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gazine 2017 - kosham.or.krkosham.or.kr/filedown/downfile/journal/201703.pdf · 2017. 03...

104
2017. 03 Vol.17 No.2 2017.03 통권 72 Vol. 17 No. 2 한국방재학회지 THE MAGAZINE 2017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ISSN 1738-2416 www.kosham.or.kr 특집 빅데이터와 방재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Upload: phungquynh

Post on 21-Jul-2018

22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017. 03 Vol.17 N

o.2

한국방재학회지 2017.03 통권 72호

Vol. 17 No. 2

한국방재학회지

The Magazine 2017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ISSN 1738-2416

www.kosham.or.kr

특집 빅데이터와 방재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2017 소하천 설계·실무 워크숍아름답고 안전한 소하천 가꾸기

「2016년 아름답고 안전한 소하천」 선정 결과

구 분 시·군 소하천명 출 품 명

최우수 부안군 운호천 풍경과 함께 걷는 낭만충전 운호천

우 수

문경시 불정천 안전하며 친근하고 아름다운... 불정천

달성군 용천천 꽃의 비상 용천천

춘천시 후하천 생태하천의 춘천, 후하천에서 시작된다

장 려

고성군 외우산천 행복하고 살맛나는 마을 “외우산천”

장수군 두산천 논개! 문화와 미래를 품다. Everyday Festival~ 두산천

거제시 삼거천 산과 들이 뛰노는 “삼거천”

원주시 입춘내천 치악산 생태의 숨결과 아름다움을 품은 “입춘내천”

완주군 신기천 물길따라 추억이 속삭이는 마실 걸음 신기천

보은군 병원천 안전한 친환경 생태하천 병원천

보성군 강각천 문화와 역사가 공존하는 美의 의뜸인 강각천 거닐기

천안시 성정천 문화와 생명이 꽃피는 활력의 강 성정천 만들기 물 만나다

영덕군 아곡천 자연과 동화된 아름다운 “아곡천”

여주시 도장골천 주민과 함께하는 도장골천

•일 시 : 2017년 4월 28일(금), 13:00~18:00

•장 소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아름관

•주 최 : 한국방재학회

•참가 대 상 : 학회 회원, 지자체 공무원, 산업체, 학계 등

•참 가 비

•등 록 : 4월 3일(월)~4월 20일(목)

* 등록신청 : 홈페이지 접수(http://www.kosham.or.kr)

구 분 참가비 시 간 비 고

1부 50,000원 13:00~14:40

1부 + 2부 100,000원 15:00~18:00 선착순 80명

취임사

004 제9대 한국방재학회 회장 취임사 박무종

006 제9대신임임원프로필

권두언

013 제4차 산업혁명과 재난방재 박광국

특집:빅데이터와방재

015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표경수·이소희

020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박민규

029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김태현

033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김석철

038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김원현·양동민

기술기사

044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왕순주

상치위원회구성및사업계획

055 2017 회무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사무국

063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사무국

학회임원명단

회 장 박무종

부회장 전환돈 공정식 정덕훈 심재현

김봉재 송 범 김계조 신희정

박현영 송창영

이 사 김경남 김기동 김낙석 김선욱

김응석 김종원 김주성 김진관

김진욱 김현규 김현식 김현주

류지협 문영일 문현철 박원철

손상영 양동민 유인균 유철상

윤기용 윤재영 윤 창 이경도

이규호 이덕주 이재수 이종석

이종인 이창해 정병순 정우창

정종호 정창삼 조덕준 조영철

주진걸 최민하 최종남 최현일

감 사 윤용선 이 용

편집위원회위원단

위원장 윤동근

간 사 강정은 박민규 박영진 이경도

이영주 정건희

위 원 박승희 송주일 송창근 신호성

안재훈 여화수 왕순주 이달별

정주철 정지범 최민하

한 국 방 재 학 회 지

C O N T E N T S 통권 72호 Vol17 No.2 2017.3

격월간한국방재학회지 ┃ 2017년 3월호(통권 72호) ┃ 발행인 박무종 ┃ 편집인 윤동근 ┃ 발행일 2017년 3월 31일 ┃ 발행처 사단법인 한국방재학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307호 ┃ 문의처 사무국 ┃ 전화 (02)567-6311~2 ┃ Email [email protected]

편집·인쇄 (주)크로스디비 02-2275-8603 이 학회지는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2017년 학술지원금)의 일부 재정지원에 의하여 출판되고 있습니다.

쉬어가는코너

074 황사 - 국민행동요령 매뉴얼 국민안전처 제공

세미나및컨퍼런스

078 2017년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결과보고 이정호·이태형

신간안내

084 우리를 위협하는 지진과 생활 이희일

한국방재학회뉴스

085 학회소식,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입회안내, 입회신청서, 광고신청서, 논문집목차 사무국

099 한국방재학회 국문논문집, 한국방재학회지 투고안내 사무국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0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inaugural address 취임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방재학회 회원 여러분!

저는 지난 정기총회에서 회원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에 힘입어

제9대 한국방재학회 회장에 선출된 것을 크나큰 영광으로 생각

합니다.

재해 및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라는 커다란 명제

하에 방재에 관한 학문 및 기술의 발전을 목적으로 창립된 우리

방재학회는 2000년 설립이후 재난·안전 관련 분야에서 4,000

여명의 회원이 활동하는 오피니언 리더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선

도학회로 눈부신 발전과 성과를 이루어 왔습니다.

저는 제9대 한국방재학회의 발전 비전을 “융합과 성장”으로 설정

하였습니다. 우리학회는 다양한 전공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으므로 학제간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고, 단순히

전공분야 뿐만 아니라 세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진정한 융합이 되

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학회 발전을 위한 ‘융합과 성장’의 실천방향으로 세가지 목

표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첫째, 학제 간 융합을 통한 우리학회의 위상제고

우리학회는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제기되고 있는 초대형 재난 및 복합재난 뿐만 아니라

안전관리 등과 같은 이슈들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분야별 또는 융합분야별 위원회 활동을 통하

여 이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학회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학술활동 성장

우리학회 국문논문집은 연간 6회, 영문논문집은 연간 4회 발행되

고 있습니다. 학회 본연의 목적 중 가장 중요한 논문집의 양적 성

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장기적으로는 우리학회 논문집이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

을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겠습니다.

박무종

한국방재학회 회장

한서대학교 교수

제9대 한국방재학회 회장 취임사

0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inaugural address 취임사

셋째, 학회 소통과 운영의 기틀 마련

우리학회는 창립이후 16년간 약 4,0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는 대규모 학회로 성장하였습니다. 이제 청

년기로 접어들어 본격적인 성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원로와 신진 연구자의 소통을 통한 참여의 장을

확대하겠습니다. 더불어 학회의 운영을 내실화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재난관리 분야의 대표 학회

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존경하는 한국방재학회 회원 여러분!

이와 같은 학회의 청사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저 또한 회

원 여러분의 참여와 학회의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겠습니다. 우리 함께 학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학회의 ‘융합과 성장’을 이루어 냅시다.

감사합니다.

profile 제9대 신임임원 프로필

0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박무종(1964.12.27)

한서대학교 교수

|회장|

학력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

경력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대우 건설부문

상훈

2016 국민안전처장관 표창

2014 국토교통부장관 표창

2011 국무총리 표창

2009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연구업적

논문

• 내배수시설 경계 재설정에 따른 내수침수 저감효과

분석 외 다수

주요연구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도시지역별 복합원인의

홍수 취약성 평가기술 개발 및 대응방안 연구(국민

안전처, 2016)

• 도시특성을 고려한 도심지 토사재해 예측·평가 및

통합관리기술 개발(국토교통부, 2016)

•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체계구축(국민안전처, 2015)

저서

• 물 위를 걸어온 과학자들(한국수자원학회, 2012)

• 방재학(구미서관, 2012) 외 다수

2017.3.1~ 2019.2.28

제 9 대

신 임 임 원

프 로 필

2017.03 Vol.17 No.2

전환돈(1970.7.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부회장·기획|

공정식(1967.10.26)

고려대학교 교수

|부회장·학술|

학력

고려대학교 석사

Virginia Tech USA 석사

Virginia Tech USA 박사

경력

국립한밭대학교 조교수

고려대학교 방재기술연구소 연구교수

㈜대우 건설부문

상훈

2014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2013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2012 소방방재청장 표창

2008 ASCE Best Research Oriented Paper Award

연구업적

논문

• Valve controlled Segmen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외 다수

주요연구 • 도시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내배수시설 동적운영시

스템 개발(교육과학기술부, 2013)

•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체계구축(국민안전처, 2015)

외 다수

저서

•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McGrawHill,

2007, CoAuthor)

•물 위를 걸어온 과학자들(한국수자원학회, 2012) 등

학력

고려대학교 토목공학사KAIST 구조공학 석사콜로라도 주립대 구조공학박사

경력

고려대학교 교수SWRI 연구원삼성물산 건설부문

상훈

2016 대한토목학회 학술상2010 국토해양부 장관 표창2009 ICASSAR Junior Research Prize2007 VE 연구원 이사장 표창

연구업적

논문

• Probabilistic fatigue integrity assessment in multiple crack growth analysis associated with equivalent initial flaw and material variability 외 다수

주요연구 • LCC/LCP 예측을 통한 최적 교량관리 의사결정 모

듈 개발• 성능중심 사회기반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제도화 방

안 연구 외 다수

저서

• Reliability-and Cost-Oriented Optimal Bridge Maintenance Planning,”(D. M. Frangopol, M. Miyake, J.S.Kong, E.S. Gharaibeh, and A.C.Estes), Chapter 10 in Recent Advances in Optimal Structural Design(Edited by S. Burns), ASCE, Reston, Virginia, 2001, ISBN: 0-7844-0636-7

profile 제9대 신임임원 프로필

0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정덕훈(1963.1.8)

동국대학교 교수

심재현(1962.2.1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원장

|부회장·국제교류| |부회장·연구|

학력

죠지아주립대 학사

죠지워싱톤대학 석사

죠지워싱톤대학 박사

경력

죠지 워싱톤 대학 위기관리 연구소 선임 연구원

죠지 워싱톤 대학 연구 교수

동국 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연구업적

논문

• 재난관리에 빅데이터가 미치는 영향연구 외 다수

주요연구 • 재난 시나리오에 기반한 재난 대응 역량 강화(국민

안전처 2014.06~현재) 외 다수

학력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 박사

경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책임연구원

내무부 국립방재연구소 별정5급

국립방재연구소 방재연구실 시설연구관

국립방재연구소 방재연구실장

국립방재연구원 방재연구실장, 복합재난연구실장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장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장, 재난원인조사실장

상훈

2009 대통령표창

2003 국무총리표창

2017.03 Vol.17 No.2

김봉재(1963.5.7)

한국수자원공사 사업관리이사

송 범(1955.5.23)

대림 C&S(주) 대표이사 사장

|부회장·사업| |부회장·재정|

학력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경북대학교 토목공학 박사

경력

한국수자원공사 입사

한국수자원공사 보현산댐건설단장

한국수자원공사 친수사업처장

한국수자원공사 댐·유역관리처장

한국수자원공사 사업관리부문 이사

상훈

2005 대통령표창

1999 국무총리표창

1996 국토부장관표창

연구업적

논문

• 낙동강에서의 수질개선을 위한 댐과 다기능보의 최

적 연계운영 방안 외 다수

주요연구 • 댐 안전성 강화 방안 연구(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

공학회, 2016)

• 보현산댐 확장레이어타설공법(ELCM) 현장 적용(대

한토목학회, 2013) 외 다수

학력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학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공주대학교 토목공학 석사

공주대학교 토목공학 박사

경력

현재 대림C&S(주) 대표이사

대림산업(주) 상무

상훈

2017 한국방재학회 공로상

2012 행정안전부장관표창

2010 석탑산업훈장

profile 제9대 신임임원 프로필

1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김계조(1964.10.7)

대통령비서실 재난안전비서관

신희정(1968.5.15)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부회장·대외협력| |부회장·운영|

학력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미국 위스콘신메디슨 교통공학과 석사

경력

소방방재청 준비기획단(기술서기관)

소방방재청 방재관리국장(일반직고위공무원)

국민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일반직고위공무원)

상훈

2005 녹조근정훈장

1995 대통령 표창

학력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미국 노스웨스턴대 대학원 토목PM 석사

렌셀레어(RPI) 대학원 토목구조 박사

경력

동명기술공단 구조사업부 상무이사

동명기술공단 개발사업부 전무이사

동명기술공단 대표이사

상훈

2010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2008 소방방재청 청장 표창

2017.03 Vol.17 No.2

박현영(1961.07.07)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기술본부장

송창영(1969.01.21)

한양대학교 방재안전과 특임교수

|부회장·기술| |부회장·교육|

학력

단국대학교 토목공학 학사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 석사

경력

한국토지주택공사 입사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기술본부장

상훈

2010 장관표창

2004 장관표창

학력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

경력

한양대학교 방재안전공학과 특임교수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이사장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한국방재학회 이사

상훈

2012 행정안전부 대통령 표창장

2007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장

2007 광주광역시장 표창패

2007 전라남도지사 표창장

연구업적

논문• 국내건설공사의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외 다수

주요연구 •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지향성

스피커 등을 활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개발(국민안

전처) 외 다수

저서

• 품격있는 안전사회(밝은미래), 방재관리총론(예문

사) 외 다수

profile 제9대 신임임원 프로필

1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윤용선(1957.06.11)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이 용(1964.04.25)

현대건설(주) 상무

|감사| |감사|

학력

단국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박사

경력

소방방재청 재난상황실장

소방방재청 기후변화대응과장

소방방재청 재해경감과장

소방방재청 복구지원과장

국민안전처 재난대응정책관

상훈

2008 녹조근정훈장

2002 근정포장

연구업적

논문

• Stability study of a tide embankment subjected

to sea level variations using centrifugal

model tests, accepted, Marine Georesources &

Geotechnology 외 다수

학력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경력

현대건설(주) 입사

당진화력 9,10호기 토건공사

국내사업 PD

상훈

2006 산업포상(장흥다목적댐)

2017.03 Vol.17 No.2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로 가뭄, 지진,

집중호우, 태풍, 폭설, 폭염 등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계속되는 도시화로 2050년 경 전 세계 인구의 66%가 도시

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도시환경이 점차 고밀

화, 복합화, 입체화되면서 재난으로 인한 영향도 대형화되고, 재

난의 유형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후 대응 및 복구 위주

의 전통적인 방재대책 보다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재난발생 조

기예측 및 선제대응, 예방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은 현재까지의 컴퓨터 기술로는 처리

할 수 없었던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

하고 생성된 지식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화 기술을 말한다. 빅데이터는 규모(volume), 다양성

(variety), 복잡성(compexcity), 속도(velocity) 등을 특징으로 한

다. 현재와 같은 스마트사회에서는 휴대폰이나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으로부터 저장되지 않거나 저장되더라도 분석하지 않고

버리게 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미국, 싱가포르, 영국, 유럽연합, 일본 등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한 방재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미국 행정부는 2012년 빅테이터 추진전략(Big data initiative)을

발표하고 빅데이터 활용 효과가 뛰어난 분야 기관들이 연구개발

에 우선적으로 참여도록 하였다.

싱가포르는 위험평가 및 이슈탐지(Risk Assessment and

Horizon Scanning)를 통해 해안 안전확보 및 조류독감 미래 시

나리오 연구 및 대응방안을 마련하였다.

영국은 The Foresight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슈탐지센터

(Horizon Scanning Centre)에서 해수면 상승, 해안침식, 홍수

등 잠재적 위험에 대한 위험관리 프로젝트를 통해 30~100년 이

후를 대비한 위험 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글로벌 차원의 동식물

및 인간 전염병 확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방법론

과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유럽연합 또한 이슈탐지를 통해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발생 시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wild cards)과 지구온난화, 잦

은 홍수 등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weak signal)를 포착하는

전략적 이슈를 발굴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과

재난방재

박광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preface 제4차 산업혁명과 재난방재

1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preface 제4차 산업혁명과 재난방재

일본 NTT도코모 선진기술연구소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공간 통계로 지진 발생 시 대규모 재난대

비 시뮬레이션을 이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의 국민맞춤형 정부3.0 실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서 빅테이터 활

용의 중요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16.4.20.) 국민안전처는 빅데이터를 접목한 재난예방 및 대응, 재

난안전 관련 정책 수립 지원 및 빅데이터 활용기반 구축 등을 목표로 ’빅데이터 활용 종합계획‘을 수립하

였다. 이 계획에는 폭염 안전예보, 생활안전 민원자료 분석,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및 빅데이터 분석 장

비 구축 등을 포함한다.

