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품정보지 - khnmc.or.kr · tuojeo® inj. solostar (투제오주...

9
2016년 2월호 VOL .01 Tuojeo ® inj. Solostar (투제오주 솔로스타) 성인에서의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장시간용 인슐린 주사제 Ⅰ. 정진아카데미 해외 연수 프로그램 – Singapore 연수기 Ⅱ. Serotonin syndrome Q&A 홍삼보기고(紅蔘補氣高, 원내코드: HH930) 익기보혈(益氣補血) 작용을 하는 홍 삼에 보기약(補氣藥)인 황기, 건비약 (健脾藥)인 백출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력증진, 노화방지효과 및 소화력 증 진 기능을 강화시킨 처방 • 2016 약제부 워크숍 개최 • 지스로맥스건조시럽 40MG/ML(화이자) 약품성상 변경 ㅣ발행인ㅣ 김정태 ㅣ편집위원ㅣ 정경주, 예경남, 천영주, 김정보, 배희경, 윤지은, 이순 134-090 서울시 강동구 동남로 892 [TEL] 02.440.6977 / 02.440.6992(한방) [FAX] 02.440.6984 ㅣ발행일ㅣ 16.03.07 ㅣ발행처ㅣ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 http://pharm.khnmc.or.kr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품정보지

Upload: nguyenkhanh

Post on 04-Jun-2018

21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016년 2월호 VOL .01

Tuojeo ® inj. Solostar (투제오주 솔로스타) 성인에서의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장시간용 인슐린 주사제

Ⅰ. 정진아카데미 해외 연수 프로그램 – Singapore 연수기 Ⅱ. Serotonin syndrome Q&A

홍삼보기고(紅蔘補氣高, 원내코드: HH930) 익기보혈(益氣補血) 작용을 하는 홍삼에 보기약(補氣藥)인 황기, 건비약(健脾藥)인 백출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력증진, 노화방지효과 및 소화력 증진 기능을 강화시킨 처방

• 2016 약제부 워크숍 개최 • 지스로맥스건조시럽 40MG/ML(화이자) 약품성상 변경

ㅣ발행인ㅣ 김정태 ㅣ편집위원ㅣ 정경주, 예경남, 천영주, 김정보, 배희경, 윤지은, 이순

134-090 서울시 강동구 동남로 892 [TEL] 02.440.6977 / 02.440.6992(한방) [FAX] 02.440.6984

ㅣ발행일ㅣ 16.03.07 ㅣ발행처ㅣ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 http://pharm.khnmc.or.kr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품정보지

Tuojeo ® inj. Solostar (투제오주 솔로스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품정보지

신 약

1. 약효 분류

인슐린 주사제 (장시간형)

2. 성분∙함량

Insulin Glargine 300IU/ml, 1.5ml/pen

3. 성상

무색 또는 거의 무색 투명한 용액을 담고 있는 용량조절이 가능한 펜

모양의 주사제

4. 약리작용

성인에서의 당뇨병 치료

5. 적응증

성인에서의 인슐린 요법을 필요로 하는 당뇨병

6. 용법∙용량

· 복부, 대퇴부 또는 삼각근에 피하주사로 투여

· 이 약은 인슐린 주입 펌프에 사용되어서는 안됨

· 1일 1회 정해진 시간에 투여하는 것을 권장

· 제 1형 당뇨병 환자: 식사 시 인슐린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속효성 인슐린과 함께 하루 한번 투여. 개별 용량 조절 필요

· 기존 인슐린 투여 환자의 용량 전환

- 1일 1회 투여 기저인슐린 제제를 사용한 경우 : 이전 기저 인슐린

용량에 기초하여 단위-대-단위로 변경가능. 목표 혈당 범위에 도달

하기 위해 더 높은 용량이 필요할 수 있음

- 1일 2회 투여 기저인슐린 제제를 사용한 경우 : 최초 권장 용량은

중단되는 기존의 기저 인슐린 1일 용량의 80%

7. 약물동력학

· 발현시간 : 6시간

· 작용시간 : 36h

· 평형상태 도달시간 : 투여 후 3~4일

· 반감기 : 18~19 시간

· 대사 : 체내에서 insulin glargine 의 β chain의 carboxyl기 말단에

서 신속히 대사 일어남. 두 가지 활성 대사체 생성

· 배설 : Urine

8. 이상반응

· 대사 및 영양 : 저혈당증(10%이상)

