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4
1

Upload: minsoo11

Post on 29-Jul-2015

146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

Page 2: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

Page 3: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

3Source: KIAT, 2011

2011~2012년: 디지털 방송 전환

Page 4: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4

Digital TV의 진화 모습

Flat PanelLarge Size

Full HDResolution

Frame Rate120Hz/240Hz

Ultra SlimLED BLU

크기

고화질

빠른반응속도

초고화질

초박형디자인

에너지절감

실감방송

Smart TVSocial TV

오감 체험형

디지털 허브

“기술에 의한 기능적 경쟁력” “TV 이상의 경험”

– 더 큰 화면의 TV

– 더 좋은 화질의 TV

– 더 화려하고 얇은 TV

– 더 전력소모가 낮은 TV

신기술을 통해고객의 새로운 니즈를누가 더 낮은 가격에

손쉽게 보급할 수 있는지가차별화의 주요 요소

– 제품의 품질, 가격만으로는경쟁력이 되지 못함

– TV 이상의 다양한경험을 제공하고고객이 원하는콘텐츠를 제공할수 있는지가중요한차별화요소

참조: KIAT 로드맵

Beyond HD

Page 5: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5

5

3D의 정착

Page 6: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6<출처: “The Market Opportunity for Ultra-High Definition Video”, In-stat (2009.10)>

< The Digital Cinema, 4K UHD and 8K UHD Timeline, 2010-2025>

6

UHD 서비스 전망

Page 7: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7

참조: Deloitte Analysis

7

아날로그 미디어

시간

IT 및

네트

워크

기술

의고

도화

디지털 미디어

융합 미디어

• IT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디지털 콘텐츠 생성기술이 보급되었으며 이로써 콘텐츠 제작의 진입 장벽이 낮아져 누구라도 쉽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음

• 미디어/네트워크별 수직적인 콘텐츠 방식에서공통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체제 가능

• 지상파, CATV, 위성, Internet, 근거리 및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 다양한 방식 활용

• 다양한 단말기를 통한 콘텐츠의 소비 가능

Contents

Platform

Network

Terminal

IT 혁신

Internet+모바일 혁신

콘텐츠의 디지털화 및 인터넷 미디어의 확산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의 확산및 다양한 융합 미디어의 등장

변화 양상

뒤늦은 방송의 Paradigm Shift

Page 8: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8

2011: 글로벌 IT업계의 경쟁 구도 재편

200 million reasons why Apple’s upcoming TV will win the cloud TV wars

Page 9: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9

Ⅰ. 개념 및 범위

디지털 방송이란, 기존의 방송매체(지상파, 케이블, 위성, 이동휴대방송,

IPTV)를 통해 제공되는 고품질·실감형 방송 뿐만 아니라,

- 인터넷과 연결되어 VoD(Video on Demand), 소셜미디어, 게임, 영상

통화, 웹, 앱 활용 등의 부가기능 및 방송망과 인터넷망을 연동한 매쉬-업

(Mash-up) 서비스기반 등을 제공하는 양방향 융합 스마트방송을 말함

디지털 방송 기술이란, 고품질 방송콘텐츠의 제작, 전송 및 재현에 이르는전 과정을 디지털화하여 처리하는 방송기술

디지털 방송산업은, 방송 콘텐츠에 대한 압축, 편집, 전송 및 재생 등 직접처리하는 기능과 함께,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방송 플랫폼 장비, 기기, SW를 포괄

디지털 방송 생태계는, 방송콘텐츠(C), 방송플랫폼(P), 방송네트워크(N),

방송터미널(T)의 4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되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한 선순환 구조 시스템을 의미

Page 10: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010스마트 방송 개념도

SmartTV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간N-스크린

ApplicationStore

I/O 인터페이스

스마트 홈

SmartTV 콘텐츠

SmartTV 전송

3D 4D

파노라믹UD

Recomposable 콘텐츠다채널 오디오

방송망 기반 실시간 다중화/ NRT 파일 다운로드

이종망간 동기화

이종망간스케쥴링

Recomposable 콘텐츠QoS/QoE 제어,

Adaptive Streaming

Declarative 미들웨어

다방송망 지원단말

저장파일/실시간 방송동기화

Reconfigurable UI/UX

Page 11: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1

제작장비편집장비

유통서비스시스템

소셜 네트워크

송출장비케이블장비

네트워크장비

디지털TV셋톱 박스

휴대방송단말

지상파

위성

케이블

모바일

IPTV

- 원격회의- 사내방송- 아파트 공시청- 지역교육- 공연장, 학교,교회, 군부대 등

인터넷

아날로그TV(흑백)

