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70

Upload: others

Post on 26-Sep-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하늘입니다

lsquo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rsquo를 통해 2015년 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그리고 중장기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Part I Part I Part I Part I 에서는 그간 중국에서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음에도 실물지표가 개선되지 않았던 현상 점검을 시작으로

유동성 공급이 결국 3분기 중국경기의 선순환 구조로의 전환될 수 있음을 전망했습니다

Part II Part II Part II Part II 에서는 중국 내수를 부동산 제조업 그리고 소비로 나누어 실질적인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중국의 신규주택가격은 바닥을 다지고 있으며 제조업은 재고소진으로 최악의 국면은 지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비의 경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시키기 위한 정부의 재정정책을 점검했습니다

Part III Part III Part III Part III 와 PartPartPartPart IVIVIVIV는 중국의 중장기 전략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와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제조업 다음 단계가 서비스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전략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중국정부는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너무나 당연하고 중요한 정책입니다

제조업 경쟁력 강화가 글로벌 제조업 제패로 이어질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이나

과거 철강이나 화학산업처럼 중국기업의 단기적인 물량공세 저가공세는 우리나라 기업에 부정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은 주요 IT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시장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플러스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의 새로운 혁신적인 경제모델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ContentsThe China

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 풍요풍요풍요풍요 속의속의속의속의 빈곤빈곤빈곤빈곤 그리고그리고그리고그리고 시작되는시작되는시작되는시작되는 변화변화변화변화 5

II 내수내수내수내수 현황현황현황현황 점검점검점검점검 정말정말정말정말 디플레이션이디플레이션이디플레이션이디플레이션이 문제인가문제인가문제인가문제인가 17

III 사물인터넷에서사물인터넷에서사물인터넷에서사물인터넷에서 스마트공장까지스마트공장까지스마트공장까지스마트공장까지 39

IV 내내내내 손안에손안에손안에손안에 lsquolsquolsquolsquo중국중국중국중국rsquorsquorsquorsquo이이이이 들어오다들어오다들어오다들어오다 57

5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풍요속의빈곤 그리고시작되는변화I

6

2014년 11월 이후 중국의 유동성 공급 정책

자료 중국 인민은행(PBoC)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중국 인민은행(PBoC) 사회융자비용을 낮추고 실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금리인하 단행

2014년 11월과 2015년 3월 그리고 5월에 잇달아 금리인하 2015년 2월과 4월에는 지준율을 인하 rArr 적극적인 통화완화

lsquo유동성 공급 통화량 대출 증가율 등 유동성 지표 내수회복rsquo 기대감 형성

시기시기시기시기 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 시중에시중에시중에시중에 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 유동성유동성유동성유동성

2014년 11월 21일 금리인하 (25bp)

예금 300 rarr 275 2900억 위안(수신이자 감소)

대출 600 rarr 560 3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2월 5일 지준율 인하 (50bp) 대형기관 200 rarr 195 6000억 위안

2015년 2월 28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75 rarr 250 310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60 rarr 535 21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4월 19일 지준율 인하 (100bp) 대형기관 195 rarr 185 15000억 위안

2015년 5월 10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50 rarr 225 315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35 rarr 510 2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7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난 6개월간 중국 통화당국은 3차례 금리인하 그리고 2차례 지준율 인하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한 바 있어

유동성 공급효과는 약 38조 위안 즉 6100억 달러 규모로 추산 가능

간접적인 금리인하의 유동성 공급효과를 이자비용 정도로만 추정 실질적인 공급효과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단기금리는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임

6개월간 약 6100억 달러의 유동성 공급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유동성 공급에 따른 단기금리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6100 6000

4000

5500 5600

267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중국 통화완화 QE2 OT 1차 LTRO 2차 LTRO

(억달러)

0

2

4

6

8

10

12

1301 1304 1307 1310 1401 1404 1407 1410 1501 1504

Repo ON Repo 1W()

8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막대한 유동성 공급 하지만 실물에서 유통되지 않는다

0

5

10

15

20

25()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1년만기 대출금리 지준율(대형 금융기관)

10

15

20

25

3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M2 증가율(우)

고정자산투자(좌)

소매판매(좌) 산업생산(좌)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ContentsThe China

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 풍요풍요풍요풍요 속의속의속의속의 빈곤빈곤빈곤빈곤 그리고그리고그리고그리고 시작되는시작되는시작되는시작되는 변화변화변화변화 5

II 내수내수내수내수 현황현황현황현황 점검점검점검점검 정말정말정말정말 디플레이션이디플레이션이디플레이션이디플레이션이 문제인가문제인가문제인가문제인가 17

III 사물인터넷에서사물인터넷에서사물인터넷에서사물인터넷에서 스마트공장까지스마트공장까지스마트공장까지스마트공장까지 39

IV 내내내내 손안에손안에손안에손안에 lsquolsquolsquolsquo중국중국중국중국rsquorsquorsquorsquo이이이이 들어오다들어오다들어오다들어오다 57

5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풍요속의빈곤 그리고시작되는변화I

6

2014년 11월 이후 중국의 유동성 공급 정책

자료 중국 인민은행(PBoC)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중국 인민은행(PBoC) 사회융자비용을 낮추고 실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금리인하 단행

2014년 11월과 2015년 3월 그리고 5월에 잇달아 금리인하 2015년 2월과 4월에는 지준율을 인하 rArr 적극적인 통화완화

lsquo유동성 공급 통화량 대출 증가율 등 유동성 지표 내수회복rsquo 기대감 형성

시기시기시기시기 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 시중에시중에시중에시중에 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 유동성유동성유동성유동성

2014년 11월 21일 금리인하 (25bp)

예금 300 rarr 275 2900억 위안(수신이자 감소)

대출 600 rarr 560 3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2월 5일 지준율 인하 (50bp) 대형기관 200 rarr 195 6000억 위안

2015년 2월 28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75 rarr 250 310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60 rarr 535 21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4월 19일 지준율 인하 (100bp) 대형기관 195 rarr 185 15000억 위안

2015년 5월 10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50 rarr 225 315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35 rarr 510 2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7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난 6개월간 중국 통화당국은 3차례 금리인하 그리고 2차례 지준율 인하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한 바 있어

유동성 공급효과는 약 38조 위안 즉 6100억 달러 규모로 추산 가능

간접적인 금리인하의 유동성 공급효과를 이자비용 정도로만 추정 실질적인 공급효과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단기금리는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임

6개월간 약 6100억 달러의 유동성 공급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유동성 공급에 따른 단기금리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6100 6000

4000

5500 5600

267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중국 통화완화 QE2 OT 1차 LTRO 2차 LTRO

(억달러)

0

2

4

6

8

10

12

1301 1304 1307 1310 1401 1404 1407 1410 1501 1504

Repo ON Repo 1W()

8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막대한 유동성 공급 하지만 실물에서 유통되지 않는다

0

5

10

15

20

25()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1년만기 대출금리 지준율(대형 금융기관)

10

15

20

25

3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M2 증가율(우)

고정자산투자(좌)

소매판매(좌) 산업생산(좌)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풍요속의빈곤 그리고시작되는변화I

6

2014년 11월 이후 중국의 유동성 공급 정책

자료 중국 인민은행(PBoC)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중국 인민은행(PBoC) 사회융자비용을 낮추고 실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금리인하 단행

2014년 11월과 2015년 3월 그리고 5월에 잇달아 금리인하 2015년 2월과 4월에는 지준율을 인하 rArr 적극적인 통화완화

lsquo유동성 공급 통화량 대출 증가율 등 유동성 지표 내수회복rsquo 기대감 형성

시기시기시기시기 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 시중에시중에시중에시중에 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 유동성유동성유동성유동성

2014년 11월 21일 금리인하 (25bp)

예금 300 rarr 275 2900억 위안(수신이자 감소)

대출 600 rarr 560 3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2월 5일 지준율 인하 (50bp) 대형기관 200 rarr 195 6000억 위안

2015년 2월 28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75 rarr 250 310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60 rarr 535 21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4월 19일 지준율 인하 (100bp) 대형기관 195 rarr 185 15000억 위안

2015년 5월 10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50 rarr 225 315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35 rarr 510 2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7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난 6개월간 중국 통화당국은 3차례 금리인하 그리고 2차례 지준율 인하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한 바 있어

유동성 공급효과는 약 38조 위안 즉 6100억 달러 규모로 추산 가능

간접적인 금리인하의 유동성 공급효과를 이자비용 정도로만 추정 실질적인 공급효과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단기금리는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임

6개월간 약 6100억 달러의 유동성 공급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유동성 공급에 따른 단기금리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6100 6000

4000

5500 5600

267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중국 통화완화 QE2 OT 1차 LTRO 2차 LTRO

(억달러)

0

2

4

6

8

10

12

1301 1304 1307 1310 1401 1404 1407 1410 1501 1504

Repo ON Repo 1W()

8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막대한 유동성 공급 하지만 실물에서 유통되지 않는다

0

5

10

15

20

25()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1년만기 대출금리 지준율(대형 금융기관)

10

15

20

25

3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M2 증가율(우)

고정자산투자(좌)

소매판매(좌) 산업생산(좌)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

2014년 11월 이후 중국의 유동성 공급 정책

자료 중국 인민은행(PBoC)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중국 인민은행(PBoC) 사회융자비용을 낮추고 실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금리인하 단행

