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41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Research on the 2050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Model Development 2012. 09.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정회성, 고윤화, 이동근, 이해춘, 최충익, 변병설, 문태훈, 안병옥, 김태용, 강승진, 신창호, 조화섭, 이윤미, 박윤미, 모용원, 백경혜, 강보영, 유상민, 채정은, 김병석 A Basic Research on the 2050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Model Development Climate Change Research Division Hoi-Seong Jeong, Yun-Hwa Ko, Dong-Kun Lee, Hae-Chun Rhee, Choong-ik Choi, Byeong-Seol Byunl, Tae-Hoon, Moon, Byeong-Ok An, Tae-Yong Kim, Seung-Jin Kang, Chang-Ho Shin, Hwa-Suep Cho, Yun-Mi Lee, Yun-Mi Park, Yong-won Mo, Gyoung-Hyae Paek, Bo-Young Kang, Sang-Min Kim, Jung-Eun Chae, Byung-Suk Kim 2012. 09.

Upload: duongthuan

Post on 07-Mar-2018

229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발간등록번호11-1480523-001080-01

NIER NO.NIER-SP2012-070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Research on the 2050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Model Development

2012. 09.

발간등록번호11-1480523-001080-01

NIER NO.NIER-SP2012-070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정회성, 고윤화, 이동근, 이해춘, 최충익, 변병설, 문태훈, 안병옥, 김태용, 강승진, 신창호, 조화섭, 이윤미, 박윤미, 모용원, 백경혜, 강보영, 유상민, 채정은, 김병석

A Basic Research on the 2050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Model DevelopmentClimate Change Research Division

Hoi-Seong Jeong, Yun-Hwa Ko, Dong-Kun Lee, Hae-Chun Rhee, Choong-ik Choi, Byeong-Seol Byunl, Tae-Hoon, Moon, Byeong-Ok An, Tae-Yong Kim, Seung-Jin Kang, Chang-Ho Shin, Hwa-Suep Cho, Yun-Mi Lee, Yun-Mi Park, Yong-won Mo, Gyoung-Hyae Paek, Bo-Young Kang, Sang-Min Kim, Jung-Eun Chae, Byung-Suk Kim

2012. 09.

Page 2: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목 차

Abstract ······································································································ 1

I. 서론 ········································································································· 5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52. 연구의 추진체계 ····································································································· 63. 연구의 흐름 ············································································································· 7

II.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개념과 비전 ·············································· 81.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개념 ··············································································· 82. 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9

(가) 인 구 ····················································································································· 9(나) 경 제 ······················································································································· 9(다) 환 경 ····················································································································· 10(라) 형평성 ··················································································································· 12(마) 기술개발 ··············································································································· 13(바) 거버넌스 ··············································································································· 15(사) 라이프스타일 ······································································································· 16

3. 2050 미래사회의 기후변화 전망과 취약성 ···················································· 184.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비전 ·································································· 19

(가)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시나리오 구축 방법 ······································· 19(나)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시나리오 유형 ····························································· 20(다) 2050 CFSS 시나리오 유형별 국내 사회 모습 ········································· 20(라)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비전 ··············································································· 22

5.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관리목표와 접근방안 ··············································· 23(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 23(나) 기후변화 적응목표 설정 ··················································································· 23

III.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 ············································ 241. 에너지 ····················································································································· 24

(가) 현황과 전망 ········································································································· 24(나) 에너지 분야의 추진 과제 ················································································· 27

2. 비에너지 ················································································································· 28(가) 현환 및 전망 ······································································································· 28(나) 비에너지 분야의 추진 과제 ············································································· 29

3. 생산활동 ················································································································· 30(가) 현황과 전망 ········································································································· 30(나) 추진 과제 ············································································································· 31

4. 소비 생활 ··············································································································· 32(가) 현황과 전망 ········································································································· 32(나) 추진 과제 ············································································································· 33

IV. 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 ·································· 341. 사회기반시설 ········································································································· 34

(가) 현황과 전망 ········································································································· 34(나) 추진 과제 ············································································································· 35

2. 농업 및 산림 ········································································································· 36(가) 현황과 전망 ········································································································· 36(나) 추진 과제 ············································································································· 38

Page 3: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3.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 39(가) 현황과 전망 ········································································································· 39(나) 추진 과제 ············································································································· 40

4. 환경보건 ················································································································· 41(가) 현황과 전망 ········································································································· 41(나) 추진 과제 ············································································································· 42

V.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 ·········································· 431. 국토/도시/건축 ······································································································ 43

(가) 현황과 전망 ········································································································· 43(나) 추진 과제 ············································································································· 45

2. 교통 및 물류 ········································································································· 46(가) 현황과 전망 ········································································································· 46(나) 추진 과제 ············································································································· 47

3.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 48(가) 현황과 전망 ········································································································· 48(나) 추진 과제 ············································································································· 50

VI.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 511. 라이프스타일 ········································································································· 51

(가) 현황과 전망 ········································································································· 51(나) 추진 과제 ············································································································· 54

2. 기후변화 제도 및 거버넌스 체계 ····································································· 55(가) 현황과 전망 ········································································································· 55(나) 추진 과제 ············································································································· 57

VII. 기후진화적 안전사회 구축 방법 및 로드맵 ····························· 58

1.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접근모형 구상 ······························································· 582.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구축 방법론 제시 ························································· 59

(가)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구축 체계 ··············································· 59(나)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구축 주체 구성 운영 ··········································· 60(다) 과제별 소요 D/B 파악 및 D/B 구축방안 ····················································· 61(라) 2050 CFSS 구축을 위한 과제 우선 순위 ··················································· 63

3.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단계별 구축 로드맵 ····················································· 65(가)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전망 ············································································· 65(나) 2050 CFSS 단계별 구축 로드맵 ··································································· 66

VIII. 결론 ································································································· 69

Page 4: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표 목 차

[표 2-1]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를 위한 관리목표 ····································································· 23[표 3-1] 2050년 사회․경제적 시나리오 A와 B ········································································ 25[표 3-2] 2005년 대비 2050년 시나리오별 에너지 수요 증가율 전망 ································· 25[표 3-3] 2005년 대비 2050년 시나리오별 온실가스 배출 저감률 ······································· 26[표 3-4] 에너지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27[표 3-5] 비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의 대비 ························································· 28[표 3-6] 비에너지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29[표 3-7] 국가별 금속 재활용율 ·································································································· 30[표 3-8] 생산 활동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1[표 3-9]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실적 ·················································································· 33[표 3-10] 녹색소비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3[표 4-1] 사회기반시설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5[표 4-2]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분야 영향 ················································································· 37[표 4-3] 농업 및 산림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8[표 4-4]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40[표 4-5] 환경보건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42[표 5-1] 국토/도시/건축 정책과제 도출 ·················································································· 45[표 5-2] 연도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결과 ··························································· 46[표 5-3] 교통/물류 정책과제 도출 ···························································································· 47[표 5-4]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정책과제 도출 ······································································· 50[표 6-1] 본 연구에서 선정한 메가트랜드의 8개 키워드 ······················································· 51[표 6-2]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라이프스타일의 요소 ··············································· 52[표 6-3] 라이프스타일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54[표 6-4]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거버넌스 형태의 변화전망 ···················································· 55[표 6-5] CFSS 거버넌스체제의 현황, 전망, 과제, 추진방안 ················································ 57[표 7-1] 분야별 추진 주체 ·········································································································· 61

그 림 목 차

<그림 1-1> 공동 연구체계도 ········································································································ 6<그림 1-2> 2050 CFSS 연구업무 흐름도 ·················································································· 7<그림 2-1> CFSS 개념도 ·············································································································· 8<그림 2-2>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시나리오 구축 방법 ·························································· 19<그림 2-3>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구축 체계도 ····························································· 22<그림 4-1> 사회기반시설별 기후변화 영향 평가 ··································································· 34<그림 4-2> 기간에 따른 농업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 패턴 ·················································· 36<그림 6-1> 메가트랜드가 2050 CFSS의 라이프스타일 요소에 미치는 영향 ···················· 53<그림 7-1>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접근모형 ··································································· 58<그림 7-2>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구축 체계도 ····························································· 59<그림 7-3>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발전위원회(가칭) 조직 구성도 ·································· 60<그림 7-4>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DB 구축 체계 ·························································· 62<그림 7-5> DB 처리 흐름도 ······································································································· 63<그림 7-6> 2050년 우리나라 미래 전망에 따른 로드맵 ······················································· 65

Page 5: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1 -

Abstract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CFSS) is the conception which aims at achieving a climate-friendly society by reducing greenhouse gas, the primary cause of climate change, and a climate-safe society by adapting to the effect and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 In other words, it has a dual goal to pursue simultaneously: a climate friendly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and the mitigation of its influence, and a climate safe society which gives more weight o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is project i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a model for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CFSS), a vision targeting the year 2050. Under this vision of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CFSS) in 2050, this research tried to figure out how to create a low carbon society which can adapt to climate change effectively. First of all, we made predictions about the year 2050, its society and economy, considering population, economy, environment, equity, technological development, governance, lifestyle, etc. Then we analyzed the existing climate change related scenarios, such as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scenario,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cenario, and SPA(Shared climate Policy Assumptions) scenario.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could draw up four 2050 CFSS scenarios by typical conditions, presenting a future outlook for each scenario. Scenario 1 responds to the condition where the current state is carried on up to 2050, scenario 2 to the one where the focal point is the reduction and mitigation, and scenario 3 where adaptation is the main concern, and scenario 4, which corresponds to the standpoint of this research, to the condition where reduction and adaptation are both considered. Scenario 4 displays set features of daily routine of a society, which includ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ublic transportation, maintenance of forests as a way to increase carbon absorption,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or recycleable energy, retention of high level bio-diversity, maintaining low-density of cities and low environmental effect, development of inter-city governance, expansion of vegetarian diet and use of seasonal food, smooth circulation of waste-turned resources, etc. Also, we set the greenhouse gas emission goal for the year 2050. The suggested goal is 285 million tons of CO2 emission, which is a 50% cutdown from 2005.

- 2 -

As a next step, we proposed four main strategies to realize CFSS in 2050: increasing climate friendly economic and industrial activities, enhancing national capacity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managing national land environment in a climate friendly and safe manner, reinforcing the management foundation and the system for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The strategy to increase climate friendly economic and industrial activities, which is mainly about greenhouse gas reduction, was studied with four subdivisions: energy, non-energy, production activities, consumption. The strategy to enhance national capacity for dealing with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which is mainly about adaptability, was probed into with four subdivisions: social infrastructure, agriculture and forestry, oceanic/water resources and river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health. The strateg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afe national land environment management, which requires a dual consideration for reduction and adaptation, was investigated with three subdivisions: national land/ city/ architecture,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ical preservation. The strategy to reinforce the management foundation and system for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was examined with two subdivisions: lifestyle and governance. All in all, we conducted this research on four main strategy areas and their 13 subdivisions altogether, which, in specific, includes diagnos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 projects to promote the goal of CFSS in 2050. To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CFSS in 2050, we formulated a CFSS approach model and presented a 2050 CFSS model establishment system. We also suggested the tentatively named 'National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Development Committee' as the main body to substantiate CFSS in 2050. This organization, we suggest, though started as a kind of presidential committee in the short term, should take the form of a network governance in the long term. In terms of structural constitution, the organization is recommended to have three administrative divisions: governmental division, non-governmental division and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In addition, we presented a grasp of data base backing the four main strategy areas and their 13 subdivisions while demonstrating how to construct a data base. For trouble-free formulation and management of the data base, we recommended the expansion and reshuffle of the current 'Comprehensive Greenhouse Gas

Page 6: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3 -

Information Center' so that it could overtake the new task. After this primary project to promote CFSS 2050, we propose a main project to developed a full scale model for CFSS 2050. This includes calculating prospective greenhouse gas emission in 2050 and setting the reduction goal for each scenario, both of them not covered in this basic research. Also this includes doing a research on governance management methods available. This includes laying out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Lastly, to realize CFSS, we drew up a road map for each project of the 13 individual subdivisions, again breaking it down to three time periods: near future (2012~2020), near to far future (2021~2030), and farther future(2031~2050).

Page 7: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5 -

I.I. 서론서론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기후변화 문제는 향후 인류의 명운뿐 아니라 한 국가의 명운을 결정하는 중차대한 과제이다. 이에 선진국들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저탄소 사회’,‘녹색전략’,‘녹색뉴딜’등 다양한 명칭으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여 대응하고 있다.

⚬ 이에 따라 2009년 코펜하겐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15)에서 결정하려 했던 포스트교토 협상은 2010년 멕시코 칸쿤회의에서 조차 진전이 없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 따라서 당초 지구 평균온도상승을 2℃ 이내로 억제하려던 국제사회의 노력은 물거품이 될 운명에 처해 있으며,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대비가 절실해지고 있다.

⚬ 향후 개별 국가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규제의 동향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사회를 구축해야 하고, 기후변화가 실제 발생하였을 때 자국의 기후변화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적응 노력이 동시에 균형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부목표를 설정한다.­ 첫째 무엇이 종래의 저탄소 사회(A Low Carbon Society; LCS)와 구별되는 기후

친화적 안전사회(A 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CFSS) 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조건을 제시하였다.

­ 둘째, 기후변화의 위협이 보다 구체화되고 강력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2050년을 목표로 온실가스의 배출과 지구온난화의 생태-경제적인 위협을 전망하고 대응책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모형의 개발과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 셋째, 이어 기후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생태-경제적 영향과 이에 대응하는 각 정책분야, 즉 완화/감축(mitigation), 적응(adaptation), 그리고 혼합 등에 대한 우리나라의 실태를 분석 평가하여 장기적인 대응전략과 실천방안을 구상하였다.

­ 넷째,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 단계별로 정책개발의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 6 -

2. 연구의 추진체계⚬ 본 연구는 (사)환경과문명과 (사)한국기후변화학회가 공동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하여 연구 추진체계를 구축하였다(<그림 1-1> 참조).⚬ 연구수행 및 포럼운영은 6개 분과(개념, 비전제시 및 예측분과, 감축분과, 적응

분과, 혼합분과, 라이프스타일분과, 거버넌스 및 방법론분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 6개 분과별로 자문위원을 선임하여 자문을 받아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

(사)환경과문명

연구총괄: 정 회 성

(사)환경과문명 (사)한국기후변화학회연구수행 포럼운영

연구주관: 정 회 성 자문위원 포럼주관: 고 윤 화

이 동 근

분과별자문위원선임(6명)

개념, 비전제시, 예측 분과

이 해 춘 감축 분과

최 충 익 적응 분과

변 병 설 혼합 분과

안 병 옥 라이프스타일 분과

문 태 훈 거버넌스, 방법론 개발 분과

연구 논의, 자료 수집 등

<그림 1-1> 공동 연구체계도

Page 8: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7 -

3. 연구 업무의 흐름도⚬ 본 연구 추진과 관련한 연구 수행 흐름도는 <그림 1-2>와 같다.

­ 2050년을 대상으로 기후친화적 안전사회(CFSS) 개념정립, 온실가스 배출량전망 및 기후변화 예측, CFSS 비전 제시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CFSS 모형개발을 위한 분야별 진단 및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 CFSS 모형개발을 위한 분야별 진단 및 추진과제의 도출은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감축부문), 기후변화 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제고부문(적응부문),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부문(혼합부문)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 또한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기반 및 제도강화부문을 연구하였는데 라이프스타일과 제도 및 거버넌스 분야가 포함되어 있다.

­ 그리고 2050 CFSS 구축방법론 개발과 2050 CFSS 구현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2050 기후변화 예측 및 CFSS 비전제시기후친화적 안전사회(CFSS) 개념정립

CFSS모형개발을 위한 분야별 진단 및 추진과제 도출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 적응역량제고 국토환경관리Ÿ 에너지 분야Ÿ 비에너지 분야Ÿ 생산 및 소비 분야

Ÿ 사회기반시설 분야Ÿ 해양수자원/하천관리Ÿ 농업 및 산림 분야

Ÿ 국토/도시/건축 분야Ÿ 교통 및 물류 분야Ÿ 자연환경 및 생태 분야

관리기반 및 제도Ÿ 라이프스타일 Ÿ 제도 및 거버넌스 체계

CFSS 구축 방법론 개발

CFSS 구현 단계별 로드맵<그림 1-2> 2050 CFSS 연구업무 흐름도

- 8 -

II.II.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개념과 비전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개념과 비전1.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개념

⚬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는 <그림 2-1>과 같이‘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기후에 친화적인 사회 조성과,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피해에 적응하는 기후에 안전한 사회를 조성’한다는 의미이다.

