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수요관리 정책 다변화를 위한 기법 연구 행동경제학적 접근 ·...

231

Upload: others

Post on 24-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부연구위원 김지효

    연구참여자 : 부연구위원 남수현

    부연구위원 정연제

    한국갤럽조사연구소

  • 요약 i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수

    요관리를 통한 효율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

    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더디게 향상되고 있어 보다 적극적 에너지수요

    관리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례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

    진국의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0~2.1% 개선되었으나, 우리나라 에

    너지원단위는 연평균 0.25% 개선에 그친다(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이에 에너지효율 격차(Energy Efficiency Gap), 최적 에너지효율과 실

    제 에너지효율 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전방위적 에너지수요관리 정

    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조망한 경제주체의 선호특성을 활

    용하여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을 다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에너지효율 격차는 일차적으로 가격 왜곡, 정보 부족 등 시장 불완전

    성에서 기인하지만, 시장 불완전성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개인의

    의사결정 특성에서도 기인한다. 시장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정책에 대

    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개인 의사결정의 고유한 특성에서

    기인한 에너지효율 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최근에서야 논

    의가 시작되었다. 특히, 국내에서는 개인의 의사결정 특성과 에너지효

    율 격차 간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조명하여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가 매우 부족하다. 행동경제학은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과

    사회적 선호(social preference)라는 개념을 통해 기존 경제학을 통해

  • ii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던 개인 의사결정의 이례성을 효과적으로 설

    명하는데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 관점을

    활용하여 에너지효율 격차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실증분석을 통

    해 검증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개인 수준에서 효율 향상을

    유인하기 위한 정책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주요 내용

    제2장은 문헌연구를 통해 경제주체 의사결정에서 귀결되는 에너지

    효율 격차를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체계화한다. 경제주체의 제한적 합

    리성에서 비롯되는 시간 및 위험 선호특성이 에너지효율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한다. 경제주체의 이타심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선호특성이 에너지효율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도 고찰한다.

    또한, 시간, 위험, 사회적 선호특성(이하 선호특성)이 에너지효율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제3장의 연

    구 논제를 도출한다. 연구 논제는 미래를 많이 할인할수록, 위험기피

    적일수록, 에너지소비가 수반하는 부정적 외부성을 적게 내부화할수

    록 에너지효율 관련 의사결정에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제3장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선호특성이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설계 및 분석결과를 제시

    한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 1,609명의 선호특성,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경험 및 계획, 에너지소비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

    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 자료를 사용하여 어떤 요인이 주택 에

    너지효율 투자 의사결정의 가능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덕적 의무감이 강한 사람일수록 과거에 주택 에너지효율

  • 요약 iii

    에 투자한 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미래를 덜 할인할수록, 위험

    을 덜 기피할수록, 도덕적 의무감이 강할수록, 유사 가구에 비해 에너

    지비용을 많이 지출하고 있다고 여길수록 미래에 에너지효율 투자를

    계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2장에서 선행연구 검

    토를 통해 살펴본 시간, 위험, 사회적 선호특성이 경제주체의 에너지

    효율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합치되는 결과이다.

    제4장은 선호특성을 반영해서 에너지효율 향상을 유인하기 위한 국

    내외 정책사례를 살펴보고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시간 및

    위험 선호특성을 고려해서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를 유인하는 융자 프

    로그램 사례인 영국 Green Deal과 미국 PACE 파이낸싱을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축 건물 에너지효율 투자를 자발적으로 유인

    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개인의 사회적 선호특

    성을 고려해서 에너지절약과 효율향상 투자를 유인하는 에너지절약형

    고지서 사례를 검토한다. 특히, 미국 OPOWER의 Home Energy Report

    (HER)과 우리나라 아파트 에너지절약형 관리비 고지서 사례에 초점

    을 맞춘다. 이를 토대로 에너지절약형 고지서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제5장은 연구결과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한

    다. 정책적 시사점은 경제주체의 에너지효율을 좀 더 쉽게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행동경제학에서 제시하는 선호특성에 관련된 논거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래 가치를 얼마나 할인하는지, 위험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고려하는 것은 재정보조 정책의 비용효과성을

    높이고 사람들의 참여를 유인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도덕적 의무감,

    환경/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태도 등 개인적 규범 수준을 강화시키는

  • iv

    것도 에너지효율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에너지소비,

    에너지효율에 대한 정보 제공 시, 사회적 선호 자극을 적절하게 병행

    할 경우 정보 제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2030 target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7% from the business-as-usual (BAU) level,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are necessary, not optional. Korea has been

    experienced a slowe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compared to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thus, more aggressive energy efficiency

    policies are needed. For example,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the

    energy intensity of major advanced countries has improved by 1.0 ~

    2.1% per year, but Korea's energy intensity has improved by an annual

    average of 0.25% (KEEI, 2016). Given the circumstances, the Korean

    government is required to implement a full-scale energy efficiency

    policy.

    This study aims to suggest how to diversify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by utilizing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gents from the perspective of behavioral economics. The

    energy inefficiency is primarily caused by market imperfections such

    as price distortions and lack of information, but also by individual

    decision-making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be explained with

    market imperfections alone. Although a lot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on energy efficiency policies to address market imperfections,

    discussion have recently begun on policies to address the energy

  • ii

    inefficiency that is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

    Korea that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ecision-making characteristics and energy inefficiency. Behavioral

    economics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ed rationality and social

    preference has been acknowledged for its contribution to effectively

    explain the anecdotes of individual decision-making. Using evidences

    provided by behavioral economics to theoretically systematize the

    energy inefficiency, this study investigates individu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affecting energy inefficienc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policy design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at the individual

    level.

    2. Summary

    Ch. 2 systematically organizes the energy inefficiency resulting from

    individual decision-making in terms of behavioral economics. We

    examine how time and risk preference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bounded rationality of economic agents affect energy efficiency decision-

    making.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societ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relevant with altruism on energy efficiency decision- making. In

    addition, we reviews literature that examines the effect of time, risk,

    and soci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ference

    characteristics”) on energy efficiency decision making. Based on literature

  • Abstract iii

    review, we raised the research topic that the more discounted the future,

    the less risky, the less internalized negative externalities accompanied

    by energy consumption, the more conservative the energy efficiency

    decision.

    Ch. 3 presen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effects of Korean people’s

    preference characteristics on energy retrofit decisions. First, in order to

    gather the data, we implemented a well designed survey on Korean

    households about their preference characteristic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nergy retrofit decisions. The data is analyzed to

    find out how preference characteristics affect the possibility of energy

    retrofit deci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people who have strong

    sense of moral obligation are highly probable of having experiences of

    energy retrofits in the past. People who discount future values less, are

    risk less, have strong sense of moral obligation, and think their energy

    expenses are greater compared to similar households are highly

    probable to have a plan for energy retrofits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ojected effects of preference characteristics on

    energy efficiency decisions in the previous chapter.

    Ch. 4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policy cases to make people

    use energy efficiently by considering preference characteristics and

    then, discusses how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policies. Frist, we

    review the U. K. Green Deal and the U. S. PACE financing,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loan programs attracting energy

    retrofits in consideration of time and risk preference characteristics.

  • iv

    Based on this policy review, we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attracting

    voluntary energy retrofits in Korea. Next, we review examples of

    energy bills - including the Home Energy Report (HER) developed by

    the OPOWER and the energy-saving bill for apartment maintenance

    fees in Korea - that attract energy-saving and investments in energy

    efficiency by stimulating soci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review, we propose a policy direction to extend the dissemination of

    energy-saving bill.

    Ch. 5 presents a summary of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policy implication is that the arguments

    related to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suggested by behavioral

    economics can be utilized to make people improve energy efficiency

    easily and voluntarily. Considering how much you discount future value

    and what attitude you have on risk will be effective in raising the cost

    effectiveness of energy efficiency policies and attracting people’s

    participation. Strengthening personal norms such as moral obligation,

    and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 climate change issues have a

    positive impact on making people use energy efficiently, either. In

    addition,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vision on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efficiency will be maximized when the stimulation of social

    preference stimulus is appropriately combined.