· 피부 및 피하조직 : 지방 비후증(1~10%), 지방 위축증(0.1~1%)

· 면역계 : 알러지 반응(0.1~0.01%)

· 눈 : 시각 손상(0.1~0.01%), 망막 병증(0.1~0.01%)

· 기타 및 주사부위 : 주사 부위 반응(1~10%), 부종(0.1~0.01%)

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9.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 임부 : FDA C

· 수유부 : 이 약이 사람의 모유로 분비되는지 알려져 있지 않음. 인슐린

용량과 식사 조절이 필요할 수 있음

10. 보관방법

· 사용 전(개봉 전): 2~8℃ 냉장보관. 냉동보관 금지

· 사용 중(개봉 후): 30℃ 이하에서 최대 6주간 보관 가능.

열 및 직사광선 피함. 사용 중인 펜은 냉장보관 하지 않음

· 1일 1회 매일 일정한 시간에 피하주사 하세요.

· 투여시간을 지키지 못한 경우투여시간 전 후로 3시간 이내에 투여할 수

있습니다.

· 3시간 이상 지난 경우 다음 번 투여시간에 1회 용량을 주사합니다.

· 란투스와 투제오는 생물학적으로 동등하지 않으므로 상호 전환 하는

경우 용량조절이 필요합니다.

복약지도

2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Reference

1.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2. MICROMEDEX® 2.0

3. Lexicomp Online: http://online.lexi.com/

4. 제품설명서

5. Patient-level meta-analysis of EDITION 1, 2 and 3: glycaemic control and hypoglycaemia with new insulin glargine 300U/mL versus

glargine 100 U/mL in people with T2DM, R.Ritzel,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7:859-867, 2015

6. Zinman B, Philis-Tsimikas A 외 : Insulin Degludec Versus Insulin Glargine in Insulin-Naiv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1-year,

randomized, treat-to-target trial (BEGIN Once Long), Diabetes Care, 35(12), 2464-2471, 2012

정리 : 박미선(조제팀)

※ 원내 동효 약품 비교

약품명 Tuojeo®

Inj. Solostar

Lantus®

inj. Solostar

Tresiba Flex Touch®

Inj.

Levemir®

Flexpen inj.

