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섭전류치료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limchaegil/... · 2016. 9....

43
간섭전류치료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임재길

Upload: others

Post on 31-Jan-2021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간섭전류치료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임재길

  • 2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1. 간섭전류치료의 정의

    간섭전류를 이용한 치료법 :1950년경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H. Nemec에 의해서 처음으로 소개

    약 4,000Hz 주변의 중주파를 인체조직에 먼저 통전시킨 후조직내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켜 저주파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이용한 치료법기존의 저주파치료기는 1.000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자극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피부저항을 극복하는데효과적이지 못하고, 감각신경을 지나치게 자극하여 전기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만든치료법

    간섭전류를 이용한 치료법 :1950년경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H. Nemec에 의해서 처음으로 소개

    약 4,000Hz 주변의 중주파를 인체조직에 먼저 통전시킨 후조직내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켜 저주파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이용한 치료법기존의 저주파치료기는 1.000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자극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피부저항을 극복하는데효과적이지 못하고, 감각신경을 지나치게 자극하여 전기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만든치료법

  • 3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2) 파의 간섭(Interference of waves)두 개의 파동이 한 매질에서 전파하다 중첩될 때 파동이 강해

    지는 부분과 약해지는 부분이 생기는 현상

    2) 파의 간섭(Interference of waves)두 개의 파동이 한 매질에서 전파하다 중첩될 때 파동이 강해

    지는 부분과 약해지는 부분이 생기는 현상

    동일위상 보강간섭 λ/2 위상차 상쇄간섭 λ위상차 지속간섭

  • 4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큰 종을 약간의 시간 차를 두고 두드리면 웅웅하는 소리가들리는데, 이것은 진동수의 차가 극히 작은 두 음파가 겹쳐서중간이 되는 진동수의 음이 주기적으로 강해졌다 약해졌다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맥놀이라고 함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큰 종을 약간의 시간 차를 두고 두드리면 웅웅하는 소리가들리는데, 이것은 진동수의 차가 극히 작은 두 음파가 겹쳐서중간이 되는 진동수의 음이 주기적으로 강해졌다 약해졌다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맥놀이라고 함

  • 5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맥놀이의 주기 :

    두 파의 위상차가 2∏로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맥놀이의 주기 :

    두 파의 위상차가 2∏로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T = f1-f2

    1합성된 두 파의 주기

  • 6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맥놀이는 두 파의 진동수가 완전히 일치하면 없어지지만,

    두 파의 진동수 차이가 너무 커도 생기지 않음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맥놀이는 두 파의 진동수가 완전히 일치하면 없어지지만,

    두 파의 진동수 차이가 너무 커도 생기지 않음

  • 7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두 파가 서로 간섭 혹은 중첩을 일으켜 보강되거나 상쇄되는현상을 진폭변조(amplitude modulation)하고 함간섭전류치료기는 진폭변조를 이용한 저주파치료기라고할 수 있으며, 이것이 저주파치료기와 큰 차이점임

    3) 맥놀이 간섭전류(Beat frequency interference current)▶ 두 파가 서로 간섭 혹은 중첩을 일으켜 보강되거나 상쇄되는현상을 진폭변조(amplitude modulation)하고 함간섭전류치료기는 진폭변조를 이용한 저주파치료기라고할 수 있으며, 이것이 저주파치료기와 큰 차이점임

  • 8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4) 변조심도(Modulation depth)▶ 두 파가 일으킨 간섭이나 보강의 크기를 말하며 백분율

    (0-100%)로 표시. 변조심도가 깊을수록 치료목적에 적당한 전류

    4) 변조심도(Modulation depth)▶ 두 파가 일으킨 간섭이나 보강의 크기를 말하며 백분율

    (0-100%)로 표시. 변조심도가 깊을수록 치료목적에 적당한 전류

  • 9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최대 자극범위는 두 전극 사이를 연결하는 전류선(current

    lines)들을 양분하면서 교차하는 벡터 방향에 있음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최대 자극범위는 두 전극 사이를 연결하는 전류선(current

    lines)들을 양분하면서 교차하는 벡터 방향에 있음

  • 10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최대 간섭효과는 두 쌍의 전극들 사이를 잇는 수직선에

    대하여 45°를 이루는 방향에서 일어남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최대 간섭효과는 두 쌍의 전극들 사이를 잇는 수직선에

    대하여 45°를 이루는 방향에서 일어남

  • 11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45°이외의 부위에서는 진폭변조와 전류강도의 기울기가

    감소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45°이외의 부위에서는 진폭변조와 전류강도의 기울기가

