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

Post on 25-May-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지원구분

재진입대학규모

지방(대형)

『2018년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사업계획서

2018. 8.

『2018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사업계획서

지원 구분 지방 대학 규모 대형

사 업 명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대 학 명 계명대학교

사업총괄책임자

소 속자연과학대학화학전공

직 위 교육혁신처장

성 명 정진갑 휴대폰번호 010-4408-5535

사무실번호 053-580-6760E-mail chinkap@gw.kmu.ac.kr

FAX번호 053-580-6765

4차년도 사업기간

2018. 3. 1. ~ 2019. 2. 28.(12개월)

4차년도 사업비

1,868,000,000원

2018년 8월 24일

계명대학교 총장 신 일 희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귀하

user
텍스트 상자
user
텍스트 상자
user
텍스트 상자
user
텍스트 상자
user
텍스트 상자
user
텍스트 상자
user
텍스트 상자

【사업 요약】 ··································································································· 1

Ⅰ. 대학의 목표 및 비전 ············································································· 4

1.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 ···································································· 4

2. 대학 교육의 목표 및 인재상 ······························································· 5

3. 1, 2, 3차년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 추진을 통한 문제점 분석 ····· 6

Ⅱ. 4차년도 학부교육 발전 계획 ······························································· 16

1. 전체 계획의 체계성 ············································································ 16

1-1. 목표의 현실적 구체성 및 타당성 ··············································· 16

1-2. 전체 계획의 유기적·총제적 정합성 ············································ 18

1-3. 성과지표 및 성과관리 체계의 적절성·타당성 ···························· 19

1-4. 확산 및 지속 가능성 ··································································· 21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계획 ····························································· 23

2-1. 교양 교육과정 계획 ····································································· 23

2-2. 전공 교육과정 계획 ····································································· 30

2-3. 비교과 교육과정 계획 ································································· 34

3. 교육지원 시스템 구축 및 개선 계획 ················································· 39

3-1. 학사구조 등 학사제도 개선 ························································ 39

3-2. 학생지도 내실화 계획 ································································· 45

3-3. 교수-학습 지원 체계 개선 계획 ·················································· 53

3-4.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개선 계획 ················································· 60

3-5. 학부교육 여건 개선 계획 ···························································· 67

4. 4차년도 사업비 투자 계획표 ····························································· 70

Ⅲ. 4차년도 사업 관리 및 운영 ································································· 761. 사업 추진 체계 ··················································································· 76

2. 사업추진 절차 및 기준 ······································································ 80

Ⅳ. 성과관리 계획 ······················································································ 82

Ⅴ. 첨부자료 ······························································································· 94

목 차

<표 Ⅰ-1-1> 계명인재상에 따른 8대 핵심역량 ······················································6

<표 Ⅱ-1-1> 핵심 성과지표의 적절성 및 타당성 ················································20

<표 Ⅱ-1-2> 사업군 별 자율 성과지표의 적절성 및 타당성 ······························20

<표 Ⅱ-3-1> 융복합 교육과정 개설 현황 ·····························································41

<표 Ⅱ-3-2> 교양 교육과정 개선 방안 ·································································42

<표 Ⅱ-3-3>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5단계 ················································54

표목차

[그림 Ⅰ-1-1]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과정 ··················································4

[그림 Ⅰ-1-2] ACE+ 1주기 실적 및 2주기 목표 ····················································4

[그림 Ⅰ-1-3] 교육이념과 계명인재상 ····································································5

[그림 Ⅱ-1-1] 계명대학교 2주기 ACE+++사업 목표 ·················································16

[그림 Ⅱ-1-2] 대학 발전과 사업계획과의 연계성 및 실현 가능성 ·····················19

[그림 Ⅱ-1-3] 성과관리 및 지원체계 ····································································21

[그림 Ⅱ-1-4] 성과확산 및 지속 가능성 ······························································21

[그림 Ⅱ-2-1] 교양교육 전담기구 조직도 ····························································24

[그림 Ⅱ-2-2] 계명 글로벌 시티즌 프로그램 체계도 ···········································25

[그림 Ⅱ-2-3] 독서교육 강화 ················································································26

[그림 Ⅱ-2-4] 교과목 연계를 통한 비교과 교육과정 활성화 ······························36

[그림 Ⅱ-3-1] 대학 및 학사조직 간의 교육목표 연계성 ·····································40

[그림 Ⅱ-3-2] 교양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운영 ·······················40

[그림 Ⅱ-3-3] 전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운영 ·······················41

[그림 Ⅱ-3-4] 교양교과목 신설‧폐지 절차 ····························································42

[그림 Ⅱ-3-5] 지능형 One-Stop 학생상담 체계 구축 ··········································47

[그림 Ⅱ-3-6] 지능형 One-Stop 상담시스템 ························································48

[그림 Ⅱ-3-7] 대학생 생애단계별 지도체계 구축 ················································49

[그림 Ⅱ-3-8] 교원 경력/계열별 역량강화 프로그램 ···········································55

[그림 Ⅱ-3-9] Teaching Frontier 활용 및 교수역량 강화 방안 ··························58

[그림 Ⅱ-3-10] Learning Frontier 양성 방안 ·······················································59

[그림 Ⅱ-3-11]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환경 확산 ·················59

[그림 Ⅱ-3-12] 역량기반 우수 인재 선발을 위한 K-STAR 인증제 ·····················62

[그림 Ⅲ-1-1] 사업 추진 체계도 ···········································································76

그림

목차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1

계명대학교

【사업 요약】

사 업 명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사업목적

◯ 계명인재상인 창의적 국제인(Creative Global Citizen) 양성을 위한 대학

차원의 역량 제고

◯ 대학교육의 이해 당사자인 기업을 포함한 사회 전반의 소명에 부응

◯ 영역허물기를 통한 교양과 전공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혁신과 교육지원

시스템의 선진화

◯ 교양교육대학을 Tabula Rasa College로 확대 개편하고 인성교육, 소통

교육, 융합교육 중심의 교양교육 강화

◯ 교육혁신처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플랫폼 강화, 인증제 내실화 및 교육

선순환 체계 강화,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적 운영을 축으로 지속가능한

교수학습체제 확립

◯ 1주기 ACE사업을 통해 마련한 교수-학습 관련 조직, 프로그램, 시스템,

질 관리 체계 등 교수-학습 플랫폼 ‘계명: 에듀「K」션’을 국내 대학은

물론 해외 자매대학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공유·확산

총 사업내용

◯ 인성, 소통, 융합 중심의 교양교육 모델 확산

◯ 전공 간 영역허물기를 통한 글로벌 특화인재 양성

◯ 공동체 기반의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를 위한 영역허물기

◯ 수요자 중심의 학사구조개혁으로 학제 간 영역허물기

◯ One-Stop 상담 체제 고도화를 통한 생애 단계별 맞춤형 학생지도

◯ 교수-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계명: 에듀「K」션’체제 고도화 및 확산

◯ 선진화된 교육의 질 관리 모델 장착 및 확산

4차년도

사업계획

◯ 교양 교육과정 개선

- Tabula Rasa College로 확대 개편을 통한 인성, 소통, 융합 교육 강화

- 계명인성교육원을 통해 인재상에 부합하는 계명 글로벌 시티즌 프로그램 운영

◯ 전공 교육과정 개선

- 수요자 중심의 전공 교육과정 개발 및 계열 교차 이수를 통한 융복합

교육 확대

- 현지학기, 전공 글로벌 체험학습 등 국제적 문화감각 제고 프로그램 운영

◯ 비교과 교육과정 개선

- 활동 공모형 K-Circle, 계명 Culture Tour 등 1주기 우수 비교과 교육

과정의 지속 운영

◯ 학사구조 등 학사제도 개선

- 융복합 교육 강화를 위한 학부 및 타전공 이수학점 체계 정비

- 창업현장실습, 인턴십 등 현장실무능력 강화 교육과정 운영

◯ 학생지도 내실화

-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코너를 통한 학습, 진로, 심리 연계 통합

서비스 제공

◯ 교수-학습 지원 체계 개선

- Teaching/Learning Frontier 양성을 위한 교수,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고도화

- 계명 교수-학습 플랫폼 타대학 확산을 위한 컨설팅단 운영

◯ 교육의 질 관리(평가, 환류) 체계 개선

-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진단분석, 역량관리, 환류의 질 관리 체계 안정화

- FACE 인재상 기반 K-STAR 인증제 시행

계명대학교

2

계명대학교

4차년도 세부사업

예산집행계획

세부사업4차년도

국고지원금(원)3차년도

이월금(원)비율(%)

① 교양 교육과정 개선 411,680,000 43,150,000 23.5

② 전공 교육과정 개선 69,950,000 0 3.6

③ 비교과 교육과정 개선 643,100,000 12,000,000 33.8

④ 학사구조 등 학사제도 개선 2,000,000 0 0.1

⑤ 학생지도 내실화 113,050,000 0 5.8

⑥ 교수-학습 지원 체계 개선 312,250,000 6,500,000 16.5

⑦ 교육의 질관리(평가, 환류) 체계 개선 164,510,000 0 8.5

사업 관리 및 운영 151,460,000 6,851,427 8.2

합 계 1,868,000,000 68,501,427 100

4차년도목표 성과

핵심 성과지표

지표명 단위 기준값 달성 목표값

① FACE 역량지수 점50

(1차년도 T값)53

② 교육만족도지수 점 58.7 59.1

③ 계명: 에듀「K」션 확산건수(누적건수)

건 22 178

자율성과지표

① 계명인성교육심화 프로그램 이수자 수

명 200 675

② 글로벌 특화 인재지수 점44.2

(1차년도값)46.9

③ 재학생 사회봉사 참여율 % 9.2 10.0

④ 영역허물기 교육과정 운영건수

건 70 100

⑤ One-Stop 학생상담건수 건 17,900 18,700

⑥ 교수역량향상지수 점 150.1 162.1

⑦ KNOCK 온라인 강의자료 공개비율

% 65.3 136.3

정성적 성과

◦ 입시경쟁률, 재학생 확보율, 취업률 유지 혹은 상승 기대

◦ 계명인재역량관리시스템(COMpass K), e-러닝포트폴리오 등을 통한 재학

생들의 체계적인 역량 관리

◦ 우리 대학교의 학부교육선도 모델 정착 및 교내외 확산

◦ 체계적인 교육성과 관리 및 환류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3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4

계명대학교

대학의 목표 및 비전Ⅰ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1

◉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지역과 세계를 향해 빛을 여는 교육중심대학’을 목표로 지역소재대학의 한계를

탈피하고 뚜렷한 자기 얼굴을 가진 대학 추구

❒ 교육 환경의 대내외 변화에 맞춘 주기적인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및

실천

[그림 Ⅰ-1-1]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과정

❒ ACE 1주기에 ‘우리의 얼굴’을 찾는 기반을 마련했고, 2주기에 질적 제고 및

강화, 영역허물기와 확산으로 ‘빛을 여는 교육중심대학’ 완성 추구

[그림 Ⅰ-1-2] ACE+ 1주기 실적 및 2주기 목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5

계명대학교

대학 교육의 목표 및 인재상2

◉ 교육이념과 계명인재상

❒ 기독교 선교사들의 개척정신과 봉사정신으로 설립된 우리 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나라를 위하여’를 교육이념으로 제정

❒ 우리 대학교의 교육목표가 추구하는 계명인재상은 창의적 국제인(Creative

Global Citizen)으로 네 가지 특성인 도전적 개척정신(Frontiership), 윤리적 봉

사정신(Altruism), 국제적 문화감각(Culture), 창의적 전문성(Expertise), 즉

‘FACE(얼굴)’를 갖춘 전인적 지도자를 의미

❒ 계명인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8대 핵심역량 설정

[그림 Ⅰ-1-3] 교육이념과 계명인재상

계명대학교

6

계명대학교

특성 핵심역량 정의

F

도전정신동기와 열정을 가지고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노력하며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

환경적응역량목표달성을 위해 자신을 탐색하고 통제하며 새로운 환경에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적응할 수 있는 역량

A

감성역량타인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관리할 수 있는 역량

윤리적 가치관사회구성원으로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책임감있게 봉사하고자 하는 태도

C

외국어구사능력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역량

문화적 포용력다양한 문화 체험을 통해 다문화사회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있는 역량

E

종합적전문지식

전공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교양, 외국어 및 컴퓨터 관련 지식을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

문제 해결능력문제를 창의적으로 분석, 통합하고 자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역량

<표 Ⅰ-1-1> 계명인재상에 따른 8대 핵심역량

1, 2, 3차년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 추진을 통한 문제점 분석3

◉ 1 ~ 3차년도 주요 추진 실적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교양교육과정개선

타불라라사칼리지의역할확대

Ÿ 교양 교육과정 선진화사업 추진위 구성/운영

Ÿ 교양교육과정 평가지표 및 학생/교수용설문문항 개발

Ÿ 계명 토론대회 31팀(93명)

Ÿ 생활영어 프레젠테이션경연대회(KEMMY) 2회(60명)

Ÿ 국어·영어 첨삭지도(1,121명)

Ÿ 국어·영어 튜터 사례발표 및 간담회(2회)

Ÿ 에세이 공모전(222명)Ÿ 말하기 코칭(37명)Ÿ 수필특강 및 백일장(63명)

Ÿ 교양 교육과정 선진화사업 추진위 구성/운영

Ÿ 타불라라사 칼리지선포기념 교양교육심포지엄(교내외 318명)

Ÿ 계명 교양교육 팟캐스트 22종 8,433회다운로드

Ÿ 전국 대학생 토론대회35개교, 116팀(348명)

Ÿ 계명 토론대회 39팀(117명)

Ÿ 생활영어 프레젠테이션경연대회(KEMMY) 2회(총 60명)

Ÿ 국어·영어 면대면 첨삭(1,344명)

Ÿ 교양교육과정위원회및 교양교육 영역별운영위원회 운영

Ÿ 계명 교양교육 팟캐스트 12종 6,166회다운로드

Ÿ 전국 대학생 토론대회31개교, 104팀(312명)

Ÿ 계명 토론대회 19팀(57명)

Ÿ 생활영어 프레젠테이션경연대회(KEMMY)(총28명)

Ÿ 국어·영어 면대면 첨삭(1,776명)

Ÿ 아름다운캠퍼스공모전글쓰기, 그림, 사진,영상(88명)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7

계명대학교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교양교육과정개선

Ÿ ‘어미편, 의존명사편’교재 개발

Ÿ 영어 글쓰기 기초교재개발

Ÿ 국어·영어 튜터 가이드라인 2권

Ÿ 국어·영어 첨삭 사례집2권

Ÿ Writing & SpeakingClinic Program (90명)

Ÿ English Writing Contest(47명)

Ÿ 아름다운글쓰기, 그림,사진, 영상(350명)

Ÿ 인문학 글쓰기 코칭(51명) 및 연극체험을통한 글쓰기(20명)

Ÿ 인문콘텐츠 UCC대회(36명) 및 인문프레젠테이션 대회(39명)

Ÿ English Writing Contest(35명)

Ÿ 영어 프레젠테이션대회(18명)

Ÿ 영어 글쓰기 코칭프로그램(49명)

Ÿ 국어·영어 글쓰기 기초교재 발간

Ÿ 국어·영어 튜터 가이드라인 2권

Ÿ 국어·영어 첨삭 사례집2권

Ÿ 타불라라사 글쓰기대회(228명)

Ÿ 타불라라사 세미나(236명)

Ÿ 계명 국어·영어 스피치아카데미(162명)

Ÿ 연극체험을 통한 자기표현(50명)

Ÿ 책쓰기 프로젝트(27명)Ÿ 학문영역별 보고서쓰기 프로그램(15명)

Ÿ 인문학 영어 에세이쓰기대회(97명)

Ÿ 국어·영어 첨삭 사례집2권

인성교육심화

Ÿ 계명 글로벌 시티즌(135명)

Ÿ 타대학 공동 글로벌시티즌 38명(계명대:18명, 서울여대: 20명)