성분명 Insulin Glargine Insulin Glargine Insulin Degludec Insulin Detemir

용량 300IU/ml, 1.5ml/pen 100IU/ml, 3ml/pen 100IU/ml, 3ml/pen 100IU/ml, 3ml/pen

제조사 사노피아벤티스 사노피아벤티스 노보노디스크제약 노보노디스크제약

성상

효능효과

성인에서의 당뇨병 치료 2세 이상의 소아와 청소년 및

성인에서의 인슐린요법을 필

요로 하는 당뇨병

만 1세 이상의 소아와 청소년

및 성인에서의 당뇨병 치료

2세 이상의 소아와 청소년 및

성인에서의 인슐린요법을 필

요로 하는 당뇨병

용법용량

• 1일 1회 피하투여

• 투여시간 탄력성 有

: 필요 시 환자는 보통의 투여

시간 전 또는 3시간 이내 투

여 가능

• 1일 1회 피하투여

• 1일 1회 피하투여

• 투여시간 탄력성 有

: 필요 시 환자는 최소 8시간

투여간격 보장되어야 함

• 1일 1회 피하투여

• 혈당 최적화 위해 1일 2회

투여 가능

PK

• 발현시간 : 6시간

• 지속시간 : 36시간

• 반감기 : 18~19시간

• 발현시간 : 3~4시간

• 지속시간 : ≥24시간

• 반감기 : 12시간

• 발현시간: 10~12시간

• 지속시간 : ≥42시간

• 반감기 : 25시간

• 발현시간 : 2시간

• 지속시간 : 14~24시간

• 반감기 : 5~7시간

임부금기 FDA C FDA C FDA C FDA B

특이사항

• 투제오와 란투스 비교5

- 혈당조절 : HbA1c 감소 유사함

- 하루 중 발생한 저혈당 : 란투스 대비 14% 감소

- 야간저혈당 : 란투스 대비 31% 감소

- 체중증가 : 0.51kg(투제오), 0.79kg(란투스)

• 트레시바와 란투스 비교6

- 혈당조절 : HbA1c 감소 유사함

- 하루 중 발생한 저혈당 :

란투스 대비 23% 감소

- 야간저혈당 :

란투스 대비 48% 감소

개봉 후 사용기한

(상온보관) 6주 4주 8주 6주

보험 약가 22,959원/1.5ml 15.306원/3ml 21,095원/3ml 14,197원/3ml

1. 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NCCS)

NCCS는 1993년 설립된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암 전문 특화병원으로서, 하루 평균 약 560명의 환자가 내원하는 싱가포르 최대규모

의 암전문 병원이다. Pharmacy는 크게 outpatient pharmacy와 oncology pharmacy로 나누어져 있으며, 총 23명의 약사가 항암제를

포함한 조제업무, 환자교육 업무, 임상시험 관리 업무 를 수행하고 있었다.

최대 규모의 암전문 병원답게 최신의 clean room 설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원내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가이드라인에 준

하여 조제 및 투약이 이루어 지고 있었다. 인상적이었던 점은 조제 오류 최소화 및 정확한 검수를 위하여 clean room에서의 처방 준비 단

계에서 부터 모든 조제과정이 영상 및 사진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room 밖에서 약사가 이중검수 하면서 이를 참고로 하여 정확한 조제가 이

루어 졌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암환자를 위한 다양한 임상지원 서비스도 경험 할 수 있었다. 본원의 투석환자 복약지도 서비스와 유사하게 IV chemotherapy를 받는 환

자에게 약사가 직접 외래주사실로 환자의 약을 불출하면서 해당환자의 경구용 항암제 및 기타 병용약제의 상세 복약지도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대기시간 감소 및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였다. 65세 이상 노인환자나 5개 이상의 약물을 동시 복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세복약지도 서비스(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MTM) 또한 인상적이었다. 처방된 약물을 포함하여 OTC, herbal and

nutritional supplement의 전반적인 투여약물을 점검하고 정확한 약물의 복용법, 부작용, 상호작용 등을 환자에게 숙지시켜 약물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었다. 특히 싱가포르의 경우 중국계 인구가 많아(인구의 약 70%) 다양한 민간요법 및 한약제의 사용이 빈번히 이

루어지고 있었고, 이와 항암제와의 병용 가능 여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보

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와 의료진간의 신뢰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3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Ⅰ. 정진아카데미 해외 연수 프로그램 – Singapore 연수기(약무팀 윤지은)

Special Issue

연수 일정 연수내용

1주차 NCCS(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 ATU/SOC pharmacy operation ∙ Pharm review service ∙ Clinical trial ∙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2주차 SGH(Singapore General Hospital) ∙ Critical care ∙ DI service ∙ Hematology services

3주차 NCCS(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 SGH(Singapore General Hospital)& KKH(KK Women’s and Children’s Hospital) ∙ Pharmacy Residency ∙ ACC & Rheumatology & MMS & IBD Clinic ∙ Women & Children Service

4주차

NUHS(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gapore) ∙ Oncology & Inpatient Pharmacy ∙ Critical Care Pharmacy ∙ Clinical Nutrition Support Services

작년 첫 시행된 2015년 정진아카데미에서 통해 싱가

포르 해외연수를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정진아카데

미는 병원 발전 기금을 재원으로 본원 직원을 대상으로 국

내·외 연수기회를 제공하여 전문인 양성에 기여하고자 시

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이번 연수프로그램에 전공의 4명,

약무직 1명이 선정되었다.