<그림 2-1> CFSS 개념도

IPCC에 따르면, 친화(완화)는 장기적인 피해를 줄이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인간의 삶과 소유물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함을 목표로 한다. 기후친화요소로는 탄소배출을 저감시키려는 노력과 흡수하려는 노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미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예측하여 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IPCC에서는 적응을 ‘새롭게 바뀐 주위 환경 또는 실질적으로 예상되는 기후 영향과 그 결과에 대응하는 자연적, 인공적인 시스템의 적응’으로 정의하고 있다. 관련 요소로는 다양한 의견수렴이 가능한 의사결정 시스템, 홍수 및 산사태,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등의 재난방지 시스템, 자연물에게 양보하는 환경과의 공생, 주거 공간 등 도시의 규모, 생물종다양성 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age 9: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9 -

2. 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가) 인구

o 지속적인 저출산으로 인구 감소

⚬ 우리나라의 총 인구는 2030년 52,160천 명까지 완곡하게 늘어나다 이후 천천히 감소하여 2050년에는 48,12천 명에 이를 전망이다(통계청, 2011). 그런데 생산가능 인구는 2020년 정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측 된다(장인성, 2007).

o 외국인 유입인구의 증가

⚬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동남아여성과의 국제결혼 등 다양한 형태의 국제결혼, 해외이주민, 외국인노동자 등으로 국내 외국인 인구가 증가하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국내의 외국인 수 및 비율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o 급속한 고령화로 인구구조 변화

⚬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나 세계인구의 평균수명이 크게 증가될 것이며, 특히 다수의 선진국은 초고령화 사회로 전환될 것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인구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뒤 2018년에는 노인인구가 14%, 2026년은 20%, 2050년에는 38.2%에 이르는 초고령화 사회를 맞을 전망이다.

(나) 경제

o 경제규모와 구조

⚬ 세계적으로 다자간, 양자간의 자유무역협정의 증대로 세계경제의 통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가 단일화 되고 있다.

- 10 -

⚬ 세계경제에서 신흥개발국(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멕시코)의 경제규모가 커지고 그 영향력 또한 커질 것이다. 또한 세계의 부는 유럽, 미국 중심에서 아시아로 이동할 것이다.

⚬ 미래에는 BRICs(Brazil, Russia, India and China)등이 경제대국이 되어서 현재의 경제대국을 대체할 것이다. 2050년에는 세계 최대 경제대국은 중국으로 45.6조 달러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어서 미국은 38.6조 달러, 인도는 17.8조 달러규모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o GDP 성장률

⚬ 장인성(2007)은 우리나라의 2050년까지의 실질 GDP 예측치는, 2050년까지 실질 GDP는 꾸준히 증가하지만, GDP 성장률은 계속 떨어진다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에 기인하지만 외적으로 경제시장의 위기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또 다른 한편으로는 GDP 성장률이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2010년에는 1조 15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6,640억 달러, 2030년 2조 5,030억 달러, 2050년에는 4조 1,76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 한다.

⚬ 경제규모의 팽창보다 국민행복지수 등 지표개발과 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확산으로 국민 행복관리에 치중하게 된다.

o 환경관련 새로운 사업의 등장

⚬ 환경문제와 관련한 각종 산업이 경제성장과 개발을 주도할 것이다. 나노기술, 태양광·풍력발전, 담수화 공장, 우주탐험 및 환경재건프로젝트 등이 세계적으로 수억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이다(박영숙, 2010).

(다) 환경

o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재해 가능성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현상의 발생 빈도와 강도 증가와 관

Page 10: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11 -

련하여 피해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2050년에 홍수위험에 노출되는 인구는 현재 12억 명에서 16억 명으로 증가되며, 또한 자산은 2010년에 비해 340% 증가하여 45조 US$에 이를 전망이다(OECD, 2012).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름에 집중되는 호우로 인해 재난 중에서도 물로 인한 홍수, 침수피해, 태풍피해 등이 크다. 집중호우의 발생과 홍수에 의한 피해액은 1970년대와 2000년대를 비교하면 약 10배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o 수자원 위기

⚬ 전 세계적으로 수자원과 관련 된 문제발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춘>지에서 2000년 한 기사에서 21세기 물 산업이 석유산업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하였다. 세계은행도 20세기 전쟁이 석유전쟁이었다면 21세기 전쟁의 목적은 물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자원 위기는 곧 식량위기로 이어지며 이는 기아문제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식량무역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김현기 등, 2008).

o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도 상승

⚬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연안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다. 또한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중 해안과 인접해 있는 도시가 많고, 많은 산업단지들이 연안에 인접해 있다. 또한 심각해지는 태풍의 강도는 연안침식의 원인이 될 수 있다(전의찬 등, 2012).

o 생물종 감소

⚬ 전 세계적인 관점에서, 생태발자국을 살펴보면 인류의 사회경제적 활동은 1980년대 중반 이미 지구부양능력한계(생태적 지속가능성)를 넘어섰다고 한다(Living Planet Report, 2008).

⚬ 기후변화는 극한기후의 빈도, 강도증가 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온난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생물의 개화시기의 주기 변화, 극한기후로서 생존 가능한 온도 초과 등의 영향으로서 먹이사슬, 생태사슬이 무너지면서 종의 위기를 맞은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전의찬 등, 2012).

⚬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의 아열대화로 대표수종이 소나무에서 졸참나무로 바뀌며 생태계 구성이 달라질 것이다. 이에 따라 식물과 동물 종은 물론 곤충류와

- 12 -

미생물 등의 생태계도 크게 변화하여 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o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 증가

⚬ 우리나라의 경우, 기상이변으로 인해 크게 하절기의 폭염과 동절기의 한파, 폭우나 홍수 등의 기상재해로 인한 상해 및 사망, 수인성 질환 등의 직간접적 영향, 오존발생도 증가로 인한 호흡기, 심혈관계 등의 영향, 자외선 강화로 인한 피부 관련 질병, 생물환경 변화로 인한 매개곤충으로 인한 발병 등이 예상된다(신용승, 2012).

o 메가시티의 성장과 새로운 도시형태의 발달

⚬ 전 세계에서 인구 천만이 넘는 메가시티는 1950년경 뉴욕과 도쿄 두 곳이었으나 50년 후 21곳으로 늘어났다. 앞으로도 메가시티의 규모와 수는 점점 늘어날 것이다. 또한, 세계의 도시화율은 50%를 넘어서 2050년에는 70%에 이를 전망이다. 도시 거주인구가 배로 증가하여 2007년의 33억 명에서 2050년에는 64억 명이 될 것이다(Smith, 2011).

⚬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화율이 진전되어 2020년에는 95% 수준에 도달하여 전 국토가 도시지역화 될 것으로 보인다(국토연구원, 2012). 만약 별다른 국토균형발전정책이 없다면 수도권 인구집중은 계속 확대되어 2000년 46.3%와 2011년 50.2%에서 2020년 52.3%, 2030년 53.9%에 이를 것이다. 또한,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전 국토 거주인구의 9.8%에 이르러 개방적인 국토이용이 가속화될 전망이다(국토연구원, 2012).

(라) 형평성

⚬ 인프라의 대도시 집중, 자원 분포의 불균형으로 인한 물 분쟁, 식량분쟁 그리고 정보 분쟁 등은 사회의 이분화 및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Smith, 2011).

⚬ 기후변화의 위협과 벌이는 싸움은 국가 간 경쟁 또는 합의를 이끌어낼 것이다. 경쟁의 경우, 수준 높은 환경관측시스템을 갖춘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에 대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정보를 독점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박영숙 둥, 2011).

Page 11: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13 -

(마) 기술개발

o 고가 에너지 시대로 인한 신재생에너지 주목

⚬ 전 세계 에너지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향후 20년간 세계 에너지 수요는 50-100%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석유 생산정점시기인 피크오일(Peak oil)은 2020년경 도달할 것이며 천연가스 생산정점도 2030년으로 예상된다(벵제르, 2007). 국제사회의 저탄소사회 지향의 탄소비용 내부화 추세도 에너지 고가화를 부추길 것이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그러나 에너지 고가화는 경제 및 산업에 큰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청정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 대체 에너지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 기술 개발이 더욱 장려될 것이다.

⚬ 신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자원은 바이오매스에너지, 수소에너지 등과 바람, 파력, 태양에너지 등의 자원이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고효율의 에너지를 낼 수 있는 특징으로 각광받던 원자력에너지는 시설의 위험성 증가로 점점 세계적으로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고 있는 추세이다.

⚬ 현재는 비용문제로 실현가능성이 희박해 보이는 CCS(탄소포획저장) 기술이 미래에는 기술의 발달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도 2050년에는 에너지 수요를 신재생에너지가 20%이상 충족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적으로는 에너지 시스템이 천연가스 중심으로 재편이 되며, 원자력 발전소 추가 증설은 곤란한 상태에 놓여 있다.

o 농업기술의 혁신

⚬ 미래에 우리나라는 식량수급의 불안정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쌀 외에 다른 곡물, 야채, 과일 등은 중국 등에 의존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질 것이다.

⚬ 하지만 농업을 통해 농산물 생산 뿐 아니라 바이오연료 등을 생산함으로서 에너지를 농업에서 가져오는 ‘신농업혁명’이 도래할 것이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해수농업 발달 등 기존의 농업의 한계를 극복하게 될 것이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또한 식량 부족에 대비하여 농업 및 식품 기술이 향상될 것이다.

- 14 -

o 물, 식량 부족으로 인한 물, 식량 안보가치 증대

⚬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심화는 세계 물 사용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농업분야에 대대적인 변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Royal Society, 2004). 관개기술, 가뭄종자 개발 등의 전통 농업의 변화와 맞물려 새로운 패턴의 농업이 필요할 것이며 그 대안으로 ‘도시 농업(Vertical Farming)’이 제시되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도시 내에서 물 수요관리 및 물 재활용을 촉진하는 정책 및 기술이 중요해질 것이다.

⚬ 많은 전문가들이 물로 인한 세계적인 분쟁을 우려하였으나(코피 아난, 반기문 UN사무총장 등) 실제로 아직까지 물로 인한 급격한 대립은 발생하지 않았다. 미래에는 물로 인한 분쟁이 식량이라는 이름의 분쟁으로 대체되어 나타날 것이다.

⚬ 우리나라는 현재, 곡물자급률이 25.3%로 OECD국가 최하위권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그에 따른 세계 곡물공급부족 등은 국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전의찬 등, 2012).

o 고도정보화, 가상지능공간의 등장

⚬ 전 세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인터넷 네트워크 발달 및 스마트폰 보편화로 인해 지금은 유비쿼터스 생활이 가능해 졌다. 그러나 앞으로 가상공간에 대한 의존도와 접근성은 더욱 커질 것이며 그로 인한 사생활 문제 등이 심각해 질 것이다.

⚬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트랜트가 ‘빅데이터’이다. 데이터의 규모와 다양성이 증대됨에 따라 데이터 해석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손실과 왜곡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o 자원절약형, 환경친화적 기술 기반 자원순환형 사회에 대한 필요성 증가

⚬ 우리나라 미래사회는 시설이나 설비의 과잉공급을 줄이는 수요관리, 방법개선, 새로운 아이디어 적용, 최적관리방안 확산 등 연성적 해결책이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하게 적용될 것이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Page 12: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15 -

o 지구 기상재난 증가로 사전 예방적 기술 발달

⚬ 기후변화로 인해 불확실성이 큰 기상이변이 예상됨으로서 이를 사전에 예측하고 방어하기 위한 사전 예방 기술이 고도로 발달할 것이다.

o 기후변화 및 에너지원의 변화로 새로운 운송수단 등장

⚬ 화석연료 사용에 제한이 걸리고,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기후적 제약조건들이 생기면서 기존의 육로 사용에 변화가 올 것이다. 육로가 만들어진 대지층은 지하대수층의 침하, 영구동토층의 해빙 등의 육지조건 뿐 아니라 극심한 기상현상 등 기후조건에 제약이 많다. 따라서 미래에는 세계적인 운송수단이 육로가 아닌 해로로 개척될 것이다(Smith, 2011).

(바) 거버넌스

o 남북한 교류확대 또는 통일 가능성

⚬ 미래에 가능할 수 있는 통일은 사회, 경제 전반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물리적으로는 국토의 확대, 인구증가, 자원증가 등의 이점이 있으나 재건을 위한 사회경제적 비용, 물질적 지원 등이 많은 부분에서 필요하게 될 것이다.

o 새로운 거버넌스 계획 및 구성 주체의 등장

⚬ 기존 정부 및 정책결정자에서 내린 결정으로 행정사안이 결정되는 기존 거버넌스에서 앞으로는 새로운 개념의 거버넌스 주체가 등장할 것이다. 새로운 주체는 수평적 정책조정 뿐 아니라 상위의 정책결정자와 시민 사이의 협력적 관계를 도우며, 공공과 민간영역의 다양한 주체들 사이의 거버넌스를 돕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김정해, 2012).

⚬ 우리나라에서는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는 정부혁신의 필요성에서 촉발되었고,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김정렬, 2000). 이 흐름은 국가중심에서 분권화, 시장중심이 이분법적인 생산과 소비가 아닌 프로슈머의 개념으로의 변화와도 관련이 깊다.

- 16 -

o 도시간의 연합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 세계의 주요 대도시들은 국가의 테두리를 넘어서 도시간의 연합을 통해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할 것이다(최현선, 2012).

(사) 라이프스타일

o 웰빙, 웰다잉 문화

⚬ 소득수준이 증가하여 의식주문제가 삶을 위협하지 않는 수준이 되고, 삶의 여유가 생기는 국민들은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의식이 증가할 것이다. 실제로 선진국에서는 웰빙에 대한 관념 이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o 실버산업 발달

⚬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층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사업형태인 실버산업의 혁신적인 발달을 가져올 것이며, 전체적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o 다문화 사회

⚬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하고, 자국민과 혼인하는 외국인이 늘어나면서 오랫동안 단일민족으로 유지되어온 사회에 변화가 생길 것이다.

o 이성보다 감성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의 변화

⚬ 오랜 기간 동안 서구의 정신세계를 지배해온 인간·과학 중심적이고 객관적이며 합리적인 사고는 산업화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현대 사고를 지배해왔다. 그러나 <드림 소사이어티>의 저자 랄프 욘센은 정보화 사회 이후에는 이성보다 감성이 지배하는 감성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Page 13: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17 -

o 주 소비자가 여성과 노인으로 변화

⚬ 급속한 고령화는 기업경영, 마케팅 분야의 새로운 기회와 위협을 제공한다. 우리나라보다 고령화가 일찍, 빨리 찾아온 일본의 경우는 고령화 여파로 인해 9대 사양 산업이라고 불리는 분야(철도, 편의점, 악기, 대학, 학원, 제과, 혼수, 베이비용품, 아동용품)가 생기고, 반대로 노인을 소비자로 고려하는 새로운 산업분야가 성장하고 있다(김현기 등, 2008). 또한 전 생애에 걸쳐 여성의 경제력 및 구매력이 남성을 압도하고 있다. 이는 경제와 산업의 목표가 지금부터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o 새로운 세대의 시대

⚬ Why세대는 1984-1992년에 태어난 젊은이들로, 이전 세대에 비해 인터넷 환경에 익숙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전 세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한다. 또한 글로벌 문화에 개방적이고 타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

o 동양 전통적 삶의 방식 지향

⚬ 세계의 경제적 주도권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옮겨가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의 경제성장을 서구 소비자의 삶의 방식, 서구의 물질만능주의로 이끌게 된다면 세계자원과 환경부담은 가속화될 것이다. 지속가능한 미래는 물질만능주의를 지양하고 아시아의 전통적인 가치 안에서 찾아야 한다(박영숙 등, 2011).

o 건축물에 대한 개념 전환

⚬ 2010년 에너지 총량제 도입으로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인 건축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기존 건축물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요즘은 건물의 냉난방에 사용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가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의 건축물 형태는 이처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 18 -

3. 2050 미래사회의 기후변화 전망과 취약성⚬ 전 지구적으로 지금보다 급격하게 평균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구평균기온의 상승 속도가 점차 빨라져 2050년에는 16.4℃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최근 30년(1971~2000년) 평균기온 14.1℃ 보다 2.3℃ 상승한 것으로 지난 100년간 상승한 것 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평균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2050년까지 지난 100년간(+1.8℃)보다 약 2배(+3.2℃)가 상승하여 대부분 지역이 아열대화 될 것으로 전망한다.