Ÿ 선비문화 체험 캠프(82명)

Ÿ 올바른 미래설계 체험캠프(30명)

Ÿ 전통 인문정신 체험캠프(29명)

Ÿ [진리]기독교 인성교육(13명)

Ÿ [정의]취업 융합형 인성교육(18명)

Ÿ [사랑1]동양전통 마음공부(51명)

Ÿ [사랑2]마음치유 인성교육(54명)

Ÿ 인성교육 프로젝트46팀(216명)

Ÿ 4개국 국외봉사활동4팀(127명)

Ÿ 공통교양 글로벌시티즌십(4,612명)

Ÿ 타 대학 공동 글로벌시티즌 78명 (계명대,서울여대, 동국대, 충남대)

Ÿ 나를알고세계로향하는인성강화 체험프로그램(144명)

Ÿ [진리-정의-사랑] 심화연수(207명)

Ÿ 인성교육 프로젝트30팀 (교수 30명, 재학생 142명)

Ÿ 인문학체험 인성교육프로젝트 15팀(54명)

Ÿ 인성교육 프로그램별평가회의 및 사전사후설문조사

Ÿ 계명 인성지수 연구및 개발

Ÿ 인성교육 심포지엄개최

Ÿ 3개국 국외봉사활동3팀(105명)

Ÿ 공통교양 글로벌시티즌십(3,242명)

Ÿ 타 대학 공동 글로벌시티즌(5개 대학, 145명)

Ÿ 나를알고세계로향하는인성강화 체험 프로그램(133명)

Ÿ [진리-정의-사랑] 심화연수(232명)

Ÿ 인성교육 프로젝트31팀 신청 24팀 운영(교수 24명, 재학생117명)

Ÿ 인문학체험 인성교육프로젝트 15팀(56명)

Ÿ 계명인성지수활용방안연구

Ÿ 재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길라잡이 연구

Ÿ 인성교육 심포지엄개최(221명)

Ÿ 전공별 인성교육 강연7회(727명)

Ÿ 4개국 국외봉사활동4팀(140명)

계명대학교

8

계명대학교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교양교육과정개선

독서교육강화

Ÿ 타불라라사 해제 및평가문항 개발 (25권/115권)

Ÿ 타불라라사 115 평가DB 구축 연구보고서

Ÿ 독서 퀴즈대회(115명)Ÿ 활동 공모형 K-Circle(독서토론클럽) 92팀(678명)

Ÿ 타불라라사 115 평가DB 구축

Ÿ 타불라라사해제및평가문항 개발(25권/115권)

Ÿ 독서 퀴즈대회 115팀(230명)

Ÿ 활동 공모형 K-Circle(독서토론클럽) 111팀(774명)

Ÿ 타불라라사 115 평가DB 운영

Ÿ 평가문항 개발(25권/115권)

Ÿ 독서 퀴즈대회(191명)Ÿ 활동 공모형 K-Circle(독서토론클럽)(111팀,755명)

전공교육과정개선

수요자중심의전공교육과정개발

Ÿ ‘생체모방기술’ 등융합형 전공교과목5과목 개발

Ÿ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운영

Ÿ ‘운동처방실험법’ 등현장실무형 교과목운영지원(14과목)

Ÿ 교육-연구 프로젝트(학생분야지원) 22팀활동

Ÿ ‘중남미 기업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이해’등융합형 전공교과목5과목 개발

Ÿ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 운영

Ÿ ‘뮤지컬의이해’ 등현장실무형 교과목운영지원(18과목)

Ÿ 교육-연구 프로젝트(학생분야지원) 60팀활동

Ÿ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비지니스’등 융합형전공교과목 5과목 개발

Ÿ 융복합 전공 교육과정관련 4개 대학 벤치마킹 시행

Ÿ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 운영

Ÿ ‘공연제작실습’ 등현장실무형 교과목운영지원(20과목)

Ÿ 교육-연구 프로젝트(학생분야지원) 30팀활동

Ÿ 책쓰기 프로젝트(호모스크립투스) 시행(27명참여)

국제적문화감각향상

Ÿ 일본 히로시마슈도대학 학생 7명 파견

Ÿ 미국기업 인턴 참가및 수료(10명)

Ÿ 계명 전공 글로벌체험학습 프로그램 4팀(40명) 참여(미국 및유럽지역)

Ÿ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등 3개국 학생 33명파견

Ÿ 미국기업 인턴 참가및 수료(8명)

Ÿ 계명 전공 글로벌체험학습 프로그램 5팀(50명) 참여(미국 및유럽지역)

Ÿ 콜롬비아 하베리아나대학교 등 2개국 학생19명 파견

Ÿ 미국과 이탈리아 기업현장실습 참가(19명)

Ÿ 계명 전공 글로벌체험학습 프로그램 4팀(40명) 참여

전공영역허물기

Ÿ ‘외국문학과대중매체’등 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운영지원(9과목)

Ÿ ‘에너지정책및법규 ’등 팀티칭 교과목운영지원(6과목)

Ÿ 활동 공모형 K-Circle(전공활용봉사) 운영지원(9팀)

Ÿ ‘건강바이오통계’ 등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4과목 운영지원

Ÿ ‘전자무역과웹비지니스’ 등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5과목)

Ÿ 활동 공모형 K-Circle(전공활용봉사) 운영지원(8팀)

Ÿ ‘커뮤니케이션데이터분석과활용’ 등 학부내 전공 공동교과목6과목 운영지원

Ÿ ‘모성간호학’ 등 팀티칭교과목 운영지원(3과목)

Ÿ 활동 공모형 K-Circle(전공활용봉사) 운영지원(장기 1팀, 단기18팀)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9

계명대학교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비교과교육과정개선

공동체의식확산

Ÿ 학생 공모를 통하여322팀(1,663명) 운영

Ÿ 학생공모를 통하여469팀(2,233명) 운영

Ÿ 학생공모를 통하여402팀(2,302명) 운영

자기주도적역량강화

Ÿ 계명 Challenge Together(13팀, 38명)

Ÿ 계명 Culture TourTogether Plus(168명)

Ÿ ACE 단기 집중 외국어캠프 (206명)

Ÿ 계명 Challenge Together(17팀, 45명)

Ÿ 계명 Culture TourTogether Plus(327명)

Ÿ ACE 단기 집중 외국어캠프 2회 실시(479명)

Ÿ 계명 Challenge Together(8팀, 19명)

Ÿ 계명 Culture TourTogether Plus(232명)

Ÿ ACE+ 단기집중 외국어캠프 2회 실시(475명)

교과연계및참여개방

Ÿ 취창업과자기계발교과목 개설

Ÿ 계명 Culture TourTogether Plus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민과타교 재학생 참여

Ÿ 취창업과자기계발홍보 강화

Ÿ 계명 Culture TourTogether Plus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민과타교 재학생 참여

Ÿ ACE사업 환류를 위한아이디어 공모전 실시

Ÿ ACE사업 환류를 위한학생 간담회 실시

Ÿ 취창업과자기계발홍보 강화

Ÿ 계명 Culture TourTogether Plus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민과타교 재학생 참여

Ÿ ACE+사업 환류를 위한학생 협의회 실시

학사구조 등학사제도개선

학문간소통을위한융복합교육중심의학사제도운영

Ÿ 융복합 교육과정 추진내용 연구

Ÿ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 6건 선정

Ÿ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 6회 수행

Ÿ 융복합 교육과정 추진내용 연구(교양, 전공)

Ÿ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 5건 선정

Ÿ 융합학문분야 복수이수학점 완화(부전공21→15학점, 복수전공42→33학점)

Ÿ 교양 및 전공 교육과정 개선 체계 구축

Ÿ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4회)

Ÿ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3회)

Ÿ 융복합 교과목 개발(5건)

Ÿ 학사위원회 8회 수행

학문영역및학제간영역허물기

Ÿ 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운영지원 9건선정

Ÿ 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운영지원 4건선정

Ÿ 사회수요 및 산업변화에 대응하고 인문역량 강화를 위한교양 교육과정 개선

Ÿ 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운영지원 6건선정

Ÿ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 3건 선정

수요자중심의교육과정개발및운영

Ÿ 대구·경북 대표기업및 대기업 대상 수요조사 실시: 202명,2016.1.11.∼2.5.

Ÿ 현장실무형 교과목18과목 운영지원

Ÿ 사회수요연계교육과정위원회 운영(총89개전공 중 82개 전공시행)

Ÿ 교육 수요자 조사를통한 융복합 전공교과목 개발 및 운영

Ÿ 기업체 맞춤형(채용조건부)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계명대학교

10

계명대학교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수요자중심의교육과정개발및운영

Ÿ 사회수요 및 산업변화에 대응하고 인문역량 강화를 위한교양 교육과정 개선

Ÿ 사회수요를 반영하여균형교양에 창업영역추가 및 과목 신설

학생지도내실화

찾아가는지능형학생상담체계구축

Ÿ 계명대학교 교원용학생상담 Tip 연구개발

Ÿ 상담매뉴얼 제작 및배포

Ÿ 지능형상담시스템기초단계인 6300 One-Stop학습컨설팅코너 홈페이지 구축

Ÿ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의 이용자 수증가

Ÿ 학업부진 문제 극복,자기주도적 학습역량강화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Ÿ 교원용 학생상담 교육동영상 제작

Ÿ 지능형 One-Stop 상담시스템의 연계 상담실시

Ÿ 신입생 대상 U&I 진로탐색검사 실시와 진로지도 시행(4,693명)

Ÿ 단대별 찾아가는 심리검사 실시와 해석(309명)

Ÿ 교육동영상을 통한교수의학생상담기법에대한 교육 실시(230명)

대학생생애단계에특화된지도체계구축

Ÿ 생애단계 특화 지도체계 구축

Ÿ 신입생 대상 적성탐색검사 실시와 해석(4,531명)

Ÿ 성적우수자 진로설계컨설팅 캠프 운영(41명)

Ÿ 성적부진학생 목표기반 자율형 학습 프로그램 운영(19명)

Ÿ 신입생 대상 적성탐색검사 실시, 해석, 추수지도 맞춤형 진로지도제공(4,655명)

Ÿ 복학생을 대상으로단절된 대학생활 적응과 사회진출을 위한학교적응 및 진로지도프로그램 제공(263명)

Ÿ 성적우수자 진로설계컨설팅 캠프운영(34명)

Ÿ 성적 부진자 목표기반자율형 학습 프로그램 운영(46명)

Ÿ 성적 우수자를 위한진로설계 컨설팅 캠프운영(36명)

Ÿ 학사경고자 및 학업부진학생을 위한 학업동기화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24명)

Ÿ Dream 설계 프로젝트진로발달 단계별 진로워크숍 실시(310명)

Ÿ Dream 설계 프로젝트수요자 맞춤형 진로집단상담 실시(58명)

Ÿ 생애주기별 목표기반의자율형 학습 프로그램운영(신입생 16명,복학생 11명, 재학생20명)

다면적학생멘토링(영역허물기)

Ÿ 홈페이지 구축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10팀, 21명)

Ÿ 교수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45명)

Ÿ 다면적 멘토링 운영(40명)

Ÿ 교수 상담코칭 워크숍2회, 집단상담 프로그램 1회 (74명)

Ÿ 직원과 졸업생을 포함한 다면적 멘토링운영(40명)

Ÿ 교수 상담코칭 프로그램 워크숍 4회 운영(139명)

Ÿ 소수집단(편입생, 장애학생, 유학생)을 위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11

계명대학교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멘토링 프로그램 시행(45명)

Ÿ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학교적응 프로그램운영(304명)

교수-학습지원체계개선

Teaching/

LearningFrontier양성

Ÿ 신임교원 역량강화(3명)Ÿ 경력/계열별 교수 역량강화 17회(762명 참여)

Ÿ 강의촬영 분석 및컨설팅(4건)

Ÿ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19건(우수사례 7건)

Ÿ e-러닝포트폴리오 개발89건(우수사례 12건)

Ÿ 교수학습역량 강화연구실시

Ÿ 기초학력증진 콘텐츠개발(15건)

Ÿ 학생 튜터링(76팀)Ÿ 학습리더양성 집중워크숍(30명)

Ÿ 신임교원 역량강화(11명)

Ÿ 경력/계열별 교수 역량강화 13회(670명)

Ÿ 외국인교원역량강화4회(51명)

Ÿ 강의촬영 분석 및컨설팅 (8건)

Ÿ e -티칭포트폴리오27건(우수사례 14건)

Ÿ e-러닝포트폴리오 개발172건(우수사례 30건)

Ÿ 계열/경력별 교원 역량강화 연구

Ÿ 학생 튜터링(156팀)Ÿ Learning Mate (10팀)Ÿ 학습리더양성 집중워크숍(29명)

Ÿ 신임교원 역량강화(18명)

Ÿ 경력/계열별교수역량강화 16회(1,088명)

Ÿ 외국인 교원 역량강화4회(48명), 시간강사를위한 교수법특강 4회(비전임 67명, 전임7명)

Ÿ e -티칭포트폴리오50건

Ÿ e-러닝포트폴리오 개발213건(우수사례 30건)

Ÿ 교수프로그램 효과성검증, 학습지원 프로그램 분석 및 체계구축 연구보고서 발행

Ÿ Learning Frontier 양성을 위한 LearningLicense 제도 구축

Ÿ 외국인 학생과 만학도를 위한 LearningMate(외국인 20팀,만학도 4팀)

Ÿ 학생 튜터링(159팀)Ÿ KCTL 학습컨설팅(개인32명, 집단 57명)

Ÿ 또래강사와 함께하는학습전략 프로그램(67명)

ActiveLearning교수-학습모델개발및환경확산

Ÿ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 20건 개발

Ÿ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 운영 사례21건 발굴

Ÿ MOOC, K-OCW 강의콘텐츠 활용수업 모델운영(20과목)

Ÿ Active Learning 교수법연구회(KTC) 12팀(60명)

Ÿ 강의 소개 동영상60건 제작

Ÿ Active Learning 교수-학습모델 개발 및운영(52건)운영사례 세미나 6회(159명)

Ÿ MOOC, K-OCW 강의콘텐츠 활용수업 모델운영(29과목)

Ÿ 공개강의콘텐츠 활용수업 운영 사례 세미나(2회, 64명)

Ÿ Active Learning 교수-학습모델 개발 및운영(53건)운영사례 세미나 6회(177명)

Ÿ MOOC, K-OCW 강의콘텐츠 활용수업 모델운영(22과목)

Ÿ 단과대학 맞춤형 프로그램지원 7회(274명)

Ÿ 찾아가는 학습법 4회(64명)

계명대학교

12

계명대학교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Ÿ 찾아가는 교수법 3회(105명)

Ÿ 찾아가는 학습법 2회(46명)

Ÿ Active Learning 교수법 연구회(KTC) 30팀(154명)

Ÿ 강의 소개 동영상83건

Ÿ 복습콘텐츠 8과목(127차시)

Ÿ 찾아가는 교수법 4회(76명)

Ÿ 찾아가는 학습법 4회(92명)

Ÿ 단과대학 교수 세미나,맞춤형 교수법 16회(735명)

계명교수-학습지원모델확산

Ÿ 타 대학에서 벤치마킹방문(26회), 외부 사례발표 (14회)

Ÿ 학술지 게재 1회Ÿ 교수-학습 플랫폼 확산워크숍 2회(170명)

Ÿ 타 대학 벤치마킹방문 8회

Ÿ 외부 사례 발표 22회Ÿ 학술지 게재 1회Ÿ 성과물 발송(5회),컨설팅(16건)

Ÿ 교수-학습 및 질 관리포럼 개최(51개 대학114명)

Ÿ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심포지엄 발표(107개 대학 347명)

Ÿ 외부강연 및 자료확산 요청 47건

교육의질 관리(평가,환류)체계개선

교수활동질관리전문화

Ÿ 강의만족도 조사Ÿ 온라인 강의자료 공개(909건)

Ÿ 교수교육역량 진단(316명)

Ÿ 강의만족도 100% 결과공개

Ÿ 온라인 강의자료 공개(1,282건)

Ÿ e -티칭포트폴리오개발 공모전(27명,14명 시상)

Ÿ 교수교육역량 진단(226명)

Ÿ 강의만족도 100% 결과공개

Ÿ 온라인 강의자료 공개(1,255건)

Ÿ e -티칭포트폴리오개발 지원 프로그램(50건)

Ÿ 교수교육역량 진단(259명)

학생활동질관리전문화

Ÿ 학생핵심역량 진단(5,418명)

Ÿ K-CESA 실시(50명)Ÿ K-NSSE 실시(651명)Ÿ 목표기반의 자율형학습 프로그램 실시(20명)

Ÿ COMpass K, e-LP,K-STAR 인증제 연계통합 운영

Ÿ K-STAR 인증 대상자선발(39명), K-STAR장학금 지급(31명,총 74,700,000원)

Ÿ K-STAR 인증제 이

Ÿ 학생핵심역량 진단(5,683명)

Ÿ K-CESA(50명)Ÿ K-NSSE(651명)Ÿ COMpass K, e-LP,K-STAR 인증제 연계통합 운영

Ÿ 목표기반의 자율형학습 프로그램 실시

Ÿ K-STAR 인증 대상자선발(52명), K-STAR장학금 지급(45명,총100,000,000원)

Ÿ K-STAR 인증제 이용자 교육(761명)

Ÿ 학생핵심역량 진단(6,778명)

Ÿ K-CESA(50명)Ÿ K-NSSE(379명)Ÿ K-NASEL(교수: 49명,학생: 1,987명)

Ÿ COMpass K, e-LP,K-STAR 인증제 연계통합 운영

Ÿ 목표기반의 자율형학습 프로그램 확대실시(47명)

Ÿ K-STAR 인증 대상자선발(49명), K-STAR장학금 지급(35명,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13

계명대학교

◉ 1 ~ 3차년도 사업추진을 통한 문제점 분석

사업군세부사업

주요 내용

1차년도(‘15.7.~’16.2.) 2차년도(‘16.3.~’17.2.) 3차년도(‘17.3.~’18.2.)