이번 연수는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국/공립 병원인

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NCCS),

Singapore General Hospital (SGH), KK Women’s &

Children’s Hospital (KKH), National University

Hospital(NUH) 총 4개의 병원에서 수행되었다. 2015년

12월 21일부터 2016년 1월 15일, 약 4주간 진행되었으

며, 각 병원의 임상지원 서비스 및 선진화된 업무처리 시스

템을 중점적으로 배우고자 하였다.

Table 1. 연수 일정(2015.12.21~2016.01.15)

Fig1. NCCS의 조제 조제감사 설비

2. Singapore General Hospital (SGH)

SGH는 1821년 설립된 총 1,731병상, 9,800명의 의료진이 근무하는 싱가포르 최대규모의 국립 병원으로 의료 대학원 및 교육 기관을 세

워 싱가포르 국내 의료 인재 양성 및 국외 healthcare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의료 기술 및 임상 기술, 실습 교육을 주관하는 병원으로 알려

져 있다.

입원약국에서는 조제업무 뿐만 아니라 처방감사 업무를 철저히 수행하고 있었는데, 본원처럼 처방감사 사전 스크리닝 시스템은 없었으나,

처방감사실에서 10-15명의 약사가 모든 처방에 대해 사전검수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처방의 약 16%(hematology pharmacy기

준)를 중재하고 있었으며, 처방 중재 수용률도 75-85%로 높은 것이 인상적이었다.

병동 전담 약사의 역할도 중요했다. ICU(Neonatal ICU(NICU), Medical ICU(MICU), Surgical ICU(SICU), Coronary CU(CCU),

Cardiothoracic Surgical ICU(CTSICU), Neuroscience ICU(NSICU), Burns ICU(BICU)) 전담 약사 8인을 비롯하여 hematology ward

와 같이 특정병동에도 전담약사가 배정되어 있었다. 이들은 daily ward round, 해당병동의 모든 처방감사, TDM, TPN, 약물 정보 제공, 가

이드라인 제공, 의료진 교육, research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SGH 외에도 KKH, NUH에서 중환자 약사의 업무 관찰 및 회진을 함

께 하였는데 약사의 직능, 의료진과의 관계 정도에 따라 약사의 역할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따라서 약사의 직능 개발 및 다

른 의료진과의 신뢰관계 구축도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각 특화센터에서 약사의 임상지원 서비스도 매우 활성화되어 있었다. SGH에서는 현재 Anticoagulation Clinic(ACC), Allergy Asthma

Cli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IBD) Clinic,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MMS), Rheumatology Monitoring

Clinic(RMC), Smoking Cessation Clinic 총 6개 분야에서 해당 임상지원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었다. 전담 약사가 정해진 시간대에 진료실

및 약국 내의 복약상담실에서 상세 복약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였으며, 일부 상담은 환자가 상담비용을 지불하기도 하였다. 환자가 진

료를 보기 전/후로 하여 복약 순응도, 부작용, 상호작용 등 약물사용의 전반적인 내용 확인하고 해당 내용을 타 의료진과 공유하는 형태로

환자의 약물치료 효과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었다. 복약상담 후에는 항상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점도 인상적이었다.

3. National University Hospital(NUH)

NUH는 1985년 설립된 National University Singapore(NUS) 대학병원으로서 752병상의 3차 병원으로, 2004년도 싱가포르 병원 최초

로 JCI(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인증을 획득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는 Nutritional Support Team(이하 NST) 회진에 참여하였다. NUH의 NST 회진은 약사와 영양사 두직종만 라운딩을 하며, 진료

차트를 참고하여 환자 lab 검토, 환자 및 보호자 interview를 진행하였으며, 필요 시 담당 주치의 및 간호사와 논의하며 최적의 영양지원방

안 모색하였다. 한국과 보험 등의 차이로 Parenteral Nutrition(이하 PN) 자체의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환자의 경제성 평가도 매우

중요시 되었다. NST 회진 이후에는 담당약사가 회진결과를 반영한 PN 조성을 계획하고 이를 다른 약사가 검수 후 조제 불출 되는 형태로 업

무가 진행되었다.

