 및 분석

❍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불확도 평가 및 개선방향 검토

❍ 국내 VOCs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

❍ 국내, 미국, 유럽의 VOCs 배출량 산정 방법 비교를 통한 배출계수

개선방안 검토

❍ 국내 누락 배출원 검토

2) VOCs 배출원에 대한 외국 정책사례 조사 및 저감방안 도출

❍ 미국, 유럽, 일본 등의 VOCs 저감정책 및 배출원별 적용사례 조사

❍ 외국사례에 대한 국내 적용 타당성 분석 및 정책제안

3) 오존 관리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VOCs 배출원 분류 및 VOCs 관리정책에 대한

향후 연구계획(로드맵) 검토

❍ VOCs 배출원별 개선을 위한 향후 연구계획(로드맵) 수립

❍ 장․단기, 지역별 및 배출원별 국내실정에 맞는 VOCs 관리정책 검토

4. 연구결과

1) 국내 VOCs 배출량 산정방법 및 배출목록 분석

국내외 VOCs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 국내 VOCs 배출량은 2009년 CAPS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국의 VOCs 배출량은 2008년 EPA자료를 유럽은 2009

xiv

년 EU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VOCs 총 배출량은

851,593ton 인데 비해, 미국은 17,775,125ton, 유럽은 7,854,741ton으로 나타나

국가 간 규모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국내 배출량이 적게 파악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이는 배출량 산정방법의 불확도나 누락배출원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VOCs 배출원별 배출기여도는 국내의 경우는 유기용제 부문이 62%

로 가장 높았으며, 생산공정 14%, 도로이동오염원 10%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의 배출원별 배출기여도는 화재부문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제

18%, 도로이동오염원 17%, 비도로이동오염원 15%, 산업공정 14% 순으로 나타

났다. 유럽은 유기용제부문의 배출기여도는 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

이동오염원 16%, 연료연소 14%, 연료사용에 따른 비산배출 9%순으로 나타났다.

누락배출원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 VOCs 배출목록과 유럽의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2009)」와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량이 누락되어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일부 배출원은 현행

국내 활동도 자료를 이용해서 배출량 산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좀 더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배출계수의 개발이나, 외국 배출계수 적용을

위한 활동도 자료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누락배출원

- 석탄 채굴 및 천연가스 생산

- 폐기물 소각(폐수처리, 병원폐기물 소각, 화장, 생물성 연소)

- 유화아스팔트(도로포장)

- 화목보일러 사용

국내 VOCs 배출량, 배출원 및 배출계수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DARS 평가

(장영기, 2012)와 인구 백만 명당 국내외 VOCs 배출량을 비교하였다. DARS

평가에 따르면 국내 유기용제 사용, 폐기물 처리, 에너지 수송 및 저장부문 등

의 배출원에서 불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VOCs 배출계

수 중 <표 1>에 정리한 것처럼 거의 대부분의 배출원에서 배출량 산정에 사용

되는 배출계수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xv

대분류 중분류 배출계수 개선이 필요한 배출원

에너지산업 연소

공공발전시설 ×

지역난방시설 ×

민간발전시설 ×

석유정제시설 ×

비산업 연소

연소시설 ×

공정로 ×

기타 ×

제조업 연소

상업 및 공공기관시설 ×

주거용 시설 ×

농업․축산․수산업 시설 ×

생산 공정

기타제조업 ×

목재, 펄프 제조업 ×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

석유산업공정 ○

식음료 가공 ×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

제철제강업 ×

에너지 수송 및 저장 휘발유 공급 ○

유기용제 사용

도장시설 ○

세탁시설 ○

세정시설 ○

기타 유기용제 사용 ○

폐기물 처리기타 폐기물 처리 ×

폐기물 소각 ○

기타 면오염원 산불 및 화재 ×

* 배출계수 보안이 필요한 배출원 : 유럽의 Emission Inventory Guidebook(2009)의 VOCs

배출원별 배출량 산정방법과 비교

<표 1> 국내 CAPSS 분류체계 중 배출계수 개선이 필요한 배출원

xvi

2) 대기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한 VOCs 관리방향

‘대기환경연보’에서 제시하는 광화학대기오염물질측정망의 56가지 VOCs 농

도와 화학종별 오존생성기여도를 비교해 보면 오존 농도는 대기 중 VOCs 농

도 보다는 VOCs 화학종별 오존생성능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국내 기 연구된 배출원별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를 보더라도 배출원별로

화학종 및 화학종 함량이 각기 다르며 VOCs 화학종 마다 오존생성능에 차이

를 보이고 있다. 대기 중 오존 농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출량

뿐 아니라 배출원별 화학종 함량 및 화학종별 오존생성능을 고려하여 배출원별

우선순위를 고려한 배출원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가 개발된 일부 배출원에 대하

여 배출량 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 비교를 통해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가

높은 배출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림 1>, <그림 2>의 배출량 기여도와 오존생성 기여도를 비교한 결과 오

존생성 기여도 순위는 배출량 기여도 순위와 동일하게 유기용제 사용, 도로이

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

기 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해서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 관리가 우선적

으로 요구된다. 또한 도로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의 경우 배출량 기여도 보다

오존생성기여도는 더 높은 것으로 검토됨에 따라 도로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원 관리도 함께 이루어져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를 일부 배출원을 대상으로 비교된 결과이므로 결과에 오차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국내 배출원별 VOCs 화학종 개발을 통한 배출원별 오존

생성 기여도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 국내 배출량 기여도 <그림 2> 국내 오존생성 기여도

Page 1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xvii

(3) 향후 연구계획 로드맵

앞서 검토된 국내 VOCs 배출량 신뢰도 확보 및 대기 중 오존농도의 효

과적인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로드맵을 제시한다.

❍ 석유제품 산업의 석유정제 공정별 배출계수 개발연구

❍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발 연구

❍ 도장시설별 배출계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연구

❍ 세정시설의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 산림에서의 VOCs 배출계수 및 자연배출원 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연구

❍ 누락 VOC 배출원 및 배출계수 개발 연구

❍ 농업 부문의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연구

❍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관리 방안 연구

5. 기대효과(또는 활용방안)

(1) 향후 VOCs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2) 대기 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한 향후 연구방향 제시

1

제 1장 서 론

Ⅰ. 연구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고, 에너지 다소비형 경제구조를 갖고 있어 대기

오염 악화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특히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의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1-1>에 OECD(1999)의 배출량 자료를 국토면적으로

나눈 단위면적당 배출량을 살펴보면 먼지의 경우 미국, 프랑스 등에 비해 10

배 이상 높고, 독일, 영국 등에 비해서도 5배 가까운 수준을 보이고 있다. 아

황산가스의 경우도 미국, 호주 등 국토면적이 넓은 국가는 물론 프랑스, 독

일, 영국 등의 대다수 국가에 비해서도 작게는 약 2배에서 높게는 10배에 가

까운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좁은 지역에 오염부하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정부는 환경

용량을 초과하는 있는 수도권 지역에 대하여 2003년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2005년부터「수도권 대기환경개선 특별대책」을 추

진해 왔다. 수도권 특별대책은 2014년까지 미세먼지 40㎍/m3, 이산화질소

22ppb를 목표로 하여 도로 및 비도로 이동오염원, 사업장 관리, 면오염원 및

친환경 에너지의 5개 분야에 대해 광범위한 대기질 개선 대책들을 수행하여

왔다.

면적 당 배출량(톤/천ha) 일인당 배출량(kg/인)

국가 SO2 NO2 CO 먼지 VOC CO2 SO2 NO2 CO 먼지 VOC CO2

멕시코 11 7.79 11.8 2.02 2.48 1,673 23.2 16.4 25.4 4.3 5.3 3,460

미국 19.7 22.8 75.5 3.62 17.8 5,584 69 79.9 264 13 62.2 19,880

호주 2.38 2.8 19.3 - 2.17 369 101 118.5 819 - 91.9 15,840

프랑스 17.2 30.8 150 3.83 44.4 6,564 16.2 29.1 141 3.6 42 6,230

독일 41.1 50.5 179 8.85 50.6 4,774 17.9 22 77.7 3.9 22 10,830

이탈리아 43.9 58.7 257 - 78.6 4,067 23.1 30.9 135 - 41.3 7,400

포르투갈 39 40.6 144 - 37.4 5,534 36.2 37.6 133 - 34.7 5,130

영국 82.8 84.1 190 8.7 86.2 3,064 34.5 35 79 3.6 35.9 9,640

한국 151 127 110 42.6 - 5,573 32.9 27.6 23.9 9.3 - 7,870

* 출처; OECD Environmental Data(1999)

<표 1-1> 국가별 오염물질 배출량 비교

Page 1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

그 결과 최근 몇 년간 수도권의 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2007년~2009년

의 지난 3년간 수도권지역의 PM10과 NOx 농도를 <표 1-2>에 정리하였다.

<표 1-2>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의 PM10, NOx의 농도는 감소되긴 하였지만

2014년 목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PM10(㎍/m3) NOx(ppm)

2007 2008 2009 2007 2008 2009

수도권지역 64(61) 57(56) 59(56) 0.033 0.033 0.031

서울시 61(58) 55(53) 54(51) 0.038 0.038 0.035

인천시 64(61) 57(56) 60(57) 0.031 0.030 0.030

경기도 66(63) 60(58) 60(58) 0.031 0.031 0.030

* PM10농도의 ()안은 황사제외 농도

* 출처; 환경부(2012년)

<표 1-2> 수도권 지역의 PM10, NOx 농도

이에 환경부는 2010년 말「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변경하였다.

변경된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는 대기환경 개선목표와 관리대상물질, 수도

권지역의 전체 배출허용총량은 유지한 채, 대형 사업장 관리를 위해 시․도간

배출허용총량을 조정하고, 2007년을 기준으로 2014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BAU, Business As Usual)을 새로이 예측하여 새로운 저감 목표량을 제시하

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에 대한 최종목

표 달성은 여전히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1단계 대책(2005~2014)이 2014년 마무리되고

나면, 2단계(2015~2024) 대책에서는 1단계 대책에서 관리대상물질이 아니었던

PM2.5와 오존 등이 관리대상물질로 추가될 예정이다. 이들 물질에 대한 목표

농도는 질소산화물이 22ppb, PM2.5는 15㎍/m3, PM10은 30㎍/m

3등으로 잠

정 설정했으며, 오존 농도는 측정소의 환경기준 달성률에 준하는 것으로 목표

를 정하고 있다.

<표 1-3>에 따르면 최근 대도시 오존농도의 전반적인 상승에 따라 오존주

의보(0.12ppm/시간) 발령일수 및 횟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3

고 있다. 2005년 오존주의보 발령일수가 19일(84회)이였던 것에 반해 2010년

25일(83회)로 증가하였다. 특히 수도권의 오존주의보 발령횟수는 <표 1-4>와

같이 43회가 발생되었는데 이는 2010년 발생한 83회의 오존주의보 발령횟수

중 절반을 차지한다.

연도 ‘05 ‘06 ‘07 ‘08 ‘09 ‘10

발령지역수 27 29 22 28 26 28

발령일수 19 22 30 32 20 25

발령횟수 84 52 82 101 60 83

시간최고 농도(ppm) 0.199 0.192 0.217 0.203 0.169 0.181

출처; 환경통계연감, 환경부(2011)

<표 1-3> 연도별 오존주의보 발령 현황

오존주의보 발령횟수

2007 2008 2009 2010

수도권지역 47 49 31 43

서울시 20 23 14 21

인천시 11 13 9 5

경기도 16 13 8 17

출처; 환경통계연감, 환경부(2011)

<표 1-4> 수도권의 오존주의보 발령횟수(2007년~2010년)

따라서「2단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대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

는 기존의 여러 대기질 개선 대책들의 지속적인 추진이 중요하나, 이와 더불

어 대기중 오존 농도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이 중요하다. 대기중 오존은

대기중의 질소산화물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광화학반응으로 인해 생

성되므로 오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질소산화물과 VOCs를 동시에 고려

해야 한다. 많은 연구에서 오존의 전구물질인 VOCs와 NOx의 상관성에 관하

여 Empirical Kinetic Modeling Approach(EKMA)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2001

년부터 2006년까지 총 5년간에 걸쳐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향 조사 연구의 일

환으로 수행된「광화학 대기오염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국립환경

Page 1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4

과학원, 2006.11)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오존오염은 VOCs-limited 조건

이고,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지역은 VOCs-limited 조건과 NOx-limited 조건

이 혼재되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VOCs 배출 저감 대책은 수도권

지역의 오존과 같은 광화학 스모그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

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VOCs는 대기중에서 PM2.5를 생성시킬 수 있

는 오염인자로 작용한다. 이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VOCs 관리를 통한

PM2.5 저감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에서 VOCs 관리는 2005년에 수립된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사

업장에서의 VOCs 발생억제 및 면오염원 관리방안과 같은 각종 대책을 제시

하여 왔으며, 목표 대기질 달성을 위한 VOCs 배출 삭감량을 제안하여 왔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된 각종 VOCs 배출 저감 대책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된 다른 오염물질들과 다르게 매우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인 대책들이 제

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대책 추진에 따른 효율적인 삭감대책의 추진이 어

려운 실정이다.

<표 1-5>에는 지난 3년간(2007년~2009년) 추진되어 온 각 지자체별 시행계

획에 따른 추진실적을 정리한 것이다. 이 추진실적에 따르면 질소산화물

(NOx)의 경우 지난 3년간의 삭감실적(175,171톤)이 목표 삭감계획(198,511톤)

의 약 88% 정도밖에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 3년 동안의

삭감량을 보면 2007년 후반부터 사업장 총량관리제가 실시되면서 NOx의 삭

감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08년부터는 삭감계획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삭감대책별로 보면, NOx 삭감량 중 약 90% 이상이 도로이동

오염원과 사업장 관리부문에서 삭감되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경

우 삭감실적(193,363톤)이 목표 삭감계획(368,690톤)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삭감실적은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면오염원에서의 VOCs 삭감실적은 전체 삭감실적의 81%에 해당하

는 157,380톤이 삭감되었으며, 도로이동오염원 분야에서 35,308톤이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량 삭감실적을 높이기 위

해서는 보다 다양한 VOCs 배출삭감 대책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효율적인 VOCs 배출저감 대책의 수립 및 추진을 위해서는 먼저 VOCs

배출원 및 배출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VOCs 배출량

5

에 대한 산정방법 및 배출계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2001년부터 2005년

까지 진행된「대기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에서는 도시 및 산단지역의 VOCs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

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또한 2006년~2007년에「선진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배출저감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연구」에서 유기용제 사용

부문에서의 VOCs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및 배출저감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수행 된지 이미 5~6년 이상 경과되어 그동안 국내외

VOCs 배출저감 및 배출량에 대한 배출특성 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위

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VOCs 배출저감을 위한 여러 대책들이 추진되도록 계

획되어 있었으나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한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향후 VOCs

배출량산정 방법이나 배출계수 들에 대한 재검토 및 외국의 사례분석을 통

한 국내 적용방안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 분2007 2008 2009 전체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NOx

합 계 41,558 18,637(45%)

70,114 73,329(105%)

86,839 83,205(96%)

198,511 175,171(88%)

도로이동오염원

10,396 16,561(159%)

21,846 25,663(117%)

32,170 30,452(95%)

64,412 72,676(113%)

비도로이동오염원

8,058 -(0%)

13,336 -(0%)

14,255 0.49(0.003%)

35,649 0.48(0.001%)

사업장 관리 17,588 226(1%)

25,707 44,729(174%)

29,032 45,465(157%)

72,327 90,420(125%)

면오염원 3,122 -(0%)

6,301 -(0%)

7,946 -(0%)

17,369 -(0%)

친환경에너지및 도시 관리

2,394 1,850(77%)

2,924 2,937(100%)

3,436 7,288(212%)

8,754 12,075(138%)

VOCs

합 계 89,604 43,168(48%)

123,707 65,776(53%)

155,379 84,419(54%)

368,690 193,363(52%)

도로이동오염원

5,370 9,177(171%)

10,689 11,714(110%)

15,023 14,417(96%)

31,082 35,308(114%)

비도로이동오염원

876 -(0%)

1,472 -(0%)

1,554 0.03(0.002%)

3,902 0.03(0.001%)

사업장 관리 12,49587

(0.69%) 14,850165(1%) 17,443

174(1%) 44,788

426(1%)

면오염원 70,71433,865(48%) 96,522

53,819(56%) 121,165

69,696(58%) 288,401

157,380(55%)

친환경에너지및 도시 관리 149

39(26%) 174

78(45%) 194

132(68%) 517

249(48%)

출처; 수도권대기환경청(2011)

<표 1-5> 수도권 ‘07~’09년 오염물질별 삭감계획 및 실적

(단위 : 톤)

Page 1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6

Ⅱ. 연구 목표 및 방법

1. 연구목표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는 수도권대기질 특별법에서 목표

로 하고 있는 대기질 달성을 위해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권 지

역의 PM10, NOx, SOx 및 VOCs에 대한 배출허용총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삭감목표 달성을 위해 각종 대기질 개선대책을 수립,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3년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총 삭감량은 193,363톤으로

삭감계획대비 50% 정도밖에 삭감실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그나마 여러 배

출원 중 도로이동오염원 분야에서의 삭감량이 2007년 9,177톤에서 2009년

14,417톤으로 증가하면서 분야별 삭감계획대비 100%의 삭감실적을 달성하였

을 뿐이다. 총 삭감량 중 약 81%를 차지하는 면오염원 분야의 경우, 삭감계획

대비 달성률은 약 50% 이하로 낮았으나, Stage-Ⅱ대책 시행 등으로 인하여 향

후 삭감실적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될 정도이다. VOCs 관리방안은 특히 그

대책이 중․소 사업장 관리방안으로 주유소와 도장시설 및 세정시설에 대한

관리를 언급하고 있고, 면오염원 관리방안으로 도료의 성분변화 및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 방법의 개선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등 대책추진의 범위가 좁

아 효율적 대책추진에 따른 삭감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현행의 대

책 추진만으로는 목표 대기질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2010년 말「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내의 일부 대책을 수

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지자체들이 시행계획을 수정, 추진 중에 있다.

구분 SOx NOx PM10 VOCs

2001년 배출량(톤) 70,188 309,387 14,681 262,479

삭감률(%) 38.7 53.0 38.7 38.7

목표기준 달성을 위한

배출허용총량(톤)43,025 145,412 8,999 160,900

출처; 환경부

<표 1-6> 목표 대기질 달성을 위한 배출허용총량

7

VOCs 배출은 다른 오염물질들과 비교할 때 특히 그 삭감실적이 미미한

실정이어서 보다 효율적인 VOCs 저감대책 마련을 위해서 VOCs 배출원 중

아직 파악되고 있지 못한 누락배출원의 조사를 통한 VOCs 배출목록의 개선

과 VOCs 배출량 산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OCs 배출량 산정방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VOCs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을 분석하고, VOCs 배출원에 대

한 외국사례조사 및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배출량 산정방법을 검토하고자 한

다. 이를 통해 2단계 수도권 대책의 오존 관리를 위한 VOCs inventory 구축

방향을 검토,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VOCs는 배출특성상 면오염원이 주 배출원이고, 따라서 VOCs 저감대책

들이 면오염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VOCs 배출량 삭감을 위해 추진되

고 있는 대책들은 실제 크게 추진되고 있지 못한 실정으로, 수도권 및 각 지

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행계획의 추진 실적을 보더라도 이들 대책추진에

따른 VOCs 삭감실적은 목표 삭감계획의 50% 정도밖에 달성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VOCs 삭감대책이 효율적으로 수립,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 중요한 것이 배출원 및 배출량의 파악이다. 또한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각 배출원에서의 정확한 배출계수의 파악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외국의 선진사례 자료조사를 통

해 VOCs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추

진 방법은 다음과 같다.

2.1 국내외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정확한 VOCs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각 배출원별

배출특성을 고려한 배출계수를 개발․적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가 통계자료로 제공되는 VOCs 배출량 자료는 대

Page 1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8

부분 US EPA AP-42 및 EU EEA CORINAIR에서 제시한 배출계수를 국내

실정을 고려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그 신뢰도에 많은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특히 VOCs 배출량에서 가장 큰 기여도를 차지하고 있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에서 더욱 심각하다. 과거 유기용제 사용 분문의 배출계수는 2001

년~2005년까지 수행된 「대기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연구」에서 이미 검토된 바 있고, 2006년~2007년에 수행된「선진

국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저감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연

구」에서도 유기용제 사용부문과 건축분야에서의 VOCs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및 배출저감 방법 들이 검토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 신뢰도는 가장 낮게 평가되고 있는 부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 뿐 아니라 국내 VOCs 배출원

의 배출량 신뢰도 향상을 위해 기존 국내 연구결과 검토 및 미국 EPA, 유럽

의 CORINAIR에서 제시하는 배출량 산정방법을 국내와 비교하여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오염원으로 존재하는 배출

원 중 CAPSS 분류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배출원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외 VOCs 배출량 비교 및 분석

- 국내 CAPSS에서 제시하는 배출원별 VOCs 배출량 검토

- US EPA, EU EEA에서 제시하는 배출원별 VOCs 배출량 검토

❍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불확도 평가 및 개선방향 검토

- 국내․외 동일 배출원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 DARS 평가결과 등을 이용한 배출원의 불확도 평가

❍ 국내 VOCs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

- 기존의 연구결과 조사, 분석 및 배출원별 배출량 산정방법 조사

9

❍ 국내, 미국, 유럽의 VOCs 배출량 산정 방법 비교를 통한 배출계수

개선방안 검토

- 미국 EPA AP-42, 유럽 EEA emission Inventory guide에서 제시하는

배출량 산정 방법 분석

- 국내 연료 연소, 생산공정,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유기용제 사용, 폐기물

처리 부문,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배출계수와 국외 배출계수 비교

❍ 국내 누락 배출원 검토

- 국내, 미국, 유럽의 VOCs 배출원 비교 검토

- 국외 존재하는 VOCs 배출원 중 국내 오염원 존재 여부 검토

2.2 VOCs 배출원에 대한 외국 정책사례 조사 및 저감방안 검토

미국은 VOCs를 관리하는데 있어 오존과 유해대기오염물질의 규제 측면

에서 관리를 하고 있고, 생산 공정,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유기용제 사용, 비

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부문들의 배출원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

다. 이에 비해 유럽의 경우는 유럽연합 차원에서 유럽전체의 VOCs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각종 법규 및 규제지침의 제정을 통하여 특정 도료나 광택제

및 자동차 도장 제품에서의 VOCs 총 함유량을 제한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

고, 일부 배출원들에 대해서는 VOCs 비산배출을 관리하고 있다. 일본은

VOCs 배출량의 규모가 큰 배출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규제를 하고 있고,

그렇지 않은 배출원들에 대해서는 업종별로 사업주가 자발적으로 VOCs 배

출량을 감축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외국의 VOCs 관리정책 사례 조사 및 저감정

책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Page 1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0

❍ 미국, 유럽, 일본 등의 VOCs 저감정책 및 배출원별 적용사례 조사

❍ 외국사례에 대한 국내 적용 가능성 분석 및 정책제안

- VOC 관리정책에 대한 타당성 검토

2.3 오존 관리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VOCs 배출원 분류 및

VOCs 관리정책에 대한 향후 연구계획(로드맵) 검토

그동안 VOCs 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을 위해 각 배출원에서의

VOCs배출계수 개발, VOCs 배출량 산정방법의 검토 및 개선, VOCs 배출목

록 개선 등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고, VOCs 배출계

수의 개선이나 국내외 VOCs 배출목록의 비교를 통한 누락배출원의 검토, 누

락배출원에서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배출계수나 활동도 자료의 개선 부분

등에 대해 검토한다. 또한 대기중 오존의 경우 VOCs 배출량도 중요하지만

배출되는 VOCs 종류에 따른 POCP(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를 고려한 VOCs 배출량 관리가 더 중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검

토결과 등과 외국의 VOCs 관리정책 등을 고려한 국내에 적합한 VOCs 배출

목록 구축이나 이를 위한 향후 연구들을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와 본 연구에서 검토된 내용 및 외국의 배출원

관리방안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배출원의 VOCs 배출계수 개선, 배출원

목록개선 및 이를 위해 향후 추진되어야 하는 연구 등에 대한 로드맵을 검

토, 제안한다.

❍ VOCs 배출원별 개선을 위한 향후 연구계획(로드맵) 수립

❍ 장․단기, 지역별 및 배출원별 국내실정에 맞는 VOCs 관리정책 검토

- POCP를 고려한 정책 및 배출계수 업데이트 주기 등 검토

11

제 2장 연구 결과

Ⅰ. 국내외 VOCs 배출원별 배출량 비교 및 국내

배출량 신뢰도 평가

1. 국내 VOCs 배출량

1.1 인위적 배출원

2009년 국내 VOCs 배출량은 851,594ton으로 국내 VOCs 배출원 대분류별

배출기여도를 <그림 2-1>으로 나타내었다. 그림과 같이 전체 배출기여도 중 유

기용제 사용 부문이 62%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며, 다음으로 생산 공정

이 14%, 도로이동오염원이 10%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폐기물 처리, 에너

지 수송 및 저장, 비도로 이동오염원, 연료연소 부문은 10% 이내의 배출기여도

를 나타내며, 기타 면오염원은 0.082%의 기여도로 국내 VOCs 배출원 중 가장

낮은 배출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2-1> 국내 VOCs 배출량 (‘09)

Page 1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2

1.1.1 에너지산업 연소

국내 에너지 산업 연소 부문은 발전, 지역난방, 석유정제 등 에너지를 생

산하고 전환하는 산업에서의 연료연소로 인한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국

내 에너지산업 연소 부문의 2009년 VOCs 배출량을 <그림 2-2>에 비교하여 나

타내었다. 에너지산업 연소 부분의 전체 배출량은 5,822ton으로 공공 발전시설

에서 4,391ton으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배출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석유정제

시설에서 821ton, 민간발전시설, 지역난방시설 순으로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에너지산업 연소 부문체계는 중분류까지 EU CORINAIR의 분류 체

계를 따르며, 소분류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배출시설을 구분하는 기준인 종별

규모를 적용하고 있다. <표 2-1>는 소분류 배출별, 사용연료에 따른 배출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공공발전시설의 경우에는 1,2,3종 보일러 부문에서 배

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그중 유연탄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난방시설도 마찬가지고 1,2,3종 보일러 부문의 배출량이 가스터빈 보

다 높게 나타나며, 연료 중에는 경유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민간발전시설의 경우에도 1,2,3종 보일러 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고 보

일러에서 사용한 연료 중에는 LNG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석유정제시설의 경우 1,2,3종 보일러에서 배출량이 공정로 부

문보다 높으며, B-C유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림 2-2> 에너지산업 연소 부분 중분류 별 VOCs 배출량 (‘09)

13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연료 대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5,822,430

공공발전시설

소 계 4,391,097

1,2,3종(보일러)

B-C유 322,502

LNG 468,010

경유 99

등유 419

무연탄 478,736

유연탄 1,554,882

가스터빈 LNG 1,448,221

내연기관

B-B유 106,739

B-C유 939

경유 10,135

등유 415

지역난방시설

소 계 232,757

1,2,3종(보일러)

B-C유 17,281

LNG 8

경유 130,924

유연탄 80,480

가스터빈 LNG 4,064

민간발전시설

소 계 377,373

1,2,3종(보일러)

B-C유 37,711

LNG 154,778

경유 1

등유 27

무연탄 38,891

유연탄 67,939

가스터빈 LNG 74,370

내연기관

B-B유 3,585

B-C유 39

등유 32

석유정제시설

소 계 821,203

1,2,3종(보일러)B-C유 614,832

등유 78

공정로B-C유 206,215

등유 78

<표 2-1> 에너지산업 연소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Page 1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4

1.1.2 비산업 연소

국내 비산업 연소 부문은 주거, 상업, 공공기관, 농업․축산․수산업시설

부문에서의 난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연료연소로 배출량이 발생하는 부문이다.

국내 비산업 연소 부문의 2009년 VOCs 배출량을 <그림 2-3>에 비교하여 나타

내었다. 비산업 연소 부분의 전체 배출량은 2,747ton으로 주거용 시설에서

1,787ton으로 가장 많은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업 및 공공기관시설에서

879ton, 농업・축산・수산업시설 순으로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표 2-2>는 소분류 배출원별, 사용연료에 따른 배출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주거용 시설의 경우에는 기타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그

중 LNG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산업 및 공공기관시

설 마찬가지로 기타 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연료중에는 LNG 사

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농업・축산・수산업시설에 경우에도 기타 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으며

연료 중에는 경유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림 2-3> 비산업 연소 부문 중분류 별 VOCs 배출량 (‘09)

15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연료 대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2,746,387

상업 및

공공기관시설

소 계 878,763

1,2,3종(보일러)

B-A유 10

B-B유 107

B-C유 3,907

LNG 4,333

경유 44

등유 1

기타

B-A유 7,907

B-B유 9,501

B-C유 99,053

LNG 540,591

LPG 116,955

경유 63,032

등유 33,185

고정엔진 LNG 137

주거용 시설

소 계 1,786,661

1,2,3종(보일러)

B-A유 33

B-B유 59

B-C유 18,457

LNG 3,228

경유 87

등유 5

기타

B-A유 2

B-B유 214

B-C유 7,190

LNG 1,537,421

LPG 56,807

경유 1,291

등유 51,030

무연탄 77,635

고정엔진 LNG 33,202

농업․축산․

수산업 시설

소 계 80,963

1,2,3종(보일러) B-C유 135

기타

B-A유 2,570

B-B유 8,818

B-C유 11,044

LNG 126

경유 49,460

등유 8,810

<표 2-2> 비산업 연소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Page 1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6

1.1.3 제조업 연소

제조업 연소부문은 제조업 배출시설에서 연료 연소로 인한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제조업 연소 부문의 2009년 총 배출량은 3,201ton이며,

세부 배출량을 <그림 2-4>, <표 2-3>에 나타내었다. 제조업 연소는 크게 연

소시설, 공정로, 기타 부문으로 나눠지며, 이중 공정로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이 1,528ton으로 가장 많이 배출되고 있다. 공정로 부문은 <표 2-3>의

배출원 분류와 같이 1차 구리 생산, 강철 재가열로 등 공정로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며 공정로 부문 중 기타 소분류 배출원에서 가장 높

은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배출원 중분류 중 기타 부문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은 1,299ton으

로 제조업 연소 중 41%의 기여도를 보인다. 기타 부문에 속하는 배출원 소

분류는 <표 2-3>과 같으며, 이중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VOCs

가 배출되고 있다.

연소시설에서 배출되는 VOCs는 374ton으로 제조업 연소의 중분류 배

출원 중 가장 낮은 VOCs 배출량을 보이고 있으며, 약 10% 정도의 배출 기

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4> 제조업 연소 부문 중분류 별 VOCs 배출량 (‘09)

17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3,200,646

연소시설

소 계 373,526

1,2,3종(보일러) 371,448

고정엔진 2,078

공정로

소 계 1528,111

1차 구리 생산 2,654

1차 납 생산 4,850

2차 구리 생산 940

2차 알루미늄 생산 35,664

강철 재가열로 129,625

고로(제철산업) 6

기타 985,805

기타 비금속광물 제품제조업 2,206

기타 비철금속 1차 생산 5,318

기타 비철금속 2차 생산 1,346

벽돌 및 타일 생산 12,910

석고제조로 1,393

석회 생산 20,171

소결로(제철산업) 49

시멘트 생산 136,751

아스팔트 콘크리트 생산 28,132

유리제품 생산 75,148

제지 산업(건조공정) 2,362

회주철 주물로 3,022

가구 및 기타제품 제조업 79,759

기타

소 계 1,299,009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64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5,856

광업 4,54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323

담배제조업 3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 제외) 748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170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802,192

섬유제품제조업(봉제,의복 제외) 23,366

음, 식료품 제조업 7,719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40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240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40

제1차 금속산업 83,484

조립금속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13,391

출판,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781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 제조업 57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 8,24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5,265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322,779

<표 2-3> 제조업 연소 부문 VOC 배출량 ('09)

(단위 : kg)

Page 1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8

1.1.4 생산 공정

생산 공정에서의 VOCs 배출량은 기본적으로 제품 생산량이나 연료 투

입량을 기반으로 산출한다. 생산 공정의 총 배출량은 121,897ton이며, 세부적

인 배출량은 <그림 2-5>, <표 2-4>에 나타내었다. 생산 공정 중 가장 높은

VOCs 배출량을 보이는 부문은 석유산업공정으로 석유를 가공 및 저장할 때

비산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석유산업공정은 석유제품 저장

및 취급, 석유제품가공으로 분류되며, 총 49,628ton이 배출되었다.

다음으로 높은 배출량을 나타내는 부문은 유기화학제품 제조업으로

39,525ton이 배출되었으며, 그중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제조업 부문의 배

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식음료 가공 부문은 16,067ton의 배출량을 보였는데, 설탕 제조 시 배출

되는 VOCs 량이 다른 식음료 가공 업 보다 높은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제철제강업,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가타 제조업, 목재・펄프,

제조업 순으로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2-5> 생산 공정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19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121,897,329

기타제조업 유리(탄소제거공정) 506,208

목재, 펄프 제조업 합판 생산 1,325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소 계 1,035,749

암모니아 생산 497,549

황산암모늄 생산 78,280

카본 블랙 생산 459,920

석유산업공정

소 계 49,627,774

석유제품 저장 및 취급 28,867,343

석유제품가공 20,760,431

식음료 가공

소 계 16,066,617

마가린과 요리용지방 974,000

맥주 6,591

설탕 13,168,890

위스키 등 독주 1,873,140

육류, 생선가공 43,996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소 계 39,524,507

1,2 디클로로에탄+염화비닐 1,696,961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14,143,142

무수프탈산 32,786

스틸렌 708,374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1,920,300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 (SBR) 2,090,000

아크릴로니트릴 535,250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 1,668,556

에틸렌 3,035,233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5,680,326

폴리비닐크롤라이드(PVC) 159,865

폴리스티렌 2,474,365

폴리프로필렌 3,229,875

프로필렌 2,149,474

제철제강업

소 계 15,135,149

전기로 1,881,450

출선공정 2,834,131

코크스 오븐(누출 및 소화) 10,419,568

<표 2-4> 생산 공정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Page 2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0

1.1.5 에너지수송 및 저장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은 화석연료, 특히 휘발성이 강한 휘발유의

공급으로 인한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정유공장 및 저유소의 출

하기지에서 수송수단(탱크트럭 등)에 적재할 때의 배출 및 저장탱크에서의

배출, 주유소에서의 급유 및 저장탱크에서의 배출이 고려된다. 총 배출량은

32,956ton이며, <표 2-5>와 같이 배출원별로 살펴보면, 수송 및 저유소(주유

소 제외)부문이 5,614ton, 정유사 출하기지가 3,777ton, 주유소(주유시 포함)부

문이 23,956ton을 각각 배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33,347,194

휘발유 공급

수송 및 저유소(주유소 제외) 5,613,508

정유사 출하기지 3,777,260

주유소(주유시 포함) 23,956,426

<표 2-5> 에너지수송 및 저장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1.1.6 유기용제 사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은 도료, 페인트, 유기용매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VOCs를 산정하는 부문이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09년도 총 배출량은

532,233ton 이었으며 <그림 2-6>과 같이 도장시설에서 배출된 VOCs 배출량

이 333,043ton으로 가장 많은 VOCs를 배출한 배출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6>은 보다 세분류의 배출원별 배출량을 나타낸 것으로 도장시설 중

선박제조 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다음으로 배출량이 높은 배출원은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으로 155,595ton이 배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2-6>를 살

펴보면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에서

130,934ton으로 가장 많은 VOCs 배출되었으며,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소분류

배출원 중에서도 배출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1

세탁시설 및 세정시설의 배출량은 각각 22,909ton, 20,685ton 이었으며,

세정시설의 경우에는 기타 산업용 세정공정 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2-6>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532,232,748

기타 유기용제 사용

소 계 155,595,287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사용 130,933,762

아스팔트 도로 포장 1,157,266

인쇄업 23,504,259

도장시설

소 계 333,043,259

건축 및 건물 99,021,121

기타 비산업용 도장공정 37,442,172

기타 산업용 도장공정 19,370,265

나무, 가구제조 14,970,354

선박 제조 80,301,587

자동차 수리 10,715,067

자동차 제조 8,575,103

코일 코팅 62,647,702

세정시설

소 계 43,594,202

금속 세정공정 4,968,883

기타 산업용 세정공정 10,359,669

전자부품 제조 5,356,708

세탁시설 세탁 (드라이클리닝) 22,908,942

<표 2-6> 유기용제 사용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Page 2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2

1.1.7 도로이동오염원

도로이동오염원은 도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RV차량, 버스, 승용차, 승합차, 이륜차 택시, 특수차,

화물차 부문으로 나뉜다. ‘09년도 도로이동오염원의 전체 배출량은 88,912ton이

며, <그림 2-7>과 같이 승용차 부문에서 30,178ton 이륜차 20,465ton, 화물차

19,268ton 순으로 배출량이 나타나고 있다.

