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축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외피의 특성 연구 · 工學碩士學位...

79
工學碩士學位 請求論文 현대건축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외피의 특성 연구 - 경계형성 요소로써의 외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ruface Organization Approach through the Program Organiz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Surface as an Element that establish the Boundary - 2006年 2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建築工學科(計劃專攻) 廉 光 皓

Upload: others

Post on 04-Nov-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工學碩士學位 請求論文

    현대건축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외피의 특성 연구

    - 경계형성 요소로써의 외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ruface Organization Approach through the Program

    Organiz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Surface as an Element that establish the Boundary -

    2006年 2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建築工學科(計劃專攻)

    廉 光 皓

  • 工學碩士學位 請求論文

    현대건축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외피의 특성 연구

    - 경계형성 요소로써의 외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ruface Organization Approach through the Program

    Organiz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Surface as an Element that establish the Boundary -

    2006年 2月

    指導敎授 董政根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大學院

    建築工學科(計劃專攻)

    廉 光 皓

  • 이 論文을 廉光皓의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定함

    2006年 1月

    主審 印

    副審 印

    委員 印

  • - I -

    ■ 국문 초록

    현대사회의 디지털과 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비물리적 영역의 가상공

    간을 활성화시켜 도시와 건축의 다양한 실험과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있

    다. 건축과 디지털 기술의 접목은 고정적이라 여겨졌던 건축을 유동적으

    로 변화시키며 도시와 건축 요소들 간의 소통을 자유롭게 하고 있다.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이질적인 문화를 쉽게 접하게 되어, 도시

    에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고밀화, 복잡화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은 이러한 특성을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도시와 건축간 전통적인 경계

    의 해체와 현대사회의 차이, 흐름 혼합 등의 요소가 그 성격이 강해지면

    서 생겨난 요구를 건축화 하는 과정에서, 과거 하나의 건축이 하나의 프

    로그램을 담았던 것에서 현대 건축은 하나의 건축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

    을 담게 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도시와 대응하고 있다. 내부와 외

    부를 나두던 경계의 의미가 해체된 현대건축의 프로그램의 복합화 현상

    은 이질적 요소들의 혼합화 과정이 자유로워지면서 유동적인 공간의 흐

    름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대건축의 외피는 유동적인 공간에서 자유롭게 혼합되는 프로그램

    과 여기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정보를 담아 과거의 고정적, 확정적인 질

    서 체계가 아닌 유동적인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어 도시와 건축을 연결

    시키고 있다.

    근대 건축의 구조에서 독립한 외피는 우선 1차적인 표현의 자율성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내부와 외부를 경계 짓는 외피의 본연의

    기능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후 지속적인 경계에 대한 탐색과, 외피

    의 표현성에 대한 실험은 정보화 사회에 들어 미디어와 결합하게 되면서

    근대부터 탐색되어온 외피의 비물질화 경향을 가속시키고 내‧외부의 개념을 흔들어 놓았다.

    비물질화는 재료의 속성을 시각적으로 변화시켜 전혀 다른 이미지로

  • - II -

    치환시키는 방법이다. 재료의 물성과 비물성화 되어 다른 이미지를 갖게

    된 재료, 미디어와 혼합되어 나타나는 외피는 복잡한 도시와 건축 사이

    에서 정보 전달의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다양화하여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외피는 건축을 형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과거의 그것 보다 더욱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건축의 외피는 단지 건축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표피로서가 아

    니라, 항상 변화하는 건축과 도시 공간 사이에 그 정보를 담아 이벤트를

    활성화 시키고, 또 내부와 외부의 범위를 조정하는 확장된 경계로서 존

    재하게 된다. 현대의 경계의 의미는 해체된 후 재구축된 유동적인 경계

    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건축의 외피의 특징이 나타나게 된 배경을 이론

    적으로 고찰한 후, 현대적 도시의 특징을 갖는 사이트를 설정하여 오늘

    날 도시와 건축이 갖는 다양한 경험과 변화의 가능성을 가진 공간으로

    디자인 실험하는 것을 논문의 결과로 삼을 것이다.

  • - III -

    ■ ABSTRACT

    Development of digital and media's technology in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able to realize various experiment and analysis of

    urban and architecture on account of activating cyberspace of imma

    terial territory.

    Connecting between architecture and digital technology makes

    interaction between the elements of urban and architecture while

    the architecture, was regarded to be fixed, was come to mobility.

    Various elements in city become high density and complicated

    by reason of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nnecting with hetero

    geneous culture easily. As a resul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

    y promotes this features.

    Dissolving a traditional boundary between urban and architectur

    e, gap in contemporary society, mixing of flowing, so on many ele

    ments in a process, which its feature go stronger, and at the time

    occurred, confront with constantly changed city since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incorporated several programme.

    Complicated phenomenon of programme of contemporary archit

    ecture, dissolved the meaning of boundary that separated inside an

    d the other, is 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mpounded process of

    heterogeneous elements makes flowing of mobile space.

    A shell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corporates mixed program

    me and information of event, and connects urban with architecture

    as it is made a new and mobile order.

    Independent shell in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 could be call

    ed that it achieved freedom of expression firstly. However, the functi

  • - IV -

    on, which bordered inside and the other, did not change.

    After that, the experiment about seeking constant boundary and

    expressiblity of the shell accelerated immaterialized tendency of the

    shell, has sought since modern society, and caused confused conc

    epts as it connects with media in informational society.

    Immaterialization is a method to transform to other image as ch

    anging characteristic of material visually.

    The Materials, which have been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 a

    nd immaterialization, have different images, and mixing with media,

    consider performming interface resort to maximized and diversified p

    ossibility of giving information between complex urban and architect

    ure.

    The shell is able to have significant as a element, forms archite

    cture.

    The shell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not only a shell, wrap

    inner space of architecture, but also activate a event with incorporat

    ed information between changing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In a

    ddition, it exists as a extended boundary, which controls the range

    of inside and outside. The meaning of boundary in contemporary is

    able to define reconstructed and mobile boundary after dissolved.

    This experiment inquired into background, which appeared the s

    hell's featur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en selected a site,

    which has contemporary city's feature. Finally, this study's conclusio

    n will regard to experience design to the space, which has possibilit

    y of changing and various experience that urban and architecture ha

    ve.

  • - V -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와 방법 ‧‧‧‧‧‧‧‧‧‧‧‧‧‧‧‧‧‧‧‧‧‧‧‧‧‧‧‧‧‧‧‧‧‧‧‧‧‧‧‧‧‧‧‧‧‧‧‧‧‧‧‧‧‧‧‧‧‧‧‧‧‧ 2 1.3 연구흐름도 ‧‧‧‧‧‧‧‧‧‧‧‧‧‧‧‧‧‧‧‧‧‧‧‧‧‧‧‧‧‧‧‧‧‧‧‧‧‧‧‧‧‧‧‧‧‧‧‧‧‧‧‧‧‧‧‧‧‧‧‧‧‧‧‧‧‧‧‧‧‧‧‧ 42. 현대도시와 현대건축의 특성과 프로그램

    2.1 현대사회와 도시공간의 특성 5

    2.1.1 정보와 네트워크의 도시 ‧‧‧‧‧‧‧‧‧‧‧‧‧‧‧‧‧‧‧‧‧‧‧‧‧‧‧‧‧‧‧‧‧‧‧‧‧‧‧‧‧‧‧‧‧‧ 5 2.1.2 이미지의 도시 ‧‧‧‧‧‧‧‧‧‧‧‧‧‧‧‧‧‧‧‧‧‧‧‧‧‧‧‧‧‧‧‧‧‧‧‧‧‧‧‧‧‧‧‧‧‧‧‧‧‧‧‧‧‧‧‧‧‧‧‧‧ 6 2.1.3 움직임과 흐름의 도시 ‧‧‧‧‧‧‧‧‧‧‧‧‧‧‧‧‧‧‧‧‧‧‧‧‧‧‧‧‧‧‧‧‧‧‧‧‧‧‧‧‧‧‧‧‧‧‧‧‧ 7 2.2 현대 건축공간의 특성

    2.2.1 다중심성 ‧‧‧‧‧‧‧‧‧‧‧‧‧‧‧‧‧‧‧‧‧‧‧‧‧‧‧‧‧‧‧‧‧‧‧‧‧‧‧‧‧‧‧‧‧‧‧‧‧‧‧‧‧‧‧‧‧‧‧‧‧‧‧‧‧‧‧‧‧ 8 2.2.2 연속성 ‧‧‧‧‧‧‧‧‧‧‧‧‧‧‧‧‧‧‧‧‧‧‧‧‧‧‧‧‧‧‧‧‧‧‧‧‧‧‧‧‧‧‧‧‧‧‧‧‧‧‧‧‧‧‧‧‧‧‧‧‧‧‧‧‧‧‧‧‧‧‧‧ 8 2.2.3 이질성의 혼합 ‧‧‧‧‧‧‧‧‧‧‧‧‧‧‧‧‧‧‧‧‧‧‧‧‧‧‧‧‧‧‧‧‧‧‧‧‧‧‧‧‧‧‧‧‧‧‧‧‧‧‧‧‧‧‧‧‧‧‧‧‧ 9 2.3 현대건축의 프로그램의 특성

    2.3.1 프로그램의 등장 ‧‧‧‧‧‧‧‧‧‧‧‧‧‧‧‧‧‧‧‧‧‧‧‧‧‧‧‧‧‧‧‧‧‧‧‧‧‧‧‧‧‧‧‧‧‧‧‧‧‧‧‧‧‧‧‧‧ 10 2.3.2 프로그램과 양식 ‧‧‧‧‧‧‧‧‧‧‧‧‧‧‧‧‧‧‧‧‧‧‧‧‧‧‧‧‧‧‧‧‧‧‧‧‧‧‧‧‧‧‧‧‧‧‧‧‧‧‧‧‧‧‧‧‧ 11 2.3.3 근대건축의 프로그램과 기능 ‧‧‧‧‧‧‧‧‧‧‧‧‧‧‧‧‧‧‧‧‧‧‧‧‧‧‧‧‧‧‧‧‧‧‧‧‧‧‧ 11 2.3.4 탈근대 프로그램의 재해석 ‧‧‧‧‧‧‧‧‧‧‧‧‧‧‧‧‧‧‧‧‧‧‧‧‧‧‧‧‧‧‧‧‧‧‧‧‧‧‧‧‧‧ 11 2.3.5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의 복합화 ‧‧‧‧‧‧‧‧‧‧‧‧‧‧‧‧‧‧‧‧‧‧‧‧‧‧‧‧‧‧‧‧‧‧ 12 2.4 소결 ‧‧‧‧‧‧‧‧‧‧‧‧‧‧‧‧‧‧‧‧‧‧‧‧‧‧‧‧‧‧‧‧‧‧‧‧‧‧‧‧‧‧‧‧‧‧‧‧‧‧‧‧‧‧‧‧‧‧‧‧‧‧‧‧‧‧‧‧‧‧‧‧‧‧‧‧‧‧‧‧‧‧ 143. 외피의 해석을 통한 현대건축 공간의 특징