    감소

    간섭 전류의진폭변조 기울기

  • 12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5) 최대 정적간섭효과의 방향

    진폭변조심도에따른 간섭 전류강도의 변화

  • 13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6) 스캐닝 효과(Scanning effect)▶ 회로 1의 전류강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회로 2의 전류강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변화시켜 내적정적간섭계(endogenousstatic interference field)가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효과를주는 것

    6) 스캐닝 효과(Scanning effect)▶ 회로 1의 전류강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회로 2의 전류강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변화시켜 내적정적간섭계(endogenousstatic interference field)가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효과를주는 것

    스캐닝효과를위한 전류조절의 예

  • 14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2. 간섭전류의 전기물리적 특성

    6) 스캐닝 효과(Scanning effect)▶ 스캐닝 간섭전류의 자극범위는 정적간섭패턴에서 일어나는

    자극범위 보다 큼

    6) 스캐닝 효과(Scanning effect)▶ 스캐닝 간섭전류의 자극범위는 정적간섭패턴에서 일어나는

    자극범위 보다 큼

  • 15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1) 생리적 탈분극(Physiological depolarization)비동시성 탈분극 : 필요한 수축력의 크기에 따라 운동단위의흥분율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약한 수축에서는 운동단위의 흥분빈도가 초당 5-15 정도이고, 최대 수의 수축에서는 초당 25-50 사이근수축이 필요한 힘의 크기에 따라 부드럽고 단계적으로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적으로 모든 근섬유가흥분했을 때보다 에너지의 소모와 피로를 줄임

    1) 생리적 탈분극(Physiological depolarization)비동시성 탈분극 : 필요한 수축력의 크기에 따라 운동단위의흥분율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약한 수축에서는 운동단위의 흥분빈도가 초당 5-15 정도이고, 최대 수의 수축에서는 초당 25-50 사이근수축이 필요한 힘의 크기에 따라 부드럽고 단계적으로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적으로 모든 근섬유가흥분했을 때보다 에너지의 소모와 피로를 줄임

  • 16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2) 저주파전류와 자극-동시성 탈분극(Low-frequency and stimulus – synchronous depolarization)

    저주파 전류를 신경섬유에 통전하면 각각의 맥동에 반응하여자극과 동시에 탈분극이 일어나면서 흥분을 일으키는 것

    2) 저주파전류와 자극-동시성 탈분극(Low-frequency and stimulus – synchronous depolarization)

    저주파 전류를 신경섬유에 통전하면 각각의 맥동에 반응하여자극과 동시에 탈분극이 일어나면서 흥분을 일으키는 것

  • 17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3) 중주파전류와 자극-비동시성 탈분극(Medium frequency and stimulus–asynchronous depolarization)

    한 개의 맥동이 신경섬유를 자극한 순간 바로 탈분극을일으키지 못하고 몇 개의 맥동이 가중된 후, 약간의 시간이지난 다음 흥분이 일어나는 것자극주파수가 신경섬유가 반응할 수 있는 탈분극 빈도보다높아지면 신경섬유가 높아진 빈도의 자극에 반응하지 못함으로써 탈분극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을 때도 나타남

    3) 중주파전류와 자극-비동시성 탈분극(Medium frequency and stimulus–asynchronous depolarization)

    한 개의 맥동이 신경섬유를 자극한 순간 바로 탈분극을일으키지 못하고 몇 개의 맥동이 가중된 후, 약간의 시간이지난 다음 흥분이 일어나는 것자극주파수가 신경섬유가 반응할 수 있는 탈분극 빈도보다높아지면 신경섬유가 높아진 빈도의 자극에 반응하지 못함으로써 탈분극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을 때도 나타남

  • 18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길데마이스터효과(Gildemeister Effect)

    중주파전류로 신경섬유를 자극시 신경섬유의 탈분극빈도는 전류의 주파수도, 신경섬유들의 탈분극 빈도도 아닌가중원리(summation principle)에 의하여 결정되는 효과

  • 19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웨덴스키억제(Wedensky Inhibition)

    1,000Hz 이상의 주파수를 이용해 지속적인 자극을 실시했을 때 재분극이 일어나지 못해 불응기가 계속됨으로써반응이 억제되거나 상실되는 효과

  • 20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4) 중주파전류와 피부저항(Medium frequency & skin resistance)

    옴저항(ohmic resistance)전극의 표면적, 피부온도, 건조도,피부두께,피부지방의 양,털의 존재 여부 등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저항용량저항(capacitive resistance)살아있는 조직은 외부에서 적용된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또역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용량을 가지므로 조직을 정전용량을 갖는 하나의 전도체로 생각해서 조직에서 발생되는 역전압