정보통신기술(ICT)의 비용급감 및 성능급증은 지능화와 초연결사회를 필두로 하는 제4차 산업혁명의 기

반이 되고 있다. 첨단방재를 위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하는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분석, 활용을 위한 온/오프라인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오프라인(offline)에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나 모바일(mobile)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온라인(online)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및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tics)을 통해 자연재해 예측 및 대응을 위한 정책을 도출하

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01

2017.03 Vol.17 No.2

special issues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1. 서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현상으로 태풍, 홍수 및 폭설 등 대형 자연재

난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리적인 특성상 우리나라도 자연재난의

융·복합적 발생뿐만 아니라 재앙수준의 재난위험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

세이다. 이처럼 예상하기 어려운 대형 복합재난을 예방·대응하기 위해서 재

난 그 자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기본으로 더 나아가 재난이 발생하는 공

간특성에 대한 분석과 해석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지난 수년 동안 각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자체적인 조직을

마련하여 해당 기관별 빅데이터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 중에서 특히 재난관

련,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는 사회 현안 관련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집중적으

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빅데이터 구축사업의 추진결과가 정부정책이

나 다양한 산업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활용되기 위해서 「공간 빅데이터」라

는 키워드는 필수적이다.

「공간 빅데이터」란 국가 공공정보의 근간이 되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경제·

사회·문화·환경·외교 등 다양한 분야와 융·복합 활용이 가능한 모든 데

이터를 의미한다. 재난안전 분야에서도 공간 빅데이터 관련 기술개발과 이의

활용을 통한 공공서비스 활성화, 더 나아가 국내 기술경쟁력 확보가 가능하

다.

따라서 기존의 빅데이터와 공간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정부기관

을 비롯하여 공공·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기반마련 및 공간 빅데이터의 효

율적 활용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모델 제시가 필요하다.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표 경 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연구실 공업연구관

[email protected]

이 소 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시설연구사

[email protected]

1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국내 공간 빅데이터 구축개념

은 국토교통부 주관 하에 범부

처 공간 빅데이터 공통기반을

두는 것이다(그림 1). 이를 통

해 국내 공신력 있는 공공기관

에서 구축한 자료를 수집·연

계하고, 이를 정형·비정형 형

태의 빅데이터 DB화하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부동산 정책 및 교통정책 지원,

지역개발평가 지원 등 공공부

문에 활용하고 있으며, 약 2.1

조원∼4.2조원의 경제적 효과

를 기대하고 있다(현대경제연

구원, 2012).

또한 공공 빅데이터 체계를 통

해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분야

에 필요한 DB와 공간분석모형

을 지원함으로써, 정보 활용효

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재난안전

관련 공간 빅데이터 구축 및 활

용현황을 소개하고, 재난안전

정책수립을 위한 공간 빅데이

터의 활용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 국내외 재난안전 부문 공간 빅데이터 활용 현황

2.1 국내

국내 재난안전 분야에 있어서 특화된 빅데이터 활

용 시스템은 스마트빅보드(Smart Big Board)와

생활안전지도서비스가 있다.

스마트빅보드(Smart Big Board)는 재난 및 안전

사고 시 현장 중심의 모든 가용한 정보를 이용해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스마트 재

난관리 플랫폼이다(최선화 외 2인, 2015). 스마트

빅보드는 기상, CCTV, 재난이력 등의 다양한 정

보를 통합하고, 모바일기반 스마트 모니터링 체

계의 도입 및 실시간 모니터링 장비(위성, UAV,

MMS 등)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재난상황을 모니

터링·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그림 2).

생활안전지도는 중앙부처 및 기관별 재난 및 안전

그림 1. 공간 빅데이터 개념도

출처 : 국가공간정보포털(www.nsdi.go.kr)

그림 2. 스마트 빅보드 개념도

2017.03 Vol.17 No.2

그림 3. 생활안전지도 개념도

표 1. 생활안전지도 DB 내역

분 야 주요 내용 종수

교통

안전

- 교통사고 다발지역 및 교통안전 발생정보

- 이용자의 계층 및 시간대별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등하굣길·출근길 안전지도)16종

재난

안전

- 지역별 산불, 산사태, 붕괴, 지진, 화재, 침수 등 재난발생 정보 제공

- 침수, 산사태 등 재난 발생을 대비한 우리 동네 안전한 대피소 정보 제공13종

치안

안전

- 강도, 성폭력, 폭행 등 범죄발생 정보제공

- 이용자 접속 시간대에 맞는 치안안전 정보 서비스 (안전녹색길(새벽·오전·오후·심야), 주변 안전시설)46종

맞춤

안전

- 범죄·교통·재난 등 분야별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어린이·여성 등 안전 취약계층별 맞춤형 안전지도

제공

- 어린이 안전지도, 여성밤길 안전지도, 노인 안전지도 등 제공

19종

시설

안전

- 전기화재/가스사고 발생현황 및 통계정보

- 노후건축물 밀도, 유해화학시설 집계 및 분포, 방사능측정 감시망 위치정보 등 제공15종

산업

안전

- 산업재해 및 사망재해 발생통계 정보

- 건설공사 위치 및 공사기간, 산재지정 의료기관 및 산재지정약국 위치정보 제공13종

보건

안전

- 자살발생 현황 및 통계, 질병 및 가축전염병, 어린이 천식·아토피, 식중독 등 현황정보

- 축산시설 및 이동통제초소 위치, 철새도래지 영역,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정보 등 제공62종

사고

안전

- 추락/낙상사고 발생 통계 및 위치 정보

- 추락/낙상사고 주의구간 정보, 어린이놀이시설 및 승강기시설 점검이력 정보 등 제공26종

안전신고정보

- 안전모니터봉사단, 안전신문고에 신고 된 현황정보와 신고 처리된 현황정보 제공 2종

안전시설정보

- 가로등, 방범등, 치안시설, 의료시설, 대피시설 등의 위치정보 및 연락처 등 속성정보 제공 30종

1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사고 관련 정보(표1)를 수집·DB화하고, 정보의

개방 및 공동 활용을 통해 실제 국민 생활안전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지도화하며 서비스하고 있다

(그림 3).

2.2 국외

201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인공위성과 항

공기에서 촬영한 분석 자료를 활용해 로스엔젤레

스에서 발생한 거대 싱크홀을 최소 한 달 전에 예

측하여 인근 주민을 대피시켰으며, 기술 범용화

작업 중이다(이기영·강상준, 2014).

분석 자료인 SAR(Synthetic Aperture Radar)는

기존의 레이더 자료와는 달리 매우 높은 해상도를

가진 레이더 자료이며, 첨단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위성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지상으로 보낸다.

전파는 땅에 닿으면 반사돼 다시 위성으로 돌아오

며, 이때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면 지표의 일정 지

점까지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신선미, 2015). 수

년간 이 데이터를 쌓으면 거리가 얼마나 달라졌는

지 확인할 수 있다. 거리가 짧아졌다는 것은 지표

가 솟아올랐다는 것을 의미이며, 거리의 변화가

길어졌다면 땅이 가라앉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림 4).

또 다른 사례로서 미국의 뉴욕시 소방국인 FDNY

(Fire Department City of New York)에서는

화재발화지점 예측을 위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역량을 가진 오라클 기반 프로그램인

RBIS(Risk Based Inspection System : 위험기반

검사 시스템)를 사용한다. 이는 응급 상황에 신속

한 대응을 돕는 스마트 기술로서 경찰의 예측 방

범수사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소방관들이 즉각

화재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한국외국

어대학교 빅데이터연구센터, 2016).

RBIS의 중심은 ‘FireCast’로 5개의 시립 기관들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60여개의 위험요소로 구성하

는 알고리즘이며, 이를 바탕으로 화재에 가장 취

약한 건물목록을 생성한다. RBIS는 FDNY가 접근

할 수 있는 조사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제공하며,

FDNY 대원이라면 누구나 건물과 구조물의 최신

점검 내역조회 가능하다.

과거에는 모든 점검기록을 종이에 기록해 카드시

스템으로 정리해왔지만, 점검기록이 각각 다른 소

방서에 흩어져 보관되어 있는 탓에 소방대대와 부

대 간의 정보공유가 사실상 불가능했었다. FDNY

내부의 원활한 정보공유와 늘어나는 건물점검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 기반의

RBIS와 FireCast에 대한 개발을 시작한 것이다.

그림 4.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예측한 거대 싱크홀(상)과 분석자료(하)※ 출처: http://www.nasa.gov/press/2014/march/nasa-radar-demonstrates-ability-to-foresee-sinkholes/#.VlGU7nbhAdU

2017.03 Vol.17 No.2

현재 RBIS는 FireCast 2.0이 주축이 되어 운영

되고 있으며, FireCast는 RBIS가 위험을 점수화

(risk-scoring)시키도록 추진하는 엔진 역할을 수

행하며, 조사관이 매일 이루어지는 점검 결과를

RBIS에 입력하면, RBIS가 매일 위험 점수를 책정

해 건물별 위험성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RBIS와 FireCast 구축까지는 많은 기관들의 불

필요한 절차들로 인해 기관별 보유해 왔다. 데이

터를 얻기 어려웠으며, 각 기관들은 각자 그만의

건물 유형별 분류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에, 기관

간 통용될 수 있는 범용 식별자를 선제적으로 설

정하고, FDNY는 독자적으로 개발해낸 RBIS와

FireCast를 전국의 소방당국에 소개를 통해 관할

권과 상관없이 공공의 안전 유지 장려한다.

3. 정책제언

본고에서는 최근 재앙수준의 재난으로 발전하고

있는 전 세계적인 대형·복합재난을 예방하고 대

응하기 위한 공간 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하

였다. 기존의 빅데이터 발전 양상을 기반으로 공

간 빅데이터 개념 및 구축은 이제 발전을 시작하

는 단계로서 아직 활용여건이 유연하지 못한 실정

이다. 따라서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마

련되어야 하는 기술적 제약 요인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 관리는 국

민 1인당 GDP 3만 달러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나

라에 가장 시급한 활용처이며, 재난관리 복구에

급급했던 기존의 재난관리체계를 공간 빅데이터

를 활용한 재난관리 예방 및 대응의 선순환 체계

로 전환시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참고문헌

1.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2017.

2. 김동한, 국토도시 정책을 위한 공간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부동산포커스 84권(2015년 5월호), 2015.

3. 신선미,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 http://

www.dongascience.com/news/view/69472015.12.06.

4. 이기영, 강상준(2014). 도시를 삼키는 싱크홀, 원인과

대책. 이슈&진단, (156), 15.

5. 최선화, 박영진, 심재현,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역량강화, 대한토목학회 제63권 제7호, 2015.

6. 한국외국어대학교 빅데이터연구센터, 공간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연구(연구책임 조준서), 국토교통부 정책

연구, 2016.

2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02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1. 빅데이터와 관련된 두 가지 인식 변화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벌써 5년이 넘었고 최근에는 빅

데이터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면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 취급을 받거나 식상한

주제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취급당하기 쉽다. 개인적으로도 빅데이타라는 용

어 자체를 좋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까지는 통용이 필요한 용어라는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수년 전 우연한 기회

에 시작한 빅데이터, 인공지능, 딥러닝, 스마트팩토리라는 공허한 용어의 주

제를 가지고 컨설팅과 엔지니어링에 참여하면서 관련 사업이 전세계를 대상

으로 수백억 이상의 가치를 창조하는 것을 자주 보아왔다. 그 과정에서 일을

하던 초창기에 비해 최근 가장 많이 달라진 것을 뽑으면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이다. 5년전 데이터분석 컨설팅

을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꽤 트인 시각을 가진 민간기

업조차 데이터는 용역을 하는 쪽에서 알아서 수집해 주는 것이지 평소에 주

기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개념이 없었다. 따라서 내

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우선 양질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체계적

으로 보관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권유하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초창기 괜

찮은 빅데이터 사업이라고 하면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DB서버를 구축하

고 센서네트워킹을 구축하는 등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텍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박 민 규

중원대학교

방재안전공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2017.03 Vol.17 No.2

스트자료 등과 같은 비정형데이타를 수집해야 할

경우 NoSQL기반의 몽고DB나 수집텍스트의 저

장검색면에서 특출난 ELK스택의 엘라스틱서치

를 사용하여야 하나 지금과는 다르게 성공적인 운

영사례나 대표적으로 예상가능한 결과물과 활용

방안이 마땅치 않아 최종적인 투자결정 전에 최고

의사결정자에 의해 거절당하기가 일수였다. 또한

초단위로 수만 개의 자료가 계속해서 쌓이는 스마

트팩토리(smart factory), 스마트팜(smart farm)

등의 센서네트워크의 데이타베이스는 influxDB

나 같은 그야말로 양적으로 빅데이타에 특화된 빠

른 처리속도를 가진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이 불가

피하지만 기존 관계형데이타베이스를 고수하여

데이터가 쌓이는 속도를 데이터베이스의 처리속

도가 감당하지 못하고 실시간 처리가 어려운 경우

가 많았던 것 같다. 이제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수

집 및 저장, 검색 등의 측면에서 상식과 같은 내용

이지만 5년동안 지금과 같은 인식이 적어도 업계

에서 자리잡기 까지는 상당히 많은 고비가 있었다

고 생각된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그렇게 시

스템을 구축한 기업들이 2~3년 이상의 자료를 쌓

고 지속적인 자료의 품질관리를 해온 덕에 이제는

꽤 쓸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는 점이다.

두 번째는 본 고의 주제가 될 수도 있지만 데이터

가 많이 쌓이는 것과 함께 알파고로 촉발된 인공

지능, 딥러닝에 대한 기대로 결과물에 대한 기대

가 지난 1년 사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높아졌다

는 것이다. 인간이 이해하지 못할 어떤 수준 높은

새로운 기술이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

결해주리라는 기대 말이다. 특히 텍스트 데이터

분석은 이제 210여개에 이르는 국내 언론기관, 네

이버, 다음 등의 포털에서의 주요 검색어 및 댓글,

그리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에서 얻어지는

각종 자료 등을 기초로 샘플링 수준의 조사를 모집

단으로 착각하게 만들정도의 방대한 텍스트의 바

다를 헤매도록 하고 있다. 단순히 국내포털에서 찾

을 수 있는 신문기사의 텍스트만을 2016년 1년동

안에 대해 모아보면 약 100GB 정도에 이르면 관련

결과에서 이런 저런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걸

간단한 분석을 통해 보여주면 그 기대감은 배가되

지만 사실 보여줄 수 있는 것은 그 정도 뿐인 것 같

다. 좀 더 복잡한 토픽모델링을 수행할 수는 있지

만 아직까지는 아래와 같이 우연히 선거결과를 유

사하게 예측한 사기성 짙은 결과일 뿐이다.

수년 전에는 아래 그림 1과 유사한 걸 보여주며 새

(a) 2011 지방선거 당일 후보자 이름 구글 검색량과 선거결과

(b) 2016 미국대선 투표일 후보자 이름 구글 검색량과 선거결과

그림 1. 구글 검색 키워드 결과와 선거결과(토픽모델링)

2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그림 3. 항공기 연착과 관련된 Zepplelin 수행결과

로운 결과를 낼 수 있다고 과장되게 이야기 하였

다면, 최근에 수행한 과제들에서 저자가 가장 먼

저 해야 했던 일은 위와 같은 약간은 사기성 짙은

자료들로 인해 과도하게 높아진 발주처의 기대사

항을 낮추어야 하는 것이었다. 한 예로 최근에 수

행한 A기관의 전산기록물 분류하고 색인자료를

만드는 과제의 경우 사람에 의한 수동 분류를 수

행하였을 때 전문적인 도서관 사서 교육을 받은

사람 10여명이 일년 반 정도를 수행해야 가능한

수십만 건의 문서를 대상으로 한 작업을 LDA 모

형을 도입한 시스템을 통해 3일 정도에 끝냄으로

써 언론상에 화재가 되기도 했지만 그 내부적인

내용을 보면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굉장히 많은 문

제점과 개선상의 요구사항이 있다는 것은 다루어

지지 않아 아쉬움이 크다. 사실 기술적인 내용은

이전에 학교에서는 전혀 배워본 적이 없는 것들이

많고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텍스트 해석기법이 나

타나며 발전하고 있어 구체적인 해석과정과 기대

되는 결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이 실제 상황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 같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여러 관계자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교육 등의 목적으로 수행한 자

료를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의 구

축과정에 대한 내용과 함께 텍스트 데이터 분석의

절차와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과 관련된 내

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2.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고려사항

빅데이터라고 하면 그림 2와 같은 3V 중 한 가지

라도 갖추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세 가지 다를 동

시에 만족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 중 한가

지 조건이라도 갖추는 것을 의미함). 첫 번째는 자

료의 양(Volume)으로 통상적으로 엑셀에서는 한

번에 불러오기 힘든 정도의 자료의 양(엑셀 1개의

sheet에서 불러들일 수 있는 행의 수는 1048576

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최근에 접했던 자료 중

비행기의 안전운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센서자료

의 경우 12시간 이상 운항되는 1회 운영에 1 PB

이상의 자료가 축척되고 있었다. 이 정도는 아니

어도 유명한 데이터 정보 사이트인 미국의 data.

gov에서 제공하는 항공기 연착정보(catalog.data.

gov/dataset/airline-on-time- performance-

and-causes-of-flight-delays-on-time-

data)는 2017년 1개월에 불과한 자료가 23 GB에

이르며 제플린을 이용한 자료의 수를 조회한 결과

그림 3과 같이 1억 6222만건에 이르는 자료수를 그림 2. 빅데이터의 3V

2017.03 Vol.17 No.2

가지고 있었다. 이 경우 분산저장 및 처리를 위한

AWS의 EM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빅데이터 시스

템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빅데이터의 두 번째 요구사항으로 자료처리 속도

(Velocity)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그림 4와 같은 빅

데이터 처리속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실제 분

석과 시각화는 3단계와 4단계에서 이루어지지만

데이터 수집 및 보관, 정제(cleasing, munging)

은 1단계에서 2단계까지의 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레이턴스(latency, 지체시

간), 처리율(throuthput) 그리고 처리비용(cost)

을 고려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비용 측면

에서 최근에는 그림 5와 같은 AWS(아마존웹서비

스)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클라우드(cloud) 형태

의 서비스가 별도의 물리적인 서버와 네트워크 시

스템을 갖추는 것에 비해 비용대비 운영효율이 높

아 많이 선택되고 있다. 특히 센서데이타의 경우

초당, 또는 밀리초당 생성되는 수천 또는 수만 개

의 노드에서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러한 데이터는

일정 기간동안 메모리상에서 머무른 후 분단위 또

그림 4. 빅데이터의 처리순서

그림 5. AWS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구축 도구

2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는 10분단위의 운영상 필요한 정보만을 데이터베

이스로 넘겨 저장하고 나머지는 버리거나 그 과정

에 일종의 트리거(trigger)를 설치하여 이상신호

발생시에 처리 및 대응 프로세스로 바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처리이다. 이러한

stream storage 방식이라고 불리워지는 데이터

처리는 Apache Kafka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생각

지도 못했던 것이지만 지금은 AWS에서 Kinesis,

DynamoDB의 등장으로 최근에는 굉장히 비용효

과적인 설치가 가능하면서 4차산업혁명이라고 불

리워지는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보여진다.