  •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 1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 5

    1. 행동경제학 개관 ··············································································· 5

    가. 제한적 합리성 ············································································ 6

    나. 이기심에 대한 논쟁 ··································································· 8

    2. 에너지효율 격차와 행동경제학 ······················································· 9

    가. 시간 선호특성(Time preference) ············································ 13

    나. 위험 선호특성(Risk preference) ············································· 20

    다. 사회적 선호특성(Social preference) ······································· 24

    3. 실증분석 선행연구 ········································································· 28

    제3장 선호특성의 에너지효율 투자 영향: 실증분석 ···················· 37

    1. 분석 개요 ························································································ 37

    2. 설문조사 설계 ················································································ 38

    가. 조사 개요 ················································································· 38

    나. 조사항목 구성 ·········································································· 43

    1) 시간 선호특성 ····································································· 43

    2) 위험 선호특성 ····································································· 49

    3) 사회적 선호특성 ·································································· 53

    4) 주택 및 에너지사용 현황 ··················································· 57

  • ii

    5) 인구통계적 특성 ·································································· 58

    다. 설문지 유형 구성 ···································································· 59

    3. 분석모형 및 분석자료 ···································································· 60

    가. 분석모형 ··················································································· 60

    나. 분석자료 및 변수설명 ····························································· 64

    4. 분석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 72

    가. 종속변수: 에너지효율 투자경험 ············································· 72

    나. 종속변수: 에너지효율 투자계획 ············································· 79

    다. 정책적 시사점 및 후속연구 방향 제언 ································· 84

    1) 정책적 시사점 ····································································· 84

    2) 분석의 한계 및 후속연구 제언 ·········································· 88

    제4장 행동경제학 활용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사례 및 시사점 ······· 91

    1.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융자 ·························································· 92

    가. 영국 Green Deal ····································································· 93

    나. 미국 PACE ··············································································· 96

    다. 정책적 시사점 ·········································································· 98

    2. 에너지절약형 고지서 ··································································· 101

    가. OPOWER의 Home Energy Report ····································· 101

    나. 우리나라: 에너지절약형 관리비 고지서 ······························ 105

    다. 정책적 시사점 ········································································ 107

    제5장 결론 ················································································ 113

    참고문헌 ···················································································· 117

  • 차례 iii

    설문지 ······································································· 131

    설문조사 응답결과 ····················································· 147

    1. 시간 선호특성 ·········································································· 147

    1) 현재편향 성향 ··································································· 147

    2) 부호효과 ············································································· 151

    3) 크기효과 ············································································· 152

    4) 주관적 현재선호도 ···························································· 153

    5) 시간 선호특성의 유효성 분석 ········································· 154

    2. 위험 선호특성 ·········································································· 157

    1) 객관적 위험기피도 ···························································· 157

    2) 주관적 위험기피도 ···························································· 159

    3) 위험 선호특성의 유효성 분석 ········································· 160

    3. 사회적 선호 ············································································· 161

    1) 환경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태도 ······························ 161

    2) 사회적 딜레마 체감도 ······················································ 166

    3) 기부 및 자원봉사 활동 ····················································· 168

    4) 상대적 에너지비용 체감도 ··············································· 170

    4. 주택 및 에너지사용 현황 ······················································· 172

    1) 주택 현황 ··········································································· 172

    2)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 174

    3) 에너지비용 ········································································· 177

    4) 에너지가격 전망 ································································ 180

    5. 사회경제적 특성 ······································································ 181

  • iv

    추가 실증분석 ··························································· 185

    1. 부표본 분석(Sub-Sample Analysis) ······································· 185

    1) 부호효과 영향 ··································································· 185

    2) 크기효과 영향 ··································································· 191

    3) 주택보유 영향 ··································································· 196

    2. 강건성 검토 ············································································· 202

  • 차례 v

    표 차례

    실증분석 선행연구 ····························································· 28

    표본 구성 ··········································································· 42

    복권 당첨금 수령시기 선택실험(1년, 50만원) ················ 46

    복권 당첨금 수령시기 선택실험(10년, 50만원) ·············· 47

    복권 당첨금 수령시기 선택실험(1년, 500만원) ·············· 49

    지불의사액과 위험기피도 간 관계 ··································· 52

    환경/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태도 ····································· 54

    설문지 유형 ········································································ 59

    변수 설명 ··········································································· 67

    분석결과(종속변수: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경험) ············ 73

    분석결과(종속변수: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계획) ·········· 80

    Green Deal과 PACE 파이낸싱 비교 ····························· 101

    시간 선호특성 유효성 분석(종속변수: 현재편향) ······ 155

    시간 선호특성 유효성 분석(종속변수: 할인계수) ······ 156

    위험 선호특성 유효성 분석(종속변수: CRRA) ·········· 160

    환경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태도 ································ 164

    응답자의 사회적 딜레마 체감도 ································· 167

    후원금 기부 경험 ·························································· 168

    응답자의 자원봉사 활동 참여도 ································· 169

    주택 현황 ······································································· 173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경험 및 계획 ·························· 174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경험 및 계획의 이유 ··········· 177

  • vi

    에너지가격 변화에 대한 전망 ··································· 180

    부호효과에 따른 기초통계 차이 ································· 186

    부호효과 영향 분석(종속변수: 투자경험) ··················· 189

    부호효과 영향 분석(종속변수: 투자계획) ··················· 190

    크기효과에 따른 기초통계 차이 ································· 192

    크기효과 영향 분석(종속변수: 투자경험) ··················· 194

    크기효과 영향 분석(종속변수: 투자계획) ··················· 195

    주택보유에 따른 기초통계 차이 ································· 197

    주택보유 영향 분석(종속변수: 투자경험) ··················· 199

    주택보유 영향 분석(종속변수: 투자계획) ··················· 201

    LPM, Logit, Probit, 부분효과 추정결과

    (종속변수: 투자경험) ·················································· 204

    LPM, Logit, Probit, 부분효과 추정결과

    (종속변수: 투자계획) ·················································· 206

  • 차례 vii

    그림 차례

    [그림 2-1] 이중적 인식 시스템 ··························································· 6

    [그림 2-2] 지수형 할인과 (준)쌍곡형 할인의 할인계수 비교 ········ 17

    [그림 2-3] 전망이론의 가치함수와 가중함수 ··································· 22

    [그림 2-4] 계획행동이론 ···································································· 26

    [그림 3-1] 설문조사 개요 ·································································· 39

    [그림 3-2] 복권에 대한 지불의사액(WTP) 질문 방식 ···················· 52

    [그림 4-1] 그린 리모델링 이자지원 사업 개요 ····························· 100

    [그림 4-2] Home Energy Report(HER) 예시 ································ 103

    [그림 4-3] 아파트 에너지절약형 고지서(우리나라) ······················· 107

    [그림 4-4] 도시가스 고지서 ····························································· 109

    [그림 4-5] 한국전력 고지서 ····························································· 110

    [그림 A2-1] 50만원 편익의 1년 할인계수 ····································· 148

    [그림 A2-2] 50만원 편익의 10년 할인계수 ··································· 149

    [그림 A2-3] 1년 할인계수와 10년 할인계수 분포 비교 ·············· 149

    [그림 A2-4] 쌍곡할인 상수(βi) 분포 ·············································· 150

    [그림 A2-5] 쌍곡할인 상수(δi) 분포 ·············································· 151

    [그림 A2-6] 50만원 비용의 1년 할인계수 ····································· 152

    [그림 A2-7] 500만원 편익의 1년 할인계수 ··································· 153

    [그림 A2-8] 주관적 현재선호도 ······················································ 154

    [그림 A2-9] 객관적 위험기피도 ······················································ 158

    [그림 A2-10] 주관적 위험기피도 ···················································· 159

    [그림 A2-11] 상대적 난방비 체감도 ·············································· 170

  • viii

    [그림 A2-12] 상대적 전기요금 체감도 ··········································· 171

    [그림 A2-13] 상대적 에너지비용 체감도 ······································· 172

    [그림 A2-14]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경험 강도 ······························ 175

