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50
어진원-내지(수정)_07302013.07.3010:56AM페이지1 001 PDF변환목록

Upload: others

Post on 04-Jul-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 001 PDF변환목록

Page 2: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 001 PDF변환목록

Page 3: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정은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성과확산실

지식생태계구성요소와역할네트워크를 통한 비즈니스 기회 창출 전략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 001 PDF변환목록

Page 4: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 구성요소와 역할

2013년 7월 30일 인쇄

2013년 8월 1일 발행

발 행 인 | 박 서

지 은 이 | 어진원·정은지

펴 낸 곳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연구소

주 소 | (분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주 소 | (본원)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전 화 | 02-3299-6079

팩 스 | 02-3299-6289

ISBN | 978-89-294-0300-3 93510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지하며,이 책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저작권자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서면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 의 내용은 필자의 견해이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힘니다.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 001 PDF변환목록

Page 5: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차례

지식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06

자연생태계와 지식생태계의 구성요소 및 역할 19

지식생태계에서 지식은 어떻게 흐르는가 27

지식생태계 활성화의 조건과 전략 31

지식생태계를 활용한 비즈니스 기회 37

맺음말 45

참고문헌 46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 001 PDF변환목록

Page 6: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 001 PDF변환목록

Page 7: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를이해하기 위하여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5 001 PDF변환목록

Page 8: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의 개념

지식생태계(Knowledge Ecology)란 지식의 창출, 활용, 유통 및 확산과

정을 포괄하는 지식의 장으로, 지식생태계라는 용어는 1991년

Community Intelligence Lab에서 Por(2000)가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

다. 그는 지식생태계를 지식을 창조하고 활용하기 위해 더 좋은 사회

적, 조직적, 행동적, 기술적 환경(조건)을 제공해주는 방법과 실행의 장

이라고 정의하 다.

수렵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다시 산업사회로 발전하다가 1990년대 중

반 이후에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보급에 따라 정보화 사회라는 말과 개념

이 널리 사용되었다. 정보화사회는 지식기반사회라고도 하며 정보와 지식

이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가치창출의 핵심요소가 되었

다. 여기서 말하는 지식이란, 인터넷이나 도서관에 쌓여 있는 데이터와는

다르다. 데이터(Data)는 특정한 상황 속에 있는 특정한 개인이나 조직에

그 가치가 평가되지 않은 채 존재하는 소재(Senn, 1995)로 이것이 특정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는 문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 데 의미있

고 도움이 되는 소재가 된다면 그것은 정보(Information)가 된다. 지식

(Knowledge)은 더 나아가 정보 집합의 인지와 이해를 바탕으로 가장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화된 것을 말한다. 지식은 기술과 정보를

포함한 지적 능력과 아이디어 등을 총칭하는 표현이다. 그 특성은 소모적

6

지식생태계란무엇인가?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6 001 PDF변환목록

Page 9: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이지않고축적되면서개인과기업, 나아가국가경쟁력을좌우하게된다.

지식생태계란 이러한 지식의 생산, 축적, 공유, 활용, 소멸 과정이 외부

의 통제와 조정이 없어도 생태학적 원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식생태계의 특징

지식생태계는 컴퓨터와 정보기술네트워크 등 지나치게 기술적 측면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지식관리시스템과는 다르게 개인의 사회적 연결망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단순히 생태계 내에서의 지식교류 활동과 그로 인

한 관계만을 중요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교류활동이 미치는 지식의

향력과 잠재성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자연생태계가

종의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것처럼, 지식생태계도 지식의 다양성을 중요시

한다. 갑작스런 변화에 향을 받는 지식생태계의 환경에서, 지식생태계

가 생존하는데 필요한 역량은 최적화 능력이 아니라, 적응할 수 있는 능

력인데 이러한 적응력은 다양성이 있을 때 가능하다. 지식생태계에서는

지식의 접촉, 교류, 흐름이 구성되는데, 이런 구성에는 지식의 차별성과

유사성이 기초가 된다.

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

위에서 언급했듯이 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는 지식의 생산, 창조, 축적,

활용, 소멸 과정이 자연생태계와 같이 스스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시

스템을 의미한다. 기존 지식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들은 생산, 축적의 과

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유통 즉 활용과 재생산의 과정이 취

약한 문제가 있었다.

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독립적인 지식 생산이 아닌,

교류와 협력을 통한 지식 생산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더 가치

있고 의미있는 지식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저장하는 목적이 아

닌, 다양한 의견을 수렵하고 언제 어디서나 접근과 활용이 가능한 관리시

지식생태계란무엇인가? 7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7 001 PDF변환목록

Page 10: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스템이 있어야 한다. 나아가 지식을 생산하고 저장하는데서 발전하여, 개

방과 공유 그리고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지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

한 활동으로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발달한 IT기술을 이용하여 모

바일 및 클라우드컴퓨팅을 이용한 지식저장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지식

유통을 통하여 고부가, 창의, 활용 중심의 건전한 지식생태계 구축이 가

능하다.

8

출처. 미래정부 지식플랫폼 IT&Future Strategy, 2011

●●● 그림 1 미래정부 지식플랫폼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8 001 PDF변환목록

Page 11: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에관한연구 9

지식생태계 연구

지식생태계 관련 용어들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학계의 관심과 연구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전공지식을 가진 학자

들이 연구를 하고 있어 특정한 연구내용과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기

에도 무리가 있다.

현재까지의 지식생태계 관련 주요 연구주제 및 내용은 지식생태계 네트

워크 구축의 적용가능성 모색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고 있어 단편적이

고 분절적인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지식생태계 연구는 지식을 지식의 각

주체들과 분리해 하나의 개체로 이해하거나, 지식의 생성 및 공유·활용

등의 지식 네트워크만을 구분해 이해하는 개체론적 연구방법은 지양해야

하며, 지식생태계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려는 노력

이 요구된다.

최근 학문의 연구추세도 산업과 마찬가지로 학문간 융복합을 통한 연구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자연과학의 생태학적 개념을 도입한 지식생태학

도 지식경 및 관리분야와 생태학적 지식을 융·복합하려는 노력의 산물

이다. 그러나 그 연구실적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대부분 기존의 지식생태계 연구는 국가의 정책지식 생태계에 관한 접근

지식생태계에관한 연구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9 001 PDF변환목록

Page 12: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방법이나 체계 구축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행정, 교

육 및 예술 등 개별 역에서도 지식생태계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

기도 하며, 해당 연구 역의 지식 창조 및 활용 및 소멸 등 지식관리의

선순환적 과정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해당 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시키려는 일련의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현재까지 진

행된 지식생태계 관련 연구를 연구 역별로 구분하 으나, 기본적으로 분

석대상 논문이나 보고서의 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어서 각 분야의 특색

에 맞는 지식생태계 연구 논의와 이론정립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10

●●● 표 1 연구 역별 지식생태계 연구

구분 연구제목 연구내용

정책지식 생태계의 행위자기반 모형을 구축하고, 정책지식정책지식생태계활성화 생태계 복잡성과학과 생태계관리의 관점에서 7개의 핵심정책전략의행위자기반접근 활성화 조건을 도출하 음. 또한 행위자 모형의 시뮬레이션(채승병외, 2006) 을 통해이들조건이정책지식생태계의발달에미치는 향

을분석함.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정책환경과 복잡한 정책현안을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기반을 둔 실용적이고 통합적인

한국정책지식생태계활성화 정책지식이 필요, 이에 새로운 국가발전 모델의 정립을 위전략(삼성경제연구소, 2006) 해 건강한 정책지식 생태계의 조성이 필요함. 이를 위해 다

양성, 주체들간 활발한 상호작용, 적절한 정책지식 선별 메정책 커니즘등을제안하 음.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더불어 최근 IT시장은 스마트폰 사용,플랫폼, 클라우드 확산에 따라 IT 서비스, 데이터 및 콘텐츠

新가치창출을위한열린지식 등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이동하고 있음. 이러생태계구축(권 일, 2011) 한 IT 시장의 변화와 민간 및 해외정부의 新가치창출 사례

를 살펴보고 국가정보화의 지식생태계에 적용가능한 대안을마련하고자함.