공장 1개소에 최소 수억에서 수십억이 들었다면

이제는 그보다 수십배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범적

인 구축 및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빅데이타가

곧 대규모 비용소요와 동격으로 생각되었던 시대

에서 이제는 탈피하게 된 것이다.

빅데이터와 관련된 마지막 고려사항은 다양성

(Variety)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다양성을

이야기하면 가장 먼저 이야기되던 것은 데이터의

형식이었다. 기존의 RDS로 처리하기 힘든 SNS데

이타, 음성, 이미지, 영상과 같은 반정형 또는 비

정형데이타의 저장 및 처리를 전통적인 데이터분

석의 영역 안에 포함하기 위한 과정으로 인식되

었다. 물론 이러한 측면이 주요하지 않은 것은 아

니나 이미 사실상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비정

형데이타 처리를 위해 NoSQL기반의 hBASE나

MongoDB의 설치 및 운영이 이루어지면 빅데이

터 시스템 분석의 다양성 조건을 갖추었다고 보기

는 어려울 것이다. 이 보다는 분석과정에서 사용

하는 feature의 수나 model의 수가 통상적인 수

준에서 생각하기 힘들 정도로 커지고 비정형데이

타나 과거에는 결과값으로 간주되던 전통적인 모

형에서 얻어진 결과를 대규모 데이터와 빠른 처리

속도가 가능한 시스템을 기초로 재활용하여 다시

feature의 요소로 고려하는 것을 빅데이터 분석의

다양성이라고 보는 경향이 커진 것이다. 현재는

그 서비스가 중단되어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사이

트로 바뀌었지만 과거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의 가

장 성공적인 사례로 불리워졌던 구글 독감 사이트

(google flu trend)의 경우 해당 과제에 참여했던

엔지니어와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가장 인상

적인 것은 자신들이 고려했던 모델의 수가 몇 개

나 될 것이냐라는 질문이었다. “수 천만개(Tens of

thousands)가 되나요?” 대답에 “그 정도로는 정

확도가 높게 나올 수 없다. 스크린되어 실시간으

로 계산을 계속하면서 개선(updated)되는 모델의

수도 그 이상이다”라는 대답을 얻었다. 비슷한 사

례는 최근 금융분야와 관련된 로보어드바이저 개

발에서도 경험하였다. 국내의 로보어드바이저를

기획하고 발주한 투자자문사들 중 조금 혜안이 있

다고 판단되었던 회사들은 대체로 최소 수 백만개

이상의 모델을 구축해서 운영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개발이 가능한지를 타진

하였었다. 이후 모니터링 결과를 살펴보면 적어도

수 백만개 이상의 모델을 동시에 활용하는 회사

들은 밝힐 수는 없지만 그 수익률이 상상을 초월

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

다. 이에 비해 불과 수 천개 정도도 많다고 생각하

고 시스템규모를 기획하고 개발하였던 회사들의

경우 그 시스템을 그리 오래 유지하지 않고 폐기

하는 수순을 밝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미국의 투

자자문사에서 고려하고 있는 모델의 수와 그 모델

에서 사용되는 feature의 숫자들이다. 이러한 로

보어드바이저 분야의 시스템 구축에서 전세계에

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이썬(python)의 판다스

(pandas) 패키지를 개발한 매키니(Wes Mckinny)

의 강좌를 듣기위해 방문하였을 때 미국의 30대

투자자문사들이 사용하고 있다는 전해들은 모델

이나 feature의 수는 SI단위계의 접두어를 공부할

때 접한 이후 그 다음에는 듣기 힘들었던 규모였

2017.03 Vol.17 No.2

다. 투자자문사의 성과 순위가 수백 등에서 30여

등까지는 이 규모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그래프 앞으로의 시스템 구축에서 역시

시사점이 많다고 생각된다.

아래 그림 6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작동방식과

목적의 발달에 관한 것이다. 초기 시스템은 한 달,

일주일, 하루 또는 한 시간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작동(batch 방식)되면서 보고서(report)를 생산하

는 방식이었다. 최근의 스마트팩토리나 스마트팜

의 구축 목적은 두 번째 단계로 이러한 배치실행

이 1분 미만의 간격으로 실행되거나 아니면 이상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 센서데이타들의 흐름

이 유입되면 경고(alert)를 발생시키고 대응시스

템을 구축할 수 있는 실시간(real-time) 작동 방

식이었다. 알파고 이후 우리나라에서 급격한 관

심을 받고 있는 딥러닝에 의한 시스템들은 대부분

해석보다는 예측(prediction)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예측모델의 놀라운 점은 그 동안 비정상

성을 가지고 있어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져 왔던 주가의 변화와 관련하여 수 십개의 틱이

나 수 초 이내의 변동에 대해서 80-90%이상의 예

측정확도를 보이고 있는 모델의 등장이다. 이러한

초단시간 예측정확도의 증가는 고빈도매매(high

frequency trade)라는 형태의 2016년 한 해 동안

일평균 2만회 이상의 거래횟수를 보였다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형태와 이들 외국인 투자사들의 국

내 주식에서의 연평균 수익률이 70%를 넘어선다는

국내 여러 기사에서도 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기존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

은 성과를 보이는 사유를 모델구축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성(variety)

이 높다는 것은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조건을

높게 갖추었다는 것과 동격으로 이루어지며 성격

과 기능이 완전히 다른 수많은 대체가능한 개체들

이 모여있다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빅데이

터 처리시스템에서 적용하는 모델의 수가 많다는

것은 기존에 선형모형 한 개 등으로 적용하여 왔

던 대상을 공간, 시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상황

조건에 따라 쪼갤 수 있는 최대한의 경우까지 나

누어서 각각의 경우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구축하

는 것이다. 이러한 구분 case는 적어도 수 천가지

이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시스템의 병렬처리능

력이 아주 중요시하게 요구된다. 이와 함께 개별

case의 사용되는 모형의 구축 역시 사용가능한 입

력변수(feature)들을 천편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

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별개

의 모델구축 과정을 거치고 부족한 정확도를 보완

할 수 있도록 랜덤포리스트(random forest)와 같

은 앙상블 방식으로 개별 경우에 대해서도 모델성

격이 서로 상반되고 독립적인 것들을 최소 30개

이상을 적용할 뿐만 아니라 이를 고려한 여러 가

지 운영지표와 규칙을 마련하여 적용하게 된다.

그림 6. 데이터분석 시스템의 작동방식 및 구축 목적의 변천사

2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이와 같은 적용은 불과 수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

이 직접 하기에는 컴퓨터의 도움을 받더라도 버겁

고 굉장히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었지만 지금

은 네트워크에 기초한 병렬 컴퓨팅 속도의 발전과

프로세스의 개선으로 자동화 뿐만 아니라 실시간

개선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텍스트 데이터 분석의 주요개념

텍스트 데이터 분석의 학술적 정의는 텍스트로 구

성된 다수의 문서에서 특징들을 추출하여 의미있

는 정보를 추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요 활

용은 문서 분류나 주제 추론 등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으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이 분야에서 앞선 선진

국은 자연어 처리를 넘어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의 영역으로 발전해 가

고 있다. 이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깊이 있

게 이해해 마치 해당 언어에 능통하고 전문분야의

지식을 갖춘 사람처럼 대화를 할 수 있는 영역으

로 발전해 나가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017

년 1월 라스베가스에서 있었던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의 주인공이 삼성, 애플 등과

같은 전자회사가 아니라 인공지능 비서를 들고 나

온 아마존(amazon)이라고 이야기되는 것은 그냥

뉴스에서 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올해 처음으로

CES에 참여하면서 아마존의 체험부스에서 사람

들이 웃고, 큰 소리로 이야기하며 몰려들는 걸 목

격하였던 경험으로 볼 때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

는 나라에서는 인공지능 비서는 이미 완성된 무엇

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은 공학자 입장에서는

통계학과 기계학습 기술뿐만 아니리 언어학 분야

의 파싱, 형태소, 구문, 어휘, 품사 분석 등을 다

룰 수 있어야 하므로 쉽지 않은 분야라는 것은 분

명하다. 무엇보다 융합적인 연구와 적용, 다각적

인 실험이 요구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언

어학적으로 볼 때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RNN

계열의 LSTM을 이용한 학습을 하려며 분석대

상으로 한는 텍스트 문서가 (문장 → 어절 → 어

구 → 단어 → 형태소)의 체계적인 구조로 분해

되어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조화 되고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어

야 한다. 이때, 문서의 내용들은 최소 분석 단위

로 분해되고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거나 대체

하는 등 정제 과정 일종의 클린징(Cleaning)이라

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사람에 따라 이를 전처리

(Preprocessing)라고 부르기도 한다.

텍스트 데이터 분석과정의 주요 분석은 문서의 내

용을 인간이 이해하는 것처럼 언어적으로 분석하

기보다는 문서에 사용된 단어들의 빈도수에 기반

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그나

마 신뢰가능한 결과를 줄 수 있는 것들이다. 즉,

텍스트로 구성된 데이터(비정형데이타)를 통계분

석을 수행할 수 있는 수치 데이터(정형데이터)의

형태로 변환을 해야하며 이 과정에서 유명한 몇

가지 예를 들면 Term Document Matrix, tf-idf

등이 등장한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텍스트 데

이터 분석을 통해 문헌 속의 단어들의 발생 빈도

등을 분석하여 숨겨진 관계와 경향 등을 발견하기

도 한다고 소개되고 있지만 문서작성자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

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과정을 개략적으로 모식화한 것이다.

텍스트 데이터 분석과정이나 그 결과를 접하게 될

경우 아래 용어들을 필수적으로 만나게 된다. 이

들 용어들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한 학기 수업

이상이 요구되는 분량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하

고 간단히 그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되는 목적을

알 수 있는 정도로 소개한다.

2017.03 Vol.17 No.2

- Corpus(코퍼스, 말뭉치, 형태소) : 텍스트 문서

를 구성하는 요소들(말뭉치, 형태소)의 집합체,

사전과 유사하나 보다 넓은 개념을 가짐

- Unigram : 개별 단어. 각 단어들은 서로 독립

적임.

- Bigram : 두 개의 연속된 단어. 어떤 단어 뒤에

어떤 단어가 나올 확률이 높은지, 어떤 단어는

나올 수 없는지 등을 알 수 있음.

- N-gram : N-개의 연속된 단어. 단어들의 선,

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나 조합이 너무 많아

N을 크게 하기 어려움.

- Noun phrases(명사구) : 단어만으로 분석하는

것보다 가능한 구(Phrases) 단위로 분석하면

더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예 : “검정 차”,

“내가 출근하는 지역” 등)

- Token(토큰) :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기호, 단

어, 구 등). 텍스트 분석의 최소 단위

- Stop-words removal(불용어 제거) : 분석이 불

필요한 토큰을 제거함.(영어를 예로 들면 the, a,

is, am, it 등과 같이 문서의 취지와 무관하게 자

주 사용되는 단어들). 그러나 “To be or not to

be” 와 같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음.

- Stemming(어근 분석) : 기본 단어에서 파생된

단어는 기본 단어로 대체함.(영어를 예로 들면

making, makes, made→make, 동의어 압축 등)

- Term-Document matrix(TDM, 단어-문서 행

렬) : 문서별로 사용된 단어의 빈도를 행렬 형태

로 표시한 것

- Bag of words(단어 집합) : 여러 문서에 등장하

는 단어들을 모아 놓은 집합체

- Term frequency(TF, 단어빈도수) : 어떤 문서

에 등장하는 단어의 빈도수. TF가 높으면 이 문

서에서 이 단어는 중요하다고 판단함

- Document frequency(DF, 문서출현수) : 어떤

단어가 얼마나 많은 문서에 등장하는지에 대한

지수. DF가 높을수록 범용적인 단어이므로 중

요도가 낮음

- Inverse document frequency(IDF) : DF의 역

수. IDF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음

- TF-IDF : TF와 IDF의 곱. 단어의 중요도를 나

타내는 척도로서 텍스트 분석에서는 해당 문헌

또는 텍스트에서 단어의 중요도 지수로 사용됨

- Similarity Measure(문서의 유사도) : 문서 간

의 유사도를 평가함. TDM 공간에서는 주로

TF-IDF 간의 코사인 거리를 측정하여 이용하

며 이때 이용되는 공간을 벡터공간모델(Vector

Space Model)이라고 부름

상기에 소개된 용어를 기초로 가장 기초적인 텍스

트 데이터 분석과정의 예를 소개하면 다음 그림 8

과 같다. 이는 주요 포털의 검색에서 검색대상의

상단에 올라오는 문서를 분류하거나 워드클라우

드 작성시 중요도에 따라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에

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TF-IDF 척도

를 이용한 문서 검색 순위 결정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것이다.

위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그림 7. 텍스트 데이터 분석의 과정

2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림에 표시된 검색문으로 세 개의 문서를 검색할

때 검색문과 가장 유사한 문서가 상위에 검색되도

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검색문과의 유사도

는 TF-IDF 간의 코사인 거리를 이용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통상적으로 두 벡터의 내적이

클수록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이 분석에서

문서 #2가 가장 상위에 랭크되고 이어서 #3, #1이

라는 결과가 나왔다. 문서 #2 의 경우 “silver”가 2

개, “truck”이 1개로 검색문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

게 얻어졌다.

한편, TF-IDF는 정보검색, 인덱싱, 유사도 계산

에 유용하지만 문서와 단어 개수가 많아지면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최신 트랜드를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최신 트랜

드를 반영한 문서의 범위를 정하는 것도 어렵고,

신조어가 있는 신기술 문서인 경우 특정 단어가

포함된 문서가 많아 오히려 중요도가 낮아지는 현

상이 발생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요자들

의 관심이 많은 트랜드 분석을 위해서는 특정 키

워드가 연도별로 얼마나 중요한지 가중치를 부여

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

를 TF-DI(Term frequency–Data index)라고 부

르기도 한다.

4. 맺음말

지금까지 최근에 수행하였던 프로젝트에서 얻었

던 경험을 기초로 빅데이터와 관련된 시스템의 변

화와 고려해야 할 주요 개념들에 대해 설명하였

다. 아쉬운 점은 참여하고 있던 과제들이 대부분

보안을 높게 요구하고 실제 과제명을 밝히기를 원

하지 않거나 결과 등이 언급되기를 원치 않는 경

우가 대부분이어서 보다 구체적인 내용과 숫자들

을 기초로 설명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방재 및

안전분야에 실제 적용하면서 높은 성과를 얻었던

시스템의 결과 역시 발주기관의 반대로 원고를 작

성한 이후에 폐기하여 전혀 소개하지 못한 점 역

시 아쉽게 생각된다. 다만 이는 반대로 이야기하

면 간접적으로 언급한 프로젝트들이 그만큼 회사

의 사운을 걸고 진행하는 비밀 프로젝트에 해당하

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으며 빅데이터에 기초

한 시스템 구축이 향후 10년 이상의 변화를 주도

할 것이라는 실체적 존재로 등장하였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소개한 작은 경험이 빅데이터 시스

템 구축을 도모하려는 여러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

었기를 기대한다.

