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12
ORIGINAL ARTICLE ISSN 1225-9330 (Print) | ISSN 2288-4955 (Online) J Korean Acad Nurs Adm (간호행정학회지) Vol. 26 No. 3, 262-273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262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여정 1 · 장해나 2 · 권정희 3 · 황진주 1 부산백병원 선임간호사 1 ,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소 조교수 2 , 부산백병원 차장 3 The Influenc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Activitie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Ambulatory Care Nurses Job Satisfaction Kim, Yeo Jung 1 · Jang, Haena 2 · Kwon, Jeong Hee 3 · Hwang, Jin Ju 1 1 Senior Nurs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2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Institute for Health Science Research, Inje University 3 Nurse Manager,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ambulatory care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evaluation survey of 129 nurses in one tertiary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s were: for importance, 3.18 out of 4, for performance, 2.24 out of 4,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2.92 out of 4, and for job satisfaction 2.77 out of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r=.37, p<.0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career, and age explained 47.0% of the job satisfaction of ambulatory care nurses (F=37.51, p<.001).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career, and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motivation program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would be useful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ambulatory care nurses. Additionally, 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professionals in both undergraduate curricula and clinical fields. Key Words: Nurses; Outpatient clinics, hospital; Task Performance and Analysis; Self concept; Job satisfaction 주요어: 간호사, 외래부서, 직무분석,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Corresponding author: Jang, Haena College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47392, Korea. Tel: +82-51-890-6716, Fax: +82-51-896-9840, E-mail: hnjang@inje.ac.kr Received: Jan 28, 2020 | Revised: Mar 4, 2020 | Accepted: Mar 20,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필요성 전통적인 급성기 치료 중심에서 질병 예방 중심의 접근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됨에 따라[1], 현대 보건의료 환경에서 외래 진료영역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다[2]. 외래부서는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대부분의 환자가 방문하는 주요 접점으로서 고객만족과 의료기관 재이용 의사에 큰 영향을 준 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3]. 외래부서는 매우 세분화된 전문분야별 진료가 동시에 수행 되는 곳으로 개별적이면서 상호 협력적인 팀워크가 요구되는 매우 복잡한 환경이다[4]. 또한 환자가 의료기관을 처음 방문하 는 통로가 되므로, 불확실한 원인을 가지고 내원하는 환자의 의 료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한정된 시간 안에 시행해야 하는 부담을 가진다.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 2020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Upload: others

Post on 16-Jul-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ORIGINAL ARTICLE ISSN 1225-9330 (Print) | ISSN 2288-4955 (Online)

J Korean Acad Nurs Adm (간호행정학회지) Vol. 26 No. 3, 262-273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262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여정 1 · 장해나 2 · 권정희 3 ·황진주 1

부산백병원 선임간호사1,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소 조교수2, 부산백병원 차장3

The Influenc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Activitie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Ambulatory Care Nurses’ Job Satisfaction

Kim, Yeo Jung1 · Jang, Haena2 · Kwon, Jeong Hee3 · Hwang, Jin Ju1

1Senior Nurs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2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 Institute for Health Science Research, Inje University

3Nurse Manager,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ambulatory care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evaluation survey of 129 nurses in one tertiary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s were: for importance, 3.18 out of 4, for performance, 2.24 out of 4,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2.92 out of 4, and for job satisfaction 2.77 out of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r=.37, p<.0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career, and age explained 47.0% of the job satisfaction of ambulatory care nurses (F=37.51, p<.001).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career, and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motivation program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would be useful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ambulatory care nurses. Additionally, 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professionals in both undergraduate curricula and clinical fields.

Key Words: Nurses; Outpatient clinics, hospital; Task Performance and Analysis; Self concept; Job satisfaction

주요어: 간호사, 외래부서, 직무분석,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Corresponding author: Jang, HaenaCollege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47392, Korea. Tel: +82-51-890-6716, Fax: +82-51-896-9840,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Jan 28, 2020 | Revised: Mar 4, 2020 | Accepted: Mar 20,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전통적인 급성기 치료 중심에서 질병 예방 중심의 접근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됨에 따라[1], 현대 보건의료 환경에서 외래

진료영역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다[2]. 외래부서는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대부분의 환자가 방문하는 주요

접점으로서 고객만족과 의료기관 재이용 의사에 큰 영향을 준

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3].

외래부서는 매우 세분화된 전문분야별 진료가 동시에 수행

되는 곳으로 개별적이면서 상호 협력적인 팀워크가 요구되는

매우 복잡한 환경이다[4]. 또한 환자가 의료기관을 처음 방문하

는 통로가 되므로, 불확실한 원인을 가지고 내원하는 환자의 의

료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한정된

시간 안에 시행해야 하는 부담을 가진다.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

ⓒ 2020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Page 2: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Vol. 26 No. 3, 2020 263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른 조치가 진료실과 검사실, 검사실 간, 수술실, 입원실 등의 다

양한 세부 부서와의 긴 한 협조를 통해 수행되어야 하며, 이때

마다 환자 진료와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공유해야 한다[4,5].