용자 교육(820명)Ÿ K-STAR 인증제 홍보행사(200명)

Ÿ K-STAR 리더십 프로그램(16명) 개최

Ÿ K-STAR 인증제 홍보행사

Ÿ K-STAR 리더십 프로그램(42명) 운영

총72,000,000원), FACE역량 우수자 선발(55명)및 장학금 신설 지급(총 27,500,000원)

Ÿ K-STAR 인증제 이용자 교육(2,145명)

Ÿ K-STAR 인증제 홍보행사(717명)

Ÿ K-STAR 리더십 프로그램(39명) 운영

질관리모델확산

Ÿ 교육만족도, 교외수요자 만족도 조사

Ÿ ACE 프로그램 만족도(2,123명)

Ÿ 외부 교육성과 확산실적(50건), 학부교육의성과 확산 및 질 관리포럼 개최(129명)

Ÿ 단위별 맞춤형 컨설팅실시(11개 부서, 106명)

Ÿ 교육만족도 지속적상승(62.6점)

Ÿ 교외수요자 만족도조사

Ÿ ACE 프로그램 만족도(13개)

Ÿ 단과대학·부서별 맞춤형 컨설팅(8개 부서,69명 참여)

Ÿ 외부 교육성과 확산(57건), 학부교육의성과 확산 및 질 관리포럼 개최(201명)

Ÿ 교육만족도 지속적상승(63.6점)

Ÿ 교외수요자 만족도조사 (졸업생 500명,기업체 인사 담당자200명, 고교교사 100명,학부모 300명)

Ÿ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47개)

Ÿ 단과대학, 부서, 사업단별 맞춤형 컨설팅(23개 부서, 121명참여)

Ÿ 외부 교육성과 확산(51건), 학부교육의성과 확산 및 질 관리포럼 개최(149명)

사업군 세부사업 문제점(보완점)

교양교육과정개선

타불라라사칼리지의역할 확대

Ÿ 타불라라사 칼리지 교양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종합적 연구실시

Ÿ 표현력증진센터의 프로그램 및 교양교육에 대한 수요자 요구반영 방안 모색

인성교육심화

Ÿ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환류 시스템 강화Ÿ 국외봉사활동의 국내봉사단체와 연계 및 교류를 통한 국외봉사활동 종료 후 지속적인 봉사활동 실시 및 관리

독서교육강화

Ÿ 개발한 해제를 학생들의 독서의욕 고취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모색

Ÿ 독서인증 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

전공교육과정개선

수요자 중심의전공교육과정

개발

Ÿ 융복합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연구 시행 및 제도 개선 노력필요

계명대학교

14

계명대학교

사업군 세부사업 문제점(보완점)

전공교육과정개선

국제적문화감각 향상

Ÿ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 확대 노력필요

전공영역허물기

Ÿ 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및 팀티칭 교과목 운영 지원 건수감소를 개선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필요

비교과교육과정개선

공동체 의식확산

Ÿ 학생들의 활동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K-Circle 운영 방식 필요

자기주도적역량강화

Ÿ 계명 Culture Tour Together Plus의 경우 학생들의 프로그램이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문화체험 프로그램 시간의 탄력적운영 필요

Ÿ ACE+ 단기 집중 외국어 캠프는 학생들의 참여 욕구가 큰 만큼보다 많은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교과 연계 및참여 개방

Ÿ 사업 환류를 위한 학생들의 참여 기회 및 범위 확대 필요

학사구조등

학사제도개선

학문간 소통을위한 융복합교육 중심의학사제도 운영

Ÿ 구성원들의 관심 고취와 더불어 융합교육 운영을 위한 다양한행정적 지원 필요

학문영역 및학제간

영역허물기

Ÿ 학부제 시행 전공의 경우 제1전공 이수학점 완화를 제도적보완

수요자중심의교육과정개발 및 운영

Ÿ 사회수요 및 교육수요 조사의 지속적 운영 필요Ÿ 전공 역량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필요

학생지도내실화

찾아가는지능형 학생상담체계 구축

Ÿ 지능형 One-Stop 상담시스템에서 각 부서 간 연계 상담 지속적확대 필요

Ÿ 진로탐색검사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지속적 실시 필요

대학생생애단계에특화된

지도체계 구축

Ÿ 적극적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찾아가는 진로 워크숍 실시필요

Ÿ 학업동기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를 위한 다면적인지원 필요

다면적 학생멘토링

(영역허물기)

Ÿ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교적응 프로그램을 중국외 다른 국가의유학생들에게도 실시 필요

Ÿ 다양한 분야의 멘토 네트워크 지속적 확대 필요

교수-학습지원체계개선

Teaching/Learning

Frontier 양성

Ÿ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 재정비 및 유형화 필요Ÿ 소수자 학생을 위한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확대 시행 필요Ÿ 학습자 수준, 특성 및 생애주기별 다차원적 학습지원 프로그램제공 필요

Active Learning교수-학습모델 개발 및환경 확산

Ÿ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이론에 따른 교수방법 적용 범위확대 및 체계 정비로 타 프로그램과 차별화되는 특화 프로그램으로 고도화 필요

Ÿ 수업 활용을 위해 MOOC, K-OCW 등에서 적합한 콘텐츠를선정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체제 구축 필요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15

계명대학교

사업군 세부사업 문제점(보완점)

교수-학습지원체계개선

계명 교수-학습지원 모델 확산

Ÿ 벤치마킹 희망 타 대학 및 기관에서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의체계화 필요

교육의 질관리(평가,환류)

체계 개선

교수활동 질관리 전문화

Ÿ 교수활동 질 관리를 위한 대학의 정책과 성과에 대한 학생들의인식 확대와 지지 확보를 위해 재학생 대상으로 교육성과 소통확대 필요

학생활동 질관리 전문화

Ÿ K-STAR 인증제 운영 내실화를 위해 인증 학생 대상 추수 관리강화 필요

질 관리 모델확산

Ÿ 데이터를 심층적,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학교육 정책 구현에따른 중장기적 발전방안 제안, 교육목표 달성에 요구되는컨설팅 방안과 현안을 선제적으로 제안할 필요 있음

계명대학교

16

계명대학교

4차년도 학부교육 발전 계획Ⅱ

전체 계획의 체계성1

목표의 현실적 구체성 및 타당성1-1

◉ 대학의 인재상, 교육목표, 그리고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사업목표 설정

❒ 비전, 인재상 및 교육목표

⚫ 우리 대학교의 비전은 ‘지역과 세계를 향해 빛을 여는 교육중심대학’이므로

사업목표에 대표적 사업성과 확산 반영

⚫ 우리 대학교의 교육목표에서 구현하고자하는 ‘창의적 전문가’, ‘윤리적 지성인’,

‘전인적 지도자’를 반영한 계명의 인재상은 ‘창의적 국제인’

⚫ 계명의 인재상에 필요한 8대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과 교육

지원시스템 선진화 필요

⚫ 교육과정과 교육지원시스템의 7개 세부사업에 대해 세부사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내용을 종합하여 전체의 사업목표를 설정

[그림 Ⅱ-1-1] 계명대학교 2주기 ACE+사업 목표

❒ 사업목표

⚫ 계명인재상인 ‘창의적 국제인(Creative Global Citizen)’ 양성을 위한 대학 차원의

역량 제고

⚫ 대학교육의 이해 당사자인 기업을 포함한 사회 전반의 소명에 부응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17

계명대학교

⚫ 영역허물기를 통한 교양과 전공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혁신과 교육지원

시스템의 선진화

⚫ 교양교육대학을 Tabula Rasa College로 확대 개편하고 인성교육, 소통교육,

융합교육 중심의 교양교육 강화

⚫ 교육혁신처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플랫폼 강화, 인증제 내실화 및 교육 선순환

체계 강화,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적 운영을 축으로 지속가능한 교수학습

체제 확립

⚫ 1주기 ACE사업을 통해 마련한 교수-학습 관련 조직, 프로그램, 시스템, 질

관리 체계 등 계명 교수-학습 플랫폼 ‘에듀「K」션’을 통해 국내 대학은 물론

해외 자매대학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공유·확산

◉ 사업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실현 가능성

❒ 목표 설정의 타당성

⚫ 교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담조직, 교육과정, 지원시스템 확충에

집중하여 목표를 설정

⚫ 1주기 ACE사업 수행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강점인 교수-학습

지원체계를 정착하여 확산할 수 있도록 설정

⚫ 우리의 고유한 학부교육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우리 대학교의 교육이념, 교육

목표, 인재상에 부합하도록 사업목표를 설정

⚫ 우리 대학교의 사업목표는 다양한 학부교육의 선도모델 창출과 확산이라는

교육부의 ACE+사업 목적에 부합

계명대학교

18

계명대학교

❒ 사업목표의 실현 가능성

구분 주요 내용

총장의리더십과구성원의의지

Ÿ 총장은 啓明正名, 즉 밝은 세상을 여는 대학의 역할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고 있는지 늘 성찰하는 자세를 견지

Ÿ 총장은 ACE+사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깊이 인식, 교내 구성원은 물론 지역사회와 함께 대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총체적이고 구체적인 노력과 의지 표명

Ÿ 대학 구성원 전체가 ACE+사업의 필요성과 내용을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참여

1주기ACE사업의성공경험축적

Ÿ 교수학습을 전담하는 ‘교수학습처’를 정규조직으로 편성하고 교수학습처장이교육선진화사업단장을 겸임하여 ACE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 관리

Ÿ 1주기 ACE사업을 통해 교육과정과 교육지원시스템 분야에서 다양한경험축적

사업성과의확산 의지

Ÿ 특화된 계명 교수-학습 플랫폼 ‘에듀⌜K⌟션’을 타 대학 및 지역사회에 확산Ÿ 우리 대학교의 차별화된 학부교육 발전모델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확산하는것은 ‘세계를 향해 빛을 여는 교육중심대학’이라는 계명비전과 밀접하게연관

전체 계획의 유기적·총체적 정합성1-2

◉ 사업계획의 논리모델

◉ 학부교육 선도모델 도출을 위한 사업계획 및 추친체계

❒ 타 대학에 확산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사업추진위원회에서 ACE+사업의 ‘투입→과정→산출→성과’에 이르는 과정을

총괄적으로 관리

❒ 교육혁신처 산하 교육혁신팀, 교육성과관리센터, 교수학습개발센터, e-러닝개발

센터 중심의 사업추진

❒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해 사업전반에 관한 자체평가 및 사업 수행 자문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19

계명대학교

◉ 대학 발전과 사업계획과의 연계성 및 실현 가능성

[그림 Ⅱ-1-2] 대학 발전과 사업계획과의 연계성 및 실현 가능성

◉ 사업 참여 부서/담당자간 사업계획의 유기적 연계와 협조

❒ 교육혁신처 산하 사업전담 부서인 교육혁신팀에서 행정업무를 총괄하며, 교육성과

관리센터, 교수학습개발센터, e-러닝개발센터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성과확

산 및 홍보 등 주요 업무 관장

❒ 타불라라사 칼리지는 산하 계명인성교육원을 통한 인성교육, 표현력증진센터를

통한 소통교육 담당

❒ 교무처 및 기획정보처는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각종 학사제도 및 규정을 정비

하고 교비 재정지원 계획수립

❒ 학생상담센터는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코너 운영을 통해 타부서와 연계한

학업, 심리, 취․창업 관련 정보 제공

성과지표 및 성과관리 체계의 적절성·타당성1-3

◉ 사업목표 및 계획에 부합하는 성과지표 설정

❒ 사업군 별 성과지표와 각 성과지표의 적절성 및 타당성

⚫ 핵심성과지표는 학부교육 선도모델 확산사업의 성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FACE 역량지수, 교육만족도지수, 계명: 에듀「K」션 확산

건수 등 3대 핵심성과로 구성

계명대학교

20

계명대학교

⚫ 자율성과지표는 7대 핵심사업의 수행과 확산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계명인성

교육심화프로그램 이수자 수, 글로벌 특화 인재지수, 재학생 사회봉사 참여율,

영역허물기 교육과정 운영건수, One-Stop 학생상담건수, 교수역량향상지수,

KNOCK 온라인 강의자료 공개비율 등으로 구성

⚫ 핵심성과지표와 자율성과지표는 교육활동 전반에 대한 평가구조를 투입-

과정-산출의 유기적 순환구조로 설계·도출하였으며, 각 지표 간 연관성

및 보완성을 강조

⚫ 각 지표들은 목표수준의 달성은 물론 향후 확산성을 감안하여 설정

연번 지표명(단위) 사업목표와의 적절성 및 타당성

1 FACE 역량지수(점)학생들의 역량을 다각적으로 측정하여 학부교육 선진화의목표를 극대화할 수 있고 학생역량강화의 정도를 가늠할수 있음

2 교육만족도지수(점)교수, 교육내용, 학생활동, 교육시설 및 환경, 학교이미지,학과이미지 6개 영역에서의 만족 정도를 측정하여 전반적인교육의 질 개선 및 학부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음

3계명: 에듀「K」션확산건수(건)

학부교육 선진화 롤모델로서의 역할 강화를 위하여 학교-학교, 학교-사회 등의 교육성과에 관한 확산 정도를 가늠할수 있음

<표 Ⅱ-1-1> 핵심 성과지표의 적절성 및 타당성

연번 사업군 및 지표명 사업목표와의 적절성 및 타당성

1교양 교육과정 개선

-계명인성교육심화프로그램이수자 수

계명인성교육원에서 실시한 인성교육심화프로그램을 이수한학생 수를 통해 우리 대학교 학부생의 인성 수준과 교양수준을 파악할 수 있음

2전공 교육과정 개선-글로벌 특화 인재지수

외국어를 사용하는 전공 강의 이수율과 이수 학생의 글로벌역량을 통해 전공 교육과정의 선진화 정도를 가늠할 수있음

3비교과 교육과정 개선-재학생 사회봉사 참여율

우리 대학교 학생이 지녀야 할 윤리적 봉사정신(A)에 관한핵심역량을 함양하였는지를 평가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선진화 정도를 가늠할 수 있음