⚬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이 길어지며 겨울이 짧아지고 봄은 다소 늘어날 전망이다.

⚬ 2050년대 연평균 강수량은 1,461mm로써 현재보다 15.6% 증가하고 지역별로 집중호우의 가능성이 증대할 것이다.

⚬ 2050년까지 전 해상 평균 27cm 상승하며 침수, 해일 등 연안지역의 재해 피해 증가가 우려된다. 해안별로는 동해안이 34.9cm로 가장 많이 상승하고 남해안이 23.4cm, 서해안이 22.8cm 상승될 전망이다.

⚬ 폭염과 열대야 등 고온 현상 발생이 3~6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강력한 태풍의 발생 증가 및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고위도까지 태풍, 강풍, 호

우 등 피해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에서는 크게 건강, 재해 및 재난, 농업, 산림, 물 관리, 해양수산, 생태계

분야로 나누어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였다(환경부, 2012).

­ 기후변화는 모두 인간의 건강에 큰 위협요인을 증가­ 재해, 재난부문은 크게 홍수, 폭염, 폭설로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강수량

증가, 극한기후 증가가 요인임­ 농업 분야는 총 강우량, 강우 빈도와 강도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산림 분야는 산

사태, 산불, 수목 병해충, 산림 생산성에 영향을 받음­ 물 관리 분야에 해수면 상승, 가뭄의 주기 증가, 연강수량 증가라는 직접적인 영

향으로 인해, 하천의 유량 및 수온의 변화에도 영향을 끼침­ 해양 수산 분야는 해수면 상승, 해수온 증가가 큰 영향을 끼침­ 생태계 분야에서는 식생군락의 위치 북상, 먹이사슬 및 순위의 변경이 일어남

Page 14: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19 -

4.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비전(가)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시나리오 구축 절차

⚬ 기후변화의 위협이 보다 구체화되고 위력적이 될 수 있는 2050년을 목표로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비전 및 로드맵 제시를 위한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시나리오 구축은 <그림 2-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 협의체인 IPCC의 미래 시나리오의 기본 가정과 특성을 바탕으로 국내 사회에서의 기술 및 경제 변화 전망을 고려하여 기후친화적 안전사회(CFSS) 시나리오의 속성을 정리하고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림 2-2>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시나리오 구축 방법

- 20 -

(나) 기후변화 대응 시나리오의 주요사례

⚬ 적응능력과 저감능력이 가장 안 좋은 상태를 CFSS 1인 BAU(Business As Usual)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감축 정책에 초점을 두었을 경우 예상되는 기후친화적 저탄소사회의 모습을 CFSS 2 시나리오로, 적응 정책에 중점을 두었을 경우 예상되는 사회를 CFSS 3 시나리오로, 가장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사회를 CFSS 4시나리오로 가정하였다.

(다) 2050 CFSS 시나리오와 유형별 모습 1) CFSS 1 시나리오 ⚬ CFSS 1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필요한 적응 및 감축 액션을 취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고 예상되는 사회이다. 즉, 각 종 기술개발이 정체되어 소비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이다.

⚬ 현재의 개발방향 또는 인구성장, 라이프스타일 등 인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저감 또는 적응 측면의 대책을 실행하지 않는다는 가설을 기본으로 한다.

­ 구체적인 사회의 모습은 에너지의 수급이 기존의 화석연료에서 얻는 방식이 고수되고, 고칼로리 식단을 요구하는 등 에너지소비량이 많다. 또한 인구밀도가 높고, 불평등이 만연하여 미래에 대한 투자가 적은 사회로 가정한다.

2) CFSS 2 시나리오 ⚬ CFSS 2 시나리오는 사회발전방향을 기후친화에 초점을 맞추어 온실가스 감축

및 흡수에 관한 기술들이 발전하고, 라이프스타일도 저탄소사회를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설정이 된다.

⚬ 탄소 흡수량 증가를 위한 산림관리, 전기(에너지)효율 증가, 신재생 에너지 기술 발달, 친환경 대중교통 발달, 친환경적인 사업의 발달 등 온실가스 감축에 중점을 둔 정책이 주를 이루며 고밀도 압축도시 성장과 폐기물 증가, 이상 기후로 인한 기상재해의 증가 등 기후변화 적응에는 실패한 사회모습의 특징을 나타낸다.

Page 15: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21 -

3) CFSS 3 시나리오⚬ CFSS 3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적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사회로, 상대적

으로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사회이다. ⚬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면, 화석연료 소비량이 많고,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 감

축이 어려운 사회이나 사람들은 환경영향이 낮은 생활, 즉 계절식품을 섭취하고 폐기물을 순환시켜 최소화한다.

⚬ 이 사회는 도시 간 거버넌스 발달과 높은 정보력 및 시스템 발달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 적응력이 높은 사회 모습을 나타낸다.

4) CFSS 4 시나리오⚬ CFSS 4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저감과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적응력 향상 모두

를 통합한 사회의 모습을 나타낸다. ⚬ 본 시나리오에서 정책결정을 위해서는 기후변화 저감대책과 적응대책의 상충

성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신재생 에너지개발의 경우 직접적으로 탄소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의

측면도 있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로 전기 공급에 문제가 생겼을 때, 화석연료 및 원자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에너지원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반면, CFSS 4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반응과 현재의 국가구조 또는 의사결정기구의 변화, 그리고 국가별 경제적 이해관계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 22 -

(라)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비전

⚬ 2050년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저탄소사회 형성을 목표로 하였다.

⚬ 2050년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를 형성하기 위해 4대 전략 13개 분야의 정책과제를 도출 하였다.

⚬ 4대 전략으로는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 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기반 및 제도강화를 채택하였다.

<그림 2-3>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구축 체계도

Page 16: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23 -

5.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관리목표와 접근방안(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 국내 현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2050년의 목표 감축량을 2005년 배출량 기준 50% 수준으로 설정하였고, 2020년 목표 감축량은 녹색성장위원회의 3가지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배출목표는 2020년에 569백만톤 CO2, 2030년에 512 백만톤 CO2, 2050년 285 백만톤 CO2로 설정하였다.

(나) 기후변화 적응목표

⚬ 기후변화의 적응목표수립을 위해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요인을 파악해야한다. 대표적인 기후변화 현상은 기온 상승, 극한 기후 사상으로 인한 홍수·가뭄, 해수면 상승 등이 있다. 기후변화 적응목표는 〔표 2-1〕의 적응역량 제고분야 관리목표와 같다.

분 야 내 용 관리 목표

경제 및 산업 활동

개선

에너지

온실가스배출 관리

Ÿ 기후에 민감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탈탄소화 구축

비에너지 Ÿ 순환형 자원 활용생산활동 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Ÿ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소비생활 Ÿ 자원 절약 및 순환형 소비형태 정착

적응 역량 제고

사회기반시설기후변화 영향에의 적응

- 기온상승 - 극한기후

- 해수면상승 등

Ÿ 재해, 재난대비 사회기반시설 구축농업 및 산림 Ÿ 농업생산성 확보 및 유지

Ÿ 산림재해방지해양 수자원 및

하천관리Ÿ 수산자원 보전 및 연안지역 보호Ÿ 홍수 등 재해방지 및 수질 개선

환경보건 Ÿ 취약/위협 건강요인 제거 및 관리

국토환경 관리

국토/도시/건축온실가스배출 관리 및

기후변화 영향에의 적응

Ÿ 균등한 국토구조 구축Ÿ 적정 밀도의 도시구조 및 자원순환형 건축 개발

교통 및 물류 Ÿ 친환경교통체계 구축Ÿ 교통/물류 기술개발 촉진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Ÿ 청정 환경 유지 및 생물다양성 확보Ÿ 도시 내 자연환경 확보

관리기반및

제도강화

라이프스타일관리 시스템 구축

Ÿ 제로/플러스 탄소 라이프스타일거버넌스 Ÿ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의사결정체계 구축

[표 2-1]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를 위한 관리목표

- 24 -

III.III. 2050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 활동 증진 2050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 활동 증진1. 에너지

(가) 현황과 전망1)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 현황⚬ 우리나라의 에너지 이용 구조에서의 특징은 에너지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에너

지 이용효율성이 낮은 편이다. 우리나라의 최종 에너지 소비는 1990년~2011년 기간 중 연평균 9.3%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는 전년대비 3.23% 증가하였다.

­ 최근 Enerdata의 자료에 의하면, 2010년 대비 중국과 인도의 에너지 수요는 각각 7.7% 및 6.2% 증가하였으나, G20 국가의 에너지 수요증가세는 2%대로 둔화되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주로 냉난방에서의 에너지 수요 감축으로 6.6% 하락하였다1).

⚬ 우리나라 에너지 사용구조의 두 번째 특징은 에너지전환손실률2)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

­ 1980년대에는 평균 18.9%의 에너지전환손실률을 보였으나 1990년대 들어서서 평균 23.1%으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에너지전환손실률이 더욱 증가하여 현재 약 29%대의 에너지전환손실률을 보이고 있다.

2) 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 2050년의 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에 있어, 기존 연구에서는 에너지 수요가 증

가할 것이라는 전망과 여전히 에너지 수요는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비되고 있다.

⚬ 먼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은 이동근 등의 연구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연구에서 볼 수 있다.

⚬ 이동근 등의 연구는 2050년을 시나리오 A와 B를 설정하여 2050년 에너지 수요를 전망하였다.

1) Enerdata(2012), Sluggish growth of World energy demand in 2011.2) 에너지전환손실율이란 1차에너지에서 최종에너지로 전환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에너지전환손실율차에너지소비량차비에너지유

차에너지소비량차비에너지유최종에너지소비량최종비에너지유3) 국회예산정책처(2012), 인구전망과 에너지수급 전망.

Page 17: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25 -

­ 두 가지 시나리오는 GDP 성장률, 인구, 가구, 평균가구원 수, 평균바닥면적, 도시화율, 산업구조 요인에 대한 과거 변화추이와 공표된 국가자료를 통해 2050년 사회를 전망하였다([표 3-1] 참조).

GDP성장률(%)

인구(천명)

가구(천 가구)

평균가구원수(명)

평균바닥면적(1인당 ㎡)

도시화율(%)

산업구조1차 2차 3차

2005년 4.2 48,138 15,971 2.89 20.2 80.8 3.9 32.7 63.42050년 A 3.36 42,343 18,330 2.21 40 93 1.8 23.2 75.02050년 B 2.98 43,623 18,252 2.39 36 88 2.5 27.0 70.5

[표 3-1] 2050년 사회․경제적 시나리오 A와 B

자료 : 이동근, 박찬(2012), 미래 시나리오에 기초한 2050년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 2050년 A 시나리오는 공공과 기업의 투자와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수요는 2005년 대비 2050년에 43% 증가하여 228 백만 TOE에서 327 백만 TOE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산업부문은 38%, 가정부문은 51%, 상업 및 공공부문은 69%, 여객부문은 5%, 화물부문은 4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2] 참조).

⚬ 2050년 B 시나리오는 저탄소사회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규제정책으로 2005년 대비 2050년에 에너지 수요는 26% 증가하여 228 백만 TOE에서 288 백만 TOE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산업부문은 31%, 가정부문은 241%, 상업 및 공공부문은 42%, 화물부문은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객부문은 오히려 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50년 A 2050년 B산업 가정 상업 여객 화물 합계 산업 가정 상업 여객 화물 합계

에너지 수요 증가율(%) 38 51 69 5 46 43 31 24 42 -5 15 26

[표 3-2] 2005년 대비 2050년 시나리오별 에너지 수요 증가율 전망

자료 : 이동근․박찬(2012), 미래 시나리오에 기초한 2050년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 에너지경제연구원의 내부 자료에 의하면4) 2030년 에너지 수요(총에너지 기준)4) 전문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은 KEEI에너지 모형을 이용하여 장기 에너지수요를 예측하고 있으나, 2050년의 장기에너지 수요

예측자료는 공식적으로 발간하지 않고 있다. 이 자료는 www.energyplus.or.kr/090129_mke/energy_basic/Link.../2-2.pdf 검색일(2012년 8월 20일)에서 추출한 것이다.

- 26 -

는 342.8 백만 TOE로 2010년 258.7 백만 TOE에 비해 32.5%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비공식 자료에 의하면 2005년 대비 2050년에 약 82%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2050년까지 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기기효율

증가, 에너지원 사용구조의 변화, 저탄소에너지 사용 등으로 온실가스는 2005년 대비 2050년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2050년 시나리오 A는 2005년 대비 2050년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17% 저감될 것으로 전망하였다([표 3-3] 참조).

­ 2050년에 온실가스를 기기효율 증가부문에서 31%, 에너지 사용구조의 변화부문에서 13%, 저탄소에너지 사용부문에서 17%를 저감시켜서 합계 17%를 감소시켜 총 412.1 백만톤 CO2를 배출할 것이다.

⚬ 2050년 시나리오 B는 2005년 대비 2050년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38% 저감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2050년에 온실가스를 기기효율 증가부문에서 28%, 에너지 사용구조의 변화부문에서 15, 저탄소에너지 사용부문에서 21%를 저감시켜서 합계 38%를 감소시켜 총 311.2 백만톤 CO2를 배출할 것이다.

2050년 A 2050년 B산업 가정 상업 여객 화물 합계 산업 가정 상업 여객 화물 합계

기기효율 -12 -42 -37 -54 -60 -31 -13 -36 -32 -48 -50 -28에너지 전환 -9 -6 -19 -29 -14 -13 -11 -13 -25 -18 -15 -15저탄소에너지 -19 -24 -31 2 1 -17 -20 -23 -32 -8 -19 -21

합계 -2 -21 -18 -75 -27 -17 -14 -48 -48 -79 -70 -38

[표 3-3] 2005년 대비 2050년 시나리오별 온실가스 배출 저감률(단위 : %)

자료 : 이동근․박찬(2012), 미래 시나리오에 기초한 2050년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40년이 지나면서 에너지 수요는 거의 정체되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2050 CFSS를 구축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는 2030년에 512 백만톤 CO2, 2050년 285 백만톤 CO2으로 설정하였다.

Page 18: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27 -

(나) 에너지 분야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에너지

2020 Ÿ 에너지수요관리 강화Ÿ 에너지효율화 추진

Ÿ 화석연료 기인 온실가스 배출 감축 강화

Ÿ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확대Ÿ 배출권거래제도 시행 정착

Ÿ 환경-경제 통합모형과 배출량 예측 모형 개발

Ÿ 이론적 모형 개발 및 실증적 모형Ÿ 구축Ÿ 모형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과제 도출

Ÿ 에너지수요관리 강화Ÿ 자발적 협약 확대Ÿ 에너지진단 의무화제도 확대Ÿ 에너지사용계획 협의제도 확대

Ÿ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탄소추적 모형 개발

Ÿ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Ÿ 탄소 추적과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기후 전망

Ÿ 에너지효율화 추진 Ÿ 에너지소비등급표시제 강화Ÿ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확대

2030

Ÿ 신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공급능력 확충

Ÿ 온실가스 조기감축 촉진

Ÿ 신재생에너지 산업 확대Ÿ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산업Ÿ 육성을 위한 지원 강화Ÿ 집단에너지 공급 확대Ÿ 천연가스 공급 확대

Ÿ 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감축 촉진

Ÿ 배출권거래제 시장의 확대(지자체,Ÿ 도시 분야로 확대)

2050 Ÿ 탈탄소화 추진

Ÿ 저탄소에너지 사회 Ÿ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CCS 부착 화석연료 기반 전력 공급 추진

Ÿ 지역에너지수요와 지역기반 저탄소에너지 공급

Ÿ 태양광, 풍력, 조력 바이오매스, 지력 등 지역특성에 맞는 저탄소신재생 에너지 공급 확대

Ÿ 무탄소 차세대 연료 확충 Ÿ 수소연료 등 무탄소에너지 공급Ÿ 시스템 인프라 개발

[표 3-4] 에너지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28 -

2. 비에너지(가) 현환 및 전망

1) 배출 전망과 감축목표⚬ 국가보고서에 의하면, 비에너지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2009년)은 전체 배출량

의 15.1%로 에너지 분야에 비해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편이다. 산업공정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56.7 백만톤 CO2로 전체의 9.3%를 차지하며, 농업부문이 19.3 백만톤 CO2(3.3%), 폐기물이 15.1 백만톤 CO2(2.5%)이다([표 3-5] 참조).

