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국가습지 최종보고서(최종)webbook.me.go.kr/dli-file/pdf/2011/06/5503582.pdf ·...

247

Upload: others

Post on 19-May-2020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발간등록번호

    11-1480000-001143-01

    국가습지의 유형별 등급별 분류

    및 유형별 습지복원 매뉴얼 작성 연구

    2010.12

    환 경 부

  •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강원대학교에서 수행한

    "국가습지의 유형별 등급별 분류 및

    유형별 습지복원 매뉴얼 작성 연구" 과제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 12

    강원대학교

  • 연 구 수 행

    양 해 근(한국환경재해연구소)

    성 현 찬(단국대학교)

    이 관 규(강원대학교)

    부분책임(국가습지유형분류)

    부분책임(국가습지평가지표)

    총괄책임(국가습지복원가이드라인)

    박 은 석황 소 영신 유 경

    이 정 환김 민 선정 화 영이 강 현연 제 경김 기 룡이 윤 정이 민 주

    연 구 자 문 (가나다순)

    문상균 국가습지사업센터

    박 경 성신여자대학교

    박영철 (주)에코션

    송인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신정섭 한국생태문화연구소

    오충현 동국대학교

    유영한 공주대학교

    이병호 국가습지사업센터

    이현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현주 국가습지사업센터

    정지웅 국가습지사업센터

    최진하 국가습지사업센터

  • i

    【 목 차 】

    I. 연구배경 및 방법 ····································································································1

    I.1. 연구배경 ·························································································································3

    I.2. 연구목적 ·························································································································3

    II. 국내 습지 현황 ······································································································5

    II.1. 습지 관련 법 제도 현황 ······························································································7

    II.2. 습지분포현황 및 면적 ··································································································9

    II.3. 습지보호지역현황 ·······································································································10

    II.4. 람사르 습지 지정현황 ································································································12

    III. 국가 전체습지의 유형별 분류체계 재정립 및 적용 ··························13

    III.1. 국내 적용가능한 국가 습지 유형별 분류체계 재정립 ··········································15

    III.2. 습지조사지침의 개선방안 ·························································································67

    IV. 습지별 가치 기능평가기준 및 등급별 분류체계 마련 ·····················75

    IV.1. 개별 습지의 보전가치·기능에 대한 평가기준 ························································77

    IV.2. 개별 습지의 등급별 평가에 따른 관리대상 습지의 재정립 ·································99

    IV.3. 습지총량제 도입 가능성 검토 ···············································································132

    V. 습지생태복원 매뉴얼 작성 ··············································································149

    V.1. 습지생태복원 가이드라인 선진사례 ·······································································151

    V.2. 습지생태복원 매뉴얼 작성 ······················································································179

    VI. 첨 부 ··················································································································221

    VI.1. 습지유형분류 사례 ··································································································223

    VI.2. 전국 내륙습지 조사지침 ·························································································229

    VI.3. 해외 습지총량제 운영사례 ·····················································································231

    참고문헌 ·················································································································235

  • I

    연구배경 및 방법

  • 3

    I.1. 연구배경

    ○ 국가 전체습지에 대한 유형별 분류체계가 정립되지 못하고, 개별 습

    지의 가치 등에 따른 차별적 체계적 습지관리가 되지 못하여 습지의

    효율적 관리에 한계로 작용

    ○ 습지유형분류체계 등이 정립되지 못함에 따라 습지조사자별 상이한

    습지현황(습지면적, 개소 등) 결과가 발생하는 점을 감안, 한국의 실

    정에 맞는 습지분류기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음

    ※ 국가습지인벤토리에 수록된 습지는 각 부처와 기관, 관련 지자체 등에서 수행한 결과를 종합 수록한 수준임을 감안하여 재정리 필요

    ○ 전체습지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서는 산발적 관리에서 ‘축’에 근거한

    관리로 전환할 필요가 있고, ‘축’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중 장기

    습지생태복원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국내실정에 적합한 습지조성 매뉴얼을 작성하여 추후 진행되는 국가

    습지생태복원대책 수행 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I.2. 연구목적

    ○ 기존 조사된 국가 전체습지의 유형별․등급별 분류체계에 대하여 개

    별 습지의 보호가치 기능 등에 따라 재검토하여 관리대상 습지의 정

    립 및 차별적 관리방법 도출

    ○ 습지생태복원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습지생태복원사업 추진 시 기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자체 평가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개발

    ○ 인공습지 조성사업 등 습지생태복원사업에 관한 평가를 통해 유형별

    등급별 적합한 복원지표를 개발하고, 평가 가이드라인 설정 등 평가

    체계 마련

    ○ 유형별 등급별로 습지의 재분류 등을 통해 전체습지 중에서 법적 제

    도적 관리대상 습지를 재정립하여 향후 습지총량제도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유형별 등급별로 습지생태복원 매뉴얼 개발을 통해 향후

    단계별 습지생태복원사업 진행시 활용하고자 함

  • II

    국내 습지 현황

  • 7

    II.1. 습지 관련 법 제도 현황

    II.1.1. 국제적 차원의 습지 관련 협약

    □ 람사르협약

    ○ 1971년 12월 이란의 람사르에서 열린 국제회의 때 채택된 협약

    ※ 전세계에서 1,896개소, 총 면적 185,467,509ha가 지정(2010.9 기준)

    ※ 우리나라는 1997년 7월 27일 101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습지의 가치와 보전, 국제적 협약의 필요성, 람사르습지의 선정기준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음

    □ 베른협약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European wildlife

    and natural habitats)

    ○ 1979년 9월 18일 스위스 베른에서 채택된 협약으로 대체로 유럽연합

    국가들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음

    ○ 목적 : 국제적 협력을 필요로 하는 종(이동성 종을 포함한 야생동식

    물)과 그 서식처를 보호하고 다국간 협력을 증진하기 위함

    II.1.2. 우리나라의 습지 관련 법제도

    ○ 환경정책기본법, 자연환경보전법, 습지보전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

    전에 관한 법률, 해양오염방지법, 해양생태계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

    률 등이 있음

  • 8

    법 제도 제정 목적 관리 범위 소관부서

    환경정책기본법∙환경오염과 환경훼손 예방, 환경을

    적정하고지속가능하게관리․보전

    ∙자연환경의보전이인간의생존및생

    활의 기본, 자연의 질서와 균형이 유

    지․보전되도록 노력

    자연환경보전법 ∙자연환경의 체계적 보전․관리∙자연생태․자연경관을특별히보전할

    가치가 있는 지역환경부

    습지보전법 ∙습지와 그 생물다양성의 보전∙생물다양성이풍부한 지역 등 특별히

    보호할 가치가 있는 지역환경부

    야생동․식물보

    호법

    ∙야생동․식물과 그 서식환경을 체

    계적으로보호․관리함으로서야생

    동․식물의 멸종예방, 생물의 다양

    성 증진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서식지 보

    호, 증식, 복원, 포획, 채취 금지 등환경부

    수질및수생태계

    보전에 관한법률

    ∙하천․호소등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적정, 관리․보전

    ∙수질오염도상시측정, 수질 및 수생태

    계 목표기준 결정․평가환경부

    자연공원법∙자연생태계와자연및 문화경관등

    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

    ∙자연공원의보호를 위하여 필요한배

    후지 등 지정환경부

    환경․교통․재

    해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환경․교통․재해 또는 인구에 미

    치는영향이큰사업에대한계획을

    수립․시행함에 있어 미칠 영향을

    미리 평가․검토하여 건전하고 지

    속가능한 개발도모

    ∙사업의시행으로인하여자연환경, 생

    활환경및 사회․경제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영향을예측․분석, 이에대한

    대책강구

    환경부

    연안관리법 ∙연안환경보전, 지속가능한 이용∙영해 및 해안선으로부터 1㎞하천구역

    제외국토해양부

    공유수면관리법

    공유수면매립법

    ∙공유수면을환경친화적으로매립하

    여 합리적으로 이용

    ∙바다, 하천, 호수, 기타 공공용으로사

    용되는 수면 또는 수류국토해양부

    해양오염방지법 ∙해양오염방지, 환경개선 ∙환경관리 해역만 관리가능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해양생물다양성보전, 해양생태계

    보전∙해양생물보호․해양보호구역 지정 국토해양부

    하천법∙유수로인한피해방지, 하천이용, 하

    천정비∙하천구역 국토해양부

    자료 : 환경부, 2007.

    【우리나라의 습지관련법제도】

  • 9

    II.2. 습지분포현황 및 면적

    ○ 우리나라의 내륙습지는 전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반면에 연

    안습지는 서 남해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 내륙습지의 분포 및 면적은 제1차 전국내륙습지조사 및 자연환경

    조사 등을 토대로 살펴보면 5,076.3㎢로 북부권(경기 1,107㎢, 중

    부권(충남 북, 경북, 전북) 428.3㎢, 그리고 남부권(전남 3,541㎢로

    나타났음

    - 연안습지의 분포 및 면적은 2,550.2㎢로 북부권 914.9㎢, 중부권

    499.3㎢, 남부권 1,136㎢로 나타났음.

    ○ 이 중 보호대상이 되고 있는 습지보호지역은 251.337㎢(내륙습지

    107.109㎢, 연안습지 144.228㎢)임

    구 분 계(㎢) 북부권(㎢) 중부권(㎢) 남부권(㎢)

    계 7,626.5 2,021.9 927.6 4677

    내륙습지 5,076.3 1,107(21.8%) 428.3(8.4%) 3,541(69.8%)

    연안습지 2,550.2 914.9(35.9%) 499.3(19.6%) 1,136(44.5%)

    자료 : 환경부, 2007.

