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itory.krei.re.krrepository.krei.re.kr › bitstream › 2018.oak › 20980 › 1... ·...

137
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위촉전문연구원 위촉연구원 위촉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05-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야생화를 활용한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기술개발 전략

민 경 택

정 호 근

구 자 춘

김 명 은

임 철 균

연 구 위 원

부연구위원

위촉전문연구원

위촉연구원

위촉연구원

C2014-23 | 2014. 5.

연구 담당

민경택정호근구자춘김명은임철균

연구위원부연구위원위촉전문연구원위촉연구원위촉연구원

연구 총괄, 제1,2,3,4,6장 집필제6장 집필제5장 집필제2장 집필제1,3,4장 집필

머 리 말

국민 소득이 높아지면 꽃 소비도 증가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훼 산업도

크게 성장하여 연간 생산액이 1조 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꽃의 대

부분이 장미와 백합 등 외국에서 개발되어 도입된 원예품종이고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다.

우리나라에는 원래 다양한 식물자원이 서식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상품성 높

은 종들도 많다. 우리 자신이 자생식물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동안

다른 나라에서 우리 자원을 가져다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 야생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매우 다행스런 일

이다. 야생화의 소박한 매력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야생화를 활용

한 예술·취미 활동, 농산촌마을 가꾸기 등 새로운 관점에서 야생화를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우리 자생식물에는 약리 성분도 풍부하여 생물기술을 응용

하면 앞으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

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기술개발과 상품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우리 야생화 자원의 산업화를 목적으로 국내외 활용가능한 사례

를 살펴보고 야생화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 많은 조언을 해 주신 야생화 생산자, 설문조사에

응해준 분들께 감사드린다. 아무쪼록 이 연구결과가 우리 야생화에 대한 국민

관심을 환기하고 야생화 생산이 우리 농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잡는 데 기

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4.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iii

요 약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악지형이 많아서 국토 면적에 비하면 매우

풍부한 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야생화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미흡하여 상품화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오히려 해외에서 우리 식물자원

을 활용하여 상업용 품종으로 개량, 역수입되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 향상, 꽃과 자연에 대한 국민의식 증가, 자연 치유에 대한 관

심 증가로 우리 야생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우리 야생화를 정원소재,

조경재, 취미소재, 문화관광자원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여 산업화한다면 외래

원예품종에 지불하는 로열티를 절약할 수 있고 임업인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꽃이 작고 소박한 야생화는 절화로 이용되는 비율이 낮아 도시 조경

용과 정원용에 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야생화 산업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는 정원문화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야생화를 문화·관광·산업 자원으로 개발하여 산업화

하고, 나아가 정원문화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

해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야생화 생산 현황, 야생

화에 대한 국민의식을 각각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야생화 산업을 둘러싼

SWOT 분석을 실시하고, 야생화 산업화와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국

립수목원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야생화 활용 분야와 정부의 지원 체계를 파악

하였다. 국내에서는 공간디자인, 꽃 예술, 가공제품(화장품, 음식재료, 약재), 지

역문화와 축제의 소재로 야생화가 활용되고 있었다. 미국의 커뮤니티 가든과

공공농장, 일본의 꽃 테마 가든, 유럽의 꽃축제와 농산촌 관광 등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보다 앞서 있는 야생화 저변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세

부 정책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야생화 생산량은 2009년 이후 꾸준히 늘고 있으며, 2012년에는 전

iv

년보다 조금 줄어든 약 312억 원의 생산규모를 형성하였다. 1조 원 규모의 화

훼 시장에 비한다면 야생화 생산액은 매우 작다. 야생화 생산자들은 생산과정

에서 노동력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야생화 생산은 다품목

소량 생산체제, 생산기술의 불균형, 판로 부족, 소비자 인식 부재 등 생산, 유

통, 수요, 수출 전반에서 산업화에 취약한 구조이다.

전국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

하였다. 야생화의 구매빈도는 일반 식물과 화훼류보다 낮았으며, 경재재로 인

정받지 못하고 있다. 장미, 프리지어, 튤립 등 일반적인 화훼품종과 경쟁력에서

상대적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은방울꽃, 금낭화, 할미꽃, 돌단풍 등

은 기타 외래종과 견주어서 경쟁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생화를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 ‘키우기 어려울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야생화 선

택에서 관리 용이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야생화를 활용한 미용품과 음

식품에 대한 접촉 빈도가 높고, 응답자의 80%는 꽃을 주제로 한 축제에 방문한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야생화 자체만으로 산업화 소재로 활용하기에

부적합함을 보여준다. 야생화 산업화는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뒷

받침 하는 기술개발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이상의 수집 자료와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SWOT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립수목원의 기술개발 전략, 즉 정책수단을 개발하였다. 본 전략은

4대 전략목표(①야생화 조사연구 증진, 보급 인프라 확대, ②정원문화 확산 인

프라 구축, ③생활주변 야생화 조성 및 정원문화 확산, ④야생화 및 정원문화

산업화기반 구축)와 14개 세부목표(①-1. 야생화 자원 정보 조사·연구 강화, ①

-2. 야생화 보급·교육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 ②-1. 모델정원 개발 및 관리기술

체계화, ②-2. 공공정원 조성, ②-3.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③-1. 생활공

간에 야생화 식재 확대, ③-2. 정원가꾸기 범국민운동 전개, ③-3. 국내외 한국

정원 조성 및 사후관리체계 강화, ④-1. 야생화 기능·생산·종자 연구로 고부가

가치 창출, ④-2. 야생화 특화 생태관광 상품 개발, ④-3. 야생화 생산자 육성,

④-4. 정원식물 소재 개발 및 전후방 산업 육성, ④-5. 스토리텔링으로 문화상

품 개발, ④-6. 실생활 이용가능한 상품개발 및 꽃예술 보급)로 구성되며, 2014

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단계적으로 추진되도록 설계하였다.

v

ABSTRACT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 to Industrialize Wildflower and Expand Gardening Culture

Wildflowers are plants growing wild, meaning they are not intestinally seeded or planted. Characterized by typical four seasons and lots of mountain area, Korea has various wildflowers considering relatively small land size. However, lacking systematic survey and research, it hasn’t utilized such affluent natural resources. Rather, the commercialized breeds based on domestic wildflower resources developed overseas are imported.

As income growing, peoples’ interest on nature and natural healing grows, and the interest on wildflowers as well. If we can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in areas of gardening, landscaping, hobby and sightseeing, we can not only save the money being paid for imported flower species but also benefit the farmers with better income. Especially, small and artless wildflowers have lots of potentials in urban landscaping and garde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step by step policy schemes to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and to expand garden culture. For this, we search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o commercialize wildflowers, surveyed the members of the Native Plants Growers Association to understand the supply side, and surveyed the people to know the demand side.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the followed SWOT analysis were used in developing policy schemes of the National Arboretum to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and to expand garden culture.

Domestically wildflowers are used for space design, flower arts, processed products (cosmetics, food, and medicine), local culture and festivals. From the survey on community garden and public farm in the US, flower theme garden in Japan, and various flower festivals in Europe we could identify much broad wildflower usages and supporting policies. From the survey on producers, we verified the obstacles in wildflower industry growth. They include shortage of labor; small business size with various products; lacks in production technique; limited markets; and lacks in consume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demand side, people purchase

wildflowers less often than other plants or flowers. People perceive that wildflowers are difficult to grow. More than 80% of people have experienced flower festivals. Among the processed products using wildflowers cosmetics and foods are most common to people. In flower market, most of wildflowers are less competitive than rose, freesia, and tulips. Though small number of wildflowers such as lily of the valley, dicentra, Korean Pasque Flower, aceriphyllum rossii has some potential to compete with exotic species.

The policy schemes have two hierarchies, which are four basic targets and the fourteen actions to reach the targets. The four basic targets are ①more field research, expansion of supply infrastructure; ② building the infrastructure to expand garden culture; ③ making the wildflower area closely; ④ building the industrializing foundation of wildflower and garden culture. The actions underneath the first target are 1) strengthening the survey and research on wildflower resource information; 2) strengthening the infrastructure to supply and educate wildflower. The actions to reach the second target are 3) developing the garden model and organizing the management skill; 4) forming public gardens; 5) developing and providing garden education program. The actions for the third target are 6) more planting wildflowers in living area; 7) composing a national movement to garden; 8) building and managing Korean style gardens in domestic and overseas. The actions for the last target are 9) creating the value from the research on efficacy, seed, and production of wildflowers; 10) developing a sightseeing item specialized for wildflower; 11) more wildflower growers; 12) promoting the downstream and upstream industry of wildflower; 13) more cultural interest with storytelling; 14) developing easily usable wildflower related products and easily applicable flower arts. The whole plan of policy schemes is structured to proceed from 2014 to 2018 during 5 years.

Researchers: Kyung-Taek Min, Ja-Choon Koo, Ho-Gun Chong, Myeong-Eun Kim, Chul-Kyun YimResearch period: 2014. 4. - 2014. 5.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vii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방법과 범위 ···························································································5

제2장 우리나라 야생화 자원의 현황

1. 우리나라 자생식물 현황 ··············································································7

2. 야생화의 생산과 유통 ··················································································9

제3장 야생화(식물자원) 활용의 사례

1. 공간 디자인 ·································································································21

2. 꽃예술 소재 ·································································································23

3. 꽃을 이용한 가공제품 ················································································26

4. 지역축제와 문화 ·························································································31

제4장 해외의 야생화 활용 및 정원문화 사례

1. 미국 ··············································································································35

2. 일본 ··············································································································41

3. 유럽 ··············································································································47

제5장 야생화 및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1. 조사개요 ······································································································55

2. 조사결과 ······································································································56

3. 시사점 ··········································································································85

viii

제6장 야생화의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방안

1. 여건분석(SWOT 분석) ···············································································87

2. 기본방향 ······································································································91

3.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정책과제 ·······························································92

4. 세부 기술개발 전략 ··················································································103

부록

1. 조사표 ········································································································109

2. 통계 검정 결과 ·························································································116

3. 야생화 자유연상 결과 ··············································································117

4. 야생화 꽃 이름 연상 ················································································120

참고 문헌 ·······································································································121

ix

표 차 례

제2장

표 2-1. 국가표준식물현황 ··············································································8

표 2-2. 야생화의 생산량 및 생산액 추이 ··················································10

표 2-3. 야생화 생산의 경영유형 ·································································12

표 2-4. 야생화 생산실태조사 설문내용 ······················································13

표 2-5. 규모별 조사 농가 분포 ···································································14

표 2-6. 지역별 주요 생산품종 ·····································································14

표 2-7. 규모별 재배자의 수익 및 공급 전망 ············································16

제3장

표 3-1. 꽃예술 소재로 이용가능한 자생식물 ············································24

표 3-2. 한국의 식용 꽃과 조리 ···································································28

표 3-3. 약재로 활용된 야생화 ·····································································29

표 3-4. 야생화를 테마로 하는 지역축제 ····················································32

표 3-5.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 꽃 축제 ······················································33

제5장

표 5-1.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56

표 5-2.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식물 보유 여부 비교 ··········58

표 5-3. 가구당 보유 식물 현황 ···································································61

표 5-4. 야생화를 구입하지 않은 이유 ······················································66

표 5-5. 야생화 구입 종류 ············································································67

표 5-6. 연간 품목별 식물 구입 빈도 ·························································68

표 5-7. 품목별 구입 이유 ············································································69

x

표 5-8. 품목별 구입처 ··················································································69

표 5-9.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70

표 5-10. 품목별 구입 시 주요 고려 사항 ··················································71

표 5-11. 다중회귀식 추정 결과 ···································································74

표 5-12. 실험에 사용한 꽃 목록 (가나다 순) ···········································77

표 5-13. Bradley-Terry 모형 추정 결과 ·····················································78

표 5-14.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81

표 5-15. 축제별 방문 빈도 ··········································································82

표 5-16.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의 추진전략 ·······························83

표 5-17.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84

제6장

표 6-1. 야생화 산업화에 대한 SWOT 분석 ··············································90

표 6-2. 자생식물 분포조사 및 정보화 기술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4

표 6-3. 자생식물 수집 및 보전기반 구축 일정 및 추정 연구비 ··········105

표 6-4. 자생식물의 산업적 이용기술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105

표 6-5. 자생식물 인식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6

표 6-6. 전시원 조성 및 가드닝 매뉴얼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107

x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6

제2장

그림 2-1. 주요 야생화 품종별 생산량 ··························································11

그림 2-2. 경영상 애로사항 ············································································18

제3장

그림 3-1. 압화를 이용한 장신구 ·································································25

그림 3-2. 꽃비빔밥 ························································································27

제4장

그림 4-1. 뉴욕의 공공농장 ··········································································37

그림 4-2. 시카고의 루리 가든 ·····································································38

그림 4-3.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에서 출판하는 잡지 ····39

그림 4-4.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의 가상 투어 ···············40

그림 4-5. 자생 나리류와 기타 식물들로 꾸며놓은 하나카이로 ··············42

그림 4-6. 카모 꽃 창포원 ············································································43

그림 4-7. 유시엔 ···························································································44

그림 4-8. 일본 도매 및 소매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자생식물 ············46

그림 4-9. 퀴켄호프 플라워 쇼 ·····································································49

그림 4-10. 스위스 야생화 투어 관련 자료 ················································51

그림 4-11. 이태리의 야생화 트레킹 관광 안내 ········································52

제5장

그림 5-1. 가구당 보유 식물 현황 ·······························································60

그림 5-2. 연령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64

그림 5-3. 소득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64

그림 5-4. 주거형태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65

그림 5-5. 거주형태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65

그림 5-6. 최근 1년 동안 야생화 구입 종류 ··············································67

그림 5-7. 품목별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 ··················································72

그림 5-8.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 ····················································73

그림 5-9.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과 소득의 관계 ·························75

그림 5-10. 선호도 순위 결과 ·······································································79

그림 5-11. 경합에서 더 선호될 확률의 열지도 ········································80

제6장

그림 6-1. 야생화 산업화의 추진과제와 목표 ··············································91

1

제1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연구의 배경

야생화(자생식물)는 본래 산과 들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자연 상태 그대로 자

라는 식물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 본다면 원래부터 그곳에서 살아온 토착식물

을 의미하는 것이겠지만 넓게 보아 외국에서 도입된 식물도 오래 전부터 이곳

에 적응하여 살고 있다면 자생식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물자원은 전

통적으로 약재와 식자재로써 이용되어 왔고 우리 국토의 산과 들을 꾸미면서

우리 민족의 삶과 애환을 함께하여 왔다. 이 때문에 야생화는 우리 국민의 정

서적 친근감이 높은 대상이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악지형이 많아서 국토 면적에 비하면 매우

풍부한 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식물자원의 종류가 많은 것에 비하

면 이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는 미흡하여 식물자원을 상품화하는 데에

는 이르지 못하였다. 우리 생활에 장미와 튤립 등 외래 원예종이 자리잡은 지

2

오래 되었고 주택·도시의 조경에도 외래 원예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추진하는 과정에 서식처를 잃어 사라진 야생화도 적지 않다. 우리

나라에서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에 대한 관심이 소홀한 동안 해외에서 우리의

식물자원을 가져다가 상업용 품종으로 개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개발된

품종은 세계 시장에서 호평 받으며 국내에 역수입되기도 한다.

최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꽃과 자연에 대한 국민의식이 변하고 치유(힐링)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 고유의 야생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야생화는 화려하지는 않아도 자연스러운 멋이 있어 우리 정서와도 부합하여

동호인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를 살려 우리 야생화를 산업화한다면 외

래 원예품종 도입에 지불하는 로열티를 절약할 수 있고 야생화를 재배하는 임

업인들의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우리 야생화를 도시 조경에 활용한

다면 지역과 국가의 문화 이미지를 높이고 도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야생화는 일반 화훼와 달리 절화(折花)로 이용되는 비율이 낮다. 우리 야생

화는 꽃이 작고 화려함보다 소박한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시조경과 정

원꾸미기에 활용되거나 분재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야생화를 산업화

하기 위해 정원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생활에 정원 문화를 확산

하고, 야생화를 정원소재 식물로 개발·보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원은 그 자

체로 매력적인 문화자원이며 도시와 주택의 품격을 높여준다. 이미 주요 선진

국에서는 가드닝(gardening) 문화가 생활에 정착되어 삶의 여유를 보여주고 국

가의 정신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도

순천만정원박람회에 432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여 꽃과 정원에 대한 높은 관

심을 보여 주었다. 이를 배경으로 하여 정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문화산

업으로 발전시켜 거대한 정원문화 시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우리 고유의 야생화를 정원소재, 도시와 주택 조경재, 꽃꽂이 등 취미소재,

마을가꾸기와 지역축제 등의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제고하여 야생화와 정원 문화를 창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를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된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

3

이다. 특히, 우리나라 자생식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국립수

목원은 야생화 자원의 홍보 및 기술 확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야 한다.

1.2.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고유의 야생화를 산업화하여 문화·관광·산업 자원으

로 개발하고 국민 생활에 정원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제를 도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가운데 국립수목원이 담당해야 하는 기술개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검토

2.1.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연구

홍의기(1997)는 야생화 캔 재배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캔 형태의 용기를 이

용한 야생화의 대량생산을 통해 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야생화 소비 증대를 가

져올 것이라 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산 야생화에 대한 외국인 선호도를 조사하

였는데 유럽에서는 은방울꽃, 각시원추리, 하늘말나리 등의 선호가 높고, 일본

에서는 하늘매발톱, 하늘말나리, 흰일월비비추 순으로 우리 야생화에 대한 선

호가 높다고 하였다.

이택주(2007)는 자생식물의 식재관리 표준화 매뉴얼을 개발하였는데 자생식

물을 화훼·조경용 소재로 적극 이용하는 것이 자생식물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고 보았다.

이철희(2010)는 자생식물을 관상 소재로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산업화 방안을 강조하였다. 자생식물은 관상용으로 활용하는 것 외에도

4

공기정화, 실내 온습도 조절, 새집 증후군 방지 등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이

용방법에 따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였다.

이철희(2012)는 자생 약용식물을 이용한 체험공원 조성방안에 대해 연구하

였다. 합성조미료, 방부제 인공향료 등에서 파생되는 각종 문제 때문에 자생 약

용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약초체험공원에 생태,

웰빙, 교육, 문화, 역사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여 바이오산업 및 자생식물 활

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자생 약용식물을 이용한 스파, 아로

마테라피 등을 통해 의료관광과 연계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2.2. 야생화의 관광자원 활용방안 연구

이회숙(2008)은 야생화를 관광자원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형태의 관광문화를

개발함으로써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을 조성하고 세계인의

관광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김태연(2009)은 함백산 야생화축제를 중심으로 지역축제에 방문하는 동기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식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 운영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김점수·박상용(2012)은 강원도의 다양한 생물자원을 기반으로 현재의 식물

자원 관련 국내외 정책 및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고, 식물자원을 이용한 자연학

습장, 생태교육장, 자연휴양 및 자연치유 장소로 활용하는 등의 사례를 살펴보

았다. 식물자원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 연구 등 생물 산업으로서의 활용전

략과 식물자원의 교육 및 축제 등으로 식물자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유

용식물자원의 DB를 구축하고, 생물 산업 시범단지, 강원도 생물자원의 종합

연구 및 지원센터 설치 등을 제안하였다.

5

3. 연구방법과 범위

3.1. 연구방법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내외 사례는 선행 연구, 언론, 인터넷 등에서 조사하

였다. 국내 야생화 생산실태는 자생식물생산자협회 회원 명부를 이용하여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생화의 산업화를 위해 야생화를 비롯하여 꽃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꽃과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야생화의 산업화 그리고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도

출하였고 여기에서 국립수목원이 수행해야 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제시하였다.

3.2. 연구의 범위

이 연구에서 다루는 범위는 야생화에 한정하며 일반 화훼에 대해서는 다루

지 않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야생화는 꽃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리나라 자생식

물을 가리키는데 경우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한다. 또, 야생화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전략은 국립수목원의 역할에 한정한다.

6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7

제2 장

우리나라 야생화 자원의 현황

1. 우리나라 자생식물 현황

자생식물(야생화)은 어떤 지역에서 인공적인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상태 그

대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식물(spontaneous plant)을 지칭한다. 외래식물

(exotic/alien plant)이라도 오래 전부터 이 땅에 적응하여 살아 온 귀화식물

(naturalized plant)은 토착식물(indigenous plants)과 함께 자생식물에 포함된다.

그러나 협의로 본다면 자생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토착식물

을 말한다. 따라서 그 지역에 서식하는 모든 식물을 망라할 수 있다.1 보다 세

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누기도 한다. 귀화식물은 오래 전에 외래에서 들어와

그곳에 정착하여 살고 있는 식물, 특산식물은 어느 특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식

물, 야생식물은 인간의 활동이 개입되지 않고 들이나 산에 스스로 자라는 식물,

향토식물은 어떤 지역에서 오랫동안 길러 온 식물을 각각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과 다양한 지리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 환경관리공단 블로그(http://keco.tistory.com/397)

8

학 명 27,404 (14,442종)

식 물 종

자생식물 179과 917속 4,180종

재배식물 224과 1,432속 9,941종

귀화식물 40과 175속 321종

자료: 국가표준식물목록(www.nature.go.kr, 2014.4.22.)

표 2-1. 국가표준식물현황

식물의 종류도 풍부하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은 179과, 917속,

4,180종으로 보고되고 있다<표 2-1>. 국토의 단위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종수는

일본이나 중국보다 많고 영국(2,000여 종)이나 덴마크(1,500여 종)에 비하면 거

의 2배에 가깝다.

자생식물의 가치는 특정 지역 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성과 생물학적 다양성

에서 비롯된다.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기 때문에 기존 재배식물보다 생육관

리가 쉽고 다양성에서 비롯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유용한 변종을 개발할 가

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자생식물은 관상용을 물론 식용, 약용, 공예, 기호 등 다

양한 형태로 개발할 수 있다. 그럼에도 과거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가치는 외국

인들에 의해 높이 평가받아 그들에 의해 수집되고 개발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자생식물이 다른 나라로 반출되었으며, 우리나라로 역수입되고 있는 것

도 있다.2

자생식물의 잠재가치를 뒤늦게 깨달은 세계 각 나라들은 자국의 자생 식물

자원을 적극 보호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개발한 제품에 대해서 권리를 주

장하고 있다. 이미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에서

2 고유종인 수수꽃다리와 원추리가 각각 미스김라일락, 데이릴리로 개량되어 로열티를

지불하며 역수입되고 있다. 1954년 북한산 백운대의 수수꽃다리 종자가 미국으로 들

어가 미스림라일락이라는 원예품종으로 개량되었는데 미국 라일락 시장의 30%를 차

지하였다(김원희 등 2011). 심경구(1999)는 미국에 유출된 우리나라 토종 수종이 119

종이라 하였다.