<표 2-7>은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차종별 연료사용별 배출량을 나타낸

것으로 승용차 중형의 휘발유 사용에서 가장 많은 VOCs가 배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7> 도도로이동오염원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연료 대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88,912,404

RV

소 계 4,326,583

소형

LPG 477,028

경유 471,554

휘발유 39,994

중형 

LPG 595,715

경유 2,718,415

휘발유 23,877

버스

소 계 10,802,703

고속버스 경유 12,982

시내버스 CNG 9,292,069

경유 381,627

시외버스 경유 778,450

전세버스 경유 337,575

<표 2-7>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23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연료 대분류 '09년 배출량

승용차

소 계 30,178,187

경형 LPG 11,606

휘발유 4,222,697

대형 

LPG 81,810

경유 2,677

휘발유 4,055,668

소형

LPG 20,733

경유 3,818

휘발유 9,534,002

중형

LPG 518,459

경유 5,138

휘발유 11,721,579

승합차

소 계 1,812,738

경형 LPG 187,093

휘발유 222,065

대형 경유 79,638

소형

LPG 51,348

휘발유 4,513

경유 449,453

중형 경유 710,553

특수 경유 108,075

이륜차

소 계 20,465,253

100cc 이상 휘발유 8,736,393

260cc 이상 휘발유 590,422

50cc 미만 휘발유 4,341,294

50cc 이상 휘발유 6,797,144

택시

소 계 1,652,626

대형 LPG 21,554

중형 LPG 1,631,072

특수차

소 계 406,584

견인차 경유 176,291

구난차 경유 29,974

기타 경유 200,319

화물차

소 계 19,267,730

경형LPG 231,541

휘발유 28,327

대형경유 6,631,342

휘발유 6,158

덤프트럭 경유 629,828

소형

LPG 186,090

경유 2,086,932

휘발유 5,504

중형경유 7,754,331

휘발유 498,762

콘크리트믹서트럭 경유 272,431

특수CNG 52,490

경유 883,994

<표 2-7>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09) [계속]

(단위 : kg)

Page 2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4

1.1.8 비도로 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은 자동차 이외에 내연기관을 장착한 철도차량, 항공

기, 농업기계, 건설장비 등을 포함한다. ‘09년도 비도로 이동오염원의 VOCs 배

출량은 15,181ton 이며 세분류에 따른 배출량을 <그림 2-8>와 <표 2-8>에 나타

내었다. 비도로 이동오염원 중 가장 높은 배출량를 나타내는 부문은 건설장비

이며 그중 굴삭기, 지게차에서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2-8> 비도로이동오염원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배출원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연료 대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15,181,467

건설장비

소 계 9,512,860

공기압축기 경유 495,446

굴삭기 경유 3,709,422

기중기 경유 297,383

로우더 경유 344,746

로울러 경유 77,462

불도저 경유 122,622

지게차 경유 3,663,741

천공기 경유 141,547

콘크리트펌프 경유 660,491

농업기계

소 계 3,366,994

경운기 경유 595,353

이앙기 경유 53,816

콤바인 경유 49,085

트랙터 경유 349,156

선박 해상 선박운송 B-C유 2,319,584

철도

소 계 1,806,029

기관차 경유 1,588,578

동차 경유 217,451

항공

소 계 495,584

국내항공 항공유 214,494

국제항공 항공유 281,090

<표 2-8>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25

1.1.9 폐기물 처리

폐기물 처리 부문은 폐기물 소각, 매립 등의 폐기물 처리로 인한 대기

오염물질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며, ‘09년도 총 배출량은 47,951ton에 해당

한다. <그림 2-9>, <표 2-9>는 폐기물 처리 부문의 VOCs 배출량으로 폐기물

소각에 의한 배출량이 41,585ton, 기타폐기물처리(매립)에 의한 배출량이

6,330ton 으로 분석되었으며, 폐기물 소각 부문 중에는 사업장폐기물 소각부

문의 배출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2-9> 폐기물 처리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47,914,624

기타 폐기물 처리 매립 6,329,897

폐기물 소각

소 계 41,584,727

사업장폐기물 (플레어링 제외) 41,444,490

생활폐기물 140,237

<표 2-9> 폐기물 처리 부문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1.1.10 기타 면오염원

기타 면오염원은 산불과 일반화재에 의한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

문으로 ‘09년도 산불과 일반화재에 의한 VOCs 배출량은 각각 120ton,

582ton으로 나타난다.

Page 2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6

<그림 2-10> 기타 면오염원 부문 중분류별 VOCs 배출량 (‘09)

배출원 중분류 배출원 소분류 '09년 배출량

합 계 701,714

산불 및 화재산불 119,703

일반화재 582,011

<표 2-10> 기타 면 오염원 VOCs 배출량 ('09)

(단위 : kg)

1.2 자연배출원

자연배출원의 VOCs 발생은 자연식생에 의한 배출량을 포함한다. 인위

적 오염원과 달리 자연식생에 의한 VOCs 배출량은 연도별로 산정된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BEIS와 CORINAIR 산출방법에 의한 자연식생 VOCs 배출량

산출 비교 연구’에 제시되어 있는 2000년도 자연배출원에 의한 배출량을 인

용하였다. <표 2-11>와 같이 자연식생에 의한 배출량은 미국의 BEIS

(Biogenic Emission Inventory System)와 유럽의 CORINAIR 배출량 산정방

법에 의해 각각 산정되었으며, 두 방법에서 산출한 배출량에는 차이가 있으

나 자연식생에 의한 VOCs 배출량이 450,000ton 이상으로 국내 VOCs 배출

량에 매우 높은 부문을 차지하는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BEIS2 CORINAIR

자연식생 458,104,000 461,950,000

<표 2-11> 자연오염원의 VOCs 배출량(‘00)

(단위 : kg)

27

따라서 자연 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량의 파악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이를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이나 일부 대학 등에서 산림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일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나 배출

원 기여율을 기준으로 할 때 보다 정확한 자연 VOCs 배출량 파악을 위해

폭넓은 실태조사 및 배출계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미국 VOCs 배출량

2.1 인위적 배출원

미국의 EPA에서 제공하는 ‘08년도 VOCs 총 배출량은 17,775,125ton으로

배출량 기여도를 <그림 2-11>에 나타내었다. 배출원별 배출기여도를 살펴보

면 화재부문 26%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기용제(Solvent)

부문이 18%,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이 17%,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이 15%,

산업공정 부문이 14%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낮은 배출기여도를

나타내는 부문은 가축분뇨 부문으로 0.01%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11> 미국의 VOCs 배출기여도

Page 2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28

2.1.1 연료연소

연료연소 부문의 VOCs 배출원은 상업․공공시설, 전기 생산, 산업용

보일러, 주거시설 부분에서 연료사용에 따른 배출량을 포함하는 부문으로 국

내 연료연소(에너지산업 연소, 비산업연소, 제조업 연소) 부문과 동일한 배출

원에 속한다. 연료 연소 부문의 총 배출량은 503,868ton으로 전체 VOCs 배

출량 중 3%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각 부문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주거 시설

에서 연료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전체 연료 연소 부문 중 73%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주거 시설 부문 중에는 나무를

원료로 사용할 경우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중분류 연료 분류 배출량(ton)

합 계 503868

상업․공공시설

소 계 13,455 (2.7%)

Biomass 541

Coal 418

Natural Gas 8,944

Oil 2,620

Other 932

전기생산

소 계 43,248 (8.6%)

Biomass 1,091

Coal 28,693

Natural Gas 9,451

Oil 1,946

Other 2,067

산업용 보일러

소 계 80,142 (15.9%)

Biomass 8,294

Coal 2,166

Natural Gas 59,633

Oil 3,722

Other 6,327

주거 시설

소 계 367,023 (72.8%)

Natural Gas 12,706

Oil 1,743

Other 2,904

Wood 349,670

* (%) : 연료 연소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2> 연료 연소 부분의 VOCs 배출량

29

2.1.2 산업 공정

산업 공정 부문은 제품 생산공정에서 원료 투입 또는 공정 중 발생하

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국내 생산 공정부문과 동일한 배출원

에 속한다. 산업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은 2,500,371ton 으로 총 VOCs

배출량 중 14%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 공정의 세부 배출원별 배출

량은 <표 2-13>와 같으며, 이중 원유・가스 생산 부문의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중분류 배출량(ton)

합 계 2,500,371

시멘트 9,189 (0.4%)

화학 99,471 (4.0%)

철, 금속 19,364 (0.8%)

철광 1,886 (0.1%)

기타 비 산업용 216,636 (8.7%)

비철금속 16,357 (0.7%)

원유・가스 생산 1,688,455 (67.5%)

석유 정유 공장 68,005 (2.7%)

펄프, 종이 129,903 (5.2%)

저장 및 전송 237,738 (9.5%)

가공 음식 13,367 (0.5%)

* (%) : 산업 공정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3> 산업 공정 부분의 VOCs 배출량

Page 2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30

2.1.3 도로이동오염원

미국의 이동오염원 부문은 국내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배출원과 동일

하게 도로에서 운행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은 산정하는 부문

이다.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된 총 배출량은 3,055,362ton으로 약 17%의 배출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중 가솔린 Light Duty 차량에서 약

2,639,974ton이 배출되어 약 86%의 배출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낮은

배출기여도를 나타내는 차량은 디젤 Light Duty 차량으로 약 0.4%의 기여도

를 나타내고 있다.

중분류 배출량(ton)

합 계 3,055,361

디젤 Heavy Duty Vehicles 238,233 (7.8%)

디젤 Light Duty Vehicles 11,070 (0.4%)

가솔린 Heavy Duty Vehicles 166,084 (5.4%)

가솔린 Light Duty Vehicles 2,639,974 (86.4%)

* (%) :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4>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

2.1.4 비도로 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은 국내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배출원과 동

일하며 자동차 이외에 내연기관을 장착한 철도, 항공기, 선박, 기계장비 등을

포함하는 배출원이다. 비도로 이동오염원에서 총 배출량은 2,593,042ton으로

전체 VOCs 배출량 중 15%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중 기계장비(농

업・건설기계) 부문에서 96%의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31

중분류 배출량(ton)

합 계 2,593,042

항공기 35,445 (1.4%)

산업용 선박 20,646 (0.8%)

기관차 44,198 (1.7%)

기계장비 2,492,753 (96.1%)

* [%] : 미국 총 VOCs 배출량 중 비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배출 기여도

* (%) : 비도로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5>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

2.1.5 유기용제

유기용제 사용 부문은 도료, 페인트, 용매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국내 VOCs 배출원 중 유기용제 사용 부

문의 배출원에 속하는 배출원에 해당한다.

미국에서 유기용제 부문의 ‘08년도 배출량은 3,299,117ton으로 전체 배

출량 중 약 18%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그중 소비・상업 용제 부문의 배출기

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소비・상업 용제 부문은 가정 및 상업에서

유기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때 배출되는 VOCs를 산정하는 부

문이다.

중분류 배출량(ton)

합 계 3,299,117

소비・상업 용제 1,619,338 (49.1%)

세정 198,187 (6.0%)

세탁 48,954 (1.5%)

인쇄 355,814 (10.8%)

산업 표면 코팅 & 유기용제사용 647,641 (19.6%)

비 산업 표면 코팅 429,183 (13.0%)

* (%) : 유기용제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6>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VOCs 배출량

Page 2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32

2.1.6 화재

화재 부문은 크게 농촌에서 노천소각, 사전입화, 산불로 인한 VOCs 배

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농촌에서 노천소각은 말 그대로 소각시설이 설치

되어 있지 않은 농촌의 들녘에서 농업잔재물 등을 태우는 소각을 의미하며,

사전 입화는 미국에서 봄, 가을철 산불의 확산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살

림의 일부를 미리 태우는 것을 의미한다.

화재 부문의 VOCs 배출량은 4,596,997ton으로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26%의 배출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와 달리 기여율이 크지는

않지만 미국의 화재부문의 VOCs 배출량 중 농촌에서의 노천소각이 포함되

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부문 중에서 산불로 인한 VOCs 배출량이

2,847,133ton으로 화재 부문 중 절반이 넘는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중분류 배출량(ton)

합 계 4,596,997

농촌에서 노천소각 53,270 (1.2%)

사전 입화 1,696,594 (36.9%)

산불 2,847,133 (61.9%)

* (%) : 화재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7> 화재 부문의 VOCs 배출량

2.1.7 농업

농업부문에서 VOCs 배출은 가축 분뇨에서 발생되는 VOCs 배출량을

포함하는 부문으로 ‘08년도 미국에서 가축 분뇨의 배출량은 92,488ton이며,

전체 배출량의 약 0.2% 정도로 비교적 낮은 배출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분류 배출량(ton)

가축 분뇨 92,448

<표 2-18> 농업 부문의 VOCs 배출량

33

2.1.8 원유시설・주유소

원유시설과 주유소에서 휘발유의 공급으로 인한 VOCs 배출량을 산정

하는 부문으로 국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 배출원과 비슷한 배출원 분

류에 속한다.

원유시설・주유소에서 배출된 ‘08년도 VOCs 배출량은 736,086ton으로

전체 배출량 중 약 4%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주유소에서 배출된 량이 8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대분류 배출량(ton)

합 계 736,086

원유시설 92,809 (12.6%)

주유소 643,277 (87.4%)

* (%) : 원유시설・주유소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19> 원유시설・주유소 부문의 VOCs 배출량

2.1.9 기타 비산업

기타 비산업 부문의 VOCs 배출은 산업공정 이외의 부문을 포함하며,

배출량은 <표 2-20>과 같다. 기타 비산업 부문에서 배출된 양은 전체 VOCs

배출량 중 1% 정도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대분류 배출량(ton)

기타 비산업 226,996

<표 2-20> 기타 비산업 부문의 VOCs 배출량

Page 2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34

2.1.10 폐기물 처리

폐기물 처리 부문의 VOCs 배출은 소각 및 매립 등의 처리단계에서 발

생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써 배출량은 <표 2-21>과 같다. 미

국의 경우는 국내에 비해 소각처리율이 낮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달리 폐기

물 처리 부문의 배출량 산정이 매립과 소각으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으며, 전

체 VOCs 배출량도 기여율이 약 1%로 비교적 낮은 배출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대분류 배출량(ton)

폐기물 처리 179,769

<표 2-21> 폐기물 처리 부문의 VOCs 배출량

2.2 자연 배출원

자연적 배출원은 식물・토양 등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VOCs를

포함하는 배출원이다. ‘08년도 미국의 식물・토양 배출원에서 배출된 총

VOCs 배출량은 31,743,796ton이며, 이는 미국의 인위적 배출원과 자연적 배

출원의 배출량을 함께 비교하였을 때, 64% 정도로 인위적 배출원에서 배출된

총 배출량보다도 많은 배출량에 해당한다.

대분류 중분류 배출량(ton)

식생 식물・토양 31,743,796

<표 2-22> 식생 부문의 VOCs 배출량

35

3. 유럽의 VOCs 배출량

3.1 인위적 배출원

유럽의 2009년 VOCs 배출량은 총 7,854,741ton으로 배출원별 VOCs 배출기

여도를 <그림 2-12>에 나타내었다. 배출원 중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이는 배출

원은 유기용제 사용부분으로 약 40%의 배출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뒤를 이

어 도로이동오염원 16%, 연료 연소 14%, 연료사용에 의한 비산배출 부문이 9%

의 기여도를 보이고 있다. 유럽의 인위적 배출원 중 가장 기여도가 낮은 배출원

은 기타 면오염원(산불)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2-12> 유럽의 VOCs 배출기여도

3.1.1 연료 연소

연료 연소 부문은 연료를 사용하여 전기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공정과

제조업에서 연료 사용에 따른 VOCs 배출을 포함하며, 배출원별 배출량은

<표 2-23>과 같다. 연료 연소 부문의 배출량은 1,112,860ton으로 EU의 총 배

Page 2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36

출량 중 약 14%의 기여도를 보이며, 이 중 가정의 고정 연소 시설에서 배출

량이 848,035ton으로 연료 연소 부문 중 약 76%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연료 연소 부문 중 가장 적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부문은 비철금속 제조 시

연료 사용에 따른 배출로 전체 연료 연소 부문 중 약 0.2%의 기여도를 나타

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112,860,032

1 A 1 a 공공 전기 및 열 생산 71,582,094 (6.4%)

1 A 1 b 석유 정제 11,159,981 (1.0%)

1 A 1 c 고체 연료 및 기타에너지 산업 제조 6,182,399 (0.6%)

1 A 2 a 철, 강철 14,126,378 (1.3%)

1 A 2 b 비철금속 1,715,565 (0.2%)

1 A 2 c 화학물질 6,578,660 (0.6%)

1 A 2 d 펄프 종이 및 인쇄 6,443,877 (0.6%)

1 A 2 e 식품가공, 음료 및 담배 7,557,870 (0.7%)

1 A 2 f i 기타 55,439,975 (5.3%)

1 A 4 a I 기관 / 상업 : 고정 36,386,724 (3.3%)

1 A 4 b i 가정 : 고정 연소시설 848,035,076 (76.2%)

1 A 4 c i 농업 / 임업 / 어업: 고정 47,651,433 (4.3%)

* (%) : 연료 연소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3> 연료 연소 부문의 VOCs 배출량

3.1.2 비도로 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은 선박, 철도, 항공 및 각종 기계의 연료 사용에 따

른 VOCs 배출량을 산정하며 배출량은 <표 2-24>와 같다. 비도로 이동오염원

의 VOCs 배출기여도는 전체 배출량 중 약 7%에 해당한다.

비도로 이동오염원 중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부문은 National

navigation 부문으로 전체 비도로 이동오염원 중 약 15%의 기여도를 타나내

고 있다. 철도부문의 VOCs 배출기여도는 비도로 이동오염원 중 약 1%에 해

37

당하며, 항공은 국내 및 국제 항공으로 나누어 이착륙횟수(Land-Take-Off

Cycles, LTO) 만을 고려한 배출량으로 비도로 이동오염원 중 약 1%의 기여

도를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986,860,796

1 A 3 a ii (i) 민간 항공 (국내, LTO) 3,464,772 (0.4%)

1 A 3 a i (i) 국제 항공 (LTO) 6,676,441 (0.7%)

1 A 3 a ii (ii) 민간 선박 (국내, 유람선) 1,381,108 (0.1%)

1 A 3 a i (ii) 국제 선박 (크루즈) 13,843,417 (1.4%)

1 A 3 d i (i) 국제 해상 탐색 45,992,112 (4.7%)

1 A 3 교통 (연료 사용) 70,979,025 (7.2%)

1 A 3 c 철도 12,052,119 (1.2%)

1 A 3 d i (ii) 국제 내륙 수로 1,065,406 (0.1%)

1 A 3 d ii National navigation (해운) 142,856,426 (14.5%)

1 A 4 b ii 가정 : 가정용 및 정원 (이동) 47,817,774 (4.8%)

1 A 4 c ii 농업․임업․어업 : 차량 및 기타 기계류 103,610,445 (10.5%)

1 A 4 c iii 농업․임업․어업 : National fishing 5,602,872 (0.6%)

1 A 3 e 파이프라인 압축기 1,973,407 (0.2%)

1 A 4 a ii 기관 / 상업 : 이동 13,831,587 (1.4%)

1 A 2 f ii 제조 산업과 건설에서 이동 연소 515,713,885 (52.3%)

* (%) :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4> 비도로 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

3.1.3 도로이동오염원

도로이동오염원에 VOCs 배출량은 <표 2-25>와 같으며,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량은 전체 VOCs 배출량의 16% 기여도를 갖는다. 승용차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이 약 4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며, 이륜차 부문이 그

뒤를 이어 22%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로교통(가솔린 휘발)부문은 휘

발성이 높은 가솔린의 휘발에 의한 배출량을 포함하여 이동오염원 중 약

12%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Page 2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38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276,467,891

1 A 3 b i 승용차 626,801,179 (49.1%)

1 A 3 b ii Light duty vehicles 60,838,548 (4.8%)

1 A 3 b iii Heavy duty vehicles 149,023,877 (11.7%)

1 A 3 b iv Mopeds & 오토바이 285,170,244 (22.3%)

1 A 3 b v 도로 교통 : 가솔린 휘발 154,634,043 (12.1%)

* (%) : 이동오염원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5> 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

3.1.4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은 석탄, 원유, 천연가스의 추출 및 가공공정에서

비산되어 배출되는 VOCs를 산정하며 전체 VOCs 배출량중 약 9%의 기여도

를 나타낸다.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부문 중 석유 제품의 유통 부문의 배출

기여도가 약 43%로 가장 높으며, 고체연료의 비산배출부분의 배출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보여진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942,911,365

1 B 1 a 석탄 채굴 및 처리 34,975,910 (3.7%)

1 B 1 b 고체연료 변환 9,075,785 (1.0%)

1 B 1 c 고체 연료에서 비산배출 1,628 (0.0002%)

1 B 2 a i 탐사, 생산, 운송 136,808,703 (14.5%)

1 B 2 a iv 정제 / 저장 228,001,391 (24.2%)

1 B 2 a v 석유 제품의 유통 408,863,416 (43.4%)

1 B 2 b 천연 가스 100,039,788 (10.6%)

1 B 2 c Venting and flaring 25,144,744 (2.7%)

* (%) :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6>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부문의 VOCs 배출량

39

3.1.5 산업공정

1) 광물 공정

광물 공정에서 배출된 VOCs 배출량은 <표 2-27>과 같다. 광물 공정에

서 배출량은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1%의 배출량 기여도를 갖으며, 배출

기여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도로 포장 시 사용되는 아스팔트로 부터 배출되

는 VOCs로 약 83%정도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공정에서 배출량은

제품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08,169,238

2 A 1 시멘트 생산 7,877,894 (7.3%)

2 A 2 석회 생산 276,113 (0.3%)

2 A 5 아스팔트 루핑 6,394,983 (5.9%)

2 A 6 아스팔트 포장 도로 90,055,504 (83.3%)

2 A 7 d 다른 광물 제품 3,564,744 (3.3%)

* (%) : 광물 공정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7> 광물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2) 화학물질 공정

화학물질 공정에서 배출된 VOCs 배출량은 <표 2-28>과 같다. 화학물질

공정의 배출기여도는 전체 VOCs 배출량 중 2%의 배출기여도를 갖으며, 무

기, 유기화합물질 생산을 포함하는 기타 화학 공업 부문에서 배출기여도가

93%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화학물질 공업 부문에서 가장 낮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부문은 아디프

산 생산으로 약 0.01%의 기여도를 나타낸다.

Page 3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40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32,827,916

2 B 1 암모니아 생산 3,355,626 (2.5%)

2 B 3 아디프산 생산 11,967 (0.01%)

2 B 5 a 기타 화학 공업 123,657,097 (93.1%)

2 B 5 b 화학 제품의 저장, 취급 및 운송 5,803,226 (4.4%)

* (%) : 화학물질 공정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8> 화학물질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3) 금속 공정

각종 금속 공정에서 제품 생산에 따른 VOCs 배출을 포함하는 부문으

로 배출량은 <표 2-29>와 같다. 금속 공정에서 배출량은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0.3%의 배출량 기여도를 갖으며, 배출량이 가장 많은 공정은 철강 생

산 부문으로 금속 공정 부문의 배출량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96% 배출기여

도를 나타낸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23,427,629

2 C 1 철강 생산 22,494,521 (96.0%)

2 C 2 강자성 합금 생산 6,711 (0.03%)

2 C 3 알루미늄 생산 537,371 (2.3%)

2 C 5 a 구리생산 3,060 (0.01%)

2 C 5 b 납생산 3,840 (0.02%)

2 C 5 c 니켈생산 70,300 (0.3%)

2 C 5 d 아연생산 1,399 (0.01%)

2 C 5 e 기타 금속 제품 280,000 (1.2%)

2 C 5 f 금속 제품의 저장, 취급 및 운송 30,427 (0.1%)

* (%) : 금속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29> 금속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41

4) 기타 생산 공정

기타 생산 공정에서 배출된 VOCs 배출량은 <표 2-30>과 같다. 기타 생

산 공정에서 배출량은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4%의 배출량 기여도를 갖

으며, 배출 기여도가 가장 높은 공정은 식․음료 가공에서 배출되는 VOCs

로 약 86%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315,984,788

2 D 1 펄프 및 종이 30,593,731 (9.7%)

2 D 2 식․음료 가공 270,412,505 (85.6%)

2 D 3 목재 가공 1,153,005 (0.4%)

2 G기타 생산, 소비, 저장, 운송 및

벌크 제품의 취급13,825,547 (4.4%)

* (%) : 기타 생산 공정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30> 기타 생산 공정 부문의 VOCs 배출량

3.1.6 유기용제 사용

1) 도료사용

도료사용에 의한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써 각 부문에서 배

출량은 <표 2-31>과 같다. 도료사용부문에서 VOCs 배출량은 전체 VOCs 배

출량 중 약 15%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배출량기여도를 나타내는 부문이다.

장식용 코팅, 산업용 코팅, 기타 코팅으로 구분되며, 장식용 코팅에서

49%, 산업용 코팅에서 45%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기타 코팅에서 6%의 기여도

를 나타내고 있다.

Page 3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42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208,751,371

3 A 1 장식용 코팅 597,237,020 (49.4%)

3 A 2 산업용 코팅 542,498,297 (44.9%)

3 A 3 기타 코팅 69,016,054 (5.7%)

* (%) : 도료사용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31> 도료사용 부문의 VOCs 배출량

2) 세정 및 세탁

세정 및 세탁부문의 VOCs 세정 시설과 세탁시설에서 유기용매 사용에

따른 VOCs 배출량을 포함하는 부문으로 배출량은 <표 2-32>와 같다. 세정

및 세탁 부분의 배출량은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2% 정도에 해당하는

196,273,807kg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96,273,807

3 B 1 세정 124,873,914 (63.6%)

3 B 2 세탁 71,399,893 (36.4%)

* (%) : 세정 및 세탁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32> 세정 및 세탁부문의 VOCs 배출량

3) 화학제품

화학제품부문은 고무, 페인트, 잉크 제품 생산 시 배출되는 VOCs 배출

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전체 VOCs 발생량 중 약 4%의 기여도를 갖는다.

43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3 C 화학 제품 340,213,692

<표 2-33> 화학제품 부문의 VOCs 배출량

4) 기타 유기용제 사용

인쇄시설, 가정용 용매 사용 및 기타 용매 사용에 따른 배출량을 산정

하는 부문이다.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09년도 배출량은 1,406,026,973kg

으로 전체 배출량 기여도 중 약 18%를 차지하며, 그중 살충제를 포함한 국

내 용매 사용 부문이 51%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1,406,026,973

3 D 1 인쇄 220,479,215 (15.7%)

3 D 2 살충제를 포함한 국내 용매 사용 711,424,646 (50.6%)

3 D 3 다른 제품 사용 474,123,112 (33.7%)

* (%) :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34>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VOCs 배출량

3.1.7 농업

1) 분뇨 관리

분뇨 관리부문은 가축의 분뇨로부터 발생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

는 부문으로 배출량은 <표 2-35>와 같다. 분뇨 관리 부분의 배출량은

332,476ton으로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4%의 기여도를 갖으며, 세부 배출

원의 배출 기여도는 돼지, 젖소, 기타 소, 암탉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Page 3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44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332,475,602

4 B 1 a 젖소 110,239,824 (33.2%)

4 B 1 b 기타 소 62,527,228 (18.8%)

4 B 2 물소 14,718 (0.004%)

4 B 3 양 3,687,643 (1.1%)

4 B 4 염소 223,356 (0.4%)

4 B 6 말 26,387 (0.01%)

4 B 7 나귀 및 노새 1,123 (0.0003%)

4 B 8 돼지 115,432,380 (34.7%)

4 B 9 a 암탉 25,855,617 (7.8%)

4 B 9 b 구이용 영계 13,140,237 (4.0%)

4 B 9 c 칠면조 13,293 (0.004%)

4 B 9 d 기타 가금류 1,313,796 (0.4%)

* (%) : 분뇨 관리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35> 분뇨 관리부문의 VOCs 배출량

2) 농업 토양

농업 토양 부문은 합성 비료의 사용, 농산물 저장, 취급 과정에서 발생

하는 VOCs 배출량을 포함하는 부문으로 배출량은 <표 2-36>과 같다. 농업

토양 부문의 전체 배출량은 25,576,359kg으로 전체 배출량 중 약 0.3%의 기

여도를 나타내며, 그 중 합성 비료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22,323,159kg으로

약 87%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25,576,359

4 D 1 a 합성 N-비료 22,323,159 (87.3%)

4 D 2 a농산물의 저장, 취급 및 운송을 포함한

농장 수준의 농업 작업3,253,200 (12.7%)

* (%) : 농업 토양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36> 농업 토양부문의 VOCs 배출량

45

3) 노천 소각

노천 소각은 방지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소각장에서 행해지는 소각이

아닌 농촌지역에서 농민들이 소규모로 농업잔재물을 소각하는 행위의 배출

을 포함한다. VOCs 배출량은 <표 2-37>과 같이 59,972,349kg이 배출되었으

며, 국가 VOCs 배출량 중 0.8%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4F 농업 폐기물의 노천 소각 59,972,349

<표 2-37> 노천 소각부문의 VOCs 배출량

4) 기타

기타 부문의 VOCs 배출량은 <표 2-38>과 같으며, 살충제로부터 휘발되

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한다. 1995년 네덜란드에서 연구된 내용을 토대로 모

든 살충제에서 25%가 방출된다고 가정하여 VOCs배출량을 산정하며, 배출량

은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0.03% 정도에 해당한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4G 기타 2,329,245

<표 2-38> 기타 농업부문의 VOCs 배출량

3.1.8 폐기물

1) 매립

폐기물 처리 중 매립을 통한 처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을 포함

하며, 배출량은 <표 2-39>와 같으며 전체 배출량의 약 0.35% 기여도를 갖는다.

Page 3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46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6A 매립 27,786,454

<표 2-39> 매립 부문의 VOCs 배출량

2) 폐수처리

폐기물 처리 부문 중 폐수처리 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폐수처리 부문의 배출량은 <표 2-40>과 같으며, 전체 배

출량 중 약 0.06%에 해당하는 배출기여도를 나타낸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6B 폐수처리 4,504,443

<표 2-40> 폐수처리 부문의 VOCs 배출량

3) 폐기물 소각

폐기물 소각부문은 폐기물 처리 방법 중 소각에 의한 처리 방법에 따

른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표 2-41>과 같이 병원 폐기물 소각, 산업폐

기물 소각, 생활폐기물 소각, 화장, 소규모 연소 등을 포함한다. 폐기물 소각

의 VOCs 배출량은 국가 VOCs 배출량 중 약 0.5%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작

은 규모의 폐기물 연소 부분의 배출기여도가 약 80%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합 계 35,987,599

6 C a 병원 폐기물 소각 614,016 (1.7%)

6 C b 산업 폐기물 소각 3,744,876 (10.4%)

6 C c 생활폐기물 소각 615,162 (1.7%)

6 C d 화장 2,056,122 (5.7%)

6 C e 작은 규모의 폐기물 연소 28,957,423 (80.5%)

* (%) : 폐기물 소각 부문 VOCs 배출량 중 기여도

<표 2-41> 폐기물 소각 부문의 VOCs 배출량

47

4) 기타 폐기물

위에서 검토된 폐기물에 포함되지 않는 폐기물 처리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기타 폐기물 부문에서 배출된 VOCs 배

출량은 24,467,572kg으로 국가 배출량 중 약 0.3%의 기여도를 나타낸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6 D 기타 폐기물 24,467,572

<표 2-42> 기타 폐기물 부문의 VOCs 배출량

3.1.9 기타 면오염원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배출량은 산불에 의한 배출량을 포함하며, ‘09년

도 유럽의 산불 부문의 배출량은 12,002,709kg으로 국가 배출량 중 약 0.15%

기여도 나타내고 있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11 B 산불 12,002,709

<표 2-43> 기타 면오염원 부분의 VOCs 배출량

3.2 자연 배출원

자연적 배출원은 자연 식생으로부터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

문으로 ‘09년도 유럽의 자연 식생에 의한 배출량은 635,900,176kg이며, 이는 인

위적 배출원의 배출량을 포함하여 배출기여도를 구할 경우 약 7%에 해당한다.

NFR_Code NFR_Name 배출량(kg)

11 C 자연 식생 635,900,176

<표 2-44> 자연 식생 부문의 VOCs 배출량

Page 3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48

4. 국내 배출량 신뢰도 평가

앞서 국내, 미국, 유럽의 VOCs 배출원별 배출량 및 배출기여도를 검토

하였다. VOCs 배출량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VOCs 배출원의 파악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산정하고 있는 배출량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배출원의 배출량 신뢰도를 검토하고, 이를 미국이나

유럽의 배출원별 배출량과 비교하기 위하여 배출원별 VOCs 배출량을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으로 산정하고, 이를 미국, 유럽의 해당 배출원들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과 비교하였다. 국내, 유럽의 경우 VOCs 배출량 자료가 ‘09

년도 이므로 ’09년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고 미국은 ‘08년도 VOCs 배출량

이 최근 자료이므로 ’08년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진행중에 있는 VOCs 배출원의 배출계수, 활동도, 배출량의

DARS 평가 결과(2012, 장영기)도 함께 나타내어 국내 배출원의 신뢰도를 검토

하고자 하였다.