    【우리나라 습지면적】

    ○ 1878개의 습지가 전국에 분포

    자료 : 국가습지사업센터 GIS DB, 2010. 8 기준

  • 10

    II.3. 습지보호지역현황

    ○ '10.11월 현재, 총 27개소(330.929㎢) 지정

    - 환경부 15개소, 국토해양부 9개소, 지자체 3개소

    구 분지정개수(개소)

    면 적(㎢)

    람사르 습지 지정현황개수(개소)

    면 적(㎢)

    비고

    환경부 15 112.255 10 11.002 2개소는습지보호지역과불일치(오대산국립공원/강화매화마름군락지)

    국토해양부 9 212.040 4 132.190

    지방자치단체 3 6.634 - -

    총 계 27 330.929 14 143.212자료 : 환경부, 2010.

    【국가 및 지자체 지정 습지보호지역, 람사르 습지 지정현황('10.11월 현재)】

    □ 내륙습지 - 환경부 지정(15개소, 112.255㎢)

    지 역 명 위 치면적(㎢)

    특 징지정일자(람사르지정)

    낙동강 하구 부산사하구신평, 장림, 다대동일원해면 및 강서구 명지동 하단 해면

    37.718 철새도래지 '99. 8. 9

    대암산 강원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의 큰용늪과 작은 용늪 일원

    1.360 우리나라 유일의 고층습원 '99. 8. 9('97. 3. 28)

    우포늪경남창녕군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일원 8.540우리나라 最古의 원시

    자연늪'99. 8. 9('98. 3. 2)

    무체치늪울산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일원 0.184희귀야생동․식물이서식하는 산지습지

    '99. 8. 9('97. 12. 20)

    물영아리 오름 제주 남제주군 남원읍 0.309 기생화산구'00. 12. 5('06. 10. 18)

    화엄늪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0.124 산지습지 '02. 2. 1

    두웅습지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0.067신두리 사구의 배후습지희귀야생동․식물 서식

    '02. 11. 1('07. 12. 20)

    신불산고산습지

    경남양산시원동면대리산92-2일원 0.308희귀야생동․식물이서식하는 산지습지

    '04. 2. 20

    담양습지전남담양군대전면, 수북면, 황금면,광주광역시 북구 용강동 일원

    0.981멸종위기 및 보호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하천습지'04. 7. 8

    신안 장도습지전남 신안군 흑산면 비리산109-1~3번지 일원 0.090 도서지역 최초의 산지습지

    '04. 8. 31('05. 3. 30)

    한강하구김포대교 남단~강화군 송해면

    숭뢰리 60.668장항․산남․시암리습지 등대규모습지 및 멸종위기종

    26종 도래․서식'06. 4. 17

    밀양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산1번지 0.580 이탄층이 발달한 습지,멸종위기종 삵 등 서식

    '06. 12. 28

    제주1100고지습지

    서귀포시 색달동, 중문동 및 제주시광령리 0.126

    산지습지로 멸종위기종 및희귀야생동식물 서식

    '09. 10. 1('09. 10. 12)

    제주 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시 봉개동 0.610

    산정화구호의 특이지형, 희귀야생동식물 서식

    '09. 10. 1('08. 10. 13)

    제주 동백동산습지 제주시 조천읍 설흘리 일원 0.590

    지하수함양률이 높고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곶자왈지역'10.11.12

    자료 : 환경부, 2010.

  • 11

    □ 연안습지 - 국토해양부 지정(9개소, 212.040㎢)

    지 역 명 위 치면적(㎢)

    특 징지정일자(람사르지정)

    무안갯벌 전남 무안군 해제면, 현경면 일대 42.000생물다양성 풍부

    지질학적 보전가치 있음'01. 12. 28('08. 1. 14 )

    진도갯벌전남 진도군 군내면 고군면

    일원(신동지역)1.440

    수려한 경관 및 생물다양성풍부, 철새도래지

    '02. 12. 28

    순천만갯벌전남 순천시 별양면, 해룡면, 도사동

    일대28.000

    흑두루미 서식․도래 및수려한 자연경관

    '03. 12. 31('06. 1. 20)

    보성 벌교갯벌전남보성군호동리, 장양리, 영등리,

    장암리, 대포리 일대10.300

    자연성 우수 및 다양한수산자원

    '03. 12. 31('06. 1. 20)

    옹진장봉도갯벌 인천 옹진군 장봉리 일대 68.400희귀철새 도래․서식 및생물다양성 우수

    '03. 12. 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 부안군 줄포면, 보안면 일원 4.900희귀철새 도래․서식 및생물다양성 우수

    '06. 12. 15('10. 2. 1)

    고창갯벌전북 고창군 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 일원

    10.400광활한 면적과 빼어난 경관,유용수자원의 보고

    '07. 12. 31('10. 2. 1)

    서천갯벌 충남 서천군 비인면, 종천면 일원 15.300검은머리물떼새 서식, 빼어난

    자연경관'08. 2. 1('10. 2. 1)

    증도갯벌전남 신안군 증도면 증도 및 병풍도

    일대31.300 '10. 1. 29

    자료 : 환경부, 2010.

    □ 지자체 지정 습지(3개소, 6.634㎢)

    지 역 명 위 치면적(㎢)

    특 징 지정일자

    대구 달성하천습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림동, 달성군화원읍

    0.178흑두루미, 재두루미 등철새도래지, 노랑어리연,기생초 등 습지식물 발달

    '07. 05. 25

    대청호추동습지

    대전광역시 동구 추동 91번지 0.346수달, 말똥가리, 흰목물떼새,청딱따구리 등 희귀 동물서식

    '08. 12. 26

    송도갯벌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일원 6.11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말똥가리, 알락꼬리도요 등동아시아 철새 이동경로

    '09.12.31

    자료 : 환경부, 2010.

  • 12

    II.4. 람사르 습지 지정현황

    ○ '10.11월 현재, 총 14개소(143.212㎢)가 지정되어 있음

    지 역 명 위 치면적(㎢)

    특 징 지정일자

    대암산용늪

    강원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의큰용늪과 작은용늪 일원

    1.06 우리나라유일의고층습원 '97. 3. 28

    우포늪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유어면, 대지면 일원

    8.54우리나라 最古의 원시

    자연늪'98. 3. 2

    물영아리오름

    제주 남제주군 남원읍 0.309 기생화산구 '06. 10. 18

    두웅습지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0.067신두리사구의 배후습지희귀야생동․식물 서식

    '07. 12. 20

    무제치늪울산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일원0.184

    희귀야생동․식물이서식하는 산지습지

    '07. 12. 20

    신안장도습지

    전남 신안군 흑산면 비리산109-1~3번지 일원

    0.090도서지역 최초의 산지

    습지'05. 3. 30

    오대산국립공원습지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0.017이탄습지, 산지습지토탄층이 86㎝ 형성

    '08. 10. 13

    강화매화마름군락지

    인천시 강화군 0.003인공습지-논습지

    멸종위기 2급 매화마름군락지, 금개구리 서식

    '08. 10. 13

    물장오리오름

    제주도 제주시 0.610산정 화구호, 강우에의해유지, 멸종위기 1급매, 2급

    팔색조, 등 서식'08. 10. 13

    제주1100고지습지

    서귀포시 색달동, 중문동 및제주시 광령리

    0.126산지습지로멸종위기종및희귀야생동식물 서식

    '09. 10. 12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 현경면일대 42.0생물다양성 풍부

    지질학적 보전가치 있음'08. 1. 14

    순천만갯벌·보성벌교갯벌

    전남 순천시 별양면, 해룡면,도사동 일대

    28.0흑두루미 서식․도래 및수려한 자연경관

    '06. 1. 20전남 보성군 호동리, 장양리,영등리, 장암리, 대포리 일대

    10.3자연성 우수 및 다양한

    수산자원

    주1. 순천만 및 보성벌교 갯벌은 1개 람사르 습지로 등록2. 오대산국립공원 습지는 소황병산늪, 질뫼늪, 조개동늪 3개의 습지로 구성자료 : 환경부, 2010.