9

식물자원의 무분별한 유출과 활용을 통제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원예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생식물 가운데 화훼·약초·산

채 등으로 개발할 가치가 높은 품목이 570여 종에 이른다. 특히, 화훼용으로

유망한 품목은 125종으로 나타났는데, 깽깽이풀, 비비추류, 나리류 등이 상품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식물종은 극소수

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야생화는 상업화 수준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바꾸어 생

각하면 야생화에서 새로운 화훼품종을 개발하거나 신물질을 발견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높은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수출품목으로 급성

장하고 있지만 종묘의 해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로열티 지급문제로 어려움

을 겪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 자생식물은 종묘를 자급할 수 있으며 상품가

치가 높은 품종을 선발하여 개량한다면 수출품목으로 육성할 수 있다.

2. 야생화의 생산과 유통

2.1. 생산현황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꽃에 대한 수요도 증대하였고 이와 함께

우리나라 꽃 산업도 크게 성장하였다. 우리나라 꽃 산업은 1980년 이후 급격히

성장하여 현재 생산규모가 약 1조원에 달하고 있다. 꽃 산업은 수출이 주도적

인 역할을 하여 성장하였는데 수출액이 1990년 140만 달러에서 2010년에는 1

억 300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야생화는 임산물로 분류되어 산림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임산물생산통계에

따르면 야생화 재배는 그 규모와 액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주요 야생화로

감국, 벌개미취, 금낭화, 비비추, 구절초, 제비동자꽃, 원추리, 쑥부쟁이, 돌단풍

등에 대한 생산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야생화 생산량은 2009년 이후 꾸준히 늘

10

2008 2009 2010 2011 2012

생산량 28,795 25,207 28,283 32,051 29,989

생산액 25,681,869 24,634,699 25,151,449 33,532,327 31,232,553

자료: 임업통계연보

표 2-2. 야생화의 생산량 및 생산액 추이

(단위: 천본, 천원)

고 있으며, 2012년에는 전년보다 조금 줄어든 약 312억 원의 생산규모를 형성

하였다. 꽃 시장의 규모를 1조원으로 평가하는 것에 비하면 야생화 생산액은

매우 낮다.

야생화 생산은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도심

조경에 우리 꽃을 식재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또, 정부에서 우리꽃 거리 조성사

업을 추진하면서 야생화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연도별로 변동이 있지만

1999년 야생화 생산량은 1,400만 본, 생산액 136억 원 수준에 그쳤지만, 2004

년에는 생산량 2,600만 본, 생산액 273억 원으로 약 2배로 늘었으며, 2012년에

는 생산량 2,999만 본, 생산액 312억 원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야생화 생산농가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실제 재배농가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보면 과거에는 강원도에서 많이 생산하였지만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여전히 소비의 중심지가 수도권이

기 때문에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재배면적과 농가의 비중이 가장 크다. 2012년

생산액 기준으로 보면, 구례군, 충주시, 부안군, 평창군, 고성군이 상위 5개 주

산지이다.

품종별로 보면 구절초(12%), 벌개미취(11%), 원추리(8.2%), 비비추(7.2%) 등

이 많다. 전체에서 기타 야생화의 비중이 52.5%를 차지하여 대단히 많은 품종

의 야생화가 재배·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산 규모별 경영유형을 보면, 대규모 생산자의 경우 여러 품종을 대량 생산

하여 주로 조경회사 또는 공공기관에 판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생산

자들의 주요 재배 품종은 지피식물과 다년생 초화류이다. 또 일반 생산자는

11

자료: 임산물생산조사

그림 2-1. 주요 야생화 품종별 생산량

중·소규모로 다품종을 생산하며 공공기관이나 조경회사 뿐만 아니라 도매업체

또는 다른 대규모 생산자에게 판매하고 있다. 계약재배 생산자는 지피식물 중

심으로 소품종 생산하여 이를 대규모 생산자에게 판매하고 있다. 분경제작 생

산자는 다양한 관상용 야생화를 생산하여 마니아를 비롯한 일반 소비자를 대

상으로 생산하고 있다.

야생화 재배농가는 많은 품목을 소량씩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야생화의 종

류가 워낙 많기도 하고 다양한 품목에 대한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

산농가의 기술수준도 큰 차이가 있으며, 번식은 대부분 단순 포기나누기 또는

삽목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농가당 연간 10만본 이상 대규모로 생산하는 품목

은 구절초, 벌개미취 등 숙근류 국화과 식물인데 이들은 번식과 관리가 비교적

쉬우며 도시조경용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12

구분 규모, 품종 판매처 주요 재배 품종

대규모 생산자 대규모/다품종 공공기관/조경회사지피식물/

다년생초화류

일반산지 생산자 중소규모/다품종

도매업체/

다른 야생화생산자/

공공기관/조경회사

1년생 초화류/

다년생 초화류

계약재배 생산자 소규모/소품종 대규모 생산자 지피식물

분경제작 생산자 소규모/다품종 일반 소비자관상가치가 높은 야생화/

희귀 야생화

자료: 산림청(1999)

표 2-3. 야생화 생산의 경영유형

2.2. 생산실태 분석

2.2.1. 조사대상 선정 및 조사내용

한국자생식물 생산자협의회 에 등록된 야생화 생산자 가운데 10농가에 대

하여 현지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3 지역별로 경기지역 5농가(50.0%), 강원지역

2농가(20.0%), 충북지역 1농가(10.0%), 충남지역 1농가(10.0%), 전북지역 1농

가(10.0%)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설문 문항은 한국자생식물협회(2001)을 참조하여 <표 2-4>와 같이 구성하였

다. 재배와 유통현황, 시장 전망과 애로사항, 정부 지원사항으로 구성하였다.

3 야생화 생산자의 모집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표본조사에 의해 대표성을 확보했

다고 할 수 없다. 야생화 생산자 단체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자생식물 생산

자협의회’의 생산자 목록에서도 이미 폐업한 생산자가 다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

은 일반적 내용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항목 세부항목 내용

재배 현황

재배면적 노지재배 면적/시설재배 면적

재배품종 주요 생산 품종과 규모, 단가

야생화 재배경험

야생화 유통

주요 판매처 판매처별 비율

판매처 결정방법 공급처 직접 연락/협회 의뢰/다른 생산자

수취가격 만족도 좋은 편/보통/나쁜 편

야생화 시장 전망향후 시장성 전망 좋아짐/현수준/나빠짐

생산 증감계획 확대/현수준/축소

애로사항 경영상 애로사항 판로/생산자금/노동력/기술/품종 등

정부지원사항

지원 경험 여부 있다/ 없다

지원사업 개선사항

생산자금확대/유통시설확대/홍보강화/

판매자금지원/판매정보제공/시설보조/

제도 개선 등

표 2-4. 야생화 생산실태조사 설문내용

2.2.2. 자생식물 재배실태

조사대상 농가 모두 노지와 시설 재배를 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체 10농가의 48.9㏊(147,900평) 가운데 56.2%인 27.5㏊(83,050평)가 노지재배

이며, 21.4㏊(64,850평)(43.8%)가 시설재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규모별로

는 대규모 20,000평 이상이 3농가(30%), 15,000~20,000평 미만이 2농가(20%),

10,000~15,000평 미만 4농가(40%), 5,000~10,000평 미만 1농가(10%)로 나타났

다<표 2-5>.

지역별 주요 생산 품종은 <표 2-6>과 같다. 경기도는 맥문동, 벌개미취, 수크

령, 억새, 물억새, 목수국 등을 많이 재배하고, 강원도는 조팝나무, 금낭화, 삼지

구엽초, 노루오줌, 기린초류를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도는 물억새와

갈대, 수크령, 벌개미취 등을, 전북지역은 상사화, 꽃무릇 등을 재배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위 결과는 2001년 한국자생식물협회의 조사에서 붓꽃, 비비추,

할미꽃 등 상대적으로 화려한 품종을 많이 재배했던 것과 비교해서 물억새, 갈

14

지 역 별 주요 생산 품종

경 기 도 맥문동, 벌개미취, 수크령, 억새, 물억새, 목수국 등

강 원 도 조팝나무, 금낭화, 삼지구엽초, 노루오줌, 기린초류 등

충청남도 물억새, 갈대, 수크령, 벌개미취 등

충청북도 억새, 물억새, 꽃창포, 구절초, 벌개미취 등

전라북도 상사화, 꽃무릇 등

표 2-6. 지역별 주요 생산품종

구 분 농가수 비율(%)

20,000평 이상 3 30.0

15,000∼20,000평 미만 2 20.0

10,000∼15,000평 미만 4 40.0

5,000∼10,000평 미만 1 10.0

5,000평 미만 - -

전 체 10 100

표 2-5. 규모별 조사 농가 분포

대, 수크령 등 수생식물(습생식물) 재배가 많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지난 정

부의 수변공원 조성을 포함한 생태하천 조성사업 추진에 따른 수요 패턴의 변

화로 볼 수 있다.

야생화 재배 경력은 평균 19.8년, 10년~15년 미만이 37.5%, 15~20년 미만

12.5%, 20~25년 미만 25.0%, 30년 이상 25.0%로 나타났다.

10농가 가운데 직접 설계·시공을 하는 1개 농가를 제외하고 모두 임의 재배

를 기본으로 하며, 3농가는 계약재배도 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

2.2.3. 출하 및 유통

야생화 생산자들은 야생화를 조경업체에 납품하거나 도매업체를 통해 꽃시

장에 출하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조경업체에 납품되는 물량이 월등하게 많다.

정확하지는 않아도 생산자 면담에 따르면, 약 80% 정도가 조경용으로 소비되

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공원과 정원의 화단, 도로변 꽃길, 아파트 단지와 건물

주변 녹지대, 도로 조성지의 절개사면 등에 많이 식재된다. 최근에는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연못, 개울, 저류지 등이 개발되면서 수생식물에 대한 수요도 증가

하고 있다.

생산한 야생화의 주요 판매처 비율은 조경회사가 43.9%로 가장 높았고, 공

공기관(조달청 포함) 17.5%, 산지공판장 및 직판장 10.0%, 도매상 8.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농가의 70%가 공급처와 직접 연락하여 판매처를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생식물의 거래는 조달청 고시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자생식물 규격에 따라 정해진다. 공공부문 조경공사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공사

에는 조달청 고시 가격이 이용되고 있으나 품목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가격기

준이 없는 경우도 많다. 공사 수주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여 다른 부문보다

조경공사에서 이득을 취하려 하기 때문에 야생화 납품가격을 낮게 책정하고

있기도 하다.

야생화의 품종별 판매 단가는 출하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데 포트당 물억새

는 180원~300원, 벌개미취는 250원, 금낭화 400원~1,000원 등 그 분포가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야생화 생산자들의 수취가격 만족도에 대해 “보통이다”라

는 의견이 40.0%, “나쁜 편이다”라는 의견이 60.0%로 나타났다. 4대강 사업에

서 야생화 수요가 증가하여 생산자들이 늘어났는데 사업이 종료되면서 수요가

감소하였기 때문에 현재 가격은 낮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야생

화 재배를 포기하는 생산자들도 많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할 것

으로 기대하고 있다.

16

구 분수익 전망 공급 전망

좋을 것 현수준나빠질것

계 확대 현수준 축소 계

20,000평 이상0

(0.0)0

(0.0)3

(100.0)3

(30.0)1

(33.3)2

(66.7)3

(30.0)

15,000∼20,000평미만

2(100.0)

0(0.0)

0(0.0)

2(20.0)

2(100.0)

0(0.0)

2(20.0)

10,000∼15,000평 미만

1(25.0)

2(50.0)

1(25.0)

4(40.0)

3(75.0)

1(25.0)

4(40.0)

5,000∼10,000평미만

0(0.0)

0(0.0)

1(100.0)

1(10.0)

0(0.0)

1(100.0)

1(10.0)

5,000평 미만 - - - - - - -

전 체3

(30.0)2

(20.0)5

(50.0)10

(100.0)6

(60.0)4

(40.0)10

(100.0)

표 2-7. 규모별 재배자의 수익 및 공급 전망

단위: 농가, (%)

2.2.4. 야생화 재배의 애로사항

야생화 재배에서 느끼는 경영상 애로사항은 “노동력 확보”가 50.0%, “가격

안정”과 “판로 개척”이 각각 20.0%, “생산자금 확보”가 10.0%로 나타났다<그

림 2-2>. 조사된 재배자의 90% 이상이 재배 규모가 1만 평 이상으로 작업 인력

의 확보가 중요한데, 지역 인부들의 고령화와 힘든 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노

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라고 설명하였다.

야생화 재배 사업과 관련하여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농

가는 60.0%로, 사업 초기 하우스 설치와 비료, 포장재 등 자재 구입을 목적으

로 지원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부 지원 사업의 개선사항으로는 “우리꽃 홍보 강화”가 20.0%, “생산자금

지원 확대”, “유통전담시설 확대”, “시설 보조”, “제도 개선” 이 각각 10.0%로

다양하게 나타나 특정 사업의 지원 강화보다 지원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시급

17

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꽃 홍보 강화” 요구는 수익전망에 대한 설문에서 수

요처 감소와 야생화 인지도 부족 의견이 반영된 결과이다. 이 외에도 조경설계

실무자의 야생화 관련 지식이 부족하여 품종 선택이 부적절한 사례도 일부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2.5. 향후 전망

향후 야생화 재배 사업의 수익전망에 대하여는 “좋아질 것이다”라는 낙관적

견해가 30.0%인데 반해, “현 수준과 비슷할 것이다” 20.0%, “나빠질 것이다”라

는 비관적 견해가 50.0%로 나타났다<표 2-7>. 향후 전망이 비관적인 이유에

대해 재배자들은 국가 건설사업 수요가 줄었고, 아직 원예품종에 비해 야생화

에 대한 선호가 높지 않기 때문으로 응답하였다.

향후 재배자들의 야생화 공급 전망에서 재배 면적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

다”가 60.0%, “축소할 계획이다”가 40.0%로 조사되어, 안정적 수요처 감소에

따른 수익전망이 좋지 않아 재배면적 확대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 규모별로 보면 대규모 재배자(2만 평 이상)와 소규모 재배자(1만 평 미만)

보다 중규모 재배자(1만~2만 평)의 향후 전망이 비교적 낙관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대규모 재배자는 시장 축소에 위협을 느끼고 있고, 소규모 재배자는 경쟁

에서 불리함과 시장진입 장벽 등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소규모 재배자들은 조경용 보다 야생화 마니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희귀품종

생산을 바라고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취급하거나 새로 도입하기에 유망한 재배 품종으로는 물억

새, 수크령, 부들, 억새 등의 수변식물과 구절초, 삼지구엽초 등 기능성 약용식

물을 선호하였고, 야생화 고유종도 중요하지만 변이 육종으로 품종을 다변화하

여 다양한 수요에 부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18

그림 2-2. 경영상 애로사항

2.3 야생화 산업의 문제점

2.3.1. 생산의 문제점

야생화 재배에도 일부 대규모 생산농가가 있으나 대부분 중ㆍ소규모의 생산

자들이며, 이들은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고 있다.

생산 규모가 작기 때문에 생산시설도 빈약하며, 기술 및 정보 획득에서 대규모

재배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품종을 소량생산하기 때문에 한 품목

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어렵고 정부 지원사업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야생화는 품목이 많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생산과 수요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고 제대로 전달되어 생산자들이 시

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영세한 중소규모 생산자가

19

많고 품목이 매우 많기 때문에 다양한 품목의 생산량과 출하량을 예측하는 것

은 매우 어렵다. 수요량에 대해서도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자

입장에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힘들다.

재배자들의 무분별한 생산 참여 때문에 과잉 생산이 발생하기도 한다. 4대강

사업 때문에 다수가 야생화 재배에 진입하였지만 사업 종료후에는 수요가 급

감하면서 폐업도 늘고 있다.

야생화 재배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농촌 지역에 위치하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농산촌 노동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3.2. 유통의 문제점

야생화 시장은 공식적인 유통구조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수요자들이 대규

모 생산자 또는 유통업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구입하고 있다. 대규모 생산자들

은 부족분을 다시 소규모 생산자에게 연락하여 구입한다. 이러한 관계로 특정

품목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가 그 공급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대규모

조경공사를 하는 경우 필요한 물량을 대규모 생산자를 통해 조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대규모 공급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고 있다. 이들은 유

통정보의 공개·공유에 소극적이며 이는 야생화 재배에 신규로 진입하는 생산

자에게 진입장벽이 된다.

한편, 야생화 유통구조에 대한 정책이 없기 때문에 가격 형성이 제대로 이루

어지지 않으며 연도별로 또 계절별로 가격의 등락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가격

변동이 크기 때문에 야생화 생산농가의 소득도 안정적이지 못하다.

2.3.3. 수요의 문제점

야생화 수요에서 조경공사의 지피식생용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에 일반 소

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은 많지 않다. 상품이 있다 하여도 구입 장소

20

와 시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일반 소비자들이 알기는 어렵다. 동호인, 생산자,

연구자 등 일부 계층에 한정되어 있는 야생화 수요를 일반인에 확산하여야 보

급형 상품 개발과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다.

2.3.4.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의 자생 야생화 가운데 백량금, 옥잠화, 자금우 등은 꽃이나 잎, 열

매가 아름답고 관상기간이 길어 해외수출용 상품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이지 못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장 규모를 키우기 위해 해외 수요 창출

에도 적극 노력할 필요가 있다.

야생화 수출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품종을 개발하고 육성하는 것이다. 원종의 자체 수출은 어렵기 때문이다.

해외 시장의 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 선호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품종을 선

발·육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 분야의 발전은 아직도 매우 미약

한 편이다.

21

제3 장

야생화(식물자원) 활용의 사례

1. 공간 디자인

1.1. 도시 녹화 및 생태계 연결

서울의 1인당 공원면적은 14.83㎡ 이나 80%이상이 대부분 산림이고 도시 외

곽에 배치되어 있어 시민들은 도시녹지가 부족하다고 느낀다. 생활권 공원 면

적이 뉴욕 14.5㎡, 런던 25.7㎡, 비엔나 12.8㎡, 파리 12.7㎡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산림청, 2013b). 도시녹화는 도시에서 발생한 열에너지가 대기오염

때문에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서 도시내부 온도가 주변보다 높아지는 도시 열

섬 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약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옥상녹화를 도입한 건물의 표면온도는 기존 옥상

표면보다 약 20℃ 정도가 낮으며 건축물 옥상을 전면 녹화하면 연간 약 16.6%

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이현우 등, 2010).

도시의 녹지공간이 부족한 것은 도시의 인구집중 현상과 지가 상승의 영향

이다. 서울시 옥상녹화사업은 환경오염의 문제와 도시 환경조성사업의 중요성

22

이 부각되어 2002년부터 실시해 오고 있다. 2007년에는 ‘10만 녹색지붕 추진위

원회’를 구성하는 등 옥상녹화 사업이 활기를 띄고 있다.

1.2. 야생화를 활용한 농산촌 마을 개발

일상에서 지친 도시인이 심신의 회복을 위해 농산촌을 방문하는 수요가 증

가하고 있다. 심신의 치유를 위해 자연을 찾는 사람도 늘고 있다. 척박한 토양

에서 비바람을 맞으면서도 우아하고 고고한 자태를 뽐내는 야생화는 지친 도

시인들에게 힘을 준다. 최근에는 야생화 사진 촬영을 취미로 하거나 야생화 관

찰을 도시인도 늘고 있다. 이 때문에 농산촌 관광에서 야생화를 테마로 삼는

것은 도시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큰 매력 요소가 될 것이다.

주민들이 고령화되고 농업생산에서 경쟁력이 약한 농산촌 지역에서 자생식

물을 테마로 하여 소득 증진과 마을 활성화를 모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구례군 산동면 산수유 마을은 많은 사람들이 꽃을 보기 위해 방문하며 산수유

가공품을 구입하고 있다. 강릉시 성산면 대굴령 야생화 마을은 야생화 정원을

조성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경주시 산내면 다봉 마을은 봄에 야생화 전

시회를 개최한다. 정읍시 산내면 옥정호 청정마을은 구절초 동산을 조성하고

이벤트를 개최한다. 공주시 정안면 풀꽃이랑마을은 야생화로 마을을 꾸미고 있

다. 장성군 북이면 자라뫼 마을은 민들레를 이용해 상품과 먹거리를 생산하고,

체험객을 유치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농림축산식품부는 “야

생화가 있는 농촌관광 사진 이야기 공모전”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산촌에서 경관과 체험 프로그램을 위해 식재한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지역에

서 가공·판매한다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먹거리와

예술품이 그 예가 될 것이다. 야생화는 본디 강한 자생력을 특징으로 하기 때

문에 원예종 재배보다 노동력 투입이 적은 장점이 있다.

23

2. 꽃예술 소재

2.1. 꽃 장식4

꽃은 아름다움과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실내 장식

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꽃 장식은 꽃꽂이, 분재에 한정되지 않고 자연과 공간,

사람이 어우러진 종합 인테리어 디자인으로 발전하고 있다(방식 등 2013).

최근 꽃을 다루는 플로리스트(Florist)들의 수준은 매우 높아졌으나, 꽃예술

의 소재들의 다양성은 여전히 낮아 독특한 소재들은 해외에서 수입하는 형편

이다. 국내에서도 소비자 취향에 따라 새로운 색채의 장미와 수국, 파스텔 색조

의 카네이션 등 신품종을 출하하고 있지만 우리 자연의 모습을 담은 고유의 자

생식물 소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다. 우리의 산이나 들에 자연 상태로 자라

는 식물은 자연 그대로를 형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매력을 지니 있으며,

야생미가 있기 때문에 플로리스트들에게 아주 좋은 소재가 된다.