4학사구조 등 학사제도 개선-영역허물기 교육과정

운영건수

영역허물기 교육과정 도입을 통해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교과목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수업내용의 내실화와교육과정 및 학사구조의 개선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음

5학생지도 내실화

-One-Stop 학생상담건수

학내에 구축된 질 높은 상담체계를 통해 긍정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학생지도 내실화 정도를가늠할 수 있음

6교수-학습 지원체계 개선-교수역량향상지수

교원의 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실적과 교수교육역량진단 결과를 통해 교수-학습 지원체제의 선진화 정도를가늠할 수 있음

7교육의 질 관리체계 개선-KNOCK 온라인 강의자료

공개비율

교내 지식콘텐츠공유시스템(KNOCK)을 통해 공개된 강의자료를 바탕으로 외부로의 선진형 교육 콘텐츠 확산·환류정도를 가늠할 수 있음

<표 Ⅱ-1-2> 사업군 별 자율 성과지표의 적절성 및 타당성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21

계명대학교

◉ 성과관리 및 지원 체계

[그림 Ⅱ-1-3] 성과관리 및 지원체계

확산 및 지속 가능성1-4

◉ 사업 성과의 대내‧외 확산 노력

[그림 Ⅱ-1-4] 성과확산 및 지속 가능성

❒ 1주기 ACE사업을 통해 성과가 입증된 우리 대학교만의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시스템, 제도 및 조직 정착

계명대학교

22

계명대학교

❒ 2주기 ACE+사업은 1주기 사업을 통해 축적된 성과를 교내외로 확산

⚫ ‘ACE사업 성과관리 클라우드’ 활용

⚬ 1주기 사업을 통해 구축한 자료 관리 및 공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활용

하여 ACE+사업 성과(문서, 멀티미디어 자료 등)를 체계적으로 관리

⚬ 스토리지에 저장된 자료는 성과확산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지식공유시스템

(KNOCK)을 통하여 공유

❒ 계명 교수-학습 플랫폼 ‘에듀⌜K⌟션’을 중심으로 교내 각종 프로그램의 성과를

강화하고 확산에 기여

◉ 사업 종료 후 지속적인 운영 및 확산 노력

❒ ACE+사업에 대한 참여도, 성과, 가치를 평가하여 지속 프로그램 선정

❒ 지역 대학 또는 관련 단체 및 기업과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선진화된 학부

교육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의 지속성 유지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23

계명대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계획2

교양 교육과정 계획2-1

추진 개요2-1-1

◉ 교양 교육과정 목표 및 필요성

❒ 인성, 소통, 융합을 중심으로 한 교양교육의 질적 제고

⚫ 진리 탐구를 위한 기초 지식을 배양하고 사회 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자질과

전인적 인성을 함양하는 교양교육의 실현

⚫ 창의적‧융합적 사고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타불라라사 칼리지의

역할 확대 필요

❒ 균형 교양교육 중심의 융합적 사고 및 올바른 의사소통 역량 강화

⚫ 1주기 사업을 통해 구축된 균형교양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동시에

기본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위한 올바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지원 프로

그램 운영

⚫ 교양 교육과정의 올바른 기초 수립을 위한 인성교육 도입

◉ 대학 인재상, 교육목표 및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교양 교육과정 구성․운영

❒ 대학 인재상 구현을 위한 교양 교육과정 구성

계명대학교

24

계명대학교

⚫ 계명인재상 ‘Creative Global Citizen’ 구현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

과정 구축

⚬ 계명인재의 특성인 도전적 개척정신(Frontiership), 윤리적 봉사정신(Altruism),

국제적 문화감각(Culture), 창의적 전문성(Expertise)의 구현을 지원하는 핵심

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구성

⚫ 계명 인재상을 구현하는 인성 함양 프로그램

⚬ 1학년 신입생 전원에게 공통교양인 ‘계명정신과봉사 ’와 ‘기독교의이해 ’

교과목 수업을 통해 진리–정의–사랑의 기본 인성 소양 교육 실시

⚬ 2016년 계명인재상 ‘Creative Global Citizen’에 부합하는 인성 함양을 위한

공통교양 필수 교과목으로 ‘글로벌시티즌십’ 개설, 기존 ‘계명정신과봉사’와

연계하여 진행

⚫ 계명 인재상인 FACE형 인재양성을 위한 국어/영어 의사소통 능력 제고를

위한 표현력증진센터 운영

⚫ 좋은 사람을 더 좋은 사람으로 기르기 위한 융합중심의 교양 교육과정 운영

❒ 인성, 소통, 융합 중심의 교양교육 질적 제고를 위한 타불라라사 칼리지의 역할

확대

⚫ 진리 탐구를 위한 기초 지식을 배양하고 사회 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자질과

전인적 인성을 함양하는 교양교육의 실현

⚫ 1주기 사업을 통해 구축된 균형교양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동시에

표현력증진센터, 인성교육원의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 수행

◉ 주요 추진 내용

❒ 타불라라사 칼리지의 역할 확대 첨부 2-1-1 p.2

⚫ 교양교육의 내실화와 혁신 지속화를 위하여 교양 교육과정 전담기구의 확대 개편

⚬ 타불라라사 칼리지는 균형교양 교육과정을 내실화하여 융합교육을 지향하며,

인성교육을 담당하는 계명인성교육원, 소통교육을 담당하는 표현력증진

센터를 포함하는 교양 교육과정 전담기구로서 역할 수행

[그림 Ⅱ-2-1] 교양교육 전담기구 조직도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25

계명대학교

⚫ 균형교양 중심의 교양 교육과정 구성하여, 인성 소통 융합 중심의 교양교육 실시

⚫ 교양 교육과정 이수학점 비율의 적정성 확보

❒ 인성교육 심화

⚫ 계명인성교육원(이하 인성교육원)을 중심으로 한 인성교육 모델 정립

⚬ 도전과 봉사를 지향하는 ‘창의적 국제인 ’ 양성이라는 계명 인성교육의

이념과 목표 수립

⚫ 체계적 인성 함양을 위한 계명 글로벌 시티즌 프로그램을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

[그림 Ⅱ-2-2] 계명 글로벌 시티즌 프로그램 체계도

⚫ 타 대학과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공유 및 확산 첨부 2-1-2 p.2

⚫ 인성강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첨부 2-1-3 p.4

⚬ 안동시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과 연계한 선비의 삶과 그 현장, 가나안

농군학교의 올바른 미래설계과정, 한국국학진흥원 전통인문정신 연수 프로

그램 등을 운영

⚫ 인성교육 심화 연수 프로그램 운영 첨부 2-1-4 p.6

⚬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나라를 위하여’라는 우리 대학교 교육이념을 바탕

으로 진리, 정의, 사랑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운영

⚬ 인성교육에 대한 평가 환류를 통한 인성교육 개선

⚫ 국외봉사활동 지원을 통하여 봉사정신이 투철한 창의적 국제인 양성에 기여

❒ 독서교육 강화

⚫ 매년 필수 교양도서 25권을 선정하고 수요자 중심의 해제를 개발하여 독서에

대한 관심 유도 첨부 2-1-5 p.9

⚫ 계명교양총서에 대한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여 독서 결과에

대한 점검과 독서 의욕 고취

계명대학교

26

계명대학교

⚫ 균형교양 6개 영역의 추천을 바탕으로 독서 포트폴리오 작성 및 독서 퀴즈

대회 개최

⚫ 독서토론클럽 K-Circle 운영 활성화

[그림 Ⅱ-2-3] 독서교육 강화

⚫ 계명 교양교육 팟캐스트 운영 첨부 2-1-6 p.11

⚬ 교양교육 팟캐스트는 접근이 용이하고 스트리밍 청취가 가능하며 시공간을

초월하는 서비스를 제공

◉ 추진 방법 및 전략

⚫ 교양 교육과정 전담기구인 타불라라사 칼리지를 설치하여 균형교양 교육과정

내실화를 통해 융합교육을 지향하며, 계명인성교육원을 통한 인성교육,

표현력증진센터를 통한 소통교육 담당

⚫ 표현력증진센터에서 학생의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과

연계한 글쓰기 첨삭지도 실시

⚫ 타불라라사 115권을 선정하여 학생의 독서교육을 강화하고, 그 중 매년 25권의

해제 작성 및 독서토론클럽을 운영하여 독서에 대한 관심 유도

⚫ 계명교양총서에 대한 평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독서 퀴즈대회 실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27

계명대학교

4차년도 추진 계획2-1-2

◉ 계획 수립 배경

❒ 타불라라사 칼리지의 역할 확대

⚫ 교양 교육과정 평가 시스템의 안정화를 통한 교양교육의 업그레이드 추구

⚬ 교양 교육과정 평가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수행 필요

⚫ 균형교양 교육과정 성과모니터링 강화

⚬ 균형교양 교육과정 평가 및 재편성 시스템의 안정화 추구를 위한 성과

모니터링 강화

⚫ 표현력증진센터 프로그램의 체계화 추구

⚬ 표현력증진센터 프로그램의 유기적 연계 및 프로그램별 목적에 따른 체계

적인 교육 시스템 제공

❒ 인성교육 심화

⚫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장기화로 인한 수요자들의 프로그램 다양화에

대한 요구

⚬ 인성교육 수요자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는 신규 프로그램 개발

⚬ 인성교육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단기 교육(강연) 프로그램 제공

⚫ 인성교육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인 평가 시스템 마련

⚫ 국외봉사활동에 대한 재학생들의 높은 관심에 부합하는 지속적인 지원

❒ 독서교육 강화

⚫ 교내 독서교육에 대한 효과 검증 시스템 마련

⚫ 교육 수요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독서역량 강화를 위한 부교재 개발

⚬ 타불라라사 115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독서를 독려하는 시공간을 초월한

오디오 교재 제공

⚫ 독서의욕 고취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타불라라사칼리지의 역할 확대

Ÿ 교양 교육과정 평가 시스템의 안정화Ÿ 균형교양교육과정성과모니터링강화Ÿ 표현력증진센터 프로그램 체계화

FACE역량지수/교육만족도지수

122.0

인성교육 심화Ÿ 인성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추구Ÿ 인성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Ÿ 국외봉사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계명인성교육심화프로그램이수자 수

245.5

독서교육 강화

Ÿ 독서교육의효과에대한지속적인검증Ÿ 독서역량 강화를 위한 오디오 교재서비스 안정화

Ÿ 독서의욕 고취를 위한 프로그램활성화

FACE역량지수 87.3

합계 454.8

계명대학교

28

계명대학교

◉ 세부 추진 내용

❒ 타불라라사 칼리지의 역할 확대

⚫ 교양 교육과정 평가 시스템의 안정화

⚬ 지속적인 교양 교육과정 평가 시스템 연구 수행

⚬ 종합적인 교양 교육과정 평가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균형교양 교육과정 성과모니터링 강화

⚬ 균형교양과목(철학과역사, 사회와 문화, 과학과기술, 문학과예술, 글로벌

리더십, 진로탐색/자기계발/창업) 6개 영역 중 5개 영역(철학과역사 영역

포함)에서 각 3학점(총 15학점) 이상 이수 및 성과 모니터링

⚬ 공통교양 4년 주기, 균형교양 및 일반교양 3년 주기로 평가 및 재편성

과정에서 인문학 분야 교과목 비율을 2018학년도에 27.50%까지 상향 예정

⚬ 졸업 기준으로 ‘공통교양과목 및 균형교양과목 중 인문학 분야 교과목을

8학점 이상 이수’하는 학칙시행세칙 시행

⚫ 표현력증진센터 읽기-말하기-쓰기 교육의 체계화

⚬ 독서 교육을 위한 타불라라사 115(계명교양총서)를 활용한 타불라라사

세미나 강화

⚬ 말하기 교육을 위한 계명 스피치 아카데미 운영 강화

⚬ 쓰기 교육을 위한 학문 영역별 보고서 쓰기 프로그램 운영 강화

❒ 인성교육 심화

⚫ 인성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추구

⚬ 인성교육 수요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 추구

⚬ 전공별 인성교육 강연 확대를 통한 인성교육 접근성 확대

⚬ 우리대학의 특수성을 고려한 기독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책

연구 실시

⚫ 인성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 인성교육원 서포터즈(바르미)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 지속적인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실시 및 주관식 설문 조사 결과 반영

⚫ 국외봉사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참가자의 윤리적 봉사정신

함양의 기회 제공

❒ 독서교육 강화

⚫ 독서교육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

⚬ 타불라라사 115(계명교양총서) 독서 평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평가

문항 추가 개발 및 차별화된 독서인증 시스템 마련

⚬ 폭넓은 독서 및 건전한 토론을 통해 창의적이고 논리적이며 지식정보

공유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공모형 K-Circle(독서토론클럽)

운영 강화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29

계명대학교

⚫ 독서 역량 강화를 위한 오디오 교재(교양교육 팟캐스트) 서비스 안정화

⚬ 타불라라사 115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독서를 독려하는 오디오 교재

⚬ 공통교양 교양세미나 수업의 부교재로 활용하여 독서역량 강화

⚫ 독서의욕 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

⚬ 타불라라사 115를 전문가가 재미있고 쉽게 배경과 주제를 강연하고 학생

들과 함께 토론하는 타불라라사 세미나 활성화

⚬ 독서토론대회, 독서퀴즈대회, 저자 초청 특강, 문학관 견학, 낭독회 등 독서

의욕 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

계명대학교

30

계명대학교

전공 교육과정 계획2-2

추진 개요2-2-1

◉ 전공 교육과정 목표 및 필요성

❒ 사회 변화와 요구를 반영한 전공교육 구현

⚫ 21세기 창조 중심 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공 간 영역허물기를 통해 융복합

교육을 지향

⚫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글로벌 역량을 함양하여 세계로 진출하는 특화된 창의

인재를 양성

❒ 수요자 중심의 전공 교육과정 구성

⚫ 학생 및 산업체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한 전공 교육과정 개발

⚫ 현장실무 중심의 융복합 교과목 개발 확대

⚫ 학부 내 전공 영역허물기를 통한 복수전공, 부전공 및 연계전공 활성화

❒ 글로벌 특화 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 외국어 전공과목 이수에 대한 졸업요건 강화 및 전공 현지학기 제도 확대

⚫ 다양한 전공분야의 학생교류를 통하여 전공 영역허물기를 강화하며 국제적

문화감각 향상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31

계명대학교

◉ 대학 인재상, 교육목표 및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전공 교육과정 구성․운영

❒ 대학 인재상과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전공교육 강화

⚫ 우리 대학교의 인재상은 ‘창의적 국제인(Creative Global Citizen)’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4대 특성(FACE), 8대 핵심역량을 강화하도록 교육

⚫ 전공 영역허물기를 통한 글로벌 특화인재 양성은 우리 대학교의 교육 목표와

부합하여 교육 개혁의 추진 동력을 확보

❒ 전공교육 모델 재정립 및 정착을 통한 학생 역량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전공 간 구분을 탈피하여 융복합적 사고를 갖춘 글로벌

인재를 요구

⚫ 전공교육 시스템을 융복합적 체재로 개혁하고, 국제화 노력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속적 노력이 필요

◉ 주요 추진 내용

❒ 학생과 산업체의 수요조사에 따라 특화된 전공 교육과정 개발 운영

⚫ 수요조사에 의한 융복합 전공 교과목 개발 및 개설 첨부 2-2-1 p.12

⚬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융복합 전공 교과목

개발

⚬ 학생의 요구 조사와 융복합개발위원회 운영 등을 통해 융복합 교과목 개발

지원

⚫ 현장실무에 적용 가능한 실무교육 교과목 운영지원 확대 첨부 2-2-2 p.13

⚬ 현장 전문가의 지도를 통하여 학생들의 현장 관련 문제해결 능력 향상

⚬ 현장 전문가의 멘토링 및 초청 특강, 학생들의 현장 견학 등을 실시

⚫ 교육-연구 프로젝트 운영지원 확대 첨부 2-2-3 p.15

⚬ 전공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학생들의 전공지식 심화

및 자기주도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

⚬ 전공 관련 주제로 교수 1명과 참여 학생 3 ~ 5명이 팀을 구성하여 설정한

문제를 연구하여 해결

❒ 국제적 문화감각 향상

⚫ 글로벌 전공 역량 강화를 위한 현지학기 제도 확대

⚬ 학생들에게 해외 현지에서 전문지식 습득 및 적응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전공 역량 강화

⚬ 학생들에게 신청서를 받아 심사 선발. 사전 OT 실시 및 현지 대학 담당자와

연락하거나 SNS 등을 활용하여 수시 지도

⚬ 소정의 전 과정을 이수한 학생에게는 총 18학점 이내의 학점 인정

❒ 전공교과목의 영역허물기 첨부 2-2-4 p.15

⚫ 학과 간 전공 영역을 허무는 학부 공동교과목 운영지원

⚬ 학부 내 전공 영역허물기를 통해 공동과목 강의 질 향상 및 내실화

⚬ 교육과정 실무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운영 지원 교과목 선정

계명대학교

32

계명대학교

⚫ 교수자간 교수 영역을 허무는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

⚬ 교수자간 협업을 통한 강의 질 향상 및 교수 방법 개선

⚬ 교육과정 실무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운영 지원 교과목 선정

⚫ 학교와 지역의 경계를 허무는 전공활용봉사 첨부 2-2-5 p.17

⚬ 재학생들이 습득한 전공 지식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지식의 사회 적용과 봉사 정신을 고양

⚬ 지도교수 1인에 학생 3 ~ 5명이 팀을 구성하여 지역기관과 연계해 봉사 활동.