그림 8. TF-IDF 척도를 이용한 문서 검색 순위 결정

03

2017.03 Vol.17 No.2

special issues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1. 서론

점차 입체화, 고밀화, 복합화 되어가는 도시환경의 변화와 함께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증대, 재난유형의 다양화, 재난영향의 대규모화로 인하여 전통적인

도시방재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발생을 조

기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스마트 도시방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최근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도시방재 연구 및 보

고서와 함께 관련 법, 제도 및 정책이 다양한 분야에서 마련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 도시방재와 빅데이터 관련 연구 및 정책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김 태 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email protected]

그림 1. 도시 및 재난환경의 변화

3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2. 스마트 도시방재 관련 연구

스마트 도시방재 관련 연구로 국립방재연구소

(2008)에서는 ‘스마트’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기 이

전 ‘유비쿼터스’ 또는 ‘u-City’와 연계하여 ‘u-방

재City’ 서비스 개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u-방재City 서비스를 “도시 인프라

와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재해재난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재해·재난의 사전

예방과 상황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라 정의하고 도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재난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u-방

재City 서비스들을 개념화하여 모니터링서비스,

예·경보서비스, 상황관리서비스 등 총 71개 서비

스 표준을 개발하였다.

이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및 스마트 도시

관리에 관한 주제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

다. 이들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 분석을 바탕

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및 스마트 도시

관리, 자연재해 저감, 재난·안전 분야 ICT융합,

소셜 빅 보드(Social Big Board) 및 스마트 빅 보

드(Smart Big Board) 개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의 스마트 재난관리, 수질오염 재난방재, 사회재

난(전염병) 대응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표 1).

3. 스마트 도시방재 관련 정책

국민안전처는 최근 「빅데이터 활용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다음 표와 같이 재난예방 및 대응, 재난

안전 관련 정책 수립 지원, 빅데이터 활용기반 구

축 등과 관련된 12개 신규 과제를 제안하였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제27조를 근거로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분석 및 활용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고 기

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등 도시방재정책을 스마

트 신도시, 에너지 신산업, 친환경 물산업, 스마

트 교통, ICT 솔루션 등 5개 세부모델로 구성된

K-Smart City 모델에 접목하여 해외에 수출하는

그림 2. u-방재City 서비스 개념도(국립방재연구소, 2008)

2017.03 Vol.17 No.2

방안을 모색 중이다.

한편 기존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을 「스마트도시의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

률」로 개정하는 일부개정법률안이 2017년 3월 2일

국회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 안에는 신도시 건설

뿐 만 아니라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도시현안

이 많은 기성시가지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사

업 시행자도 확대 적용, 정보시스템의 연계·통합

촉진을 위한 근거가 신설되었다.

기상청은 예보 데이터(초단기, 단기(동네), 중기),

특보 데이터, 관측 데이터(AWS, ASOS, 황사, 해

양), 기상지수 데이터, 수치모델 데이터 등 기상청

에서 보유한 기상기후 빅데이터와 타분야 데이터

를 융합 분석 할 수 있는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전면 개방하여 민간에서 사업화 모델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날씨와 방재 융

표 1.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도시방재 관련 연구

저자 년도 제목

한국행정연구원 2013 빅데이터와 재난관리

이원규 2013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스마트 도시관리

한우석 2014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동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재난·안전 분야의 新ICT융합전략

신동희, 김용문 2015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김윤호 2015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빅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이원규 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관리 전략

이상윤, 윤홍주 2016스마트생태도시와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연구-부산 에코델타시티 수질오염 재난방

재 측면에서-

강희조 2016 빅 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전략

최선화 외 2016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역량강화

정영철 외 2016 사회안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재난대응 정책

표 2. 빅데이터 활용 종합계획 신규 과제(국민안전처, 2016)

분류 과제

1. 재난예방 및 대응

주간 안전사고 예보 고도화

모바일 공간정보 활용 재난피해자 밀집도 파악

해상범죄 발생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선제적 대응

빅데이터 활용, 화재위험도 예측 시스템 구축

2. 정책지원

생활안전 민원 자료 분석

119 구조활동분석

학교폭력 위험지수 개발

지역안전지수 분석(자살분야)

3. 활용기반구축

빅데이터 분석·활용 전문인력 양성

재난발생시 개인정보 활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

빅데이터 활용 단계별 관리체계 구축

재난 빅데이터 분석 장비구축

3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합시범서비스’에서는 과거 호우피해이력, 지형, 배

수처리 등 지역특성자료, 지역별 기상자료를 활용

하여 호우피해발생 패턴을 분석하고 전국 시군구

별 호우피해 발생 가능성과 호우침수위험도를 예

측하는 서비스를 개발하여 방재기관 담당자에게

지역 맞춤형 호우피해 위험 예측서비스와 호우피

해 이력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4. 맺음말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

도시방재와 빅데이터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

고 관련 정책 및 법·제도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

고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 위험요인을 사전에 감

지하고 모니터링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

응할 수 있는 지능형 스마트 도시방재 실현을 위

해서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등

온·오프라인 정보통신 기술 간 연계 뿐 만 아니

라 도시, 환경, 방재 등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

들을 연계·활용한 공간계획도 중요하다. 또한 지

중·지하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공간분

석 및 관리기술과 연계하여 시설물 모니터링을 통

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험목록(risk register)을 도출하여 도시방재계획

수립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스마트한 도시방재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

서 추진되고 있는 빅데이터 활용 연구와 정책들

간의 연결을 통해 서로 시너지효과를 내어 보다

안전한 사회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1.강희조(2016) 빅 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마

트 재난안전관리 전략. Proceedings of KIIT Summer

Conference, 85-87.

2.국립방재연구소(2008) u-방재City 서비스 표준 개발.

3.국립재난안전연구원(2016) Risk Register 기반의 다차원

공간분석 및 관리기술.

4.국민안전처(2016.04.20.) (보도자료) 스마트한 재난안전

관리, 빅데이터로 시작한다! - 국민안전처, 「빅데이터

활용 종합계획」 수립 -

5.국토교통부(2016) 홍수재해 등 기후변화에 대응한 개도국

도시복원력 제고방안 및 도시정책 해외 전파방안 연구

6.기상청.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플랫폼. http://bd.kma.

go.kr [2017.3.20.접속]

7.김윤호(2015)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빅 데이터를 활용

한 재난관리. Proceedings of KIIT Summer Conference,

287-289.

8.김태현(2015) 기후변화 적응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 환

경, 방재 간 공간정보 연계·활용방안. 환경정책연구,

14(1), 85-112.

9.김태현(2014.11.21.) 환경재난 안전 대비를 위한 취약계층

정보제공. 제3차 환경재난과 안전 포럼 발표자료.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신동희, 김용문(2015)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77-392.

11.이원규(2013)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스마트 도

시관리. BDI 정책포커스, 190, 1-12.

12.이원규(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관리 전략. 부산

발전포럼, 153, 96-97.

13.전자신문(2017.03.03.) 스마트시티 확산 법적 기틀 마

련됐다…스마트도시법 국회 통과

14.정영철, 최익수, 배용근(2016) 사회안전을 위한 빅데이

터 활용의 재난대응 정책.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4), 683-690.

15.최선화, 박영진, 심재현(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관리 역량강화. 대한토목학회지, 63(7), 21-28.

16.한국정보화진흥원(2014) 재난·안전 분야의 新ICT융합

전략. 정보화 정책연구 보고서.

17.한국행정연구원(2013) 빅데이터와 재난관리, Issue

Paper, 통권 2013-05.

18.한우석(2014)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동

향. 국토, 61-66.

04

2017.03 Vol.17 No.2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1. ‘대기확산테러’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대기확산테러’란 인명 혹은 기타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대기 중에 퍼

뜨리는 테러를 의미하는 용어로 이하 사용하고자 한다. 대기확산테러는 다양

한 물질을 통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다. 대기를 통해서 널리 퍼져

나갈 수 있으면서 독성이 충분히 강하여 넓은 지역으로 확산된 이후의 낮은

농도 노출만으로도 인명살상 등의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물질

이 대기확산테러에 사용될 수가 있다.

구체적 사례로는 유독가스, 독성이 강한 병원체, 방사능물질 등이 대기확산

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물질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북한으로부터의 위

협이 상존하기 때문에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생방 작용제나 핵물질(핵

폭탄)에 의한 대기확산테러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테러가 의도적이

라면 사고에 의해서도 유사한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 산업에 이용되는 유해

물질이나 방사능물질은 사고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어 큰 피해를 야기할 수

도 있는데 이러한 화학사고나 원전사고로 인한 물리적 피해 메카니즘은 대기

확산테러와 동일하다.

20세기 최대의 산업재해라고 할 수 있는 인도 보팔 누출사고는 가스누출 당

시에만 3787명이 사망하였으며 이후 가스누출로 후유증을 얻은 사람들이 사

망하여 1만 6천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 최근 일

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사례를 감안해보면 대기확산테러 메가니즘은 그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김 석 철

㈜볼트시뮬레이션

대표이사

[email protected]

3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발생위치에 따라 가히 국가적 재난수준의 피해까

지도 야기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너무나 큰

위험이 너무나 긴 시간 동안 있어온 탓에 무감각

해져 버렸으나 대기확산테러와 관련하여 현재의

대한민국의 상황은 평온히 바라보기에는 발생 가

능한 피해규모가 너무나 크다.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은 ‘대기확산테러’가 발

생하였을 때에 적절한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사용

되는 시스템이다. 예컨대 ‘화학테러’의 피해를 최

소화할 수 있는 시간대별 대피경로를 ‘화학테러 대

응시스템’이 제시해준다. 더티 밤(dirty bomb)이

라고 불리는 방사능 테러에 의한 피해범위는 ‘방사

능테러 대응시스템’을 통해서 분석한다. 대기확산

테러 대응시스템은 최적의 대응방안을 판단하기

위한 일종의 의사결정 시스템이다.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에는 대기를 통해서 전파되는 위험의

시공간적 범위와 위험정도를 예측하는 기능이 필

수적으로 포함된다.

2. 소량의 입력 데이터에 기반한 전통적인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전통적인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은 1) 대기확산

프로세스 모사, 2) 위험지역형성 식별, 3) 피해발

생수준 평가의 순서대로 동작하는 일련의 모델링

기능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난해한 과정은 1)번인데 2)번의 과정은 여기에 종

속된다. 대기확산 프로세스 모사는 위험물질이 기

류의 흐름을 따라 움직이는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

인데 이를 위해서 대기확산모델이 사용된다. 대기

확산모델의 종류는 대단히 다양하지만 핵심적인

원리는 그림 1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림 1은 대기확산모델의 일종인 라그랑지안 입

자 모델(Lagrangian particle model)을 사용하여

한 지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된 물질이 기류

를 따라 퍼지는 양상을 모델링한 사례이다. 라그

랑지안 입자모델에서 방출물질은 점 질량(point

particle mass)의 집합체로 간주된다. 그림 1의 경

우에서는 지면으로부터 hs 높이에서 점 질량이 지

속적으로 방출되는데 외기로 나온 점 질량은 기류

에 휩쓸려서 풍하 공간으로 흩어진다. 이때 점 질

량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은 공기의 움직

임, 곧 기류의 방향과 세기이다. 라그랑지안 입자

모델은 기류의 방향과 세기를 토대로 모든 점 질

량의 움직임을 개별적으로 추적한다. 그림 1에서

빨간색 점은 방출된 모든 점 질량의 위치를 표시

한 것이다. 만약 높이 hs인 굴뚝에서 연기가 배출

되는 상황을 모델링한 것이라면 그림 1은 연기모

그림 1. 라그랑지안 입자모델: 기류를 따라 퍼지는 유독물질의 분포를 모델링한 형상으로, 그림에서 빨간 점은 유독물질의 위치

를 표시하는 계산입자임. x축은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이며 z축은 연직방향이고 hs 누출지점의 연직높이임. 유독물질의 실제 운동을 정교하게 흉내낼 수 있도록 수학적 모델을 통해 계산입자의 움직임이 구현됨

2017.03 Vol.17 No.2

양의 스냅 샷에 해당한다. 대기확산모델은 기류

정보를 토대로 대기 중으로 배출된 물질이 어떻게

퍼져나가는 지를 계산하여 시간과 공간의 함수로

배출물질의 농도분포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대기확산모델은 물질 확산이 이루어지

는 3차원 공간에서의 기류정보를 입력 값으로 사

용해야 하는데 대기확산테러가 발생하는 공간에

대해서 정확한 기류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현재

의 기술로는 불가능할 뿐 아니라 앞으로도 요원하

다. 정확한 기류정보라 함은 다름 아닌 공기의 움

직임을 완벽하게 묘사한다는 것인데 알려진 이론

에 의하면 대기확산에 기여하는 공기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델링 대상공간을 수 밀리미

터 혹은 이하 크기의 공기덩어리로 구획하여야 한

다. 확산공간의 크기가 각 방향으로 1km라고 할

때에 해당공간에서 발생하는 물질 확산을 정확하

게 추적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산술을 거쳐 공기덩

어리 개략 1018개의 움직임을 추적해야 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테러확산공간의 범위가 수 십 킬로

미터까지 도달할 수도 있고 원전누출사로로 인한

확산범위는 대륙규모까지 증대되어야 함을 감안

하면 이러한 규모의 데이터는 현재의 컴퓨터와 연

산능력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다. 한마디로 대기

확산 프로세스는 그 물리적인 본질만 보자면 매우

큰 데이터 문제(다른 의미로의 빅데이터 문제)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는 대기확산모델

은 소량의 입력정보만으로 동작하도록 만들어

져 있는데, 이는 과거의 연구자들이 물리적 이론

과 통계적인 기법 그리고 실험에 의거한 경험 등

을 활용하여 복잡하기 그지없는 대기확산 프로세

스 문제를 단순화 시키는데 성공하였기 때문이다.

대기확산모델이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는 크

게 두 번의 발전시기를 거쳤는데 첫 번째는 지상

핵실험이 다량으로 수행되던 시기이고 두 번째는

미국의 대기정화법(clean air act)이 발효되어 시

그림 2. 핵화생방 위험예측 시스템 (NBC-RAMS 2.0): 가상적인 핵폭발에 따른 낙진위험분포를 예측한 결과로 항공사진을 배경으로 위험범위를 표시된 것임. 적색영역은 피해정도가 매우 높은 위치이며, 녹색, 청색의 순서대로 위험수준이 낮아짐

3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행되던 시기이다. 지표면에서의 핵실험은 광범위

한 낙진현상을 유발하고 산업시설에서 배출된 오

염물질은 주변 공기를 오염시킨다. 대기확산모델

은 이러한 현상들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인데 특히 컴퓨터가 미비하던 초창기의

대기확산모델은 소량의 입력정보만으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고안될 수밖에 없었다. 그림 2와 그

림 3은 전통적인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NBC-

RAMS 2.0)에 의한 예측사례인데 각각 핵폭발 및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능 낙진위험분포도를 나타

낸 것이다.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은 내장된 대

기확산모델을 사용하여 방사능 물질의 이동과정

을 모델링하고 이 결과를 근거로 위험지역을 식별

하여 제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류 입력정보는

몇 개 위치에서의 기상관측정보가 전부이다.

3. 전망: 빅데이터에 기반한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대기확산테러의 피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위험형

성지역에 포함된 인구정보가 확보되어야 한다. 대

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을 통한 산출되는 예상피해

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의사결정이 내려지게 된다.

예컨대 그림 2나 그림 3에서 고 위험도 수준에 해

당하는 적색영역 내부에 많은 사람이 포함되어 있

다면 예상되는 피해정도는 매우 클 것이고, 해당공

간으로부터 많은 사람들을 최대한 신속하게 대피

시킬 수 있도록 극단의 효율적인 조치가 취해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에는 인구분포가 DB로 포함되어 있어 이를 참조해

서 피해규모를 예측한다. 문제는 DB화된 인구정보

가 대기확산테러가 발생하는 시점의 실제 인구분

포와는 상당히 다를 수가 있다는 점이다. 수년 주

기로 시행되는 동단위의 인구센서스 자료를 기반

으로 인구 DB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인공위성 사

진을 토대로 식별되는 토지이용형태의 함수로 해

당구역의 인구를 거칠게 추정하는 방식이 사용되

그림 3. 원전 누출사고로 인한 방사능낙진 분포 예측: 부산 해운대에서 고리원자력 발전소 방향을 조망한 결과로, 가상적인 원전사고 발생 이후 70분 경과한 시점에 대한 방사능낙진 분포를 예측한 결과임.

파란색, 하늘색, 연두색, 노란색, 적색의 순서대로 단위면적당 방사선량이 높아짐

2017.03 Vol.17 No.2

기 때문이다. 만약 위험에 노출되는 인구정보가 매

우 부정확하다면 위험형성지역의 예측정확도와 상

관없이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의 예측은 의사결

정에 있어서 무의미할 수도 있다.