    3.1 외피의 의미와 건축 공간과의 관계

    3.1.1 외피의 형성 ‧‧‧‧‧‧‧‧‧‧‧‧‧‧‧‧‧‧‧‧‧‧‧‧‧‧‧‧‧‧‧‧‧‧‧‧‧‧‧‧‧‧‧‧‧‧‧‧‧‧‧‧‧‧‧‧‧‧‧‧‧‧‧‧ 16 1) 근대 이전의 외피에 관한 담론‧‧‧‧‧‧‧‧‧‧‧‧‧‧‧‧‧‧‧‧‧‧‧‧‧‧‧‧‧‧‧‧‧‧‧‧‧‧‧ 16 2) 근대 이후의 외피 ‧‧‧‧‧‧‧‧‧‧‧‧‧‧‧‧‧‧‧‧‧‧‧‧‧‧‧‧‧‧‧‧‧‧‧‧‧‧‧‧‧‧‧‧‧‧‧‧‧‧‧‧‧‧‧‧‧ 19 3) 현대건축의 외피‧‧‧‧‧‧‧‧‧‧‧‧‧‧‧‧‧‧‧‧‧‧‧‧‧‧‧‧‧‧‧‧‧‧‧‧‧‧‧‧‧‧‧‧‧‧‧‧‧‧‧‧‧‧‧‧‧‧‧‧‧ 22 3.2 도시의 내․외부 공간과의 관계 3.2.1 외피와 경계 ‧‧‧‧‧‧‧‧‧‧‧‧‧‧‧‧‧‧‧‧‧‧‧‧‧‧‧‧‧‧‧‧‧‧‧‧‧‧‧‧‧‧‧‧‧‧‧‧‧‧‧‧‧‧‧‧‧‧‧‧‧‧‧‧ 23 3.2.2 고전적 시기의 내․외부 공간 ‧‧‧‧‧‧‧‧‧‧‧‧‧‧‧‧‧‧‧‧‧‧‧‧‧‧‧‧‧‧‧‧‧‧‧‧‧‧‧‧ 23 3.2.3 중세 이후의 외부 공간 ‧‧‧‧‧‧‧‧‧‧‧‧‧‧‧‧‧‧‧‧‧‧‧‧‧‧‧‧‧‧‧‧‧‧‧‧‧‧‧‧‧‧‧‧‧‧‧ 23 3.2.4 근대건축의 내․외부 공간 ‧‧‧‧‧‧‧‧‧‧‧‧‧‧‧‧‧‧‧‧‧‧‧‧‧‧‧‧‧‧‧‧‧‧‧‧‧‧‧‧‧‧‧‧‧ 24 3.3. 현대 건축의 내․외부 공간 3.3.1 경계를 허문 예술운동 ‧‧‧‧‧‧‧‧‧‧‧‧‧‧‧‧‧‧‧‧‧‧‧‧‧‧‧‧‧‧‧‧‧‧‧‧‧‧‧‧‧‧‧‧‧‧‧‧‧ 25

    목 차

    ■ 국문 초록

    ■ ABSTRACT

  • - VI -

    1) 입체파 운동 ‧‧‧‧‧‧‧‧‧‧‧‧‧‧‧‧‧‧‧‧‧‧‧‧‧‧‧‧‧‧‧‧‧‧‧‧‧‧‧‧‧‧‧‧‧‧‧‧‧‧‧‧‧‧‧‧‧‧‧‧‧‧ 25 2) 다다이즘 ‧‧‧‧‧‧‧‧‧‧‧‧‧‧‧‧‧‧‧‧‧‧‧‧‧‧‧‧‧‧‧‧‧‧‧‧‧‧‧‧‧‧‧‧‧‧‧‧‧‧‧‧‧‧‧‧‧‧‧‧‧‧‧‧‧‧‧ 26 3) 팝아트 ‧‧‧‧‧‧‧‧‧‧‧‧‧‧‧‧‧‧‧‧‧‧‧‧‧‧‧‧‧‧‧‧‧‧‧‧‧‧‧‧‧‧‧‧‧‧‧‧‧‧‧‧‧‧‧‧‧‧‧‧‧‧‧‧‧‧‧‧‧‧ 26 4) 키네틱 아트 ‧‧‧‧‧‧‧‧‧‧‧‧‧‧‧‧‧‧‧‧‧‧‧‧‧‧‧‧‧‧‧‧‧‧‧‧‧‧‧‧‧‧‧‧‧‧‧‧‧‧‧‧‧‧‧‧‧‧‧‧‧‧ 27 5) 인터액티브 아트 ‧‧‧‧‧‧‧‧‧‧‧‧‧‧‧‧‧‧‧‧‧‧‧‧‧‧‧‧‧‧‧‧‧‧‧‧‧‧‧‧‧‧‧‧‧‧‧‧‧‧‧‧‧‧‧‧ 28 3.3.2 건축에서 경계성의 변화 ‧‧‧‧‧‧‧‧‧‧‧‧‧‧‧‧‧‧‧‧‧‧‧‧‧‧‧‧‧‧‧‧‧‧‧‧‧‧‧‧‧‧‧ 28 3.3.3 현대건축 외피의 재해석 ‧‧‧‧‧‧‧‧‧‧‧‧‧‧‧‧‧‧‧‧‧‧‧‧‧‧‧‧‧‧‧‧‧‧‧‧‧‧‧‧‧‧‧ 31 1) 외피의 빗물성화 ‧‧‧‧‧‧‧‧‧‧‧‧‧‧‧‧‧‧‧‧‧‧‧‧‧‧‧‧‧‧‧‧‧‧‧‧‧‧‧‧‧‧‧‧‧‧‧‧‧‧‧‧‧‧‧‧ 31 3.4 소결 ‧‧‧‧‧‧‧‧‧‧‧‧‧‧‧‧‧‧‧‧‧‧‧‧‧‧‧‧‧‧‧‧‧‧‧‧‧‧‧‧‧‧‧‧‧‧‧‧‧‧‧‧‧‧‧‧‧‧‧‧‧‧‧‧‧‧‧‧‧‧‧‧‧‧‧‧‧‧‧ 334. 프로그램의 복합화와 외피의 복합화

    4.1 사례분석 ‧‧‧‧‧‧‧‧‧‧‧‧‧‧‧‧‧‧‧‧‧‧‧‧‧‧‧‧‧‧‧‧‧‧‧‧‧‧‧‧‧‧‧‧‧‧‧‧‧‧‧‧‧‧‧‧‧‧‧‧‧‧‧‧‧‧‧‧‧‧‧‧‧‧‧ 34 4.2 표피의 복합화 ‧‧‧‧‧‧‧‧‧‧‧‧‧‧‧‧‧‧‧‧‧‧‧‧‧‧‧‧‧‧‧‧‧‧‧‧‧‧‧‧‧‧‧‧‧‧‧‧‧‧‧‧‧‧‧‧‧‧‧‧‧‧‧‧‧‧‧ 395. 디자인 실험

    5.1 사이트 개요 ‧‧‧‧‧‧‧‧‧‧‧‧‧‧‧‧‧‧‧‧‧‧‧‧‧‧‧‧‧‧‧‧‧‧‧‧‧‧‧‧‧‧‧‧‧‧‧‧‧‧‧‧‧‧‧‧‧‧‧‧‧‧‧‧‧‧‧‧‧‧ 43 4.2 표피의 복합화 ‧‧‧‧‧‧‧‧‧‧‧‧‧‧‧‧‧‧‧‧‧‧‧‧‧‧‧‧‧‧‧‧‧‧‧‧‧‧‧‧‧‧‧‧‧‧‧‧‧‧‧‧‧‧‧‧‧‧‧‧‧‧‧‧‧‧‧ 486. 결론‧‧‧‧‧‧‧‧‧‧‧‧‧‧‧‧‧‧‧‧‧‧‧‧‧‧‧‧‧‧‧‧‧‧‧‧‧‧‧‧‧‧‧‧‧‧‧‧‧‧‧‧‧‧‧‧‧‧‧‧‧‧‧‧‧‧‧‧‧‧‧‧‧‧‧‧‧‧‧‧‧‧‧‧‧‧‧‧‧ 50

  • - VII -

    표 1 연구 흐름도‧‧‧‧‧‧‧‧‧‧‧‧‧‧‧‧‧‧‧‧‧‧‧‧‧‧‧‧‧‧‧‧‧‧‧‧‧‧‧‧‧‧‧‧‧‧‧‧‧‧‧‧‧‧‧‧‧‧‧‧‧‧‧‧‧‧‧‧‧ 4표 2 프로그램의 연대기적 변화 ‧‧‧‧‧‧‧‧‧‧‧‧‧‧‧‧‧‧‧‧‧‧‧‧‧‧‧‧‧‧‧‧‧‧‧‧‧‧‧‧‧‧‧‧‧‧ 14표 3 프로그램 해석의 변화 ‧‧‧‧‧‧‧‧‧‧‧‧‧‧‧‧‧‧‧‧‧‧‧‧‧‧‧‧‧‧‧‧‧‧‧‧‧‧‧‧‧‧‧‧‧‧‧‧‧‧‧‧‧ 15표 4 유물론과 관념론 ‧‧‧‧‧‧‧‧‧‧‧‧‧‧‧‧‧‧‧‧‧‧‧‧‧‧‧‧‧‧‧‧‧‧‧‧‧‧‧‧‧‧‧‧‧‧‧‧‧‧‧‧‧‧‧‧‧‧‧‧‧‧‧ 17표 5 경계를 허문 예술운동 ‧‧‧‧‧‧‧‧‧‧‧‧‧‧‧‧‧‧‧‧‧‧‧‧‧‧‧‧‧‧‧‧‧‧‧‧‧‧‧‧‧‧‧‧‧‧‧‧‧‧‧‧‧‧ 27표 6 현대건축 경계의 특성 ‧‧‧‧‧‧‧‧‧‧‧‧‧‧‧‧‧‧‧‧‧‧‧‧‧‧‧‧‧‧‧‧‧‧‧‧‧‧‧‧‧‧‧‧‧‧‧‧‧‧‧‧‧‧ 31표 7 건축에서의 빗물질성 ‧‧‧‧‧‧‧‧‧‧‧‧‧‧‧‧‧‧‧‧‧‧‧‧‧‧‧‧‧‧‧‧‧‧‧‧‧‧‧‧‧‧‧‧‧‧‧‧‧‧‧‧‧‧‧‧ 32표 8 시대순에 따른 외피의 의미 변화 ‧‧‧‧‧‧‧‧‧‧‧‧‧‧‧‧‧‧‧‧‧‧‧‧‧‧‧‧‧‧‧‧‧‧‧‧‧‧ 33표 9 프로그램의 복합화 ‧‧‧‧‧‧‧‧‧‧‧‧‧‧‧‧‧‧‧‧‧‧‧‧‧‧‧‧‧‧‧‧‧‧‧‧‧‧‧‧‧‧‧‧‧‧‧‧‧‧‧‧‧‧‧‧‧‧‧ 34표 10 외피의 복합화 ‧‧‧‧‧‧‧‧‧‧‧‧‧‧‧‧‧‧‧‧‧‧‧‧‧‧‧‧‧‧‧‧‧‧‧‧‧‧‧‧‧‧‧‧‧‧‧‧‧‧‧‧‧‧‧‧‧‧‧‧‧‧‧‧‧‧ 39표 10 외피의 활성화, 통합화‧‧‧‧‧‧‧‧‧‧‧‧‧‧‧‧‧‧‧‧‧‧‧‧‧‧‧‧‧‧‧‧‧‧‧‧‧‧‧‧‧‧‧‧‧‧‧‧‧‧‧‧‧‧‧ 43

