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0, No. 4, pp. 121~142, 2011.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안 나 연 ** 공 진 용 *** < 요 약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 이용 장애인 및 재활 전문가의 욕구를 파악하고 보조 공학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충남소재 장애인 관련 기관에 근 무하는 재활전문가 69명과 기관 서비스 이용 장애인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보조공학서비스 제공시 필요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와 서비스이용자를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써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 활성 화 및 지원 정책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장애인 및 전문가 그룹의 보조공학기구 선정기준, 신청과정, 사후관리, 지원금액, 지원품목의 만족도 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담당자들은 대부분 보조공학 전문가 가 아닌 일반 재활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었으며, 장애인 개개인에게 보다 적합한 보조공 학서비스가 시행되고 이와 같은 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전문가 및 전문보조공학센터의 필요 성이 강조되고 있다. 핵심어 : 보조공학기구, 보조공학서비스, 전문보조공학센터 * 본 논문은 2011년 나사렛대학교 학술연구 지원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공학전공 박사수료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Ph. D. Candidate, Korea Nazarene University ***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Korea Nazarene University

Upload: others

Post on 05-Sep-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0, No. 4, pp. 121~142, 2011.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안 나 연** ㆍ 공 진 용***

< 요 약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 이용 장애인 및 재활 전문가의 욕구를 파악하고 보조

공학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충남소재 장애인 관련 기관에 근

무하는 재활전문가 69명과 기관 서비스 이용 장애인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보조공학서비스 제공시 필요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와 서비스이용자를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써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 활성

화 및 지원 정책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장애인

및 전문가 그룹의 보조공학기구 선정기준, 신청과정, 사후관리, 지원금액, 지원품목의 만족도

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담당자들은 대부분 보조공학 전문가

가 아닌 일반 재활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었으며, 장애인 개개인에게 보다 적합한 보조공

학서비스가 시행되고 이와 같은 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전문가 및 전문보조공학센터의 필요

성이 강조되고 있다.

핵심어 : 보조공학기구, 보조공학서비스, 전문보조공학센터

* 본 논문은 2011년 나사렛대학교 학술연구 지원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공학전공 박사수료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Ph. D. Candidate, Korea Nazarene University

***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Korea Nazarene University

Page 2: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2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보조공학은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사회활동의 필수요소로써 삶의 질(QOL)을 윤택하

게 하고 나아가 완전한 사회참여에 이바지 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다. 보조공학이 교육

적, 사회적, 일상생활영역에서 독립성과 사회적 참여를 이끌어 왔다고 진술하고 있고(Galvin

& Scherer, 1996; Read, Freid, & Rhoades, 1995), 현재 장애인에게 있어 보조공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제언되고 있다(공진용 외, 2008; 안은영, 2004;

오도영, 2006; 채수영, 조성재, 권혁철, 2007). 이처럼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보조공

학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개인별 맞춤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는 전

문보조공학서비스는 부족한 상태이며, 장애인 당사자가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접근 및 활용 용이한 전문서비스 기관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수도권 지역과 일부 지방권 지역에서 전문보조공학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대표

적으로 수도권 지역에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서울시보조공학서비스센터(서울

장애인복지관, 한벗재단), 인천 노틀담복지관 테크니컬에이드센터,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등에서 전문적으로 개인별 보조공학 요구평가 및 서비스 과정을 통해 보조공학기구 대여

및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장애인이 가장 손쉽게 접근 가능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IL센터), 장애인종합복지

관, 사회복지관 등에서 단순한 기구의 대여 및 반납과 같은 일반 보조공학서비스를 시행

하고는 있지만 사업목적이 전반적인 장애인을 포괄하는 재활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으며, 전문보조공학서비스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보조기구 대여’라는 이름으로

일부분의 프로그램으로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것마저도 시행되고 있지 않은

재활서비스 관련 기관들도 많으며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공진용 외, 2008).

장애인의 보조공학 수요 및 실태조사에 관한 최미나(2010) 연구에 따르면 보조공학기

구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일부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를 ‘보조공학에 관한 정보가 부족

해서’와 ‘구입처나 서비스 이용에 관한 정보가 부족해서’의 결과가 제시되었고, 장현숙 등

(2002) 연구 또한 욕창방지 매트리스나 이동식 의자변기, 목욕의자, 등은 비교적 간단한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이용률이 10% 미만인 반면, 요구률은 3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한국장애인개발원(2010a)에서도 보조기구 사용의 필요성은 높

으나 사용에 대한 낮은 응답은 정보제공을 위한 관련 전문가의 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Page 3: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23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장애인의 보조공학 수요 및 실태조사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연구

결과는 실제로 장애인의 보조공학기구 인식 및 요구는 높으나, 사용하고 있는 기구의 사

용 및 활용 실태는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보조공학기구의 미사용에 대한 이유

로는 전문가의 충분한 정보제공 및 적절한 상담 및 평가 등이 부족하다는 결과와 보조공학

전문가와 전문보조공학서비스 기관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오길승 외, 2005; 장현숙

외, 2002; 최미나, 2010;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a). 또한 보조공학기구 관련 지원제도

의 확대 및 상용 보조공학기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정보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

며, 기구에 대한 부족한 정보제공은 사용 당사자의 보조공학기구 선택권을 제약하는 문제

를 야기할 수 있기(한국장애인개발원, 2010b)때문에 개별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하고

다양한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보조공학 전문 인력 구성과 전문보

조공학서비스센터 구축이 필요하다.