컬러 TV 케이블TV

디지털TV(HDTV)

디지털위성방송

위성 DMB지상파 DMB

IPTV SmartTV UHD 방송(8K실험)

UHD 방송(8K)

1980년1956년 1995년 2001년 2002년 2005년 2011년

2012년

2008년 2015년 2025년 이후

다시점 방송홀로그램방송

지상파 방송디지털 완전전환

2010년

지상파3DTV

실험방송BeyondSmartTV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20년

디지털 방송 생태계 및 발전 흐름도

Page 12: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2

Ⅱ. 기술 분류 체계

HD

3D

UHD

Metadata

홀로그램

콘텐츠제작

및 편집

Contents 보호

스마트/ N-

스크린 방송

소셜미디어

방송클라우드

지상파/이동

케이블

위성

IPTV

거치형 유선단말

거치형 무선단말

거치형

하이브리드 단말

휴대형 무선단말

휴대형

하이브리드 단말

방송 콘텐츠 방송 플랫폼 방송 네트워크 방송 터미널

방송

생태계

방송

콘텐츠

방송

플랫폼

방송

네트워크

방송

터미널

Page 13: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3

13

Internet

74%

Manage

d IP

18%

Mobile

data

8%

Overall Traffic Share

in 2015

방송 네트워크(Internet)

IPTV VoD

17%

Cable

digital VoD

78%

Cable

hybrid IP

VoD

5%

Consumer Managed IP

Traffic in 2015

Page 14: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4

• 스크린과 video traffic의 급증

14

Ⅲ. 중장기 기술발전 전망

Page 15: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5

Ⅲ. 중장기 기술발전 전망

AV

서비스

실감

서비스

단순시청형 정보선택형 정보맞춤형 정보창조형

2009년2009년

2013년2013년

다시점 3DTV

모바일방송

융합미디어

실감미디어

DCATV

4K UHDTV

HDTV

인터넷 방송

라디오

3D DMB

칼라 TV

DMB

3DTV

AT-DMB

흑백 TV

IPTV

모바일 IPTV

융합형 Smart TV

2017년2017년

8K UHDTV

DAB

방통융합모바일방송

멀티미디어서비스

CATV

Smart TV

홀로그래픽 TV

OTT

Page 16: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6

방송장비(HW 및 SW) 및 시스템방송장비(HW 및 SW) 및 시스템

TV방송 산업과 네트워크의 융합화로 TV의 PC화가 진행되고 있고, HW 보다는SW의 비중이 점차 확대

방송 콘텐츠방송 콘텐츠

방송 플랫폼방송 플랫폼

방송장비의 범용 컴포넌트화 및 방송시스템의 IP기반 융합, 통합화 가속화

UHD급 초고화질, 3D 입체 및 오감으로 확대되는 실감형 콘텐츠로 진화하며

발전된 UI/UX 기술과 결합하여 인간중심적 인터랙션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발전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과 다양한 스마트 단말 기기들이 출현하면서,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가 동시에 참여하고 다양한 스마트기기에 동시 적용할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기술, 디바이스 협업기술, 클라우드 서비스로 진화될 전망

- 3DTV방송은 방송표준의 제정, 제작장비 고도화, 실시간/비 실시간 융합형 서비스로 발전

- 중장기적으로 UHD급 초고화질 프리미엄 콘텐츠 서비스가 출현, 실감형 콘텐츠 기반의 멀티모달UI/UX 기술이 발전하여 Smart TV에 접목될 예상

Ⅲ. 중장기 기술발전 전망

Page 17: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7

방송 네트워크방송 네트워크

방송 터미널방송 터미널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고효율 전송을 가지는 송신기술 개발과

방통융합을 위한 IP서비스 기술로 발전

지상파 다채널 방송서비스를 지원하며, 교통·날씨정보 및 소셜 네트워킹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약 없이 수신할 수 있는 가변수신 양방향 융복합 단말기로 발전

- 지상파 DTV는 현재의 HDTV 서비스를 넘어 3D, UHD 서비스로 발전

- 이동방송의 경우, 지역방송 및 수신감도별 방송품질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기술이 일반화

- 3D 등 실감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초 광대역 위성방송기술이 등장

- 디지털 케이블방송은 주파수 채널의 전송용량확대, IP기반의 방통융합화, 댁내 콘텐츠의 공유

- 3D,파노라마,인터랙티브 데이터 방송 등의 고품질, 고기능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개발