    그림 1 폴 배런의 네트워크 개념 ‧‧‧‧‧‧‧‧‧‧‧‧‧‧‧‧‧‧‧‧‧‧‧‧‧‧‧‧‧‧‧‧‧‧‧‧‧‧‧‧‧‧‧‧‧‧‧‧‧‧그림 2 현대사회의 공성과 사성 ‧‧‧‧‧‧‧‧‧‧‧‧‧‧‧‧‧‧‧‧‧‧‧‧‧‧‧‧‧‧‧‧‧‧‧‧‧‧‧‧‧‧‧‧‧‧‧‧‧‧‧그림 3 선형구조에서 비선형구조로 ‧‧‧‧‧‧‧‧‧‧‧‧‧‧‧‧‧‧‧‧‧‧‧‧‧‧‧‧‧‧‧‧‧‧‧‧‧‧‧‧‧‧‧‧‧‧그림 4 비선형의 도시 ‧‧‧‧‧‧‧‧‧‧‧‧‧‧‧‧‧‧‧‧‧‧‧‧‧‧‧‧‧‧‧‧‧‧‧‧‧‧‧‧‧‧‧‧‧‧‧‧‧‧‧‧‧‧‧‧‧‧‧‧‧‧‧‧‧‧그림 5 Park House, MVRDV ‧‧‧‧‧‧‧‧‧‧‧‧‧‧‧‧‧‧‧‧‧‧‧‧‧‧‧‧‧‧‧‧‧‧‧‧‧‧‧‧‧‧‧‧‧‧‧‧‧‧‧‧‧‧‧그림 6 La Villette / NewYork Prada ‧‧‧‧‧‧‧‧‧‧‧‧‧‧‧‧‧‧‧‧‧‧‧‧‧‧‧‧‧‧‧‧‧‧‧‧‧‧‧‧‧‧‧그림 7 연속 - Jussuieu Library ‧‧‧‧‧‧‧‧‧‧‧‧‧‧‧‧‧‧‧‧‧‧‧‧‧‧‧‧‧‧‧‧‧‧‧‧‧‧‧‧‧‧‧‧‧‧‧‧‧‧그림 8 Manimal ‧‧‧‧‧‧‧‧‧‧‧‧‧‧‧‧‧‧‧‧‧‧‧‧‧‧‧‧‧‧‧‧‧‧‧‧‧‧‧‧‧‧‧‧‧‧‧‧‧‧‧‧‧‧‧‧‧‧‧‧‧‧‧‧‧‧‧‧‧‧‧‧‧‧‧그림 9 프로그램의 해체 및 중첩 ‧‧‧‧‧‧‧‧‧‧‧‧‧‧‧‧‧‧‧‧‧‧‧‧‧‧‧‧‧‧‧‧‧‧‧‧‧‧‧‧‧‧‧‧‧‧‧‧‧그림10 근대의 고정적 현상에서 현대의 유동적 현상으로의 변화 ‧‧‧그림11 Caos ‧‧‧‧‧‧‧‧‧‧‧‧‧‧‧‧‧‧‧‧‧‧‧‧‧‧‧‧‧‧‧‧‧‧‧‧‧‧‧‧‧‧‧‧‧‧‧‧‧‧‧‧‧‧‧‧‧‧‧‧‧‧‧‧‧‧‧‧‧‧‧‧‧‧‧‧‧‧‧‧ 14그림12 노틀담성당 ‧‧‧‧‧‧‧‧‧‧‧‧‧‧‧‧‧‧‧‧‧‧‧‧‧‧‧‧‧‧‧‧‧‧‧‧‧‧‧‧‧‧‧‧‧‧‧‧‧‧‧‧‧‧‧‧‧‧‧‧‧‧‧‧‧‧‧‧‧‧‧ 14그림13 구축에서 조립으로 외피의 시스템 변화 ‧‧‧‧‧‧‧‧‧‧‧‧‧‧‧‧‧‧‧‧‧‧‧‧‧‧‧ 19그림14 Steiner House - Adolf Loos ‧‧‧‧‧‧‧‧‧‧‧‧‧‧‧‧‧‧‧‧‧‧‧‧‧‧‧‧‧‧‧‧‧‧‧‧‧‧‧‧‧‧ 20그림15 Dom-ino System ‧‧‧‧‧‧‧‧‧‧‧‧‧‧‧‧‧‧‧‧‧‧‧‧‧‧‧‧‧‧‧‧‧‧‧‧‧‧‧‧‧‧‧‧‧‧‧‧‧‧‧‧‧‧‧‧‧‧‧‧ 21그림16 Barcelona Pavilion - Mies van de Rohe ‧‧‧‧‧‧‧‧‧‧‧‧‧‧‧‧‧‧‧‧‧‧‧ 21그림17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 23그림18 기타치는 여인 - 브라크 ‧‧‧‧‧‧‧‧‧‧‧‧‧‧‧‧‧‧‧‧‧‧‧‧‧‧‧‧‧‧‧‧‧‧‧‧‧‧‧‧‧‧‧‧‧‧‧‧‧ 25그림19 fondation ‧‧‧‧‧‧‧‧‧‧‧‧‧‧‧‧‧‧‧‧‧‧‧‧‧‧‧‧‧‧‧‧‧‧‧‧‧‧‧‧‧‧‧‧‧‧‧‧‧‧‧‧‧‧‧‧‧‧‧‧‧‧‧‧‧‧‧‧‧‧‧‧‧ 26그림20 마를린 먼로 - 앤디 워홀 ‧‧‧‧‧‧‧‧‧‧‧‧‧‧‧‧‧‧‧‧‧‧‧‧‧‧‧‧‧‧‧‧‧‧‧‧‧‧‧‧‧‧‧‧‧‧‧‧‧ 27그림21 자전거 바퀴 - 뒤샹, 작은 거미 - 알렉산더 칼더, 메쉬 - 빅토르 라자렐리 ‧‧ 27그림22 Interactive Art - 그림자 정원 ‧‧‧‧‧‧‧‧‧‧‧‧‧‧‧‧‧‧‧‧‧‧‧‧‧‧‧‧‧‧‧‧‧‧‧‧‧‧‧‧‧‧ 28그림23 바우하우스, 월터그로피우스 ‧‧‧‧‧‧‧‧‧‧‧‧‧‧‧‧‧‧‧‧‧‧‧‧‧‧‧‧‧‧‧‧‧‧‧‧‧‧‧‧‧‧‧‧‧ 29그림24 바우하우스 평면도, 월트그로피우스 ‧‧‧‧‧‧‧‧‧‧‧‧‧‧‧‧‧‧‧‧‧‧‧‧‧‧‧‧‧‧‧‧‧ 29그림25 슈뢰더주택 2층 평면과 모서리부분 창문 ‧‧‧‧‧‧‧‧‧‧‧‧‧‧‧‧‧‧‧‧‧‧‧‧‧‧ 30

    █ 표 목차

    █그림 목차

  • - 1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삶의 질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도시중심

    의 사회가 되어가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에 의한 정보화는 뉴미디어사회라는 새

    로운 개념으로, 정보화와 이미지의 활성화와 함께, 다중적이고 다의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과거 하나의 사회적 요구와 이의 반영으로 단일 프로그램을 만족시키는 제한된

    디자인을 해오던 건축가들과는 달리, 현대의 사회와 도시의 변화는 현대 건축가

    들에게 요구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독창적이고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고 있다. 특히 가상공간을 통한 물리적 공간의 체험 공간을 비물리적 공

    간으로 확장시키는 행위를 통해 물리적 경계를 해체하면서, 과거 견고하고 확정

    적으로 여겨졌던 개념과 영역이 이제는 상호교류를 통해 확장하고 있고, 이를 통

    해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해체시키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실재와 경계가 해체되

    면서 현대의 문화는 불안정하며, 무질서한 혼돈이라 일컬어지게 되었지만, 이러

    한 현상은 현대건축가의 사고와 건축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도시

    의 비물리적 공간을 건축에 적용시키려는 과감한 시도는 경계를 통한 내․외부의 구분, 공성과 사성, 자연과 인공, 공간과 프로그램을 나누는 근대건축의 이분법

    적인 사고방식을 해체시켜 건축의 범위를 도시와 그 밖으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현대건축의 프로그램의 적용방법도 과거와는 다른 양상

    을 보이고 있다. 현대 도시가 불확정성으로 대표되고, 다양성, 복잡성, 이질성,

    흐름을 중요시하는 특징을 보이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각각의 차이를 인정하면

    서, 프로그램은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복합화의 개념을 보이고 있다.

    불확정성은 도시와 건축 전반에 영향을 미쳐 그 개념은 현대도시를 반영하고

    그 요소를 건축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메트로폴리스로 일컬어지는 거대하고 급변

    하는 현대도시의 다양한 프로그램은 규모가 작은 건축의 사적 프로그램을 다루

    는데도 고려해야할 만큼 상호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근대건축의 이분법적

    인 사고에 바탕을 두고 프로그램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하나의 독립적

    으로 만들었던 방식은 현대 사회의 사고방식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이벤트

    의 발생, 행위와 행위의 연결, 도시와 건축간 네트워크에 의해 하나의 프로그램

    이 하나의 기능을 담는 것에서 벗어나,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그 내용을 달리하

  • - 2 -

    는 복합화 되는 현상을 보이며 현대 건축은 거대화1)의 개념을 보이고 있다.

