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6
고혈압 심혈관센터

Upload: nam-sungbum

Post on 23-Mar-2016

223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고혈압 소책자

TRANSCRIPT

Page 1: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고 혈 압심혈관센터

Page 2: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02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CONTENTS

CONTENTSINFORMATION

의 사

환 자

환자 보호자

환 자

“ 할머니, 고혈압, 당뇨병 있으세요? ”

“ 그런 거 없어요. ”

“ 할머니, 혈압 있잖아요. 혈압. ”

“ 어. 혈압은 있지. 혈압약 먹고 있어 . ”

고혈압은 우리 주변에 너무 흔한 병이지만, 실상 고혈압이 무엇인지, 합병증은 무엇인지, 어떻게 조절 가능한지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책자가 고혈압에 대한 여러분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나아가 고혈압의 진단, 치료,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이 책자는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와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의 대국민 홍보 자료를 참조했음을 밝힙니다. )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3: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03

목차안내1. 고혈압의 정의

2. 고혈압의 유병률

3. 고혈압의 원인

4. 고혈압의 진단

5. 고혈압의 합병증

6. 고혈압의 치료 1 : 생활요법

7. 고혈압의 치료 2 : 약물요법

04

05

06

08

10

12

14

CONTENTS

Page 4: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고혈압의 정의

04

♥ 고혈압은 어떤 병입니까?

● 혈압 : 심장은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면서 혈액을 펌프질하며 이때 펌프질에

의해 이동하는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힘을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 수축기 혈압 :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심장 밖 혈관으로 밀어낼 때의 압력

● 확장기 혈압 : 심장이 확장할 때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

고혈압 기준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분 류 수축기 혈압 mmHg 확장기 혈압 mmHg

정상 120 미만 80 미만

고혈압 전 단계 120~139 80~89

제1기 고혈압 140~159 90~99

제2기 고혈압 160 이상 100 이상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5: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고혈압의 유병률

05

고혈압의유병률

♥ 고혈압은 얼마나 흔한 병입니까? 내가 이 병에 걸릴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

ㆍ30세 이상 성인의 26 %ㆍ60-69세 성인의 46 %ㆍ70세 이상 성인의 59 %ㆍ다시 말해 60세가 넘는 성인의 경우 두 명 중 한 명은 고혈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7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60~69세 고혈압 유병률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

46% 정상혈압 정상혈압

고혈압 고혈압

54%

26%

74%

30 - 39 40 - 49 50 -59 60 - 69 70 (%)70

60

50

40

30

20

10

0

전체 남자 여자

7.6

16.8

33.9

45.9

58.9

13.3

20.8

36.8

42.3

51.5

1.6

12.6

30.9

49.1

63.3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6: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고혈압의 원인

06

● 1차성 (본태성)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95%가 여기에 속하며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하므로 병의 원인을 치료하기 어렵고, 혈압을 낮추는 것이 주된 치료가 됩니다.

부모가 고혈압인 경우 그 자녀들의 1/3-1/4에서 환경적 요인 없이 고혈압이

발생하며, 고령, 비만, 염분에 대한 감수성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환경적

요인으로 짜게 먹는 식습관,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흡연, 과다한 음주 등이

원인이 됩니다.

♥ 고혈압은 왜 생기죠?

대부분 (95%)의 고혈압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원인 치료는 어려운 1차성 (본태성) 고혈압입니다. 간혹 드물게

(5%) 특정 원인 질환으로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가 있고, 2차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95%본태성 고혈압

2차성 고혈압

5%

고혈압의 원인별 분류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7: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07

● 2차성 고혈압 특별한 원인이 있는 경우로 전체 고혈압 환자의 5%가 여기에 속하며 그 원인으

로 신장 질환 (만성신부전, 신혈관성 고혈압 등)이 가장 많고, 내분비 질환, 혈관

질환, 임신, 신경질환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뇌압상승, 뇌종양

신성고혈압만성신부전, 신혈관성,신결핵, 신종양등

내분비성갑상선기능 항진증/저하증,갈색세포종, 말단비대증,쿠싱증후군 등

혈관성대동맥 협착증

2차성 고혈압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

혈압약으로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우

혈압이 잘 조절되다가 갑자기 올라가는 경우

혈압의 정도가 심한 (수축기 180, 확장기 110mmHg 이상) 환자

갑자기 시작된 고혈압

2차성 고혈압의 주요 원인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8: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08

정확한 혈압을 재기 위하여 커피와 담배는 혈압을 측정하기 30분 전부터

금해야 합니다. 또한 최소 5분 이상 휴식을 취한 후에 혈압을 재며, 혈압을

다시 측정할 때는 적어도 2분 이상 기다린 후에 측정합니다.

