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50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30도 기울인 체위변경이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예방에 미치는 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맹 은 영

Upload: others

Post on 14-Ja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간호학 석사학 논문

30도 기울인 체 변경이 환자실

환자의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

아 주 대 학 대 학 원

간 호 학 과

맹 영

Page 2: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0도 기울인 체 변경이 환자실

환자의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김춘자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12월

아주 학교 학원

간 호 학 과

맹 은

Page 3: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iii

Page 4: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i

-국문요약-

30도 기울인 체 변경이

환자실 환자의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

아주 학교 학원 간호학과

맹 은

(지도교수 :김 춘 자)

욕창은 세계에 걸쳐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보건 리의 문제이며,특히 환

자의 경우 욕창 발생률이 비교 높은데 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등 부동을 래

하는 장비를 많이 사용하고,의식 상태나 감각의 하, 양불량,부종, 소변 실

등과 같은 여러 욕창발생 험요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욕창의 주원인인 압력,

마찰과 응 력을 이기 해서는 체 변경이 무엇보다 요하며,따라서 체 변경

방법 국외에서는 욕창 방을 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되었지만 국내에는 리

알려져 있지 않은 30도 기울인 자세(30도 상체거상ㆍ30도 하지거상)의 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 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조군 사후시차설계로서,2011년 7월 17일부터 10월 22일

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 일 병원의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Braden

도구를 이용하여 욕창발생 험군에 분류된 환자 36명을 임의 표출하 다. 조군

은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실험군은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2시

간마다 앙와 ⎼좌측 ⎼앙와 ⎼우측 ⎼앙와 를 반복하여 체 변경 하 고,

선행연구를 근거로 욕창의 발생 시기를 고려하여 실험군과 조군에게 각각 2주 정

Page 5: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ii

도의 체 변경을 용시킨 후 NPUAP-EPUAP(2009)에서 제시한 기 에 따라 시

진하여 욕창발생 여부를 평가하 다.

수집된 자료는 SPSS로 통계 처리하 으며,기술통계,Mann-WhitneyU-test

와 Kruskalwallistest로 하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은 조군이 29.4%,실험군이 5.3%로 실험군이

게 발생하 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²=122.5,p=0.056).

2. 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부 는 조군은 장골 2명(40%),둔부 2명(40%),

미골 1명(20%),실험군은 둔부 1명(100%)만이 발생하 다.

3.실험군과 조군의 욕창 단계는 모두 2단계이었다.

4. 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일은 조군의 경우 평균 7.4일(±3.85),실험군의 경

우 평균 3일이었다( ²=0.5,p=0..235).

본 연구에서의 욕창발생은 조군이 29.4%,실험군이 5.3%로 통계 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지만( ²=122.5,p=0.056)실험군의 욕창 발생이 19명 1(5.3%)명

임을 고려한다면 30도 기울인 자세를 포함한 체 변경이 욕창 방을 한 간호

재로 고려해 볼 수 있다.

핵심어:욕창,체 변경,30도 기울인 자세,욕창발생 험

Page 6: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iii

차 례

국문요약 ……………………………………………………………………………………ⅰ

차례 …………………………………………………………………………………………ⅲ

그림차례 ……………………………………………………………………………………ⅴ

표 차례 ……………………………………………………………………………………ⅴ

부록차례 ……………………………………………………………………………………ⅴ

Ⅰ.서론 …………………………………………………………………………………… 1

1.연구의 필요성 ……………………………………………………………………… 1

2.연구목 …………………………………………………………………………… 3

3.용어정의 …………………………………………………………………………… 3

Ⅱ.문헌고찰 ……………………………………………………………………………… 5

1. 환자실에서의 욕창발생 ……………………………………………………………5

2.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 ………………………………………………6

Ⅲ.연구방법 ………………………………………………………………………………10

1.연구설계 …………………………………………………………………………… 10

2.연구 상 …………………………………………………………………………… 11

3.연구도구 …………………………………………………………………………… 12

4.자료수집 방법 차 …………………………………………………………… 13

5.자료분석 방법 ………………………………………………………………………15

6.연구의 제한 ……………………………………………………………………… 16

Page 7: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iv

Ⅳ.연구결과 ………………………………………………………………………………16

1.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 검증 …………………16

2.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비교 ……………………………………………… 18

Ⅴ.논의 ……………………………………………………………………………………20

Ⅵ.결론 제언 …………………………………………………………………………24

참고문헌 ……………………………………………………………………………………26

부록 …………………………………………………………………………………………33

문 록 ……………………………………………………………………………………40

Page 8: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v

그림 차례

그림 1.30도 기울인 자세 ……………………………………………………………… 15

표 차례

표 1.연구설계 …………………………………………………………………………… 11

표 2-1. 상자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 검증 ………………………17

표 2-2. 상자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 검증 ………………………18

표 3.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률 비교 ………………………………………… 19

표 4.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부 ………………………………………………19

부록 차례

부록 1. 상자의 일별 상태변화 ……………………………………………………… 33

부록 2.욕창발생 험요인 사정도구 ………………………………………………… 34

부록 3.국제욕창분류체계 ……………………………………………………………… 36

부록 4.욕창 방 간호 기록지 ……………………………………………………… 39

Page 9: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장기입원 환자 욕창발생률은 11-15%에 이르며(WoundOstomyandContinence

NursesSociety❲WOCN❳),2003)욕창으로 입원한 75세 이상 노인 환자의 3분의

1이 12개월 이내에 사망한다(Berlowitz& Wilking,1990).이처럼 욕창은 통증이 심

하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만 방 가능한 합병증으로 병원,양로원,가정 간호에서

많은 환자를 하고 있으며 여 히 세계에 걸쳐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보건

리의 문제이다.벨기에,이탈리아,포르투갈,스웨덴, 국에 있는 환자 5947명을

상으로 시행한 비연구에서 물론 국가 간의 차이가 있지만 18.1%의 유병률을 보

고,2001년 미국 병원에서는 욕창유병률을 15%로 보고하 으며,최근에 국가 으

로 진행된 연구에서도 유병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EuropeanPressureUlcerAdvisoryPanelandNationalPressureUlcerAdvisory

Panel❲NPUAP-EPUAP❳,2009;분당서울 학교병원 욕창자문 원단❲BPUAP❳,

2010).

환자실의 경우 욕창발생에 향을 미치는 심근수축제 사용 부동을 래하

는 기계 환기나 액투석과 같은 장비의 사용과 의식상태의 하 면역결핍 등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해(Nijs etal.,2009;Shahin,Dassen,&

Halfens,2009)다양한 발생률이 보고되며 1%에서 56%까지 넓은 범 의 욕창발생

률이 보고되었다(김세라,2008;Bolton,2007;Shahin,etal.,2008).

욕창 방을 한 간호 재로는 욕창발생 험요인 사정 이외에도 피부 사정

간호, 양 결핍 수분부족 사정 간호,실 이나 실변에 의한 과도한 습기를

제거하는 간호,체 변경,압력 재분배를 한 지지도구의 사용과 압력,마찰 응

력을 최소화하기 한 간호 등을 포함한다(CenterforMedicareandMedicaid

Page 10: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

Services,2004).마찰(friction)과 응 력(shearingforce)을 피하기 해서는 체 변

경이 필요한데 체 변경 시 기동이 어려운 환자는 침요가 구겨지지 않도록 하며 발

과 발 사이에 베개를 어주어 신체가 침상발치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양선희 등,2009).침 머리를 올려야 하는 경우 무릎을 약간 구부리도록 하는 자

세를 취하도록 하여(삼성서울병원,2002)실제 임상에서는 베개를 사용하거나 침

를 이용하여 다리를 약간 올려주기도 한다.침상머리를 상승시키는 시간을 이면

응 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는(양선희 등,2009)하지만 환자실 환자의 경우 경

식이제공 후 기도 흡인의 방지를 해서 는 신경계 질환 환자의 뇌압 감소 등

을 해 환자의 머리를 올려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그러므로 이러한 문제

들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욕창을 방 는 최소화 할 수 있는 체 가 요구된다.

욕창 방 간호 재에서 규칙 인 체 변경은 요하나 한 빈도와 한 체

에 한 근거가 부족(WOCN,2008)하다는 지 도 나오고 있다.압력을 감소시키기

한 체 변경에 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NPUAP-EPUAP(2009)에서 발표한 욕창

방 지침의 가이드라인에서는 ‘환자의 의학 상태가 가능하고 견딜 수 있다면 체

변경은 30도 기울인 자세(30도 상체거상과 30도 하지거상)나 엎드린 자세를 하는

것이 좋다’라고 ‘근거강도 C’로 제시되어 있다(BPUAP,2010).