  • III

    국가 전체습지의 유형별 분류체계 재정립 및 적용

  • 15

    III.1. 국내 적용가능한 국가 습지 유형별 분류체계 재정립

    III.1.1. 배경 및 목적

    ○ 그 동안 람사르 습지유형분류에 기초하여 국가습지 유형분류가 이루

    어져 왔으나 국내 습지의 특성과 분포를 반영하지 못하여, 개별 습지

    의 가치에 따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습지관리가 곤란한 실정임

    ○ 각종 국토이용 개발계획에 따른 불가피한 습지 손실 및 훼손을 보상

    하기 위한 대체습지 조성과 습지생태복원을 의무화하는 습지총량제

    의 도입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바 습지의 효율적 보전과 이용에 대한

    습지평가시스템 구축이 시급함

    ○ 우리나라 자연환경과 현실에 맞는 습지의 정의 및 유형분류를 재정

    립함으로서 현장조사자와 관리자 및 정책담당자간의 습지정보를 일

    원화하여 습지의 효율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근거 마련

    III.1.2. 습지의 개념 및 정의

    ○ 습지는 흔히 습원(marshes), 소택지(swamps), 산성습원(bogs), 알카

    리성습원(fens) 그리고 이와 유사한 습한 서식처를 정의하는 말로 사

    용하고 있음(Tiner, R.W., 1999)

    ○ 습지는 영구적 혹은 일시적으로 습윤한 상태를 유지하고 그러한 환

    경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는 장소를 의미

    ○ 습지는 육상과 수역간의 전이대로 육상환경과 수환경이 혼재되어 있

    으며, 습지 환경에 적응한 수생생물과 그것을 먹이로 삼고 있는 동물

    들의 서식공간으로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희귀동․식물의 보고

    ○ 일시적인 웅덩이와 못 그리고 하천과 배후습지, 우각호, 호수, 하구

    역, 연안갯벌 등이 습지에 포함되는 등 형태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습

    지의 형태가 매우 다양함

  • 16

    □ 습지의 개념 변화

    ○ Shaler(1890)의 swamp정의

    - 그의 정의는 광의적인 개념으로 농업적 토지이용에 대한 토양수

    분의 영향을 고려함

    - 모든 지역의 “소택지”.... 즉 산림식생이 제거될 때 자연적인 배수

    구배가 충분하지 않으면, 건조농업에 필요한 토양이 감소함. 어떤

    기술로든 소택지로 분류된 지역의 배수가 필요함

    ○ U.S. FWS(Fish and Wildlife Service Wetland)

    - 습지는 일시적 혹은 단속적으로 얕은 물로 덮여 있는 저지대임

    - 여기에 항상 풍부한 식생군락이 형성된 습원, 소택지, 웅덩이, 늪,

    하천범람원, 호소와 연못 등은 습지로 포함되지만, 영구적인 하천

    과 저수지, 깊은 호수는 포함되지 않음(Shaw and Fredine, 1956)

    - 습지는 수계와 육상간의 전이지역으로 항상 지하수면이 높거나

    얕은 지표수로 침수된 장소

    - 일반적으로 습지는 지표면이나 토양에 서식하는 식물유형이나 동

    물군집 그리고 토양발달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포화지역으

    로 정의(Cowardin et al., 1979)

    - 습지의 기본요소로 습지수문, 습지토양, 습지식물로 간주

    ∙습지수문 : 홍수 범람 및 토양 침윤 등에 의해 지표

    또는 뿌리 근처에 지하수면이 존재

    ∙습지토양 : 주변 지역과 구별되는 독특한 토양발달

    ∙습지식물 : 습윤 조건에 적응한 식생 존재

    ○ USDA Soil Conservation Service(1991)

    - 다음 4가지 항목 중 하나 이상이 해당되면 습지로 간주

    ∙습지식생과 습지토양이 있는 지역(습원, 소택지, 늪 등)

    ∙습지식물은 없으나 배수가 불량한 토양(논 등)

  • 17

    ∙토양은 없으나 습지식물이 있고 정기적 또는 영구적으로 침수된

    지역(수초로 덮인 암석 조간대 등)

    ∙습지토양이나 식물이 없어도 정기적으로 침수되는 지역(사력퇴

    적토, 갯벌 등)

    □ 국제기구와 기타 국가기관들의 습지 정의

    ○ 람사르협약(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The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1971)

    - 람사르협약 제 1조 1항에서는 “자연 또는 인공이든, 영구적 또는

    일시적이든, 정수 또는 유수이든, 담수, 기수 혹은 염수이든, 간조

    시 수심 6m를 넘지 않는 곳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물이

    있는 지역” 이라 정의하고 있음.

    ○ US EPA(U. 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의 습지 정의

    - 일반적으로 습지는 지표면이나 토양에 서식하는 식물유형이나 동

    물군집 그리고 토양발달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포화지역.

    ○ 캐나다 NWWG(The National Wetland Working Group, 1988)의 습

    지 정의

    - 습지란 지하수면이 지표면이나 지표면 위에 놓여 있는 땅이나 습

    윤 토양, 친수성 식생, 습윤 환경에 적응된 다양한 생물활동 등

    습지의 특징적인 과정들이 나타날 수 있도록 충분히 오랫동안 수

    분으로 포화되어 있는 땅을 의미.

    ○ 습지보전법(1999.02.08제정)의 습지 정의

    - 제2조 1항 :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한다."

    - 동조 2항 : "내륙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소

    와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한다."

    - 동조 3항 : "연안습지라 함은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

  • 18

    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 국내연구자들의 습지 정의

    ○ 박수영 등(2000)

    - “일반적으로 습지는 영구적 또는 계절적으로 습윤 상태를 유지하

    면서 특별히 그 상태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고 있는 곳을 뜻하

    며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 사이의 이행대로서 두 생태계의 가장

    자리에 위치한 공간“으로 정의

    ○ 김귀곤(2003)

    - “육지환경과 물환경의 전이지대로서 생물의 생장기를 포함한 연

    중 또는 상당기간 동안 물이 지표면을 덮고 있거나 지표 가까이

    또는 근처에 지하수가 분포하는 토지를 의미하며, 식생과 동물이

    일생의 중요한 시기와 생활근거를 이루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물

    이 못을 이루거나 흐르는 장소”라 정의

    ○ 구본학(2008)

    - “습지란 자연 또는 인공에 의해서 담수․기수 및 염수가 영구적

    이거나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와

    해양․연안습지, 하구․기수습지 및 인공습지를 말한다.”

    - “내륙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못과 하천,

    늪, 습원, 이탄지 및 배후습지 등의 물이 있는 지역을 말한다.”

    - “해양․연안습지는 해안습지, 하구습지, 기수습지 등을 말하며, 해

    안습지라 함은 최간조시에 수위선에 바다쪽 수심 6m까지의 해양

    으로부터 만조시에 수위선에서 파도, 파랑, 기타 원인에 의해 염

    수의 영향을 받는 지면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 “하구습지라 함은 강과 해양이 만나는 부분의 조수의 영향을 받

    는 하구역을 말하며, 기수습지란 해안지역에 발달한 기수 상태의

    석호 등 연안호소를 말한다.”

    - “인공습지라 함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복

    원된 습지로 인공호수, 논, 양어장, 염전, 저수지, 생태연못, 대체

    습지, 인공수로 등을 말한다.”

  • 19

    III.1.3. 국내 여건에 적합한 습지정의 필요성

    ○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습지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하여 오랫동안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논의되고 있음

    ○ 습지의 효율적 관리 및 보전을 위해서는 먼저 습지지역의 기후 및 지

    형적 특성과 습지 형성과정, 습지의 생태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

    □ 습지의 구성요소

    ○ 습지의 구성요소는 크게 수문(hydrology), 토양(hydric soils), 식생

    (hydrophytes) 등임(구본학, 2002)

    【습지의 구성요소】

    ○ 수문

    - 습지의 물은 습지의 형성과 유지에 가장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

    니라 수생식물과 그 분포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동시에 물질

    순환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담당함(양해근, 2009)

    - 습지를 둘러싼 물순환기구와 물수지, 수질환경을 나타내는 수문학

    적 특성을 의미하며, 식생과 토양에 영향을 미침

    ○ 토양

    - 장기간 침수되고 범람한 환경에서 형성된 토양으로 배수가 불량

  • 20

    하여 혐기성 환경을 유지

    ○ 식생

    - 영구적 혹은 주기적으로 침수되거나 범람하여 물로 포화된 환경

    에 적응한 식생으로 대부분의 습지식생은 천근성의 뿌리와 통기

    조직이 발달한 줄기를 가지고 있어 대기 중의 산소를 물 속 혐기

    성 토양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Tiner, R.W.,

    1999, 권영한ㆍ최홍근, 2009)

    □ 습지의 개념 정의를 위한 전제조건

    ○ 습지의 정의는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연구 분야 별 관점에 따라 매

    우 다양함(권영한ㆍ최홍근, 2009)

    ○ 그 동안 많은 국내ㆍ외 연구자 및 연구기관에서 논의된 습지의 구분

    요건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음

    - 얼마나 오랫동안 그리고 자주 침수되거나 범람하여 습윤한 토양

    을 형성하고 있는지?

    - 습윤한 상태에 적응된 습지식생이 발달하고 있는지?

    - 수원이 강우인지, 지중수인지 아니면 지표수인지?

    □ 우리나라 습지의 일반적 특성

    ○ 대부분의 자연습지는 상당기간 동안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교란되거

    나 훼손되었으며, 남아 있는 습지 중 건전한 수문조건을 유지한 습지

    는 인간의 간섭이 줄어들면서 원래의 습지모습으로 천이되고 있으

    나, 물 순환이 왜곡된 습지는 빠르게 육화되고 있음

    ○ 인간의 간섭이 배제되면서 고산습지는 식물성장기에 침수되거나 지

    하수면이 높은 습윤 환경에 적응한 식생군락이 형성되어 주변과 상

    이한 식생경관이 나타나는 반면, 구릉지나 평야지역의 습지는 교목

    이 우점한 소택지를 이루고 있음

    ○ 우리나라 대부분의 습지는 인공 댐과 저수지, 농업용보의 축조 그리

    고 하천정비와 간척사업 이후 수변지역을 둘러싼 수문체계와 퇴적환

  • 21

    경 그리고 토지이용 등과 같은 제반 환경요인의 변화에 기인하여 자

    연적으로 생성됨

    ○ 이들 습지 중에는 생태학적으로 희귀동식물의 서식처 혹은 피난처로

    이용되고 있으며, 습지의 풍부한 식생군락은 경관자원으로 그 중요

    성이 부각되고 있음

    ○ 최근 인간의 간섭없이 방치되어 자연적으로 형성된 묵논습지와 수질

    정화습지 등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인공습지가 확대되고 있음

    ○ 대규모 하구언과 수중보의 축조로 하구역의 생태환경은 담수호 혹은

    담수역으로 급격하게 천이되고 있음

    ○ 습지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항상 혹은 반복적으로 습윤상태에 놓

    여 주변과 구별되며, 침수기간과 수심에 따라 규모가 수 m2로부터

    수십 km2까지 다양하게 나타남

    □ 기존 습지정의 문제점과 과제

    ○ 국내 연구자들에 의한 습지의 정의는 대부분 람사르협약의 습지정의

    와 미국 등의 선진국 습지정의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

    후환경과 지형특성 그리고 습지의 형성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

    고 있음

    - 습지는 계절에 따라 그 규모가 유동적이며, 그 형태가 다양하여 나

    라별, 지역별, 전문가에 따라 습지의 정의 및 분류가 서로 상이함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습지정의는 약 50종류 이상임(Dugan, 1990)