국내 보조공학서비스 분야는 복지 선진 국가들에 비해 시작단계로써 보조공학서비스의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많은 장애인들이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서 서비스의 혜택을 받기가

어려운 실정이며(오길승 외, 2005; 오도영과 이근민, 2008), 또한 보조기구에 대한 욕구

증대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정확한 정보제공을 실시하는 곳은 앞서 이야기한 수도권

지역의 일부 지자체 단위로 전문보조공학센터가 한정되어 정보제공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

이다.

최근 한국장애인개발원(2011)에서는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국가, 소비자, 산업측

면을 모두 고려한 거시적 측면의 중앙센터, 광역센터,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전문보조공학

서비스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충남에서는 장애인보조기구 관련 정책으로 보조기구 공적급여 지원 서비스, 보조기구

수리사업, 전동휠체어 배터리 충전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충남 도정백서, 2010) 협

소한 지원 품목 및 예산 등의 문제와 복지관 및 장애인 관련 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단순한 서비스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장애인 및 전문가의 불만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사업 및 프로그램들은 계속적으로 지속되지 않는 단순한 일회성 사업들만이 운영

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원활하고 지속적인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조기구

공적급여 지원 서비스에서는 대상자(장애인)의 신체기능 및 환경평가 등의 전문적인 요구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단순한 보급 대상자만을 확인하는 적격평가만이 실시되고 있어 장

애인의 불만이 증가하고 많은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

안으로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Page 4: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24

기존 장애인의 보조공학 수요 및 실태조사에 관한 선행연구(오길승 외, 2005; 장현숙

외, 2002; 최미나, 2010)에서는 실제 보조공학서비스를 받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공

학기구 및 서비스 이용 및 활용실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장애인 당사자들에게만 요

구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보조공학서비스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

른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보조공학서비스 임상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

고, 전문 보조공학서비스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장애인 및 전문가 그룹에

게 함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전문보조공학센터가 부재한 충남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당사들에게만 요구조사를 실시한 기존 선행연구와 달리 보다 실

질적인 보조공학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제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시 필요

및 개선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장애인 및 전문가 그룹에 함께 설문을 실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보조공학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장애인의 삶

의 질을 윤택하게 하고 보조공학기구 활용 및 사용도 활성화에 이바지 하며 지역 거점별

전문보조공학센터 설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3. 용어의 정의

1) 보조공학서비스

설문지에서 응답하는 대상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조공학서비스의 정의를 구분하여 설

명하였다. 보조공학기구의 선택, 확보, 사용과 관련된 상담 및 평가, 기기적용, 맞춤제작

및 개조 서비스, 사후관리 과정 등을 거치는 보조공학서비스를 “전문 보조공학서비스”로

이와 같은 전문적인 보조공학서비스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보조공학서비스를 “일반 보조공

학서비스”라고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2) 전문보조공학센터

본 연구에서 설명하는 “전문보조공학센터”는 장애인 개개인에게 적절한 보조공학기구의

선택, 확보, 사용과 관련된 상담 및 평가, 기기적용, 맞춤제작 및 개조 서비스, 사후관리

과정 등을 거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문 보조공학서비스를 운영하는 기관을 말한다.

Page 5: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25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장애인 관련기관 및 단체를 대상(장애인복지관 63곳,

IL센터 3곳, 기타 3곳)으로 ‘보장구 대여 및 수리서비스’ 또는 ‘재활보조기기 대여 및 수

리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장애 관련 전문가들과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전문가’는 일반 보조공학서비스를 시

행하고 있는 장애 및 재활 관련 전문가로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

람을 뜻한다.

2. 연구 도구

본 설문지는 장애인 및 전문가 설문지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장애인용 설문지는 크게

3가지 분류로 구분하여 첫째, 일반사항 5항목, 둘째, 보조공학기구 8항목, 셋째, 보조공학

서비스 3항목으로 총 16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전문가용 설문지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첫

째, 일반사항 3항목, 둘째, 보조공학기구 7항목, 셋째, 보조공학서비스 6항목으로 총 16항

목으로 구성하였다<표 2-1>.

<표 2-1> 설문지 구성

구분 대분류 소분류 항목수

장애인용

일반사항

성별

5

연령

장애유형

장애등급

경제상황

보조공학기구

자부담 구입여부

8

자부담 구입한 이유

보조공학기구지원과정

선정기준

신청과정

사후관리

지원금액

지원품목

개선사항

Page 6: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26

보조공학서비스

전문보조공학서비스 인식여부

3전문보조공학센터 생길 시 이용여부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방법

전문가용

일반사항

기관종류

3담당업무

근무경력

보조공학기구

알고 있는 보조공학기구 지원제도 수

7보조공학기구지원과정

선정기준

신청과정

사후관리

지원금액

지원품목

개선사항

보조공학서비스

기구 체험 및 기구대여서비스

6

정보제공서비스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서비스

일반보조공학서비스 운영문제

서비스 개선사항

전문보조공학센터 별도 설치 필요성

3. 연구 절차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 구성과 내용은 이근민(2007), 정민예(2008) 연구를 참고

하여 구성하였고, 보조공학 전공 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직접 개발하

였다. 설문지 배포는 2011년 1월 10일 ~ 1월 21일까지 실시하였고, 설문지 수집기간은

동년 1월 24일 ~ 1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충남 소재해 있는 장애인 관련기

관 및 단체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해 배포 및 회수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지는 장애인용 150부, 전문가용 100부로 총 250부 배포하여 그 중 장애인용

108부, 전문가용 69부가 회수되어 총 177부를 회수(70.8%)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는 보조공학서비스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 하며 또한 지역 거점별 보조공학서

비스 전문기관 설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써 장애인 및 전문가들의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 요구 및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Window SPSS 12.0을 이용한 빈

도분석을 수행하였다.