이상에서 체 변경 시 30도 기울인 자세가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이 재에 해서 리 알려져 있지 않아 환자에게 용시키

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국내에서는 이 새로운 재에 한 연구가 미흡하기에

욕창발생 험환자를 상으로 30도 기울인 자세를 포함한 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를 악하 다.

Page 11: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

2.연구목

본 연구의 목 은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을 유지하면서 체 변경을 취

한 집단과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체 변경을 취한 집단 간의 욕창발생 빈

도를 비교함으로써 욕창발생 험환자의 욕창 방 효과를 악하기 한 것으로,

구체 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욕창 방을 하여 30도 기울인 자세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30도 상체거상과 10

도 하지거상 체 변경을 제공받은 조군보다 욕창발생이 을 것이다.

3.용어정의

1)욕창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 (주로 돌출부)에 압력 혹은 마찰과 응 력이 결합

한 압력이 지속 는 반복 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 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

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에 국한된 국소 인 손상상태를 의미한다

(NPUAP-EPUAP,2009;BPUAP,2010).본 연구에서는 국제욕창분류체계 6단계

(NPUAP-EPUAP,2009)를 기 으로 찰한 상태 2단계부터를 의미한다.

Page 12: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4

2)30도 기울인 자세

이론 정의는 30도 상체거상과 30도 하지거상을 의미한다(NPUAP-EPUAP,

2009).

30도 상체거상:침 의 머리를 올렸을 때 매트리스와 침 의 각도가 30도를 이

루는 것을 의미한다(Harada,Shigematsu,& Hagisawa,2002).본 연구에서는 침

하단에 있는 왼쪽 손잡이를 22바퀴 돌렸을 때 30도 상체거상 체 가 측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30도 하지거상:침 의 하단을 올렸을 때 매트리스와 침 의 각도가 30도를 이

루는 것을 의미한다(Harada,etal.,2002).본 연구에서는 침 하단에 있는 왼쪽 손

잡이를 22바퀴 돌렸을 때 30도 하지거상 체 가 측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Page 13: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5

Ⅱ.문헌고찰

1. 환자실에서의 욕창발생

환자실 환자는 질병의 정도가 심하고 신체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욕창발

생 험이 높은 집단에 속한다(Bergstrom,Braden,Laguzza,& Holman,1987). 환

자실의 욕창발생률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5.2-12.4%로 보고되고 있으며(Agency

forHealthCare PolicyandReaserch❲AHCPR❳,1992;Fife,etal.,2001)우리나

라의 경우 환자실 입원환자가 보이는 욕창발생률은 16.3-40.05%까지 다양하다

(김연숙,2011;김 경,1998;박종연,2010;이명선,2004;임미자,2006).

환자의 경우 욕창발생률이 비교 높은데 그 이유는 압력에 한 민감성을 높

이는 험인자로 마찰(friction)과 응 력(shearingforce),기동성,발생부 의 습한

정도(피부습도,소변,실 등),온도(체온 상승),마비유무,감각의 존재유무, 양상

태,조직의 산소포화도와 류에 향을 주는 요인(당뇨,심 불안정성,

압,산소사용 등), 신감염 등의 신질환,의식의 유무,일반 인 건강상태(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소생거부상태,인공호흡기 용상태,림 구 결핍상태,입원,수술,

장기입원 등)등이 포함되며(NPUAP-EPUAP,2009; 한창상학회,2008) 환자실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와 련성이 크다. 한 마비나 쇠약한 환자는 압박에

한 반응이 느려 욕창발생률이 증가하고,스스로 체 를 바꾸는 능력이 감소된 경

우 피부에 장기 인 압력으로 욕창이 발생하는데 신경학 ,신체 ,인지 인 기능

장애로 인해 래된다(병원 상처,장루,실 간호사회❲KAWOCN❳,2011).그러므

로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기동력이 하되어 있고

노인환자가 많아 욕창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다(이명옥,2000).그리고 환자실 환

자는 심부 이나 심박출량 감소의 문제를 가진 환자가 많은데 이러한 환자는 국소

Page 14: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6

조직에 액순환이 활발하지 못하게 되므로 압력에 한 항이 약해진다.세동

맥의 압력이 낮으면(이완기 압 60mmHg이하)외부에서 낮은 압력만 주어도 허

이 일어난다(Seiler& Stahelin,1979). 환자실의 경우 욕창발생은 입실 기 환

자 상태가 가장 심하게 악화된 상태에서 역학 불안정, 성 출 ,각종 장비 등

으로 자세변경의 제한과 높은 환자 증도와 련이 있다고 보인다(김연숙,2011).

욕창 방간호는 욕창발생 고 험 환자와 욕창환자를 상으로 간호요원이 환자

의 피부상태를 찰하고 는 자세를 변경시키거나 필요시 기타 방 재를 시행하

는 일련의 행 로 정의하고 있다(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그러므로

입원 기에 욕창발생 험요인을 측하여 방 간호 재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

보다 요하다(김 순 등,2009).욕창 발생 험사정 도구는 간호사의 임상 인

단을 도와주어 험상태에 있는 환자를 가려내고, 방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최근에 잘 정립된 욕창 발생 험사정 도구는 Braden척도이며,바로 뒤

이어 Norton척도이다(허찬 ,백롱민과 민경원,2009).이 Braden척도는 미국

에서 개발되었고 타당도가 많은 연구에서 검증되었으며 가장 사용하기 편한 도구로

알려져 있어 많은 의료기 에서 사용되고 있다(Bergstrom etal.,1987).

그러므로 효율 인 욕창발생 험사정도구를 이용하여 고 험군을 선별하고 집

인 방 간호 재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요하다(이명선,2004).

2.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

욕창(pressureulcer)은 지속 압박에 의해 래되는 피부조직의 손상상태를 말

하는데(양선희 등,2009),모세 폐쇄나 액 순환량의 하로 조직에 국소 으

로 허 상태가 래되어 세포에 산소나 양공 이 차단되면 무산소증 는 산소

증을 일으킨 조직이 죽게 되어 발생한다( 한창상학회,2008).

Page 15: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7

욕창발생을 유도하는 요한 두 가지 기 은 을 압박하는 외부압력과

을 찢어지게 하고 손상을 주는 마찰과 응 력이다(양선희 등,2009).

욕창부 의 병리 변화는 보통 체 으로 인한 압력의 변화에 의해 래된

의 허탈로 인한 것으로 이는 모세 을 폐쇄시키고 조직에까지 액순환장애를 일

으켜 괴사와 궤양이 생긴다(양선희 등,2009).신체의 일정부 로 정상 액순환보다

높은 압력이 장시간 지속 으로 가해질 때 발생하는 압력의 3가지 요인자는 강

도,시간,압력에 한 조직의 내성으로 말 모세 내 압력이 32mmHg이상 되면

순환장애를 래하며 노인과 환자에서는 더 낮은 압력에서도 가능하다(Braddom,

2000).압력강도가 높은 경우,짧은 시간 압력에도 조직변화가 가능하며,압력의 강

도가 낮은 경우 장시간 지속 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조직 변화가 래될 수

있다.낮은 압력 즉,천추부 피부가 받는 압력이 45mmHg에서 1시간부터 조직의 변

성이 찰되는 것으로 보아 체 변화는 어도 1시간마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호,2004).그러므로 기간이 길어지면 낮은 압력이라 할지라도 욕창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압력의 정도는 특히,환자의 자세와 환자가 깔고 있는 층의 단단함에 의해

서 결정된다. 면 은 환자의 자세에 따라서 많이 달라질 수 있다(허찬 등,

2009). 면 이 늘어날수록 압력면 이 넓게 퍼지므로,압력의 세기는 어들게

된다.몸을 지탱하는 부 의 조직이 리는 정도와 두께도 역시 자세에 따라 다르

다.실질 으로 환자의 자세는 조직이 변성되는 정도를 결정하고,따라서 조직에 산

소가 공 되는 것을 방해하는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허찬 등,2009).따라서 이에

한 가장 요한 방법은 체 변경이다(강은실,2003).

마찰은 두 표면이 서로 반 편으로 움직일 때 생긴다.마찰로 인한 상처는 찰과

상과 비슷하며 피하의 얇은 에 직 으로 손상을 다.주름 잡힌 홑이불에

워있는 상자는 이러한 마찰로 조직의 손상을 입게 된다(양선희 등,2009).침상

상부로 상자의 몸을 끌어 올리거나 스스로 몸을 어 로 올라가고자 할 때 팔

Page 16: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8

꿈치와 발뒤꿈치의 피부는 자주 손상을 받는다. 한 상자가 침 에서 일어나 움

직이거나 운반차로 옮겨질 때 홑이불 에서 미끄러지거나 잡아당겨져 상자의 등

부 도 마찰로 인한 피부손상이 생길 수 있다(양선희 등,2009).