Ⅲ. 중장기 기술발전 전망

Page 18: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8

Ⅳ. 추진목표 및 전략

방송장비 국산화율 제고 : 21.6%(‘11) -> 35%(‘16)

2016년 방통 융합형 단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방통융합 스마트 방송 산업 선도국가 실현방통융합 스마트 방송 산업 선도국가 실현

방통융합 스마트 방송산업 생태계 구축

2016년 DTV 세계시장 점유율 확고한 1위

UHD 포함 실감형 실험방송 실시

Page 19: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19

추진내용기본방향

시청각이 즐거운인간중심

실감방송 기술개발

생생한 현장을 전달하는방송네트워크

기술개발

시청자와 함께하는

융합형 방송 플랫폼

기술개발

편리하고 친근한실감형 단말

기술개발

3DTV 방송 활성화를 위한 고품질 3DTV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장비개발과 국내외 표준화 기술개발

UHDTV 방송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새로운 압축부호화,전송기술개발, IPR확보

파노라마 및 홀로그래픽 TV방송을 위한 핵심원천기술개발

대화형 실감형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인간중심적 UI/UX 융합기술개발

시청자의 다중단말 및 다중매체에서 seamless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콘텐츠 관리,

유통 및 저작권 보호기술개발

방송망과 인터넷망을 연동하여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대화형 서비스기술개발

사용자의 단말 환경에 따라 차별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Mash-up서비스 기반

융합형 방송 서비스 기술개발

지상파, 케이블, IP, 위성망을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3D 및 UHD 고품질

영상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방송전송기술 고도화 기술개발

개인 맞춤형 IPTV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IPTV기술개발

고품질, 고속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고 전송 효율 변복조, 다중화

/역다중화, 채널 부호화, 고효율 공간신호처리 등 차세대 방송단말 핵심기술 확보

단순 디지털 케이블방송 시청 위주에서 다기능 복합 케이블 방송 플랫폼 형태의 STB

기술개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할 수 있는 Smartwork b2b 어플리케이션 단말 및 Zero

Client 기반 단말 개발

Ⅴ. 세부 추진계획

Page 20: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0

Ⅵ.‘12년 R&D 기획방향Criteria

기술성, 경제성

표준화, 글로벌, 중소기업

개방, 공유, 참여

실감방송분야의 핵심기술 및IPR 확보와 표준화 주도

N-스크린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융합생태계용 헤드 엔드 및

단말개발

방송망을 이용한 재난방송 등공공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시스템 개발

융합 미디어를 위한 표준형 스마트 융합방송 제작,송출시스템 개발

B2B방송 및 개인방송 등 사설방송사업자용 방송 클라우드 기반의

헤드엔드 시스템 및 단말기술 개발융합미디어/N-스크린 서비스에 기반한 응용서비스 개발

고품질 방송 8K UHD/3D기반 NPS(Network Production System)

개발 및 인터페이스

3D Hybrid 전송 시스템 개발

지상파 신호를 이용한 재난경보방송 및 공공인프라 제어시스템 개발

Page 21: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121

Page 22: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222

실감방송 (제작, 전송 ?)

Page 23: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3

23

방송 장비 Global Top 5(2008년)

Source: ETRI 2009

Page 24: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4

Platform: Motorola Medios

• Rapid service evolution• Personalization• Multi-screen delivery• Differentiated user experience• Infinite content management & merchandising

Page 25: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5

• Unified experience: converges linear, pay-TV, and online sources into a personalized TV experience with universal search and navigation

• No endpoint limitations: offer a cloud-based video experience, but only on their particular devices and software platforms

• Consistent, high quality of experience through an end-to-end IP video architecture: integrate entertainment applications and communications into a unified cloud-based experience

25

Platform: Cisco Videoscape

Page 26: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626

서로 다른 플랫홈?

