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경쟁력분석 -...

76
김병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 특허기반 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 분석

Upload: vukhuong

Post on 06-Feb-2018

237 views

Category:

Documents


7 download

TRANSCRIPT

Page 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김병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

특허기반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 분석

Page 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특허기반무인항공기기술경쟁력분석

2013년 7월 30일 인쇄

2013년 8월 1일 발행

발 행 인 | 박 서

지 은 이 | 김병정

펴 낸 곳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연구소

주 소 | (분원)서울특별시 동 문구 회기로 66

주 소 | (본원) 전광역시 유성구 학로 245

전 화 | 051-831-0760

팩 스 | 051-831-0762

ISBN | 978-89-294-0304-1 93550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지하며,

이 책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저작권자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서면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 의 내용은 필자의 견해이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힙니다.

Page 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차례

무인항공기의 등장배경�05

무인항공기의 이해�17

무인항공기 특허기술 트렌드�25

무인항공기 연관 산업 및 기술경쟁력 분석�33

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 분석�43

무인항공기 핵심경쟁자 분석�53

시사점�71

참고문헌�76

Page 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Page 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의

등장배경

Page 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사회안전에 한 외 환경변화

지구온난화로 인한 자연환경 변화

지구 온난화와 급변하는 자연변화로 규모의 산불, 태풍, 호우 등 자연

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사회가 다변화되면서 각종 범죄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재난관리에 한 관심과 지원정책이 강화

되고 있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호우, 태풍 등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로 2009년

도 인명피해 13명, 재산피해 2,988억원에서 2011년도에 인명피해

78명, 재산피해 7,942억원이고 화재로 인한 피해로는 2010년도

41,318건의 화재에서 인명피해 1,892명, 재산피해 2,667억원에서

2012년도에 43,249건의 화재로 인명피해 2,222건, 재산피해

2,890억원으로 자연재해 및 화재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06

20

13

정보

분석

보고

무인항공기의 등장배경

Page 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자연재난 관리 무인화 기술 수요 증가

자연재해의 범위가 넓거나 사람이 접근하기가 어려운 환경에서 긴급 상

황에 한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입수 할 수 있는 중요성이 높아지

면서 인명피해가 적고 안전하게 자연재난 관리를 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

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무인항공기는 항공산업과 연관성이 매우 높은 제품으로 무인항공기의

핵심기술과 관련이 매우 높은 우리나라 항공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휴

폰, 조선, 철강 등에 비해 기술 및 산업경쟁력이 낮은 사업이다. 2010

년 지식경제부에서 발표한『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에 따르면 항공산업은

2020년도에 생산 200억 달러, 수출 100억 달러, 고용 70,000명으

로 생산, 수출, 고용 등 전 분야에 걸쳐 매년 20%이상의 고성장이 예상

되고 있는 유망산업이다.

따라서, 자연재난을 관리하거나 특정목적을 위한 정보수집과 국토방위

를 위해 중요한 제품으로 부각되고 있는 무인항공기는 항공산업의 발전과

관련성이 높고 자연재난 관리를 위해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자연재난에 의한 피해사례를 살

펴보면 첫째, 동남아시아 지진∙

해일 피해로 2004년 12월에 인

도네시아 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으로 쓰나미가 발생하

여 스리랑카 4만명, 인도네시아

1.2만명 등 사망자수가 약 25만

명이었다. 지진의 충격으로 지구

의 축이 기울고 자전이 하루에 0.03초씩 빨라지고, 바다에서 지각이 변

동하면서 땅이 서로 충돌하고 그 충격으로 인한 해일이 발생하여 진앙지

로부터 2,000km 떨어진 스리랑카 섬까지 약 2시간 만에 해일이 도착

하여 피해 규모가 매우 컸다.

둘째 소방방재청 국가재난정보센터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자연재난

피해로는 2009년 인명피해 13명, 재산피해 2,988억원에서 2011년

07

특허

기반

무인

항공

기기

술경

쟁력

분석

그림 1 | 인도네시아 지진 발생 피해 범위

Page 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인명피해 78명, 재산피해 7,942억원으로 급증하 으며, 화재로 인한

피해는 2010년에 화재가 41,318건이 발생하여 인명피해 1,892명,

재산피해 2,667억원에서 2012년에 43,249건의 화재가 발행하여 인

명피해 2,222명, 재산피해 2,890억원으로 매년 일정 수준이상으로 증

가하고 있다.

08

20

13

정보

분석

보고

표 1 I 자연재난 피해현황

구분 2009 2010 2011

인명피해(명) 13 14 78

재산피해(억원) 2,988 4,268 7,942

표 2 I 화재에 의한 피해

구분 2010 2011 2012

합계 41,318 43,875 43,249

임야산불 2.209 3.003 2.691

산업시설 5,354 5,683 5,574

기타(야외) 6,469 7,801 7,952

인명피해(명) 1,892 1,862 2,222

재산피해(억원) 2,667 2,565 2,890

※출처: 소방방재청

※출처: 소방방재청

<강릉시 비닐하우스 피해(2011)> < 양시 지방하천 피해(2011)>

화재건수

Page 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수요 증가

무인항공기 수요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의 생산 수요로는 2012년부터 향후 10년간

87,557 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되고 시장 규모로 생산 추정 수량을 기

준으로 551억 달러가 예상된다. 미국은 무인전투기를 개발하여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민간용으로도 연구가 활발하다.

무인항공기의 시장규모는 2012년도에 43억달러에서 2014년도에 51

억달러, 2015년도에 60억달러로 성장이 예상되며, 2016년 이후에는

성장세가 크게 변화 없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항공기의 세계시

장에서 향후 10년간 미국 업체가 66%를 차지 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

재 진행하고 있거나 계획 중에 있는 무인항공기 생산규모는 29.4억 달

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한 틸트로터형 비행

체(TR-6X)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된다면 연간 3조원 의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기 된다.

09

특허

기반

무인

항공

기기

술경

쟁력

분석

그림 3 | 무인항공기 시장 전망(2012~2021)

※출처: 2012 세계방산시장 연감, 국방기술품질원, 2012. 11

Page 1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경쟁구도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전 세계 무인항공기 기종별 생산전망을 살펴

보면, 총 4,131 가 생산이 예상되며, 미국은 MQ-9 Reaper, JSSSM

BLOCK 2 등 13개 기종, 프랑스는 MU-90, 독일이 DB2A4, 국이

Spearfish 등을 생산하고 구매국은 미국에서 9개 기종, 중국이 3개 기

종, 국이 1개 기종을 구매국으로 예상된다.

2012년도 무인항공기 세계 경쟁구도는 미국이 68.9%, 유럽이

5.0%, 이스라엘이 2.9% 순이다. 유럽 업체들은 현재 전체시장의 5%

미만을 차지하고 있으나, 향후 그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프랑

스는 휴 가 가능하면서도 장시간 전술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는 미니 무

01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3 I 주요 무인항공기 기종별 향후 생산전망

기종 제조업체생산전망

2013 2014 2015 2016 2017 계

China UAV Payload MFR Varies 30 50 70 100 100 350

MQ-9 Reaper General Atomics 48 24 24 24 24 144

Reaper Payload General Atomics 48 24 24 24 24 144

JASSM BLOCK 1 Lockheed Martin 112 117 103 104 76 512

JASSM BLOCK 2 Lockheed Martin 33 47 55 117 214 466

MQ-4C Northrop Grumman 0 0 1 2 3 6

Tactical Tomahawk Raytheon 200 218 215 214 192 1,039

China UAV GCS MFR Varies 3 5 7 10 10 35

MQ-4B Northrop Grumman 3 0 3 3 0 9

MU-90 Eurotorp 110 117 103 105 100 535

MK 54 LHT Raytheon 110 123 180 178 190 781

MQ-8 Northrop Grumman 9 9 7 7 6 38

Spearfish BAE Systems 0 0 0 0 24 24

MQ-9 Predator B General Atomics 5 5 8 9 5 32

BAMS Payload Northrop Grumman 0 0 1 2 3 6

Global Hawk GCS Northrop Grumman 0 0 5 5 0 10

계 711 739 806 904 971 4,131

※출처: 2012 세계방산시장 연감, 국방기술품질원, 2012.11

Page 1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인항공기와 수직이 착륙이 가능한 고고도 장거리 장기 체공형 무인항공기

의 도입 등 유럽 최 의 무인항공기 기단을 계획하고 있다. 국은 무인

항공기 기단을 확 하기 위하여 탈레스(Thales)사의 Watchkeeper를 채

택하 다. 이외에도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그리스 등도 새

로운 구매계획이 있어 탈레스(Thales)사와 EADS사는 유럽 무인항공기

획득사업의 최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스라엘의 IAI와 Elbit

는 무인항공기 시장 선점을 위해 해외업체와의 제휴하는 전략으로 공격적

인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일본은 고고도 장기체공형 타입의 로벌 호크(Global Hawk)를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싱가포르, 만, 인

도네시아 등이 무인항공기 획득을 계획하고 있다. 무인항공기 운용이 예

상되는 국가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이 약 37%을 운용하고

있으며, 중국이 19%, 일본이 4%, 인도와 한국이 3%이다.

미국의 무인항공기 수요

미국은 무인항공기를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하여 아프가니스탄, 예멘

에서 테러 작전에서 적용한 사례가 있으며, 경찰 업무 등 비군사분야에

서 사용하기 위해 2012년 미국 연방항공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의 항공시스템에 무인항공기를 포함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시험하고 허가하는 규정을 도입,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상업용 무인항공기가 1만 이상 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제무

인시스템협회(Association of Unmanned Vehicle System

International, AUVSI)는 무인항공기의 상업화 이용에 따라 경제적 효과

로는 2025년까지 821억 달러, 2018년까지 신규 일자리 창출이 7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의 소형 무인 정찰기는 Northrop Grumman, General Atomics

Aeronautical Systems, AAI Corporation, Boeing Integrated

Systems 등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전 세계 소형무인정찰기 생산의 66%

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생산의 90%가 군수용로 사용되고 있다.

2010년 이후 10년 동안 16,000여 에 360억 달러의 무인정찰기 구

01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Page 1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입이 예상되며, 무인항공기 개발비 290억 달러로 전세계 무인항공기

R&D투자비의 76%가 미국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노스롭그루먼(Northrop Grumman)사와 미 해군(Navy)과 합작

하여 개발 중에 있는 X-47B를 2013년도에 시험비행 예정이며, 향후

무인전투기 편 를 보완할 것을 추정된다.

민간 무인항공기은 NAS(National Airspace System)와 FAA(Federal

Aviation Association)는 무인항공기 운행과 관련하여 민간 공 관련 협

력관계를 제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15년 9월 이전에 모든 종류의

무인항공기가 특별규정의 적용을 받아 전용 공을 부여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항공기 주요 생산업체인 노스롭그루먼(Northrop Grumman)는 미

국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항공우주, 전자, 정보시스템 사

업 등 광범위한 사업 역을 가지고 무인 시스템, C4ISR 시스템, 보안

관련 장비 및 병참서비스는 물론 항공모함, 잠수함, 우주선 시스템에 이

르기까지 전 세계 25개 국가를 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또한, 유

럽, 중동,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30개가 넘는 지역 사무소를 두어 현

지 사업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제널렐아토믹사(General Atomics)는 911테러로 인해 회사가 급성장하

으며 미 공군은 60시스템을 운용하는 15개의 정찰 중 3개의 정

찰 에 170 의 MQ-1 Predator와 60 의 MQ-9가 있다. 향후 최

230 소요가 예상된다.

미 육군의 주력 무인항공기인 AAI사의 Pioneer는 이라크에서

100,000시간 비행시간과 활용성이 매우 뛰어나 미 국방부는 44 의

01

2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4 I 미국의 무인항공기 투자계획

년도 구매 수 R&D규모(달러) 년도 구매 수 R&D규모(달러)

2011 2,270 19.9 2014 3,480 22

2012 3,695 21.5 2015 4,120 17

2013 3,340 22 2016 4,230 31

※출처: World UAV Systems, 2011 Market Profile and Forecast, Teal Group.