한국정책지식생태계의게릴라들: 정치에서 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싱크탱크에독립민간싱크탱크의현황과 대한 관심과 기대도 높아지고 있음, 35개 독립 민간 싱크탱전망(홍일표, 2011) 크들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진행하여운 실태를분석함.

지식생태학: 지식기반사회를 지식의 창조, 활용, 소멸 과정, 즉 지식의 라이프 사이클을경 위한포스트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지식경 이 직면

지식경 (유 만, 2006) 하고있는한계와문제점을파악하고이를극복할대안을모색

정보통신 인터넷기반지식생태계의 인터넷 기반 지식생태게의 전형인 KOSEN(한민족 과학기술기술 블루오션전략(윤정선외, 2005) 자네트워크/www.kosen21.org)에블루오션전략을적용함.

지식생태학관점에서본 지식기반사회의 역동적 엔진으로서 다양한 유형의 지식을문헌 도서관리모형연구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지식체계의 구현을 도서관의 기본정보 (최희윤, 2006) 역할로보고, 이를위한지식관리모형을지식생태학관점을

통해제시함.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0 001 PDF변환목록

Page 13: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에관한연구 11

사회변화에 따른 지식생태계의 역할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STEEP 분석을 통한 각 분야별 트렌드와 15대

메가트렌드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래사회는 지능화, 감성, 창의성 등

새로운 무형의 가치를 지향하는 사회가 될 전망이다. 이는 인간중심,

감성중심, 자연친화, 소통확장을 중요시하는 사회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가능한 e-Learning을위한 본 연구는 기존의 개체론적 e-Learning의 품질관리 방안이

교육 지식생태학적품질관리방안과 갖고 있는 태생적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지식생태계로기준(유 만, 2008) 서의 e-Learning 품질관리 방안과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

을두고있음.

전국문예회관연합회가 문화예술 지식생태계의 허브(hub)로문화예술활성화를위한지식 성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하는 것임. 이를 위해

예술 공유네트워크운 방안: 토요타의 협력회사들과의 지식공유 네트워크 구축과정과경 전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사례 암묵지및형식지의공유하는방법론을조사하고, 이를기반

(강주희외, 2009) 으로 전국문예회관연합회의 지식공유 네트워크 운 방안을3단계로제시하 음.

행정학연구내용의적실성소고: 국가지식생태의 일부분으로서 행정연구내용의 사회적 적실행정학의정체성재인시과지향 성을 진단하고 행정현상에서의 유용성 제고방안을 모색(한세억, 2006) 하고자하며, 이를 통해 행정학의 지향과 과제를 시론적으로

탐색함.

행정 지방행정체제개편의이상적대안 지방행정체제 개편논의에서 지방분권적 차원에서 이상적인을위한중앙및지방정부의역할 개편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정책지식 생태계의 행위(최길수, 2008) 주체로서의 정부(중앙정부, 지방정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이바람직한가를살펴보았음.

출처.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정보화정책 제18권 제4호

●●● 표 2 STEEP분석을 통한 각 분야별 트렌드

분야 메가트렌드 내용

인구구조의변화 저출산·고령화문제등

경제적 양극화에 따른 교육기회의 차별화, 취약계층에S(사회) 양극화 대한사회책임문제등

사이버 공동체 활성화, 토국가에서 네트워크 국가로네트워크사회 전환, 정보독점및정보의평준화등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 간 상호작용 증대, 증강현실,T(기술) 가상지능공간 실감형컨텐츠등

기술의융복합화 기술-산업간융복합화, 전통산업과신기술의융합등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1 001 PDF변환목록

Page 14: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인간가치가 중심이 되는 미래사회는 하드웨어적 역량과 소프트웨어적

역량의 활발한 융·복합 진행이 예상된다. 전통적인 노동력·토지·자연

자원과 같은 유형의 역량과 인적자원·문화력과 같은 무형의 소프트웨어

적 역량 뿐만 아니라 두 역량간의 융복합을 통한 창의성·정보 활용력·

창조적 혁신과 같은 새로운 역량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지식은 이러

한 역량간의 융복합을 활성화하고, 창의성과 같은 역량의 기초로 작용한다.

지식은 단순히 지식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

라, 창출하고 유통하고 활용하는 지식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로 확장 가

능하기 때문에 가치있는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활

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를 구현하는 것이 미래

新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핵심전략이 된다.

12

로봇 휴머노이드로봇, 군사용로봇, 나노로봇, 정서로봇등

웰빙/감성,복지경제 삶의질중시, 신종질병/전염병증가

E(경제) 지식기반경제 경제의소프트화현상심화, 지식경 확산

로벌인재의부상 지식경쟁력부상, 창의력과감성의부각등

기후변화및환경오염 환경안보부각, 국제탄소거래제도, 물부족문제등

E(환경) 에너지위기 자원고갈심화, 지속가능한에너지체제로의전환

기술발전에따른부작용 기술패권주의, 개인정보보호등부작용문제

로벌화 인력및자본이동, 다문화및이종문화등

P(정치) 안전위험성증대 신종질병및전염병확산, 핵확산

남북통합 북한문제의국내화및급변화, 북한의불확실성등

출처. 미래정부 지식플랫폼 IT&Future Strategy, 2011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2 001 PDF변환목록

Page 15: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네트워크(지식생태계) 사례및특징 13

P&G의 Open Innovation 전략

P&G그룹은 연구개발(R&D)때 외부 인력을 활용하는 오픈이노베이션 전

략 활용하 다. 7,500명의 내부 연구 인력을 지닌 이 회사는 획기적인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 인력을 모두 고용하는데서 오는 경 부담

도 덜고자 150만명의 외부 인력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신제품 개발 시 기

획의도를 담은‘기술요약서’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하여 함께 해결방안

을 모색하 다. 또한, 모든 직원이 R&D 프로젝트 추진 때 활용 가능한

외부기술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제품의 35%, 개발계획

의 45%가 외부아이디어로 만들어졌고, 이로 인한 R&D 생산성이 60%

증가, 순이익은 2001년 29억달러에서 2006년 87억달러로 급증하 다.

P&G가 처음 오픈 이노베이션 개념을 적용했을 때 내부 연구개발 부서

는 외부의 아이디어에 대해 회의적이었고‘우리 것이 아니다’라는 자세

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P&G는 회의적인 자세를‘찾아냈다’라는 긍정적

인 자세로 바꾸기 위해 외부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찾아낸 이들에게 보상

하고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외부 발굴도 내부의 발명만큼이나 동일한 정

도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 다.