4.1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4.1.1 연료 연소

연료 연소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45>에 나타내었

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비교해 보면 국내의

VOC 배출량이 미국이나 유럽의 배출량과 비교할 때 비교적 적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CAPSS에서 다루고 있는 연료 연소 부문

의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연료 연소 11,769 239 503,866 1,657 1,112,860 2,227

<표 2-45> 연료 연소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49

4.1.2 생산 공정

생산 공정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46>에 나타내었다. 국

내 CAPSS,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비교해 보면 국내 배출량

은 유럽의 생산공정 부문의 배출량 보다는 크고, 미국의 배출량 보다는 작게

산정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생산 공정 부문의 경우에는 인구수에

따라 과대, 과소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나라별 배출량을 비교할 수

있는 뚜렷한 지표가 없으므로 <표 2-46>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토대로

2절에서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을 국외 배출량 산정 방법과 비교하도록 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생산 공정 121,897 2,478 2,500,370 8,222 580,410 1,162

<표 2-46> 생산 공정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4.1.3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47>에 나

타내었다. 국내 VOCs 배출량은 미국의 배출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

며, 유럽의 배출량 보다는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량산정방법과 국외 배출량 산정 방법과 비교, 검토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에너지

수송 및 저장133,667 2,718 736,086 2,421 636,865 1,275

<표 2-47>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Page 3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50

4.1.4 유기용제 사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기타 유기용제 사용, 도장시설, 세정시설, 세탁 시설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48>에 나타내었다.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경우에는 미국 보다는 크게, 유럽 보다는 적게 배출량이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배출원별로 보면, 도장시설 부문은 미국, 유럽의 배출량과

비교하여 배출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탁 시설은 미국, 유럽의 배출량 보

다 배출량이 적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은 국내 배출원 중에서도 가장 배출기여도가 높은 부문

으로 이 부문에서의 VOCs 배출량 산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중요

하다. 이를 위해 2절에서 국내외 배출량 산정방법을 비교, 검토하기로 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기타 유기용제 사용

155,595 3,164 1,975,153 6,495 1,406,027 2,814

도장시설 333,043 6,772 1,076,824 3,541 1,208,751 2,419

세정시설 20,685 421 198,187 652 124,874 250

세탁시설 22,909 466 48,954 161 71,400 143

<표 2-48> 유기용제 사용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4.1.5 도로이동오염원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49>에 비교하

여 나타내었다. 국내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은 1,808ton/yr으로 미국, 유럽의

배출량 보다는 적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특히 미국의 배출량

보다 10배 이상 배출량이 적게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배출량의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검토하기 위해 2

절에서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과 국외 배출량 산정방법을 비교하여 국내 배

출량 산정방법의 보안할 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51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도로이동오염원

88,912 1,808 3,055,362 10,047 1,276,468 2,555

<표 2-49>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4.1.6 비도로 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50>에 비교

하여 나타내었다.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국내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은

309ton/yr으로 미국의 8,527ton/yr, 유럽의 1,032ton/yr 인 배출량 보다 매우

적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배출량 보다 27배 이상

적게 배출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비도로 이동오염원의 신뢰성 있는 배출량 산정을 위하여 2절에

서 국내외 배출량 산정방법의 비교를 통해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의 문제점

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비도로이동오염원

15,181 309 2,593,042 8,527 515,714 1,032

<표 2-50>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4.1.7 폐기물 처리

폐기물 처리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5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폐기물 처리 부문의 국내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은 974ton/yr으

로 미국의 591ton/yr 보다는 2배, 유럽의 64ton/yr 보다 15배 크게 산정되고

Page 3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52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배출량 차이가 활동도 자료의 문제일 수도

있으나 배출량 산정방법의 차이일 수도 있으므로, 원인을 검토하기 위해 2절

에서 국내외 배출량 산정방법을 비교하여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의 문제점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

배출량배출량

백만 명당

배출량배출량

백만 명당

배출량

폐기물 처리 47,915 974 179,769 591 32,146 64

<표 2-51> 폐기물 처리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4.1.8 기타 면오염원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표 2-52>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국내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은 2ton/yr으

로 미국의 9,363ton/yr 에 비해서는 무려 4,600배 이상, 유럽의 24ton/yr 에

비해서는 10배 이상 적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의 경우 현재 파악되고 있는 면오염원의 배출량보다, 파악되

고 있지 못한 배출량이 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신뢰성 있는 배출량 산정을 위하여

2절에서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및 국외 배출량 산정방법을 비교하여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의 보안할 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내 CAPSS 미국 유럽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배출량백만 명당배출량

기타 면오염원 120 2 2,847,133 9,363 12,003 24

<표 2-52> 기타 면오염원 부문에 대한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

(단위 : ton/yr)

53

4.2 국내 VOCs 배출원의 DARS 평가

4.2.1 DARS(Data Attribute Rating System) 평가

DARS는 미국 환경청 EIIP에서 추천하는 불확도 평가 시스템이다.

DARS는 배출자료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속성을 측정의 적합성, 오염원의

대표성, 공간 및 시간속성의 적합성 등 4가지 속성으로 구분하여 배출계수와

활동도 자료의 불확도를 평가한다. 불확도는 0~1로 표현되며 점수가 낮을수

록 불확도가 높아 자료의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한다. 속성별 배출자료

의 불확도는 배출계수와 활동도의 불확도의 곱으로 나타내며, 이를 4가지 자

료의 속성에 대하여 평가한 후 전체의 평균치가 산출된 배출자료의 불확도

를 나타낸다.

Attribute Factor Activity Emissions

Measurement/Method e1 a1 e1 × a1

Source Specificity e2 a2 e1 × a1

Spatial Congruity e3 a3 e1 × a1

Temporal Congruity e4 a4 e1 × a1

Composite

×

출처; EPA

<표 2-53> DARS Scoring box

DARS 점수는 총 8개 항목에 대하여 각각의 배점 기준을 가지고 점수를

산정하게 된다. 점수를 산정하는 분야는 배출계수와 활동도 자료에 대하여

각각 방법론, 오염원의 특성, 공간적 해상도, 시간적 해상도에 해당하는 점수

를 산정하게 된다.

1단계 : DARS 점수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각 오염원 별로 배출계수와 활

동도 자료에 대하여 공통양식에 의한 자료가 정리되어야 한다.

Page 3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54

2단계 : DARS 점수는 총 8개 속성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8개 속성

은 배출계수와 활동도 자료에 대하여 측정방법, 배출원 분류특성, 공간해상

도, 시간해상도에 대하여 정밀도, 대표성, 신뢰도 등을 평가흐름도(flow

chart)에 따라 평가하고 1부터 10점의 속성별 점수를 부여한다.

3단계 : 측정방법, 배출원 분류, 공간, 시간 해상도 속성별 배출계수와 활

동도 자료의 값을 곱하여 속성별 점수를 내고 이를 평균하여 부문별 배출량

산출자료의 DARS점수를 산정하게 된다. 이때 배출계수와 활동도 자료의 속

성별 점수를 평균하면 배출원에 대한 배출계수, 활동도 자료의 DARS 점수

가 산정 되게 된다.

4.2.2 국내 배출원의 DARS 평가 결과

현재 진행 중인 국내 VOCs 배출원별 배출계수, 활동도, 배출량의

DARS 평가 결과(2012, 장영기)를 <그림 2-13>, <그림 2-14>에 나타내었다.

<그림 2-13>의 배출원별 배출량 DARS 평가를 비교하여 보면 폐기물

처리 부문의 불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도로이동오염원, 기타 면

오염원, 유기용제 사용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배출원 중 불확도가 낮

은 배출원은 에너지산업 연소 부문이며, 제조업 연소, 생산 공정 순으로 나

타나고 있다.

<그림 2-14>의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DARS 평가 결과는 배출계수의

경우 폐기물 처리, 기타 면오염원, 유기용제 사용 순으로 불확도가 높게 나

타나고 있으며, 활동도는 도로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순으로 높은 불확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배출원별 배출량은 활동도와 배출계수의 곱으로 산정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배출원별 활동도 및 배출계수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배출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으로 2절에서 국내외 배출량 산정 방법을 비교 검토하여 국내 배출량 산정

방법을 보안하고자 한다. <표 2-54>는 중분류 배출원별 DARS 평가 점수이다.

55

<그림 2-13> 국내 VOCs 배출원별 배출량의 DARS 평가

<그림 2-14> 국내 VOCs 배출원별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DARS 평가

Page 3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56

대분류 중분류 배출계수 활동도 배출량

에너지산업연소

공공발전시설 0.75 0.91 0.68

지역난방시설 0.80 0.89 0.68

석유정제시설 0.76 0.89 0.68

민간발전시설 0.79 0.88 0.66

비산업연소

상업및 공공기관시설 0.60 0.63 0.39

주거용시설 0.63 0.66 0.40

농업.축산.수산업시설 0.60 0.67 0.41

제조업연소

연소시설 0.74 0.76 0.56

공정로 0.74 0.79 0.58

기타 0.74 0.79 0.58

생산공정

석유제품산업 0.61 0.64 0.38

제철제강업 0.71 0.75 0.49

무기화학제품제조업 0.68 0.75 0.47

유기화학제품제조업 0.63 0.73 0.46

목재,펄프제조업 0.67 0.76 0.47

식음료가공 0.63 0.75 0.48

기타제조업 0.70 0.73 0.50

에너지수송및저장 휘발유공급 0.62 0.71 0.44

유기용제사용

도장시설 0.47 0.44 0.21

세정시설 0.63 0.64 0.40

세탁시설 0.66 0.66 0.44

기타유기용제사용 0.65 0.64 0.41

도로이동오염원

승용차 0.76 0.58 0.36

택시 0.75 0.57 0.37

승합차 0.71 0.49 0.35

버스 0.82 0.49 0.48

화물차 0.72 0.34 0.36

특수차 0.71 0.50 0.37

RV 0.72 0.56 0.31

이륜차 0.70 0.44 0.22

비도로 이동오염원

철도 0.82 0.70 0.56

선박 0.60 0.39 0.24

항공 0.79 0.82 0.64

농업기계 0.67 0.36 0.25

건설기계 0.96 0.39 0.40

폐기물처리폐기물소각 0.60 0.59 0.35

기타폐기물 0.44 0.63 0.23

기타면오염원 산불 및 화재 0.58 0.64 0.37

<표 2-54> VOCs 배출원 중분류별 DARS 평가 점수

57

Ⅱ.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방안

앞서 국내 VOCs 배출량의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 국내의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과 비교하였으며, 현재 연구중인 VOC 배출원

별 배출량에 대한 DARS 평가 결과(2012, 장영기)를 함께 검토하였다.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 비교결과는 대부분의 배출원의 배출량이 미국, 유

럽의 배출량 산정결과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ARS

평가 결과도 국내 배출량의 불확도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 배출량 산

정방법을 우선적으로 검토 한 후 비교적 배출량 산정방법이 자세히 설명되

어 있는 유럽의 Emission Inventory Guidebook(2009)과 국내 배출량 산정방

법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배출량 신뢰도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검토, 제

안하고자 한다.

1.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검토

국가 VOCs 배출량은 대기정책지원시스템(Clean Air Support System,

이하 CAPSS)으로 산정하며, 배출량 산정방법의 일반적인 형태의 배출량 산

정식은 아래와 같다.

Eijk = EFij × Productsjk × (1-R i)

Eijk : 오염물질i, 제품/원료/연료j, 시설k에서의 오염물질 배출량

EFij : 오염물질i, 제품/원료/연료j에 대한 오염물질 배출계수

Productsjk : 시설k에서 생산/사용되는 제품/원료/연료j의 사용량

Ri : 오염물질i에 대한 방지효율

Page 3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58

배출량 산정방법 중 활동도 자료의 경우 연료 연소 중 점오염원은 대기배

출원관리시스템 (Stack Emission Management System, 이하 SEMS)을 기반으로

Bottom Up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면오염원의 경우에는 석

유공사, 석탄협회, 도시가스회사 등의 통계자료를 기초로 Top Down Approach

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이외의 배출원의 국가 통계자료의 분류를 토대

로 원료사용량 제품생산량, 인구수를 토대로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배출계수는 단위 활동도 당 배출량으로 표시되며 국내 연구기관에서 개발

한 배출계수를 우선 적용하고, 국내 미개발 배출계수는 EU CORINAIR, 미국

EPA AP-42, 네덜란드 국영연구개발원(TNO, Netherlands Organization for

Applied Scientific Research)등을 검토하여 적용하고 있다. 세부 배출원별 산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1 에너지산업 연소

에너지산업 연소에서 사용하는 배출계수를 <표 2-55> ~ <표 2-60>에

나타내었다. 부문별 연료종별 배출계수로 AP-42 5th ed.(U.S EPA,

1995-2000)의 계수들 중에서 검토하여 적용하고 있다. 배출계수는 방지효율이

적용되지 않은 계수(Uncontrolled Emission Factor)이다. 에너지산업 연소 부

문에서 배출량 산정 시 사용되는 관련 자료로, 점오염원은 SEMS를 기반으로

Bottom Up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면오염원의 경우에는

도시가스회사, 석유공사, 석탄협회 등의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Top Down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59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비민수용무연탄 0.15 kg/ton

U.S EPA AP-42

(1995-2000)

유연탄 0.03 kg/ton

B-A유 0.125 kg/kl

B-B유 0.125 kg/kl

B-C유 0.125 kg/kl

LSWR 0.125 kg/kl

경유 0.03 kg/kl

등유 0.03 kg/kl

LPG 0.06 kg/kl

LNG 0.21 kg/천m3

<표 2-55> 공공/민간발전 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경유 0.067 kg/klU.S EPA AP-42

(1995-2000)등유 0.067 kg/kl

LNG 0.21 kg/천m3

<표 2-56> 공공/민간발전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B-A유 1.5 kg/kl

U.S EPA AP-42

(1995-2000)

B-B유 1.5 kg/kl

B-C유 1.5 kg/kl

LSWR 1.5 kg/kl

경유 1.5 kg/kl

등유 1.5 kg/kl

LNG 6.76 kg/천m3

<표 2-57> 공공/민간발전 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Page 4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60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비민수용무연탄 0.15 kg/ton

U.S EPA AP-42

(1995-2000)

유연탄 0.03 kg/ton

B-A유 0.03 kg/kl

B-B유 0.154 kg/kl

B-C유 0.154 kg/kl

LSWR 0.154 kg/kl

경유 0.03 kg/kl

보일러등유(실내등유) 0.03(0.067) kg/kl

LPG 0.06 kg/kl

LNG 0.18 kg/천m3

<표 2-58> 지역난방/석유정제 보일러/공정로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경유 0.067 kg/kl

U.S EPA AP-42

(1995-2000)등유 0.067 kg/kl

LNG 00.21 kg/천m3

<표 2-59> 지역난방/석유정제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B-A유 1.5 kg/kl

U.S EPA AP-42

(1995-2000)

B-B유 1.5 kg/kl

B-C유 1.5 kg/kl

LSWR 1.5 kg/kl

경유 1.5 kg/kl

등유 1.5 kg/kl

LNG 6.76 kg/천m3

<표 2-60> 지역난방/석유정제 내연기관 부문의 배출계수

61

1.2 비산업 연소

부문별 연료종별 배출계수를 <표 2-61> ~ <표 2-65>에 나타내었다.

VOCs의 배출계수는 AP-42 5th ed. (U.S EPA 1995-2000)에 수록된 계수들

중에서 검토를 통해 제시하고 있으며, 방지효율이 적용되지 않은 계수

(Uncontrolled Emission Factor)이다.

비산업 연소 부문에서 배출량 산정 시 사용되는 관련 자료로 점오염원

은 SEMS를 기반으로 Bottom Up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면오염원의 경우에는 도시가스회사, 석유공사, 석탄협회 등의 통계자료를 기

반으로 Top Down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비민수용무연탄 0.04 kg/ton

U.S EPA AP-42

B-A유 0.067 kg/kl

B-B유 0.193 kg/kl

B-C유 0.193 kg/kl

경유 0.03 kg/kl

등유(실내등유) 0.03 kg/kl

LPG 0.06 kg/kl

LNG 0.18 kg/천m3

<표 2-61> 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민수용무연탄 0.04 kg/ton

U.S EPA AP-42

B-A유 0.067 kg/kl

B-B유 0.193 kg/kl

B-C유 0.193 kg/kl

경유 0.03 kg/kl

등유(실내등유) 0.03 kg/kl

LPG 0.06 kg/kl

LNG 0.18 kg/천m3

<표 2-62> 기타보일러 부문의 배출계수

Page 4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62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경유 0.067 kg/kl

U.S EPA AP-42등유 0.067 kg/kl

LNG 0.21 kg/천m3

<표 2-63>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B-A유 1.5 kg/kl

U.S EPA AP-42

B-B유 1.5 kg/kl

B-C유 1.5 kg/kl

LSWR 1.5 kg/kl

경유 1.5 kg/kl

등유 1.5 kg/kl

LNG 6.76 kg/천m3

<표 2-64> 고정엔진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B-A유 1.5 kg/kl

U.S EPA AP-42

B-B유 1.5 kg/kl

B-C유 1.5 kg/kl

LSWR 1.5 kg/kl

경유 1.5 kg/kl

등유 1.5 kg/kl

LNG 6.76 kg/천m3

<표 2-65> 기타장비 부문의 배출계수

63

1.3 제조업 연소

부문별 연료종별 배출계수를 <표 2-66> ~ <표 2-69>에 나타내었다.

VOCs의 배출계수는 AP-42 5th ed. (U.S EPA 1995-2000)에 수록된 계수들

중에서 검토를 통해 제시하고 있으며, 방지효율이 적용되지 않은 계수

(Uncontrolled Emission Factor)이다.

비산업 연소 부문에서 배출량 산정 시 사용되는 관련 자료로 점오염원

은 SEMS을 기반으로 Bottom Up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면오염원의 경우에는 도시가스회사, 석유공사, 석탄협회 등의 통계자료를 기

반으로 Top Down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비민수용무연탄 0.15 kg/ton

U.S EPA AP-42

유연탄 0.03 kg/ton

B-A유 0.03 kg/kl

B-B유 0.154 kg/kl

B-C유 0.154 kg/kl

LSWR 0.154 kg/kl

경유 0.03 kg/kl

등유(실내등유) 0.03(0.067) kg/kl

LPG 0.06 kg/kl

LNG 0.18 kg/천m3

<표 2-66> 보일러 및 공정로/기타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경유 0.067 kg/kl

U.S EPA AP-42등유 0.067 kg/kl

LNG 0.21 kg/천m3

<표 2-67> 연소시설의 가스터빈 부문의 배출계수

Page 4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64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B-A유 1.5 kg/kl

U.S EPA AP-42

B-B유 1.5 kg/kl

B-C유 1.5 kg/kl

LSWR 1.5 kg/kl

경유 1.5 kg/kl

등유 1.5 kg/kl

LNG 6.76 kg/천m3

<표 2-68> 연소시설의 고정엔진 부문의 배출계수

연료명 배출계수 단위 출처

B-A유 1.5 kg/kl

U.S EPA AP-42

B-B유 1.5 kg/kl

B-C유 1.5 kg/kl

LSWR 1.5 kg/kl

경유 1.5 kg/kl

등유 1.5 kg/kl

LNG 6.76 kg/천m3

<표 2-69> 연소시설의 기타 고정장비 부문의 배출계수

1.4 생산 공정

생산공정 부문별 배출계수는 크게 석유산업공정, 제품생산, 기타제조업

배출계수 분류로 나누어지며, <표 2-70> ~ <표 2-93>에 제시하였다. 제시된

배출계수는 방지효율이 적용된 배출계수(Controlled Emission Factor)이다.

65

1.4.1 석유산업공정

석유산업공정의 석유제품가공의 배출계수는 U.S EPA에서 제시하는 배

출계수 0.18kg/Mg원유에 석유의 비중 0.863을 적용한 0.15534kg/kl를 적용

한다. 석유제품저장 및 취급 부문의 배출계수는 EU CORINAIR modern

refinery에 대하여 제시된 0.25kg/Mg crude에 석유의 비중 0.863을 적용한

0.216kg/kl를 적용한다.

방지효율이 적용된 배출계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시된 각각의 배출

계수에 석유량을 곱하여 배출량을 산출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석유제품가공 0.15534 kg/kl U.S EPA, AP-42

석유제품 저장 및 취급 0.216 kg/kl EU CORINAIR

<표 2-70> 석유산업공정 부문의 배출계수

1.4.2 제품생산

(1) 제철제강 공정

코크스 제조과정에서 비산되어 배출되는 VOCs 배출을 산정하는 부문

으로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한 연료소비과정은 포함하지 않는다. 배출계수는

<표 2-71>과 같이 EU CONRINAIR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제조

과정에 투입되는 코크스 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코크스 오븐 0.75 kg/ton EU CORINAIR

<표 2-71> 코크스 오븐(누출 및 소화) 부문 배출계수

Page 4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66

고로에서 선철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VOCs 배출

량을 산정하는 부문으로 <표 2-72>와 같이 EU CORINAIR에서 제시하는 배

출계수를 적용하며 선철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출선 공정 0.0703 kg/ton EU CORINAIR

<표 2-72> 출선공정 부문 배출계수

전기로 제강공정은 고철을 원료로 철강을 생산하는 공정으로서 철 성

분 이외에 다양한 불순물이 고철과 함께 투입되므로 다양한 오염물질이 발

생된다. 배출계수는 <표 2-73>과 같이 CORINAIR에서 제시하는 배출계수를

사용하며 고철 투입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전기로 0.09 kg/ton CORINAIR, 1999

<표 2-73> 전기로 부문 배출계수

(2)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공정의 배출계수는 <표 2-74>와 같이 U.S EPA

AP-42 5th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정별 배출계수를 적용하되, 우리나라의 경우

각 공정별 활동도를 파악 할 수 없어 공정별 배출계수의 총합계를 배출계수

로 적용한다. 당해 연도 생산된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암모니아 생산 4.72 kg/ton U.S EPA AP-42

<표 2-74> 암모니아 생산 부문 배출계수

67

황산암모늄 생산에 의한 배출계수는 <표 2-75>와 같이 U.S EPA AP-42의 배

출계수를 적용하며, 당해 연도 생산된 황산암모늄양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황산암모늄 생산 0.11 kg/ton U.S EPA AP-42

<표 2-75> 황산암모늄 생산 부문 배출계수

카본블랙 생산에 의한 VOCs 배출량은 CO 보일러 및 소각로에서 배출

되는 오염물질만을 고려하며 배출계수는 <표 2-76>과 같이 U.S EPA AP-42

의 배출계수를 적용한다. 카본블랙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카본블랙 생산 0.99 kg/ton U.S EPA, AP-42

<표 2-76> 카본블랙 생산 부문 배출계수

(3)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유기화학제품 중 에틸렌의 경우 다양한 오염물질이 발생하는데, VOCs

를 제외한 물질들은 연료가스의 연소에서 배출되며 VOCs는 누출 및 폐가스

의 플레어링에 의하여 배출된다.

CAPSS에서는 VOCs에 대해서만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배출량 산정 시

적용하는 EU CORINAIR의 배출계수는 <표 2-77>과 같으며, 에틸렌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에틸렌 0.413 kg/ton CORINAIR, 1999

<표 2-77> 에틸렌 부문 배출계수

Page 4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68

프로필렌의 경우 에틸렌과 생산과정이 유사하고, 배출계수 또한 EU

CORINAIR에서 제시하는 동일한 배출계수를 적용한다. 배출계수는 <표

2-78>과 같으며 프로필렌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프로필렌 0.413 kg/ton CORINAIR, 1999

<표 2-78> 프로필렌 부문 배출계수

염화비닐(VCM)을 생산하는 방법은 아세틸렌법과 에틸렌법이 이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아세틸렌법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에틸렌법이 주로

사용된다. 에틸렌법을 이용할 경우 중간산물로 이염화에틸렌(EDC)이 생성되

게 된다. CAPSS는 <표 2-79>와 같이 EU CORINAIR에서 제시하는 배출계수

를 적용하며 제품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1,2 디클로로에탄+염화비닐 0.76 kg/ton CORINAIR, 1999

<표 2-79> 1,2 디클로로에탄+염화비닐 부문의 배출계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고압, 고온에서 에틸렌의 촉매중합반응에

의해 생산된다. EU CORINAIR에서 제시하는 배출계수는 <표 2-80>과 같고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 kg/ton CORINAIR, 1999

<표 2-80>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부문의 배출계수

69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은 저압 및 특수조건에서 에틸렌의 중합반응

에 의해 생성된다. 배출계수는 <표 2-81>과 같이 EU CORINAIR에서 제시하

고 HDPE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6.4 kg/ton CORINAIR, 1999

<표 2-81>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부문의 배출계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는 VCM의 중합체로 주로 VCM과 메탄을 배

출한다. 공정과 작성기관에 따라 배출계수가 상당히 다양한데 CAPSS에서는

<표 2-82>와 같은 1999년 CORINAIR에서 제시한 값을 적용한다. 배출량은

PVC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0.14 kg/ton CORINAIR, 1999

<표 2-82>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부문의 배출계수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Ziegler-Natta

촉매를 이용한다. 배출계수는 EU CORINAIR에서 제시한 <표 2-83>과 같고,

배출량은 폴리프로필렌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폴리프로필렌 0.86 kg/ton CORINAIR, 1999

<표 2-83> 폴리프로필렌 부문의 배출계수

스틸렌은 에틸벤젠을 원료로 탈수소반응 또는 산화반응을 이용하여 생

산된다. 주로 누출 및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며, CAPSS에서는 배출계수를 <표

2-84>와 같이 CORINAIR에서 제안한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배출량은 스틸렌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Page 4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70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스틸렌 0.25 kg/ton CORINAIR, 1999

<표 2-84> 스틸렌 부문의 배출계수

폴리스틸렌은 스틸렌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산되고, VOCs가 주로 누출

되어 배출된다. 배출계수는 <표 2-85>와 같이 CORINAIR에서 제시한 배출계

수를 적용하며, 폴리스틸렌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폴리스틸렌 2.6 kg/ton CORINAIR, 1999

<표 2-85> 폴리스틸렌 부문의 배출계수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BR)는 스틸렌과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액이다. 배출계수는 <표 2-86>과 같이 CORINAIR에서 제시한 배출계수

를 적용하며, 배출량은 SBR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 (SBR) 10 kg/ton CORINAIR, 1999

<표 2-86>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BR) 부문의 배출계수

스틸렌-부타디엔 고무는 생산 공정이 다양하며 스틸렌과 부타디엔의 복합

중합체이다. 배출계수는 <표 2-87>과 같이 CORINAIR에서 제시한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배출량은 스틸렌-부타디엔 고무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3.7 kg/ton CORINAIR, 1999

<표 2-87>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부문의 배출계수

7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틸렌(ABS) 수지는 접합 복합중합체와 중합

체 혼합물의 결합체이다. 배출계수는 <표 2-88>과 같이 CORINAIR에서 제시

한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배출량은 ABS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 1.4 kg/ton CORINAIR, 1999

<표 2-88>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 부문의 배출계수

무수프탈산은 산화공정으로 O-xylene을 원료로 하는 공정과 나프탈렌

을 원료로 하는 공정으로 나누어지는데, 우리나라는 주로 O-xylene 산화공정

을 이용한다. 배출계수는 <표 2-89>와 같이 U.S EPA에서 제공한 Controlled

계수를 사용하였고, 배출량은 무수프탈산 생산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무수프탈산 0.1 kg/ton U.S EPA AP-42

<표 2-89> 무수프탈산 부문 배출계수

아크릴로니트릴의 주 배출오염물질은 VOCs이며 프로필렌의 증기 상

암모니아 촉매산화공정을 이용하여 생산한다. 배출계수는 <표 2-90>과 같이

CORINAIR에서 제시한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배출량은 아크릴로니트릴의 생

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아크릴로니트릴 1 kg/ton CORINAIR, 1999

<표 2-90> 아크릴로니트릴 부문 배출계수

Page 4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72

3) 기타 제조업

(1) 목재 및 펄프 제조업

합판 생산 공정은 U.S EPA AP-42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합판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합판 생산 0.0018 kg/ton U.S EPA, AP-42

<표 2-91> 합판 생산 부문의 배출계수

(2) 기타제조업

주요한 배출원은 유리 제조 공정 중 용해로 이며, 재료준비, 성형, 서

랭 및 성형과정에서의 배출은 무시할 정도로 적게 평가되고 있다. CAPSS에

서는 U.S EPA AP-42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제조된 유리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유리(탄소제거공정) 0.2 kg/ton U.S EPA, AP-42

<표 2-92> 유리(탄소제거공정) 부문의 배출계수

4) 식음료 가공

식음료 가공 산업은 마가린과 요리용지방, 맥주, 설탕, 위스키 등 독주,

육류․생선가공 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한다. <표 2-93>과 같이 5

가지 배출원 모두 EU CORINAIR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식음

료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맥주와 위스키 등 독주의 hl은

‘hectolitre’ 100리터를 의미한다.

73

생산분류/제품 배출계수 단위 출처

마가린과 요리용지방 10 kg/ton EU CORINAIR

맥주 0.035 kg/hl EU CORINAIR

설탕 10 kg/ton EU CORINAIR

위스키 등 독주 15 kg/hl EU CORINAIR

육류, 생선가공 0.3 kg/ton EU CORINAIR

<표 2-93> 식음료 가공 부문의 배출계수

1.5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에너지 수송 및 저장부문은 정유공장 및 저유소의 출하기지에서 수송수

단(탱크트럭 등)에 적재할 때의 배출 및 저장탱크에서의 배출, 주유소에서의

급유 및 저장탱크에서의 배출이 고려된다. 각 부문별 배출계수는

CONCAWE(Williams et al, 1986) 연구에서 제시한 계수를 <표 2-94>에 나타

내었다.

정유공장 출하기지의 경우 배출량은 정유공장 휘발유 출하량으로 산정하

며, 수송 및 저유소 부문의 경우 저유소 휘발유 출하량으로 배출량을 산정한다.

주유소 부문은 주유소 휘발유 판매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수송 및 저유소(주유소 제외) 0.00074 kg/kg

CONCAWE

(1986)정유사 출하기지 0.00031 kg/kg

주유소(주유시 포함) 2.391 kg/kl

<표 2-94>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계수

Page 4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74

1.6 유기용제 사용

유기용제 사용 오염원은 도료, 페인트, 용매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VOCs를 산정한다. 배출계수는 <표 2-95> ~ <표 2-99>에 나타내었다.

1.6.1 도장시설

도장시설은 도료의 소비용도에 기초하여 배출원을 분류하고 있다. 배출

계수는 U.S EPA에서 제시한 일반 표면도장시설의 배출계수 평균값인

582kg/ton(512kg/kl)을 적용하고 있다.

산업용 도장시설의 경우 산업 부문별 도료 소비량을 알 수 없기 때문

에 각 용도별 생산실적과 소비량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적용한다. 산업용은

건축, 자동차(신차), 자동차(수리), 선박, 전자, 산업(금속), 산업(목재), 철강구

조물, 플라스틱, 도로표지, 기타(신나 포함)로 분류되고 있다.

평균 방지 효율은 자동차 부문에 대해서만 고려하며 자동차 제조 부문

에서의 방지효율은 약 83%이고, 자동차 수리부문에서의 방지효율은 31%를

적용한다. 배출계수는 U.S EPA에서 제시한 <표 2-96>과 같고, 기타도료와

신나를 분리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신나는 모두 배출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배출량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배출량 (kg/년)

= (기타 도료 소비량 * 배출계수 + 신나 소비량 * 비중) * 방지효율

신나 비중 : 0.880

방지효율 : 자동차 제조는 0.83, 자동차 수리는 0.31

배출계수 : 582 kg/ton(512 kg/kl)

건축물 도장 및 기타 비산업용 도장 공정의 배출계수는 U.S EPA에서

제시한 <표 2-95>과 같고, 부문별 도료 생산 실적 중 해당부문의 생산실적을

사용량으로 가정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방지효율은 적용하지 않는다.

75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건축 및 건물 582 kg/ton

U.S EPA, AP-42,

(1981)

기타 비산업용 도장공정 582 kg/ton

기타 산업용 도장공정 582 kg/ton

나무, 가구제조 582 kg/ton

선박 제조 582 kg/ton

자동차 수리 582 kg/ton

자동차 제조 582 kg/ton

코일 코팅 582 kg/ton

<표 2-95> 유기용제 사용부문 도장시설 부문의 배출계수

1.6.2 세정시설

유기용매를 이용한 세척과정 중 발생하는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

문으로 CAPSS에서는 금속세정, 전자부품제조, 기타 등의 배출원으로 구분한

다. 금속세정 부문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시한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전자

부품 제조 및 기타 세정공정은 U.S EPA에서 제시한 배출계수를 적용한다.

배출계수는 <표 2-96>과 같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활동도는 용제 사용

현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료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업종별 종업원

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금속 세정공정 223.1 kg/종업원 수/년 국립환경과학원 (2008)

기타 산업용 세정공정 39.463 kg/종업원 수/년 U.S EPA (1997)

전자부품 제조 39.463 kg/종업원 수/년 U.S EPA (1997)

<표 2-96> 유기용제 사용부문 세정 부문의 배출계수

Page 4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76

1.6.3 세탁시설

세탁 과정(드라이클리닝)중 VOCs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배출 계

수는 <표 2-97>과 같고 세탁소 1개당 평균 용제 사용량 및 폐용제 발생량에

기초하여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에서 제시한 계수를 적용한다. 배출량

은 세탁시설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세탁(드라이클리닝) 610.368 kg/업체수/년차세대핵심환경

기술개발사업

<표 2-97> 유기용제 사용부문 세탁(드라이클리닝) 부문의 배출계수

1.6.4 기타 유기용제사용

1) 인쇄시설

인쇄 작업에서의 용매사용에 의한 배출량을 평가하며, 인쇄방식 및 공

정에 따라 마스터인쇄, 스크린인쇄, 옵셋 인쇄 및 그라비어 인쇄로 분류된다.

배출계수는 <표 2-98>과 같다. 마스터 인쇄와 스크린 인쇄는 각각의 해당업

소 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또한 옵셋인쇄와 그라비어 인쇄는 기타 인쇄업

의 종업원 수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E = Ac × EF × (1 -CF/100)

E : 인쇄시설의 배출량, kg/yr

Ac : 인구수, persons

EF : 배출계수, kg/persons/yr

CF : 방지효율, %

77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마스터 인쇄 499.6 kg/업체/년 국립환경과학원

스크린 인쇄 1694.3 kg/업체/년 국립환경과학원

옵셋 인쇄 248.3 kg/종업원/년 국립환경과학원

그라비어 인쇄 4443.8 kg/종업원/년 국립환경과학원

<표 2-98> 유기용제 사용부문 인쇄시설 부문의 배출계수

2) 가정 및 산업용 유기용제 사용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소비용품 중에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제품은 매우

다양하여 배출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단일 배출원을 가정한다. 배출계

수는 <표 2-99>와 같고, 다양한 제품종의 VOCs 함량, 함유된 VOCs중 대기

로 배출되는 비율과 제품 생산량 등을 반영하여 산정되었다. 배출량은 인구

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사용 2.64 kg/인/년 국립환경과학원

<표 2-99> 유기용제 사용부문 가정 및 산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계수

3) 아스팔트 도로포장

국내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량은 컷백 아스팔트의 특성을 반영

하는 별도의 보정계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VOC 배출량 산정은 아래와 같다.

Page 4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78

VOCs 배출량(kg)

= 국내 총 아스팔트 소비량(kl)×총 아스팔트 사용량 중 컷백 아스팔트의 비율(5%) ×

× 보정계수 × 휘발성분비율(wt%)

*컷백 아스팔트 사용량은 국내 총 아스팔트 소비량의 0.1%로 추정함

*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선진국의 VOC 배출저감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연구(Ⅰ), 2007

컷백 아스팔트는 순수 아스팔트에 일정 비율의 용제가 포함되어 생산된

다. 이에 배출계수는 컷백 아스팔트 내의 용제 중 증발된 양을 중량 백분율

(wt%)로 전환하여 산정한다. 또한 활동도 자료의 특성을 산정식에 반영하기

위해서 활동도의 보정계수가 필요하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휘발성분비율(wt%) = (용제 함유율(v%)×용제밀도)×증발 비율 × 100

= 0.53v%×0.8×0.7×100

= 29.68 ≒ 30wt%

순수 아스팔트 (kl) : X, 함유 용제(kl) : Y

컷백 아스팔트(kl) = X+Y=X+(X×0.53/0.47)

컷백 아스팔트(kg)=[X×아스팔트 밀도(1.1)]+[Y×용제밀도(0.8)]

= [X×1.1]+[X×(0.53/0.47)×0.8]

= 2.002X≒2X

따라서, 보정계수 = 2 (컷백 아스팔트 배출량, kg/순수 아스팔트 소비량, kl)

* 컷백 아스팔트 내 용제와 아스팔트 부피 함량(v%)은 각각 0.53과 0.47이다.

* 자료 : 환경부, 대기 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배출량 산정연구, 2005

**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선진국의 VOC 배출저감 사례분석을 토한 국내 적용방안 연구 (Ⅰ), 2007

79

1.7 도로이동오염원

도로이동오염원의 경우 국립환경과학원의 교통환경연구소에서 국내 환

경에 적합한 배출량 산정방법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이동오염

원의 배출량 산출 흐름은 <그림 2-15>와 같다.

<그림 2-15> 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 흐름

차종별 차량 등록대수는 한국자동차공업협회에서 제공하는 ‘제작사별 차

종별 차량별 연료별 등록대수’를 적용하며 이륜차의 경우 국토해양부 통계자

료 중 ‘시도별 시군구별 차종별 차령별 등록대수(50cc 미만 제외)’를 적용하

고 있다.

총 VKT는 일평균 주행거리(차종)에 차량등록대수(차종)를 곱해 연평균

총 주행거리를 계산한다. 비실측도로 VKT는 총 VKT와 실측 VKT 차이를

적용한다.