    현대 건축의 복합화된 프로그램을 담기 위해 전통적인 건축의 개념 또한 커다

    란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프로그램의 복합화와 함께, 근대 건축을 지나면

    서 독립적인 요소로 표현의 자율성을 갖게 된 외피의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외

    피는, 공간-구조-외피로 서로 다른 영역으로 생각되었던 것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면서 건축물을 형성하던 요소로서의 구분은 무의미해지고 비물질화 과정

    을 통해 다른 컨텍스트와 접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즉, 경계의 범위를 고정시

    켰던 외피는 현대에 이르러 프로그램화, 복합화된 내부의 프로그램을 도시로 확

    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경계의 개념, 범위를 변화시키고 있다.

    외피의 기능은 이제 과거 구축과 동일시되었던 시대와, 추상적 장식으로 일체의

    장식을 부정했던 시대를 지나, 현대의 사회적 흐름속에 현대건축의 특징을 형성

    하는 요소로 자리 잡았다.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프로그램을 하나의 질서로 통합

    하는 과정 속에, 차이와 흐름을 바탕으로 외피의 구축과 적용 범위가 건물 내․외부 밖으로 연장되며 과거의 기능에, 도시와 건축간 경계를 정의 내리기가 난해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와 도시의 다양해진 프로그램의 수용 요구를

    바탕으로 나타나고 있는 복합화 특징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비물성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외피와 그 외피가 형성하는 경계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도시와 건축 그 상호 교류로 대등하게 된 현대 사회의 특징을 알아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의 외피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1장의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 현대사회의 변화를 바탕으로 현대도시와 현대건축공간의 특징을 알아보고

    현대 건축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의 복합화 현상에 대한 이론적 측면을 살펴본 후

    3장에서는 외피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미와 그 기능을 알아보고, 경계의 의미

    로서의 외피가 도시의 내․외부 공간 형성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와 현대 건축의 외피의 특징을 간략하게 알아본다.

    1) 렘쿨하스의 ‘거대함’개념 참조

  • - 3 -

    4장에서는 외피의 물성 변화를 건축 조직의 질서를 유지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작가들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현대 건축의 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외피의

    개념에 대해서 분석한다.

    5장과 6장은 결론으로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5자에서 도시 내․외부 공간의 매개 공간으로서 외피의 가능성과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을 가지

    고 6장에서는 결과물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현대 건축에서 비비물질적 경향을지닌 외피를 사례로 도시 내․외부 공간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도시 공간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건축 외피를 통해 도시 내․외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접한 면으로써가 아닌 확장된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 결론적으로 도시 내․외부를 소통시키는 경계의 해체하여 재구축한 확장된 외피로서의 매개 공간을 디자인

    한다.

    이상의 내용에 간한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 4 -

    2장현대사회와

    도시의 특성

    정보와 네트워크

    이미지, 움직임과 흐름

    현대건축공간의

    특성

    다중심성, 연속성,

    이질성의 혼합

    현대건축 프로그램의

    특성의미

    시대순변화

    복합화, 혼합화

    3장외피와 도시의

    내․외부 공간외피의 일반적

    해석

    도시의 내․외부 공간

    외피의 재해석

    -비물성화

    건축의 내․외부 공간

    근대건축

    현대건축

    외피와 경계 예술

    건축

    4장 사례분석프로그램의

    복합화

    외피의 복합화

    통합화

    5장 디자인실험

    6장 결 론

    1.3 연구 흐름도

  • - 5 -

    그림1 폴 배런의 네트워크 개념

    그림 2 현대사회의 공성과 사성

    2. 현대도시와 현대건축의 특성과 프로그램

    2.1. 현대사회와 도시공간의 특성

    2.1.1 정보와 네트워크의 도시

    현대사회는 우리와 전체를 중요시하고

    기존의 소수중심 - 권력적, 선형적, 중심

    적, 폐쇄적 - 의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구성원 개체를 중시하는 다수중심 -탈위

    계, 비선형, 탈중심, 개방적 -적인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정보화에 따른 네트워크

    망의 구축은 이러한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정보란 의사소통이라는 과정을 거쳐 전달되며, 인간의 의사소통은 쌍방향적인

    것으로 정보화 사회가 발달한다는 것은 상호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의사소통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수많은 개인이 점적인

    교류의 매체를 형성함으로써, 1:1 대응이 아니라 1:다수, 다수:다수의 대응이 동

    시다발적으로, 그 거리에 상관없이 일어나고 있다. 상호 교류의 활성화로 수많은

    점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그물망은 그

    위계가 불분명하고 코드 양식에 의해 끊

    임없이 접속과 단적이 가능하다는 점, 출

    구와 입구의 분포가 다양하여 경로의 변

    경이 자유롭다는 특징으로 현대 도시의

    경계선과 좌표를 끊임없이 변화시켜 도시

    를 물질적인 공간에 한정시키지 않고, 공

    간이나 장소에 얽매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도시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사람의 접촉과 교환에 의해 발생하는 정보의 흐름과 새로운 지식 전달체로서의

    정보의 흐름은 공공 영역을 형성하고 도시의 흐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

    에 비물리적인 정보의 네트워크를 통한 작동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도시의 모

    습을 재정의 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와 정보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지속시키는

    한 편 정보 그 자체가 도시의 또 다른 한 면을 대변하게 됨으로써, 정보의 교환

  • - 6 -

    그림 3 선형구조에서 비선형구조로

    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공성을 획득하면서 도시의 물리적공간에서 비물리적 공

    간으로의 연속적인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2.1.2 고밀화와 지속적 변화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생활은 도시에

    서 이루어지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변

    화하면서 점 점 비대해지고 있다. DV는

    근대이후 도시는 City에서 Metropolis로

    Megacity2)로 Metapolis3)로 현대 도시

    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거대해진 도시의 지속적인 변화는 역동성과 가변성에

    대한 요구로 여러 이질적 문화의 요소의 혼합화, 복합화를 초래한다. 혼합된 이

    종의 문화는 또 다른 문화와 끊이 없이 혼합되고 현대의 도시는 선형적인 모습

    의 과거 도시 형상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도시 구성 요소간 경계가 무

    너고, 방향성이 상실됨으로써, 예측 불가능한 규칙을 지니면서 존재한다.4)

    2.1.2 이미지의 도시

    정보 사회 및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우리의 생활은 각 종 정보와 이미지5)가 침

    2) MVRDV

    3) meta + polis 합성어로

    ㆍmeta → 제2의, 성찰적으로 바라보기

    ㆍpolis → 도시국가의 연합체인 고대그리스에서 한 도시 (polis)는 그가 장학하고 있는

    지역 (colonny)

    ㆍmetropole mere(어머니) + polis(집중, 도시)

    ㆍcity ← civitas Dei 신의도시

    ㆍville ← village 농촌영역의 확장되고 발전된도시

    ㆍpolis ← pole 極

    metapolis는 인구 수십만 이상의 도시로써 다기능성을 갖으며 외국의 다른 도시들과도

    경제적 관계를 갖는 도시를 일컫는다. - 정기용의 'METAPOLIS' 원고 중에서 -4) 불확정성을 뜻하는 "indeterminacy"라는 단어의 기원은 “determinare"가 ”to limit", 또는 “to

    set limits"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de"는 “from"을 ”terminare"는 “to limit"를 의미한다.

    따라서 ”indeterminacy"의 의미는 ‘불확정한’, ‘애매한’, ‘미정의’이다. 따라서 이 단어는 경계에

    대한 관념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5) Jean Baudrillard는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의 반영이다.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을 감추고 변

    형시킨다. 이미지는 깊은 사실성의 부재를 감춘다. 이미지는 그것이 무엇이건 어떠한 사실성과

    도 무관하며 자기 자신의 순수한 시뮬라크르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 - 7 -

    그림 4 비선형의 도시 - 베를린, 바르셀로나, 런던투해 들어온 영역들로 구성되어 우리는 도시 안에서 한 순간도 그러한 이미지들

    을 접하지 않을 수 없다. 도시의 흐름 속에 놓인 이미지나 정보는 그 자체가 교

    통이나 사람들의 이동, 경험과 같이 도시와 건축 간의 흐름을 조직하는 일차적

    요소가 아니라 그러한 흐름을 가시화시킴으로써 인지를 높여 강화시킬 수 있는

    간접적 매개가 될 수도 있다. 도시의 가로나 도로에 놓인 전광판, 간판 등의 정

    보로 가득한 이미지들은 사람들의 움직임에 따라 하나의 흐름으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이미지의 연속은 건물의 입면에서 보이는 텍스트의 삽입 등의 결과를 낳

    고 그것도 하나의 흐름으로 가시화된다.

    도시에서 이미지의 특성은 그 내면의 사실성을 덮어버린다는 것이다. 현대에 와

    서는 이미지란 더 이상 object의 본질과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

    니라 오히려 관련이 없어 보이는 시스템으로부터 다시 object가 규정6)받는다.

    이제 이미지는 단순히 정보전달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증식하고 복

    제하며, 변형하고 있다.

    2.1.3 움직임과 흐름의 도시

    끊임없이 새로운 소통의 수단을 발명하고 교환과 유통의 수단을 만들어내어 점

    점 복잡해지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정보의 흐름과 도시민들의 생활은 도시를 끊임

    없이 흐르게 하여 도시를 점점 더 확장시키고 있다. 이제 도시는 역동성의 관점

    에서 관찰된다는 Alex Wall의 언급처럼 이제 도시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하부구

    조, 네트워크의 흐름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

    의 경험은 점점 더 사람, 운송수단, 정보 등의 흐름을 구성하는 인자에 종속적이

    게 되고, 그 인자들이 곧 도시를 구성하는 물질인 동시에 환경이 된다.

    MVRDV의 Park House 계획안을 보면 도시를 하나의 거대한 연속체로 보고 도

    6) 아돌프 루스와 르꼬르뷔제 건축의 내․외부 개념에 관한 연구, 김동현, 서울대 석논, 1995. P44

  • - 8 -

    그림 5 Park House, MVRDV - 도시의 기능이 건축화로 도시와 건축의

    경계가 사라진다.

    시의 운송수단을 도시의 구성 요소들 중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MVRDV

    는 자동차를 현대 도시에서 사람들을 도시의 각 지점과 지점을 연결시켜주는 수

    단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운송 수단으로 도시와 건축 간 흐름의 연결의

    매개로 해석하고 있다. 기존의 건물들이 주차장과 건물의 프로그램이 분리되었던

    것에 반해 이 건물에서는 연속적인 주차장을 먼저 두고, 그 사이에 프로그램들을

    삽입시키면서 도시와 건축을 하나의 흐름에 두고 있다.