⚬ 저감노력이 없을 경우, 2020년 배출량 전망을 보면, 산업공정부문에서의 배출량은 2005년 대비 81.9% 증가하여 전체 배출량의 15% 정도 차지할 것으로 보이나, 농업부문과 폐기물부문에서는 각각 7.4% 및 15.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충실히 이행할 경우, 산업공정부문에서의 배출량은 2020년에 2005년 대비 10.3% 감소하여 전체의 배출량 542 백만톤 CO2 중 10.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다음이 농업부문 17.5 백만톤 CO2(3.2%), 폐기물부문 12.1 백만톤 CO2(2.2%) 등의 순이다.

실적 저감노력이 없을 경우 감축목표 추진 시

2005 2009 2015 20202005년대비 2020년 증감률

2015 20202005년대비 2020년 증감률

에너지 469.6 516.0 588.0 626.6 33.4 542.7 454.9 -3.1 (82.3) (84.9) (82.9) (80.8) (85.1) (83.9)

비에너지

산업공정

64.1 56.7 86.7 116.681.9

62.5 57.5-10.3 (11.2) (9.3) (12.2) (15.0) (9.8) (10.6)

농업 20.3 19.8 19.5 18.8 -7.4 19.0 17.5 -13.8 (3.6) (3.3) (2.8) (2.4) (3.0) (3.2) 폐기물

16.3 15.1 14.8 13.8-15.3

13.5 12.1-25.8 (2.9) (2.5) (2.1) (1.8) (2.1) (2.2)

총배출량 570.3 607.6 709.0 775.8 36.0 637.7 542.0 -5.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표 3-5] 비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의 대비

Page 19: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29 -

(나) 비에너지 분야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비에너지

2020

Ÿ 산업공정부 대체물질 개발

Ÿ 농업/폐기물 비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Ÿ Non-CO2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감축 정책 추진

Ÿ 자발적 협약, 온실가스 감축 목표제 도입

Ÿ 산업공정 개선 및 대체물질 개발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Ÿ 비에너지 부문 중장기 배출량 및 감축 목표량 설정을 위한 예측 모형의 개발 및 구축

Ÿ 탄소성적표시제 도입 확대 Ÿ 상품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량 표기 확대

Ÿ 농업분야의 탄소상쇄제도 및 저탄소직불제 프로그램을 도입

Ÿ 무경운 보전, 겨울철 녹비작물재배, 화학비료 감축, 바이오 가스 활용

Ÿ 실천 유형별 직불금 지급, 피복작물 재배농가 지원

Ÿ 폐기물의 발생 억제, 재활용 활성화 정책 추진

Ÿ 매립처리 최소화 및 열 회수 비율 증대

Ÿ 하·폐수 처리 강화 및 재활용율 증대

2030Ÿ 지구자원의 한계에

도달Ÿ 폐기물 자원순환

정착

Ÿ Non-CO2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감축 정책 추진

Ÿ 자발적 협약, 온실가스 감축 목표제 확대

Ÿ 산업공정 개선 및 대체물질 보급 활성화

Ÿ 탄소성적표시제 적용 의무화

Ÿ 모든 상품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량 표기 의무화

Ÿ 친환경농업 실천 확대와 농업분야 저탄소기술 개발을 지원 추진

Ÿ 신재생에너지 활용 보급, 간단관개 실천농가 지원, 농업용 LED 도입 추진

Ÿ 토양탄소 저장 사업 단계적 추진

Ÿ 폐기물 자원순환 정책 정착

Ÿ 폐기물의 재사용, 재생이용 등 사회 인프라 정착

Ÿ 하·폐수 재활용 정착

2050Ÿ 지구 이외에서의

자원 탐색 모색Ÿ 폐기물 처리문제

확대

Ÿ Non-CO2 산업생산 기술의 확산

Ÿ 개발된 산업생산 기술 및 대체물질의 국제화 추진

Ÿ 친환경농업 실천 확대와 농업분야 저탄소기술 개발을 지원 확대

Ÿ 신재생에너지 활용 보급, 간단관개 실천농가 지원, 농업용 LED 확대

Ÿ 토양탄소 저장 사업 추진 확대

Ÿ 제로 폐기물 사회 모형 개발 및 구축

Ÿ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목표량 설정을 위한 예측 모형 구축

Ÿ 기초 연구결과 추진

[표 3-6] 비에너지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0 -

3. 생산 활동(가) 현황과 전망

1) 녹색 제품⚬ 녹색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개념은 ‘에코디자인’ 이다. 녹색

제품 생산을 위해 에코디자인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미 생산이 이루어진 후에는 개선방안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에코디자인은 전과정사고(Life Cycle Thinking)에 기초하고 있으며 제품의 중요 환경성 측면을 규명하고 정량화함으로써 환경영향 즉,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 한다.

2) 자원순환형 생산시스템⚬ 우리나라 제조업의 주축인 전기․전자, 자동차 산업에서 저탄소 제품 생산을 위

해 특히 중요한 과제로는 자원순환형 생산시스템 구축을 들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개념이 ‘도시광산(Urban Mining)’ 이다.

⚬ 우리나라는 철광석의 97%, 동, 연 및 아연의 10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0년 희유금속 수입액은 93억 달러로 2001년 수입액 26억 달러와 비교하면 10년 사이에 약 3.5배가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15%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희유금속 35종 중 25종은 생산량 상위 3개국이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그중 17종은 생산량, 매장량 상위 3개국이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 희유금속의 수요전망과 수입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금속 재활용율은 20% 내외로 독일, 미국, 일본 등과 큰 차이가 있다([표 3-7] 참조).

항목 한국 독일 미국 일본구리 12% 54% 30% 70%

알루미늄 18% 35% 36% 21%납 20% 59% 75% 95~100%

[표 3-7] 국가별 금속 재활용율

⚬ 주요 비철금속 가격은 시황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커 이의 수급을 위한 대응책으로 도시광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Page 20: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31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생산 활동

2020 Ÿ 자원순환Ÿ 확대

Ÿ 핵심 주력산업의Ÿ 지속적인 혁신 추진

Ÿ 에너지 효율 향상, 신기술 개발 적용, 금융 정책적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지원

Ÿ 주력 산업의 녹색화에 대한 세제 혜택 지원

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Ÿ 자원의 선순환 사용 구조 시범 구축Ÿ 희유금속 순환사용벨트 시범 조성Ÿ 핵심원천기술에 대한 기술별 개발 로드맵 수립

2030 Ÿ 자원생산성이 높아짐

Ÿ 핵심 주력산업의 지속적인 혁신 확대

Ÿ 에너지 효율 향상, 신기술 개발 적용, 금융 정책적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지원 확대

Ÿ 주력 산업의 녹색화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확대

Ÿ 자원의 선순환 사용 구조 구축 확대 Ÿ 희유금속 순환사용벨트 조성 확대Ÿ 핵심원천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 확대

Ÿ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Ÿ 시장메커니즘을 통한 자금 공급을 유도하는 제도 마련

Ÿ 녹색기술 및 산업에 대한 인증제도 도입Ÿ 녹색금융 보증제도 도입, 공적 연기금 활용,

녹색투자자에 대한 세제 지원Ÿ 아시아 지역 배출권 거래소 운영, 탄소시장을

위한 종합금융회사 설립

2050 Ÿ 높아진 자원확보 전쟁

Ÿ 핵심 주력산업의Ÿ 지속적인 혁신 정착

Ÿ 에너지 효율 향상, 신기술 개발 적용, 금융 정책적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지원 정착

Ÿ 주력 산업의 녹색 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 정착

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완료

Ÿ 자원의 선순환 사용 구조 구축 정착Ÿ 희유금속 순환사용벨트 정착 Ÿ 핵심원천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결과 도출 적용

Ÿ 녹색금융 인프라 정착

Ÿ 시장메커니즘을 통한 자금 공급을 유도하는 제도 정착

Ÿ 녹색기술 및 산업에 대한 인증제도 확대Ÿ 녹색금융 보증제도 도입, 공적 연기금 활용

녹색투자자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Ÿ 아시아 지역 배출권 거래소 운영, 탄소시장을

위한 종합금융회사 활성화 유도

[표 3-8] 생산활동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2 -

4. 소비 생활(가) 현황과 전망

⚬ 한국의 석유 소비량은 세계 7위, 원유 수입은 세계 4위에 있다. 한국의 금속광물 소비량은 세계 6위로, 광물자원 수입의존도는 2010년에 94.8%까지 치솟았다(광물자원공사, 2011). 육류소비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0년에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의 1인당 소비량은 19.9kg이었으나 2010년에는 38.8kg으로 2배 늘었으며, 이중 2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농림수산식품부, 2011).

⚬ 반면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2011년 기준으로 504명/㎢으로 세계 20위권이며, 2008년 우리나라 1인당 생태발자국은 4.6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149개국 가운데 29번째로서, 세계 평균 2.7 ㏊에 비해 약 1.7배 높고 독일(30위, 4.53 ㏊)과 일본(37위, 4.14 ㏊)을 앞지른 수준이다. 또한 자국의 자연자원과 소비수준, 생태발자국 등을 감안할 때 해외 의존도가 세계 4위로서 다른 나라에 92%를 의존하고 있다(Global Ecological Footprint, 2012).

⚬ 국민 1일 1인당 물 사용량은 2000년 380ℓ에서 2005년 351ℓ, 2009년 332ℓ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비율은 2009년 61.1%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일 1인당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은 2004년 0.24kg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08년 0.31kg을 기록한 후 2009년 0.29kg으로 감소하였고, 1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2009년 1.04kg으로 2008년 1.07kg보다 0.03kg 감소하였다.

o 환경라벨링제도 등 녹색제품 확대 정책 추진

⚬ 정부는 1990년대 초반부터 대량생산-대량소비-대량폐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장기반형 녹색소비 정책을 도입하였다. 대표적인 정책이라 할 수 있는 환경표지제도와 에너지절약 인증제도, 재활용제품 인증제도 등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이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자로 하여금 친환경제품의 기술개발을 촉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o 공공기관의 친환경제품 구매 증가

⚬ 공공기관의 녹색구매실적은 2010년 1조 6,412억 원에 달한다(〔표 3-9〕 참조).

Page 21: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33 -

⚬ 녹색구매제도 운영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2005년 7월부터 2010년말까지 공공기관이 조달청에서 구매한 녹색제품만 갖고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약 268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구 분 ’03 ’04 ’05 ’06 ’07 ’08 ’09 ’10

계 2,626 2,549 7,870 8,616 13,437 15,817 16,298 16,412

[표 3-9]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실적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녹색소비

2020Ÿ 환경라벨링제도

의 개편Ÿ 환경친화적 조세Ÿ 개편 Ÿ 공공녹색구매

촉진

Ÿ 녹색소비 정보체계 개편Ÿ 산업계의 녹색제품 개발 생산 장려Ÿ 제품의 환경광고 공정성 평가 강화Ÿ 녹색소비 정보망 구축‧ 운영

Ÿ 녹색소비자 인센티브 도입 Ÿ 저탄소제품에 탄소세 저감Ÿ 저소득층 녹색구매 바우처제도 시행

Ÿ 녹색유통 및 녹색생산 촉진

Ÿ 녹색매장 지정 확대 및 조세감면 지원Ÿ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확대Ÿ 녹색유통 촉진 및 녹색구매 확산

Ÿ 공공녹색구매 촉진 Ÿ 기관운영 녹색화와 녹색구매제도 연계 운영

2030Ÿ 녹색정보체계

강화Ÿ 공공녹색구매

촉진

Ÿ 녹색소비 정보체계 강화Ÿ 각종 라벨링제도 통합과 탄소라벨제도

시행Ÿ 소비자 선택조정 정책 강화

Ÿ 녹색소비자 인센티브 강화Ÿ 환경 친화적 가격 및 조세 체계 확립Ÿ 녹색제품 구매 시 소득공제 추진Ÿ 공유경제 등 대안경제 확산 방안 마련

Ÿ 공공녹색구매 정착 Ÿ 정부조달에 Total Life Cycle Costing 도입

2050 Ÿ 친환경 대안경제Ÿ 확산

Ÿ 녹색소비 정보체계 정착 Ÿ 저탄소 라벨링제도 의무 시행

Ÿ 저탄소 공유경제체제 확산 Ÿ 협력적 녹색소비 촉진 방안 강화

[표 3-10] 녹색소비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4 -

IV.IV. 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1. 사회기반시설

(가) 현황과 전망

⚬ 사회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연구(명수정 외, 2009)에 따르면 기후 사상별 10순위 사회기반시설 중, ‘해수면 상승’과 ‘태풍 및 폭풍’에 대한 취약 기반시설 1위가 항만이었다.

⚬ 또한 예상피해가 크며 적응이 시급하다고 나타난 기후사상과 기반시설의 2위가 ‘태풍 및 폭풍’에서의 항만으로 나타났고, 1위는 ‘홍수 및 집중호우’에서의 하천시설이었다.

⚬ 이것은 태풍 및 폭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연안의 주요 시설물인 항만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이 높으므로 연안지역의 경우 내륙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시설물 이외에 항만시설과 같은 연안의 고유한 시설물에도 안전성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그림 4-1> 참조).

<그림 4-1> 사회기반시설별 기후변화 영향 평가

Page 22: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35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사회기반시설

2020 Ÿ 자연재해 피해증가 Ÿ 사회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실행

Ÿ 지역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발

Ÿ 지역의 적응시스템을 보다 탄력적으로 운용

2030 Ÿ 자연재해 적응사회기반시설

Ÿ 기후변화 적응형 사회기반시설 보급

Ÿ 지역 기후변화 적응 사회기반 시설 개발Ÿ 지역의 적응시스템을 고려한

사회기반시설 운영

2050 Ÿ 재해에 적응 가능한 사회기반시설 운영

Ÿ 사회기반시설과 연동한 지역 특화형 적응방안 시행

Ÿ 자연재해 대응 사회기반시설 보급Ÿ 기후변화 적응시스템, 적응 사회기반 시설

운영

[표 4-1] 사회기반시설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 36 -

2. 농업 및 산림(가) 현황과 전망

1) 농업⚬ 농업분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은 온도변화와 속도, 적응역량, 사회경제적 반

응 경로에 따라 달라지며 시간에 따르는 부문별 영향은 다음과 같다(<그림 4-2> 참조).

<그림 4-2> 기간에 따른 농업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 패턴

⚬ 작물의 생산성은 재배작물의 품종이 갖는 유전적 특성과 재배기술 및 재배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그중 품종과 재배기술은 육종가와 재배기술가의 노력으로 많은 발전을 가져오고 있지만, 재배환경은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부분이 많고 특히 기상환경은 자연 기상조건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 기후변화로 인하여 지난 100년간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지며 봄꽃 개화시기가 빨라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농작물 재배지대가 북상하고 월동 병해충 피해가 증가하는 등 농업분야에 다양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환경부, 2010).

Page 23: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37 -

2) 산림⚬ 산림분야에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 인자는 대기 내 CO2 증가, 기온변화, 강수

량 변화, 무생물적 교란, 생물적 교란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기후 인자에 의하여 산림생태계, 산림 재해 및 병해충, 산림수자원 및 임업 부문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표 4-2〕참조).