Page 7: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27

Ⅲ. 연구 결과

1. 장애인용 설문지

1) 일반사항

장애인용 설문지 응답자를 살펴보면 남자가 66명(61.1%), 여자가 42명(38.9%)이였으

며, 지체장애가 56(51.9%)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 뇌병변장애가 50명(46.3%), 청

각장애가 2명(1.8%)이었다. 그 중 1급 장애인이 60명(55.6.%)로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

의 64명(59.3%)의 경제사항이 ‘본인의료급여’임을 응답하였다<표 3-1>.

<표 3-1> 장애인용 - 일반사항

항목 구분 빈도 비율(%)

성별남 66 61.1

여 42 38.9

연령

1세 ~ 19세 20 18.5

20세 ~ 29세 14 13.0

30세 ~ 39세 26 24.1

40세 ~ 49세 22 20.4

50세 ~ 59세 14 13.0

60세 이상 12 11.1

장애유형

지체장애 56 51.9

뇌병변장애 50 46.3

청각장애 2 1.8

장애등급

1급 60 55.6

2급 28 25.9

3급 10 9.3

4급 6 5.6

5급 2 1.9

6급 2 1.9

경제상황

기초생활수급자 32 29.6

차상위계층 12 11.1

본인의료급여 64 59.3

2) 보조공학기구

보조공학기구의 항목에서는 보조공학기구 구입여부 및 이유,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의

만족도 및 개선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Page 8: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28

정부지원이 아닌 100% 자부담으로 구매한 경우가 56명(51.9%), 정부지원을 받은 경

우가 52명(48.1%)로 나타났다. 자부담으로 기구를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구매 이유

를 확인한 결과, ‘필요한 보조공학기구가 없어서’ 20명(35.7%)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구를 지원받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보조공학기구 대상자 선

정기준”의 항목에서는 ‘매우 불만족’ 10명(14.8%), ‘대체로 불만족’ 32명(29.6%)으로 나

타났고, “보조공학기구 지원 신청과정”의 항목에서는 ‘매우 불만족’ 20명(18.5%), ‘대체로

불만족’ 42명(38.9%),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보조공학기구 사후관리의 만족도”, “보조공

학기구 지원 받는 지원금액의 만족도”, “보조공학기구 지원품목 종류의 만족도”의 항목에

서는 ‘매우 불만족’ 또는 ‘대체로 불만족’으로 답하였다.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의 개선사항으로는 ‘신속한 사후서비스’ 60명(55.6%), ‘보조공학

기구 지원에 관한 정보제공’ 26명(24.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표 3-2>.

<표 3-2> 장애인용 - 보조공학기구

항목 구분 빈도 비율(%)

자부담 예 56 51.9

구입여부 아니오 52 48.1

자부담으로

구입한 이유

선정기준 해당되지 않아서 16 28.6

상담 가능한 전문가가 없어서 10 17.9

신청과정이 복잡해서 10 17.9

필요한 보조공학기구가 없어서 20 35.7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의

만족도

선정기준

매우 불만족 16 14.8

대체로 불만족 32 29.6

보통 44 40.7

대체로 만족 14 13.0

매우 만족 2 1.9

신청과정

매우 불만족 20 18.5

대체로 불만족 42 38.9

보통 34 31.5

대체로 만족 12 11.1

매우 만족 0 0.0

사후관리

매우 불만족 28 25.9

대체로 불만족 50 46.3

보통 24 22.2

대체로 만족 6 5.6

매우 만족 0 0.0

지원금액

매우 불만족 24 22.2

대체로 불만족 44 40.7

보통 26 24.1

대체로 만족 12 11.1

1.9 2매우 만족

Page 9: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29

지원품목

매우 불만족 20 18.5

대체로 불만족 40 37.0

보통 40 37.0

대체로 만족 8 7.4

매우 만족 0 0.0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의

개선사항

보조공학기구 사용을 위한 기초훈련 20 18.5

신속한 사후서비스 60 55.6

보조공학기구 지원에 관한 정보제공 26 24.1

기타 2 1.9

3) 보조공학서비스

보조공학서비스 항목에서는 전문보조공학서비스 인식 여부, 전문보조공학센터가 생길

시 이용여부,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문보조공학서비스 인식여부에 대해서는 58명(53.7%)이 ‘알고 있다’라고 답하였으며,

50명(46.3%)이 ‘모른다’라고 답하였다.

전문보조공학센터가 생길 시 이용할 여부에 대한 결과는 ‘매우 그렇다’ 60명(55.6%),

‘대체로 그렇다’ 30명(27.8%)로 나타났다. 전문보조공학센터가 생길 시 구축방법은 ‘시,

군 소규모’로 64명(59.3%), ‘중앙센터를 대규모’ 24명(22.2%), ‘권역별 중간규모’16명

(14.8%)으로 나타났다<표 3-3>.

<표 3-3> 장애인용 - 보조공학서비스

항목 구분 빈도 비율(%)

전문보조공학서비스

인식여부

예 58 53.7

아니오 50 46.3

전문보조공학센터

생길 시 이용여부

매우 그렇다 60 55.6

대체로 그렇다 30 27.8

보통이다 12 11.1

대체로 그렇지 않다 4 3.7

매우 그렇지 않다 2 1.9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방법

중앙센터를 대규모로 24 22.2

권역별 중간규모로 16 14.8

시, 군 소규모로 64 59.3

기타 4 3.7

Page 1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30

2. 전문가용 설문지

1) 일반사항

장애인 관련기관 및 단체에서 ‘보장구 대여 및 수리서비스’ 또는 ‘재활보조기구 대여 및

수리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장애 관련 전문가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을 살펴보면 복지관

이 63명(91.3%)으로 가장 많았고, 담당하는 재활전문가는 사회복지사 39명(56.5%), 물

리/작업치료사 18명(26.1%)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근무 경력은 5년 이상 근무한 사람들

이 27명(39.1%)으로 가장 많았다<표 3-4>.