Page 5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80

1.8 비도로 이동오염원

1.8.1 농업기계

농업기계는 농업활동에 동원되는 기계를 포함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경

운기, 콤바인, 분무기류, 양수기, 탈곡기, 파종기, 트랙터 등이 주요한 농업기

계에 해당한다. 배출량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출량(kg/년)=보유대수(대)×평균정격출력(kW)×평균출력비율(0.48)

×가동시간(h/년)×배출계수(kg/kWh-대)

*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경유엔진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Ⅲ), 1999

활동도로 이용되는 농업기계 보유대수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발간하는

시군구별 농업기계 보유현황을 이용하고 있으며, 가동시간은 별도로 조사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5년마다 조사하는 농업기계 연간작업시간 자료를 이용한다.

농업기계별 VOCs 배출계수 및 평균 정격출력은 <표 2-100>과 같다.

분무기, 양수기, 탈곡기, 파종기, 이앙기 등의 경우에는 배출계수 및 정

격출력이 조사되지 않아서 가장 유사한 엔진특성을 갖는 경운기 배출계수 및

평균정격출력을 이용한다.

농업기계 배출계수 평균 정격 출력 (PS)

경운기 2.04 g/hWh-대 9.1

콤바인 0.75 g/hWh-대 37

분무기류 2.04 g/hWh-대 9.1

양수기 2.04 g/hWh-대 9.1

탈곡기 2.04 g/hWh-대 9.1

파종기 2.04 g/hWh-대 9.1

트랙터 0.48 g/hWh-대 45

이앙기 2.04 g/hWh-대 9.1

*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경유엔진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Ⅲ), 1999

* 1 PS = 0.735499kw

* 평균정격출력 : 1998년 자료

<표 2-100> 농업기계 VOCs 배출계수 및 평균 정격출력

81

1.8.2 건설장비

국내 CAPSS에서 구분하고 있는 건설장비는 불도저, 로우더, 지게차, 굴삭

기, 기중기,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으로 배출량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출량(kg/년)=보유대수(대)×평균정격출력(kw)×평균출력비율(0.48)

×가동시간(h/년)×배출계수(kg/kWh-대)*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경유엔진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Ⅰ), 1997

건설기계 보유대수는 국토해양부에서 발간하는 건설교통통계연보에 수

록된 시도별 건설장비 보유대수를 활용하며, 가동시간은 가동률에 한국적산

연구소에서 제시한 건축공사표준품셈의 가동시간 기준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가동률은 대한건설기계협회에서 조사하여 발표하는 자료를 활용한다.

가동조건 : 1일 8시간, 월 30일 운전

월 작업시간 : 8시간/일 ×30일/월×가동률(%)/100

<표 2-101>은 건설기계별 VOCs 배출계수에 해당하며 콘크리트펌프, 공

기압축기, 천공기(3종)의 배출계수는 <표 2-102>를 적용한다.

건설기계 정격출력구분 배출계수(g/kWh)

굴삭기130kW 미만 0.48

130kW 이상 0.25

기중기130kW 미만 0.32

130kW 이상 0.29

로우더130kW 미만 0.38

130kW 이상 0.29

로울러130kW 미만 0.31

130kW 이상 0.28

불도저130kW 미만 0.43

130kW 이상 0.31

지게차130kW 미만 0.78

130kW 이상 0.70* 출처; 국립환경과학원,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Ⅴ), 2007

<표 2-101> 건설기계별 VOCs 배출계수

Page 5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82

출력(kW) 배출계수

0-20 3.82 g/kWh

20-37 1.50 g/kWh

37-75 1.30 g/kWh

75-130 1.00 g/kWh

130-300 1.00 g/kWh

300-560 1.00 g/kWh

560-1000 1.30 g/kWh

1000 이상 1.30 g/kWh

출처; CORINAIR,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2006

<표 2-102> 콘크리트펌프, 공기압축기, 천공기(3종) 배출계수

건설장비 평균정격출력은 서울특별시에서 연구한 건설기계 및 이륜차

오염물질 저공해방안 조사·연구(2009)에서 제시한 건설기계별 평균정격출력

을 적용하며, 평균정격출력은 <표 2-103>과 같다.

건설기계 평균출력(kW)

불도저 114

굴삭기 85

로우더 100

지게차 56

기중기 175

로울러 70

덤프트럭 274

콘크리트 믹서트럭 249

콘크리트 펌프 199

공기압축기 201

천공기 106

출처; 서울특별시, 건설기계 및 이륜차 오염물질 저공해방안 조사·연구, 2009

<표 2-103> 건설기계별 평균정격출력

83

1.8.3 철도

기관차와 동차로 나누어 배출량을 산정하며 전기기관차 및 전동차

(KTX)는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된다. 열차는 엔진에 따라 디젤기관차, 새마을

형 디젤동차, 무궁화형 디젤동차, 도시통근형 디젤동차 등으로 나뉜다. 한국

철도공사에서 정기적으로 운행자료를 취합하는 디젤기관차 새마을형 디젤동

차, 무궁화형 디젤동차, 통근형 디젤동차에 대해서는 배출량을 산정하며, 기

타 일반동차의 경우에는 무궁화형 디젤동차에 포함시켜 배출량을 산정한다.

배출량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총 배출량(kg/년) = ∑(노선별 월별 배출량)

노선별 월별 배출량(kg/월)=∑(노선별 월별 연료소비량)×배출계수

활동도로 이용되는 연료소비량 자료는 철도청에서 작성하는 열차종별

노선별 월별 연료소비량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며, 배출계수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1997년 개발한 열차 종류별 배출계수를 적용한다. 열

차 종류별 배출계수는 <표 2-104>와 같다.

열차 종류 배출계수

디젤기관차 10.66 kg/kl

새마을형 디젤동차 6.20 kg/kl

NDC, CDC 디젤동차 1.22 kg/kl

출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디젤기관의 배출가스 대기오염현황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1997

<표 2-104> 열차종별 배출계수

Page 5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84

1.8.4 항공

항공기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은 항공기의 이착륙 시, 항공기의 운항

시, 항공기 이착륙 시의 지상 부대장비(Ground Support Equipment, GSE)

운행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항공기 이착륙의 경우 USFAA(미국 연방

항공청)에서 개발한 항공기 배출/확산 모형인 EDMS(Emision and

Dispersion Modelling System)에서 제시하는 항공기종별 엔진별 배출계수 디

폴트 값을 활용한다. 항공기의 운항 시 배출량은 항공기가 상승하면서 순항

모드로 전환되고 상당히 높은 고도에서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지상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가정하여 제외한다. 그리고 GSE 운행에 따른 배출량은

USEPA NONROAD(2005)의 엔진출력별 소요시간별 배출계수 자료를 활용하

여 산정한다.

국내 공항별 월별 기종별 이착륙횟수(Land-Take-Off Cycles, LTO)자료

및 엔진 자료는 한국공항공사와 인천공항공사의 자료를 입수하여 적용하고

있다. 배출량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항공기 이착륙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량(kg/년)

= 기종별 항공모드별 배출계수(kg/LTO)×기종별 이착륙횟수(LTO)

= ∑[기종별 이륙모드별 배출계수(kg)×기종별 이륙횟수]

+∑[기종별 착륙모드별 배출계수(kg)×기종별 착륙횟수]

* 기종별 항공모드별 배출계수 = 기종별 항공모드별 시간별 배출계수(g/min)×기종별

항공모드별 소요시간(min)×기종별 엔진 수/1000

GSE 운행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량(kg/년)

= GSE 운행에 따른 배출계수(kg/LTO)×기종별 이착륙 횟수(LTO)

= ∑[Air start, Aircraft tracotr, Hydrant truck 배출계수(kg)×기종별 이륙횟수

+∑[Lavatory truck 배출계수(kg)×기종별 착륙횟수]

+∑[Baggage tractor, Balt loaer, Service truck 배출계수(kg) × 기종별 이착륙 횟수]

* GSE 운행에 따른 배출계수 = GSE 배출계수(g/hr-hp)×운행시간(hr)×평균출력(hp)×Load

factor(%/100)/1000

85

1.8.5 선박

선박 운송의 경우, 국토해양부 지방해양항만청에서 집계되는 해상 선박

운송에 대해서만 배출량을 산출하며, 톤급별 입출항 자료가 관리되는 외항선

및 연안선의 경우만을 배출량 산정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배출량은 항만에서 선박운송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은 정박시의 배출과

부두접안시 배출로 구분된다. 배출량 산정 방법은 항구별로 평가된 정박에

의한 연료소비량과 접안시 연료소비량에 Cruise 모드에서 평가된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배출량 산정식은 아래와 같다.

선박운항 배출량 = (정박시 연료소비량 + 접안시 연료소비량) × 배출계수

* 연료소비량 단위는 무기(ton)이며, 부피환산을 위해 B-C유 비중은 0.96을 적용

정박시 연료소비량은 톤급별 입출항 대수 및 정박시간을 이용하여 추

정할 수 있다. 정박 시 연료소비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연료소비량(정박) = 입출항대수(회/년)×0.5×연료소비계수(ton/day)×0.79(day/회)×0.2

0.5 : 입항과 출항이 2번 계산되므로 보정하기 위한 계수

연료소비계수 : 16.263+0.001×GT

0.79 : 평균 정박 일수

0.2 : 정박 중 연료소비량은 최대출력 시 연료소비량의 20%로 가정

접안시 연료소비량은 에너지 센서스에서 3년마다 조사하고 있는 톤급

별 연료경제와 운항거리 추정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외항 내의 연료 소비 = ∑(톤급별 입출항수 × 운항거리)/톤급별 연료경제(km/kL)

선박 부문의 배출계수는 <표 2-105>와 같으며, US EPA에서 제공하고

있는 엔진추진 선박의 계수를 적용하고 있다.

Page 5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86

스팀 추진 엔진 추진

최대출력 순항모드정박

(벙커유 연소)

정박

(경유 연소)전항해 운전 모드

배출계수 0.21 0.08 0.38 0.36 2.88

<표 2-105> 선박부문 VOCs 배출계수

1.9 폐기물 처리

폐기물 처리의 경우 사업장폐기물(플레어링 제외)과 생활폐기물 소각에

따른 VOCs 배출량을 산정한다. 배출계수는 EU CORINAIR에서 제시한

<표 2-106>과 같고 폐기물 소각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사업장폐기물(플레어링 제외) 7.4 kg/tonCORINAIR,

1999생활폐기물 0.02 kg/ton

<표 2-106>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

1.10 기타 면오염원

기타 면오염원 중 산불 및 화재 부문의 VOCs 배출계수는 <표 2-107>과

같다. 산불의 경우에는 배출계수에 산불피해면적(ha)을 활동도로 이용하며,

일반화재는 화재 건수(fire)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분류 배출계수 단위 출처

산불 242 kg/haU.S EPA AP-42

1995일반화재 12.3 kg/fire

<표 2-107> 산불 및 화재 부문의 배출계수

87

2. 배출량 신뢰도 향상을 위한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방향

2.1 연료 연소

앞서 Ⅰ절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국내 연료 연소부문의 VOCs 배출량을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해당하는 배출량과 비교해 보았을 때 국내 배

출량이 과소평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배출계수는 EPA의 배출계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연소부문에서 인구 백만 명당의 배출량에 차이가 크게 나

는 것은 국외에서 배출량 산정에 사용하고 있는 배출원 중 일부가 국내 배

출량 산정시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거나 배출계수에 적용하는 활동도의 차

이에 따라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국내외 배출원을 비

교하고 배출계수 및 활동도를 검토하였다.

2.1.1 배출원 목록비교

<표 2-108>에 미국, 유럽, 국내의 연료 연소 부문 배출원을 비교하여 나

타내었다. 국내 연료 연소 부문의 배출원 분류는 미국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유럽과 비교하여 제조업 연소부문의 분류가 유럽에 비해 큰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미국이나 유럽의 배출원 분류와 비교할

때 큰 차이는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산

정시 미국이나 유럽의 배출량에 비해 VOCs 배출량이 적게 산정된 것이 누락

배출원에 의한 영향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Page 5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88

미국 유럽 국내

산업/공공

석유 정제 석유정제 시설

고체 연료 및 기타에너지 산업 제조

제조업 연소

철, 강철 제조업

비철금속 제조업

화학물질 제조업

펄프 종이 및 인쇄업

전기 생산 공공 전기 및 열 생산

공공발전시설

지역난방시설

민간발전시설

석유정제시설

산업용 보일러 기관/상업 : 고정 상업 및 공공기관시설

주거시설 가정 : 고정 연소시설 주거용 시설

- 농업/임업/어업 : 고정 농업, 축산, 수산시설

<표 2-108> 연료 연소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2.1.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국내 연료 연소 부문의 배출량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유럽의 Inventory

Guidebook(2009)의 배출량 산정방법과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을 검토하였다.

<표 2-109> ~ <표 2-112> 은 유럽의 배출계수이며 <표 2-113> ~ <표

2-115> 는 국내 연료연소 부문의 배출계수를 정리한 것이다. 유럽의 경우

Tier 1, 2 수준의 배출계수를 제시하고 있는데 Tier 1은 연소공정의 관계없이

연료 사용에 따른 연료별 배출계수이며, Tier 2는 연소공정에 따른 연료별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산업분류를 적용하여 배출원을 구

분하고 유럽의 Tier 2 수준의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또한 두 배출원 모두 연료 사용량을 활동도로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유럽의 연료연소와 국내 연료연소 부문의 차이점은 사용연료 및 연료

별 배출계수의 차이로 유럽의 경우 바이오매스, 목재 연료 사용에 따른 배출

량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앞서 비교한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이 미국, 유럽의 배출

량 보다 국내의 경우 적게 산정되고 있는 원인은 연료사용량의 차이와 해당

연료별 배출계수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89

분류 배출계수 출처

기관

상업의

고정

연소

Tier 1

무연탄 및 갈탄 88.8g/GJ EMEP/CORINAIR B216

가스 연료 2.5g/GJ EMEP/CORINAIR B216

액체 연료 10g/GJ EMEP/CORINAIR B216

바이오매스 146g/GJ EMEP/CORINAIR B216

Tier 2

중간크기보일러

(>50 kWth to <=1 MWth)석탄 연료 200g/GJ EMEP/CORINAIR B216

중간크기보일러

(>1 MWth to <=50 MWth)석탄 연료 20g/GJ EMEP/CORINAIR B216

고급 석탄 연소 기술

<1MWth - Manual Boiler석탄 연료 100g/GJ EMEP/CORINAIR B216

고급 석탄 연소 기술

<1MWth - Automatic Boiler>석탄 연료 20g/GJ EMEP/CORINAIR B216

고급 목재 연소 기술

<1MW - Manual Boilers>나무 250g/GJ EMEP/CORINAIR B216

고급 목재 연소 기술

<1MW - Automatic Boilers>나무 20g/GJ EMEP/CORINAIR B216

중간크기보일러

(>50 kWth to <=1 MWth)천연가스 3g/GJ Guidebook (2006)

<표 2-109> 비산업 연소(유럽)

분류 배출계수 출처

공공

전기

생산

Tier 1

무연탄 1.2g/GJ US EPA 1998,

갈탄 1.7g/GJ US EPA 1998,

천연가스 1.5g/GJ US EPA 1998,

폐가스 2.5g/GJ CORINAIR

중유 0.8g/GJ US EPA 1998,

기타 액체 연료 0.8g/GJ US EPA 1998,

바이오매스 7.3g/GJ US EPA 2003,

Tier 2

건식

보일러

Coking Coal, SteamCoal &

Sub-Bituminous Coal1.2g/GJ US EPA 1998,

잔류 오일 2.3g/GJ US EPA 1998,

천연가스 1.5g/GJ US EPA 1998,

나무 및 나무 폐기물 7.3g/GJ US EPA 2003,

습식 보일러점결탄, 경탄 &

아역청탄 0.8g/GJ US EPA 1998,

Fluid Bed Boilers

무연탄 1.2g/GJ US EPA 1998,

갈탄 1.7g/GJ US EPA 1998,

나무 및 나무폐기물 7.3g/GJ US EPA 2003,

가스 터빈Gaseous Fuels 1g/GJ

US EPA(2000),

가스 오일 0.2g/GJ US EPA 2000Large stationaryCI reciprocating

engines가스 오일 37g/GJ US EPA 1996

고정 왕복 엔진 -gas-fired,

includes dualfuel

가스 연료 46g/GJUS EPA

1996

<표 2-110> 공공 전기 및 열 생산(유럽)

Page 5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90

분류 배출계수 출처

석유정제

Tier 1 정유 가스 2.6g/GJ US EPA 1998,

Tier 2

공정로,

히터 및 보일러

잔유 2.3g/GJ US EPA 1998,

가스 오일 1.1g/GJ US EPA 1998,

LPG 4.0g/GJ US EPA 2008,

천연 가스 2.6g/GJ US EPA 1998,

왕복 엔진천연가스 60g/GJ US EPA 2000,

가스 오일 37g/GJ US EPA 1996,

<표 2-111> 석유 정제(유럽)

분류 배출계수 출처

가정

연소

Tier 1

무연탄 및 갈탄 484g/GJ Guidebook (2006)

천연가스 10.5g/GJ Guidebook (2006)

기타 액체 가스 15.5g/GJEMEP/CORINAIR

B216

바이오매스 925g/GJEMEP/CORINAIR

B216

Tier 2

벽난로, 사우나 및 야외히터

고체 연료 600g/GJEMEP/CORINAIR

B216

기체 연료 20g/GJEMEP/CORINAIR

B216

바이오매스 1300g/GJEMEP/CORINAIR

B216

스토브고체 연료 600g/GJ

EMEP/CORINAIRB216

Liquid Fuels 20g/GJEMEP/CORINAIR

B216

소규모 보일러

고체 연료 300g/GJEMEP/CORINAIR

B216

천연 가스 10g/GJEMEP/CORINAIR

B216

나무 및나무폐기물 400g/GJ

EMEP/CORINAIRB216

소규모 보일러 액체 연료 15g/GJEMEP/CORINAIR

B216

기타시설천연가스 10g/GJ

EMEP/CORINAIRB216

나무 및나무폐기물 1200g/GJ

EMEP/CORINAIRB216

고급 스토브석탄 연료 300g/GJ

EMEP/CORINAIRB216

나무 250g/GJEMEP/CORINAIR

B216

고급 벽난로 나무 450g/GJEMEP/CORINAIR

B216

펠릿 스토브 나무 20g/GJEMEP/CORINAIR

B216

<표 2-112> 가정의 연소 (유럽)

91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연료분류 배출계수 출처

에너지

산업 연소

공공 및 민간발전

보일러

비민수용무연탄 0.15 kg/ton

U.S EPA

AP-42

(1995-2000

유연탄 0.03 kg/ton

B-A유 0.125 kg/kl

B-B유 0.125 kg/kl

B-C유 0.125 kg/kl

LSWR 0.125 kg/kl

경유 0.03 kg/kl

등유 0.03 kg/kl

LPG 0.06 kg/kl

LNG 0.21 kg/kl

가스터빈

경유 0.067kg/kl

등유 0.067kg/kl

LNG kg/천m3

지역난방

/석유정제

보일러

/공정로

비민수용무연탄 0.15kg/ton

유연탄 0.03kg/ton

B-A유 0.03kg/kl

B-B유 0.154kg/kl

B-C유 0.154kg/kl

LSWR 0.154kg/kl

경유 0.03kg/kl

보일러등유

(실내등유)0.03(0.067)kg/kl

LPG 0.06kg/kl

LNG 0.18 kg/천m3

가스터빈

경유 0.067kg/kl

등유 0.067kg/kl

LNG 00.21kg/kl

내연기관

B-A유 1.5kg/kl

B-B유 1.5kg/kl

B-C유 1.5kg/kl

LSWR 1.5kg/kl

경유 1.5kg/kl

등유 1.5kg/kl

LNG 6.76kg/천m3

<표 2-113> 에너지 산업 연소(국내)

Page 5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92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배출계수 출처

비산업 연소

보일러

비민수용무연탄 0.04kg/ton

U.S EPA AP-42

(1995-2000

B-A유 0.067kg/kl

B-B유 0.193kg/kl

B-C유 0.193kg/kl

경유 0.03kg/kl

등유(실내등유) 0.03kg/kl

LPG 0.06kg/kl

LNG 0.18kg/천m3

기타보일러

민수용무연탄 0.04kg/ton

B-A유 0.067kg/kl

B-B유 0.193kg/kl

B-C유 0.193kg/kl

경유 0.03kg/kl

등유(실내등유) 0.03kg/kl

LPG 0.06kg/kl

LNG 0.18kg/천m3

가스터빈

경유 0.067 kg/kl

등유 0.067kg/kl

LNG 0.21kg/천m3

고정엔진

B-A유 1.5kg/kl

B-B유 1.5kg/kl

B-C유 1.5kg/kl

LSWR 1.5kg/kl

경유 1.5kg/kl

등유 1.5kg/kl

LNG 6.76kg/천m3

기타장비

B-A유 1.5kg/kl

B-B유 1.5kg/kl

B-C유 1.5kg/kl

LSWR 1.5kg/kl

경유 1.5kg/kl

등유 1.5kg/kl

LNG 6.76kg/천m3

<표 2-114> 비산업 연소(국내)

93

대분류 중분류 연료분류 배출계수 출처

제조업 연소

보일러 및 공정로/기타

비민수용무연탄 0.15kg/ton

U.S EPA

AP-42

(1995-2000

유연탄 0.03kg/ton

B-A유 0.03kg/kl

B-B유 0.154kg/kl

B-C유 0.154kg/kl

LSWR 0.154kg/kl

경유 0.03kg/kl

등유(실내등유) 0.03(0.067)kg/kl

LPG 0.06kg/kl

LNG 0.18kg/천m3

가스터빈(연소시설)

경유 0.067kg/kl

등유 0.067kg/kl

LNG 0.21kg/천m3

고정엔진(연소시설)

B-A유 1.5kg/kl

B-B유 1.5kg/kl

B-C유 1.5kg/kl

LSWR 1.5kg/kl

경유 1.5kg/kl

등유 1.5kg/kl

LNG 6.76kg/천m3

기타 고정장비(연소시설)

B-A유 0.03(0.067)kg/kl

B-B유 0.06kg/kl

B-C유 0.18 kg/천m3

LSWR 0.067kg/kl

경유 0.067kg/kl

등유 00.21kg/kl

LNG 1.5kg/kl

<표 2-115> 제조업 연소(국내)

2.2 생산 공정

앞서 1절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국내 생산 공정의 VOCs 배출량을 미국

과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과 비교해 보았을 때 유럽의 배출량 보다

는 크게, 미국의 배출량 보다는 작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외 생산공정별로 배출목록을 비교하고, 각 배출원에서 적용

되고 있는 배출계수 및 활동도를 검토하였다.

Page 5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94

2.2.1 배출원 목록비교

국내 배출원과 미국, 유럽의 생산 공정 부문의 배출원을 <표 2-116>에 비

교하여 나타내었다. 생산 공정 부문 중 국내 배출원으로 검토 되지 않은 부문

은 미국의 경우 원유・가스 생산이고 유럽의 경우 석탄・원유・가스 생산 부문

에 해당한다. 이러한 배출원 분류의 차이는 국내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

이 미국의 배출량보다 적게 비교된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유럽 국내

화학

암모니아 생산유기화학제품

제조업

아디프산 생산

기타 화학 공업

화학 제품의 저장, 취급 및 운송

철, 금속

강자성 합금 생산

무기화학 제품 제조업

알루미늄 생산

구리생산

납생산

니켈생산

아연생산

기타 금속 제품

금속 제품의 저장, 취급 및 운송

철광 철강 생산 제철제강업

기타 비 산업용 목재 가공 기타제조업

비철금속 아스팔트 포장 도로유기용제 사용에 해당

(기타 유기용제 사용)

원유・가스 생산

석탄 채굴 및 처리 -

고체연료 변환 -

고체 연료에서 비산배출 -

탐사, 생산, 운송 -

천연 가스 -

Venting and flaring -

석유정유 공장 정제 / 저장 석유산업공정

펄프, 종이 펄프 및 종이 목재, 펄프 제조업

가공 음식 식․음료 가공 식음료 가공

<표 2-116> 생산 공정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외국의 배출목록과 국내 배출목록을 비교하여 누락 배출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배출목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내 생산 공정 부문 중 외국의 배출

목록과 비교하여 누락된 배출원이 국내 배출원으로 존재하는 지에 대한 파악이

먼저 필요하다. 미국과 유럽의 배출원 중 최종적으로 국내에서 미 검토되고 있

95

는 배출원은 원유, 석탄, 천연가스 생산 부문이다.

국내의 경우 원유 산유국이 아니므로 국내에는 배출원이 존재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석탄 생산의 경우에는 <그림 2-16>과 같이 국내에서 매

년 석탄이 생산되고 있으므로 국내 생산 공정 중 석탄 채굴의 배출원 분류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16> 국내 석탄 수급동향

(출처; 지식경제부, 광물생산보고서)

국내 석탄 채굴의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유럽의 Guidebook(2009)에서

제시하는 <표 2-117>의 Tier 2 수준의 배출계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국내에 존재하는 광산의 경우 모두 지하채굴에 해당하기 때문이며,

<그림 2-16>과 같이 지식경제부에서 제시하는 석탄 생산량을 이용하여 배출량

산정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배출계수95% 신뢰구간

출 처Lower Upper

석탄 채굴

(Underground Mining)

3kg/Mg Coal

produced0 6.4 Guidebook (2006)

<표 2-117> 석탄 채굴 부문의 EU 배출계수

또한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국내에서 1998년부터 현재까지 천연가스를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 공정 부문의 배출원 분류 중

Page 5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96

천연가스 생산 부문의 배출원 분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생산공정 분류체계에

보안되어야 할 배출원에 해당된다.

천연가스 생산에 따른 배출량 산정방법은 국내에서 연구된 배출계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표 2-118>과 같이 유럽 Guidebook(2009)에서 제시하는 배

출계수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배출계수는 Onshore facilities의

배출계수로 국내 천연가스 생산 공정과 일치한다. 다만 1990년에 개발된 배출

계수 이므로 향후 천연가스 부문의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국내 천연

가스 생산 부문에서 배출계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배출원 배출계수

95% 신뢰구간

출 처

Lower Upper

천연가스

(onshore facilities)0.1g/m3 gas 0.005 6.2 CORINAIR(1990)

<표 2-118> 천연가스 생산 부문의 EU 배출계수

2.2.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국내 CAPSS에서 제시하는 생산공정 부문의 배출계수 및 활동도를 유럽

Guidebook(2009) 배출계수 및 활동도와 비교 검토하여 보다 신뢰도 높은

VOCs 배출량 산정을 위한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개선 방향을 연구하였다.

1) 석유 산업 공정

<표 2-119>에 석유 산업 공정 부문의 유럽 및 국내 배출계수를 비교하

여 나타내었다. 국내와 유럽의 경우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활동도는 석유

량을 적용하며 아래의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다만

석유 정제 부문에서 유럽의 Tier 2 배출계수와 국내 적용하고 있는 배출계수

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유럽에서 제시하는 석유 정제 부문의

97

Tier 2 배출계수는 석유 정제 공정에 따른 배출계수지만 현재 국내 CAPSS에

서 적용하고 있는 US EPA의 배출계수는 정제 공정이 고려되지 않은 Tier 1

수준의 배출계수 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석유 산업 공정 부문의 보다 신뢰도 높은 배출량 산정을 위해

서는 국내 정유회사의 석유 정제 과정 분석을 통한 정제 과정 별 배출계수

개발 또는 유럽의 석유 정제 공정별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배출계수 개선이

필요하다.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석유산업공정

Tier1석유제품 저장

및 취급0.2 kg/Mgcrude oil

EPER

/EUROSTAT

0.25kg/Mg

crude

(비중 0.864)

EU

CORINAIR

Tier 2

석유 정제

(Fluid catalytic

cracking)

0.63kg/m3

fresh feed

CONCAWE

(2009)

0.15534

kg/kl

(Tier 1)

USEPA,

1985b

<표 2-119> 석유 산업 공정 부문의 유럽, 국내 배출계수 비교

2)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표 2-120>의 유럽과 국내의 배출원별 배출계수를 비교해 보면 국내에

서 적용하고 있는 배출계수의 대부분이 과거 CORINAIR(1999)에서 제시한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EU Emission Inventory Guidebook(2009)에

는 과거 배출계수가 아닌 IPPC BREF Polymers, IPPC BREF LVOC (2003)등

에서 개발한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CAPSS 분류체계 중 유기화학제조업 부문에 대하여 새롭게 개발

된 배출계수가 존재하지 않고, 기존 CORINAIR 배출계수를 그대로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새롭게 제시된 배출계수를 적용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이 따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부문의 배출량 신뢰도 향상을 위해 최신

유럽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기존 배출계수 개선이 요구된다.

Page 5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98

분류

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암모니아

생산Tier 2 암모니아 0.09 kg/ton NH3 IPPC BREF LVIC AAF 4.72 kg/ton USEPA (1995)

유기화학제품제조업

Tier 2

카본블랙0.7 kg/ton carbon

blackIPPC BREF, LVIC SAO

(2006) 0.99 kg/ton USEPA,(1995)

에틸렌 0.6 ton/kton produced IPPC BREF LVOC (2003) 0.413 kg/ton CORINAIR, 1999

1,2 디클로로에탄+염화비닐(balanced process, DCE unit) 2500 g/ton produced IPPC BREF LVOC (2003)

0.76 kg/ton CORINAIR, 19991,2 디클로로에탄+염화비닐

(balanced process, vinylchlorideproduction)

2500 g/ton produced IPPC BREF LVOC (2003)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4 kg/ton produced IPPC BREF Polymers 3 kg/ton CORINAIR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2.3 kg/ton produced IPPC BREF Polymers 6.4 kg/ton CORINAIR, 1999

폴리비닐크롤라이드

(Suspension PVC process (S-PVC))96 g/ton produced EGTEI (2005)

0.14 kg/ton CORINAIR, 1999폴리비닐크롤라이드

(Emulsion PVC process (E-PVC))813 g/ton produced

IPPC BREF Polymers(2003)

폴리프로필렌 4 kg/ton produced Guidebook (2006) 0.86 kg/ton CORINAIR, 1999

<표 2-120>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99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Tier 2

스틸렌 1 kg/ton produced Guidebook (2006) 0.25 kg/ton CORINAIR, 1999

폴리스틸렌 (Production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GPPS))

120 g/tonproduced

IPPC BREFPolymers

2.6 kg/ton CORINAIR, 1999폴리스틸렌 (High impact polystyrene

(HIPS))120 g/tonproduced

IPPC BREFPolymers

폴리스틸렌 (Expandable polystyrene(EPS))

3.2 kg/tonproduced

IPPC BREFPolymers

스틸렌부타디엔0.27 kg/ton

producedIPPC BREF

Polymers 3.7kg/ton CORINAIR, 1999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

(Emulsion polymerisation)

9 kg/tonproduced US EPA AP42 10 kg/ton CORINAIR, 1999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SBR)5 kg/Mgproduced

IPPC BREFPolymers 3.7 kg/ton CORINAIR, 1999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수지 (ABS)

3 kg/tonproduced Guidebook (2006) 1.4 kg/ton CORINAIR, 1999

Phtalic anhydride

(Using o-xylene as feed)

1.3 kg/tonproduced US EPA AP42 0.1 kg/ton

USEPA, AP-42,

1995.1

아크릴로니트릴1 kg/tonproduced Guidebook (2006) 1 kg/ton CORINAIR, 1999

<표 2-120> 유기화학제품 제조업(계속)

Page 6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00

2.3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앞서 1절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국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VOCs 배출량을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과 비교해 본 결과 미국

의 배출량과는 비슷한 배출량을 보였으나 유럽의 배출량과 비교하여 배출량

이 크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DARS 평

가 결과(2012, 장영기)에서도 배출량의 불확도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

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량 신뢰도 확보를 위한 배출량

산정방법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3.1 배출원 목록비교

<표 2-121>는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을 비교한 것

이다. 국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원은 수송 및 저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 부문으로 미국, 유럽의 배출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국내

누락된 배출원의 존재 여부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유럽 국내

원유시설

석유 제품의 유통

수송 및 저유소(주유소 제외)

주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주유시 포함)

<표 2-121>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101

2.3.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표 2-122>는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국내 및 유럽의 배출계수를

비교한 것이다. 유럽과 국내의 배출량 산정방법은 동일하게 유통되는 석유제품

의 양을 활동도로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국내의 경우에는 대한송유관 공

사의 정유사별 생산량, 주유소 휘발유 판매량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따라서 앞서 검토된 바와 같이 국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

량의 신뢰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는 원인은 배출원별 배출계수의 신뢰도 문

제인 것으로 검토된다. <표 2-122>에 비교된 바와 같이 유럽의 경우에는 수

송 및 저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에 대해 공정별, 운송방법 별 배출계

수를 적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석유제품량 만을 고려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량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는 수송 및 저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 부문의 공정 및 기술 파악을 통한 배출원별 배출계수 개선이 요구된다.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에너지

수송

저장

Tier1 석유제품의 유통2 kg/Mg

oil

Richards

et al. (1990)

0.00031

kg/kg

CONCA

WE

(1986)

Tier2

수송 및저유소

bottom

loading9 g/m3

CONCAWE(2009))

top

loading9 g/m3

CONCAWE(2009)

bottom,

top

loading

23 g/m3CONCAWE

(2009)

정유사출하기지

Rail

tanker11g/m3

CONCAWE(2009)

0.00074

kg/kg

CONCA

WE

(1986)

Marine

tanker4g/m3

CONCAWE(2009)

Barge 7g/m3CONCAWE

(2009)

주유소

Storage

tank3g/m3

CONCAWE(2009)

2.391kg/kl

국립

환경

과학원

Auto

mobile

refuelling

37g/m3CONCAWE

(2009)

<표 2-122> 에너지 수송 및 저장

Page 6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02

2.4 유기용제 사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은 도장시설의 경우

미국, 유럽의 배출량과 비교하여 크게 산정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타 유기

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 비교 결과 미국 배출량과 비교하여 작게 산정된 것으

로 분석되었다. 또한 DARS 평가 결과(2012, 장영기)를 토대로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을 검토하였을 때, 도장시설의 경우 국내 VOCs 배출원 중 배출

량의 불확도가 가장 높은 배출원으로 분석되었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경우 국내 VOCs 배출원 중 배출량기여도가 60%가

넘는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배출원으로써 무엇보다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이

요구되는 배출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미국, 유럽의 배출원과 비교하

여 누락배출원 여부 검토와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개선방향을 연구하고 한다.