이노베이션 개념도입을 통해 P&G는 매출이 300억 달러일 때는 5%

정도의 R&D 비용을 투자했으나 도입 이후 매출 700억 달러에 3.7%투

자로 매출액 성장대비 R&D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지식생태계) 사례 및 특징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3 001 PDF변환목록

Page 16: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Ideas worth spreading : TED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는 미국의 비 리 재단으로

1984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정기적인 지식 컨퍼런스를 개최하

고 있다. TED는 2001년‘지식 공유를 통한 인류 공동체의 회복’을 모

토로 비 리 조직으로 변신하고, 2006년 6월, 강연 일부를‘TED

Talks’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에 무료로 공개하 다. 오프라인 TED

Conference의 참가비는 약 6천불이나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강의가 배

포되면서 2010년에만 2억 회의 시청 수를 기록했을 정도로 폭발적으로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TED는 전문적인 지식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 AIDS, 환경 오염 등과 같은 소외된 세상과의 대화와 지원 호

소하여 가치 있는 지식과 감동을 공유함으로써 약 4,300여명의 자원봉

사자들을 통해‘오픈 번역 프로젝트’로 비 어권 이용자를 위한 번역 서

비스 실시하는 등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진화하 다. 최근에는 문

자 지식으로부터 소외된 사람들, 고용량의 비디오 콘텐츠를 소화할 수 없

는 제3세계 사람들을 위한‘오픈 더빙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진정한 의

미의 지식의 민주화를 실행하고 있다

클러스터사업(한국산업단지공단)

클러스터(Cluster)는 특정분야의 기업, 대학, 연구소, 정부/지자체 등이

일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혁신과 사업기회를 확대하는 결집

체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005년부터 R&D역량 강화, 네트워크 활

성화 등을 통해 산업단지를 신성장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산업단지 클러스

터 사업을 실시하 다. 7개 시범단지(창원(기계), 구미(전자), 울산(자동

차), 반월·시화(부품소재), 광주(광산업), 원주(의료기기), 군산(기계·

자동차부품))을 대상으로 산업단지 클러스터 사업을 시작해 2007년에는

성과확산을 위해 5개 산업단지(인천 남동(부품소재), 대구 성서(메카트로

닉스), 부산 녹산(조선기자재), 전남 대불(중형 조선) 충북 오창과학(전자

정보))를 추가로 지정하 다. 2010년에는 전국 193개 산업단지를 대상

으로 광역클러스터 구축사업을 개시하 다.

14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4 001 PDF변환목록

Page 17: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네트워크(지식생태계) 사례및특징 15

한국산업단지공단의 클러스터사업을 통해 업종·기술분야별 소규모 산

학연협의체(미니클러스터)가 운 되면서 지식과 기술의 활발한 교류를 통

해 수요자 중심의 문제인식과 과제해결을 통한 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있

으며, 총 7천여명의 미니클러스터 회원이 과제발굴과 해결논의, 기술포

럼, 세미나 등 네트워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2012년 12월 기준으로 기업 5,275명, 대학 932명, 연구소 254

명, 지원기관 721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과제발굴 및 해결, 세미

나 등 총 49,535회의 네트워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는 1999년 이래 과학기술부, 교육

과학기술부, 미래창조과학부 지원 사업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운 하고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2013년 현재 70여개국 10만여 회원들로 이루어졌다. 네트워

크를 통한 한인 과학기술자들의 지식 공유가 주목적이며, 연구자들을 위

●●● 그림2 미니클러스터 구성·운 체계도

출처.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주요사업-클러tm터사업)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5 001 PDF변환목록

Page 18: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한 다양한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KOSEN는 전 세계에 흩어져있는 네트워크의 특성상 온라인을 통한 교

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10만여 회원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성공요인으로

는 편리한 사용환경과 빠르고 안정적인 시스템 제공하는 디지털 공간 제

공과 가치있고 새로운 정보, 참여프로그램, Reputation 프로그램을 통한

반복적 접속 유도, 그리고 오프라인 모임 등 다양한 커뮤니티 및 지원 프

로그램을 들 수 있다. 시스템보다는 사람에 초점을 둠으로써 우수회원들

간의 높은 충성도을 유발하 고, 능력있는 Global 자문단을 구성하여 빠

르고 정확한 문제해결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외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 하

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협의회(ASTI)

과학기술정보협의회(ASTI, Association of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구축, 운 하는 선순

환 산-학-연 지식생태계로, 지식교류와 지식창출, 그리고 지식기부가 이

루어지는 국내 최대 지식공동체이다. 지역별 과학기술정보 클러스터 협의

체로 운 되어 오던 것을 2009년에 전국과학기술정보협의회로 발족했으

며 현재는 8,000여명의 중소기업 CEO 및 CTO들과 함께 대학, 연구

소, 공공기관 및 대기업 관계자, 그리고 각급 기업지원기관 및 컨설팅업

체 등 12,200여명의 각계 전문가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KISTI는 ASTI 회원 기업들의 성공과 강소기업화를 위해 KISTI의 방대한

지식자원과 탁월한 정보분석 역량, 그리고 강력한 슈퍼컴퓨팅 파워 등 인

적·물적자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자생적인 지식창출 및 교류를 위하여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로벌 트렌드에 따른 대응 R&D 기획, 기술사업화 전략 모색등을 위한 연

구클럽인 지식연구회를 운 하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의 지식세미나를 통

하여 최신의 유효한 지식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장을 마련하고 있다.

16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6 001 PDF변환목록

Page 19: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구축이왜필요한가 17

정보의 양 증가와 의사결정의 어려움

1991년에 구입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용량은 40MB 다. 워드작업

을 하고 게임을 설치해도 남는 엄청난 용량이었다. 그러나 요즘엔 1GB

짜리 USB 메모리로도 사진 몇 장을 담고 나면 금세 꽉 차버린다. 국내

디지털 정보량은 2006년 2,891 petabyte에서 2011년 27,237petabyte

로 매년 57%의 증가율로 증가하 다.

정보가 많으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까? 피터 모빌과 러는 러의 ∩

곡선을 통해 일정 이상의 정보는 의사결정을 오히려 더 어렵게 만든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는 지식의 상호작용을 통한 메가브레인

시대로 수명을 다한 쓰레기 지식(Obsoledge)을 걸러내는 능력이 매우 중

요해지고 있다. 피터 드러커도 홍수 가운데서 식수를 찾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며 정보의 양이 증가하는 것이 긍정적인 요소만 있는 것이 아님을

이야기하 다.

지식생태계 구축이왜 필요한가

●●● 그림3 정보의 증가와 의사결정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7 001 PDF변환목록

Page 20: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18

창의적 사고의 필요

지식과 창의적 문제해결과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창의성이란 새로운

생각보다는 기존의 것을 다르게 생각하는데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없

던 것을 새롭게 만든다기보다는 기존 지식과 기존 지식의 조합으로 새로

운 지식을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존 지식이 고급 정보일수록 새롭게

조화된 지식이 가치있는 지식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여러 각도에서 다양

하게 생각할 때 획기적인 지식이 창출될 수 있다. 지식은 사람에게서 나

오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고급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일 때 창

의적 지식이 생산될 수 있다.