특정 시간에 특정 공간에 몇 명의 사람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매우 쉬운 문제이지

만 실제로 이를 구현하는 것은 최근까지도 대단

히 어려운 일이었다. 그 결과 지금까지의 연구가

위험형성지역을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

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는데, 앞으로의 대기확산

테러 대응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피해대상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

이다. 아울러 피해대상의 반응까지 시스템 예측정

보에 포함시키는 단계까지 발전될 것으로 생각된

다. 개인별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특정

공간 내에서 사람들의 이동형태와 심지어 연령분

포까지 추정하는 것이 현재 기술로서도 가능하다.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에 실시간 피해대상정보

(예컨대 인구분포)의 적용하는 과정에 기술적 장

벽은 이미 사라졌다. 아마도 빅데이터와 대기확산

테러 대응시스템이 가장 먼저 만나는 지점이 바로

여기일 것이다.

피해대상의 실시간 반응형태, 예컨대 화생테러 위

험지역이 공지된 경우에 위험형성지역과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의 반응과 실시간 도로교통량의 실

시간 변화와 반응패턴에 대한 예상까지 대기확산

테러 대응시스템의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시도될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까지 예상해

봄으로써 피해수준을 더 낮출 여지를 만들 수 있

기 때문이다. 피해대상의 반응을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에 포함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빅데이

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이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 위험형성지역을 예측하

는 방법론 자체를 빅데이터에 기반한 인공지능으

로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연구 또한 광범위하게 시

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어쩌면 IOT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되는 위험형성정보 빅데이

터를 활용하는, 이른 바 데이터에 의한 의사결정

(data-driven decision making)이 이루어지는 위

험형성지역 예측모델링의 패러다임 전환이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도래될 수도 있다.

05

3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머리말

지난 2011년 7월 26일, 오전부터 내리던 비는 결국 16시 50분부터 호우주의

보를 발효시켰으며, 이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비롯한 주요기관이 비상

근무에 들어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산간계곡 등 야영객 사전대

피 및 절개지·산사태 위험지구 등 순찰강화를 지시하였으며 저지대 주택,

상가 침수예방을 위한 양수기, 모래주머니를 현장에 배치하기 위한 지식 및

지원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난 호우로 인한 산사태·급경사지 등 피해지역

재피해 예방을 조치하였으며, 예·경보시설 및 Hot-line 가동 확인 등의 주

요 조치사항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7월 27일 08시 50분쯤 우면산에서 토사가

쏟아져 내려 남부순환도로변에 위치한 삼성래미안APT가 3층까지 피해를 입

어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임광아파트에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

다. 또한 형촌마을 60가구 가운데 우면산 자락 쪽 30가구가 고립되었으며, 1

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되었다. 형촌마을은 우면산 내 크고 작은 계곡 10개

가 합쳐지는 곳과 가까워 산사태와 물 피해까지 겹쳤다. 경찰과 소방은 토사

로 차량을 통한 현장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인데다 인근 우면산 생태공원 안

에 있는 저수지가 범람하여 구조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산사태로 우

면산터널과 요금소 사이의 도로 50m가 흙으로 뒤덮였으며 경찰은 토사를 치

우기 위해 차량 진입을 통제하여 주변지역까지 극심한 교통정체가 빚어졌다.

우면산의 다른 쪽 끝에 있는 방배동 남태령 전원마을에도 토사가 덮쳐 20가

구 가량이 토사에 묻히면서 피해가 발생하였다. 결국 우면산 산사태로 인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김 원 현

노아에스앤씨

연구사업본부/부장

[email protected]

양 동 민

노아에스앤씨

대표

[email protected]

2017.03 Vol.17 No.2

총 16명의 사망자와 3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주택, 상가 침수, 파손 등으로 172억원의 재산피

해가 발생하였다.

서울시에서 발생한 사상 초유의 도심지 토사재해

인 우면산 산사태는 우리에게 많은 교휸과 반성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대개의 전문가들은 상

상이상의 폭우를 인정하면서도 정부의 대응부족

과 경험부족을 지적했다. 하지만 이렇듯 커다란

피해 속에서도 서울 서초경찰서 박제영 경사의 경

험적 선택이 2차 피해를 막은 사례가 있어 소개하

고자 한다.

당시 예술의전당에서 사당역에 이르는 남부순환

로 구간은 산에서 쓸려 내려온 나무와 토사들로

뒤덮여 아수라장이 됐다. 이날 오전 6시쯤, 예술

의전당 인근 도로를 순찰하던 중 산에서 물이 빠

르게 흘러내리는 것을 목격했다. 어느 순간부터

물과 토사가 뒤섞여 쏟아져 내리기 시작하자 박

경사는 긴급하게 상부에 보고했고 “침수된 하위

차로를 일단 차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교통 통

제를 위한 지원 병력이 박 경사가 담당하던 우면

삼거리로 출발했다. 그러나 그들이 도착하기 전

박 경사는 “전면 통제가 불가피하다. 혼자 먼저 통

제선을 설치하겠다”고 보고한 뒤 오전 7시 26분

우면삼거리에서 예술의전당 앞 삼거리까지 800m

구간에 해당하는 남부순환로의 차량 진입을 차단

했다. 박 경사가 대담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것

은 경험으로부터 온 ‘직감’ 때문이었다. 교통 경찰

로 10년 이상 일해 온 박 경사는 2001년 폭우 때

동부간선도로에서 차량 200여 대가 침수되는 것

을 목격했다. 침수가 시작된 도로로 들어간 차량

이 빠져나오기 어렵다는 교훈을 되살려 아예 차량

을 못 들어가게 하는 게 최선이라고 판단했던 것

이다. 박 경사는 홀로 라바콘(삼각뿔 모양의 교통

통제 시설)을 도로에 세우며 차량 진입을 막은 지

40여 분 만에 산사태로 인한 토사가 남부순환로를

덮쳤다. 2010년 서초구 교통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평소 이 구간 출근시간대 교통량은 15분 단위로

640여 대다. 하마터면 대량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도 있었던 셈이다.

그림 1. 현장경험에 따른 재난대응 순기능 사례

4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2. 문제제기

앞선 박경장의 사례를 보면 재난대응을 하는데 있

어 담당자의 경험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 우리나라 전체 재난관련 담당자의

현실은 어떨까?

인사혁신처에서 2015년 3월 공무원의 필수 보직

기간은 2년으로 정해두고 최대한 공무원의 업무역

량을 키우기 위해 순환보직을 실시해왔다. 그 결

과 국가공무원 4급 이하 평균재직기간은 1년 8개

월로서 2년을 채 못 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잦

은 인사이동과 순환보직에 따라 담당자들은 전문

성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란 얘기

다. 필자가 현장에서 담당자들에게 들었던 의견사

항도 대동소이 하다. 대부분은 갑작스럽게 새로운

보직을 맡게 되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특히 과

거 담당자들의 노하우를 얻을 수 있도록 통계 데

이터 등의 일목요연한 전산화와 새롭게 얻어지는

데이터들 간의 융합을 통해서 신속하고, 정확하

면서도 경험 및 노하우가 축적된 정보를 얻고 싶

다는 의견을 많이 들어왔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런 정보를 어떻게 얻고,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을

까?

우선 우리는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프로세스의 이

해가 필요하다. 재난대응 프로세스는 위기경보수

준인 관심-주의-경계-심각 단계에 따라 상황접

수, 보고 및 전파, 대응조치, 후속조치로 나뉜다.

그리고 각 위기경보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상황판

단회의를 실시한다. 결국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토대로 상황판단회의에서 위기경보수준을

격상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각 일련의 과정별 의사결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

겨져야 할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담당자의

경험이다. 현재까지 재난상황관리 담당자는 기존

의 거대 시스템인 NDMS에 의지하여 유사 재난

이 발생했을 경우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재해상황

분석판단시스템 같은 전문 시스템을 활용하여 대

응체계를 구축해 왔다. 하지만 재난 발생 시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정확한 정보와 신속한

판단이다. 특히 정확한 정보가 우선되어야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정보는 단순히 재해

발생지역에서 얻어지는 모니터링 정보에서 머무

르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 정보의 정확성을

꾀하기 위해 우리는 몇 해 전부터 유행되어온 빅

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기존의 정형화

된 데이터 이외에 SNS에서 얻어지는 추가적인 비

그림 2. 위기경보수준별 재난상황관리 프로세스(예시 : 태풍 차바)

2017.03 Vol.17 No.2

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구체화

하고 객관화 시키는데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역할은 현재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대응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비정형데이터

의 경우 신뢰성을 담보하기가 쉽지 않았고, 필요

정보는 이미 담당자가 확보한 경우도 있었다. 또

한 재난상황관리는 그 목적 자체가 전문성을 요구

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있

어 전용 데이터 운용 및 선별적인 재난관리를 하

는데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3. 대처계획

앞선 문제들을 해결하고 궁극적인 상황관리 업무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지난 2년간의 기획연구를 통해 빅데이터의 활용성

을 높이고 경험기반의 재난상황관리기술을 꾀하

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재난상황관리기

술 개발 마스터플랜 수립 기획연구, 국립재난안전

연구원 2016 참조). 경험기반의 재난상황관리기술

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정보를 구축하고, 업무 지원을 할 수 있는 체

계 개선이 시급하며, 특히 In-put 데이터를 어떻

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은 재난관리코드체계였

다.

사실 우리는 단순한 택배 업무에서 사용되는 송장

번호부터 법원에서 관리하는 사건번호, 병원이나

보험사에서 관리하는 보험번호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현재 재난관련 데이터는 재난 유형별로 구

축하고 있어, 재난 자체를 관리하는 번호체계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재난 자체를

세분화해서 관리하고, 해당 재난에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피해정보, 백서, 회의록, 현장조사보고서

등)를 코드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면, 기존에 얻어

지던 단순한 유형별 데이터에서 진일보하여 1차적

인 경험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재난관리코

드체계의 원리이다.

재난관리코드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정보는 정형화된 빅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는 데이터 자체의

관점에서 얻어지는 정보보다는 데이터를 수집하

고,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빅데이터의 분석방법

론이 필요하다. 빅데이터와 융합한 재난관리코드

체계가 구축이 되면, 우리는 재난상황에 대한 최

적화된 정보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게 된

다. 즉,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상황에서

최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재난발생지역이 어

디인지, 그리고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를 선별

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재난발생

정보의 우선제공권을 부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보다 신속하고 유기적인 재난대응을 꾀할 수 있는

체계로의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체계

가 원활히 운용되게 되면, 우리는 궁극적으로 앞

서 제기된 경험기반의 재난상황관리를 꾀할 수 있

게 된다.

4. 후속대응

국외의 경우에는 재난상황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 공무원이 동일한 업무를 오랫동안 수행하면

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이 높은 편이

다. 프랑스의 경우 대체로 보직이동의 기회가 많

지 않고 동일 분야에서의 장기근속으로 인해 공무

원들의 전문성이 높은 편이다. 특히, 전문성 측면

에서 민간분야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

고 있다(한국인사행정학회, 2013). 미국은 직위분

류제도에 따라 각 직렬단위로 경력관리가 이루어

져 직렬 간 이동이 쉽지 않으며 재임기간이 길다.

미국을 비롯한 프랑스, 독일 등 국외에서는 대부

4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pecial issues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분 계급제가 아닌 직위분류제적 요소를 늘려가는

추세로, 재난관리담당자의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높다.

재난담당자가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

추어 재난상황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국외에 비해

우리는 사람이 매뉴얼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제도적 한계를 분명히 갖고 있다. 물론 국외의 경

우도 담당자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부재중일 때는

결국 동일한 위험부담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

다. 따라서 재난상황관리 업무 경험을 시스템화하

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 특히 앞서 제시한 재난경

험관리체계 기술 개발은 분명히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지난 2015년 기

획과제를 통해 경험기반의 재난상황관리기술을

“재난경험관리체계(EDMC : Experience based

Disaster Management Center)라 명명하고, 향후

2024년까지 구축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결국 재

난상황관리 담당자의 경험을 전산화하기 위해 빅

데이터와 재난관리코드체계를 활용하여 학습정보

를 구축하고,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형 대응체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재난정보의 추적 및 관리, 재난상황관리 담당자의

업무효율성 향상에 따른 골든타임 확보, 효율적

자원(인력, 장비 등) 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술의 진보는 이제 필연적이다. 지속적으로 발전

하고 있는 빅데이터 기술은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표 1. 국외 공무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직관리사례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 직위분류제도에 따른 긴 재

임기간

- 각 직렬단위로 경력 관리가

이루어지며, 직렬간 이동이

쉽지 않음

- 인력의 보직은 기관 차원에

서 이루어져 매우 분권화

되어 있으며, 이동이 활발

하지 않음

- 직무를 기준으로 구성된 공

무원단 이라는 공직 구조로

인하여 보직이동이 적음

- 동일분야 장기근속으로 인

해 공무원의 전문성이 높음

- 직급과 직위의 분리 원칙에

따라 보직 이동의 동기가

약화 되고 장기 재직을 통

한 전문성 축적 장려

- 공무원직업학교나 공무원

대학을 통한 공무원 양성

- 공무원 이동을 조장 하는

특별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음

- 동경도 행정전문직 제도 운

- 일반 행정 분야에도 관리직

상당의 전문직 설치

- 행정전문직 선발기준으로

전문지식과 경험의 비중이

그림 3. 국내·외 재난상황관리 비교

2017.03 Vol.17 No.2

난공불락으로 여겨지던 바둑에서조차 사람일 이

기는 파란을 이뤄내고 있다. 재난상황관리에 있어

서도 작금의 새로운 기술적 패러다임은 기후변화

에 따라 더욱 가속화될 재난 발생에 대해서도 예

외는 아니다. 재난을 관리하고 대응하고, 또 예측

하는데 있어 빅데이터와 결합한 경험기반의 재난

상황관리 기술인 재난경험관리체계가 앞으로 피

해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재난상황관리 업무 담

당자의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술로서 자리

매김 하길 기대한다.

4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4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1. 서론 및 배경

한국사회는 산업화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전되면서, 이러한 발전에 따른

잠재된 각종 위험의 표출로 삼풍백화점 붕괴(1995년),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2003) 및 세월호침몰사고(2014) 등 대규모화된 재난 사고의 문제점을 계속

드러내고 있다. 이중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 사고와 같은 화학사고의 발생도

국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당면한 과제가 되었고, 김정남 피살에 사용되

었다고 추정되는 VX를 이용한 화학물질 테러도 향후 화학사고나 테러 대응

의 패러다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 되었다. 결국 21세기에 들어 과거의

재난, 사고 등의 개념을 바뀌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화학물질 사고가 주목받

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당면한 과제가 되었다.

아직 이에 대한 재난대응체계도 미흡함이 있으며, 결국 인명의 손실 및 신

체적 손상을 야기시키는 보건의료적인 문제에 귀결될 수 없는 상황임에도 이

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및 방재 시스템에 대한 연구에서는 물리적인 환경이나 각각의 요소에서

만 피해의 관계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시스템과 인간의 행복에

대한 중요성을 모색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 테러나 사고에 대한 국내의 대응이 전문가나 안보의 문제라고 생각해

그 대응방식을 공공연히 논의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다양한 관련종사자와

국민들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는 잘못된 접근임을 인정하고 선진국에

서도 유사 시 정보 제공과 공유를 하려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화학

사고 시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외 자원, 특히 온라인 상에서 신속히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조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의의있는 일이라고 사료되며, 실

왕 순 주

한림대학교

응급의학교실 교수

[email protected]

4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제 활용 가능한 온라인 위주의 자원들을 조사, 정

리하였다.

2. 국내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자원

가.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분산된 화학물질 정보를 통합하여 일반국민에게

일원화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화학물질의 규제

정보, 일반정보, 관리번호, 물리화학적 특성, 환경

거동, 인체건강독성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운영기관: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 주소: http://ncis.nier.go.kr/

나. ICSC(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s)

작업장에서의 안전한 화학물질 사용을 위해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와 ILO(International

Labour Office)에서 제작된 카드로, 급성건강영향,

GHS 구분정보, 응급조치방법 등의 필수적인 안전

과 보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Sheet이다.

•관리운영기관: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 주소: http://ncis.nier.go.kr/

다. GHS MSDS 시스템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성·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그림 1.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그림 2. 화학물질정보시스템 홈페이지 그림 3. 화학물질정보 통합 제공 홈페이지

4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화재 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물리화학적 특성 등의 화학물질과 제품

에 관한 정보를 MSDS 형식으로 제공한다.