Page 1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

AeroVironment사는 man-portable이라는 소형 무인항공기를 개발하여

1,000 의 Raven을 미 육군의 2005년에 납품하 고, SOCOM이 추가

구매할 가능성이 있다.

유럽의 무인항공기 수요

미국 다음으로 무인항공기 수요가 많은 유럽은 5%정도의 점유율로 잠재

적 수요는 2015년까지 13억 달러에 50 정도이다. 독일은 AGS

(Alliance Ground Surveillance)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고, 프랑스와 네덜

란드가 공동 개발 중에 있는 EuroMALE은 다양한 수요에 맞추고 있다.

국은 Qinetiq가 HALE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과 국이 Northrop

Grumman의 Global Hawk보다 체공시간이 오래가는 무인항공기를 연구

중에 있다. 또한, 태양열로 구동하며 60,000ft 상공에서 동작하고 몇

주 동안 비행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 프로그램개발을 Qinetiq이 주도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무인항공기 수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무인항공기 제작회사인 IAI는 Pioneer, Searcher,

Ranger, Hunter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2016년까지 약 1,000억 달러

01

3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5 I 유럽의 무인항공기 수요

국가 타입 생산년도

Naval VTOL 2010

프랑스 HALE 2012-2014

Tactical 2009-2014

독일Man-Protable 2008

Naval VTOL 2010

이탈리아Medium 2008-2009

Tactical 2008

스웨덴 Tactical 2009

스위스 Medium 2009-2010

※출처: 2012 세계방산시장 연감, 국방기술품질원, 2012

Page 1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의 이익 창출을 예상되고 BirdEye를 생산하여 파리 에어쇼에서 선보 다.

무인항공기 관련 정부지원정책

국방기술선진화 및 사회안전 관련 정책강화

2011년 9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발표한 국방과학기술진흥 실행계

획에 의하면 국방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고 방산수출을

2020년에 100억 달러 수출을 목표를 하고 있다. 특히 경남지역은 방위

산업체가 전국 비 60%이상 소재하고 있으며, 자연재해나 화재 감사에

적용이 가능한 무인항공기의 관련 산업인 항공산업은 우리나라 선두기업

인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항공이 부산경남에 소재하고 있다.

2012년 8월에 발표한 제1차 산업융합 발전 기본계획(안)에 의하면 산

업융합 시 의 미래의 모습으로 재해, 재난, 범죄, 환경오염, 에너지 부

족 등이 없는 안심사회를 추구하고 있어 무인화 기술에 한 지원정책이

높아지고 있다.

무인항공기 기술 정부지원 강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총 970억원의 예

산을 투입하여 개발한 틸트로터형 비행체(TR-6X)는 헬리콥터처럼 수직

이륙 가능한 드론(droneㆍ윙윙거리는 수벌)으로 테크항공, 퍼스텍 등 10

개 기업과 19개 학을 포함해 총 36개 기관이 참여했다.

틸트로터형 비행체(TR-6X)는

길이 5m, 폭 7m로, 3㎞ 고도에

서 헬리콥터의 2배 속도인 시속

500㎞로 3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다. 헬리콥터처럼 활주로 없이

수직 이륙한 뒤 수평 비행하며,

주야간 감시카메라로 찍은 상

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조이스

틱 모양의 컨트롤러로 원격 조종

01

4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그림 4 | 틸트로터형 비행체(TR-6X)

Page 1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하는 기존 소형 무인 항공기에서 목표를 설정한 뒤 몇 개의 중간 경로지

점을 찍어주면 스스로 이 지점들을 통과하는 자동 비행기능도 갖췄다.

주요 임무로는 활주로를 건설하기 힘든 산악지역과 군용은 물론 도로와

해역 감시, 해상 수색 및 구조, 산불감시, 방사능 탐지 등 민수용으로도

폭넓게 활용이 예상된다.

이 밖의 몇몇 업체들이 군사용 소형무인항공기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을

하고 있으며, 또한, 항공학과를 둔 국내 여러 학들이 무인항공기 연구

에 많은 관심을 집중시키면서 기술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음은 무척 고

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방전력증강 사업의 일환으로서 전술

급 무인항공기를 국내연구개발로 전력화하는 계획과 함께 중고도무인항

공기나 무인전투기 등의 고성능ㆍ고기술 무인항공기 개발 까지도 계획되

고 있어 미국 등 선진국들이 그러하듯이 국내 무인항공기 기술도 군이 선

도해 갈 것으로 보인다.

01

5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Page 1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01

6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Page 1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의이해

Page 1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정의

무인 항공기는 이스라엘에서 처음 개발한 이래 미국, 프랑스, 독일, 이

탈리아 등 극소수 국가에서만 만들었을 정도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무인항공기(UAV)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으로 조종하거

나 사전에 입력된 임무 프로그램으로 비행체가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판단

하여 스스로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사용용도로는 광역 상 및 신호

정보 수집, 감시 및 정찰, 통신 중계, 사람이 접근하기가 어려운 오염지역

이나 넓은 지역의 화재나 자연재난에 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운용목적에 따라 정찰용, 기만용, 공격용, 전투용, 표적용 등으로 분류

할 수 있고, 특정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외선 카메라, GPS, 열?움

직임 감지 센서 등을 통해 지형, 지물, 사람 등의 동향을 실시간으로 감

시, 정찰, 정 공격 등에 활용하는 무인항공기는 통합체계라는 의미로

UAS(Unmanned Aircraft System)라고도 불린다.

현재는 주요 군사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회안전망 확보에 필

01

8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무인항공기의 이해

Page 1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요한 민간용으로도 시장이 확 되고 있는 추세이며, 2010년 기준 무인

항공기를 개발한 국가는 51개국에서 158종의 무인항공기를 운용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인항공기 구성

무인항공기는 크게 항공부문과 지상시스템으로 나누어지며, 항공부문의

주된 임무는 카메라, 각종 센서 등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지상부문으

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이며, 항공플랫폼 센서부,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

등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틸트로터형 비행체(TR-6X)는 회전익의 호버링

(hovering,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정지해 있는 운용방식)과 고정익의 순

항(cruise) 비행성능을 가지는 고정익의 장점들을 결합한 형태이며, 비

행체에 장착된 상시스템으로 주야간으로 상정보를 수집하고 제어시

스템을 통하여 비행제어시스템 자율비행을 제어하는 하는 것을 말한다.

지상부문은 주로 차량에 의한 시스템으로 통제차량, 지상통신장비, 조

종기, 도킹장비 등이 포함되며, 통제차량에는 비행통제 및 감시 장비, 임

무장비통제 및 감시 장비, 임무계획 및 통제장비가 장착되어 운용되고 있

다. 주된 임무는 항공부문으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정보

를 고속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플랫폼 수신부와 처리부로 구성된다.

무인항공기 분류

군사적 목적에 따른 분류

무인항공기를 군사적 운용목적으로 분류하면, 정찰용, 전자전용, 기만

용, 공격용 등으로 분류하여 운용목적은 상정보 수집, 신호정보 수집

등으로 나눈다.

01

9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6 I 군사적 운용목적에 따른 분류

분류 운용목적 비고

정찰용 상정보 수집 EO, IR, SAR 장비 탑재

기만용 공기만, 방공화력 소모 유도 전자증폭기 탑제

공격용 자폭형 공격 미사일과 같은 소모성

Page 2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정찰용 무인항공기는 상지역의 감시, 표적 획득, 피해 평가 등을 수행

하기 위해 주야간 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로 구

성하는 장비들은 운용 목적 및 방식, 비행체의 크기와 수행하는 임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는 비행체, 지상통

제소, 이착륙통제소, 통신체계, 탑재 임무장비(Payload), 이착륙장비 등

의 주장비와 발전기, 수송차량 등의 지원 장비로 구성된다. 초소형 정찰

용 무인항공기는 일정 규모 이하의 정찰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무인항공기

로 휴 가 가능하고 크기가 작아 잘 눈에 띄지 않는 장점으로 적지상공에

침투하여 상정보를 수집한다.

기만용 무인항공기는 적 레이더와 같은 방공망을 기만하여 교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저가이면서 소형이지만 레이더 상에는 유인 전투

기, 전폭기, 형 전술기가 기동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기만용 무인항공

기가 적 레이더와 공화기를 유인하는 동안, 유인 전투기 및 전폭기, 무

인 공격기 및 전투기 등의 아군 항공기는 적 레이더, 공화기, 지상표적

을 공격한다. 이처럼 상 적으로 저가인 기만용 무인항공기를 사용하여

아군의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최소화하고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

이 특징이다.

공격용 무인항공기는 레이더, 지상표적, 탄도미사일 등의 전술적 목표

물을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무인항공기로 적 공방어망을 제압하고 작전

을 수행하기 위해 적 레이더망을 파괴하는 것은 전술적으로 중요한 일이

다. 한편, 적의 공방어망의 핵심인 레이더를 파괴하기 위해 주로 레

이더 미사일이 사용되었으나, 미사일은 운용 중에 적의 레이더 작동을

중지하게 하여 정확성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공격용 무인

02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분류 운용목적 비고

전투용 공 공, 공 지 전투 미사일 등으로 무장하여 전투수행 후 귀환

전자전용 신호정보 수집, 전자공격 SIGINT, COMINT, DF 장비 탑재

표적용 공 /지 공 훈련용 표적 회수형(표적 견인), 소모성(무인항공기 자체가 표적)

통신중계용 통신중계 통신중계기 탑제

원격측정용 기상관측, 화생방 탐지 기상관측,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 탐지

탄도탄요격용 전구 탄도탄 요격 무인항공기에 유도탄 타배 부스트

Page 2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항공기는 상공을 선회하면서 레이더의 재가동을 기다릴 수 있으므로 적

방공망을 파괴하거나 무력화하는데 유리하다.

무인전투기(UCAV : Unmanned Combat Aerial Vehicle)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지상원격 조종 또는 자동조종 비행하며, 유도폭탄, 미사일

등이 무장하고 공 지 또는 공 공 전투 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운용되며,

스텔스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는 무인항공기로 시스템 구성은 기체

및 탑재 시스템을 중심으로 각종 운용지원 시스템 등이 포함 된다. 유도

탄과 레이저 유도폭탄을 탑재한 무인전투기는 현재의 유인전투기를 체

또는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유인전투기에 비하여 무인전투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조

종사의 인간의 생리적 한계를 초월한 장시간의 원거리 임무수행은 물론,

높은 중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전투기보다 훨씬 뛰어난 기동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조종사 피해를 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성능에 따른 분류

성능에 따른 무인항공기는 출처리부터 장거리에까지 다양하며 출처리,

저공침투 등에 사용되는 전술무인항공기와 고고도 장치체공 등 전략무인

항공기, 기만교란, 파괴살상 등으로 사용되는 특수임무기로 구분된다.

02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석표 7 I 성능에 따른 무인항공기 분류

구분 분류 순항거리(km) 비행고도(m) 시간(hr)

마이크로(250g이하) 〈 10 250 1

미니(25g이하) 〈 10 150-300 〈 10

출처리 10-30 3,000 2-4

단거리 30-70 3,000 3-6

중거리 70-200 3-5,000 6-10

중거리 체공 〉500 5,000-8,000 10-18

저공침투 〉250 50-9,000 0.5-1

저고도 체공 〉500 3,000 〉24

중고도 장기체공 〉500 5,000-8,000 24-48

고고도 장기체공 〉2,000 5,000-15,000 24-48

성층권 〉2,000 〉20,000 〉48

전술 무인

항공기

전략 무인

항공기

Page 2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특징 및 활용 사례

인명손실 없이 어려운 조건에서 다양한 임무 수행

무인항공기는 사람이 접근하기가 어려운 오염지역이나 오랜 시간동안

사람이 탑승하지 않아 지상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

다는 이점 때문에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무인항공기는 유인항공기

의 발전이 그러하 듯이 현재의 군사용 위주에서 다양한 민간용으로 운

이 확산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무인항공기의 미래시장 확보를 위한 기

술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에 무인항공기의 무게가 25g 이하의 나노급 초소형으로부터 무게

12,000㎏에 40시간 이상의 체공성능을 가진 형에 이르기까지 수행

하는 임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성능으로 개발ㆍ운용되고 있다.