응 력은 마찰과 력으로 생긴 물리 인 힘으로 침 상체를 높이고 기 어 앉

아있던 환자가 아래로 려 내려가면서 피부에 가해지는 힘이다(강은실,2003).마

찰은 피부표면에 항을 일으키고,반면 에 있는 조직은 신체 활동 방향으로 움

직이게 된다.피하조직에 있는 모세 은 움직임과 반 되는 힘에 의해 압박부

가 당겨지고 찢긴다(양선희 등,2009).천골이나 미골 등의 엉덩이 에 잘 생기며

방책은 환자가 혼자서 침 에 앉아 있다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하고,체

를 히 취해주며,환자를 침 바닥에 닿은 채 끌거나 잡아당기는 것을 피해야

한다(강은실,2003).

체 변경은 욕창 방을 해서 요한 부분이다.신체 특정 부 에 워있거나

앉아있을 때 유발되는 압력은 연부조직의 변형을 유발하고 궁극 으로 조직의 손상

을 유발할 수 있다(NPUAP-EPUAP,2009;BPUAP,2010).정상 으로 통증에 한

반응으로 환자들은 자세를 변경하게 되지만,체 변경을 하지 못할 경우 지속 으

로 허 이 발생하게 되고 불가피하게 조직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환자 스스로가

체 변경을 할 수 없다면 체 변경을 한 도움이 필요하다.체 변경은 워있거

나 앉아있는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뿐 아니라,압력을 재분산하거나 감소시켜

편안함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 이 있다(NPUAP-EPUAP,2009;BPUAP,2010).환

자의 자세에서 머리가 올라갈수록 면은 작아지게 되며,압력은 증가하여 욕창

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그러므로 침상머리를 30도 이하로 유지하고 불가피

하게 상체를 올려야 할 경우 발끝도 동일하게 올림으로써 응 력으로 인한 욕창발

생을 방한다(박경희,2010).한 연구에서는 62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을 2개의 매트

를 사용하여 10개의 다른 자세를 취하게 한 후 압력을 측정하 다. 상자들은 30

Page 17: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9

도 기울인 자세와 복와 (proneposition)를 취한 경우 경계면 압력이 가장 낮았다

고 보고하 다(Defloor,2000).하지거상이 욕창 방에 효과 이라고 제시한 연구

발뒤꿈치를 올렸을 때 궤양의 험이 있는 조직의 액흐름이 상당히 증가하 다.

발뒤꿈치를 부목에 올렸을 때 발뒤꿈치 모세 바닥에 충 반응이 생기고 조직

산소증의 경감을 보여주었다.따라서 거상은 압력궤양의 방과 치료에 요한 기

술이며 건강간호실무에 포함되어야만 한다고 하 다(Huber,Reddy,Pitham,&

Huber,2008).쇄석 에서 실시된 연구에서는 모세 압력을 결정하는 장치를 사용

하여 11명 참가자의 발목 높이를 비교하여 발목 압을 측정하 다.발목의 수축기

와 이완기 압은 발을 올릴 때마다 략 20mmHg감소하 다.종아리와 발뒤꿈치

모세 지지 압력은 표 쇄석 에서 15명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종아리에 한 모

세 지지 압력이 발뒤꿈치보다 었다.뒤꿈치 모세 지지 압력이 높은 쇄석술

체 에서 측정되었으며 발뒤꿈치의 높이 증가로 모세 지지 압력도 증가하 다

(Roeder,etal,2005).국내에서는 병원용 일반 매트리스의 경우 30도 하지거상에서

둔부의 최 평균압력이 통계 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 다(이호,2004).

신체부 별 욕창의 유병률은 나라마다 다른 욕창 발생부 를 보여주고 있으나

체 욕창 25%이상이 천골에 치하며 그 다음이 발꿈치이다(허찬 등,2009).

체 별 욕창의 호발부 는 지방층이 고 가 돌출된 부 에 많이 발생하는데

(KAWOCN,2011)앙와 를 취했을 때 천골,둔부,발꿈치 등 돌출부 에 가장

많고,복 를 취했을 때는 무릎이,좌 에서는 좌골결 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

다(양선희 등,2009).

욕창 진행되는 첫 번째 증상은 압력 받은 주 의 피부가 창백하게 되어 허 이

일어나고 압력이 사라지면 허 은 곧바로 충 상태가 된다.반응 충 은 압력을

제거했을 때 바로 액순환의 증가로 생기는 발 이다.그러나 반응 충 이 사라

지지 않으면 조직이 손상된다(양선희 등,2009).선행연구에서 발생한 욕창의 단계

Page 18: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0

는 1단계에서 2단계가 가장 많았다(김시숙,2003;박종연,2010;이 정,2008).

이와 같이 환자의 경우 욕창 련 험요인이 많기에 욕창발생률이 높다.욕창

방을 해서는 압력,마찰과 응 력을 최소화하기 한 체 가 요구되며,30도 기

울인 자세를 포함한 체 변경이 응 력을 감소시키고 하지거상을 포함한 체 변경

은 조직 류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욕창은 여 히 간호 장에서 한 간호

문제로 남아있다고 할 수 있으며 욕창의 발생 원인이 분명하고 방이 가능하다는

을 감안할 때 좀 더 면 한 욕창연구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박

형숙,2005).

Ⅲ.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환자실에 입원한 욕창발생 험환자를 상으로 30도 기울인 자세

를 포함한 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한 비동등성 조군

사후시차설계로 표 1과 같다.

조군은 7월 17일부터 8월 30일까지 17명,실험군은 9월 10일부터 10월 22일까

지 19명을 상으로 하 다.2주 동안 조군은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실

험군은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2시간마다 앙와 ⎼좌측 ⎼앙와 ⎼우

측 ⎼앙와 를 반복하여 체 변경 하 고,욕창발생 정도구를 통하여 발생여부

를 평가하 다.

Page 19: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1

7월-8월 9월-10월

처치 사후 처치 사후

조군 X₁ O₂

실험군 X₂ O₂

표 1.연구설계

X₁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

X₂ :30도 기울인 자세

O₂ :욕창발생

2.연구 상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 일 병원의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Braden도구를 이용하여 욕창발생 험군으로 분류된 환자 36명을 상으로 아래

의 선정 기 에 의해 임의 표출하 다. 조군은 7월 17일부터 8월 30일까지 17명,

실험군은 9월 10일부터 10월 22일까지 19명을 상으로 하 다.표본의 크기는 선

행연구(송미순 등,1996)를 통하여 G power3.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조군 각각

64명이 산출되었다.

구체 인 선정기 은 다음과 같다.

-입원 시 욕창 험사정도구에서 16 이하로 욕창발생 험이 높은 환자.

-욕창발생이 없는 환자.

-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로서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참여할 것을 수락한 자.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 보호자의 허락을 받은 자.

Page 20: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2

-조사기간에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14일 이상인 자.

-재원기간이 2주미만이어도 욕창이 발생한 환자는 상에 포함시켰다.

-척추손상환자, 퇴부 를 천자한 경피 상동맥 재술 시행환자 등의 경우에

는 상체거상 는 하지거상의 체 를 용시킬 수 없어 제외하 다.

3.연구도구

1)Braden도구

욕창발생 험사정도구는 Bergstrom 등이 개발한 Braden도구를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 다.사정 역은 6가지 역으로 감각지각도,습기,활동,기동성, 양

역은 4 척도로 구성되었고,마찰과 응 력 역은 3 척도이다.도구의 수는

최 6 에서 최고 23 까지이며,도구의 총 이 9 이하인 경우는 최고 험군,

10-12 은 고 험군,13-14 은 정도 험군,15-16 은 험군으로 분류된다

(Bergstrom,etal.,1987).따라서 본 연구에서 Braden도구 16 이하를 욕창발생

험군으로 분류한다.

2)욕창발생 정도구

욕창의 상태와 심한 정도에 따라 NPUAP-EPUAP(2009)에서 제시한 기 에 따

라 6단계로 분류하고 시진으로 단하 고,본 연구에서는 2단계부터 욕창이 있는

것으로 별하 다(김재희,2005).

1단계 ;비창백성 홍반이 있고,피부손상은 없는 상태로 압력을 제거해도 30분 이상

Page 21: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3

증상이 지속된다.