구분 영향

산림 생태계

산림생물 다양성

Ÿ 생물종의 멸종 : 평균기온 1.5 ~ 2.5℃ 상승시 약 20~30%의 생물들이 기후변화로 멸종(IPCC, 2077)

Ÿ 식생대 이동 : 우리나라 산림기후대는 2℃ 상승으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역이 상록활엽수가 살 수 있는 난대기후대로 변함(임종환 외, 2008)

Ÿ 침입외래종의 유입 및 확산 : 남방계 침입회래종의 확산 및 경재우위

산림 생물계절

Ÿ 생물계절의 변동 : 봄철기온 상승으로 지난 23년간 박새의 번식 시기는 별로 변하지 않는 반면 식물의 개엽 시기와 곤충 출연 시기는 9일 앞당겨져, 이로 인한 박새 개체군이 감소함(Visser et al..1998)

산림생태계 구조와 기능

Ÿ CO2 흡수, 배출량 변화 : 유럽지역 2003년 이상고온과 가뭄 현상으로 나무에 스트레스를 주어 생장량이 감소하고, 낙엽층과 토양 유기물의 분해속도는 빨라져 산림생태계 CO2를 흡수한 양보다 배출한 양이 더 많았음(Ciais et al.. 2005)

Ÿ 수자원 함양 : 기온상승으로 산림식생대가 북상하여 상록활엽수립지대가 증가하면서 소나무림 등 침엽수림을 대체하면 수자원 함양기능의 변화가 예측됨(임종환 외. 2008)

산림 재해/

병해충

산불 Ÿ 산불 빈도, 강도 증가 : A2 시나리오로 산불발생을 예측할 경우. 캘리포니아 북부 산림에서 산불 발생률이 57%에서 169%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Wasterling. 2009)

홍수 및 산사태

Ÿ 피해가중 : 산사태 피해 등 산림교란은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음

병해충 Ÿ 해충발생 증가 : CO2 농도 증가에 따른 식물방어능력 저하와 영양분 증가, 천적의 섭식량 감소, 생물다양성의 감소, 계절성의 변화 등에 의해 해충 발생 증가

임업 Ÿ 산림생태계, 산림생장, 산림재해 등과 같은 삼림관련 부문이 영향을 받으면서 2차적으로 산림을 대상으로 하는 임업이 점차적으로 영향을 받음

[표 4-2]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분야 영향(IPCC, 2007)

- 38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농업산림

2020Ÿ 이상기상으로 농업

및 산림 피해 증가

Ÿ 병해충, 가축질병 발생예측 및 확산방지 기술 개발 지원

Ÿ 가축관리기술 개발 및 안정적 사료 수급체계 구축

Ÿ 고온적응 가축 개량Ÿ 기후변화에 따른 축사관리 기준 설정Ÿ 농·축산업 취약성 평가 실시Ÿ 농업기반시설별 적응대책 수립

Ÿ 산불·산사태·병해충으로 인한 산림피해 방지시스템 마련

Ÿ 산림재해 취약성 평가 실시Ÿ 사전예방·저감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피해저감대책을 수립Ÿ 산불 위험성 및 산지 토사재해 위험지도

작성Ÿ 산불확산 예측모델 개선

2030Ÿ 산림파편화

지속화학, 살충제 사용 지속

Ÿ 기후변화 적응 작물재배 기술 및 신품종 개발보급

Ÿ 기후변화 적응 신품종 및 작물 재배기술 보급

Ÿ 병해충, 가축질병 발생예측 및 확산방지 기술 개발 확대

Ÿ 가축관리기술 개발 및 안정적 사료 수급체계 운영

Ÿ 고온적응 가축 개량 확대Ÿ 기후변화에 따른 축사관리 기준 설정운영Ÿ 농·축산업 취약성 평가 확대Ÿ 농업기반시설별 적응대책 시행 확대

Ÿ 산불·산사태·병해충으로 인한 산림피해 방지시스템 운영 정착

Ÿ 산림재해 취약성 평가 확대Ÿ 사전예방·저감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피해저감대책 시행 확대Ÿ 산불 위험성 및 산지 토사재해 위험지도

작성 활용 확대Ÿ 산불확산 예측모델 개선 활용 확대

2050 Ÿ 산림생물종 위험 증가

Ÿ 기후변화 적응 작물재배 기술 및 신품종 개발 보급 확대

Ÿ 기후변화 적응 신품종 및 작물 재배기술 보급 확대

Ÿ 산림생태계 변화 및 취약 산림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실시

Ÿ 산림생태계 변화 및 취약 산림생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시행

[표 4-3] 농업 및 산림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Page 24: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39 -

3.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가) 현황과 전망

⚬ 2050년까지 전해상 평균 27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침수 및 해일 등으로 인한 연안지역의 경우 더 극심한 재해피해 증가가 우려된다.

­ 해안별로는 동해안이 34.9cm로 가장 많이 상승하며 남해안 23.4cm, 서해안 22.8cm 씩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국토면적 감소 현상이 가시화 될 수 있으며 해일 등 위험기상 출현 빈도와 강도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상청, 2011).

⚬ KEI(2010)는 해수면 상승으로 2050년에 우리나라 주변 해안의 사빈 30%이상이 소실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해일 등 위험기상 강도 역시 커져서 동해안의 연안침식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기후변화의 영향은 기본적으로 전 지구적이지만 구체화되어 나타나는 공간단위는 바로 도시와 지역이다. 기본적으로 전 지구가 기후변화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만 각별히 주의를 필요로 하는 곳이 연안도시이다.

­ 연안도시는 바다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해수면 상승에 따른 영향을 직접받기도 하며 각종 해양재해의 직접적인 피해공간이 되기 쉽다.

­ 그 때문에 해안도시 기본적으로 내륙도시에 비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때문에 해안도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이에 대한 적응대책수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 수산양식업의 위기는 해수온도 상승에 기인한다. 수온 상승으로 난대성 어종이 북상하는 반면, 명태 등 한류성 어종이 감소하며 기존 양식업의 위기와 동시에 난대성 어종의 양식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및 극한 가뭄 현상이 빈발하게 됨에 따라 보다 안전하고 깨끗한 청정수원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 도시지역 위주의 상수도 확충으로 시단위 행정구역 이상은 그나마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 외 지역의 경우 계절에 따른 만성적인 물부족과 수질오염에 시달리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게다가 국지성 집중호우 등으로 도시형 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체수원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40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2020Ÿ 기후변화로 해양/

수자원 및 하천 관리 피해 증대

Ÿ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적응 대책 수립

Ÿ 이상기상에 따른 영향 분석Ÿ 분야별 적응 대책 수립

Ÿ 지역별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적응 프로그램 개발

Ÿ 지자체별 해양/수자원 및 하천 관리 적응대책 수립

2030Ÿ 기후변화 적응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기반 구축

Ÿ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 및 대응체계의 다양화 추진

Ÿ 연안재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체계 구축

Ÿ 연안지역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구축Ÿ 지역 선택적 적응옵션 개발

Ÿ 미래 수산자원 확보를 위한 적응기반 구축

Ÿ 기후변화에 따른 양식 산업 영향 예측 및 적응기반 구축

Ÿ 어장별 미래 수산자원 조성 및 개발Ÿ 신규 내유어종 어획기술 개발

Ÿ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Ÿ 해양, 수자원, 하천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지역거버넌스 구축

Ÿ 해양, 수자원, 하천관리 기후변화 적응 위한 지역정보체계 구축

2050Ÿ 기후변화 적응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기반운영

Ÿ 미래 수산자원 확보를 위한 적응기반 정착

Ÿ 기후변화에 따른 양식 산업 영향 예측 및 적응기반 확립

Ÿ 어장별 미래 수산자원 개발 보급Ÿ 신규 내유어종 어획기술 개발 보급

Ÿ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안정적 수자원 확보

Ÿ 대체수자원 기술개발과 시설 확충Ÿ 물관리 영향분석 및 모니터링 정착

Ÿ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운영

Ÿ 해양, 수자원, 하천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지역거버넌스 운영

Ÿ 해양, 수자원, 하천관리 기후변화 적응 위한 지역정보체계 운영

[표 4-4]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Page 25: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41 -

4. 환경보건(가) 현황과 전망

⚬ 기후변화는 결국 사람들의 생활과 나아가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건강영향 관련 연구가 국내에서도 부분적으로 수행되면서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가 예상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 고위도에서 추위 관련한 사망은 감소할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는 영양실조와 열스트레스로 인한 세계적인 사망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전망이다.

­ - 효과적인 제어 조치가 시행되지 않는다면 말라리아와 뎅기열 같은 병원균이 옮기는 질병은 더 광범위해지며 한반도를 큰 위험에 빠뜨리게 할 수도 있다.

⚬ 폭염 및 열대야 일수 증가로 인한 건강위협이 지속되고 있다. 폭염과 열대야가 1개월간 지속되어 열스트레스가 증가하고 특히, 노인, 환자 등 취약계층의 기후변화 적응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 폭염, 감염성 질병영향, 생활환경에 따른 건강 영향 사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식품위생관리의 어려움이 커지고 식중독 환자가 증가할 전망

­ 평균기온이 1.2℃ 상승하면 식중독환자 약 6% 증가(정기혜, 2011, 54면)­ 여름철 고온 다습한 기온이 장기간 지속되어 말라리아, 뎅기열 등 아열대성 질병

이 증가하고 알레르기 환자도 늘어날 전망­ 기온 1℃ 상승시 말라리아(3.4%), 쯔쯔가무시증(5.98%), 세균성이질(1.8%)이 증가

할 것으로 추정(국립기상연구소 & KE I 보도자료, 2011).­ 아열대성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발생 후 전파속도도 빨라질 전망­ 폭염과 열대야가 1개월간 지속되어 열스트레스가 증가하고 특히 노인, 환자 등 취

약계층 적응 어려움­ 고유 농산물에서 아열대성 작물 등 새로운 식품에 보다 많이 의존하게 되고 보다

많은 냉동식품의 이용 등이 예상됨­ 생활환경 변화로는 냉방공간 이용시간 증가, 의복 변화 등이 전망됨

- 42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환경보건

2020 Ÿ 환경보건 문제 확산

Ÿ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감시 및 저감 대책도입

Ÿ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시스템 마련Ÿ 상습 침수지역 및 건강 취약성 인구 실태

조사Ÿ 재해지역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운영

Ÿ 기후변화에 따르는 알레르기 대응시스템 구축

Ÿ 기후변화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 유발인자 변동 파악

Ÿ 지역사회 중심의 예방관리 사업 도입Ÿ 알레르기 질환 대국민 예방관리 교육 및

홍보

2030Ÿ 환경문제가

공공보건문제로 전이

Ÿ 기후변화 건강영향 통합평가 시스템 구축

Ÿ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통합평가실시Ÿ 환경영향 요인별 취약성 평가 실시Ÿ 기후변화 건강영향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

Ÿ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감시 및 저감 대책 확대

Ÿ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시스템 운영Ÿ 상습 침수지역 및 건강 취약성 인구실태

조사 주기적 실시Ÿ 재해지역 건강관리 프로그램 확대

Ÿ 기후변화에 따르는 알레르기 대응시스템운영 확대

Ÿ 기후변화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 유발 인자 저감 방안 시행

Ÿ 지역사회 중심의 예방관리 사업 확대Ÿ 알레르기 질환 대국민 예방관리 교육 및

홍보 확대

2050

Ÿ 환경문제로 인한 의료문제 심각

Ÿ 악화된 지구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증가

Ÿ 지구환경문제 심각

Ÿ 기후변화 건강영향 통합평가 시스템 정착

Ÿ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통합평가 주기적 실시

Ÿ 환경영향 요인별 취약성 평가 주기적 실시

Ÿ 기후변화 건강영향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운영

[표 4-5] 환경보건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Page 26: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43 -

V.V.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1. 국토/도시/건축

(가) 현황과 전망1) 국토분야 전망

가) 인구성장과 시도별 인구 전망

⚬ 최근의 시도별 인구성장 추세가 지속된다면, 2040년에는 수도권과 중부권 인구는 2010년 보다 각각 192만명(7.9%)과 65만명(9.8%) 늘고, 영남권은 76만명(-5.9%) 호남권은 13만명(-2.3%) 가량 감소할 전망이다.

나) 한반도 경제통합에 따른 국토 전망

⚬ 한반도 경제통합 후 국토공간은 서울-평양을 연계하는 접경지역이 부상하면서 이 지역에 북한주민 체류, 산업 및 관광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남북한 간 인구이동의 완전한 자유가 보장된다면 통일 이후 10년 동안 최대 500-600만명 정도의 북한인구가 남한지역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측된다(김홍배, 1997; 이용우, 2011). 북에서 남으로의 인구이동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제력과 고용기회의 차이로 인해 주로 수도권을 목적지로 이루어질 것이다.

2) 도시분야 전망가) 도시화와 인구이동

⚬ 우리나라의 도시화는 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급격히 상승하여 90%대로 진입하였으며 앞으로도 일정수준까지는 완만한 증가추세로 도시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에는 95% 수준에 도달하여 전국토가 도시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 44 -

⚬ 별다른 국토균형발전정책이 없다면 수도권 인구집중은 계속 확대되어 2000년 46.3%와 2011년 50.2%에서 2020년 52.3%, 2030년 53.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국토연구원, 2012).

나) 도시의 외연적 확산

⚬ 현재 국내 대도시권은 도시의 외연적 확장 및 도로 중심의 교통체계와 통행패턴으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혼잡을 경험하고 있다. 미래에도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가구 수의 증가 그리고 경제력 집중에 따른 개발수요도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즉, 현재의 교통체계와 도시개발의 패턴이 지속된다면 수도권을 포함한 대도시권의 국제경쟁력은 약화되고, 교통혼잡과 대기오염 등 각종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대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3) 건축분야 전망가) 고령화 사회, 도심회귀와 주택수요 전망

⚬ 우리나라 인구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인구 7%가 65세 이상)에 진입하였으며, 전국적으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0년 545만 명(11.0%), 2030년 1,269만 명(24.3%)으로 두 배 이상 증가, 2040년 1,650만 명(32.3%)에 2050년 1,799만 명(37.5%)에 이를 전망이다.

⚬ 2010년 기준 85세 이상 인구는 37만명에서 2040년에 4.6배 증가하여 208만 명 (2010년 충남인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그에 적합한 미래도시의 개발전략이 제안되어야 한다(통계청, 2012).

나) 세대구성과 주택수요의 전망

⚬ 국내에서 2020년을 전후로 하여 인구의 수가 줄어드는 반면 가구 수는 적어도 2030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출산율의 감소와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1인 가구가 늘어나기 때문에 인구가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가구 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Page 27: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45 -

⚬ 이러한 1인 가구수의 증가는 소규모주택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1인 가구의 증가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국토/도시/건축

2020

Ÿ 도시화 확대 (도시의 외연적 확산 가속화)

Ÿ 1인 가구 증가 확대

Ÿ 저탄소형 국토공간으로의 전환

Ÿ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과의 연계를 통한 탄소흡수원 확보

Ÿ 기존 토지를 적극 활용한 에너지 생산Ÿ 고밀압축형 토지이용Ÿ 역세권 중심 고밀 복합개발Ÿ 오픈스페이스 및 녹지 확보

Ÿ 다양한 형태의 재생사업

Ÿ 고층재생, 리모델링, 저층재생 등 향후 도입 가능한 재생사업 개발

Ÿ 에너지 효율적 건축기술 보급 Ÿ 패시브 하우스, 제로 에너지 빌딩 연구 및 적용

2030 Ÿ 인구감소Ÿ 고령화 확대

Ÿ 탈도시화 시대의 도시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Ÿ 수도권 규제, 개발사업 방식 재검토Ÿ 지방 대도시의 경쟁력 강화

Ÿ 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한 주택유형개발

Ÿ 소형가구 중심의 주택과 노인맞춤형의 새로운 주택 유형 개발

Ÿ 입체복합개발 활성화 Ÿ 법·제도적 정비, 안전성, 유지·운영 기술 연구

2050Ÿ 고령화사회에

따른 주택수요의 증대

Ÿ 균등한 국토구조Ÿ 구축

Ÿ 도시의 전원화, 전원의 도시화Ÿ 농지보전 및 생산용지 공급

[표 5-1] 국토/도시/건축 정책과제 도출

- 46 -

2. 교통 및 물류(가) 현황과 전망

1) 온실가스 배출 현황⚬ 교통안전공단이 국제 기준에 따라 수행한 교통물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결과

에 따르면 2009년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8,256만 톤 CO2로 2008년 8,178만 톤 CO2대비 0.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통수단별로는 도로가 7,794만 톤 CO2(94.4%)로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운 245만톤 CO2(3.0%), 항공 117만톤 CO2(1.4%), 철도 58만톤 CO2(0.7%), 기타 42만톤 CO2(0.5%) 순이다.