정책적 요구

정권과 시대변화에 맞춰 정부가 강조한 국정철학도 변화가 있다. 노무

현 정부는‘혁신’, 이명박 정부는‘녹색’을 강조해왔다. 그리고 박근혜

정부는‘창조’가 강조되고 있다. 창조의 사전적 의미는 없던 것을 새로

만드는 것으로 박근혜 정부가 강조하는‘창조경제’는 완전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창작활동부터 기존에 있는 것들의 융복합을 통해 고도

화하거나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창조경제를 가능하게 하는 조

건 중 하나가 바로 지식생태계 조성이다. 가장 성공한 벤처기업의 하나인

구 은 창조경제의 조건으로 지식의 개방과 공유를 들고 있으며 혁신의

기반은 바로 사람에게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산학연 연계 인적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생태계 구축과 이를 통한 지식의 창출을 통한 신사

업 발굴 및 일자리 창출은 창조경제를 완성하는 중요한 선행조건으로 요

구되고 있다.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8 001 PDF변환목록

Page 21: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자연생태계와 지식생태계의구성요소 및 역할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19 001 PDF변환목록

Page 22: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20

생태계

생태계라는 용어는 1935년 국의 식물학자 탠슬리(A.Tansley)가

제창하 으며 이에 앞서 학문분야로서 생태학(生態學, ecology)이란 용어

가 정의된 것은 1866년 독일의 생물학자 핵켈(E. Haeckel)에 의해서

는데 어원은 "집"을 뜻하는 그리스어 "oikos"이다.

예를 들면 여러 종류의 동식물이 알맞게 존재하는 숲은 하나의 독립된

생태계를 이루며 필요한 모든 물질이 숲속에서 공급, 소비된다. 또한 물

과 공기, 수초와 물고기가 알맞게 들어있는 호수는 (또는 봉된 어항에

서도 햇빛만 공급된다면 언제까지나 지속될 수 있음.)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하나의 생태계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우주공간에서 볼 때 지구는

태양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자원과 에너지가 자체 내에서 공급, 소비되는

하나의 독립된 계로 볼 수 있다.

구성요소

생태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크게 무기물질, 유기화합물, 기후인자, 생산

자, 소비자, 분해자로 나뉜다. 무기물질은 흙, 질소, 탄산가스, 물 등 자

연적으로 존재하며 순환되는 물질이며 유기화합물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부식질(동식물이 썩은 것) 등 생물체에 의해 만들어지고 순환되는

물질이다. 기후인자는 햇빛, 온도, 습도, 바람 등 생태계에 향을 미치

자연생태계의구성요소와 역할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0 001 PDF변환목록

Page 23: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자연생태계의구성요소와역할 21

는 외부 요소이다. 생산자는 녹색식물로서 무기물로부터 양물을 만들어

내는 생물군이며, 소비자는 주로 동물로서 다른 생물이나 유기물질을 먹

이로 하는 생물군이고 분해자는 박테리아, 진균류(곰팡이 등) 등 미생물

로서유기물을분해하여무기물로바꿔식물의 양물로공급하는생물군이다.

무기물질, 유기화합물, 기후인자는 무생물적 인자이며,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인 생물들은 생태계의 주체로서 생태계 내에서의 역할은 각각 다르

나 서로의 기능을 필요로 하며 생태계의 유지를 위해 이들의 역할은 필수

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생태계의 구성요소로서 무생물적 인자와 생산

자, 소비자 및 분해자의 네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무생물적 인자

무생물적 인자는 무기물, 유기화합물과 기후인자로, 생물활동의 터전이

되고 생물 개체를 구성하거나 또는 생존을 위한 외적조건을 결정짓는 요

소이다. 이는 어느 생태계에서든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본적인 인자로는

흙, 물, 공기, 햇빛을 들 수 있다. 흙은 땅위의 동식물이 살아가는 터전

이 되며 미생물이나 벌레에게도 흙은 삶의 공간이 된다. 그러나 흙의 역

할이 단순한 터전의 제공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흙 속으로 공기와 물이

유통되어야 하고 또한 물과 양소가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물은 생물

체의 구성과 생명 유지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수중생물의 생활공간으로

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공기는 산소와 탄산가스를 저장하고 순환시키는

한편 열을 저장하여 지구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수분을 함유하여 비를 뿌

림으로써 지구의 곳곳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햇빛은 생태계의 구

성요소 중 유일한 지구 외부의 요소로서 지구에 빛과 열의 형태로 에너지

를 공급한다. 식물에 흡수된 에너지는 광합성에 의해 양물로 바뀌어 저

장되며 지면과 수면에 도달한 에너지는 흡수 또는 반사된 후 지구를 둘러

싼 공기층에 의해 보존된다. 생물의 생존을 위해서는 이들 요소가 고루

갖춰져야 하며 각종 양물도 공급되어야 한다.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1 001 PDF변환목록

Page 24: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생산자

생산자는 엽록소(chlorophyll)를 가진 녹색식물이 해당되며 광합성에 의

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과 비타민을 생산하여 생물체에 공급한다. 광

합성으로 생산된 포도당은 다당류, 전분, 섬유질 등 탄수화물로 합성되며

일부는 단백질과 지방질로 바뀌어 식물자체의 성장에 소비되는 한편 동물

의 먹이로 공급된다. 그러나 모든 식물이 생산자의 역할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엽록소가 없는 식물은 양물을 생산하지 못하고 죽은 나무나 벌

레의 몸속에 뿌리를 내려 양분을 흡수하며 끈끈이주걱이나 파리지옥같

은 식충식물은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의 역할도 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강, 호수 또는 바다속에서는 수초등 수중식물이 생산자이며 햇빛이 도

달할 수 있는 비교적 얕은 곳에 존재한다. 반면 수면에는 식물성 플랑크

톤이 있으며 조류(藻類)나 단세포식물이 이에 속한다. 특이한 예로 빛에

너지 대신 유기물을 분해하여 얻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

물을 합성하는 화학합성 박테리아도 있다.

소비자

주로 동물이 해당되며 종류와 계층이 매우 다양하다. 식물을 먹이로 하

는 외에 동물끼리도 서로 잡아먹고 먹히는 등 구성요소 및 서로간의 관계

가 복잡하다. 따라서 먹이로서 어떤 계층의 생물을 취하는가에 따라 일

차, 이차 및 삼차소비자의 세 부류로 나뉜다. 일차소비자(primary

consumers)는 식물을 먹이로 삼는 토끼, 다람쥐, 사슴같은 초식동물(

herbivores)과 곡식이나 나무열매를 주식으로 하는 곤충 및 벌레들이 이

에 해당된다. 이들은 다음 계층인 이차 또는 삼차소비자의 먹이가 된다.

이차소비자(secondary consumers)는 일차소비자인 초식동물을 먹이로

하는 한편 자신보다 큰 육식동물의 먹이가 된다. 육식동물 중 아랫단계에

속하므로 일차육식동물(primary carnivores)이라고도 한다. 삼차소비자

(tertiary consumers)는 초식동물과 일차육식동물을 먹이로 한다. 이차

육식동물(secondary carnivores)로 분류되며 호랑이나 사자와 같은 맹수

와 맹금류, 악어 등이 이에 속한다.

22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2 001 PDF변환목록

Page 25: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한편 포식-피식의 관계는 고양이와 쥐에서처럼 포식자와 피식자가 고정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먹고 먹히는 쪽이 항상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경우도 많다. 소비자의 분류는 항상 적용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고

처해 있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특이하기는 하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비자로서 사물소비자

(detritus feeder, saprovores)가 있다. 이들은 죽은 동식물이나 배설물

을 먹이로 하는 부류이다. 하이에나, 독수리 등 고등동물과 풍뎅이류, 지

이 등 하등동물 및 버섯이나 곰팡이 등 일부 식물에서 찾아볼 수 있으

며 위의 소비자들이 취하지 않는 부분을 먹이로 하므로 생태계의 순환과

정을 유지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중요한 존재이다.