<표 3-4> 전문가용 - 일반사항

항목 구분 빈도 비율(%)

기관

종류

장애인복지관 63 91.3

IL센터 3 4.3

기타 3 4.3

담당

업무

직업재활사 3 4.3

사회복지사 39 56.5

물리/작업치료사 18 26.1

기타 9 13.0

근무

경력

1년 미만 12 17.4

2년 이상 - 3년 미만 15 21.7

3년 이상 - 4년 미만 12 17.4

4년 이상 - 5년 미만 3 4.3

5년 이상 27 39.1

2) 보조공학기구

보조공학기구의 항목에서는 보조공학기구 지원제도 인지여부, 보조공학기구의 지원과정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공학기구 지원제도 인지여부에 관하여 ‘보조공학기구 지원제

도’를 모두 알고 있는 대상자는 18명(26.1%) 뿐이었다. 최소 2개만을 알고 있다고 응답

한 대상자는 3명(4.3%)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입장에서 보조공학기구의 지원과정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보조공학기구 대상

자 선정기준”의 항목에서는 ‘대체로 불만족’ 27명(39.1%)으로 나타났고, “보조공학기구

지원 신청과정”의 항목에서는 ‘대체로 불만족’ 24명(34.8%)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구

사후관리의 만족도”의 항목에서는 ‘대체로 불만족’ 45명(65.%)으로 과반수이상이 답하였

으며, 또한 “보조공학기구 지원 받는 지원금액의 만족도”의 항목에서도 42명(60.9%)이

Page 11: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31

‘대체로 불만족’으로 답하였다. “보조공학기구 지원품목 종류의 만족도”에서는 ‘매우 불만

족’ 12명(17.4%), ‘대체로 불만족’ 27명(39.1%)으로 답하였다.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의 개선사항으로는 ‘정기적 보조공학기구 요구실태조사’ 30명

(43.5%)으로 조사되었다<표 3-5>.

<표 3-5> 전문가용 - 보조공학기구

항목 구분 빈도 비율(%)

알고 있는

보조공학기구

지원제도의 수

7개 18 26.1

6개 9 13.0

5개 9 13.0

4개 6 8.7

3개 24 34.8

2개 3 4.3

보조공학기구

지원받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

선정기준

매우 불만족 0 0.0

대체로 불만족 27 39.1

보통 33 47.8

대체로 만족 9 13.0

매우 만족 0 0.0

신청과정

매우 불만족 3 4.3

대체로 불만족 24 34.8

보통 36 52.2

대체로 만족 6 8.7

매우 만족 0 0.0

사후관리

매우 불만족 3 4.3

대체로 불만족 45 65.2

보통 18 26.1

대체로 만족 3 4.3

매우 만족 0 0.0

지원금액

매우 불만족 3 4.3

대체로 불만족 42 60.9

보통 15 21.7

대체로 만족 9 13.0

매우 만족 0 0.0

지원품목

매우 불만족 12 17.4

대체로 불만족 27 39.1

보통 27 39.1

대체로 만족 3 4.3

매우 만족 0 0.0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의

개선사항(중복)

정기적 보조공학기구 요구실태조사 30 43.5

보조공학기구 전문가 필요 9 13.0

체계적이고 편리한 지원과정 24 34.8

국산 보조공학기구 개발 및 품목확대 6 8.7

Page 12: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32

3) 보조공학서비스

보조공학서비스 항목에서는 전문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보조공학서비스

운영 시 문제점, 서비스 개선사항, 전문보조공학센터 별도 설치의 필요성으로 구성하였다.

전문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보조공학기구 체험 및 기구 대여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

대해서는 48명(69.6%)이 실시하고 있다고 대답하였고, 기구 체험 및 기구 대여 프로그램

의 운영방법은 45명(93.8%)이 ‘기관 자체 보유하고 있는 기구를 가지고 실시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대여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구 종류별 현황을 살펴보면 이동기구가 42

명(53.8%)으로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을 운영되지 않은 이유의 항목에 대해서는 ‘담당 전

문가 인력 부족’ 11명(52.4%)이 가장 많았다.

전문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보조공학 정보제공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 대해서는 ‘정보제공을 하고 있다’ 45명(65.2%), ‘정보제공을 하고 있지 않다’ 24명(34.8%)으로 나타

났다. 어떠한 형식의 ‘정보제공을 하는지는 보조공학기구 보급사업 정보제공’이 42명

(45.2%)으로 가장 많았다. 보조공학 정보제공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보조공학

기구 및 서비스 담당자가 없어서’가 15명(62.5%)으로 가장 많았다.

전문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보조공학서비스 시행 후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관리 서

비스”를 하고 있는지 대해서는 ‘하고 있지 않다’ 51명(73.9%)으로 과반수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정기적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 담당자가 없어서’가 39명(76.5%)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일반 보조공학서비스를 운영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확인한 결과, ‘담당 인력 부족’ 33명(47.9%),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정보부족’이 22명(31.9%)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서비스가 원활하게 이용되기 위한 개선사항으로는 ‘보조공학서비스 전문 인력

확보’ 27명(39.1%), ‘보조기구 전달체계구축’ 24명(34.8%), ‘정기적인 보조기구 요구 실태

조사’ 15명(21.7%)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장애인복지관 및 장애 관련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보조공학서비스를 별도의 전

문보조공학서비스 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관해서는 27명(39.1%)이

‘매우 필요하다’, 24명(34.8%)이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표 3-6>.