구분 ‘00 ‘05 ‘06 ‘07 ‘08 ‘09총배출량(백만톤 CO2eq) 70.05 81.94 82.73 83.99 81.78 82.56

전년대비 배출량 증가율(%) 11.74 1.00 0.97 1.53 -2.64 0.961인당 배출량(톤 CO2eq/인) 1.47 1.68 1.69 1.70 1.65 1.66

1인당 배출량 증가율(%) 10.81 0.59 0.54 0.95 -3.17 0.49GDP당 배출량(톤 CO2eq/10억원) 100.85 94.70 90.91 87.81 83.57 84.11

GDP당 배출량 증가율(%) 2.71 -2.84 -4.00 -3.41 -4.82 0.64

[표 5-2] 연도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결과

2) 온실가스 배출 전망⚬ 수송부문은 고유가로 인하여 에너지수요 증가율이 최종수요부문의 평균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에너지원 간 대체 가능성이 제한적이므로 온실가스 배출은 전체 증가율보다 약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수송부문은 2020년에는 2005년의 1.4배 수준인 146.7백만 톤 CO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Page 28: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47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교통/물류

2020Ÿ 교통/물류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Ÿ 고령운전자 증가

Ÿ 교통수요관리 강화

Ÿ 운행제한, 기업체수요 관리, 경제적 부담 및 인센티브 부여, 승용차 요일제, 주차상한제 확대, 혼잡통행료 확대, 재택근무, 카풀이용 확대

Ÿ 대중교통 및 Green Mode 활성화

Ÿ 승용차 이용 억제전략 강화Ÿ 철도와 BRT, MRT 등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

시행

Ÿ 차량의 기술개발연구

Ÿ 친환경차량 보급 확대 및 상용화 기반 구축Ÿ 대중교통의 친환경차량으로 교체Ÿ 경차보급 확대, 에코드라이빙 생활화, 연비

규제, 대체연료 차량 확대

Ÿ 고령 운전자를 위한 기술개발 및 제도 개선

Ÿ 보호 좌회전 확대, 눈에 잘 띄고 이해하기 쉬운 신호등, 교통표지판, 안내문 디자인

Ÿ 자동차 안전기술의 개발 및 보급

2030

Ÿ 한반도 경제통합과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물류기능 강화

Ÿ 지하공간의 적극적 활용

Ÿ 물류기능 활성화Ÿ 통관, 심사 절차 간소화Ÿ 주변 산업구조 연계방안 마련Ÿ 기존 노후항구의 기능 재배치

Ÿ 교통인프라의 그린화

Ÿ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교통발전소Ÿ 기존 에너지 소비형 교통인프라를 에너지

창출형 그린인프라로 전환

Ÿ 친환경적인 미래형 물류 시스템 개발

Ÿ 지하공간에서의 물류운송 및 환적 자동시스템 개발 및 보급

2050 Ÿ 개인화된 대중교통 확대

Ÿ 이용자별 맞춤 서비스 제공

Ÿ 철도, 항공, 해운 분야의 개인을 위한 대중교통을 확대

[표 5-3] 교통/물류 정책과제 도출

- 48 -

3.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가) 현황과 전망

1) 기후변화에 의한 산림 생태계의 변화⚬ 한반도의 대부분은 냉온대림 지대이다. 냉온대림 지대는 소나무와 참나무로 구성된다.

온대림 지대 남쪽 남부 해안지대에 상록 활엽수로 되어 있는 난대림 지대가 분포한다. 고지대와 북부지대, 북부지방 한대림 지대에는 상록 침엽수가 분포한다.5)

⚬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상승이 2℃증가한다고 한다면, 한반도 중부지역의 난온대림의 생기후대는 고도가 높은 산맥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북위 40도 지역까지 북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 남한에서는 냉온습윤림은 지리산 일원과 태백산 등 일부 산악지역에서만 분포하게 되며 남해안 지역에는 아열대림의 기후대가 형성된다.

2) 남북간 교류·협력에 따른 생태계 전망⚬ DMZ에는 2,716종의 야생동식물이 서식 중이며 이중 67종이 멸종위기종이다.

특히 세계적 희귀종인 두루미, 저어새, 물범, 물거미 등이 서식하고 있다. 서해연안 접경지역의 경우 한반도의 대규모 하구중 자연형 하구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산자원의 산란,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용우 외, 2011).

⚬ 최근 해주항 개발, 해주경제특구, 한강하구 골재 채취로 인한 환경·생태적 피해에 대한 고려 없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인천의 도서연안의 경우 2003년 737㎢이던 갯벌 면적이 2010년 703.9㎢로 33.2㎢이 감소하였다.

3) 동물 생태계 변화 전망⚬ 기후의 아열대화로 대표수종이 소나무에서 졸참나무로 바뀌며 아열대성 생물

이 번창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식물과 동물 종은 물론 곤충류와 미생물 등의 생태계도 크게 변화하여 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환경부(2010)는 기후변화가 지속될 경우 2050년까지 생물종의 약 15-37%가 멸종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5) 냉온대림 68%, 난온대림 31.86%, 아한대림 0.13%, 제주도 남부 일대 아열대림 0.002%.

Page 29: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49 -

⚬ 북방계 곤충(들신선나비 등)이 남방계 외래 곤충(꽃매미 등)으로 대체되고, 꿀벌 감소로 식물 번식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와 결국 식량부족이 우려된다. 2006년 이후 꽃매미가 급증하여 사과, 배 등 전국 과수원에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4) 도시지역의 확장⚬ 도시지역의 열섬현상, 폭염, 황사 등 도시미기후의 심화로 시원하고 신선한 바

람, 청정한 미기후, 어메니티 향상에 대한 도시민의 욕구가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도시지역에서 산림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 도시지역에서 산림지역으로의 이동은 도시근교의 산림지역의 주택개발 및 산림지역 기반 주말형 전원주택 공급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urban sprawl 현상이 확대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 50 -

(나) 추진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2020Ÿ 생물다양성 변화,

산림식생대 이동Ÿ 도시에서의

탄소발생 증가

Ÿ 취약 산림 식물종 보전관리 강화

Ÿ 모니터링을 통한 산림병해충 발생원인 분석 및 확산과정 분석

Ÿ 산림 생물자원의 현지 내 보전이 강화

Ÿ 생물종다양성 보전·복원

Ÿ 생태보호지역을 확대 지정Ÿ 도시지역의 하천습지 보전, 생태하천 조성

Ÿ 도시 내 탄소흡수를 고려한 공원녹지 확충

Ÿ 도로변 녹지대 확보Ÿ 주거·상업지의 조경Ÿ 수공간 및 광장 확충Ÿ 탄소흡수 건물 녹화Ÿ 도시농업지원 및 장려

Ÿ 탄소흡수 건물녹화 Ÿ 법제도 개선, 다양한 건물녹화방식에 대한 연구Ÿ 건물녹화 식재비용의 지원

2030

Ÿ 생물종의 멸종 가속화

Ÿ 한반도 통합에 따른 접경지역의 생태계 파괴

Ÿ 기후적응형 산림수종 유전자원 탐색, 선별 및 보급

Ÿ 온대 남부, 난대 및 아열대 유용수종 공급원을 확대하고 적정 시기와 적지 파악

Ÿ 토양 개량 및 적응 수종의 보급

Ÿ 접경지역 환경보전대책 시행

Ÿ 개발에 대응하는 환경보전 전략 도출Ÿ 생태계 복원계획 및 자연경관보전 대책 시행Ÿ 생물종다양성 확보 방안 시행

2050 Ÿ 산림지역으로의 도시지역 확장

Ÿ 산림지역으로의 도시화 확산 방지 Ÿ 체계적 국토관리 및 산림지역 관리 강화

Ÿ 도시농업 확대 Ÿ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도시농업 활성화

[표 5-4]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정책과제 도출

Page 30: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51 -

VI.VI.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1. 라이프스타일

(가) 현황과 전망1) 메가트랜드와 라이프스타일 ⚬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0)의 <한국사회의 15대 메가트랜드>와

2012년 4월 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중장기 보고서 정책과제 우선순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총 8개의 메가트렌드를 선정하였다([표 6-1] 참조).

분 야 메가트랜드의 키워드사회 ① 고령화 및 1인가구 증가 ② 양극화 경제 ③ 지식기반 ④ 웰빙∙감성∙복지 기술 ⑤ 재생에너지 ⑥ 융복합∙네트워크

기후변화 ⑦ 기후변화 농업 ⑧ 농업위기

[표 6-1] 본 연구에서 선정한 메가트랜드의 8개 키워드

◦ 본 연구에서는 의․식․주․여가의 분야별 구분을 통해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의 라이프스타일의 요소를 총 12개로 제안하였다([표 6-2] 참조).

- 52 -

분야 CFSS 라이프스타일 요소 내 용

의온맵시․쿨맵시 문화 정착 냉난방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의복문화 정착

기능성 의류․침구 보급 폭염 등 극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의류 및 침구

의류 나눔장터 활성화 의류 재사용 및 재활용 확대, 의류 폐기물 최소화

식도시농업 활성화 주말농장, 텃밭․베란다 가꾸기, 실내농업 생활화

지역 먹거리 구매 안전하고 탄소 마일리지가 적은 먹거리 구입

기후친화적 식생활문화 육류 중심에서 채식 중심의 저탄소 식단으로의 변화

주고효율 스마트 주택 에너지를 적게 쓰고 일부 생산하며 공유하는 주택

재해에 강한 주택 강풍, 침수, 지진 등에 안전한 주택

세대 및 건강친화 주택 다양한 계층의 공동거주와 건강한 삶이 가능한 주택

여가생활체육․여가 기회 확대 주거 공간 주변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과 휴식

기후친화적 생태관광 저탄소 이동수단과 숙박시설을 이용하는 생태관광

저탄소 공연문화 확산 공연에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공급

[표 6-2]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라이프스타일의 요소

◦ 메가트랜드가 의․식․주․여가 등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은 다양한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라이프스타일 확산을 위

해 필요한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메가트랜드가 라이프스타일의 개별

요소에 미치는 경로에 대한 파악이 필수적이다.

­ 메가트랜드의 고려 속에서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라이프스타일 요소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과 교육 및 정보제공, 가치관 및 문화의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또한 기후변화를 포함한 사회 변동의 흐름 속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그림 6-1> 참조).

Page 31: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53 -

<그림 6-1> 메가트랜드가 2050 CFSS의 라이프스타일 요소에 미치는 영향

- 54 -

(나) 추진 과제

분야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라이프스타일

2020

Ÿ 온맵시/쿨맵시 문화정착

Ÿ 육류소비 증가Ÿ 재해에 강한 주택

보급Ÿ 개인차량 주로 이용

Ÿ 메가트랜드가 의․식․주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 계획지표 작성

Ÿ 계획목표에 부합하는 라이프스타일 실천 모델의 개발

Ÿ 의․식․주․여가 등 분야별 라이프 스타일 통계자료 확충

Ÿ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장애 및 동기부여 요인 도출

Ÿ 소득, 연령, 성에 따른 계층별 라이프스타일 특성 파악

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의 기본, 확장, 최적 모델 제시

Ÿ 대표 사례(전형) 발굴 및 확산

2030

Ÿ 의류나눔장터 활성화Ÿ 도시농업 활성화Ÿ 고효율 스마트

주택보급Ÿ 기후친화적 생태관광

활성화

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 실천 모델의 확산 방안 시행

Ÿ 의․식․주․여가 분야의 환경성 제고 목표 및 실천과제 도출 시행

Ÿ 정보 생산 및 공유 기회의 확대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

확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Ÿ 인센티브(세금감면, 보조금 지급, 융자금 지원 등 가격보조정책) 제공 방안 시행

Ÿ 의․식․주․여가의 공급, 유통, 이용, 폐기 과정의 환경성 개선 유도

Ÿ 의․식․주 분야 비즈니스 모델 및 정보공유 플랫폼 구축 활용

Ÿ 의․식․주․여가 분야 생산과 소재 등에 대한 계량 지표와 인증제도 도입 및 확대

2050

Ÿ 기능성 의류 보급Ÿ 기후친화적 식생활

문화 정착Ÿ 세대 및 건강친화

주택 보급Ÿ 저탄소 공연문화정착

Ÿ 세대간, 소득 계층간 형평성 확보

Ÿ 양극화의 부작용 최소화Ÿ 재난에 강한 사회시스템의 구축Ÿ 지역 분산형 에너지․농산물

생산 및 소비시스템 정착

Ÿ 세대친화형 도시계획과 주거형태 개발

Ÿ 에너지․농산물 분야 사회 안전망 강화

Ÿ 사회적 연대와 협력 문화의 확산 Ÿ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사회적 인프라 재구축Ÿ 지역 단위 에너지전환 마을 추진

지원

[표 6-3] 라이프스타일 분야의 핵심과제와 추진방안

Page 32: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55 -

2. 기후변화 대응 및 거버넌스 체계(가) 현황과 전망

⚬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거버넌스 형태의 변화전망을 요약하면 [표 6-4]와 같다.

구분 현재 2030 2050

시나리오 CFSS 1 CFSS 2 감축사회 CFSS 3 적응사회 CFSS 4

흐름

구거버넌스와새로운거버넌스 특히, 신공공관리론 우세하의 시장거버넌스가 혼재

시장거버넌스, 신자유주의적 거버넌스 우세 경향,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출현과 확산

네트워크 거버넌스 우세

중심 국가중심 → 분권화 시장중심: 생산 → 소비 → 프로슈머 네트워크 중심

거버넌스형태구거버넌스신공공관리론시장거버넌스

시장중심 거버넌스신자유주의 거버넌스 네트워크 거버넌스

거버넌스모습

Ÿ Top down 의사결정Ÿ 국가주도하 사회문제

해결 시도Ÿ 개인주의 사회Ÿ 의사결정이 국가

중심Ÿ 신자유주의적

시장거버넌스 요소의 도입 확산

Ÿ 국가 내, 국가 간 분쟁 지속

Ÿ 분절주의와 개인주의 팽배로 공공영역의 지적 교류 감소

Ÿ 국가단위 거버넌스가 지역, 지방 등으로 세분화

Ÿ 의사결정과정에 다양한 주체들 등장과 자발적 의사결정 체제 확산

Ÿ 신자유주의적 시장중심 거버넌스 우세경향

Ÿ 공동 거버넌스, 복합조직 거버넌스, 공유 거버넌스 확산

Ÿ 수평적 네트워크 기반 신거버넌스의 확산

Ÿ 자원갈등 등 분쟁을 대비 지역적·국제적 협력

Ÿ 도시 단위의 수평적 네트워크 거버넌스 발달

Ÿ Bottom up 의사결정Ÿ 다양한 주체들에 의한

의사결정체제 정착Ÿ 공동거버넌스, 복합조직

거버넌스, 공유 거버넌스 정착Ÿ 네트워크 거버넌스 우세Ÿ 비공식적이고 유동적인 존재,

구성원의 빈번한 교체, 모호하게 규정된 권리/의무관계

Ÿ 자원 분쟁 대비 지역적·국제적 협력

Ÿ 도시 간 네트워크 거버넌스 정착

[표 6-4]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거버넌스 형태의 변화전망

- 56 -

⚬ 2030년대에는 화석연료시대가 신재생에너지시대로 전환하는 변환기로 접어들 것이며 이에 따라 사회 각 부분이 분산, 분권화 되어 나가면서 정치적 권위가 점차 축소되고,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갈등이 심화되며 신재생에너지시대 선점을 위한 시장거버넌스의 비중이 구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 중심의 새로운 거버넌스에 비교하여 증대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시대로의 변환을 촉진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다양한 주체를 포함하는 의사결정체제의 확립, 환경갈등관리체제의 발전, 자원분쟁에 대비한 국제적협력, 도시단위 거버넌스체제의 발전, 도시간 네트워크의 발전이 핵심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출현에 따라 이들 개별단위를 지역적으로 어떻게 묶을 것인가도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지방의 네트워크가 지역네트워크로 통합되고 지역간 네트워크가 국가단위로 통합될 것이기 때문이다.