지역사회 공공기관 및 사회복지시설에서 취약계층 봉사, 학습지도, 체험

프로그램 제공 등의 활동 수행

⚬ 배움과 나눔의 영역을 허물고 지역 사회에 봉사 수행

◉ 추진 방법 및 전략

⚫ 자체 수요조사를 통한 융복합 교과목 도출 및 교육표준안 개발

⚫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가 융복합 교과목 운영의 컨트롤타워 수행

⚫ 교육과정실무위원회를 통한 교과목 운영지원 내실화

⚫ 우리 대학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글로벌 프로그램 운영

⚫ 계열 간, 전공 간, 교육 주체 간 영역허물기를 통하여 사회 변화에 능동적

으로 대응하는 교육 역량 강화

⚫ 학생의 전공에 따른 봉사활동을 기획 및 수행하여 자기주도적 참여 확대

4차년도 추진 계획2-2-2

◉ 계획 수립 배경

❒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전공 교육 경쟁력 강화와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지원 확대

⚫ 사회 변화와 학생 요구를 반영한 융복합 전공교과목 개발 및 현장실무형

교과목 운영 지원 확대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33

계명대학교

⚫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지원 체계화

⚫ 학부 내 공동과목 및 팀티칭 교과목 운영 지원 확대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수요자 중심의 전공교육과정 개발

Ÿ 수요조사에 의한 융복합 전공교과목개발 및 운영 확대

Ÿ 현장실무형 교과목 운영 지원 확대Ÿ 교육-연구 프로젝트(학생분야지원)내실화

Ÿ 책쓰기 프로젝트 지원 강화

교육만족도지수/영역허물기교육과정운영건수/

FACE 역량지수

48.0

국제적 문화감각향상

Ÿ 영어강의내실화를 위한 연구와 지원Ÿ 전공 현지학기 제도 운영 확대Ÿ 글로벌 해외 인턴십 지원 강화

FACE 역량지수/글로벌 특화인재지수

5.0

전공 영역허물기Ÿ 학부 내 공동과목 운영 지원 확대Ÿ 팀티칭 교과목 운영 지원 확대Ÿ 전공학문 연계 사회봉사 확대

영역허물기교육과정운영건수/

재학생 사회봉사참여율

17.0

합계 70.0

◉ 세부 추진 내용

❒ 수요자 중심의 전공 교육과정 개발

⚫ 융복합 전공교과목 개발 및 현장실무형 교과목 운영 지원 확대

⚫ 교육 연구 프로젝트의 내실화 방안 마련 및 성과 도출 강화

⚫ 책쓰기 프로젝트 시행 확대 및 성과 공유 강화

❒ 국제적 문화감각 향상

⚫ 영어강의의 내실화를 위한 연구와 지원 사업 추진

⚬ 정책연구를 실시하여 우리 대학의 영어 강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 방안 제시

⚬ 정책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강의 내실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시행

⚫ 전공 현지 학기의 대상 국가 다변화 및 학생 지원 강화

⚫ 해외 인턴십 대상기업의 다양화와 학생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원

확대

❒ 전공 영역허물기

⚫ 학부 내 공동교과목 및 팀티칭 교과목 활성화를 위한 협의 강화

⚫ 학부 내 공동교과목 및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 확대

⚫ 강의개설 및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계명대학교

34

계명대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계획2-3

추진 개요2-3-1

◉ 비교과 교육과정 목표 및 필요성

❒ 공동체 의식 강화 및 자기주도적 역량강화 지원

⚫ 다양한 형태의 비교과 활동을 지원하여 함께 도전하고 나누고 성장하는

기회 제공

⚫ 기존 우수 비교과 교육과정에 함께 하는 요소를 부여하여 공동체의식 강화

❒ 영역허물기를 통한 대학 역할의 활성화 및 구성원 관계의 밀착화 추진

⚫ 교양, 전공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통해 개별 재학생의 맞춤형 역량 제고 추진

⚫ 대학의 우수한 교육 인프라와 프로그램을 지역과 다른 대학 재학생들과

나누는 공동 참여 기회 확대

◉ 대학 인재상, 교육목표 및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비교과 교육과정 구성․운영

❒ 대학 인재상 구현을 위한 비교과 교육과정 구성

⚫ 우리 대학교의 인재상인 ‘Creative Global Citizen’을 구현하고 4가지 특성

(FACE)에 따른 재학생의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해 특성별로 다양한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봉사정신 배양을 위한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35

계명대학교

⚫ 우리 대학교가 수혜하고 있는 여러 가지 교육관련 국책사업에서 시행하는

각종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종합 관리하여 중복을 방지하고 학생 핵심

역량의 균형 있는 함양을 지원

❒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 학생들의 다양한 프로그램 이수 및 활동 내용을 역량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명인재역량관리시스템(COMpass K) 운영

⚫ 교원의 비교과 교육과정 지도 활성화를 위해 K-Circle 등 집단 지도 실적

교원업적평가 반영

⚫ 프로그램 사전·사후 조사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재학생의 수요, 만족도,

역량 현황을 반영한 다양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개선

◉ 주요 추진 내용

❒ 공동체 의식 확산

⚫ 다양한 K-Circle 활동 강화

⚬ 자기주도적 협동 활동을 통해 함께 나누고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K-Circle을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

⚬ 학생 스스로가 팀을 구성하여 교직원의 지도를 받으며 구체적인 활동성과를 도출

⚬ 목표와 성격에 따라 학습동아리, 취업동아리 등으로 나누어 활동

⚫ 활동 공모형 K-Circle 시행 첨부 2-3-1 p.18

⚬ 학습동아리 K-Circle: 팀별 학습과 토론 활동 등을 진행하는 스터디 성격의

동아리

⚬ 취업동아리 K-Circle: 직종, 직무별 취업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취업에 필요한

활동 수행

⚬ K-Circle 온라인 모니터링 요원 10명 운영으로 학습 활동 촉진

❒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

⚫ 계명 Challenge Project 첨부 2-3-2 p.19

⚬ 달성하기 힘들지만 스스로 세운 목표에 도전하는 과정을 지원하여 성취감과

도전의식을 제고하는 기회 제공

⚬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 혼자가 아닌 2인 이상의 팀 도전 과제 지원

⚬ 중간 진행 상황 점검과 최종 평가를 통해 우수팀 선발 및 시상

⚫ 계명 Culture Tour Together Plus 첨부 2-3-3 p.20

⚬ 교내의 문화체험 인프라를 활용한 문화소양 제고 프로그램으로 지역의

문화소외 계층과 타교 재학생들이 함께 문화체험 기회를 가지도록 지원

⚬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교내 참여 기관을 4개 기관

(아담스채플, 계명한학촌, 행소박물관, 계명아트센터)에서 6개 기관(극재

미술관, 의료선교 박물관)으로 확대

계명대학교

36

계명대학교

⚬ 6개 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체험하고 감상문과 체험

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계명 Culture Tour Together 수첩’

제작 및 배포

⚬ 학생들의 문화적 포용력 향상과 지역 사회 및 사업성과 확산에 큰 기여

⚫ ACE+ 단기 집중 외국어 캠프 첨부 2-3-4 p.20

⚬ 방학 중 합숙형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여 글로벌 의사소통 능력 강화

⚬ 강의, 그룹스터디 및 개인학습을 기숙사에 상주하며 지도

⚬ 수준별 분반 편성과 강도 높은 집중 교육(4주간 180시간) 실시

⚬ 90%이상 출석하고 성적이 70%에 속한 이수자는 특별학점 3학점 인정

⚬ 토익스피킹반을 편성하여 학생들의 실질적인 영어 능력 향상에 기여

⚬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지도 교수의 추천이 있을 시 성적 기준을

완화하여 캠프 입소 기회 부여

❒ 교과 연계 및 참여 개방

[그림 Ⅱ-2-4] 교과목 연계를 통한 비교과 교육과정 활성화

⚫ 교과목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

⚬ 2014학년도부터 ‘대학생활과진로설계’에서 비교과 프로그램과 지원 체계 안내

⚬ 2015학년도 신입생부터 전공필수로 개설되는 ‘취창업과자기계발’ 교과목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 참여와 COMpass K 역량관리 의무화

⚬ 계열별 역량관리 최소 점수 달성 후 지도교수 면담을 통해 이수 여부 결정

⚬ 개설되는 비교과 교육과정의 공지, 선발, 이수를 EDWARD 시스템으로 관리

⚫ 지역민/타교생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 각종 프로그램에 지역민과 타교 학생 참여 허용으로 ACE+사업의 성과 확산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37

계명대학교

◉ 추진 방법 및 전략

❒ 공동체 의식 확산

⚫ 여러 가지 K-Circle 활동에 공동체 의식 확산 요소의 반영을 강화

❒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

⚫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신의 진로 목표에 따른 체계적인 역량

개발 및 관리 유도

❒ 교과 연계 및 참여 개방

⚫ 교양 교육과정과의 영역허물기를 위해 표현력증진센터와 인성교육원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전공 교육과정과의 영역허물기를 위해

전공영역에 취창업과 자기계발 교과목을 신설하여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비교과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학점으로 인정

❒ 효과적 추진을 위한 방법

⚫ ‘EDWARD 시스템’으로 체계적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관리 환경 정착

⚫ 활동 내용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계명인재역량관리시스템(COMpass K) 운영

⚫ 교원의 비교과 교육과정 지도 활성화를 위해 지도실적 교원업적평가 반영

⚫ 프로그램 사후 조사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재학생의 수요, 만족도, 역량

현황을 반영한 다양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개선

4차년도 추진 계획2-3-2

◉ 계획 수립 배경

❒ 공동체 기반의 학습 문화 조성과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를 위한 영역허물기

관련 교육 지원 확대

⚫ 다양한 K-Circle을 지원하여 공동체 의식을 확산하고,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강화함으로써 내실 있는 학습 활동 유도

계명대학교

38

계명대학교

⚫ ACE+ 단기 집중 외국어 캠프 확대를 통해 집중 영어 능력 향상 교육 시행

⚫ 정규 교과목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 참여와 COMpass K 역량관리교육을

실시하고 진로 계획에 따른 체계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유도

⚫ 특화된 비교과 교육과정을 브랜드화하여 ACE+사업 성과 확산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공동체 의식 확산Ÿ 다양한 K-Circle 활동 유지Ÿ 활동 공모형 K-Circle 성과 공유

FACE역량지수/교육만족도지수

133.5

자기주도적 역량강화

Ÿ 계명 Challenge Project 홍보 강화Ÿ 계명 Culture Tour Together Plus운영 방식 개선

Ÿ ACE+ 단기 집중 외국어 캠프 학생참여 확대

FACE역량지수/글로벌 특화인재지수

521.6

교과 연계 및 참여개방

Ÿ 교과목 연계 및 홍보 강화Ÿ 지역민ž타교 참여 기회 확대Ÿ 학생 참여에 의한 프로그램 개발및 성과 확산 강화

에듀「K」션확산건수/영역허물기교육과정운영건수

-

합계 655.1

◉ 세부 추진 내용

❒ 공동체 의식 확산

⚫ 활동 공모형 K-Circle 지원으로 다양한 협동 활동 개발

⚫ K-Circle 활동 성과에 대한 공유 강화

❒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

⚫ 계명 Challenge Project 참여 활성화를 위해 교내 홍보 강화

⚫ 계명 Culture Tour Together Plus의 학생 이수율을 높이기 위해 학생 접근

편의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방식 개선

⚫ ACE+ 단기 집중 외국어 캠프 학생 참여 확대 및 수용 강화 노력

❒ 교과 연계 및 참여 개방

⚫ 1학년 공통교양 과목인 ‘대학생활과진로설계’와 전공필수과목인 ‘취창업과

자기계발’을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 안내와 홍보를 강화

⚫ 지역의 문화소외 계층, 타 대학교 재학생에게 교내 문화 체험 프로그램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ACE+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역 및 타 대학에 확산

⚫ 학생 참여에 의한 프로그램 개발 및 성과 확산 강화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39

계명대학교

교육지원 시스템 구축 및 개선 계획3

학사구조 등 학사제도 개선3-1

추진 개요3-1-1

◉ 학사구조 등 학사제도 개선의 목표 및 필요성

❒ 학문간 소통을 위한 융복합 교육 중심의 학사제도 운영

⚫ 학문영역 및 학제간 영역허물기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학문간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융복합 인재 배출의 한계 극복

❒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지방대학의 위기극복 및 효율적 학사운영

⚫ 산업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및 수요자(학생, 산업체 등) 중심의 교육

과정 운영

❒ 획일화되고 경직된 학사구조로 인한 교육과정 편성의 한계 극복

◉ 대학 인재상, 교육목표 및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학사조직 구성‧운영

❒ 대학 인재상, 교육목표 및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학사구조 개선

⚫ 우리 대학교 인재상인 ‘Creative Global Citizen’의 구현을 위해 대학과 단과

대학 및 학과(전공) 교육목표를 연계 반영하여 교육과정 편성

계명대학교

40

계명대학교

❒ 학문간 소통을 위한 융복합 교육 중심의 학사제도 운영

⚫ 학문영역 및 학제간 영역허물기의 필요성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학문간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융복합 인재 배출의 한계 극복

❒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지방대학의 위기극복 및 효율적 학사운영

⚫ 산업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및 수요자(학생, 산업체 등) 중심의 교육

과정 운영

[그림 Ⅱ-3-1] 대학 및 학사조직 간의 교육목표 연계성

◉ 주요 추진 내용

❒ 학문간 소통을 위한 융복합 교육 중심의 학사제도 운영

⚫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방향에 부합하고 수요자 요구가 반영되는 교양 및 전공

교육과정 운영 조직과 주기적 개선 체계 구축

[그림 Ⅱ-3-2] 교양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운영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41

계명대학교

[그림 Ⅱ-3-3] 전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운영

⚫ 「학칙」과 「학칙 시행세칙」의 세부 학사운영 방법을 규정화 첨부 3-1-1 p.21

⚫ 학생의 선택권 확대 및 융복합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다양한 전공 이수체계

제공

구분이수 학점

전공기초 제1전공 타전공융합·연계전

공계

융합(연계)전공 복수전공 - 42 - 33 75

융합(연계)전공 부전공 - 54 - 15 69

CORE융합(연계)전공 복수전공 - 45 - 33 78

CORE융합(연계)전공 부전공 - 45 9 15 69

※융합전공 8개(CORE융합전공 6개 포함), 연계전공 15개(CORE연계전공 3개 포함)