본원처럼 병원에서 인정하는 영양집중지원팀과 같은 위원회로서 활동하는 것은 아니어서 nutrition support 분야에 있어서는 한국이 좀더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단, 한 환자의 영양지원을 지원하면서 환자, 보호자, 담당 의료진과 면담을 진행하고 논의함에

있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다는 점은 배울만한 점이라 생각되었다.

4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Fig2. SGH의 PillpickTM과 조제된 약물(위)

ICU의 Pyxis medstation®(아래)

해당 병원에서는 입원/외래약국의 조제 및 임상 지원 서비스를 체험

해 보았다.

모든 약국의 조제 및 투약 프로세스는 바코드 시스템으로 처리되어

자동화 되어있었다. 경구 및 주사제는 pillpickTM system으로 조제되

어 지고 있었다. 이는 약물을 unit dose로 포장하는 자동화 기계로

처방전송 시 각각 해당되는 약물을 환자 별로 낱개 포장하고, 각각

해당되는 약품과 용법을 바코드로 라벨링 하여 조제해주는 기계로서,

해당 약물의 제조번호, 유효기간, 처방/반납내역 등이 모두 바코드에

저장되어 약품 재고관리, 조제/투약의 정확성 등의 장점이 있었다.

다빈도 약물에 대해서는 Pyxis medstation®을 이용하여 병동에 비

치되어있는 Pyxis에서 간호사가 해당약품을 바코드 처리하여 불출해

갈 수 있도록 되어있었으며, 사용한 약품은 입원약국에서 주기적으

로 보충해 주는 형식이었다. 비치되는 약품 역시 모두 바코드 처리하

여 약품의 유효기간 관리 및 재고관리가 용이해 보였다.

4. KK Women’s & Children’s Hospital (KKH)

1958년에 설립된 KKH는 여성, 어린이에 전문화된 특화병원으로 총 837병상 규모의 국립병원이다. 산과, 비뇨부인과와 같은 여성 전문

분야를 비롯하여, 미숙아 치료 관련 수술, 이식에 전문성을 나타내며 싱가포르 최초로 children's emergency service 제공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가 어렵고 감염에 취약한 신생아의 특징을 고려하여 IV투여하는 약물을 unit dose로 syringe에 취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추후 TPN

auto admixture 원내 도입 시 자동화에 따른 조제시간 감축으로 본원에서도 항생제 mix나 CLDDS와 같은 서비스 추가제공 가능해 질 것

으로 기대해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메르스를 비롯한 여러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5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여기서는 TPN 조제실을 방문하여 업무 시스템을 관찰하였다.

TPN 조제실에서는 오전에는 TPN 처방감사, 소아 시럽 mix 업무

(소아 처방 경구약, 시럽 등을 정량하여 mix)를, 오후에는 TPN 조

제 및 항생제, 안약 등을 조제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KKH에서는 TPN auto-admixture compounder를 보유하고 있

어 해당기계로 individual TPN 지원이 가능했다. 24개의 약물이

연결된 기계에 처방된 PN 조성을 불러와 자동조제 가능한 기계로

서 정확한 조제가 가능하고, 사람의 개입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항생제 mix 및 CLDDS(Central Line Drug Delivery

System) 조제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었는데, CLDDS는 C-line 확보

정리 : 윤지은(약무팀)

Fig3. KKH TPN 조제실과 CLDDS(Central Line Drug Delivery System)

5. 고찰

한달이라는 기간 동안 싱가포르 연수를 통하여 약사로서의 다양한 임상 업무 분야

확대 적용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값진 경험이었다. 싱가포르는 전문 보조직원(테