    4) 중주파전류와 피부저항(Medium frequency & skin resistance)

    옴저항(ohmic resistance)전극의 표면적, 피부온도, 건조도,피부두께,피부지방의 양,털의 존재 여부 등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저항용량저항(capacitive resistance)살아있는 조직은 외부에서 적용된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또역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용량을 가지므로 조직을 정전용량을 갖는 하나의 전도체로 생각해서 조직에서 발생되는 역전압

    조직에서의전해질 분극

  • 21

  • 22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중주파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Z =C(F)·2πf(Hz)

    1

    용량저항조직의 분극용량(F)

    전류의 주파수

    주파수가 높을수록 용량저항이감소하기 때문에 피부 유해

    수용기를 거의 자극하지 않으므로, 저주파치료기를 사용해

    자극했을 때보다 중주파간섭전류로 자극했을 때 환자는

    휠씬 편안함을 느끼게 됨

    4) 중주파전류와 피부저항(Medium frequency & skin resistance)

  • 23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중주파 전류는 Galvanopalpation(직류전류를 이용하여 척수분절에 자극을 주어 그 분절에 의해 지배받는 내장기관이나근육의 이상 유무를 알아내는 방법)에 버금가는 척수분절의탐색검사를 실시할 수 있음

    중주파를 이용한 척수분절 검사

  • 간섭전류치료 24

    Ⅱ. 간섭전류의 적용방법

  • 간섭전류치료 25

    전극의 종류

    (1) 금속판 전극과 패드

    - 표준전극의 하나이며 규격 다양- 환부 크기에 따라 전극 선택

    (2) 흡인전극

    - 기계 내 장치된 진공 펌프이용하여 전극이 피부표면에흡착되는 원리 이용 -> 음압유지 -> 모세혈관 확장-> 옴저항 저하 -> 전도성

    - 약한 피부, 출혈위험 환자는 금기: 점상출혈, 혈종

    (3) 4극 판전극

    - 4각혈 패드 안에 4개의 작은 전극배치- 국소치료, 발통점 또는 안면치료, 표재성 통증, 침점 적용치료

  • 간섭전류치료 26

  • 간섭전류치료 27

    전극의 종류

    (4) 글로브 전극- 치료 중에도 쉽게 전극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

    (5) 디스크전극과 포인트 전극- 작은 지점 자극할 때 사용- 포인트전극: 통증점을 찾거나 국소통증 치료

    (4) 글로브 전극- 치료 중에도 쉽게 전극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

    (5) 디스크전극과 포인트 전극- 작은 지점 자극할 때 사용- 포인트전극: 통증점을 찾거나 국소통증 치료

  • 2극과 4극 배치법에서 전극의 크기를 달리하여전류밀도 다름

    간섭전류치료 28

  • 간섭전류치료 29

    전극의 배치 방법

    (1) 2극 배치법

    - 2개의 전극 사용하여 전류 통전- 모든 방향에서 변조심도 100% -> 자극효과 최대- 진폭은 0과 100%사이에서 변화

    -> 두 전극연결방향 100%, 수직방향에서 0%

    - 국소 부위에 적용(장점), 4극 배치보다 불쾌감 큼(단점)

    (1) 2극 배치법

    - 2개의 전극 사용하여 전류 통전- 모든 방향에서 변조심도 100% -> 자극효과 최대- 진폭은 0과 100%사이에서 변화

    -> 두 전극연결방향 100%, 수직방향에서 0%

    - 국소 부위에 적용(장점), 4극 배치보다 불쾌감 큼(단점)

  • 2극 배치법 종류

    간섭전류치료 30

  • 2극 배치법 종류

    간섭전류치료 31

  • 2극 배치법 종류

    간섭전류치료 32

  • 2극 배치법 종류

    간섭전류치료 33

  • 간섭전류치료 34

    전극의 배치

    (2) 4극 배치법- 진폭변조되지 않은 두 중주파가 서로 분리된 회로에서발생

    - 조직의 어떤 지점에서 간섭효과- 변조심도는 0-100%, 45도에서 최대

    (3) 자동백터스캔을 사용한 4극 배치법

    - 스캐닝 효과를 이용한 것-> 자극 부위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 회로 1 전류 75%유지, 회로 50-100% 변화- 최대자극범위는 전류가 교차하는 영역에서 전후로 회전- 여러 가지 감각의 전류 경험