우리나라의 꽃꽂이 학원과 관련 상점들은 고객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전문적이고 대형화되어 크게 성장하였다.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식생이 발달되

어 있기 때문에 자생식물의 꽃예술 소재 활용과 개발의 잠재력이 높지만 우리

나라 꽃 장식에서 자생식물을 활용하는 것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많

이 활용되는 절화와 다른 소재들도 소비자들의 선호 변화에 따른 시대적 요구

에 의해 다양한 질감으로 발전했으며, 현재 자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질

감과 활용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4 방식 등(2013)에서 요약

24

특성 자생식물

관화성산당화, 벚꽃, 목련, 생강나무, 미선나무, 히러리, 장군풍, 대황, 토

대황, 만병초

관경성자작나무, 대나무, 플라타너스, 엄나무, 주엽나무, 가시오가피, 육박

나무, 생달나무

관실성산수유, 낙산홍, 먼나무, 멀구슬나무, 감나무, 작살나무, 겨우살이,

송악, 비파나무, 매자나무, 구상나무, 목련, 석류

관근성 소나무, 난, 대, 뽕나무, 연근

덩굴성으름나무, 노박덩굴, 다래, 포도덩굴, 쥐다래, 박주가리, 큰닭의덩굴,

으아리

관엽성엽란, 쇠뿔고사리, 쇠고비, 황칠나무, 소귀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

무, 메밀잣밤나무, 참가시나무,

자료: 방식, 김양희(2013)

표 3-1. 꽃예술 소재로 이용가능한 자생식물

2.2. 압화

살아있는 꽃은 지속기간이 오래 되지 않기 때문에 보는 이에게 아쉬움을 가

지게 한다. 꽃의 아름다운 색과 향을 오래 간직하려는 인간의 욕구는 자연스러

운데 그 표현의 한 방편으로 압화(꽃누르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압

화는 꽃을 오래 보존하며 감상할 수 있는 생화 가공품으로 일반인들의 취미활

동과 실내장식 및 원예치료용으로 각광받는 플라워 디자인의 한 분야이다. 이

는 점차 전문적 예술활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면서 재료나 소재의 생산이 증가하고 이것이 상품화되고 있다. 인터넷 쇼핑

몰에서 노루귀 10송이가 5,500원에, 할미꽃 여섯 송이에 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동은 등(2007)은 풍경화 압화작품에 사용되는 식물소재와 부재료 등을 조

사하였다. 풍경화 작품에서 사용된 주요 식물소재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초본

25

그림 3-1. 압화를 이용한 장신구

식물 소재의 사용이 67%로 목본식물 소재의 33%보다 비중이 컸다. 많이 사용

된 초본식물 소재는 루모라고사리, 이끼, 아디안텀, 냉이 등이었고, 목본식물

소재는 편백, 황금편백, 포도나무 등이었다. 봄 풍경화작품에 많이 사용된 식물

소재는 냉이, 포도나무, 조팝나무 등이고, 여름 풍경화작품에는 편백, 세라기넬

라, 아디안텀, 가을 풍경화작품은 기린초, 편백, 단풍나무, 겨울 풍경화작품에

는 포도나무, 백묘국, 에버라스팅 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식물소재의 염

색 유무조사에서 거의 대부분이 무염색 식물소재였고, 일부 염색되는 식물소재

는 조팝나무, 냉이, 쉬땅나무, 까치수염 등 흰색의 꽃과 편백, 세라기넬라 등의

잎이었다. 식물소재의 변색 정도에서 사계절 모두 변색이 잘 안 되는 소재가

67% 이상 사용되고 있었다.

구례군 농업기술센터는 대한민국 압화대전을 개최하고 있는데, 이는 야생화

를 이용하여 한국적 문화 창작의 지평을 확대하고 압화 예술인을 발굴·육성하

여 압화 산업화를 지역경제 성장 동력으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행사

에는 매년 참여자와 관광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큰 호평을 얻고 있다.

압화를 활용하는 장신구들도 많다. 브로치, 열쇠고리, 목걸이 등 활용폭이 매

우 다양하다. 여기에는 작은 꽃들이 활용되기 때문에 꽃이 작은 야생화들을 상

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26

3. 꽃을 이용한 가공제품

3.1. 화장품

꽃은 스스로의 아름다움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 특유의 보습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벌과 나비를 유혹하고 해충을 쫓아내기 위해 독특한 향기를 내뿜는다.

꽃이 가진 유효성분과 향기 등 기능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활용한 제품들도 다

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화장품과 향수 등이 대표적이다. 여성들에게 인기있

는 장미 오일과 동백 오일이 대표 사례이다.

우리 조상들은 잇꽃의 꽃즙을 이용하여 연지를 만들었고 분꽃으로 분백분을

만드는 등 오래전부터 꽃으로 화장품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장미와 풍란의 줄

기세포, 권백 추출물 등은 피부의 세포와 탄력 회복에 활용되며 라벤더와 벚꽃

등은 보습효과가 탁월하다고 한다.

우리 고유의 야생화에서도 다양한 미용 성분이 발견되어 화장품 개발에 이

용되고 있다. 인터넷 화장품 브랜드 라라베시는 제주 한란의 추출물을 활용한

보습제품을 출시하여 2개월 만에 7,000세트의 매출을 달성한 바 있다. 구례군

농업기술센터는 옥잠화, 원추리를 활용한 향수를 개발하였고 감국을 소재로 하

여 소취제를 만들어 판매하기도 하였다.

화학제품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피부 알레르기 완화와 건강을 위해 이를 대

신할 수 있는 소재를 찾아 상품으로 출시하는데 야생화를 가공하여 제조한 비

누, 양초 등 비교적 쉽게 만들어 쓸 수 있어 사람들의 선호가 높다. 양구군 해

안면은 정부 지원으로 우리꽃 특화단지 조성사업을 전개하는데 여기에서 재배

된 식물은 가공공장에서 발효식품으로 제조되거나 화장품 제조업체에 판매된

다고 한다.

27

그림 3-2. 꽃비빔밥

3.2. 식재료

꽃은 특유의 화려한 색깔과 고유의 향기로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활용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진달래 화전, 감국 화전 등 계절마다 피는 꽃을 음식에 이용

해 왔으며, 술이나 차에도 다양한 꽃을 활용하였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나라에서 그러하다.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화려한 꽃 색깔에 담긴 효능이 소

개되고 다양한 꽃 음식이 등장하고 있다. 식용꽃은 관상용과 달리 야채처럼 안

심하고 먹을 수 있게 만들어진 꽃이다. 식용꽃 품종도 많아져서 다양한 색상을

즐길 수 있고, 영양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브도 그 일종이라 볼

수 있다. 청원군 상수허브랜드, 용인시 한택식물원에서 식용꽃을 이용한 꽃비

빔밥을 판매하고 있다<그림 3-2>.

우리나라에서 식용할 수 있는 꽃으로는 봄에 진달래, 유채, 매화, 찔레꽃, 아

카시아 꽃, 여름에 들깨, 산초, 부추, 원추리, 가을에 구절초, 용담, 감국, 향유

등이 있다. 봄에는 진달래와 찔레 등으로 전이나 국수를, 아카시아 꽃으로 튀김

이나 부각을 만들어 먹었으며, 가을에는 구절초와 감국으로 차를 만들어 마시

고 진달래, 복숭아, 송화, 인동 꽃, 창포로 술을 담가 먹었다. 또, 봄에 나오는

새싹은 대부분 나물로 무쳐 먹었다.

28

조리용도 재료 사 례

밥 류 국화, 유채꽃, 배추꽃, 해당화, 원추리꽃

죽류 매화

국류 으름꽃, 호박꽃, 원추리꽃

나물류생채류

원추리꽃, 부추꽃, 참 등꽃, 치자꽃, 산초꽃,

유채꽃, 으름꽃, 싸리꽃, 춘란무침

튀김류아카시아꽃, 작약꽃, 옥잠화, 동백꽃, 국화,

들깨꽃

면류 진달래 화면

한과류 송화 송화강정, 송화다식, 송화병

화전류 국화, 장미, 진달래, 찔레꽃

차류음료류

송화, 매화, 국화, 들국화, 귤나무꽃, 해당화

꽃, 인동꽃, 연꽃, 진달래 꽃, 장미꽃, 난꽃,

벚꽃, 복숭아꽃, 백목련

꽃차

주류

진달래, 복숭아꽃, 국화, 개나리꽃, 매화, 연

꽃, 해당화, 인동꽃, 송화, 아카시아꽃, 난꽃,

모란꽃, 창포꽃, 제비꽃, 홍화꽃, 민들레꽃,

동백꽃, 살구꽃, 구기자꽃, 냉이꽃

화주

자료: 야생화 문화관광밸리 조성에 관한 연구

표 3-2. 한국의 식용 꽃과 조리

꽃차의 재료에는 봄에 복수초, 머위, 매화, 생강나무, 복숭아 등이고 여름에

닭의장풀, 싸리, 홍화, 타래붓 등이며, 가을에 옥잠화, 향유, 칡꽃, 구절초 등이

있다. 야생화를 이용한 꽃차는 향이 독특하고 맛·효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맛과 효능을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꽃차를 제품화하여 항상 마실 수

있다면 우리 꽃차의 품격과 효능을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을 것이다.

3.3. 약재

수많은 야생화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치료제로 사용되었다. 서양

의학이 들어오기 전에는 민간에서 자연요법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고 야생화

29

꽃이름 효 능

감기, 강장보호, 견비통, 경련, 고혈압, 관절통, 광견병, 구토, 근육통,난청, 당뇨, 발한, 숙취, 식중독, 아편중독, 암내, 위암, 인플루엔자, 일사병, 열사병, 장염, 장출혈, 주독, 주체, 중풍, 지혈, 진정, 진통, 치열,편도선염,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현훈, 협심증, 홍역

유채단독, 산혈, 소종, 악창, 어혈복통, 옹종, 유방염, 이질, 종기, 종독, 치루, 치창, 통기, 편두통, 풍, 활혈

꽃마리 늑막염, 다뇨, 설사, 수족마비, 이질, 종독, 풍

삼지구엽초

강장, 갱년기장애, 거풍제습, 건망증, 관절냉기, 근골위약, 발기불능,보신장양, 생목, 야뇨증, 양위, 오로보호, 요슬산통, 우울증, 유정증, 음왜, 음위, 이뇨, 자궁내막염, 자양강장, 저혈압, 정력증진, 정양, 제습,중풍, 창종, 치조농루, 탈모증, 통리수도, 풍, 풍비, 흉부냉증 등

노루귀간기능회복, 근골산통, 노통, 만성위장염, 소종, 위장염, 장염, 종독, 지음증, 진통, 진해, 창종, 충독, 치루, 치통, 치풍, 해수

인동덩굴

간염, 건위, 결막염, 관절통, 늑막염, 만성요통, 소염배농, 아감, 연주창, 열광, 요독증, 요통, 위암, 윤피부, 음부소양, 음양음창, 이뇨, 이하선염, 임질, 자궁경부암, 장염, 정혈, 지방간, 진통, 치조농루, 타박상,통경, 통리수도, 통풍, 편도선염, 항바이러스, 혈리

표 3-3. 약재로 활용된 야생화

를 비롯한 각종 식물자원은 약재로 사용하였다. 우리 야생화는 동의보감을 비

롯한 한방의학서에 그 효능이 기록되어 옛날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고 현재는

한의학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점차 도시 가정에서 재료를 구하기 어렵고 그

효능에 대한 지식도 약화되어 점점 사용되지 않다가 최근 합성 의약품의 부작

용에 대한 거부감이 높아지면서 생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자생

식물이 가진 의약성분에 대한 전통지식을 되살리고 산업화하는 것은 매우 중

요한 과제이다.

농업법인 ㈜옻가네5는 전통의약산업센터와 공동으로 국산 민들레와 엉겅퀴

를 이용한 ‘민들레엉겅퀴환’을 비롯하여 다양한 건강식품을 개발·출시하였다.

충북 청원군 북이면은 오송 바이오단지와 연계하여 민들레를 특화단지화하기

로 했다.

5 www.otabc.com

30

꽃이름 효 능

진달래꽃각혈, 강장, 강장보호, 건위, 고혈압, 월경이상, 이뇨, 이질, 조루증, 청

폐지해, 치출혈, 토혈각혈, 통경, 폐기천식, 하리, 해독, 해수, 활혈

패랭이꽃

경혈, 난산, 늑막염, 무월경, 석림, 소염, 수종, 안질, 옹종, 요도염, 유

정증, 음양음창, 음축, 이뇨, 이수통림, 인후염, 인후통증, 일체안병, 임

질, 자상, 치질, 치핵, 타박상, 타태, 통경, 통리수도, 풍치, 피임, 하리,

활혈통경, 회충

민들레

강장보호, 강정제, 결핵, 고혈압, 금창, 기관지염, 대하증, 만성위염, 사

태, 소아변비증, 악창, 옹종, 완화, 위궤양, 위산과다증, 위암, 유방염,

음부질병, 인후염, 임파선염, 정력증진, 정종, 종독, 정혈, 충혈, 치핵,

폐결핵, 피부병, 후두염

할미꽃

건위, 경혈, 뇌암, 만성위염, 백독, 부종, 비암, 비출혈, 선기, 소영, 수

렴, 심장통, 양혈, 요슬풍통, 위장염, 음부소양, 익혈, 임파선염, 자궁경

부암, 장염, 적백리, 적취, 지혈, 청혈해독, 치암, 폐암, 풍양, 피부암,

하리, 학질, 한열왕래, 혈전증, 흉부냉증

원추리

간질, 강장, 강장보호, 번열, 소영, 안오장, 양혈, 월경이상, 위장염, 유

선염, 유옹, 유즙결핍, 유창통, 이뇨, 자궁외임신, 자양강장, 지혈, 총이

명목약, 토혈각혈, 치림, 통리수도, 해독, 혈변, 황달

한련화 동통, 안구충혈, 양형, 종기, 지혈, 청열, 해독

비비추소변불통, 옹종, 인후종통, 인후통증, 임파선염, 종독, 진통, 창독, 치

통, 타박상, 화상, 활혈

옥잠화소변불통, 옹저, 유옹, 윤폐, 인후통증, 임파선염, 지혈, 창독, 토혈각

혈, 통리수도, 해독, 화상

억새 감기, 백대하, 산혈, 소변불리, 이뇨, 통리수도, 해독, 해수, 해열

부들

경혈, 고치, 구창, 난산, 대하, 방광염, 부인하혈, 수렴지혈, 열질, 요도

염, 월경이상, 유옹, 음낭습, 음양음창, 이뇨, 이완출혈, 지혈, 치질, 타

박상, 토혈각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하리, 한열왕래

얼레지강장보호, 건뇌, 건위, 경혈, 구토, 연골증, 완화, 위장염, 장염, 장위카

타르, 지사, 진토, 진통, 창종, 하리, 화상

은방울꽃강심, 강심제, 노상, 단독, 부종, 심장쇠약, 온양이수, 이뇨, 타박상, 통

리수도, 활혈, 활혈거풍

닭의장풀

간염, 감기, 거어, 결막염, 곽란, 당뇨, 옹종, 이질, 인후통증, 적면증,

조갈증, 종기, 종독, 지혈, 청열, 치열, 타박상, 토혈, 통리수도, 폐기천

식, 해독, 혈뇨, 협심증, 토혈각혈, 혈뇨, 혈변, 황달

자료: 우리산에 자라는 약용식물

31

4. 지역축제와 문화

꽃은 봄을 알리는 전령사로서 꽃 피는 계절에는 늘 꽃놀이를 즐겼으며, 꽃은

인간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꽃을 감상하는 문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존

재하는데 철마다 새로운 꽃을 감상하면서 계절변화를 만끽하였다. 또, 꽃은 결

혼식과 장례식 등 인간 생활의 특별한 순간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며 일종의 문

화가 되었다.

오늘날 꽃놀이는 지역축제 형식으로 나타난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고유문화

와 전통, 생태자원을 묶어 상품화한 것이다. 지역축제는 관광객의 소비와 지출

을 유도하고 문화행사에 대한 투자를 통해 지역경제에 직·간접적으로 파급효

과를 미친다. 예를 들면 관광객은 숙박비, 식비, 교통비, 기념품 및 특산물 구입

을 통해 지역경제에 기여하며, 이벤트 개최에 소요되는 각종 투자는 지역주민

의 고용창출을 유발한다.

꽃을 테마로 하는 축제는 한라산 철쭉제(1967년)를 시작으로 현재 전국에 다

수 개최되고 있다. 꽃을 매개로 하여 꽃길걷기, 꽃 전시, 꽃 웰빙 음식, 꽃차와

꽃 음식 즐기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꽃이 많이 피는 시기에

맞춰 축제를 개최하므로 많은 꽃축제가 4,5월에 집중되어 있다.

우리 꽃은 이미 축제의 근간이 되어왔고 꽃을 보고 즐기는 문화는 자연을 활

용하는 조상들의 지혜였다. 강원도 평창군 산꽃약풀축제는 당귀 팩 마사지, 족

욕탕 등 약초효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흥군 야생화사랑모임에서 주

최하는 할미꽃 봄나들이 축제는 지역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화전을 개최

하여 교육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관광축제 지원 사업은 세계적인 축제 육성과 지역 관

광 활성화를 기본방향으로 하여, 지역의 전통문화와 고유한 주제를 배경으로

하는 지역축제 가운데 관광 상품성이 큰 축제를 선정하여 1995년부터 해마다

지속적으로 확대지원·육성하고 있는 사업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1997년

10개 우수 지역축제를 선정한 이후로 매해 약 50개의 대표 및 우수, 유망 축제

32

개최지 축제명 개최기간 주요 행사

경기고양 고양국제꽃박람회 4월∼5월 국제 화훼세미나, 꽃 관련 행사 등

울산북구 가을꽃전시회 10월∼11월출품작 전시, 화분 전시,

분갈이 체험

경기평택 꽃봄나들이축제 4월말꽃전시, 꽃탑과 꽃 조형물 설치,

농산물 홍보

경기파주심학산돌곶이

꽃마을축제6월초 꽃 퍼레이드, 꽃 웰빙음식축제

경기가평 한반도야생화전

경기가평 연인산자연생태축제

강원평창 산꽃약풀축제 8월초야생화·약초 전시, 당귀 팩마사지와

족욕탕, 약초차 시음, 재래시장재현

강원정선 백두대간야생화축제 6월중 야생화전시 및 야생화탐방숲길걷기

강원정선 함백산야생화축제

충남금산 비단고을산꽃축제 4월중야생화교실, 풍류산방놀이, 복고

산골 풍류전, 송계지게놀이

충남부여 서동연꽃축제 7월∼8월 서동·선화의 사랑이야기 전래

충남청양 칠갑산봄꽃축제 4월말 고운식물원과 연계하여 축제 진행

전북정읍 자생화축제

전북 선운문화제

전남장흥 할미꽃봄나들이 3월중할미꽃 생태관찰, 야생화 전시판매,

봄나물 판매, 명덕초등생시화전

전남장성 자운영축제 5월초

전남목포 유달산꽃축제 4월초 유달산 꽃길걷기, 꽃그림 사생대회

전남무안 백련축제 7∼8월중연꽃길 보트탐사, 백련차 시음,

연씨앗공예품 만들기

전남함평 용천사꽃무릇큰잔치 9월∼10월 봉숭아물들이기, 꽃무릇 꽃꽂이대회

전남영광 불갑산상사화 9월말 상사화, 야생화 등 각종 체험행사

경북안동 농업과 꽃들의 만남 5월초 야생화 판매, 농업 관련 이벤트

경북군위 들꽃축제

경북성주 가야산야생화식물원

양산시 서운암들꽃축제 4월중 들꽃 체험, 천연염색, 우리 차 시연

표 3-4. 야생화를 테마로 하는 지역축제

33

지 역 축제명 입장객수(명) 경제효과 (백만 원)

전남무안백련축제 (’06) 520,000 22,364

무안백련축제 (’07) 98,604 11,557

충남부여서동연꽃축제 (’09) 200,000 7,848

부여서동연꽃축제 (’12) 120,000 4,787

제주 왕벚꽃축제 (’07) 42,500 1,780

자료: 관광지식정보시스템(www.tour.go.kr),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문화체육관광부)

표 3-5.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 꽃 축제

등을 선정하고 있으며 식물자원(야생화)을 이용한 축제 중 우수 및 유망 축제

로 선정된 축제는 다음과 같다.

35

제4 장

해외의 야생화 활용 및 정원문화 사례

1. 미국

1.1. 북미의 커뮤니티 가든

미국은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 활동을 통해 도시의 사회문제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커뮤니티 가든은 지역주민

의 자연체험, 교육활동 및 공동체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며 자연교육과

휴식·휴양의 장소로 주민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소통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범죄예방에도 기여한다.

미국에서 커뮤니티 가든은 1970년대 필라델피아, 샌프란시스코, 뉴욕을 중

심으로 시작되었다. 1970년경 미국 전역이 불경기로 침체되어 도시가 황폐해

졌다. 공터에 쓰레기가 불법 투기되고 마약이 거래되는 등 범죄소굴이 되어 치

안이 불안해지고 도시 위생을 악화시켰다. 1973년 공터를 되살리기 위해 리즈

크리스티는 그린 게릴라(Green Guerrillas)라는 단체에 호소하여 공터의 쓰레기

를 치우고 울타리를 치며 꽃과 나무를 심어 황량한 땅을 정원으로 재생하였다.