Page 13: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33

<표 3-6> 전문가용 -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항목 구분 빈도 비율(%)

기구 체험 및

기구대여

서비스

운영여부예 48 69.6

아니오 21 30.4

운영방법

기관 자체 보유하고 있는 기구를

가지고 실시45 93.8

기관과 연계된 보조공학 전문기관 및

업체에게 소개 3 6.3

대여하는

기구 종류

(중복)

이동기구 42 53.8

자세유지기구 9 11.5

의사소통기구 3 3.8

정보통신기구 6 7.7

일상생활보조기구 15 19.2

스포츠/여가생활기구 3 3.8

운영되지

않은 이유

예산부족 6 28.6

공간부족 0 0.0

보조공학기구 품목 부족 3 14.3

담당 전문가 인력 부족 11 52.4

프로그램에 대해 몰라서 1 4.8

정보제공

서비스

운영여부예 45 65.2

아니오 24 34.8

서비스

형식

(중복)

보조공학기구 정보 24 25.8

보급사업 정보 42 45.2

기구 사용법에 관한 정보 9 9.7

전문보조공학기관/업체정보 18 19.4

운영되지

않은 이유

기구 사용방법을 몰라서,

사용하기 어려워서 2 8.3

정보를 제공받을 만한

전문보조공하기관이 없어서 6 25.0

기구 및 서비스 담당자가 없어서 15 62.5

기구 및 서비스를 제공할

공간이 없어서 1 4.2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

운영여부예 18 26.1

아니오 51 73.9

운영되지

않은 이유

담당업무로 인한 시간이 없어서 7 13.7

서비스를 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 0 0.0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관리서비스

하는 방법을 몰라서 5 9.8

훈련 및 사후관리서비스 담당자가

없어서39 76.5

Page 14: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34

일반

보조공학

서비스

운영문제

비체계적인 운영 7 10.1

보조공학서비스에 관한 정보부족 22 31.9

담당 인력 부족 33 47.9

예산부족 7 10.1

서비스

개선사항

정기적 보조기구 요구 실태 조사 15 21.7

보조기구 전달체계구축 24 34.8

보조공학서비스 전문 인력 확보 27 39.1

국산 보조기구 개발 품목확대 3 4.3

전문보조공학

센터 별도

설치의

필요성

매우 필요하다 27 39.1

필요하다 24 34.8

보통이다 15 21.7

필요하지 않다 3 4.3

매우 필요하지 않다 0 0.0

장애인과 전문가에게 전문보조공학센터 설치 운영 시 요구사항 부분을 확인한 결

과, 장애인의 경우에는 ‘보조공학서비스의 신속한 상담지원’이 62명(38.3%)으로 1순

위로 대답하다. 전문가의 경우에는 ‘보조공학서비스 전문가 배치’ 50명(36.2%)으로

1순위로 답하였다<표 3-7>.

<표 3-7> 장애인 및 전문가가 생각하는 전문보조공학센터 설치 운영 시 요구사항

No. 전문보조공학센터 설치 운영 시 요구사항(장애인) 빈도 비율(%)

1순위 보조공학서비스 신속한 상담지원 62 38.3

2순위 기초훈련과 사후관리서비스 지원 확대 40 24.7

3순위 다양한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27 16.7

4순위 보조공학서비스 전문가 배치 22 13.6

5순위 보조공학기구 전시 및 체험장 확대 11 6.8

합계 162 100.0

No. 전문보조공학센터 설치 운영 시 요구사항(전문가) 빈도 비율(%)

1순위 보조공학서비스 전문가 배치 50 36.2

2순위 다양한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28 20.3

3순위 보조공학서비스 신속한 상담지원 26 18.8

4순위 기초훈련과 사후관리서비스 지원 확대 20 14.5

5순위 보조공학기구 전시 및 체험장 확대 14 10.1

합계 138 100.0

Page 15: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35

Ⅳ. 논 의

본 연구는 충남지역 장애인 관련기관 및 단체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과 일반 보조공학

서비스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 및

수요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설문결과를 기초로 충남의 전문보조공

학센터 설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애인들은 보조공학기구 구입 시 정부의 공적부조에 의한 지원이 아닌 자부담으로 구

입한 경우가 51.9%으로 나타났는데 자부담으로 구입한 이유를 확인한 결과, ‘필요한 보조

공학기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35.7%, ‘선정기준에 해당되지 않아서’ 28.6%로 나타났

다. 이 결과는 건강보험 보조공학기구 교부사업은 총 77종으로 매우 한정되고 협소한 품

목이 지급되고 있으며, 또한 77종 중 63종은 의지보조기 품목으로 이들 의지보조기 품목

을 제외한 보조공학기구는 목발, 지팡이, 휠체어 등의 14종에 불구하여(보건복지부,

2011)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보조공학기구 지원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많은 장애

인은 자부담으로 기구들을 구입하고 있는 실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조공학기구 교부사

업, 의료급여 보조공학기구 교부사업, 산재장애인 보조공학기구 지원사업 등은 지원대상이

수급자나 차상위계층, 또는 산재장애인으로 제한되어 있어 일반 장애인 등은 자부담으로

보조공학기구를 구입하고 있었다. 전문보조공학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부산시, 경

기도 등은 공적부조에서 제공되는 품목 이외에 장애인이 일상생활 등에서 필요한 다양한

보조공학기구를 구비해 대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어 장애인의 자부담 비율을 낮춰 다양한

일상생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등 공적부조의 한계를 전문보조공학센터가 대신하여 해결

해주고 있다.