    ○ 습지보전법의 습지정의 역시 람사르협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습지정

    의를 근간으로 제정된 것으로 국내여건에 맞는 습지의 유형분류와

    개별습지에 대한 효율적인 보전대책 및 습지정책을 추진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음

    - 람사르와 습지보전법의 습지정의는 습윤상태를 ‘영구적 또는 일시

    적’으로 규정하고 있음

    - 온대몬순기후에 속한 우리나라 기후조건을 고려할 때, 전 국토 대

    부분이 습지로 간주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습지보전법상 내륙습

  • 22

    지는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소와 하구 등의 지역’으로

    기술하고 있어 습지연구 및 습지정책 수립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

    음(구본학, 2008)

    - 그리고 습지보전법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습지만을 보호대

    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지정되지 않은 많은 습지들의 무분별한 훼

    손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향후 습지총량제 실시에 따른

    대체습지 조성 근거마련을 위하여 인공습지에 관한 명확한 정의

    가 필요

    - 댐과 저수지, 보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 축조 후 생태경관적으로

    우수하거나 희귀동ㆍ식물들의 서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연

    적으로 형성된 습지에 대한 정의와 적절한 관리방안이 전무함

    - 또한 논은 동물들의 이동통로이자 수륙 양쪽에서 서식하는 다양

    한 동물들의 서식처로 생태적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며(권영한

    ㆍ최홍근, 2009), 특히 장기간 방치되어 인간의 간섭없이 자연생

    태계를 형성하고 있는 묵논습지의 보전 및 활용방안이 필요함

    ○ 이러한 문제점 및 정책적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습지정

    의를 수정ㆍ제안함

    III.1.4. 습지정의 개정(안)

    ○ “습지라 함은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관계없이 담수․기수 또는 염

    수가 영구적이거나 반복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

    륙습지와 연안습지, 인공습지를 말한다. 이 경우 동ㆍ식물 서식지로

    서 중요한 경우에는 습지에 인접한 강기슭 및 연안지대, 습지내에 있

    는 섬 등을 포함함”

    ○ “내륙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湖), 소(沼), 늪 또는 하구

    (河口) 등의 지역을 말함”

    ○ “연안습지라 함은 만조(滿潮) 때 수위선(水位線)과 지면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간조(干潮) 때 바다 쪽으로 수심 6미터까지의 지역을

    말함”

  • 23

    ○ “인공습지라 함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복원된

    습지를 말함”

    【습지정의의 비교】

    구분 습지보전법 구본학(2008) 수정(안)

    정의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그 표면을덮고 있는지역으로내륙습지와연안습지를 말함

    ∙습지란 자연 또는 인공에의해서 담수․기수 및 염수가영구적이거나일시적으로그 표면을덮고 있는지역으로서내륙습지와해양․연안습지, 하구․기수습지 및 인공습지를 말함

    ∙습지란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관계없이담수․기수또는염수가영구적이거나반복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 인공습지를말한다. 이 경우동ㆍ식물 서식지로서 중요한경우에는 습지에 인접한강기슭 및 연안지대, 습지내에있는섬 등을포함한다

    분류

    ∙내륙습지(육지 또는 섬 안에있는호또는소와하구등)

    ∙연안습지(조간대)

    ∙내륙습지(호 또는못, 하천,늪, 습원, 이탄지및배후습지 등의 물이 있는 지역)

    ∙해양․연안습지(최간조시에 수위선에 바다쪽 수심6m까지의 해양으로부터만조시에 수위선에서 파도, 파랑, 기타원인에의해염수의 영향을 받는 지면까지의 지역)

    ∙하구 및 기수형 습지(하구습지: 조수의 영향을 받는하구역, 기수습지: 기수상태의 석호 등 연안호소)

    ∙인공습지(인간의 활동에의해서새롭게만들어지거나 복원된 습지)

    ∙내륙습지(육지 또는 섬에있는 호소, 늪, 하구 등)

    ∙연안습지(수심 6m이내의조간대)

    ∙인공습지(인간의 활동에의해새롭게만들어지거나복원된 습지)

  • 24

    III.1.5. 습지의 유형분류 체계의 재정립

    □ 습지유형분류의 개요

    ○ 습지의 효율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개별 습지의 유형을 정의하

    고, 습지의 범위와 분포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 다양한 형태의 습지를 유형별로 분류함으로써 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보호하고 습지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습지의 유형은 늪, 습원, 소택지, 산성습지, 알카리성 습

    지 혹은 하천습지, 호소습지, 저층습지, 고층습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습지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체계

    가 상이함

    ○ 특히 습지의 유형은 다양한 목적과 의도에 따라 습지의 유형과 종류

    가 다양하고 복잡해질 수 있음

    □ 습지유형 분류의 변천

    ○ 습지의 분류는 습지생태의 과학적 연구가 시작된 17C부터 시작되었

    으며(Gore, 1983), 습지생태에 대해 지리학, 수문학, 생태학 등의 기

    초과학과 농학, 조경학, 환경공학 등 응용과학별로 독자의 분류체계

    가 제시되어, 다양한 분류체계가 있음

    ○ 이탄지가 많은 북부유럽에서는 습지의 퇴적물의 유기물함량 즉 이탄

    인지 아니면 무기성 토양인지를 중시함(Moore and Bellamy, 1974)

    ○ 19C 초기에는 습지를 함양하는 수원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

    서 강우에 기인한 고층습원과 지하수/지표수로 함양된 저층습원의

    차이를 조사 연구하였으며, 20C에 들어와 수문학적 환경과 식생 상

    호작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습지생태계를 과학적이고 객관

    적으로 분류하기 시작함

    - Web(1920)는 습원을 "Hochmoor(고층습원; 고위이탄지)",

    "Zwischenmoor(중층습원)", "Niedermoor(저층습원; 저위이탄지)"

  • 25

    의 3가지 유형의 분류를 제안하여 영국과 아이슬랜드를 비롯한

    유럽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음(ホーテ

    ス․シュテファン, 2007)

    - Wheeler와 Proctor(2000)는 북서유럽 습지생태계의 환경조건과 식

    물유형은 pH농도, 질소와 인 등의 영양상태, 수문조건의 3가지

    요인에 의해 습지생태계가 결정된다고 간주하고, "Bog(고층습원)"

    과 "Fen(저층습원)으로 구별하였으며, 고층습원은 pH 5.0이하이

    고, Ca2+농도가 낮고, Cl-과 SO42-가 음이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저층습원은 pH 6.0이상이고, Ca2+와 HCO3-농도가 높음

    - Novitzki(1982)는 지하수면이 높은 와지와 하천범람원 혹은 호수

    주변에 지표수 유입으로 형성된 일시적인 습원과 계절적 혹은 지

    속적으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형성된 습원으로 구분

    【수문학적 습지 유형분류(Novitzki, 1982)】

    - Succow(2001)은 습지생성과 수문환경에 따른 포괄적 습지를 지중

    수용출습원, 사면습원, 복류형습원, 소택형습원, 범람습원, 육화형

    습원, 분지형습원, 강우형습원으로 구분함

  • 26

    【습지 형성과정과 수문환경에 기초한 습지분류(Succow, 2001)】

    ○ 습지를 구분하는 주요지표는 지형특성과 수문조건, 토양특성, 식생유

    형이며, 기존 분류연구에서 사용된 지표는 다음과 같음(구본학, 2009)

    - 습지지형 특성(주변지형)

    - 수문환경(수원, 침수․범람, 수위 등)

    - 토양특성

    - 식물종류 및 군락

    - 지반 분지형태

    - 수질(염분, pH, 영양염류)

  • 27

    구분 수문 토양 식생지형학적특성

    형태 염분 서식처 중요도생성원인

    인공성

    Shaw & Friedine(1956) ○ ○

    Golet & Larson(1974) ○

    람사르분류체계 ○ ○ △ ○ △ ○

    Coweardin(1979) ○ ○ ○ △ ○

    USFWS(1979) ○ ○ ○

    Etherington(1983) ○ ○ △ ○

    Holland(1986) ○ ○ ○

    Naiman et al.(1989) ○ ○ ○

    Banyus(1989) ○ ○ ○ ○

    HGM(Brinson et al., 1993) ○ △ ○ ○

    Mitsch & Gosselink(1993) ○ △ ○

    Gilmann(1994) ○ △

    Cylinder et al.(1995) ○ ○

    환경부(1996) ○ ○ ○ ○ ○

    Kualer et al.(1996) ○

    USGS(1996) ○

    미공병단(1996) ○ ○ ○

    森下强, 鄭鐘烈(1996) ○ ○ ○ ○ ○ ○

    Romanowski(1998) ○

    Tiner(1999) ○ ○

    Canadian Wildlife Service(1999) ○ ○ ○

    습지보전법(1999) ○

    환경부(2000) ○ ○ ○

    구본학, 김귀곤(2001) ○ ○ ○ ○ △ ○

    계 1611(13)

    7(10)

    19 31(5)

    3 1 3 5

    【기존 습지 분류연구에서 분석된 습지 지표(구본학, 2009 재인용)】

    □ 국제 국가차원의 습지유형 분류체계

    ○ U.S. FWS의 Cowardin system(1979)

    - 습지를 수생식물과 토양, 홍수범람 빈도를 이용하여 정의하였으

    며, 그리고 생태적으로 연관된 깊은 수심과 서식처를 분류에 포

    함시킴

    - 생물학적 분류학에서 이용되는 명명법 분류체계와 유사한 계층적

    분류로 시스템(system)과 하위 시스템(subsystem), 그리고 계급

    (class)의 세 가지로 구분

    - 시스템(system)은 수문학적, 지형학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요인

    들의 영향을 고려함

  • 28

    ∙해양역(marine), 하구역(estuarine), 하천역(riverine),

    호수역(lacustrine), 늪지(palustrine)로 구분.