36

이것이 커뮤니티 가든이라 불리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정부가 하향식으

로 진행한 것이 아니라 지역 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되

었다. 뉴욕의 커뮤니티 가든 발상지는 Liz Christy Garden라고 이름 붙여져 지

금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녹지공간이 되고 있다.6

뉴욕시도 ‘그린섬 제도’라는 커뮤니티 가든 활동의 지원을 위한 제도를 창설

하고 있다. 이 제도는 도시에 개선해야 하는 공터가 있거나 커뮤니티 가든이

필요하며 적절한 공터가 발견된 경우 시와 협상하여 토지를 관리할 수 있는 지

역공동체를 만드는 것을 조건으로 1개월 1달러라는 염가로 주민이 토지를 빌

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제도에 따라 원예 자재와 물자의 제공, 원예 기술지도

등을 실시하며 커뮤니티 가든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가든은 전미에 확산되어 그 수는 현재 수천 군데에 이르

고 있다. 지역의 정원이라 하여도 누구나 마음대로 들어갈 수는 없다. 절도, 마

약 판매원, 부랑자의 침입을 막기 위해 커뮤니티 가든에는 철책이나 가시달린

식물로 둘러싸여 있고 입구에는 열쇠가 걸려 있다. 그린섬 제도의 지원을 받는

커뮤니티 가든은 운영하는 지역 공동체가 열쇠를 관리하고 일정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개방할 의무가 있다. 많은 커뮤니티 가든이 주말이나 평일 낮에 개방

하고 밤은 폐쇄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30 년의 역사 동안 많은 커뮤니티 가든이 다양한 곳에 만들어져

왔다. 빌딩으로 둘러싸인 아주 작은 토지에서 또는 교외의 광대한 토지에서 커

뮤니티 가든 활동이 있다.

커뮤니티 가든의 내용은 다양하다. 개별적으로 농작물을 길러 수확기에 수확

제를 실시하고 지역에서 나누거나 혹은 지역 주민들이 함께 꽃과 나무를 키워

지역 주민의 휴식처로 사용하는 형태가 있다. 뉴욕에서는 젊은 예술가가 만든

오브제가 진열되고 길이가 다양한 판을 이어 붙여 만든 지상 15m의 망루가 설

치되는 등 예술 활동을 주로 하는 커뮤니티 가든도 있다. 학교 커뮤니티 가든

은 학생들의 학습의 장이 되고 청소년 교정 장소로 사용된다. 도시의 커뮤니티

6 http://www.lizchristygarden.us/

37

자료: http://www.publicfarm1.org/

그림 4-1. 뉴욕의 공공농장

가든은 고용의 장소와 도시 농업의 장소가 된다. 또는 원예 치료를 실시하는

장소, 예술 활동을 하는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1.1.1. 미국 뉴욕의 공공농장

1999년부터 뉴욕의 P.S.1 뮤지엄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주관하였다.

2008년 도시농업을 주제로 도시농장 콘테스트를 주관하였고 도시농장(Urban

Farm)이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뉴욕은 디자인이 가미된 도시농업으로

경관을 꾸미려고 노력하였다. 이 작품은 긴 원형 카드보드 파이프를 이용하여

화분으로 만들었고 여기에 흙을 채워 꽃과 채소를 심어 도시농장을 만들었다.

햇빛을 받기 쉽도록 하였으며 장소에 따라 모양과 개수를 바꿀 수 있도록 한

것 특징이다. 지상에는 녹음을 확보할 수 있고 얕은 풀(pool)을 조성하여 시민

들에게 색다른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1.1.2. 미국 시카고 밀레니엄파크의 루리가든

시카고 공원관리국과 무어조경회사와 그로잉파워 파트너십으로 공원에 커

뮤니티 가든(1,858㎡)을 조성하였다. 루리(Lurie) 정원은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

의 주차장 지붕 갑판위에 구성되었는데 ‘정원속의 도시’를 지향하는 시카고의

철학을 구현하고 있다. 공원에는 많은 식물과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북

38

자료: http://www.luriegarden.org/

그림 4-2. 시카고의 루리 가든

미 자생식물 위주로 식재하여 관리의 부담을 줄인 것도 특징이다.

2005년 시작되어 지역 학교의 체험 교육장소로 이용되며 예술과의 만남이라

는 전시 이벤트도 기획되고 있다. 공원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

는데 지속가능한 정원, 생태학, 조경 등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2.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7

미국 36대 존슨 대통령은 영부인과 함께 1965년 Beautiful America 캠페인을

추진하여 고속도로 주변에 미국의 야생화를 식재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미국에

서 야생화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었다. 1982년 존슨 대통령의 영부인 Lady Bird

Johnson과 영화배우 Halen Hayes는 야생화연구센터를 설립하게 되었는데, 텍

사스주 오스틴에 위치한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는 북미 야생화

와 자연 경관의 지속적인 보존·이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기 명칭은

National Wild Flower Research Center였으며, 야생화의 아름다움과 다양성 소

개를 목적으로 하였다. 1998년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로 개칭하

였고 2006년부터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연구기관으로 통합되어 지역

의 생태유산 보존과 희귀·멸종위기 식물의 보존·이용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

고 있다.

7 http://www.wildflower.org/

39

그림 4-3.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에서 출판하는 잡지

식물원에는 Native gardens, Trails, Exhibition 등이 있으며, Native gardens에

는 폭넓은 영역의 자연 전시관인 Theme Gardens, 식물과 곤충의 생활을 관찰

할 수 있는 Ann and OJ Weber Butterfly Garden, 야생화 초원인 South

Meadow, 어린이들의 야외 탐사가 가능한 Little House Courtyard, 수생식물을

식재한 Erma Lowe Hill Country Stream로 구성되어 있다. Trails는 Savanna

Meadow Trails, The Woodland Trail, The Hill Country Trails, The John Barr

Trail, Restoration Research Trail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 풍경을 즐기며 산책

할 수 있다. The Hill Country Trails에는 아이들이 야외 체험학습을 할 수 있도

록 느릅나무, 감나무, 삼나무, Elbow bush 등을 식재하였다.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에서는 방문객이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야생화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분기별로

Wildflower라는 잡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매주 토요일에는 야생화를 대상으로

하는 원예 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News Radio 590AM을 진행하고

있다. 또,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식물원에 대한 가상 투어가 가능하므로 직접 방

문하지 않더라도 북미지역의 다양한 야생화 종류와 생태, 이를 이용한 정원꾸

미기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야생화 보존 및 연구 기관으로서 야생화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홈

40

자료: http://www.wildflower.org/vtour/

그림 4-4.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의 가상 투어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식물 사진, 식물에 관한 질문·답변, 식물 관련

지식 테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텍사스 주 이외에 서식하는 자생식물에

대해서도 검색할 수 있으며, 정원 조경과 경관 계획 등을 수립할 때 상업적으

로 사용가능한 식물들의 목록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야생화를 이용하고자 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주거지 특성에 맞는 식물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정보

를 제공하고 있다.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에서는 6종류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교육 대상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폭넓게 편성되어 있다. 어린이에

게는 생물자원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청소년은 식물이 자라는 것을 직접 경

험하고 다양한 식물의 구조와 형태를 관찰하는 교육의 장을 제공한다. 성인에

게는 식물자원의 보존법 및 식물자원의 이용방안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41

2. 일본

2.1. 개요

일본은 1990년대 중반 가드닝붐을 계기로 2011년 기준 원예와 정원가꾸기

인구가 3,380만 명에 이를 정도로 가드닝 활동이 보편화되어 있다.8 또, 가드닝

의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으로 2,220억 엔으로 추산되는데 중고령층과 젊은

층에서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부를 중심으로 시민농원과 임대농

업의 개원이 증가하고 있다. 가정원예를 비롯한 이용자 증가를 배경으로 야채

묘의 상품확충과 베란다 야채용 및 실내용 재배키트 등 초심자들이 시작할 수

있는 가정원예 자재도 상품화되어 있다. 이러한 가정원예용 야채묘와 과수묘

시장규모는 150억 엔으로 추산된다.9

일본에는 전국에 도시녹화식물원 기능을 하는 식물상담소가 있는데, 토쿄에

도 6개가 운영되고 있다. 2002년 전후로 지자체가 아닌 준공영이나 민간중심으

로 운영되며, 식물재배와 전시회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 5월 4일을 ‘녹색

의 날’로 지정하여 식물 기르기나 환경교육에 관한 다양한 이벤트를 지자체 및

원예조경업체 주최로 개최하고 있다.

개방정원(Open Garden) 활동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주로 주민참여로

조성관리하고 있다. 정원조성은 주민참여와 협동을 통해 마을가꾸기 사업으로

추진하고, 지자체 지원으로 주민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유명 정원디자이너가 모여 정원작품을 품평하는 ‘하우스텐보스

정원가꾸기 월드컵’을 개최하고 있는데, 이는 페스티발 형식으로 진행되며, 예

선을 거쳐 전시정원 12개, 미니정원 15개가 경쟁하여 우수작품을 선정한다.

8 レジャー白書 2012

9 矢野経済研究所

42

자료: http://www.tottorihanakairou.or.jp/

그림 4-5. 자생 나리류와 기타 식물들로 꾸며놓은 하나카이로

2.2. 하나카이로(花回廊)10

하나카이로(花回廊)는 1998년 돗토리현이 설립한 일본 최대의 꽃 공원이며,

가정원예와 정원문화의 수준 향상과 지역 경제 부흥을 목표로 하는 식물원이

다. 해발 1,709m의 다이센산 기슭에 50ha의 규모로 조성하였으며, 조성 당시

일본의 전국농업협동조합(JA)으로부터 6,000만 엔의 화단묘를 구입하였으며,

이 때 40호의 농가를 육성하였다 한다.

가운데 위치한 플라워 돔을 중심으로 11개 주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부

에서는 플라워 트레인을 운행하여 관람객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다. 나리류를

주요 식물로 선정하여 약 100품종 이상을 연중 감상할 수 있다. 또, 일본 자생

의 야생 나리류 15종을 모두 보유하여 자생식물의 보존·전시 역할도 하고 있

다. 이를 통해 자생식물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10 http://www.tottorihanakairou.or.jp/

43

자료: http://www.kamoltd.co.jp/

그림 4-6. 카모 꽃 창포원

초봄 튤립, 초여름의 장미, 여름 루드베키아, 지니아, 해바라기, 가을 샐비어

등 계절별로 전시 식물을 달리하지만, 6월 중순부터 7월 초에는 나리류를 배치

하여 약 10만 본 이상의 나리를 볼 수 있다. 또, 하나카이로 주변에서 돗토리현

생산의 각종 농산물을 생산자가 직접 판매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2.3. 카모 꽃 창포원11

시즈오카현 카케가와市의 카모 꽃창포원은 약 1ha 규모이며, 1,000종의 꽃창

포를 약 100만주 보존·재배하고 있다. 에도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일본 고

유의 품종을 보존하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신품종을 육성하기도 한다. 에도시

대의 저택과 창고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중세시대 산촌의 분위기

를 느낄 수 있다.

11 http://www.kamoltd.co.jp/kakegawa/index.html

44

자료: http://www.yuushien.com/

그림 4-7. 유시엔

2.4. 유시엔(由志園)12

시마네현 다이콘시마(大根島)는 시마네현 동부에 있는 섬인데, 토양 특성 때

문에 에도시대부터 모란과 고려인삼을 주로 재배하여 왔다. 유시엔(由志園)은

1985년 지역 관광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모란을 테마로 하는 회

유식 정원이다.

약 250종의 모란이 식재되어 있으며, 모란 이외에 봄에는 진달래, 석남, 영산

홍, 작약, 붓꽃, 여름에는 창포, 백일홍, 여름동백나무, 수국, 수련, 가을에는 단

풍, 산다화, 물푸레나무, 겨울에는 죽절초, 겨울붓꽃 , 백량금, 동백 등을 식재하

였다. 각 계절에 꽃이 피는 식물을 식재하여 계절감을 살렸으며, 모란관에는 1

년 내내 모란꽃이 피도록 하여 모란을 특화로 한 정원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실내 전시관인 모란관에는 모란 외에도 정원, 석등 등도 갖추어 유시엔 정원의

축소판이라 불리기도 한다. 정원에서는 이 지역 특산물 고려인삼과 장어 등 향

토 요리를 제공하는 전통식당도 있다.

유시엔은 유한회사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데 종업원은 60명이고 연 매출은

10억 5천만 엔이다.

12 http://www.yuushien.com/

45

2.5. 화훼시장에서의 자생식물13

일본에서는 자생식물의 품종개량과 육종 등을 통하여 다양한 신품종이 개발

되고 있으며, 일반 화훼시장에서 자생식물 또는 야생화의 유통량도 많다. 일본

자생식물 시장은 2002년 기준 연간 약 1,000억 원 규모로 알려져 있다. 동경도

중앙도매시장, 동경 오다 화훼도매시장, 오사카 쯔루미 화훼도매시장, 돗토리

현 도매시장뿐 아니라 마트와 일반 수퍼에서도 자생식물이나 꽃을 판매하는

것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일본 화훼시장에서 거래되는 자생식물은 원종 보다는 자생식물을 신품종으

로 육성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붓꽃, 개불알꼴, 복수초, 노루귀, 제비꽃, 산

수국, 초롱꽃 등 다양한 자생식물이 재배품종으로 육성되어 대량으로 거래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일본에서는 자생식물을 활용한 정원 가꾸기가 유행

이었으며, 자생식물의 화색, 초장, 개화시기에 의한 식물 배치, 암석원 등 다양

한 정원 조성 기술이 공유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우리나라 야생화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삼지구엽초,

금낭화, 무늬천남성, 애기우산나물, 피나물, 솜다리, 타래난초, 해오라비난초,

광릉요강꽃, 개불알꽃, 이삭여뀌, 동자꽃, 애기말발도리, 나비난초, 앵초, 술패

랭이꽃, 초롱꽃, 매발톱꽃, 처녀치마, 숫잔대, 섬잔대, 복수초, 은방울꽃, 물매

화, 약모밀, 홀아비꽃대, 제비붓꽃, 날개하늘나리, 윤판나물, 패모, 골무꽃, 마타

리, 공작고사리, 풀산딸, 큰방울새란, 산수국, 꽃고비, 월귤, 부처꽃, 붉은병꽃나

무, 바위떡풀 등도 관상식물로 개발 가치가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 우리나

라에서 아직 번식법이 제대로 개발되지 않은 광릉요강꽃, 개불알꽃 등이 이미

신품종으로 개발되어 화훼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또한, 타래난초, 풍란, 백리향, 도라지, 나도승마, 옥잠화, 숫잔대, 노랑제비

꽃, 동자꽃, 모시대, 깽깽이풀, 골무꽃, 바위떡풀, 산비장이, 숙은돌창포, 술패랭

이꽃, 꿩의바람꽃, 실꽃풀, 벌등골나물, 복수초, 꿩의비름, 초롱꽃, 큰두루미꽃,

13 이철희 등(2010)을 참조로 작성.

46

자료: 이철희 등(2010)

그림 4-8. 일본 도매 및 소매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자생식물

매발톱꽃, 우산나물, 작약, 풀솜대 등이 한국이 원산지임을 명시하여 분화용으

로 유통되고 있다.

2.6. 일본의 농촌관광

일본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농산촌 고유의 자연과 생태·문화자원에 대한 도

시인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촌 관광(Green Tourism)이 주목받고 있다. 농촌관

광은 농산촌이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경관을 꾸미고 농산촌의 고유

한 지식과 문화, 농림특산물을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주민 소득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경관 조성과 체험 프로

47

그램에 현지의 야생화와 동물 등 생물자원을 활용하게 된다. 특히 식물자원은

경관조성, 먹거리 개발, 체험프로그램 개발 등에 두루 사용된다. 자생식물을 이

용한 체험프로그램의 사례로는 산채 채취, 산채 요리, 숲 가꾸기 등이 있다.

일본의 농촌관광은 단순히 산책 또는 감상 보다는 다양한 상품과 체험활동

을 위주로 하고 있다. 또한 대자연을 감상하기보다는 농어촌의 전통문화 또는

농어촌의 농림업 생산활동을 체험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 유럽

3.1. 꽃 축제

산업화로 인한 도시 황폐화를 문화적으로 재생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1862년

영국 런던 Kensington Great Spring Show가 그 효시이며 이후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각지로 확대되었다. 일반적으로 정원박람회(Garden Festival 또는 Garden

Show)라고 하며, 정원, 원예, 화훼, 조경과 관련된 전시 형태를 표현할 때 Fair,

Expo, Trade Show, Exhibition 등의 용어로 표현하고 있다. 오늘날의 정원행사

는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알리기 행사의 성격이

강하다.

3.1.1. 퀴켄호프 플라워 쇼

튤립을 중심으로 하는 공원으로서 800종류의 튤립 7백만 개를 식재하였다.

튤립은 네덜란드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다. Keukenhof는 네덜란드 화훼 분야

의 국제적인 쇼케이스이며, 특히 구근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8주간 쇼에서

네덜란드 화훼 부문이 참여하는데 초점은 7백만개의 봄철 개화 구근류에 두고

48

있는데 100여개의 업체들이 살아있는 상품 카탈로그라고 할 수 있다. 30개 화

훼 쇼에서 500여 화훼 재배자들이 많은 양의 절화와 분재를 제시하고 있다.

Keukenhof 명칭은 “Kitchen Garden”에서 유래하는데, 15세기로 거슬러 올라

간다. Bavaria(1401-1436)의 공작부인 Jacqueline 은 Teylingen Castle의 부엌에

서 사용하기 위해 숲과 사구에서 과일과 채소를 수집하였다. Keukenhof Castle

은 1641년에 세워졌고 그 면적은 200 ha를 넘게 되었다. 1949년 20여 구근류

수출업자들이 나타나 이곳을 봄철 개화 구근류의 상시 전시장으로 만들 계획

을 세웠는데 이것이 봄 공원으로서 Keukenhof의 시초가 되었다. 1950년 이 공

원은 일반에 공개되었고 첫해에 236,000명이 방문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14년 65회째 개최되고 있는데 네덜란드의 테마가 되었다. 65년동안

Keukenhof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소가 되었다.

매년 봄에 가든 디자이너는 내년도 구상을 한다. 보다 잘 보이고 아름답게 보

일 수 있도록 꽃들의 조합을 구상한다. 5월부터 내년도 공원의 설계에 착수하며

다양한 컬러의 조합과 구근류 화훼가 오래 지속되도록 계획한다. 30명의 가드

너 팀이 9월 중순에 7백만 개의 구근을 식재하기 시작하는데, 모든 구근은 수작

업으로 식재되고 3개월이 소요된다. 개장하기 전에 새로 잔디를 심는데 이는 싱

싱하고 푸른 배경을 만들어 준다. 공원 폐장기에 모든 구근을 파내어 폐기한다.

매년 세계 100여국에서 80만 이상의 방문객이 모여들어 Keukenhof의 다채

로운 멋을 즐긴다. Keukenhof의 홍보는 연중 이루어지며 네덜란드의 선두 기

업들과 협력하기도 한다.

2014년 테마는 네덜란드이며 튤립이 중심 무대를 차지하고 있다. ‘줄리아나

파빌리온’에서는 Tulpomania 전시를 하는데 이는 튤립의 역사와 오늘날 튤립의

발전과정을 보여준다. ‘역사 가든’에서는 네덜란드 튤립재배 400년 스토리를 볼

수 있으며 미래에 예상되는 튤립의 종류를 볼 수 있다. ‘명예의 거리’에는 유명

인사의 이름을 딴 튤립이 있다. ‘오라녀 낫소 파빌론’은 암스테르담에 초점을

두고 꽃장식을 하였다. 올해의 꽃 모자이크는 네덜란드를 테마로 하고 있다.

실내 전시공간도 갖추고 있는데 파빌리온을 세워 개화 구근류와 절화, 분화

및 관목으로 꾸미고 있다. 오라녀 낫소 파빌리온에는 다채로운 꽃 전시물을 볼

49

그림 4-9. 퀴켄호프 플라워 쇼

수 있는데 매주 바뀐다. 빌렘-알렉산더 파빌리온은 수천의 튤립을 보여주고 시

즌후반 열흘동안 세계 최대의 백합 쇼가 개최된다. 베아트릭스 파빌리온은 8주

동안 엄청나게 많은 난(蘭), 안스리움, 브로멜리아 등을 보여준다. 이 3개 파빌

리온에 있는 꽃과 식물은 500여 화훼 재배자들이 제공한다.

Keukenhof에는 매일 다른 이벤트가 있는데, 꽃이 피는 정도뿐만 아니라 공

원이 개장되는 8주간 매일 다른 이벤트가 있다. 매일 전동 ‘돛배’가 풍차 옆 보

트램프에서 출발하여 공원에 인접한 구근류 재배지를 관광할 수 있다. 공원 정

문에서 자전거를 이용하여 주변 농촌의 색깔들을 즐길 수 있다.

Keukenhof는 꽃을 보는 이상의 즐거움을 준다. 봄 공원은 큰 파티장이며 매

년 완벽한 외출 기회를 제공하는데 어린이들에게도 그러하다. 어린이들에게는

공원을 따라 보물사냥을 하는 것이 즐거움을 제공한다. 안내소에서 무료 보물

사냥을 고를 수 있다. 공원 중앙에는 농장이 있는데 동물들을 접촉할 수 있으

며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놀이터가 있다. 팬케이크 하우스와 레스토랑에서 식

사를 할 수 있다.

Keukenhof는 즐거움을 주면서 자신의 정원을 꾸미는 데 필요한 아이디어

(inspiration)를 제공한다. 7개의 아이디어 가든은 정원의 유행을 보여줌. 요리

정원, 더치 암소가든, 건강 가든, 기타 4개의 아이디어 가든이 있다. 네덜란드의

유명한 TV 정원 디자이너 Rob Verlinden은 스튜디오에서 나와 방문객들에게

자신이 정원을 어떻게 설계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올해 그는 큰 가족 정원을 만

50

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 정원을 식료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 정원에는

튼튼한 야외 부엌을 갖추고 수직 허브와 야채 가든을 가지고 있다.

Keukenhof의 숲과 잔디는 수백만의 봄철 개화 구근류를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조각과 기타 예술작품에도 뛰어난 장소가 된다. 매년 50명의 예술가들

이 초대되어 공원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는데, 예술작품과 공원의 조합은

때로 놀라운 결과를 보여준다.

재단장한 역사 가든에서 튤립은 네덜란드 튤립재배의 400년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정원에서 중요한 것은 Carolus Clusius(1526-1609)의 흉상이다. 그는

전 유럽에 지인들을 두었는데 그들이 많은 새로운 식물을 보내왔다. 1593년

Clusius는 레이덴의 식물원장으로 임명되어 식물원에 튤립을 포함하여 1,500여

식물들을 심었다. 역사 가든은 이 정원을 재현한 것인데 여기에는 4세기 동안

재배되어온 종류들이 있다. 튤립이 네덜란드의 아이콘이 된 것은 그의 공로라

고 볼 수 있다.