2.4.1 배출원 목록비교

<표 2-123>은 국내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원과 미국 유럽의 배출원

을 비교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국내 누락 배출원은 존

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 유럽 국내

소비・상업 용제살충제를 포함한 국내 용매 사용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사용다른 제품 사용

세정 세정

금속 세정공정

기타 산업용 세정공정

전자부품 제조

세탁 세탁 세탁 (드라이클리닝)

인쇄 인쇄 인쇄업

산업 표면 코팅 &

유기용제사용

장식용 코팅 건축 및 건물

산업용 코팅

코일 코팅

기타 산업용 도장공정

나무, 가구제조

선박 제조

자동차 수리

자동차 제조

비 산업 표면 코팅 기타 코팅 기타 비산업용 도장공정

아스팔트 도로 포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표 2-123> 도장 시설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103

2.4.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1) 도장시설

국내 도장시설 부문의 배출계수와 유럽의 도장시설 부문의 배출계수를

함께 비교하여 <표 2-124>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유럽의 도장 시설 부문

의 배출량은 아래 배출계수와 해당 활동도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국내의 경우에도 US EPA의 단일 도장시설의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검토된 바와 같이 국내 도장시설 부문의 배출량

의 불확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적용하는 배출계수

및 활동도의 문제인 것으로 드러난다. 또한 국내의 경우 도료사용량이 통계

로 잡혀있지 못해 공정별 도료 생산량을 소비량과 동일하게 가정하여 배출

량을 산정하고 있기 때문에 앞서 검토한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해당

하는 배출량과 비교하였을 때도 크게 산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럽의 경우에도 같은 도료 사용에 따른 공정이지만 도장시설별 각각의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며, 도료사용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

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배출계수 및 활동도 개선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우선 국내 도장 공정의 단일 배출계수의 경우에는 국내 연구를 통해 배

출계수를 개발, 적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나 단시간의 배출계수 개발은 한계

가 있으므로 유럽의 배출계수 검토를 통한 국내 배출계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적용하고 있는 도료사용량을 이용한 배출량 산정은 실제 배출량보

다 과대하게 배출량이 산정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무엇보다 도료소비량 통계

구축 마련이 시급하다. 하지만 도장시설별 도료소비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통

계로 구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도료 소비량을 파악하

기 어려울 경우에는 유럽의 자동차 제조 부문의 배출량 산정방법과 같이 차

종별, 차량 한 대 제조 시 배출되는 량을 배출계수로 적용한다면, 도료소비량

보다는 차종별 생산 자동차 대수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 할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유럽의 선박 부문과 같이 국내의 경우도 선박 옆 면적당 배출계수를

개발한다면, 선박 종류별 옆 면적에 대한 통계자료 구축을 통해 배출량 산정

방법 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Page 6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04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장식용코팅

Tier 1 장식용 코팅 150 g/kg paint IIASA (2008) - -

Tier 2

건설 및 건축 230 g/kg paintAssessment of data from

EGTEI (2003) 0.512 kg/L USEPA, AP-42, (1995.1)

가정내의 사용 230 g/kg paintAssessment of data from

EGTEI (2003) - -

산업 코팅

Tier 1 산업 코팅 400 g/kg paint IIASA (2008) - -

Tier 2

자동차 제조

(자동차 코팅)8 kg/car(1대) EGTEI (2003)

0.512 kg/L USEPA, AP-42, (1995.1)

기타 산업용 도장

(트럭/밴 코팅)28 kg/vehicle(1대) EGTEI (2003)

기타 산업용 도장

(트럭 카빈 코팅)8 kg/vehicle(1대) EGTEI (2003)

기타 산업용 도장 (버스코팅) 150 kg/bus(1대) EGTEI (2003)

자동차 수리 720 g/kg paint EGTEI (2003) 0.512 kg/L USEPA, AP-42, (1995.1)

코일 코팅 480 g/kg paint EGTEI (2003) 0.512 kg/L USEPA, AP-42, (1995.1)

목재 코팅 960 g/kg paint EGTEI (2003) 0.512 kg/L USEPA, AP-42, (1995.1)

기타 산업용 도장

(Wire coating)17 g/kg wire EGTEI (2003) 0.512 kg/L USEPA, AP-42, (1995.1)

Leather finishing 200 g/kg leatherEuropean Commission

(2007) - -

선박 제조 125 g/m2 European Commission

(2007) 0.512 kg/L USEPA, AP-42, (1995.1)

기타 코팅Tier 1 기타 코팅 200 g/kg paint IIASA (2008) - -

Tier 2 기타 비산업용 도장 740 g/kg paint Guidebook (2006) 0.512 kg/L USEPA, AP-42, (1995.1)

<표 2-124> 도장 시설

105

2) 세정 및 세탁

세정 및 세탁 부문의 유럽 배출원 배출계수와 국내 배출계수를 비교하

여 <표 2-125>에 나타내었다. 세정 및 세탁 부문의 유럽의 배출량 산정방법

은 해당 시설의 유기용제 사용량 및 세탁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

정하도록 되어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에는 해당 시설 별 유기용제 사용량에

따른 통계구축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므로 연간 인구 1인당 배출량을 배출계

수로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국내의 이와 같은 배출량 산정방법

은 실제 유기용제 사용에 따른 배출량이 고려된 것이 아니므로 실제 배출된

양과 상당한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배출량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활동도 및 배출계수 개선이 필요하다.

배출계수 및 활동도는 실제 유기용제 사용량과 해당 유기용제의 배출

계수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나, 이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유

럽의 배출량 산정방법과 같이 세정 부문의 세정된 금속 및 전자부품의 무게,

세탁 부문은 세탁물의 무게 별 배출계수 개발 및 각 공정별 해당 제품의 무

게 통계구축을 통한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세정

Tier 1460 g/kgcleaningproducts

IIASA(2008)

Tier 2

금속세정

710 g/kgcleaningproducts

EGTEI(2003)

223.1

kg/종업원

수 /년

국립환경과학원

(2008)

전자부품

제조740 kg/ton

waferC. Trozzi

(2008)

39.463

kg/종업원

수 /년

USEPA(1997)

세탁

Tier 1 40 g/kg textiletreated

IIASA(2008) 610.368

kg/업체수

/년

차세대핵심환경

기술개발사업Tier 2

Open-

circuitmachine

177 g/kgtextiles cleaned

EGTEI(2003)

<표 2-125> 세정 및 세탁

Page 6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06

3) 기타 유기용제 사용

<표 2-126>은 국내 및 유럽의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계수를

비교한 것이다. 기타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아스팔트 도로 포장 부문의 국

내 배출량 산정방법은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 사용량(kl)중 컷백

아스팔트 함량을 0.1%로 가정하여 보정계수(컷백 아스팔트 배출량/순수 아

스팔트 소비량)와 휘발성분비율(30wt%)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으

며, 최종적으로는 국내 아스팔트 소비량과 배출계수 0.0006kg/kL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유럽의 경우 동일한 컷백 아스팔트 배출량 산정에 적용

되는 배출계수는 30 kg/Mg asphalt 이며, 국내 산정방법과 동일하게 아스팔

트 소비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유럽의 컷백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량이 분리되어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국내 배출량과 비교는 어렵

지만 두 배출계수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국내 배출량이 과

소하게 산정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컷백 아스팔트

배출계수로 적용하고 있는 컷백 아스팔트 비율, 보정계수(컷백 아스팔트 배

출량/순수 아스팔트 소비량)와 휘발성분비율 (30wt%) 개선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이 요구된다.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경우 CAPSS에서는 국립환경과

학원에서 개발한 배출계수인 인구 1인당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

정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에도 인구 1인당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유럽과 국내의 배출량 산정 방법은 같지만 유럽의 경우 제품

별 용도별 배출계수를 개발 및 제시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배출량 및 기여도

파악이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은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가장 배출기여도가 높은 배출원으로 보다 신뢰도 높

은 배출량 산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Tier 2 수준의 배출계수 개발이

필요하다.

인쇄 부문의 경우 유럽은 잉크사용량과 단위 잉크 사용량에 따른 배출

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반면 국내는 인쇄 부문의 잉크 소비량

이 통계자료로 구축되어 있지 못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종업원별 배

출계수와 인쇄업 종업원 수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배

출량 산정방법을 통한 인쇄업 부문의 배출량은 도장시설 다음으로 높은 불

확도를 나타내는 배출원으로 검토되었다(2012, 장영기). 인쇄업 부문의 배출

량 신뢰도 향상을 위해 잉크생산량(소비량) 통계자료 구축 및 단위 잉크 당

배출계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107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아스팔트

도로 포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Liquefied asphalt, Cutback asphalt)30 kg/Mg asphalt VDI (2007) 0.0006 kg/kL

국립환경

과학원

가정 및상업용유기용제

사용

Tier 1 2 kg/Mg product used IIASA (2008)

Tier 2

Fat, edible and non edible oil extraction(traditional desolventiser without hexane

recovery)3 g/kg seed EGTEI (2003)

2.64 kg/인/년국립환경

과학원

Preservationof wood

Creosote

preservative type110 g/kg creosote IIASA (2008)

Organic solventbornepreservative 900 g/kg preservative Giddings (1991)

Waterborne preservative 0 g/kg preservative Giddings (1991)

Vehicles dewaxing

(Dewaxing of new vehicles followingstorage/transport

1 kg/car Van der Most

Underseal treatment and conservation ofvehicles

(Treatment of vehicles)

0.2 kg/person/year IIASA (2008)

Application of glues and adhesives(Industrial application of adhesives) 780 g/kg adhesives EGTEI (2003)

Tobacco combustion 4.8 g/ton tobaccoStatisticsNorway,

Directorate for

<표 2-126> 기타 유기용제 사용

Page 6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08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가정 및상업용

유기용제사용

Tier 1 1 kg/person/year IIASA (2008)

2.64 kg/인/년국립환경

과학원Tier 2

화장품과 세면도구 (USA) 1 kg/person/year US EPA (1995)

화장품과 세면도구, non aerosol (UK) 0.2 kg/person/year Atlantic (1995)

화장품과 세면도구, non aerosol (Canada) 0.4 kg/person/year UNECE (1990)

화장품과 세면도구, Aerosol (UK) 0.5 kg/person/year Atlantic (1995)

화장품과 세면도구, Aerosol (Canada) 0.4 kg/person/year UNECE (1990)

가정용 제품 (USA) 0.4 kg/person/year US EPA (1995)

가정용 제품, Non aerosol (UK, Canada) 0.2 kg/person/year Atlantic (1995)

가정용 제품, Aerosol (UK) 0.05 kg/person/year Atlantic (1995)

가정용 제품, Aerosol (Canada) 0.3 kg/person/year Atlantic (1995)

자동차 관리제품 (USA) 0.6 kg/person/year US EPA (1995)

자동차 관리제품, Non aerosol (UK) 0.3 kg/person/year Atlantic (1995)

자동차 관리제품, Non aerosol (Canada) 0.6 kg/person/year UNECE (1990)

자동차 관리제품, Aerosol (UK) 0.1 kg/person/year Atlantic (1995)

자동차 관리제품, Aerosol (Canada) 0.3 kg/person/year UNECE (1990)

DIY/건축, 접착제 (UK) 0.07 kg/person/year Atlantic (1995)

DIY/건축, 접착제 (Canada) 0.05 kg/person/year UNECE (1990)

DIY/건축, 접착제 (USA) 0.3 kg/person/year US EPA (1995)

DIY/건축, 기타 (USA) 0.2 kg/person/year US EPA (1995)

Aerosol 추진제 (UK) 0.8 kg/person/year Atlantic (1995)

인쇄

Tier 1 500 g/kg ink IIASA (2008)

Tier 2

Heat set offset 730 g/kg ink EGTEI (2003)248.3

kg/종업원/년

국립환경

과학원

Publication gravure 300 g/kg ink non diluted EGTEI (2003)4443.8

kg/종업원/년

국립환경

과학원

Packaging, small flexography 900 g/kg ink ready to use EGTEI (2003)

Packaging, large flexography 800 g/kg ink ready to use EGTEI (2003)

Packaging, rotogravure 800 g/kg ink ready to use EGTEI (2003)

<표 2-126> 기타 유기용제 사용(계속)

109

2.5 폐기물 처리

앞서 1절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국내 폐기물 처리 부문의 VOCs 배출량

을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해당하는 배출량과 비교해 보았을 때 국내

배출량은 미국, 유럽과 비교하여 과대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DARS 평가 결과를 통해서도 국내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량 불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량 신뢰도는 매우 낮게 평가되

고 있으므로 배출원 및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확보가

요구된다.

2.5.1 배출원 목록비교

<표 2-127>에 미국, 유럽, 국내의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원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미국의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원은 소분류 배출원이 파악되지

않아 비교적 자세한 배출원을 제시하고 있는 유럽의 배출원과 비교해 보면 국

내에 경우 폐수처리, 병원 폐기물 소각, 화장, 작은 규모의 폐기물 연소(노천

소각) 부문의 경우 국내 배출원 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검토되었

다. 검토된 배출원은 모두 국내 존재하는 배출원으로써 누락된 배출원 보안을

통한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원 목록개선이 필요하다.

미국 유럽 국내

폐기물 처리

매립 매립

폐수처리 -

병원 폐기물 소각 -

산업 폐기물 소각사업장폐기물

(플레어링 제외)

생활폐기물 소각 생활폐기물

화장 -

작은 규모의 폐기물 연소 -

<표 2-127> 폐기물 처리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Page 6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10

2.5.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표 2-128>은 폐기물 소각 부문의 국내 및 유럽의 배출계수를 비교한 것

이다. 국내 폐기물 소각 부문의 배출계수는 유럽 CORINAIR(1999)의 배출계수

를 적용하여 폐기물 소각량을 이용하며 배출량을 산정하며, 유럽의 경우에는

Guidebook(2006), Passant(1993)의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배출계수와 폐기물 소

각량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이와 같이 국내 및 유럽의 배출계수 및

활동도 배출량 산정방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국내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량의 신뢰도는 DARS 평가 결과 불확

도가 매우 높게 평가 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배출계수를 개선하여 새로운 배출

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폐기물 소각에서 오염물질의 배출은 생활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의 조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배출계

수 개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향후 폐기물 소각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을 위해서는 국내 폐기물 소각시

설의 소각방식 및 소각규모 별 배출가스 측정을 통한(이미 측정되고 있는 자료

들이므로, 이들 자료의 분석, 검토를 통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배출계수 개

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산업

폐기물

소각

Tier 17.4 kg/

Mg waste

Passant(1993)

7.4

kg/ton

CORINAIR

(1999)Tier 2

Incineration of

industrial wastes

(except flaring)

7.4 kg/

Mg waste

Passant(1993)

생활

폐기물

소각

Tier 10.02kg/

Mg waste

Guidebook(2006)

0.02

kg/ton

CORINAIR

(1999)Tier 2

Incineration of

domestic or

municipal wastes

(without energy

recovery)

0.02kg/

Mg waste

Guidebook(2006)

<표 2-128> 폐기물 소각

111

2.6 기타 면오염원

앞서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국내, 미국, 유럽의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을 비교 검토한 결과 국내 배출량은 유럽의 배출량보다는 10배 작게

산정되고 있고, 미국의 배출량보다는 약 9000ton 이상의 배출량 차이가 발생

하는 것으로 나타나 배출량 산정시 미고려 배출원의 영향이 클 가능성이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DARS 평가 결과(2012, 장영기)도 배출량의 높은

불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어 배출량 산정방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

로 검토되었다.

2.6.1 배출원 목록비교

<표 2-129>는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미국, 유럽, 국내 배출원을 비교한

것이다. 유럽과 국내의 경우 산불을 배출원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

우에는 사접 입화, 농촌에서 노천소각을 함께 배출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앞

서 검토된 인구 백만 명당 VOCs 배출량이 미국에서 현저히 높은 배출량을

나타내는 원인은 국내 및 유럽의 배출원 분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전

입화, 노천 소각 부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검토된다.

기타 면오염원 부문 중 국내 미 고려된 배출원은 미국의 배출원 중 노

천소각, 사전입화에 해당하지만 노천 소각의 경우에는 앞서 폐기물 처리 부

문의 배출원에서 이미 누락 배출원으로 검토가 되었으며, 사전 입화의 경우

국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배출원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내 기타 면오염

원 부문의 배출목록 개선은 필요치 않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미국 유럽 국내

농촌에서 노천소각

산불 산불사전 입화

산불

<표 2-129>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국내외 배출원 비교

Page 6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12

2.6.2 배출량 산정방법 비교

<표 2-130>는 국내 및 유럽의 기타 면오염원 부문의 배출계수를 비교

하여 나타낸 것이다. 유럽의 경우 아한대, 온대림, 지중해성 기후, 관목지, 잔

디/초원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는 US EPA의 단일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다. 앞서 나라별 인구별 배출량

을 비교 하였을 때, 국내 기타 면오염원의 배출량이 유럽, 미국과 비교하여

과소평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배출원 분류체계 뿐 아니라 배출계

수의 신뢰도도 떨어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산림 등 자연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량은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전

체 VOCs 배출량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량 파악이 중

요하다. 이를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이나 일부 연구팀에서 배출량 파악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배출계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이지만, 배출계수의 개발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배출계수가 개발되기

전이라도 이 부분에서의 배출량 산정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현재 유럽의 배

출계수 중에 한시적으로 국내에 적용가능한 배출계수가 국내 기후 환경에

적합한 온대림 배출계수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기타

면오염부분의 배출량 자료를 보완하면서 추후 국내 배출계수가 개발되면 개

발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배출량 자료를 개선해가는 것도 한 방법일 것으

로 판단된다.

분류유럽 국내

배출계수 출처 배출계수 출처

산불

Tier 1300kg/ha

area burned

Guidebook(2006)

242kg/haUSEPA, AP-42,

1995Tier 2

아한대 산림350 kg/ha

area burned

Guidebook(2006)

온대림500 kg/ha

area burned

Guidebook(2006)

지중해성기후 산림

270 kg/ha

area burned

Guidebook(2006)

관목지230 kg/ha

area burned

Guidebook(2006)

잔디/초원34 kg/ha

area burned

Guidebook(2006)

<표 2-130> 기타 면오염원

113

2.7 농업

농업 부문의 배출원은 가축의 분뇨 관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산

정하는 부문으로 현재 CAPSS의 분류체계에는 포함되어 있는 배출원이다. 그

러나 국내에서는 가축의 분뇨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암모니아 배출량

만을 산정하고 있다.

유럽, 미국의 경우에는 가축 분뇨 부문의 VOCs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

는데, 배출기여도는 유럽에서 4%, 미국에서 0.19%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미국 유럽 모두 VOCs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고, 유럽의 경우 적지 않은 배출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국내의 경우에도 가축분뇨에 의한 VOCs 배출

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럽의 가축분뇨 부문의 배출량 산정방법은 <표 2-131>의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당해 연도 가축 생산 두수와 당해 연도 가축 두수를 활동도로 적

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배출량 산정방법을 통한 국내 분뇨

관리 부문의 VOCs 배출량 산정 가능성을 살펴보면 국내 통계청에서 발간하

는 ‘가축동향’ 통계자료를 통해 가축별 사육두수는 이용가능 하나, 생산두수

의 경우 통계상 분류가 구축되지 않아 현 시점에서 유럽의 배출량 산정방법

을 적용한 배출량 산정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업의 분뇨관리 부문의 유럽배출량 산정방법을 통한 VOCs 배

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가축별 생산 두수 통계 자료가 함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분류유럽

배출계수 출처

젖소- Slurry Tier 1 13.6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젖소 - Solid Tier 1 13.6 kg AAP-1 a-1 Hobbs et al., 2004

기타소 - Slurry Tier 1 7.4 kg AAP-1 a-1 Hobbs et al., 2004

기타소 - Solid Tier 1 7.4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양 Tier 1 0.2 kg AAP-1 a-1 Hobbs et al., 2004

돼지(Fattening Pigs - slurry)

Tier 1 3.9 kg AAP-1 a-1 Hobbs et al., 2004

돼지(Fattening Pigs - Solid)

Tier 1 3.9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암퇘지 (Sows - slurry) Tier 1 13.3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암퇘지 (Sows - solid) Tier 1 13.3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암탉 - slurry Tier 1 0.3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암탉 - solid Tier 1 0.3 kg AAP-1 a-1 Hobbs et al., 2004

구이용 영계 Tier 1 0.1 kg AAP-1 a-1 Hobbs et al., 2004

칠면조 및 기타 가금류 Tier 1 0.9 kg AAP-1 a-1 Hobbs et al., 2004

<표 2-131> 분뇨관리

Page 6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14

2.8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방향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국내 VOCs 배출량의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편람(Ⅱ)」에서 제시하는 VOCs 배출량 산정방법

및 배출원을 유럽 「Emission Inventory Guidebook(2009)과 비교하여 개선 및

보안이 필요한 배출원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배출계수 개선이 필요한 배출원은 생산 공정 부문의 석유제품

산업 부문과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도장시설, 세정

시설, 폐기물 처리 부문 등이 이에 속한다. 배출계수의 개선이 필요한 원인으로

는 국내 생산 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배출계수를 적용하거나 도장시설의 경우에

단일배출계수를 모든 도장시설에 적용하고 있어 그에 따라 배출량 신뢰도가 낮

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출계수의 경우 배출량 산정에 있어 가

장 중요한 요소로 국내 배출량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는 검토된 바와 같이 국내

배출원 배출특성에 맞고 더 세분화된 배출계수 개발 및 보안이 요구된다.

또한 국내 누락 배출원으로 검토된 배출원은 석탄 채굴 및 천연가스 생산,

폐기물 소각(폐수처리, 병원폐기물, 생물성 연소), 가축 분뇨 등으로 국내 오염

원으로 존재하고 있으나 CAPSS 분류체계 상에는 속하지 않은 배출원이다. 보

다 체계적인 VOCs 배출원 관리를 위해서는 누락배출원에 대한 배출원 보안

및 누락배출원에 대한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을 위해서는 국내 통계자료 보안이 필요

하다. 배출량은 해당 배출원의 배출계수와 연료 사용량, 제품 생산량 또는 소비

량 등의 활동도 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

의 경우 요구되는 통계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대안으로 다른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 배출량 보다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통계자료

보안 및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15

배출원 대분류 배출원 소분류 배출량 산정방법 문제점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방향 누락배출원

생산공정 ▪석유 산업 공정

석유 정제 공정이 고려되지 않은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배출량 불확도

증가

국내 석유정제 공정별 배출계수

개발

▪석탄 채굴

▪천연가스 생산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수송 및 저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

이동 수단, 저장 방식이 고려되지

않은 배출계수 사용

휘발유 이동 시설, 저장 방식을

고려한 배출계수 개발

유기용제 사용

▪도장시설도장시설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단일

배출계수 적용도장 시설별 배출계수 개발

▪세탁시설해당 업체 수에 따른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배출량 불확도 증가세탁물 무게별 배출계수 개발

▪세정시설해당 시설 종업원 수 당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배출량 불확도 증가세정 제품 무게별 배출계수 개발

▪아스팔트도로포장

컷백 아스팔트 사용에 따른

배출계수가 국외 배출계수와 큰

차이를 나타냄

휘발성분비율, 보정계수 검토

필요

폐기물 처리▪ 산업폐기물 소각

▪ 생활폐기물 소각

소각 방식, 소각시설 용량이 고려되지

않은 배출계수 적용

국내 소각시설의 소각방식,

소각시설 용량을 고려한 배출계수

개발

▪폐수처리

▪병원 폐기물 소각

▪화장

기타 면오염원 ▪산불

국내 산림의 수종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배출량

불확도 증가

산림의 수종(아한대, 온대림 등)이

고려된 배출계수 개발

농업 ▪가축 분뇨

<표 2-132>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방향

Page 6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16

Ⅲ. 국내외 VOCs 관리현황

1. 국내 VOC 저감 대책

1.1 국내의 VOCs 정의

우리나라는 VOCs를 대기환경보전법 제 2조 10항에서 탄화수소류 중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 그 밖의 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

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법조항에 근거한 환경

부장관의 고시( 제 2007-121호, 2009년 7월 1일 시행)를 살펴보면 VOCs는 대

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 45조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에

서 배출되는 VOCs를 관리하기 위한 특정물질을 VOCs로서 지정한 것과 배

출시설 외에서 배출되는 VOCs를 관리하기 위해 물질의 특성에 따라 정의를

내린 것으로 분류되고 있다.

배출시설의 관리를 위해 지정된 VOCs의 종류는 <표 2-133>에 정리한

것처럼 acetaldehyde, acetylene 등을 포함한 37종의 물질이 있으며, 배출시

설 외 관리대상 VOCs의 종류는 1기압 250℃이하에서 최소 비등점을 가지는

유기화합물로서 정의되고 있지만 탄산 및 그 염류 등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정하여 공고하는 물질은 제외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여기서 제외되는

물질과 관련된 규정은 현재 국립환경과학원 예규 제 437호 “도료 함유 휘발

성유기화합물의 면제물질 지정에 관한 규정”이 있으며 지정기준은 1)입증할

수 있는 광화학오존생성능력이 무시할 만하다고 인정되는 물질 2) 인간과 환

경에 대한 유해성이 미비하다고 입증할 수 있는 물질 3) 공인된 분석방법으

로 분석 가능한 물질 4) 면제 대상물질을 이용한 친환경 도료의 기술적 필요

성 및 대체 효과가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물질이다.

117

분제품 및 물질명 분자식 CAS No.

1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C2H4O[CH3CHO] 75-07-0

2 아세틸렌 Acetylene C2H2 74-86-2

3 아세틸렌 디클로라이드 Acetylene Dichloride C2H2C12 540-59-0

4 아크롤레인 Acrolein C3H4O 107-02-8

5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C3H3N 107-13-1

6 벤젠 Benzene C6H6 71-43-2

7 1, 3-부타디엔 1,3-Butadiene C4H6 106-99-0

8 부탄 Butane C4H10 106-97-8

9 1-부텐, 2-부텐 1-Butene, 2-ButeneC4H8[CH3CH2CHCH2)],

C4H8[CH3(CH)2CH3]

106-98-9

107-01-7

10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4 56-23-5

11 클로로포름 Chloroform CHCl3 67-66-3

12 사이클로헥산 Cyclohexane C6H12 110-82-7

13 1, 2-디클로로에탄 1, 2-Dichloroethane C2H4Cl2[Cl(CH2)2 Cl] 107-06-2

14 디에틸아민 Diethylamine C4H11N[(C2H5)2NH] 109-89-7

15 디메틸아민 Dimethylamine C2H7N 124-40-3

16 에틸렌 Ethylene C2H4 74-85-1

17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CH2O[HCHO] 50-00-0

18 n-헥산 n-Hexane C6H14 110-54-3

19 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 C3H8O[(CH3)CHOHCH3] 67-63-0

20 메탄올 Methanol CH4O[CH3OH] 67-56-1

21 메틸에틸케톤 Methyl Ethyl Ketone C4H8O[CH3COCH2CH3] 78-93-3

22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CH2Cl2 75-09-2

23 엠티비이Methyl Tertiary Butyl

Ether

C5H12O[CH3OC(CH3)2C

H3]1634-4-4

24 프로필렌 Propylene C3H6 115-07-1

25 프로필렌옥사이드 Propylene Oxide C3H6O 75-56-9

26 1, 1, 1-트리클로로에탄 1,1,1-Trichloroethane C2H3Cl3 71-55-6

27 트리클로로에틸렌 Trichloroethylene C2HCl3 79-01-6

28 휘발유 Gasoline - 86290-81-5

29 납사 Naphtha - 8030-30-6

30 원유 Crude Oil - 8002-5-9

31 아세트산 Acetic Acid C2H4O2 64-19-7

32 에틸벤젠 Ethylbenzene C8H10 100-41-4

33 니트로벤젠 Nitrobenzene C6H5NO2 98-95-3

34 톨루엔 Toluene C7H8 108-88-3

35 테트라클로로에틸렌 Tetrachloroethylene C2Cl4 127-18-4

36자일렌

(o-, m-, p- 포함)Xylene C8H10

1330-20-7

(95-47-6

108-38-3

106-42-3)

37 스틸렌 Styrene C8H8 100-42-5

<표 2-133>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 CAS No(ChemicalAbstractsServiceRegistry Numbers)는 미국화학회(ACS;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동질

성을 가지는 물질 등에 부여한 고유번호를 말한다.

Page 6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18

1.2 국내의 VOCs 저감 대책

1.2.1 사업장 부문

VOCs 저감대책 중 사업장 부문의 경우 대형사업장 총량관리 부문 및

산업시설 저 NOx 버너 보급, 사업장 폐쇄 및 이전을 통한 VOCs 저감대책

을 추진 중에 있으나 이를 통한 VOCs 저감 성과는 부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2.2 면오염원 부문

면오염원 부문에서 추진되고 있는 저감대책은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주유소 Stage Ⅱ의 의무화,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건축용 도료의 유

기용제 함량 제한 및 수성도료 사용 확대, 비산배출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강

화(도장 및 세정), 컷백 아스팔트 사용 제한 등이 있다. 또한 수요관리 부문

의 환경친환적 건물 기준 및 인증 강화를 통한 VOCs 저감대책을 추진 중이

며, <표 2-133>에 따르면 대체로 높은 저감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1.2.3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저감대책은 DPF 및 SCR 부착, DOC 부

착, LPG 개조, 조기 폐차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표 2-133>에 따르면 LPG

엔진 개조를 제외한 저감대책은 일정부분 이상의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으

로 분석되고 있다.

1.2.4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저감대책은 건설기계 삭감 대안 중

배출규제기준강화를 통한 VOCs 저감 정책이 시행중에 있으며 <표 2-134>

에 따르면 일정 부문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19

(단위 : 톤)

구분VOCs

(2014년)

달성률(%)

‘07 ‘08 ‘09 ‘10

사업장소각시설 관리 소형소각시설 폐쇄 1831 3 5 5 6

기타 VOCs저감 대책 3948 미시행

연료규제 민수용 무연탄 전환 0.6 미시행

NOx관리 강화저NOx 보일러 보급 및 LNG

시설 관리 강화958 미시행

수요관리

태양광 보급 확대 17 3 5 6 7

실내냉난방 조절 규범 128 미시행

환경친화적 건물 기준 및

인증강화103 1 7 47 191

에너지수송 및

저장주유소 stage Ⅱ의무화

217444

- 13 32 53

유기용제사용

건축용도료의 유기용제 함량

제한 및 수성도료 사용확대- - - 151

비산배출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강화(도장 및 세정)66 90 91 126

소비재 유기용제 함량제한 미시행

컷백 아스팔트 사용제한 243 151 169 115

에너지보급폐기물에너지

- 추가대책지열에너지

제작차대책제작차 배출허용기준 강화 6404 495 117 83 76

저공해 자동차 보급 91 232 -9026 -6286 -8545

운행차대책

DPF 및 SCR 부착 569161 151 145 146

DOC부착 61

LPG개조 20 727 1,039 1,089 -82

조기 폐차 1836 28 87 151 247

운행차 배출가스 관리제도

개선1017 미시행

이륜차대책 2558 미시행

자동차 연료 품질기준 강화 - - - - -

기타대책 - 91 38 59 12

건설기계

삭감대안

배출규제기준강화 186 - - 1 39

SCR 및 DPF 장착 3470 미시행

농기계 배출규제기준강화 21 미시행

선박삭감대안 배출규제기준강화 140 미시행

출처; 수도권대기환경청(2010)

<표 2-134> VOCs 저감대책 추진현황

Page 7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20

2. 국외 VOCs 저감 대책

2.1 미국의 VOCs 관리 현황

미국에서는 1977년 Clean Air Act(CAA)가 개정되면서 연간 100톤 이

상의 VOCs를 배출하는 대규모 발생원에 대한 배출을 제한하기 시작하였으

며, 1990년 CAA 개정으로 오존기준 미달성지역을 대폭 해소하기 위해 지역

을 5단계로 구분하여 규제 체계화 및 이동오염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다.

해당 주정부로 하여금 최소 10년 동안에 연방대기질기준을 유지할 수 있도

록 VOCs 저감대책에 근거한 주 이행계획안(SIP)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주와 지방정부는 지역적인 오염특성을 고려하여 연방법을 기초로 하

여 주와 지방법규를 제정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은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일정한 VOCs저감 목표치를 설정하여 VOCs 규제를 점차적으로 강화하고 있

으며 그 적용 범위를 확대시키고 있는 추세다. 미국의 VOCs 규제는 크게

(1)오존에 관한 규정과 (2)유해대기오염물질 규정의 2가지 관점에서 관리된

다. 자세한 대책은 <표 2-135>에 정리하였다.

오존규제와

관련된

VOCs 대책

- 1990년 CAA 개정 때 2010년까지 달성기간 설정.’96년까지는 15%,

’97년부터는 3%씩 저감 목표로 저감 계획을 수립/시행

- 오존미달성지역

·적절한 제어기술(RACT)적용

·신규 및 시설 개조시에는 달성가능한 최저 배출비(LAER)준수

- 오존달성지역 : 최적제어기술(BACT) 적용, 90% 이상의 VOCs 제거

유해대기오염

물질규제와

관련된

VOCs 대책

- CAA에 규정되어 있는 HAPs188개 중 VOCs는 주요오염원에 대해

최대성취가능제어기술(MACT)적용

<표 2-135> 미국의 VOCs 규제 현황

121

각 주는 VOCs환경기준을 달성하기 위하여 법을 제정할 때 지침으로서

11개 업종에 대하여 제어기술 가이드라인(CTG)을 정하였으며, 이들 업종 중

기존배출원에 대하여 RACT(Reasonable Available Control Technology)를 적

용하고 있다.

한편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다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주요

배출원에 대해서는 NSPS를 제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미국의 VOCs관련 법규는 다음의 체계와 같다. 미국의 연방법(CFR

:Code of FederalRegulation)의 title40은 환경보호에 대한 연방규정이며 총

16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Air Program이 part50~99를 차지하고 있으

며 특히 part60은 독립적인 낱권으로 신규오염원의 대기배출시설들에 대한

성능기준을 명시해 놓고 있다. Part60종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성능기준

에 관한 규정들은 석유 정제시설(subpartJ),석유화학제품 저장시설(subpart

Kb), 자동차 도장시설(subpart MM), 석유화학제품 제조 시설(subpart VV),휘

발유 출하시설(subpart XX), 석유계용제 세탁시설(subpart JJJ),석유화학시설

폐수처리장(subpartQQQ)등이 있다. 이러한 시설들에서 VOCs를 규제하는 방

법들 중에 중요한 것은 배출허용기준과 배출허용실행절차(Compliance

procedure)이다.

배출허용기준은 최대 허용 가능한 VOCs의 배출량을 규제하는 것으로

주로 농도(단위시간당 오염 물질의 총량 혹은 배출가스량 당 오염물질의 양)

로 기록된다. 배출허용기준은 또한 질량의 제한 혹은 허용 가능한 농도(단위

제품량 혹은 투입된 원료량당 오염물질의 총량)의 형태와도 관련된다. 배출

허용제한이 숫자로 기록될 수 없을 경우에는 설계, 장비, 작업방법 혹은 공

장가동 등의 표준이 적용될 수 있다.

미국 EPA는 미국 내 PM2.5, PM10, NOx, CO, VOCs 등을 배출하는

시설에 적용되는 정책, 규정 등을 EPA 배출목록에 맞게 정리하여 Air

Control NET 보고서를 제출한다.

Page 7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22

2.2 유럽의 VOCs 관리 현황

유럽연합(EU)에서는 1994년 석유의 저장, 출하 및 판매시설에서 발생되

는 VOCs 배출제어에 관한 EU 법률을 통과시키는 등 유럽전체의 VOCs 배

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별로 별도의 VOCs 관리

방안을 운영하여 시설별 VOCs 배출량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EU에서는 유럽공동체 전체의 수준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대기권의 오존

을 형성하는 VOCs로 야기되는 공기오염을 방지하거나 감축하기 위해 특정

페인트, 광택제 및 자동차 도장 제품에서의 VOCs의 총 함유량을 제한하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제지침 등을 마련하였다.

< CAFE(CleanAirforEurope)>

CAFE는 현 EU 회원국 및 예비국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장기적

인 전력대응 프로그램이다. CAFE는 SO2, NOx 등 주요 대기오염물질과 함께

분진과 오존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향후 주요 현안으로 대두될 기타

오염물질 및 Hotspot관리를 강조하고 있다.CAFE는 기술적, 제도적 접근을

통하여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CAFE는 2001년 말 시행되어 2004년 백서 발간, 2005년 및 2006년 초

국가별 오염배출 제한량 설정 및 입법화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기술적 분

석은 오염물질 인벤토리 작성, 비용 효과적 기술정책수단 파악, 대기오염발

생 및 영향분석 통합모형 작성 연구결과와 정책 간의 연계강화 등을 포함하

고 있다. 또한 기존의 각 회원국 대기환경정책을 상호 검토한 후 향후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부분별로는 대형 연소시설(LCP),자동차 배기가스, 통합오염물질사전방

지(IPPC)대상시설, VOCs/솔벤트류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논의가 추

진되고 있고, 대기환경정책의 투명성 제고와 주요 당사자의 참여를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및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EU의 확대에 따른 추

가 회원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123

< SolventDirective>

SolventDirective는 유럽연합에서 대기 중 오존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

여 산업공정 중 유기용제에 대한 배출을 제한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법률적

으로 VOCs 배출량을 감소하기위한 조치 중 가장 대표적이다. Solvent

Directive(European Commission)는 1999년에 처음 효력을 발생하기 시작하

였고 1차적으로 2002년까지, 2차적으로 2007년까지 완전 시행하도록 하고 있

다. 고정된 공장 등에서 배출 감소에 목표를 두고 있어서, 자동차에 대한 도

장이나 가구 공장에서의 페인트 칠 작업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Proposed National Emission Ceiling(NEC) Directive (European

Commission-99/0067COD)는 대기오염물질제어에 관한 총괄적인 내용을 담

고 있다. NEC는 SolventDirective의 보조적인 법령의 역할을 하고 있다.