보조공학기구를 지원받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 중 “보조공학기구 대상자 선정기준”의 항

목은 장애인의 경우 불만족이 44.4%로 대부분 장애인들이 선정기준의 제한사항에 불만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문가의 경우 불만족이 39.1%로 선정기준에 불합리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장애 등급, 경제적 상황 등에 따라 선정기준이 제한되어 일반 장애인

의 지원에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선정기준에서 제외된 장애인

의 경우 보조공학기구 구입에 대한 비용부담 증가로 이어져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

으며, 이러한 사항은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 활용 실태 조사 연구(한국장애인개발원,

2010a)에서도 보조공학기구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연구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보조공학기구 신청과정” 만족도 항목에서는 장애인의 경우 57.4%, 전문가의 경우 39.1%

가 불만족스럽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는 ‘보조공학기구 신청과정이 매우 복잡

Page 16: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36

하여, 과정이 간소화할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는데, 현재 보조공학기구와 관련된

다양한 지원제도가 운영되고 있지만 각 지원제도 마다 신청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상이한

기준들로 인해 특히, 신청당사자인 장애인의 경우 신청과정 시 혼잡하고 번거로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각 지자체별로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 보조기구

지원 사업’은 신청과정과 신청기준이 상이하기에 장애인 뿐 만 아니라 전문가 경우에도 혼

란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이에 전문보조공학센터를 통한 One-Stop 지원서비스를 시행하

여 효율적인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는 지원제도를 만들 필요가 있다. 최미나(2010) 또한

보조공학기구 지원 절차가 매우 복잡하다(34.1%)는 결과를 언급하였으며, 전문보조공학

센터와 같은 전문기관을 통한 사용자 측면의 서비스 신청 간소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

하였다.

“보조공학기구 사후관리” 만족도 항목에서는 장애인의 경우 72.2%가 불만족스럽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전문가의 경우에서도 69.5%가 불만족하다는 상당히 높은 불만 결

과를 나타내었다. 이들은 또한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수리서비스

기관이 매우 적어 전문 수리 및 사후서비스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라는 의견을 제시하였

다. 오길승 외(2005)는 현재 보조공학기구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하였고, 한국장애인개발원(2010a)에서도 보조공학기구 수리 및 관리의 욕구가 크고, 사후

서비스의 만족도가 낮다고 조사되었으며, 최미나(2010) 또한 보조공학 사용 시 문제점

중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다는 결과를 언급하면서 사후관리 체계를 마련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현재 사후관리 서비스는 일반 보조공학기구 판

매업체에서 사후 및 수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어 사용자가 업체에 사후 및 수리서비스 신

청에서부터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받기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어 기기에 대

한 사용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전문 보조공학서비스 센터 구축을 통하여 보다

원활하고 신속한 사후관리가 이뤄진다면, 기구의 내구연한을 증가시켜 공적급여의 비용지

출과 자부담의 비용지출을 감소시켜 경제적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조공학기구 지원 금액” 만족도 항목에서는 장애인의 경우 불만족이 62.9%, 전문가의

경우 불만족이 65.2%로 건강보험위주의 지원 금액에 불만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건강보험의 보장률의 조사가 시작된 2004년 61.3%에서 출발하여 2007년 64.6%

수준에 불과하여(김정희, 이홍용, 정현진, 2008), 자기부담 수준이 높아 건강보험이 1차

적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조공학기구

의 경우 77종에 대한 지원범위가 상한액 범위의 80% 내에서 지원하고 있고, 이후 상한액

을 넘는 고가의 기구에 대한 비용은 전적으로 장애인의 자부담에 의해 이뤄지고 있으며

지원 품목 이외의 기구 구입에는 100% 본인부담에 의해 구입하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제한된 지원 금액으로 인한 고가 기구 구입에 대한 자부담 부담을 낮추기 위해서는

Page 17: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37

전문보조공학센터 등을 통한 기구 대여서비스를 활용할 있도록 한다면 비용적 측면과 활

용도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조공학기구 지원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사항으로 장애인의 경우는 신속한 사후서

비스(55.6%)와 지원에 대한 정보제공(24.1%)을 우선순위로 꼽고 있으며, 전문가의 경우

는 정기적인 보조공학기구 요구실태조사(43.5%)와 체계적이고 편리한 지원과정(34.8%)

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장애인과 전문가의 개선사항을 종합하면 신청 및 상담, 적절한 기

기선택 및 훈련, 사후관리 및 정보제공 등을 통한 사례관리 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

문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조공학기구 지원품목” 만족도 항목에서는 장애인의 경우 불만족이 55.5%, 전문가의

경우 불만족이 56.5%로 지원되고 있는 건강보험과 의료급여를 통한 지원품목 77종과 무

료보급사업 12종으로 극히 제한된 지원품목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보조공학 기업과 제품을 소개하는 ABLEDATA(2011)는 정부산하에서 운영하

는 기관으로 일상생활, 저시력장애인, 의사소통, 교육, 가사, 착석, 레크레이션, 이동 등의

20개 카테고리에 약 3만 6천 여종의 보조공학기구의 품목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독

일 노동사회부의 위탁 받아 운영하고 있는 REHADAT(2011)에서는 의료기구, 컴퓨터접

근, 개인생활 및 안전관련, 이동보조, 작업 및 직업관련, 레저용, 의지보조기 등의 다양한

분류의 품목을 약 2만 여종을 제공하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미약하지만, 국내 전문보조공

학센터 중 하나인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2011)의 경우 9개 카테고리에 약

4,000여종의 제품에 대한 정보와 대여서비스를 실시하여 공적급여의 제한된 지원품목의

한계를 보상하여 장애인에게 기구와 정보제공을 실시하고 있다.