2014년 11월과 2015년 3월 그리고 5월에 잇달아 금리인하 2015년 2월과 4월에는 지준율을 인하 rArr 적극적인 통화완화

lsquo유동성 공급 통화량 대출 증가율 등 유동성 지표 내수회복rsquo 기대감 형성

시기시기시기시기 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 시중에시중에시중에시중에 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공급되는 유동성유동성유동성유동성

2014년 11월 21일 금리인하 (25bp)

예금 300 rarr 275 2900억 위안(수신이자 감소)

대출 600 rarr 560 3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2월 5일 지준율 인하 (50bp) 대형기관 200 rarr 195 6000억 위안

2015년 2월 28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75 rarr 250 310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60 rarr 535 21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2015년 4월 19일 지준율 인하 (100bp) 대형기관 195 rarr 185 15000억 위안

2015년 5월 10일 금리인하 (25bp)

예금 250 rarr 225 3150억 위안(수신이자 절감)

대출 535 rarr 510 2200억 위안(이자비용 절감)

7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난 6개월간 중국 통화당국은 3차례 금리인하 그리고 2차례 지준율 인하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한 바 있어

유동성 공급효과는 약 38조 위안 즉 6100억 달러 규모로 추산 가능

간접적인 금리인하의 유동성 공급효과를 이자비용 정도로만 추정 실질적인 공급효과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단기금리는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임

6개월간 약 6100억 달러의 유동성 공급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유동성 공급에 따른 단기금리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6100 6000

4000

5500 5600

267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중국 통화완화 QE2 OT 1차 LTRO 2차 LTRO

(억달러)

0

2

4

6

8

10

12

1301 1304 1307 1310 1401 1404 1407 1410 1501 1504

Repo ON Repo 1W()

8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막대한 유동성 공급 하지만 실물에서 유통되지 않는다

0

5

10

15

20

25()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1년만기 대출금리 지준율(대형 금융기관)

10

15

20

25

3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M2 증가율(우)

고정자산투자(좌)

소매판매(좌) 산업생산(좌)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7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난 6개월간 중국 통화당국은 3차례 금리인하 그리고 2차례 지준율 인하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한 바 있어

유동성 공급효과는 약 38조 위안 즉 6100억 달러 규모로 추산 가능

간접적인 금리인하의 유동성 공급효과를 이자비용 정도로만 추정 실질적인 공급효과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단기금리는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임

6개월간 약 6100억 달러의 유동성 공급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유동성 공급에 따른 단기금리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6100 6000

4000

5500 5600

267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중국 통화완화 QE2 OT 1차 LTRO 2차 LTRO

(억달러)

0

2

4

6

8

10

12

1301 1304 1307 1310 1401 1404 1407 1410 1501 1504

Repo ON Repo 1W()

8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막대한 유동성 공급 하지만 실물에서 유통되지 않는다

0

5

10

15

20

25()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1년만기 대출금리 지준율(대형 금융기관)

10

15

20

25

3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M2 증가율(우)

고정자산투자(좌)

소매판매(좌) 산업생산(좌)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8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막대한 유동성 공급 하지만 실물에서 유통되지 않는다

0

5

10

15

20

25()

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1년만기 대출금리 지준율(대형 금융기관)

10

15

20

25

3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M2 증가율(우)

고정자산투자(좌)

소매판매(좌) 산업생산(좌)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7: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9

풍요 속의 빈곤 왜 ①통화승수의 상승세 둔화

통화승수(광의통화본원통화) 상승세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도시 가계 평균 소비성향 646까지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10

12

14

16

18

20

2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배)

679

692

646 646 646 646

60

62

64

66

68

70

72

7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Q15

()

lsquo유동성 함정rsquo이란 통화량 증가 혹은 기준금리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중국의 통화승수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되고 있어 우려감을 지울 수는 없는 상황

이는 경기부진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축소했기 때문 도시가계 평균 소비성향은 1Q15 646까지 하락

경기적인 측면에서 통화승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자극이 필요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8: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0

풍요 속의 빈곤 왜 ②통화유통속도의 하락

통화유통속도 통화와 실물경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 일정기간 동안 통화가 한 개인의 소득에 유입되는 횟수를 의미

통화수량 방정식인 MV=PY를 고려할 때 통화유통속도는 통화량 대비 명목 GDP를 의미

중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지속 상승했으나 1Q15 190로 둔화 유동성이 공급되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

통화유통속도는 또한 과잉유동성과 자금흐름 및 경제기여도를 측정 가능 과잉유동성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으로 반영

통화유통속도(명목GDPM2)의 하락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기간 내 과잉유동성 개선 쉽지 않을 것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13

14

15

16

17

18

19

2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9: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1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

금융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으로 이어지지 못했던 사례 일본의 lsquo잃어버린 20년rsquo

물론 현재 중국과 당시 일본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그러나 일본의 경험을 돌아봄으로써 중국 경기둔화 방어정책 추진에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현대경제연구원 참고)

일본의 경제정책 실패의 여섯 가지 교훈

①경제위기 초기 국면에서 선제적 정책 대응시기를 놓친 초기대응의 실패

②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미흡

③기업 구조조정이 지연

④재정지출의 실효성이 미약

⑤경제구조개선이 병행되지 않았음

⑥성급한 정책기조의 전환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하방경직성 강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안정적인 경제발전 유지를 위한 정책적 선택지속적인 금리지준율 인하국유기업을 필두로 하는 기업 구조조정수입관세 인하와 소비세 인하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 경제 구조전환 등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0: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2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일반적인 양적완화 정책(Quantitative Easing)의 기본 목표는 바로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디플레이션의 현실화 자율적인 경제 회복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돼

통화 완화정책 금리자유화 추진과 동시에 디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경기 하방 경직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국유기업 개혁 소비수요 자극 경제 구조전환 등도 함께 추진

생산자물가지수 2012년 3월 이후 38개월째 마이너스 증가율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일본경제 유동성 함정의 교훈과 중국정부의 대응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일본의일본의일본의일본의 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경제정책 실패의실패의실패의실패의 교훈교훈교훈교훈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대응대응대응대응

초기 대응 실기2014년 11월 시장의 기대보다 빠른통화완화 시행

금융권 구조조정 미흡국유은행의 중앙회금공사 지분 비중 축소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그널

기업 구조조정 지연국유기업간 MampA 등 구조조정을 통한산업집중도 제고

재정지출 실효성 미약 수입관세와 소비세 인하 등을 통해서 소비진작

경제구조 개선 실패투자와 제조업에서 소비와 서비스업으로의경제 구조전환 추진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 + 정책 시행

성급한 정책기조 전환통화완화 정책스탠스는 금리자유화를추진하는 동안 국유기업 개혁을진행하는 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3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①국유기업 개혁

①민간의 지분 확대 ②국유기업의 부문별 분할 상장 ③국유기업 일부 사업부 민간화 방식을 통해 국유기업 개혁

국유기업 개혁은 lsquo국유기업의 방만경영 해소 기업 경영 효율화 + 경기활성화rsquo로 이어지는 환경을 제공

즉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져 부채조정은 물론 기업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이는 매크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시진핑의 권력집중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기간 내 방향성 전환 가능성 낮아

합병 논의 혹은 언급이 있었던 국유기업

자료 언론보도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상회 국유기업 개혁 경기활성화

자료 CEIC Nicholas RLardy의 ltMarkets over Mao(2014)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산업산업산업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1111 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합병기업2222

철도중국북차(CNR 601299SH)

중국남차(CNR 601766SH)

원자력중국전력투자그룹(COI 600021SH)

국가원자력기술회사(601985SH)

석유화학중국석유화학(SINOPEC 600028SH)

중국석유천연가스(PetroChina 601857SH)

해양자원중국해양석유(CNOOC 600583SH)

중국화공(CHEMChina 601117SH)

통신사차이나유니콤(600050SH)

차이나텔레콤(00941HK)

부동산+식품의류 바오리(保利)그룹 중방(中紡)그룹0

2

4

6

8

10

12

14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1년만기 대출금리 민간기업 ROA 국유기업 ROA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4

소득계층별 평균소비성향

주 소득계층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의 평균 소비성향빈곤층(5)은 하위 소득계층(10) 내 포함되는 소득계층으로 중국 내 최저소득계층을 의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단순히 통화정책만으로 디플레이션이나 경기 하방경직성 강화는 어려우므로 수입관세 인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통화승수 증가율 둔화 혹은 통화유통속도 하락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부진한 가계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

재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입관세 인하조치를 발표

의류 신발 기저귀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50이상 인하 결정

유동성 함정을 피하는 방법 ②가계소비 자극

품목품목품목품목 기존기존기존기존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인하된인하된인하된인하된 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수입관세

양복 모피의류 14~23 7~11

운동화 단화 22~24 12

기저귀 750 2

피부보호제품 5 2

995

920

793 760

732 696

676

618

50

60

70

80

90

100

110

120

빈곤층 하위 저소득 중하 중중 중상 상 최상

()

5 10 10 20 20 20 1010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5

중국 통화당국의 완화정책은 유동성지표로 먼저 반영될 것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유동성지표 그리고 실물지표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실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Key Indicator로 M2 증가율을 제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7월 지표의 반등 가능성 높아 M2 증가율의 반등은 실물지표 개선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결론적으로 3분기 중국에서 유동성 공급이 경기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변화를 기대

그리고 시작되는 변화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YoY)

2013 2014 2015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중국내수현황점검정말디플레이션이문제인가