크니션)의 활성화로 약사와 보조직원의 비율이 약 1:1로 고용되어 있었으며, 따라서

간단한 조제 및 임상업무는 보조직원이 전담하여 약사가 전문 임상분야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었다. 이러한 제도적인 차이로 본원에서 해당 임상서비스를

모두 일시적으로 도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나 점차적으로 약제부 인력 강화 및

약사 직능 개발, 타 의료진과의 신뢰관계 구축으로 다양한 임상 서비스 제공(팀의료)

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약제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호흡기, 암, 이식, 중환자

약료관련 전문 약사 양성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생각되어지며 본원 역시 수준 높

은 임상약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Ⅱ. Serotonin syndrome Q&A

Special Issue

Q1.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이란?

세로토닌 증후군은 세로토닌성 약물로 인한 세로토닌의 과다자극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드물지만 생명에 위협적일 수도 있는 대표적인 약

인성 부작용이다. 중추신경계 세로토닌의 과도한 활성으로 인해 의식의 변화, 고열, 다한증, 설사 등의 자율신경계 이상이나 조화운동불능,

간대성 근경련의 근육신경계 이상을 특징으로 하며 비교적 단기간 내에 발생한다. 흔히 약물이 적용된 지 24시간 이내 시작되어 일주일 이

내 소실되지만, 수 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도 드물게 나타난다.1,2 국내에서는 fluoxetine/trazodone, sertraline/imipramine,

fentanyl/meperidine/palonosetron, amantadine/escitalopram, dextromethorphan/chlorpheniramine, linezolid, tramadol,

duloxetine, fluoxetine 등의 임상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며, 미국 중독관리센터협회3 는 2002년에 미국 내 총 26,733례가 보고되었고, 그

중 심각한 경우가 7,349례 였으며, 93명이 사망하였다고 발표하였다.4

6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Q2.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상 및 진단 기준은?

세로토닌 증후군은 확정할 수 있는 실험실적 검사가 없기 때문에 환자의 약

력과 신체 증상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처음 개발된 진단 기준은 Sternbach

Criteria (1991) 로, 세로토닌성 약물을 새로 추가하거나, 용량을 증량하였을

경우 agitation, ataxia, diaphoresis, diarrhea, hyperreflexia, mental

status changes, myoclonus, shivering, tremor, or hyperthermia 중 최소

3가지 이상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로 제시하였으나, 항콜린성 섬망

(delirium), 알코올 등의 금단증상과의 구분이 모호한 단점이 있어 감별 진단

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후 2003년에 Hunter serotonin toxicity criteria 라

는 새로운 진단 기준(민감도 84%, 특이도 97%)이 제시되어 임상에 적용되

고 있으며, 세로토닌성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가 다음 4가지 중 한 가지에 해당

하면 세로토닌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다.

• 지속적인 경련

• 유발성 경련 또는 안구 경련 AND 초조함 OR 발한

• 유발성 경련 또는 안구 경련 AND 근육강직 AND 38도 이상의 열

• 떨림 AND 과다반사

Fig1. Hunter Serotonin Toxicity Criteria algorithm

(Ref. Med J Aust 2007;187(6):361-365)

Q3. 세로토닌 증후군 유발 가능한 약물은?

MAO 저해제나 SSRI의 경우 과량 사용 시 단독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주로 MAO 저해제와 SSRI를 병용

하는 경우이므로 세로토닌성 약물간에 병용하는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한다.