군사용으로 활용

무인항공기 활용사례로는 아프간과 이라크 전장에서 미국의 로벌 호

크(RQ-4 Global Hawk)와 프레데터를 필두로 한 무인항공기들이 24시

간 쉴 새 없이 최신정보를 수집하여 연합군의 작전승리에 기여하면서 무

인항공기의 역할과 위력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즉, 실시간으로

적의 움직임과 목표에 한 타격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해 주는 무인항공

기의 유용성이 매스컴을 통해 전해지면서 세계 각국은 무인항공기의 가치

와 필요성에 한 인식을 새롭게 하게 되었고, 이제는 안보를 염려하는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들이 무인항공기를 운용하기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이러한 군사용 무인항공기는 정찰감시, 작전통제, 무장공격, 통신

중계, 전자전, 침투부 안내 및 재공급, 지뢰 및 화생방 탐지, 요인 암

02

2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구분 분류 순항거리(km) 비행고도(m) 시간(hr)

무인전투기 1,500 10,000 2

파괴살상 300 3-4,000 3-4

기만교란용 500 50-5,000 〉4

특수 임무기

※출처: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2012

Page 2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살 등 현재에도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지만 또 다른 임무를 위한 운용개

념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범죄자 추적용으로 활용

무인항공기 산업은 항공기산업의 한 부분으로써 항공기술수준과 산업

역량을 종합적으로 구현하는 지식기반 산업이다. 제품 개발주기가 길고

기술측면에서 진입장벽이 높으나 진입 성공 시 장기간의 안정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다.

특히, 탑승하는 조종사의 생리나 심리상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위험한

지역의 상황을 한눈에 탐지할 수 있으며 가혹한 비행조건에서 운용이 가

능하며, 기체를 폭적으로 소량 및 소형화하여 임무에 맞는 크기로 제작

할 수 있어 가격이 유인 항공기에 비해 저가이면서 경제적이다.

무인 항공기의 활용범위로는 범죄자나 도난 차량을 뒤쫓고 산악지 에

서 실종자 수색 작업, 소방관에게 화재현장의 고온 위치 등 전달, 밭의

물 부족 정보를 수시로 수집, 밭을 망치는 멧돼지 격퇴, 동물 사냥 안내,

음식이나 선물을 배달도 가능하다.

재난용으로 활용

무인항공기의 민간용으로의 활용으로는 안전 운용을 위한 연구와 법적

ㆍ제도적 준비가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9년도부터 국토해양부 주관으로 안전관리 기술 및 운용

02

3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그림 5 | 무인항공기 도난차량 추적 활용 사례

Page 2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기준을 만들고 있다.

무인항공기 활용으로는 기상 연구 및 환경 파수꾼 드론(무인항공기)은 허

리케인, 하 40도 극지 탐사, 재난현장 의료품 전달 임무도 가능한 드론

은 야생동물을 관찰하고 렵을 감시부터 허리케인과 화산활동 정보를 수

집하거나 재난 현장에서 생존자를 찾고 의료품을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국 동물보호단체의 불법 여우 사냥을 감시하는 드론은 NOAA

가 개발하여 소음이 적은 펭귄이나 물개, 고래에게 별 향을 주지 않고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내부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3차원 공간에서

회전 상태를 파악하는 자이로스코프, 이동 상태를 알려주는 가속도 센서

를 장착하여 바다동물들의 이동경로나 생활상을 연구하기도 하고 미 항공

우주국(NASA)은 드론을 과학 연구에 이용해왔다.

재해재난 방지 및 피해조사, 원격탐사, 기상관측, 통신 중계, 환경감시,

산불 감시 및 진화, 입국감시, 지리정보수집, 화산관측, 토목 및 건축물

구조안전 검사 등 공공목적에서부터 점차적으로 확 가 예상된다.

02

4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그림 6 | 무인항공기 이용 현황

미 해양 기청(NOAA) 극지 바다사자, 펭귄, 고래추적 미 항공우주국(NASA) 성층권 기, 태풍, 화산, 산불 연구

세계 야생동물보고기금(WWF)

인도, 네팔에서 코뿔소 불법 사냥 감시

미 하버드 -MIT

재난 현장에 백신, 의료품 전달 연구

Page 2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특허기술

트렌드

Page 2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에 한 기술경쟁력 분석을 위해 KISTI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분석 툴인 OASIS(정보분석연구소 통합정보자원 서비스, COMPAS)

시스템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2년까지 무인항공기 관련 특허정보

를 검색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 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항공시장, 국방

과학기술수준, 무인항기 기술수준 등을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 다.

특허기반 무인항공기 특허추이

무인항공기 특허트렌드 분석을 위해 무인항공기 관련 핵심키워드를 도

출하여 특허명칭(simulat* or control* or navigation or monitor* or

operat* or system or information or recover* or landing or image

or sensor or track* or brak* or photo* or automat* or camera or

network* or remote or communication or UAS or UAV or pacbots

or ((Unmanned or pilotless or robot) and (Aircraft or aerial or

flight or plane)))과 청구범위(UAS or UAV or pacbots or ((Unmanned

02

6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무인항공기 특허기술 트렌드

Page 2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or pilotless or robot) and (Aircraft or aerial or flight or plane)))를

조합하여 검색한 결과 529건이 조사되었다.

연도별 특허추이

분석 상 기간의 연평균 증가율은 특허 수 기준 15.86%, 누적 특허

수 기준 34.68%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2001년

에 특허 출원건수가 20건에서 2004년까지 증가하다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27건에서 37건까지 출원건수가 증가 및 감소를 하다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특허출원 건수가 급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특허 수는 2006년 2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1건씩, 2011

년에 3건으로 출원하 다.

출원인 국가 및 연도별 특허출원 추이

특허 출원인 국가를 살펴보면 전체 529건 중 미국이 58.41%(309

건), 일본 10.96%(58건), 독일 7.18%(38건), 한국은 9건(1.7%)으로

6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06년도 특허출원건수가 2건에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특허출원건수가 7건으로 증가하면서 무인항

공기에 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2

7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8 I 성능에 따른 무인항공기 종류

연도 특허 수 누적 특허 수 한국 특허 수 특허 출원추이

2001 20 20 0

2002 24 44 0

2003 34 78 0

2004 36 114 0

2005 27 141 0

2006 43 184 2

2007 46 230 0

2008 34 264 1

2009 37 301 1

2010 59 360 1

2011 68 428 3

2012 101 529 1

Page 2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미국의 경우 2001년부터 2006년까지 9건에서 27건의 특허출원에서

2008년을 기점으로 하여 2012년도에 63건의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2001년도부터 2013년까지 매년 3

건에서 8건까지 특허출원하 다. 한국의 경우에는 2006년, 2007년도

에 2건씩 출원하 으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1건씩 출원하 고,

2011년도에 3건 등 총 9건의 특허를 출원하 다.

02

8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9 I 출원인 국가별 특허출원 추이

순위 출원인국적 특허수 비중(%) 국가별 특허수

1 미국 309 58.41

2 일본 58 10.96

3 독일 38 7.18

4 스웨덴 13 2.46

5 이스라엘 12 2.27

6 한국 9 1.70

7 캐나다 7 1.32

8 만 4 0.76

9 스위스 3 0.57

9 스페인 3 0.57

9 국 3 0.57

9 핀란드 3 0.57

9 이탈리아 3 0.57

10 중국 2 0.38

표 10 I 출원인 국가 및 연도별 특허출원 추이

연도2001-2006 2007-2012

합계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계

미국 9 9 15 22 13 27 95 30 15 23 38 45 63 214 309

일본 3 5 3 7 8 4 30 4 5 5 3 6 5 28 58

독일 2 2 5 2 1 0 12 3 2 4 6 5 6 26 38

스웨덴 0 2 2 0 0 3 7 3 1 1 0 0 1 6 13

이스라엘 0 0 0 0 0 0 0 0 0 1 1 1 9 12 12

한국 0 0 0 0 0 2 2 0 1 1 1 3 1 7 9

캐나다 0 2 0 0 1 1 4 0 0 0 0 1 2 3 7

만 0 0 0 0 0 0 0 2 0 0 2 0 0 4 4

스위스 0 1 0 0 0 0 1 0 1 1 0 0 0 2 3

스페인 0 0 0 0 0 0 0 0 1 0 0 0 2 3 3

Page 2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출원인별 국가별 무인항공기 특허추이

출원인 국적별 특허 수준 분석

출원인 국적별 특허 수준은 특정 기술 분야 전체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

에 한 특정 국가 발표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의 비로서 피인용 수에 기

반을 둔 문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특정 국가의 수준 지수

가 1.0인 경우 해당 국가가 발표한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가 해당 분야

전체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와 같음을 의미하며, 1.0을 초과하는 경우는

해당 분야 평균 피인용 수에 비해 높음을 의미한다.

국가별 특허의 수준 지수 분석 결과 캐나다가 가장 높은 값(1.314)을

보여 특허의 피인용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야별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국가는 캐나다(1.314), 스웨덴

(1.027)이다. 한국의 수준 지수는 0.1를 기록하 으며, 이는 한국의 질

적 수준이 세계 평균 이하임을 알 수 있다.

02

9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연도2001-2006 2007-2012

합계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계

국 0 0 0 0 1 0 1 1 0 0 0 0 1 2 3

핀란드 2 0 0 0 0 1 3 0 0 0 0 0 0 0 3

이탈리아 0 0 2 1 0 0 3 0 0 0 0 0 0 0 3

중국 0 0 0 0 0 0 0 0 0 0 0 0 2 2 2

Page 3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출원인 국적별 평균 패 리 크기

출원인 국적별 평균 패 리 크기는 동일한 내용의 특허를 복수의 국가

에 출원된 경우의 특허를 패 리( 응) 특허라고 하며, 패 리 특허가 출

원된 국가의 수를 패 리 크기라 한다. 이는 다수의 국가에서 보호 받을

03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11 I 출원인 국적별 특허 수준 지수

국가 특허 수특허 당

수준 지수 출원인 국적별 특허 수준 지수피인용 수

캐나다 7 7.286 1.314

스웨덴 13 5.692 1.027

독일 38 5.237 0.945

미국 309 4.851 0.875

스페인 3 4.667 0.842

일본 58 4.345 0.784

이탈리아 3 2.333 0.421

국 3 1.667 0.301

핀란드 3 1.667 0.301

만 4 1.25 0.225

스위스 3 0.667 0.12

이스라엘 12 0.667 0.12

한국 9 0.556 0.1

중국 2 0 0

Page 3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가치가 있는 특허의 경우 패 리 크기가 커지게 된다.

특허의 평균 패 리 크기를 분석한 결과 스위스가 가장 높은 값(18.3)

을 보여 특허의 패 리 크기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고 있고, 분야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국가로는 스위스

(2.92), 만(2.21), 스웨덴(2.21), 이탈리아(2.13), 한국(1.58), 핀

란드(1.49), 독일(1.175)순이다. 한국의 분야평균 비 평균 패 리 크

기는 1.58을 기록하 으며, 이는 한국의 질적 수준이 세계 평균 이상임

을 알 수 있다.

03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12 I 출원인 국적별 평균 패 리 크기

국가 특허 평균패 리 분야평균 비 특허 수 비 평균 패 리 크기

수 크기 평균패 리크기

스위스 3 18.333 2.934

만 4 17 2.721

스웨덴 13 13.846 2.216

이탈리아 3 13.333 2.134

한국 9 9.889 1.583

핀란드 3 9.333 1.494

독일 38 7.342 1.175

일본 58 7.121 1.14

미국 309 5.738 0.918

국 3 4.667 0.747

캐나다 7 4.143 0.663

이스라엘 12 0.333 0.053

스페인 3 0.333 0.053

중국 2 0 0

Page 3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Page 3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연관산업및

기술경쟁력분석

Page 3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특허기반 항공산업 경쟁력 분석

무인항공기는 항공기 관련 핵심기술인 비행체, 자동제어, 관제기술 등

이 포함되어 있어 항공관련 기술이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

인항공기의 핵심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항공산업에 한 산업경쟁력을 살

펴보면, 미국이 전세계 시장의 46.8%(2,012억 달러), 프랑스가

12.3%(531억 달러), 국이 10.0%(431억 달러)이며, 한국은

0.2%(20억 달러)로 16위이다.