Coating Use Printing and Adhesive Use Othet

Vehicle refinish,

Coilcoating, Other coating,

Wood coating, Leather

coating, Coating of

winding wire,

Vehicle coating

Heatset printing,

Publication gravure

printing, Other printing,

Wood/plastic lamination,

Adhesive coating

Surface cleaning, Dry

cleaning, Wood

impregnation, Coating

manufacture, Rubber

conversion, Vegetable oil

extraction, Pharmaceutical

manufacture

<표 2-136> Solvent Directive의 VOCs 규제항목

< Directive2004/42/EC >

Directive2004/42/EC는 Directive1999/13/EC(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시설

에서 발생하는 VOCs의 배출을 제한하는 지침)의 VOCs 지침 중 도료사용

(건축용 12종, 자동차보수용 5종)에 의해서 발생하는 VOCs를 규제하는 지침

이다. 이 지침에 따르면 페인트와 니스의 VOCs함량은 적용시기를 2007년

(PhaseⅠ)과 2010년(PhaseⅡ) 2단계로 구분하여 규제하고 자동차용 도료는 1

단계 기준만 적용하되, 집행위가 2단계 규제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2008년까

지 마련한다. 첫 단계에서 접착용 밑칠재의 VOCs함유량 최대 허용치는 수성

프라이머의 경우 50g/ℓ의 허용한계가 주어지며, 용제형 프라이머의 경우는

Page 7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24

750g/ℓ가 최대허용치로 주어진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부문에서

상한을 높여 더욱 확실하게 줄이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배 출 원 EU 저감방안

유기용제

사용

Furniture industry저 VOCs 용제의 사용 스프레이 건 및 자

동화 시설에 따른 저감 기술의 사용

Wood Coating

수용성 도료를 포함한 낮은 용제 도료사용,

적용 도구들의 최상의 손질, 기밀이 유지되

는 용제 용기사용, 정밀검사와 보수 관리,

효율적 기술사용, 분체형, 수성화 도료사용

Printing Industry정밀검사와 보수 관리, 효과적인 용제 관리,

유지 계획수립, 저 VOCs함유 용제 사용

Vehicle Refinishing

높은 효율을 적용, 수성 페인트와 같은 낮

은 솔벤트 생성 물질로 전환, 솔벤트 취급

과 유지관리

paints Manufacturing

- 농축이나 흡착, 세정시설과 재연소장 사용

- 솔벤트 저장 탱크는 증발에 인한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농축기 설치

Coil Coating솔벤트 기반의 페인트를 사용하는 독일의

많은 설비들은 100% 열소각 시설

제조업 연소

구두 제조업, 목제 및

플라스틱 박막 제조업, 자동차

제조업의 도장공정도, 금속

등의 도장, 드라이크리닝,

도료·니스·잉크·접착제

제조업, 인쇄업,

천연·합성고무 제조업,

표면세정업, 동물성·식물성

유지제조업

- 연간 사용량의 제한

- 배기가스중의 배출 한계치(농도기준) 규정

- 비산 배출치 제한

- 총 배출 한계치등의 기준을 규정

에너지 수송

및 저장유조소, 주유소

- 가솔린 저장 시설의 설계, 조작규정

- 이동 용기에 짐을 싣고, 내림 작업규정

- 이동 용기의 설계 조작규정

- 가솔린 스탠드에 있어서의 저장 설비기준,

성능기준, 작업 조건 기준 등을 규정

<표 2-137> EU의 배출원별 주요 저감 대책

125

2.3 일본의 VOCs 관리 현황

일본의 경우 VOCs를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입자상물질 등과 함께 4대

대기오염물로 규제하고 있다. 특히 VOCs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분진이나 오

존에 의한 대기오염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문제로 간주하고 있다. 현재

VOCs 이외의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그 대책이 마련되어 있으나, VOCs에 대

한 대책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일본 환경성은 2003년에 “VOCs 배출

억제 검토회”를 만들어 VOCs 규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2004년 5월 대기오염 방지법을 개정하고, 2005년 5월에는 대기오염

방지 시행령을, 6월에는 시행규칙을 개정하였으며, 4월부터 고정발생원에서

VOCs 배출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일본은 VOCs에 대한 정의를 “대기중에 배출되어있을 때 또는 비산했

을 때에 기체상의 유기 화합물(부유 입자상 물질 및 옥시던트의 생성의 원인

이 되지 않는 물질로서 정령으로 정하는 물질은 제외한다.)”로 하였다. 특히

VOCs의 배출량이 많기 때문에 규제를 실시하고 있는 공장, 사업장등에 설치

되는 시설에 필요한 것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배출 시설」(이하 「VOCs

배출 시설」이라고 한다.) 로서 정하고 있다. 일본은 VOCs의 배출 규제와

사업자의 자주적 참여를 적절히 조합해 베스트 믹스 방식을 취하여 효과적

인 배출 억제를 꾀하고 있다.

VOCs 규제방식은 VOCs 배출량이 큰 시설에 대해서는 대기환경에 미

치는 영향이 크고, 그에 따른 사회적 책임이 무거우므로 법에 의한 규제를

행하고, 배출량이 크지 않은 다양한 시설에 대해서는 배출원 종류나 배출형

태가 다양하므로 업종별로 사업주가 자발적으로 VOCs 배출률을 규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각 현마다 탄화수소류 대책 지도지침을 제정․운

영하여 VOC를 관리하고 있는데, VOC를 배출하는 저장시설, 급유시설, 이동

저장시설, 세탁시설 및 제조시설 등에 대하여 관리하고 있다.

VOCs 배출 시설을 설치하거나 구조 등을 변경하려면, 반드시 도, 부,

현 지사에 신고를 마쳐야 하며, 기존의 VOCs 배출 시설에 대해서는 규제가

시행된 2007년 4월 1일로부터 30일 이내의 신고를 의무화 하였으며 VOCs

배출 시설의 배출구에 있어서의 VOCs 농도의 허용 한도로서 배출 기준을

Page 7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26

정해 기준준수를 의무화 하고 있다. 또한 VOCs배출 시설에 있어, 농도 측정

및 기록을 의무화 하고 있으며 계획 변경 명령 및 개선 명령에 위반한 사람

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엔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배출원 저감 방안

유기용제

사용

잉크 수성잉크, 무용제잉크 사용

접착제수성계 접착제, 핫 메르트형 접착제, 반응형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 사용

가구도장,

대형건설기계,

선박블록, 대형금속골재

건식 및 습식 부스 설치

가전제품, 자동차부품,

수지제품, 승용차, 트럭,

특수 차량, 철도차량

자동차 바디, 트럭,

택시, 자동차 도장시설,

차량 부품, 프레임,

주택건재, 농기구,

스틸가구, 호일

건조로에 에어 씰 설치

착색 아연 철판,

프레코트 강판,

가전제품

도장 공정 변경(프레코트 도장 → 롤코터 도장)

에너지 수송

및 저장

주유소, 유조소 부유 지붕식 탱크로 변경

석유 제품을 다른 시설

등에 적용, 변경시증기 리턴 장치 설치

<표 2-138> 일본의 VOCs 규제 현황

127

Ⅳ. 대기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한 VOCs 관리방향

VOCs는 배출원에 따라 배출되는 화학종의 구성이 달라지는데 이 화학종에

따라 오존을 생성시키는 정도가 다르다. 이와 같은 오존생성능력(POCP ;

photochemical ozone creating potential)은 일반적으로 에틸렌을 기준물질

(POCP = 100)로 하여 대기 중 OH-와의 반응성 정도에 의한 평가방법이 일

반화 되어있다.(R.G. Derwent et al)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매년 출간하는 ‘대기환경연보’에서는 광화학대기

오염물질측정망에서 VOCs 농도를 측정하고 있으며,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Toluene, n-Butane, Ethylene, Propane, m,p-Xylene, Propylene, iso-Pentane,

o-Xylene, iso-Butane 등 56가지 오염물질에 대하여 오존생성잠재력과 오존생

성기여율을 분석하여 함께 제시하고 있다. <표 2-139>는 수도권 광화학대기

오염물질측정망의 화학종별 농도 및 오존생성기여율(%)을 나타내고 있다.

Ethane과 Ethylene을 비교했을 때, Ethane의 대기 중 농도는 4.4ppb,

Ethylene의 1.6ppb로 나타나지만 실제 오존생성기여율은 Ethane이 1.2%,

Ethylene이 5.3% 기여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중

오존을 생성시키는 정도는 VOCs 농도보다는 VOCs 화학종별 오존생성능력

이 중요하며, 나아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VOCs 배출량 보다는 실제 배출량

을 토대로 한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율이 더욱 중요하다.

배출원별 VOCs의 오존생성기여율을 비교하기 위해서 배출원별 VOCs 화

학종 분류 데이터가 요구된다.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배출원별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 구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반면, 미국, 영국의 경

우 대부분의 배출원에 대하여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의 배출원별 배출량과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비교함으로써 오존생

성기여도를 고려한 배출원 관리를 필요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국내에서 개발

된 일부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를 적용하여 국내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

성기여도의 차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지역보다 대기 중 오존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수도권지역을

Page 7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28

중심으로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하고 나아가 향후 오존생성기여도

를 고려한 VOCs 배출원 관리의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배출원별 VOCs 화학종별 데이터(Speciation)는 국내에서 연구된 배출원별

VOCs Speciation(2011, 마영일), EPA Speciation, 영국의 Speciation 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VOC의 Speciation 데이터에 따른 오존생성기여도의 차이

도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분 오염물질 분자식 POCP계수 연평균값(ppb) 오존생성기여율(%)

1 Ethane C2H6 8 4.4 1.2

2 Ethylene C2H4 100 1.6 5.3

3 Propane C3H8 14 5.2 3.8

4 Propylene C3H6 117 0.5 2.9

5 iso-Butane C4H10 28 1.2 2.3

6 n-Butane C4H10 31 1.9 4

7 Acethylene C2H2 7 1 0.2

8 trans-2-Butene C4H8 116 0 0

9 1-Butene C4H8 104 0.1 0.7

10 cis-2-Butene C4H8 113 0 0

11 Cyclopentane C5H10 50 0.1 0.4

12 iso-Pentane C5H12 34 0.8 2.3

13 n-Pentane C5H12 40 0.6 2

14 trans-2-Pentene C5H10 111 0 0

15 1-Pentene C5H10 95 0 0

16 cis-2-Pentene C5H10 109 0 0

17 2,2-Dimethylbutane C6H14 22 0 0

18 2,3-Dimethylbutane C6H14 50 0.1 0.5

19 2-Methylpentane C6H14 41 0.2 0.8

20 3-Methylpentane C6H14 43 0.2 0.9

21 Isoprene C5H8 114 0.1 0.9

22 1-Hexene C6H12 88 0 0

23 n-Hexane C6H14 40 0.4 1.6

24 Methylcyclopentane C6H12 49 0.3 1.5

25 2,4-Dimethylpentane C7H16 55 0 0

<표 2-139> 수도권, 광화학측정망대기오염물질 측정망 농도 및 오존생성기여율

129

구분 오염물질 분자식 POCP계수 연평균값(ppb) 오존생성기여율(%)

26 Benzene C6H6 10 0.5 0.5

27 Cyclohexane C6H12 28 0.3 0.8

28 2-Methylhexane C7H16 32 0.1 0.4

29 2,3-Dimethylpentane C7H16 50 0 0

30 3-Methylhexane C7H16 42 0.1 0.5

31 2,2,4-Trimethylpentane C8H18 60 0.2 1.6

32 n-Heptane C7H16 35 0.1 0.4

33 Methylcyclohexane C7H14 65 0.1 0.7

34 2,3,4-TriMethylpentane C8H18 60 0 0

35 Toluene C7H8 44 8.7 41.3

36 2-Methylheptane C8H18 34 0 0

37 3-Methylheptane C8H18 37 0 0

38 n-Octane C8H18 34 0.1 0.5

39 Ethylbenzene C8H10 46 0.8 4.6

40 m/p-Xylene C8H10 79 0.9 8.8

41 Styrene C8H8 5 0.1 0.1

42 o-Xylene C8H10 78 0.3 2.9

43 n-Nonane C9H20 34 0.1 0.5

44 Isopropylbenzene C9H12 32 0 0

45 n-Propylbenzene C9H12 38 0.1 0.5

46 m-Ethyltoluene C9H12 78 0.1 1.1

47 p-Ethyltoluene C9H12 63 0 0

48 1,3,5-Trimethylbenzene C9H12 107 0 0

49 o-Ethyltoluene C9H12 73 0 0

50 1,2,4-Trimethylbenzene C9H12 110 0.1 1.6

51 n-Decane C10H22 36 0.1 0.6

52 1,2,3-Trimethylbenzene C9H12 105 0.1 1.5

53 m-Diethylbenzene C10H14 65 0 0

54 p-Diethylbenzene C10H14 65 0 0

55 n-Undecane C11H24 36 0 0

56 n-Dodecane C12H26   - -

출처; 대기환경연보(2011)

Page 7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30

1. 국외 POCP를 고려한 오존생성기여도

1.1 미국

미국 EPA에서 제공하고 ‘08년도 배출량자료와 SPECIATE Version 4.3의

배출원별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를 적용하여 미국의 배출원별 배출량기

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17>와 <그림 2-18>에 비교하여 나타내었

다. 화학종별 POCP값은 부록 B에 수록한 “Speciation of UK emissions of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2002)”에 제시된 값을 적용하였다.

<그림 2-17>의 배출량 기여도는 앞서 <그림 2-13>에서 검토한 미국의

배출량 기여도와 차이가 있다. 이는 미국의 SPECIATE에서 제공하는 화학종

분류 데이터 중 생산공정, 가축 분뇨, 기타 비산업 부문과 비도로 이동오염

원 중 일부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배출원의 배출

량은 배제 한 후 배출량기여도를 <그림 2-17>과 같이 나타내었다.

유기용제 부문의 경우 배출량 기여도는 28%, 오존생성기여도는 29%로

약 1% 증가하였으며, 도로이동오염원의 경우 배출량 기여도가 25%인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33%로 약 8%가량 기여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화재 부문은 배출량 기여도가 38%였던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이보다

약 9% 감소한 29%의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료연소의 경

우에는 기여도에 변화는 없었으며, 원유시설․주유소, 비도로 이동오염원의

경우에는 1%씩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2-17> 미국 배출량 기여도 <그림 2-18>미국 오존생성기여도

131

1.2 영국

유럽 EEA에서 제공하고 ‘09년도 배출량자료와 “Speciation of UK

emissions of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2002)”의 배출원별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를 적용하여 영국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와 오

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19>와 <그림 2-20>에 나타내었다. 화학종별 POCP

값은 화학종별 POCP값은 부록 B에 수록한 “Speciation of UK emissions of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2002)”에 제시된 값을 적용하였다.

영국의 VOCs 배출원은 기타 면오염원, 농업(가축분뇨) 부문을 포함하지

만 동일한 배출원에 대한 화학종 분류 데이터가 조사되지 못하여 해당 배출원

의 배출량은 배제한 후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영국의 배출량 기여도 중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이는 부문은 유기용제

사용 부문으로 약 48%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오존생성기여도는 41%로 약

7%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의 경우 배출량 기여

도는 23%이며, 오존생성기여도는 22%로 1%정도 기여도가 감소한 것으로 분

석된다. 도로이동오염원의 경우는 배출량 기여도가 12%였으며, 오존생성기여

도는 약 4% 증가한 16%인 것으로 분석된다. 배출량기여도와 비교하여 오존생

성기여도가 증가한 배출원은 생산 공정, 도로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연료연소가 해당되며 기여도가 감소한 배출원은 유기용제 사용, 연료에 의한

비산배출 이 해당된다. 폐기물 처리 부문은 동일한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2-19> 영국 배출량 기여도

<그림 2-20> 영국 오존생성기여도

Page 7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32

2. 국내 POCP를 고려한 오존생성기여도

VOCs의 배출량관리가 배출된 VOCs에 의한 오존생성 억제를 위해 추진되

고 있다면, 앞서 미국과 영국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한 바와 같이 실제 배출량기여도 보다는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고려

한 배출원 우선순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량 관리를 위해서는 각 VOCs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VOCs를 화학종으로

분류하는 Speciation 자료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경우는 <표 2-140>에 정리

된 것처럼 일부 배출원에 대해서만 Speciation자료(마영일, 2011)가 확보되어

있다.

배출원 국내 미국 영국

에너지 산업 연소

공공발전시설 × ○ ○

지역난방시설 × ○ ○

민간발전시설 × ○ ○

석유정제시설 × ○ ○

비산업 연소

상업 및 공공기관시설 × ○ ○

주거용 시설 ○ ○ ○

농업・축산・수산업 시설 × ○ ○

제조업 연소

연소시설 × ○ ○

공정로 × ○ ○

기타 ○ ○ ○

생산 공정

기타제조업 ○ × ○

목재, 펄프 제조업 × × ○

무기화학제품 제조업 × × ○

석유산업공정 × × ○

식음료 가공 ○ × ○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 × ○

제철제강업 × × ○

에너지 수송 및 저장 휘발유 공급 ○ ○ ○

유기용제 사용

기타 유기용제 사용 ○ ○ ○

도장시설 ○ ○ ○

세정시설 ○ ○ ○

세탁시설 ○ ○ ○

도로이동오염원RV, 버스, 승용차, 승합차, 이륜차,

택시, 특수차, 화물차○ ○ ○

비도로이동오염원 건설장비, 농업기계, 선박, 철도, 항공 ○ ○

폐기물 처리기타 폐기물 처리 (매립) ○ ○ ○

폐기물 소각(사업장, 생활) ○ ○ ○

기타 면오염원 산불 및 화재 × ○ ×

<표 2-140> 국내외 배출원별 Speciation 자료 비교

133

Speciation이 개발된 배출원만을 대상으로 <표 2-141>와 같이 Speciation

을 적용하여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하였다. Species profile 및 POCP

데이터는 부록 A, B에 수록하였다.

Species profile 부록

도로이동오염원 On-Road mobile source A-1

에너지

수송

저장

주유소(주유시 포함) Oil Station source A-2

정유사 출하기지Petroleum transport and storage

sourceA-3

수송 및 저유소(주유소 제외)Petroleum transport and storage

sourceA-4

폐기물

처리

폐기물 소각Municipal waste incineration

source

기타폐기물 Municipal waste landfill source A-5

유기

용제

사용

도장

시설

건축 및 건물

Surface coating

Operations-Solvent-Base PaintA-6

기타 비산업용 도장공정

기타 산업용 도장공정

나무, 가구제조

코일코팅 Coil coating A-7

자동차 수리 Automobile refinishing coating

sourceA-8

자동차 제조

세탁시설 Degreasing composite A-9

기타

유기용제

사용

아스팔트 도로포장Asphaltic concrete-In place

Road AsphaltA-10

인쇄업 Printing source A-11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A-12

<표 2-141> 배출원별 국내 Species profile

<그림 2-21>과 <그림 2-22>는 국내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비

교한 것이다. 이 결과는 <표 2-140>과 같이 국내 Speciation자료가 개발된 배

출원에 대해서만 부분 배출량을 총량으로 하여 배출량 기여도를 고려하였으

며, 연료연소 부문의 Speciation자료는 일부분에 대해서만 개발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배제하였다.

Page 7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34

유기용제 사용, 도로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분

만을 비교하였을 때,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기여도는 80%였으나 오존

생성기여도는 67%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도로이동오염원은 9%의 배출량기여도를 보인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17%로 기여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 에너

지 수송 및 저장 부문도 배출량기여도 보다 오존생성기여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존생성기여도를 고려할 경우에도 배출원별 배출량을 이용하여 기여도를

구하기 때문에 유기용제 사용 부문과 같이 배출량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는

배출원의 경우에는 오존생성기여도 또한 마찬가지로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

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위 배출량 당 오존생성기여도를 비교할 경우에는 유

기용제 사용 보다는 도로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

의 기여도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량기여도

뿐 아니라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한 국내 VOCs 배출원의 관리가 보다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21> 국내 배출량기여도 <그림 2-22> 국내 오존생성기여도

135

3. 수도권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 및 POCP기여도

본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대기 중 오존농도가 높아 문제가 되고 있

는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하였다. VOCs 화

학종 분류 데이터는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를 적용하였으며, 화학종에 대한

POCP값을 적용하여 배출원별의 오존생성기여도를 검토하였다.

3.1 서울시

서울시 VOCs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23>과

<그림 2-24>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림 2-23>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

를 살펴보면 유기용제 사용부문이 71%,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이 23%로 고려

된 배출원의 VOCs 배출량 중 약 90% 이상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24>의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살펴보면 유기용제 사용의

경우 오존생성기여도가 약 50%로 배출량기여도 보다 약 21%로 크게 감소되

었으며, 도로이동오염원의 경우에는 43%로 배출기여도와 비교하여 약 20%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대분류 배출원 중 주요 기여도를 갖는 유기용

제 사용 부문과 도로이동오염원의 세분류 별 기여도를 검토하여 아래 <그림

2-25>와 <그림 2-26>에 도시하였다.

<그림 2-23> VOCs 배출원의

배출량기여도(서울시)

<그림 2-24> VOCs 배출원의

오존생성기여도(서울시)

Page 7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36

<그림 2-25> 도로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서울시)

3.1.1 도로이동오염원

서울시의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

를 비교하여 <그림 2-25>에 나타내었다.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및 모델링 적용

(2011, 마영일)”의 “On-Road moCile source" 화학종분류 데이터를 일괄적으

로 적용하였다.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는 각각 23%, 43%로

다른 배출원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검토되

었다. 특히 도로이동오염원 중 승용차 부문의 배출량과 오존생성기여도가 다

른 이동오염원에 비해 높은데 서울시의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자가용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륜차 부문의 VOCs 배출량의 경우 50cc 미만의 이륜차 등록대수가 통

계상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등록대수를 가정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므

로 실제 이륜차 부문의 배출량 및 오존생성 기여도는 이보다 더 높을 것으

로 추정된다.

137

3.1.2 유기용제 사용

서울시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26>에 나타내었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배출량 기여도가 가장 높은 부

문은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으로 기여도는 약 35%에 해당하며

오존생성기여도는 이보다 낮은 약 18%를 보이고 있다.

코일코팅의 경우 배출량기여도가 약 5%에 해당하는 반면 오존생성기여

도는 약 8%로 건축 및 건물 부문과 동일한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동일한 배출량이 배출될 경우 코일코팅 부문에서 배출되는 VOCs 화학종이

오존생성능력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탁시설, 인쇄업, 세정시설은 오존생성기여도가 배출량기여도 보다 낮은

기여도를 보이며, 자동차 수리 부문은 배출량기여도 보다 오존생성기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단위 배출량 당 오존생성기여도는 코일코팅, 자동차 수리 부

문의 경우 다른 배출원에 비해 높지만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

의 배출량이 매우 높음에 따라 오존생성기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서울시 대기 중 오존농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 사용부문의 배출원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그림 2-26> 유기용제사용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서울시)

Page 7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38

3.2 인천시

인천시 VOCs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27>와

<그림 2-28>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림 2-27>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

를 살펴보면 유기용제 사용부문 70%, 도로이동오염원 부문 13%, 폐기물 처

리 부문 11%,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 6%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2-28>의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살펴보면 유기용제 사용의 경

우 오존생성기여도가 약 62%로 배출량기여도 보다 약 8% 감소되었으며, 도

로이동오염원의 경우에는 26%로 배출기여도와 비교하여 약 13% 증가한 것

을 확인 할 수 있다. 폐기물 처리 부문은 기존 배출량기여도가 11%인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4%로 감소하였으며,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은 6%의 배

출량기여도를 보인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8%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 배출량기여도는 폐기물처리 부문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보다 높았지만 오존생성기여도는 오히려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이

더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대분류 배출원중 주요

기여도를 갖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과 도로이동오염원의 세분류별 기여도를

검토하여 아래 <그림 2-29>과 <그림 2-30>에 비교하였다.

<그림 2-27> VOCs 배출원의

배출량기여도(인천시)

<그림 2-28> VOCs 배출원의

오존생성기여도(인천시)

139

3.2.1 도로이동오염원

인천시의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

를 비교하여 <그림 2-29>에 나타내었다.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는 각각 13%, 26%로 배출량기여도와 비교하여 오존생성기여

도가 가장 크게 증가된 부문에 해당한다. 인천시 도로이동오염원의 경우 서

울시와 동일하게 승용차 부문의 배출량과 오존생성기여도가 다른 이동오염

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마영일(2011) 연구의 “On-Road mobile

source" 화학종분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적용하였으므로 오존생성기여도는

배출량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29> 도로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인천시)

3.2.2 유기용제 사용

인천시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30>에 나타내었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 중 배출량기여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가정 및 상업

용 유기용제 사용 부문으로 약 19%정도이며 오존생성기여도가 가장 높은 배

출원은 코일 코팅 부문으로 약 21%로 분석되었다. 배출량기여도 보다 오존

Page 8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40

생성기여도가 증가한 배출원은 아스팔트 도로 포장, 자동차 수리, 자동차 제

조 부문이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인천시 대기 중 오존농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코일코팅부문의 배출원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30> 유기용제사용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인천시)

3.3 경기도

경기도 VOCs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그림 2-31>과

<그림 2-32>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림 2-31>의 배출원별 배출량기여도

를 살펴보면 유기용제 사용부문의 기여도가 78%로 서울, 인천과 비교하여 가

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이 11%, 폐기물 처

리 부문이 6%,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이 5%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32>의 배출원별 오존생성기여도를 살펴보면 유기용제 사용의 경

우 오존생성기여도가 약 65%로 배출량기여도 보다 약 13% 감소되었으며, 도

로이동오염원의 경우에는 20%로 배출기여도와 비교하여 약 9%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대분류 배출원중 주요 기여도를 갖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

과 도로이동오염원의 세분류별 기여도를 검토하여 아래 <그림 2-33>와

<그림 2-34>에 비교하였다.

141

<그림 2-31> VOCs 배출원의

배출량기여도(경기도)

<그림 2-32> VOCs 배출원의

오존생성기여도(경기도)

3.3.1 도로이동오염원

경기도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를

비교하여 <그림 2-33>에 나타내었다.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기여도 및 오

존생성기여도는 각각 11%, 20%이며 승용차, 화물차, 이륜차 순으로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택시와 승합차, RV차량에 경우 배출량기여도가 낮아 오존생

성기여도 또한 낮게 비교되고 있다.

<그림 2-33> 도로이동오염원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경기도)

Page 8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42

<그림 2-34> 유기용제사용부문의 VOCs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경기도)

3.3.2 유기용제 사용

경기도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도를 <그

림 2-34>에 나타내었다.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 기여도는 78%인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65%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배출원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배출량 기여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건축 및 건물 부문으로 약 20%에 해당하

며 다음으로 가정 및 상업용 유기용제사용 부문이 18%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오존생성기여도는 각각 14%, 9%의 기여도를 나타낸다. 반면 오

존생성기여도가 가장 높은 배출원은 코일 코팅 부문으로 약 19%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 지역의 대기질 오존농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

기 위해서는 코일코팅 부문의 배출원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

단된다.

이를 통해 대기질 오존농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출량기여도 뿐 아

니라 VOCs의 오존생성능력을 함께 비교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

단된다.

143

4. 대기중 오존농도 관리를 위한 VOCs 관리방향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국외와 국내의 배출원별 배출량 기여도와 오존생

성기여도를 비교한 결과 배출원별 순위는 크게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오존생성기여도 검토 시 배출량이 함께 적용되므로 오존생

성능이 높은 배출원이라 하더라도 전체적인 기여도 순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배출원별 오존생성능을 고려 할 경우 분명하게 배출량기여도와 오

존생성기여도는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국내 배출량 기여도

와 오존생성 기여도 결과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기여도는 80%인 반면

오존생성 기여도는 67%로 기여도가 감소하였으며, 도로이동오염원은 배출량

기여도가 9%인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17%로 기여도가 크게 감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만일 동일한 배출량을 배출할 경우 유기용제 사용

부문 보다는 도로이동오염원의 오존생성능이 더 높다는 의미이며 오존 관리

를 위해서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원 관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져야 하나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원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도권 지역의 배출원별 배출량 기여도와 오존생성기여도를 비교하였을

때, 지역별로 산업특성 및 지역특성이 고려되어 기여도 순위는 차이를 보였

다. 배출원별 세부적으로 기여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는 유기용제 사용 부문의

배출량기여도가 가장 높은 배출원으로 검토되는 반면 오존생성기여도는 코일

코팅 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배출원별 배출량 기여도만을 고려한

배출원 관리보다는 오존생성능을 고려한 오존생성기여도 검토를 바탕으로 한

배출원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배출원이 유기용제 사용,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부문으로 전체적인 배출량 기여도 및 오존생성기여

도와는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대기중 오존농도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서는 향후 배출원별 VOCs 화학종 분류 데이터의 추가적인 개발이 요구되며

모든 배출원에 대한 오존생성기여도 검토를 통한 배출원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44

Ⅴ. VOCs 배출량 산정개선을 위한 연구방향 및 로드맵

대기중의 오존농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VOCs 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파

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누락 VOCs 배출원에 대한 파악이나 각

VOCs 배출원에서 배출되고 있는 VOCs 배출량을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 보

다 정확한 배출계수 개발과 개발된 배출계수에 적용할 활동도자료의 확보

등이 중요하다. 또한 단순한 VOCs 배출량보다는 배출된 VOCs에 의해 오존

이 얼마나 생성될 것인지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량 및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앞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효율

적으로 국내 대기중의 오존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아직 파악하고 있지 못한

누락 VOCs 배출원을 파악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VOCs 배출계수중 개선

이 필요한 배출계수가 새로운 개발이 필요한 배출계수를 파악하여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VOCs 관리의 중요한 목표가 대기중 오존관리이므로 이

를 위해서는 POCP를 고려한 VOCs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서 VOCs 배출원

에 대한 speciation 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VOCs 배출원의 출현이나 기존에 파악되지 못했던 활동도

자료의 확보 및 배출계수의 개발이나 개선을 통해 좀 더 정확하게 VOCs 배

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선을 위해 배출목록이나 배출계수를 주기

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배출목록이나 배출계수의 개선주기나 향후 필요한

연구의 로드맵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1. VOCs 인벤토리 업데이트 주기 제안

국내 VOCs의 인벤토리의 개선주기를 검토하기 위해 유럽의 update 현황

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국내의 update 주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유럽의 Inventory Guidebook에서는 앞서 검토하였던 바와 같이 대기오

염물질 배출에 대한 인벤토리가 체계적으로 수립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145

인벤토리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1.1 인벤토리 업데이트 필요성

□ 활동도 수준 변화에 따른 업데이트 필요성

배출량 산정에 적용되는 활동도는 주로 국가의 통계자료를 근본으로 하

여 배출량을 산정하는데 통계분류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며, 하위 분류

체계 또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포함하려고 한다. 이러한 통계자료의 변화는

기존 산정이 불가능 한 배출원이나 Tier 1수준의 배출량을 Tier 2 수준의 배

출량으로 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새로운 배출원 보안에 따른 업데이트 필요성

배출원목록의 개선은 인벤토리의 질을 높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새

로운 배출원의 파악은 기존 배출원에 보안을 요구하며 분류체계 개선을 통

한 인벤토리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방지효율 변화에 따른 업데이트 필요성

화학 제조 시설, 발전시설과 같은 점오염원 배출원에서는 대기중으로 배

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며, 배출허용기준이 강화될 경우 더 높은 저감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배출량 산정에 함께 적용되는 방지효율도 보안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1.2 업데이트 주기 제안

앞서 검토된 바와 같이 유럽의 경우 국가 배출량 산정에 있어 활동도,

배출원 분류, 방지효율 등의 보안 필요성을 근거로 주기적으로 인벤토리를

보안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국내의 경우도 해당되는 사항으로 보

다 신뢰도 높은 국가 배출량 산정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배출량 산정 인벤토

Page 8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46

리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배출량은 국가 통계자료를 근간으로 배출량을 산

정하고 있다. 국내 통계 자료는 과거 1964년에 제정된 이래 유엔의 국제표준

산업분류의 개정과 국내의 산업구조 및 기술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과거 ‘65

년, ’68년, ‘70년, ’75년, ‘84년, ’91년, ‘98년, ’00년, ‘08년에 한국표준산업분류

를 개정하여 왔다. 짧게는 2년 길게는 10년을 주기로 하고 있다. 배출목록의

개선은 정확한 배출량 파악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는 하지만 이

러한 배출목록의 개선주기를 임으로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많은 오류를

범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주요 VOCs 배출원이 이러한 산업공정

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배출목록의 주기를 한국 표준산업 분류 개정 주기를

반영하여 하는 것이 그나마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VOCs 배출목록을 개선하는 경우 그에 따른 배출계수의 개선도 필요하므로,

이런 점들을 감안하여 국내 VOCs 인벤토리 업데이트 주기를 대략 최대 약

10년 정도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다만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 지속적으

로 각 배출원에 대한 VOCs 배출계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는 점을 감안하여 배출목록에 대한 전반적인 update는 10년으로 하되, 필요

시 부분적으로 배출계수의 개선이나 배출목록을 개선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

안하고자 한다.

2. 향후 연구계획 로드맵

VOCs 배출량 산정방안의 개선방향은 크게 배출계수의 개선연구, 배출원

목록개선 및 POCP를 고려하여 VOCs배출원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한 배출원의 VOCs speciation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향후 연구계획 및 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한다.