•관리운영기관: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주소: http://msds.kosha.or.kr/

라. 독성정보 시스템

식품·의약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에 대

한 독성정보를 일반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올바른

식품·의약품 사용을 유도하며, 국내 응급의료센

터에서 중독사고의 상담 및 치료 시 신속하게 대

처할 수 있도록 중독정보와 그에 연계되는 상품정

보를 제공하여 인명피해 및 경제손실을 절감하려

는 목적 하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물질정

보, 독성정보, 동력학 및 대사정보, 응급치료정보,

급성중독 시 임상양상, 만성중독 시 임상양상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운영기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 주소: http://www.nifds.go.kr/

마.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위험물 취급 관계자들이 가급적 정보를 쉽게 다

운받아 사용함으로써 위험물 안전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개설된 사이트로, 화학물질의 물리적특성,

유해위험성, 저장·취급 시 유의사항 등의 기본정

보와 GHS 구분 정보 및 유해물구, 그림문자, 표지,

예방/대응/폐기조치 문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4. 독성정보 DB 제공 홈페이지 그림 5. 국가위험물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4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관리운영기관: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주소: http://hazmat.mpss.kfi.or.kr/

바. 제품안전포털시스템

국내 소비자의 피해사례와 불만, 불평사례, 미

국, 일본, 유럽연합 등 국외에서 이행되는 리콜 정

보와 관련 제품안전정보를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기업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국내 및 국외의 리콜정보, 리콜종류와 사고사례의

원인과 장소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운영기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홈페이지 주소: http://www.safetykorea.kr/

사. 유해화학물질 분류, 표시 지원시스템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사고대

비물질에 eoi한 GHS 유해성 분류, UN번호, 예방조

치문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운영기관: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 주소: http://ncis.nier.go.kr/

아.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

사업장의 제조 또는 사용과정에서 환경으로 배

출되는 화학물질의 양을 사업자 스스로 파악토록

하는 목적 하에, 사업장에서 생산, 사용, 보관·저

장하는 화학물질 및 폐기물처리사업장에서 폐기하

는 폐기물의 대기/수계/토양배출량 및 폐수/폐기

물이동량, 자가매립량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6. 제품안전정보센터 홈페이지

그림 7. 유해화학물질 분류·표시 지원시스템 홈페이지

4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관리운영기관: 화학물질안전원

•홈페이지 주소: http://ncis.nier.go.kr/

자.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화학물질 사고의 대비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관리하고, 관련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및 국가

재난 및 사고대응기관에 신속한 초동대응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6,770종의 화학물질의 물질

기본정보, 물리화학적 특성 정보, 환경 거동정보,

사고 위험 정보, 응급의학정보, 독성정보 등을 제

공한다.

•관리운영기관: 화학물질안전원

•홈페이지 주소: http://kischem.nier.go.kr/

차. 화평법 IT 시스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 규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

로, 화평법 규제 및 RECS, UN, EC, HS, ICSC번호

등의 관리번호를 알 수 있으며, 독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원문 DB와 연계되어있다.

•관리운영기관: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 주소: https://kreachportal.me.go.kr/

그림 8.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그림 9.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

4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3. 국외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자원

가.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사람 및 실험동물에 있어 암 발생의 증거에 대한

분류평가를 표준화하기 위해 1977년에 만들어진 화

학물질을 분류하는 최초의 체계를 개발하였다.

•관리운영기관: World Health Organization

•홈페이지 주소: http://www.iarc.fr/

나. HSDB(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그림 11. IARC 홈페이지

그림 12. HSDB 홈페이지

그림 10.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 홈페이지

5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HSDB는 National Library of Medicine(NLM)과

TOXNET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독성 데이터파일

로 유해물질의 잠재적인 독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

다. 모든 데이터는 무료로 이용가능하며 전문서적,

정부문걸 그리고 신뢰성이 높은 저널에서 발췌된

후 독성전문가에 의해 재검토 과정을 거친 자료이

다. 잠재적 화학물질의 독성에 초점을 둔 독성 데

이터 파일 4,500여 종이 구축외어 있으며, 한 물질

당 119개의 독성정보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관리운영기관: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홈페이지 주소: https://toxnet.nlm.nih.gov/

다.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질병 통제 예방 센터)는 조지아 애틀랜타

근처에 본부가 있는 보건 복지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에 속한 미국 연방 기

관으로서 미국 및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상 및 장

애를 통제하고 예방함으로써 공중 보건 및 안전을

보호를 목표로 하는 기관이다. 특히 미국 시민 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전염병, 식중독 병원

체, 환경 보건, 산업 안전 보건, 건강 증진, 부상 예

방 및 교육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관련 정보

들을 제공하고 있다.

• 관리운영기관: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홈페이지 주소: https://www.cdc.gov/

라. NIOSH(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그림 13. CDC 홈페이지 그림 14. NIOSH 홈페이지

5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NIOSH(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소)는 미국 보

건 복지부의 질병 통제 및 예방 센터(CDC)의 일원

으로 업무 관련 상해 및 질병 예방을 위한 연구 및

권장 사항을 담당하는 미국 연방 기관이다. NIOSH

는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 조건을 보장하기 위해

산업 안전 보건 분야의 연구, 정보, 교육 및 훈련

을 제공하며,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는 근로자, 고용주 및 산업 보건 전문가

에게 작업장 화학 물질 및 그 위험성에 대해 알려

준다.

• 관리운영기관: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 홈페이지 주소: https://www.cdc.gov/niosh/

마. ATSDR(Th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있는 ATSDR(Th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의 독성

물질 검색 포탈(Toxic Substances Portal)은 시민들

에게 유해 화학물질의 건강 위험과 노출 방지 방

법에 관한 정보를 상시 제공한다.

이 포털사이트는 사용자 친화적으로 쉽게 유해

물질의 건강 손상 정보를 제공하며, 의학적으로 검

증된 건강정보를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

로 설명한다.

• 관리운영기관: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홈페이지 주소: https://www.atsdr.cdc.gov

바. CHEMM(Chemical Hazards Emergency

Medical Management)

그림 15. ATSDR 홈페이지 그림 16. CHEMM 홈페이지

5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CHEMM은 화학사고 발생 시 첫 번째 응답자, 첫

번째 수신자, 다른 의료 서비스 제공자 및 계획가

가 화학 물질과 관련된 대량 사고의 계획, 대응, 복

구 및 완화를 가능하게 한다.

• 관리운영기관: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홈페이지 주소: https://chemm.nlm.nih.gov/

사. WISER(Wireless Information System for

Emergency Responders)

WISER는 위험물 사고로 응급 구조 요원을 돕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WISER는 물질 식별 지

원, 신체적 특성, 인체 건강 정보, 차단, 억제 등을

포함하여 유해 물질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

한다.

• 관리운영기관: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홈페이지 주소: https://wiser.nlm.nih.gov/

아. CAMEO(Computer-Aided Management

of Emergency Operations)

CAMEO는 화학 비상 사태를 계획하고 대응하

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

이다. EPA(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와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이 개발하여 최전선의 화학 비상 계

획자와 대응자들을 돕기 위해 CAMEO는 비상 계

획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액세스, 저장 및 평가할

수 있다.

• 관리운영기관: United States Environmental

그림 17. WISER 홈페이지 그림 18. CAMEO 홈페이지

5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Protection Agency

•홈페이지 주소: https://www.epa.gov/cameo

자. CHEMTREC(Chemical Transportation

Emergency Center)

CHEMTREC은 위험 물질 및 위험물에 대

한 확실한 정보 자원 및 솔루션 제공 업체이다.

CHEMTREC은 위험 물질 및 위험물과 관련된 사

고에 대한 즉각적인 치명적인 대응 정보를 얻기

위해 24시간 자원으로 사용된다. CHEMTREC은 화

학 및 대응 전문가, 공공 응급 서비스 및 민간 계

약자를 포함한 세계 최대의 화학 및 유해 물질 전

문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관리운영기관: American Chemistry Council

•홈페이지 주소: https://www.chemtrec.com/

4. 결론

국내외에는 다양한 화학사고 시 활용할 수 있는

자원들이 있다. 특히 온라인 자원들이 많이 존재하

여 평소 이를 활용하는 연습만 한다면 유사 시 적

절한 화학사고에 대응과 물질 파악이 좀 더 용이

해질 수 있다. 단 국내에 현재 알려진 온라인 자원

들은 화학물질 검색 위주의 내용이나 국외에는 인

명피해와 이를 위한 다양한 수준의 대비, 대응에

대하여도 다양한 자원이 존재하므로 이를 국내의

유사 시 상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

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환경부의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개

발사업에서 지원받았습니다.

참고문헌

1. Lee KS, Kim HO, Lee HJ. A study on current state of

providing chemical information in Korea and how to

diversify the contents.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0.

2. Wexler P. TOXNET: an evolving web resource for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information.

Toxicology. 2001 Jan 12;157(1-2):3-10.

3. Bateman DN, Good AM, Laing WJ, Kelly CA.

TOXBASE: poisons information on the internet.

Emerg Med J. 2002 Jan;19(1):31-4.

4. Wexler P.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Information

Program. Toxicology. 2004 May 20;198(1-3):161-8.

그림 19. CHEMTREC 홈페이지

5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5. Bateman DN, Good AM. Five years of poisons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 UK experience of

TOXBASE. Emerg Med J. 2006 Aug;23(8):614-7.

6. So BH, Lee MJ, Kim H, Moon JM, Park KH, Sung

AJ, et al. 2008 Database of Korean Toxic Exposures:

A Preliminary Stud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0

Dec;8(2):51-60.

7. Oh BJ, Kim W, Cho GC, Kan HD, Shon YD, Lee JH,

et al. Research on poisoning data collection using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retrospective

preliminary surve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6;4:32-43.

8. Bronstein AC, Spyker DA, Cantilena LR Jr, Green

JL, Rumack BH, Dart RC. 2010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National Poison Data System (NPDS): 28th Annual

Report. Clin Toxicol (Phila). 2011 Dec;49(10):910-41.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년 회무분과위원회 사업계획

2017년 회무분과위원회구성 및 사업계획

5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TecHnologY issues 화학사고 대응 정보제공 현황의 고찰

1. 기획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상단 부경대학교 교수

간 사장수형 K-water 선임연구원

이지호 서울과기대 연구교수

김응석 선문대학교 교수

조경화 UNIST 교수

위 원 김대하 APCC 선임연구원

박창열 제주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최대규 SK건설 과장

■사업계획

(1) 방재 관련 토론회, 행사 기획 및 추진

(2) 학회 관련 대내·대외 대응 업무지원

(3) 학회장 대내·대외활동 지원

2. 학술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정중 경남대학교 교수

간 사이주하 수원대학교 교수

문지호 강원대학교 교수

위 원 김승준 대전대학교 교수

김지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류두열 한양대학교 교수

민경환 충남대학교 연구교수

신현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안재훈 부산대학교 교수

위 원 염광수 GS건설 차장

오정호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이승정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최현기 경남대학교 교수

한택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사업계획

(1) 학술발표대회 활성화 방안 수립

• 학술대회 참가 시 연간 회원 자격 부여

• 전문분과위원회의 특별세션 운영확대

• 개회식/폐회식 및 발표장 입실율 제고를 위한 대

책마련(바코드 입력/최다 입실자 수상 등)

• 학생회원간의 교류 확대를 위한 모임 개최

(2) 전문분과위원회 활성화 방안

• 논문집 및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논문투고 확대

방안

• 전문분과위원회 세미나/토론회 등 행사 계획

• 워크숍 발굴(ex. 아름다운 소하천 워크숍과 유사

한 프로그램 개발)

• 학술발표회 특별세션 운영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년 회무분과위원회구성 및 사업계획

5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정부부처 및 지자체, 재난안전유관기관의 전문

가(심의위원, 평가위원) 추천

- 전문분과위원회 요청(학회 전문인력 POOL 참

여자 등 위원에서 추천)

(3) 학술 및 정책연구사업 수주방안수립

•학술연구사업 상시기획을 위한 T/F 구성

•전문분과위원회를 통한 소그룹모임 활성화

(4) SCI(E)급 학술지 발간계획

• SCI(E)급 학술지 발간 일정(안)

• 영문논문집 논문투고 독려

(5) 기타

• 학회 지원범위 및 관리방안(전문분과위원회 별

현재 500,000원/년초 지원, 년말 행사개최시

500,000원 추가지원)

• 학회지 기술기사 투고 독려

• 국제학술대회 개최계획 수립

• 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 심사

3. 국제교류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이형 공주대학교 교수

간 사말 라 마닐라 워터

캐 빈 공주대학교

정태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

윤재영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박종섭 상명대학교 교수

정건희 호서대학교 교수

강주현 동국대학교 교수

■사업계획

(1) 방재학회 주관 International symposium 개최

• 국제교류위원회 주도 11월 예정

• 도시 문제 및 Resilience

(2) 학술발표대회 International Session

• 학술발표대회 International Session 효율적 운

영위해 인적 네트워크 조직화

• 학술대회 국제세션과 영문논문집 논문 투고와

연계

4. 연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현기 국민대학교 교수

■사업계획

(1) 국가R&D 추진 및 운영: 방재 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한 기초 연구 및 관련 연구과제 개발

(2) 방재기술 및 정책 연구 개발: 19차 세계지반공학

학술대회(2017. 9)과 관련하여 방재학회 관련 행

사 및 워크숍 계획

(3) 방재관리연구소 운영: 방재관리 연구소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및 회의

5. 사업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종연 K-water 기술안전실 재난안전부장

간 사 최세광 K-water 기술안전실 재난정책차장

위 원 김진우 K-water 기술안전실 재난예방차장

■사업계획

(1) 바람직한 녹조관리 추진방안 세미나 개최

(K-water 녹조기술센터 개소식 병행)

• 내용 : 국내 수질 및 녹조관리 대책, 국외 녹조관

2017.03 Vol.17 No.2

리 정책 및 전망, 녹조저감기술 등 공유

•일정 : 2017년 3월 15일

•장소 : K-water 본사

(2) 미래물관리 기획세션 개최(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17 內)

• 내용 : 세계적 물관리 동향조사 및 K-water 운

영기술 공유 및 물관리기관간 Network 확대

• 일정 : 2017년 9월

• 장소 : 경주 HICO

(3) 물 분야 공무원 교육과정 운영

• 내용 : 댐, 수도 법정교육 과정 및 전문교육 과정

운영

• 일정 : 연중

• 장소 : K-water 인재개발원

6. 재정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유광태 ㈜유앤유 대표이사

간 사 김종락 ㈜유앤유 연구소장

위 원이정호 한밭대학교 교수

김상단 부경대학교 교수

■사업계획

(1) 기업/기관/연구단/사업단 협찬(광고) 확대

• 기업 임원 모임을 통한 협찬 요청

• 방재학회 소개 자료 (학술지 등) 배포

(2) 학회 임원 학회지원 방안 활성화

• 학회 재정지원 참여(용역수주, 광고, 전시부스,

회의지원 등) 요청

• 기부금 활용 및 확대방안 수립

7. 대외협력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용성 강원대학교 교수

간 사신용철 경북대학교 교수

임원빈 국민안전처 시설사무관

강민서 국민안전처 시설사무관

강희진 ㈜한국지오텍 부장

김동균 강원도청 시설사무관

김범주 동국대학교 교수

김순녀 경복대학교 교수

김용상 대한적십자사 재난안전국장

김주현 ㈜알지오이엔씨 이사

위 원 노경수 ㈜승우엔지니어링 대표

문용배 ㈜한백 부장

박성용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책임연구원

성기환 서일대학교 교수

이재득 ㈜조은하이텍건설 부사장

정재광 ㈜지오환경 연구소장

정종호 하존이앤씨(주) 대표

정태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

정희돈 국민안전처 주무관

최일성 ㈜태영건설 부장

■사업계획

(1) 해외 재난관련기관 방문 및 재난현장 시찰 추진

• 주제 : 해외 재난관련기관 시찰

• 내용 : 미국 해양대기청(NOAA) 산하 괌 기상청

방문 및 MOU 체결

- 일시 및 장소 : 6월 22일∼25일(3박 4일), 괌

기상청

- 참여인원(예상) : 20명 내외

(2) 등산모임 추진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년 회무분과위원회구성 및 사업계획

5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주제 : 등산모임 추진

• 내용 : 정례적 등산모임 추진을 통한 회원 교류

강화

- 일시 및 장소 : 10월 28일(토), 서울 관악산

(632m)

- 참여인원(예상) : 20명 내외

8. 운영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최재순 서경대학교 부교수

간 사이상돈 ㈜이산 상무

한진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연성 현대건설 인프라환경사업본부

위 원유민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박사

정은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태진 다산컨설턴트 상무

■사업계획

(1) 효율적 회원관리에 대한 제고

• 학회 규정에 대한 정비

• 종신회원, 일반회원, 학생회원, 특별회원에 대한

학회행사 참여시 지원 등

(2) 회원의 양적성장을 위한 활성화 방안

• 회비(가입비, 연회비, 평생회비)에 대한 개선

(3) 학회 홈페이지 관리 및 운영방안

• 상기 내용의 변경과 관련한 홈페이지 내용 변경

• 팝업의 활용 등 홈페이지 활용부분 개선

(4) 학회 적립금 활용 및 적립 방안

• 학회 적립금 활용부분에 대한 규정 마련

• 학회 적립금 증대를 위한 연계 위원회 간의 의견

수련 및 활성화 방안 도출

9. 기술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정민 LH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

간 사유영화 ㈜누리종합기술단 연구소장

이승재 ㈜누리종합기술단 대표

최종수 LH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

이윤상 LH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

위 원강태욱 경성대학교 연구교수

주진철 한밭대학교 교수

정인주 (주)이도 대표

김회진 (주)UB 대표

■사업계획

(1) 산-학-연 협력방안

• 산-학-연 협력연구과제 성과홍보(6월) 및 신규

연구과제 도출(8월)

- 기존과제 : 자연형 우수유출저감시설(LID) 적용

확대에 따른 합리적 침투·저류시설 적용방안

- 신규과제 : (가칭)한-콜롬비아 협력사업(중소

도시 재해취약지역 분석)

• 산-학-연 협력관련 및 신규연구과제 용역계획

수립(8월)

• 산-학-연 협력 연구용역 수행(12월)

(2) 학회지 기술기사 게재지원

• 방재관련 기업소개 및 신기술 등 제품(실적) 소

개(분기별)

• 방재관련 해외기업 조사 및 기술소개

2017.03 Vol.17 No.2

10. 교육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병식 강원대학교 교수

간 사한우석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만일 산림조합중앙회 책임연구원

정영훈 경북대학교 조교수

양동민 노아 SNC 대표

위 원 이충성 K-WATER 연구위원

김태형 아람 대표

이석호 강원대학교 연구교수

■사업계획

(1) 방재교육포럼 개최 추진

•내용 : 방재관련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포럼을 개최

•시기 : 상반기, 하반기, 주요 재난 발생시에 실시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회의실, 재난발생 지방

자치단체 등

(2) 방재포럼 준비회의

•내용 : 방재포럼 이슈 선정 및 발표자 선정, 기타

준비

•일정 : 4~5월, 9~10월경에 추진

•장소 : 학회회의실, 관련 지방자치단체 등

11. 홍보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왕순주 한림대학교 교수

간 사윤성규 세이프투데이 대표

(과학기자협회)

위 원

이인모 동남보건대학교 교수

이창희 남서울대학교 교수

이선자 안전정보 대표

(과학기자협회)

박영희 페리굿 부사장

■사업계획

(1) 방재 분야별 언론 홍보 강화

•분야별 방재 언론 홍보 대상 개발

•학회 및 사업 언론 홍보 전략 개발

(2) 한국과학기자협회와 공동 심포지움/학술홍보미팅

•한국과학기자협회와 학술/업무 홍보 미팅

• 한국과학기자협회와 방재홍보 관련 공동 심포지

움/세미나 추진

(3) 대선 방재/안전 정책 확인, 홍보

•대선 공약 내 방재/안전 정책 확인

• 한국과학기자협회 대선 공약 언론 활동 시 방재/

안전 분야 전문가 단체로 자문/지원

(참고) 한국과학기자협회의 참여 위원은 협회에서 추천받기로 하였음.