분류 성분명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oclobemide, selegiline, rasagiline

Tricyclic antidepressants Clomipramine, imipramine, amitriptyline, nortriptylin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Fluoxetine, fluvoxamine, paroxetine, escitalopram, sertraline, vortioxetine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Venlafaxine, duloxetine, milnacipran, desvenlafaxine

Serotonin antagonists & antiemetics Ondansetron, granisetron, ramosetron, palonosetron, metoclopramide

Other serotonin modulators Trazodone, vilazodone

Antimigraine agents Sumatriptan, naratriptan, frovatriptan, zolmitriptan

Analgesics Fentanyl, meperidine, tramadol, pentazocine

Other agents Valproate, carbamazepine, levodopa, lithium, sibutramine,

linezolid, ritonavir, dextromethorphan, phenylpropanolamine

Herbal products St. John’s wort

Q4. 세로토닌 증후군 치료

세로토닌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산소 공급, 활력징후 정상화, 심기능 감시, 적절한 수액 공급 등의 대증 치료를 적용한다. 대개 치료를 시작한

지 24시간 이내 거의 완화되며,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원인 약물만 중단하고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빈맥, 고혈압, 고열 등의 중등도 증

상에는 수액을 필수적으로 공급하고, 활력 징후를 정상화시켜야 하며, 5HT2A 길항제인 cyproheptadine을 적용할 수 있다. 불안 초조 등의

증상은 벤조디아제핀(예, lorazepam)으로 완화시킨다. 임상 증상이 나타나면 빠르게 원인 약물을 인지하고 중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7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Q5. 세로토닌 증후군과 약물상호작용 모니터링 방법

약물상호작용 감시는 크게 약동학적(pharmacokinetic, PK) 상호작용과 약력학적(pharmacodynamics, PD) 상호작용으로 접근할 수 있다.

PK 상호작용은 1가지 이상의 세로토닌성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또는 소실 과정의 변화로 인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세로토닌성 항우

울제는 주로 CYP450에 의해 대사되므로 CYP450을 저해하는 약물과 병용 시 세로토닌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PD 상호작용은 비슷한 기

전의 2가지 이상의 약물의 부가 또는 상승 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SSRI와 TCA를 병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비교적 흔히 접할 수 있는 처방 중 실례를 들면, escitalopram, amitriptyline, tramadol을 병용하거나, amitriptyline, quetiapine을 복용

중인 환자가 통증으로 tramadol과 duloxetine을 처방 받게 되면 동시에 4가지의 세로토닌성 약물을 복용하게 될 수 있다. 또 fluoxetine과

TCA(amitriptyline)는 둘 다 CYP2D6를 기질로 하면서 저해하므로 서로 병용하는 경우 단독 사용보다 TCA 혈중 농도는 4-5배 더 증가하게

되며, 유사 기전의 PD 상호작용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Q6. 세로토닌 증후군 예방 및 복약지도

세로토닌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약사는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하는 약물의 유무를 인지하고, 환자의 약력을 살피고, 처방 약물간의 상호

작용을 검색하고, 관련 정보를 주치의와 공유하여 세로토닌성 병용 약물의 위험 대비 이익을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세로토닌성 약

물을 처음 복용하거나, 추가로 병용하게 될 때 환자에게 반드시 세로토닌 증후군에 대한 복약지도를 이행하고 약 5주 이내에 고열 같은 증상

이 나타나면 응급실로 올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한다. 또 처방 중 세로토닌 증후군 유발 약물이 2개 이상 포함된 경우 투약 기간을 확인하여

초기 투약인 경우 동일한 주의가 필요하며, 다른 약물의 병용은 없는지 약력을 재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Reference

1. You SM, Noh JS. Kor J Psychopharmacol 2012;23:74-77.

2. Kateon H. Mental Health Clinician. 2013;3(3):129-133.

3. TESS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4. Boyer EW, Shannon M. NEJM 2005;352:1112-20.

5. Sternbach H. Am J Psychiatry. 1991 Jun. 148(6):705-13.

6. Dunkley EJ, et al. QJM. 2003 Sep. 96(9):635-42.

7. Bishop JR. Current Psychiatry 2011;10(3):81-83.

정리 : 천영주 (약무팀)

홍삼보기고(紅蔘補氣高, 원내코드: HH930)

한방 신약

1. 조성: 1포(4g) 중 홍삼 0.19g, 황기 0.03g, 백출 0.03g, 이당 2.34g,

서당 1.82g, 한천 0.10g

2. 제형:

갈색의 젤리형 제제

3. 효능: 보기건비(補氣健脾)

4. 해설

본방은 익기보혈(益氣補血) 작용을 하는 홍삼에 보기약(補氣藥)인 황

기, 건비약(健脾藥)인 백출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력증진, 노화방지효과

및 소화력 증진 기능을 강화시킨 처방으로 복용과 휴대의 편리성을 고려

하여 한천젤리의 제형으로 개발되었다.