2단계 ;부분 인 피부상실과 표재성 궤양 있고 피부박리,수포가 나타나기도 한다.

3단계 :피하조직이 찰되며 범 한 손상이 있는 상태로 삼출물,괴사조직,공동

이 존재할 수 있다.

4단계 ;근육이나 건, 등이 노출되며 삼출물,괴사조직,공동이 존재할 수 있다.

심부조직 손상의심 ;피부손상은 없으나 보라색이나 갈색의 부분 피부 변색 혹

은 액이 찬 수포가 나타난 상태로 개방상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미분류 ;상처기 부가 괴사조직으로 덮여 있어 조직의 손상정도를 알 수 없는 상

태로 부분 3-4단계 이상인 경우가 많다.

4.자료수집방법 차

1)연구동의 차

연구 상자 표집 기 의 승인을 받고,문헌고찰을 통하여 조사지를 작성한

후 상자 선정조건에 부합한 환자들을 상으로 연구목 을 설명하고 연구 참

여 동의를 구해 승낙서를 받아 재 조사를 진행하 다.

2)연구보조원 훈련

자료 수집 연구자가 환자실 간호사 20명을 상으로 연구의 필요성

방법에 해 설명하 다.욕창 방에 한 교육과 일반 인 체 변경 방법에

해 1시간 가량 구두로 설명하고,욕창 방에 한 간호 재를 욕창 방 간호기

록지에 작성하도록 하 다. 조군의 경우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을,실

Page 22: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4

험군의 경우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체 변경 하도록 교육하 다.

3)사 조사

조사기간 동안 본 연구자가 매일 오 10시에 환자실에 방문하여 입원한

환자를 악하고 의무기록지를 참고로 Braden도구(Bergstrom,etal.,1987)를

이용하여 욕창 발생 험군을 분류하고 욕창발생여부를 확인하여 1차 으로

상자 선정을 하 다.체 변경 시행여부를 찰하고,욕창발생 정도구를 이용

하여 욕창의 발생과 단계를 확인하 다.

4)실험처치

침상의 머리는 각도기를 이용하여 침상하단에 있는 오른쪽 손잡이를 22바퀴

돌렸을 때 30도 상체거상 체 가 측정된다.반 로 하지거상은 각도기를 이용하

여 침상하단에 있는 왼쪽 손잡이를 22바퀴 돌렸을 때 30도 하지거상 체 가 측

정되며,8바퀴 돌렸을 때 10도 하지거상 체 가 측정된다.

조군은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을 유지하면서 2시간마다 앙와 -

좌측 -앙와 -우측 -앙와 를 반복하여 체 변경 하 다.실험군은 그림 1

과 같이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2시간마다 앙와 ⎼좌측 ⎼앙와

⎼우측 ⎼앙와 를 반복하여 체 변경 하 다.

욕창발생 정도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피부상태를 사정 한 후 일별 환자상태

를 기록지에 기록하 다.그리고 계 의 변화에 따른 실내온도를 고려하여 에어

컨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 24-26℃를 유지하 다.

Page 23: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5

그림 1.30도 기울인 자세 (허찬 등,2009)

5)사후조사

욕창발생시기가 입원 후 평균 10.4일(70.6%)에 발생한 연구를 근거로(김시숙,

최경숙,2003)실험군과 조군에게 각각 2주 정도의 체 변경을 용시킨 후 욕

창발생 정도구를 통하여 발생여부를 평가하 다.

5.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로 통계 처리하 다.

1) 상자의 요인별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평균,표 편차를 산출하

다.

2)실험군과 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정규성 검정 후 Mann-WhitneyU-test와

Kruskalwallistest로 하 다.

3)30도 상체거상과 30도 하지거상 체 변경이 욕창 방효과에 한 가설검증은

Mann-WhitneyU-test로 하 다.

Page 24: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6

6.연구의 제한

1)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 일 병원의 환자실에 국한시켜 상

자를 표집 하 으므로,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 을 기해야 한다.

2)본 연구를 실시한 환자실의 월평균 재원일은 4.3일로 재원일이 14일 이상인

환자의 수가 많지 않아 연구 기간 동안 상자수가 충분치 않았다.

3)본 연구는 연구자가 24시간 환자의 체 변경과 욕창상태를 찰할 수 없어 2단

계부터 욕창이 있는 것으로 별 하 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고려해야 한

다.

Ⅳ.연구결과

1.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 검증

상자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검증은 표 2-1,표 2-2와 같다.실

험군과 조군을 상으로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검증 결과 실험군과

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이 동질함을 보여주었다(p>.05).

상자의 연령분포는 조군에서 61-80세가 52.9%,실험군에서도 61-80세가

68.4%로 많았다.욕창방지기구의 사용은 조군 82.4%,실험군 78.9%로 많았고,

실험군에서는 신경계 질환이 47.1%, 조군에서는 신경계 질환이 52.6%로 유사하

고,체질량지수는 조군과 실험군 각각 ‘정상’이 52.9%,52.6%로 유사하 다.

Page 25: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7

특성 구분체(N=36)

n(%)

조군(n=17)

n(%)

실험군(n=19)

n(%)

²or

Up

나이(세)

≤40

41-60

61-80

≥81

3(8.3)

6(16.7)

22(61.1)

5(13.9)

1(5.9)

4(23.5)

9(52.9)

3(17.6)

2(10.5)

2(10.5)

13(68.4)

2(10.5)

0.000 1.000

욕창방지

기구사용

29(80.6)

7(19.4)

14(82.4)

3(17.6)

15(78.9)

4(21.1)

156.000 0.799

질환신경계

기타

18(50)

18(50)

8(47.1)

9(52.9)

10(52.6)

9(47.4)

152.500 0.742

체질량

지수

(kg/m2)

정상

과체

비만

6(16.7)

19(52.8)

4(11.1)

7(19.4)

3(17.6)

9(52.9)

2(11.8)

3(17.6)

3(15.8)

10(52.6)

2(10.5)

4(17.6)

0.043 0.836

표 2-1.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 검증

수축기 압의 평균은 조군 124.71(±18.07)mmHg,실험군은 127.89(±16.19)mmHg

이며,헤모 로빈의 평균은 조군 12.14(±2.56)g/dL,실험군 11.94(±1.94)g/dL이며,

청 알부민의 평균은 조군 3.4(±0.58)g/dL,실험군 3.43(±0.55)g/dL이다.체온의

평균은 조군 37.24(±0.70)℃,실험군 37.07(±0.49)℃이며,산소포화도의 평균은

조군 98.12(±3.00)%,실험군 99.42(±1.26)%이며,Braden 수의 평균은 조군

11.82(±1.91) ,실험군 12.00(±1.53)이다.재원일의 평균은 조군 12.88(±2.09)일,실험

군 13,26(±1.37)일이며,최소 9일,최 14일이다.

Page 26: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8

특성조군 (n=17)

M±SD

실험군(n=19)

M±SDU p

수축기 압(mmHg) 124.71(±18.07) 127.89(±16.19) 152.500 0.772

헤모 로빈 (g/dL) 12.14(±2.56) 11.94(±1.94) 153.000 0.788

청알부민(g/dL) 3.4(±0.58) 3.43(±0.55) 158.500 0.924

체온(℃) 37.24(±0.70) 37.07(±0.49) 157.000 0.885

산소포화도(%) 98.12(±3.00) 99.42(±1.26) 130.000 0.233

Braden 수 11.82(±1.91) 12.00(±1.53) 140.500 0.493

재원일(일) 12.88(±2.09) 13,26(±1.37) 157.000 0.851

표 2-2.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험요인에 한 동질성 검증

2.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비교

1)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를

상자의 욕창발생률은 표 3과 같다.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은 조군이

29.4%,실험군이 5.3%로 실험군이 게 발생하 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²=122.5,

p=0.056).

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시기는 입원 후 3일(33.3%)이었으며 평균 발생일

은 조군의 경우 7.4일,실험군의 경우 3일이었다( ²=0.500,p=0.235). 조

군의 욕창 발생 시기는 입원 후 3일,5일,7일,9일,13일에 각각 1명씩이며,실험

군의 경우 3일이 1명이었다.