이러한 특수성이 있는 환경에서 외래간호사는 환자 간호와

조직 성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먼저 외

래간호사는 복합적인 정보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해석하고 근

거 기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

간호 역량을 향상하고, 환자와 그 가족이 최적의 건강을 유지

하고 증진하도록 돕는다[5,6]. 또한 외래간호사는 다학제간 팀

으로 함께 일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업무 조정을 통해 치료

의 이행 시점에서 치료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

라, 환자안전과 질을 향상하고 오류 재발생을 예방하고 불필요

한 재입원율을 감소시켜 조직의 비용 지출을 절감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5,6].

직무만족은 자신의 직무에 한 평가를 통해 얻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로서 직무의 어떤 측면에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7].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은 간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

게 하며 적극적 태도로 업무에 임하게 함으로써 환자간호의 질

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조직 생산성에도 영향을 준다[8]. 외래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외래부서의 성과에 직 ․ 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확

인하는 것이 필요하나 지금까지 국내 간호 연구에서 외래간호

사에게 초점을 두어 직무만족을 살펴본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

정이다.

외래부서 기능이 확 됨에 따라 외래간호사가 수행하는 업

무도 확 되고 있다. 외래간호사는 외래 통상업무와 치료 간호

외에도 환자교육과 상담, 환자옹호, 의사소통, 인력관리, 물품

과 환경관리, 정보관리, 질 향상 활동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조직구성원이 수행하는 업무는 개인과 조직

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직무에 한 중요도 인식은 조직구성원

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9]. 중요도 인식과 실제 수행도의

차이가 현격할 경우,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10], 외래간

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정도를 확인하고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에 한 선행연구는 주로 직무만족 정도를 조사하는

데 그쳤고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

족하였다[11]. 특히 외래간호 업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어 확인이 필요하다.

한편, 간호사의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사가 제공하는 실무와 교육, 환자 간호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12].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직에 한 인식과 태도를 말

하는 것으로 간호사가 전문직업인으로서 업무에 해 가지는

느낌과 견해를 의미한다[12].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

무만족의 관계에 한 선행연구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

사 직무만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3], 전

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14,15].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는 주로 입원 환자 간호를 수행하는 간

호사를 상으로 수행되었고, 외래간호사에 초점을 두어 전문

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지금까지 외래간호사 관련 국내 선행연구는 외래간호 업무

를 분석하거나[16-18], 외래간호 업무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11]가 일부 시행되었다. 그 외에도 외래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직무만족 등의 변수를 비교한 연구[19]와 외래

간호사의 감정노동에 한 연구[20]가 수행되었고, 최근 외래

간호사를 상으로 간호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한 연구가 수행

된 바 있다[3]. 하지만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

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을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

며, 특히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래간호사를 상으로 외래간호 업무 중요

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

고, 이들 요인이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여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관리 전략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한다.

외래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파

악한다.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

Page 3: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26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김여정 · 장해나 · 권정희 등

개념,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B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외래부서에서 근

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를 상으로 하였다. 외

래부서 근무경력 3개월 초과의 간호사를 상으로 하며, 외래

부서발령 3개월 이내의 간호사와 Physician Assistant (PA)는

제외하였다. 외래부서 근무경력이 3개월 이내인자를 제외한

이유는 외래 업무에 한 경험 부족으로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에 한 연구결과에 외생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A는 수행하는 업무 특성이 외래간호 업무와 차별성이 있어

제외하였다.

표본크기는 통계적 검정력 분석을 위한 G*Power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80% 검정력 수준에서 유의

수준 .05, 중간정도의 효과크기 .15, 예측변수 8개(업무중요도,

업무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일반특성 중 유의한 변수 5개 예

상)를 지정하였을 때 최소 109명이 요구되었고 탈락률 25%를

고려하여 총 137명을 연구 상으로 하였다. 효과크기는 유사

한 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할 수는 없으나 간호사를 상으로 간

호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한 메타분석 연구에서 상관계수

의 효과크기가 0.36으로 산출된 것을 참고하여[21], 중간 효과

크기로 산정하였다. 총 137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회수율

100%) 이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129부(94.2%)를 통

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연구도구

1)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Sung과 Park [22]이 개발한 외래간호행위 체크리스트를

Hwang 등[18]이 외래간호사의 전문직 간호업무 활동에 초점

을 두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자료수집 기관의 업무 현황을 고

려해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외래부서 근무경력이 5년 이

상이며, 외래부서 업무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 간호사 5인이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일차 검토하였고, 6명의 외래간호사를

상으로 예비실행을 시행하여 수정 ․ 보완하였다. 이 도구는 9

개 영역(외래 통상업무, 치료 간호, 환자교육/상담, 환자옹호,

의사소통, 인력관리, 물품/환경관리, 정보관리, 질 향상 활동),

총 6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리커트 4점 척도로 자가보고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는 각각 최

저 63점에서 최고 252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외래간호업무

활동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Hwang 등[18]은

전체 도구의 Cronbach’s ⍺는 .96로 제시하고 하위요인별 신

뢰도는 제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하위요인이 업

무 유형별 범주이므로 전체 문항의 신뢰도를 제시하는 것이 적

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하위요인별 신뢰도를 제시하였다. 외

래간호 업무 중요도는 외래 통상업무 0.85, 치료적간호 0.96, 환

자교육/상담 0.92, 환자옹호 0.81, 의사소통 0.90, 인력관리

0.82, 물품/환경관리 0.87, 정보관리 0.83, 질 향상 0.92였고, 외

래간호 업무 수행도의 Cronbach’s ⍺는 외래 통상업무 0.85,

치료적간호 0.79, 환자교육/상담 0.80, 환자옹호 0.73, 의사소

통 0.90, 인력관리 0.95, 물품/환경관리 0.82, 정보관리 0.58, 질

향상 0.41이었다.