3.1.2. 첼시 플라워 쇼14

1862년 영국 그레이터 런던주 중부의 켄징턴에서 열린 그레이트 스프링 쇼

(Great Spring Show)에서 유래하였다. 1913년부터 첼시 지역의 왕립병원 정원으

로 전시장이 고정되어 지금에 이른다. 이 쇼는 영국의 왕립원예협회(RHS:Royal

Horticulture Society)가 주관하며, 매년 5월 하순에 4일 동안 열린다. 왕립원예협

회는 18개월 전부터 참가 희망업체와 단체들의 기획서를 검토하여 엄격하게 선

발하는데, 정원 디자인이나 재배 기술에서 혁신성을 가진 업체를 우선 선발한다.

다양한 행사 가운데 정원을 축소하여 꾸민 모델 정원이 최고의 볼거리로 꼽

힌다. 모델 정원은 가로 8m, 세로 18m 크기의 정원 꾸미기(Show Garden) 전시

장을 비롯하여 현대풍 정원(Chik Garden) 전시장, 안마당 정원(Courtyard

14 네이버 지식백과

51

자료: http://www.infohub.com/vacation_packages/29286.html

그림 4-10. 스위스 야생화 투어 관련 자료

Garden) 전시장, 도심 정원(City Garden) 전시장, 선플라워 거리 정원

(Sunflower Street Garden) 전시장 등으로 구성된다. 모델 정원에 대하여 전체

적인 조화, 디자인과 건축, 정원 식물들, 특별한 장식 4가지 항목을 평가하여

금·은·동메달을 수여한다.

이 박람회는 암스테르담 국제원예박람회와 함께 세계적인 원예 축제 가운데

하나이다. 세계 각국의 원예 산업 동향과 다양한 품종의 꽃·나무를 접할 수 있

다. 1987년 행사 진행에 어려움 줄 만큼 관람객이 많이 몰려 1988년부터 관람

객 수를 17만 명으로 제한하였다.

3.2. 유럽의 농산촌 관광

유럽에서 농산촌 관광은 농촌 경관을 최대한 보존하여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농촌을 도시민 관광지로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체험활동이나 먹거리를 즐기

는 여행보다 주로 자연경관이 잘 보존된 지역의 트레킹이나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52

자료: http://www.colletts.co.uk/dolomites/alpine-flower-walks-italy/

그림 4-11. 이태리의 야생화 트레킹 관광 안내

3.3. 유럽의 정원

유럽의 정원은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식물원과 수목원을 중심으로 정원문

화 패러다임 변화와 사회경제 발전을 선도하여 왔다.

영국의 경우 국가 정원관광과 정원시상제도 등을 활발히 추진하여 왔다.

National Garden Scheme에 등록된 3,700개의 정원에 대한 소개와 관람안내를

책자로 발간하여 정원관광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 영국관광청의 ‘Britain in

53

Bloom’행사는 마을 또는 개인주택정원이 잘 조성된 지역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독일과 영국의 Flower Show와 정원박람회는 최대 관광자원뿐만 아니

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독일은 연방정원박람회(Bundesgartenshau)

를 2년마다 지역 순회로 개최하여 녹지를 확보하고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를 도모하고 있다. 영국의 Chelsea Flower Show는 18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원예박람회로서 영국 왕립원예협회(RHS)가 주관하여 매년 개최하고 있다. 연

간(’11년 기준) 약 1억 3천만 달러(1,400억 원)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에는 클라인가르텐(Kleingarten)이라는, 우리나라의 주말농장에 해당하

는 작은 정원이 보급되어 있다.15 독일의 건축법은 도시를 조성할 때 일정한 면

적을 가르텐 부지로 할당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는데, 이 클라인가르텐은 전국

1만5000개 단지, 회원 12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용자는 최초

700만~800만 원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연회비와 관리비 43만원 정도를 지부한

다. 그리고 이용자가 기본사항을 준수하고 본인이 원하면 영구적으로 임대할

수 있다. 가르텐을 관리하는 직원들은 모두 자원봉사로 활동하며, 시설물은 지

자체 보조금으로 지원된다. 개인간 매매는 허용되지 않고 지자체가 관리한다.

한 곳당 100평의 규모로 휴식공간, 놀이공간, 농사공간으로 구분된다. 농작물

은 100% 유기농을 재배되며 자가소비만 가능하고 판매는 허용되지 않는다.

15 http://www.yp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40

55

제5 장

야생화 및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1. 조사개요

우리나라 야생화 산업화와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

하여 야생화 및 정원문화에 대한 국민의식을 파악하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전국의 구매력이 있는 20세부터 59세까지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

며16, 표본의 크기는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약 ±3% 포인트 수준인 1,000

명으로 하였다. 이때, 2014년 1월을 기준으로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을 시행하였다. 2014년 4월 17일부터 22일까지 인터넷을 활용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17 조사 항목은 보유식물 현황, 야생화 인지 수준, 야생화

구매 행태와 소비 습관, 야생화 산업화 여건의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18

16 제주도를 제외한 모집단의 수는 31,085,136명이다.

17 본 설문조사는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하여 진행되었다.

18 설문조사지는 부록에 수록하였다.

56

표본 모집단1)

성별남 51.1 49.7

여 48.9 50.2

연령

20대 21.0 21.1

30대 25.4 26.0

40대 28.0 28.1

50대 25.6 24.8

지역

서울 20.9 20.4

부산 6.9 7.1

대구 5.1 5.1

인천 5.9 5.5

광주 2.8 3.1

대전 3.1 3.1

울산 2.4 2.3

경기 24.8 23.7

강원 2.8 3.1

충북 3.0 3.1

충남 3.9 4.2

전북 3.5 3.7

전남 3.4 3.6

표 5-1.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단위: %

2. 조사결과

2.1. 응답자 특성

설문조사 응답자 1,000명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표 5-1>과 같다.19 통계청

의 인구센서스와 비교했을 때, 표본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분포는 모집단의

인구 통계적 구성에 맞게 추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19 응답률은 82.44%(1,213명 가운데 1,000명이 응답에 참여)였다.

57

표본 모집단1)

현 거주지 규모

경북 5.0 5.4

경남 6.5 6.6

특별/광역시 47.1 -

일반 시 48.4 -

군 4.5 -

출신 지역 규모

특별/광역시 51.9 -

일반 시 36.7 -

군 11.4 -

주거형태

단독주택 18.0 -

아파트 60.9 -

연립주택 19.4 -

기숙사/오피스텔 1.7 -

거주형태

자가 소유 64.7 -

전세 27.3 -

월세 8.0 -

최종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0 -

고등학교 졸업 18.0 -

대학 재학 10.6 -

대학 졸업 62.4 -

대학원 졸업 이상 8.0 -

가구소득(월 평균)

100만원 미만 0.4 -

100-200만원 미만 4.3 -

200-300만원 미만 14.1 -

300-400만원 미만 20.3 -

400-500만원 미만 19.5 -

500-600만원 미만 17.2 -

600-700만원 미만 9.3 -

700-800만원 미만 5.5 -

800-900만원 미만 4.0 -

900-1000만원 미만 1.4 -

1000만원 이상 4.0 -

주: 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58

있다 없다 χ2

전 체 868(86.8) 132(13.2)

성별남 447(87.5) 64(12.5) 0.41

(d.f.=1)여 421(86.1) 68(13.9)

연령

20대 174(82.9) 36(17.1)

7.08*

(d.f.=3)

30대 216(85.0) 38(15.0)

40대 246(87.9) 34(12.1)

50대 232(90.6) 24(9.4)

현 거주지 규모

특별/광역시 410(87.1) 61(12.9)5.43*

(d.f.=2)일반 시 414(85.5) 70(14.5)

군 44(97.8) 1(2.2)

출신 지역 규모

특별/광역시 455(87.8) 64(12.3)3.34

(d.f.=2)일반 시 310(84.5) 57(15.5)

군 103(90.4) 11(9.6)

주거형태

단독주택 162(90.0) 18(10.0)

34.83***

(d.f.=3)

아파트 548(90.0) 61(10.0)

연립주택 147(75.8) 47(24.2)

기숙사/오피스텔 11(64.7) 6(35.3)

표 5-2.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식물 보유 여부 비교

2.2. 보유 식물 현황

2.2.1. 보유 여부

응답자의 86.8%가 집에 식물20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Pearson 카이제곱 검정

결과, 주거형태, 거주형태, 최종학력, 가구소득에 따라 식물 보유 여부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거 및 거주 형태가 불안정할수록 보유 비율이

낮았으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보유 비율이 높아졌다.

20 절화는 제외하였다.

59

있다 없다 χ2

거주형태

자가 소유 600(92.7) 47(7.3)82.98***

(d.f.=2)전세 221(81.0) 52(19.0)

월세 47(58.8) 33(41.3)

최종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7(70.0) 3(30.0)

9.84**

(d.f.=4)

고등학교 졸업 152(84.4) 28(15.6)

대학 재학 86(81.1) 20(18.9)

대학 졸업 556(89.1) 68(10.9)

대학원 졸업 이상 67(83.8) 13(16.3)

가구소득(월 평균)

100만 원 미만 3(75.0) 1(25.0)

38.32***

(d.f.=10)

100-200만 원 31(72.1) 12(27.9)

200-300만 원 109(77.3) 32(22.7)

300-400만 원 168(82.8) 35(17.2)

400-500만 원 171(87.7) 24(12.3)

500-600만 원 160(93.0) 12(7.0)

600-700만 원 87(93.5) 6(6.5)

700-800만 원 51(92.7) 4(7.3)

800-900만 원 37(92.5) 3(7.5)

900-1000만 원 14(100.0) 0(0.0)

1000만 원 이상 37(92.5) 3(7.5)

주: *p<0.10, ** p<0.05, *** p<0.01

괄호 안은 비율(%)

2.2.2. 보유 수량

식물을 보유한 가구당 식물의 수는 평균 3.22개였는데, 최대 29종의 식물을

보유한 가구도 있었다<그림 5-1>. 가구당 보유식물의 수는 집단별 평균의 차이

를 규명하는 t-검정과 F-검정(분산분석)을 적용할 수 없다. 분석의 전제가 되는

자료의 정규성(normality)이 위배되었기 때문이다.21

60

비모수검정 방법인 Kruskal-Wallis 검정으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보유 수량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주거형태만 보유 수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22 단독주택 거주자의 보유 수량이 타 주거형태보다 많았다.

그림 5-1. 가구당 보유 식물 현황

2.2.3. 보유 종류

총 147종의 식물이 우리나라 일반 가구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선인장

의 보유율이 절반에 가까운 48.96%로 가장 높았다. 허브류(28.11%), 동양란

(26.84%), 철쭉(19.70%), 고무나무(16.94%)가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147종의

빈도는 <표 5-3>과 같다.

21 STATA의 sktest.ado를 활용하여 검정하였다. 정규성이라는 귀무가설이 유의수준

0.001% 수준에서 기각되었다.

22 통계적 검정 결과는 부록에 수록하였다.

61

종류 빈도 종류 빈도 종류 빈도 종류 빈도

선인장 425 카네이션 18 은행나무 2 목련 1

허브류 244 잣나무 17 블루베리 2 개나리 1

동양란 233 행운목 17 오가피나무 2 피라칸타 1

철쭉 171 측백나무 12 매실나무 2 모란 1

고무나무 147 페투니아 10 앵두나무 2 미니사과 1

호접란 133 배롱나무 10 서양란 2 호주매화 1

동백나무 116 관음죽 10 아레카야자 2 부겐빌레아 1

장미 96 감나무 9 스파티필름 2 복숭아나무 1

국화 96 천리향 8 꽃기린 2 모과나무 1

풍란류 91 메리골드 7 나팔꽃 1 작약 1

베고니아 84 돈나무 7 루피너스 1 초롱꽃 1

아이비 77 알로에 6 비올라 1 석류나무 1

소나무 67 호야 5 보리 1 솔잎국화 1

제라늄 64 사랑초 5 개똥쑥 1 명월초 1

단풍나무 61 스킨답서스 5 가지 1 로즈마리 1

자스민 60 다육식물 5 목화 1 마리안느 1

팬지 59 마가렛 4 흰민들레 1 만데빌라 1

사철나무 58 덴파레 4 페페 1 프리지어 1

튤립 55 채송화 4 개발선인장 1 마늘 1

야자/종려 55 수선화 4 더덕 1 산호수 1

데이지 54 녹보수 4 참나무 1 틸란드시아 1

연산홍 51 벤자민 4 밤나무 1 스투키 1

바이올렛 43 사피니아 3 대나무 1 옥잠화 1

심비디움 43 봉선화 3 뽕나무 1 알로카시아 1

소철 36 고추 3 살구나무 1 해바라기 1

벚나무 35 히야신스 3 남경도 1 파 1

안스리움 34 난 3 남천 1 자마이카 1

회양목 33 인삼벤자민 3 커피나무 1 오색마삭줄 1

라일락 33 해피트리 3 때죽나무 1 덴드롱 1

산세베리아 32 수국 3 소사나무 1 보스턴고사리 1

향나무 29 군자란 3 두릅나무 1 청콩고 1

꽃양배추 22 천량금 3 보리수나무 1 싱고리움 1

주목 21 개운죽 3 낑깡나무 1 바나나나무 1

석죽 20 상추 2 파키라 1 천사의 눈물 1

무궁화 20 카랑코에 2 미선나무 1 넉줄고사리 1

치자나무 19 딸기 2 산수유 1 부부초 1

느티나무 18 꽃잔디 2 만리향 1 모름 6

표 5-3. 가구당 보유 식물 현황

62

2.2.4. 배치 장소

식물이 주로 있는 곳은 베란다 혹은 발코니가 53.92%로 가장 많았고, 거실

(29.15%), 정원(11.87%), 방(3.69%), 옥상 혹은 마당(1.15%), 집 주변(0.23%)

순이었다.

2.3. 야생화 인지 정도

국립수목원은 야생화를 자연 그대로 우리 국토의 산과 들에 자라며 경제

적․환경적․정서적․문화적으로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하여 온 모든 식물이

라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국민이 야생화를 이처럼 복잡한 개념으로 이해

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야생화는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응답자가 야생화하면

떠오르는 것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총 146개의 단어가 등장하였는

데,23 여기에는 특정 식물의 이름(예: 민들레, 할미꽃 등)이 79개로 가장 많았

고, 표현(예: 자연스럽다, 강인하다 등)이 40개, 장소(예: 산, 들, 농촌, 수목원

등)가 11개, 일반 명사(들국화, 봄, 느낌, 토종)가 16개였다.24

146개 단어 중에는 민들레라 대답한 응답자가 92명으로 가장 많았다. 식물에

서는 할미꽃(53명), 진달래(48명), 철쭉(42명), 개나리(38명)가 상위를 차지했으

며, 표현에서는 자연스럽다가 2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예쁘다/아름답다(26명),

강인하다(24명), 생명력 있다(23명), 자유롭다(22명)가 그 뒤를 이었다. 장소에

서는 산이라 대답한 응답자가 22명으로 가장 많았고, 명사에서는 들국화와 들

꽃이 각각 69명과 36명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23 응답자 가운데 45명이 모르거나 없다고 대답하였다24 146개 단어는 부록에 수록하였다.

63

꽃으로 한정한 질문에서 108개 야생화가 등장하였다.25 민들레(157명)를 가

장 많이 꼽았으며, 할미꽃(82명), 진달래(61명), 개나리(56명), 제비꽃(53명), 무

궁화(52명), 철쭉(49명), 강아지풀(34명)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

물의 순위가 상위를 차지하였다.

2.4. 야생화 구매행태와 소비습관

박기환 외(2013)은 우리나라 국민의 화훼 구매행태와 소비습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바 있다.26 본 절에서는 야생화의 구매 형태와 소비습

관을 조사 분석하여 화훼 품목과 비교하였다.

2.4.1. 구입 여부

지난 1년 동안 야생화를 구입한 응답자 비율은 20.6%로, 일반 식물을 구입한

응답자 비율인 82.7%의 약 4분의 1 수준이었다.27 연령, 소득, 주거형태, 거주

형태는 식물과 야생화 구입 여부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연

령과 소득이 증가할수록 구매 비율이 높았으며<그림 5-2, 5-3>, 개별 주거 공간

이 넓고 안정적일수록 구매 비율이 높았다<그림 5-4, 5-5>.

25 108개 꽃 이름 목록은 부록에 수록하였다.

26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화훼 품목은 절화, 난류, 초화이

다.

27 식물 구입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25.9%가 야생화를 구입한 경험이 있었다.

64

그림 5-2. 연령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그림 5-3. 소득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65

그림 5-5. 거주형태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그림 5-4. 주거형태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66

한편, 출신 지역과 최종학력은 야생화 구입 여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출신지역의 경우에는 군(28.9%), 일반 시(20.2%), 특별시(19.1%) 순으로 야생

화 구입 비율이 높게 나왔다. 최종학력은 중학교 졸업 이하 응답자의 야생화

구입 비율(70%)이 가장 높게 나왔다.

야생화 구입 경험이 없는 응답자 794명을 대상으로 야생화를 구입하지 않은

이유를 물어보았다. ‘키우기 어려울 것 같아서’라고 대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살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서’, ‘야생화를 잘 몰라서’, ‘꽃이 작고

화려하지 않아서’가 그 뒤를 이었다. 보기로 제시되지 않은 ‘야생에서 보는 것

이 좋아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2.3%나 되었다는 점이 특이할 만하다.

이유 빈도 비율(%) 비고

키우기 어려울 것 같아서 417 52.5

보기로제시

살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서 229 28.8

야생화를 잘 몰라서 42 5.3

꽃이 작고 화려하지 않아서 36 4.5

가격이 비싸서 19 2.4

야생에서 보는 것이 좋아서 18 2.3

자유응답

키울 환경이 안 되서 11 1.4

필요하지 않아서 11 1.4

좋아하는 꽃이 아니라서 4 0.5

구입하지 않고 얻어 올 수 있어서 4 0.5

이미 다른 식물 등을 키워서 2 0.3

알레르기가 있어서 1 0.1

표 5-4. 야생화를 구입하지 않은 이유

2.4.2. 구입 종류

최근 1년 이내 구입 경험이 있는 야생화의 종류는 24개였다. 평균 구입 종류

의 수는 약 2개였으며, <그림 5-6>과 같이 한 종을 구입한 경우가 40.3%로, 가

장 많았다. 야생화 가운데 금낭화를 구입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할미꽃,

67

붓꽃, 원추리, 은방울꽃이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표 5-5>. 본 결과는 산림청

(2013)의 2012년 기준 임산물 생산조사의 야생화 생산량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

다. 이는 생산량이 많은 구절초, 쑥부쟁이, 벌개미취, 비비추는 대단위 조경용

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림 5-6. 최근 1년 동안 야생화 구입 종류

야생화 빈도 점유율(%)

생산량1)

(천 본) 야생화 빈도 점유율(%)

생산량1)

(천 본)

금낭화 61 29.6 455 부처꽃 13 6.3 -

할미꽃 42 20.4 - 노루귀 12 5.8 -

붓꽃 36 17.5 - 용담 12 5.8 -

원추리 31 15.0 2,449 앵초 10 4.9 -

은방울꽃 31 15.0 - 용머리 10 4.9 -

구절초 28 13.6 3,653 꽃무릇 8 3.9 -

패랭이꽃 23 11.2 - 비비추 5 2.4 2,160

감국 22 10.7 929 제비동자꽃 4 1.9 85

쑥부쟁이 22 10.7 759 털머위 2 1.0 -

맥문동 19 9.2 - 등심붓꽃 1 0.5 -

벌개미취 16 7.8 3,295 제비꽃 1 0.5 -

돌단풍 15 7.3 468 좀바위솔 1 0.5 -

주: 1) 산림청(2013), 2012 임산물 생산조사 결과임.

표 5-5. 야생화 구입 종류

68

일반 식물 야생화 절화 난류 초화

1년에 한 번 미만 39.8* 27.7 21.9 31.8* 18.6

1년에 한 번 이상 27.6 48.1* 23.5 31.8* 20.4

6개월에 한 번 이상 25.9 20.4 16.8 21.1 32.2*

3개월에 한번 이상 - - 28.9* 11.7 29.3

한 달에 한 번 이상 5.8 2.9 7.8 3.1 9.2

2주에 한 번 이상 1.0 1.0 1.0 0.5 1.3

주: 1) *1순위

2) 절화,난류, 초화 등은 박기환 외(2013, 76)의 결과임.

표 5-6. 연간 품목별 식물 구입 빈도

단위: %

2.4.3. 구입 빈도

<표 5-6>은 야생화와 일반 식물을 구입한 응답자의 구입 빈도이다. 전체의

60% 이상이 1년에 한 번 정도 야생화를 구입하여, 화훼류보다 구입 빈도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2.4.4. 구입 목적

<표 5-7>은 야생화와 일반 식물의 구입 목적을 비교한 것이다. 두 품목 모두

실내 및 실외 장식을 위해서 구입한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는데, 일반

식물과 야생화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선물용과 공기정화용에서는 일

반 식물의 비율이, 취미활동용과 정서함양용에서는 야생화의 비율이 높았다.

2.4.5. 주 구입처

주요 구입처로는 야생화, 식물, 화훼류 모두 꽃가게가 가장 많았으나, 이후

순위에서는 품목별로 차이가 있었다. 야생화는 식물원/수목원의 비율이 높았

고, 난은 도매시장과 인터넷 꽃 배달의 비율이 높았다.