147

∘ 석유 산업 공정별 배출계수 개발

∘ 개선된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확보

2.1 VOCs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1) 석유제품 산업의 석유정제 공정별 배출계수 개발연구

1) 개요

○ 석유제품산업 공정 부문의 DARS 평가 결과 배출량의 불확도가 생산

공정 중분류 중 가장 높게 평가됨

○ 석유 정제 부문의 배출계수는 정제 공정별이 고려되지 않은 USEPA의

배출계수 적용

2) 추진계획

○ 국내 정유회사별 석유 정제 시설 조사

- 상압정제시설

- 납사개질시설

- 중질유분해시설

○ 정제 시설별 배출계수 개발

- 공정별 투입되는 원유량 조사

- 공정별 원유투입량 별 VOCs량 실측

- 단위 공정별 원유투입량 별 배출계수 개발

○ 개발된 배출계수를 적용한 석유제품 산업 부문의 배출량 산정

Page 8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48

∘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휘발유 저장방식 및 이동수단별 배출계수 개발

∘ 개발된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확보

(2)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발 연구

1) 개요

○ 국내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을 유럽의 배

출량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큰 것으로 분석됨

○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DARS 평가 결과 배출계수의 불확도가 낮

게 평가되어 배출량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검토됨

○ 동일 배출원에 대하여 유럽의 배출계수와 비교 검토한 결과 이동수단의

종류, 저장방식이 고려되지 않은 배출계수 적용

2) 추진계획

○ 국내 수송 방식 및 저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 현황 파악

○ 휘발유 수송 수단 조사

- 탱크로리, 철도, 바지선

○ 휘발유 저장 방식 조사

- bottom loading, top loading

○ 수송 및 저유소, 정유사 출하기지, 주유소에서 휘발유의 저장방식 및

이동 수단 별 배출계수 개발

- 수송 수단 별, 저장 방식 별 휘발유 수송량에 따라 휘발되는 VOCs

배출량 실측

- 수송 수단별, 저장 방식 별 수송량에 따른 배출계수 개발

○ 개선된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확보

149

∘ 도장시설별 VOCs 배출계수 개발

∘ 개발된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도장시설의 배출량 신뢰도 향상

(3) 도장시설별 배출계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연구

1) 개요

○ 국내 VOCs 배출원 중 도장시설의 배출량기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국내 VOCs 배출원 중 도장시설의 배출량 불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됨

○ 국내 도장시설의 인구 백만 명당 배출량은 유럽, 미국과 비교하여 크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됨

○ 도장시설별 도장방식이 고려되지 않고 EPA에서 제공된 단일 배출계수

적용

○ 국내 도장시설별 배출계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이 시급함

2) 추진계획

○ 국내 도장시설 현황 파악

- 현 CAPSS 분류체계 이외 배출원 파악

○ 도장시설별 도료 사용에 따른 VOCs 배출계수 개발

- 도장시설 별 도료사용량에 따른 VOCs 배출량 실측

- 도료사용량(또는 판매량)에 따른 VOCs 배출계수 개발

○ 배출계수 개발에 한계가 있는 배출원은 유럽의 도장시설별 배출계수

적용 검토

○ 도장시설의 활동도 자료 확보방안 검토

- 도료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의 통계자료 조사, 분석

- 도료소비량 확보 방안 검토

Page 8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50

∘ 국내 세정시설 배출계수 개발

∘ 개발된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세정시설의 배출량 신뢰도 향상

(4) 세정시설의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1) 개요

○ 세정 시설 부문의 DARS 평가 결과 배출량의 불확도가 높은 것으로 검토됨

○ 세정 시설 부문의 배출계수를 유럽의 배출계수와 비교한 결과 유럽은

세정된 제품의 무게별 배출계수를 적용하지만 국내의 경우 종업원 수

당 배출량을 배출계수로 적용

○ 불확도가 높은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배출량의 신뢰도 확보의 어려움

2) 추진계획

○ 국내 세정시설 현황 조사 및 세정되는 제품 조사

○ 단위 세정제품 당 소비되는 유기용매 사용량 파악 및 해당 유기용매의

VOCs 배출량 파악

○ 세정되는 제품 무게 또는 제품 개수 당 VOCs 배출량으로 배출계수 개발

○ 배출계수 개발이 어려울 경우 유럽의 배출계수 적용을 통한 배출량 신

뢰도 향상 방법 검토

151

∘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계수 재검토

∘ 배출계수 보완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5)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1) 개요

○ 국내 컷백아스팔트의 배출계수와 유럽의 컷백 아스팔트 부문의 배출계

수 비교 시 큰 차이를 나타냄

○ DARS 평가 결과 국내 컷백 아스팔트 부문의 배출계수와 배출량은 높

은 불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됨

2) 추진계획

○ 유럽 등 선진국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계수 분석

- 배출계수에 사용된 활동도 조사 및 분석

○ 국내 아스팔트 도로포장 배출계수 분석

- 선진국 자료와 비교 검토

○ 국내 아스팔트 도로포장 배출계수 개선 연구

- 아스팔트 사용량 중 컷백 아스팔트 함량 비 재 검토

- 컷백 아스팔트 부문의 휘발성분비율 재검토

- 컷백 아스팔트 내 용제와 아스팔트 부피 함량 재검토

- 컷백 아스팔트 배출계수 보완

○ 컷백 아스팔트 배출계수 개선, 제안

Page 8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52

∘ 국내 소각방식 및 용량별 배출계수 개발

∘ 배출계수 보완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6)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1) 개요

○ DARS 평가 결과 국내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량 불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검토됨

○ 국내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는 유럽의 폐기물 소각 부문의 배출

계수를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DARS 평가 결과 배출계수의 불확도가

높은 것으로 검토됨

○ 국내 소각 시설별 배출계수 개발이 요구됨

2) 추진계획

○ 국내 소각시설에서의 VOCs 배출현황 조사, 분석

- 소각장 반입 폐기물의 성상조사, 분석

- 국내 소각시설의 소각방식, 소각용량 조사

- 소각시설의 VOCs 배출현황 조사, 분석

○ 외국 소각시설의 배출계수 조사, 분석

○ 국내 소각시설의 배출계수 개선

- 소각시설에서의 VOCs 배출현황조사

→ 방문 조사 및 실측조사(필요시)

- 외국의 소각시설에서의 VOCs 배출계수 조사, 분석

- 국내 적합 VOCs 배출계수개선 방안 검토, 제안

153

∘ 국내 적용 가능한 자연식생 VOCs 배출계수 개발

∘ 배출계수 및 활동도 자료 보안을 통한 자연식생 VOCs 배출량 산정

(7) 산림에서의 VOCs 배출계수 및 자연배출원 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연구

1) 개요

○ 기타 면오염원 분류체계에 자연식생 부문의 배출원 분류는 포함되어 있

으나 국내 배출량 자료로는 산정하고 있지 않음

○ 2000년도 연구에 따르면 자연 식생 VOCs 배출량은 약 450,000톤 (‘09년

CAPSS 자료와 배출기여도 비교 시 약 35% 기여도) 정도로 적지 않은

양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됨

○ 2008년도 수도권 지역의 자연식생 VOCs 배출기여도는 약 26%정도로

(2012, 대기환경학회) 적지 않은 배출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토됨

○ 현재 자연식생 부문의 배출계수 연구는 식생유형별 배출계수 개발을 위

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국내 자연식생유형별 통계자료가 구축되지

않아 배출량 산정 시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추진계획

○ 국내 산림현황 조사

- 수종별, 산림면적 조사

○ 국내 자연배출원에서의 배출계수 조사, 분석

○ 외국의 자연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량 및 배출량산정방법 조사, 분석

- 산림에서의 VOCs 배출계수 및 활동도 자료 조사, 검토

- VOCs 배출량 산정방법 분석

○ 국내 자연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계수 개발

- 식생에서의 VOCs 배출량 산정과 관련된 국내 연구결과 조사, 분석

- VOCs 배출량 산정 및 배출계수 개선방안 검토, 제안

→ 산림에서의 VOCs 배출량 실측

○ 국내 자연배출원에서의 VOCs 배출량 산정 방법 검토, 제안

- 산림에서의 VOCs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도 자료 분석 및 자료 확보

방안 검토

- VOCs 배출량 산정방법 검토, 제안

Page 8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54

∘ 국내 누락배출원 보완을 통한 배출원 목록 개선

(8) 누락 VOC 배출원 및 배출계수 개발 연구

1) 개요

○ 국내 배출원 분류체계를 CORINAIR의 분류체계를 근간으로 분류하면

서 분류체계의 혼재로 배출원 분류체계 중 누락배출원 존재

○ 본 연구에서 국내 누락배출원 검토

- 석탄 채굴 및 천연가스 생산

- 폐기물 소각(폐수처리, 병원폐기물 소각, 화장, 생물성 연소)

- 국내 연구에 따르면 생물성 연소(생활폐기물, 노천소각) 부문의 배출기여

도는 전체 VOCs 배출량 중 약 7.4%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됨

- 유화 아스팔트(도로포장)사용

- 화목보일러 사용

○ 누락배출원을 보완한 배출원 목록 개선이 요구됨

2) 추진계획

○ VOCs 누락배출원 검토

- 국내외 VOCs 배출목록 비교, 분석

- 누락배출원 검토

○ 누락배출원에 대한 배출계수 개발

- 국내 누락 VOCs 배출원에 대한 외국의 VOCs 배출계수 조사, 분석

- 국내 누락 배출원의 배출계수 개발

→ 누락배출원에 대한 외국의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검토

→ 누락배출원의 활동도 자료 및 자료 확보방안 검토

→ 누락배출원의 배출계수 개발

155

∘ 국내 통계자료 보완을 통한 국내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9) 농업 부문의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연구

1) 개요

○ 농업 분뇨관리 부분은 국내 CAPSS 분류상 배출목록으로는 분류되어

있으나 VOCs 배출량 산정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 VOCs 배출량 산정을 위한 배출계수의 미확보

○ 농업의 분뇨관리 부문에서 유럽 배출량 산정방법을 통한 VOCs 배출량

산정 시 국내 가축생산량 자료의 통계자료 미 구축으로 적용에 한계가

있음

2) 추진계획

○ 농업 부문의 분뇨 배출 및 관리현황 조사

- 분뇨의 배출 및 관리 실태 조사

- 분뇨관리 과정의 VOCs 배출실태 분석

○ 분뇨관리 부문의 배출계수 개발

- 분뇨관리시 발생하는 VOCs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도 조사

- 배출계수 개발에 활용하기 위해 활동도 확보 방안 제시

- VOCs 배출계수 개발

○ 분뇨관리 부문의 배출량 산정방법 제안

- 외국의 분뇨관리 부문의 VOCs 배출량 산정방법 및 배출계수 조사

- 국내 분뇨관리 부문 VOCs 배출량 산정 방법 제안

Page 8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56

∘ 국내 배출원별 VOCs Speciation 데이터 구축

∘ 배출원별 VOCs 화학종의 오존생성능력을 고려한 VOCs 배출원 관리

2.2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관리방안 연구

1) 개요

○ 대기 중 오존농도는 VOCs 농도 보다는 VOCs 화학종별 오존생성능력

(POCP)에 의존하므로 대기 중 오존 관리를 위한 VOCs 배출원 관리는

오존생성기여도 검토를 통한 관리가 효과적

○ 국내 배출원별 VOCs Speciation 데이터는 일부 배출원에 대해서만 연구됨

○ 미국 EPA, 영국 등 에서는 VOCs Speciation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음

○ 대기 중 효과적인 오존관리를 위해 국내 배출원별 Speciation 데이터 구

축 마련이 요구됨

2) 추진계획

○ VOCs 배출원의 Speciation 자료 조사

- VOCs 배출원에 대한 외국의 Speciation 자료 조사, 분석

- 배출원별 Speciator를 이용한 VOCs Speciation 방법 검토

- 배출원별 Speciation을 위한 현장 실태조사

○ VOCs Speciation 자료 도출

- VOCs 배출원별 Speication 자료 도출

- 외국의 Speciation 자료와 비교, 분석

○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원 관리방안 제안

- VOCs Speciation 자료를 이용한 오존 생성 기여도 평가

-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원 관리 우선선위 결정

- VOCs 배출원 관리방안 제시

157

2.3 VOCs 관리 로드맵

로드맵 과제 1단계 2단계 3단계

배출계수 및

배출목록

개선연구

석유 제품 산업의 석유 정제 공정별 배출계수 개발

연구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발 연구

도장시설별 배출계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신뢰도 향상

연구

세정시설의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아스팔트 도로포장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폐기물 처리 부문의 배출계수 개선 연구

산림에서의 VOCs 배출계수개발 및 자연배출원 배출량

산정방안 연구

누락 VOCs 배출원 및 배출계수 개발연구

VOCs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POCP를 고려한 VOCs 배출원관리 방안연구

Page 8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58

제 3장 참 고 문 헌

국내 문헌

1. 국립환경과학원 (2010)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편람(Ⅱ)

2. 국립환경과학원 (200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

3. 환경부 (2005) 대기 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배출량 산정

연구

4. 국립환경과학원 (2004) 대기보전 정책수립 지원시스템(4차)_배출량 산정방

법론

5. 국립환경과학원 (2011) 도료의 VOCs 함유기준 설정 등에 관한 연구

6. 환경부 (2011) 환경통계연감

7. 국립환경과학원 (2011) 대기환경연보_2010

8. 국립환경과학원(2007) 선진국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배출저감 사례분

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연구

9. 국립환경과학원(2008) 선진국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배출저감 사례분

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연구(Ⅱ)

10. 국립환경과학원(2010)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11. 통계청(2009) 가축동향

12. 농림수산식품부 (2010)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13. 농업수산식품부 (2010) 농림수산식품 주요 통계

14. 환경부(2011) 하수도통계

15. 환경부 (2011) 2010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6. 국립환경과학원 (2006) 광화학 대기오염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

17. 한국석유공사 (2009) GREAT KNOC(Annual Report 2009)

18. 국립환경과학원 (2005) 광화학 대기오염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

19. 조규탁, 김조천, 홍지형 : CEIS와 CORINAIR 산출방법에 의한 자연식생

VOC 배출량 산출 비교 연구, 대기환경학회지, Vol. 22, No. 2, pp.167-177 (2006)

20. 국립환경과학원(2006)고농도 오존 발생시 오존전구물질 및 기상인자 연구

159

국외 문헌

1. EEA (2009) Air pollutant emission inventory guideCook

2. EEA (2011) European Union emission inventory report 1990-2009 under

the UNEC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Coundary Air Pollution

(LRTAP)

3. Concawe : (2009) Air pollutant emission estimation methods for E-PRTR

reporting Cy refineries

4. CORINAIR : (1990) CORINAIR 90 Emission Inventory (Proposals)

5. EEA : (2006) EMEP/Corinair emission inventory guideCook, version 4

6. Richards, H. D. et al., ‘VOC Emissions from Gasoline DistriCution and

Service Stations in Western Europe - Control Technology and

Cost-effectiveness' (1990)

7. European Commission (2007)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PC)

8. HoCCs, P.J., MisselCrook, T.H., Pain, C.F. ‘'Emission Rates of Odorous

Compounds from Pig Slurrie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77, pp. 341-348, (1998)

9. HoCCs, P.J., MisselCrook, T.H., CumCy, T.R., ‘'Production and emission

of odours and gases from ageing pig waste’',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Research, 72, pp. 291-298. (1999)

전 자 물

1. 통계청 : http://www.nso.go.kr

2.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 http://www.kpic.or.kr

3. 한국제지공업연합회 : http://www.paper.or.kr

4.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 http://www.kpia.or.kr

5. EEA(European Environment Agency) : http://www.eea.europa.eu

6.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http://www.epa.gov

7.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 http://stat.mw.go.kr

Page 9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60

부 록 A

국내 Speciation

161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1 n-butane 0.1293 58.12222 toluene 0.075 92.138423 m-xylene and p-xylene 0.0698 106.1654 1,2,4-trimethylbenzene 0.0614 120.191585 ethylene 0.0589 28.053166 2-methylpropane; isobutane 0.0579 58.12227 1-butene 0.038 56.106328 2-methyl-butane 0.0365 70.13299 benzene 0.0344 78.1118410 3-methylpentane 0.0335 86.1753611 n-pentane 0.0299 72.1487812 2-methylpentane 0.0296 86.1753613 propylene 0.0255 42.0797414 2,3-dimethylbutane 0.0253 86.1753615 2-methylhexane 0.0228 100.2019416 n-hexane 0.0205 86.1753617 acetylene 0.0196 26.0372818 2,3-dimethylpentane 0.0187 100.2019419 trans-2-butene 0.0184 56.1063220 o-xylene 0.0182 106.16521 n-heptane 0.0152 100.2019422 methylcyclopentane 0.0132 126.2392223 ethylbenzene 0.0129 106.16524 cis-2-pentene 0.0117 70.132925 1,3,5-trimethylbenzene 0.0109 120.1915826 trans-2-pentene 0.0089 70.132927 cis-2-butene 0.0088 56.1063228 ethane 0.0082 30.0690429 3-methylheptane 0.0081 114.2285230 3-methylhexane 0.0076 100.2019431 propane 0.0069 44.0956232 2-methyl-2-butene 0.0064 70.132933 1-pentene 0.006 70.132934 2,2,4-trimethylpentane 0.0058 114.2285235 methylcyclohexane 0.0055 9836 n-nonane 0.0052 128.255137 2,3,4-trimethylpentane 0.0046 114.2285238 2-methylheptane 0.0046 114.2285239 n-octane 0.0046 114.2285240 2,4-dimethylpentane 0.0046 100.2019441 2,2-dimethylbutane 0.0044 86.1753642 cyclopentane 0.0043 70.132943 styrene 0.0037 104.1491244 cyclohexane 0.0026 84.1594845 isoprene 0.0024 68.11702

<부록 A1 : On-Road mobile source>

Page 9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62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2,3-dimethylbutane 0.0918 86.17536

2 3-methylpentane 0.0723 86.17536

3 n-heptane 0.0589 100.20194

4 n-hexane 0.0562 86.17536

5 methylcyclohexane 0.0556 98

6 3-methylhexane 0.0479 100.20194

7 n-pentane 0.0459 72.14878

8 2-methylhexane 0.0451 100.20194

9 2-methyl-butane 0.0333 70.1329

10 toluene 0.0328 92.13842

11 m,p-ethyltoluene 0.0298 120.19158

12 propane 0.0262 44.09562

13 1,2,4-trimethylbenzene 0.026 120.19158

14 trans-2-pentene 0.0235 70.1329

15 2,3-dimethylpentane 0.0227 100.20194

16 n-octane 0.0227 114.22852

17 1-hexene 0.0201 84.15948

18 2,4-dimethylpentane 0.0197 100.20194

19 2,2,4-trimethylpentane 0.0168 114.22852

20 2-methylheptane 0.0164 114.22852

21 m-xylene and p-xylene 0.0158 106.165

22 3-methylheptane 0.0154 114.22852

23 Benzene 0.0145 78.11184

24 1-butene 0.0142 56.10632

25 n-nonane 0.0141 128.2551

26 1,3,5-trimethylbenzene 0.0138 120.19158

27 n-decane 0.0126 142.28168

28 cis-2-pentene 0.0123 70.1329

29 1-pentene 0.0112 70.1329

30 o-xylene 0.009 106.165

31 o-ethyltoluene 0.0089 120.19158

32 1,2,3-trimethylbenzene 0.0081 120.19158

33 methylcyclopentane 0.008 126.23922

34 ethylbenzene 0.0075 106.165

35 2,3,4-trimethylpentane 0.0073 114.22852

<부록 A2 : Oil Station source>

163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36 trans-2-butene 0.0073 56.10632

37 n-undecane 0.0072 156.30826

38 2,2-dimethylbutane 0.0064 86.17536

39 n-butane 0.0059 58.1222

40 isoprene 0.0057 68.11702

41 n-propylbenzene 0.0053 120.19158

42 cis-2-butene 0.0044 56.10632

43 n-dodecane 0.0039 170.33484

44 1,4-diethylbenzene(para) 0.0036 134.21816

45 2-methylpentane 0.0034 86.17536

46 cumene(isopropylbenzene) 0.0032 120.19158

47 1,3-diethylbenzene(meta) 0.0017 134.21816

48 cyclohexane 0.0016 84.15948

49(1-methylpropyl)benzene(sec-butyl

benzene) 0.0007 134.21816

50 n-butylbenzene 0.0007 134.21816

51 trichloroethylene(tce) 0.0007 131.38834

52 napthalene 0.0007 128

53 1-methyl-4-isopropylbenzene 0.0005 134.21816

54 styrene 0.0004 104.14912

55 2-methylpropane; isobutane 0.0003 58.1222

56 1,3-butadiene 0.00005 54.09044

<부록 A2 : Oil Station source>

Page 9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64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2,3-dimethylbutane 0.1052 86.17536

2 2-methyl-butane 0.1051 70.1329

3 n-pentane 0.0919 72.14878

4 3-methylpentane 0.0902 86.17536

5 n-hexane 0.0641 86.17536

6 trans-2-pentene 0.0548 70.1329

7 3-methylhexane 0.0436 100.20194

8 2-methylhexane 0.0406 100.20194

9 1-butene 0.0331 56.10632

10 cis-2-pentene 0.0308 70.1329

11 methylcyclopentane 0.0295 126.23922

12 1-pentene 0.0282 70.1329

13 1-hexene 0.0272 84.15948

14 n-heptane 0.0269 100.20194

15 2,3-dimethylpentane 0.0218 100.20194

16 toluene 0.0202 92.13842

17 methylcyclohexane 0.0193 98

18 2,4-dimethylpentane 0.0173 100.20194

19 benzene 0.0166 78.11184

20 2,2-dimethylbutane 0.0132 86.17536

21 n-butane 0.0124 58.1222

22 m-xylene and p-xylene 0.0118 106.165

23 isoprene 0.0113 68.11702

24 trans-2-butene 0.0096 56.10632

25 3-methylheptane 0.0074 114.22852

26 cis-2-butene 0.0073 56.10632

27 2,2,4-trimethylpentane 0.0069 114.22852

28 m,p-ethyltoluene 0.0069 120.19158

29 2-methylheptane 0.0068 114.22852

30 1,2,4-trimethylbenzene 0.0059 120.19158

31 ethylbenzene 0.005 106.165

32 o-xylene 0.0047 106.165

33 2-methylpentane 0.004 86.17536

34 n-octane 0.0035 114.22852

35 cyclohexane 0.0027 84.15948

<부록 A3 : Petroleum transport and storage>

165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36 1,3,5-trimethylbenzene 0.0025 120.19158

37 2,3,4-trimethylpentane 0.0023 114.22852

38 o-ethyltoluene 0.0015 120.19158

39 n-propylbenzene 0.0013 120.19158

40 1,2,3-trimethylbenzene 0.0013 120.19158

41 2-methylpropane; isobutane 0.0013 58.1222

42 n-nonane 0.0007 128.2551

43 1,4-diethylbenzene(para) 0.0005 134.21816

44 styrene 0.0005 104.14912

45 cumene(isopropylbenzene) 0.0004 120.19158

46 n-decane 0.0004 142.28168

47 propane 0.0002 44.09562

48 1,3-butadiene 0.0002 54.09044

49 propylene 0.0002 42.07974

50 n-undecane 0.0002 156.30826

51 1,3-diethylbenzene(meta) 0.0002 134.21816

52 napthalene 0.0002 128

53 n-dodecane 0.0001 170.33484

54 n-butylbenzene 0.0001 134.21816

55(1-methylpropyl)benzene(sec-butyl

benzene) 0.00004 134.21816

56 1-methyl-4-isopropylbenzene 0.00004 134.21816

<부록 A3 : Petroleum transport and storage>

Page 9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66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toluene 0.21 92.13842

2 n-butane 0.0818 58.1222

3 m-xylene and p-xylene 0.0751 106.165

4 propylene 0.0615 42.07974

5 m,p-ethyltoluene 0.0472 120.19158

6 n-decane 0.0395 142.28168

7 ethylbenzene 0.0345 106.165

8 2-methyl-butane 0.0321 70.1329

9 2-methylpropane; isobutane 0.0289 58.1222

10 o-xylene 0.0267 106.165

11 n-octane 0.0239 114.22852

12 n-nonane 0.0239 128.2551

13 methylcyclopentane 0.0216 126.23922

14 chloroform 0.0213 119.37764

15 2,3-dimethylbutane 0.0201 86.17536

16 1,3,5-trimethylbenzene 0.0195 120.19158

17 n-pentane 0.0185 72.14878

18 1,2,3-trimethylbenzene 0.0164 120.19158

19 cyclohexane 0.0146 84.15948

20 n-dodecane 0.0134 170.33484

21 n-heptane 0.0131 100.20194

22 1-butene 0.0129 56.10632

23 trichloroethylene(tce) 0.0117 131.38834

24 methylcyclohexane 0.0113 98

25 n-hexane 0.0113 86.17536

26 trans-2-butene 0.0106 56.10632

27 cis-2-butene 0.0094 56.10632

28 styrene 0.0087 104.14912

29 n-propylbenzene 0.0066 120.19158

30 2-methylheptane 0.0066 114.22852

31 ethylenedichloride 0.0062 98.95916

32 1,4-diethylbenzene(para) 0.006 134.21816

33 3-methylhexane 0.0058 100.20194

34 2-methylhexane 0.0053 100.20194

35 3-methylpentane 0.0052 86.17536

<부록 A4 : Municipal waste incineration>

167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36 carbontetrachloride 0.0048 153.8227

37 3-methylheptane 0.0042 114.22852

38 1,3-diethylbenzene(meta) 0.0039 134.21816

39 perchloroethylene 0.0035 165.8334

40 benzene 0.0031 78.11184

41 cumene(isopropylbenzene) 0.0028 120.19158

42 napthalene 0.0027 128

43 2,2,4-trimethylpentane 0.0024 114.22852

44 1-pentene 0.0018 70.1329

45 1-methyl-4-isopropylbenzene 0.0018 134.21816

46 2,3-dimethylpentane 0.0016 100.20194

47 cis-1,2-dichloroethene 0.0015 112.21264

48 1,1,1-trichloroethane 0.0014 133.40422

49 n-butylbenzene 0.0011 134.21816

50 2,4-dimethylpentane 0.0005 100.20194

51 n-undecane 0.0004 156.30826

52(1-methylpropyl)benzene

(sec-butylbenzene) 0.0004 134.21816

53 o-ethyltoluene 0.0003 120.19158

54 1,2,4-trimethylbenzene 0.0003 120.19158

55 isoprene 0.0002 68.11702

<부록 A4 : Municipal waste incineration>

Page 9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68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n-decane 0.0801 142.28168

2 n-nonane 0.0791 128.2551

3 n-dodecane 0.0774 170.33484

4 n-undecane 0.0756 156.30826

5 toluene 0.073 92.13842

6 m-xylene and p-xylene 0.0624 106.165

7 n-heptane 0.0466 100.20194

8 o-xylene 0.0377 106.165

9 1-methyl-4-isopropylbenzene 0.0352 134.21816

10 1,4-diethylbenzene(para) 0.034 134.21816

11 ethylbenzene 0.0329 106.165

12 m,p-ethyltoluene 0.0304 120.19158

13 1,2,4-trimethylbenzene 0.027 120.19158

14 1,2,3-trimethylbenzene 0.0238 120.19158

15 1,3,5-trimethylbenzene 0.0205 120.19158

16 cumene(isopropylbenzene) 0.0202 120.19158

17 benzene 0.02 78.11184

18 o-ethyltoluene 0.0197 120.19158

19 methylcyclohexane 0.0189 98

20 styrene 0.0179 104.14912

21 propane 0.0172 44.09562

22 napthalene 0.0154 128

23 n-propylBenzene 0.0148 120.19158

24 1,3-diethylBenzene(meta) 0.0139 134.21816

25 2-methylheptane 0.0109 114.22852

26 3-methylheptane 0.0102 114.22852

27 n-butylbenzene 0.0094 134.21816

28 n-octane 0.0081 114.22852

29 2-methyl-butane 0.0075 70.1329

30(1-methylpropyl)benzene

(sec-butylbenzene) 0.0074 134.21816

31 n-hexane 0.0071 86.17536

32 2,3-dimethylButane 0.0064 86.17536

33 2-methylhexane 0.0058 100.20194

34 1-Butene 0.0052 56.10632

<부록 A5 : Municipal waste landfill source>

169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35 n-pentane 0.0046 72.14878

36 n-butane 0.004 58.1222

37 o-dichlorobenzene 0.0029 147.00196

38 trans-2-butene 0.0027 56.10632

39 3-methylpentane 0.0025 86.17536

40 cis-1,2-dichloroethene 0.0022 112.21264

41 cis-2-butene 0.0015 56.10632

42 trans-2-pentene 0.0014 70.1329

43 methylcyclopentane 0.0013 126.23922

44 2,4-dimethylpentane 0.0009 100.20194

45 cis-2-pentene 0.0008 70.1329

46 1-hexene 0.0008 84.15948

47 isoprene 0.0007 68.11702

48 1-pentene 0.0007 70.1329

49 trichloroethylene(tce) 0.0007 131.38834

50 2,2-dimethylbutane 0.0006 86.17536

51 2,2,4-trimethylpentane 0.0001 114.22852

52 2,3-dimethylpentane 0.0001 100.20194

53 3-methylhexane 0.0001 100.20194

54 cyclohexane 0.00004 84.15948

<부록 A5 : Municipal waste landfill source>

Page 9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70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toluene 37.88 92.13842

2 n-butylacetate 9.5 116.15828

3 2,4-dimethylhexane 7.2 114.22852

4butylcellosolve{2-Cutoxyethanol}

{egCe} 6.48 118.17416

5 o-xylene 4.47 106.165

6 dimethylcyclohexanes 4.01 154.29238

7 2-methyl-3-hexanone 3.75 114.18546

8 isomers of xylene 3.7 106.165

9 methylcyclohexane 3.61 98

10 n-heptane 2.94 100.20194

11 isomers of nonane(c9paraffin) 2.79 128.2551

12 ethylacetate 2.04 88.10512

13 2,4-dimethylpentane 1.7 100.20194

14 trimethylcyclohexanes 1.66 126.23922

15 ethylcyclohexane 1.43 112.21264

16 acetone 1.27 58.07914

17 c5ester 1.26 102.1317

18 methylamylketone 0.83 114.18546

19 dimethylheptanes 0.67 128.2551

20 ethylbenzene 0.54 106.165

21methylethylketone(mek)

(2-butanone) 0.54 72.10572

22 cyclohexane 0.52 84.15948

23 methylisobutylketone 0.36 100.15888

24 ethylcyclopentane 0.22 98.18606

25ethyltoluenes

{methylethylbenzenes} 0.2 120.19158

26 trimethylcyclopentane 0.17 112.2144

27 methylheptene 0.15 112.21264

28 trimethylbenzenes 0.11 120.19158

<부록 A6 : Surface coating Operations-Solvent-Case Paint>

171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toluene 47.07 92.13842

2 m-xylene and p-xylene 29.48 106.165

3 ethylBenzene 11.48 106.165

4 o-xylene 9.55 106.165

5 Benzene 1.23 78.11184

6 styrene 0.33 104.14912

7 cumene(isopropylBenzene) 0.09 120.19158

8 n-Butane 0.09 58.1222

9 n-hexane 0.09 86.17536

10 n-octane 0.08 114.22852

11 methylcyclopentane 0.07 126.23922

12 propylene 0.06 42.07974

13 1,3,5-trimethylbenzene 0.04 120.19158

14 2-methyl-Butane 0.04 70.1329

15 n-nonane 0.04 128.2551

16 1,2,4-trimethylbenzene 0.03 120.19158

17 2,3-dimethylbutane 0.03 86.17536

18 cyclohexane 0.03 84.15948

19 methylcyclohexane 0.03 98

20 n-pentane 0.03 72.14878

21 2-methylpropane; isobutane 0.02 58.1222

22 m-ethyltoluene 0.02 120.19158

23 1,2,3-trimethylbenzene 0.01 120.19158

24 2-methylhexane 0.01 100.20194

25 2-methylpentane 0.01 86.17536

26 3-methylhexane 0.01 100.20194

27 3-methylpentane 0.01 86.17536

28 p-ethyltoluene 0.01 120.19158

<부록 A7 : Coil coating>

Page 9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72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m-xylene and p-xylene 0.3032 106.165

2 o-xylene 0.1876 106.165

3 ethyl benzene 0.1272 106.165

4 toluene 0.1137 92.13842

5 1,2,4-trimethyl Benzene 0.0364 120.19158

6 m,p-ethyltoluene 0.0305 120.19158

7 styrene 0.0265 104.14912

8 cyclohexane 0.0244 84.15948

9 methylcyclopentane 0.0132 126.23922

10 2,3-dimethylbutane 0.0115 86.17536

11 n-hexane 0.0115 86.17536

12 propane 0.0113 44.09562

13 1,3,5-trimethylbenzene 0.0102 120.19158

14 1,2,3-trimethylbenzene 0.0102 120.19158

15 3-methylpentane 0.0094 86.17536

16 o-ethyltoluene 0.0087 120.19158

17 propylene 0.007 42.07974

18 n-decane 0.0069 142.28168

19 n-propylbenzene 0.0058 120.19158

20 1-butene 0.0054 56.10632

21 1,4-diethylbenzene(para) 0.0049 134.21816

22 n-nonane 0.0047 128.2551

23 n-pentane 0.0044 72.14878

24 n-undecane 0.0038 156.30826

25 benzene 0.0038 78.11184

26 2-methyl-butane 0.0035 70.1329

27 n-dodecane 0.0021 170.33484

28 1-methyl-4-isopropylbenzene 0.0016 134.21816

29 1,3-diethylbenzene(meta) 0.0016 134.21816

30 napthalene 0.0016 128

31 cumene(isopropylbenzene) 0.0015 120.19158

32 n-octane 0.0014 114.22852

33 methylcyclohexane 0.0012 98

34 trans-2-pentene 0.0008 70.1329

35(1-methylpropyl)benzene

(sec-butylbenzene) 0.0008 134.21816

36 n-butylbenzene 0.0008 134.21816

37 2-methylheptane 0.0007 114.22852

38 cis-2-pentene 0.0004 70.1329

<부록 A8 : Automobile refinishing coating source>

173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1,1,1-trichloroethane 22.28 133.40422

2 trichloroethylene(tce) 21.09 131.38834

3 n-heptane 8.44 100.20194

4 toluene 8.29 92.13842

5 perchloroethylene 7.4 165.8334

6dichloromethane

{methylenechloride} 4.1 84.93258

7 trichlorotrifluoroethane-f113 4.1 187.3756096

8 isomers of xylene 3.4 187.3756096

9 methylcyclohexane 1.83 98

10 acetone 1.4 58.07914

11 isomersofdecane(c10paraffins) 1.33 142.28168

12 2-methylhexane 1.27 100.20194

13methylethylketone(mek)

(2-butanone) 1.1 72.10572

14 benzene 1 78.11184

15 isomersofundecane(c11paraffins) 0.93 156.30826

16 n-nonane 0.87 128.2551

17 ethylether 0.8 74.1216

18 methylnonane 0.75 142.28168

19 methyloctanes 0.73 128.2551

20 dimethylcyclopentane 0.71 98.18606

21 sec-butylalcohol 0.7 74.1216

22 ethylmethylcyclohexanes 0.69 126.23922

23 methyldecanes 0.45 156.30826

24 butylbenzeneisomers 0.41 134.21816

25 trimethylcyclopentane 0.36 112.2144

26 c10olefins 0.35 140.2658

27 dimethylhexanes 0.33 114.22852

28 c8olefins 0.31 112.21264

29 trimethylbenzenes 0.31 120.19158

<부록 A9 : Degreasing composite>

Page 9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74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30 dimethyloctanes 0.3 142.28168

31 isomersofdodecane(c12paraffins) 0.28 170.33484

32 Isomers of propylbenzene 0.28 120.19158

33 trimethylcyclohexanes 0.24 126.23922

34 m-xylene and p-xylene 0.23 106.165

35 trimethylheptanes 0.22 142.28168

36 dimethylnonanes 0.21 156.30826

37 methylpropylcyclohexanes 0.2 140.2658

38 o-xylene 0.17 106.165

39 butylcyclohexane 0.16 140.2658

40 isomersofc9h16 0.12 124.22334

41 methylhexenes 0.12 98.18606

42 dimethylcyclohexanes 0.11 154.29238

43 cyclohexane 0.1 84.15948

44 c11olefins 0.09 154.29238

45 diethylcyclohexane 0.08 140.2658

46 ethylcyclohexane 0.08 112.21264

47 methyldecenes 0.08 154.29238

48 ethylmethyloctane 0.07 156.30826

49 tetramethylcyclopentane 0.07 126.23922

50 decalins(mixedcis,trans) 0.06 138.24992

51 dimethylcyclobutanone 0.06 98.14

52 1-methyl-2-isopropylcyclohexane 0.06 140.2658

53 ethylhexane 0.05 114.22852

54 n-pentylcyclohexane 0.05 154.29238

55 n-propylbenzene 0.05 120.19158

56 trimethyloctanes 0.05 156.30826

57 ethyloctenes 0.04 140.2658

58 n-hexane 0.04 86.17536

59 c3/c4/c5alkylbenzenes 0.03 133.3939371

60 ethylheptene 0.03 126.23922

<부록 A9 : Degreasing composite>

175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61isomers of

tetradecane(c14paraffins) 0.03 198.388

62 cumene(isopropylbenzene) 0.03 120.19158

63 methyldecalins 0.03 152.2765

64 methylnonenes 0.03 140.2658

65 methylpropylnonane 0.03 184.36142

66 methylundecane 0.03 170.33484

67 napthalene 0.03 128

68Cicyclo[4.3.0]nonane

(octahydroindene)0.03 124.22334

69 c12olefins 0.02 168.31896

70 dimethylbenzylalcohol 0.02 136.19098

71 dimethylheptanes 0.02 128.2551

72 ethyloctane 0.02 142.28168

73 methyldodecanes 0.02 184.36142

74 nonadiene 0.02 124.22334

75 propenylcyclohexane 0.02 126.23922

76 isomers of tridecane(c13paraffins) 0.01 184.36142

77 tetramethylthiourea 0.01 132.22718

78 misc./othervoc 0.14 137.1921245

<부록 A9 : Degreasing composite>

Page 9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76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methane 15.70% 16.04246