2)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 [23]가 개발한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를 Sohng과 Noh [24]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 도구는 3개 하위영역, 총 27개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전문적 실무 영역은 융통성 7개 문항, 지도력 4개 문

항, 기술 5개 문항으로 총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소

통 영역은 4개 문항이며, 만족감 영역은 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커트 4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

렇다’(4점)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

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85

였으며, Sohng과 Noh [24]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85였

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86이었다.

3) 직무만족

직무만족은 Weiss 등[25]이 개발해 제공하는 미네소타 직

업만족도 한국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20개 문항으로 점수

범위는 최저 20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음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90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93이었다.

4. 자료수집 및 연구윤리

본 연구는 연구 상자의 권익 보호를 위하여 연구자 소속 기

관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쳐 승인(IRB

No: 2019-07-007)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

년 8월 19일부터 8월 25일이었다. 연구 상자에게 설문 참여에

Page 4: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Vol. 26 No. 3, 2020 265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앞서 연구목적 및 설문내용에 한 설명문을 제공하여 상자

가 연구참여를 원하지 않거나 중지를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참

여 거부의 의사를 밝힐 수 있고, 이에 따른 불이익 등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될 것이며 연구

목적으로만 이용될 것임을 알리고 연구참여에 한 서면동의

를 받았다. 연구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완성된 동의

서와 설문지는 각각 별도의 봉투에 담아 봉한 후, 부서 내 주

사실 한 곳에 두 개의 상자를 비치하여 동의서와 설문지를 분리

하여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조사 기간 후, 연구자가 방문

하여 직접 회수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

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자의 일반적 특성,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

아개념, 직무만족 정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

차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의 정규성 검정은 왜도와 첨도, Shapiro-Wilk

test를 이용하였다.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의 차이는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며,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외래간호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는 중요도-수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를 시행하였다.

상자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

만족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로 분석하였다.

상자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중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117명(90.7%)이었고, 연령은 30세

미만이 61명(47.3%)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32.2±7.5

세이었다(Table 1). 결혼상태는 미혼이 70명(54.3%)으로 많았

고, 종교는 무교가 77명(59.7%)으로 많았다. 최종학력은 학사

가 100명(77.5%)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학사가 19명(14.7%),

석사 이상이 10명(7.8%) 순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일반간호사

가 61명(47.3%)으로 가장 많았고, 주임간호사가 40명(31.0%)

이었으며, 선임간호사가 26명(20.2%), 과장이 2명(1.6%)이었

다. 임상경력은 1~5년 미만이 39명(30.2%), 5~10년 미만이 37

명(28.7%)으로 많았으며, 평균 임상경력은 9.68±7.78년이었

다. 외래부서 근무경력은 1~5년 미만이 55명(42.6%)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외래부서 근무경력은 6.04±5.61년이었다.

2. 대상자의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정도

외래간호 업무의 중요도-수행도는 각 항목의 X, Y 좌표를 평

면에 표시하고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을 분할선으로 사용

해 사분면으로 나누어 중요도와 수행도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제1사분면에 속하는 업무는 물품/환경관리, 외래

통상업무, 의사소통이었다. 이 영역은 외래간호사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실제 잘 수행하고 있는 업무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

는 특성이 있다. 제2사분면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아 가

장 먼저 관리가 필요한 영역으로, 환자교육/상담, 치료적 간호

가 이 영역에 위치하였다. 제3사분면은 중요성에 한 인식이

낮으면서 잘 수행되지 않는 영역으로 점진적으로 관리가 필요

한 업무를 의미한다. 이 영역에 환자옹호와 질 향상 활동이 위

치하였는데, 특히 질 향상 활동이 중요성, 수행도 모두 가장 낮

았다. 또한 외래간호사 업무 중 인력관리 항목은 제2사분면과

제3사분면의 경계에 위치하여 외래간호사가 중간 정도의 중

요성을 인식하면서, 수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제4사분면은 외래간호사가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지만

실제 잘 수행하고 있는 영역으로 정보관리가 이 영역에 위치하

였다.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는 전체영역 및 모든 하위영

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요도가 수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Table 2). 상자의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는 4점 만점

에 평균 3.18±0.51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물품/환경관리가

3.35±0.56점으로 가장 높았고, 외래 통상업무 3.27±0.48점, 의

사소통 3.25±0.59점 순으로 높았다. 질 향상 활동은 2.73±0.83

점으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환자옹호가 2.98±0.65점으로 낮

게 나타났다. 상자의 외래간호 업무 수행도는 4점 만점에 평

균 2.24±0.35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물품/환경관리가 2.96

±0.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 2.85±0.74점, 외래 통상업

무 2.73±0.52점 순으로 높았다. 반면, 질 향상 활동은 1.55±1.26

Page 5: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26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김여정 · 장해나 · 권정희 등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N=129)

Variables Categories n (%) M±SD Range

Gender FemaleMale

117 (90.7)12 (9.3)

Age (yr) <3030~<40≥40

61 (47.3) 43 (33.3) 25 (19.4)

32.2±7.5

Marital status UnmarriedMarried

70 (54.3) 59 (45.7)