    [그림 A2-15]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계획 강도 ······························ 176

    [그림 A2-16] 동절기 월평균 난방비 수준 ····································· 178

    [그림 A2-17] 월평균 전기요금 수준 ·············································· 178

    [그림 A2-18] 에너지비용 분포 ························································ 179

    [그림 A2-19] 에너지가격 전망 ························································ 181

    [그림 A2-20] 가구원 수 분포 ························································· 182

    [그림 A2-21] 월 평균 소득 분포 ·················································· 183

    [그림 A2-22] 가계 상황 ··································································· 184

  • 제1장 서론 1

    제1장 서론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효

    율이 대폭 향상되어야 한다. 에너지효율은 “first fuel”이라 지칭될 정

    도로 에너지소비 감축 잠재량이 크며(IEA, 2014), 가장 저렴한 온실가

    스 저감수단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에너지효율

    이 더디게 향상되고 있어 보다 적극적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례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의 에너지원단위

    는 연평균 1.0~2.1% 개선되었으나, 우리나라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0.25% 개선에 그친다(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이에 전방위적 에너

    지수요관리 정책을 통한 효율 향상이 요구된다.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의 목표는 에너지효율 격차(Energy Efficiency

    Gap) 완화로 귀결된다. 에너지효율 격차는 에너지이용이 기술적 사회

    적으로 비효율적인 상태 또는 기술적 물리적 경제적 에너지효율이 최

    적수준보다 낮은 현상을 지칭한다. 에너지효율 격차의 일차적 원인은

    에너지가격 왜곡, 정보 부족, 주인-대리인 문제 등 시장 불완전성이다

    (김지효 심성희, 2015). 그러나 시장 불완전성과 같은 구조적 문제만

    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개인의 선택과 행동에서 비롯되는 에너지효율

    격차가 존재한다. Hirst and Brown(1990)은 이를 “행동 장벽(behavioral

    barriers)”으로 분류한 바 있다. 이후 여러 학자들은 선호특성의 이례

    성에서 기인한 의사결정이 에너지효율 격차를 넓히기도, 좁히기도 한

    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김지효 심성희, 2015).

    행동경제학은 구조적 문제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인의 의사결정을

  • 2

    이해하고 교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DellaVigna, 2009). 합리성

    과 이기심에 대한 가정을 수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 행동경제학은

    전통경제학1) 관점에서는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개인의 의사결정

    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왜 경제주체는 금전적으

    로 이득인 에너지고효율 기술을 채택하지 않는가?”(Gerarden et al.,

    2014)라는 질문을 던져보자. 전통경제학 관점에서 볼 때 금전적으로

    이득인 에너지고효율 기술이라면 가격 조정, 보조금 지급 등의 정책

    개입은 불필요하며, 규제나 정보제공 등의 정책 개입을 통해 문제 해

    결을 시도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왜”에 대한 명쾌한 이해가

    결여된 정책 개입은 그 효과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행동경제학에서

    제시하는 현재편향 성향, 손실회피 성향 등의 선호특성의 이례성은

    “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2)

    행동경제학은 전통경제학에 근거한 기존 에너지수요관리 정책 효과

    성을 높이고 정책수단을 다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동

    경제학은 가격 및 명령과 통제 기반 정책 등 전통경제학에 근거한 정

    책수단의 효과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다. 비용 산정, 사회적 합의

    도출, 공공 재정 확충 등의 한계로 인해 전통경제학에 근거한 정책은

    대체로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충분히 거두지 못하는 상황이다. 행동경

    제학은 선호특성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 또는 가구 단위

    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 정책을 정교화하고 비용효과성을 높이는데 기

    여할 수 있다. 또한, 행동경제학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토대로 설계된 비금전적 개입(non-pecuniary intervention)은 수요관리

    정책수단을 다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사회적 규범(social norm),

    1) 본 연구에서 ‘전통경제학’이라 지칭되는 관점은 신고전학파의 관점을 의미한다. 2) 현재편향 성향, 손실회피 성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2장에서 제시한다.

  • 제1장 서론 3

    이타심(altruism)을 자극하는 심리학적 신호(psychological cue)를 적절

    히 활용하면 자발적 에너지절약, 에너지효율 투자 등을 유인하는데 도

    움이 된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 관점을 활용하여 에너지효율 격차를 이론적

    으로 체계화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과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에너지효율 투자 및 절약 유인에

    행동경제학에서 제시된 근거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 행동경제학의 에너지수요관리 정책 활용에 대한 논의가 본격

    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에너지효율 격

    차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선행연구

    사례를 제시한다(제2장). 또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선호특성과 주택

    에너지효율 투자 현황을 파악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선호

    특성이 어떻게 에너지효율 투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

    석한다(제3장). 마지막으로 국내외 정책사례와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

    하여 행동경제학을 활용한 우리나라 에너지수요관리 정책 다변화 방

    향을 도출한다(제4장).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거의 최초로 행동경제학의 에너지정책 활용

    을 위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에의 행동경제학 활용기반 구축에 활용될 수 있

    으며, 장기적으로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정책방향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그 동안 우리나라 에너지수요관리 정책

    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개인 단위의 에너지효율 의사결정에 초점

    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와 구별된다. 연구 결과는 개인별 이

    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한 맞춤형 수요관리 정책을 설계하는 데 기

  • 4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인의 의

    사결정 특성은 에너지정책 뿐만 아니라 다른 공공정책에도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5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1. 행동경제학 개관

    행동경제학이란 무엇인가? Cartwright(2014)에 따르면 행동경제학은

    넓게는 경제주체의 행동과 결과를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으로 정의된

    다. 전통경제학은 인간 행위의 동기보다는 결과를 강조하며, 관찰이

    가능한 처음의 자극과 끝의 반응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홍훈,

    2013). 행동경제학은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속에 숨어 있는 동기에 관

    심을 갖는다. 행동경제학은 전통경제학의 핵심적인 가정인 인간의 합

    리성과 시장기능의 작동방식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하는 학문이기도

    하다(Cartwright, 2014). 전통경제학의 경제모형이 언제 제대로 작동하

    지 않는지를 관찰하고 이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나아가, 실험결과, 심리학, 여타 사회과학에서 획득한 통찰력을 경

    제학에 활용하는 것까지 행동경제학의 영역에 포함된다(Cartwright,

    2014). 본 절은 인간의 합리성 및 이기심에 대해서 그 동안 행동경제

    학3) 분야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들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소개한다.

    3) 많은 사람들은 종종 행동경제학과 실험경제학을 혼동한다. 행동경제학은 D. Kahneman과 A. Tversky가 1979년 발표한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을 효시로 인지심리학의 성과를 도입하여 전통경제학을 개선해나가는 학문에 가깝다(도모노 노리오, 2007; 홍훈, 2013). 실험경제학은 V. Smith를 필두로 실험적 방법을 이용해서 경제이론을 검증하는 학문으로, 연구대상보다는 방법론이 주된 특징이다(도모노 노리오, 2007; 홍훈, 2013). 제2장은 실험경제학이 아닌 행동경제학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개진한다.