    2.2 현대 건축공간의 특성

    현대건축은 현대도시의 구성요소들이 건축화 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여기서 건축은 도시에 종속되는 모습이 아닌 대등한 관계로 고려되고 있다.

    건축이 도시와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된 연속성은 도시가 가지고 있던 공적

    기능과 건축이 가지고 있던 사적인 기능이 한군데 어우러져 공성과 사성의 역전

    되는 현상과, 프로그램의 복합화로 나타난다.

    2.2.1 다중심성

    선형적 위계의 사회구조나 조직체계를 대신해서 각 조직 구성원들의 위상이 동

    등해지는 정보사회의 변화에서 나타나듯이, 건축에서의 다중심성은 프로그램의

    위계에 있어서 각 실들에 동일한 가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즉, 중심

    성이 있고 일방향적인 공간 구성에서 이 중심을 분산하고 분산 배치된 프로그램

    들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베르나르 츄미의 라빌레뜨 공원은 흩어져있는 폴리로 위계를 없애고 그 각각의

    폴리에서 다양한 행위가 동시에 일어나도록 의도하고 있으며, 렘쿨하스의 뉴욕프

  • - 9 -

    그림 6 La Villette / NewYork Prada - 분화에 따른 다중심성

    그림 7 연속 - Jussieu Library

    라다에서는 프로그램을 분화시켜 흩뜨려놓으면서 위계를 없애 단일 공간 내 다

    중심적 성격의 공간으로 바꾸어놓고 있다.

    2.2.2 연속성

    현대사회의 유목적 특성과 도시의 요소가 건축의 형상으로

    구축화 되는 경향은 전통적인 고정적이고 수직적 공간 분할의

    방법을 벗어나 끊임없이 연속되는 흐름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투명성을 바탕으로 한 내․외부의 시지각적 연결과 위상이 전환된 연속적인 벽, 바닥면을 형성해 공간을 구성하거나,

    폴딩을 통해 형태변형의 과정을 거쳐 유기적인 형태를 취함으로써 도시와 단일

    건축 간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건물과 지면, 중심과 가장자리, 내부와 외

    부, 채워진 곳과 비워진 곳의 경계를 흐릿하게 함으로써 가변적이고 유연성을 갖

    게 된다. 이러한 연속성은 통합된 공간, 즉 분산되고 계열화된 여러 가지 데이터

    를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와 기술로써 하나로 응축된 공간의 형태를 취한다.

    2.2.3 이질성의 혼합

    서구의 형이상학은 은유적 세계와 구분되는 논리적 자명성의 세계를 축조하기

    위해 의미의 차이성을 가능한 억압하고 의미론적 고정화를 지향해왔었다.7) 20세

    기에 들면서 미디어와 각 종 교통수단의 발달은 전통적인 문화 생산자와 소비자

    의 개념을 무너뜨렸으며, 글로벌화로 이종문화 간 혼합이 다양한 층 위에서 복합

    적으로 일어난다. 대도시에서 사람들은 언어와 사는 방식까지도 교환하면서 남들

    과 달리 사는 것이라면 이방인들 속에 섞여서 이방인 같이 사는 것을 감수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의 이종문화 혼합현상의 특성은 건축에서 혼성의 방식

    으로 공간화 된다. 경계가 되는 요소의 밀도를 조절하거나 기능을 전이 공간 없

    7) 정체성과 잡종성, 이윤성, 외대어문논총, 1999년 9권 P.5-6

  • - 10 -

    그림 8 Manimal

    이 배치함으로써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려는 의도로 나타난다. 경

    계를 통해 내부와 외부, 기능과 기능으로 구분하던 이분법적 사고를 상호 관련을

    맺고 있는 관계로 변화시킨다. 이는 여러 공간 관계가 하나의 기능, 프로그램과

    관계를 갖는 것이 아니라, 다수․다층으로 이루어진 주위의 요소와 얽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요소들이 혼재되어있는 현대 도시의 모습은 이질성을 띤 요소들의 혼

    합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 도시를 구성하는 이질적 요소들의 혼합은 시․공간적 제한에서 벗어남에 따라 현대 공간에서 확장은 방향성, 중심성 마저 모호하게 만

    들고있다. 이것은 경계의 모호성을 통해 사회의 각 요소간의 공존의 의미까지 다

    다른다.8)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현재 도시는 더 이상 단절된 것이 아닌 연속적이고

    거대한 연결체인 동시에 유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다중심적 경향을 띠는 도

    시와 그 안의 연결점들은 자유로운 흐름을 보장하고 있다. 이 흐름은 도시와 건

    축의 경계를 흐트러뜨리면서 건축으로 유입되고 있다. 건축에서의 유동적인 공간

    은 고체 구조의 형태와 표면을 가지고 흐름을 분위기로서 재현하는 것이지 실제

    공간의 흐름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9) 그러나 표현에 있어서의 연속성은 건축가

    가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통제 수단이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데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는 유동성과 연결성이 요소와 주위 환경의 작용으로 일어나는 결과라

    보기 때문이다.

    현대 건축공간의 특성은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수 많은 요소들이 경계가 흐뜨러

    진 건축속에서 구축화되어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10)

    8) 확정동선과 가변동선의 다이어그램을 통한 단일 공간내 다기능 공존에 관한 연구. 장주현,

    인하대 석논, 2004

    9) 건축공간론, 강혁, 기문당, 2003. P138

    10) 윤정원은 그의 논문 ‘흐름을 통해 도시의 건축화를 조직하는 체계와 구성요소에 관한 연

  • - 11 -

    그림 9) 현대도시와 현대건축의 특징

    현 대 도 시 현 대 건 축

    정보화 이미지화 다중심성 연속성 이질성 상호침투성

    2.3 현대건축의 프로그램의 특성

    2.3.1 프로그램의 등장

    18세기 중반 병원, 감옥, 박물과 같은 새로운 시설의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새

    로운 건물 유형을 위한 계획 요소로서 프로그램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외적 완결

    성의 추구로 프로그램은 개념만 성립되었을 뿐, 건축 작업에 있어 적극적으로 적

    용되진 않았다. 프로그램 자체에 건축가가 개입할 여지는 없었으며, 프로그램을

    건축에 수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건축가에게 독창성이 요구되지는 않았다.11)

    이 시대의 프로그램은 시설에 맞는 유형을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어 프로그램의

    해석은 각 건물유형을 발전시켜 양식을 확립하는데 적용되었다.

    2.3.2 프로그램과 양식

    고고학의 발전으로 복고주의, 신고전주의가 널리 퍼져있던 18,9세기, 프로그램

    과 이들 양식 간 발생하는 문제는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건축가들은 양식을 차

    용함에 있어 프로그램 때문에 그 양식에 수정을 해야 했으며, 르네상스양식은 건

    물의 유형과 프로그램에 따라 건물을 유연성 있게 만들 수 있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었다.

    2.3.3 근대건축의 프로그램과 기능

    근대건축에서는 기능주의의 영향으로 건축에서 공간과 용도는 일치해야 하며

    다양한 건물유형에 대하여 그 각 각에 적합한 공간과 용도를 규정짓는 프로그램

    구’에서 ‘도시의 건축화’라고 표현하고 있다.

    11)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논 최교식,20

    01 P.8

  • - 12 -

    이 있고, 건축이 표현되어지는 방식과 읽혀지는 방식도 그에 따라야 한다는 기존

    개념에 따라 건축적 상황에서 다양성을 배제시키고 건축어휘를 한정 지웠다. 이

    것은 각 각의 단일 공간과 프로그램이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서로의 존립에 완전

    한 조건이 될 수 있는 관계를 설정하였다.12)

    근대의 프로그램은 기능과 형태는 1:1로 대응하며, 각각의 단일 프로그램은 그

    범위가 명확하여 서로 통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특성을 나타난다.

    2.2.4 탈근대 프로그램의 재해석

    포스트모던 건축은 형태의 의미를 되살리려 하였으나, 허구의 마스크를 만들어

    내는 결과를 낳았다.

    그 후 네오모더니스트로 분류되는 Rem Koolhaas, Bernard Tschmi를 중심으로

    한 건축가들은 기능주의를 비판하고, 프로그램이 이전의 고정적 이미지에서 변화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새로운 건축

    을 시도하였다.13)

    “나의 쾌락은 건물(역사상, 또는 현재의 위대한 작품을)을 보는데서 표면화 되

    는것이 아니라, 그것을 분해하는데서 표면화 된다.”

    “안정된 제도를 위반하는 프로그램과 운동 없이는 어떠한 사회적, 정치적 변화

    도없다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일상생활이 없는, 운동이나 행위가 없는 건축은 없

    다. 그것이야 말로 건축의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는 이접의 동적인 양상이다.”

    Parc de la Villete에서 Bernard Tschmi는 기존의 전통적인 기능과 형태라는 대

    립적 요소들의 위계를 무너뜨리고, 침투와 대체를 통해 이질적 요소들과의 관계

    를 의도함으로써 새로운 행위나 운동, 프로그램을 기대하고 있고, 기능과 형태라

    는 기존의 사고를 지워버린 상태에서 유동적이고, 유목민적인 사고의 건축을 제

    안함으로써 기존의 중심적이고 구조적인 안정된 프로그램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

    우선 프로그램을 점, 선, 면적인 요소로 분해 하면서부터 시작하는데 그것들을

    다시 반복, 중첩, 치환, 삽입, 왜곡 등을 통한 이접(Disjunction)의 방식으로 새로

    12) 프로그램 복합화의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확회논문

    집 41호 2003년 12월, 송진욱13) 제프 키스니스는 프로그램은 새로운 건축유형을 만들어내는 전략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 - 13 -

    그림 10 프로그램의 해체 및 중첩

    운 의도되지 않은 프로그램들의 복합화를 유도하고 있다.

    면적인 요소: 놀이, 게임, 체육,위락, 판매 등의 시설

    선적인 요소: 5m폭의 직선형 인도, 주제별 공원을 이어주는 통로, 영화적 산

    책로라고 이름 지은 비정형적 곡선의 산책로

    점적인 요소: 일정한 간격의 그리드위에 배치시켜놓은 폴리(Folly)들

    Bernard Tschmi는 이 세 가지의 요소들의 중첩과 서로 모순되고 다른 성질의

    것들을 이접시킴으로서 새로운 이벤트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그 것으로 인해 기

    존 공원이라는 프로그램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개념의 공원을 만들어내고 있다.

