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중소유통 전망 - kcci · 2015 중소유통 전망 2014. 12. 12 이 정 희 ...

21
2015 중소유통 전망 2014. 12. 12 이 정 희 <[email protected]>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15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 대한상공회의소

Upload: others

Post on 11-Oct-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2015 중소유통 전망

    2014. 12. 12

    이 정 희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15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 대한상공회의소

  • 1. 중소유통 현황 Review

    중소유통의 범위

    –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르면, 중소유통기업은 유통산업을 경영하는 자로서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자에 해당하는 자

    – 중소유통기업 = 상시근로자 200인 미만의 도소매업 사업체 = 중형 유통기업 + 중소형 유통업체 + 소상인 – 중형 유통기업 = 상시근로자 50인에서 200인 미만 도소매업 사업체 – 중소형 유통기업 = 상시근로자 5인에서 50인 미만 도소매업 사업체

    중소유통업태

    – 도매업 : 도매 및 상품중개업 – 소매업

    • 종합소매점 : 슈퍼마켓, 편의점 등 • 전문소매점 : 농산물, 의류, 신발, 가구, 화장품, 액세서리, 가방 및

    가죽, 의약품 등 • 전통시장 • 기타

  • 1996년 유통시장 전면개방 이후 중소유통 쇠퇴

    • 편의점, 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크게 성장

    • 백화점, 전문소매점, 슈퍼마켓은 상대적으로 성장 미약

    슈퍼마켓의 판매액지수(2000년 대비 2013년), 체인 슈퍼마켓은 증가(12.6%) 하였으나 일반 슈퍼마켓은 감소(-3.7%) 2000년 대비 2013년 소매업태별 판매액 지수 증감률 - 편의점422.5%) > 무점포 소매(345.4%) > 대형마트(160.7%) > 백화점(35.6%) > 전문소매업(17.5%) > 슈퍼마켓

    80.7

    41.5

    104.8 104.8

    26.2

    85.3

    28.2

    109.4 108.2 118.0

    100.9

    136.9

    100.2

    125.6

    -

    50.0

    100.0

    150.0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체인) 슈퍼마켓(일반) 편의점 전문 소매점

    무점포 소매점

    2000(2005) 2013

    (단위 : %)

    주 : 전문소매점은 2005년부터 통계치가 발표되어, 2005년 판매액지수, 슈퍼마켓 2000년 판매액지수는 체인과 일반 구분없이 평균 지수임

    자료 : 통계청. 도소매업조사

  • 경기침체, 소비자 구매행태 변화, 대형유통업체 규제 등

    의 영향으로 대형마트 성장 둔화, 반면에 편의점, 온라인

    쇼핑 지속 성장

    -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 :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 3.12%

    - 인구성장 둔화 및 1인가구 증가 : 1인가구 비중 25.9%(2013)

    - 소비자 구매행동의 변화 : 대량구매 → 소량 다빈도 구매

    - 대형유통업체에 대한 규제 강화 : 영업시간, 의무휴일 등

    - 최근 대형마트 성장세 둔화

    - 소액구매처 편의점 성장, 인터넷쇼핑 및 모바일 쇼핑 성장

    - 전통시장 침체

  • 유통시장 개방 이후 중소유통의 변화

    중소유통점의 위기의식 증대(자료: 통계청)

    ─ 시장개방 이후 4인 이하 영세 소매업체가 약 12만개 폐점하였으며, 폐점 수 증가

    와 함께 2009년에 57만개로 줄어들었으나, 최근 소매업 창업(편의점, 통신기기판

    매, 무점포점, 등) 증가와 함께 다시 점포수가 증가함

    ─ 1996년 71만개 → 2009년 57만개(19.2% 감소) → 2012년 60만개

    706,916 637,918

    571,436 602,057

    1996년 2005년 2009년 2012년

  • 전통시장의 경쟁력 저하 지속

    중소유통점(전통시장)의 위기의식 증대(계속)

    ─ 전통시장은 04년 1,702개에서 13년 1,502개로 감소, 점포 수에 있어서도

    04년 237(천)개에서 13년 210(천)개로 감소하였고, 종사자 수도 389(천)명

    에서 304(천)명으로 감소하였음.