69

일반 식물 야생화

선물용 19.5 13.1

실내장식용 54.2* 55.3*

공기정화용 43.3** 17.0

취미활동용(꽃꽂이) 8.6 18.9

원예치료용(정서함양) 18.3 26.7***

옥외조경용 36.8*** 41.3**

식용 0.1 0.0

주: * 1순위, ** 2순위, *** 3순위

표 5-7. 품목별 구입 이유

단위: %

일반식물 야생화 절화 난류 초화

꽃가게 64.2* 52.9* 67.3* 33.6* 48.8*

슈퍼/편의점 2.2 2.4 - - -

노점/가판점 13.8 11.2 5.4 3.1 9.9*

홈센터/가든센터 2.9 1.5 - - -

식물원/수목원 14.6* 29.1** - - -

도매시장 13.3 13.6 13.8** 27.0** 19.0**

인터넷/전화 꽃 배달 10.4 9.2 6.6* 22.1* 7.0

대형유통센터 11.5 8.7 2.2 2.8 5.7

재배농가 9.4 13.1 0.7 3.8 2.2

재래시장 16.2** 18.4* 1.9 3.1 3.7

알뜰장/직판장 8.2 12.6 1.9 4.3 3.1

백화점 0.8 1.0 - - -

기타 0.3 0.0 - - -

주: 1) * 1순위, ** 2순위, *** 3순위

2) 절화,난류, 초화 등은 박기환 외(2013, 76)의 결과임.

표 5-8. 품목별 구입처

단위: %

70

고려사항 추정계수 z-값 H-Ratio1)1순위확률(%)

신선도 -0.33*** -3.97 0.72 9.91

개화정도 -0.38*** -4.88 0.68 9.34

모양과 크기 -0.34*** -4.88 0.71 9.75

가격 -0.81*** -9.85 0.45 6.11

수명 -0.37*** -5.38 0.69 9.44

색깔 -0.56*** -7.31 0.57 7.84

향기 -0.53*** -7.25 0.59 8.04

꽃종류 -0.13* -1.83 0.88 12.04

관리용이2) 0.00 1.00 13.71

화분모양 -0.89*** -6.35 0.41 5.62

꽃말 -0.51 -0.43 0.60 8.20

추가구입가능여부 -31.03 0.00 0.00 0.00

공간 -38.88 0.00 0.00 0.00

Log likelihood =-4697.657

LR chi2(12) =163.58***

주: * p<0.10, ** p<0.05, *** p<0.01

1) Hazard ratio으로, 추정계수를 지수로 한 e의 누승 값이다.

2) 참조수준(reference level)

표 5-9.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2.4.6. 구입 시 주요 고려 사항

박기환 등(2013)는 우리나라 소비자의 화훼 구입 시 고려 사항에 대한 우선

순위를 가려 제시한 바 있다. 고려 사항으로는 ①신선도, ②개화정도, ③모양과

크기, ④가격, ⑤수명, ⑥색깔, ⑦향기, ⑧꽃종류, ⑨관리용이, ⑩화분모양이 제

시되었다. 절화, 난류, 초화 모두 가격이 최우선 고려 요소였으며, 신선도, 개화

정도 등이 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야생화에 한정하여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을 조사하였다. 위 10가지 항목을

제시하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소 순대로 다섯 개를 선정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eggs et al.(1981)의 순위형 로짓모형(Rank-ordered logit)으로

분석하였다. <표 5-9>는 모형 추정 결과이다.

71

야생화1) 절화2) 난류2) 초화2)

신선도 9.9*** 20.9** 19.4** 20.5**

개화 정도 9.3 12.3 13.7*** 16.5***

모양과 크기 9.8 12.3 13.7*** 15.4

수명 9.4 7.1 - -

색깔 7.8 3.7 2.4 3.8

향기 8.0 2.9 3.6 3.1

꽃 종류 12.0** 17.9*** - -

관리용이 13.7* - 9.1 10.0

화분 모양 5.6 - 5.3 5.5

가격 6.1 22.3* 32.6* 24.5*

기타3) 8.2 0.5 0.4 0.7

주: * 1순위, ** 2순위, *** 3순위1) 순서화 로짓모형으로 추정한 해당 요소의 1순위 확률임.2) 박기환 외(2013), 소비안정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화훼산업 발전전략, p 763) 꽃말, 추가구입 가능여부, 공간

표 5-10. 품목별 구입 시 주요 고려 사항

단위: %

관리용이를 참조수준으로 설정한 모형에서 기타 응답으로 나온 꽃말, 추가구

입 가능여부, 공간을 제외한 모든 요소가 10% 수준에서 유의하였으며, 음(-)의

값을 보였다. 이는 관리용이가 최우선 고려요소임을 의미한다. 추정계수의 크

기는 관리용이와 해당 요소의 상대적 선호 차이를 나타낸다. 1순위 확률은 <식

5-1>과 같이 해당 상품의 H-ratio값이 전체 H-ratio의 총합에서 차지하는 비율

로 계산된다.

Pr

expexp

…………<식 5-1>

13가지 요소 가운데 관리의 용이를 1순위로 선택할 확률이 가장 높았으며, 꽃

종류, 신선도가 그 뒤를 이었다. <표 5-10>은 박기환 외(2013)의 화훼류 구입 시

고려 사항 순위와 비교한 것이다. 주목할 만 한 점은 야생화에서 ‘가격’의 우선순

72

위가 낮게 도출되었다는 점, ‘관리용이’가 13.7%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는 점,

일반 화훼류와 달리 항목별 편차가 크지 않았다는 점이다<그림 5-7>. 관리의 용

이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야생화를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 ‘키우기 어

려울 것 같아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던 것과 같은 결과라 하겠다.

그림 5-7. 품목별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

단위: %

2.4.7. 구입 비용

지난 1년 동안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은 <그림 5-8>과 같다.28 식물과

야생화의 최빈값 모두 50,000원/년 이었다. 식물은 최빈값29을 중심으로 오른

28 식물과 야생화 평균의 직접 비교 결과는 의미가 없다. 식물 구입비용이 3억 원이라

대답한 응답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29 식물과 야생화의 중앙값은 각각 50,000원/년과 45,000원/년이었다.

73

편에 빈도가 큰 값이 위치한 반면, 야생화는 최빈값을 중심으로 왼 편에 빈도

가 큰 값이 위치하였다.

그림 5-8.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

단위: %

<그림 5-3>에서 소득이 식물과 야생화 구입 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본 결과에서 소득이 지출 금액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을 수립할 수 있다. 개인의 지출액 규모 역시 주어진 예산(소득) 안에

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화의 재화로서의 특성을 판별하기 위

하여 소득 변화에 따른 지출액의 변화, 즉 지출의 소득탄력성을 도출하였다.

식물과 야생화 지출에 대한 소득탄력성을 산정하기 위한 다중회귀식의 독립

변수는 앞서 식물과 야생화 구입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사회경제적 특성

으로 설정하였다<그림 5-2~5>.30 식물에 대한 지출은 연령, 소득, 주거형태, 거

주형태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으며(모형 1), 야생화에 대한 지출은 연령,

소득, 주거형태, 거주형태, 최종학력, 출신지역 규모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

였다(모형 2). 지출의 소득탄력성을 바로 나타내기 위하여 지출액과 소득 모두

30 허순임 외(2007)이 가계 의료비 지출의 소득탄력성을 분석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74

응답자 특성모형 1 (식물) 모형 2 (야생화)

추정계수 t-값 추정계수 t-값

연령(참조: 20대)

30대 0.26** 2.29 -0.29 -1.19

40대 0.20* 1.83 -0.14 -0.65

50대 0.17 1.52 -0.20 -0.93

소득1) 0.44*** 5.17 0.01 0.07

주거형태(참조: 단독주택)

아파트 -0.29*** -2.93 -0.30* -1.94

연립주택 -0.43*** -3.41 -0.63*** -2.88

기숙사/오피스텔 0.14 0.42 0.53 0.52

거주형태

(참조: 자가소유)전세 0.02 0.24 -0.05 -0.28

월세 -0.11 -0.67 0.32 0.74

표 5-11. 다중회귀식 추정 결과

에 자연로그를 취하였다.

지출의 소득탄력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수인 식물 및 야생화에 지출

액과 주요 독립변수인 소득의 이상치(outlier)를 제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Billor et al.(2000)이 제안한 Bacon-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상치를 가려냈

다.31 식물에 대한 지출액과 소득 관계에서는 49개의 이상치(5.9%)가,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과 소득 관계에서는 13개의 이상치(6.3%)가 제거되었다.

두 모형의 회귀분석 결과는 <표 5-11>과 같다. 모형 1, 2의 설명력(조정 R2)

은 각각 0.0484와 0.0570으로, 매우 낮으나 모든 추정계수가 0이라는 귀무가설

은 5% 유의수준에서 기각되었다. 식물 지출에 대한 소득탄력성은 0.44%로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야생화 지출에 대한 소득탄력성은 0.01%로 유의하지

않았다<그림 5-9>. 추정된 소득탄력성 값은 식물이 정상재이나 사치재가 아님

을, 야생화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상품으로 인식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31 Weber(2010)이 발표한 STATA 코드, bacon.ado를 활용하였다.

75

응답자 특성모형 1 (식물) 모형 2 (야생화)

추정계수 t-값 추정계수 t-값

학력(참조: 중졸 이하)

고등학교 졸업 - - 0.10 0.24

대학 재학 - - -0.24 -0.52

대학 졸업 - - 0.41 1.01

대학원 졸업 이상 - - 0.17 0.36

출신지역 규모

(참조: 특별/광역시)

일반 시 - - -0.03 -0.20

군 - - -0.29 -1.50

상수항 4.12*** 3.21 10.48*** 4.17

관측치 778 193

조정 R2 0.048 0.057

F-값 F(9, 768)=5.39*** F(15, 177)=1.77**

주: * p<0.10, ** p<0.05, *** p<0.01

1) 자연로그를 취한 값임.

그림 5-9.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과 소득의 관계

주) 지출액과 소득은 모두 자연로그를 취한 값임.

76

2.5. 야생화 산업화 여건

2.5.1. 야생화의 경쟁력

야생화의 경쟁 상대는 화훼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절화, 난류, 초화류이다.

지금의 화훼 시장의 점유율로 미루어 야생화의 경쟁력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

을 것이다. 하지만 야생화의 생산량이 적고, 인지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충분한 경쟁 기회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이에 일반 화훼류에 야생화를 포함시켜 목록을 만든 다음, 두 개의 식물을

무작위로 뽑아 응답자에게 제시하고, 둘 중 선호하는 것을 선택하는 가상 경쟁

을 유도하여 야생화의 꽃으로서의 경쟁력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표 5-12>와 같이 야생화를 포함한 48개의 꽃32으로 구성된 목록을 구성하

였다. 다음으로 응답자 선택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분석에 필요한 관측치를 늘

리기 위하여 8강, 4강, 결승의 과정을 거쳐 우승 꽃을 가리는 토너먼트를 진행

하였다. 1명당 총 7번의 경기를 하게 한 셈이다. 응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경과 근경의 사진33을 함께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radley and Terry(1952)의 Bradley-Terry 모형으로 분석하였

다.34 본 모형은 스포츠 과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분석 방법으로, 같은 풀

(pool)에 속한 팀별 경기 결과를 활용하여 모든 팀의 상대적 순위를 가리는 방

법이다.

32 박기환 외(2013)의 화훼류 선호 순위와 검색엔진(google)에서 야생화로 검색했을 때

의 노출 빈도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33 국가생물종다양성 홈페이지(www.nature.go.kr)의 사진을 주로 활용하였다.

34 Turner and Firth(2013)의 BradleyTerry2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77

연번 꽃 이름 연번 꽃 이름 연번 꽃 이름 연번 꽃 이름

1 감국 13 돌단풍 25 사피니아 37 제비꽃

2 구절초 14 라벤더 26 샐비어 38 제비동자꽃

3 국화 15 마타리 27 심비디움 39 참나리

4 금낭화 16 맥문동 28 안스리움 40 채송화

5 까치수염 17 맨드라미 29 앵초 41 코스모스

6 깽깽이풀 18 메리골드 30 얼레지 42 튤립

7 꽃마리 19 벌개미취 31 엉겅퀴 43 패랭이꽃

8 꽃무릇 20 베고니아 32 원추리 44 팬지

9 꽃잔디 21 복수초 33 은방울꽃 45 프리지어

10 데이지 22 봉선화 34 작약 46 할미꽃

11 덴파레 23 붓꽃 35 장미 47 해바라기

12 도라지 24 비비추 36 제라늄 48 해오라비난초

표 5-12. 실험에 사용한 꽃 목록 (가나다 순)

분석 결과는 <표 5-13>과 같다. 추정계수는 참조수준(reference level)인 감국

에 대비한 상대 점수이다. 음(-)의 값은 감국보다 선호되지 않음을, 양(+)의 값

은 감국보다 선호됨을 의미한다. <그림 5-10>은 1위부터 48위까지 선호를 나

타낸 것이다. 장미가 가장 선호되었으며, 프리지어, 튤립, 코스모스, 라벤더가

차례로 뒤를 이었다. 이상 상위 5위 안에 포함된 꽃은 모두 인지도가 높은 도입

종이다. 본 결과는 한국갤럽(2011)의 꽃 선호도 조사와 유사하였다. 한국갤럽

의 꽃 선호도 조사에서 장미35가 41.4%로 가장 순위가 높았으며, 프리지어

(7.5), 국화(5.7), 백합(4.4), 안개꽃(4.3), 튤립(2.7), 개나리(2.6), 무궁화(2.2), 목

련(2.2), 코스모스(2.1) 순이었다.

35 장미는 한국갤럽이 꽃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1990년 이후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78

연번 꽃 이름 추정계수 표준오차1) 순위 연번 꽃 이름 추정계수 표준오차1) 순위

1 감국2) 0.00*** 0.19 44 25 사피니아 0.38*** 0.13 41

2 구절초 0.58*** 0.13 35 26 샐비어 0.63*** 0.13 34

3 국화 1.27*** 0.11 9 27 심비디움 1.06*** 0.11 14

4 금낭화 1.42*** 0.10 7 28 안스리움 0.83*** 0.13 23

5 까치수염 0.21 0.20 43 29 앵초 0.77*** 0.11 27

6 깽깽이풀 0.95*** 0.11 17 30 얼레지 0.22 0.18 42

7 꽃마리 0.83*** 0.13 22 31 엉겅퀴 -0.38 0.23 48

8 꽃무릇 0.87*** 0.13 19 32 원추리 0.66*** 0.12 33

9 꽃잔디 0.91*** 0.11 18 33 은방울꽃 1.43*** 0.11 6

10 데이지 0.71*** 0.13 30 34 작약 0.86*** 0.11 20

11 덴파레 0.96*** 0.11 16 35 장미 1.85*** 0.09 1

12 도라지 1.14*** 0.10 12 36 제라늄 0.66*** 0.13 32

13 돌단풍 1.21*** 0.11 11 37 제비꽃 0.84*** 0.11 21

14 라벤더 1.52*** 0.10 5 38 제비동자꽃 0.49*** 0.15 38

15 마타리 -0.12 0.20 46 39 참나리 0.74*** 0.13 29

16 맥문동 0.79*** 0.12 25 40 채송화 0.97*** 0.11 15

17 맨드라미 -0.22 0.22 47 41 코스모스 1.54*** 0.09 4

18 메리골드 0.75*** 0.14 28 42 튤립 1.71*** 0.10 3

19 벌개미취 0.49*** 0.14 37 43 패랭이꽃 0.39*** 0.13 40

20 베고니아 0.78*** 0.12 26 44 팬지 1.08*** 0.10 13

21 복수초 0.44*** 0.14 39 45 프리지어 1.84*** 0.09 2

22 봉선화 0.81*** 0.12 24 46 할미꽃 1.25*** 0.14 10

23 붓꽃 0.68*** 0.11 31 47 해바라기 1.34*** 0.12 8

24 비비추 -0.06 0.22 45 48 해오라비난초 0.58*** 0.17 36

주: * p<0.10, ** p<0.05, *** p<0.01

1) quasi-표준오차임.

2) 참조수준

표 5-13. Bradley-Terry 모형 추정 결과

79

그림 5-10. 선호도 순위 결과

주: 진한색은 야생화, 옅은색은 도입종임. 원산지를 기준으로 야생화와 도입종을 가렸음.

Bradley-Terry 모형의 추정계수를 활용하면 i번째 꽃이 j번째 꽃과의 경합에

서 이길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식 5-2> 참조). <그림 5-11>은 모든 경우에

수에 대한 확률을 열지도(heat-map)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 색이 진할수록 x축

의 꽃이 y축의 꽃을 이길 확률이 높음을 의미한다.

logitPr …<식 5-2>

특정 꽃이 경쟁력이 있으려면 열지도에서 해당 열의 셀이 고르게 짙어야 한

다. 우리나라 야생화 중에는 은방울꽃, 금낭화, 할미꽃, 돌단풍, 도라지의 경쟁

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같은 속(viola) 내에서는 도입종 팬

지가 자생종 제비꽃보다 더 선호되었다.36

36 제비꽃이 팬지보다 더 선호될 확률은 43.9%였다.

80

그림 5-11. 경합에서 더 선호될 확률의 열지도

2.5.2. 야생화를 활용한 가공품 구입 및 전망

현재까지 야생화를 소재로 한 상품은 크게 미용품(향수, 스킨, 비누), 장식품

(꽃누름), 음식품(비빔밥, 차, 술, 과자), 의약품(약재, 환), 관광상품(트레킹, 생

태관광)의 다섯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야생화를 활용한 상품별 구입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60.6%가 구입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야생화 상품 중에는 음식품(58.8%)과 미용품

(55.6%)에 대한 구매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상품(18.2%),

장식품(18.0%), 의약품(11.1%)이 그 뒤를 이었다.

미용품, 장식품, 음식품, 의약품, 관광상품 가운데 향후 시장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가려보았다. 다섯 개의 상품을 제시하고, 응답자로 하여금 시장성

이 높은 순서대로 배열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순서화 로짓모형을 활용하

여 분석하였다. <표 5-14>는 모형 추정 결과이다.

미용품을 참조수준으로 설정한 모형에서 모든 야생화 상품의 추정계수가

1% 수준에서 유의하였으며, 음(-)의 값을 보였다. 이는 미용품이 모든 야생화

81

야생화 상품 추정계수 z-값 H-Ratio1)1순위확률(%)

미용품2) 0.00 1.00 35.05

장식품 -1.03*** -18.01 0.36 12.56

음식품 -0.17*** -3.17 0.84 29.46

의약품 -1.49*** -24.50 0.22 7.88

관광상품 -0.85*** -14.75 0.43 15.05

주: * p<0.10, ** p<0.05, *** p<0.01

1) Hazard ratio으로, 추정계수를 지수로 한 e의 누승 값이다.

2) 참조수준(reference level)

표 5-14.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상품보다 선호됨을 의미한다. 추정계수의 크기는 미용품과 해당 야생화 상품의

선호 차이를 나타낸다. 1순위 확률은 해당 상품의 H-ratio값이 전체 H-ratio의

총합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된다. 다섯 가지 상품 가운데 미용품을 1순위로

선택할 확률이 가장 높았으며, 음식품, 관광상품, 장식품, 의약품이 차례로 그

뒤를 이어 현재의 구매 양상과 같았다.

2.5.3. 꽃 축제 방문 빈도

지역의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한 꽃 축제 방문 여부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응답자의 79.2%가 꽃 축제에 한 번 이상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벚꽃 축제

에 방문한 응답자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튤립 축제, 꽃박람회, 유채꽃 축제, 산

수유 축제가 차례로 뒤를 이었다.

한편, 야생화를 주제로 한 축제에 방문 경험은 4.7%로 낮은 수준이었다. 정

선과 인천에서 개최된 축제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대부분 벚꽃, 매화,

진달래, 산수유 축제 등 주요 축제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37

37 야생화 축제만 방문한 응답자는 16%에 불과하였다.

82

축제 명 대표 지역 방문 빈도 비율(%)1)

산수유 축제 구례, 양평, 이천, 의성 156 19.7

매화 축제 광양, 양산 136 17.2

진달래 축제 여수(영취산), 강화(고려산) 114 14.4

유채꽃 축제 제주 173 21.8

장미 축제 곡성 64 8.1

튤립 축제** 용인(에버랜드), 태안 347 43.8

벚꽃 축제* 진해, 서울(여의도) 480 60.6

꽃 박람회*** 고양 225 28.4

꽃무릇 축제 함평 32 4.0

상사화 축제 영광 32 4.0

야생화 축제 정선, 인천 37 4.7

연꽃 축제 무안, 부여 84 10.6

할미꽃 축제 장흥 12 1.5

주: * 1순위, ** 2순위, *** 3순위

1) 축제에 한 번이라도 방문 경험이 있는 792명을 분모로 한 비율임.

표 5-15. 축제별 방문 빈도

2.6. 정원에 대한 인식

산림청(2013)은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안)에서 정원문화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전략 목표에 따라 지역별 공공정원 조성과 지역 공

동체가 함께 만드는 참여정원 운동 활성화라는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표

5-16>.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설정한 세부과제에 대한 수요자의 태도를 파악하

기 위한 설문도 시행하였다.

83

4대 전략 세부과제(15개)

1. 정원문화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 구축

1-① 모델정원의 개발 및 관리기술 체계화

1-② 모델정원의 거점으로서 지역별 공공정원 조성․확충

1-③ 지역공동체게 만드는 참여정원 운동 활성화

1-④ 개인정원 확대를 위한 지원 강화

2. 생활속의

정원문화 확산

2-① 사회 및 문화운동으로서 범국민적 ‘정원가꾸기 운동’ 전개

2-②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2-③ 정원박람회 개최지원으로 민간 및 지자체의 관심도 제고

2-④ 국가이미지 홍보와 이미지제고의 수단으로 한국정원 활용

3. 정원소재산업

활성화 및

정원시장 육성

3-① 자생식물을 활용한 정원식물 소재 개발 및 상품화

3-② 정원식물의 생산, 유통, 조성 등 선순환적 시장기능 강화

3-③ 식물원․수목원의 대국민 정원 교육 및 컨설팅 기능 강화

3-④ 가드닝 전문 인력 약성 및 질 높은 일자리 창출

4. 지원체계구축

4-① 법적기반 구축 및 R&D 투자 확대

4-② 민․관․정 협력체계 및 조직기반 구축

4-③ 국제협력 강화

표 5-16.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의 추진전략

2.6.1. 참여정원에 대한 참여 여부

지역별로 조성되는 참여 정원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 의사를 물음에 과반이

넘는 63.5%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가운데 나

이만이 찬성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40대의 찬성률(56.07%)이 낮았던 반

면, 50대의 찬성률(72.65%)은 높았다. 그밖에 응답자의 성별, 소득 등

Martínez-Espiñeira 등(2014)의 기존 연구에서 환경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소들이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응답자가 참여정원이 수요자의 추

가 지출 없이 정부가 제공해야만 하는 공익서비스로 여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6.2. 공공정원 조성 시 주요 고려 사항

산림청(2013)은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예: 폐교, 채석장, 매립장 등)을 파

84

고려사항 추정계수 z-값 H-Ratio1) 1순위확률(%)

위치(접근성) 0 - 1.00 58.26

면적 -1.87 -28.70 0.15 8.98

식물 구성 -1.19 -19.47 0.30 17.65

편의시설 -1.83 -28.38 0.16 9.39

프로그램 -2.62 -37.44 0.07 4.23

개방성3) -41.66 - 0.00 0.00

공간구성3) -39.01 - 0.00 0.00

관리3) -3.67 -12.07 0.03 1.49

Log likelihood =-3939.22 / LR chi2(5) =1944.54***

주: * p<0.10, ** p<0.05, *** p<0.01

1) Hazard ratio으로, 추정계수를 지수로 한 e의 누승 값이다.