Page 27: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19

특성 구분체(N=36)

n(%)

조군(n=17)

n(%)

실험군(n=19)

n(%) 2 p

욕창발생유

6(16.7)

30(83.3)

5(29.4)

12(70.6)

1(5.3)

18(94.7)

122.500 0.056

특성 구분체(N=6)

n(%)

조군(n=5)

n(%)

실험군(n=1)

n(%)부 장골

둔부

미골

천골

발꿈치

2(33.3)

3(50.0)

1(16.7)

0(0.00)

0(0.00)

2(40.0)

2(40.0)

1(20.0)

0(0.00)

0(0.00)

0(0.00)

1(100.0)

0(0.00)

0(0.00)

0(0.00)

표 3.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률 비교

2)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부 단계

상자의 욕창발생 부 는 표 4와 같다.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 부 는

조군은 장골 2명(40%),둔부 2명(40%),미골 1명(20%),실험군은 둔부 1명

(100%)만이 발생하 다.욕창의 단계는 욕창 발생 상자 모두 2단계이었다.

표 4.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부

Page 28: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0

Ⅴ.논의

체 변경은 욕창을 방하는 요한 간호 재의 하나로 신체의 압력을 최소화하

기 해 과학 으로 실시하여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욕창 방을 한 간호 재로

30도 기울인 자세를 용하 다.

체 변경에 한 연구 Young(2004)은 실험군에게 30도 기울인 자세를 용

하고 조군에게는 90도 측 앙와 를 용하여 실험군은 12.9%, 조군은

8.7%의 욕창발생을 보 다.본 연구에서는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번갈아

체 변경을 시행하여 실험처치는 다르나 30도 기울인 자세보다도 번갈아 체 변경

을 해주는 것이 더욱 요하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Moore(2011)의 연구에서는

실험군은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며 밤에 3시간마다 체 변경을 시행하고 90도

측 를 이용하여 6시간마다 체 변경을 용하 는데 욕창발생이 실험군에서는 3%,

조군에서는 11%를 보 다.본 연구에서는 체 변경시간은 다르지만 실험군의 경

우 5.3%의 욕창발생을 보여 다소 차이를 보 다.앞서 Moore(2011)의 연구 결과에

서 조군보다 실험군의 욕창발생이 은 원인이 3시간마다 시행한 체 변경의 빈

도 때문인지 아니면 30도 기울인 자세 때문인지에 하여는 감별이 어려웠지만 욕

창 방을 한 한 가지 자세의 재보다는 자세와 빈도를 달리하는 연구가 시도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체 환자 욕창발생률은 16.7%로 나타났는데 이는 환자실 입원

환자 100명을 상으로 한 김 경(1998)의 연구에서 17%,253명의 환자를 상으

로 한 김 경(1997)의 연구에서 21.7%,186명의 신경계 환자를 상으로 한 Fife

등(2001)의 연구에서 12.4%,신경외과 환자실과 병동 입원환자 211명을 상으로

한 김시숙과 최경숙(2003)의 연구에서 16.1%를 보여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포

인 집단군을 상으로 시행한 연구가 많아 본 연구 결과와 직 인 비교를 할

Page 29: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1

수는 없었다.본 연구에서는 약 50%의 환자가 신경계 질환으로 평균연령 67.04세

는데 박종연(2010)의 신경계 환자실 노인 환자를 상으로 한 연구 29.2%의 욕창

발생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본 연구에서의 욕창발생이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

다.

욕창발생부 는 Harada등(2002)의 비조사연구에서 상자에게 30도 상체거상

을 유지한 상태에서 측 와 앙와 를 번갈아 용하면서 실험군은 10도 하지거상

을, 조군은 하지거상 없이 신체표면의 압력을 측정하 더니 어깨 우리의 신체

표면 압력은 감소하 으나 천골부 는 유의하지 않았다.본 연구에서는 욕창발생이

실험군의 경우 둔부에만 보여 Harada등(2002)의 어깨 우리의 신체표면 압력이 감

소한 것과 같은 결과를 보 지만 천골 부 에는 욕창이 발생하지 않아 차이를 보

다. 체 환자의 욕창발생부 는 환자실 환자를 상으로 한 임경춘 등(1996)의

연구에서는 천골이 15명(83.3%), 자 3명(16.7%)이었고,신경계 환자실 노인

환자를 상으로 한 박종연(2010)의 연구에서는 천골부 가 가장 많은 45명이었고

발꿈치부 가 4명,둔부부 가 3명,팔꿈치부 가 3명,후두부 가 1명,장골부 가

2명이었다. 환자실의 개심술 환자를 상으로 한 이 정(2008)연구에서는 미골

부 에서만 7명(100%)이 발생하 고 신경계 환자실 환자를 상으로 한 임미자

(2006)의 연구에서는 미골이 11명(39.3%),천골이 6명(21.4%)의 순이었다.본 연구에

서는 둔부가 3명(50%),장골이 2명(33.3%),미골이 1명(16.7%)으로 선행연구와의 차

이를 보 다.

체 욕창발생환자의 단계는 환자실의 개심술 환자를 상으로 한 이 정

(2008)의 연구에서는 1단계에서 2단계가 27명(100%)이었고,신경계 환자실 노인

환자를 상으로 한 박종연(2010)의 연구에서도 1단계에서 2단계가 62명(100%)이었

다.신경외과 환자실과 병동 입원환자 211명을 상으로 한 김시숙과 최경숙

(2003)의 연구에도 1단계에서 2단계가 91.2%로 본 연구에서 2단계 6명(100%)으로

Page 30: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2

선행연구와 유사함을 보 다.

체 욕창환자의 발생 시기와 련하여 신경외과 환자실과 병동 입원환자를

상으로 한 김시숙과 최경숙(2003)의 연구에서는 입원 후 2일에 발생하 으며 평

균 발생일 10.4일(70.6%)에서 발생하 고,신경계 환자들을 상으로 한 임경춘과

송미순(1996)의 연구에서는 입원 후 4일 이내가 9명(50%)이었고 평균 5.6일에 욕창

이 발생하 다.신경계 환자실 환자를 상으로 한 임미자(2006)의 연구에서는 입

원 후 3일 이내에 13명(59.1%)를 보 고 평균 발생일은 5.2일이었으며,신경계 환자

를 상으로 한 최경숙과 송미순(1991)의 연구에서는 입원 후 4일 이내가 47%,평

균 6.5일이었다.본 연구의 욕창 발생 시기는 3일이었으며 평균 욕창 발생일은 7.4

일을 보 다. 환자실 환자를 상으로 한 김연숙(2011)의 연구에서는 환자실 체

류기간 14일 이내에 욕창발생이 56.3%로 가장 많았으며 본 연구에서도 욕창발생환

자가 13일 이내에 발생하여 유사한 연구결과를 보 다.

연구결과에서 욕창 련 요인 사회 변화를 반 한 것으로 보이는 것 하

나가 욕창방지기구의 사용증가이다.본 연구에서는 공기 매트리스를 많이 사용하

는데 상자의 29명(80.6%)이,신경계 환자를 상으로 한 임경춘과 송미순(1996)의

연구에서는 12명(20%)의 환자가 이 기구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는 경제 수 과

욕창에 한 인식의 향상으로 사용량이 증가하 을 것으로 본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50%이상은 60세 이상이며

특히 신경계 질환을 지닌 환자의 경우 55%이상이 노인환자이다(신은숙 등,2007;

최은희 등,2008;한경숙 등,2008). 환자실 환자를 상으로 한 김연숙(2011)의 연

구에서는 61세 이상이 52.1%, 환자실의 개심술 환자를 상으로 한 이 정(2008)

의 연구에서는 61세 이상이 53.0%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61세 이상이 75.0%로 높

았으나 이들 연구의 경우 과반수이상이 고노인 환자임을 고려해 볼 때 Kottner,

Halfens,& Dassen(2009)의 노인환자의 욕창을 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요한 문

Page 31: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3

제로 두되고 있음을 뒷받침해주었다.