03

4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무인항공기 연관 산업 및

기술경쟁력 분석

표 13 I 항공산업 산업경쟁력

순위 국가명 매출액(억달러) 비중 고용(만명) GDP 비

주력 분야매출액

1 미국 2,012 46.8% 64.3 1.41 완제기, 엔진

2 프랑스 531 12.3% 16.0 1.86 완제기, 엔진

3 국 431 10.0% 15.5 1.63 엔진, 부품

4 독일 320 7.4% 10.6 0.87 부품

5 캐나다 236 4.5% 8.3 1.69 중형항공기

Page 3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세계 주요 항공기 제조업체 현황을 살펴보면 유럽의 EADS가 2008년

기준 항공매출이 633.0억 달러이고 다음으로 미국의 보잉사가 609.0

억 달러, 미국의 록히드마틴사가 427.3억 달러 순이다. 항공매출 10위

이내에 미국업체가 6개 업체가 분포되어 있어 미국업체의 항공 관련 제

조기술이 세계 최고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KAI가 항공 매출이 7.6억

달러로 세계 67위이다.

03

5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순위 국가명 매출액(억달러) 비중 고용(만명) GDP 비

주력 분야매출액

6 이태리 133 3.1% 5.1 0.58 부품

7 러시아 120 2.8% - 0.75 군용기, 중형기

8 일본 116 2.7% 3.1 0.24 부품

9 중국 80 1.9% - 0.18 군용기, 중형기

10 브라질 80 1.9% 2.5 0.50 중소형 항공기

11 이스라엘 50 1.2% - 2.50 무인항공기, 부품

12 싱가폴 43 1.0% - 2.36 MRO

13 스웨덴 40 0.9% 2.2 0.83 군용기, 부품

14 스페인 38 0.9% 3.8 0.24 부품

15 스위스 30 0.7% 0.9 0.61 소형 항공기

16 한국 20 0.5% 1.1 0.21 훈련기, 부품

※출처: 지식경제부‘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2010~2019(2010. 1월) ※ 세계시장 매출액 중 차지하는 비중(2008년)

※출처: 2009 Aerospace Top100 (Flight Int’l, PriceWaterhouseCoopers)

주 : EADS, Lockheed Martin, BAE, Northrop Grumman, Raytheon, Thales의 항공부문 매출은 일부 방산부문 포함

표 14 I 세계 10 항공업체 현황

순위 주요 완제기 업체(국가) 항공매출

종업원수(명)인당매출

(억달러) (억달러)

1 EADS(유럽) 633.0 118,349 5.3

2 Boeing(미국) 609.0 162,200 3.7

3 Lockheed Martin(미국) 427.3 146,000 2.9

4 Northrop Grumman (미국) 338.8 123,600 2.7

5 BAE Systems ( 국) 309.2 94,000 3.2

6 General Dynamics(미국) 290.0 92,300 3.1

7 United Technologies (미국) 245.4 223,100 2.6

8 Raytheon(미국) 231.7 73,000 3.1

9 Finmeccanica (이태리) 230.3 73,398 3.1

10 Thales(프랑스) 185.3 63,248 2.9

67 KAI (한국) 7.6 2,848 2.6

Page 3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우리나라 항공업체의 2008년도 기준 매출기준으로 KAI가 9,101억

원, 삼성테크윈이 4,682억원, 한항공 3,580억원이다.

특허건수 비 항공산업 경쟁력 비교

항공시장은 미국이 전 세계의 시장에서 46.8%(2008년 기준) 차지하

고 있고 기술수준도 세계 최고로 항공산업의 기준이 되는 미국특허를 기

반으로 하여 특허건수와 항공시장을 비교하 다. 항공시장은 지식경제부

에서 발표한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2010-2019)을 출처로하여

2012년도 시장을 추정하 다.

특허출원건수와 항공시장을 비교해보면 미국이 특허건수가 309건에 항

공시장이 2,372억달러로 세계 최고 수준이고 국의 경우 특허건수가

3건인데 비해 항공시장은 508억달러로 분석되었고 한국은 특허건수가

9건인데 비해 항공시장은 24억달러로 낮은 편이다.

03

6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출처: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2010~2019, 지식경제부(2010.1월)

표 15 I 국내 주요 항공 업체 현황

순위 업체명 항공매출(억원)종업원수

비 고(항공부문,명)

1 KAI 9,101 2,950(2,950) 완제기, MRO

2 삼성테크윈 4,682 4,188(969) 엔진

3 한항공 3,580 15,158(2,533) MRO, 기체구조

4 LIG넥스원 2.097 2,344(168) 항공전자

5 (주)한화 479 3,031(234) 유압부품

6 삼성탈레스 384 1,600(200) 항공전자

7 현 위아 356 1,967(30) 착륙장치

8 쎄트렉아이 208 108 소형위성

9 위다스 201 101(28) 안전진단장비

10 제일정공 193 58(20) 금형부품

11 현항공산업 162 100 구조부품

12 아스트 152 196(188) 구조부품

13 한벨헬리콥터 126 123 회전익기

14 수성기체 104 95(89) 구조부품

15 다윈프릭션 99 40 항공소재

Page 3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특허기반 국방과학기술 경쟁력 분석

국방과학기술수준은 선진 국방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를 상으로 8

전략분야 24개 무기체계분야의 기술수준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방법

은 산학연군 전문가를 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최고기술보유국

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하고 조사 상 국가의 기술수준을 상 적인 숫

자로 지수한 것이다.

주요 조사 상은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기동, 함정, 항공우주, 화력,

방호, 기타로 구분되며 무인항공기는 항공우주 분야에 포함되어 있다.

주요 국가별 2010년 비 2012년도의 국방기술수준을 살펴보면 미국

의 경우 최고 선진국을 유지하고 있으며, 감시정찰, 지휘통제, 항공∙우

03

7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단위 : 건, 억달러)

표 16 I 특허출원건수 비 항공산업 경쟁력 비교

구분 미국이스

독일 국이탈

중국 스웨덴 한국 일본 캐나다 스페인라엘 리아

특허출원건수309 12 38 3 3 2 13 9 58 7 3

(2001-2012)

항공시장2,372 59 377 508 157 94 45 24 137 278 45

(2012)

※출처: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2010~2019, 지식경제부(2010.1월), KISTI 재조정

Page 3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주, 함정, 화력분야 등 전(全)분야에 걸쳐 최고수준의 기술기반, 자체계

발 능력, 생산역량을 확보 및 신개념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감시

정찰, 지휘통제, 정 타격 체계간 합동성 및 상호운용성을 극 화하는

C4ISR-PGM 개념을 선도하고 있다. 프랑스는 기술수준이 91%에서

92%로 상승하 으며, 감시정찰 및 항공∙우주분야의 상승 견인(탈레스

사의 방공 레이더 및 육상용 다기능 레이더(MFR) 분야에서 미국과 경쟁

이 가능한 레이더개발능력 보유, 회전익체계는 X-3에 이은 X-4를 개발

중에 있다.

러시아의 기술수준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

기체계별로 일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이며,

고속로켓 추진을 이용한 어뢰용 어뢰에 한 연구를 추진 중이며, 초공

동 탄환 개발 등 초공동 현상을 이용한 수중 무기체계와 관련기술 개발을

활발히 수행 중에 있다.

국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체계별로 일

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 DII(F) 프로그램을

통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국방부의 개별 정보시스템을 하나의 효

율적인 정보기반체계로 체 중에 있고, 최신 이지스 함정인 Daring급

(Type 45)을 2016년까지 총 6척을 취역시킬 예정이며 차기 항공모함

인 Queen Elizabeth호도 2016년 취역을 목표로 자체 건조 중에 있다.

독일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체계별로 일

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TerraSAR-X 후속

프로그램이 진행 중으로, 2016년 개발 목표인 TerraSAR-X2는 해상도

를 25~50㎝로 향상시킬 계획으로, 광 역 고해상도 상획득이 가능한

HRWS(High Resolution Wide Swath) 개념이 적용, 로켓 엔진을 사용한

요격어뢰인 SEASPIDER 개발 중에 있다.

일본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체계별로 일

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사거리 350km이

상, 램제트엔진을 이용한 초음속 공 함 유도무기(XASM-3) 및 초음속

함 함 유도무기(XSSM-2) 등 첨단유도무기 개발진행, 2014년까지 광

학군사위성∙레이더군사위성 각 2기 운용으로 주∙야간 정보수집 능력

03

8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Page 3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확 예정 예정이다.

이스라엘은 2010년 83%에서 2012년 84%으로 상승하 고, 감시정

찰, 항공∙우주, 방공분야의 상승 견인(ELTA사의 레이더 개발 역량 증

, EO/IR 센서 개발 선도, 무인항공기 수출 증 , 탄도탄방어체계인

Arrow 시리즈를 개량 중에 있다.

중국은 2010년 81%에서 2012년 82%으로 상승하 고, 항공∙우주,

함정, 방공분야의 상승 견인(항법위성인 북두체계 운용 시작 및 우주정거

장 도킹성공, 항공모함인 Varyag(쉬랑(施琅))함 시험운항, 지 공 유도무

기 개량체계를 이용한 탄도탄 요격을 성공하 다.

이탈리아는 2010년 80%에서 2012년 82%으로 상승하 고, 감시정

찰, 함정, 항공∙우주분야 상승 견인(고해상 SAR체계를 탑재한 감시정찰

위성인 Cosmos-Skymed 1~4호기 자체개발, 항모운용국으로 차세

방공 구축함 Andrea Doria(Horizon)급 건조, 공격/기동 회전익체계를

개발 중에 있다.

스웨덴은 2010년 79%에서 2012년 80%으로 상승하 고, 감시정찰

및 함정분야 상승 견인(항공기탐재 사격통제 레이더인 PS-05/A 개랑 및

능동 위상배열 구조의 공중 조기경보레이더 Erieye 개발, 함정 스텔스 분

야의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2010년 78%에서 2012년 80%으로 상승하 고,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기동, 함정, 항공∙우주 분야인 능동선형위상배열 레이더

개발, 사령부급인 전략 및 육해공 전술C4I의 지속개량 및 급 이하

C2체계인 B2CS 구축 중, 전차의 능동방호체계와 한국형 기동헬기 및

틸트로터 무인항공기 개발, 209 급 개량형 잠수함의 인도네시아 수출

등으로 기술수준 상승에 기여하 다.

캐나다는 2010년 73%에서 2012년 74%으로 상승하 고, 감시정찰

및 함정분야 상승 견인(MDA 사의 위성 SAR체계 개발운용 및 Wireless

SAR시제 개발, CPF(Canadian Patrol Frigate) 프로그램 추진과 수중방

사소음과 같은 함정 특수성능분야에서 기술를 보유하고 있다.

인도는 2010년 71%에서 2012년 73%으로 상승하 고, 함정, 기동,

화력분야 상승 견인(항모운용국으로서 프랑스와 러시아로부터의 기술도입

03

9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Page 4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을 통한 Indigenous Aircraft Carrier급 항모건조 중 및 Arihant급 핵추

진 잠수함 시험운항 중, 차세 주력전차 (FMBT: Future Main Battle

Tank)에 한 요구사항을 2010년 확정 발표했으며, 인도 국방 연구개

발기관인 DRDO가 2020년까지 개발 예정이다.

스페인은 2010년 71%에서 2012년 72%으로 상승하 고, 감시정찰

및 지휘통제 통신분야인 수동위상배열 방식의 지상용 중/장거리 3차원

방공레이더 분야에서 자체 레이더 개발능력을 보유, 군단부터 플랫폼 수

준까지 지휘통제 및 감시정찰 기능을 제공하는 ne.on 기반의 육군 및 해

군 지휘통제체계를 구축 및 아랍에미레이트에 수출 등으로 기술수준 상승

에 기여하 다.

미국은 2008년 이후부터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군사 기술

분야에서 최고 선진국 지위를 확고부동하게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프랑스, 러시아, 국, 독일이 거의 비슷한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지만

프랑스가 미국 비 92% 수준으로 감시정찰, 항공, 우주 분야에 기술우

위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과 이스라엘이 84%, 중국과 이탈리아가 82%,

스웨덴과 한국이 80%수준으로 공동 10위이다.