기허(氣虛)의 발생 원인은 크게 에너지 생산이 부족한 경우와 에너지 소

모가 과다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에너지 생산이 부족한 경우는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에너지원이 부족한 경우로 에너지원을 공

급해주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꿀이나 이당, 설탕 등을 쓰는 것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 영양공급에는 문제가 없는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체계에

장애가 생긴 경우로, 예를 들면 산소나 영양분이 전달이 잘 안 되는 순환

기능 저하나 소화장애, 세포의 에너지 생산에 문제가 생기는 기능적인 장

애의 경우에는 보기약을 쓴다.

홍삼보기고는 홍삼과 황기로 세포의 에너지생산을 촉진하고 영양을 공

급하며, 백출로 소화기 운동성을 개선하여 영양분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이당과 서당으로 직접적인 에너지원을 공급하여 에너지생산 부족의 두

가지 측면 모두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평소에 원기 부족으로 허약증상이 있거나 과로로 인해 피

곤함을 느끼고, 온 몸에 힘이 없어 권태하고 나른하며 무기력한 느낌을

받는 증상, 소화가 잘 안되고 입맛이 없는 증상을 개선하고 성장이 더딘

소아의 성장을 촉진한다.

8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약제부 뉴스레터 2016년 2월

Reference

1.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보포탈

2. 한방약리학, 신일북스3판

3. 병원한약학, 도서출판트윈(2004)

4. 고려인삼(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 온라인의약도서관 의약품정보

6. 한방의 약리해설, 아카데미서적 2판

정리 : 황수연 (한방약제팀)

5. 적응증

1) 원기허약으로 인한 만성피로와 권태 및 무기력증의 개선

2)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의 개선

3) 성장이 더딘 소아의 성장 촉진

6. 약리작용

7. 용법·용량

성인: 1일 3회, 1회 1-2포씩 복용한다.

소아(7-14세): 1일 2-3회, 1회 1포씩 복용한다.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한다.

8. 상호작용

이 약물에 대한 약물상호작용 연구가 수행되어 있지 않다.

9. 주의사항

1) 한의사의 처방에 의해 정해진 용법 용량을 잘 지키고 소아에게 투여

할 경우 보호자의 감독 하에 투여한다.

2) 당뇨나 기타 만성질환, 특정약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나 임산부는

주치의와 상의한다.

10. 유효기간 및 보관

제조일로부터 6개월, 직사광선을 피하고 되도록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

에 보관(원내보관방법: 냉장보관)

약재 한방약리작용

홍삼

1) 세포 에너지생산 촉진 및 피로회복

2) 혈소판응집 억제 및 혈중지질 감소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

3) 면역력 증진

4) 항염증/ 항알러지 작용

약 제 부 알 림

2016 약제부 워크숍 개최

지스로맥스건조시럽 40MG/ML(화이자) 약품성상 변경

지스로맥스건조시럽의 성상변경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 공지합니다.

약품명 변경 전 변경 후

Zithromax syr. 40mg/ml (azithromycin)

지스로맥스건조시럽 40MG/ML (화이자)

백색내지 옅은 분홍색의 분말 흰색 내지 미백색 가루

2월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약제부 2016 워크숍이 개최되었습

니다. 약제부 약사의 업무 교육 및 약무직 직무 개발을 주제로 한 이

번 워크숍에는 23명의 약사/한약사가 참여하였으며, 팀빌딩 프로젝

트, 직무능력 개발 분임 토의 등을 통해 팀원들 간의 결속과 화합을

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