I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8

중국 내 수요부진 ①디플레이션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 중반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실제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PPI의 경우 과거 마이너스 구간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긴 시간이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의 보다 강력한 정책 가능성 열어둬야 할

38383838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PPI PPI PPI PPI 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마이너스 국면국면국면국면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2대에도대에도대에도대에도 못못못못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8

-6

-4

-2

0

2

4

6

8

10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7년 6월 2001년 4월 2008년 12월 2012년 3월

(31개월) (20개월) (12개월) (38개월)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6: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19

자산가격(부동산) 상승으로 소비심리 팽창 의 효과(Wealth Effect) 즉 부동산 가격 변화는 소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부동산 가격 하락 rarr 자산가격 하락 rarr 신용위축 rarr 경제체제의 시스템 리스크 부각 rarr소비심리 위축

그러나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미미 실제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2013년)에도 정작 소비는 부진

①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급등을 조장한 것은 투기자본 투기자본의 소비는 가격 하락에 덜 민감해

②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여전히 부동산 투자의 자본차익(Capital Gain)은 플러스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부동산부동산부동산부동산 가격가격가격가격 움직임움직임움직임움직임 소비에소비에소비에소비에 미치는미치는미치는미치는 영향영향영향영향 미미미미미미미미

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소비의 6개월 선행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주택소유 구조구조구조구조

자료 Value Walk(Michael Petti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내 수요부진 ②역(逆)자산효과

-6

-4

-2

0

2

4

6

8

10

12

14

8

10

12

14

16

18

20

1106 1111 1204 1209 1302 1307 1312 1405 1410 1503 1508

(YoY)(YoY)

소매판매(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부동산 가격에 따른lsquo富의효과rsquo미미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7: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0

중국 가계의 부동산 소유 구조

중국 시난재경대학( 南 經大 )의 lsquo가계금융 조사 보고서( 國家 金 调查 告)rsquo를 통해 중국 가계금융자산 현황 확인

8000~8500 표본가구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가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어

자가주택 보유율 8968

도시의1가구 평균 보유주택 122채

자본차익(Capital Gain)

모기지 대출 현황

구분구분구분구분 전국전국전국전국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자가주택보유 가구(개) 7566 3412 4112 3477 2377 1754

자가주택 보유율() 8968 8539 926 8735 9442 9041

구분구분구분구분도농간도농간도농간도농간 지역간지역간지역간지역간

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동부동부동부동부 중부중부중부중부 서부서부서부서부

1주택() 6905 8042 7131 8027 8427

2주택() 1455 1220 1508 1403 803

3주택 이상() 363 210 412 116 080

평균(채) 122 115 - - -

구분구분구분구분도시도시도시도시 농촌농촌농촌농촌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1111주택주택주택주택 2222주택주택주택주택 3333주택주택주택주택

매입가격(만원) 3425 7053 11123 1126 2939 4080

현재가격(만원) 15081 17156 21879 3289 5681 7234

자본차익(만원) 11656 10103 10756 2163 2742 3154

모기지대출 대비 가계 연소득 25 이하 25~50 50~75 75 이상

비중() 3239 1353 36 324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9 9 11 15

연령 18~30세 30~40세 40~50세 50~60세 60세 이상

비중() 653 1159 588 831 296

모기지 평균 상환기간(년) 17 13 10 8 4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8: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1

바닥을 확인하는 신규주택 가격

5월 기준 신규주택 가격은 평당 64900위안(630만원)으로 전월비 044 상승해 14년 5월부터 시작된 가격하락세 종지부

1선 도시의 가격 개선이 두드러짐 rArr 가격대가 높음과 동시에 반등폭이 큰 1선도시가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올려

지방정부 재정수입의 33(2014년 기준)에 달하는 토지가격 하락세 지속 이는 지방정부 재정에 부담요인

올해 4분기에는 신규주택 가격의 전년동기비 증가율 플러스 전환 기대

신규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기준 30평형 아파트 19억 원

자료 Soufun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지지부진한 價 지방정부의 부담요인

자료 Soufun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569

8800

9300

9800

10300

10800

11300

0

20

40

60

80

100

120

1007 1107 1207 1307 1407 1507

주택가격 상승도시수(좌)

100대도시 평균주택가격(우)

(개) (위안)

-8

-3

2

7

12

17

-2

-1

-1

0

1

1

2

1106 1206 1306 1406 1506

전월비(좌) 전년동기비(우)() ()

-2

-1

0

1

2

3

1106 1206 1306 1406 1506

전국

Tier 1

Tier 2

Tier 3

Tier 4

(MoM)

0

50000

100000

150000

06 07 08 09 10 11 12 13 14

(억위안)

지방정부 자체 수입중앙정부 보전토지매각 이익

지방정부 재정수입 중토지매각 이익 334

-2

-1

0

1

2

3

1009 1105 1201 1209 1305 1401 1409 1505

(MoM)100대 도시 신규주택

105대 도시 토지가격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19: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2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한 lsquo밀어내기rsquo式 판매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하반기 신규주택 판매면적 증가율 플러스 구간으로 전환 기대

4~5월의 1선도시의 월간 판매량 눈에 띄게 증가 이는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때문으로 판단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 데이터 역시 동일한 결과 확연한 재고부담 완화

판매증가 혹은 재고부담 완화는 향후 부동산투자 Cycle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

재고소진을 위한 밀어내기 판매

주 회색 화살표는 2010~2014년 5년 평균자료 Soufun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면적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판매증가 재고소진으로 반영

주 10대 도시의 lsquo재고판매rsquo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20

0

20

40

60

80

100

12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월간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002 1010 1106 1202 1210 1306 1402 1410

(채)

재고판매

주택판매 증가

주택재고 증가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0월11월12월

(채) 2013년 2014년 2015년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성수기성수기성수기성수기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0: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3

여전히 쉽지 않은 자금조달 그리고 요원한 투자재개

자금조달의 마이너스 증가율의 하락폭 소폭 완화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산업의 자금조달 환경은 쉽지 않은 상황

신규주택가격의 바닥 다지기 그리고 밀어내기 의 가판매 전략이 부동산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주는 요인

그러나 이 같은 변화가 부동산 투자확대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 판단

M2 증가율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4분기 이후 점진적인 증가율 개선 예상 마이너스 증가율 둔화폭 완화에 불과할 것

4Q 이후 신규착공 증가율 개선 전망

주 M2 증가율이 신규착공면적 증가율을 4개월 선행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자금조달 환경 여전히 쉽지 않아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저효과를 감안 4Q까지는 기다려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6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1001 1010 1107 1204 1301 1310 1407 1504

(YoYYTD)

자금조달 실제투자

8

10

12

14

16

18

20

22

-30

-20

-10

0

10

20

30

40

1101 1110 1207 1304 1401 1410 1507

(YoY)(YoY3MA)

신규착공(좌)

M2 증가율(우)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801 0903 1005 1107 1209 1311 1501

(YoY)부동산투자 고정자산투자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4

3월 30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정책 스탠스는 기존 lsquo안정rsquo에서 lsquo부양rsquo으로 전환

이는 부진한 내수경기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판단

330 부동산 부양정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부양의 효과는 미미

지방정부에서 자체적인 정책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6월 4일) 안후이( )성 주택구매제한 정책 전면 철폐

2015년 이후 발표된 부동산 정책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30 부동산 부양정책

자료 주건부 재정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동산 부양정책 만병통치약은 아니야

시기시기시기시기 주요주요주요주요 내용내용내용내용

2월 4일 지준율 50bp 인하

2월 26일 부동산 등기제도 시범운영 조례 발표

2월 28일 예대금리 25bp 인하

3월 18일 주택기금(公績金)에서 개인 모기지대출 기준 완화

3월 27일 주택건설부 주택과 용지사용 구조에 대한 발전 의견 발표

3월 30일

인민은행(PBoC) 주건부 증감회에서 공동으로개인 모기지대출정책rsquo발표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에서 부동산 소득세 조정 방안 발표

인민은행(PBoC) 주택건설부 증권감독위원회(CSRC) 공동 발표

LTV 상향 조정

① 생애 첫 주택 구매자 LTV 80

②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LTV 60 적용

재정부와 국가 세무총국 공동 발표

부동산 거래세 완화

①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거래세 면제

② 고가주택의 경우 2년 이상 보유주택 매도 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만 부담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5

중국의 제조업 부진하다

고정자산투자 중 약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전력사용량 은행대출 잔액 철도화물 운송량으로 구성된 lsquo커창지수rsquo는 중국 제조업 현황을 확인하는데 가장 최적화된 지수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이는 최근 중국의 제조업의 부진한 업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

구성항목 중 전력소비는 2월을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철도화물 운송량은 지지부진한 상황

제조업 투자 증가율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둔화추세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커창지수 올 들어 지속적인 하락 추세 이어가

자료 CEIC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

-10

-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3MA)

은행대출잔액 철도화물 운송량 전력소비 커창지수

0

10

20

30

40

50

6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YoY)

월별증가율 누적증가율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6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신규주문과 생산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주 PMI = 신규주문30 + 생산25 + 고용20 + 배송15 + 재고10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이 희미해진 제조업 PMI

제조업 PMI는 제조업부문 구매관리자들의 서베이를 기초로 만들어지는 경기동향레벨을 측정하는 경제지표

기존 중국의 제조업 PMI는 노동절(5월) 추석과 국경절(9 10월)을 앞두고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는 등 계절성이 매우 뚜렷