특허 비 국방과학기술수준을 비교해 보면 미국이 309건 특허건수에

국방과학기술수준은 100%이고, 독일의 경우에는 특허출원 38건에 국방

과학기술수준이 90%으로 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에는 특허

건수가 58건인데 비해 국방과학기술수준은 84%으로 상 적으로 낮다.

한국의 경우에는 특허건수 9건에 국방과학기술수준은 2010년 비 2%

가 상승하여 80%로 향후 기술수준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와

러시아는 특허건수가 조사되지 않아 국방과학기술수준 비교에서 제외하

다.

04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17 I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

구분 미국이스

독일 국이탈

중국 스웨덴 한국 일본 캐나다 스페인라엘 리아

2010 100 83 90 90 80 81 79 78 84 73 71

2012 100 84 90 90 82 82 80 80 84 74 72

※출처: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2012. 9, 국방기술품질원

Page 4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04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18 I 특허출원건수 비 국방과학기술수준 비교

구분 미국이스

독일 국이탈

중국 스웨덴 한국 일본 캐나다 스페인라엘 리아

특허출원건수309 12 38 3 3 2 13 9 58 7 3

(2001-2012)

국방과학기술수준100 84 90 90 82 82 80 80 84 74 72

(2012)

※출처: 국방과학기술수준(2012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Page 4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Page 4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분석

Page 4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개발 국가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는 2010년 현재 51개국 158종을 개발하여 운

용중에 있으며, 군사용에서 민수용으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가장 다양한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 있고

MAV와 같은 아주 작은 소형무인항공기로부터 로벌 호크와 같은 형

고성능 무인항공기, 정찰과 공격임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데터와 리

퍼, 이착륙 편의성과 연료효율의 향상으로 비행속도와 체공시간을 연장한

A160 허밍버드, 전투기처럼 지상폭격과 공중전이 가능한 UCAV, 수소

연료를 사용하여 고고도에서 일주일 이상의 장기체공이 가능한 로벌 옵

서버와 팬텀 아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주 이상 체공을 목표로 개발

중인 패스파인더 등 상당히 많은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 운용하면서 이

분야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04

4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 분석

Page 4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이스라엘은 우수한 항공전자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술무인항공기 분야에

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실전장에서의 전투경험을

잘 반 하여 콤팩트하면서도 운용이 간편한 실 전형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세계 여러 나라들에 기술 및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프랑스, 독일, 국, 이탈리아 등의 유럽 국가들과 중국, 싱가포르 등의

아시아 여러 나라들도 안보상의 목적으로 국가적 지원 하에 자국 수요의

무인항공기 개발을 우선하면서 장차 확 가 예상되는 세계시장으로의 진

출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최근 들어 전술급 무인항공기로 부터

고고도무인항공기 및 무인전투기까지 자체 개발하면서 무인항공기 수출

에 있어서도 향력을 넓혀가고 있어 주변 국가들은 물론이고 미국을 긴

장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 초, 군단정찰용 무인항공기(송골

매)를 운용하기 시작하면서 세계적인 개발 붐에 편승하여 본격적으로 개

발을 시작 하 다. 현재도 국책연구기관과 학 및 업체 등에서 다양한

성능의 무 인항공기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조만간 선진국 기술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란 기 를 가지고 있다.

무인항공기 개발 전망 2020년 중반, 완전 자율화된 무인항공기 등장 예상

오늘날 세계 각국은 보다 나은 성능을 가진 다양한 용도의 무인항공기 개

발을 위해 많은 예산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어 우리의 상상을 넘어서는 초

고성능을 가진 무인항공기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군사용과 더불어 민수용으로의 활용가능 분야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군사용 무인항공기가 전장에 투입된 초기에는 기체의 규모가 작고 행동

반경, 센서능력, 통신능력 등에 한 기술적 제한으로 그 운용 또한 국지

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기체 규모면에서 초소형부터 형까지 체계 성능

면에서 더 빠르고 더 높게, 탑재장비 면에서는 다기능 고성능으로 네트워

크 면에서도 실시간 운용효과를 기 할 수 있을 정도로의 기술발전이 가

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도 점점 늘어나는 임무반경과 여

러 종류의 임무장비를 하나의 기체에 탑재하여 량의 정보처리와 전송이

가능한 기술발전이 가속도를 내고 있다.

04

5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Page 4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민수용 무인항공기 개발의 진전을 보이기 위해서는 공역 및 주파수 등

의 제도적 기반조성과 함께 정확하고 안전한 운용을 위한 높은 신뢰성과

생존성, 자동화 및 자율화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극소형 전자기계

부품 및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 따른 소형화 기술의 향상, 그리고 작은 공

간에서도 안전한 이착륙이 가능하고 적은 인원으로도 손쉽게 운용할 수

있도록 비행 및 운용체계의 단순화가 요구되고 있다.

무인항공기 운용에 필요한 동력원으로 태양열, 연료전지, 고성능 배터

리 등 친환경적 에너지를 사용하여 장기간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장기

체공형 무인항공기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향후, 무인항공기는 2020년 중반에는 지상조종사가 필요 없이 자율

형 무인항공기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 에는 무인항공기 스

스로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형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2040년

가 되면 아마도 집파리보다도 더 작은 무인항공기가 오랜 시간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 하고 있다.

인공위성을 통해 미사일 장착한 프레데터 원격조정

무인전투기는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차세 무인전투기와 무인정찰기에

무기를 장착하는 개념으로 나누어지며, 현재 미군이 운 하고 있는 프레

데터 무장형(Predator MQ-1)이나 리퍼(Reaper, MQ-9)가 있다.

무인항공기에 사용되는 명칭의 Q는 무인항공기와 이를 운용하는데 필요

한 여러 지상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인 기체무인항공기체계(UAS)를 총칭하

며, RQ는 정찰용 무인항공기, MQ는 다목적 무인항공기, 즉 무장형 무인

항공기를 의미한다.

RQ-1 정찰용 프레데터는 1996년부터 배치되어 미 공군과 중앙정보

국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2002년 2월 무장형 프레데

터 MQ-1으로 알카에다의 지도자가 탄 자동차를 미사일로 요격하여 사

살함으로써 무인공격기의 유용성을 입증한 바가 있다. 이후로 무장형 프

레데터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예멘 등에서 정찰 및 공격 임무를 수

행하 으며, 특히 2002년 12월 이라크에서는 스팅거 미사일을 장착한

프레데터가 이라크군의 Mig-25와 교전하 으나 격추되어 무인항공기

04

6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Page 4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최초의 공중전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프레데터의 확장형 개념으로 개발된 MQ-9은 2003년에 초도비행을

한 시제기를 실전에 배치하여 운용하 으며, 2006년 리퍼로 명명되었

다. 리퍼는 무장운용 능력을 우선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100lb급의 헬

파이어 미사일을 16발까지 장착할 수 있으며, 2발의 500lb급 레이저

유도폭탄과 500lb급의 합동직격탄의 장착 및 운용도 가능하다.

항공모함에서 자동 이착륙 무인전투기도 개발 중

차세 무인항공기는 MQ-1이나 MQ-9 같은 무인공격기와 병행하여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개념의 무인전투기로 2005년까지 J-UCAS 프로

젝트를 통해 미 공군과 미 해군용 무인전투기 시범기를 개발하 다. 현재

항공모함에서 운용할 수 있는 무인전투기(UCAS-Navy)는 12시간 이상

의 지속적인 감시가 가능하고 종심타격 및 적 방공망 제압 임무 수행이

가능한 무인전투기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7년부터는 노스롭-그루만사의 X-47B를 기반으로 기술시범기

04

7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19 I 프레데터 무장형과 리퍼 제원

구분 프레데터 무장형(Predator MQ-1) 리퍼 제원(Reaper MQ-9)

길이(m) 8.23 10.97

날개폭(m) 16.7 20.12

엔진 105hp Rolax 914 4행정터보엔진 940shp 허니웰사 터보프롭엔진

최 이륙중량(kg) 1,020 4,762

연료중량(kg) 249.4 1,361

외부장착 중량(kg) 135kg 1,360

최 수평속도(km/h) 222(138mph) 444(276mph)

운용속도(km/h) 135(84mph) 333(207mph)

최 운용고도(m) 7,620 15,240

운용비행시간 최 40(보통 24) 32

사진

※출처: 2012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Page 4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UCAS-D) 사업을 2013년까지 진행하고, 이후 전력화 개발을 할 예정

으로 알려져 있다. X-47B는 스텔스를 고려한 전익기 형태로 4,500lb

의 내부 무장을 하고 6,482㎞을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러시아는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미그사에서 개발 중인 무

인전투기 스캣을 2007년 모스크바 에어쇼에서 공개하 으며, 주요 제원

으로는 날개길이 11.5m, 동체 길이 10.25m에 최 이륙중량 10톤으

로 작전 반경 2천㎞, 내부 무장 능력 2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은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차세 개념의 무인전투기에 한 군의

소요는 없지만 프랑스를 중심으로 스웨덴,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스위스 등이 함께 뉴런(nEUROn)이라는 기술시범기를 개발하고 있다. 뉴

런 시범기 개발 사업에서 프랑스의 다소사가 총 조립 및 비행제어시스템

개발을 담당하고, 스페인 EADS사는 주익 및 지상장비, 데이터 링크 통

합, 스위스 RUAG사는 풍동시험 및 무장 통합, 스웨덴 SAAB사는 기체

설계, 감항인증, 노즐, 항공전자, 연료계통 및 비행시험 일부, 그리스는

후방동체 및 배기구, 이탈리아 알레니아사는 내부무장, 전기계통, 에어

데이터 시스템 과 지상 및 비행시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레이더와 적

외선에 한 저피탐 스텔스 기술과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의 내부 무장을

이용한 공 지 임무 수행 능력을 확보하고, 비행시험을 통해 시범을 보이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KT-1, T-50 훈련기 국내개발과 한국형 기동헬기개발 사

업을 통해 상당 수준의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형전투기

(KF-X)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04

8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그림 7 | 스텔스 무인전투기

Page 4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기술경쟁력 분석

2010년 무인항공기 분야의 기술수준은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

이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 중국, 이탈리아, 스웨덴, 러시

아, 한국, 일본 순이다.

우리나라의 무인항공기의 기술수준은 미국을 기준으로 84% 수준으로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 국, 러시아에 이어 7위로 항공기술에

있어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캐나다, 스페인 등에 비해 높은 기술수준으로

분석된 것은 고무적이다.

무인항공기는 비행체, 정보통신 등 고도의 기술로 2012년도 무인항공

기 기술수준을 살펴보면, 미국이 100%, 이스라엘이 95%, 프랑스 93%,

한국은 2008년 11위에서 2012년 10위권으로 상승하 다.

04

9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20 I 무인항공기 체계 국가별 기술수준

국가명 기술수준(%) 주요내용

2010 2012

- 형 무인항공기, 스텔스 형상 무인항공기 실전배치 등 세계최고 기술보유

미국 100 100 - 로벌 호크, 프레데터, 리퍼, 이 아이 등 우수한 무인항공기 개발

- 무인전투기 2015년 전력화 목표로 UCAS-D 프로그램을 진행 중임

이스라엘 95 95- 무인항공기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경쟁력 보유국

- 하피와 같은 레이더 공격용 무인항공기, Heron1/Searcher 등 수출

프랑스 88 93- 세계적인 비행체 기술보유, 이스라엘과 Eagle-I 공동개발 경험 보유

- 유럽과 공동으로 무인전투기 Neuron 개발 주도

독일 87 92 - 미국의 Global Hawk를 기반으로 Euro Hawk 개발 중

국 81 91 - 세계적인 비행체 기술 보유

러시아 79 87- 군용 항공기술 미국과 등한 기술 보유국

- 비행체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

이태리 78 84- HALE, 무인전투기, Neuron 개발에 참여하고 있음.

- 유럽국가들에 비해 항공기술이 뒤쳐지고 있음.

중국 78 84- 항공전자, 통신, 항법시스템(GPS)이 기술수준 낮음

- 전술급 무인항공기 개발 중

스웨덴 77 80 - 헬기형 무인항공기 Skeldar 시제기를 개발 중, Neuron 개발 참여

한국 76 84- 근접감시 무인항공기, 중고도 무인항공기, 스마트무인항공기 등을 개발 중

- IT산업 관련 무인항공기 분야 기술수준 높음.