분해자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이에 속하며 박테리아 종류가 가장 많으므로

흔히 같은 의미로 쓰인다. 유기물상태의 사체나 배설물을 탄산가스, 메탄

등의 가스와 물 및 각종 무기질로 분해한다. 주로 지표면이나 지면부근의

얕은 흙 속에 서식하나 공기와 물속에도 존재하며 동식물의 사체, 배설

물, 낙엽 등을 먹이로 한다. 분해된 물질은 공기 중이나 흙, 물속으로 방

출되며 이로써 생태계에서의 물질의 순환은 완성된다.

분해자의 중요성은 유기물을 무기물로 환원시키는 데에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무기물상태의 양소를 뿌리를 통해 흡수하므로 무기물상태로 분

해되지 않은 사체나 배설물은 이용할 수 없는데 유기물을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분해하는 것이 분해자의 역할이다.

생산자는 광합성을 통해 태양에너지와 무기질을 유기 양물로 바꾸고,

소비자는 양물을 다음 단계의 소비자에게로 이동시키며, 분해자는 유기

물을 다시 무기물로 분해하여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 순환을 완성시킨다.

자연생태계의구성요소와역할 23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3 001 PDF변환목록

Page 26: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의 구성요소와 역할

지식생태계는 첫째, 새로운 지식 생산을 위해 지식생산자 주체 간 생산

적 대화의 장인 인적 네트워크(People Network), 둘째, 지식창조 주체

간 호혜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아이디어, 정보, 감 공유의 장

인 지식 네트워크(Knowledge Network), 셋째, 지식 데이터베이스, 커뮤

니케이션 링크, 그룹웨어 등으로 연계된 기술적 지원의 장인 기술 네트워

크(Technology Network)고 구성될 수 있다. 이 세 가지로 연계된 지식

생태계는 생산된 지식에 가치를 부여하여 활용되는 지식이 되게 한다.

지식생태계의 행위 주체들과 자연생태계 비교

자연생태계에서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

하는 생산자와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로 구분된다. 그러나 지식생태계는

자연생태계와 달리 지식의 창출과 교류의 개념이 명확히 나눠지지 않는

24

●●● 그림4 지식생태계 네트워크 구성요소

출처. 지식생태학: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 , KMRC 지식생태계 9월 SIG, 2007.9.28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4 001 PDF변환목록

Page 27: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다. 자연생태계에서의 유기물과는 다르게 지식생태계에서의 지식이란 누

군가 생산한 지식을 일부 활용하고, 재창조하기 때문이다.

지식생산자

자연생태계에서 광합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무기물이 유기물로 합성되듯

이, 지식생태계에서는 각종 전자문서, 인쇄문서 등의 형식지(explicit

knowledge)와 여타 암묵지(tacit knowledge)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지식

들이 다수의 지식생산자들에 의해 인지되고 다양한 학습을 거쳐 가공되어

야만 활용 가능한 형태로 변화된다.

지식은 인지과정에서 개별 생산자의 관점과 지적인 능력에 의해 변형되

어 인식되기도 한다. 이러한 인지체계에서의 변형은 지식과 정보의 정확

한 전달과 확산을 방해하는 기능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다양성을 부여

하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으로도 작용한다. 이

렇게 인지된 지식은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된다. 지식생산자는 유한한

크기의 지식 저장용량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개별 생산자의 능력과 접

한 관련이 있다.

지식생산자들은 연구 활동을 통해 저장된 지식을 기반으로 하거나 지식

생산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낸다.

정책지식 생태계 모형에서는 이러한 지식생산자의 속성을 구현하기 위

해 지식생산행위자(개인 또는 기관)에서 지식생산자(집단)로 이어지는

2단계의 계층구조를 설정하 다. 이 계층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집단지식

생산자는 다수의 개인지식생산자로 구성되어있다.

자연생태계의구성요소와역할 25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5 001 PDF변환목록

Page 28: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소비자

지식소비자는 지식생산자가 생산한 지식을 의사결정등에 사용한다.

지식소비자는 의사결정을 위해 적절한 지식산물을 선택함으로써 지식생

산자와 지식생태계 전체에 큰 향을 미친다.

지식분해자

지식소비자에게 선택받지 못한 지식들이 그대로 남아있을 경우에, 쓸모

없는 정보의 양만 늘어나게 되어 다른 소비자들이 정보를 선택할 때 혼란

을 주게 된다. 지식분해자는 무분별하게 늘어난 지식을 수집하고 조사하

여 지식생산자들 혹은 지식소비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가공하

는 역할을 한다.

26

●●● 그림5 지식생산자의 2단 계층구조

출처. 정책지식 생태계 활성화 전략의 행위자기반 접근, 2006.12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6 001 PDF변환목록

Page 29: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에서 지식은어떻게 흘러가는가?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7 001 PDF변환목록

Page 30: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28

지식의 창출

지식의 창출 주체는 지식을 만들어내는 조직과 개인이다. 즉, 연구기관

과 연구기관에 속하지 않은 그들이 지식의 창출 주체라 할 수 있다. 지식

의 요구가 생기면 지식의 창출이 이루어지고, 창출된 지식은 경쟁 구도를

갖는데 이 때 창출주체간의 공진화가 일어나 지식 창출의 진화와 발전을

일으킨다.

지식의 교류

지식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 연구기관, 개인과 같은 지식 활용의

주체자들은 서로 지식을 활용, 공유한다. 지식 창출 주체들 사이에 정보

가 교환되고 순환하면서 지식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지식의 재창조

지식의 교류로 생성된 지식은 다시 재창조되어 활용 주체들에게 전달

및 유입되고, 창출 주체는 이들 요구를 기반으로 지식을 교류하며 지식

생태계를 이룬다. 지식요구→창출→교류→재창조→지식요구가 순환적으

로 이루어진다.

지식의 창출, 교류, 재창조를 통한 지식의 흐름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8 001 PDF변환목록

Page 31: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29

지식생태계의 4가지 원리원칙

자연생태계는 늘 살아 움직이면서 성장, 발전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

한다. 자연생태계에는 생태계를 유지, 존속시키고 성장, 발전시키는 자연

의 원리와 법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식생태계에도 자연생

태계와 같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는 선순환의 원리가 과연 존

재하는가? 이에 대해 한양대학교 유 만교수는 자기조직적 갱생원리, 상

호의존성의 원리, 불일불이의 원리, 잡종강세의 법칙 등 자연생태계의 법

칙과 유사한 네 가지 원리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자기조직적 갱생원리란 외부의 개입 수단이나 통제,조정 기능 없이도

생태계 자체의 성장 메카니즘에 따라 자가 발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케 하는 원리이다. 이는 문제제기와 미래 지향적 성찰활동에 이어 문

제해결 활동이 이루어지며, 그 활동을 통해 창출된 혁신안을 지체 없이

수용하는 동시에 종래의 관행과 폐습을 버리고 탈구성적 창조활동으로 몰

입하는 자가발전적 선순환 과정을 거듭하는 메카니즘을 따른다.

상호의존성의 원리는 생태계 속에서 혼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듯이 하나의 지식은 그 지식이 내포하고 있는 사회역사적 관

계성으로 말미암아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다른 지식과의 연계성 속

지식순환의개념과원리

지식 순환의 개념과 원리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29 001 PDF변환목록

Page 32: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에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의 지식은 또 다른 사람의 지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나의 주장과 의견은 다른 사람의 주장과 의견이 갖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 강점과 특성에 근거해서 또 다른 주장과 의견을 피

력하거나 비판적인 논점을 제시하는 가운데 창조,적용,활용,소멸되는 순

환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것이다.