올해 들어서는 춘절 이후 노동절에 앞서 개선되는 움직임 미미 계절성보다는 지표 전반적으로 부진한 업황을 반영

신규주문 생산 등 주요 지표들이 점진적으로 반등하고 있어 frac34분기 유동성지표 등 선행지표와 함께 선제적인 개선 기대

주요주요주요주요 지수지수지수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제조업제조업제조업제조업 PMIPMIPMIPMI 504 508 510 517 511 511 508 503 501 498 499 501 501 502

신규 주문 512 523 528 536 525 522 516 509 504 502 504 502 502 506

생산 525 528 530 542 532 536 531 525 522 517 514 521 526 529

고용 483 482 486 483 482 482 484 482 481 479 478 484 480 482

공급자 배송시간 501 503 505 502 500 501 501 503 499 502 499 501 504 509

원자재 재고 481 480 480 490 486 488 484 477 475 473 482 480 482 482

기타기타기타기타 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관련지수 AprAprAprApr----14141414 MayMayMayMay----14141414 JunJunJunJun----14141414 JulJulJulJul----14141414 AugAugAugAug----14141414 SepSepSepSep----14141414 OctOctOctOct----14141414 NovNovNovNov----14141414 DecDecDecDec----14141414 JanJanJanJan----15151515 FebFebFebFeb----15151515 MarMarMarMar----15151515 AprAprAprApr----15151515 MayMayMayMay----15151515

신규 수출 주문 491 493 503 508 500 502 499 484 491 484 485 483 481 489

원자재 구매 506 523 520 530 519 512 507 505 501 496 494 497 501 510

완제품 재고 473 471 473 476 481 472 479 472 478 480 470 486 480 475

투입물가 483 500 501 505 493 474 451 447 432 419 439 450 478 494

수입 486 490 492 493 485 480 479 473 478 464 475 481 478 476

주문잔고 449 460 462 464 459 456 447 439 438 440 438 441 438 447

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생산경영활동 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기대지수 596 562 548 553 579 560 541 522 487 474 540 613 595 568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7

제조업의 부진 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 경기둔화에 기인 그러나 중국 내 구조전환에 따른 것이므로 과거와 같은 호황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먼저 2008년 경기회복을 위한 lsquo4조 위안rsquo 정책에 따른 과잉설비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

이는 제조업의 신규설비 투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설비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①2014~2015년 구조조정 대상 기업(철강 화학 제지 등)에 대한 블랙리스트 발표 ②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인프라투자 확대

19개 업종 대상 낙후설비 폐쇄 규모

자료 공신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실크로드 권역의 주요 국가 여전히 낮은 철도 보급률

자료 UIC 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품목품목품목품목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생산제한 규모규모규모규모

((((만톤만톤만톤만톤))))전제전제전제전제 CapaCapaCapaCapa

((((만톤만톤만톤만톤))))비중비중비중비중()()()()

제철 263 - -

제강 781 95471 082

코크스 1405 44162 318

합금주철 173 3129 553

알루미늄 27 1968 137

구리 67 521 1286

납 88 467 1884

아연제련 14 - -

시멘트 7345 219341 335

칼슘 카바이드 113 1869 605

평판유리 2250 71417 315

제지 455 10250 444

화학섬유 31 3876 080

00

02 02

04

07

09

11

아프

카니

스탄

(11)

카자

흐스

탄(0

7)

키르

기스

스탄

(07)

타자

키스

탄(0

7)

러시

아(1

2)

우즈

베키

스탄

(11)

중국

(13)

(단위)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8

lsquo세계의 공장rsquo으로서의 매력 감소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

lsquo세계의 공장rsquo lsquo세계의 굴뚝rsquo 역할을 했던 중국의 위상이 점차 하락 이는 중국의 제조업 부진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의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과 지원 축소 때문

①중국 전국 평균 최저임금(월급)은 253만 원 지난 10년간 중국 최저임금의 연평균증가율 183에 달해

②2007년 외자기업 소득세율 15에서 25로 상향 2010년 외국기업의 세제고용입지혜택에 대한 우대조건 철폐

2005~2014년 최저임금 연평균증가율 1827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노동생산성의 개선 부진 rArr 단위노동비용의 점진적 상승

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산업생산 증가율로 대체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00

574

716

870

106

0

116

2

130

2

140

9

-5

0

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위안) (YoY)

최저임금_월급(좌) 증가율(우)

00

05

10

15

20

25

0

5

10

15

20

2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YoY) ()

노동생산성 증가율(좌)

평균임금 상승률(좌)

단위노동비용(우)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6: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29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풍부한 염가의 노동력으로 유치한 글로벌 생산기지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로 이동 lsquo세계의 공장rsquo의 공동화 현상 발생

중국의 빠른 경제상황과 정책 변화 인건비 위안화 절상 등으로 인한 사업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직면

중국화가 가속화되면서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글로벌 기업들의 lsquo차이나 엑소더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시기시기시기시기 회사회사회사회사 기존기존기존기존 소재지소재지소재지소재지 이전이전이전이전 지역지역지역지역

2009년 나이키 푸지엔 베트남

2010년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광저우 방글라데시

201210 아디다스 쑤저우 미얀마

201412 대만 윈테크의 휴대품 부품 제조공장 쑤저우 -

201501 독일 자동차 업체 오펠(Opel) 광저우 -

201502

미국 MS社의 노키아 휴대폰 생산공장 베이징 광저우 베트남

일본 시티즌 홀딩스 광저우 태국

파나소닉 액정TV 공장 산동 -

201503세계 최대 신발공장 위위안 공장(나이키아디다스 신발 납품) 광저우 인도네시아 베트남

야후 연구개발센터 베이징 -

201504 일본 샤프(Sharp) LCD TV 공장 난징 -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7: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0

2014년 하반기 이후 재고증가 속도 둔화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소재 산업재의 경우 중국 제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큰 산업

우리는 ①가동률 ②재고현황 ③재고순환지표 등 세가지 지표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현황 점검

2015년 1분기까지 매우 부진하던 제조업황은 최근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모습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늦으면 34분기 중반 이후부터의 실물지표 개선 전망

가동률

자료 WIN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생산 부진하나 재고소진 속도가 더 빨라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악재는 이미 반영되었다 이제는 극복과정

-5

0

5

10

15

20

25

30

3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재고(좌) 재고증가율(우)

(십억위안) (YoY)

35

40

45

50

55

60

65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재고순환지표(좌) 제조업 PMI(우)

-20

0

20

40

60

80

100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가동률(3MA) 가동률(3MA)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8: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1

해외에서의 큰 손 왕서방 정작 내수는 부진

중국 텐사( ) 그룹 임직원 6400명은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프랑스 단체여행을 떠나

이번 단체관광으로 프랑스 니스시(5월 8~9일 체류)는 약 2000만 유로(245억원)의 관광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

2014년 한해 동안 중국인의 해외 소비액 1648억 달러(183조원)에 달해 이는 중국 내 소매판매의 376에 달해

중국 내수부진은 ①물가하락으로 소매판매 규모 부진 ② 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격차

중국인의 해외소비 중국 내 소비의 376에 달해

자료 중국여행산업발전보고서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프랑스 니스에 새겨진 텐스의 꿈은 훌륭하다(Nice)

자료 France TV 보도화면 캡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0

540

730

102

0

129

0

164

8

239

214

246

301

330

376

00

05

10

15

20

25

30

35

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억달러)

해외소비(좌) 해외소비 of 중국 내수(우)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29: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2

물가 하락에 따른 소매판매 증가율 부진

중국 실물지표 데이터 투자 산업생산 소비 중 소비 데이터가 가장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실제로 물가요인을 제외하면 2014년 4월과 비슷한 수준(108)

물론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물가상승률 역시 소매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쳐

2대에도 못 미치는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물가하락에 따른 전체 소매판매 규모 증가율 격차 확대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2

-1

0

1

2

3

4

5

6

D-3M D+1M D+5M D+9M D+13M D+17M D+21M D+25M D+29M D+33M D+37M

(YoY)

1998년 2월 2009년 2월 2014년 4월

8

10

12

14

16

18

20

1101 1107 1201 1207 1301 1307 1401 1407 1501

(YoY)

소매판매 소매판매(물가영향 배제)

9

10

11

12

13

소매판매 소매판매

(물가영향 배제)

(YoY)

1402 1403 14041502 1503 1504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0: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3

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중국의 부정부패 문제는 경제성장과 lsquo역U 가설을 성립(lsquo중국의 부정부패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squo 201408 陶 )

역U 가설 개발도상국은 부패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선진국의 경우 부패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으로는 2005년 부정부패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부패가 경제성장을 본격적으로 저해하기 시작

부정부패 기조는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정책임과 동시에 시진핑의 권력강화에 긍정적 또한 국정지지도 제고로 이어져

사치품 소비 고급 식당호텔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져 이 같은 기조는 시진핑 1기 국정(2013~2017) 내 지속될 것

중국의 부정부패 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자료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부정부패 기조에 따른 지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24

29

3534

31

35 3534 34

3233

32

36 3635

36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비교적 청렴 80 ~100

약간 부패 50 ~ 80

상대적으로 부패 25 ~ 5 0

매우 부패 00 ~ 25

현현현현 중국중국중국중국

시기시기시기시기 내용내용내용내용

2009년신화사에서 각 정부 사이트를 통해 부정부패 신고 방법 설명인터넷 부정부패는 SNS시대에 맞춰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제도