일본 74 84- 로봇산업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무인항공기 기술 성장 가능

- 고고도 무인항공기 개발 진행 중

캐나다 67 71 - 무인항공기 산업이 발전할 자연조건이나 기술력은 낮음

스페인 66 75 - Neron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출처: 2012년 국방과학기술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Page 5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현재 항공기 개발은 무인화에 맞춰 진행되고 있으며, 무인화에서 요구하

는 핵심기술은 IT기술로, 50% 이상이 적용되고 있어, 국내 IT기술은 선

진국 비 기술 격차가 상 적으로 적어 가시적인 성과가 다른 분야에 비

해 상 적으로 빠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2010년도 무인항공기는 군단급용으로 개발하여 실전 운용중이며, 무선

정보통신 및 정보서비스, 인공지능, 운항시스템 등 스마트 기술 분야와 관

련된 IT산업 무인항공기 분야의 기술수준은 높은 편이나, 엔진, 임무장

비, 센서 등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IT기술은 무인항공기의 에 적

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 향후, 스마트 무인항공기를 개발한다면 연간 약

3조원의 직접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주요부품별 기술수준을 종합해보면 기술수준이 76%이고 체계종합기술,

기체기술, 추진기술, 비행조종기술, 항공전자기술, 임무운용기술 등 6개

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항공전자기술과 임무운용기술이 77-78%수준이

나 추진기술은 68% 수준이다. 프랑스와 러시아는 특허건수가 조사되지

않아 국방과학기술수준 비교에서 제외하 다.

05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21 I 특허출원건수 비 무인항공기 기술수준 비교

구분 미국이스

독일 국이탈

중국 스웨덴 한국 일본 캐나다 스페인라엘 리아

특허출원건수309 12 38 3 3 2 13 9 58 7 3

(2001-2012)

무인항공기100 95 92 91 84 84 80 84 84 71 75

기술수준(2012)

Page 5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05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출처: 무인항공기 기술수준(2012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Page 5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Page 5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핵심경쟁자분석

Page 5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출원인별 특허추이

특허의 출원인을 분석한 결과 하니웰인터내셔널이 전체 529건의 특허

중 0.12%(30건)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 으며, 보잉사가

0.11%(27건), 록히드마틴사가 0.10%(25건) 순으로 나타내고 있다.

05

4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무인항공기

핵심경쟁자 분석

표 22 I 출원인별 특허출원 수

순위 출원인 특허 수 비중(%)

1 하니웰인터내셔널(Honeywell International Inc. US) 30 0.12

2 보잉사(The Boeing Company, US) 27 0.11

3 록히드마틴사(Lockheed Martin Corporation, US) 25 0.1

4 인시튜 그룹사(The Insitu Group, Inc. US) 11 0.04

4 아이비엠(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 11 0.04

6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사(Applied Materials, Inc. US) 10 0.04

7 소니(Sony Corporation, JP) 9 0.04

8 인시튜사(Insitu, Inc. US) 8 0.03

8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Siemens Aktiengesellschaft, DE) 8 0.03

Page 5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출원인별 연도별 특허 수

무인항공기 출원인별 특허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최 2건 이하의 특허건수에서 2005년을 기점으로 보잉사가 3건,

2006년에 인시튜그룹사가 9건,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2-4건,

2010년도에 록히드마틴사가 5건, 하이웰인터내셔널가 2011년도에

10건에서 2012년에 16건으로 다른 출원인들도 특허출원 건수가 증가

함을 알 수 있다.

05

5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순위 출원인 특허 수 비중(%)

8 레이시언사(Raytheon Company, US) 8 0.03

8미해군(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8 0.03Secretary of the Navy, US)

표 23 I 출원인별 연도별 특허 수

구분2001-2006 2007-2012

합계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계

하니웰인터내셔널 0 0 0 0 0 0 0 0 0 0 4 10 16 30 30

보잉사 0 0 1 1 3 2 7 2 4 0 4 6 4 20 27

록히드마틴사 1 1 1 1 1 0 5 2 2 1 5 5 5 20 25

인시튜 그룹사 0 0 0 0 0 9 9 2 0 0 0 0 0 2 11

아이비엠 0 0 0 0 1 3 4 3 1 2 0 1 0 7 11

Page 5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출원인별 특허 수준 분석

출원인별 특허 수준 분석은 특정 기술 분야 전체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에 한 특정 출원인 발표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의 비로서 피인용 수

에 기반을 둔 문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특정 출원인의 수준

지수가 1.0인 경우 해당 출원인이 발표한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가 해

당 분야 전체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와 같음을 의미하며, 1.0을 초과하

는 경우는 해당 분야 평균 피인용 수에 비해 높음을 의미한다.

05

6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구분2001-2006 2007-2012

합계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계

어플라이드1 1 1 2 0 1 6 1 0 0 1 0 2 4 10

머티리얼즈사

소니 0 1 1 1 2 2 7 0 0 0 0 1 1 2 9

인시튜사 0 0 0 0 0 0 0 0 1 2 4 0 1 8 8

지멘스1 0 1 0 0 0 2 0 1 2 1 2 0 6 8

악티엔게젤샤프트

레이시언사 0 0 0 0 1 1 2 0 0 0 1 2 3 6 8

미해군 0 0 0 1 1 1 3 0 0 1 1 1 2 5 8

Page 5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해당 기술의 출원인별 수준 지수 분석 결과 소니사가 가장 높은 값

(2.084)을 보여 특허의 피인용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

로 조사되었으며, 분야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출원인으로는 시코르

스키 소니사(2.084), 아이비엠(1.303),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사

(1.768) 순이다.

05

7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24 I 출원인별 특허 수준 지수

구분 특허 수 특허 당 피인용 수 수준지수

소니사 9 11.556 2.084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사 10 9.8 1.768

아이비엠 11 5.455 0.984

인시튜 그룹사 11 5.091 0.918

미해군 8 4.25 0.767

보잉사 27 3.63 0.655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8 3.625 0.654

록히드마틴사 25 2.2 0.397

레이시언사 8 2.125 0.383

인시튜사 8 1 0.18

하니웰인터내셔널 30 0.433 0.078

Page 5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출원인별 평균패 리 크기

출원인별 평균패 리 크기는 동일한 특허를 복수의 국가에 출원된 경우

이들 특허를 패 리( 응) 특허라고 하며, 패 리 특허가 출원된 국가의

수를 패 리 크기라 말하며,

다수의 국가에서 보호 받을 가치가 있는 특허의 경우 패 리 크기가 커

지게 되며, 특허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허의 평균 패 리 크기 분석 결과 인시튜사이(가) 가장 높은 값

(11.75)을 보여 특허의 패 리 크기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분야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출원인으로는 인

시튜사(1.881), Applied Materials, Inc.(1.745), Siemens

Aktiengesellschaft(1.541), The Insitu Group, Inc.(1.295), 아이비

엠(1.135)이(가) 있음. 순이다.

05

8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그림 8 | 출원인별 특허 수 비 수준 지수

Page 5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국내 경쟁자 분석

한국 특허의 출원인을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주)가 전체 529건의 특허

중 0.02%(5건)를 점유하고 있다.

05

9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25 I 출원인별 평균 패 리 크기

출원인 특허 수 평균 패 리 크기 분야평균 비 평균 패 리 크기

인시튜사 8 11.75 1.881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사 10 10.9 1.745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8 9.625 1.541

인시튜 그룹사 11 8.091 1.295

아이비엠 11 7.091 1.135

록히드마틴사 25 5.12 0.82

소니사 9 5.111 0.818

미해군 8 4.5 0.72

레이시언사 8 4.125 0.66

보잉사 27 3.815 0.611

하니웰인터내셔널 30 1.433 0.229

Page 6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한국특허 출원인별 특허 수준 분석

출원인별 특허 수준 분석특정 기술 분야 전체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에

한 특정 출원인 발표 특허의 평균 피인용 수의 비로서 피인용 수에 기

반을 둔 문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특정 출원인의 수준 지수가

1.0인 경우 해당 출원인이 발표한 논문의 평균 피인용 수가 해당 분야

전체 논문의 평균 피인용 수와 같음을 의미하며, 1.0을 초과하는 경우는

해당 분야 평균 피인용 수에 비해 높음을 의미한다.

해당 기술의 한국 출원인별 수준 지수 분석 결과 전자통신연구원이 가

장 높은 값(0.541)을 보여 특허의 피인용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

수하며, 분야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한국 출원인은 없다.

세계 핵심 경쟁자 리스트

핵심 경쟁자 리스트는 특허수(P) 기준으로 상위 20위까지 제시하 으

며, 이중 특허출원건수 기준으로 하니웰인터내셔널(30건), 보잉사(27건)

등 상위 10위까지 핵심 경쟁자로 선정하여 핵심 경쟁자의 수준지수(Q),

분야평균 비 평균 패 리 크기 값으로 분석하 다.06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26 I 한국 특허 출원인별 연도별 특허 수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특허 수

계 비중(%)

삼성전자(주) 0 0 0 1 0 1 0 1 2 1 5 0.02

전자통신연구원 0 0 0 1 0 0 1 0 0 0 1 0.01

LG전자 0 0 0 0 0 0 0 0 1 0 1 0

옹스트롬 0 0 0 0 0 1 0 0 0 0 1 0

진옥신 0 0 0 0 0 0 1 0 0 0 1 0

표 27 I 출원인별 특허 수준 지수

출원인 특허 수 특허 당 피인용 수 수준 지수

전자통신연구원 1 3 0.541

옹스트롬 1 2 0.361

LG전자(주) 1 0 0

진옥신 1 0 0

삼성전자(주) 5 0 0

Page 6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06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28 I 핵심 경쟁자 특허 수 비 수준지수

순위 핵심 경쟁자(출원인) 특허 수(P) 수준 지수(Q) 분야별 비 평균 패 리 크기

1 하니웰인터내셔널 30 0.078 0.229

2 보잉사 27 0.655 0.611

3 록히드마틴사 25 0.397 0.82

4 인시튜 그룹사 11 0.918 1.295

5 아이비엠 11 0.984 1.135

6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사 10 1.768 1.745

7 소니사 9 2.084 0.818

8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8 0.654 1.541

9 레이시언사 8 0.383 0.66

10 인시튜사 8 0.18 1.881

11 미해군 8 0.767 0.72

12 시콜스키항공사 7 3.942 0.549

13 삼성전자(주) 5 0 0.896

14 노스러그루만 5 0.721 1.28

15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스 4 0.225 0.64

16 e-포커스 4 3.788 1.08

17 액셀리스 테크놀로지 4 0.721 1.641

18 L-3 무인시스템 3 0.18 1.014

19 샌디아사 3 1.924 2.401

20 BELL 헬리콥터 3 0.06 0.427

Page 6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경쟁자별 핵심기술(IPC) 현황

핵심 경쟁자(특허 수 상위 10위)를 기준으로 핵심 경쟁자들의 총 특허

수(총합)가 높은 순으로 분석한 결과 핵심경쟁자들이 보유한 특허는

B64C(비행기; 헬리콥터)에 해당하는 특허수가 2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G06F(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에 해당하는 특허가 21건으로 조

사되었다. 핵심경쟁자 중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하니웰인

터내셔널이 보유한 특허는 43건이며, 하니웰인터내셔널은 B64C(비행

기, 헬리콥터)에 5건, G06F(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에 3건 등

을 출원하고 있다.

핵심경쟁자 중에서 두 번째로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보잉사가 보

유한 특허는 37건이며, 보잉사는 B64C(비행기; 헬리콥터)에 6건,

G06F(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에 3건 등을 출원하고 있다.