불일불이의 원리는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는 상생의 원리다. 이는 우열

가리기를 통한 상대방 죽이기 전략 대신에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각자의

전문성과 독창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예를 들어 지식창

조자와 지식소비자, 지식파종을 통한 지식발아와 지식열매 맺기를 통한

지식씨앗 남기기는 별도의 행위주체이자 활동이므로 서로 별개의 주체이

다. 하나가 아닌 두 가지 행위 주체가 우열 가리기 경쟁을 통해 공멸의

길을 가기 보다는 각자의 차이를 통해서 공존공 을 모색해야 함을 의미

한다.

마지막으로 잡종강세의 법칙은 잡종은 질적 수준이 낮다는 기존의 이분

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나와 다른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유연

한 사고에 바탕을 둔다. 자연세계에서 이질적인 두 가지 이상의 종을 교

배시켰을 때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원리나 결과물이 창조되듯

이, 지속 가능한 지식생태계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개체들이

생태계의 본질적 속성인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공생관계를 맺기 위해 이타

적 파트너쉽을 형성해야 한다. 이때 잡종강세 법칙에 의해 이종 지식이

지속적으로 창조되고 공유되다가 일정한 시점이 지나면 가치가 낮은 지식

은 자동 폐기 처분되어 소멸되는 지식생태계의 선순환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30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0 001 PDF변환목록

Page 33: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 활성화의조건과 전략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1 001 PDF변환목록

Page 34: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열린 시스템

흔히 생태학에서 건강한 생태계는 열린 시스템이다. 열린 시스템은 생

태계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유입되며, 이 에너지가 생태계의

질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닫혀 있는 생태계는 죽어있는 생태계

와 마찬가지이다. 고립된 생태계에서는 외래종의 유입이나, 기후의 변화

등 환경의 변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여 생태계의 파괴현상이 종종 발견

된다. 따라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생태계 외부로부터

끊임없이 에너지를 유입시켜야 하며 에너지원을 다변화 시켜야 한다.

호주와 같이 장기간 고립된 생태계에서 분화된 종들은 유럽인 이민 과정

에서 초래된 외래종 침입에 의해 많은 수가 멸종위기를 맞았다.

지식생태계에서도 점점 복잡해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부 지식의 내부로의 고른 유입이

필요하다. 외부 지식이 꾸준히 유입되지 않고 고립된 생태계는 갑작스러

운 개방으로 파괴적 결과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민·관 협력과 참여를 통한 공공서비스의 개방적 Value

Chain 조성이 필요하다. 정부는 공공정보 및 정부 서비스의 활용 확산

등 플랫폼 정부로 전환되어야 하며 정부의 개입으로 가치 높은 플랫폼을

창출할 수 있다. 산업계는 정부의 Open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신개념의

서비스를 창출하며 창의적인 플랫폼 제공으로 로벌 플랫폼 서비스 선도

32

지식생태계 활성화조건과 전략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2 001 PDF변환목록

Page 35: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기업으로 혁신하여야 한다. 일반인들은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및 공유로 집단지성 시너지를 창출하고 정부의 플랫폼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정부와 소통 및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양성 확보

건강한 생태계는 구성하는 종의 다양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종과 종

사이의 관계가 복잡한 먹이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먹이사슬의 다양성 때

문에 외부환경의 단절적 변화에 대해 항상성을 유지한다. 생태계의 건강

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종의 다양성은 필수적이다. 다양하지 않은 생태

계는 환경의 변화에 획일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고, 이는 외부환경이 급격

하게 변화했을 때 생태계가 파괴될 가능성을 높인다. 이것이 구조화된 다

양성의 증진에 해당된다. 지식생태계에서도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교류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들이 공존해야 한다.

소비자가 지식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그 지식을 만든 생산자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존중이 필요한데 이는 사회적 신뢰로 형성된다. 생산자의 산

물을 폭넓게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생태계의 종들은 환경변화에 따라

생존능력이 매우 취약해질 수 있다.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

건강한 생태계에서는 다양한 개체와 이러한 개체로 구성된 종들이 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서로 먹이를 두고 경쟁하기도 하고 협력

하기도 한다. 또한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로 얽혀있는데, 이러한 먹이사

슬이 계층적이지 않고 복잡하게 얽혀있다. 종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상호

작용의 다양성 역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이 된다. 지식

생태계에서 지식을 교류하는 방법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며,

다양한 관계 속에서 지식이 교류되어야 한다.

지식생태계활성화조건과전략 33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3 001 PDF변환목록

Page 36: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의 순환

생태계는 유입된 에너지가 생태계 전체에 흘러 다녀야 하고, 내부적으

로 끊임없는 물질의 순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에너지는 생태계내의 생물

들 사이에서 먹이 사슬을 따라 전달되고, 궁극적으로는 열에너지의 형태

로 방출된다. 생태계에서 에너지 흐름은 비가역적이며, 단계가 높아질수

록 전달되는 에너지의 총량은 감소하고 에너지 효율은 증가한다.

현대는 스마트 IT환경에 적합한 고부가가치의 정보생산, 저장, 활용 지

식생태계로 진화되었다. 스마트기기뿐 아니라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지

식을 유통하는 방법이 매우 다양해졌다. 가치있는 지식을 저장 및 활용기

반 시스템 구축을 통해 저장하고 개방, 공유를 위한 손쉬운 접근과 활용

으로 이를 유통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 지식을 재생산하고 지식을 진화시

키는 지식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지식의 자연적 조절

생태계는 환경에 적응한 종이 자연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 생태계의 종들은 환경의 변화에 스스로 자신의 유전형질을 바

꾸어서 환경과의 적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적응을 한다. 또한 생태계는

환경과 가장 적합한 종이 선택될 수 있는 자기조절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

다. 이러한 자기 조절 메커니즘으로 인해 생태계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것

이며, 그 한계능력을 넘어서면 생태계의 파괴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뿐

만 아니라 생태계와 종들은 서로 공진화한다. 종들이 생태계에 일방적으

로 적응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환경을 변화시켜가면서 살아간

다. 또한 종들 상호간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공진화한다. 토끼와 여우의

관계에서 토끼의 숫자가 증가하면 토끼를 잡아먹는 여우의 숫자가증가하

고, 그러면 너무 많이 잡아먹어서 토끼의 숫자가 감소하고, 먹이가 없어

진 여우의 숫자가 자연스럽게 감소하고, 그러면 다시 토끼의 숫자가 증가

하는 식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진화한다. 이것이 자기조절능력의 구비에

해당된다.

34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4 001 PDF변환목록

Page 37: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혁신적인 지식의 변화

여섯 번째로 생태계가 활성상태를 유지하고 진화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돌연변이, 새로운 종의 유입, 산불 등 기존에 우위를 점한 개체군들이 사

라지고 새로운 개체군이 등장하는 계기가 끊임없이 제공되어야 한다. 즉

생태계의 긴장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정정도의 혼돈이 존재해야 한

다는 것이다. 자연 생태계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에너지 및 종들의

유입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지속적으로 유

지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혼돈이 발생해야만 한다. 이것이 새로운 시도

의 추구에 해당된다.