Religion Christian/catholicBuddhismNo religion

21 (16.3) 31 (24.0) 77 (59.7)

Education level Bachelor (3 years)Bachelor (4 years)Master or higher

19 (14.7)100 (77.5)10 (7.8)

Job position Staff nurseCharge nurseSenior nurseManager nurse

61 (47.3) 40 (31.0) 26 (20.2) 2 (1.5)

Clinical career (yr) <11~<55~<1010~<15≥15

4 (3.1) 39 (30.2) 37 (28.7) 19 (14.7) 30 (23.3)

9.68±7.78

Outpatient department career (yr) <11~<55~<1010~<15≥15

18 (14.0) 55 (42.6) 24 (18.6) 20 (15.5)12 (9.3)

6.04±5.61

Importance/performance of ANAGeneral outpatient affairTherapeutic carePatient education/counsellingPatient advocacyCommunicationPersonnel managementSock/work environment managementInformation managementQuality improvement

3.18±0.513.27±0.483.19±0.803.17±0.662.98±0.653.25±0.593.10±0.853.35±0.563.05±0.692.73±0.83

2.24±0.352.73±0.521.61±0.442.18±0.572.24±0.632.85±0.741.70±0.812.96±0.732.44±0.711.55±1.26

1~41~41~41~41~41~41~41~41~41~4

Professional self-conceptProfessional practiceSatisfactionCommunication

2.92±0.312.99±0.352.67±0.533.14±0.31

1~41~41~41~4

Job satisfactionIntrinsicExtrinsic

2.77±0.562.85±0.572.58±0.63

1~51~51~5

ANA=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점으로 가장 낮았고, 치료적 간호 1.61±0.44점, 인력관리 1.70±

0.81점 순으로 낮았다.

하위영역별 외래간호 업무를 살펴보면, 외래 통상업무 영역

중 물품이송 및 수령(2.95±0.76)을 제외한 모든 업무에서 중요

도를 3.00점 이상으로 ‘중요함’ 또는 ‘매우 중요함’으로 응답하

였다. 치료적 간호 영역에서는 채뇨(2.86±1.09)를 제외한 업무

Page 6: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Vol. 26 No. 3, 2020 267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able 2.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N=129)

Categories/nursing activitiesImportance Performance

t pM±SD M±SD

Total 3.18±0.51 2.24±0.35 -22.40 <.001

General outpatient affair1. Reception2. Guidance3. Reservation4. Preparation for clinic5. Assistant for clinic6. Preparation for examination7. Assistant for treatment 8. Preparation for treatment9. Assistant for treatment

10. Patient transfer11. Material transfer & receipt12. Confirm13. Checking medical record14. Operational report15. Control of clinic schedule16. Recording17. Measurement18. Return lab./medication19. Arrangement

3.27±0.483.53±2.613.44±0.543.36±0.653.14±0.803.19±0.823.29±0.713.23±0.703.23±0.723.19±0.713.07±0.722.95±0.763.49±0.593.41±0.693.39±0.643.18±0.813.36±0.733.36±0.663.18±0.803.19±0.57

2.73±0.522.70±0.923.02±0.832.87±1.002.68±1.172.61±1.202.64±1.072.50±1.082.69±1.032.57±1.052.41±0.952.47±0.903.28±0.723.02±0.962.75±0.932.45±1.132.51±0.982.91±0.872.27±1.123.43±0.62

-12.62-3.60-6.28-6.40-5.08-6.37-7.09-8.40-6.36-7.26-7.83-6.46-3.48-4.85-8.67-8.51

-10.73-5.76

-10.193.96

<.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

Therapeutic care20. Transfusion21. Drug administration22. Anticancer drug administration23. Blood sampling24. Urine collection25. Management of catheter26. Care for day surgery patients27. Care for ambulatory surgery patients28. Lab. 29. Dressing30. Stitch out31. CPR32. Assessment

3.19±0.803.22±1.033.36±0.903.18±1.063.02±1.042.86±1.093.15±0.983.09±1.033.15±1.033.26±0.853.09±0.903.00±0.983.54±0.813.54±0.67

1.61±0.441.37±0.721.98±1.151.22±0.681.42±0.791.12±0.451.52±0.841.27±0.611.43±0.792.22±1.171.74±0.921.39±0.741.57±0.652.62±0.89

-20.30-17.64-12.92-18.83-15.09-17.26-16.33-18.34-16.77-9.77

-14.09-16.25-23.69-11.44

<.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

Patient education/counseling33. Group education34. Explanation of disease35. Explanation of operation36. Explanation of treatment37. Explanation of examination38. Self-care education39. Counseling of drug40. Health counseling

3.17±0.662.86±0.963.22±0.763.21±0.883.33±0.723.39±0.653.22±0.753.10±0.903.02±0.89

2.18±0.571.56±0.872.39±0.891.91±0.952.50±0.902.93±0.782.29±0.951.88±0.902.00±0.89

-16.88-14.96-9.76

-14.29-11.12-7.23

-11.31-14.28-12.06

<.001<.001<.001<.001<.001<.001<.001<.001<.001

Patient advocacy41.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42. Management patient's for economical/social supporting system43. Role of personnel for patient's right

2.98±0.653.29±0.652.86±0.852.81±0.79

2.24±0.632.91±0.641.88±0.881.91±0.82

-12.49-6.50

-11.32-12.32

<.001<.001<.001<.001

Communication44. Discuss with medical part45. Discuss with supporting part46. Solving patient problem47. Receiving visitors