    2.3.5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의 복합화

    현대 도시 내에서 공동체가 파편화, 분화됨에 따라 유동성,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고 도시 생활은 더 이상 공간적 실체로서의 도시에 얽매이지 않는다. 이에 반

    응하여 현대건축은 도시의 불확정적 요소를 건축화 하는데 있어 그 크기와 일차

    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밀집화, 복잡화 되어 나타난다. 인터넷은 하나의 공간안에

    다양한 성격을 갖도록 했으며, 그 크기에 비례하여 요구되어지는 프로그램의 요

    소 증가하고, 그 규모도 커지게 된다. 거대한 공간을 바탕으로 해서 현대건축공

    간은 근대의 공간이 분할, 구획화와 그 안에서의 특정한 지형적 배치 및 그에 상

    응하는 양식화된 행위의 집합이었던데 반해, 프로그램의 상호침투, 근접, 마찰,

    부분적 겹침을 통해 유동적 도시 공간의 요구인,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유연성이

  • - 14 -

    그림 11 근대의 고정적 현상에서 현대의 유동적 현상으로의 변화

    확대되고 구획되지 않는 연속적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은 새

    로운 도시 생활의 방식을 만들어냈으며, 복합적 기능을 가진 건축물을 출현하게

    되었다. 최근의 다목적 용도의 건축물의 출현은 도시의 고밀도에 의한 요구로 다

    양한 종류의 공간을 내포하는 거대 건축은 동일 공간 내에 시간성을 도입함으로

    써 여러 가지 용도로 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 것에 기인한 것이다.

    로버트 벤츄리는 “ 건축이 도시의 기능을 일부 담당하게 되면서 도시와의 경계

    를 짓는 행위가 무의미해지고, 도시의 현상을 반영하게 된 건축물은 다양한 공간

    을 담기위해 프로그램 자체도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14)라고 밝히고 있

    다. 복합성은 프로그램의 이질성, 즉 차이를 의미하는데 도시속의 건축에 내재되

    어 있는 이질적인 요소의 복합적인 혼재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수용적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15)

    현대건축은 도시의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들을 구축화 시킨 결과물, 또는 사성과

    공성의 역전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시의 공적기능을 담당하는 광장과 가로

    를 건축 내부로 유도하고, 또는 서비스를 하는 공간과 받는 공간의 관계를 도시

    에 적용시키거나 도시와 건축을 선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통해서이다.16)

    현대도시에서 보여 지는 다중심성, 연속성, 이질성의 혼합, 도시와 건축의 상호

    침투 현상은 단일 건축물의 프로그램의 배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현대건축은 대규모의 복합화가 구성, 위계, 질서라는 전통적 규칙을 다르지 않고

    도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형태와 기능, 구조와 경계성 또는 형

    14)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로버트 벤츄리, P.128

    15) 도시 랜드스케이프의 연속성 개념을 통한 건축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인

    하대학교 석논, 윤종호. P.3216) 렘 콜하스의자율화-질서잡기 도시-건축 설계방법 연구, 임유경, 서울대 석논, 1999 P.50

  • - 15 -

    근대이전 근대이후 현대건축

    프로그램 개념성립 ⇨ 프로그램에서기능으로

    ⇨ 프로그램의 복합화

    사회의 요구에 따른 새로운

    공공시설의 필요성에 따른

    시설과 기능의 목록

    하나의 참고사항으로 건축

    가의 독창적 해석 불가

    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기능

    주의 경향을 프로그램은 기

    능으로 대체

    하나의 공간은 하나의 프로

    그램을 담는 1:1 대응

    다양한 차이가 인정되고, 흐

    름이 강조

    도시와 건축의 적극적 교류로

    하나의 공간에 여러개의 프로

    그램을 담는 복합화 경향

    프로그램의 재해석

    태와 프로그램 사이의 의도적인 역전을 적용한다. 츄미의 라빌레뜨공원 계획안을

    살펴보면, 프로그램과 최종건물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정적인 요소를 부정하고,

    필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 대체될 수 있도록 의도하고 있다. 이것은 여러 자유

    로운 조합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과정인 것이다.

    표 2) 프로그램의 연대기적 변화

    2.4 소결

    프로그램의 등장 이후 1980년대를 거치기 전까지 건축 작업에 있어 프로그램은

    양식과 기능에 밀려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에 들어 각 구성

    요소 간 차이가 인정되고, 흐름이 중요시되는 현대도시 속에 수많은 요소들의 활

    성화를 유도하면서, 도시와 건축과의 경계를 무너뜨려 무한대로의 연속성을 표출

    하고 있다.

    도시의 다양하고 비결정적인 요소를 건축에 적용시키면서 단일 건축에 요구되

    는 사항은 그 양과 질적인 면에서 과거와 비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프로그램

    의 혼합화, 복합화는 현대건축에서 자연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시․공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과거의 고정적이고 단일의 주체적이지 못했던 프로그

    램에서 이질적인 요소의 혼합으로 복합화 되면서 자체적인 이벤트롤 만들어내는

    ‘활성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표 3) 프로그램 해석의 변화

  • - 16 -

    시 기 키 워 드 특 성

    19세기 이전 수동적사회와 건축주의요구로 형성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개입요소 차단

    근대건축 기능에 종속프로그램을 기능으로 대치

    기능에 따른 형태의 결정

    근대이후 기능에 반발 기능에 따른 형태의 부정

    포스트

    모더니즘형태 형태와 프로그램의 1:1 대응에 대한 비판

    1990년대

    복합성,

    불확정성,

    다양성, 이질성

    유동적 요소, 이질성, 프로그램의 복합성

    프로그램은 해체되어 분화되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위계 없이 분화되어버린 프로그램은 도시의 부정적 요소로 해석될 수 있

    는 혼란의 연속이라는 점에서 무의미한 공간의 연속이 되어버릴 위험성을 내포

    하고 있다.

    다음장에서는 복합화, 활성화된 프로그램들 최소한의 질서로 통합화하는 장치로

    서의 외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 17 -

    그림 11 caos

    3. 외피의 해석을 통한 현대건축 공간의 특징

    3.1 외피의 의미와 건축 공간과의 관계

    3.1.1 외피의 형성

    과거에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두 개의 대립되는 것으로

    성립된다고 생각하는 사고 체계가 있었다. 즉, 하나는 인간

    에 의해 질서 지어진 유기적 구조를 가진 코스모스고 다른

    하나는 무정형상태의 유동적인 카오스이다.17) 건축물의 표

    면은 항상 유동하는 카오스로부터 피신처를 제공하는 기능

    적, 구조적 필요성으로부터 생성되어 내부와 외부라는 개념

    이 형성되었다. 외피의 형성은 무정형상태의 유동적인 카오

    스에 대립되는 개념인 인간에 의해 질서 지어진 유기적 구조를 가진 코스모스를

    확정짓는 인위적 행위를 보여준다. 카오스와 코스모스를 구분 짓는 일련의 행위

    를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할 때 , 건축에서 경계는, 벽. 바닥과 천정으로

    일정 영역을 둘러싸고, 그 둘러 싸여진 내부 공간이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구별되

    고 분리된 지역을 구축하는 것으로 말 할 수 있다. 이로서 건축 내부의 중요한 목

    적은 공간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고 공간을 둘러막아 내․외부를 단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와 외부를 나누는 경계의 형성은 외피의 형성

    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축물의 외피는 자연환경으로부터 피신처를 제공하는 기능적, 구조적 필연성으

    로부터 생성되었지만 사회가 복잡해지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상징적 의미 전

    달,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 표현이라는 형식 등을 수용하게 되

    었다. ‘기능’, 상징‘, '순수미‘라는 이 세 가지 상반된 요구 조건은 시대에 따라

    혹은 기술력의 차이에 따라 그 가치의 우위를 달리하며 외피에 합성된다.

    1) 근대 이전의 외피에 관한 담론

    근대 이전 서구의 외피의 개념은 주로 장식과 구조체가 혼합된 혼합물의 개념

    으로 볼 수 있다. 구조와 마감은 구축의 부산물로 동일시 취급하여 건축물의 구

    축이 외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전통적인

    장식은 항상 구조와 관계 속에서 존재하고 논의되어 왔기 때문에 장식의 역할을

    17) 오사카 요우이찌로, 경계의 형태. 진경돈 역, 집문사, 1991. P.

  • - 18 -

    그림 12)

    노틀담 성당

    유 물 론 관 념 론

    고대

    -

    중세

    ․ 비트루비우스건물 소유주나 건물의 성격에 맞는 오더를

    사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장식에 상징

    적 가치를 담는 일종의 규범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내포하고 있다.

    ․ 알베르티19)건물의 기능이나 거주자의 사회적 지위에

    걸맞은 장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견해

    를 견지한다.

    17C 펠리비앙, 플레망

    18C

    꼬르드므와, 로지에, 끌로드 뻬로

    알가로티, 프랑수아 브롱델

    로돌리

    장식의 무용론을 주장하며 그 자체의 본질

    인 재료의 특성에서 파생되지 않은 어떠한

    형태도 배제한다. 구조적 효용성에서 비롯

    되는 형태만이 건물의 본질적인 미를 만족

    시킨다고 생각하고 장식 자체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한다.

    19C

    고그프리드 젬퍼

    피복(dressing)20)을 건축의 진정한 본질로

    보고 피복을 구조와 외피, 구조와 장식의

    관점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장식은 건

    축 재표에 ‘허위의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장식 자체가 건축의 외관이되고 그

    것은 독립적으로서 형태를 이루는 기능적

    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는 ‘허위의 외관’을 반대하고, 형태와 비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olfflin)

    부르크하르트의 제자인 뵐플린은 미술

    작품의 내용보다 조형적 특징을 중시하고

    양식의 형성에 미치는 시대적, 민족적,

    지역적 필연성을 제시함으로써 양식론적

    미술사를 확고히 정립하였다.

    뵐플린은 1915년에 발표한 『미술사의

    기초개념』에서 양식의 근원을 설명하는

    다섯 가지 기본개념을 제시하면서

    구조체의 질서를 강화하는 방식과 구조체의 질서를 약화시키는 방

    식으로 나눌 수 있다.18)

    외부로 표출되는 마감은 그 사회의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생각했던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가 알베르티도 건물의 기능이나 거

    주자의 사회적 지위에 걸맞은 장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견해

    를 견지한다.

    19세기 이전 건축에 있어 장식의 의미는 유물론적 합리주의와

    관념론적 선험미의 이분법적인 담론으로 이해되었다.

    표 4) 유물론과 관념론

    18) 헤르조그 & 드뫼롱 건축의 외피 구성 연구 P.20

  • - 19 -

    례에 있어서 위장하지 말것을 주장하고 있

    다. 즉, 가장시키는 것에는 반대하고 있지

    만, 재료의 성질에 따르는 장식은 반대하지

    않았다.21))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을 대비시키고

    있다. 그 다섯 개념은 다음과 같은

    대립쌍으로 정리된다.