<표 Ⅱ-3-1> 융복합 교육과정 개설 현황

⚬ 연계·융합전공 이수를 용이하도록 복수전공 및 부전공 이수학점을 각각

현행 42학점에서 33학점, 21학점에서 15학점으로 하향 조정

⚬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 융합전공을 복수/부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의 경우에

시범적으로 제1전공 이수 학점을 54학점에서 45학점으로 하향 조정

⚫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를 상설 운영하여 학부 내 전공 공동교과목, 팀티칭

교과목 지원을 통한 다양한 전공분야 융합교육기회 확대 첨부 3-1-2 p.21

⚬ 학사위원회 이전 심도 있게 연구하는 기능 수행

⚬ 팀티칭, 학부공동, 현장실무형 교과목 운영에 대한 논의기구 역할

⚫ 효율적인 융복합 교과목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위원회 구성 첨부 3-1-3 p.22

⚬ 융복합 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 논의기구 역할

⚬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융복합교과목 선정

❒ 학문영역 및 학제간 영역허물기

⚫ 사회수요 및 산업 변화에 대응하고 인문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계명대학교

42

계명대학교

구분 개선 방안

핵심역량 제고문제해결 능력, 종합적 전문지식, 윤리적 가치관 강화를 위한 신규 교과목개발 및 운영

사회수요 산업현장 연계,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영역과 교과목 추가

강의만족도 결과 교양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 따른 교과목 폐지 및 신설에 반영

<표 Ⅱ-3-2> 교양 교육과정 개선 방안

⚬ 교양 교육과정 개편 주기에 따라 핵심역량과 사회수요를 반영한 교과목

폐지 및 신설

[그림 Ⅱ-3-4] 교양교과목 신설‧폐지 절차

⚫ 학부제를 통한 전공 영역허물기

⚬ 연계·융합전공을 복수/부전공 하는 학생들에게 제1전공 이수 학점을 54학점

에서 45학점으로 하향 조정

⚬ 학부 내 전공 영역허물기를 통한 연계 및 융합전공 활성화로 융복합 전공

교과목 54과목 개발 및 운영

⚬ 다양한 전공인정 교과목제를 실시하여 학문간 전공 영역허물기 시행

⚬ 학부공동교과목 운영 지원을 통해서 전공 영역허물기 시행

⚬ 팀티칭 교과목 운영지원을 통한 팀티칭 활성화로 융복합 인재 양성

⚫ 인문사회·이공계열 간 교양/전공 영역 교차수강으로 학제간 영역허물기 시행

⚬ 인문학, 사회과학 및 자연공학계열간 연계융합전공 시행으로 인한 영역허물기

(연계전공 15개, 융합전공 8개)를 통한 융복합 인재 양성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산업계 및 사회수요를 반영한 학과 또는 단과대학별 사회수요연계교육과정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사회수요연계 교육과정위원회 운영여부를 학과평가에 반영 첨부 3-1-4 p.22

⚫ 사회수요, 융복합, 취업, 창업 등을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고 현장실무

교과목 확대

⚫ 교육 수요자 조사를 통한 융복합 전공 교과목 개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43

계명대학교

⚬ 교내 수요자(학생) 설문조사를 통해서 융복합교과목 수요조사 실시

⚬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융복합 교과목 개발

⚫ 기업체 맞춤형(채용 조건부)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창업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지식서비스창업연계전공, 창업융합교과, 창업교양교과,

창업친화형교과로 구성된 정규창업교육과정 운영하여 현장실무능력 강화

⚬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균형교양에 창업영역 추가 및 과목 신설

◉ 추진 방법 및 전략

⚫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융합전공(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 가능)

관련 규정을 완화하여 전공이수체계 다양화를 통한 학생의 선택권 확대

⚫ 인문/사회과학/경영학/예체능/자연공학계열 등 각 전공 분야를 대표하는 단과

대학 부학장급 교원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 구성하여 지속운영

⚫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전문 업체를 선정하여 산업체

설문조사 실시(LINC사업과 연계하여 통합 설문조사 실시)

⚫ 산업계 및 사회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선을 위하여 단과대학, 학부,

학과(전공) 특성에 따른 사회수요연계교육과정위원회 구성 및 운영

4차년도 추진 계획3-1-2

◉ 계획 수립 배경

❒ 지역 및 현장 중심 전공기본형, 전공연계형, 전공융합형 교과 개발 및 운영

❒ 팀티칭 및 공동교과목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 운영 확대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지역산업에 필요한 인재 육성을 위한 취업-창업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계명대학교

44

계명대학교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융복합 교육중심학사제도

Ÿ 융복합 교육확대Ÿ 팀티칭제를 통한 다양한 전공교육기회 확대

영역허물기교육과정운영건수

2.0

학문영역 및 학제간영역허물기

Ÿ 계열간 교차수강 전공교과목 운영Ÿ 제1전공 이수학점 축소 및 학부 내타전공 이수 의무화(영역허물기)

Ÿ 신규 교양과목 개발 확대 운영 및4차산업혁명 교양교육과정 운영

영역허물기교육과정운영건수

-

수요자 중심의교육과정

Ÿ 산업체수요 기반 교육과정 적용Ÿ 창업친화형 학사제도 적용

교육만족도지수

-

합계 2.0

◉ 세부 추진 내용

❒ 학문간 소통을 위한 융복합 교육중심 학사제도 운영

⚫ 산업수요가 많은 실용학문(예, 공학)과 연계한 융복합 교과목 지속지원

⚫ 타영역 복수전공, 부전공 이수권장 및 교차 수강과목 의무화 추진

❒ 학문영역 및 학제간 영역허물기

⚫ 학부 대상으로 학부공동교과목 운영 확대 시행

⚫ 전공이수체계 다양화를 통한 학생의 선택권 확대를 위해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 가능) 관련 규정 보완

⚫ 글로벌 지역학 연계전공 교과목은 학과(전공)와 연구소가 운영하는 글로벌

교육연구위원회의 학제간 공동연구로 개발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산업체 기반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강의개설 및 운영, 편제개편 시 활용

⚫ 창업교육센터와 연계한 창업친화형 학사제도 적용 노력

⚫ 교내 국책사업 협의체와 협업하여 수요자 요구사항 반영⚫ 기업 방문시 교육과정 관련 내용 환류⚫ 사회수요연계교육과정위원회,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 교육과정연구실무

위원회 지속 추진

⚫ 전공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전공교육과정분석위원회 구성 및

운영 첨부 3-1-5 p.23

⚫ 사회수요 조사, 교육만족도 조사, 강의만족도 평가, 학과평가 결과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선 및 환류체계 운영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45

계명대학교

학생지도 내실화 계획3-2

추진 개요3-2-1

계명대학교

46

계명대학교

◉ 학생지도 내실화 목표 및 필요성

❒ 교수학습개발센터, 학생상담센터,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코너, 지도교수 등

학습, 진로, 심리를 연계한 지능형상담시스템 구축을 통한 학생 지도의 고도화

❒ 대학생의 생애단계별 선제적 맞춤형 상담 및 지도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창의적

전문성 함양

❒ 전공 영역을 넘어선 다양한 분야의 멘토의 진로 및 학습 지도를 통한 도전적

인재 양성

❒ 학생 간의 또래 멘토링 및 학습 도우미 역할을 통해 윤리적 봉사정신 함양

◉ 대학 인재상, 교육목표 및 발전계획과 부합하는 학생지도 내실화

❒ 찾아가는 지능형 학생 상담 체계 구축

⚫ 학생상담을 위해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상담태도 제시

⚫ 학생상담 과정 및 기본 태도, 대화기법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상담매뉴얼

제작

⚫ 지능형 상담시스템 구축의 기초단계로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코너 홈페

이지 제작

❒ 대학생 생애 단계에 특화된 지도체계 구축

⚫ 생애단계별 상담 프로그램 개발

⚬ 생애주기별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건강한 캠퍼스 구축을 위한 상담 프로

그램 구축

⚬ 배려 대상자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방안 수립

⚬ 학생상담센터의 운영방식 개선과 상담센터 운영 및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 성적우수자를 위한 진로설계 컨설팅

⚬ 공기업의 NCS 기반 채용방식 등 취업환경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저학년(1 ~ 2학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진로설계와 취업준비를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 목표기반의 자율형 학습프로그램 운영

⚬ 학부생 1명이 지도교수 1명, 대학원생 2명(상담 전공 대학원생 한명 포함)과

팀을 이루어 상담 진행(지도교수 상담, 진로·적성 탐색 등) 및 학습프로

그램 주요 내용(학습계획, 학습 내용의 구조화 방법 및 학습 기술 전수

등)을 자율적으로 설계·운영

⚬ 직전학기 대비 성적 20% 이상 향상을 목표로 자율적으로 설정

❒ 다면적 학생 멘토링(영역허물기)

⚫ Cross 멘토 네트워크 구축

⚬ 멘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멘토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한 뒤 멘티 매칭

⚬ 멘토-멘티와의 팀모임을 통해 팀별 공동목표 및 멘토와의 라포형성 및 진로

방향 설정 도움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47

계명대학교

⚫ 교수 상담코칭 프로그램 운영

⚬ 교내 교원을 대상으로 학생상담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실습 위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 학생상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코칭 집중

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효율적인 상담방법에 대한 안내

⚬ 자신-타인의 이해 및 피드백 제공 등 다양한 활동으로 자기성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학생상담에 대한 이해 및 실질적 상담

방법 터득

◉ 주요 추진 내용

❒ 찾아가는 지능형 학생 상담 체계 구축

[그림 Ⅱ-3-5] 지능형 One-Stop 학생상담 체계 구축

⚫ 지능형 One-Stop 상담 시스템의 연계 상담 실시

⚬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코너에서 교수학습개발센터, 보건진료센터 등의

기관으로 연계 상담 실시

⚬ 지도교수 및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6300 One-Stop 학습컨설팅코너로 연계

상담 실시

⚫ 신입생 대상 U&I 진로탐색검사 실시 및 진로지도 시행

⚬ 신입생의 진로성격, 진로흥미, 진로성격과 진로흥미 간의 적합도, 진로 성

숙도를 파악하여 개인별 맞춤형 진로지도 시행

⚫ 단대별 찾아가는 심리검사 실시

⚬ 각 단대 로비 및 강의실에서 U&I 학습유형검사 실시 및 해석을 통해 학습

유형 파악 및 학습 능력 향상 도모

계명대학교

48

계명대학교

⚫ 교육동영상을 통한 교수의 학생상담 기법에 대한 교육 실시

⚬ 학생상담의 필요성, 상담기법 및 상담사례를 제시하는 교육동영상을 교수

학습개발센터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 제공

[그림 Ⅱ-3-6] 지능형 One-Stop 상담시스템

❒ 대학생 생애 단계에 특화된 지도체계 구축

⚫ 성적 우수자를 위한 진로설계 컨설팅 캠프 운영 첨부 3-2-1 p.24

⚬ 커리어로드맵을 활용한 진로설계 및 목표설정, 시간관리, 기업이해, 취업

준비 프로그램 운영(1박 2일)

⚬ 성적우수자의 자신감 향상과 조기 진로설정 도모

⚫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동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첨부 3-2-2 p.24

⚬ 학사경고자와의 전화상담을 통해 학사경고 이유 탐색 및 프로그램 홍보

⚬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대처, 자신감 향상, 학업에 대한 이유 점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8회기(16시간)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기 강화를 위해 학업동기화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과제를 제출한 학생은 교양 학점 1학점 부여

⚬ 학사경고자 및 학업부진학생의 학업동기 강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개발

및 성적 향상 도모

⚫ Dream 설계 프로젝트 진로발달 단계별 진로 워크숍 실시

⚬ 진로탐색, 진로의사결정, 진로관리의 진로발달 단계별 워크숍 실시

⚬ 진로 및 학습에 대한 자기이해 증진을 위해 성격유형검사와 학습유형검사

결과를 활용한 워크숍 실시

⚬ 단계별로 차별화된 개입을 통해 진로 목표 설정과 학교생활 설계 도모

⚫ Dream 설계 프로젝트 수요자 맞춤형 진로 집단상담 실시 첨부 3-2-3 p.25

⚬ 다양한 진로 고민에 대해 소규모 다회기 프로그램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직업카드 등 다양한 교구를 사용하여 진로 탐색 활동 실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49

계명대학교

⚫ 생애 주기별 목표기반의 자율형 학습 프로그램 운영

⚬ 대학 생활 주기별(신입생, 복학생, 재학생) 적합한 상담매뉴얼 개발

⚬ 지도교수 상담(1회 이상), 학습도우미 및 상담자와의 만남(각 10시간 이상)을

실시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 향상 도모

[그림 Ⅱ-3-7] 대학생 생애단계별 지도체계 구축

❒ 다면적 학생 멘토링(영역허물기)

⚫ Cross 멘토 네트워크 운영 첨부 3-2-4 p.26

⚬ 교수뿐만 아니라 직원과 졸업생 멘토로 확대하여 다양한 분야의 멘토 네트

워크 구축

⚬ 팀 구성을 2:2 또는 1:1로 다양화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인 멘토링 운영

⚫ 교수 상담코칭 프로그램 운영

⚬ 다양한 학생상담 주제를 다루기 위해 위기상담, 학생상담 주제별 접근방법,

긍정심리학, 미디어 중독의 신규 프로그램 개발‧운영

⚬ 워크숍 개설 횟수의 증가 및 신규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한 참여자 수 확대

⚫ 소수집단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유학생 멘티와 재학생 멘토 네트워크를 통해 학교생활 적응 도모

⚬ 장애학생 멘티와 재학생 멘토 네트워크를 통해 학교생활 만족도 제고

⚬ 편입생 선후배 간 멘토링을 통해 학교생활과 진로에 대한 정보 제공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 운영

⚬ 외국인 유학생의 학교 적응도와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활, 학업, 진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상담서비스 요구에 대해 실태조사 실시

⚬ 외국인 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워크숍 개최

⚬ 유학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센터에서 열린 상담실 운영

계명대학교

50

계명대학교

◉ 추진 방법 및 전략

⚫ 맞춤형 학생지도 및 학생상담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상담센터 역할 확대

⚫ 타 대학 상담시스템 구축사례를 벤치마킹하여 학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EDWARD 시스템 구축과 상담센터 상담원 확충을 통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상담 및 지도프로그램 관리

4차년도 추진 계획3-2-2

◉ 계획 수립 배경

❒ 찾아가는 지능형 학생 상담 체계 구축

⚫ 6300 학습컨설팅 코너, 교수학습개발센터, 취업지원팀, 교무‧교직팀을 방문한

학생의 문제에 따라 타 부서로 연계상담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

⚫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진로 심리검사 실시 및 진로 지도를

지속하는 것이 필요

❒ 대학생 생애 단계에 특화된 지도체계 구축

⚫ 대학생 생활 주기별 학습 및 진로프로그램 지속적 운영 필요

⚫ 학업동기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를 위한 다면적 지원 필요

❒ 다면적 학생 멘토링(영역 허물기)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의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

⚫ 다양한 분야의 멘토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학교생활적응 및 진로

설계의 지지체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51

계명대학교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찾아가는 지능형학생 상담체계 구축

Ÿ 지능형 One-Stop 상담시스템의연계 상담 확대

Ÿ 찾아가는 심리검사 및 진로 지도프로그램 실시

One-Stop학생상담건수/교육만족도지수

62.1

대학생 생애단계에특화된 지도체계

구축

Ÿ 학습역량별 진로설계 컨설팅 시행- 성적 우수자를 위한 진로설계 컨설팅 프로그램

-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동기화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Ÿ Dream 설계 프로젝트 시행Ÿ 생애 주기별 학습상담 프로그램운영

One-Stop학생상담건수/FACE역량지수

36.5

다면적 학생멘토링(영역허물기)

Ÿ Cross 멘토 네트워크 운영Ÿ 교수 상담코칭 프로그램 운영Ÿ 소수자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운영