2010년3공경비는 접대 출장 관용차 구매 및 운행에 사용되는 비용3공경비 축소 방안 11년 6월 전국인민대표 상무위원회에서 승인

2010년국무원 관원(官員)재산신고제도 강화신규 주택 주식투자 해외투자 및 자녀 유학 등 신고 대상 확대

2012년중앙정치국회의 lt2013-2017년 부정부패 체계 규획gt 발표대부분 성(省)의 고위 간부직 부정부패 혐의로 조사에 착수

2013년 국무원 lt117개 행정심사항목 취소 및 이전gt 결정 부정부패 예방조치

2014년중앙기율검사위원회 40명 이상의 고위 간부직(저우용캉周永康 쉬차이허우徐才厚 등) 부정부패혐의 적발 2013년 대비 2배로 증가

2015년명절 부정부패 올해 춘절 반부패 정책의 강화로 회사에서는 보너스 선물 이전과 달라명품 선물 호화 연화 금지 등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4

수입관세 인하 후 화장품 가격 기존의 97 수준

주 위의 예제는 LG 생활건강의 한방화장품 세트(65만원) 정확한 상품의 도매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유통마진을 계산에서 제외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해외여행에서 쇼핑이 매우 중요

지난 4월 28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lsquo소비촉진 정책rsquo 발표 주요 내용은 수입관세 인하 의류화장품에 대한 소비세 조정

6월 1일부터 수입관세 평균 50 인하 그러나 소비세와 부가가치세가 높아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미미(기존의 97 수준)

지난해 화장품 소비세 폐지 논의된 바 있어 올해 시행 가능성도 존재 소비세 폐지 시 가격은 기존의 68 수준

저렴한 중국은 없다 중국이 더 비싸다

자료 Deutsche Bank Market 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소비를 내수로 lsquoU턴rsquo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관세관세관세관세 인하인하인하인하 후후후후 중국중국중국중국 내내내내 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유통가격

상품 정가 [A] 650000원 상품 정가 [A] 650000원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 [B] 17932원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환율적용 정가 [C AB] 362480위안

관세 [D C5] 18124위안 관세관세관세관세 [D C2][D C2][D C2][D C2] 7250725072507250위안위안위안위안

소비세 [E (C+D)(1-30)30] 163116위안 소비세 [E (C+D)(1-30)30] 158456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92432위안 부가가치세 [F (C+D+E)17] 89792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36152636152636152636152위안위안위안위안 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최종구매가 [G C+D+E+F][G C+D+E+F][G C+D+E+F][G C+D+E+F] 617977617977617977617977위안위안위안위안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Levirsquos 501 청바지청바지청바지청바지상하이 1079달러 gt 도쿄 1037달러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Starbucks LatteLatteLatteLatte베이징 481달러 gt 서울 454달러 gt 도쿄 449달러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5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그리고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소비여력이 커지는 중국 왜 화장품인가

중국인의 소비여력이 높아지면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기 시작

그렇다면 왜 화장품일까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한국 화장품이 환영 받는 가장 주된 이유를 lsquo가성비rsquo라 판단

물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도 있으나 분명 한국 화장품의 주된 인기는 마스크팩 BB 크림 등 저렴한 제품

즉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뛰어난 lsquo가성비rsquo 높은 제품을 선호 P 단위는 낮으나 Q가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증가

단기간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단순 판매채널의 변화(여행면세점rarr인터넷역직구) 예상

그렇다면 lsquo제2의 화장품rsquo은

제2의 화장품은 편의점 먹거리인 lsquo냉장 간편식(즉석조리식품 냉장식품)rsquo이 될 것으로 판단

먼저 편의점 먹거리는 lsquo가성비rsquo 측면에서 매우 뛰어남 중국 내 냉장식품 생산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

중국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2위안(2150원) gt 국내 편의점 냉동만두 6입 1750원(10위안)

두 번째로 중국 편의점 냉동식품의 종류가 적어 냉동식품 중 50가 만두류 20가 탕위엔(汤圆)

마지막으로 편의점 먹거리 역시 요우커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콘텐츠라 판단 마치 빙그레 바나나우유

문화 콘텐츠는 중장기적인 우리의 먹거리

드라마 영화 예능 가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중국에 비해 저렴한 판권 출연료 등을 고려할 때 역시 lsquo가성비rsquo가 뛰어나문화 콘텐츠의 경우 제조업처럼 단기간 내에 기술력이 추격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낮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포인트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6

2015년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70 전망

올해 역시 주요 성장동력은 투자 ①실크로드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확대 ②제조업의 재고조정 가시화

소비 증가율은 10대 초반 수준 유지 전망 수입관세 인하를 시작으로 소비세 등 재정정책의 구체화에 따른 소비 견인

내수 부진에 따른 수입증가율 부진 점진적인 완화 예상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경기개선으로 완만한 수출증가율 개선

안정적인 경제성장은 지속된다 연간 70 전망

2015년 중국 7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유지 전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69

71

70

670

680

690

700

710

720

1Q 2Q 3Q 4Q

경제성장률(YoY)

춘절 소비모멘텀 부각rArr 유통문화여행

완화적인 통화정책rArr 적극적 유동성공급 지속

인프라 승인 가속화

유동성지표(M2) 증가율 개선국경절 소비모멘텀 부각

실물지표의 점진적인 개선기대

지방정부채 만기도래에따른 상환 부담 확대

주식시장 유동성랠리에따른 개인신용레버리지 확대 우려

선진국 연말소비 시즌에따른 제조업 주문생산집중 이후 모멘텀 부재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7

중국 경제전망 테이블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국민계정 2013201320132013 1Q141Q141Q141Q14 2Q142Q142Q142Q14 3Q143Q143Q143Q14 4Q144Q144Q144Q14 2014201420142014 1Q151Q151Q151Q15 2Q152Q152Q152Q15 3Q153Q153Q153Q15 4Q154Q154Q154Q15 2015E2015E2015E2015E 2016E2016E2016E2016E

GDP YoY 77 74 75 73 73 74 70 69 71 70 70 68

소비 YoY 155 120 123 119 117 120 106 103 109 112 108 110

투자 YoY 196 176 172 134 133 157 135 133 152 152 143 135

총 수출 YoY 79 183 13 12 -16 61 47 -28 13 50 10 100

총 수입 YoY 73 86 49 129 85 04 -176 -160 21 42 -68 07

소비자물가

CPI YoY 26 23 22 20 15 20 12 13 15 18 15 23

고용

실업률 41 41 41 41 41 41 41 42 42 42 42 42

환율

위안달러(평균) 위안 605 622 620 614 621 621 620 621 618 618 619 613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39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Ⅰ

사물인터넷에서스마트공장까지II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6: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0

lsquo제조업 30의 법칙rsquo이 무너지다

제조업 30의 법칙이란 제조업의 GDP 부가가치 비중이 30에 도달한 뒤 서비스산업 확대제조업 축소를 의미

그러나 최근 경제발전단계에서 제조업 다음 단계가 과연 서비스 산업인가에 대한 의문 확산

서비스 산업과 스마트 제조업 투트랙(Two-track)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

실제로 미국의 리쇼어링 독일의 Industry 40 등 서비스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서비스업으로 전환 vs 스마트제조업 투트랙 전략이 필요

주 2015년은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과 독일 제조업 개혁을 통한 성장률 하방경직성 강화

자료 World Bank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997=100)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미국과 독일은 금융위기 이후제조업의 성장정체현상을 개선

반면 중국은지속적인

제조업 비중둔화진행되고 있어

0

2

4

6

8

10

12

14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차산업(좌) 2차산업(좌) 3차산업(좌) 경제성장률(우)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7: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1

뉴노멀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

중국은 현재 고속성장기를 지나 중속 성장기의 뉴노멀(New Normal ) 시기로 진입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서비스산업 소비의 비중 확대를 통한 구조전환을 시도 그러나 이 외에도 산업경쟁력의 근간인 제조업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중국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계획 lsquo중국제조 2025rsquo가 주도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촉진 외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기대 O2O(Off-line to On-line)와 정부주도의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lsquo大大大大 rsquo 정부와 기업체에서 적극적으로 산업혁신을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국무원 중국의 구조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2025 발표

자료 중국 국무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광저우 국제청년아파트 유플러스rsquo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샤오미샤오미샤오미샤오미 CEO CEO CEO CEO 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레이쥔이후배후배후배후배 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창업자를 위해위해위해위해 180180180180억억억억 원원원원 투자투자투자투자저렴한 임대료로 예비 창업자들에게보금자리를 제공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8: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2

42

중국 내 제조업체의 연쇄도산 외자기업의 중국 등으로 인해 중국 제조업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고 있어

이는 과거 미국 일본 한국 등도 겪었던 것으로 고속성장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lsquo성장통rsquo이라 판단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최대의 제조 생산기지임은 확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통한 도약이 필요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제조강국으로의 가능성을 타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 lsquo중국제조 2025rsquo

2013~2050년 중국 제조업 종합지수 전망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제조업의 품질경쟁력 지수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2035 2040 2045 2050

()

공업화 초기 공업화 중기

공업화중후기

공업화 후기포스트 공업화 시기

1990년1948

2010년7476

2020년9486

831

72

74

76

78

80

82

8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pt)

품질경쟁력 개선지지부진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39: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3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생산인구 감소

중국은 풍부한 염가 노동력을 기반으로 선진국 제조기업들을 맹추격한 결과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입지를 점차 확대