    1. 선적 / 회화적인 것

    2. 평면적인 것 / 깊이감

    3. 폐쇄(닫힌 형태) / 개방(열린 형태)

    4. 다원성 / 통일성

    5. 절대적 명료성 / 상대적 명료성

    칼 뵈티헤르

    외피에서 상징적, 예술적 가치 그리고 구조

    적 가치의 중요성을 모두 강조해 근대를

    전후한 외피 개념 변화의 본질을 읽고 있

    으며, 기둥에 장식적 성격을 부여하면서 덧

    씌워지는 피복인 Kunstform(Art-form)과

    구축적 필연성의 결과인 Werkform (core-f

    orm)를 설정하고 이들 부분과 전체 건물

    사이의 유기적 관계로 이해한다.

    오커스트 슈와지 (Auguste Choisy)

    기술과 사회문화적 배경이 건축의

    형태결정요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양식론적 입장에서

    논의되던 ‘관념적이고 비생산적 장식

    개념을 비판한다.22) 그가 인식하는 장식은

    구체적인 건축실체로서 구조체에 기여하는

    역할이었다. 장식은 구조체와 통합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각각의 요소는

    구조체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조형적 기능을 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식이 사용되게 된

    미학적 기술적 배경들을 독자적 도법으로

    도해해서 밝힌다.

    퓨진(A.W.N. Pugin)

    1841년의 ‘The Principle of Pointed or C

    hristian Architecture'에서 “장식은 구조에

    부가시키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구축된다.

    ...모든 장식은 건물의 기본적 구조를 확실

    히 나타내주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라고

    주장한다. 장식 고유의 기능적 ’역할‘을 암

    시했지만 장식이 구조체에 종속된 관계임을

    부인하지는 않았다.23)

    비올레 르 뒥(Viollet-le-Duc)24)

    18세기 후반 철근콘크리트와 강재의 구조

    적 응용은 조적조 구축법에 근간을 두었던

    고딕양식의 기준에 대한 인식을 무너뜨렸

    으며, 따라서 고딕 건물의 수직성을 강조하

    기 위해 사용되었던 리브 장식이나 외부의

    형태적 장식 요소가 비올레 르 뒥의 건물

    에서는 오히려 접합부의 과도한 노출로 여

    겨진 것이다.

    비올레 르 뒥은 구조적 효율성을 형태 결

    정요소의 제 1조건으로 주장하며, 결과물

    로서 형태 자체의 종류에는 그다지 민감하

    지 않았다. 축조적 효율성에 의거하여 얻어

    질 수 있는 형태라면 심지어 고전건축의

    여러 어휘의 존재까지도 인정했다. 로마식

    구축법에 관련된 콘크리트와 벽돌로 구축

    된 조적조와 외부를 마감하는 석재 구축법

    의 합리성역시 자주 언급한다. 즉 내부 구

    조체의 구축적 특성을 그대로 외부에 표현

  • - 20 -

    하는 마감재를 구조체와 통합된 일종의 추

    상화된 장식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비올레 르 뒥은 심미적 가치를 끝까지 인

    정했으며 이것을 위한 장식25)의 역할도 인

    정하고 있다.

    그림 13 구축에서 조립으로 외피의 시스템 변화

    2) 근대 이후의 외피

    근대 이후 산업사회에서는 콘크리

    트, 철재, 유리등과 같은 다양하고

    새로운 건축 재료들의 개발과 공법의

    발달로 구조체와 표피는 분리되어 독

    자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자율성을

    확보하면서 독립적인 건축요소로 외피에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부여했다.

    근대적 외피 개념의 생성은 근본적으로는 조적조라는 전근대적 건설방식을 대

    신하는 철근 콘크리트의 탄생에 기인한다. 조적조에서는 개구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중요한 논쟁의 요지였다면, 구축에서 자유로워진 상황에선 개구부를 어

    떻게 채울 것인가가 중요한 논쟁의 요지가 되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 오토 바그너(Otto Wagner)와 루이스 설리반(Louis Sulliva

    n) 등 아르누보 계열의 건축가들은 구조와 장식의 통합노력26)은 구조체와 관계

    19) 파사드의 구성과 비례를 중요시

    20) 젬피복(dressing)이 인간문명과 예술가의 표현능력이 결집되는 캔버스이기 때문에 구조보

    다 중요할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

    21)“ ...금속, 철, 나무 등의 재료는 그 성질상 부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돌프 르 꼬르뷔

    제 건축의 내․외부 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논, 김동현, 199522) Auguste Choisy, Histoire de l' Architecture, 1899, Slatkine Reprint. 1987, 재인용

    23) “전통적인 ornament, decoration의 의미나 역할은 이제 금지되었다. 그러나 손으로 만들

    거나 기계로 생산된 장식품들 대신 이제 우리는 가치 있는 재료들, 라커, 유리, 금속, 돌을 사

    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재료들의 표면에 만들어 내는 효과는 이제 전통적인 장식의 역할

    을 대신하게 되었다

    24) “하나의 구조에서는 거기서 자연스럽게 연유될 수밖에 없는 하나의 형태가 있다. 만일 구

    조가 바뀐다면 형태도 바뀔 것이다.”1)라는 말과 “오로지 시각적 즐거움만을 주기 위해서 색을

    칠하고 예쁜 장식(decorate)을 붙이고 하는 경우도 잘못되었다”1)라는 말을 통해서 장식이 구조

    체의 질서를 강화하기 사용되어야하고, 적절한 재료 사용과 진실한 구조미 표현을 주장한다.

    25) 여기서의 ‘장식’은 ‘Ornament’로서의 장식의 의미이다. 비올레 르 뒥의 이론은 형태적 상

    징을 제거한 구조적 합리주의의 연장선상에서 뿐만 아니라 장식을 구축의 체계 속으로 끌어들

    이고자 한 시각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 - 21 -

    그림 14 Steiner House - Adolf Loos

    를 속이지 않고 입면을 평활하게 처리하려는 노력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노력으

    로 이해할 수 있으며, 19세기 초반, 중반의 절충주의적 형태를 상당부분 해소하

    였다. 그러나 돌과 벽돌을 사용하여 구축하던 시대의 건축에서는 돌과 벽돌의 적

    층이 곧 구조가 되고 표현재가 되었지만 콘크리트와 철골을 구조재로 사용하면

    서 거친 골조를 그대로 드러내기에는 그 시대의 기술로서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

    고 있었다. 새로운 재료와 구축법에 맞는 표현성에 대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였

    고, 역사주의적 절충주의가 팽배해 있던 19세기 초반과 중반은 과거의 상징적,

    재현적 기능에서 자유로워지진 못했다.

    19세기의 장식은 점점 평활해지고,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가지만, 구

    축의 성격을 직설적으로 드러내어 구조체의 역학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덧붙

    이는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장식적 피복은 전통적 장식의 개념을 넘어서면

    서 물리적으로는 구조체와 분리되어있지만 시각적으로는 통합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1910년 아돌프 로스(Adolf Loos)는 스타이너(Steiner House)에서 장식을 제거

    하고 재료의 물성이나 백색의 피복(dressing)을 강조해 장식적 피복이나 즉물적

    표현성을 대체했다. 외관은 문화가 소멸된 근대도시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로서,

    백색 피복으로 침묵하는 볼륨으로 표현되었다.27)

    로스는 공간을 사는 피복으로서 벽의 역할을 강조한다. 장식을 완전히 배제하

    고, 흰색 페인트나 플라스터를 칠해 외피를 완전히 중성적인 성격으로 바꾸면서

    26) 재료에 따른 구축법의 표현을 뒷받침해줄 기술력의 부족으로 감추어진 구조를 암시하는 표

    현재로서의 장식의 의미에 머물렀다.

    27) “아돌프 로스의 추상적 피복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확회 논문집 10권 8호(1994. 8.), 정

    만영, P.64

  • - 22 -

    그림 15 Dom-ino System

    과거의 역사적, 상징적인 특징을 배제한 것이다. 이 때문에 로스의 백색피복은

    구조와 장식이 구분되지 않는 중성적 켜로 표면을 추상화시켜 비물질화 시킨

    다.28)

    르꼬르뷔제는 Dom-ino 시스템의 적용으로 외피를 구조에서 떼어낸 후 ‘공간’

    을 표현하게 했다. 그의 입면 처리 방식은 구축성을 표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과거의 합리주의와 구별된다. 철근 콘크리트나 철제와 같은 새로운 재료와 그 표

    현을 결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재료나 구조를 드러내는 방식 대신 그것을 가능

    하게 만든 추상적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

    처럼 외피가 구조로부터 독립하여 입면을

    형성하고 다시 재료를 위장하여 중성적, 추

    상적인 면을 만드는 작업은 그가 표현하고

    자 하는 것이 외피와 구조, 외피와 다른 독

    립면 사이의 ‘공간’이었다.29)

    미스 반 데 로에는 근대의 가구식 구조가

    자유로운 입면을 가능하게 했지만, 외피의

    표현은 구조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하지만 작품 후기 유리의 투명성과 반사성

    이라는 표현적 외피를 실험함으로써 석재나 콘크리트의 명암효과를 대신하는 새

    로운 시각효과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미스는 공간 켜를 형성시키는 투시도적 효과를 제거하고 내부와 외부경관과의

    관계를 몽타주30)처럼 꼴라쥬31)화하여 평면적으로 획득했다. 즉, 내부에서 외부

    를 바라볼 때 켜가 제거된 평면적 효과를 외피의 표현성과 동시에 추구했다. 미

    28) 아돌프 로스는 장식을 미학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이유로 반대한 것이다.

    29) 현대건축 외피의 ‘비물질적’표현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7호, 2007년 7

    월, 유진상, 김현철

    30) ‘조립(組立)하는 것’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이다. 영화는 촬영(撮影)되는 것이 아니라 조립되

    는 것, 다시 말해서 원래 따로따로 촬영된 필름의 단편(斷片)을 창조적으로 접합(接合)해서 현

    실과는 다른 영화적 시간과 영화적 공간을 만들어 거기에 새로운 현실을 구축하여 시각적 리듬

    과 심리적 감동을 자아내게 하는 데서 영화의 예술성이 성립된다고 보고 그 방법을 명확하게

    하려는 이론이 몽타주이론이다.

    31) '꼴라쥬(Collage)'는 '풀칠', '바르기' 따위의 의미였으나, 전용되어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

    이, 나무조각, 모래, 나뭇잎등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 또는 그러한 기법에 의

    해 제작되는 회화를 가리킨다. 이것은 입체파 화가들이 물감대신에 신문지, 우표, 벽지, 상표

    등의 실물을 붙여 구성하던 '파피에 콜레'라는 기법에서 확대되었으며 이 후 1960년대 '팝 아

    트'를 거쳐 계속 사용되고 있다.