06

2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29 I 경쟁자별 기술 분포(IPC) 현황

NO IPC전체 출원인의 핵심 경쟁자 총 핵심 경쟁자※

특허 건수 특허 수(총합) 1 2 3 4 5 6 7 8 9 10

1 B64C 61 26 5 6 10 2 1 0 0 0 1 1

2 G06F 85 21 3 3 6 0 2 0 5 1 0 1

3 B64F 28 21 0 2 4 9 0 0 0 0 1 5

4 G05D 36 17 6 3 4 0 4 0 0 0 0 0

5 G01C 39 16 7 3 1 0 5 0 0 0 0 0

6 B64D 25 11 3 3 2 0 0 0 0 0 2 1

7 G01S 28 8 3 4 1 0 0 0 0 0 0 0

8 G01N 15 6 0 1 0 0 0 3 0 1 1 0

9 F41G 9 5 2 1 0 0 0 0 0 0 2 0

10 H05G 5 4 0 0 0 0 0 0 0 4 0 0

11 A61B 5 3 0 0 0 0 0 0 0 3 0 0

12 H04N 17 3 1 1 1 0 0 0 0 0 0 0

13 G08G 7 3 1 1 1 0 0 0 0 0 0 0

14 G06G 10 2 0 1 1 0 0 0 0 0 0 0

15 H01L 15 2 0 0 0 0 0 2 0 0 0 0

16 G01B 17 2 0 1 0 0 0 0 0 0 1 0

17 B25J 16 2 0 0 0 0 0 0 2 0 0 0

18 H04B 10 2 0 0 2 0 0 0 0 0 0 0

※ 핵심 경쟁자 특허 수 비 상위 10위

Page 6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핵심경쟁자별 특허출원 건수가 높은 순으로는 하니웰인터내셔널사는

G05D(비전기적 변량의 제어 또는 조정계), G01C(자이로스코프; 진동

질량을 가지는 회전-감응 장치 ; 운동질량이 없는 회전-감응 장치; 자이

로스코프 효과를 이용한 각속도의 측정) 분야에 기술우위에 있고, 보잉사

는 B64D(항공기의 장비, 비행복, 낙하산, 동력장치), G01S(무선에 의

한 방위결정, 무선항행, 무선전파의 사용에 의한 거리 또는 속도의 결정,

무선전파의 반사 또는 재방사의 사용에 의한 위치 또는 유무의 탐지)분

야의 기술 우위가 있으며, 록히드마틴사는 B64C(비행기, 헬리콥터)에

10건, G06F(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분야의 기술우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계 경쟁자별 연도별 IPC 현황

경쟁자별 다출 IPC 비중 및 연도별 출원 현황을 통해 각 경쟁자의 주력

기술 분야 활동을 파악할 수 있다.

06

3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30 I 경쟁자별 연도별 IPC 현황

2001-2006 2007-2012

NO’01 ’02 ’03 ’04 ’05 ’06 계 ’07 ’08 ’09 ’10 ’11 ’12 계

합계

합계[43] 100 0 0 0 0 0 0 0 0 0 0 4 16 23 43 43

G01C[7] 16.28 0 0 0 0 0 0 0 0 0 0 3 3 1 7 7

G05D[6] 13.95 0 0 0 0 0 0 0 0 0 0 1 1 4 6 6

1 B64C[5] 11.63 0 0 0 0 0 0 0 0 0 0 0 1 4 5 5

G01S[3] 6.98 0 0 0 0 0 0 0 0 0 0 0 3 0 3 3

G06F[3] 6.98 0 0 0 0 0 0 0 0 0 0 0 0 3 3 3

B64D[3] 6.98 0 0 0 0 0 0 0 0 0 0 0 1 2 3 3

합계[37] 100 0 0 2 2 4 2 10 2 5 0 5 11 4 27 37

B64C[6] 16.22 0 0 0 0 0 1 1 2 2 0 0 1 0 5 6

G01S[4] 10.81 0 0 0 0 1 0 1 0 1 0 1 1 0 3 4

2 G01C[3] 8.11 0 0 1 1 0 0 2 0 0 0 0 1 0 1 3

G05D[3] 8.11 0 0 0 0 1 0 1 0 0 0 1 1 0 2 3

B64D[3] 8.11 0 0 1 0 0 0 1 0 2 0 0 0 0 2 3

G06F[3] 8.11 0 0 0 0 0 0 0 0 0 0 2 0 1 3 3

합계[41] 100 3 1 2 1 4 0 11 3 4 1 6 6 10 30 41

B64C[10] 24.39 0 1 1 0 1 0 3 0 0 0 2 3 2 7 10

3 G06F[6] 14.63 1 0 0 1 1 0 3 0 1 0 1 0 1 3 6

G05D[4] 9.76 1 0 0 0 1 0 2 0 2 0 0 0 0 2 4

B64F[4] 9.76 0 0 0 0 0 0 0 1 0 1 1 1 0 4 4

핵심경쟁자

(특허다각화

지수(PDI,%))

하니웰인터

내셔널

(91.62)

보잉사

(92.33)

록히드마틴

사(88.64)

IPC

특허 수

해당 IPC

비중(%)

Page 6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하니웰인터내셔널의 보유 특허 중에서‘G01C’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16.28%, ‘G05D’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13.95% 등이며, IPC 특허

분류로 분석해 본 특허 다각화 지수(PDI) 값은 91.62이고, 보잉사의 경

우에는‘B64C’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16.22%, ‘G01S’분야가 차

지하는 비중은 10.81% 등이며, IPC 특허분류로 분석해 본 특허 다각화

지수(PDI) 값은 92.33이다.

기간별 IPC출원 비중으로는 하니웰인터내셔널가 2001년부터 2006년

까지‘G01C, G05D’분야에 0건이며, 2007년부터 2012년까지는

‘G01C’분야에 7건, ‘G05D’분야에 6건 출원하 으며, 보잉사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G01C, G05D’분야에 1건이며, 2007년

부터 2012년까지는‘G01C’분야에 6건, ‘G05D’분야에 4건 출원하

다.

06

4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2001-2006 2007-2012

NO’01 ’02 ’03 ’04 ’05 ’06 계 ’07 ’08 ’09 ’10 ’11 ’12 계

합계

4 합계[11] 100 0 0 0 0 0 9 9 2 0 0 0 0 0 2 11

B64F[9] 81.82 0 0 0 0 0 7 7 2 0 0 0 0 0 2 9

5 합계[12] 100 0 0 0 0 1 3 4 3 1 3 0 1 0 8 12

G01C[5] 41.67 0 0 0 0 1 2 3 2 0 0 0 0 0 2 5

G05D[4] 33.33 0 0 0 0 0 0 0 1 1 2 0 0 0 4 4

6 합계[14] 100 1 2 1 3 0 1 8 3 0 0 1 0 2 6 14

G01N[3] 21.43 0 0 1 2 0 0 3 0 0 0 0 0 0 0 3

G01R[2] 14.29 0 0 0 1 0 1 2 0 0 0 0 0 0 0 2

7 합계[9] 100 0 1 1 1 2 2 7 0 0 0 0 1 1 2 9

G06F[5] 55.56 0 1 1 1 0 1 4 0 0 0 0 1 0 1 5

8 합계[10] 100 1 0 1 0 0 0 2 0 1 2 1 4 0 8 10

H05G[4] 40 0 0 0 0 0 0 0 0 1 1 0 2 0 4 4

A61B[3] 30 1 0 0 0 0 0 1 0 0 1 1 0 0 2 3

9 합계[12] 100 0 0 0 0 1 4 5 0 0 0 1 3 3 7 12

F41G[2] 16.67 0 0 0 0 1 1 2 0 0 0 0 0 0 0 2

B64D[2] 16.67 0 0 0 0 0 0 0 0 0 0 1 1 0 2 2

10 합계[10] 100 0 0 0 0 0 0 0 0 1 3 5 0 1 10 10

B64F[5] 50 0 0 0 0 0 0 0 0 1 1 3 0 0 5 5

핵심경쟁자

(특허다각화

지수(PDI,%))

인시튜 그

룹사(29.75)

아이비엠

(68.06)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사(87.76)

소니사

(61.73)

지멘스 악

티엔게젤샤

프트(72)

레이시언사

(88.89)

인시튜사

(70)

IPC

특허 수

해당 IPC

비중(%)

* 특허다각화지수(PDI_IPC) : 각 경쟁자의 연도별 기술개발 분야의 다각화 정도를 측정, 일본 IPB에서 개발한 지표로 Patent

Diversification Index라 부름.

[1-∑(IPC 서브 클래스별 출원건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² ]x100

Page 6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경쟁자별 출원국가 현황(종합)

핵심경쟁자들의 특허출원 국가별으로 출원건수가 10건 이상으로 하면

핵심경쟁자들이 보유한 특허는 출원국가 기준으로 미국에 해당하는 특허

수가 9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일본에 해당하는 특허수가

65건으로 각각 1,2위를 차지하 고 있다. 핵심경쟁자 중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하니웰인터내셔널이 보유한 특허는 출원국가 기준

으로 36건이며, 하니웰인터내셔널은 미국에 6건, 일본에 2건 등을 출원

하 다. 다음으로는 보잉사로 총 특허건수가 69건이며, 미국에 18건,

일본에 12건 등을 출원하고 있다.