지식생태계활성화조건과전략 35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5 001 PDF변환목록

Page 38: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6 001 PDF변환목록

Page 39: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를 활용한비즈니스 기회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7 001 PDF변환목록

Page 40: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38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의 성패

비즈니스 생태계는 혁신주체들의 인센티브 시스템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수립되는가에 의해 그 성패가 좌우된다. 즉, 가치사슬에 존재하는 전문화

된 주체들 상호간의 인센티브 체계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있느냐

가 중요하다.

개인, 대학, 연구기관, 정부, 개별기업 등 기술혁신을 창출하는 주체들

의 인센티브 체계는 가치사슬과 비즈니스 생태계 관점에서 구축되어 있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혁신을 창출하는 생산자들의 인센티

브는 미약하고, 이는 다시 혁신을 시장으로 끌어오는데 전문성을 가진 주

체들의 인센티브 역시 미약하게 한다.

비즈니스 생태계(Ecosystem)의 주요 구성 요소

기술사업화 관점에서 비즈니스 생태계를 고려할 경우, 비즈니스 생태계

는 기술의 생산자(공급자)와 수요자, 그리고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environments), 즉, 정책(policy) 및 인프라(infra)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비즈니스기회 창출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8 001 PDF변환목록

Page 41: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기술혁신에서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포괄하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한

이유는 한 기업의 기술적 혁신이 독립적으로 성공적인 혁신을 달성하기보

다는 오히려 생태계 내에서 혁신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의 동반

된 변화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공공기술 이전 사업화

70년대부터 정책적으로 공급확대 중심의 기술개발을 통해 IT 등 일부

기술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의 기술 강국으로 부상하는 등 우리나라의 과

학기술 수준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국가

연구개발과제(대학, 국공립연구기관 등)를 통해 얻어진 연구개발성과가

민간으로 이전되어 경제적인 향(economic impact)을 창출하는 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인해 2000년대 이후에는 정부 R&D사업에서도

연구개발 성과의 민간이전 및 사업화를 활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적인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가시적인 성과가 창출되

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공공연구개발 성과를 민간으로 이전 및 사업화

다양한비즈니스기회창출 39

●●● 그림6 기술사업화 관련 비즈니스 생태계 구성 요약도

출처. 산업기술생태계 관점에서 본 기술이전사업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2011.6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39 001 PDF변환목록

Page 42: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촉진을 위해 최근 우리 정부는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

계의 출연(연)이 자신들이 보유한 인적역량과 기술을 중소기업을 통해 사

업화를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창

출하기 위해서는 물론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

러한 노력들 역시 공급자적 관점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

40

●●●표 3 정부의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정책 변화 방향

구분 1차계획(‘00~’05) 2차계획(‘06~’08) 3차계획(‘09~’11)

정책방향 - 기술거래시장기반조성및활성화 - 기술이전사업화기반확충 - 기술기반 로벌기업육성

-기술거래시장활성화지원 - 공공기술이전사업화촉진 - 기술자원의발굴및관리및제도정비 - 기술평가시스템및기술금융확대 - 전주기적사업화지원시스템

추진전략 -기술거래및사업화촉진기반조성 - 기반확충및국제협력 - 기업성장단계별기술금융공급- 로벌시장진출지원

- 기술이전촉진법제정 - 기술이전사업화촉진법제정 - 기술사업화성공사례창출(2000년 1월) (2006년 12월)

추진성과 - 기술거래소설립 - TLO, R&BD, FIRSTEP 등- 국가기술은행(NTB) 등

출처. 지식경제부(2009), 지식경제부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계획

●●●표 4 공공연구 성과의 민간이전사업화를 위한 주요 정부사업 현황

사업 주요사업목적 주요내용

- 국내외기술이전- 사업화통합정보시스템구축을 - 국가기술사업화정보망구축통한기술이전서비스제공및 - 국가특허신탁센터설치운 을통한특허유통활성화기술시장활성화촉진

- 기술평가의신뢰성제고를위한 - 기술평가모형개발및개선기술평가모형개발및기술평가 - 기술평가시스템개선지원 - 기술평가와기술금융연계

- 기술사업화전문인력양성및 - 4대권역별우수TLO선정지원확대공공부문기술이전조직의 - 테크노파크(TP)내지역기술이전센터(RTTC) 운 지원역량강화 - 기술이전사업화전문MOT 인력양성

- 기술지주회사 설립 지원을 통한 대학, 출연(연)의 기술사업화촉진

- 로벌기술이전사업화네트워크 - 해외기술사업화 전문기관과의 로벌성과확산네트워크구축을통한기술수출및거래 구축 (유럽 EEN가입, 국제회의개최)활성화 - 로벌기술사업화센터구축지원

국가기술자산(NTB)

활용촉진

기술평가통합플랫폼

구축

기술거래인프라지원

로벌성과확산강화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0 001 PDF변환목록

Page 43: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대학이나 출연(연)에 의해서 창출된 연구 성과를 민간으로 이전하여 사

업화를 성공적·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연구개발 성

과에 대한 수요측의 속성을 파악하고, 그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

을 병행적으로 추진하지 않는다면 공급중심의 기술이전사업화정책이 기

대만큼의 성과를 창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요자측

요구에 따른 기술개발과 시장중심의 기술이전사업화 추진을 위해 정부는

주로 민간부문의 자체적인 기술이전사업화 역량을 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에 초점을 맞추고, 아울러 기존의 일부 기술공급 측면 기존 문제점을 개

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종산업 융복합을 통한 아이디어 도출

차세대 산업혁명은 단일 신기술보다는 다수 신기술의 융합 혹은 신기술

과 기존 산업기술과의 융복합이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융합은 기술,

제품, 서비스간에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우리나

라에서도 지식경제부가‘산업융합촉진법’을 제정하는 등 융복합 기술을

국가경제를 견인할 핵심 수단으로 인식하고 투자를 가속화중에 있다. 융

합신산업은“NT, BT, IT 등 신기술간 또는 이들과 기존 산업·학문 간

의 상승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미래 경제

와 사회·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 ([국가 융합기술 발전 계획,

‘08.11.]에 따른 융합기술의 정의)로 정의할 수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특히 BT를 중심으로 NT, IT, CT 등과의 융합을 현

대 산업과 과학의 메가 트렌트로 간주하고 있다.

다양한비즈니스기회창출 41

- 유망기술의사업화지원을통한 - 기술사업화전문기관(BA)을통한기술기반기업창업지원연구성과사업화촉진및기술 - 핵심기술보유혁신형중소기업의기술사업화지원혁신형중소기업육성

- 기술사업화전문멘토링서비스를 - 주관기관및참여기관의기술사업화멘토링서비스지원통한사업화애로요인 - 기술사업화멘토링전문가풀구성및운

- 출연(연)의중소기업이전기술에 - 사업화유망기술의선정및기술분석, 사업화기술개발지원대한기술사업화지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공공R&D사업화기술

개발

출처. 중소기업연구원(2010),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사업 성과분석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1 001 PDF변환목록

Page 44: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생태계의 특징은 다양성이 존중되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와의 네트

워크를 통안 지식교류는 자연스러운 융복합 지식을 생산할 수 있다. 앨빈

토플러는“한국은 BT와 IT같은 첨단 기술의 융합을 바탕으로 신사업/신

시장을 창출해야 하며, 한국의 미래는 이러한 융합기술에 달려 있다.”