Page 27: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7

Ⅶ.‘11년 IBC를 통해 본 방송 시장

□ UHD 진보

□ Cloud 기반 방송 workflow

□ SmartTV 및 Multi-device에 대한 방송 서비스

□ 소셜미디어와 방송의 결합

□ 스포츠와 방송 기술

□ 3D 방송 제작

Page 28: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8

Ⅶ.‘11년 IBC를 통해 본 방송장비 시장

□ UHD 제작 장비 및 Workflow

o NHK의 Super Hi-Vision- 런던 BBC에서 인터넷을 통해 발송한 8K video를 IBC

영화관에서 상영- camera, switcher, slow motion기, 편집기, 8K display

등을 전시-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일반 대중에게 공개 2020년

21GHz위성을 통한 실험 방송 예정- 2015년 1.25“ 카메라, 100“ TV, codec, 스튜디오 제작

시스템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o Sony- Beyond HD라는 theme으로 memory카드 기반 4K

workflow발표

o JVC는 4K Camcoder 프로토타입 전시

o 4K는 일반화 : 약 10,000 영화관이 4K 영화 상영 중

Page 29: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29

Ⅶ.‘11년 IBC를 통해 본 방송장비 시장

Cloud 기반 방송 Workflow

□ Cloud 기반 방송 제작 workflow

o Media cloud의 용도

- external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outsourcing the media proecessing itself, or running their owned or licensed applications on an outsourced infrastructure platform

o Media cloud 및 방송 cloud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이슈 논의

- fast and reliable access가 가능한가?

- Security나 데이터의 안정성 문제의 해결 필요

- Digial rapid, cisco, Prime focus technologies(Clear), Aspera, TVU Networks 등에서 솔루션을 발표했으나 아직 초기 버전

Page 30: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0

Ⅶ.‘11년 IBC를 통해 본 방송장비 시장

Smart TV 및 Multi-screen

□ 허브로서의 TV 역할과 사업 주체, Contents 공유에 대한 논의

o 멀티스크린과 Nonlinear 시청의 증가에 따른 광고의 새로운Funding model 방법

o 대부분의 주요 기업들이 multi-device를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구성

o 전통적인 TV channel의 비중이 약해지면 Multi-device를대상으로 하는 OTT형 서비스로 대체되어 갈 것으로추정하고 제작 시스템 및 OTT 박스 출품

o NDS(Horizon), SeeChange(Nitro)등 multi-device에same look&feel을 갖는 seamless UI/UX tool 및platform 제공

Page 31: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1

Ⅶ.‘11년 IBC를 통해 본 방송장비 시장

소셜 미디어와 방송의 결합

□ “The future of Television is Social”

o 소셜미디어와 방송의 결합

- 소셜미디어를 컨텐츠와 광고의 전달 플랫폼으로 사용

- Facebook Europe head “Joanna Shields”는방송과 facebook사이에 7:3 매출 분배 모델 예시

- TV news는 SNS 및 UGC를 활용하고 있음

- SNS의 내용을 분석하여 컨텐츠의 feedback 및channel recommendation에 활용

o 모토롤라 모비리티는 2nd screen에 소셜미디어기능을 넣은 솔루션 발표(고효율 encoder도 발표)

Page 32: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2

컬러TV- 일본 (1960)- 한국 (1980)

HDTV- 일본 (2000) - 한국 (2001)

4K-UHDTV(2015?)

일본BS11(2008)영국BSkyB (2009)일본 니혼TV(1974)

SD급?

HD급

3D 영화(필름) (1950s)

2012 런던 올림픽스테레오스코픽 3D 방송 (BSkyB)8K 위성서비스 실험 (NHK-BBC)모든 경기 중계(50%는 IP)데이터와 함께 멀티디바이스서비스First Social Olympic

2002 한·일 월드컵스테레오스코픽3D 서비스실험(ETRI)

HDx3 위성전송실험(NHK)

흑백TV

1964년 동경올림픽

2016년 리오올림픽2018년 동계올림픽(평창)

2022년 한국 월드컵 ?

8K-UHDTV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스테레오스코픽3D 서비스실험(NHK)

1953

19962K-3D

디지털시네마(2010s)2005

디지털시네마(2002)

영국 (1929)

무성영화프랑스(1895

)

유성영화미국(1927)

라디오와의 경쟁

칼러영화미국(1932)

스타워즈 에피소드II

4K-3D 디지털시네마

Ⅶ . 스포츠와 방송 기술

2010 남아공월드컵총 25 경기 방송을 3D로 중계

(JSAT, SONY)

Page 33: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3

Ⅷ. 기대효과

차세대 핵심방송기술의선제적 확보 가능

부가가치유발효과 : 34.7조원

방통융합 디지털방송산업선도국가 실현

세계 최고수준의 방통융합서비스 제공 디지털방송 세계시장 확대 및IT 수출품목 다변화

생산유발효과 : 117.9조원

고용유발 : 연인원 59만명(2010~2015)

방송장비산업 고도화를통한 DTV 산업강국 실현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을 통한 복지사회 구현

Page 34: 01-차세대방송의 기술동향과 전망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