2) 참조수준(reference level)

3) 응답자 스스로 제시한 응답임.

표 5-17.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악하여 공공정원을 적합지를 선정하고, 정원의 규모, 보유종, 전문인력 등에 따

라 등급을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공공정원 조성 시

정원의 위치, 보유종, 편의시설 등 다양한 속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①위치(접근성), ②면적, ③식물구성, ④편의시설,

⑤프로그램의 상대적 선호도를 가려보고자 하였다. 이상 다섯 가지 속성을 제

시하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부터 차례로 작성하게 한 것이다.

수집 자료는 순위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17>과 같다. 위치를 참조집단으로 설정한 모형에서 타 속성의 추정계수가 모

두 음(-)이었으며, 개방성과 공간구성을 제외한 모든 속성의 추정계수가 1% 수

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시 말해, 위치가 다른 요소보다 확실히 더 선

호됨을 의미한다. 추정계수를 활용하여 해당 속성이 1순위가 될 확률을 계산한

결과(<식 5-1> 참조), 위치가 과반이 넘는 58.26%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식물

구성(17.65%), 편의시설(9.39%), 면적(8.98%), 프로그램(4.23%), 관리(1.49%)

순이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지역별로 공원

의 위치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도시민의 근접성을 최대로 높이는 위

치에 신규로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

85

3. 시사점

이상의 야생화에 대한 국민의식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은 가구당 평균 3.22개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 중

야생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야생화는 일반 식물이나 화훼류

보다 구매 빈도가 낮은 것은 물론, 돈을 지불하고 구매해야 하는 상품으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셋째, 야생화는 현 화훼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

는 장미, 프리지어, 튤립, 라벤더 등의 도입종보다 경쟁력이 낮았다. 단, 은방울

꽃, 금낭화, 할미꽃, 돌단풍 등 일부 야생화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

었다. 넷째, 야생화를 구입하지 않은 주요 원인이 키우기 어려울 것 같아서라고

대답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야생화를 구입했더라도 집에 보유한 응답자는 매

우 적었으며, 야생화를 선택하는 주 고려 요소로 관리 용이를 최우선으로 꼽았

다. 다섯째, 야생화를 활용한 미용품 및 음식품에 대한 구입 빈도가 높았으며,

앞으로도 두 제품의 시장성이 가장 높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국민의 약 80%

가 꽃을 주제로 한 축제에 방문한 경험이 있었는데, 야생화를 활용한 축제에는

주요 축제에 이미 방문한 사람이 주로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야생화 자체만으로는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기에 부적합

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심지어 야생화를 구입하지 않은 응답자

가운데 18명은 야생에서 보는 것이 좋아서라고 대답하였다. 따라서 야생화 산

업화는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 하는 정책적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준비 과정에서 다음의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

서 경쟁력이 있다고 판정된 야생화를 중심으로 노출 빈도를 높여야 한다. 이때,

야생화가 현재 재화로서 인정받지 못하므로, 판매보다는 주 구입처로 판명된

식물원/수목원에서 배포하는 방식이 더 적합할 것이다. 둘째, 야생화 관리에 필

요한 정보를 적극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야생화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 개발

이 필요하다. 특히, 야생화의 기능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만

큼, 이에 대한 규명과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민이 80%가 방문한

86

꽃 축제를 야생화 및 야생화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노출 빈도를 높이는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야생화를 주제로 한 꽃 축제와 기존의 유명한

꽃 축제를 패키지화하여 방문 빈도를 높이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87

제6 장

야생화의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방안

1. 여건분석(SWOT 분석)

1.1. 기회

자생식물과 관련하여 영향력있는 국제 정책변화는 생물다양성 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의 체결이다. 이는 생물다양성의 보존과 다

양한 생물다양성 자원의 지속적인 이용, 유전자원의 상업적 이용 및 활용으로

창출되는 이익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는 2012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을 제정하였는데, 이는 생물

다양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

고 국제협약 이행에 관한 사항을 정한 것이다. 생물다양성 협약은 각 국이 가진

유전자원을 함부로 이용하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우리 자생식물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 야생화의 보전과 이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생물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생태관광 수요가 증

88

가하는 추세이므로 야생화 자원의 문화·관광·산업자원화 잠재력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천 종의 야생화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체계적으

로 보전·활용한다면 유망한 문화·관광·산업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 및 문화체육관광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에서 자생식물 보전

과 활용·보급, 야생화단지나 축제 지원 등 지역관광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

으나 체계적인 관광자원화는 여전히 미흡한 단계이다.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농업생산과 가공, 판매, 관광 등을 융복합하

는 6차 산업화를 지원하고 있는데, 야생화는 농촌 마을가꾸기와 방문객 유치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마을 특색이 있는, 다른 곳에서 보기 드문 꽃을 활용

하는 농산촌 마을들이 나타나게 될 것인데 이러한 환경은 야생화가 확산되는

기회요인이 될 것이다.

최근에 정원과 야생화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에서 개최되

는 정원 관련 문화행사에 방문객들이 많고 야생화를 찾아다니는 동호인들도

늘고 있다. 정원과 야생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

러한 수요증가는 야생화 확산의 가장 큰 기회요인이 된다.

1.2. 위기

우리나라 국민들의 꽃 소비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야생화가 당면한 위기 요

인이다. 야생화는 주로 도시조경에 많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화훼 소비 감소

와 연관성이 낮을 수도 있지만 건설경기가 부진하면서 조경용 야생화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고 있다.

야생화 자원의 감소도 문제이다. 도시와 도로 건설로 야생화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이 크게 훼손되어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는 희귀종 야생화들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기도 하다. 자생식물의 멸종은 그 식물이 가지고 있는 잠재가치들의 상

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멸종위기 자생식물의 서식지를 복원하고 증식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89

1.3. 강점

우리나라의 식물들은 매우 특이한 지리와 기후적 조건에서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식물들이 가진 유전자가 매우 다양하고 특이한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이들을 훌륭한 화훼품종이나 관상수로 개발하면 부가가치를 창

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야생화는 산과 들에서 자라기 때문에 꽃을 활용한

예술 활동에서 자연을 표현하는 소재로 적합하다. 꽃을 활용한 예술 취미가 확

대되면 이의 소재를 공급하는 산업도 활성화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산야에 자생하는 수많은 야생 식물자원을 약재로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와 전통지식도 다수 확보되어 있다. 따

라서 이러한 요건을 바탕으로 BT를 접목한다면 획기적인 품종과 천연물 신약,

신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다.

1.4. 약점

국민들의 야생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아직 높

은 편은 아니다. 국민의 소득 증가에 따라 1인당 꽃 소비는 증가하였으나, 여기

에 야생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다. 또, 공동주택에 대한 선호가 높은 우

리나라 주거문화에서 정원의 조성을 통한 야생화 소비증대를 기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야생화에 대한 수요가 주로 도시조경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야생화 재배업은

건설경기에 따라 부침하며, 야생화 생산기반도 영세한 실정이다. 이러한 조건

들이 야생화가 산업화하는 데 약점 요인이 된다.

90

내부환경

외부환경

강 점(S) 약 점(W)

l 친근감, 소박한 매력

l 정서안정 효과

l 높은 적응성

l 스토리가 있는 이름

l 전통지식

l 화려하지 않음

l 개화시기가 짧음

l 생산기반 취약

l 공동주택형 생활공간

기 회(O) <우선 수행과제> <우선 보완과제>

l 생태관광 수요증가

l 정원에 대한 관심

l 6차산업화 지원

l 귀농귀촌 증가

l 국제협약

(생물다양성협약)

l 국민 관심증대

▷ 재배기술 보급

▷ 스토리 마케팅

▷ 마을가꾸기 추진

▷ 조경용 소재 개발

위 협(T) <위험 해결과제> <장기 보완과제>

l 꽃에 대한 수요

감소

l 멸종위기

▷ 도시조경에 야생화 이용

▷ 청소년 자연학습장

▷ 증식기술 보급

▷ 신품종 발굴·육성

표 6-1. 야생화 산업화에 대한 SWOT 분석

91

그림 6-1. 야생화 산업화의 추진과제와 목표

2. 기본방향

야생화 산업이 성장하는 데 대내외적으로 장애요소가 많다. 또, 단기적으로

야생화 산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수단도 없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야생

화 소비를 이끌 수 있는 정원문화를 확산시키고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며

야생화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야생화에 대한 체계적 연구·보전 및 보급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생활에

야생화를 즐기는 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을 활성

화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고유 야생화를 개량하고 국내

외 접점에 적절히 활용하여 우리나라를 알리고 각양각색의 한류를 형성하는

마중물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와 함께 야생화 소비 증대를 위해 정원문화 확산

이 필요하다. 다양한 유형의 정원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 정원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궁극적으로 야생화의 산업화를 통해 농림업의 신성장 동력이 되

며 고품격 경제·문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92

3.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정책과제

3.1. 야생화 조사연구 증진, 보급 인프라 확대

3.1.1. 야생화 자원 정보 조사·연구 강화

가. 기초정보 조사·연구

야생화 산업이 확실한 기반을 갖추기 위해서는 품질과 가격에서 기존 화훼

들보다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야생화 가운데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고 변이

종을 찾아내고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야 한다. 여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

요하다. 야생화 육종은 화훼류 육종과 함께 매우 유망하고 세계에 진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우선 우리 야생화 자원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립생

물자원관을 통해 자생식물 조사·발굴 사업을 추진하여 자생식물의 유용성 평

가시스템 및 유용 자생식물 목록을 구축해야 한다. 식물조사에 관계되는 국가

기관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를 확대하여 조사·연구 효과를 높여야 한다. 국

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 자원들을 파악하고 이미 조사되어서 전국 각지에

분산되어 있는 자료들은 통합하여 국가적으로 통일된 형식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나. 야생화 증식기술 및 재배매뉴얼 개발

야생화 생산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대량생산기술, 규격묘 생산, 자동화 재

배기술 등을 개발하여 산업화를 촉진해야 한다.

고유종 및 멸종위기종에 대해서는 야생화 증식기술 및 재배매뉴얼을 개발하

고 야생화에 대한 전통지식 확보·관리·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멸종위기종은 서식지 보전 관리를 통해 개체수를 증가시키는 노력이 선행되어

93

야 하지만 야생화 재배자들이 빠르게 증식시킬 수 있도록 증식기술을 보급하는

것도 중요하다. 관상식물 품종을 개발하여 국제품종보호등록을 추진해야 한다.

3.1.2. 야생화 보급·교육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

가. 야생화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우리 야생화를 상업화하려면 소비자인 국민들이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전국의 수목원 및 식물원에서

야생화 전시 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여 야생화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여야

한다. 개인 식물원 또는 농산촌 마을에서도 야생화에 대한 전시 행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

하다.

나. 야생화 트레킹 코스 개발

우리나라에는 산을 찾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야생화 트레킹 코스를 개발한

다면 국민들이 야생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이미 추진하고

있는 자생식물원 조성을 확대하고 국립생태원의 야생화단지·둘레길 및 국립공

원 야생화 관찰로 조성을 확대한다.

3.2. 정원문화 확산 인프라 구축

3.2.1. 모델정원 개발 및 관리기술 체계화

정원문화를 확산하기 위해서 다양한 모델정원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정원을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94

특히 공동주택을 선호하는 우리나라 주거문화에 부합하는 정원을 개발할 필요

가 있다. 이러한 모델정원은 주택설계자와 조경설계자에게 영감을 주어 새로운

형태의 정원을 창조하는 밑거름이 되고 이는 우리 주거 공간 나아가 도시를 더

욱 아름답게 가꾸는 원천이 될 것이다.

규모에 따라 종합형과 테마형으로 나누고, 지역 특성에 따라 도시형, 농촌형,

자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 기능에 따라 보존형, 교육형, 전시형, 체험형으

로 구분할 수 있으며 프랑스정원, 일본정원 등 국가별로 유형화하는 것도 가능

하다. 이러한 유형별 정원에 대해 각각의 관리기술을 체계화해야 한다.

3.2.2. 공공정원 조성

지역별로 정원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거점 정원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폐교, 채석장, 쓰레기 매립장 등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에 정원을 조성한

다면 도시 미화와 주민 의식변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렇게 조성된 정원에

는 다양한 정원소재를 활용하여 창의성을 발휘해 볼 수 있다.

또, 공공정원을 규모와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우수한 공공정원에 대해서는

포상 또는 별도의 지원을 한다. 이미 조성되어 있는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을

우수 공공정원 모델로 육성해도 좋을 것이다.

제4장 설문조사에서 국립수목원이 추진하고자 하는 주민 참여형 공동정원에

직접 참여를 물음에 대해 과반이 넘는 응답자의 63.5%가 참여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나이가 많을수록 거주형태가 안정적일수록 참여의사가 높았다. 중

앙 정부나 지방 정부에서 지역마다 특색 있는 정원을 조성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위치(58.3%)를 꼽았으며, 식물종 구성(17.7%), 편의시설(9.4%), 면적

(9.0%), 프로그램(4.2%)이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38 따라서 지역 정원 조성 시

현재 공원 등 생활권 도시림의 위치를 고려하여 주민의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

이다.

38 괄호 안의 값은 해당 항목을 1순위로 선택할 확률이다.

95

3.2.3.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가. 가드닝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가드닝센터 구축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사람들은 농산촌의 자연에서 생활의 여유를 누리며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꿈꾸는 생활은 집 주변에 꽃과 나무를 심고

가꾸며 농사일을 하면서 지내는 것이다. 따라서 귀농·귀촌 희망자를 대상으로

농산촌 생활정원 가꾸기 체험 교육장을 운영한다면 이들의 귀농·귀촌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나.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정원교육 활용

꽃과 식물들은 보는 사람들의 정서를 안정시켜 주기 때문에 교정효과의 발

휘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정신병원 또는 소년원·교도소에서 정서안정과 교정

을 목적으로 야생화를 활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또는 정원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수목원이 소년원·교도소와 야생화복원 협력관계를 맺고 업무를

추진한다면 야생화를 활용한 교화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자원 유지의 전초기지

를 확보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3.3. 생활주변 야생화 조성 및 정원문화 확산

3.3.1. 생활공간에 야생화 식재 확대

가. 도시조경에 야생화 활용

철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도시는 생태계가 불안정해 진다. 또 도시 분위기

가 삭막해지기 때문에 사람들의 정서가 메마르고 이는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

기도 한다. 도시 생태계를 안정시켜 주기 위해 풀과 나무 등 자연을 담아야 한

96

다. 이러한 도시 생태축 형성·복원 사업에 야생화를 활용하고 공원시설과 도시

숲에 원예종보다는 야생화를 식재하도록 해야 한다. 야생화는 꽃의 종류나 색

깔, 생육시기 등이 다양하여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경용으로 많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자생화는 대부분 영년생이기 때문에 한번 조성해 두면 오랫

동안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는 것이 장점이다.

또, 주택과 학교에 야생화 정원을 조성하여 주민들과 청소년들이 야생화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휴양림에 야생화 식재를 확대하

여 휴양·관광 자원으로서 적극 활용하며 학교숲 등에 야생화 정원을 조성하여

청소년 인성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보행로 가로수 사이 등 다양한 식재공간을 계절별 야생화 화단으로 조성하

여 우리꽃과 함께 생활하는 도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나. 외국관광객 접점에 야생화 식재

외국에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관광객에게는 첫인상이 중요하다. 외국 관광

객이 한국을 방문할 때 처음 접하는 공항 입국장과 진입도로, 주요 관광명소에

야생화를 활용한 조경이 필요하다. 야생화는 소박한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고

자연환경에 대한 국민 의식 수준을 과시하는 소재가 된다. 또, 우리 고유종을

콘텐츠로 하는 전시를 개최하여 국가 홍보대사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외국

국빈이 방문하는 행사에서 우리 고유의 야생화를 활용하여 꾸민다면 우리꽃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을 끌 수 있고 국격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 지역별 특색있는 야생화 보급

지역별로 특색있는 야생화를 상징꽃으로 지정하도록 권고하여 지역의 마스

코트로 활용하여 친밀도를 높여야 한다. 구례군의 산수유가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다. 선정된 야생화를 활용하여 도로변에 꽃길을 조성하고 주택공간에 식재

한다면 도시의 개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긍심과 애향심도 고취할 수 있다.

97

이를 지원하려면 자생식물의 분포학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 지역에

서 가장 잘 자라는 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권역별 국립

공원 또는 국유림 묘포장, 농업기술센터, 야생화 재배농장을 활용하여 지역특

색에 맞는 야생화를 증식·보급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제품을 개발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라. 야생화를 활용한 농산촌 마을가꾸기

최근 그린 투어리즘 또는 생태관광과 관련하여 농산촌 어메니티 자원을 활

용한 경관산업 및 체험마을이 많이 조성되고 있다. 농산촌 경관을 조성하는 데

야생화는 아주 훌륭한 소재이다. 야생화는 우리 민족과 함께 하여온 식물이므

로 농산촌 경관과 잘 조화하고 보는 사람에게 기쁨을 주기 때문이다.

야생화를 활용한 주말농장, 개인 정원의 야생화 조경문화 확산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기관은 지역·품종별 생육특성에 맞는 야생화 식재를 컨설

팅하고 테마정원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지역개발 및 주민 공동체 사업과 연계

하거나 불법 쓰레기 투기 장소 등에 야생화 정원을 조성하여 마을 경관을 개선

할 수 있다.

마. 국제행사에 야생화 활용

제12차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총회(2014년), 평창 동계올림픽(2018년), 국

제 학술대회 등 각종 국제 행사장을 조성할 때 야생화를 활용한다면 세계에 한

국의 꽃과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홍보할 수 있다.

바. 이달의 꽃에 야생화 선정

농림축산식품부는 매주 화요일을 ‘꽃 사는 날’로 지정하고 매달 하나의 꽃을

선정하여 이달의 꽃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는 화훼 소비 증진을 목표로 하는

98

것이겠지만 여기에는 주로 외래 원예품종이 선정되고 있으며 우리 고유의 야

생화는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39

3.3.2. 정원가꾸기 범국민운동 전개

가. 정원관련 문화행사 개최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정원에 국민의 관심을 높여나가는 활동이 중요한데,

각종 문화행사가 이에 해당한다. 순천만정원박람회의 많은 방문객수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 국민들의 꽃과 정원에 대한 관심은 적지 않다. 이러한 관심을 유지

하고 정원을 감상하는 안목을 높이기 위해 정원 관련 문화행사를 개최하는 것

이 필요하다.

나. 미디어를 활용한 정원관련 정보 확산

정보를 확산하는 데는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정원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전통 정원에 담겨진 철학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도록 한다. 또, 외국의 정원 문화와 시장 동향 등을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하여 소개한다.

다. 참여정원 운동 추진

도시이든 농촌이든 크고 작은 빈터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이러한 빈터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쓰레기가 버려져 미관을 해치고 때로는 범죄 장소로 악용되

기도 한다. 이러한 빈터를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여 정원으로 가꾸는 참여정원

(Community Garden) 운동을 추진한다. 관리의 책임을 맡고 있는 지자체가 토

지를 저렴하게 임대하고 희망하는 지역주민 단체가 관리를 책임지는 형태이다.

39 2014년 1월의 꽃은 심비디움, 2월은 프리지어, 3월은 팬지, 4월은 개나리였다.

99

라. 개인정원 공개 추진

주택에 조성된 정원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공간이다. 여기에는 정원 소유자의

생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정원을 대중에게 개방한다면 정원문화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이에 동참하여 정원문화가 사

치가 아니라 우아한 취미임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3.3.3. 국내외 한국정원 조성 및 사후관리체계 강화

가. 한국 전통정원 조성 지원

우리나라에는 선비들의 별서정원, 궁궐의 왕실정원, 절의 사찰정원 등 전통

정원이 남아있다. 여기에는 선비들의 철학과 사상이 담겨 있는데 이러한 의미

를 담아내는 전통정원을 조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한국정원의 구성요소를 표준

화하고 조성·관리에 필요한 기술체계를 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원 조

성기술 자문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는데, 이 기구는 한국정원 설계·시공

을 자문하고 한국정원의 특징을 대표하는 소재식물에 관한 자료 및 관리기술

을 제공한다.

나. 해외 한국정원 조성 및 사후관리 강화

국외에서도 한국정원에 대한 수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다. 미국

에는 이미 일본정원이 100여개, 중국 정원이 10여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해외 한국정원은 프랑스 파리, 독일 프랑크푸르트, 파라과이, 치앙마이에 있

는데, 한국전통조경학회는 미국 얼바인시에 한국정원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

와 같은 수요에 대응하여 외교부, 문광부, 문화재청 등과 협의해야 한다. 해외

한국정원의 신규조성 뿐만 아니라 기존 한국정원의 사후관리도 강화해야 한다.