    ─ 지난 10여 년 매년 약 22개 전통시장이 줄어들고 있음

    • 전통시장 수(개) : (‘04) 1,702 → (‘10) 1,517 → (‘13) 1,502

    • 점 포 수(천 개) : (‘04) 237 → (‘10) 201 → (‘13) 210

    • 종사자 수*(천 명) : 389 → (‘10) 359 → (13’) 304

    주 : * 노점상 포함

    자료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4

  • 전통시장 현황

    구분 2010 2012 2013

    시장등록여부

    총계(개) 1,517 100% 1,511 100% 1,502 100%

    등록시장 817 53.8% 801 53% 764 50.9%

    인정시장 467 30.8% 546 36.1% 608 40.5%

    무등록시장 234 15.4% 164 10.9% 130 8.7%

    취급상품

    일반시장 1,420 93.6% 1,384 91.6% 1,371 91.3%

    전문시장 97 6.4% 126 8.4% 131 8.7%

    시장소재지

    대도시 628 41.4% 628 41% 599 39.9%

    중소도시 567 37.4% 567 37.4% 576 38.3%

    농어촌지역 322 21.1% 322 21.6% 327 21.8%

    출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3년 전통시장실태조사

    무등록시장은 감소하고 있음

    일반시장은 줄고 전문시장이 증가하고 있음

    도시지역 전통시장은 줄고 중소도시 전통시장은 약간 늘었음

  • 구분 2010 2012 2013

    매출액

    전통시장 (대형마트)

    (무점포판매)

    24조원 (38조원)

    (29.1조원)

    21.1조원 (44.2조원) (35.8조원)

    20.7조원 (45.1조원) (38.4조원)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 (백만원)

    119.2 103.3 98.4

    점포

    전체점포수(개) 201,358 204,237 210,433

    임차점포비중(%) 64.5 64.5 63.7

    공실률(%) 10.8 9.1 9.3

    종사자

    총시장상인(명) 359,374 354,146 351,240

    종사자(명) (%)

    297,809 (82.9%)

    298,140 (84.2%)

    303,571 (86.4%)

    노점상(명) (%)

    61,566 (17.1%)

    56,006 (15.8%)

    47,669 (13.6%)

    출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3년 전통시장실태조사

    전통시장 현황

    전통시장 매출은 줄었으나, 점포수 큰 변동이 없어서, 결국 점포당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지난 3년 사이 공실률은 13.9% 감소하였음 노점상 수가 줄고, 대신에 종사자 수는 약간 증가하였음

  • 도매업 소매업 도소매업 합계

    3.0% 67.1% 29.9% 100%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 식품

    음식업 의류/신발

    가정 용품

    기타 소매업

    근린 생활

    서비스

    합계

    11.2 6.2 8.6 10.8 11.0 24.3 9.3 14.5 4.1 100%

    전통시장 현황

    2013년 전통시장 도ㆍ소매업 비중 비교

    2013년 전통시장 취급 품목군 현황

    전통시장은 소매업이 67.1%로 주를 이루고 있음

    전통시장 취급 품목을 보면, 먹거리 품목이 48%로 가장 큰 비중 차지

    다음으로 의류/신발이 24.3%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출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3년 전통시장실태조사

  •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통계조사 가공

    소상인 중심의 중소유통

    93.3

    90.8 90.6

    82.0

    92.4

    89.3 88.9

    82.3

    75.0

    80.0

    85.0

    90.0

    95.0

    전산업 도소매업 음식 및 숙박업 제조업

    2001년 2012년

    44.8

    58.0

    67.8

    23.9

    41.1

    54.8

    64.5

    24.8

    0.0

    20.0

    40.0

    60.0

    80.0

    전산업 도소매업 음식 및 숙박업 제조업

    2001년 2012년

    제조업을 제외하고 소상공인 종사자 수 및 사업체수 비중은 감소세

    ―상시 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제조업, 광업, 건설업 및 운수업의 경우 10인 미만 그 밖의 업종은 5인 미만의 사업자 제2조

  • 11

    [종합소매업체 규모별 업체수, 종사자 및 매출액 비중]

    • 종합소매업에서 중형규모 소매업체의 매출 및 고용 증가 추세

    - 영세 종합소매업의 규모화 진행 : 영세 비중 감소하고 소형 비중 증가

    〮 1-4인 규모 업체수 및 종사자 비중 감소, 매출액 비중 소폭 증가, 소형 규모는 업체수, 매출액, 종사자비중 모두 증가

    - 10-49인 규모는 매출액, 업체수, 종사자수 모두 증가. 업체수 증가에 비해 매출액 및 종사자수 증가 폭 큼. 이는 규모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

    - 종합소매업에서 50인 이상 규모는 전반적으로 상대적인 비중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음

    - 대형유통업체의 사업전개가 대형점포에서 중소형점포로 변경되면서 50인 이상 규모는 비중이 감소하고 10-49인 규모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임

    자료: 통계청, KOSIS, 도소매업조사 전국편(2006-2012)