3.25±0.593.32±0.603.19±0.713.39±0.633.11±0.72

2.85±0.742.95±0.792.62±0.963.01±0.772.84±0.86

-8.07-6.62-8.26-6.39-4.45

<.001<.001<.001<.001<.001

CPR=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Page 7: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26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김여정 · 장해나 · 권정희 등

Table 2.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Continued) (N=129)

Categories/nursing activitiesImportance Performance

t pM±SD M±SD

Personnel management48. Staffing49. Staff attendance management 50. Staff counselling51. Staff education52. Supervision & direction53. Meeting54. Education of new staff55. Morning meeting

3.10±0.853.10±0.933.05±0.903.09±0.893.14±0.863.13±0.873.02±0.843.19±0.853.09±2.78

1.70±0.811.48±0.931.55±0.981.50±0.881.80±1.001.80±1.031.71±0.891.80±0.961.95±0.99

-16.88-17.33-15.60-17.34-15.29-14.55-14.72-15.97-4.50

<.001<.001<.001<.001<.001<.001<.001<.001<.001

Stock/work environment56. Drug/supplies/linen management 57. Sterilized commodities management58. Environment management

3.35±0.563.28±0.713.38±0.643.40±0.55

2.96±0.732.84±0.922.84±0.923.19±0.67

-6.61-6.17-7.01-3.38

<.001<.001<.001<.001

Information management59. Patient statistics60. Paper work61. Prescription modification

3.05±0.693.02±0.793.03±0.773.10±0.84

2.44±0.712.45±0.952.57±0.952.31±0.99

-8.32-6.58-5.41-8.10

<.001<.001<.001<.001

Quality improvement62. Committee activity63. Quality improvement

2.73±0.832.71±0.902.76±0.83

1.55±1.261.36±0.721.73±2.14

-9.88-15.29-5.45

<.001<.001<.001

가 3.00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환자교육/상담 영역에서는

집단교육(2.86±0.96)을 제외한 업무를 중요하다고 응답하였

다. 환자옹호 영역에서는 심리적/정서적 지지(3.29±0.65)를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경제적/사회적 지지체계에 따른 자원

안내(2.86±0.85)와 변자 역할(2.81±0.79)에 해서는 그 중

요성을 상 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의사소통, 인력관리, 물

품/환경관리, 정보관리 영역 내 모든 활동을 3.00점 이상으로

중요성을 평가하였고, 질 향상 활동 영역에서는 제위원회 활동

(2.71±0.90)과 업무개선활동(QI활동)(2.76±0.83) 모두 그 중

요성을 상 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간호업무 수행도 3.00점 이상으로 ‘자주 수행’ 또는 ‘전적수

행’하는 업무는 외래 통상업무 영역에서는 안내(3.02±0.83),

확인(3.28±0.72), 차트점검(3.02±0.96), 정리/정돈(3.43±0.62)

이었고,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환자문제 해결(3.01±0.77)이었으

며 물품/환경관리 영역에서는 환경 관리(3.19±0.67)이었다.

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평균 2.92±0.31점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2.67±0.53점, 의사소통이 3.14±0.31점이었다(Table 1).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2.77±0.56점이었고, 하위요인

별로는 내재적 직무만족 2.85±0.57점, 외재적 직무만족 2.58±

0.63점이었다.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직무만족에 차이를 보인 상자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상

태, 직위, 임상경력이었다(Table 3). 남성과 여성 간에 직무만

족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2.51, p=.013), 남성이 여성

에 비해 직무만족이 높았다. 연령에 따른 상자의 직무만족은

30세 미만이 30~39세보다 높았다(F=6.00, p=.003). 결혼상태

에 따른 직무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45, p=.016), 미

혼이 기혼에 비해 직무만족이 높았다.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은

9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나(F=4.07, p=.019), 사후 분

석 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임상경력별로는 임상경

력 5년 미만인 경우, 10~15년 이상인 군에 비해 높은 직무만족

을 보였다(F=4.80, p=.003).

4.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의 관계

상자의 직무만족은 전문직 자아개념(r=.3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4). 직무만족과 외래간

호 업무 중요도(r=.01, p=.929), 수행도(r=-.05, p=.606) 간에

는 상관성이 없었으나,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4, p<.001).

Page 8: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Vol. 26 No. 3, 2020 269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able 3.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29)

Variables Categories M±SD t or F p Scheffe Gender Female

Male2.73±0.563.15±0.41

-2.51 .013

Age (yr) <30a

30~<40b

≥40c

2.94±0.532.58±0.552.71±0.53

6.00 .003 a>b

Marital status MarriedUnmarried

2.88±0.562.64±0.53

2.45 .016

Religion Christian/catholicBuddhismNo religion

2.84±0.592.66±0.512.80±0.57

0.83 .437

Education level Bachelor (3 years)Bachelor (4 years)Master or higher

2.75±0.532.79±0.562.62±0.62

0.45 .636

Job position Staff nurseCharge nurseSenior nurse/nurse manager

2.92±0.572.63±0.472.66±0.59

4.07 .019*

Clinical career (yr) <5a

5~<10b

10~<15c

≥15d

2.97±0.542.76±0.502.43±0.602.69±0.51

4.80 .003 a>c

Outpatient department career (yr)

<11~<55~<1010~<15≥15

2.93±0.572.86±0.612.65±0.412.57±0.532.74±0.53

1.69 .158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ost-hoc test.