전문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은 보조공학기구 체험 및 기구 대여 서비스, 보조공학 정

보제공 서비스, 보조공학서비스 시행 후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로 나누어 조

사하였다. 장애인복지관 및 장애인 관련 단체 내 보조공학서비스는 장애인에게 일반적인

대여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실질적으로 보조공학 전문 지식이 요구되는 보조공학

정보제공 서비스,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관리와 같은 서비스는 낮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보조공학기구 대여 서비스는 주로 이동기구가 높았고(53.8%),

일상생활보조기구, 자세유지기구, 정보통신보조기구는 낮게 나타났다. 이동기구는 수/전동

휠체어, 워커 등에 국한된 일정기간동안 대여해 주는 형식의 대여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

고 이것은 보조공학 전문가의 특별한 개입 없이 일반 재활전문가에 의해 이뤄질 수 있는

단순 대여 서비스였다.

보조공학 및 보조공학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장애인에게 제공해주는 기관은 65.2%로

조사되었고, 주로 공적급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장애인총연맹 등과 같은 보조공학기구

보급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제공을 하지 않는 기관은 보조

Page 18: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38

공학 전문가의 부재로 인해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에게 필

요한 정기적인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는 ‘보조공학 관련 담당자/전문가 부재(76.5%)’, ‘담당업무로 인한 시간이 없어서(13.7%)’, ‘방법을 몰라서(9.8%)’ 등으로 시행하고 있지

않았다. 장애인에게 보조공학기구를 제공하고 나서 사용방법이나 활용방안에 대하여 정기

적으로 사후관리를 하지 못하는 것은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구에 대한 활용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킨다(Craddock & Mccormack, 2002). 또한 고가의 기구를 제공한 후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기구 사용의 비효율성을 낮일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국내 최초로 장애인고용공단 보조공학센터를 구축한 2004년과 전동보장구가 건강보험

지급품목으로 포함된 2005년을 기점으로 국내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정보제공이

이뤄지기 시작하였고, 2004년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경기도에 전문보조공학센터가 설치되

면서 본격적인 전문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욕구창출을 만들어내기 시작하였다. 충남지역에

는 전문보조공학센터가 설치되어 있지는 않으나, 정보매체 등을 통한 홍보로 인해 전문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해 53.7%가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현정(2010)의 연구에

서도 지방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보조공학서비스 인지 및 경험여부에 대해

‘전혀 모름’ 45.8%, ‘들어본 적 있으나 이용 경험이 없음’ 41.0%의 결과가 제시되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보조공학 및 보조공학서비스의 필요성들이 제기되고

는 있지만 실제로 현장에서는 반영되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문보조공학센터가 생길 시 이용여부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가 55.6%, ‘대체로 그렇다’가 27.8%로 이용할 의향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전문보

조공학센터의 구축방법으로는 ‘시, 군에 소규모로 설치(59.3%)’ 하기를 원하였는데 이것

은 보다 가까운 곳에서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는 장애인들의 접근성이 크

게 반영된 결과라고 사료된다. 한국장애인개발원(2011)에서도 장애인에 대한 보조공학기

구의 원활한 전달체계를 위하여 전국단위 중앙센터, 광역시도단위 광역센터, 시군구단위

지역센터로 구분하여 보다 많은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고려하는 의견을 제안하였다.

장애인의 접근성이 가장 높은 장애인복지관에서 보조공학 관련 일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는 대부분 사회복지사(56.5%)가 담당하고 있었으며, 그 외 물리/작업치료사

(26.1%), 직업재활사(4.3%)가 차지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일반 및 전문 보조공학서비스

가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은 이유로 ‘보조공학서비스를 담당할 인력 부족’의 결과와 일

맥상통한다. 또한 위의 전문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서 기구 대여 품목의 한

정성, 보조공학에 대한 정보제공과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은 이

유도 ‘보조공학 담당 전문가 인력 부족’로 인하여 장애인의 다양한 욕루를 충족시키지 못

하는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표 3-6). 실제 서비스 담당자는 주로 사회복지사로 장애인

Page 19: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39

의 보조공학서비스의 전반적인 역할만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복지관 내에 기타 업

무들로 인해 보조공학서비스를 제대로 시행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며 사회복지사가 할

수 있는 서비스 범위는 단순 기구 대여 및 반납과 같은 사후관리에 그치고 있어, 사용자

에게 적합한 맞춤 제작 개조 서비스, 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 등과 같은 전문보조공학서

비스는 보조공학 전문가에 의해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지역사회 장애인의 요구에 따라 보조공학의 필요성은 인지하고는 있지만, 실제

적인 서비스가 시행되기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운영에 필요한 예산, 인력 등이 명확하

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보조공학기구와 관련된 지원제도 인

지여부에 관해서도 총 7개의 지원제도를 모두 알고 있다고 응답한 전문가는 전체 69명

중 18명(26.1%) 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도 보조공학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대

한 홍보가 미흡하다는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장애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보조공학 정책의 홍보 및 안내를 전담할 전문보조공학센터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보조공학센터의 별도 설치 여부 질문에는 ‘매우 필요하다’ 39.1%, ‘필요하다’ 34.8%

로 현재 ‘보장구 대여 및 수리서비스’ 또는 ‘재활보조기기 대여 및 수리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들은 실제로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해 별도의 기관이