인건비 에너지 가격 등 생산비용 증가와 외자기업에 대한 혜택지원 축소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 제조업 부진을 가중시켜

이 같은 제조업 위기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추진

즉 중국의 ①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낮아지고 ② 생산인구 감소 국면에 진입해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글로벌 1위이나 경쟁력 제고 필요

주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자료 WB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을 기점으로 생산인구 감소

자료 UN 인구추계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5

0

5

10

15

20

25

30

35

4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노동인구(15~64세) 노령인구(65세이상)(백억명)

2015년노동인구 정점

2060년 이후65세 이상 인구약 3천억 명 수준에 달할 것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0: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4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도입한 배경 제조업 혁신이 필요

③에너지자원의 효율성 개선 시급 에너지 자급률은 90 수준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위 수준

제조업 성공의 본질인 좋은 품질과 낮은 생산비용 중 에너지는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 효율성 개선이 필요

④주요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프로젝트 추진 구체화 독일 Industry 40 미국 Making in America 일본 제조업 재생플랜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국 정부 역시 lsquo중국제조 2025rsquo를 중장기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추진

발개위(NDRC) 중국 에너지 자급률 912애 덜해

자료 중국 발개위(NDR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T로 본 미국 독일 일본의 제조 혁신 정책 동향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구분구분구분구분 미국미국미국미국 일본일본일본일본 독일독일독일독일

세제세제세제세제 법인세 상한 35에서28(제조업 25)

첨단제조 세금 공제

U턴 기업의 세제 지원

법인실효세율 인하 추진

사업재편 촉진세제 도입

첨단설비 도입에 대한즉시 상각 세액 공제 등

법인세율 29대(07년)

고용보험요율 33 하향

중소기업 RampD투자조세감면제도 도입

교역교역교역교역 법부처 통상 강화책을수립하는 ITEC 설립

2018년 FTA化율70 달성(현재 19)

중견기업의 무역 활동지원자급지원 시책개선

기술기술기술기술 민관학 참여의 첨단제조파트너십위원회 설치

국가 제조업혁신네트워크 구축

제조 강화 RampD 증액

종합과학기술회의기능강화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 프로그램과혁신적 연구 개발 추진프로그램 창설

첨단기술전략(High Tech Strategy) 2020 추진

다양한 산학연 RampD 협력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RampD 특화프로그램

인력인력인력인력 첨단제조업종 고성장산업 인재훈련펀드 조성

제조혁신기관 건립

노동 이동 촉진 조성금확충

여성 청년층 전문인력취업 확대

현장학습형 직업교육실시

高숙련 인력의 이민 장려260 285

0

5

10

15

20

25

30

에너지 총생산량 에너지 소비량

(억톤)

에너지에너지에너지에너지 자급률자급률자급률자급률912912912912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5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3단계로 나누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계획

1단계(2015~2025) 제조업 수준을 독일 일본 수준으로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 진입

2단계(2025~2035) 글로벌 제조강국 수준으로의 기술수준 제고 글로벌 제조업 Tier2의 선두에 위치

3단계(2036~2045)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선도 글로벌 제조업 Tier1 진입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ampD 투자를 확대 제조업체 매출액대비 Ramp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에 168

주요국의 제조업종합지수 추이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squo중국제조 2025rsquo 주요 계획지표

자료 중국 공업원 lt제조강국 전략연구보고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46 1951 1956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2011

()

영국 중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브라질 인도Tier1

Tier2

Tier3

분류분류분류분류 지표지표지표지표 2013201320132013 2015201520152015 2020202020202020 2025202520252025

혁신역량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액 대비 RampD 지출 비중()

088 095 126 168

규모이상 제조업체매출 1억 위안당 발명특허 수(건)

036 044 07 11

질적성과

제조업 품질경쟁력 지수 831 835 845 855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 제고 - -15년 대비

20p 증가15년 대비

40p 증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 - 75 65

IT 제조업융합

인터넷 보급률() 37 50 70 82

디지털 RampD 설계 도구 보급률() 52 58 72 84

핵심공정 CNC 비중() 27 33 50 64

친환경성장

규모이상 기업의 산업생산량단위당 에너지 소모 감축 비율()

- -15년 대비18 감축

15년 대비34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이산화탄소 비출 감축 비율()

- -15년 대비22 감축

15년 대비40 감축

산업생산량 단위당수자원 사용 감축 비율()

- -15년 대비23 감축

15년 대비41 감축

공업용 고체폐기물 사용률() 62 65 73 79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6

지금 중국의 제조업은

1990년대 말 이후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 비중 글로벌 1위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선진국의 점유율은 예외 없이 하락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국과 독일의 점유율 안정적으로 유지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은 독일의 Industry 40과 미국 GE의 Industrial Internet Revolution 2012를 벤치마크

글로벌 경제규모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내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제조업 글로벌 수출시장 점유율

자료 UNCTAD Sta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 중 중국의 비중(2010)

자료 World Bank IMF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 16

15 13

12 12 11

10 09 09

08 08 08

06

04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일본

독일

이탈

리아

중국

한국

인도

네시

스페

프랑

미국

브라

호주

영국

멕시

러시

인도

(제조업 비중GDP 비중)

124

80

36

86

0

2

4

6

8

10

12

14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영국 미국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7

경제규모에 비해 부족한 RampD 투자

중국 제조업은 염가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해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특화되어 있어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RampD 투자가 중요

중국의 경우 정부의 혁신강화 전략에 따라 2014년에는 13조 위안을 투자하는 등 2008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

전체 RampD 규모는 중국이 가장 크지만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 제조업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는 088(2013년)에 불과

2013년 기준 중국의 GDP 대비 RampD 투자비중 20에 불과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 주요국과 비교해도 중국의 RampD 투자는 부족

자료 OEC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2

35

29

22 21

16

12 12 11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

30 35

29

21 22

42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일본 독일 중국 한국 미국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8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로 사물인터넷 기술 개발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에 달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2013년 기준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글로벌의 25에 달할 것으로 추산

PC와 모바일 시대를 미국과 유럽이 주도했다면 사물인터넷 혁신의 진원지는 중국이 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자들은 당분간 중국 로컬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할 것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민간업체들과 글로벌 IT기업의 제휴로 기술력 제고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716

2020

2626

3650

489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9 2010 2011 2012 2013

(억위안) (YoY)

시장규모(좌) 증가율(우)

글로벌글로벌글로벌글로벌 ITITITIT기업기업기업기업 중국중국중국중국 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민간업체와의 제휴제휴제휴제휴 현황현황현황현황

퀄컴(Qualcomm) 2014년 7월 중국 첨단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기술협력 체결

인텔(Intel)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 스타트업 육성에 2800만 달러를 투자

모바일 단말용 홍채인식 하드웨어 개발사 아이스마트(Eye Smart)

스마트워치 개발사 광동 앱스컴(Guangdong Appscomm)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개발업체 선전 피보컴(Shenzhen Fibocom)

IBM

2014년 7월 중국 쓰촨 후아순 중싱 테크놀러지(Sichuan Huaxun Zhongxing Technologies)와 제휴 스마트시티 RampD센터 설립

2014년 10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해 텐센트와 제휴 체결

애플(Apple)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Homekit)의 공급업체로하이얼을 선정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49

독일의 Industry 40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독일의 Industry 40은 정부지원으로 진행되는 차세대생산 시스템으로 2012년 3월확정되어 추진 중인 중장기 계획

지난 3세기 동안 진행되어 온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독일이주도하는 Industry 40을 통해또 한번의 제조업 혁명이 태동

과거 HW 중심의 자동화를 SW 중심의 가상화로 제조기법의일대 전환을 꾀하는 것 즉 사물인터넷과 제조업의 결합

생산성 증가와 자원비용 절감은물론 제조업 전반의 가치창출프로세스를 대폭 혁신하는 것

제1차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 발전 경로

자료 Wolfgang Wahlster lsquo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rsquo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산업 10 (Industry 10)

물과 증기동력으로 작동하는기계생산 시설의 도입최초 기계방적기 (1784)

산업 20 (Industry 20)

전기에너지 동력 노동의 분업에 기반한대량생산 시스템 도입

산업 30 (Industry 30)

전자공학 및 IT 기술도입으로 생산 자동화

산업 40 (Industry 40)

가상-현실 (Cyber-Physical)생산 시스템

18세기 말 20세기 초반 1970년대 초반 오늘날

복잡

성정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6: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0

사물인터넷 세상의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과거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체가 lsquo사람rsquo이었다면 이제는 lsquo사물rsquo간의 네트워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어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요소는 센서 내장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플랫폼

이는 무인주행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U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가능케하는 핵심 기술

주요 국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의 핵심 기술 공동의 목표를 향한 기술경쟁은 자본력의 대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와 데이터의 흐름

자료 Freescale AR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ensing and

or Smart Devices

Connectivity

Nodes

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Nodes

Layers of

Connectivity

Nodes

Remote

Cloud-Based

Processing User-driven Actions

via devices with

screens or

automatically driven

actions based on

data parameters

ApplicationAction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InsightsBig Data

BANPANLANWAN ConnectivitySensors amp ActuatorsLayers of Embedded Processing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7: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1

제조업의 생산이 스마트해진다

중국 정부당국이 lsquo중국제조 2025rsquo에서 강조하는 제조업 자동화 제조업 지능화는 곧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을 의미