Table 4.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N=129)

VariablesPerformance of ANA Importance of ANA PSC† Job satisfaction

r (p) r (p) r (p) r (p)

Performance of ANA 1

Importance of ANA .44 (<.001) 1

PSC .16 (.067) .03 (.715) 1

Job satisfaction -.05 (.606) .01 (.929) .37 (<.001) 1

ANA=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PSC=Professional self-concept.

5. 직무만족의 영향 요인

외래간호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

하여,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검정 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수인 성별, 연령, 결혼상태, 직위, 임상

경력 총 5개 일반적 특성 변수들과 상관분석에서 직무만족과 유

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전문직 자아개념의 3개 하위요인을 독립

변수로 투입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Table 5).

독립변수에 한 회귀분석의 가정에서 Durbin-Watson 통계

량은 2.22로 자기상관의 문제가 없었고, 공차한계(tolerance)

는 .89~.95였으며,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는 1.05~1.12로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었다. 회귀모형을 분석

한 결과,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직 자아개념의 만족감,

임상경력, 연령에 의해 47.0% 설명되었으며(F=37.51, p<.001),

전문직 자아개념의 만족감(β=.67, p<.001), 임상경력(β=-.31,

p<.001), 연령(β=-.22, p=.002)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27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김여정 · 장해나 · 권정희 등

Table 5.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N=129)

VariablesJob satisfaction

B SE β t p

(Constant) 1.07 .20 5.45 <.001

Professional self-concept: satisfaction 0.70 .07 .67 9.75 <.001

Clinical career (yr)* -0.39 .09 -.31 -4.41 <.001

Age (yr)* -0.25 .08 -.22 -3.23 .002

R2=.48, Adj. R2=.47, F=37.51, p<.001

*Dummy variables: Clinical career (reference=less than 1 year), Age (reference=less than 30).

논 의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수준을 조사하

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

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상자의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면,

상자의 외래간호 업무에 한 중요도 인식은 3.18±0.51점이

었고 수행도는 2.24±0.35점이었다. 이는 외래간호사 상의

연구에서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 평균 3.04±0.50점, 수행도 평

균 2.07±0.38점이었던 것보다는 약간 높은 결과이다[11]. 해당

연구에서는 외래간호사뿐 아니라 설명간호사, 전담간호사 등

외래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를 포함하여 조사한 반면, 본 연

구에서는 외래간호사만을 상으로 조사하여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가 상 적으로 높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 외래간호사가 인식하는 외래간호 업무 중

요도와 실제 수행하는 업무 간에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행도에 비해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를 야기할 수 있는 환자 비

간호사 인력비율, 업무 강도 등의 외부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

결과를 신중히 해석하는 것이 요구되며 간호 전문성이 요구되

는 업무의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간호 업무에 한 관리 전략을 모색하고

자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요도-수행도 분석은

자동차 산업에서 제품에 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해 마케팅 전

략을 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분석방법으로[10], 마케팅

분야를 넘어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문제 해결의 우선순위를 세

워 관리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교육과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분

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중요도-수행도 분석은 평균값과 매트릭

스를 사용하여 사분면의 구간별 분포를 확인하며 이를 통해 업

무 속성의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10].

외래간호사 업무를 중요도-수행도 분석한 결과, 물품/환경

관리, 외래 통상업무, 의사소통 영역은 중요하면서도 상 적으

로 잘 수행하고 있는 업무로 확인되었다. 이는 외래간호사를

상으로 연구한 Hwang 등[18]의 연구에서 의사소통, 물품/환

경관리, 정보관리가 높은 수행도를 보였고, Chung [11]의 연

구에서 의사소통이 가장 높은 수행도를 보였던 결과와 일부 유

사하다. 물품 및 환경관리의 경우, 의료기관 인증평가에서 감

염관리, 시설 및 환경관리를 평가 기준으로서 강조함에 따라 외

래 현장에서도 물품 및 환경관리 업무가 높은 수행도를 보인 것

으로 사료된다. 또한 동시에 다수의 환자를 상으로 세분화된

장소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하는 물품 및 장비

의 종류가 다양한 외래부서의 특성상, 효율적인 간호를 위해

외래간호사가 물품과 환경관리를 자주 수행하게 된 것으로 보

인다. 외래 통상업무의 수행도가 높았던 결과는, 해당 항목의

수행도가 높지 않았던 선행연구[11]의 결과와는 다르나, 외래

통상업무를 다른 업무에 비해 수행도가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18,21]와 외래 통상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이 1일 근무시간

중 42.6%로 가장 많다고 보고한 연구결과[16]와는 일치하는

것이다.