2 2-methylpropane; isobutane 11.20% 58.1222

3 n-butane 10.10% 58.1222

4 benzene 9.50% 78.11184

5 n-hexane 8.80% 86.17536

6 isomers of hexane 8.10% 86.17536

7 1-butene 5.90% 56.10632

8 isomers of pentane 5.70% 72.14878

9 propane 5.50% 44.09562

10 n-pentane 5.30% 72.14878

11 ethane 4.60% 30.06904

12 propylene 3.90% 42.07974

13 c7 cycloparaffins 3.70% 98.18606

14 ethylene 2.00% 28.05316

<부록 A10 : Asphaltic concrete-In place Road Asphalt>

177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toluene 0.8837 92.13842

2 n-decane 0.0269 142.28168

3 n-nonane 0.0223 128.2551

4 n-undecane 0.0107 156.30826

5 m-xylene and p-xylene 0.0067 106.165

6 1,2,4-trimethylbenzene 0.0062 120.19158

7 m,p-ethyltoluene 0.0059 120.19158

8 n-dodecane 0.005 170.33484

9 o-xylene 0.0034 106.165

10 1,2,3-trimethylbenzene 0.003 120.19158

11 propane 0.0029 44.09562

12 ethylbenzene 0.0028 106.165

13 2-methylheptane 0.0026 114.22852

14 3-methylheptane 0.0025 114.22852

15 o-ethyltoluene 0.0024 120.19158

16 1,4-diethylbenzene(para) 0.0023 134.21816

17 2,3-dimethylbutane 0.0016 86.17536

18 1,3,5-trimethylbenzene 0.0016 120.19158

19 n-propylbenzene 0.0014 120.19158

20 cyclohexane 0.0014 84.15948

21 n-octane 0.0012 114.22852

22 n-hexane 0.0008 86.17536

23 1,3-diethylbenzene(meta) 0.0007 134.21816

24 3-methylpentane 0.0006 86.17536

25 cumene(isopropylbenzene) 0.0004 120.19158

26 methylcyclopentane 0.0002 126.23922

27 1-butene 0.0002 56.10632

28 benzene 0.0002 78.11184

29 n-butylbenzene 0.0001 134.21816

30 n-pentane 0.0001 72.14878

31(1-methylpropyl)benzene

(sec-butylbenzene) 0.0001 134.21816

<부록 A11 : Printing>

Page 99: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78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 n-butane 23% 58.1222

2 2-methylpropane; isobutane 12% 58.1222

3 propane 10% 44.09562

4 distillates/naphtha/mineralspirits 8% 128

5 isopropyl alcohol 7% 60.09502

6 methyl alcohol 5% 32.04186

7 n-heptane 3% 100.20194

8 n-hexane 3% 86.17536

9 ethylcyanoacrylate 3% 125.12528

10 1,1,1-trichloroethane 3% 133.40422

11 methylalcohol 3% 32.04186

12 acetone 2% 58.07914

13 fragrances 2% 137.1921245

14other,lumpedvocs, individually

<2% of category 2% 137.1921245

15 volatilemethylsiloxanes(vms) 2% 296.61576

16 p-dichlorobenzene 2% 147.00196

17 toluene 1% 92.13842

18 perchloroethylene 1% 165.8334

19 vocingredients<0.1% 1% 137.1921245

20 ethanolamine 1% 61.08308

21 misc./othervoc 1% 137.1921245

22 hydrocarbonpropellant{lpg} 1% 44.14080355

23methylethylketone(mek)

(2-butanone) 1% 72.10572

24 1,1-difluoroethane(hfc-152a) 0.38% 66.0499664

25 orangeterpenes 0.25% 136.23404

26 vinylacetate 0.24% 86.08924

27 otherexemptpropellants 0.24% 187.3756096

28 2-methylpentane 0.23% 86.17536

29 d-limonene 0.22% 136.23404

30dichloromethane

{methylenechloride} 0.18% 84.93258

31 dimethylether 0.17% 46.06844

<부록 A12 :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179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32other,lumpedexempts,individually<

2% of category 0.15% 187.3756096

33 lemonoil 0.13% 137.1921245

34 ethylacetate 0.12% 88.10512

35 terpene 0.11% 136.23404

36 2,2,4,6,6-pentamethylheptane 0.11% 170

37 butane, branched&linear 0.09% 58.1222

38 orangeoil 0.09% 137.1921245

39butylcellosolve{2-butoxyethanol}

{egbe} 0.06% 118.17416

40 isomers of xylene 0.06% 106.165

41 n-butylacetate 0.05% 116.15828

42 witchhazel 0.04% 137.1921245

43 benzylalcohol 0.01% 108.13782

44 t-butylacetate 0.01% 116.15828

45 di(propyleneglycol)methylether 0.01% 148.20014

46 misc.lvpvocdistillates 0.01% 110.1142573

47 methylisobutylketone 0.01% 100.15888

48 o-dichlorobenzene 0.01% 147.00196

49 cyclohexane 0.01% 84.15948

50 ethylbenzene 0.01% 106.165

51 n-pentane 0.005% 72.14878

52 dexpanthenol 0.005% 205.25146

53 glyceryltriacetate 0.004% 218.20386

54 b-pinene 0.004% 136.23404

55 glutaraldehyde(adialdehyde) 0.004% 100.11582

56propyleneglycolmethylether

{1-methoxy-2-propanol} 0.003% 90.121

57methylcarbitol{2-(2-methoxyethoxy)

ethanol}{degme} 0.003% 120.14698

58 2-methyl-butane 0.003% 70.1329

<부록 A12 :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Page 100: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80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59hydrocarbonpropellant

{lpg,sweetened} 0.002% 44.14080355

60 2-amino-2-methyl-1-propanol 0.002% 89.13624

61 a-pinene 0.002% 136.23404

62 trichloroethylene(tce) 0.001% 131.38834

63 styrene 0.001% 104.14912

64carbitol{degee}{2-(2-ethoxyethoxy)e

thanol} 0.001% 134.17356

65 o-chlorotoluene 0.0010% 126.58348

66terpinene(1-isopropyl-4-methyl-1,4

-cyclohexadiene) 0.0007% 136.24

67 propylacetate 0.0007% 102.1317

68 sec-butylalcohol 0.0007% 74.1216

69 2-methylundecane{isododecane} 0.0006% 170.33484

70 1,2,4-trimethylbenzene 0.0006% 120.19158

71 1-methyl-2-pyrrolidinone 0.0006% 99.13106

72 camphor 0.0004% 152.23344

73 1-methyl-4-isopropylbenzene 0.0004% 134.21816

74propyleneglycol-t-butylether{1-(1,1,

-dimethylethoxy)-2-propanol} 0.0004% 132.20074

75 myrcene 0.0004% 136.23404

764,4-dimethyl-2-neopentyl

-1-pentene 0.0003% 168.31896

77 methylsalicylate(anester) 0.0003% 152.14732

78propyleneglycolbutylether

{1-butoxy-2-propanol} 0.0002% 132.20074

79 cyclohexamine 0.0002% 99.17412

80 dimethylformamide 0.0002% 73.09378

81 propyleneglycoln-propylether 0.0002% 118.17416

82diacetonealcohol(4-hydroxy-4-meth

yl-2-pentanone) 0.0002% 116.15828

83 morpholine(tetrahydro-1,4-oxazin) 0.0002% 87.12036

<부록 A12 :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181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84 propylene 0.002% 42.07974

85 n-propylalcohol 0.002% 60.09502

86 mineraloil 0.002% 110.1142573

872-(2-butoxyethoxy)ethanol

{butylcarbitol} 0.001% 162.22672

88 c3-c4alkanepropellant 0.001% 44.14080355

89 cresols 0.001% 108.13782

90 triisopropanolamine 0.0010% 191.26794

91 misc.hydrocarbonpropellants 0.0007% 44.14080355

92 other,misc.voc 0.0007% 137.1921245

932-methoxyethanol

{methylcellosolve}{egme} 0.0007% 76.09442

94 pineoil 0.0006% 142.7713899

95 2-phenoxyethanol 0.0006% 138.1638

96 isopropylacetate 0.0006% 102.1317

97diacetonealcohol(4-hydroxy-4-meth

yl-2-pentanone) 0.0004% 116.15828

98 1,3,5-trimethylbenzene 0.0004% 120.19158

99 santosoldimethylester 0.0004% 137.1921245

100 methylcyclohexane 0.0004% 98

101 methoxypropanolacetate 0.0003% 132.15768

102 benzene 0.0003% 78.11184

103 3-carene 0.0002% 136.24

104 dl-limonene{dipentene} 0.0002% 136.23404

105 polypropyleneglycol 0.0002% 152.19038

<부록 A12 :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Page 101: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82

no. chemical compound Mass fraction(%) Molar mass(g/mole)

106 propyleneglycolmonoethylether 0.00002% 104.14758

107 tert-butylalcohol 0.00001% 74.1216

108ethyleneglycolpropylether{2-propox

yethanol} 0.00001% 104.14758

109glycoletherdpnb{1-(2-butoxy-1-met

hylethoxy)-2-propanol} 0.000009% 190.27988

110 benzenederivates 0.000007% 135.1863

111 dimethoxymethane(methylal) 0.000006% 76.09442

112 3,5-dimethyl-1-hexyne-3-ol 0.000006% 126.19616

113 cumene(isopropylbenzene) 0.000002% 120.19158

114propyleneglycolmonomethyletherac

etate{2-(1-methoxy)propylacetate} 0.0000009% 132.15768

115 formaldehyde 0.0000003% 30.02598

116isophorone{3,5,5-trimethyl-2-cycloh

exenone} 0.00000004% 138.20686

<부록 A12 :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183

부 록 B

POCP 값

Page 102: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84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1-methylethyl)cyclohexane 40.5 2(1-methylpropyl)cyclohexane 38.5 2(2-methyl-1-propyl)acetate 32.8 2(2-methylbutyl)cyclohexane 39.8 2(2-methylpropyl)cyclohexane 42.7 2

1,1,1-trichloroethane 0.9 1 Derwentetal.,1998 1,1,1-trichlorotrifluoroethane 0 1 Cydefinition

1,1,2,2-tetrachloroethane 7.7 21,1,2-trichloroethane 6.2 2

1,1,2-trimethylcyclohexane 41.2 21,1,2-trimethylcyclopentane 40.8 21,1,3-trimethylcyclohexane 41.2 2

1,1,4,4-tetramethylcyclohexane 34.3 21,1-dichloroethane 9.4 21,1-dichloroethene 52.6 2

1,1-dichlorotetrafluoroethane 0 1 Cydefinition 1,1-dimethylcyclohexane 42.8 21,1-dimethylcyclopentane 28.8 2

1,2,3,4-tetrahydronaphthalene 115.1 21,2,3,4-tetramethylbenzene 114.6 21,2,3,5-tetramethylbenzene 136 2

1,2,3,5-tetramethylcyclohexane 42.7 21,2,3-trichlorobenzene 2.2 21,2,3-trimethylbenzene 126.7 1 Derwentetal.,1998

1,2,3-trimethylcyclohexane 45.4 21,2,3-trimethylcyclopentane 43.6 2

1,2,4,4-tetramethylcyclopentane 37.5 21,2,4,5-tetramethylbenzene 114.6 2

1,2,4-trichlorobenzene 15.3 21,2,4-trimethlycyclopentane 43.6 2

1,2,4-trimethylbenzene 127.8 1 Derwentetal.,1998 1,2,4-trimethylcyclohexane 45.4 21,2,4-trimethylcyclopentane 42.8 2

1,2-diaminoethane 51.3 31,2-diCromoethane 3.3 21,2-dichlorobenzene 12 21,2-dichloroethane 7 21,2-dichloroethene 42 1 Derwentetal.,1998

1,2-dichlorotetrafluoroethane 0 1 Cydefinition 1,2-dimethyl-3-isopropylcyclopentane 39.3 2

1,2-dimethylcyclohexane 48.2 21,2-dimethylcyclopentane 45.9 21,2-ethanedioldiacetate 16 2

1,2-ethylmethylcyclopentane 44.2 21,2-propanediol 44.6 1 JenkinandHayman,1999

1,3,4,5,6-pentahydroxy-2-hexanone 0 31,3,5-trichlorobenzene 17.3 21,3,5-trimethylbenzene 138.1 1 Derwentetal.,1998

1,3,5-trimethylcyclohexane 45.4 2

185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1,3-Cutadiene 85.1 1 Derwentetal.,1998

1,3-dichlorobenzene 14.7 21,3-diethylbenzene 104.1 2

1,3-dimethyl-4-ethylbenzene 114.6 21,3-dimethyl-5-propylbenzene 132.5 2

1,3-dimethylcyclohexane 48.2 21,3-dimethylcyclopentane 45.9 2

1,3-dioxolane 50.9 21,3-ethylmethylcyclopentane 44.2 2

1,3-hexadiene 103.7 21,4-Cutyrolacetone 35.6 2

1,4-dichlorobenzene 5 21,4-diethylbenzene 89.6 2

1,4-dimethyl-2-isopropylbenzene 111.7 21,4-dimethylcyclohexane 48.2 21,4-dimethylpiperazine 51.3 3

1,4-dioxane 38.4 21-(2-Cutoxy-1-methyl-ethoxy)-2-propanol 41.3 21-(2-ethoxy-1-methyl-ethoxy)-2-propanol 56.4 2

1-(2-methoxy-1-methyl-ethoxy)-2-propanol 53.5 21-(Cutoxyethoxy)-2-propanol 55.5 2

1-butanal 79.5 1 Derwentetal.,1998 1-butanol 62 1 JenkinandHayman,1999 1-butene 107.9 1 Derwentetal.,1998

1-Cutoxy-2-propanol 46.3 1 JenkinandHayman,1999 1-Cutyne 73.2 2

1-chloro-2,3-epoxypropane 10.2 21-chloro-4-nitrobenzene 0 3

1-chloropropane 15.3 21-decene 91.7 2

1-ethoxy-2-propanol 49.7 21-ethoxy-2-propylacetate 35.2 2

1-ethyl-1,4-dimethylcyclohexane 38.7 21-ethyl-2,2,6-trimethylcyclohexane 37.2 2

1-ethyl-2,3-dimethylbenzene 114.6 21-ethyl-2,3-dimethylcyclohexane 42.3 21-ethyl-2-methylcyclopentane 36.5 2

1-ethyl-2-propylbenzene 86.2 21-ethyl-2-propylcyclohexane 40 21-ethyl-3,5-dimethylbenzene 136 21-ethyl-3-methylcyclohexane 45.6 21-ethyl-3-methylcyclopentane 36.5 21-ethyl-4-methylcyclohexane 45.6 2

1-ethylpropylbenzene 105.7 31-heptene 83.1 21-hexanal 100 21-hexene 87.4 1 Derwentetal.,1998

1-hydrophenol 78.2 21-methoxy-2-butanol 47.6 2

Page 103: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86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1-methoxy-2-propanol 35.5 1 JenkinandHayman,1999

1-methoxy-2-propylacetate 32.3 21-methyl-1-phenylcyclopropane 63.7 3

1-methyl-1-propylbenzene 73.5 31-methyl-1-propylcyclohexane 38.5 21-methyl-1-propylcyclopentane 37.9 21-methyl-2-isopropylbenzene 88.4 21-methyl-2-propylbenzene 88.4 2

1-methyl-3-(isopropyl)benzene 104.1 21-methyl-3-isopropylcyclopentane 39.1 2

1-methyl-3-propylbenzene 104.1 21-methyl-4-isopropylbenzene 89.6 2

1-methyl-4-isopropylcyclohexane 43 21-methyl-4-tertbutylbenzene 87.3 2

1-methylbutylbenzene 105.7 31-methylcyclohexene 100.4 2

1-methylindan 80 21-methylindene 136.2 3

1-nonene 95.6 21-octene 78.2 2

1-pentanal 76.5 1 Derwentetal.,1998 1-pentanol 59.5 21-pentene 97.7 1 Derwentetal.,1998 1-propanal 79.8 1 Derwentetal.,1998 1-propanol 56.1 1 JenkinandHayman,1999

11-methyl-1-dodecanol 31 22,2'-iminodi(ethylamine) 51.3 3

2,2'-iminodiethanol 51.3 32,2,3,3-tetramethylbutane 12.9 22,2,3,3-tetramethylhexane 19.2 2

2,2,3-trimethylbutane 38.6 22,2,3-trimethylpentane 39.1 2

2,2,4,6,6-pentamethylheptane 21.4 22,2,4-trimethyl-1,3-pentanediol 27.5 3

monoisoCutyrate 2,2,4-trimethylpentane 24.7 22,2,5-trimethylhexane 37.6 22,2-dimethylbutane 24.1 1 Derwentetal.,1998 2,2-dimethylhexane 38.6 22,2-dimethylpentane 38.6 22,2-dimethylpropane 17.3 1 Derwentetal.,1998

2,3,3,4-tetramethylpentane 37.2 22,3,3-trimethyl-1-butene 81.3 22,3,3-trimethylpentane 38 22,3,4-trimethylhexane 42.9 22,3,4-trimethylpentane 25.7 22,3,5-trimethylhexane 42.6 22,3-dimethylbutane 54.1 1 Derwentetal.,1998 2,3-dimethylfuran 62.8 2

187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2,3-dimethylhexane 46.5 22,3-dimethylnonane 37.7 22,3-dimethyloctane 40.2 22,3-dimethylpentane 39.1 2

2,3-dimethylundecane 31.7 22,4,4-trimethyl-1-pentene 81.1 2

2,4,6-trichloro-1,3,5-triazine 51.3 32,4-difluoroaniline 0 3

2,4-dimethyl-1-(1-methylethyl)benzene 111.7 22,4-dimethyl-1-isopropylbenzene 111.7 2

2,4-dimethylfuran 62.8 22,4-dimethylheptane 42.6 22,4-dimethylhexane 46.5 22,4-dimethylpentane 46.6 2

2,4-toluenediisocyanate 51.3 32,5-dimethyldecane 34.6 22,5-dimethylfuran 62.8 2

2,5-dimethylheptane 51.2 22,5-dimethylhexane 44.6 22,5-dimethyloctane 40.2 22,6-dimethyldecane 35.1 22,6-dimethylheptane 42.3 22,6-dimethyloctane 40.2 2

2,6-dimethylundecane 31.7 22,6-toluenediisocyanate 51.3 3

2,7-dimethyloctane 39.9 22-(2-aminoethylamino)ethanol 51.3 3

2-(2-Cutoxyethoxy)ethanol 50.2 22-(2-Cutoxyethoxy)ethylacetate 40 2

2-(2-ethoxyethoxy)ethanol 49.3 22-(2-ethoxyethoxy)ethylacetate 34.6 22-(2-hydroxy-ethoxy)ethanol 40.1 2

2-(2-hydroxy-propoxy)-1-propanol 55.4 22-(methoxyethoxy)ethanol 42.8 2

2-[2-(2-ethoxy-ethoxy)-ethoxy]ethanol 35.7 22-acetoxy-propylacetate 14.3 2

2-aminoethanol 51.3 32-butanol 44.7 1 JenkinandHayman,1999

2-butanone 37.3 1 Derwentetal.,1998 2-butanoneoxime 51.3 3

2-butene 113.9 1 Derwentetal.,1998 2-Cutoxyethanol 48.3 1 JenkinandHayman,1999

2-Cutoxyethylacetate 35.1 22-chloroethanol 30.3 22-chloropropane 14.5 22-chlorotoluene 13.1 22-ethoxyethanol 38.6 1 JenkinandHayman,1999

2-ethoxyethylacetate 34.6 22-ethoxypropanol 65.7 2

Page 104: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88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2-ethyl-1,3-dimethylbenzene 114.6 2

2-ethyltoluene 89.8 1 Derwentetal.,1998 2-hexoxyethanol 44.7 22-hydrophenol 78.2 2

2-isopropoxyethanol 51.4 22-methoxy-2-methylpropane 17.5 1 JenkinandHayman,1999

2-methoxyethanol 30.7 1 JenkinandHayman,1999 2-methoxyethylacetate 40.5 2

2-methoxypropane 39.4 22-methylCenzaldehyde -9.2 32-methyl-1,3-dioxolane 46.2 2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2-methyl-1-butene 77.1 1 Derwentetal.,1998

2-methyl-1-butylbenzene 86.2 22-methyl-1-pentene 107.2 22-methyl-1-propanol 36 1 JenkinandHayman,1999

2-methyl-2,4-pentanediol 46.4 22-methyl-2-butene 84.2 1 Derwentetal.,1998 2-methyl-2-hexene 81.3 22-methyl-2-pentene 79.9 22-methyl-2-propanol 10.6 1 JenkinandHayman,1999

2-methyl-5-ethyloctane 38 22-methylbutanal 86 22-methylbutane 40.5 1 Derwentetal.,1998 2-methyldecalin 41.4 22-methyldecane 37.5 22-methylfuran 59.6 2

2-methylheptane 44.6 22-methylhexane 41.1 1 Derwentetal.,1998 2-methylnonane 39.9 22-methyloctane 42.8 22-methylpentane 42 1 Derwentetal.,1998 2-methylpropanal 51.4 1 Derwentetal.,1998 2-methylpropane 30.7 1 Derwentetal.,1998 2-methylpropenal 82.9 22-methylpropene 62.7 1 Derwentetal.,1998

2-methylpropylacetate 21.3 22-methylpyridine 51.3 3

2-methylundecane 35.2 22-pentanone 54.8 1 Derwentetal.,1998 2-pentene 111.9 1 Derwentetal.,1998

2-phenoxyethanol 43.9 22-phenylpropene 14.2 3

2-propanol 18.8 1 JenkinandHayman,1999 2-propen-1-ol 74.6 22-propylacetate 21.1 1 JenkinandHayman,1999

3,3,4-trimethylhexane 37.6 23,3,5-trimethylheptane 36.2 23,3-dimethylheptane 37.2 2

189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3,3-dimethyloctane 35.8 23,3-dimethylpentane 37.8 23,4-dimethylheptane 42.6 23,4-dimethylhexane 45.3 2

3,5,5-trimethylhexane 32.1 23,5-dimethyloctane 40.5 23,6-dimethyloctane 40.5 23,7-dimethylnonane 37.9 2

3-(2-hydroxy-propoxy)-1-propanol 56.4 23-chloro-4-fluoropicoline 51.3 3

3-chloropropene 46 23-chloropyridine 51.3 3

3-ethyl-2-methylheptane 39.9 23-ethyl-2-methylhexane 43.1 23-ethyl-2-methylpentane 46.1 2

3-ethylheptane 43.1 23-ethylhexane 41.5 23-ethyloctane 44.4 23-ethylpentane 47.7 23-ethyltoluene 101.9 1 Derwentetal.,1998

3-heptene 103.3 23-hydrophenol 78.2 2

3-methylCenzaldehyde -9.2 33-methyl-1-butene 67.1 1 Derwentetal.,1998

3-methyl-T-2-pentene 107.2 23-methylbutanal 78.6 23-methylbutanol 43.3 1 JenkinandHayman,1999 3-methyldecane 37.7 23-methylfuran 59.6 2

3-methylheptane 45 23-methylhexane 36.4 1 Derwentetal.,1998 3-methylnonane 40.2 23-methyloctane 42.6 23-methylpentane 47.9 1 Derwentetal.,1998

3-methylundecane 35.1 23-pentanone 41.4 1 Derwentetal.,1998

3A,4,7,7A-tetrahydro-4,7-methanoindene 72 34,4'-methylenedianiline 51.3 34,4-dimethylheptane 37.2 24,5-dimethylnonane 37.9 24,6-dimethylindan 132.5 34,7-dimethylindan 132.5 3

4-4'-methylenediphenyldiisocyanate 51.3 34-Cromophenylacetate 51.3 3

4-chlorotoluene 13.1 24-ethylmorpholine 51.3 3

4-ethyl-1,2-dimethylbenzene 114.6 24-ethyloctane 44.4 24-ethyltoluene 90.6 1 Derwentetal.,1998

Page 105: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90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Cenzo(g,h,i)perylene 0 3Cenzo(k)fluoranthene 0 3

Cenzophenone 51.3 3Cenzopyrenes 0 3benzylalcohol 46.9 2benzylchloride 17.7 2

Ciphenyl 66.6 2Cis(2-hydroxyethyl)ether 40.2 2Cis(chloromethyl)ether 29.2 2

Cis(tributyltin)oxide 0 3Cromoethane 1.3 2Cromoethene 12.2 2

Cromomethane 0.6 2butane 35.2 1 Derwentetal.,1998

butanethiols 0 3butene 99.6 3Cutoxyl 51.3 3

butylacetate 26.9 1 JenkinandHayman,1999 butylacrylate 47.9 2butylglycolate 26.8 2butyllactate 29.1 2

butylbenzene 69 2butylcyclohexane 42.5 2

Cutyrolactone 51.3 3C10alkanes 38.7 3C10alkenes 87.8 3

C10aromatichydrocarCons 132 3C10cycloalkanes 38.4 3

C11alkanes 36.4 3C11alkenes 84.5 3

C11aromatichydrocarCons 134.2 3C11cycloalkanes 38.4 3

C12alkanes 35.7 3C12cycloalkanes 35.7 3

C13alkanes 31.7 3C13+alkanes 31.7 3

C13+aromatichydrocarCons 128.3 3C14alkanes 30.7 3C15alkanes 28.4 3C16alkanes 24.2 3

C2-alkyl-anthracenes 139.8 2C2-alkyl-Cenzanthracenes 0 3

C2-alkyl-Cenzophenanthrenes 0 3C2-alkyl-chrysenes 0 3

C2-alkyl-phenanthrenes 115.7 3C5alkenes 87.6 3C6alkenes 95.7 3C7alkanes 42.3 3C7alkenes 95.9 3

191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C8alkanes 42.2 3C8alkenes 93.7 3

C8cycloalkanes 48.1 3C9alkanes 40.4 3C9alkenes 90.8 3

C9aromatichydrocarCons 98.6 3C9cycloalkanes 41.4 3

camphor/fenchone 74.5 3carCondisulphide 0 3

carContetrachloride 0 1 Cydefinition carConylsulphide 0 3chlorobenzene 9.9 2chlorobutane 17.6 2

chlorocyclohexane 34.8 2chlorodifluoromethane 0.2 2

chloroethane 10.4 2chloroethylene 36.1 2

chlorofluoromethane 1.9 2chlorofluoropicolines 51.3 3

chloromethane 0.5 1 Derwentetal.,1998 chloroprene 43.7 2

chrysene 0 3cis-1,3-dimethylcyclopentane 45.8 2

cis-2-butene 114.6 1 Derwentetal.,1998 cis-2-hexene 106.9 1 Derwentetal.,1998 cis-2-octene 99.4 2cis-2-pentene 112.1 1 Derwentetal.,1998

coronene 0 3crotonaldehyde 70 2cycloheptane 53.4 2

cyclohexanamine 51.3 3cyclohexane 29 1 Derwentetal.,1998 cyclohexanol 51.8 1 JenkinandHayman,1999

cyclohexanone 29.9 1 Derwentetal.,1998 cyclooctane 46.7 2

cyclopenta(c,d)pyrene 0 3cyclopenta-anthracenes 0 3

cyclopenta-phenanthrenes 0 3cyclopentane 51.5 2cyclopentene 106.8 2

decalin 44.4 2decane 38.4 1 Derwentetal.,1998

diacetoneketogulonicacid 0 3diaminotoluene 51.3 3

diazinon 51.3 3diCenzanthracenes 0 3

diCenzo(a,h)anthracene 0 3diCenzophenanthrenes 0 3

diCenzopyrenes 0 3

Page 106: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92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dichlorodifluoromethane 0 1 Cydefinition dichlorofluoromethane 1.3 2

dichloromethane 6.8 1 Derwentetal.,1998 dichlorvos 51.3 3

diethyldisulphide 0 3diethylether 44.5 1 JenkinandHayman,1999

diethylsulphate 0 3diethylamine 51.3 3

diethylbenzene 105.7 3difluoromethane 0.6 2dihydroxyacetone 28.5 2diisopropylether 39.8 1 JenkinandHayman,1999

diisopropylbenzene 82.2 2dimethoxymethane 16.4 1 JenkinandHayman,1999 dimethyldisulphide 0 3

dimethylesters 17.1 3dimethylether 18.9 1 JenkinandHayman,1999 dimethylfurans 64.6 3

dimethylsulphate 0 3dimethylsulphide 0 3dimethylamine 51.3 3dimethylbutene 59.9 3

dimethylcyclohexane 47.3 2dimethylcyclopentane 45.8 3dimethylformamide 51.3 3

dimethylhexene 93.7 3dimethylnonane 38.4 3dimethylpentane 49.4 3

dipentene 74.5 2dipropylether 53.1 2

dodecane 35.7 1 Derwentetal.,1998 ethane 12.3 1 Derwentetal.,1998

ethanethiol 0 3ethanol 39.9 1 JenkinandHayman,1999

ethofumesate 51.3 3ethylacetate 20.9 1 JenkinandHayman,1999 ethylacrylate 41.4 2

ethylbutanoate 30.1 2ethylchloroformate 10.1 2

ethylhexanol 53.5 3ethyllactate 32.8 2

ethylpentanoate 32.4 2ethylpropionate 19.9 2

ethylamine 51.3 3ethylbenzene 73 1 Derwentetal.,1998

ethylcyclohexane 48.3 2ethylcyclopentane 46.6 2

ethyldimethylbenzene 132 3ethylene 100 1 Derwentetal.,1998

193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ethyleneoxide 2.4 2

ethylisopropylbenzene 105.7 3fenitrothion 51.3 3fluoranthene 0 3

fluorene 77.4 2formaldehyde 51.9 1 Derwentetal.,1998 formanilide 0 3formicacid 3.2 1 Derwentetal.,1998 fumaricacid 17.1 2

glycerol 39.2 2glyoxal 58 2

heptadecane 12.2 2heptane 49.4 1 Derwentetal.,1998

hexachlorocyclohexane 2.3 2hexachloroethane 0 1 Cydefinition

hexadecane 26 2hexafluoropropene 69.4 2

hexamethylcyclotrisiloxane 0 3hexamethyldisilane 0 3

hexamethyldisiloxane 0 3hexamethylenediamine 51.3 3

hexane 48.2 1 Derwentetal.,1998 hexylcyclohexane 36.7 2

indan 79.7 2indene 137.7 2

indeno(1,2,3-c,d)pyrene 0 3iodomethane 0.7 2

isobutylbenzene 57.8 2isobutylcyclohexane 36.3 2isopentylbenzene 67.3 2

isophorone 77.6 2isoprene 109.2 1 Derwentetal.,1998

isoprene+CVOC 90 3isopropanolamine 51.3 3isopropylbenzene 50 1 Derwentetal.,1998

isopropylcyclohexane 38 2isopropylcyclopentane 43.7 2

limonene 74.5 2m-cresol 68 2m-xylene 110.8 1 Derwentetal.,1998 malathion 51.3 3

maleicanhydride 26.8 2menthene 89.9 3

methacrylicacid 50.2 2methanethiol 0 3

methanol 14 1 JenkinandHayman,1999 methoxy-2-propoxy-2-propanol 37.5 2

methylacetate 5.9 1 JenkinandHayman,1999 methylacrylate 39.1 2

Page 107: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94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methylethylether 25.3 2methylformate 2.7 1 JenkinandHayman,1999 methylfurans 40.2 3methylglyoxal 72 2

methylmethacrylate 46.7 2methylnaphthalenes 125.2 3methylpentanoate 31.9 2

methylstyrene 14.2 3methyl-anthracenes 0 3

methyl-Cenzanthracenes 0 3methyl-Cenzphenanthrenes 0 3

methyl-chrysenes 0 3methyl-fluoranthenes 0 3methyl-phenanthrenes 117.4 2

methylamine 0 3methylcyclodecane 39.3 2methylcycloheptane 47 2methylcyclohexane 51 2methylcyclopentane 48.1 2methylethylbenzene 94.1 3

methylhexane 38.8 3methylindane 80 2

methylpropene 62.7 1 Derwentetal.,1998 methylpropylbenzene 105.7 3

methyltetralin 114 3monohydricphenols 78.2 2

N,N-diethylCenzenamine 51.3 3N,N-dimethylCenzenamine 51.3 3

N-(hydroxymethyl)acrylamide 51.3 3N-methylpyrrolidone 51.3 3

naphthalene 97.7 2naphthol 61.1 2

NedocromilSodium 0 3nitrobenzene 0 3nitromethane 0 3nitropentane 18.5 2nitropropane 0 3

nonane 41.4 1 Derwentetal.,1998 o-cresol 67.3 2o-xylene 105.3 1 Derwentetal.,1998

octahydroindan 44.5 2octamethylcyclotetrasiloxane 0 3

octane 45.3 1 Derwentetal.,1998 octylamine 51.3 3

p-Cenzoquinone 51.6 2p-cresol 65.5 2p-xylene 101 1 Derwentetal.,1998

palmiticacid 27.2 2pentadecane 28.4 2

195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pentane 39.5 1 Derwentetal.,1998

pentanethiols 0 3pentylbenzene 67.3 2

pentylcyclohexane 39.6 2permethrin 51.3 3perylene 0 3

phenanthrene 97.8 2phenol 63.3 2

phenoxyaceticacid(phenoxyacid) 15.2 3phenylaceticacid 15.2 3phenylacetonitrile 51.3 3

phenylnaphthalenes 114.8 2phorate 0 3

phthalicanhydride 105.3 3pineoil 74.5 3

polyethyleneglycol 0 3polyisobutene 0 3

polyvinylchloride 0 3potassiumphenylacetate 51.3 3

propadiene 84.7 2propane 17.6 1 Derwentetal.,1998

propanetriol 33.5 2propanoicacid 15 1 Derwentetal.,1998 propionitrile 0 3propylacetate 28.2 1 JenkinandHayman,1999

propylbutanoate 31.9 2propylpropionate 28.5 2

propylamine 51.3 3propylbenzene 63.6 1 Derwentetal.,1998

propylcyclohexane 45.4 2propylcyclopentane 44.5 2

propylene 112.3 1 Derwentetal.,1998 propyleneoxide 13.4 2

propyne 74.6 2pyrene 0 3pyridine 51.3 3

salicylicacid 44.8 2sec-butylbenzene 68.9 2

sec-butylcyclohexane 42.6 2simazine 0 3

sodium2-ethylhexanoate 51.3 3sodiumacetate 0 3

sodiumphenylacetate 51.3 3styrene 14.2 1 Derwentetal.,1998

styreneacrylate 0 3sulphanilamide 0 3

terpenes 74.5 2tert-butylamine 51.3 3

tert-butylbenzene 53.4 2

Page 108: 대기배출원의 VOC 배출계수 개선을 위한 기획연구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49956.pdf · 2015-11-03 · xi &Þ ' $ ' ,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196

Species POCP Method Reference tert-butylcyclopropane 11.5 2

tert-pentylbenzene 67.3 2tetrachloroethene 2.9 1 Derwentetal.,1998

tetradecane 30.7 2tetrafluoroethene 9.4 2tetrahydrofuran 57 2

tetrahydrofurylalcohol 58.3 2tetramethylcyclohexane 38.5 3

toluene 63.7 1 Derwentetal.,1998 toluene-2,3-diamine 51.3 3toluene-2,4-diamine 51.3 3

toluene-2,4-diisocyanate 51.3 3toluene-2,5-diamine 51.3 3toluene-2,6-diamine 51.3 3

toluene-2,6-diisocyanate 51.3 3toluene-3,4-diamine 51.3 3toluene-3,5-diamine 51.3 3

trans-2-butene 113.2 1 Derwentetal.,1998 trans-2-hexene 107.3 1 Derwentetal.,1998 trans-2-pentene 111.7 1 Derwentetal.,1998 trans-3-hexene 107.2 2

tri-n-butylphosphate 0 3trialkylphosphate 0 3trichloroethene 32.5 1 Derwentetal.,1998

trichlorofluoromethane 0 1 Cydefinition trichloromethane 2.3 1 Derwentetal.,1998

tridecane 32.7 2triethanolamine 51.3 3triethylamine 51.3 3

trifluoroethene 54.7 2trifluoromethane 0 3

trifluralin 51.3 3trimethylamine 51.3 3

trimethylfluorosilane 0 3undecane 38.4 1 Derwentetal.,1998

unspeciated 51.3 3unspeciatedalcohols 36.4 3

unspeciatedaliphatichydrocarCons 36.8 3unspeciatedalkanes 36.8 3unspeciatedalkenes 97.5 3unspeciatedamines 51.3 3

unspeciatedaromatichydrocarCons 95.4 3unspeciatedcarCoxylicacids 15.2 3unspeciatedcycloalkanes 43.4 3unspeciatedhydrocarCons 71.9 3

unspeciatedketones 42 3urea 0 3

vinylacetate 48.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