스마트 공장은 복수의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과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구성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은 생산 투입요소 및 생산 제품과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유지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S)은 실제 생산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으로 품질과 생산성이 최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선진국에 비해 산업화에 한발 늦었던 중국으로 하여금 글로벌 산업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뒤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

사람간의 네트워크에서 사물간의 네트워크로 발전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공장 개념도

자료 Wolfgang Wahlster Industry 40 From the internet of Things to Smart Factories(20125)LG경제연구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원재료(Smart

Materials)

클라우드 네트워크

스마트 공장2 hellip N

스마트 제품(Smart

Products)

스마트 공장1

M2M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CPPS)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1

스마트 기계(Smart Machine)

N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8: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2

10대 산업의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RampD 및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2025년까지는 지적재산권 보유율 및시장 점유율을 제고하여 핵심기술에 대한해외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산업분야

중국제조 2025의 10대 핵심 지원 산업

자료 중국 국무원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101010대대대대 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중점분야 주요주요주요주요 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개발분야

1 차세대 IT 산업 ① 직접회로 및 전용장비 ② 정보통신장비③ 운행시스템 및 공업 소프트웨어

2 고급 수치제어선반(CNC) 로봇 ① 수치제어선반middot기초제조장비middot통합제조시스템② 적층제조(3D프린팅) ③ 공업로봇 특수로봇 서비스로봇

3 항공우주장비 ① 대형항공기 와이드-바디(widebody) 여객기② 중형 헬기 터보프롭middot터보팬엔진③ 차세대 로켓 중형 탑재체④ 유인우주선공정 달탐사공정

4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① 심해정거장 호화 크루즈 ② 액화천연가스선

5 궤도교통첨단장비 ① 차세대 지능형 궤도교통장비 ② 세계 선두 현대적 궤도교통산업체계

6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자동차 ①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② 전지 모터 고효율 내연기관

7 전력장비 ① 수력발전기 원자로 중형 가스터빈②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에너지장비

8 농업용 기계장비 ① 첨단 농업용 기계장비② 트랙터 복식 작업공구 대형 콤바인

9 신소재 ① 특수금속 기능소재 고성능 구조소재② 기능성 고분자소재 특수 무기비금속소재③ 선진 복합소재 초전도middot나노소재 그래핀

10 바이오의약 고성능 의료기기 ① 혁신 중의약 및 맞춤형 치료약물② 의료용 로봇 영상장비③ 웨어러블 원격진료 등 모바일 의료제품④ 바이오 3D프린팅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49: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3

중국은 lsquo정책rsquo이 중요한 경제체제 공산당 일당체제로 정부정책의 연속성 유지되므로 향후 약 30년간 정책적 지원 계속될

과거 한국의 경험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해당 산업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목표 1단계인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은 한국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와 동시에 기업간 MampA를 통한 산업집중도 제고로 자국제품이 명품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그러나 lsquo브랜드rsquo의 경우 기업에 대한 이미지로 단기간에 향상시키기 어려워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제조업 역량강화

높은 관세는 수입자동차 진입장벽으로 활용

자료 한국수입차협회(KAID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0년대에도 의무 상영일수 146일로 유지 영화산업 지원

자료 영화진흥공사 lt한국영화연감g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5

87

89

91

93

95

97

99

101

0

10

20

30

40

50

60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수입차 관세(좌) 국산차 점유율(우)

1987년 자동차 수입자유화이후에도 높게 유지된 수입관세는국내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 향상될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명)한국영화 외국영화

1966년 8월연간 90일 국산영화 상영을 의무화하는스크린 쿼터제 도입

1985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연간 146일로 제정

1987년 외국영화의 직배 허용

2006년 한국영화 의무 상영일수 73일로 개정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0: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4

lsquo중국제조 2025rsquo 목표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정부정책의 연속성 외에도 다양

①전방산업의 빠른 성장 주요 제조업의 전방산업인 인프라 모바일 가전 환경보호 산업의 규모는 비약적인 발전세를 보여

②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대부분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정부정책을 우선시

③중국 내수시장의 중요도 제고 소비서비스산업으로의 구조전환 등 중장기적인 방향성이 내수시장 규모확대를 포커스

lsquo중국제조 2025rsquo의 가능성은 정부가 만들어줄 것

제조업을 리드하는 것은 국유기업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의 내수시장 중요도 지속적으로 제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위안화 국제화수출보다는 수입에 주력

구조전환투자수출에서 소비서비스

소득수준 향상중국 소비재의 업그레이드

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내수시장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규모확대

산업산업산업산업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1111위위위위 기업기업기업기업산업산업산업산업 내내내내

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시가총액 비중비중비중비중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국유기업

여부여부여부여부

철강 바오스틸(宝 股份 600019) 12

화학 시노펙(中国石油 601857) 65

자동차 상해자동차(上汽集团 600104) 24

건설 중국건축(中国建筑 601668) 11

기계 중국일중(中国一重 601106) 7

조선 중국중공(中国重工 601989) 39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5

lsquo중국제조 2025rsquo는 중국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제조업을 제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반영

물론 중국정부 당국의 결연한 의지로 적극적인 지원은 있을 것이나 실질적인 성공여부는 미지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이 제고되어 중국의 개별 산업이 기술력 우위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다소 중장기적인 이야기

그러나 과거 철강과 화학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단기적으로 물량공세 저가공세가 예상돼 우리나라 기업에는 부정적

lsquo중국제조 2025rsquo 한국은

중국의 철강재고가 확대되면서 포스코 주가 지속적 하락추세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정유시설의 과잉공급으로 정유사 주가 부진

자료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

2

4

6

8

10

12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바오산 철강(좌) 포스코(우)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 (원)

페트로차이나(좌) SK이노베이션(우)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7

The China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중국의 미래성장 보고서 IV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Ⅱ

내손안에 lsquo중국rsquo이들어오다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8

Internet( )+는 올해 3월 전인대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처음 언급

이는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을 전통산업과 융합시켜 산업구조전환을 도모하는 전략

유통산업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전자상거래 방면에 내재된 잠재 소비력을 끌어올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

전자상거래가 중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역할 발휘하게 하기 위한 정책

인터넷 플러스 개별 산업의 잠재력을 현실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015년까지 4000조 원 시장으로 키울 것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월 15일 lsquo인터넷 플러스 유통rsquo 액션플랜 발표

자료 중국 상무부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9

80

102

130

220

0

5

10

15

20

25

2011 2012 2013 2014 2015

(조위안)

추정치

1~2년 내 200개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 현(縣) 육성

6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 설립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 기업 육성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50개 지역 전자상거래 인재 육성기지 건설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59

물류시스템 발전을 위해서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발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필수적

2014년 연말기준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65억 명으로 지난 3년간 약 13 증가율 기록 인터넷 보급률은 469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56억 명 모바일 비중은 858에 달해 점차 휴대폰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통로가 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산업의 성장 주도권은 부가서비스와 게임에서 모바일 쇼핑 마케팅 서비스로 확산되고 있어즉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대가를 취하는 방식에서 이용자 규모증가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 단계

모바일의 보급이 중국의 인터넷 산업 발전을 가속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시대 도래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산업 매출비중 모바일 쇼핑 성장 가속화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3

137

162

210

253

298

338

384

420

457

485

513

538

564

591

618

632

649

85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1H06 1H07 1H08 1H09 1H10 1H11 1H12 1H13 1H14

네티즌 수(좌) 모바일 비중(우)

(백만명) ()

626 616 602 597 565508

456 42 398 361

72 87 104 125 174242

299321 345 385

212 205 192 177 148 132 122 12 122 121

73 74 83 88 94 99 103 116 108 10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Q11 2Q11 3Q11 4Q11 1Q12 2Q12 3Q12 4Q12 1Q13(E)2Q13(E)

부가서비스 쇼핑 게임 마케팅 검색엔진(매출비중)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0

농민공 등 유동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① SNS 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타지역 간의 통화요금보다 저렴②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등 젊은 세대들은 적응력이 강해 모바일 SNS 쇼핑 게임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서울 근교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러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철새족(候 族)이라 칭함)

대도시의 교통체증+도시 인프라 확충+대기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사용 급증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교통체증의 증가

성장배경① 중국 농민공 약 25억 명으로 추정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② 이동시간이나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이 많아

자료 중국사회과학원 Regu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9

10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농촌 거주 인구 농민공 추정

(억명) 2013년 기준호적상 농민인구 - 농촌 상주인구 = 도시거주 농민공88888888억명억명억명억명 ---- 63636363명명명명 = 25= 25= 25= 25억명억명억명억명

52

48 47

4239

37

23

0

10

20

30

40

50

60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중국 인도 벨기에 미국

(분)중국 네티즌은 체감시간에 비해평균 통근시간이 너무 짧다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국가대비통근시간이 매우 긴 수준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6: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1

2014년말 기준 농민공의 평균 월급은 2864위안(한화 51만 원)에 불과삼성 갤럭시 S6 엣지 6088위안 iPhone 6(64G) 6488위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농민공의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해 보임그러나 중국 내 200위안 대의 저가 스마트폰이 많아 저소득 계층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용이

중국은 유선 광대역 인프라 보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 무선통신 인프라는 코스트가 훨씬 낮아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앞당김

현재 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전국 도시 농촌지역에 무선네트워크를 건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산업 성장배경 저렴한 인프라 구축

성장배경③ 저가 스마트폰 보급 확산

자료 Tmall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성장배경④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확충 가속화