    - 하위 시스템(subsystem)은 침수정도, 수위, 수분의 구배, 유속, 구

    성물질의 유형, 또는 범람원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상세구분

    ∙조하대(subtidal) : 기질이 연속적으로 침수되어 있음

    ∙조간대(intertidal) : 조수에 의해 기질의 침수와 노출이 반복됨

    ∙감조(tidal) : 하천 시스템에서 경사가 완만하고 조석의 영향을

    받아 유속의 변동이 발생함

    ∙완경사 영구하천(lower perennial) : 연중 유량이 유지되고 경사 완만

    ∙급경사 영구하천(upper perennial) : 연중 유량이 유지되고 경사 급함

    ∙간헐적 하천(intermittent) : 유량이 연중 내내 유지되지 않음.

    ∙육수성 호수(limnetic) : 호수 내의 심수서식처.

    ∙연안성 호수(littoral) : 수심 2m 이내의 연안지역.

  • 29

    【U.S. FWS의 습지유형분류(1979)】

  • 30

    ○ Ramsar Convention 7th Conference of Contraction Parties(1999)

    - 람사르협약에 의한 습지유형은 supersystem(지형학적 특성)과

    system(입지), subsystem(수문), class(식생 등), subclass(서식처

    등)로 계층구분함

    - USFWS의 미국국가습지목록 분류체계의 최상위 시스템 분류군과

    대체로 일치함

    【람사르 습지분류체계(1979)】

    대분류중분류

    기호분류기준1 분류기준2-수문기간 분류기준3-세부

    해양/해안습지

    Saline water

    Permanent

    < 6m deep A

    수중식생 B

    산호초 C

    해안암반 D

    모래 또는 자갈 E

    염수 또는 기수

    조간대

    갯벌(펄, 모래, 소금) G

    초본습지(marshes) H

    목본습지(forested) I

    석호 J

    기수역 F

    염수, 기수또는담수지중 또는 지하 Zk(a)

    담수 석호 K

    내륙습지 담수

    유수

    영구적

    하천(Rivers,Streams, Creeks) M

    삼각주(Deltas) L

    샘, 오아시스(Springs, Oases) Y

    계절적/간헐적 하천(Rivers,Streams, Creeks) N

    호수와 웅덩이

    영구적> 8ha O

    < 8ha Tp

    계절적/일시적> 8ha P

    < 8ha Ts

    무기질 토양의초본습지(marshes)

    영구적 초본 우점 Tp

    영구적/계절적/간헐적 관목 우점 W

    계절적/간헐적 교목 우점 Xf

  • 31

    대분류중분류

    기호분류기준1 분류기준2-수문기간 분류기준3-세부

    내륙습지

    담수

    이탄토양의초본습지(marshes) 영구적

    비삼림지역 U

    삼림지역 Xp

    무기질 또는 이탄토양의 초본습지

    고산지역(alpine) Va

    툰드라 Vt

    염수, 기수 또는알칼리수

    호수영구적 Q

    계절적/간헐적 R

    Marshes & pools영구적 Sp

    계절적/간헐적 Ss

    담수, 염수, 기수,또는 알칼리수

    지열 Zg

    지중 또는 지하 Zk(b)

    인공습지

    양식장 또는 양어장 양어장, 새우양식장 1

    연못 8ha 이하의 소형 2

    관개지 논, 관개수로 3

    계절적으로 범람하는 농경지 집약적 관리 또는 방목되는 습초지나방목지 4

    소금 생산지 염전 5

    물 저장 지역 저수지, 댐 등 8ha 이상 6

    인공 구덩이(Excavations) 7

    폐수처리 지역 sewage farms, setting ponds, oxidation basin등 8

    운하와 배수로, 도랑(Ditches) 9

    카르스트와 다른 지하수문 시스템 인공 Zk(c)

    ○ South African national wetlands inventory(South African Wetlands

    Conservation Programme, 1998)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습지유형은 system(입지)과 subsystem(수문),

    class(식생, 기질 등)로 계층 구분한 것으로 USFWS의 습지유형분

    류체계와 매우 유사한 형태임

  • 32

    【South African Wetlands Conservation Programme, 1998】

  • 33

    ○ Directory of important wetlands in Australia(Environment Australia, 2001)

    - 비계통적 습지유형분류방법으로서 습지를 크게 해양 연안습지, 내

    륙습지, 인공습지로 크게 나누고 습지의 유형을 36개로 구분함

    categories wetland types

    Marine and

    coastal zone

    wetlands

    1. Marine waters - permanent shallow waters less than six metres deep at low tide;includes sea bays, straits.

    2. Subtidal aquatic beds; includes kelp beds, seagrasses, tropical marine meadows.3. Coral reefs.4. Rocky marine shores; includes rocky offshore islands, sea cliffs.5. Sand, shingle or pebble beaches; includes sand bars, spits, sandy islets.6. Estuarine waters; permanent waters of estuaries and estuarine systems of deltas.7. Intertidal mud, sand or salt flats.8. Intertidal marshes; includes salt-marshes, salt meadows, saltings, raised saltmarshes, tidal brackish and freshwater marshes.

    9. Intertidal forested wetlands; includes mangrove swamps, nipa swamps, tidalfreshwater swamp forests.

    10. Brackish to saline lagoons and marshes with one or more relatively narrowconnections with the sea.

    11. Freshwater lagoons and marshes in the coastal zone.12. Non-tidal freshwater forested wetlands.

    Inland

    wetlands

    1. Permanent rivers and streams; includes waterfalls.2. Seasonal and irregular rivers and streams.3. Inland deltas (permanent).4. Riverine floodplains; includes river flats, flooded river basins, seasonally floodedgrassland, savanna and palm savanna.

    5. Permanent freshwater lakes (>8 ha); includes large oxbow lakes.6. Seasonal/intermittent freshwater lakes (>8 ha), floodplain lakes.7. Permanent saline/brackish lakes.8. Seasonal/intermittent saline lakes.9. Permanent freshwater ponds (8 ha).

    2. Ponds, including farm ponds, stock ponds, small tanks. (generally

  • 34

    ○ 일본 환경청의 습지유형분류체계(2001)

    - 습지생태계의 보전 및 재생을 위한 일환으로 지형적 특성에 따라

    습지유형을 목록화

  • 35

    ○ 국제 국가차원의 습지유형분류체계를 비교하면 아래의 표와 같이 정

    리할 수 있음

    - 국가별 혹은 람사르의 습지유형분류는 분류방법에 따라 크게 계

    층적 분류방법과 비계층적 분류방법으로 구분됨

    - 계층적 분류방법은 계층별 정의 혹은 분류체계를 작성하는 목적

    에 따라 습지의 유형과 수가 달라지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습지

    인벤토리구축(2008)을 위해 습지의 유형분류체계를 람사르 분류에

    기초하여 유형구분을 하고 있음

    습지유형분류 국가 및 단체 분류지표 분류방법 습지유형 수

    람사르협약 (1999) 지형, 입지, 수문, 식생 등

    계층분류

    42

    미국 (USFWS, 1979) 수문, 식생, 토양 56

    캐나다 (NWWG,1998) 수문, 수질, 지형․지질 55

    남아프리카공화국 (1998) 지형, 수문, 식생 49

    오스트레일리아 (2001) 지형, 수문(수원/수류), 토양

    비계층적분류

    40

    일본 (2001) 수문, 지형, 식생 등 49

    EU (2003) 서식처, 생태계 73

    【국제․국가차원의 습지유형분류체계 비교】

    □ 국내 습지유형 분류체계

    ○ 구본학․김귀곤(2001)의 습지유형분류체계

    - Cowardin System(1979)과 람사르 유형분류를 이용하여 작성된 국

    내 최초의 습지유형분류임.

    - 초계(super system) - 계(system) - 아계(subsystem) - class(계급) -

    subclass(하위계급)로 구분하는 계층별 습지유형분류체계임

    ∙초계 : 지형학적 특성 및 자연/인공(해안, 내륙, 인공)

    ∙계 : 지형학적 유형(해양, 하구, 호소, 하천, 소택, 염전 등)

    ∙아계 : 침수 등의 수문조건에 따라 침수빈도와 범위(조하대, 조

    간대, 연구/계절적 등)

    ∙class : 기반조건(개방수면, 유기질평지, 무기질평지, 역암, 비탈

    지, 함몰지 등)

    ∙subclass : 습지의 형태와 식생, 서식기능.