12. 출판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심우배 ㈜어스 대표이사

간 사강상준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박민규 중원대학교 교수

위 원

이석민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권태정 동아대학교 교수

김지호 동부엔지니어링 상무

박호상 다산컨설턴트 전무

박창열 제주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박근오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

■사업계획

(1) 수요조사를 통한 방재분야 전문도서 발간 추진

• 회원 e-mail조사, 회장단 및 출판위원회 의견수

렴 등을 통해 우리 학회 전문성에 부합하는 전문

도서 발간계획 수립 및 추진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년 회무분과위원회구성 및 사업계획

6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전문도서 전문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집필위원

회” 구성·운영

(2) 기 출간된 방재 전문도서(재난관리론, 안전관리

론, 도시계획과 방재 등) 개정 추진

• 시장수요, 최근 이론 및 정책동향 반영, 재고 등

을 고려하여 개정계획 수립 및 추진

• 전문도서 전문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집필위원

회” 구성·운영

13. 논문집편집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정호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류두열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최현일 영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명수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자연연구실

김정중 경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창열 제주발전연구원 환경도시연구부

김경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왕순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전계원 강원대학교 방재안전공학과

간 사 김흥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이주하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인준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권태혁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주진걸 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유도근 Kwater 융합연구원 스마트원터연구소

손상영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강두기 ㈜웸테크

차은정 기상청 국가태풍센터위 원

김재희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이상은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서성철 환경관리공단 수생태정책지원팀

정원석 경희대학교 토목공학과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송창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정태화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정주철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위 원 윤선권 APEC 기후센터

최종수 한국토지주택공사

라정일 돗토리대학

정재학 Texas A&M

전창현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김웅태 Cleveland State Univ.

송영석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국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건설공학과

■사업계획

(1) 국내 방재분야를 선도하는 우수학술지 유지

• 2017년도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계속평가)

준비

• 2017년도 과총 국내학술지 평가 준비

(2) 다양한 방재분야를 대표하는 논문집 추구

• 다양한 방재 분야의 우수논문 유치

• 자연재난과 사회적재난의 통섭을 통한 연구 주도

(3) 양적팽창뿐 아니라 질적 성장 추구

• 논문심사의 투명성, 공정성, 신속성 추구

• 편집위원회의 활발할 활동을 통한 지속적 성장

2017.03 Vol.17 No.2

14. 영문논문집편집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정태성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연구관

간 사명수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연구위원

C.J. 국립공주대학교/연구원

백경오 국립한경대학교/교수

서용원 영남대학교/교수

위 원 정건희 호서대학교/교수

김동수 단국대학교/교수

김이형 국립공주대학교/교수

정윤재 지오씨엔아이 연구소장

■사업계획

(1) 영문논문집(Journal of Disaster Management)

출간

• 년 4회(1, 4, 7, 10월) 발간

(2) 영문논문집(Journal of Disaster Management)

홍보

• 방재학회 회원에게 PDF 버전 이메일 배포 및 홈

페이지 게시

• 영문논문집 홈페이지를 통한 논문접수, 심사 추진

※ 영문논문집 홈페이지 주소 : www.j-kosham-eng.or.kr/

(3) 향후 추진계획

• 방재학회학술발표대회, ICUDR 발표 논문 중 우

수논문에 대해 영문논문집 수록 지원

• 지속가능한 논문확보를 위하여 Scopus 등재

15. 학회지편집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윤동근 연세대학교

간 사

강정은 부산대학교

박민규 중원대학교

박영진 재난안전연구원

이경도 ㈜헥코리아

이영주 UNIST

정건희 호서대학교

위 원

박승희 성균관대학교

송주일 ㈜부린

송창근 인천대학교

신호성 울산대학교

안재훈 부산대학교

여화수 KAIST

왕순주 한림대학교

이달별 동의대학교

정주철 부산대학교

정지범 UNIST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사업계획

(1) 한국방재학회 학회지 정시발간

• 격월 발간(1, 3, 5, 7, 9, 11월)

• 정시 송부(홀수 월 20일 이전 발행)

(2) 학회지 주제의 다양화 및 선제적 대응

• 예상되는 재난 이슈관련 학회지의 선제적 대응

(특집 기사)

• 방재관련 글로벌 기술 및 정책동향에 대한 특별

기획 추진

• 연구자의 관심사 반영 코너 기획

• 실무자 및 업계 관심사 반영 신규 주제 발굴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년 회무분과위원회구성 및 사업계획

6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국외 방재기관 소개 코너 신설 추진

(3) 주기적 학회지 편집위원회 개최

• 월1회 학회지 편집위원회 개최

(4) 학회지 홍보 강화 및 관련 저널 연대 강화

• 방재분야를 대표하는 우수학회지로서의 위상제고

• 세이프투데이와 같은 관련 분야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홍보 강화

• 방재협회의 “방재저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안전” 등과의 연대 강화 및 주제 교류

16. 방재관리연구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박인준 한서대학교, 교수

간 사 정건희 호서대학교, 교수

위 원

박승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곽창원 한국지역난방기술, 과장

이규민 성균관대학교, 선임연구원

문준식 경북대학교, 교수

■사업계획

(1) 국가연구개발사업(R&D), 국가정책연구과제 및 학

술·기술연구 용역수주

• 국가기관 국민안전처, 국토교통부 및 해양수산

부 등 에 대해서 학회참여 가능한 연구를 발굴

하고 선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

(사업위원회, 연구위원회 협력사항)

(2) 기존 연구관리(Monitoring) 및 협력방안을 강화

• 학회가 기 수행하고 있는 국민안전처 및 정부부처

발주 국가연구개발사업(R&D), 국가정책연구 과

제 및 연구용역에 대해서 연구계획대로 수행 되고

있는지 하며, 성과 보고회 개최 또는 결과 물(보

고서) 등에 자문하는 자문기관 역할을 수행 함.

(3) 장기 R&D 과제 발굴을 위한 학회자체 기획과제

공모 및 수행

• 필요하다면 학회 예산 지원요청 함(연구위원회

협력사항)

2017.03 Vol.17 No.2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1. 건축물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명한 목포대학교 부교수

간 사김진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오명호 목포대학교 부교수

위 원

김광희 경기대학교 교수

민정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김영호 지승컨설턴트

김승직 계명대학교

김도현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건축용 합성부재의 내화성능 향상방안

개발

• 연구내용 : 층고절감을 위한 바닥용 합성보, 장

경간 스팬을 위한 산업시설용 합성보, 초고층 건

물을 위한 합성기둥 등과 같이 활발하게 개발되

고 있는 합성부재의 효과적인 내화성능 향상방

안을 개발하고 내화성능 평가함

• 연구자 : 위원내 공모

• 일정 : 2017년 4월~12월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산업용 장경간 구조물의 안전성 및 방재

성능 확보를 위한 기술워크숍

• 일정 : 2017년 9월

• 장소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기타 : 철골제작업체를 대상으로 후원사 모집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건축 관련 방재 산업 및 대응 정책 토론회

• 내용 : 건축방재의 전반적인 사회적 동향 점검

및 관리 정책 토론

• 일정 : 2017년 11월

• 기타 : 참석인원 30명 내외

2. 기상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권현한 전북대학교 교수

간 사오태석 기상청 사무관

조재필 APEC Climate Center

정일원 시설안전기술공단

정영훈 경북대학교

위 원 최병한 농어촌공사

이정주 K-Water

박래건 ㈜ 이산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6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기상방재 분야의 수치기상예보자료 및

기상정보 활용방안 연구

• 연구내용 : 국내외 수치예보자료의 가용성 및 방

재분야 적용 확대를 위한 연구방향 및 연구주제

도출

• 연구자 : 기상방재위원회 위원

• 일정 : 2017년 4월~2017년 12월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국내외 수치예보자료 현황 및 활용방안

• 일정 : 2017년 4월~2017년 10월 중 2회 실시

• 장소 : 전북대학교 및 기상청

• 기타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연구과제 진행 회의

• 내용 : 연구과제 진행에 따른 회의

• 일정 : 2017년 4월~2017년 10월 중 2회 실시

3. 기후변화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명수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간 사장남정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

고재경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심창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배민기 충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

위 원조경두 인천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강진영 제주발전연구원 연구위원

윤영배 울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

박진호 경남발전연구원 연구위원

김경남 강원발전연구원 연구위원

김백조 국립기상과학원 과장

이영곤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관

위 원유순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박사

김소희 기후변화센터 국장

최충익 강원대학교 교수

강성대 Green Simulation 이사

이진영 APEC 기후센터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지역의 기후변화 관련 재해 위험 저감

방안 연구

• 연구내용 :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위험의 저

감을 위한 지자체의 정책 방향 모색

• 연구자 : 명수정 외

• 일정 : 2017년 3월~2018년 2월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기후변화와 재해위험 저감 국제 워크숍

• 일정 : 2017년 하반기 예정

• 장소 : 서울 시립대학교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지자체의 기후변화방재 정책

• 내용 :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위험 저감을 위한

지자체의 정책에 대한 발표와 토론

• 일정 : 2018년 2월 방재학회 학술대회

2017.03 Vol.17 No.2

4. 교통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최상현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간 사오정호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백준호 ESCO RTS 부장

위 원

이동화 BWG 한국지사 대표

권순정 한국교통대학교 책임연구원

이용진 궤도공영 전무

김강석 선구엔지니어링 부사장

임철수 삼보기술단

이장호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강윤석 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원일 철도시설공단 처장

이주영 교통안전공단 과장

노남진 교통안전공단 과장

김병령 철도시설공단 차장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교통시설물의 자연재해 평가 및 저감

기법 개발

• 연구내용 : 교통시설물의 자연재해 평가 및 저감

기법 연구

• 연구자 : 위원 전원

• 일정 : 2017년 3월~2017년 12월

(2) 연구과제 KICKOFF 모임

• 주제 : 교통시설물의 자연재해 평가 및 저감 기

법 개발 연구 KICKOFF

• 내용 : 교통시설물의 자연재해 평가 및 저감 기

법 연구 업무 협의

• 일정 : 2017년 4월 초

• 참석인원 : 10명 내외

• 장소 : 한국방재학회 회의실

(3) WORKSHOP 개최

• 주제 : 교통시설물의 자연재해 평가 및 저감 기법

• 내용 : 교통시설물의 자연재해 평가 및 저감 기

법 연구 결과 발표

• 일정 : 2017년 10월 중순

• 참석인원 : 30명 내외

• 장소 : 한국교통대학교(추후 변경 가능)

5. 도시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임남형 충남대학교 교수

간 사 민경환 충남대학교 연구교수

위 원

한택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문지호 강원대학교 교수

김승준 대전대학교 교수

윤경민 충남대학교 박사후과정

배현웅 충남대학교 박사후과정

■사업계획

(1) 도시방재위원회 활성화 방안

• 세미나/토론회 등 행사 계획

• 학술발표회 특별세션 운영

(2) 학술 및 정책연구사업 수주방안수립

• 학술 및 정책연구사업 상시기획

6. 방재시스템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준석 한국토코넷 ㈜ 대표이사

김태화 ㈜한국정보문화기술원 수석컨설턴트(이사)

위 원 이경도 ㈜헥코리아 대표이사

임성만 ㈜부린 이사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6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사업계획

(1) 연구과제

① 사회적 당면과제 해결과제

㈎ 원전 방사선 관리

• 과제명 : 원전 및 주변지역 방사선 감시/예측 및

대응 체계 구축

• 연구내용 : 우리나라는 수력/화력을 대체할 전력

공급원으로 원전을 마련하였으나 일본 원전사고

를 기점으로 원전 설립이 봉쇄되는 시점에 와있

으며 이로 인한 노후화된 원전을 지속적으로 운

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도래하였고 최근 원전

재가동으로 인한 방사선 노출의 위험성으로 국

민들이 불안해하고 있어 이의 해소를 위한 방안

을 마련할 시기가 도래하였음. 따라서 노후화된

원전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원전 및 주변지역

방사선 노출 위험을 상시 감시하고 위험 발생 방

지를 통한 지속적인 원전 가동을 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원전 주변 주민들이 안정

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함.

• 연구자 : 공학계(재난, 드론, 로봇, 원자력), 인문

계(정책, 제도) 참여 필요

• 일정 : 3년(시범시스템 구축) → 2년(시범운영 및

안정화)

㈏ 고병원성 인플렌자 관리

• 과제명 : 고병원성 AI 감시/예측 및 대응 체계 구축

• 연구내용 : 최근 우리나라는 해마다 고병원성 AI

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를 입고 있으나 정부

는 고병원성 AI가 발생할 경우 사후 조치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후조치도 미흡하여

2016년도에는 전국적인 피해가 발생하여 엄청난

피해를 입어 국가적인 위기가 발생하는 시점에

이르렀음. 이런 시점에서 고병원성 AI 방재체계

를 재점검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그동안 발생

한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고병원성 AI 정보를 수

집하여 재분석함으로서 고병원성 AI 감시/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국가 감시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발생 시 방역대응지침 등을 면

밀히 제공하여 확산방지를 통한 안정적인 축산

농가의 운영을 통한 농촌 주민들의 삶을 보장함.

• 연구자 : 공학계(재난, 드론, 대기, 축산), 인문계

(정책, 제도)

• 일정 : 3년(시범시스템 구축) → 2년(시범운영 및

안정화)

㈐ 지진 조기경보 관리

• 과제명 : 한반도 지진 조기경보 및 예측/대응 시

스템 구축

• 연구내용 : 우리나라는 지진이 드물게 발생하는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경주 지역 지진

및 강원도 지역에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지진의

안정 지대라는 인식은 멀리 날아 가버린 상황이

도래하고 있음. 따라서 현재 사후 대응으로 구성

된 지진 경보체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전에 지진을 예측하고 조기 경보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을 통하여 사전 예측을 통

한 재난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안정적인 국민의

삶을 보장함.

• 연구자 : 공학계(재난, 지진, 센서), 인문계(정책,

제도)

• 일정 : 3년(시범시스템 구축) → 2년(시범운영 및

안정화)

② 향후 대비 해결과제

㈎ 생활환경 관리

• 과제명 : 생활환경 보건안전 감시 체계 구축

• 연구내용 : 우리나라는 가습기 사고 등 생활안전

사고가 발생하나 사전 대응이 미흡하고 사후 대

응 수준에 미치고 있는 실정이며, 대기, 수질, 황

2017.03 Vol.17 No.2

사 등으로 인한 생활환경이 점점 악화되는 실정이나

이를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

지 못하여 점점 더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함. 따라서

가습기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위험한 화학물질

및 생활용품관리 및 지역별 대기, 수질, 황사 등 감시

및 예측할 체계를 구축하여 이를 통한 국민들의 안정

및 생활의 질 향상을 기하고자함.