양팔의 혈압을 모두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몇 주 간격으로 반복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 고혈압이 의심되면 어떤 검사로 진단합니까?

고혈압의 진단

고혈압 진단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검사는 혈압 측정입니다.

분 류 수축기 혈압 mmHg 확장기 혈압 mmHg

진료실 혈압 140 이상 90 이상

24시간 활동 혈압

일일 평균혈압 125 이상 80 이상

주간 평균혈압 135 이상 85 이상

야간 평균혈압 120 이상 75 이상

자가 혈압 135 이상 85 이상

혈압 모니터 지침 2007 - 대한고혈압 학회

혈압 측정방법에 따른 고혈압 기준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9: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09

단● 전자 혈압계를 널리 이용합니다.

● 손목형 보다는 상완형 (팔뚝에 감는)을 사용할 수 있게 교육합니다.

● 너무 잦은 측정은 환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어 피하도록 합니다.

● 주 3회, 하루 2회 측정합니다.

● 아침 : 기상 1시간 이후 배뇨 후에 측정합니다.

● 저녁 : 취침 전 안정 후에 측정합니다.

● 혈압과 맥박수를 동시에 기록합니다.

♥ 고혈압이 의심되면 어떤 검사로 진단합니까? ♥ 집에서 혈압 측정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자가 혈압 측정 요령)

상완형 전자혈압계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10: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

고혈압의합병증

● 심장 : 좌심실비대, 협심증, 심근경색/관상동맥의 재개통술 과거력, 심부전

● 뇌 : 뇌졸중 혹은 일시적 뇌허혈

● 만성 신장질환 : 당뇨성 신증, 신기능 장애, 단백뇨 >300 mg/24시간

● 말초동맥질환

● 망막병증 (출혈, 삼출물, 유두부종)

고혈압의 합병증은 혈관 손상이라고 요약됩니다.

♥ 고혈압은 무서운 병인가요?

고혈압의 합병증

고혈압 자체가 사망원인이 아니지만, 여러 가지 합병증 발생의

원인이 되고 이 합병증은 환자를 돌이킬 수 없는 장애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 고혈압으로 인한 표적 장기 손상 (합병증)

뇌경색 관상동맥질환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11: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1

고혈압의합병증

● 뇌 :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뇌졸중 발생이 정상인의 2-4배 높습니다.

● 심부전 : 오랜 고혈압으로 심장에 부담이 누적되면 심장기능 자체가 떨어

지면서 쉽게 숨이 차고 몸이 부으며 피곤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 관상동맥질환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과 혈전

증이 진행되면서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발생하여, 가슴이

조이고 아픈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 신기능 저하 : 고혈압이 장기간 지속되면 신장 혈관에 경화증이 진행하고,

결국 신장기능 자체가 떨어지면서 신부전이 발생하고, 빈혈,

부종, 복수, 호흡곤란 등이 발생합니다.

● 눈의 합병증 : 고혈압성 망막증의 발생으로 눈 속에 출혈이 생기고 시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 고혈압은 무서운 병인가요? ♥ 합병증의 증상

고혈압은 합병증 발생 전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

지고,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 지침 2004년

기타 31%기타 27%

당뇨 3%당뇨 2%고지혈증 5%고지혈증 9%

흡연 26%흡연 41%

고혈압 35%고혈압 21%

허헐성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한국인의 심혈관질환 발생에서 고혈압의 기여위험도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age 12: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2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고혈압의치료1

♥ 약 말고, 고혈압을 낫게 할 방법은 없을까요?

생활요법의 실천은 혈압 조절과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생활요법만으로 고혈압이 조절되는 경

우는 일부이며, 대부분 약물과 병행하여 시행하게 됩니다.

고혈압의 치료 1 : 생활요법

식이요법 운동 체중조절

행동요법 절주 금연

생활요법 권고사항 수축기 혈압 감소

체중감량 이상체중의 유지 (체질량지수: 18.5~24.9)5-20mmHg/10kg

체중감소

건강식사법포화지방산과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야채,

채소, 저지방유제품의 섭취를 증가8-14 mmHg

저염식 하루 염분 6g 이하로 섭취 (숟가락계량 추가) 2-8 mmHg

운동량 증가 유산소 운동--하루 30분 이상 매일 속보로 걷기 등 4-9 mmHg

절주하루 30ml이하의 알코올 섭취/여자나 마른

남자에서는 15ml이하의 섭취2-4 mmHg

Page 13: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3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고혈압의치료1

※ 여자와 체중이 가벼운 사람은 알코올에 대한 감수성이 크기 때문에 허용량의 반으로 감량합니다.