  • 36

    【구본학․김귀곤(2001)의 국내습지유형분류체계】

    초계 계 아계 Class Subclass

    지형학적특성 및자연/인공

    지형학적유형 침수 등 수문조건 기반조건

    습지의 형태,서식기능, 식생

    해안(1)

    해양(M)조하대(St)

    개방수면(Ow)유기질평지(Of)무기질평지(Mf)역암(Rg)

    수생식물(Hp)

    조간대(It) 수생식물(Hp)

    하구(E)조하대(St)조간대(It)

    활엽교목(Fd), 침엽교목(Fc), 혼효림(Fm), 활엽관목(Sd), 침엽관목(Dc),1년생초본(Np), 다년생초본(Ps), 수생식물(Hp)

    호소 / 소택(Lp) 영구/계절(Ps)

    내륙(2)

    하천(R)

    Ÿ 조수(Td), 일시범람(Lp)

    Ÿ 영구범람(Hp)Ÿ 간헐천(Im)

    개방수면(Ow)유기질평지(Of)무기질평지(Mf)역암(Rg)

    활엽교목(Fd), 침엽교목(Fc), 혼효림(Fm), 활엽관목(Sd), 침엽관목(Dc),1년생초본(Np), 다년생초본(Ps), 수생식물(Hp)

    호수(L)Ÿ 영구침수(Pm),Ÿ 계절적 침수(Ss)Ÿ 영구/계절(Ps)

    1년생초본(Np), 다년생초본(Ps), 수생식물(Hp)

    소택(P)Ÿ 영구침수(Pm),Ÿ 계절적 침수(Ss)

    개방수면(Ow)유기질평지(Of)무기질평지(Mf)역암(Rg), 바탈지(Sp), 함몰지(Dp)

    활엽교목(Fd), 침엽교목(Fc), 혼효림(Fm), 활엽관목(Sd), 침엽관목(Dc),1년생초본(Np), 다년생초본(Ps), 수생식물(Hp)

    인공(3)

    내수면어업(Aq)개방수면(Ow)유기질평지(Of)무기질평지(Mf)역암(Rg), 비탈지(Sp), 함몰지(Dp)

    활엽교목(Fd), 침엽교목(Fc), 혼효림(Fm), 활엽관목(Sd), 침엽관목(Dc),1년생초본(Np), 다년생초본(Ps), 수생식물(Hp)

    농업용(Ag)

    염전(S)

    도시화지역(U)

    ○ 구본학(2002)의 습지유형분류체계

    - 구본학․김귀곤(2001)의 습지유형분류체계의 문제점 즉, 람사르 분

    류체계를 적용할 경우 대부분의 내륙습지가 소택지로 분류되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변식생대를 지형과 입지조건에 따라

    제시한 것임

    - 특히 소택형 습지를 상류계곡형, 산지형, 평지형, 수변식생대 등으

    로 세분함

    - 이 분류체계는 비무장지대와 한강 등에 적용할 경우 람사르의 분

    류체계보다 내륙습지 유형구분이 용이한 것으로 평가됨

  • 37

    【구본학(2002)의 습지유형분류체계】

    초계

    (super system)

    계(system)

    지형학적 유형

    아계(subsystem) 강(Class)

    수문(침수빈도) 식생(우점종 성상)

    연안습지Marine andEstuarine

    해양형습지(Ma)

    영구침수(Pe)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수생), 퇴적모래톱

    강어귀형습지(Es)

    영구침수(Pe)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수생, 퇴적모래톱

    내륙습지Inland

    호수형습지(La)

    영구침수(Pe) 교목, 관목, 수생,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초본, 수생, 퇴적모래톱

    하천(R)

    영구침수(Pe) 교목, 관목, 수생,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초본, 수생, 퇴적모래톱

    상류계곡형습지(Va)

    영구침수(Pe) 교목, 관목, 수생,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초본, 수생

    산지형습지(Mo)

    영구침수(Pe) 교목, 관목, 수생,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초본, 수생, 퇴적모래톱

    평지형습지(Pl)

    영구침수(Pe) 교목, 관목, 수생, 개방수면

    계절적 침수(Se) 교목, 관목, 초본, 수생, 퇴적모래톱

    수변식생대(Rp)하천형(Lo) 교목, 관목, 초본, 수생

    호수형(Le) 교목, 관목, 초본, 수생

    인공습지Human made

    인공습지(Hu)

    저수지(Cr) 교목, 관목, 초본, 수생, 개방수면

    논(Cr) 수생

    인공수로(Ca) 수생, 개방수면

    ○ 구본학․주위홍(2007)의 습지유형분류체계

    - 구본학(2002)의 습지유형분류체계를 식생별로 세분화하여 습지유

    형수가 19개에서 47개로 증가함

    - 기수역(강어귀)을 연안습지의 하부 system으로 구분

  • 38

    【구본학․주위홍(2007)의 습지유형분류체계】

    Supersystem

    SystemSub-System

    Class 유형구분명 구분기준

    연안습지

    해안형

    영구적개방수면

    해안형영구개방수면습지 Ÿ 연중 물이

    있는 해역

    침수식물

    수생식물해안형영구수생식물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등

    계절적

    개방수면해안형계절적개방수면습지

    Ÿ 조수의 영향을 받는구간(파도영향울 받는 splashzone 포함)

    Ÿ 계 절 적 ,주기적인수문변동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등

    수생식물해안형계적절수생식물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 등

    초본식물해안형계절적초본식물습지

    다년생 초본류

    관목 해안형계절적관목습지

    관목류(분류학상관목이고나 수고 3이하의 교목)

    교목 해안형계절적교목습지

    교목(수고 3m이상)

    모래톱해안형계절적모래톱습지

    모래톱, 바위자갈

    강어귀형

    영구적개방수면 강어귀형영구개

    방수면습지Ÿ 염수와 담수 혼재

    Ÿ 연중 물이차있음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염분농

    0.05%

    이상

    수생식물강어귀형영구수생식물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등

    계절적

    개방수면강어귀형계절적개방수면습지

    Ÿ 염수와 담수 혼재

    Ÿ 조수의 영향을 받는구간(파도영향울 받는 splashzone 포함)

    Ÿ 계절적수문영향, 주기적인 수문의 영향을 받음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등

    부유, 부엽, 정수식물 등수생식물

    강어귀계적절수생식물습지

    초본식물강어귀형계절적초본식물습지 다년생 초본류

    관목 강어귀형계절적관목습지

    관목류(수고 3이하)교목

    교목강어귀형계절적교목습지

    교목(수고 3m이상)

    모래톱강어귀형계절적모래톱습지

    수생, 습생식물 자생(30%이내)

    내륙습지

    하천형

    영구적개방수면

    하천형영구개방수면습지 Ÿ 연중 물이

    흐름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수생식물하천형영구수생식물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30%이내)

    계절적

    개방수면하천형계절적개발수면습지

    Ÿ 특정 시기에만 물이있음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수생식물하천형계절적수생식물

    부유, 부엽, 정수식물(30%이내)

    모래톱하천형계절적모래톱습지

    모래, 자갈 등

    호수형 영구적

    개방수면호수형영구적개방수면습지

    Ÿ 연중단수가 있음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8 h a이상, 수심 2m이상인호수의평수위이내정수식물 은30%이내서식

    수생식물호수형영구적수생식물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30%이내)

  • 39

    Supersystem

    SystemSub-System

    Class 유형구분명 구분기준

    내륙습지

    호수형 계절적

    개방수면 호수형계절적개방수면습지

    Ÿ 계절적인범람에 의하여 수위변동이 있음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면 적8ha이상, 수심 2m이상인호수의평수위이내정수식물 은30%이내서식

    수생식물호수형계절적수생식물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30%이내)

    모래톱호수형계절적모래톱습지

    모래, 자갈 등

    소택형

    영구적

    개방수면소택형영구적개발수면습지

    Ÿ 연중 물이얕은 담수연못 혹은늪원

    식생이 없거나 침수식물

    수생식물소택형영구적수생식물습지

    30%이상 피복

    관목 소택형영구적관목습지

    관목류(분류학상관목이고나 수고 3이하의 교목)

    교목 소택형영구적교목습지

    교목(수고 3m이상)

    계절적

    수생식물소택형계절적수생식물습지

    Ÿ 지하수가솟아나는샘이나 오아시스 또는 계절적으로 물이차는 습지

    부유, 부엽, 정수식물

    초본식물 소택형계절적초본습지

    다년생 초본류

    관목소택형계절적관목습지

    관목류(수고 3m이상)

    교목 소택형계절적교목습지

    교목(수고 3m이상)

    모래톱소택형계절적모래톱습지

    수생, 습생식물 자생(30%이내)

    수변식생대

    유수성

    수생식물 수변식생대유수성수생식물습지

    Ÿ 유수성(하천변)

    초본식물수변식생대유수성초본식물습지

    관목 수변식생대유수성관목습지

    교목수변식생대유수성교목습지

    정수성

    수생식물 수변식생대정수성수생식물습지

    Ÿ 정수성(호수, 연못등 주변)

    수생, 습생식물 초본의 경우는 인공초지도 포함, 주변식생에 비해 생육상태가 좋다

    초본식물수변식생대정수성초본식물습지

    관목 수변식생대정수성관목습지

    교목수변식생대정수성교목습지

    인공습지

    인공

    논 논(2차습지)