  • - 23 -

    그림 16 Barcelona Pavilion -

    Mies van de Rohe

    스는 장식적 무늬가 드러나게 하거나 크롬 도금된

    기둥을 쓰는 등의 비물질적 효과를 통해, 그리고

    기둥 열을 없애 투시도 효과를 제거함으로써 단순

    한 시스템 속에 장식적 표현성을 시도한 것이다.

    외피를 반사정도에 따라 관찰자에게 다른 방식으로

    인식되게 하고, 시각 틀을 평면화 하여 경관을 꼴

    라쥬화 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는 입체파와 근대건

    축이 추구했던 다차원적 시점을 평면적 외피에 집약하려는 시도로, 미스의 실험

    은 외피를 진동하고 살아 숨쉬는 단일면으로 표현하려 했던 현대 건축과 구조논

    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근대 건축의 관도기적 단계로 볼 수 있다.

    위의 근거를 바탕으로 근대 건축의 외피는 구상적 장식에서 추상적 피복으로

    변화하고, 외피 자체의 표현보다는 매스간의 관계에 따른 구축 방식이나 공간,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그 자체를 중성화 시키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르 꼬르뷔제는 외피를 공간에 자유를 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고, 미스는 외

    피를 요소화, 투명화 하여 덧붙이는 것에 의한 상징적 의미전달 보다는 요소의

    물성, 경관의 평면화를 통해 표현적 외피를 추구했다. 하지만 중성적 외피라는

    제약 틀로 외피의 표현성을 제한했던 근대 건축가들도 자신의 건축시스템이 완

    성된 후기에는 표현적 실험에 집착한다.

    3) 현대건축의 외피

    포스트모던 건축의 파사드는 축조물을 가장한 조립 행위에 대한 기만으로, 근대

    건축의 구성 원리를 유지하면서 표피적인 허구를 생산하여 그것이 지닌 의미를

    다른 기호로서 읽혀지게 하는 이중적인 구조를 소유하게 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포스트모던의 파사드는 ‘쓰는 쪽’과 ‘보여지는 쪽’이 전혀 다른 ‘가면’이라는 새

    로운 속성을 가진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32)

    최근에는 불확실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입면에 관한 설정이 세기초 표피의 개념

    을 가진 가면으로서의 형상을 지닌 채, 다중적 경향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즉,

    32) 벽의 역할과 축조개념의 변화에 따른 외부입면 디자인의 대안에 관한 연구 임정호 ; 전유

    창 ; 구영민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18, n.2(1998-10)

  • - 24 -

    구축이나 조립의 원리에 개의치 않고 용도와 행위의 조합에 의하여, 또는 지역성

    과 세계성을 공유하는, 일종의 기계와 인간이 혼합된 모습을 가진, 그 자체로서

    는 의미화 되기 어려운, 부유하는 기표로서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멀 건축은 순수한 입방체 형태의 표피를 재료의 빗물질화를 통해 은유적으

    로 표현하였고, 해체주의 건축가들은 과학적 패러다임을 건축 디자인의방법론으

    로 삼아 근대건축이 시도한 4차원 공간에 대한 추상적 언급이나 움직이는 건축

    등의 시간성을 도입하는 대신, 건축의 구조를 결정하는 기본전제였던 중력이라는

    절대적인 진리를 이심하게 되어 무중력, 탈중력 등의 어휘를 통해 표피를 비물성

    화, 투명화시키고, 건축의 형태가 이런 표피들에 의해 마치 도시의 오브제로 랜

    드마크적인 이미지를 주거나 부유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외부와 내부의 경

    계가 모호해지는 투명성은 1960년 이후 관념적 상징적 표피, 구조지상주의 표피

    를, 철과 유리의사용의 보편화를 토대로 구조재의 발달을 통해 투명하고 가벼운

    느낌의 건축형태의 확산을 가져왔다.

    Herzog & de Meuron, Jean Nounel, Dominique Perrault, Wiel Arets, Kazuy

    o Sejima & Ryue Nishizawa같은 현대 건축가들에게 건축 외피는 단순히 표현을

    위한 매체가 아닌 공간의 문제가 된다. 형태가 제거되고 평활한 면에서는 삼차원

    건축 공간이 회화처럼 이차원 스크린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3.2 도시의 내․외부 공간과의 관계3.2.1 외피와 경계

    “경계(boundary)"라 함은 다양한 요인들의 관계에서 자극받고 활성화되는 곳을

    뜻하는 것이며, 수많은 선이 교차하는 십자로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33) 따

    라서 여기서의 경계는 물리적인 것 뿐만 아니라 인식적이고 경험적인 것까지 포

    함하는 넒은 의미로서 볼 수 있다.”

    " ...어떤 사람은 지붕이 있으면 그 밑은 내부 공간이라고 말하고, 또 어떤 사람

    은 벽이나 창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차단된 공간을 내부 공간이라고 부른다. ‘내

    부공간’은 쉘터(shelter)라는 개념에서 파생된 것으로, 지난 과거, 인위적인 구축

    물이 자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극도로 적은 상황에서 쉘터라는 것은 명확하고

    윤곽이 확실한 개념으로서, 내부와 외부도 매우 강한 대조성을 가진다. 그러나

    33) 이그나시 태 솔라모팔네스 루비오, 차이들 : 현대건축의 지형들, 시공문화사, 2004

  • - 25 -

    그림 17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주위가 거의 대부분 인위적 환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쉘터는 그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고 내부와 외부 사이

    에서 보여지는 대조성도 그 의미가 상당부분 약화되었다.”

    도시에서 건축의 볼륨과 외피는 공간의 경계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모든 건물은 건물 자체에 의해 완전히 한정되는 내부

    공간과 그 건물 및 주변 건물에 의해 한정되는 도시의 외부공

    간을 만드는 일에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2.1 고전적 시기의 내․외부 공간 서구의 내․외부 공간 형성과 상호 관계에 대한 논의는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여기서 시작할 수 있다. 고대 사회의 도시의 생활은 주로

    아고라를 통해 이루어졌다. 도시와 건축적 측면에서 바라보면 열주의 배열 등으

    로 외부로 열린 형태를 만들면서 건축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려는 자세를 취하

    고 있다. 하지만 건축 외적인 요소의 존재가 건축 내부의 무엇과 반응하기엔 너

    무도 신성하고 절대적인 부분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는 확연히 구분

    된다고 할 수 있다.

    3.2.2 중세 이후의 내․외부 공간 중세 광장은 몇 세기 동안 지속되어온 도시의 성장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주변

    을 둘러싸고 있는 건물의 높이, 재료, 폭, 지형이 다름에 따라, 건물의 인상이 연

    속적으로 펼쳐지면서 광장 전면의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 내는 회화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가로에서 보여 지는 건물의 돔 등으로 평면적으로 보이던

    가로의 환경이 입체적인 성격이 나타나고 있다. 돔이나 볼트의 발명으로 외부공

    간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의 구성 입체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바로크 광장

    에서는 공간을 자유롭게 유동하는 연속체로서 파악하여, 보는 사람이 예측 하지

    못하는 조망을 형성해낸다. 아카데미즘적인 고전주의 광장에서는 기하학과 축의

    강조로 외부공간은 다시 평면화되어 르네상스부터 바로크로 이어져온 외부공간

    의 입체성은 상실되어 도시는 완전히 평탄한 것으로 간주되었다.34)

    34) 건축미론, 임영배, 신태양 공역, 도서출판 국제, 1994, P295-296

  • - 26 -

    르네상스와 바로크를 거치면서 내부와 외부공간은 서로 입체적으로 변하였으나,

    구조의 기술적인 측면과 그에 따른 돌과 벽돌이라는 재료선택의 폭이 제한은 건

    축의 내부 공간과 도시의 외부공간을 구분하는 결과를 낳았다.

    3.2.3 근대건축의 내․외부 공간P.Johnson과 H.Hitchcok은 근대건축의 미학적 규준으로 볼륨으로서의 건축을

    제시하는데, 이는 내부공간의 팽창에 의한 볼륨을 의미한다. 내부를 감싸는 평활

    한 표면과 개방적인 효과는 볼륨을 비물질적, 무중력적인 물체감을 표현하고 기

    하학적 느낌의 경계를 지닌 공간으로 느끼게 한다. 근대건축에서 내부공간과 외

    피 는 직접적이며, 그 경향은 구조적 기술의 표현과 내부기능, 볼륨의 표현 사이

    에서 혼재되어 나타난다.

    근대 이전의 건축물은 외부와 면하고 있는 파사드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르네

    상스 시대에 파사드는 건축물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러한 건축 형태는 내

    부 구조를 나타내는 솔리드한 볼륨의 형태라기보다 벽으로 둘러싸인 빈 공간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만큼 근대 이전의 건축물은 내․외부간의 관계에 의해서 파악 된 다기 보다는 고전적 규범에 충실하면서 시공에 종속적인 입면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양상은 외피가 구조에서 독립되기 시작한 근대 건축에 들

    어오면서 건축의 외적인 영향이 많은 부분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외적 영향은 사회가 분화되어 가고 건축적 프로그램과 기능의 요구가

    다양해져 감에 따라 내부의 요구만을 수용하여 외부를 설계하는 것을 더 이상

    불가능하게 했고, 더욱이 구조 시스템의 발전과 재료의 발명은 건축가의 다른 시

    각이 개입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근대 건축의 기능주의는 ‘외부는 내부의 반영이다.’,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등의 명제로 외피에 내부 기능과 볼륨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3.3. 현대 건축의 내․외부 공간3.3.1 경계를 허문 예술운동

    “현실을 재현하는 예술행위는 이미 전체성을 추구하는 것보다 경계성이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 Bouchard, Donald

  • - 27 -

    그림 18 기타치는 여인

    - 브라크

    1) 입체파 운동

    입체파 운동은 르네상스시대 고정적인 3차원적 투시도법에

    서 탈피, 모든 사물을 요소화 된 불륨이나 면으로 분해하고,

    새로운 공간의 도입을 꾀한 것으로 큐비즘이 발전시킨 공간

    의 표현 방법은 새로운 공간개념의 원리를 이끄는 것이 되었

    다. 즉 큐비즘은 공간 혹은 사물의 특징이 그것을 보는 관점

    에 의해서 변화하는 모습을 하나의 면에 표현하기 때문에 공

    간의 본질을 파악하기 우해서는 관찰자가 공간 가운데 자신

    을 투입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지각하였으며, 대상을 표현하

    는 것이 아니라 시점의 복수화를 통해 대상을 인식해 나간다

    는 점에서 또 다른 방법을 제시해주었다.35)

    입체파 운동의 실험과 공간개념은 과거 화면의 조화와 통일

    감으로 지속되어온 체계를 일관되지 않은 파편화된 공간으로 바꾸었으며, 그들

    작품에서 공간은 물질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