본 연구에서의 욕창발생은 조군이 29.4%,실험군이 5.3%로 통계 으로 유의하

지는 않았지만 유의수 의 경계선에 있고 실험군의 욕창 발생이 19명 1(5.3%)명

임을 고려한다면 측 와 앙와 를 번갈아 용하면서 30도 기울이는 자세를 용한

체 변경이 욕창 방을 한 간호 재로서 욕창 발생률의 감소를 기 할 수 있었

으며,이를 토 로 임상 장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임을 상한다.불가피하

게 1시간 이상 는 30도 이상 상체를 올려야 하는 경우에는 미골이나 천골부 를

자주 평가해야한다 (KAWOCN,2011).10도 하지거상을 한 조군의 경우 미골,장

골과 둔부에 욕창이 발생하여 문헌에서 제시한 내용 미골부 만 일치하 고 천

골부 는 발생하지 않았다.하지만 조군의 2명(40%),실험군 1명(100%)이 둔부에

발생하여 상체거상 시 하지거상을 함께 하면 압력을 받는 면 을 넓게 하여

체 은 좀 더 넓게 분산됨을 보여 주었고 이는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를 낮

추는 효과를 보여 주었을 것이다. 한 하지거상체 가 조직의 류를 증가시켜 욕

창발생의 감소를 가져왔을 것이다.욕창발생부 의 선행연구와의 차이는 각기 다른

실험처치와 더불어 환자실 환자들의 질병특성에 따라 체 변경이 다르게 용되

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욕창발생 시기는 장기요양시설의 경우 입원 후 개 4주 이내에 발생하나,병원

의 경우는 1-2주 이내에 욕창이 발생한다(박경희,2010). 환자실 재원기간에 따라

박종연(2010)의 연구에서 욕창 비발생군이 평균 12.3일,욕창 발생군이 평균 26.6일

로 욕창 발생군이 길었고,장기 환자에게 욕창발생의 빈도가 높았다(김재희,2005).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수집한 병원의 월평균재원일수가 4.3일로 장기 환자가 많지

않아 연구 상의 환자실 재원일을 욕창이 자주 발생하는 2주 미만으로 선정하여

욕창발생률에 있어 선행연구와의 차이에 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욕창의 단계가 2단계만 나타난 것은 연구기간동안 매일 환자의 피부상태를 사정

Page 32: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4

하여 욕창발생이 3-4단계로 진행되기 이 에 악되었으므로 3단계이상의 환자는

없었다.그러므로 환자의 피부상태를 정기 으로 악하면 욕창발생 기단계에 치

료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간호 재의 선행연구가 국내에는 찾아보기 어려워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가 어려웠지만 욕창 방을 한 새로운 간호 재에 한 시도와 반

복연구가 지속 으로 요구된다. 한 욕창 련 여러 요인들에 한 통제가 어려우

므로 한 가지 방법의 재보다는 통합된 재가 요구되며,밤 동안 환자가 잠을 방

해 받지 않을 수 있는 체 변경의 빈도를 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Ⅵ.결론 제언

본 연구는 환자실에 입원한 욕창발생 험환자를 상으로 30도 기울인 자세

를 포함한 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한 비동등성 조군

사후시차설계이다.자료수집은 7월 17일부터 10월 22일까지 일 병원의 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욕창발생 험 환자 36명을 임의 표출하 으며, 조군은 17명,실험

군은 19명을 상으로 하 다. 조군은 30도 상체거상과 10도 하지거상,실험군은

30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2시간마다 앙와 ⎼좌측 ⎼앙와 ⎼우측 ⎼

앙와 를 반복하여 체 변경 하 다.

욕창발생 험사정도구는 Braden도구를 이용하 으며 사정 역은 감각인지,습

기,활동,기동성, 양,마찰과 응 력의 6가지 역을 수화하여 경계 수 16 을

욕창발생 험군으로 분류하여 사용하 다.욕창발생 정도구는 국제욕창분류체계

(NPUAP-EPUAP,2009)를 사용하 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조군의 욕창발생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조군이

29.4%,실험군이 5.3%로 실험군이 게 발생하여 30도 기울인 자세를 포함한 체

Page 33: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5

변경이 욕창 방을 한 간호 재로 고려해 볼 수 있다.욕창발생 부 는 조군은

장골 2명(40%),둔부 2명(40%),미골 1명(20%),실험군은 둔부 1명(100%)만이 발생

하여 상․하지 거상을 할 경우 장골,둔부,미골부 의 피부상태를 자주 평가해야한

다.욕창단계는 모두 2단계 으며,욕창발생일은 조군의 경우 평균 7.4일(±3.85),

실험군의 경우 평균 3일,욕창발생 시기는 조군과 실험군 모두 입원 후 3일로 입

원 기 욕창 방에 한 한 간호 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 로 연구 상자의 표본수를 확 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결

과를 얻기 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그리고 자세변경 외 욕창의 선행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진 욕창 련 요인들에 한 통합된 재 연구를 제언한다.

Page 34: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6

참고문헌

강은실 (2003).욕창의 방과 간호.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6(2),205-209.

김 순,김진아,최윤경,김유정,송말순,김을순 (2010).간호과정 용 평가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조사 :욕창,낙상 방 통증 간호를 심으로.임상간호연구,

16(3),5-23.

김 순,김진아,김문숙,김을순,박 옥,송말순,이 희,이인옥,정연이,최윤경

(2009).욕창,낙상 방 통증간호의 간호과정 용 평가도구 개발.임상간호연

구,15(1),133-147.

김세라 (2008). 환자실 입실 노인환자의 특성에 한 연구.한양 학교 석사학

논문,서울.

김시숙,최경숙 (2003).수정욕창 험 사정도구의 측타당도 평가. 앙 학교 학

원 석사학 논문,서울.

김연숙 (2011).BradenScale의 환자실 활용 성 평가.인하 학교 학원 석사

학 논문,인천.

김 경 (1997).욕창발생 험 사정도구의 용성 평가.성인간호학회지,9(2),272-285.

김 경 (1998).욕창발생 험 사정도구의 측타당도 평가.간호과학,10(2),1-11.

김 경 (2000).욕창발생 험 사정도구(Ⅱ)의 측타당도 평가.간호과학,12(2),

37-51.

김재희 (2005). 환자실간호사의 욕창 련 간호지식과 간호수행 환자의 욕창

Page 35: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7

발생에 한 연구. 동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한창상학회 (2008).욕창 리지침서,서울:포 스 출 사.

박경옥 (2005). 환자실 간호사의 욕창지식과 욕창간호 재 연구. 앙 학교 학

원 석사학 논문,서울.

박경희 (2010).그림으로 보는 상처 리,서울:군자출 사.

박종연 (2010).신경계 환자실 노인환자의 증도가 욕창발생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박형숙,박경연,류성미 (2005).수술환자의 욕창발생 측요인에 한 연구. 한간

호학회지,35(1),125-134.

병원 상처,장루,실 간호사회 (2011).욕창실무지침,서울:포 스 출 사,14-57.

분당서울 학교병원 욕창자문 원단 (2010).욕창의 방과 치료,임상실무지침서,

서울:분당서울 학교병원.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의료기 평가 지침서,381-386.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2002).제 3차 WOC 문간호과정.서울:삼성서울병원,71-86.

신은숙,정애란,이은정,조은 ,곽경옥,최정 ,박아 ,강정자,최자윤 (2007).

환자실 입원 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욕창발생 험 정도에 한 탐색. 환자간호

학술지 8,76-84.

송미순,최경숙 (1991).욕창발생 측요인에 한 연구.간호학회지 21(1),16-26.

양선희,손 희,백훈정,원종순,유재희, 미양 외 공 (2009).기본간호학.서울:

Page 36: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8

문사,39-51.

양 희,김원숙 (1998).욕창발생 험요인과 양상태가 환자실 입원환자의 욕창

발 생에 미치는 향.기본간호학회지,5(2),280-292.

이명옥 (2000).병원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수 .성인간호학회지,12(4),619-628.

이명선 (2004).욕창 방 로토콜 용이 환자의 욕창발생 감소에 미치는 효과.

부산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부산.

이상화 (2010).노인요양시설과 노인 문병원 노인의 욕창 실태조사 연구.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이선미 (2007). 환자의 욕창발생 험사정도구의 측 타당도 비교.을지 학교

임상간호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이 희,정인숙, 성숙 (2003).욕창발생 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비교. 한간호학

회지,33(2),162-169.

이 정 (2008).개심술 환자의 욕창옝방 로토콜 용 효과 평가.연세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이호(2004).인체와 흰쥐에서 외부 압력에 따른 천추부 피부의 생리.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

임경춘,송미순 (1996).30도 측 를 포함한 체 변경이 욕창 방에 미치는 효과.성

인간호학회지,8(2),274-290.

임미자 (2006).신경계 환자의 욕창발생에 한 연구.부산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부산.

Page 37: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29

최경숙,송미순 (1991).욕창 험사정도구의 측 타당도 검증.성인간호학회지 3,

19-28.

최은희,김진희,장은희,윤형숙,조여원,서효경,이주연,최지연,김재열 (2008).30°

두부거상 체 와 구강간호가 VAP발생률에 미치는 효과와 간호사 교육이 두부거

상 수행도에 미치는 향. 환자간호학술지 9,100-111.

한경숙,황명희,김인화,박세정,최민정,이연화 (2008).신경외과 환자실 비

양 환자의 양상태에 한 연구. 환자간호학술지 9,17-31.

허찬 ,백롱민,민경원 (2009).욕창 리의 과학과 실제.서울:가본의학.