    저수지 인공저수지

    인공연못 인공연못

    인공수로

    인공수로

  • 40

    ○ 구본학(2008)의 습지유형분류체계

    - 국가습지인벤토리구축을 위한 유형분류체계로 람사르 습지유형분

    류 코드를 기반으로 국내습지 특성에 맞게 재구성

    - Super-system, System, Sub-system은 람사르 습지유형 체계에 따

    랐으며, 하위단계인 Class와 Sub-class는 국내습지의 특성을 반영

    - Super-system : 인지, 인공성/자연성(해양 및 연안습지, 하구 및

    기수습지, 내륙습지, 인공습지)

    - System : 입지와 지형, 수문특성, 자연성

    ∙해안 및 연안습지(해양형, 연안형)

    ∙하구 및 기수습지(연안호소형, 하구형)

    ∙내륙습지(호수형, 소택형, 하천형)

    ∙인공습지(내수면어업, 농경지, 염전, 저수지/인공호, 인공수로, 대

    체습지, 기타습지)

    - Sub-system: 수문(범람), 지형

    ∙해안 및 연안습지(조하대, 조간대)

    ∙하구 및 기수습지(영구/계절성, 조하대, 조간대)

    ∙내륙습지(영구성, 계절성, 영구/계절성)

    ∙인공습지(내수면어업, 농경지, 염전, 저수지/인공호, 인공수로, 대

    체습지, 기타습지)

    - Class : 기질, 식생

    - Sub-class : 종합적 특성, 식생 등

    - 구본학(2008)에서는 늪, 습원과 저습지 등을 소택형 습지에 모두

    포함시킴으로써 다시 내륙습지의 개별특성이 무시되었으며(구본

    학, 2002), 하구를 독립된 Super system으로 구분함에 따라 습지

    보전법과 상충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

    - 구본학(2008)의 유형분류는 국가습지목록 구축에 그 유용성은 인

    정되지만, 습지보전 및 복원ㆍ재생에 적합한 새로운 습지유형분

    류의 재검토가 필요함

  • 41

    【구본학(2008)의 습지유형분류체계】

    입지(인공/자연) 입지(지형) 수문(범람), 지형 기질, 식생 종합적 특성 구조

    해양및 연안습지

    해양형 조하대

    수초대 해양수초대

    초 산호초

    일반대 암반대

    미고결대 미고결대

    연안형

    조간대

    수초대 조간수초대

    암석해안 암석해안

    미고결대

    펄갯벌

    모래갯벌

    혼성갯벌

    모래해빈

    자갈해빈

    염습지

    조상대 미고결대염습지

    해안사구

    하구및 기수형

    연안/호소형 영구/계절성 석호 석호

    하구형

    조하대하구 개방수면 하구 개방수면

    기수 기수

    조간대

    미고결대 하구갯벌

    정수식물대하구삼각주

    하구염습지

    수림대 하구수림대

    내륙습지

    호수형

    영구성담수 영구성 담수호

    기수/담수 기수/담수 간척호

    계절성담수 계절성 담수호

    기수/담수 기수/담수 간척호

    소택형 영구성

    초본우점대

    영구담수호 및 담수습지

    이탄습원, 산성습원

    샘물습지

    관목우점대 관목우점늪

    수림대수림대

    수림대이탄습지

    하천형

    영구성

    영구하천 영구하천

    미고결대모래자갈

    삼각주

    계절성개발수면 계절적 하천

    정수식물대 범람원

    인공습지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농경지논, 농업용 못, 작은 저수지,관개수로, 계절적 침수 경작지

    염전 염전

    저수지/인공호 저수지, 인공호

    채굴지습지 채굴지 습지

    조성습지대체습지

    하구재활용, 수질정화습지

    인공수로 인공수로

  • 42

    □ 습지유형분류의 재정립 필요성

    ○ 습지보전법(1999.02) 제2조 습지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습지는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

    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음

    - 그리고 습지를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로 구분하고, 내륙습지는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소와 하구 등의 지역이며, 연안습지

    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면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이라고 정의함

    ○ 내륙습지에 하천에 대한 정의가 생략되어 있어 하천법과 하천습지의

    관리 및 보전에 대한 근거마련을 위해 하천습지를 확정할 필요가 있

    으며, 자연습지의 효율적 보전과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 인공습지

    의 정의와 구분을 구체적으로 확정할 필요가 있음

    ○ 그 동안 많은 논의로 합의된 국가인벤토리구축을 위한 습지유형체계

    를 크게 훼손하지 않고 효율적인 습지 보전 및 복원ㆍ재생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습지의 정의와 유형체계를 재정리

    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형성과 유지ㆍ관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수문조건과 식생 차이를 고려하여 기존 습지유형분류를 수

    정ㆍ보완하였음

    □ 습지보전 및 복원ㆍ재생을 위한 습지의 유형분류

    ○ 습지의 유형분류는 습지의 효율적 보전과 이용 및 복원방안 마련을 위

    한 기준설정을 위해 습지의 형성과 유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

    형특성’과 ‘수문조건(수원, 범람빈도)’에 따라 습지유형을 구분하였음

    ○ 습지의 유형분류체계는 다음과 같음

    - 대분류(super-system) : 습지의 입지 및 형성에 따라 연안습지, 내

    륙습지, 인공습지로 구분

    - 중분류(system) : 지형적 특성에 따라 연안, 하천형, 호수형, 산지

  • 43

    형 등으로 구분

    - 소분류(sub-system) : 습지의 특성을 반영하고, 습지의 보전 및 복

    원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수원과 범람빈도 및 범위를 기준으로

    구분(습지보전 및 복원 재생을 위한 습지유형분류(안) 참조)

    - 상세분류(class) : 우리나라 습지의 기질과 분포형태를 나타냄(습지

    보전 및 복원 재생을 위한 습지유형분류(안) 참조)

    ○ 습지의 식생분포 및 천이에 중대한 큰 영향을 미치는 습지의 수문체

    계(권영한ㆍ최홍근, 2009)를 무시하고 생태계의 천이과정에서 나타난

    식생군락 및 토양에 초점을 맞추어 습지의 복원 및 대체습지를 조성

    할 경우, 습지의 유지ㆍ관리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음

    ○ 따라서 습지의 형성과 안정적인 유지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지형

    조건과 수문시스템을 고려하여 습지를 분류할 경우 지역특성에 맞는

    습지의 복원대책과 관리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습지의 자연성을

    확보할 수 있음

  • 44

    대분류중분류(지형)

    소분류(수원/수질 등)

    상세분류(식생,토양,수문)

    비고(특성)

    연안습지 연안

    조하대

    해양수초대습지 수초대

    산호습지 산호초

    해양습지 고결/미고결대

    조간대(조상대)

    연안수초대습지 수초대

    암석해안습지 암석해안

    갯벌습지

    미고결대해빈습지

    염습지

    내륙습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하구하구삼각주습지

    하구염습지

    유수역하도습지 제외지

    보습지 보

    정수역배후습지 제내지 범람원

    용천습지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석호습지 기수/염수

    간척호습지자연발생적 인공호습지

    (기수.염수)

    담수역

    담수호습지 자연발생적 인공호습지

    우각호습지 구하도

    사구습지 해안/하안

    산지형(구릉지)

    강우 고층습원 이탄습원, 산성습원(bogs)

    지중수/지표수저층습원 알칼리습원(fens)

    소택지 묵논 등(swamps, marshes)

    인공습지

    연안염전 염전 염전/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 경작지(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양식장/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관개 및 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저류지습지 저류지/양수장

    수질정화습지오폐수 및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대체습지 새롭게 복원된 습지

    생태수변공원 도시공원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채굴지

    【습지보전 및 복원ㆍ재생을 위한 습지유형분류】

  • 45

    ○ 습지보전 및 복원재생을 위한 습지유형(안)과 람사르 유형분류(1999),

    구본학(2008)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

    - 우리나라 대하천을 비롯한 대부분의 하구는 하구언이나 수중보에

    의해 담수의 정수역으로 사실상 염분농도가 극히 낮고 배후유역

    의 환경조건에 따라 생태계가 영향을 받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하구 기수역을 내륙습지에 포함시킴

    - 일반적으로 습지식생경관을 구분할 때 swamp는 목본(木),marsh

    는 초본(草),bog는 이끼 혹은 사초가 우점한 습지를 구분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swamp(소택지)는 이들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Tiner, 2005)

    - 호소학적으로 소택지는 호소지형의 천이과정 중 매립으로 호소

    수면적이 거의 감소하고 지하수면이 지표부근에 달한 상태이며,

    늪에서 육화되는 천이과정으로 간주되고 있음

    【호소의 천이과정(吉村, 1976)】

  • 46

    - 산지와 구릉지 산능 혹은 산정부에 분포하는 습지를 식생경관학

    적 관점에서 소택형으로 대별하는 것은 우리나라 수문지형적 특

    성과 습지 형성과정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으므로 소택형을 산지

    형으로 대체하고 수원과 토양, 식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층습원,

    저층습원, 저습지, 소택지로 상세구분하였음

    - 여기서 고층습원과 저층습원은 Web(1920)와 Wheelerㆍ

    Proctor(2000)의 습지의 분류에 기초한 것으로 산지습지의 수원과

    수질, 영양상태에 따라 구분한 것임

    - 하천형 습지는 하천수로와 범람원에 분포한 모든 습지를 의미하

    는 것으로 하천수의 흐름에 따라 습지의 식생경관과 생태계가 크

    게 좌우되므로 하천수 유속 및 특성에 따라 기수역과 정수역, 유

    수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수역은 하구갯벌습지, 하구삼각지습지,

    하구염습지, 유수역은 제외지의 하도습지, 정수역은 보습지와 용

    천습지로 상세 구분함

    구분 람사르유형분류(1999) 구본학(2008)습지보전 및 복원재생을위한 습지유형(안)