  • 6

    가. 제한적 합리성

    전통경제학은 경제주체의 합리성을 가정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개인

    의 합인 사회의 합리성과 합리적 개인의 교환행위가 이루어지는 시장

    의 효율성을 유추한다(홍훈, 2013). 그러나 행동경제학은 경제주체가

    제한적으로 합리적(bounded rational)이라고 본다. Simon(1955)은 최

    적화 문제의 제약 중 일부는 의사결정자 고유의 물리적, 심리적 제약

    일 수 있으며, 계산능력 한계는 어떤 상황에서 합리적 선택에 중요한

    제약이 될 수 있다고 논하였다. 그는 개인의 의사결정은 효용극대화

    행동이 아닌 자기만족적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그림 2-1] 이중적 인식 시스템

    자료: Kahneman(2003a), p. 698

    Kahneman(2003a)은 이중적 인식 시스템([그림 2-1])에 근거하여 경

    제주체의 제한적 합리성을 설명하였다. 인간은 1차적으로 감각기관을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7

    통해 자극을 인지(perception)한다. 인지된 자극은 직관(intuition)이라

    는 시스템 과 추론(reasoning)이라는 시스템 에 의해 처리된다. 시

    스템 의 처리과정은 신속하고, 자동적이고, 별다른 노력을 요하지

    않고, 연상(聯想)에 의존하고, 암시적이며, 종종 감정과 습관에 영향 받는다. 시스템 의 처리과정은 기실 인지와 그다지 구분되지 않으며,

    통제 또는 조정되기 어렵다. 반면 시스템 의 처리과정은 느리고, 연

    속적이며, 신중하게 관찰 및 통제된다. 시스템 는 시스템 을 관

    리 감독하며, 사회적 규율 및 법규에 따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Kahneman and Frederick(2002)의 실험4)에서 밝혀졌다시피,

    시스템 의 시스템 에 대한 관리 감독은 다소 허술하며, 경우에 따

    라 시스템 에만 의존하여 의사결정이 내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중적 인식 시스템 하에서는 어떤 시스템에 주로 의존해서 의

    사결정이 이루어졌나에 따라 복잡한 계산이 필요 없는 문제라 하더라

    도 합리성이 제한될 수 있다.

    직관에 의존하는 시스템 I은 휴리스틱 기반 의사결정, 불확실성 하

    의 의사결정, 프레이밍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Kahneman, 2003a). 휴

    리스틱은 사람들이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을 매우 단순한 판단

    과정으로 환원시키는 한정된 원리로(Tversky and Kahneman, 1983;

    김지효 심성희, 2015 재인용), 휴리스틱에 근거한 판단은 객관적 판단

    에 근거한 판단과 종종 차이가 있어 편향(bias)을 야기한다(Tversky

    and Kahneman, 1983).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은 사건 발생의 확률을

    4) Kahneman and Frederick(2002)은 미시건대와 프린스턴대 학생을 대상으로 “야구공과 배트 가격 합이 1.1달러일 때, 배트가 야구공보다 1달러 비싸다면 야구공 가격은 얼마일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답은 5센트이지만,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순간적으로 10센트라고 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8

    판단하는 것과 관련된다.5) 프레이밍 효과는 개인의 의사결정이 질문

    방식이나 문제제시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이밍 효

    과는 복수(複數) 재화에 대한 선호 순서가 재화의 진열방식이나 제시 순서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이 현상은 전통경

    제학에서 가정하는 선호의 외연성(extensionality) 및 불변성(invariance)

    과 배치된다(Tversky and Kahneman, 1986).6) 프레이밍 효과는 경제

    주체가 심사숙고한다면 동일하게 간주될 의사결정 문제 간 불일치를

    의미한다(Tversky and Kahneman, 1981).

    전통경제학의 합리성에 대한 가정은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결과를

    근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어떤 개인이 합리적이지 않다 하

    더라도 합리성의 가정에 근거한 경제 모형은 현상을 설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하나의 기준을 제시한다. 반면, 행동경제학은 합리성에 대

    한 가정을 완화하여 보다 현실적인 인간에 초점을 맞춘다. 합리성에

    대한 가정의 완화는 개인의 의사결정에 대한 보다 나은 근사치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 속에 숨은 동기, 더 나아가 수량이 아닌

    관계에 대한 보다 나은 설명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 이기심에 대한 논쟁

    전통경제학에서 대체적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이기적 인간을

    상정한다(홍훈, 2013). 이기적 행동에는 자신을 위한 행위, 가족이나

    친족을 위한 행위, 장차 타인이 자신에게 이익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현재 이익을 베푸는 호혜적 행위 등이 포함된다(홍훈, 2013). 그러나

    5) 이는 다음 절에서 전망이론을 소개하며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6) 외연성 또는 불변성은 대안 또는 결과물과 무관한 속성들의 변화가 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9

    공공재 게임 실험을 수행한 여러 연구에서 모든 사람들이 항상 이기

    적 행동을 취하지만은 않는다는 결과가 발표되면서 이기심의 가정은 도

    전을 받게 되었다. Fischbacher et al.(2001)은 조건부 협력(conditional

    cooperation)7)에 대한 지불의사를 도출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피험

    자의 약 50%는 조건부 협력자인 반면 30% 정도는 무임승차자로 분

    류된다고 가정하였다. 이기적 인간이라면 공공재 게임에서 무임승차

    를 택해야겠지만, 실제로 상당한 사람들이 무임승차를 선택하지 않음

    을 보였다.

    행동경제학에서는 개인의 행위는 이기심이 아닌 다른 요소, 예를 들면

    이타심, 온정(warm-glow), 공정성(fairness), 사회정의 등에 의해서도

    일정 부분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Kahneman, 2003b). 즉, 경제주체의

    효용은 자기 자신의 편익에 의해 결정되지만, 타인의 편익도 이에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Kahneman, 2003b; 홍훈, 2013).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타인의 이익도 효용에 반영되는 선호를 사회적 선호

    라고 한다(도모노 노리오, 2007).8)

    2. 에너지효율 격차와 행동경제학

    에너지효율 격차(energy efficiency gap)는 최적 에너지효율보다 현

    재 에너지효율이 낮은 현상을 가리킨다(Hirst and Brown, 1990). 기술

    7) 조건부 협력의 정의 및 실험 설계의 자세한 내용은 Fischbacher et al.(2001)을 참조한다.

    8) 행동경제학에서는 공정성이나 사회정의를 그 자체로 수용하기 보다는 효용의 결정요인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홍훈, 2003). 홍훈(2003)은 이 경향이 결국 신고전학파, 기대효용이론의 흐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판받는다고 논하였다.

  • 10

    적 관점에서 에너지효율을 바라볼 때, 에너지효율 격차는 공학적 경제

    성(engineering economics)9)이 충족되는 상황에서도 에너지고효율 설

    비를 설치하지 않아 에너지의 비효율적 이용이 발생하는 상황을 가리

    킨다. 물리적 사회적 관점으로 에너지효율을 바라볼 때, 재화 및 서비

    스 생산에 에너지가 비효율적으로 이용되는 상황도 에너지효율 격차

    에 해당한다(김지효 심성희, 2015). 요약하면, 에너지효율 격차는 에

    너지를 사용해서 에너지서비스를 생산 소비하는 모든 과정에서의 비

    효율성을 가리킨다.

    Hirst and Brown(1990)의 연구는 에너지효율 격차의 원인에 대한

    본격적 논의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Hirst and Brown(1990)은 에

    너지효율 격차의 원인을 개인의 통제를 벗어난 구조적 장애요인과 개

    인의 의사결정 특성과 관련된 행동적 장애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구조적

    장애요인은 통상적으로 에너지효율 격차의 원인으로 언급되곤 하는

    가격, 시장, 정책의 문제와 관련된다. 행동적 장애요인은 구조적 접근

    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개개인의 특성과 관련된다. 에너지효율에 대한

    태도, 에너지효율 투자 위험에 대한 인식, 정보 격차, 유인 실종이 행

    동적 장애요인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에너지효율에 대한 태도, 에너지

    효율 투자 위험에 대한 인식은 행동경제학에서 주장하는 경제주체의

    제한적 합리성 및 이타심과 관련된다. 그 외에도 손실회피적 성향

    (loss-aversion), 현재편향 성향 등의 의사결정 특성이 에너지효율 격차

    의 원인으로 언급되곤 한다(김지효 심성희, 2015).