아울러, 외래부서는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를 시간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여러 보건의료 인력이 협업해야 하는 환경이므

로, 외래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

서 의사소통 활동은 외래간호사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수행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 평가도

구 개발 연구에서 역량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였을 때, 의

사소통 역량이 제1사분면에 위치하였던 것과 동일한 결과로

[3], 빠르게 변화하는 현 외래 간호현장에서 의사소통 역량

이 실제로 잘 발휘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환자교육/상담, 치료적 간호 영역은 중요도에 비해 상 적

으로 수행도가 낮은 활동으로 확인되었다. Yi 등[17]의 연구에

서 외래간호사의 업무의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조사하였을

Page 10: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Vol. 26 No. 3, 2020 271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때, 외래 환자 상담이 중요하면서 어렵지만 자주 수행하는 업무

로 나왔던 결과와 환자 교육 및 상담에 소요하는 시간이 22.7%

로 과거보다 증가하였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과이

다. 환자교육과 상담은 외래간호사의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업

무이며 고객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업무이므로, 외래

간호사가 환자교육과 상담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교육하고

실제 업무현장에서 환자교육과 상담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치료적 간호업무의 경우는 주사실

및 다양한 검사실에서 별도로 수행되고 있어 외래간호사 업무

에서는 낮게 수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환자옹호와 질 향상 활동 영역은 상 적으로 중요하지

않게 인식하며 잘 수행하지 않는 활동으로 확인되었다. 외래간

호사를 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1일 근무시간 중 환자옹호

업무(2.8%)와 업무개선 활동(1.5%)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고

보고한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16].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은 영

역은 관리에서 우선순위는 다소 낮으나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야 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하지만 환자안전과 질을 보장하기 위

해 외래부서에서도 환자옹호와 질 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에

도 불구하고, 상자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므로, 해당 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한다.

정보관리 영역은 중요성에 비해 높은 수행도를 보이는 업무

로 나타났는데, 외래간호 업무가 병원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거의 모든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정보관리 업무가

다빈도 수행항목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평균 2.92±0.31점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

로 한 연구에서 3.02±0.23점으로 나온 결과[13]와 비교하면 다

소 낮은 점수이다. 하지만 국내 임상간호사 상의 연구에서 전

문직 자아개념이 2.72±0.37점[14]이었고, 신장실 간호사 상

의 연구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이 2.73±0.27점[26]으로 보고된

것과 비교하면, 상 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보

인 것이다.

본 연구결과,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2.77±0.56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한 연구에

서 2.80±0.54점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낮은 결과이다[14]. 직무

만족은 내재적 직무만족과 외재적 직무만족으로 나뉜다. 내재

적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이 직무 그 자체에 해 느끼는 만족

감을 의미하며, 외재적 직무만족은 승진 가능성, 보수, 조직의 정

책, 근무환경 등 직무 외적인 요인에 한 만족을 의미하는 것으

로[27], 본 연구에서 외래간호사의 내재적 직무만족(2.85±0.57

점)이 외재적 직무만족(2.58±0.63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하기 위해 직무 외

적 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외래간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는 직무만

족과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외래간호 업무를 업무유형별로 구분하여 평가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의 내재적 요인에 해당하

는 것으로[27] 추후 연구에서는 직무특성 중 과업 중요성 외에

도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자율성, 피드백과 같은 다양한 직

무특성 요인을 포함하여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9].

본 연구에서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은 남성, 미혼, 연령이

낮고, 직위가 낮으며,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높았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총 임상경력

5년 미만의 간호사에 비해 10~15년차의 간호사들이 직무만족

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 결과는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의사

소통능력,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임상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없었던 것(F=477, p=.658)

과는 다른 결과이다[28]. 저년차 간호사에 비해 고년차 간호사

에게 업무에 한 과중한 책임이 부여되고 간호업무 외의 잡무,

성과향상 업무에 추가적인 시간을 할애하게 되고, 조직 내 상

호조화를 위해 간호사 간 조율하는 업무 등이 부가적으로 주어

지는 것이 상 적인 직무만족 저하와 연결될 수 있다[29]. 따라

서 외래간호사가 높은 직무만족을 가지고 장기근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고년차 간호사를 상으로 동기부여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지속적인 경력개발을 지원, 보상제도 강화 등

의 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직무만족을 향상하기 위한 관리전략으로 직무재설계

방법의 하나인 직무충실화를 고려할 수 있다. 직무충실화는 구

성원을 동기부여 하기 위해 직무가 요구하는 기술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직무를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하여 완성하게 하며 직

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자율성 부여하고 결과에 한 피

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구성원은 성취감과 만족감

을 느끼게 된다[30]. 본 연구에서 질 향상 활동은 중요성과 수행

도 모두 낮게 나왔는데, 외래간호사가 직접 참여하는 질 향상

활동을 통해 외래간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하여 실제 개선으로 이어지는 경험을 하도록 이끌고, 그 성

과에 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외래간호사에게 자율성과 권

한을 부여하여 동기부여하는 하나의 전략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 외래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Page 11: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272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김여정 · 장해나 · 권정희 등

전문직 자아개념이 가장 강한 영향요인이라 보고한 연구결과

와 동일하다[13]. 현 보건의료 환경에서 질병 예방과 관리가

중요해지면서 외래간호 영역은 크게 확 되고 있다[3]. 외래간

호 분야는 한정된 시간 동안 예측하기 어려운 고객의 요구를 충

족해야 하는 특성이 있는 독자적 전문성을 가진 영역이다. 하지

만 실제 실무현장에서 외래간호사는 환자의 끝도 없는 요구에

친절, 서비스의 수준을 고민하게 되고, 간호전문직 정체성에

해 반복적으로 자문하는 과정을 거쳐 조정, 절충, 해결의 역

할을 외래간호사의 중요 업무로 인식하게 된다[20]. 외래간호

사로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초기에 정립할 수 있도록 학부 교육

과정에서부터 외래간호 업무의 특성과 외래간호사의 역할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현장에서도

외래간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외래간호사가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바를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동기부여 전

략으로 요구된다.