AgencyforHealthCarePolicyandResearch(1992).PressureUlcerinAdults:

Prediction and Prevention.ClinicalPractice Guideline.Rockville,MD.:Public

HealthService,U.S.Departmentof HealthandHumanServices.

Bergstrom,N.,Braden,B.J.,Laguzza,A.,& Holman,V.I.(1987).Thebraden

scalesforpredictingpressuresorerisk.NursingResearch,36(4),205-210.

Berlowitz,DR,Wilking,SV.(1990).Theshort-term outcomeofpressuresores.

JAm GeriatrSoc,38,748.

Bolton,L.(2007).Whichpressureulcerriskassessmentscalesarevalidforuse

intheclinicalsetting?JournalofWound,OstomyandContinenceNursing,

34(4),368-381.

Braddom,Randolph L.(2000).PhysicalMedicine and Rehabilitation(2nd ed.)

Philadelphia:W.B.Saunders.

Page 38: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0

CenterforMedicareandMedicaidServices,DepartmentofHealth& Human

Services(2004).CMS ManualSystem.Retrieved September12,2008from

http://www.cms.hhs.gov/.

ClarkM,BoursG,DefloorT.(2002).Summary reporton theprevalenceof

pressureulcers.EPUAPReview,4(2),49-56.

DefloorT.(2000).Theeffectofpositionandmattressoninterfacepressure.

AppliedNursingResearch13,2-11.

Dharmara,T.S.,& Ugalino,J.T.(2002).PressureUlcer;ClinicalFeaturesand

Management.HospitalPhysician,38(3),64-71.

EugeneF.Reilly,MD 1,GiorgosC.Karakousis,MD2,SherwinP.Schrag,MD

3,S.P.Stawicki,MD4(2007).Pressureulcersintheintensivecareunit:The

‘forgotten’enemy.OPUS12Scientist,1(2),17-30.

Fife,C.,Otto,G.,Capsuto,E.G.,Brandt,K.,Lyssy,K.,Murphy,K.,& Short,

C.(2001).Incidenceofpressureulcersin aneurologicintensivecareunit.

CriticalCareMedicine,29(2),283-290.

Harada,C.,Shigematsu,T.& Hagisawa,S.(2002).Theeffectof10-degreeleg

elevation and 30-degree head elevation on body displacementand sacral

interface pressures overa 2-hourperiod.JournalofWound,Ostomy,&

ContinenceNursing,29(3),143-148.

HuberJ,ReddyR,Pitham T,HuberD.(2008).Increasingheelskinperfusionby

Page 39: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1

elevation.AdvSkinWoundCare,21(1),37-41.

Kottner,J.,Halfens,R.,& Dassen,T.(2009).Aninterraterreliabilitystudyof

theassessmentofpressureulcerriskusingtheBradenscaleandclassification

ofpressureulcersinahomecaresetting.nternationalJournalofNursing

Studies,46(10),1307-1312.

Krapfl,L.A.,Gray,M.(2008).Doesregularrepositioningpreventpressureulcers?

WoundOstomyContinenceNurs,35(6),571-577.

Moore,Z.Cowman,S.Conroy,M.R.(2011).A randomisedcontrolledclinical

trialofrepositioning,usingthe30°tilt,forthepreventionofpressureulcers.

JournalofClinicalNursing,20,2633-2644.

Nijs,N.,Toppets,A.,Defloor,T.,Bernaerts,K.,Milisen,K.,& VanDenBerghe,

G.(2009).Incidenceandriskfactorsforpressureulcersinintensivecareunit.

JournalofClinicalNursing,18(9),1258-1266.

NationalPressureUlcerAdvisoryPanelandEuropeanPressureUlcerAdvisory

Panel(2009).Preventionandtreatmentofpressureulcers:clinicalpractice

guideline.WashingtonDC.

Pressureulcers–preventionofpressure(2008).relateddamage.BestPractice,

12(2),1-4.

RoederRA,GeddesLA,CorsonN,PellC,OtlewskiM,KemenyA.(2005).Heel

calfcapillary-supportpressureinlithotomypositions.AORN J,81(4),821-7,

830.

Page 40: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2

Romanelli,M.(2006).Scienceandpracticeofpressureulcermanagement.London.

SeilerWO.& StähelinHB.(1979).Skinoxygentensionasafunctionofimposed

skinpressure:implicationfordecubitusulcerformation.JAm GeriatrSoc.,

27(7),298-301.

Shahin,E.S.,Dassen,T.,& Halfens,R.J.(2009).Incidence,preventionand

treatmentofpressureulcersinintensivecarepatients;A longitudinalstudy.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46(4),413-421.

Thompson,D.(2005).Acriticalreview oftheliteratureonpressureulceretiology.

JournalofWoundCare,14(2),7-90.

WoundOstomyandContinenceNursesSociety(2003).Guidelineforthepreventionand

managementofpressureulcers.Glenview,IL:WoundOstomyandContinence

NursesSociety.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2008).Guideline for the

preventionandmanagementofpressureulcers.

WoundOstomyandContinenceNursesSociety(2010).Guidelineforprevention

andmanagementofpressureulcers.14-15,21.

YoungT.(2004).The30degreetiltpositionvsthe90degreelateralandsupine

positionsinreducingtheincidenceofnon-blanchingerythemainahospital

inpatientpopulation.JTissueViability,14(3),88,90,92-6.

Page 41: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3

부 록

1. 상자의 일별 상태변화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나이(세)

몸무게

욕창방지기구사용

질환

수축기 압 (mmHg)

헤모 로빈 (g/dl)

청알부민(g/dl)

체온(℃)

산소포화도(%)

Braden 수

욕창발생

욕창단계

Page 42: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4

구분 척도 내용

감각

인지

정도

1.감각 완 제한됨(완 히 못 느낌)

의식수 이 떨어지거나 진정/안정제 복용/투여 등으로 통증 자극에

반응이 없다(통증자극에 해 신음하거나 주먹을 쥔다거나 할 수

없음).신체 부분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2.감각 매우 제한됨통증자극에만 반응(신음하거나 불안정한 양상으로 통증이 있음을

나타냄) 는 신체의 1/2이상에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지 못한다.

3.감각 약간 제한됨

말로 지시하면 반응하지만,체 변경을 해달라고 하거나 불편하다

고 항상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는 사지에 통증이나 불편감

을 느끼지 못한다.

4.감각 손상 없음말로 지시하면 반응을 보이며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고 말로 표

할 수 있다.

습기

여부

1.항상 젖어있음 피부가 땀,소변으로 항상 축축하다.

2.자주 젖어있음늘 축축한 것은 아니지만 자주 축축해져 8시간에 한번은 린넨을

갈아주어야 한다.

3.가끔 젖어있음 가끔 축축하다.하루에 한번 정도 린넨 교환이 필요하다.

4.거의 젖지않음 피부는 보통 건조하며 린넨은 평상시 로만 교환해 주면 된다.

활동

상태

1.항상 침 에만

워 있음도움 없이는 몸은 물론 손,발을 조 도 움직이지 못한다.

2.의자에 앉아

있을 수 있음

걸을 수 없거나 걷는 능력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체 부하를 할

수 없어 의자나 휠체어로 이동시 도움을 필요로 한다.

3.가끔 걸을 수

있음

낮 동안에 도움을 받거나 도움 없이 매우 짧은 거리를 걸을 수 있

다.그러나 부분의 시간은 침상이나 의자에서 보낸다.

4.자주 걸을 수 있음 어도 하루에 두 번 방밖을 걷고,방안은 어도 2시간 마다 걷는다.

움직임

1.완 히 못 움직임 도움 없이는 신체나 사지를 움직이지 못한다.

2.매우 제한됨신체나 사지의 체 를 가끔 조 변경시킬 수 있지만 자주하거나

많이 변경시키지 못한다.

2.욕창발생 험요인 사정도구 :Braden도구

Page 43: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5

3.약간 제한됨 혼자서 신체나 사지의 체 를 조 이기는 하지만 자주 변경시킨다.

4.제한 없음 도움 없이도 체 를 자주 변경시킨다.

상태

1.매우 나쁨

제공된 음식의 1/3이하를 섭취한다.

단백질(고기나 유제품)을 하루에 2회 섭취량 이하를 먹는다.

수분을 잘 섭취안함.유동성 양보충액도 섭취하지 않음.

는 5일 이상 동안 식상태이거나 유동식으로 유지한다.

2.부족함

제공된 음식의 1/2를 먹는다.단백질(고기나 유제품)은 하루에 약 3

회 섭취량을 먹는다.가끔 양보충식이를 섭취한다.