설치되기를 원했다. 이들은 단순한 대여 및 수리에 국한된 현재의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위해 전문인력의 확보(39.1%)와 보조기구 전달체계의 구축

(34.8%)을 개선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개선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사용

자에게 적합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는 별도의 전문보조공학센터를 설립하여

보조공학 전문 인력에 의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지역사회의 서비스체계를 확립하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장애인 및 전문가가 생각하는 전문보조공학센터 설치 운영 시 가장 먼저 시행되어야 하

는 사항을 확인한 결과, 장애인의 경우에는 ‘보조공학서비스의 신속한 상담지원’이 38.3%

으로 1순위로 대답하였고, 전문가의 경우에는 ‘보조공학서비스 전문가 배치’ 36.2%으로 1

순위로 답하였다. 장애인 당사자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의 응답결과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론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의 신속한 상담지원을 이루기 위해서는 보

조공학 관련 전문지식이 있는 전문가(보조공학사 등)가 현장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도 같다고 할 수 있다. 전문보조공학센터에서 이뤄지는 모든 서비스의 과정은 전문가에

의해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 재활전문가가 아닌 보조공학 전문가에

의해서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Page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40

Ⅴ. 결 론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실제 보조공학서비스 임상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

으로 파악하고, 전문보조공학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충남에 거주하는 장애인 및 전문가들은 장애인 개개인에게 보다 적합

한 보조공학기구에 대한 상담 및 정보제공, 기구보급 및 대여, 사후관리 등의 실질적으로

보조공학 전문 지식이 요구되는 보조공학서비스와 이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할 전문가 및

전문센터 설립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2010년부터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를 통하여 4개 광역시(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 보조기구사례관리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전문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 도단위에는 전문 보

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충남지역이 보유하

고 있는 다양한 인프라(대학, 장애인기관, 단체 등)를 활용하여 전문보조공학센터를 설립

되도록 노력한다면 지역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상당한 유익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충남에서 시행하고 있는 장애인 보조기구 지원 사업 및 장애인 지원 서비스 사

업에 원활하고 지속적인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의

후속연구에서는 이론적인 필요성 연구가 아닌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

및 과제 수행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광역단위와 시군구단위 전문센터의 역할과 세부업

무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2011). www.atrac.or.kr.

공진용, 안나연, 오현정, 정승민, 조재덕 (2008). 장애인복지관의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실태조사. 보조

공학저널, 2(1), 53-68.

김정희, 이홍용, 정현진 (2008). 2007년도 건강보험환자의 본인부담 진료비 실태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안은영 (2004). 복지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의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길승, 김형우, 오도영, 남세현, 이성희 (2005). 보조공학 서비스 욕구 및 수요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구직

및 근로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오길승, 오도영, 남세현 (2006).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보조공학 활용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6(2), 135-155.

Page 21: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41

오도영, 이근민 (2008).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보조공학 서비스 발전을 위한 과제 분석. 중복지체부자유

교육, 51(1), 147-164.

오도영 (2008). 한국의 보조공학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도영 (2006). 합리적인 재활공학서비스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쟁점. ATRAC 세미나자료집.

오현정 (2010). 도시규모에 따른 장애인 보조공학기기와 서비스 활용수준 비교 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

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근민 (2007). 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수요ㆍ실태 및 전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4), 427

-459.

장현숙, 김은경, 박수경, 김동석 (2002). 노인의 재활보조기구 이용실태 및 요구도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

노년학회, 22(1), 21-30.

정민예 (2008).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수요 조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채수영, 조성재, 권혁철 (2007). 직업재활사들의 보조공학에 관한 필요성 및 인식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

연구, 46(4), 327-346.

최미나 (2011).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보조공학서비스 욕구 및 수요 실태조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도청 (2011). 충남 도정백서. 충남도청.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a). 2009 장애인보조기구 인프라구축사업: 보조기구ㆍ서비스 기초 실태 및 수요

체계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b). 2010 국가지원 보조기구 정보제공 DB구축 방안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공적급여 보조기구 지원 효율화를 위한 한국형 서비스 모델 개발 연구. 한국

장애인개발원.

ABLEDATA. (2011). www.abledata.com.

Craddock, G., & Mccormack, L. (2002). Delivering ad AT service: A client-focused, social and

participatory service delivery model in assistive technology in ireland,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 160-170.

Galvin, J. C., & Scherer, M. J. (1996). Evaluating selscting, and using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Proed Inc.

Reed, B. J., & Freid, J. H., & Rhoades, B. J. (1995). Empowerment and assistive technology:

the local resource team model. Journal of Rehabilitation, 61(April-June), 30-35.

REHABDAT. (2011). www.rehadat.com.

Page 22: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E%C8%B3... · 여42 38.9 연령 1세~19세 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0권 제4호)142

<Abstract>

A Survey on Need and Demands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Service of People with Disability

: Focusing on Chungnam Area

An, Na Yeon ㆍ Kong, Jin Yong

This study aid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delivery

system to enable and support policies to provide basic data in chungnam and

disability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agency and use the services of 69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108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services, and surveys were required.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more

substantial challeng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ctually provided, and improvements necessar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and separated by a group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hat

conducted the survey with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re highly differentiat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based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ed standards and application process, follow-up service, price

level, support items, showed a lower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 the

actual enforcement officers are not experts, mos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by

rehabilitation specialists were being conducted. a more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performed, to perform

professional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Key Wards :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논문접수 : 2011. 10. 31 / 심사일 : 2011. 11. 17 / 게재승인 : 2011.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