자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76

279

256

145 130

92 83

0

5

10

15

20

25

30

35

40

한국 일본 OECD Avg 러시아 중국 브라질 글로벌 Avg

()

레노보(Lenovo) 정품 스마트폰200위안 = 한화한화한화한화 약약약약 36000360003600036000원원원원 20

70

130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3 2014 2015

4G 기지국(만개)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7: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2

인터넷과의 접목을 통해 판매방식 다양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 소매업

2008년 이후 지난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 수준에 달해 2014년 기준 온라인 소매판매는 전체의 104에 육박

지역별로는 중서부지역의 발전이 가팔라 이는 오프라인 소매유통망이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Ali Research 온라인 소매업의 거래효율 오프라인의 4배 1위안 투입 시 오프라인 109위안 온라인 496위안의 거래를 발생

인터넷 + 소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판매 7년간 연평균증가율 80에 육박

주 2015년 온라인 소매판매는 1분기 데이터 적용자료 中國電子商務硏究中心(CECRC) 중국 통계청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대표적인 O2O 플랫폼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14

1

801

9

132

05

188

51

282

11

13131313

104104104104108108108108

0

2

4

6

8

10

12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억위안) ()온라인 소매판매(좌)

전체 소매판매 규모 대비 온라인 비중(우)

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타오바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소매를 온라인으로 연계

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콰디다처알리바바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으로 중국 내 점유율 1위

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알리바바 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헬스케어주변지 약국 검색 주요 의약품의 구매가능여부 확인 가능

투바투투바투투바투투바투인테리어 정보공유 App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도 가능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8: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3

인터넷 + 소매 ① 콜택시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의 합병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콰디다처 사용 예시

자료 블로그 참고(알콩달콩 중국 위해 생활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O2O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콜택시 어플리케이션 콰이디다처(Kuaidi Dache)와 디디다처(Didi Dache)

중국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은 2014년 이미 사용이 활성화되는 등 국내보다 빠른 속도로 O2O 시장 확대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이 연계되면서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점을 통해잠재적인 소비력을 끌어내고자 하고 있어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59: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4

인터넷 + 소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시장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AT와 샤오미의 모바일 헬스케어 투자 포트폴리오

자료 이관궈지(易觀國際)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8 186221

284

423

718

1253

0

20

40

60

80

100

120

14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억위안)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투자기업 금액금액금액금액

텐센트

린자이성 수백만 위안

피쿡(Picooc) 2100만 달러

딩샹위안(丁香園) 7000만 달러

알리바바

과하오왕 1억 달러

심의문악망 수천만 위안

U의U약 수백만 위안

화감전경망 수천만 위안

바이두두라이프(dulife)출시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 구축

샤오미

하오다이푸 300만 위안

딩샹위안 수천만 달러

화미커지 수천만 위안

아이헬스랩 2500만 달러

최근 중국 O2O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시장은 바로 모바일 헬스케어

2011년 1000여 개에 달했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 개발이 2014년 2천여 개로 증가

의약상품 전자상거래 의료 관계자 전용 종합의료건강 정보 서비스 병원 찾기 및 예약 안과치과 등 세부 진료과목별로 진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등장하고 있어 2015년에는 약 6천여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시는 3년 안에 시민 천만 명에게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2016년까지 체험센터 10곳 건설 예정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0: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5

금융산업에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의 접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①온오프라인 결제 ②인터넷 은행

온라인 결제는 제3자 결제시스템(Escrow) 방식을 사용 이는 판매플랫폼이 구매승인 전에 결제대금을 예치하고 있는 방식

오프라인 결제는 모바일을 활용한 QR코드 방식이 대부분 최근 택시 요식업 등으로 빠르게 확대

사용자는 편리함 플랫폼 제공사업자는 빅데이터 축적 이는 향후 보다 많은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온오프라인 결제

온라인 결제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100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모바일 결제시스템 연평균증가율 368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07

67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100100100100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2 전망

599

2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억위안)

5555년간년간년간년간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연평균증가율 368368368368

향후 5년간연평균증가율 45 전망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1: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6

중국정부는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 자금순환 확대 등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개방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

제도권 금융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난립하고 있는 P2P 대출 플랫폼의 양성화 과정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설립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로 다양한 혁신적인 변화 유도를 기대

온라인 신용카드 업무로의 확대 기대 신용카드 발급절차 간소화 전체 소비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인터넷 +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급증하는 중국의 P2P 플랫폼과 대출규모

자료 iResearch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알리페이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축적

자료 Alipaycom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1

143

214

298

346

379396

410

680

3483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E) 2016(E)

(개) (억위안)

P2P 플랫폼(좌) 대출규모(우)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2: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7

중국 농촌산업의 물류비용은 전체 비용의 54 수준으로 글로벌의 2~3배에 달해 즉 인터넷플러스는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2014년 기준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800억 위안에 달해 iResearch는 2016년 4600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 전망

알리바바 쑤닝 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간단계 없이 생산농가와 도시의 소비자 연결해 영업능력 제고

농촌 물류망 개선을 통해 원하는 농산물 종류 희망 가격대 시기 장소를 선택해 조건에 맞춰 배달되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

이는 자연스럽게 젊은 농촌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2014년 기준 농촌인구 62억 명(전체 인구의 452)

자료 CEI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자료 KOTR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0

45

50

55

60

65

70

75

8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백만명)

농촌인구(좌) 농촌인구 비중(우)

분야분야분야분야 현황현황현황현황 및및및및 전망전망전망전망 예시예시예시예시

전자상거래

2014년 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7만 개 2016년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4600억 위안을상회하는 등 150 성장예상

이무텐(一亩田)은 농촌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농산품가격정보 확인 서비스를제공함

물류 중국 농촌의 가장 큰 문제 중하나가 물류 서비스가 매우열악하다는 점

알리바바 농촌 서비스센터10만개 건설이 목표

JDcom은 2014년 4분기부터현(縣)급 서비스센터를 가동

금융 농촌지역 주민은 대출은 어려운 상황

대출 가능 비중 농촌 276lt 전국 405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 보유율농촌 16 lt 전국 104

농촌 데이터 사이트인춘춘러(村村乐)는 올해 춘춘

다이(村村 ) 춘춘롱(村村融)두 재테크 상품을 출시할 예정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수집은 농산물 품종 선택 재배 수확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농산품 가공 중 정보기록 및 추적 식품안전관리 감독 등 다양한방면에 사용될 것

중국 농업부는 빅데이터와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한 국가 농업 과학 기술클라우딩 서비스 플랫폼건설을 계획 계획 중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3: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8

시안청년 실크로드 박람회에서 농산품 O2O 상품을 선보여

지우링허우 세대인 왕펑(王峰)은 친구들과 개발한 O2O 상품 lsquo차이공즈(菜公子)rsquo를 선보여 화제가 된바 있음

젊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식재료를 사러 갈 시간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

신선식품 판매를 위한 전자상거래 본래생활망( ) O2O

2012년 베이징에서 설립 농산품뿐만 아니라 축산수산유제품 등 각종 신선식품을 판매 주로 1선 도시에서 인기가 많아

타이완에 수확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며 향후 중국 내륙뿐만 아니라 중화권으로 운영범위를 확대할 예정

알리바바 JDcom 등 전자상거래 기업

농촌지역에 서비스센터 구축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

서비스센터는 농촌주민들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역할

O2O 전자상거래만이 활성화되어 있어

전자상거래 O2O는 이미 대기업이 진출해 있는 상황

금융 데이터 분석 등의 산업은 미미해 관련 상품 부족

인터넷 + 농업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4: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69

중국정부가 유통산업과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서 lsquo인터넷 플러스rsquo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은 BAT+X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의 플랫폼 경쟁은 곧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확대를 의미

실제로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 MMF 콜택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카 등의 시장에서 경쟁관계

이는 유통혁명으로 산업 효율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플랫폼 활용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가능해짐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샤오미가 주도하는 중국의 미래

엔터테인먼트 알리바바 픽쳐스+BMG vs 텐센트+워너뮤직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 카 텐센트+폭스콘 vs 알리바바+상하이차

자료 언론자료 종합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VSVSVSVS

2014년 3월 알리바바 상하이차와 스마트카 개발 펀드조성

2015년 3월 텐센트 폭스콘과 스마트 전기자동차 제조 업무협약

2015년 3월 알리바바 BMF와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2014년 1월 텐센트 워너뮤직과 디지털 음원 유통계약 체결

VSVSVSVS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

Page 65: 150615 ߱ ̷ .pptx)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34354084103.pdf · 2015. 6. 15. · The China Contents 하반기중국경제전망 중국의미래성장보고서 I

Compliance Notice

본자료에기재된내용들은작성자본인의의견을정확하게반영하고있으며외부의부당한압력이나간섭없이작성되었음을확인합니다(작성자 정하늘)

본자료는고객의증권투자를돕기위한정보제공을목적으로제작되었습니다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리서치본부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를바탕으로작성한것이나당사가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

장할수없으므로참고자료로만활용하시기바라며유가증권투자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 따라서본자료는어떠한경우에도고객의증권투자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

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자료는당사의저작물로서모든저작권은당사에게있으며어떠한경우에도당사의동의없이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수없습니다

_동자료는제공시점현재기관투자가또는제3자에게사전제공한사실이없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에서 1이상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은전일기준현재당사의조사분석담당자및그배우자등관련자가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_동자료의추천종목에해당하는회사는당사와계열회사관계에있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