는 유동식이나 양을 정량 미만으로 투여 받는다.

3. 당함

식사의 반 이상을 먹는다.단백질(고기나 유제품)을 하루에 4회 섭

취량을 먹는다.가끔 식사를 거부하지만 보통 양보충식이는 섭취

한다. 는 양이나 TPN으로 부분의 양요구량이 충족된

다.

4.우수함

부분의 식사를 섭취하며 거 하는 일이 없다.

단백질(고기나 유제품)을 하루에 4회 섭취량 이상을 먹으며 가끔

식간에도 먹는다. 양보충 식이는 필요로 되지 않는다.

마찰력

응 력

1.문제 있음

움직이는데 정도 이상의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린넨으로 끌

어당기지 않고 완 히 들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자주 침 나

의자에서 미끄러져 내려가 다시 제 치로 옮기는데 많은 도움이

필요로 된다. 구축이나 강직,움직임 등으로 항상 마찰이 생긴

다.

2.잠정 으로

문제 있음

자유로이 움직이나 약간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움직이는 동안 의

자억제 나 린넨 는 다른 장비에 의해 마찰이 생길 수 있다.의

자나 침 에서 부분 좋은 체 를 유지하고 있지만 가끔은 미끄

러져 내려온다.

3.문제 없음

침 나 의자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며 움직일 때 스스로 자신을 들

어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근력이 있다.침 나 의자에 워

있을 때 항상 좋은 체 를 유지한다.

Page 44: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6

분류/단계(Category/ Stage)Ⅰ: Non-blanchable

Erythema

국소 부 에 피부 손상없는 Non-blanchable

redness로 어두운 피부를 가진 환자는 창백함

(blanching)이 보이지 않는다.그리고 색깔은

주변 피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그 부분

은 주변조직보다 통증이 있거나,단단하거나,

부드럽거나,따뜻하거나,차가울 수 있다.

분류/단계(Category/ Stage)Ⅱ:Partialthickness

skinloss

진피의 부분 층 피부 손상은 붉은 는 핑크빛

의 상처 바닥을 가진 얕은 상처로 부육조직

(slough)은 존재하지 않는다.이것은 한 열

되거나 열린 아니면 열리지 않은 상태의 장액이

들어있는 수포로 나타날 수도 있다.

피부 열상(skintears),테이 화상(tapeburns),

실 에 의한 피부염(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피부 짓무름 (maceration),피부 박

탁(excoriation)을 설명할 때 사용해서는 안 된

다.멍(Bruising)은 심부조직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3.국제 욕창분류체계(NPUAP-EPUAP,2009)

Page 45: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7

분류/단계(Category/Stage)Ⅲ: Full thickness

skinloss

층 피부 손상.피하지방이 드러나 있지만, ,

인 ,근육은 노출되어 있지 않다.부육조직은

있으나 조직 손상 정도가 명확하다.Undermining

과 tunneling은 있을 수 있다.욕창의 category

Ⅲ의 깊이는 해부 치에 따라서 다르다.코,

귀,후두부(occiput),복사 는 피하지방이 없어

CategoryⅢ가 매우 얇다.반 로 상당한 지방조

직을 갖고 있는 부 는 상당히 깊은 Category

Ⅲ 욕창으로 발 할 수 있다. 나 인 는 보이

지 않는다.

Category/StageⅣ:Fullthicknessskinloss

와 인 ,근육이 노출된 층 피부 손상으로

부육조직(slough)과 건조 가피(eschar)가 있을

수 있다.종종 undermining과 tunneling이 있다.

Category Ⅳ의 깊이는 해부 치에 따라

다르다.코,귀,후두부 (occiput),복사 는 피하

지방이 없어 CategoryⅣ가 매우 얇지만 근육

이나 지지구조(근막,인 , )를 침범할 수

있고 골수염,골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노출된

,근육은 에 보이고 직 만져지기도 한다

Page 46: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8

Unstageable:Depthunknown

층 피부 손상이나 상처바닥의 부육조직(yellow,

tan,gray,green,orbrown) 는 건조가피(tan,

brown,orblack)로 실질 인 깊이는 불명확한

상태이다.부육조직이나 건조가피가 제거되어

상처 바닥이 보일 때 까지 실질 인 깊이를 결

정할 수 없으나 CategoryⅢ나 Ⅳ로 간주될 수

있다.발뒤꿈치의 건조 가피가 마르고,잘 붙어

있고 홍반이 없다면 이것은 “신체의 자연 (생

물학 )덮개(the body‘s natural(biological)

cover)”로 제거되어서는 안 된다.

SuspectedDeepTissueInjury:depthunknown

보라색 혹은 갈색으로 탈색된 국소부 에 정상

피부 는 액이 찬 수포는 압력 는 단력

으로 인한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것이다.

이것은 조직 손상이 우선 으로 발생하여 주변

조직보다 통증이 있고,단단하고 약하거나 습하

거나 따뜻하거나 차가울 수 있다.심부조직 손

상은 어두운 피부색을 지닌 사람에게는 감지하

기가 어렵다.검은 손상부 에 얇은 물집이 생

길 수 있는데 이러한 손상이 계속되어 얇은 딱

지가 앉을 수도 있다.치료를 해도 추가 조직이

노출될 수 있다.손상의 진행은 짙게 변한 상처

바닥 반에 걸쳐 얇은 수포가 반 으로 생길

수 있으며,상처는 더욱 진행될 수 있고 얇은

건조가피로 덮일 수 있다.치료를 하고 있어도

피부의 심부층이 빠르게 손상될 수 있다.

Page 47: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39

4.욕창 방 간호 기록지

Page 48: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40

-ABSTRACT-

TheEffectof30-degreetiltRepositioningonPressureUlcerPrevention

forPatientsinIntensiveCareUnit

EunYoungMaeng

DepartmentofNursingScience

TheGraduateSchool,AjouUniversity

(SupervisedbyProfessorChunJaKim)

Criticallyillpatientsareatparticularriskfordevelopmentofpressureulcers

becauseofalteredmentalstatus,lossofsensation,malnutrition,edema,urinary

andfecalincontinenceaswellasmechanicalventilation.Properpositioningand

positionchangesarekeystopressureulcers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30-degree tilt

repositioningonpressureulcersforcriticallyillpatientsinintensivecareunit.A

non-equivalentcontrolgroup,posttestonlywasused.The36patientswho

werehospitalizedatintensivecareunitandcategorizedveryhigh-riskinthe

Braden scale were collect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The 19

patientswereassignedintheinterventiongroupandtheother17patientstothe

controlgrouprespectively.

Patients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30-degree tilt

Page 49: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41

repositioning (whichinvolves30-degreeheadofbedelevation and30-degree

elevation ofthelegs),whilecontrolgroup received 30-degreehead ofbed

elevation and 10-degreeelevation ofthelegs.Allpatients’position changed

every 2 hoursfor2 weeks.NPUAP-EPUAP guidelinewasused to assess

pressureulcersrisk.

ThestudywasconductedbetweenJuneandOctober2011andthecollected

datawereanalyzedusing SPSS/PC Window 12.0program.Thehomogeneity

betweentheinterventiongroupandthecontrolgroup,aswellastheapplication

effectofchange position,was analyzed using Mann-Whitney U-testand

Kruskal-Wallistest.

Theresultsofthisstudyaresummarizedasfollow.

1)Theincidencerateofpressureulcersintheinterventiongroupwaslower

thanthecontrolgroup(5.3% vs.29.4%,respectively; ²=122.5,p=.056).

2)Thesitesofpressureulcersdevelopmentwere2casesinilium region,3

casesinhipregion,2caseincoccyxregion.Onecaseofpressureulcersin

hipregionweredevelopedininterventiongroup.

3)Themean hospitalized period beforepressureulcersdevelopment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lowerthan the controlgroup(3.0 day vs. 7.4 day,

respectively; ² = 0.5, p = .235).

Accordingtotheresultsofthisstudy,30-degreetiltrepositioningwerenot

significantly effectivetopreventpressureulcers.Asthepressureulcerisa

problem thatrequiresthecloseobservationandattentionofnursestakingcare

Page 50: 30도기울인체위변경이중환자실 환자의욕창예방에미치는효과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7470/1/000000012421.pdf · 들을가지고있는환자의욕창을예방또는최소화할수있는체위가요구된다

42

ofpatientsclosely,thepreventivenursing and caresuch as 30-degreetilt

repositioningandfrequentrepositioningareimportant.

Keywords:pressureulcers,changeposition,30-degreetiltrepositioning,riskof

pressureul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