    다음 예시는 행동경제학이 에너지효율 격차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

    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10) 임의의 경제주체 가 두 종류의 에

    9) 고효율기기의 공학적 경제성은 효율 개선으로 인한 비용 절감액의 시장할인율 기준 현재가치가 고효율기기 구입의 추가비용보다 큰지 비교해서 결정된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11

    너지사용 기기(A, B) 중 하나를 구입하는 상황을 상정하자. 기기 A의

    에너지효율이 B에 비해 우수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속성은

    동일하다. A는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만큼 B에 비해 구입비용이 만큼

    비싸다. 시장할인율(market interest rate) 기준으로 평가된 A의 에너지

    비용 절감액은 구입비용 차액 를 상쇄한다고 가정하자. 문제는 제한

    적으로 합리적인 경제주체 는 공학적 경제성이 아닌 본인이 인식한

    경제성에 근거해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이다(Di Maria et al., 2010).

    경제주체 가 에너지사용 기기의 경제성을 어떻게 판단하는지 살펴

    보기 위해 0기에는 기기 구입비용을, 1기에는 기기사용으로 인한 에

    너지비용을 지불하는 의사결정을 상정하자. 는 다음 조건이 성립할

    때 B 대신 A를 선택한다.

    식 ( -1)

    이 때, 와 는 각각 A와 B의 에너지 집약도11), 는 에너지가격,

    는 의 기기 사용정도이다. 는 고효율 신기술 사용에 수반되는 관

    찰되지 않은 비용 또는 편익이다. 는 가 에너지소비가 수반하는 환

    경오염, 기후변화 등 부정적인 외부성을 얼마나 내부화해서 인식하는

    지 정도이고, 는 1기에 발생하는 에너지비용 할인계수(discounting

    factor)이다.

    A의 효율이 B에 비해 높으므로 가 성립한다. 이면 비

    용이 발생하며, 이면 편익이 발생한다. 은 신기술 이용에 대한

    10) 이 예시는 Allcott and Greenstone(2012)의 p.9~12에 제시된 모형을 본 연구 의도에 맞게 적절히 수정하여 작성되었다.

    11) 에너지 집약도는 에너지효율에 반비례한다.

  • 12

    위험 프리미엄(risk premium)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가 클수록 기

    기를 많이 사용하고 작을수록 적게 사용한다. 1기에 사용하는 비용에

    를 곱하면 0기 기준으로 환산할 수 있으므로, 가 클수록 미래를

    덜 할인한다. 이면 경제주체 는 외부성을 내부화하며, 이

    면 외부성을 전혀 내부화하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식 ( -1)에서 좌변은 경제주체 가 B 대신 A를 구입해서 누리는

    편익의 현재가치이다. 가 인식한 편익의 현재가치가 구입비용 차액

    보다 커야 A를 선택할 것이다. 좌변의 첫째 항은 고효율기기 구입으

    로 인한 에너지비용 절감액을 어떻게 현재가치로 환산해서 평가하는

    지를 나타낸다. 외부성의 내부화 정도가 클수록( ), 기기 사용정도

    가 높을수록( ), 할인계수가 클수록( ) 비용 절감액의 현재가치

    를 크게 인식하게 된다. 좌변의 둘째 항은 고효율기기 채택으로 인한

    관찰 불가능한 비용이다. 가 클수록 고효율기기 편익이 줄어들게 된다.

    , , , 는 개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어떤 경제주체는 A를 구입

    하는 반면, 다른 경제주체는 B를 구입할 수 있다.12)

    , , 는 개인의 의사결정 특성과 관련된다. 는 경제주체 가

    미래를 얼마나 할인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는 시간 선호특성

    (time preference)과 관련된다. 가 위험 프리미엄과 연관되어 있다면,

    는 경제주체 의 효용함수 형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즉, 는 개

    인의 위험 선호특성(risk preference)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식 ( -1)

    12) 여기에서 개인의 계산능력, 에너지효율 절감액에 대한 정보 유무, 정보의 명시성(salience)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계산능력, 정보 명시성에 따른 반응의 차이 등은 행동경제학에서 관심 있게 다루는 주제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간 선호특성, 위험 선호특성, 사회적 선호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외 행동경제학에서 다루는 논제들은 연구범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계산능력, 정보 명시성에 따른 반응의 차이 등 여타의 논제는 후속연구에서 다룰 예정이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13

    은 0기와 1기만 고려하였으므로 에너지가격을 상수 로 가정하였지

    만, 보다 장기간을 고려할 경우 에너지가격도 변할 것이다. 그렇다면

    에너지가격 변동성은 에너지절감 비용의 현재가치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관찰되지 않는 비용 를 증가시킬 수 있다. 는 환경, 기후변화

    문제를 비롯한 사회적 문제를 얼마나 내부화시켜 판단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회적 선호특성(social preference)과 관련된다. 즉, 개인

    의 시간, 위험, 사회적 선호특성은 에너지효율 격차를 확대시킬 수도,

    반대로 완화시킬 수도 있다.

    본 절은 행동경제학적 관점이 에너지효율 격차를 이해하는 데 어떻

    게 적용될 수 있는지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개관하여 고찰한다. 구체

    적으로, 시간, 위험, 사회적 선호특성이 에너지효율 격차를 어떻게 심

    화시키는지 또는 축소시키는지 설명한다.

    가. 시간 선호특성(Time preference)

    시간 선호특성은 시점 간 선택(intertemporal choice)에서 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생하는 비용-편익 간 거래 균형에 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이 현재와 미래의 여러 시점에 대해 소비, 비용, 이득을

    배분하는 의사결정에서 각기 다른 시간대에 발생하는 가치의 가격을

    어떻게 매기느냐, 즉, 할인율(discount rate)은 어느 정도인가의 문제이다.13)

    Samuelson이 1937년 할인효용 모형(discounted utility model)을 제

    13) 본 연구는 내재적 할인율(implicit discount rate)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할인율은 해당 투자에서 요구되는 최소수익률을 의미한다(이지웅 김성균, 2015). 내재적 할인율은 개인 의사결정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사회적 할인율(social discount rate)이나 시장할인율(market discount rate)과 구별된다.

  • 14

    안한 이래(Samuelson, 1937), 일정한 할인율을 가정하는 지수형 할인

    (exponential discounting)은 시점 간 선택의 일반적 가정으로 사용되

    었다. 식 ( -2)에서 는 매 기 발생하는 소비 의 기대효용을

    나타내는데, 는 각 기 소비로 인한 효용 의 할인된 합이다.

    할인율 은 상수(constant)이며, 할인계수(discounting factor) 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할인효용 모형의 핵심은 할인율은 시간에 상관

    없이 일정한 정(+)의 값을 가진다는 가정이다.

    식 ( -2)

    Samuelson(1937) 이전에도 시점 간 선택을 고찰한 여러 선행연구가

    존재하였다(Frederick et al. 2002). 선행연구는 시점 간 선택을 자비

    심, 자제력, 금욕 등 다양한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동기들의 조합으로

    이해하였다(Frederick et al., 2002). Samuelson(1937)은 다양한 심리적

    동기들을 무시하기보다는, 이러한 동기의 총합을 응축시켜 단순하게

    표현하는 모형을 고안한 것으로 판단된다(Frederick et al., 2002). 그

    러나 할인효용 모형이 널리 활용되면서 모형에 내포된 심리적 동기들

    의 중요성은 희미해지게 되었다.

    사람들이 단기 거래에는 인내심이 부족하지만 장기 거래에는 인내

    심을 가진다는 Stroz(1955)의 주장 이후 일정한 할인율을 가정하는 할

    인효용 모형은 도전받기 시작하였다. Thaler(1981)의 복권당첨금 수령

    및 교통위반 벌금 납부 실험은 할인효용 모형이 현실에서 경제주체의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15

    시점 간 선택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함을 보였다. 이 실험은 경제주체

    들의 내재적 할인율이 시간이 지날수록, 보상규모가 커질수록 감소

    하며, 비용보다는 편익을 더 많이 할인하는 것을 보였다. 이후 시간

    선호특성의 이례성(anomaly)을 보여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례성은 현재편향(present bias), 크기효과(magnitude effect), 부호

    효과(sign effect), 지연-속결 간 비대칭성(delay-speedup asymmetry),

    점증적 성과 개선(improving outcome sequence)에 대한 선호 등으로

    요약된다(Frederick et al., 2002).