    (2) 4극 배치법- 진폭변조되지 않은 두 중주파가 서로 분리된 회로에서발생

    - 조직의 어떤 지점에서 간섭효과- 변조심도는 0-100%, 45도에서 최대

    (3) 자동백터스캔을 사용한 4극 배치법

    - 스캐닝 효과를 이용한 것-> 자극 부위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 회로 1 전류 75%유지, 회로 50-100% 변화- 최대자극범위는 전류가 교차하는 영역에서 전후로 회전- 여러 가지 감각의 전류 경험

  • 간섭전류치료 35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1) 동통점 및 발통점에 대한 적용

    - 포인트전극 또는 작은 전극 사용- muscle, ligament, tendon, joint capsule의 발통점자극

    - 2극 배치법 사용

  • 간섭전류치료 36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2) 신경에 대한 적용

    - 신경로를 따라 전극 배치(sciatic N와 같은 유수신경)-> 2극 배치법

    - 삼차신경, 후두부신경통 : 4극 포인트전극, 4극배치법

  • 간섭전류치료 37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3) 척추주위에 대한 적용

    - 척추주위에 전극 배치: 국소통, 경부통, 척추기립근 과긴장, 자율신경균형장애- 척수분절과 지배영역에 대한 이해 필요

  • 38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척수분절과 자율신경계의 지배

  • 39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4) 근육에 대한 적용

    근육의 장력과 순환증진을 위한 적용

    근력의 증진을 위한 적용

    근육의 이완을 위한 적용

    환부가 정확하지 않을 때의 적용

    4) 근육에 대한 적용

    근육의 장력과 순환증진을 위한 적용

    근력의 증진을 위한 적용

    근육의 이완을 위한 적용

    환부가 정확하지 않을 때의 적용

  • 40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3. 적용부위 및 적용기술

    4) 근육에 대한 적용중주파를 이용한 간섭전류치료는 저주파전류가 피부를 통과할 때 일으키는 전기통이나 불쾌감이 없어 심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을 치료하는데 가정 적합한전류로 평가되어짐

    4) 근육에 대한 적용중주파를 이용한 간섭전류치료는 저주파전류가 피부를 통과할 때 일으키는 전기통이나 불쾌감이 없어 심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을 치료하는데 가정 적합한전류로 평가되어짐

  • 41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4.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타 변수들

    5) 적응증과 금기증적 응 증

    근육이나 건, 인대, 관절낭, 신경등에서 기인된 통증근경축(muscle spasm)부종(edema)혈종(hematoma)만성 인대 병변(chronic ligamentous lesions)근막 증후군에서 과민성 지점(trigger spots in myofascial syndromes)응력성 실금(stress incontinence)지연유합(delayed union)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근약증(muscle weakness)

    5) 적응증과 금기증적 응 증

    근육이나 건, 인대, 관절낭, 신경등에서 기인된 통증근경축(muscle spasm)부종(edema)혈종(hematoma)만성 인대 병변(chronic ligamentous lesions)근막 증후군에서 과민성 지점(trigger spots in myofascial syndromes)응력성 실금(stress incontinence)지연유합(delayed union)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근약증(muscle weakness)

  • 42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4.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타 변수들

    5) 적응증과 금기증금 기 증

    동맥 질환자(arterial disease)심부 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감염성 질환들(infective conditions)임신 중인 자궁(pregnant uterus)출혈의 위험이 있는 경우(danger of hemorrhage)악성종양(malignant tumors)인공페이스 메이커 착용자(artificial pacemakers)

    5) 적응증과 금기증금 기 증

    동맥 질환자(arterial disease)심부 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감염성 질환들(infective conditions)임신 중인 자궁(pregnant uterus)출혈의 위험이 있는 경우(danger of hemorrhage)악성종양(malignant tumors)인공페이스 메이커 착용자(artificial pacemakers)

  • 중주파전류의 특성• 주파수와 피부저항은 반비례통증이나 불쾌감이 적다• 치료시 에너지 소실이 적어 체내 전기가 잘 전달• 전기분해작용이 없어 강한 강도 자극해도 화상위험없음• 전극의 위치에 따라 치료부위를 쉽게 선택• 특정한 부위, 깊이, 넓은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 한방향의 저주파와는 달리 크로바처럼 두 방향으로 강한 자극• 두회로로 edodyn-vector system내에서 역동적으로 자극하려

    겹치는부위에 교차자극을 하여 삼차원효과• 감각이 저하된 부위 치료할 수 있다• 금속이 매입된 부위도 치료할 수 있다• 연관통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