고 말했다. 즉,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 IT 기술을 BT, CT 등 다른 신기

술과 융합하여 신시장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

●●● 표 5 기존 제품과 신기술간 융합

융합유형 사례 내용

인프라 센서, 차량상태 센서, 서라운드센서(레이더, 상, 초음파 등)들을 활용하여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자가진단 및 정보제공, 주행상황 위험경보, 능동안전 주행제어를 유도. 자동차에서는 이미 IT 혹은 S/W 기술이 >80%를차지

선박의설계, 건조, 운항, 유지보수에관련한시설 및 기자재를 IT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조선소의생산성향상및선박의성능향상

일반 직물의 질감과 촉감을 유지하며서디지털 기능(예: MP3플레이어, LED 등)이부가된 새로운 개념의 옷으로 특수 소재나컴퓨터 칩 등을 사용해 전기신호나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외부 디지털 기기와 연결해다양한기능을수행

자동차 + IT

선박 + IT

의류 +NT + IT

주행상황인지스마트자동차

디지털선박

스마트의류

●●● 표 6 제품과 서비스간 융합

융합유형 사례 내용

의료서비스와 IT 기술을 융합하여, 의사와환자의 원격 진료 혹은 환자의 실시간관리가가능한서비스

로봇기술과 의료서비스를 융합하여 수술실에서도 집도의의 명령에 따라 수술을보조하거나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로봇,의사를 대신하여 수술 과정의 전체 혹은일부수행.

전자통신기술과 물류·유통서비스를 융합하여실시간으로물건의위치를확인하거나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배송 물건의 손실 및비용등을최소화

IT +의료서비스

로봇 +의료서비스

IT+물류/유통서비스

U-헬스케어/스마트케어

수술로봇

지능형물류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2 001 PDF변환목록

Page 45: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시장개척 (신수요자발굴 및 로벌 시장진출)

개인의 사회적 연결망을 중요시하는 지식생태계 네트워크에서 각 구성

원들은 본인의 제품과 기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수요자를 발굴할

수 있다. 생태계 내에서의 지식교류를 통하여 단순 전시회 참가나 홍보물

을 통한 홍보보다 각 개인에 대한 신뢰,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검증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지식생태계가 해외까지 확장된다면 이러한 신수요자가 해외에서

발굴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산업인력양성

지식생태계에서는 아이디어와 지식이 기술의 보호와 확산·공유 조화속

에 혁신적인 지식으로 창출되며, 사람들 간의 지식 이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창의와 융복합적인 아이디어의 공존을 통한 사업화가 필요한 창조

경제시대에 미래 신사업 발굴을 위한 기업가 정신 고양과 사업화에 이르

는 과정까지의 정보획득과 분석, 창의사고력 증진 교육과 같은 환경 구축

다양한비즈니스기회창출 43

●●● 표 7 제품과 서비스간 융합

융합유형 사례 내용

휴대폰과 멀티미디어(MP3 플레이어, 카메라 등) 다양한 응용 컨텐츠 서비스를 하나의비즈니스모델로융합.

휴대폰 +서비스

TV +서비스

TV +서비스

스마트폰

인터넷 TV

의료+관광

TV가인터넷서비스와융합되어, 인터넷이나전화등방송통신융합서비스를제공.

의료와관광의결합을통해새로운서비스제공.

출처.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기술 비전 2020, 융신산업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3 001 PDF변환목록

Page 46: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동아일보 기업가 정신센터와 딜로이트컨설팅이

OECD 회원국 등 총 32개 국가를 대상으로 기업활동, 시장환경, 정부환

경 등 3가지 범주로 구분해 측정하는 로벌 경쟁력 평가에 의하면 우리

나라 기업가 정신 지수는 하락 추세이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기

업은 자본, 인력, 기술, 시장 정보 조사·분석 역량이 미흡하여 사업을

점프업 시킬 미래성장동력 발굴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지식생태계를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아이디어 지식 창출을 위한 연구 역량

(정보획득 및 창의사고력) 강화 교육이 필요하다.

지식생태계에서는 CEO 및 실무자들이 자신의 경 및 기술 노하우를

통해 배양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창업을 준비하는 아이디어 발굴 및 사

업모델 확립이 필요한 예비 창업자 대상에게는 기업가정신 및 기술경 의

이해, 최신 기술 정보 및 시장성 관련 정보 탐색 능력 제고, 아이디어를

사업화 시키는 과정 단계별 노하우 습득으로 특별한 교육프로그램이 없어

도 자연스러운 교육훈련이 가능하다. 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미래신

사업 발굴 의지가 있는 기업 CEO들도 신사업 발굴의 필요성 인식과 개

념 이해, 신사업 발굴에 필요한 지원 인식 함양등을 고취할 수 있다.

44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4 001 PDF변환목록

Page 47: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지식사회가 되면서 사람들과의 모임도 친목과 교제를 통한 인적네트워

크를 넘어 지식을 교류하며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지식생태계

구축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지식생태계가 무엇이며, 이 안에서 지식

은 어떻게 흘러가는지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비

즈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전략도 부족하다.

지식생태계는 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특징처럼 지식이 외부의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흘러가야 한다. 구성원 스스로가 지식을 창출하고, 전달하며,

쓸모없는 지식은 분해하여 새로운 지식으로 재생산해야 한다. 그러나, 생

태계에서도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태양빛과 공기, 물 등의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듯이 지식생태계에서도 구성원들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조건들이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해결해줄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

다.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고, 그 안에서

가치있는 정보를 찾아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는 플랫폼을 통해

지식생태계의 구성원들은 끊임없이 지식을 활용하고 재생산할 수 있다.

우리 주변에 있는 많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떤 가치를 창출하고 비즈니

스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들을 하나씩 세워가야 할 것이다.

맺음말 45

맺음말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5 001 PDF변환목록

Page 48: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46

참 고 문 헌

1. KAIST 지식경 연구센터, “지식생태학: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 ”,KMRC 지식생태계 9월 SIG, 2007.9.28

2. 유 만, “지식생태학 정보”, 2006

3. 유재미, 오철호,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정보화정책 제 18권제 4호, 2011년 겨울호

5. 백인수, “미래 정부를 위한 지식플랫폼 구축방향”, IT&Future strategy, 제3호,2011.5.30

6. 김선빈, 김창욱, 이갑수, 윤 수, 채승병, “국가경쟁력의 원천: 건강한 정책지식 생태계”, CEO Information, 제576호, 2006.11.1

7. 채승병, 양재석, 김선빈“정책지식 생태계 활성화 전략의 행위자기반 접근”, “제1회복잡계 컨퍼런스:복잡계 이론과 현실, 생산적 적용의 모색”, 2006.12

8. 권 일, “新가치창출을 위한 열린 지식생태계 구축”, IT와 국가발전략 심포지엄,2011

9.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생태계 관점에서 본 기술이전사업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ISSUE PAPER2011.6

10.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기술 비전 2020, 융신산업

11. 최계 , “창조경제의 비전과 정책 추진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02

12.김선빈 외, “한국 정책지식 생태계 활성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3.김진성, “사람들이 TED에 열광하는 이유”, 삼성경제연구소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6 001 PDF변환목록

Page 49: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7 001 PDF변환목록

Page 50: ¯Ó rÑ û @ . IÑ 1%' ø ~ þ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 · 2014-07-08 · I a S ³ w a D Ë ³ 3 º , 5 ý v Ó : S î à ï ®- Â Ø ÿ a P ù Ô

어진원-내지(수정)_0730 2013.07.30 10:56 AM 페이지48 001 PDF변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