♥ 약 말고, 고혈압을 낫게 할 방법은 없을까요? ● 절주 :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혈압을 올리고, 고혈압 약의 효과를 떨어뜨립니다.

● 금연 : 흡연 후 30분 정도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흡연은

고혈압과 마찬가지로 심혈관 질환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입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을 잘 조절하더라도 흡연을 한다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피할 수 없게 됩니다.

● 소금 절제 : 한국인의 하루 평균 15~20g의 소금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일본인은 하루 12g, 서양인은 평균 10g을 섭취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식사 시에 목표는 하루 6g 미만 섭취를 권장합니다.

식품명 무게(g) 측량

진간장 5 1작은 술

된장 10 1/2 큰 술

고추장 10 1/2 큰 술

토마토 케찹 30 2 큰 술

마요네즈 40 2.5 큰 술

하루 알코올섭취 허용량

맥주 720 mL(1병) 와인 200~300mL(1잔) 정종 200 mL(1잔)

위스키 60mL(2샷) 소주 2~3잔(1/3병)

Page 14: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고혈압의치료2

♥ 고혈압은 약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고 하는데 맞나요?

♥ 약물 치료법

고혈압의 치료 2 : 약물요법

만약 오진한 경우라면 약을 평생 복용할 필요가 없지만, 고혈압 진단이 정확한 경우라면 대답은“평생 복용해야 합니다.”입니다.

● 고혈압이란 약물을 통해 완치가 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항 고혈압제를 통해

혈압만 정상으로 조절, 유지하여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의 각종 합병증을 예방

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입니다.

● 환자들이 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는 거부감, 경제적 사회적 부담, 약물과 관련한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드는 것은 당연합니다.

● 이런 막연한 거부감으로 약물 복용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결과는

치명적인 것들입니다. 예를 들면 중풍(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신부전, 시력

장애, 상.하지의 혈관질환 등이 있습니다.

● 고혈압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여러 연구 결과에서 심혈관 사망률은 21%, 심부

전증은 52%, 중풍은 38%, 심근경색, 협심증은 16%가 감소하였습니다.

● 이런 무서운 질병들의 발생을 이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평생 항 고혈

압제를 투여 해야 하는 확고한 증거입니다.

모든 고혈압 환자는 혈압의 정도와 관계 없이 일단 생활 요법을 실시해야 하지만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는 1차성 고혈압인지, 2차성 고혈압인지 정확히 진단된 후에

발생 원인에 따라 투여하는 약물을 정합니다.

Page 15: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5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고혈압의치료2

♥ 치료의 일차 선택약으로 인정되고 있는 혈압조절제는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① 이뇨제

② 베타 차단제 및 알파베타 차단제

③ 칼슘 길항제

④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ACE억제제)

⑤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on Receptor Blocker : ARB)

● 약물치료의 개시 : 혈압이 140/90mmHg이상이면 가능한 한 약물치료를

권장하고, 특히 제 1기 고혈압이라도 합병증이나 표적

장기 손상이 있거나 당뇨병을 동반 시에는 적극적인

혈압조절이 필요합니다.

● 혈압조절 목표 : 일반적으로 적절한 목표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 mmHg 미만,

확장기 혈압 90 mmHg 미만입니다. 당뇨환자와 신장질환

환자에서는 130/80 mmHg 미만으로 더 강력히 조절합니다.

약물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여러 종류이며 각 개인에 맞는 치료약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의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초기에는 저 용량으로 시작하여 점차 용량을

늘립니다.

충북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김동운 교수충북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심혈관센터장) 배장환 교수충북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심혈관센터 전문의) 이상엽 교수

● 원고집필자

Page 16: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담배 끊기 술 줄이기 싱겁게 먹기

운동하기 적정 허리둘레 유지 즐거운 마음가지기

정기적으로 검사 꾸준하게 치료하기 증상발생시 병원에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를 위한 9대수칙

CA2010-2B

충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연락처

부서 전화번호응급의료센터 (043) 269 - 6991

진료 안내 (043) 269 - 6678

전화 예약 (043) 269 - 6677, 6666, 6108, 6767

순환기내과외래 (043) 269 - 7601

심혈관센터 (043) 269 - 7905

신경과외래 (043) 269 - 6196

뇌혈관센터 (043) 269 - 7906

심뇌재활센터 외래 (043) 269 - 6222

심뇌재활센터 (043) 269 - 7460

예방관리센터(영양상담) (043) 269 - 7907

인터넷 예약 http://www.cbnuh.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