Ÿ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교적응프로그램 실시

교육만족도지수

14.5

합계 113.1

◉ 세부 추진 내용

❒ 찾아가는 지능형 학생 상담 체계 구축

⚫지능형 One-Stop 상담 시스템의 연계 상담 확대

⚬ 6300 One-Stop 학습컨설팅 코너, 교수학습개발센터, 학생상담센터, 취업

지원팀, 교무‧교직팀에서 학생의 수요에 따라 타부서로 연계 상담 확대

⚫신입생 대상 진로검사 실시 및 진로지도 시행

⚬ 신입생의 ‘대학생활과진로설계’ 수업에서 진로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결과를

토대로 진로 지도 실시

⚬ 각 단과대학 건물 로비에 찾아가는 심리검사 부스를 설치하여 신입생 및

재학생에게 심리검사 실시 및 진로 지도

⚫교육동영상을 통한 교수의 학생상담 기법에 대한 교육 실시

⚬ 학생상담의 기법 및 상담사례를 제시하는 교육동영상을 통한 교육 지속

❒ 대학생 생애 단계에 특화된 지도체계 구축

⚫ 성적 우수자를 위한 진로설계 컨설팅 캠프 운영

⚬ 성적 우수자를 위한 진로 설계 및 취업 준비 프로그램 운영

⚫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동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 학사경고자와의 전화 상담 절차에 대한 체계화 실시

⚬ 학업동기화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을 통해 학업성취 향상 도모

계명대학교

52

계명대학교

⚬ 학업동기화 프로그램 참여자의 생활관리를 돕기 위한 도우미 설정을 통해

다면적 지원체계 구축

⚫ Dream 설계 프로젝트 시행

⚬ 진로탐색, 진로의사결정, 진로관리의 진로발달 단계별 워크숍 지속적 실시

⚬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찾아가는 진로 워크숍 실시

⚫ 생애 주기별 목표기반의 자율형 학습 프로그램 운영

⚬ 대학 생활 주기별(신입생, 복학생, 재학생)로 참여자를 모집하여 각 주기별

차별화된 프로그램 실시

⚬ 지도교수 상담, 학습도우미 및 상담자와의 만남을 실시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성적 향상 도모

❒ 다면적 학생 멘토링(영역허물기)

⚫ Cross 멘토 네트워크 운영

⚬ 다양한 분야의 교수, 직원, 졸업생의 멘토 네트워크 지속적 구축

⚫ 교수 상담코칭 프로그램 운영

⚬ 학생상담에 필요한 주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신규 프로그램 운영

⚫ 소수집단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소수집단(유학생, 장애학생, 편입생)을 위한 멘토링 운영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 설계 향상 도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 실시

⚬ 다양한 국가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숍 실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53

계명대학교

교수-학습 지원 체계 개선 계획3-3

추진 개요3-3-1

◉ 교수-학습 지원체계 목표 및 필요성

❒ Teaching Frontier와 Learning Frontier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역량 개발 체계화

⚫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확대 및 교원 경력, 계열별 교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외국인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 개별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제공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강화

❒ 학습자 참여와 상호작용형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환경 확산

⚫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PBL, TBL 등 학습자 참여 및 상호작용형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운영

⚫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 운영 사례 발굴 및 우수 사례 시상

⚫ MOOC, K-OCW 등의 콘텐츠 수업 지원

❒ ‘계명: 에듀「K」션’ 체제의 안정적 기반 구축 및 확산

⚫ 전국 최초로 교수학습처를 신설하여 산하에 교수학습개발센터, e-러닝개발

센터, 교육성과관리센터, 교육선진화사업단을 두고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

그램 지원

계명대학교

54

계명대학교

⚫ 계명 교수-학습 플랫폼 ‘에듀「K」션’ 구축과 운영경험을 타 대학 및 교육

관련 기관에 확산

◉ 주요 추진 내용

❒ Teaching Frontier와 Learning Frontier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역량 개발 체계화

⚫ 신임교원 대상 맞춤형 역량강화 프로그램

⚬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5단계로 구성하여 첫 학기에 3단계의 필수

프로그램과 2단계의 선택 프로그램으로 운영

구분 내용

필수 1단계Ÿ 우리 대학교 임용 전 교무처 주관으로 신임교원 오리엔테이션 실시Ÿ 전자기반 교수-학습 환경, 교수법 관련 프로그램 소개(교수학습개발센터)

필수 2단계(역량개발)

Ÿ 임용 첫 학기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참여 및 이수Ÿ 프로그램과 별도로 첫 학기에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Ÿ 멘토는 10년 이상 재직교원 위촉, 신임교원과 1:1로 연결 후 최소 5회 이상 모임Ÿ 강의촬영 분석 및 컨설팅(Teaching Focus)과 연계하여 신임교원의 강의촬영후 멘토 교원과 교수학습개발센터 수업 전문가의 강의 분석 및 컨설팅 제공

필수 3단계(역량점검)

Ÿ 첫 학기 종료 후 2일간(15시간) 워크숍 형태의 교수법 프로그램 운영

선택 1단계(역량강화)

Ÿ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제공하는 각종 프로그램에 선택적으로 참여Ÿ 임용 후 1년 이내에 한 가지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수역량 강화

선택 2단계 Ÿ 임용 후 지속적으로 자신의 교수역량을 점검하여 부족한 부분 자율적 보완

<표 Ⅱ-3-3>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5단계

⚬ 우리 대학교 임용 후 첫 학기에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시수 3시간을 감면하고 총 6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

⚬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이수 시 총장 명의의 이수증 발급

⚬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이수결과는 상위 직급 승진에 반영하도록

우리 대학교 「교직원 보수 규칙」제4장제17조(승급의 제한)제4항으로 규정화

⚫ 교원 경력/계열별 역량강화 프로그램

⚬ 교수법 특강, 티칭세미나 등을 통한 다양한 교수법 소개

⚬ 방학 중 무박 2일 집중워크숍 형태의 교수능력향상 프로그램 실시

⚬ 자발적 교수커뮤니티의 활성화를 통한 교수법 연구 및 공유 기회 확산

⚬ 이외에도 교비 지원으로 교수법 특강, 테크놀로지 워크숍, 티칭세미나 실시

⚬ 또한, 타 국고지원 사업과의 연계로 교수법 관련 워크숍 운영 및 OCW 강좌

개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55

계명대학교

[그림 Ⅱ-3-8] 교원 경력/계열별 역량강화 프로그램

⚫ 외국인 교원의 교수(Teaching) 역량강화 시스템 구축

⚬ 신임 외국인 교원만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학교에 조기 적응 기회 제공

⚬ 외국인 교원을 위한 티칭세미나 실시 및 테크놀로지 워크숍 실시

⚫ 강의촬영 분석 및 컨설팅 실시 첨부 3-3-1 p.28

⚬ 강의촬영 분석 및 컨설팅 프로그램명을 티칭 포커스(Teaching Focus)로 명명한

후 적극적인 홍보 실시

⚬ 상시 접수하여 실제 강의 현장 촬영 및 컨설팅 지원

⚫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체계적 지원체제 구축 첨부 3-3-2 p.29

⚬ 대학 수업에서 기초학력 수준의 차이로 발생하는 학습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학문분야별 기초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

⚬ 제작한 콘텐츠의 배포를 통하여 관련 전공 학생의 기초학력 증진 도모

⚫ 교수-학습역량강화를 위한 연구 실시 첨부 3-3-3 p.30

⚬ 교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해 신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 및 교원 경력/계열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실시

⚬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실시: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시

⚫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 고도화 및 개발 공모전 실시

⚬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 고도화 사업 실시

- 개인정보보호법 및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른 개인정보 보안 체계 구축과

웹 접근성 문제 해결 도모

계명대학교

56

계명대학교

- 외국인 교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한글/영문 통합 메뉴명 구축

⚬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 공모전 실시

-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한 교원의 수업 자료 축적 및 성찰 유도

- e-티칭포트폴리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질 관리 강화

⚫ e-러닝포트폴리오 개발 확대 및 공모전 실시

⚬ e-러닝포트폴리오 개발 확대를 위한 시스템 활용 교육 실시

⚫ 명강사 초청 학습법 특강(Learning Talk!) 첨부 3-3-4 p.31

⚫ 학습리더양성 집중 워크숍

⚬ 우수학생 대상 무박 2일 워크숍 실시

⚫ 학습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실시

⚬ 외국인 학생을 위한 Learning Mate

⚬ 학습부진 학생 및 학사경고자 학생을 우선으로 지원한 KCTL 학습코칭(개인

및 집단 학습코칭)

⚫ Learning Frontier 양성을 위한 Learning License 제도 도입

⚫ SSP(Study Skill-up Program), 학습노하우 공유를 위한 KCTL 서포터스 운영

❒ 학습자 참여와 상호작용형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환경확산

⚫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운영 확산 첨부 3-3-5 p.32

⚬ 오리엔테이션 실시, Active Learning 개발 가이드북 제공, 운영사례세미나,

수업유형별 개발 컨설팅 실시

⚫ 강의공개 활성화를 통한 선진형 교육 선도

⚬ 지식콘텐츠 공유 시스템, KNOCK(Keimyung Network of Collective Knowledge)를

통한 콘텐츠 공개 활성화

⚫ MOOC, K-OCW 공개강의콘텐츠 활용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확산

⚬ 공개강의콘텐츠 활용 교수-학습 모델 리플릿 제작 및 제공

⚬ 공개강의콘텐츠 활용 교수-학습 모델 운영 지원

⚫ 찾아가는 교수-학습 프로그램 확산

⚬ 단과대학 교수 세미나 및 맞춤형 교수법 프로그램 지원

⚬ 찾아가는 학습법 특강

⚫ 성서-대명캠퍼스 연동형 교수-학습 지원 환경 구축

⚬ 캠퍼스 간 실시간 화상강의 환경 구축으로 교수-학습 프로그램 동일 기회 제공

❒ ‘계명: 에듀「K」션’ 체제의 안정적 구축 및 확산

⚫ ‘계명: 에듀「K」션’ 플랫폼 확산 첨부 3-3-6 p.34

⚬ 타 대학에서 우리 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선진 교수-학습 지원 체계

벤치마킹을 위한 방문 실시

⚬ 우리 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선진 교수-학습 지원 체계의 확산을 위한

외부 사례 발표 실시

⚬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연구 결과를 국내 학술지에 게재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57

계명대학교

◉ 추진 방법 및 전략

⚫ 특강, 세미나, 집중 워크숍, 심포지엄 등 다양한 참여 방법을 통해 교원의

참여 독려 및 우수사례 공유 기회 확산

⚫ 강의촬영 분석 및 컨설팅 상시 운영

⚫ K-OCW, MOOC, SOOC, LOOC, KNOCK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지원시스템

고도화 및 Active Learning 강의실 환경 구축

⚫ 찾아가는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 확산을 위한 성서-대명캠퍼스 연동형 교수-

학습 지원 환경 구축

⚫ ‘계명: 에듀「K」션’ 체제 확산을 위해 교수-학습 관련 전문가 집단을 구축

하여 타 대학 및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컨설팅 실시

4차년도 추진 계획3-3-2

◉ 계획 수립 배경

❒ 1 ~ 3차년도 사업에서 도출된 성과와 제한점을 토대로 사업을 조정

❒ 신임교원역량강화 프로그램 중 멘토링, 강의컨설팅, 집중워크숍 등의 세부

프로그램을 특성에 맞게 분리

❒ 단기, 기간제, 특화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른 운영 차별화

❒ Learning Frontier 양성을 위한 Learning License 제도 구축

❒ 복학생, 외국인 학생 등 소수자 학생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확대

❒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의 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 ‘계명: 에듀「K」션’ 체제의 안정화 및 확산을 위한 노력 지속

계명대학교

58

계명대학교

◉ 주요 내용

◉ 세부 추진 내용

❒ Teaching Frontier 활용 및 교수역량 강화

[그림 Ⅲ-3-9] Teaching Frontier 활용 및 교수역량 강화 방안

⚫ 우수교원인 Teaching Frontier를 통해 차별화된 교수법을 발굴하고 공유하며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권장을 위한 최신 교육기자재 및 프로그램 사용법

안내 강화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Teaching Frontier와Learning

Frontier양성을 위한교수-학습역량개발의

체계화

Ÿ 신임교원 역량강화 세부프로그램특성 강화 및 차별화

Ÿ 개별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성격에맞는 차별화된 운영

Ÿ 교내 우수교원의 Teaching Frontier역할 확대

Ÿ Learning Frontier 양성 활성화Ÿ 다차원적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Ÿ KCTL 학습모형에 따른 학습역량강화프로그램 시행

Ÿ 소수자 학생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연계

FACE 역량지수/교육만족도지수/

교수역량향상지수

147.4

학습자 참여와상호작용형

교수-학습모델 개발및 환경확산

Ÿ Active Learning- 운영지원 내실화 및 새로운 교수법적용 안정화 유도- CTL 홈페이지 내 티칭팁 코너강화로 접근성 높은 정보 제공- 교수학습 인프라 지속적 확대Ÿ 강의콘텐츠 공개 확충 및 공개강의콘텐츠 활용 수업 지원 확대

KNOCK 온라인강의자료공개비율

66.9

‘계명: 에듀「K」션’체제의 안정적 구축

및 확산

Ÿ 계명 교수학습 포럼으로 성과 확산Ÿ ‘계명: 에듀「K」션’ 체제의 안정화Ÿ 각종 성과물 발간 및 확산

계명:에듀「K」션확산건수

104.5

합계 318.8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59

계명대학교

⚫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Learning Frontier 양성을 위한 Learning License 제도 확대

[그림 Ⅲ-3-10] Learning Frontier 양성 방안

⚫ Learning License 제도를 통한 단계별 이수과정(Beginner, Mediator, Coach)

제공으로 프로그램의 체계적 이수 유도 및 Learning Frontier 양성 확대

⚫ 학습자 수준, 특성 및 생애주기별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 기획·운영

⚫ 학습자 수요 및 요구조사 분석을 통한 맞춤형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 외국인 학생, 편입생 및 만학도 등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연계 시행

❒ 학습자 참여와 상호작용형 교수-학습모델 개발 및 환경확산

[그림 Ⅲ-3-11]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환경 확산

⚫ Active Learning 교수-학습모델 지원 방안 개선을 통해 교수-학생 양방향

교육정보제공 형식의 교수-학습법 동시 특강 개최

⚫ 강의콘텐츠 공개 확충 및 공개강의 콘텐츠 활용 수업 지원 확대

⚫ 홈페이지에 Active Learning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Teaching Tip을 개발 및

탑재하여 일반 교원들의 접근성 및 활용도 제고

❒ ‘계명: 에듀「K」션’ 체제 확산

⚫ 계명 교수-학습 포럼 개최를 통한 성과 확산

⚫ 교수-학습 역량강화를 위한 성과 자료 발간 및 타 대학 확산

⚫ 교수지원, 학습지원 백서 발간을 통한 ACE/ACE+ 사업의 성과 정리 및 공유

계명대학교

60

계명대학교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개선 계획3-4

추진 개요3-4-1

◉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개선 목표 및 필요성

❒ 다년간 축적된 교육성과 자료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의 질 관리 및 장단기 교육정책 수립에 활용

❒ 대학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우수 인재를 선발하여 이들을 통한 가시적인 교육

성과 모델 확산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61

계명대학교

❒ 지난 4년간 축적한 교육의 질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교육성과

관리 및 환류 체계 구축을 위해 교육성과관리센터의 조직 확대 및 위상 강화

◉ 주요 추진 내용

❒ 교수활동에 대한 질 관리

⚫ 강의만족도 평가 및 교원업적평가제도 개선

⚬ 강의계획서, 강의소개 동영상, 강의만족도 평가 결과 100% 공개, CQI 작성

⚬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직급별, 특성별 강의만족도 추이 분석 및 환류

⚬ 다년간 강의만족도 추이 분석을 통한 취약 부분 점검 및 교원업적 및 교육

과정 반영 첨부 3-4-1 p.36

⚬ 우수 강의 교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만족도 하위 교원에 대한 업적

반영, 권고문 발송, 교수법 참여 의무 등의 개선 유도 첨부 3-4-2 p.37

⚫ 강의자료 및 강의 공개 확대

⚬ 다양한 방식의 우수 수업 사례 공유 및 성과 확산(우수 수업 모형, 강의

계획서, 강의소개 동영상, 강의평가 결과, KOCW, e-티칭포트폴리오, 일대일

멘토링 등)