⚬ 2050년대에는 신재생에너지시대로의 변환이 대부분 완료되며 에너지생산체제의 극단적 분산체제로의 변환과 더불어 의사결정권과 경제력의 분권화도 심화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지배적 거버넌스의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33: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57 -

(나) 추진 과제

⚬ 2050 CFSS를 위한 핵심과제와 추진방안을 정리하면 [표 6-5]와 같다.

현황 전망 핵심과제 추진방안

Ÿ 관료계층제Ÿ 거버넌스

계층제Ÿ 통제 상의

하달식 관리Ÿ 신공공

관리론Ÿ 분권화 진행Ÿ 시장기능

중시Ÿ 엘리트

의사결정Ÿ 수직적 권력Ÿ 생산의

집중, 세계화

Ÿ 집중적 자본주의

Ÿ 경쟁의 시대

2020

Ÿ 화석연료시대의 퇴조/신재생Ÿ 에너지 비중 증대Ÿ 국내외 환경갈등 빈도의

증가Ÿ 신자유주의 거버넌스/경쟁Ÿ 메커니즘 우세 경향Ÿ 세계화 진척

Ÿ 신재생에너지시대 인프라 구축 착수

Ÿ 의사결정주체간 의사소통 촉진 기반 조성

Ÿ 갈등관리체제 발전Ÿ 자원분쟁을 대비한 지역적,

국제적 협력, 대륙간 협력 강화

Ÿ 도시단위 거버넌스체제 발전

Ÿ 비공식적이고 유동적인 존재,

Ÿ 구성원의 빈번한 교체, 모호하게 규정된 권리/의무관계의 정비

Ÿ 의사소통촉진 방안의 탐색과 적용

Ÿ 갈등관리체제 확립

2030

Ÿ 사회 각 부분이 분산, 분권화Ÿ 정치적권위 축소Ÿ 구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Ÿ 중심의 새로운 거버넌스에Ÿ 비교하여 시장거버넌스 비중

증대Ÿ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출현과

확산Ÿ 자발적 교환에 의한 사회적

조정 확대Ÿ ·소규모 커뮤니티 중심

도시의 확산

Ÿ 신재생에너지시대 인프라 구축, 확대

Ÿ 다양한 주체를 포함하는 의사결정체제의 수립

Ÿ 소규모 커뮤니티중심의 도시관리, 도시간 네트워크의 발전

Ÿ 분산화, 분권화, Bottom upŸ 의사결정 체제 확대Ÿ 자원분쟁 대비

지역적·국제적 협력체제 구축

Ÿ 다양한 도시형태 및 도시관리 방안의 발굴과 보급

Ÿ 광역경제권중심 도시네트워크 구축

2050

Ÿ 신재생에너지시대/에너지생산과 소비의 극단적 분산화*

Ÿ ·신거버넌스 : 공동거버넌스, 복합조직거버넌스, 네트워크 거버넌스, 공유거버넌스 함께 방향 잡기, 조직간 관계 강조, 비공식적, 유동적 조직, 네트워크 거버넌스 우세경향

Ÿ 다양한 주체들에 의한 수평적 의사결정

Ÿ 수직적 권력에서 수평적 권력으로*

Ÿ 생산과 소비의 극단적 분권화; 소규모 다자 생산/소비체제* 커뮤니티 중심형 도시체제

Ÿ 대륙화의 진척* 분산적 자본주의/협업의 시대*

Ÿ ·분산적 신재생 에너지생산과Ÿ 소비를 위한 지방, 지역,

국내,Ÿ 국제적 협력관계의 구축Ÿ 네트워크 중심 신거버넌스Ÿ 작동원리 지속원리의 규명Ÿ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제도적Ÿ 안정성 확보Ÿ 거래비용증가에 대응하고Ÿ 네트워크 허브로서 광역단위Ÿ 지역네트워크의 확보Ÿ 커뮤니티 중심 도시체제

확립Ÿ 아시아 대륙, 대륙간

협력체제 구축Ÿ 교육체제의 혁신*

Ÿ 모든 주택, 건물의 미니 발전소화*

Ÿ 에너지인터넷그리드의 구축Ÿ 네트워크 중심 신거버넌스의

성공사례 발굴, 벤치마킹, 확산

Ÿ 비공식적 유동적 조직의 안정화 방안 탐색

Ÿ 수평적권력의 의사결정체제 추진

Ÿ 의사결정주체간 의사소통 원활화 체제확립

Ÿ 다양한 도시형태와 관리방안 수립

Ÿ 도시, 대륙, 국제적 협력을 위한 통합네트워크체제 확립

Ÿ 생물권공동체 인식과 행태 변화 교육*

[표 6-5] CFSS 거버넌스체제의 현황, 전망, 과제, 추진방안 (주 : * 제러미 리프킨(2012), 3차 산업혁명 참조.)

- 58 -

VII.VII.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구축 방법 및 로드맵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구축 방법 및 로드맵1.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접근모형 구상

⚬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개념과 비전을 기반으로 하여 부문별 진단과 도출된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2050 CFSS 모형을 구상하였다(<그림 7-1> 참조).

⚬ 부문별로는 감축/완화, 적응, 혼합, 관리기반 및 제도 강화 부문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감축/완화부문은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으로 에너지, 비에너지, 생산

활동, 녹색소비 분야로 나누어 추진한다.­ 적응부문은 기후변화 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로 사회기반시설, 농업 및 산

림, 해양 수자원 및 하천관리, 환경보건 분야로 나누어 추진한다.­ 혼합부문은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로 국토/도시/건축, 교통 및 물류,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으로 나누어 추진한다.­ 이에 더하여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기반 및 제도 강화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

분야와 거버넌스 분야를 추진한다.

<그림 7-1>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접근모형

Page 34: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59 -

2.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구축 방법론 제시(가)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구축 체계

⚬ 2050년에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구축을 위해서 목표로 저탄소사회 형성, 기후변화 적응하는 사회 형성을 추진한다.

⚬ 4대 전략으로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 활동 증진, 기후변화 대응 국가사회의 적응 역량 제고,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기반 및 제도 강화를 설정한다.

⚬ 4대전략에 따라 세부 분야로는 13개 분야로 나누어 구체적인 과제를 도출하여 추진한다(<그림 7-2> 참조).

<그림 7-2>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구축 체계도

- 60 -

(나)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구축 주체 구성 운영

⚬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네트워크 거버넌스 형태를 띄게 되는 발전위원회를 구성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단기적으로는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성격으로 신설한다(<그림 7-3> 참조).

­ 대통령 직속 위원회는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발전위원회(가칭)’로 한다.­ 발전위원회의 법적 기반, 수행 동력 등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기후친화적 안전사

회 구축 기본법(가칭)’을 제정한다.

⚬ 정부부문과 비정부부문을 통합하여 구성한다.⚬ 정부부문은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등의 중앙부처와

정부출연 연구소가 참여하여 감축, 적응, 혼합 부문의 정책개발과 집행방안을 마련한다.

⚬ 비정부부문은 시민단체, 민간연구소, 기업 등이 참여하여 생활 실천 방안 제시 및 추진 운동을 전개한다.

⚬ 기획조정 부문은 기획, 조정, 정보센터 운영 기능을 담당한다.

<그림 7-3>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발전위원회(가칭) 조직 구성도

⚬ 세부 분야별 정부부처의 추진 주체를 살펴보면 [표 7-1]과 같다. 국가 기후친화안전사회 발전위원회(가칭) 구성 시 이를 감안하여 추진 담당자 혹은 전문가를 구성하여야 하며 정부 부처의 적극적 참여 및 상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Page 35: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61 -

분류 관련부서개념 및 비전

Ÿ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기상청 등

기후친화적

경제/산업활동

증진

에너지 Ÿ 지식경제부, 환경부

비에너지 Ÿ 지식경제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산림청

생산 Ÿ 지식경제부, 환경부

소비생활 Ÿ 환경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여성가족부

기후변화 대응

국가사회의

적응 역량 제고

사회기반시설 Ÿ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농업 및 산림 Ÿ 농림수산식품부, 산림청, 행정안전부

수자원 및 하천관리 Ÿ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환경보건 Ÿ 환경부, 보건복지부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 관리

국토·도시·건축 Ÿ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교통 및 물류 Ÿ 국토해양부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Ÿ 환경부, 산림청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라이프스타일Ÿ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

기술부

거버넌스 Ÿ 국무조정실, 환경부 등

[표 7-1] 분야별 추진 주체

(다) 과제별 소요 D/B 파악 및 D/B 구축방안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틀과 조직을 논리적으로 구성해주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와 응용분야, 다양한 데이터간의 관계성, 데이터와 적용분야간의 관계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김충평 외, 1995).

⚬ D/B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각 요소간 연결관계를 파악하고 논리적인 체계를 구축해야한다. 이를 위해 요소간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 이번 기초 연구에서는 D/B 구축방안에 대해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 62 -

⚬ 우선, 미래전망 시나리오의 기본 틀인 RCP 시나리오, SSP 시나리오, SPA 시나리오에 대한 레이어(Layer)를 설계한다.

⚬ 또한, CFSS 1~4 시나리오의 레이어(Layer)를 설계한다. CFSS 4를 중심으로 고려한다.

⚬ RCP 시나리오의 경우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2.6, 4.5, 6.0, 8.5 시나리오를 속성 값으로 지정한다.

⚬ SSP의 경우 세계의 전반적인 개발패턴과 영향, 적응 및 저감과 관련된 서술적이고 정량·정성적인 가정을 위해 총인구, 인구, 구조, GDP, 농경지 생산성, 교육수준, 재생 에너지의 잠재력, 수자원, 가용에너지, 라이프스타일 등을 속성값으로 지정한다.

⚬ SPA 시나리오의 경우 기후정책 유형을 구분하여 지정한다.­ - 기후정책 유형 구분에 대한 연구는 추후 진행해야 할 것이다.

o DB 구축 체계

<그림 7-4>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DB 구축 체계

⚬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래 사회 전망 시나리오 CFSS 1, CFSS 2, CFSS 3, CFSS 4에 대한 속성 값을 지정한다. 주로 CFSS 4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초

Page 36: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63 -

점을 맞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CFSS 4의 속성, 경제·산업활동 개선, 국가 적응 역량제

고, 국토환경관리, 관리기반 및 제도의 하위 속성 13개(에너지, 비에너지, 생산 등)를 지정한다.

⚬ 그 밖에 에너지수요 전망, 기술전망 배출계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 발생비용, 영향평가, 적응목표, 적응목표에 따른 발생 비용을 별개의 레이어로 지정한다.

⚬ 전체적인 DB의 논리적 체계는 <그림 7-4>와 같다.⚬ 구축된 DB는 원활한 운영을 위해 기존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를 확대 개편

하여 개발된 정보관리시스템과 함께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 DB처리 흐름도

<그림 7-5> DB 처리 흐름도

(라) 2050 CFSS 구축을 위한 과제 우선 순위

⚬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개발을 위한 본 연구과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 2050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모형 개발을 위하여 각 분야별 전망을 포함한다.­ 기초 연구에서 수행하지 못한 2050 온실가스 배출량을 본격적으로 예측한다.

- 64 -

­ 2050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설정 및 계획 수립을 관련 연구소 공동으로 수행한다.

⚬ 2050 CFSS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운영 방안을 연구하여 실행한다.­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발전위원회(가칭) 구성에 대해 연구한다.­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기본법’에 대해 연구하여 법률안을 제시한다.

⚬ 4개부문(경제 및 산업 활동 증진, 적응 역량 제고, 국토환경 관리,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정책별 우선순위를 구분하기 위해 단기(2012~2021년), 중기(2021~2030년), 장기(2031~2050년)으로 구분한다.

⚬ 과제 우선순위에 대한 구체적 사항은 로드맵에서 제시하였다.

Page 37: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65 -

3.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단계별 구축 로드맵(가)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전망

⚬ 2050년 우리나라 일반적 미래 전망 요소로 인구, 경제, 환경, 기술, 거버넌스, 라이프스타일 등을 고려하여 각 시나리오가 나타내는 특징적인 부분들을 시기별 로드맵으로 나타낸 결과는 <그림 7-6>과 같다.

­ 인구 시나리오의 경우 통계청에서 제시한 미래 인구예측자료의 전망을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2050년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인 CFSS 4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미래를 대비하는 방향이 기후친화인지 기후안전인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사회모습이 혼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제시한 로드맵을 바탕으로 현재 상태가 지속될 경우의 CFSS 1과 감축과 적응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이상적인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CFSS 4에서의 분야별 전망 및 관련 정책(안)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부 분야별로 단기, 중기, 장기 단계에서의 전망 및 핵심과제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그림 7-6> 2050년 우리나라 미래 전망에 따른 로드맵

- 66 -

(나) 2050 CFSS 단계별 구축 로드맵1) 단기 실행계획(2012~2020년)

대분류 중분류 정책 과제(2012 ~ 2020)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감축)

에너지Ÿ 화석연료 기인 온실가스 감축 강화Ÿ 기후안전사회의 환경-경제 통합 모형과 배출량 예측모형의 개발 구축Ÿ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탄소추적 모형 개발 적용Ÿ 에너지수요 관리 강화와 에너지 사용 효율화 추진 확대

비에너지Ÿ Non-CO2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감축 정책 추진Ÿ 에코디자인 확대와 탄소성적 표시제 도입Ÿ 농업분야의 탄소상쇄제도 및 저탄소직불제 프로그램을 도입Ÿ 폐기물의 발생억제, 재활용 활성화 정책 추진Ÿ 중장기 배출량 및 감축 목표량 설정을 위한 예측모형의 구축

생산 Ÿ 핵심 주력산업의 지속적인 혁신 추진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소비생활Ÿ 녹색소비 정보망 구축 운영Ÿ 녹색유통 및 녹색생산 촉진Ÿ 탄소라벨제도의 전면 시행Ÿ 제품의 환경광고 등에 공정성 평가 강화

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적응)

사회기반시설 Ÿ 사회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실행농업 및 산림 Ÿ 병해충, 가축질병 발생예측 및 확산방지 기술 개발 지원

Ÿ 산불·산사태·병해충으로 인한 산림피해 방지시스템 마련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Ÿ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적응대책 수립Ÿ 지역별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적응 프로그램 개발

환경보건 Ÿ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감시 및 저감대책 도입Ÿ 기후변화에 따르는 알레르기 대응시스템 구축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

(혼합)

국토/도시/건축

Ÿ 기존 토지를 적극 활용한 에너지 생산Ÿ 고밀압축형 토지이용Ÿ 역세권 중심 고밀 복합개발Ÿ 오픈스페이스 및 녹지 확보Ÿ 다양한 형태의 재생사업Ÿ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과의 연계를 통한 탄소흡수원 확보Ÿ 에너지 효율적 건축기술 보급

교통 및 물류Ÿ 교통수요관리 강화Ÿ 대중교통 및 Green Mode 활성화Ÿ 차량의 기술연구 촉진Ÿ 고령 운전자를 위한 기술개발 및 제도개선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Ÿ 취약 산림 식물종 보전관리 강화Ÿ 생물종 다양성 보전·복원 및 생태 보호지역 확대Ÿ 탄소흡수 건물 녹화Ÿ 도시내 탄소흡수를 고려한 공원녹지 확충방안Ÿ 도로변 녹지대 확보 방안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라이프스타일Ÿ 메가트랜드가 의․식․주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 계획지표 작성Ÿ 계획목표에 부합하는 라이프스타일 실천 모델의 개발

거버넌스Ÿ 화석연료시대의 퇴조/신재생 에너지 비중 증대Ÿ 국내외 환경갈등 빈도의 증가Ÿ 신자유주의 거버넌스/경쟁 메커니즘 우세 경향Ÿ 세계화 진척

Page 38: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67 -

2) 중기 실행계획(2021~2030년)대분류 중분류 정책 과제(2021 ~ 2030)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감축)