    93

    5 1 1 1

    57

    10 5 5

    23 17

    8 6 8

    61

    0

    20

    40

    60

    80

    100

    1-4인 5-9인 10-19인 20-49인 50인 이상

    업체수비중

    종사자비중

    매출액비중

    86

    10

    2 1 1

    47

    17

    9 7

    20 18

    10 9 10

    54

    0

    20

    40

    60

    80

    100

    1-4인 5-9인 10-19인 20-49인 50인 이상

    업체수비중

    종사자비중

    매출액비중

    % 2006년

    % 2012년

  • 12

    %

    매출원가율

    %

    영업이익률

    [소매유통업체의 규모별 매출원가율과 영업이익률 : 2006년 → 2012년]

    자료: 통계청, KOSIS, 도소매업조사 전국편(2006-2012)

    • 중대형소매업체의 매출원가율 하락, 반면에 영세소매업체 매출원가율은 증가. 그리고 영업이익률은 규모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

    - 영세소매업체 : ’06년 매출원가율 68% ’12년 매출원가율 69% (1%p 증가) - 중대형소매업체 : ’06년 매출원가율 64% ’12년 매출원가율 61% (3%p 감소) - 영세소매업체 : ’01년 영업이익률 17% ’12년 영업이익률 10% (7.0%p 감소) - 중대형소매업체 : ’06년 영업이익률 11% ’12년 영업이익률 8%(3%p 감소)

    대중소유통의 양극화

    0

    2

    4

    6

    8

    10

    12

    14

    16

    18

    총계 1-4인 5-9인 10-19인 20-49인 50인

    이상

    2006

    201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총계 1-4인 5-9인 10-19인 20-49인 50인

    이상

    2006

    2012

  • 13

    %

    매출원가율

    %

    영업이익률

    [종합소매업체의 규모별 매출원가율과 영업이익률]

    자료: 통계청, KOSIS, 도소매업조사 전국편(2006-2012)

    • 중대형 종합소매업체의 매출원가율 하락, 반면에 영세 종합소매업체 매출원가율은 증가. 그리고 영업이익률은 규모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

    - 영세 종합소매업체 : ’06년 매출원가율 69% ’12년 매출원가율 71% (2%p 증가) - 중대형 종합소매업체 : ’06년 매출원가율 67% ’12년 매출원가율 65% (2%p 감소) - 영세 종합소매업체 : ’01년 영업이익률 18% ’12년 영업이익률 9% (9%p 감소) - 중대형 종합소매업체 : ’06년 영업이익률 11% ’12년 영업이익률 8%(3%p 감소)

    대중소유통의 양극화

    0

    5

    10

    15

    20

    총계 1-4인 5-9인 10-19인 20-49인 50인

    이상

    2006

    2012

    0

    20

    40

    60

    80

    100

    총계 1-4인 5-9인 10-19인 20-49인 50인

    이상

    2006

    2012

  • 2. 중소유통 전망

    • 2015년도 중소유통 어려움, 지속 전망

    – 경기침체로부터 회복 불투명

    • 저성장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함에 따른 소비침체에 따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

    – 시장환경의 보다 경쟁적으로 변모해 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중소유통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됨

    – 대형유통업체의 사업전개의 향방에 따라 중소유통의 업종 및 업태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임

    • 최근 아울렛몰 및 복합쇼핑몰 성장 영향

    – 소비자 구매행태의 변화에 다른 영향 지속

    • 해외 직구 증가, 경기침체에 다른 소비자 가치추구 성향 증대로 구매행태 변화

    이주열 "내년 성장률 전망치 유지 어려워"…하향조정 시사(종합)

    中 '중고속성장 전환' 선언…경제성장률 하향 시사(종합)

    http://www.yonhapnews.co.kr/

  •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한국 9.3 9.7 5.8 6.3 8.8 8.9 7.2 5.8 -5.7 10.7 8.8 4.0 7.2 2.8 4.6 4.0 5.2 5.1 2.3 0.3 6.3 3.7 2.3 3.0

    일본 5.6 3.3 0.8 0.2 0.9 1.9 2.6 1.6 -2.0 -0.2 2.3 0.4 0.3 1.7 2.4 1.3 1.7 2.2 -1.0 -5.5 4.7 -0.6 1.4 1.5

    미국 1.9 -0.3 3.4 2.9 4.1 2.5 3.8 4.5 4.4 4.9 4.2 1.1 1.8 2.6 3.5 3.1 2.7 1.9 -0.4 -3.1 2.4 1.8 2.8 1.9

    한국,일본,미국 연간 GDP성장률 추이(1990~2013) (단위 : %)