⚬ LMS(교수학습시스템), e-티칭포트폴리오, KNOCK를 이용한 강의 자료 및

교수-학습모델 공유

⚫ 교수교육역량 진단 및 컨설팅 확대

⚬ 자체 개발한 교수교육역량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매해 역량 진단 분석

첨부 3-4-3 p.38

⚬ 진단결과는 교육성과 컨설팅과 교수법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학과별 컨설팅

및 피드백 자료로 활용

⚬ 교수법 프로그램 참여 교수의 교육역량 향상도 분석

⚬ 연간 2,500건 이상의 교수법 프로그램 참여 교수들에 대한 교육역량 향상

효과 분석 및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환류

❒ 학생활동에 대한 질 관리

⚫ 교내외 학생 역량 진단 도구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타당성 검토

⚬ 매년 재학생 20%를 유층 표집하여 자체 개발한 「계명학생핵심역량진단

도구」로 대학의 8대 학생핵심역량 진단

⚬ 매년 외부 기관에서 실시하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및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교수-학습과정 조사 (K-NASEL) 등을 통해 타 대학과

비교, 우리 대학 재학생의 역량수준 위치 및 실태 파악

⚫ 학생역량관리시스템 정착 및 빅테이터 기반 구축

⚬ 대학 전체 학사관리 및 행정 관리를 위한 EDWARD 시스템이 2015년에 새로

개통됨에 따라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계명인재역량관리시스템

(COMpass K)과 K-STAR 인증시스템을 통합하고 e-러닝포트폴리오시스템과

연계하여 안정적인 학생역량관리시스템 완성 첨부 3-4-4 p.38

계명대학교

62

계명대학교

⚬ 학생역량관리시스템의 통합에 따른 입학에서 졸업까지 개별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역량 관리 시스템 정착 및 빅데이터 기반 구축

⚬ 전체 재학생이 EDWARD 시스템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의 8대 핵심역량

및 FACE 인증 점수 조회, 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보안 강화

⚬ COMpass K의 양적 자료를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자동 연계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역량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이를 통해

K-STAR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 학생들의 활용률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 및 이용자 교육 확대 실시

[그림 Ⅱ-3-12] 역량기반 우수 인재 선발을 위한 K-STAR 인증제

⚫ 학생 핵심역량관리 및 우수 인재 발굴을 위한 K-STAR 인증제 성과 환류

⚬ K-STAR 인증 대상자에게 인증서 및 장학금 지급

⚬ FACE 역량 우수 장학금을 신설

⚬ 학생역량관리 및 K-STAR 인증제의 안정적인 정착 및 교내 확산을 위하여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63

계명대학교

K-STAR 인증제 이용자 교육, K-STAR 인증제 홍보행사, K-STAR 리더십

프로그램 실시 첨부 3-4-5 p.39

⚬ 신입생 필수 교과목인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취창업과자기계발’ 등 교과목과

연계하여 저학년부터 효과적인 역량 관리를 위한 이용자 교육 확대

❒ 교육의 질 관리 모델 확산

⚫ 교내 재학생 만족도 조사 첨부 3-4-6 p.39

⚬ 2004년부터 매년 전체 재학생 대상 교육만족도 조사 실시

⚬ 6개 주요 영역별 만족도 점수 산출, 단과대, 학과별, 하위변인별 분석

⚬ 학과별 보고서 배부, 각종 보고회,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환류, 결과보고

⚬ 신입생 실태조사, 신입생 심리검사,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자료로 활용

⚫ 교외 수요자 만족도 조사

⚬ 졸업생, 기업체, 고교 교사, 학부모 대상 수요자 만족도 조사 매년 실시

⚬ 부서별 중복되는 기업체 수요자 만족도 조사를 통합하여 예산 및 노력 절감

⚫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의 지속적 실시 및 질적 분석 추가

⚬ 재학생 교육만족도에 관한 질적 분석 연구를 통해 기존의 정량적 교육

만족도 결과를 보완하고 종합적으로 분석

⚫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개선 구축

⚬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와 질 관리를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개선 구축

⚬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을 EDWARD 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교내 전체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설문조사 및 질 관리

⚫ 교육성과 환류 및 맞춤형 컨설팅 확대를 통한 교육의 질 관리 모델 확산

⚬ 교수회의, 팀장, 학생회 간부 대상 보고회, 교육성과동향보고(홈페이지) 및

보고서 배부

⚬ 행정부서/단과대학/국책사업단별 맞춤형 컨설팅 및 자료 분석 서비스 실시

첨부 3-4-7 p.40

⚬ 타 대학 교육성과관리부서 실무자간 협조 체제 구축 및 공동 행사 개최

⚫ 대학 교육의 질 관리 모델 확산을 위해 교육성과 연차보고서인 「교육수요자

만족도 및 학부교육실태 종합분석」 발간

⚫ 대학 전반의 교육성과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IR 전담 기구로서 ‘교육성과

관리센터’의 위상 및 기능 확대

⚬ 2명 이상의 박사급 연구 인력 추가 채용을 통한 전문적인 연구 기능 확대

⚬ 교내외에서 실시되는 모든 조사 업무의 계획과 실행, 환류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

계명대학교

64

계명대학교

◉ 추진 방법 및 전략

⚫ 교육의 질 관리를 담당하는 IR(Institutional Research) 주관 부서로서 교육성

과관리센터의 역할 및 위상 강화

⚫ 엄격한 수업관리, 다면적 교원업적평가제도, 강의평가결과 분석, 교수교육역량

진단, 학과평가시스템 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교수 활동의 질 관리 강화

⚫ 계명인재역량관리시스템(COMpass K), K-STAR 인증제, e-LP시스템을 EDWARD

시스템으로 통합, 교과 및 비교과활동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생역량관리

⚫ K-STAR 인증제를 통해 우수 인재를 지속적으로 발굴․육성

4차년도 추진 계획3-4-2

◉ 계획 수립 배경

❒ 축적된 질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교수활동 분석 및 교수역량 개발 방안 필요

❒ 7년간 ACE+사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구축 및 종단연구 필요성 증대

❒ 학생역량 및 교육성과의 통합적인 진단-분석-환류 체제 구축 필요

⚫ 대학 구성원 역량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IR 조직의 위상강화 및 역할 증대

⚫ 대학 인재상 기반 우수 인재의 발굴 및 활용으로 교육성과 확산 모델 정착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교수활동 질관리 강화

Ÿ 우수 교원 교육 성과 공유 확대(수업,강의계획서, 강의만족도, 수업자료, e-티칭포트폴리오, 멘토링)

Ÿ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직위별, 특성별강의만족도 추이 분석 및 환류 지속

Ÿ CQI, 강의만족도 및 교수교육역량 진단도구의 진단 기능 개선 연구

Ÿ 교수법 참여교수의 교육역량 향상도 분석

교수역량향상지수

4.3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65

계명대학교

◉ 세부 추진 내용

❒ 교수활동 질 관리 강화

⚫ 우수 수업 사례 및 교수-학습 모델 공유

⚬ 우수 수업모형, 강의 계획서, 강의소개 동영상, e-티칭포트폴리오, 멘토링,

KNOCK, KOCW 등 강의자료 공유 및 교육성과 확산

⚫ 강의만족도 평가 및 교원업적 연계 강화

⚬ 강의만족도 평가, CQI 개선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교육의 질 관리

⚬ 우수 교원 보상 및 만족도 하위 교원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 교수교육역량 진단을 통한 지속적 교육역량 관리

⚬ 교수교육역량 자가 진단을 통해 수업의 질 개선 및 강의만족도 제고

⚫ 외국인 교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특별 연구 수행

⚬ 외국인 교원 지원체제 효율화 및 교육역량 강화 방안 수립을 위한 특별

연구 수행

⚬ 외국인 교원의 교육역량 강화를 통해 교수-학습의 효과성 향상, 강의만족도

제고

❒ 자기주도형 학생역량관리시스템 정착

⚫ 계명인재역량관리시스템(COMpass K)을 통해 입학에서 졸업시점까지 학업

경험과 활동업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학생역량관리시스템 정착화

⚬ 학생들의 참여 제고를 위한 홍보 및 이용자 교육 확대 실시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자기주도형학생역량관리시스템 정착

Ÿ 계명학생역량관리시스템(COMpass K, e-LP,K-STAR 인증제)의 안정적 운영 및 확대

Ÿ 각종 학생 역량 진단 도구 기능 개선연구

Ÿ 축적 학사정보, 학생핵심역량, 교육성과통합 빅데이터 구축 및 환류 체제 활성화

FACE역량지수/교육만족도지수

55.0

질 관리모델의 확산

Ÿ 교육성과관리센터 IR 전담 기구화로 역할강화

Ÿ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의 지속적 실시및 질적 분석 추가

Ÿ 비교과 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Ÿ 대학 교육의 질 관리 모델 확산을 위한『교육성과연차보고서』 발간

Ÿ 찾아가는 맞춤형 컨설팅 지속적 실시Ÿ 교내외 교육성과관리 실무자간 교육의 질관리 협조 체제 구축 및 공동 행사 개최

계명:에듀「K」션확산건수

105.2

합계 164.5

계명대학교

66

계명대학교

⚫ K-STAR 인증제 운영 내실화

⚬ K-STAR 인증제 안내교육 상시 진행 및 홍보행사 확대 실시

⚬ K-STAR 인증학생 대상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

⚬ K-STAR 인증제 운영 결과 보고서 및 학생 수기집 제작을 통한 성과 확산

⚫ 학생역량 진단 도구 개선 및 학생실태 조사

⚬ 자체 개발 학생역량진단도구를 활용하여 계명학생역량진단 및 결과 환류

⚬ 교외 기관 주체 학생역량진단 조사 (K-CESA), 학부교육실태 조사(K-NSSE)

참여

⚫ 다년간 구축된 빅데이터 활용, 학생역량 및 특성 분석 위한 종단 연구 수행

⚬ 2014년도 입학생 대상으로 1학기부터 7학기까지 학업성취도 종단 분석

⚬ 학업성취도의 변화 측정 및 예측을 위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 질 관리 모델의 확산

⚫ 교외수요자 만족도 조사

⚬ 교외수요자(졸업생, 산업체, 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 파악을 통해

교육과정 개선자료로 활용

⚫ 대학교육 만족도 분석

⚬ 매년 대학교육 서비스에 대한 학생 만족도와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교육

만족도 제고 및 교육의 질 관리

⚫ 비교과 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 EDWARD 시스템의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통계 처리 방식을 개선

하여 효율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데이터 처리 환경 구축

⚫ 교육성과 확산 및 컨설팅

⚬ 교육의 질 관리 모델 정착 및 교육성과 확산을 위한 「교육수요자 만족도

및 학부교육실태 종합분석」 연차보고서 발간‧보급

⚬ 단과대학 및 학과, 행정부서에 보고서 배부, 교육성과 보고회 개최, 부서

및 단과대학별 맞춤 방문 컨설팅 등을 통해 교육성과 결과 소통 및 의견

수렴, 대학 구성원의 교육책무성 인식 제고

⚬ 교육성과 분석 및 질 관리 담당자 대상 교수-학습 질 관리 포럼 개최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67

계명대학교

학부교육 여건 개선 계획3-5

추진 개요3-5-1

◉ 학부교육 여건 개선의 목표 및 필요성

❒ 학부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급격한 변화

⚫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식정보화 시대 등으로 인해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급격한 변화

⚫ 전통적 학문 영역과 지식 전수 위주 교육의 한계점 노출로 인해 학부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 증대

❒ 학부교육 환경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 증대

⚫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 간의 무한경쟁으로 인해 질 높은 교육 환경과

지원에 대한 요구 증대

⚫ 융복합 교육과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합하는 교육환경 제공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증대

⚫ 전공교육, 교양교육, 비교과교육 등의 교육 다변화와 학생지도 및 성과 관리에

대한 체계적 정보 제공의 필요성 증대

계명대학교

68

계명대학교

◉ 주요 추진 내용

❒ 교육제도 개선

⚫ 융복합 교육과 산업수요를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운영과 연구작업을 위해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 및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 운영

⚫ 사회수요 및 산업 변화에 대응하고 인문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 교양 교과목과 전공 교과목의 강의 개선 및 제반사항을 총괄하기 위한 강의

개선위원회 구성 및 운영

⚫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방향에 부합하고 수요자 요구가 반영되는 교양 및 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사운영 내규 제정 첨부 3-5-1 p.41

⚫ 산업체수요조사 기반 기업체 맞춤형(채용 조건부)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으로 취업경쟁력 향상

❒ 시스템 개선

⚫ 비교과프로그램 전산체계, COMpass K 관련 업무 등 교육지원 체계 업데이트

⚫ 교내 구성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대표 홈페이지 리뉴얼

⚫ 학사관리의 효율성 제고 및 공정한 출결관리와 강의진행을 위해 전자출결

시스템 안정화

❒ 교육환경 개선

⚫ 학제간 융합, 연계전공과목 운영을 고려한 교육공간 리모델링

⚫ 학생 교육중심, 창작활동 등을 위한 교육공간 조성

⚫ 장애인 시설 보완으로 장애인 학생 학습활동 보장

⚫ 충분한 기숙사 시설을 제공하여 쾌적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향토

생활관 신축

⚫ 스마트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교육 기자재 구입 및 설치

◉ 추진 방법 및 전략

⚫ 교육과정연구위원회를 상설운영 하여 유연한 교육제도 도입

⚫ 학생-행정-연구 등을 총괄하는 EDWARD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정보 제공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한 영역허물기와 확산

69

계명대학교

⚫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합하는 교수 학습 환경 개선

⚫ 학생 복지와 편의를 중심에 둔 캠퍼스 환경 개선

4차년도 추진 계획3-5-2

◉ 계획 수립 배경

❒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방향에 부합하고 수요자 요구가 반영되는 교육과정 개선

❒ EDWARD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개선 및 활용 방법 안내

❒ 교수학습환경 및 학생 복지시설의 지속적 개선 (시설환경개선비는 교비 충당)

◉ 주요 내용

구분 세부 사업 주요 내용 관련 성과지표명금액(백만원)

4차년도(‘18.3.~’19.2.)

교육제도 개선

Ÿ 교육과정연구실무위원회 운영Ÿ 융복합교과목개발위원회 운영Ÿ 강의개선위원회 운영Ÿ 전공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개선Ÿ 산업계및사회수요반영교육과정개선

영역허물기교육과정 운영건수

-

시스템 개선Ÿ EDWARD 시스템이 교내 교육, 행정요구에 최적화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 업데이트

교육만족도지수

교육환경 개선Ÿ 캠퍼스 환경개선(향토생활관 신축포함

Ÿ 기계기구 및 기자재 구입 등교육만족도지수 17,021

합계 17,021

◉ 세부 추진 내용

❒ 교육제도 개선

⚫ 수요자 중심의 꾸준한 교과목 개발 모델 연구 실시

⚫ 융합전공 및 연계전공 운영을 통한 융합교육 활성화

⚫ 기업체 맞춤형 융합전공 운영 확대를 통한 취업경쟁력 강화

⚫ 사회수요 조사, 교육만족도 조사, 강의만족도 평가, 학과평가 결과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선과 환류체계 운영

❒ 시스템 개선

⚫ 교내 구성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EDWARD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하고 활용 방법 홍보 및 안내

❒ 교육환경 개선

⚫ 공학관, 체육관 등 교육환경 개선

⚫ 학생 학습활동 지원을 위한 공간 확충

⚫ 창의적 국제인 양성을 위해 International Lounge 공간 개선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