관리책임은 현지 지자체에 있지만 전문성 부족으로 적절한 관리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지 지역교민들이 참여하여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

100

축하여 한인 커뮤니티 활동의 중심이 되도록 한다. 해외 한국정원 조성에 대한

자문과 관리기술 자문에 대하여 국립수목원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다. 해외 정원 유치

우리 정원을 해외에 선보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외 선진 정원문화를 배우

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국 정부와 양자협력을 체결하여 정원문화를 교

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울에 있는 파리공원의 사례처럼 외국 정원 모델을 국

내에 조성한다면 국민들의 정원을 보는 안목을 높일 수 있고 우리 전통정원에

대한 관심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정원을 유치한다면 이에 대한 관리도 필요한데 이를 위해 국가별 정원

특색에 부합하는 관리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해외정원의 관리기술 자문에 대

응할 수 있도록 국립수목원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3.4. 야생화 및 정원문화 산업화기반 구축

3.4.1. 야생화 기능·생산·종자 연구로 고부가가치 창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이 많은 척박한 환경이다. 여기에서 자라는

자생식물은 척박한 환경에서 오랜 세월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적응하여 살

아왔기 때문에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다수의 자생

식물에서 높은 약리효과가 발견된다. 따라서 이 효과를 산업화하여 신약 및 건

강보조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폭넓은 투자와 홍보가 필요하다. 이는 자생식

물 자원의 부가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자생식물의 산업화 중 시장규모가 가장 큰 신약 개발에서 이미 많은 나라들

이 앞서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

만 자생하는 고유종이 다양하므로 이들을 이용한 특화된 신약 개발이 천연물

101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고유종에 대한

기초 조사와 체계적인 증식방법 구축 등 산업화에 필요한 물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개발하여야 한다.

자국의 고유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신제품을 개발하면 다른 나라보다 경쟁력

을 가질 수 있고 신약 관련 시장과 야생화 재배도 발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

한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야생화 기능성 물질의 탐색·추출 및 과학적 효과 분석, 신종·미기

록종 발굴·개량, 식용 등 활용매뉴얼 개발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화 상품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3.4.2. 야생화 특화 생태관광 상품 개발

국립공원 야생화 군락지와 탐방로를 적극 활용하여 야생화 특화 생태관광

상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야생화의 어원과 전설, 특징, 약효 등을 설

명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 해설사 양성이 필요하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야생화 개화시기, 지리 정보, 비주얼 검색 등을 종합적으

로 제공하는 야생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야생화 화보집과 세밀화 도감

등 교육용 자료를 개발·보급하여야 한다.

3.4.3. 야생화 생산자 육성

채종포, 묘포장 등 야생화의 증식과 대량생산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야

생화를 생산하는 농가를 육성해야 한다. 생산자들이 야생화를 개량하고 증식하

여 신품종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을 하여야 한다.

야생화 유통과정 개선도 필요하다. 야생화는 조경업체를 통해 주로 유통되고

있어서 신규 야생화 재배자들의 진입 장벽이 높다. 야생화 유통이 원활하도록

유통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102

3.4.4. 정원식물 소재 개발 및 전후방 산업 육성

정원소재로 야생화와 조경수 자원을 탐색하고 신품종 개발연구를 강화하여

야 한다. 생산농가와 국공립 연구기관 및 학계 등이 연계하여 현장애로 기술개

발을 추진해야 한다.

다양한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개인 육종가를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

생식물을 신품종으로 등록할 때 장려금을 지원하고 품평회를 개최하여 상품화

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정원 산업의 전후방에는 다양한 업종이 위치하고 있다. 종자·종묘 뿐만 아니

라 정원도구, 박람회, 정원편의시설, 출판·교육 등의 관련 산업이 있다. 이러한

산업들이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3.4.5. 스토리텔링으로 문화상품 개발

우리 야생화는 그 지역의 사람이나 전설들과 얽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또

꽃 이름에서도 재미있는 어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 지역의 문화·

생태와 연관짓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다면 훌륭한 문화상품이 될 수 있다.

3.4.6. 실생활 이용가능한 상품개발 및 꽃예술 보급

우리의 미와 정서를 담은 우리꽃 문양 및 캐릭터를 개발하고 상품에 활용함

으로써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꽃꽂이, 꽃누르미, 구절함 등 야생화

를 활용하는 문화상품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품과 꽃 예술에서 사용

되는 소재를 야생화 재배농가들이 공급한다면 야생화 재배의 다양성을 높이고

농가 소득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우리 야생화에는 꽃의 크기가 작은

종들이 많은데 이들이 꽃 예술품에는 더 활용될 수 있다.

103

4. 세부 기술개발 전략

4.1. 기술개발 추진방향

이 절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야생화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방안에서 국

립수목원이 추진해야 하는 기술개발 과제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기술개발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기술개발 추진과제는 크게 자생식물의 분포조사 및 정보화, 자생식물 수집

및 보전 기반구축, 산업적 이용기술 개발, 교육체험 프로그램 개발, 전시원·정

원 조성 및 가드닝 매뉴얼 개발로 나누고 각각에 대하여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

하였다.

4.2. 기술개발 전략

4.2.1. 자생식물의 분포조사 및 정보화

자생식물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우선 기초 연구가 충실히 수행되어야

한다.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의 분포실태를 조사하고 이들 생물표본들을

고도화하여야 한다. 이들 식물들의 특징을 정리하여 세밀화를 제작하고 도감을

발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식물이미지를 인식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104

추 진 과 제연도별 추진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

① 한반도 자생식물의 분포실태 조사━━━━━━━━ ━━━━

200 200 200

② 한반도 산림생물표본 인프라 고도화━━━━━━━━

1,000 1,000

③ 자생식물 세물화 제작━━━━━━━━ ━━━━ ━━━━━━━━

15 15 15 15

④ 자생식물 도감 발간━━━━ ━━━━

30 60

⑤ 식물이미지 인식 모바일 앱 서비스━━━━━━━━ ━━━━ ━━━━━━━━

- - - - -

표 6-2. 자생식물 분포조사 및 정보화 기술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단위: 백만원

4.2.2. 자생식물 수집 및 보전기반 구축

우리나라에는 풍부한 식물종을 가지고 있지만 이 자원의 가치에 대해서는

충분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우리 식물자원의 가치에 대한 연구를 위해 자생

식물을 수집하고 현지외에서 보전하는 활동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식물분포도 달라질 우려가 있다. 이는 다수의

자생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식물자원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취약한 식물들을 우선 보전하고 복

원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105

추 진 과 제연도별 추진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

① 자생식물 수집 및 현지외 보전━━━━━━━━━━━━━━━━━━━━

400 400 400 400 400

② 희귀·특산 및 기후변화 취약종 우선 보전

및 복원

- 희귀·특산식물 현지외 보존━━━━━━━━━━━━━━━━━━━━800 700 900 900 900

- 희귀·특산식물 보존원 조성━━━━━━━━

100 200

③ 기후변화 취약종 모니터링 및 보전

- 취약 자생식물 모니터링━━━━━━━━━━━━━━━━━━━━

500 500 500 500 500

- 취약종별 개화·낙엽 시기 예측모델 개발━━━━━━━━━━━━━━━━━━━━

300 300 300 300 350

- 취약 자생식물 인공보존원 조성━━━━ ━━━━ ━━━━150 150 150

표 6-3. 자생식물 수집 및 보전기반 구축 일정 및 추정 연구비

단위: 백만원

추 진 과 제연도별 추진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

① 자생식물의 증식 및 재배관리기술 개발━━━━ ━━━━ ━━━━ ━━━━ ━━━━

500 500 500 500 500

② 유용식물자원 증식·교육센터 운영━━━━━━━━━━━━━━━━━━━━

1,000 1,000 1,000 1,000 1,000

③ 자생식물의 신품종 개발━━━━━━━━━━━━━━━━━━━━

300 300 300 300 300

④ 전통지식을 활용한 야생화 산업화기술

- 전통 식물이용정보 총합본 발간━━━━

50

- 전통지식 기반 자생식물 기능성 규명━━━━━━━━━━━━━━━━━━━━

200 200 200 200 200

표 6-4. 자생식물의 산업적 이용기술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단위: 백만원

106

추 진 과 제연도별 추진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

① 휴양림 탐방로 식생에 대한 해설기법━━━━━━━━

80 80

② 전시·해설 전문가 양성 및 훈련과정개발━━━━

95

표 6-5. 자생식물 인식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단위: 백만원

4.2.3. 자생식물의 산업적 이용기술 개발

자생식물을 산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원료가 되는 식물의 대량 공급이 중요하

다. 이를 위해 자생식물을 증식하고 재배관리하는 기술을 개발·보급하여야 한

다. 특히 유용성이 알려진 식물에 대해서는 증식하는 기술을 재배자들에게 교

육할 수 있는 교육센터가 필요하다.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자생식물을 다양하게 이용하여 왔으며 그 지식도

축적되어 있다. 이러한 전통지식을 정리하여 전통적인 식물이용정보를 확산하

여야 한다. 특히 약용으로 이용하여 왔는데 이는 자생식물에 어떤 기능성 물질

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생식물의 기능성을 구명하는 것은 자생식물 산업

화의 기초가 될 것이다.

4.2.4. 자생식물의 인식증진을 위한 교육체험 프로그램 개발

우리 고유의 야생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국민들이 야생화

를 접하는 공간에서 배우고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들이 많이 방문하는

휴양림에서 국민들이 야생화에 대하여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

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운영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

는데 이들을 훈련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107

추 진 과 제연도별 추진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

① 전시원 및 정원 관리지침서 개발━━━━━━━━

60 60

② 정원조성을 위한 모델정원 개발 및 관리

기술 체계화

- 유형별 모델정원 개발 및 지침 제시━━━━━━━━━━━━━━━━━━━━

100 100 100 100 100

- 유형별 모델정원 조성 및 관리매뉴얼━━━━━━━━━━━━━━━━

400 400 400 400

표 6-6. 전시원 조성 및 가드닝 매뉴얼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단위: 백만원

4.2.5. 전시원 정원 조성 및 가드닝 매뉴얼 개발

우리 야생화를 가장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정원이 될 것이다. 많은 국

민들이 정원 꾸미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정원을 어떻게 설계할지는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조경설계자들도 우리 고유의 야생화를 이용하고 싶어도 설계

아이디어가 부족하여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에 국립수목원에

서 우리 야생회 전시원을 조성하거나 모델 정원을 조성한다면 정원을 꾸미고

자 하는 개인과 조경전문가들에게 참고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전시원과 정원 관

리 지침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모델 정원을 조성하여 관리 매뉴얼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109

부 록

1. 조사표

110

111

112

113

114

115

116

응답자 특성 obs. rank-sum χ2

성별남 440 193896.5 0.56

(d.f.=1)여 428 183249.5

연령

20대 177 73720

3.09(d.f.=3)

30대 220 93212.5

40대 248 112843.5

50대 223 97370

현 거주지 규모특별/광역시 414 182729

1.14(d.f.=2)

일반 시 416 177085.5

군 38 17331.5

출신 지역 규모특별/광역시 456 200818.5

2.73(d.f.=2)

일반 시 313 130790.5

군 99 45537

주거형태

단독주택 169 83533

12.675***

(d.f.=3)아파트 527 222874

연립주택 161 65956

기숙사/오피스텔 11 4782

거주형태자가 소유 577 250789.5

0.077(d.f.=2)

전세 232 101207.5

월세 59 25149.0

최종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9 4029

1.246(d.f.=4)

고등학교 졸업 161 71877.5

대학 재학 88 38365

대학 졸업 540 231063.5

대학원 졸업 이상 70 31811.0

가구소득(월 평균)

100만 원 미만 2 678.0

5.775(d.f.=10)

100-200만 원 35 13771.0

200-300만 원 116 48169.0

300-400만 원 179 79651.5

400-500만 원 161 71832.0

500-600만 원 155 69160.0

600-700만 원 86 38120.0

700-800만 원 51 21326.0

800-900만 원 34 15424.0

900-1000만 원 13 5590.0

1000만 원 이상 36 13423.0

주: * p<0.10, ** p<0.05, *** p<0.01

부표 1.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식물 보유 수량 차이 검정

2. 통계 검정 결과

117

3. 야생화 자유연상 결과

연번 응답 빈도 연번 응답 빈도

1 자연스럽다 27 21 싱싱하다 2

2 예쁘다/아름답다 26 22 매력적이다 2

3 강인하다 24 23 앙증맞다/귀엽다 2

4 생명력 있다 23 24 흔하다 2

5 자유롭다 22 25 생소하다 2

6 소박하다 19 26 관리가 어렵다 2

7 희귀하다 9 27 자연 친화적이다 1

8 작다 9 28 크다 1

9 신비롭다 7 29 상쾌하다 1

10 친근하다 4 30 신선하다 1

11 순수하다 4 31 잔잔하다 1

12 화려하다 3 32 조화롭다 1

13 깨끗하다 3 33 토속적이다 1

14 평화롭다 3 34 생기 있다 1

15 편안하다 3 35 튼튼하다 1

16 거칠다 3 36 푸르다 1

17 고고하다 2 37 다양하다 1

18 특별하다 2 38 향기롭다 1

19 추억이 있다 2 39 무성하다 1

20 여유롭다 2 40 고독하다 1

부표 2. 표현(형용사 등)

118

연번 응답 빈도

1 산 22

2 들 4

3 수목원 2

4 농촌 2

5 오솔길/길가 2

6 울릉도 1

7 섬 1

8 공원 1

9 한라산 1

10 천마산 1

11 정원 1

부표 3. 장소

연번 응답 빈도

1 들국화 69

2 들꽃/꽃 36

3 풀/잡초 6

4 느낌 8

5 야생 4

6 토종 2

7 봄 2

8 행사 1

9 청사초롱 1

10 영화 1

11 대한민국 1

12 이름/고유명칭 1

13 장소 1

14 계란 노른자 1

15 보라색 1

16 푸른색 1

부표 4. 명사

119

연번 응답 빈도 연번 응답 빈도1 민들레 92 42 조팝나무꽃 2

2 할미꽃 53 43 동양난 2

3 진달래 48 44 유채꽃 2

4 철쭉 42 45 선인장 2

5 개나리 38 46 황기 2

6 제비꽃 29 47 곰취 2

7 무궁화 26 48 금잔디 1

8 코스모스 20 49 맨드라미 1

9 강아지풀 16 50 매화 1

10 국화 14 51 용담 1

11 장미 10 52 백일홍 1

12 금낭화 7 53 사랑초 1

13 은방울꽃 7 54 산수유 1

14 패랭이꽃 7 55 접시꽃 1

15 매발톱꽃 6 56 도라지꽃 1

16 방울꽃 6 57 토끼풀꽃 1

17 튤립 6 58 나팔꽃 1

18 구절초 5 59 로즈마리 1

19 개불알풀꽃 5 60 라일락 1

20 복수초 5 61 풍란 1

21 달맞이꽃 5 62 원추리 1

22 나리꽃 5 63 아카시아 1

23 에델바이스 5 64 옥잠화 1

24 소나무 5 65 해국 1

25 초롱꽃 4 66 인동초꽃 1

26 동백꽃 4 67 앵초 1

27 데이지 4 68 얼레지 1

28 연산홍 4 69 팬지 1

29 난 4 70 프리지어 1

30 봉선화 3 71 고무나무 1

31 붓꽃 3 72 야자수 1

32 벌개미취 3 73 아이비 1

33 벚꽃 3 74 산세베리아 1

34 노루귀꽃 3 75 끈끈이주걱 1

35 애기똥풀 3 76 냉이 1

36 허브 3 77 고사리 1

37 갈퀴나물 2 78 쑥 1

38 백합 2 79 금강초롱꽃 1

39 쑥부쟁이 2

40 수선화 241 자운영 2

부표 5. 꽃 이름

120

연번 응답 빈도 연번 응답 빈도 연번 응답 빈도

1 민들레 157 37 물망초 3 73 상사화 1

2 들국화 91 38 튤립 3 74 섬노루귀 1

3 할미꽃 82 39 쑥부쟁이 2 75 수국 1

4 진달래 61 40 개망초 2 76 술패랭이꽃 1

5 개나리 56 41 달맞이꽃 2 77 얼레지 1

6 제비꽃 53 42 수선화 2 78 엉겅퀴 1

7 무궁화 52 43 자운영 2 79 옥잠화 1

8 철쭉 49 44 채송화 2 80 인동초 1

9 강아지풀 34 45 토끼풀 2 81 자주달개비 1

10 코스모스 25 46 해국 2 82 조팝나무 1

11 패랭이 22 47 황기 2 83 타래붓꽃 1

12 난/란 9 48 데이지 2 84 투구꽃 1

13 구절초 8 49 영산홍 2 85 풍란 1

14 복수초 8 50 팬지 2 86 하늘매발톱꽃 1

15 동백꽃 7 51 해바라기 2 87 맨드라미 1

16 장미 7 52 나리꽃 2 88 메밀꽃 1

17 나팔꽃 6 53 원추리 1 89 백합 1

18 방울꽃 6 54 맥문동 1 90 봉선화 1

19 초롱꽃 6 55 용담 1 91 주머니꽃 1

20 은방울꽃 5 56 개느삼 1 92 홍련 1

21 벚꽃 5 57 괭이밥 1 93 가는등갈퀴 1

22 유채꽃 5 58 금강제비꽃 1 94 벤자민 1

23 금낭화 4 59 금강초롱꽃 1 95 복숭아꽃 1

24 노루귀 4 60 금잔화 1 96 선인장 1

25 매발톱꽃 4 61 긴병꽃풀 1 97 아카시아 1

26 산수유 4 62 꽃잔디 1 98 오리나무 1

27 해당화 4 63 꿩의밥 1 99 은목서 1

28 벌개미취 3 64 동자꽃 1 100 이팝나무 1

29 붓꽃 3 65 노루오줌 1 101 천리향 1

30 갈퀴나물 3 66 둥글레 1 102 반지꽃 1

31 도라지꽃 3 67 국화 1 103 우담바라 1

32 매화 3 68 망초 1 104 할머니꽃 1

33 애기똥풀 3 69 백년초 1 105 끈끈이죽 1

34 접시꽃 3 70 백일홍 1 106 돌박꽃 1

35 찔레꽃 3 71 봄맞이 1 107 선비갓 136 목련 3 72 산나리꽃 1 108 애기똥초 1

부표 6. 야생화 꽃 이름 응답 현황

4. 야생화 꽃 이름 연상

121

참고 문헌

강진택 외. 1999. “야생화의 경제성 분석.” 한국임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1999(0) :

170-172. 한국임학회.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2014. 우리 산에 자라는 약용식물

김성숙. 2010. 실내 화훼장식용 야생식물의 종류와 용도 분석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

원 석사 학위 논문.

김원희 등. 2011. 꽃의 새로운 변식: 꽃=패션+기능 RDA Interrobang 8호. 농촌진흥청

김점수, 박상용. 2012. 강원도 식물자원의 보전 및 활용 전략 강원발전연구원.

김종호, 박광우. 2002. “야생화 재배업 경영실태조사.” 산림경제연구 제10권 제1호 pp.

44-54. 한국산림경제학회.

김태연. 2009. 지역축제 방문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함백산 야생화 축제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기환 등. 2013. 소비안정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화훼산업 발전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

원.

박양균. 1998. “야생화의 활용방안.” 임업정보 391: 89-95. 산림조합중앙회.

방식, 김양희. 2013. “꽃예술 소재로 이용가능한 자생식물의 디자인 활용” 한국화예디자인

학 연구 28: 203-229.

산림청. 1999. 조경수·분재·야생화 생산 및 유통 실태에 관한 연구

산림청. 2013a. 2012 임산물 생산조사

산림청. 2013b. 산림과 임업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 2013.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안)

성채원, 이정교. 2013.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아트 커뮤니티 가든의 시사점 연구: 해외

아트 커뮤니티 가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pp.33-42.

심경구. 1999. “자생식물 종 유출의 현황” 자연보존 p1-7. 한국자연보전협회

윤상기, 이명우. 2009. “야생화 농장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전라북도와 그 인접지역을

대상으로.” 2009년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9 pp. 101-103. 한국조경학회.

이동은, 조문수, 김태연, 구본순. 2007. “풍경화 압화작품에 이용되는 식물소재 및 부재료

조사” 화훼연구 제15권 제4호 pp.185-190.

122

이철희. 2012. “자생약용식물을 이용한 체험공원 조성 방안.” 미래농업 신소재로서 자생식

물 자원 활용방안 심포지엄.

이택주, 이종석. 2006. 자생식물의 식재관리 표준화 매뉴얼 산림청.

이현우, 김호석, 이관규, 이윤정. 2010. 도시농업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및 정책방안 정책

보고서 2010-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회숙. 2009. 야생화 문화관광밸리 조성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석사 학

위 논문.

조경진. 2007. “산림작물의 육종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종자연구회지 제4권 제1호 pp.

139-167. 한국종자연구회.

최세현. 2001. “우리나라 자생식물 산업 고찰.” 농업경영·정책연구 제28권 제4호 pp.

139-167.

한국갤럽. 2011. 꽃에 대한 국민 선호도 조사 Gallop Report 2011/05/25.

허순임 등. 2007. “가계 의료비지출의 소득탄력성과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보건행정

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50-67.

홍의기. 1997. 야생화 캔재배에 의한 상품화 기술개발 . 농림부.

矢野経済研究所. 2014. “ガーデニング市場に関する調査結果 2013”

Beggs, S., Cardell, S., Hausman, J., 1981. Assessing the potential demand for electric car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17. No. 1. pp. 1-19.

Billor, N., A. S. Hadi, and P. F. Velleman. 2000. “BACON: Blocked adaptive computation-

ally efficient outlier nominator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Vol. 34.

pp. 279-298.

Bradley, R.A. and Terry, M.E. 1952. “Rank analysis of incomplete block design I: The

method of paired comparison.” Biometrika Vol 39. pp. 324-325.

Heather Turner and David Firth. 2013. “Package `BradleyTerry2’.”

Martínez-Espiñeira, R., García-Valiñas, M.A., Nauges, C. 2014. “Households' pro-environ-

mental habits and investments in water and energy consumption: Determinants and

relationship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33. pp. 174-183.

Weber. 2010. “bacon: An effective way to detect outliers in multivariate data using Stata

(and Mata).” The Stata Journal Vol. 10 No. 3. pp. 331-338.

C2014-23

야생화를 활용한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기술개발 전략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14. 5.

발 행 2014. 5.

발행인 최 세 균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17-3

02-3299-4000 http://www.krei.re.kr

인 쇄 주식회사 한디자인코퍼레이션

전화 02-2269-9917 e-mail: [email protected]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

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