이상을 종합해 간호 관리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외래간호

업무 중 집중개선 영역으로 확인된 환자교육/상담에 해 외

래간호사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

원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외래간호사 직무

만족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임상경력을 고려한 동기부여 프

로그램을 도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하기 위해

외래간호사를 상으로 직무충실화, 직무재설계 등의 조직 차

원의 경력개발 관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를 동시에 비

교, 분석하여 체계적인 관리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였고,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전문직 자아개념이 영향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라는 한정된 인

원을 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신중

해야 한다. 또한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에 한 최신 선행연구

부족으로 연구결과를 직접 비교하는 데 제한이 있었으므로, 외

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그 영향요인에 해 지속해서 검증하

는 것이 요구된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전문직 자아개념의 만족감과 임상경력이 외

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

과를 근거로 하여 향후 간호교육과 실무현장에서 외래간호사

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한 중재가 제공되어야 하며,

고년차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유지, 향상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경력개발

및 보상제도를 강화하여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하기

위한 관리 전략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경력

을 토 로 임상경력별 전문직 자아개념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를 포

함한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1. Shaffer K, Swan BA, Bouchaud M. Designing a new model for

clinical education: An innovative approach. Nurse Educator.

2018;43(3):145-148.

https://doi.org/10.1097/nne.0000000000000468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2016 National summary tables [Internet].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cited 2020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chs/data/ahcd/namcs_summary/

2016_namcs_web_tables.pdf

3. Min MJ, Yu SY. Developing of a tool for ambulatory care nurs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

istration. 2017;23(1):90-100.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1.90

4. Dean M, Oetzel J, Sklar DP. Communication in acute ambula-

tory care. Academic Medicine. 2014;89(12):1617-1622.

https://doi.org/10.1097/ACM.0000000000000396

5. Mastal MF, BordHoffman MA, Futch C, Harden L, Jessie A,

Levine J, et al.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position paper: The role of the registered nurse in ambulatory

care [Internet]. Pitman, NJ: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2017 [cited 2019 December 17]. Available from:

https://www.aaacn.org/sites/default/files/documents/Posi

tionPaper.pdf

6. Laughlin CB, Witwer SG. Core curriculum for ambulatory care

nursing. 4th ed. Pitman, NJ: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2019. p. 393-413.

7. Locke EA. What i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969;4(4):309-336.

https://doi.org/10.1016/0030-5073(69)90013-0

8.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Sochalski J, Silber JH. Hos-

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

Page 12: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 ... · 2020-07-03 ·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전문직 실무가 2.99±0.35점, 만족감이

Vol. 26 No. 3, 2020 273

외래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tion. 2002;288(16):1987-1993.

https://doi.org/10.1001/jama.288.16.1987

9. Hackman JR, Oldham G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5;60(2):159-170.

https://doi.org/10.1037/h0076546

10.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

nal of Marketing. 1977;41(1):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11. Chung YI. A study on the performance, the importance, and

the job satisfaction of 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12. Randle J, Arthur 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2-2006.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24(3):60-64.

13. Choi J, Park HJ.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in school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15:37-44.

14. Park EJ, Han JY, Jo NY.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

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6;27

(1):191-201. https://doi.org/10.7465/jkdi.2016.27.1.191

15. Sung MH, Kim YA, Ha MJ.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4):547-555.

16. Lee SY. Analysis of outpatients' nursing works [master's the-

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17. Yi YJ, Cho KS, Park YS, Lim NY, Kim DO, Kwon SB, et al.

Analysis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nurses'

job in outpatient de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

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2):232-241.

18. Hwang HY, Park JH, Kim JS, Chen IS, Kim MS, Bae KO, et al.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

ministration. 2007;13(1):109-117.

19. Kim JH, Jo HS.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satisfac-

tion between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Korean Jour-

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83-92.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83

20. Song MR, Park KJ.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

tory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

ministration. 2011;17(4):451-46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51

21. Chung HJ, Ahn S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

ture and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nurses: A meta-anal-

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25(3):157-166.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3.157

22. Sung YH, Park JS.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in ambulatory

units of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1):5-18.

23. Arthur D. Measure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

ses: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Nurse Education

Today. 1995;15(5):328-335.

https://doi.org/10.1016/s0260-6917(95)80004-2

24. Sohng KY, Noh CH.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6;26(1):94-106.

https://doi.org/10.4040/jnas.1996.26.1.94

25. Weiss DJ, Dawis RV, England GW, Lofquist LH.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apolis: Work

Adjustment Project, Industrial Relations Center, University of

Minnesota; 1967.

26. Choi EY, Kim GH.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nephrolog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0;12(3):345-355.

27. Timothy JA, Ryan K.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In: Eid M, Larsen RJ, editor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NY: Guilford Press; 2008. p. 393-413.

28. Lee AK, Yeo JY, Jung SW, Byun SS. Relations on communica-

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299-30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29. Baek HC, Yoon MR, Kim IA, Im J, Choi KO, Hong EY. A re-

search on the nurses' occupational stress evaluation system,

Research report. Uls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8 November. Report No.: 2018-연구원-821

30. Hackman JR, Oldham GR.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976;16:250-279.

https://doi.org/10.1016/0030-5073(76)900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