    분류지표입지, 담수/염수 기수,수문기간, 식생․토양

    입지, 지형, 수문(범람),기질․지형

    입지, 지형,수문(수원/범람),식생․토양

    분류

    SupersystemSystemSubsystemClassSubclass

    SupersystemSystemSubsystemClassSubclass

    Supersystem(대분류)System(중분류)Subsystem(소분류)Class(상세분류)

    하구/기수역 System(연안) Super System System(연안)

    내륙습지(subsystem)의 구분

    ∙담수(유수, 호수/웅덩이, 무기성토양의초본습지, 이탄토양의 초본습지), 무기 또는 이탄초본습지))

    ∙염수/기수, 알카리(호수, 저습지)

    ∙담수, 염수, 기수, 알칼리수(지열, 지중/지하)

    ∙하천형(영구성, 계절성)∙호수형(영구성, 계절성)∙소택형(영구성)

    ∙하천형(기수역, 유수역,정수역)

    ∙호수형(기수역, 담수역)∙산지형(강우, 지중수/지표수)

    습지유형수 42개 44개 34개

    【습지유형분류체계 비교】

  • 47

    □ 습지유형의 분류체계의 적용 예

    ○ 대암산 용늪

    -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 170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

    악지역에 위치한 고층습원으로 학술적 희소성에 따라 1997년 람

    사르협약에 등록된 우리나라 최초의 습지임

    - 습지의 면적은 1.06km2이며, 능선부 평탄면에 제1작은 용늪과 제2

    작은 용늪, 큰 용늪 3개의 습지와 완충지역대로 구성됨

    - 해발고도가 높기 때문에 강수량이 적은 소우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늦어 이탄층이 발달하고, 안개에 의한 수분

    공급이 많은 편임

    - 산사초군락과 삿갓사초군락, 삿갓사초-진퍼리새군락, 달뿌리풀군락

    등이 주로 분포함

    - 습지의 지형과 토양 그리고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저층습원에서

    고층습원으로 천이되고 있는 습지로 판단됨.

    - 현재 진행되고 있는 큰용늪 건조화는 토사유입과 지하수위 하강,

    습지 내 물골형성에 따른 침식과 유출량증가와 관계있음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내륙습지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대암산 용늪의 유형분류】

  • 48

    ○ 신안장도 산지습지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장도리 대장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서

    지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산지습지로서 지형경관과 특이성, 습지

    지역의 다양한 서식환경과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보전가치가 인

    정되어 2004년 8월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후 2005년 3월에

    람사르습지로 등록되었음

    - 습지토양의 유기물함양은 5~26%이며, 부분적으로 이탄층이 나타남

    - 습지의 수원은 주로 규암산지를 덮고 있는 풍화층에 침투한 빗물

    이 기반암경계면을 따라 흐르는 지중수와 강우임

    - 장도습지는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농경지로 이용되었으며

    1980년부터 1990년까지는 소와 염소 방목지로 활용된 후 마을 간

    이상수원으로 이용되면서 방목이 중단되어 2차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

    - 습지의 지형과 토양 그리고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저층습원으로

    판단됨

    【신안장도 산지습지의 유형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내륙습지 산지형 지중수 저층습원

  • 49

    ○ 담양하천습지

    - 영산강 분류에 형성된 하천습지로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수복

    면, 봉산면과 광주광역시 북구 용강동 일원에 분포하며, 습지면적

    은 9.8km2임

    - 2004년 7월에 우리나라 최초로 하천습지로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됨

    - 습지내에 분포하는 바와 범람원, 하중도, 소와 여울 등은 다양한

    수변생태공간을 제공하는 등 하천의 자연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서식공간을 제공함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인 구렁이와 매, 수달, 그리고

    Ⅱ급인 큰기러기, 가창오리, 조롱이,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삵 등

    이 서식함

    - 현재 대나무군락의 일부를 제거하여 통수단면을 확대하려는 하천

    환경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공사 후 하상퇴적물의 이력변

    화로 습지보호지역 내 퇴적bar의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담양하천습지의 유형분류】

  • 50

    ○ 물영아리오름

    - 제주도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산 188번지에 위치하

    고, 기생화산 화구호라는 지형 지질적 특이성 때문에 2000년 12

    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6년 10월에는 람사르습지

    로 등록되었음

    - 습지면적은 0.309km2이며, 화구저에 물이 고여 습지를 이루고 있음

    - 투수성이 높은 화산체 특성상 습지가 형성되기 어려운 지형ㆍ지

    질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사면의 풍화작용과 매스무브먼트로 운반

    된 세립물질이 화구저에 퇴적되어 형성된 화구호임

    - 습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이 53.7%로 매우 높으며, 토양층의 최대

    심도는 약 10m로 추정되고 있음

    - 습지 내에는 마름군락과 송이고랭이 군락이 주로 분포하고, 주변

    부에는 송이고랭이-보플군락, 고마리군락, 바늘골군락, 물고추풀군

    락과 임연식생군락으로 구분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물영아리오름의 유형분류】

  • 51

    ○ 두웅습지

    - 두웅습지는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지대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사구배후습지로 2002년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음

    - 두웅습지는 해안사구와 배후산지 사이에 형성된 습지로 수분공급

    은 주로 강우와 지표수이며, 강우보다 배후산지에 함양된 지하수

    의 기여율이 더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습지퇴적물은 중간크기의 모래와 진흙이 혼합되어 있으며, 퇴적물

    공급처는 사구와 배후사면으로 추정되며, 유기물 함량은 최대

    30.7%임

    - 습지내에는 부엽식물인 마름군락과 수련군락, 말즘군락 등, 주변

    부에는 매자기군락, 겨풀군락, 이삭사초-쉽싸리군락 등이 분포함.

    - 두웅습지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물순환기구에 영향을 미치

    는 사구의 훼손이나 지하수 양수를 억제할 필요가 있음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사구습지

    【두웅습지의 유형분류】

  • 52

    연번 습지명 행정구역 람사르유형

    습지유형 분류체계의 적용 예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1 솔방죽습지 제천시 모산동 2 인공습지 내륙 조성습지 생태수변공원

    2 뒤뜰방죽습지 제천시 신월동 2 인공습지 내륙 인공호 저수지습지

    3 장평습지 제천시 봉양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 신동습지 제천시 신동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 신리습지 제천시 청풍면 2 인공습지 내륙 인공호 저수지습지

    6 뒤실지습지 제천시 송학면 2 인공습지 내륙 인공호 저수지습지

    7 용암습지 원주시 신림면 2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8 궁골습지 제천시 봉양읍 O 내륙습지 하천형 정수역 배후습지

    9 팔송습지 제천시 봉양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0 벼루달막습지 제천시 봉양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1 화당습지 제천시 백운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2 원곡천습지 충주시 엄정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3 목계습지 충주시 엄정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4 원토곡습지 충주시 동량면 2 인공습지 내륙 조성습지 저류지습지

    15 용대습지 충주시 동량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6 버레습지 충주시 금륭동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17 능암습지 충주시 금릉동 Q 내륙습지 호수형 영구형 우각호습지

    18 서우습지 충주시 가금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형 하도습지

    19 대제지습지 충주시 호암동 2 인공습지 내륙 인공호 저수지습지

    20 달천동막습지 충주시 이류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21 셋계습지 충주시 이류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22 탑동습지 충주시 이류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23 진말습지 충주시 살미면 2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24 탄지습지 제천시 하수면 2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25 상탄지습지 제천시 하수면 2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26 흑묵습지 충주시 동량면 Xp 내륙습지 산지형 지중수 저층습지

    27 착골재습지 충주시 수산면 U 내륙습지 산지형 지중수/지표수 소택지

    28 원대리습지 제천시 수산면 2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29 상천천습지 제천시 수산면 2 내륙습지 호수형 담수역 담수호습지

    30 만덕봉습지 제천시 수산면 Xp 내륙습지 산지형 지중수/지표수 소택지

    31 요골습지 제천시 봉양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2 굴탄습지 제천시 종양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3 삼탄습지 충주시 산척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4 명돌습지 충주시 산척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5 안흥습지 횡성군 안흥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6 가리내습지 횡성군 강림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7 개건너습지 횡성군 강림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8 선계습지 횡성군 강림면 M 내륙슾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39 황둔천습지 원주시 신림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0 본부락습지 영월군 주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1 안도내습지 영월군 주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2 무릉습지 영월군 수주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일반조사습지의 유형분류 적용 예】

  • 53

    연번 습지명 행정구역 람사르유형

    습지유형 분류체계의 적용 예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43 금산습지 영월군 주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4 내신평습지 영월군 주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5 사슬치습지 영월군 주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6 화랏습지 영월군 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7 한반도습지 영월군 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8 괴골습지 영월군 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49 매운습지 영월군 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0 노가리습지 평창군 평창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1 진바리습지 평창군 평창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2 천동습지 평창군 평창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3 여만습지 평창군 평창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4 다수습지 평창군 평창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5 뭇두리습지 영월군 남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6 선돌습지 영월군 영월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7 영월습지 영월군 영월읍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8 옥동습지 영월군 하동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59 용진습지 단양군 영춘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60 영춘습지 단양군 영춘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61 향산습지 단양군 가곡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62 보발습지 단양군 가곡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63 백암습지 단양군 어상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64 안마을습지 단양군 어상천면 M 내륙습지 하천형 유수역 하도습지

    65 사평습지 단양군 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