    Laibson(1997)은 식 ( -3)과 같은 (준)쌍곡형(quasi-hyperbolic) 할

    인계수 을 제안하여, 현재편향 성향을 설명하였다.14) 준 쌍곡형

    할인은 지수형 할인과 달리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할인율(time-varying

    discount rate)을 가정한다.15) 식 ( -3)에서 는 현재편향 성향

    여부를 나타내며, 는 할인율과 반비례하는 상수이다.

    이라면, 시간 선호는 현재에 편향되어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할

    인계수가 빠른 속도로 감소하지만 먼 미래에는 할인계수가 천천히 감

    소한다. 이면 중립적이며, 이면 상대적으로 미래에 편향되

    어 있다고 본다.16)

    14) Laibson(1997)이 제안한 준 쌍곡형 할인계수는 Lowenstein and Prelec(1992)가 제안한 쌍곡형 할인계수의 이산 형태(discrete form)이다(Angeletos et al., 2001).

    15) 한편 Andersen et al(2008)과 Andreoni and Sprenger(2012)는 다른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된다면 지수형 할인이 쌍곡형 할인에 비해 실제의 시점 간 선택을 더 잘 근사한다는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Richards and Green, 2015).

    16) ≠ 은 간 trade-off가 기준에서 평가할 때와 기준에서 평가할 때 달라지는 시간 불일치성(time inconsistency)을 의미한다(Krusell et al., 2002).

  • 16

    i f i f ≥ 식 ( -3)

    현재편향의 일례는 내일의 11만원보다 오늘의 10만원을 선호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1년 뒤 오늘의 10만원보다 그 이튿날 11만원을

    선호하는 현상이다.17) (준)쌍곡형 할인은 지수형 할인으로 설명이 어

    려운 경제주체들의 현재편향 특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준)쌍

    곡형 할인을 가정하면 지수형 할인에 비해 단기간에 대한 할인계수가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하게 된다([그림 2-2]). 단,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지수형 할인계수가 (준)쌍곡형 할인계수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감소

    하게 된다. Angeletos et al.(2001)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약 15~20년

    사이가 임계점으로 판단된다. 이 논의의 의미는 회수기간이 10~15년

    미만일 때, 지수형 할인을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경제성이 있는 투자

    라 하더라도 현재편향 성향이 존재하는 경제주체 입장에서는 투자할

    만하다고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17) 현재편향 성향은 자기통제 문제(self-control problem)와도 관련된다(Angeletos et al., 2001). 현재편향 성향으로 소득 중 은퇴를 위해 저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과 실제로 저축하는 비중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Angeletos et al.(2001)을 참조한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17

    [그림 2-2] 지수형 할인과 (준)쌍곡형 할인의 할인계수 비교

    자료: Angeletos et al.(2001), Figure 1

    부호효과는 동일한 금액이라 하더라도 편익을 비용에 비해 더 많이

    할인해서 평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Thaler, 1981). 크기효과는 작은

    금액을 큰 금액에 비해 더 많이 할인하는 현상을 가리킨다(Benhabib

    et al., 2010). 지연-속결 간 비대칭성은 어떤 결과가 가속화로 제시되는

    지 지연으로 제시되는지에 따라 할인율을 다르게 평가하는 것을 가리

    킨다(Lowenstein, 1988).18) 예컨대, 이는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가 동일한 현금흐름이라 하더라도, 어떤 사람들은 비용청산을

    18) 지연-속결 간 비대칭성에는 프레이밍 효과가 관련되어 있다. 프레이밍 효과에 대한 설명은 본장 제1절을 참조한다.

  • 18

    미루는 것보다 앞당기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점증적 성과 개선에 대

    한 선호는 경제주체들이 두 개의 다른 성과 흐름(outcome sequence)

    을 비교할 때, 개선되는 성과 흐름을 악화되는 성과 흐름보다 더 선호

    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NPV가 동일하더라도 이득이 점차 감소하거나

    매기 동일한 이득이 발생하는 현금 흐름보다 이득이 차츰 증가하는

    현금 흐름을 선호하는 현상이 이에 해당된다.

    시간 선호특성은 에너지효율 투자 의사결정에서 초기 자본비용과

    미래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에너지비용 절감액 간 교환관계를 판단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단순하게 보면 에너지효율 투자의 총 비용은

    초기 투자비용과 이후 에너지비용의 합으로 볼 수 있다(Hausman,

    1979). 대개의 경우, 에너지효율이 높아질수록 초기 투자비용은 높아

    지고 이후 에너지비용은 낮아진다. 만약 다른 특성이 모두 동일하고

    에너지효율만 다른 두 개의 에너지사용 기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

    는 상황이라면, 경제주체는 초기 구입비용 차이와 에너지비용 절감액

    차이를 비교해서 의사결정을 내릴 것이다. 식 ( -1)에서 살펴보았듯

    이 할인계수 는 에너지비용 절감의 편익을 어떻게 현재가치로 환산

    하는지를 결정한다.

    현재편향 성향은 할인계수 를 낮추어 에너지효율 격차를 확대시

    킬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효율 투자비 회수기간이 10~15년임을 고

    려할 때(박기현, 2013), 현재편향 성향은 공학적 경제성 계산 시 활용

    하는 지수형 할인에 비해 할인계수를 빠른 속도로 감소시킨다. 현재편

    향 성향으로 인해 경제주체는 공학적 경제성을 기준으로 삼을 때에

    비해 미래 에너지비용 절감액을 더 많이 할인해서 인식하게 된다. 초

    기에 에너지효율 투자비를 분할 납부하는 경우에는 부호효과와 크기

    효과도 에너지효율 격차를 확대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편익을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19

    비용보다 더 많이 할인해서 인식하는 부호효과가 존재할 경우 에너지

    효율 투자의 경제성을 평가 절하할 수 있다. 에너지효율 투자에 있어

    비용은 초기에 납입을 완료하게 되는 반면, 편익은 장기간에 걸쳐 회

    수하게 된다.19) 이 경우 매 기 납부하는 비용의 크기가 편익보다 클

    가능성이 높으므로, 크기효과가 존재할 경우 에너지효율 투자의 경제

    성을 평가 절하할 수 있다.

    영국 DEFRA(U.K. Department of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는 사람들이 미래 에너지비용 절감액을 과도하게 할인하는 현

    상의 원인을 고립효과(isolation effect), 연산능력 부족(computational

    challenge), 현재편향 성향으로 인한 쌍곡형 할인 특성으로 정리하였

    다(DEFRA, 2010). 고립효과는 의사결정 시 눈에 잘 띄지 않는 정보

    를 무시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연산능력 부족은 제시된 정보를 다 이

    해했다 하더라도 이들 정보를 최적으로 사용할 능력이 부족함을 의미

    한다.20) 쌍곡형 할인 특성은 현재편향 성향으로 인한 당장의 편익에

    대한 강한 선호와 당장의 비용에 대한 강한 회피로 이해될 수 있다.

    DEFRA(2010)은 주거 부문에 대해 이루어진 실험 및 설문조사 연구

    28건의 결과를 종합해서 에너지효율 투자의 내재적 할인율은 1~345%

    수준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Gately(1980)는 정보 부족 또는 비합리

    성으로 인해 사람들의 에너지효율 투자에 대한 내재적 할인율이 시장

    할인율에 비해 상당히 높아진다고 주장한 바 있다.