에너지 Ÿ 신재생 에너지 산업 확대Ÿ 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감축 촉진

비에너지Ÿ Non-CO2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감축 정책 추진Ÿ 친환경농업 실천 확대와 농업분야 저탄소기술 개발 지원 추진 Ÿ 폐기물의 자원순환 정책 정착

생산Ÿ 핵심 주력산업의 지속적인 혁신 확대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확대Ÿ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소비생활

Ÿ 환경친화적 조세개편 및 녹색소비자 인센티브 강화Ÿ 공공부문의 녹색구매제도 정착Ÿ 저탄소 녹색소비 대안경제에 대한 연구‧지원Ÿ 범국민 녹색소비문화 확산Ÿ 품질-환경-에너지 라벨링제도로 통합Ÿ 탄소성적표지제도의 전 업종 시행

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적응)

사회기반시설 Ÿ 기후변화 적응형 사회기반시설 보급

농업 및 산림Ÿ 기후변화 적응 작물재배기술 및 신품종 개발 보급Ÿ 병해충, 가축질병 발생예측 및 확산방지 기술 개발 확대Ÿ 산불·산사태·병해충으로 인한 산림피해 방지시스템 운영 정착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Ÿ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 및 대응체계의 다양화 추진Ÿ 미래 수산자원 확보를 위한 적응기반 구축Ÿ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환경보건Ÿ 기후변화 건강영향 통합평가 시스템 구축Ÿ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감시 및 저감대책 확대Ÿ 기후변화에 따르는 알레르기 대응시스템 운영 확대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

(혼합)

국토/도시/건축Ÿ 저출산 고령화에 대비한 주택유형의 개발Ÿ 탈도시화 시대의 도심재생 및 도시경쟁력 강화Ÿ 입체복합개발 활성화

교통 및 물류 Ÿ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하는 교통환경 구현Ÿ 지하공간을 활용한 화물운송체계 구축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Ÿ 기후적응형 산림수종 유전자원 탐색, 선별 및 보급Ÿ 접경지역 환경보전계획 시행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라이프스타일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 실천 모델의 확산 방안 시행 Ÿ 의․식․주․여가 분야의 환경성 제고 목표 및 실천과제 도출 시행Ÿ 정보 생산 및 공유 기회의 확대Ÿ 기후친화적 라이프스타일 확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거버넌스Ÿ 신재생 에너지시대 인프라 구축 확대Ÿ 다양한 주체를 포함하는 의사결정체제의 수립Ÿ 소규모 커뮤니티중심의 도시관리, 도시 간 네트워크의 발전

- 68 -

3) 장기 실행계획(2031~2050년)대분류 중분류 정책 과제(2031 ~ 2050)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감축)

에너지Ÿ 무탄소 차세대 연료 확충Ÿ 지역에너지 수요와 지역기반 저탄소에너지 공급 확대Ÿ 탈탄소화 정책의 추진과 저탄소사회 구축

비에너지Ÿ Non-CO2 산업생산 기술의 확산Ÿ 친환경농업 실천 확대와 농업분야 저탄소기술 개발을 지원 확대Ÿ 제로 폐기물의 사회 모형 개발 및 구축

생산Ÿ 핵심 주력산업의 지속적인 혁신 정착Ÿ 자원-소재-제품-재활용 선순환 산업기반 구축 완료Ÿ 녹색금융 인프라 정착

소비생활Ÿ 저탄소 녹색소비 대안경제 체제Ÿ 지속가능 소비· 생산 국제협력 강화Ÿ 저탄소제품 인증제도 의무 시행

기후변화대응 국가사회의 적응역량

제고(적응)

사회기반시설 Ÿ 사회기반시설과 연동한 지역 특화형 적응방안 시행

농업 및 산림Ÿ 기후변화 적응 작물재배기술 및 신품종 보급 확대Ÿ 산림생태계 변화 및 취약산림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실시Ÿ 미래 수산자원 확보를 위한 적응기반 정착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Ÿ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안정적 수자원 확보Ÿ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운영

환경보건 Ÿ 기후변화 건강영향 통합평가 시스템 정착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관리

(혼합)

국토/도시/건축 Ÿ 균등한 국토구조 구축 운영

교통 및 물류 Ÿ 철도, 항공, 해운 분야의 개인화된 대중교통 확대Ÿ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하는 교통환경 정착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Ÿ 산림지역으로의 도시화 확산 방지Ÿ 도시농업 확대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라이프스타일Ÿ 세대간, 소득 계층간 형평성 확보Ÿ 양극화의 부작용 최소화Ÿ 재난에 강한 사회시스템의 구축Ÿ 지역 분산형 에너지․농산물 생산 및 소비시스템 정착

거버넌스

Ÿ 분산적 신재생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위한 지방, 지역, 국내, 국제 협력관계의 구축

Ÿ 네트워크 중심 신거버넌스 작동원리 지속원리의 규명Ÿ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제도적 안정성 확보Ÿ 거래비용증가에 대응하고 네트워크 허브로서 광역단위 지역네트워크의

확보Ÿ 커뮤니티 중심 도시체제 확립Ÿ 아시아 대륙, 대륙간 협력체제 구축Ÿ 교육체제의 혁신

Page 39: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69 -

VIII.VIII. 결론 : 연구과제의 요약 및 향후 과제결론 : 연구과제의 요약 및 향후 과제1. 연구결과의 요약

본 연구는 기후친화적 안전사회(Climate Friendly and Safe Society: CFSS)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이에 대한 비전을 세우고 이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부분별 과제를 도출하는 기초적인 시도였다. 본 연구에서의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는 기후변화 요인인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기후에 친화적인 사회 조성과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피해에 적응하여 기후에 안전한 사회를 조성한다는 개념이다. 즉 온실가스 감축 및 완화에 중점을 둔 기후친화적 사회(Climate Friendly Society)와 기후변화 적응에 중점을 둔 기후안전사회(Climate Safe Society)를 동시에 추구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가 추구하는 기후친화적 안전사회의 목표연도는 2050년이다. 즉 2050년의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라는 목표를 가지고 접근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2050 CFSS’라고 부르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2050년 미래 사회 및 경제 전망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인구, 경제, 환경, 형평성, 기술개발, 거버넌스,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수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기후변화 관련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 SPA(Shared climate Policy Assumptions) 시나리오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2050 CFSS 시나리오를 4가지로 유형화 하여 2050년대에서의 우리사회 모습을 전망하였다. 시나리오 1은 2050년까지 현재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간 상황이고, 시나리오 2는 감축 및 완화에 중점을 둔 상황, 시나리오 3은 적응에 중점을 둔 상황, 시나리오 4는 감축과 적응을 동시에 고려하는 본 연구가 지향하는 상황이다. 시나리오 4는 친환경 대중교통 발달, 탄소 흡수량 증가를 위한 산림관리, 신재생 에너지 기술 발달, 높은 생물종다양성 유지, 저밀도 도시와 환경영향이 낮은 생활, 도시간 거버넌스 발달, 채식 및 제철 식품 식단 확대, 폐기물의 원활한 자원순환 등이 일상화된 상황이다. 그리고 2050 CFSS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를 설정하였다. 2005년 대비 2050년에 50%를 감축하는 것으로 하여 285 백만톤 CO2로 제시하였다. 2050년 CFSS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4대 분야로 나누어서 현상황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고 그 분야에 대한 국내외적인 대응 전략을 살펴본 후에 이를 토대로 2050 CFSS 구현전략을 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다. 4개 대분야는 (1) 기후 친화적 경제 및 산업 활동 증진, (2) 기후변화 대응 국가사회의 적응 역량 제고, (3) 기후 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 관리, (4) 기후 친화적 안전사회 관리기반 및 제도 강화 등이다. 이들 대분야는 다시 구체적인 소분야로 나누어서 분석되고 검토되었다. 우선 기후친화적 경제 및 산업활동 증진 전략은 온실가스 감축부문으로 에너지, 비에너지, 생산활동, 소비생활 분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 국가사회의 적

- 70 -

응 역량 제고 전략은 적응부문으로 사회기반시설, 농업 및 산림, 해양/수자원 및 하천관리, 환경보건 분야 등으로 나누어 검토되었다. 셋째, 기후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환경 관리 전략은 감축과 적응을 동시에 고려하는 혼합부문으로 국토/도시/건축, 교통 및 물류,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 분야로 나누진다. 끝으로 기후친화적 안전사회 관리 기반 및 제도 강화 전략은 라이프스타일과 거버넌스 분야로 나누어서 향후 전망과 대응전략이 논의되었다. 이렇듯 4개의 대분야는 총 13개 세부분야별로 나누어져서 현황을 진단하고 2050년 CFSS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예비적인 과제를 묶어서 2050년을 향한 기후친화적 안전사회를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CFSS 접근 모형을 구상하고 2050 CFSS 모형 구축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 접근모형은 기후 친화적 안전사회에 대한 본 연구가 시행될 때의 연구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2050년 CFSS 구축을 위한 실천적 주체로서 가칭 ‘국가 기후친화 안전사회 발전위원회’를 창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조직은 단기적으로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성격을 띄고 출발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네트워크 거버넌스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조직 구성은 정부부문, 비정부부문, 기획조정 부문으로 나누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2050 CFSS를 구축하는 것은 단 시일에 한 두 번의 연구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해당분야의 현상진단, 미래예측, 기술평과와 진단, 정책진단과 평가, 주요국가 사례 등 다양한 정보를 잘 관리하면서 끊임없이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달성해 가야할 과제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4개 대분야별 전략, 13개 세부분야별 소요 D/B를 파악하여 D/B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개괄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D/B의 원활한 구축 및 운영을 위하여 기존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를 확대 개편하여 맡기는 것을 제안하였다. 2050년 CFSS 구축을 위한 추진 과제 우선순위로 2050 CFSS 모형을 본격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에는 본 과제에서 수행하지 못한 2050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과 시나리오별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2050 CFSS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운영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과제에는 법적 및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CFSS 구현을 위해서 13개 세부분야별로 도출된 추진 과제에 대하여 단기(2012~2020년), 중기(2021~2030년), 장기(2031~2050년)로 나누어 추진 과제를 로드맵으로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2. 향후 과제 본 연구는 기후친화 안전사회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우리나라가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개괄적으로 진단하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정책적 관점에서든 과학적인 측면에서든 기후변화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논란의 여지가 많은 인류의 장래를 결정할 수 있는 폭발력을 지닌 문제이다. 기후변화 문제는 자연과학적인 생물 물리학적인 측면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기후변화는 각종 경제적

Page 40: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71 -

사회적 이해관계가 밀접하게 관련된 정치경제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가하면 현세대와 미래세대간의 첨예한 이해가 걸린 정책윤리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데 기후변화문제에 대응하는 방법은 크게 감축 또는 완화와 적응 두 가지로 구분된다. 전자는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를 감축시켜서 기후변화 현상을 완화시켜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변화하는 기후에 슬기롭게 적응하여 피해를 줄이고 오히려 그 긍정적인 측면을 이용하자는 것이 후자의 주장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완화와 적응은 서로 분리되는 개념이 아니다. 기후가스배출을 줄여 기후변화가 완화되면 그 만큼 적응비용이 적게 들어 갈 것이다. 반면 철저한 적응체계가 구축되어 있다면 원만한 기후변화는 별 문제없이 넘어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감축과 완화를 위한 노력이 서로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어떤 완화정책이나 수단은 적응에 부담을 줄 수가 있고 어떤 적응정책은 완화노력에 역행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때로 어떤 정책과 대안은 완화와 적응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도 있다. 자연적인 산림환경을 잘 보전하여 건전하게 관리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정책에 대해서는 우선순위가 보다 많이 주어져야 후회없는 정책이 될 것이다. 본 연구가 강조하는 완화와 적응의 통합적 접근모형 즉 2050 CFSS는 이러한 인식에 토대를 둔 것이다. 완화노력과 적응노력이 상호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되 상호간에 상충되는 결과를 가져와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기후변화가스 배출 저감노력과 기후변화 적응 노력이 합리적으로 균형을 이루었을 때 우리는 최소의 사회적 희생을 기후변화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질적으로 기후변화는 그 동안 우리 인류가 영위하여 왔던 지속 가능하지 않는 생활양식에 그 뿌리가 있다. 고갈성의 화석연료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과 이용 그리고 자연환경에 대한 과도한 개발로 지구생태계의 탄소 흡수 능력의 저감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산업혁명이후 고도로 발달해온 물질문명의 탓이기도 하다. 이는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그간의 지속불가능한 생산과 소비행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속가능한 개발 노력이 배가되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기후변화 문제는 개발의 필수요건인 에너지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기후변화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에너지의 과도한 이용이 기후 문제를 초래하고 있지만 경제개발을 위해서는 에너지 그것도 값싼 에너지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완화를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기후변화가스 배출이 적은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어떠한 인간의 경제활동도 에너지 문제에 대한 고려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본다면 미래의 경제에 대한 설계는 기후-에너지 문제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사회기반시설, 농업 및 산림, 국토 및 도시 개발, 산업입지 결정 등 다양한 국가 개발정책에 기후변화요소가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심지어 생태계 보전 등 환경관리 정책과 사업도 여기에는 예외가 될 수가 없다. 향후 급격하게 변화될 가능성이 높은 기후변화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각종 개발행위는 실패할 가

- 72 -

능성이 매우 높다. 사실 기후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원인이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증가에는 그간 각종 개발행위가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된 탓이 크다. 즉 지속 불가능한 개발행위가 기후변화 요인의 하나가 되었고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을 크게 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면 기후변화문제는 국가발전의 미래 비전과 전략의 기반이 되어야 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단기적인 시각에서 국가발전이나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응에 급급해 온 감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우리나라가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하여 시급하게 추진하여야 할 과제를 몇 가지 제안한다. 첫째는 장기적인 국가발전전략에 기후변화가 주류화 하는 로드맵의 수립과 실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앞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향후 어떠한 국가발전전략도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배려없이는 성공하기 힘들 것이다. 기후변화 문제가 경제산업 문제는 물론 국토 환경관리 그리고 사회문화에 이르기 까지 우리 삶을 바꿀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50년에서 10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국가비전과 발전전략을 수립이 꼭 필요하다. 이러한 장기 전략을 토대로 중기 그리고 단기적인 국가발전전략 실천전략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는 장기적인 국가발전 로드맵을 구축하고 실천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기후-환경-경제 분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해 볼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후변화 대응에 따라 예상되는 장기적인 경제와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가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각종 대안들의 효과를 점검해 볼 수 있는 모델인 것이다. 이 모델개발로 완화와 적응노력을 함께 평가하면서 서로간의 상승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그간에 우리가 의존해 왔던 경제적인 툴에 의한 분석 모형에 체계분석적인 요소를 결합시킨 새로운 모델 구축 방법론이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는 50년 100년이라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국가개발과 환경 및 기후 문제를 고려한 국토환경관리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는 국토관리의 모든 부문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환경생태계에도 커다란 변화가 예상된다. 이는 그간 이루어진 국토의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토대로 국토관리의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될 것이다. 기후변화 예측모델이 매우 상세하게 미래의 우리나라 국토 곳곳의 기후변화를 전망할 해 주는 바를 토대로 국토관리 틀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최장기 국토환경계획이 필요한 것이다. 넷째는 에너지 문제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한 기후와 환경 그리고 경제를 분석하는 다각적인 모형분석도 필요하다고 본다. 셀 가스 등의 개발로 세계에너지 시장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아직은 셀 가스가 가지는 파괴력이 얼마나 될지 그리고 그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한 것도 면밀하게 검토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에너지 시장은 급격하게 변할 가능성은 없지 않다. 그리고 이에 따라 기후변화 완화노력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age 41: 2050 2050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516.pdf ·  · 2015-11-0311-1480523-001080-01 NIER NO. NIER-SP2012-070 2050 A Basic ... 2.2050 미래사회 및 경제 전망

- 73 -

기후변화 문제를 국가발전의 주류화 하기 위해서는 매우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과제들을 도출하여 제안하였는데 위에서 제안하고 있는 것은 몇 개의 골격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의 각 부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다 세부적이고 실천적인 과제가 함께 진행되어 우리나라가 장차 기후 및 환경에 친화적이면서 기후변화에 안전한 사회로 거듭날 것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