    출처: 통계청, KOSIS, http://kosis.kr 국가별 경제성장률(기준년도 기준 GDP 기준)

    저성장기 진입 : 경기둔화 → 소비둔화 지속

    -10

    -5

    0

    5

    10

    15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한국

    일본

    미국

    -5

    0

    5

    10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률(

    %)

    한국

    일본

    미국

    한국,일본,미국 5년 이동평균 GDP성장률 추이 (단위 : %)

  • 연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3년 2014년 (추정)

    2015년 (추정)

    2020년 (추정)

    2035년 (추정)

    1인 가구 비중

    15.6% 17.3% 19.1% 20.7% 22.3% 23.9% 25.9% 26.5% 27.1% 29.6% 34.3%

    1인가구 증대 및 고령화 사회 진입 : 근거리, 소량구매 증대 - 중소유통에게 기회이며 이러한 사회 변화에 부응노력 필요

    0.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추정) (추정) (추정) (추정)

    2000년 2010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20년 2035년

    1인 가구

    비중

    0.0%

    5.0%

    10.0%

    15.0%

    20.0%65세 이상

    인구비중

    자료: 통계청, KOSIS, 장래가구추계

    연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2년(추정)

    2014년 (추정)

    2016년(추정)

    2018년 (추정)

    2020년 (추정)

    65세 이상 인구비중

    5.4% 5.7% 6.1% 6.7% 7.2% 7.9% 8.7% 9.5% 10.3% 11.0% 11.8% 12.7% 13.5% 14.5%

  • •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 상회

    –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014년 10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잔액은 730조6천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8.1% 증가

    – 2014년 10월 현재 가계부채 1,060조3천억원(전년 동기대비 6.7% 증가). 반면에 2014년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8만8천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 증가

    – 2014년 9월말 현재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 137%(역대 최고치) → 가계부채부담 심화

    • 소득감소에 따라 소비지출을 더욱 줄이는 양상

    – 통계청 가계동향에 따르면, 2014년 3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58만원으로 전년 동기대비로는 3.3% 증가하였지만, 올 1분기 대비로는 2.9% 하락. 반면에 3분기 월평균 가계소득은 1분기 대비 0.4% 하락

    – 소득과 소비 모두 감소하고 있으며, 소득 감소에 따라 소비지출이 더욱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내년도 소비위축에 따른 경기침체 지속으로 중소유통의 어려움 가중 예상

  • • 한편에서, 중소유통의 성장 희망은 있음

    – 중소유통 보호를 위한 정책의지 지속 전망

    • 2015년 소상공인진흥기금 설치, 약 2조원 지원예산( 융자사업 1조5천억원 + 보조사업 5천억원 ) 편성

    • 소상공인 진흥을 위한 정책 지원 강화 예정

    • 소상공인 보호정책 유지 전망

    – 1인가구 증대

    – 소비자 구매행태의 변화 : 가까운 곳에서 조금씩 자주 구매하는 구매행태의 변화 지속 • 골목상권으로 소비자 회귀 기대

    • 동네 중소형 소매점의

    편의점형 종합소매점 성장 가능성

  • 중소유통업의 점진적인 발전이 있으며 희망 기대

    • 중소유통업체의 변신 증대 변화의 의지 점차 증대

    중소유통업체의 규모화 진전

    ― 소형유통업체는 감소하고 중기업 규모의 소매업체는 증가

    ― 생산성 다소 향상

    • 소형 소매업체, 종사자 및 연면적 당 매출액 모두 향상

    • 그러나 영업이익률 하락이 크며, 수익구조 개선 노력 필요함

    강소 소매업체 성공사례 증대 등 중소유통의 BP(Best Practice) 사례가

    하나 둘씩 늘어나고 있음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등으로 협업의 기회 증대

  • 종합소매업 연면적 당 매출액 (단위 : 백만 원)

    출처: 통계청 KOSIS, 도소매업조사

    종합소매업 종사자 당 매출액 (단위 : 백만 원)

    53.8 52.8 26.9

    58.8 51.8 50.3 55.0 65.5 73.5 74.5

    94.1 97.2 47.9

    94.7

    130.5 106.6 117.3

    142.5 140.4 121.9

    134.7

    163.3 142.3 148.3

    1998 1999 2000 2002 2003 2004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영세(1~4인) 소형(5~9인)

    1.5 1.7 1.6 1.9 1.6 1.4 1.6

    1.9 1.6 1.9

    2.4 2.4

    3.0 2.4

    3.0

    1.9 2.3

    3.3 3.3 3.3 3.7

    4.4 4.6 5.3

    1998 1999 2000 2002 2003 2004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영세(1~4인) 소형(5~9인)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