    19) 개인 에너지효율 투자비용은 대부분 개인 재정으로 충당되며, 보조금, 이자보전, 세제혜택 등 정부 재정지원은 투자 유인의 보조적 수단에 불과하다(김지효, 2014). 금융권 대출 등을 이용하지 않는 한 에너지효율 투자는 초단기에 큰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설사, 금융권 대출 등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비용 지불기간 보다는 편익 회수기간이 더 긴 편이다.

    20) 예컨대, 냉장고의 구입비용과 매달 소요되는 전기료 정보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토대로 순현재가치를 계산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20

    나. 위험 선호특성(Risk preference)

    경제주체의 위험 선호특성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설명은 Kahneman

    and Tversky(1979)가 제시한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이 대표적이다.

    Kahneman and Tversky(1979)는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람들의

    의사결정이 기대효용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의 일부 공리를 위반

    한다는 실험결과에 주목하였다. 사람들에게 확률()과 결과()가 각기

    다른 전망의 가상적 선택 상황을 제시하였을 때, 비교적 확실한 전망

    에 대한 확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부(wealth)의 증가에

    대해서는 위험기피적(risk averse)이지만 감소에 대해서는 위험추구적

    (risk seeking)인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은 기대효용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다.21)

    Kahneman and Tversky(1979)는 전망이론을 통해 기대효용이론으

    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전망

    이론은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편집(editing)과 평가

    (evaluation)의 2단계로 구분한다. 편집 단계에서는 평가와 대안 선택

    을 단순화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옵션들을 조직하고, 단순화하며, 재

    형성하는 과정이다. 편집 단계에서는 결과를 기준점(reference point)

    대비 손실인지 이득인지로 프레이밍하며, 경제주체들의 제한적 합리

    성이 개입되기도 한다. 기대효용이론에서는 최종적인 부의 크기에 따

    라 효용이 결정되지만, 전망이론에서는 부의 변화에 따라 이득과 손실

    로 프레이밍된다는 것이 중요한 차이이다.

    평가 단계에서는 대상이 되는 전망의 가치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전망의 가치는 식 ( -4)과 같다. 는 결과 에 대한 주관적 가치

    21) 자세한 설명은 Kahneman and Tversky(1979)의 p. 265-273을 참조한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21

    를 나타내는 가치함수(value function)이고, 는 결과 가 발생할

    확률 에 대한 가중함수(weighting function)이다. 는 기준점 대비 변

    화로 정의된다. 전망의 가치는 결과에 대한 주관적 가치와 그 결과가

    발생할 확률에 대한 가중치의 곱으로 표현된다.22) 기대효용이론은 위

    험에 대한 태도가 효용함수 형태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는 반면, 전

    망이론은 가치함수 형태 및 가중함수 형태 모두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본다. 또한, 기대효용이론은 라고 간주하는 반면, 전망이론은

    의 크기에 따라 ≠ 일 수 있다고 본다.

    식 ( -4)

    [그림 2-3]은 가치함수 와 가중함수 의 특징을 보여준다.

    는 이득에 대해서는 오목한 반면(″ for ), 손실에 대해서는 볼록하다(″ for ). 이득보다는 손실의 영역에서 가치함수 기울기가 더 크다는 것은 이득과 손실의 크기가 동일할 경

    우 이득으로 인해 증가한 가치 크기보다 손실로 인해 하락한 가치 크

    기가 더 큼( for )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 특징은 손실회피(loss -aversion)로 지칭된다.23)24) 는 작은 에 대해

    서는 확률 과대평가(overweighting) 및 저가산성(sub-additivity)이 나

    22) 전망이론에 따르면 기대효용 는 과 같다. 23) 현재에 발생하는 결과는 확실한 반면 미래에 발생하는 결과는 본질적으로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시간선호와 위험선호가 상호 연관될 가능성이 있다는 논의가 있었다(Frederick et al., 2002). 한편, Andreoni and Sprenger(2012)는 불확실한 결과들로 구성된 시점 간 선택의 경우 현재편향 성향이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 위험선호와 시간선호는 같지 않다고 논한 바 있다.

    24) Thaler(1980)는 무위험 선택상황으로 손실회피 성향을 확대하였다. 동일 재화에 대한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 to pay)이 지불보상액(WTA, Willingness to Accept)보다 낮은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22

    타난다는 특징을 갖는다.25) 또한, 는 불확실한 상보적 사건들의

    가중치 합을 확실한 사건의 가중치보다 작게 평가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for ). 실험으로 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사람들이 지극히 작은 확률과 매우 높은 확률은 편집해서

    이해하기 때문에 이들 구간에서 와 가 불일치하는 경향이 나타

    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Drichoutis and Lusk, 2012).

    가치함수 가중함수

    자료: 가치함수와 확률가중함수는 Kahneman and Tversky(1979)의 Figure 3과 Figure 4를 각각 인용

    [그림 2-3] 전망이론의 가치함수와 가중함수

    에너지효율 투자의 비용과 편익은 불확실하기 때문에, 에너지효율

    투자는 위험 존재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으로 모사될 수 있다. Allcott

    and Greenstone(2012)은 고효율기기 채택에는 관찰 불가능한 비용이

    수반된다고 보았다. 고효율기기 채택은 일종의 신기술 채택이므로 숙

    련비용이 소요되는데, 숙련비용의 크기는 채택 이전에 확실히 알 수

    25) 과대평가는 을, 저가산성은 for 이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23

    없다. 게다가 에너지효율 향상으로 인한 편익도 불확실하다(Farsi,

    2010; Greene, 2011). 효율 향상의 편익은 미래 에너지비용 절감액인

    데, 절감액 규모는 여러 이유로 인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에너지가

    격이 변동할 수 있고, 신기술 성과가 불확실할 수 있고, 에너지효율은

    비가시적인데다가, 제품수명도 확실히 파악할 수 없으며, 에너지효율

    과 절감액은 사용여건에 따라 매번 달라진다. 따라서 전망이론은 에너

    지효율 격차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전망이론을 적용해서 에너지효율 격차를 이해하고자 하는 선행연구

    들은 손실회피 성향에 주목하였다(Greene, 2011; Greene et al., 2013).

    Kahneman(2011)은 사람들이 편익에 비해 손실을 약 1.5~2.5배 크게

    평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경제주체가 위험 존재 상황에서 손실회피적

    이라면, 비용 대비 편익이 충분히 크지 않은 상황에서 에너지효율 향

    상을 위한 행동은 회피될 가능성이 크다(김지효 심성희, 2015). 손실

    회피 성향은 고효율기기 구입 등 에너지효율 투자 의사결정에서 중요

    한 역할을 한다(Greene et al., 2013). 손실회피 성향은 일견 부호효과

    와 유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부호효과는 시점 간 선택 시 비용을

    편익보다 더 많이 할인해서 인식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반면, 손실회피

    성향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손실 가치를 이득 가치보다 더

    크게 인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만약 부호효과와 손실회피 성향이 결

    합될 경우 사람들은 에너지효율 투자의 비용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

    에너지효율 격차를 확대하는 또 다른 문제는 편익 부분에서 발생하

    는 불확실성이다. 이는 편익 가 발생할 확률 의 가중함수인 와

    관련된다. [그림 2-3]에서 알 수 있듯이 가 어떤 값 이상으로 커지면

    의 관계가 성립한다. 를 분석한 선행연구는 가 0.3~0.4

  • 24

    미만인 사건에 대해서 는 보다 큰 값을 가지며, 그 이상의 에

    대해서 는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고 보고하고 있다.26) 예컨대,

    에너지효율 투자 편익이 의 확률로 , ( )의 확률로 의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가중함수 에 대해 과 가 과대평가

    되는 영역(domain)에 있는지 아니면 과소평가되는 영역에 있는지에

    따라 에너지효율 투자의 편익을 과대 또는 과소평가할 수 있다. 여기

    에 더하여, 편익의 과소 과대평가 여부는 가치함수 의 형태와도

    관련된다.