경쟁자별 연도별 출원국가 현황

경쟁자별 다출 출원국가 비중 및 연도별 출원 현황을 통해 각 경쟁자의

주력 권리확보 지역현황을 파악하고 특허출원 3건 이상으로 한정하여 정

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06

5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표 31 I 경쟁자별 출원국가 현황

출원국가기술군내 전체 핵심 경쟁자들의 핵심 경쟁자

출원인의 특허 건수 총 특허 수(총합) 1 2 3 4 5 6 7 8 9 10

합계 2,144 524 36 69 90 60 63 56 32 42 29 47

미국 360 92 6 18 15 11 11 8 7 7 3 6

일본 231 65 2 12 11 11 8 7 5 4 3 2

독일 167 42 3 5 7 5 4 4 2 7 3 2

유럽 127 31 4 5 3 2 3 7 3 1 1 2

국 88 25 2 5 6 2 2 2 1 1 2 2

국제특허 110 22 2 4 2 1 4 3 2 1 1 2

네덜란드 78 21 1 2 6 2 2 2 2 1 1 2

오스트리아 72 21 1 2 5 3 2 2 1 2 2 1

이탈리아 62 18 2 4 5 0 1 0 1 2 1 2

캐나다 74 16 1 3 2 3 2 2 0 1 0 2

프랑스 73 16 1 2 4 2 1 0 1 1 2 2

오스트레일리아 97 15 2 1 2 2 4 1 0 1 0 2

벨기에 54 14 0 0 6 2 1 1 1 1 1 1

스위스 42 12 1 1 4 1 1 0 1 1 1 1

브라질 47 12 1 1 0 2 2 2 1 1 1 1

스페인 68 11 1 1 0 2 2 1 1 1 0 2

스웨덴 53 10 1 1 3 0 0 0 1 1 1 2

Page 6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06

6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표 32 I 경쟁자별 연도별 출원국가 현황

2001-2006 2007-2012

’01 ’02 ’03 ’04 ’05 ’06 계 ’07 ’08 ’09 ’10 ’11 ’12 계합계

합계[36] 100 0 0 0 0 0 0 0 0 0 0 13 23 0 36 36

US[6] 16.67 0 0 0 0 0 0 0 0 0 0 3 3 0 6 6

EP[4] 11.11 0 0 0 0 0 0 0 0 0 0 3 1 0 4 4

DE[3] 8.33 0 0 0 0 0 0 0 0 0 0 1 2 0 3 3

합계[69] 100 0 0 1 3 3 9 16 8 19 0 14 12 0 53 69

US8] 26.09 0 0 1 1 3 2 7 2 4 0 4 1 0 11 18

JP2] 17.39 0 0 0 0 0 2 2 2 2 0 2 4 0 10 12

GB[5] 7.25 0 0 0 0 0 0 0 1 2 0 1 1 0 5 5

EP[5] 7.25 0 0 0 1 0 1 2 0 1 0 2 0 0 3 5

DE[5] 7.25 0 0 0 1 0 1 2 0 1 0 1 1 0 3 5

WO[4] 5.8 0 0 0 0 0 1 1 1 0 0 2 0 0 3 4

IT[4] 5.8 0 0 0 0 0 0 0 0 1 0 1 2 0 4 4

CA[3] 4.35 0 0 0 0 0 0 0 0 1 0 1 1 0 3 3

합계[90] 100 2 7 1 7 1 0 18 5 14 15 18 20 0 72 90

US[15] 16.67 1 1 1 1 1 0 5 2 2 1 3 2 0 10 15

JP[11] 12.22 1 0 0 1 0 0 2 2 1 1 1 4 0 9 11

DE[7] 7.78 0 1 0 1 0 0 2 0 1 1 2 1 0 5 7

BE[6] 6.67 0 1 0 1 0 0 2 0 1 1 1 1 0 4 6

NL[6] 6.67 0 1 0 1 0 0 2 0 1 1 1 1 0 4 6

GB[6] 6.67 0 1 0 1 0 0 2 0 1 1 1 1 0 4 6

IT[5] 5.56 0 0 0 0 0 0 0 0 1 0 2 2 0 5 5

AL[5] 5.56 0 1 0 0 0 0 1 0 1 1 1 1 0 4 5

SZ[4] 4.44 0 1 0 1 0 0 2 0 1 1 0 0 0 2 4

FR[4] 4.44 0 0 0 0 0 0 0 0 1 1 1 1 0 4 4

EP[3] 3.33 0 0 0 0 0 0 0 0 0 0 1 2 0 3 3

SE[3] 3.33 0 0 0 0 0 0 0 0 1 1 1 0 0 3 3

DK[3] 3.33 0 0 0 0 0 0 0 0 1 1 1 0 0 3 3

합계[60] 100 0 0 0 0 0 45 45 15 0 0 0 0 0 15 60

US[11] 18.33 0 0 0 0 0 9 9 2 0 0 0 0 0 2 11

JP[11] 18.33 0 0 0 0 0 9 9 2 0 0 0 0 0 2 11

DE[5] 8.33 0 0 0 0 0 4 4 1 0 0 0 0 0 1 5

CA[3] 5 0 0 0 0 0 2 2 1 0 0 0 0 0 1 3

AL[3] 5 0 0 0 0 0 2 2 1 0 0 0 0 0 1 3

합계[63] 100 0 0 0 0 3 9 12 10 1 31 0 9 0 51 63

US[11] 17.46 0 0 0 0 1 3 4 3 1 2 0 1 0 7 11

JP[8] 12.7 0 0 0 0 0 2 2 3 0 2 0 1 0 6 8

AL[4] 6.35 0 0 0 0 1 0 1 1 0 2 0 0 0 3 4

DE[4] 6.35 0 0 0 0 0 1 1 1 0 1 0 1 0 3 4

WO[4] 6.35 0 0 0 0 1 0 1 1 0 2 0 0 0 3 4

EP[3] 4.76 0 0 0 0 0 0 0 0 0 2 0 1 0 3 3

핵심경쟁자

(시장다각화지

수,%)

하니웰인터

내셔널(92.59)

보잉사

(87.33)

록히드마틴사

(92.17)

인시튜 그룹사

(90.83)

아이비엠

(92.82)

출원국가

[해당출원국

가특허수]

해당국가

비중(%)

Page 67: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하니웰인터내셔널이 출원한 출원건수 중에서 미국(US)에 출원한 특허가

차지하는 비중은 16.67%, 유럽(EP)에 출원한 특허가 차지하는 비중은

11.11% 등이며, 출원국가를 기반으로 분석해 본 특허 시장 다각화 지

수 값은 92.59이다. 다음으로 보잉사가 보유 특허 중에서 미국(US)에

출원한 특허가 차지하는 비중은 26.09%, 일본(JP)에 출원한 특허가 차

지하는 비중은 17.39% 등이며, 출원국가를 기반으로 분석해 본 특허

시장 다각화 지수 값은 87.33D이다.

연도별 특허건수로는 하니웰인터내셔널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US)에 0건, 유럽(EP)에 0건 출원하 으며, 2007년부터 2012년

06

7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2001-2006 2007-2012

’01 ’02 ’03 ’04 ’05 ’06 계 ’07 ’08 ’09 ’10 ’11 ’12 계합계

합계[56] 100 6 16 4 12 0 7 45 9 0 0 2 0 0 11 56

US[8] 14.29 1 1 1 2 0 1 6 1 0 0 1 0 0 2 8

EP[7] 12.5 1 1 1 2 0 1 6 1 0 0 0 0 0 1 7

JP[7] 12.5 1 1 1 2 0 1 6 1 0 0 0 0 0 1 7

KR[5] 8.93 1 0 1 2 0 0 4 1 0 0 0 0 0 1 5

DE[4] 7.14 1 1 0 1 0 1 4 0 0 0 0 0 0 0 4

WO[3] 5.36 0 1 0 0 0 1 2 0 0 0 1 0 0 1 3

합계 [32] 100 0 2 3 1 15 7 28 0 0 0 0 4 0 4 32

US[7] 21.88 0 1 1 1 2 2 7 0 0 0 0 0 0 0 7

JP[5] 15.62 0 1 1 0 1 2 5 0 0 0 0 0 0 0 5

EP[3] 9.38 0 0 1 0 1 1 3 0 0 0 0 0 0 0 3

NL[2] 6.25 0 0 0 0 1 0 1 0 0 0 0 1 0 1 2

DE[2] 6.25 0 0 0 0 1 0 1 0 0 0 0 1 0 1 2

WO[2] 6.25 0 0 0 0 1 1 2 0 0 0 0 0 0 0 2

합계 [42] 100 3 0 6 0 0 0 9 0 2 5 22 4 0 33 42

US[7] 16.67 1 0 1 0 0 0 2 0 1 2 1 1 0 5 7

DE[7] 16.67 1 0 1 0 0 0 2 0 1 2 1 1 0 5 7

JP[4] 9.52 1 0 0 0 0 0 1 0 0 1 1 1 0 3 4

합계[29] 100 0 0 0 0 16 3 19 0 0 0 0 10 0 10 29

JP[3] 10.34 0 0 0 0 0 1 1 0 0 0 0 2 0 2 3

DE[3] 10.34 0 0 0 0 1 1 2 0 0 0 0 1 0 1 3

US[3] 10.34 0 0 0 0 1 1 2 0 0 0 0 1 0 1 3

합계[47] 100 0 0 0 0 0 0 0 0 1 8 38 0 0 47 47

US[6] 12.77 0 0 0 0 0 0 0 0 1 2 3 0 0 6 6

핵심경쟁자

(시장다각화지

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사

(92.16)

소니사

(89.65)

지멘스 악티엔

게젤샤프트

(91.84)

레이시언사

(93.7)

인시튜사

(95.25)

출원국가

[해당출원국

가특허수]

해당국가

비중(%)

* 시장다각화지수 : 각 경쟁자의 연도별 발명자의 다각화 정도를 측정

[1-∑(출원국가별 출원건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² ]x100

Page 68: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까지는 미국(US)에 6건, 유럽(EP)에 4건이고, 보잉사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US)에 7건, 일본(JP)에 2건 출원하 으며, 2007년

부터 2012년까지는 미국(US)에 11건, 일본(JP)에 10건을 출원하 다.

06

8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Page 69: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시사점

Page 70: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무인항공기 수요 급증

지구 온난화와 급변하는 자연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불특정하게 발

생하는 지진, 태풍, 홍수, 해일 등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사전에 예측하여 비하기로는 현재의 과학으로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인명피해가 적으면서 안전

하게 재난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2012년부터 향후 10년간 무인항

공기를 약 9만 를 생산할 계획으로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970억원

을 투입하여 2012년도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틸트로터형 비행체

(TR-6X)를 개발하 고 민간기업에서도 무인항공기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무인항공기 특허 출원 증가

무인항공기 시장을 주도하면서 세계 최고의 무인항공기 기술을 보유하

07

0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시사점

Page 71: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고 있는 미국의 특허출원 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 9건, 2006년 27

건, 2012년 63건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독일 등 전세계

무인항공기 연도별 특허출원 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 20건, 2006년

43건, 2012년 101건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15%이상으로 무인항공기

에 한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허기반 무인항공기 국가별 기술경쟁력

무인항공기는 항공산업과 국방기술과의 관계가 있어, 특허건수를 기반

으로 하여 항공시장과 국방기술을 비교해 보면 미국은 전체 특허건수

비 58.4%(309건)보다 항공시장이 46.8%(2,372억 달러)로 낮음을 알

수 있고 국과 캐나다는 특허건수는 낮은데 비해 항공시장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허건수 비 국방기술수준으로는 미국의 경우 특허건수와 국방기술은

세계 최고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특허건수가 12건인데 비해 기

술수준은 높은 편이며, 한국은 특허건수가 9건이나 기술수준은 84로 세

계 10위이다.

특허건수 비 무인항공기 기술수준은 미국이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

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특허건수가 12건인데 비해 기술수준은 2위로

높은 편이며, 한국은 특허건수가 9건이나 기술수준은 84로 세계 7위로

높은 편이다.

특이사항으로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특허건수는 적지만 무인항공기 기술

수준은 95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일본은 특허건수가 미국 다음

으로 58건이나 국방기술과 무인항공기 기술수준은 낮은 편이다. 한국은

특허건수와 항공시장은 낮은 편이나 국방과학기술수준 10위, 무인항공기

기술수준 7위로 기술경쟁력은 우위에 있다고 판단된다.

무인항공기 발전방향

무인항공기는 인명피해가 없고 안전하게 자연재난이나 특수 목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거나 임무를 수행하는 중요한 제품으로 부상되고 있고, 국

07

1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Page 72: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가별 무인항공기에 한 특허건수는 적지만 항공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제

품을 생산하거나 기술적 노하우를 축적해 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항공기의 발전방향으로는 무인항공기 성능의 핵심내용으로 예상되

는 비행고도가 저고도에서 15km이상의 고고도로 비행거리가 수천km이

상의 장거리로 비행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비행

시간도 수일동안 비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무인항공기의 기술수준이 세계 7위이나 국방과학기

술수준과 항공산업은 10위, 16위로 세계 평균이하이다. 그러나 특허출

원건수가 6위이면서 무인항공기 기술수준이 세계 7위로 경쟁력은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정부차원에서 사회안전망에 관한 관심이 높고, 무인항공

기 연관산업인 항공우주산업과 국방산업에 한 투자가 정부차원에서 지

속적으로 확 된다면 기술경쟁력은 있다고 판단된다.

07

22

01

3정

보분

석보

고서

Page 73: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07

3특

허기

반무

인항

공기

기술

경쟁

력분

1. e-나라지표 www.index.go.kr

2. 국가재산정보센터 www.safekorea.go.kr

3. 국가화재정보시스템 www.nfds.go.kr

4. 로벌IT 트렌드 www.itglobal.or.kr/find/find_main.asp

5. 소방방재청 www.nema.go.kr

6. KARI e-정책정보센터 e-policy.kari.re.kr

7. 2012 세계방산시장 연감, 국방기술품질원, 2012

8. 2011 세계방산시장 연감, 국방기술품질원, 2010

9. 항공기 산업현황 및 기술동향, KDB산업은행, 2011

10. 무인비행장치 운용기준 개발연구, 교통안전공단, 2010.7

11. 2012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2012

12. 2010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2010

13. 스마트 정부 구현을 위한 협억 활성화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14. 한민국 산업기술비젼 2020, 지식경제부, 2010

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www.kari.re.kr

16. 한민국 항공산업 미래를 위해 도약하라, 2011 국정감사 정책자료

17. epic.org, “Domestic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nd

Drones”2013.3.22

18. epic.org, “The Future of Drones in America”2013.3.20

19. epic.org, “Drone Aircraft Privacy and Transparency Act of

2013.”2013.3.18

20. lofgren.house.gov, “Preserving American Privacy Act of

2013”2013.2.15

21. Ohsung Ahn, “Feasibility Study of the electrical propulsion

system for tilt-rotor UAV : Practical system architecture

and vehicle performance trade-off”, AUVSI, 2011.08

22. 안오성, “VTUAV 개발동향과 틸트로터 기술의 미래에 한 고찰”,

KSAS, 추계학술 회, 2009.11.

참고문헌

Page 74: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Page 75: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
Page 76: 기술경쟁력분석 - gift.kisti.re.kr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miriran_14015.pdf · 차례 무인항공기의등장배경 05 무인항공기의이해 17 무인항공기특허기술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