    위험기피가 에너지효율 격차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Hirst and Brown, 1990; Sutherland, 1991). 기대효용이론 관점에서

    볼 때 위험기피는 효용함수 의 형태와 관계되지만, 전망이론 관

    점에서 볼 때 위험기피는 및 의 형태 모두와 관련된다. 이

    득의 영역에서 볼 때에 는 볼록(convex)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효

    용함수 와 비슷한 형태를 가질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개개인의

    위험기피도는 심리적, 사회경제적 특성과 연관된다. 요하면, 위험에

    대한 개개인의 태도가 에너지효율 향상 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Weber et al., 2002).

    다. 사회적 선호특성(Social preference)

    사회적 선호는 의사결정 시 본인의 이익뿐만 아니라 다른 사회구성

    원들의 이익도 고려하는 선호를 나타낸다. 타인의 효용을 많이 고려하

    26) 선행연구는 을 가정하여 가중함수의 형태를 결정하는 을 추정한 결과, 이 약 0.5~0.7 수준이라고 도출하였다(Camerer and Ho, 1994; Tversky and Kahneman, 1992). 이 0.5~0.7 범위 내에 속한다면 확률이 30~40% 미만인 사건에 대해서는 이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25

    한다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압력에 더 크

    게 반응할 것이다(Meyerhoff and Liebe, 2006). Schwartz(1977)의 규

    범 활성화 모형(Norm Activation Model)에 따르면 도덕적 의무감이

    이타적 행동을 이끌어내는 원인 중 하나이다. Ajzen(1991)은 계획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서 대상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 인식이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 바 있다.

    계획행동이론에서 어떤 행동(behavior)을 수행하는 핵심요인은 의도

    (intention)이다([그림 2-4]). 어떤 행동을 수행하겠다는 의도가 강할수

    록 그 행동이 실행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의도는 대상 행동에 대한 태

    도(attitude toward the behavior),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행동

    통제 인식(perceived behavioral control)에 의해 영향 받는다. 대상행

    동에 대한 태도는 의사결정 주체가 대상 행동을 긍정적으로 또는 부

    정적으로 평가하는지를 가리킨다. 주관적 규범은 특정 행동을 수행해

    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의미한다. 행동통제 인식은

    대상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쉬운지 혹은 어려운지에 대한 의사결정

    주체의 인식을 의미한다. 비록 계획행동 이론은 학업, 습관, 투표 등에

    대한 행동의 유인을 설명하는 데 주로 적용되었으나, 금전적 결과가

    뒤따르는 행동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계획

    행동 이론은 친환경적 행동에 대한 개인별 차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토대로 자주 언급되었다(Frederiks et al., 2015).

  • 26

    [그림 2-4] 계획행동이론

    자료: Ajzen(1991)의 Fig.1 인용

    에너지소비는 개인의 의사결정이 본인의 효용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환경오염, 기후변화 문제 등 해로운 외부성을 유발하여

    타인의 효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해로운 외부성 유발에 대한 사회적

    규범을 고려하거나 타인의 효용이 본인의 효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의 경우, 이타심, 환경에 대한 태도 등의 비금전적인 요인이 에너지효

    율 향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너지효율 투자는 환경개

    선과 보건 향상이라는 긍정적 외부성을 수반하는데, 긍정적 외부성을

    얼마나 내부화하느냐에 따라 효율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Fischbacher et al., 2015). 환경보호와 기후변화 대응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27

    노력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행동이므로, 사회적 규범과 가치관을

    준수하려는 성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에너지효율 투자 및 에너지절약

    에 적극적일 가능성이 높다. Frederiks et al.(2015)은 개인의 가치관,

    태도, 신념, 동기, 의도 등이 에너지절약과 같은 친환경적 행동에 영향

    을 미친다고 논하였다.

    사회적 규범이 비교의 형태로 구현되면 개인행동에 효과적으로 영

    향을 미칠 수 있다. Festinger(1954)가 제시한 사회적 비교 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의 적합성을 다른 사람과

    의 비교를 통해 입증한다고 상정하였다(List and Price, 2013). 즉, 사

    회적 규범을 다른 사회 구성원 대비 어느 정도 준수하고 있는지 비교

    해서 보여주면 사회적 규범을 더 잘 준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어떤

    바람직한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을 하였을 때 효용이 저하되는

    경제주체의 경우 사회적 규범이 경제적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POWER의 HER(Home Energy Report)이 거둔 에너지 절약 성과

    는 사회적 규범을 자극하는 개입을 통해 개인행동을 변화시키는 대표

    적 예시라고 볼 수 있다.27) HER는 유사한 다른 이웃가구와 에너지소

    비량을 비교하는 서술적 규범(descriptive norm)과 에너지소비량 수준

    이 상대적으로 좋은지 나쁜지 판단하는 절대적 규범(injunctive norm)

    을 제시한다(Schultz et al., 2007; Allcott, 2011).28) Allcott(2011)은 미

    국 60만 가구의 전력소비 자료를 분석하여 HER이 평균적으로 전력소

    27) OPOWER의 HER에 대해서는 제3장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28) 서술적 규범은 어떤 행동이 다른 사회그룹에 의해 채택, 지지 또는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개인의 인지를 자극하는 것이고, 절대적 규범은 어떤 행동이 다른 사회그룹에 의해 승인될지 여부에 대한 개인의 인지를 자극하는 것이다(Frederiks et al., 2015).

  • 28

    비의 약 2%를 감소시켰음을 보인 바 있다. 심지어 사회적 규범을 자

    극하는 개입은 개입이 지속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장기적 효과를 보인

    다는 연구결과도 있다(Ferraro et al. 2011; Allcott and Rogers, 2014).29)

    3. 실증분석 선행연구

    본 절은 시간, 위험, 사회적 선호특성이 경제주체의 에너지절약 또는

    에너지효율 개선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선행연구를

    개관한다().

    시간 선호특성 위험 선호특성 사회적 선호특성

    주택 개 보수

    (효율 개선)

    Alberini et al.(2013)Fischbacher et al.

    (2015)

    Qiu et al.(2014)Fischbacher et al.

    (2015)

    Fischbacher et al. (2015)

    고효율기기

    구입

    Hausman(1979)Newell and

    Siikamäki(2014)Di Maria et al.(2010)

    Farsi(2010)Qiu et al.(2014)

    Ramos et al.(2016)Di Maria et al.(2010)

    에너지절약, 친환경 행동

    Richard and Green(2015)

    Allcott(2011)

    Allcott(2011)Ramos et al.(2016)

    List and Price(2013)최미경(2011)

    김순복 정순희(2014)

    실증분석 선행연구

    29) 사회적 규범을 자극하는 개입은 행동변화로부터 오는 비용과 소위 “감정세(emotional tax)”라고 불리는 비효용의 비용을 수반한다(Glaeser, 2006).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사회적 규범을 자극하는 개입은 기대하지 않았던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Costa and Khan(2013)은 보수적 성향을 가지는 사람들이 이러한 개입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논한 바 있다.

  • 제2장 에너지효율 격차 행동경제학적 접근 29

    Hausman(1979)은 에너지기기 구입과 사용에 대한 의사결정이 자본

    비용과 에너지비용 간 교환관계로 치환됨에 아마도 최초로 주목한 연

    구이다. 교환관계 성립을 보이기 위해 Hausman(1979)은 에너지기기

    구입과 사용에 대한 개인행동을 모사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에어컨 구입과 사용에 대한 미국의 시장조사 및 설문조사 자료를 사

    용하여 구축된 모형을 분석한 결과, 자본비용과 운영비용 간 교환관계

    가 실제로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개인의 에너지기기 구입 의사결정 시

    내재적 할인율은 시장 할인율보다 훨씬 높아 2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장 할인율을 기준으로 삼을 경우 고효율기기

    수요는 과대 추정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Hausman(1979) 이후, 많은

    학자들은 에너지효율 투자의 내재적 할인율 수준을 분석하여 사람들

    이 미래 에너지비용보다 초기 투자비용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