• 연구자 : 공학계(재난, 대기, 환경), 인문계(정책,

제도) 참여 필요

• 일정 : 3년(시범시스템 구축) → 2년(시범운영 및

안정화)

7. 보건복지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성기환 서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간 사김용상 대한적십자사 재난안전국장

채 진 고양소방서 현장대응팀장

김경남 강원발전연구원 연구위원

박계태 국민안전처 민관지원담당관

배천직 전국재해구호협회 차장

서정표 국민안전처 재난구호과 팀장

위 원 오금호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진대책연구실장

오성남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원 전문연구원(교수)

왕순주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장

이옥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교수

정종수 숭실대학교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

최희천 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교수/학과장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BCM 공공분야 적용 방안 연구용역

• 연구목적 : 재해·위기 상황에 대한 예방·대비·

대응·복구 전 단계에 대한 대내외 역량확보와

체계운영 및 관리를 포함하는 포괄적 프로세스

와 운영체계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 연구자 : 정종수 교수

• 일정 : 2017년 6월~2018년 5월

(2) 보건복지방재위원회 워크숍 1차 개최

• 주제 : 주민 안전 역량 강화 방안

• 일정 : 2017년 5월(예정)

• 장소 : 대한적십자사 회의실

• 진행 : 주제 발표와 토론

(3) 보건복지방재위원회 워크숍 2차 개최

• 주제 : 재난시 주민 구호활동 개선 방안

• 일정 : 2017년 10월(예정)

• 장소 : 한국방재학회 회의실

• 진행 : 주제 발표와 토론

8. 산지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전계원 강원대학교 교수

간 사

김만일 산림조합중앙회 책임연구원

이호진 충북대학교 교수

장창덕 ㈜CND 대표이사

강기천 경상대학교 교수

강재구 국립공원관리공단 부장

권춘근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팀장

위 원 김경석 한국도로공사책임연구원

김남균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김민식 사방협회 실장

김성덕 충북대학교 외래교수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6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김성태 ㈜대흥미래기술 대표이사

류지협 한려대학교 교수

박흥석 강원대학교 외래교수

배윤신 서울연구원

배택훈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기장

서정일 공주대학교 교수

송영갑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사

안영상 전남대학교 교수

오채연 강원대학교 초빙교수

위 원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

이문세 산림조합중앙회 소장

이시영 강원대학교 교수

이종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이홍렬 지슬롭이엔씨

전병희 강원대학교 교수

정민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사

최광태 ㈜리버앤씨 대표이사

최수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과장

황준영 ㈜우일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토석류 충격력 산정에 관한 연구

• 연구내용 : 산지재해 중 토석류재해 저감을 위해

설치하는 방재시설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

• 연구자 : 위원 내 공모

• 일정 : 2017년 4월~2018년 1월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산지재해 저감을 위한 융·복합 연구의

활성화 방안

• 일정 : 2017년 6월

• 장소 : 강원대학교

• 기타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산지재해 위원회 활성화 방안

• 내용 : 위원회 활성화 방안 및 전략수립

• 일정 : 분기별 1회 예정

• 기타 : 2018년 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특별세션

기획

9. 소방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김흥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간 사 권오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위 원

민세홍 가천대학교 교수

정경수 포스코 전문연구위원

박재성 숭실사이버대학교 교수

안형진 한국내화 건축자재협회 부장

김우창 ㈜승진방재기술단 대표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국민 밀착형 화재안전 기술 개발

• 연구내용 : 화재시의 재실자의 위치, 화재발생

위치 및 상황 등을 무선주파수 인식시스템을 통

한 방재시스템 방안 마련

• 연구자 : 위원 내 공무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성능위주 화재안전설계

• 일정 : 2017년 10월 중

• 장소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화재안전

2017.03 Vol.17 No.2

• 내용 : 화재안전 구성 요소별 개선방안

• 일정 : 1회/분기별

10. 시설물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태형 건국대학교 교수

간 사최병호 한밭대학교 교수

문지호 강원대학교 교수

위 원

이주하 수원대학교

한택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정호 한국교통대학교

한승룡 한국전력기술(주) 책임기술원

정우철 LUSAS Korea 사장

이경구 단국대학교 교수

박두희 한양대학교 교수

■사업계획

(1)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2018년 학술발표회 특별세션 운영

• 일정 : 2018년 2월

• 장소 : 2018년 학술발표회 행사장

(한국과학기술대학교)

• 기타 : 시설물방재위원을 중심으로 논문 발표

(2)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연구과제 기획

• 내용 : 시설물방재분야의 연구과제도출을 위한

기획안 논의

• 일정 : 2017년 8월

11. 지반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용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간 사김동욱 인천대학교 교수

정혁상 동양대학교 교수

이대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유용선 케미우스코리아 대표

김영준 태조엔지니어링 상무

문준식 경북대학교 교수

안재훈 부산대학교 교수

고평국 한라건설 차장

홍기권 대한건설ENG 연구소장

위 원 최상호 협성기초연구소

박재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정준 GK엔지니어링

김기성 유씨아이테크

김동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김종석 엘메스코리아 이사

윤종열 넥스지오 부사장

이충원 국민안전처 사무관

정세홍 두산건설 부장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지반함몰 긴급복구 공법 개발

• 연구내용 : 지반함몰 및 지반공동을 신속하게 복

구하기 위한 장비 및 되메움재 개발

• 연구자 : 이용주, 이대영, 김동욱, 홍기권

• 일정 : 2017년 4월 1일~2018년 2월 28일

(2) 지반함몰/지반방재 워크숍

• 일정 : 2017년 6월 23~24

• 장소 : 강원도 대명리조트(삼척)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7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3) 지반방재위원회 세미나

• 내용 : 도심지 지반 함몰 예방을 위한 지반방재

전문가 발표 및 토론

• 일정 : 2017년 10월 19일 18:00~21:00

12. 지진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정원석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간 사정우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부석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김진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심형보 인천대학교

박승희 성균관대학교

신성우 부경대학교

류용희 삼성중공업

김진섭 경상대학교

정윤석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위 원박두희 한양대학교

장지호 GS건설

김재흥 포스코건설

정진훈 동일기술공사

곽신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전법규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김성중 평화엔지니어링

이희영 경희대학교 연구박사

■사업계획

(1)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 지진 전문분과위원회 세션

• 일정 : 2018년 2월

• 장소 : 2018년 한국방재학회 정기학술대회

(2) 주요시설물 지진취약도 기술회의

• 내용 : 라이프라인, 지반, 원자력, 도시철도 지

진취약도 분석 및 대책, 지반의 지진취약도 분석

및 대책 논의

• 일정 : 2017년 11월 중

13. 풍수해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박민규 중원대학교

간 사이창희 중원대학교

김휘린 한강홍수통제소

위 원

김지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완희 K-Water 통합물관리처

정성인 홍익기술단

이재영 (주)인시티인프라연구소

김판구 (주)세진이엔씨

최우일 LIG시스템

김만일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종합기술본부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풍수해방재분야의 챗봇 활용에 관한 연구

• 연구내용 : 풍수해방재분야의 챗봇 활용에 관한

사례 조사 및 국내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 연구자 : 위원 전원

• 일정 : 2017년 4월~2107년 11월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UAV를 활용한 풍수해위험시설 점검방법

및 취약도 평가의 개선

• 일정 : 2017년 10월

• 장소 : 중원대학교

• 기 타

2017.03 Vol.17 No.2

14. 하천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승오 홍익대학교 부교수

간 사이기하 경북대학교 조교수

이재경 대진대학교 조교수

위 원

정영훈 경북대학교 조교수

송창근 인천대학교 조교수

채석준 대우건설 과장

손상영 고려대학교 조교수

정태화 한밭대학교 조교수

차준호 한강홍수통제소 실장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하천에서 발생가능한 복합재난의 예방

및 대응 방안

• 연구내용 : 하천분야 복합재안 관련 설계기준 검

토 및 보안 방안 제시

• 연구자 : 위원 내 공모

• 일정 : 2017년 4월 중

(2) 하천내 복합재난에 대한 개념 및 예측 관련 기술

세미나

• 일정 : 2017년 6월, 10월 중

• 장소 : 홍익대학교 홍문관 회의실

(3) 연구과제 중간점검 회의

• 내용 : 금년 연구과제 진도 점검 및 수정·보완

사항 토의

• 일정 : 2017년 8월 중

15. 해안해양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송창근 인천대학교 교수

간 사정태화 한밭대학교 교수

손상영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이승오 홍익대학교 교수

안정규 인천대학교 교수

도기덕 KIOST

김덕례 현대건설

박인환 서울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연안도시 수재해 예방 및 대응 방안

• 연구내용 : 주요 연안도시 침수 발생 현황 진단

및 대응방안 수립

• 연구자 : 위원 내 호선

• 일정 : 2017년 5월 중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연안도시 침수 발생 복합원인 분석

• 일정 : 2017년 7월, 12월 중

• 장소 : 인천대학교 8호관 333호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연구과제 진도점검 회의

• 내용 : 2017년 연구과제 중간점검 및 수정·보완

사항 토의

• 일정 : 2017년 8월 중

상치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_ 2017 전문분과위원회 구성 및 사업계획

7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 환경방재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강두기 ㈜웸테크 대표이사

간 사전병희 강원대학교 교수

이정훈 부경대학교 전임연구원

위 원

권순철 부산대학교 교수

강성대 그린시뮬레이션 대표

김홍태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곽광훈 동서대학교 메카트로닉스융합공학부 교수

조종규 부산환경공단 소장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제명 : IOT-드론 기반 하천 및 댐 수질관리 기

술 개발

• 연구내용 : 하천 및 호소내 부영양화 거동을 실

시간 감시, 예측할 수 있는 수륙양용형 드론 개

발 및 IOT 기반 운영 플랫폼 개발

• 연구자 : 강성대/곽광훈

• 일정 : 2017년 3월~12월

(2)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드론기술 및 IOT 기술 현황

• 일정 : 2017년 2분기

• 장소 : 부산대학교

(3)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드론을 활용한 환경관리 방안

• 내용 : 환경관리 기술 및 드론 응용기술을 이용

한 연구과제 도출

• 일정 : 2017년 분기별 1회(총4회)

17. 방재역량교육위원회

직 책 성 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류종기 한국IBM, 실장 전문위원

간 사김영희 서경대 도시안전센터 전문위원

민금영 동국대 교수

이희정 삼정KPMG 상무 파트너

허 구 딜로이트 안진 이사

윤종호 DNV GL 인증원 심사위원

성미영 동덕여대 교수

은종화 연세대 연구교수

심형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위 원 차상화 국민안전처 사무관

우형록 한양대 겸임교수

이자원 성신여대 교수

임성래 배재대 겸임교수

함승희 서울시립대 교수

박해정 국민안전처 사무관

송주일 부린 책임연구원

이강호 넥스젠 책임연구원

■사업계획

(1) 연구과제

• 과 제 명 : 연속성 관리 및 리질리언스 연구

• 연구내용 : 공공, 민간 재난관리를 위한 연속성

관리 및 리질리언스 도입 사례 연구

• 연구자 : 유종기, 김영희, 이희정

• 일정 : 2017년9월

• 과제명 : 재난 및 안전관리 역량에 관한 연구

• 연구내용 : 한국의 재난관리 역량을 도출하고 이

를 검증할 수 있는 진단지표를 개발함

• 연구자 : 민금영, 이강호, 송주일

2017.03 Vol.17 No.2

• 일정 : 2017년 9월

(2) 연구과제

• 과제명 : 한국형 재난대응 훈련 모델 연구

• 연구내용 : 한국의 기관별, 재난유형별 특성에

맞는 훈련모델을 연구함

• 연구자 : 은종화, 민금영, 김영희, 함승희

• 일정 : 2017년 9월

(3) 행사(세미나, 워크숍 등) 개최

• 내용 : 실제 재난관리 역량 평가 사례 연구

• 일정 : 2017년 10월

• 장소 : 미정

(4) 기타 행사(회의) 등 계획

• 주제 : 아동 재난관리 연구

• 내용 : 재난 발생 시 아동의 요구 사항이 무엇인

지를 논의하고 이를 위한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별 필요한 재난관리 정책 제언

• 일정 : 하반기

7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BreaK corner 황사 - 국민행동요령 매뉴얼

황사 이렇게

•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기상 정보를 확인합시다.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읍시다.

• 황사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하므로 노약

자, 어린이는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갑시다.

• 어쩔 수 없이 외출할 때에는 긴소매 옷을 입고 마스크, 보호용 안경 등

을 착용합시다.

• 귀가하면 손발을 깨끗이 씻읍시다.

• 채소나 과일은 더욱 깨끗이 씻읍시다.

• 가습기 등으로 집안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합시다.

황사- 국민행동요령 매뉴얼

국민안전처 제공

www.safekorea.or.kr

2017.03 Vol.17 No.2

황사가 발생하려고 하나요?

1. 가정에 계신다면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

합시다.

>> 실내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을 준비합시다.

>> 외출 시에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합시다.

>>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

기 등에 넣읍시다.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기상청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분석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을 신중히

검토합시다.

>>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점검, 연락체계를 유지해주시고

>> 휴업 조치 시 맞벌이부부 자녀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도록 합시다.

•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 피해예방 행동요령을 지도·홍보합시다.

3. 축산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운동장 및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준비합시다.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덮을 피복물을 준비합시다.

•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를 점검합시다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합시다.

※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자재 및 생산제품의 야적을 억제하고, 어쩔 수 없는 경우 포장을 덮읍시다.

황사가 발생하였나요?

1. 가정에 계신다면

•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시고 외출 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시며 귀가

후에는 손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합시다.

•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공기정화기와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

하게 유지합시다.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생선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요리합시다.

• 가족·친지에게 행선지와 시간계획을 미리 알려 둡시다.

7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BreaK corner 황사 - 국민행동요령 매뉴얼

•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가공·조리 시 손을 철저히 씻읍시다.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수업단축 또는 휴업하셔야 합니다.

>> 실외학습, 운동경기 등을 중지하시거나 연기합시다.

3. 축산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운동장이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셔야 하며

•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황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합시다.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으시고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읍시다.

※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불량률 증가, 기계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일정 조정·상품포장·

청결상태유지에 유의합시다.

황사가 지나갔나요?

1. 가정에 계신다면

•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시고

• 황사에 노출되어 오염된 물품은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합시다.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학교의 실내·외를 청소하여 먼지를 제거합시다.

• 학생들의 건강을 살펴서 감기·안질환자 등은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시킵시다.

• 황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거나 식당 등에 대한 소독을 실

시합시다.

3. 축산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비닐하우스·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하거나 소

독을 실시합시다.

• 황사에 노출된 가축의 몸에 묻은 황사를 털어낸 후 소독해줍시다.

• 황사가 끝난 후 2주일 정도 질병의 발생유무를 관찰합시다.

2017.03 Vol.17 No.2

• 구제역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신고합시다.

황사 발생상황은 이렇게

1. 방송매체를 통한 확인

•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를 청취합니다.

2. 기상청 및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홈페이지를 통한 확인

• 기상청 : www.kma.go.kr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 www.nvrqs.go.kr

3. 전화를 통한 확인

• 기상청 : 02-841-0011 / 02-831-0365

• 국번 없이 131(지역 기상정보 : 지역번호+131)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 031-467-1851

주로 중국 북부나 몽골의 건조·황토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미세한 모래 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강하하는 현상 또는 강하하는 흙먼지를 말합니다. 3~5

월에 많이 발생하며 때로는 상공의 강한 서풍을 타고 한국을 거쳐 일본·태평양·북아메리카

까지 날아갑니다.

황사란?

7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eminar & conference 2017년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결과보고

2017년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결과보고

2017년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는 ‘지속가능한 안전사회’라는 주제로

지난 2월 16일부터 17일 양일간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방재분야의 다

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발표대회에

서는 우리 사회가 지난 몇 년 간 겪은 다양한 재해·재난에 대하여 보다 과

학적이고 체계적인 재해예방 및 재난대응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에 부

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그간의 방재관련 전문분야별 연

구 활동을 서로 공유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 지속

가능한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학술적, 기술적 발전에 부응할 수 있도록 기획

하였다. 특히 이번 학술발표대회

에서는 개회식에 이은 기조강연

을 비롯하여 2개 주제의 특별세

션 및 3개 주제의 기획세션을 통

하여 관·산·학·연이 다양하게

참여한 다채로운 토론의 장이 마

련되었으며, 사업단/연구단 세션

및 전문분과 세션뿐만 아니라 신

진학위논문 세션에서는 신진 연

구자들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새

롭게 선보이고 대학생 세션 등을

통하여 전문 인력의 양성 및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었다.

이번 행사 준비는 준비위원회

를 중심으로 준비위원장이셨던

이 정 호

준비부위원장

한밭대학교 교수

[email protected]

이 태 형

행사소위원장

건국대학교 교수

[email protected]

그림 1. 학술발표대회 포스터

2017.03 Vol.17 No.2

박무종 교수님 이하 22명의 준비위원분들께서 전

력을 기울여주셨으며, 준비 과정에서의 수차례 사

전회의 및 현장답사 등을 통해 어느 학술대회보다

도 완성도 높은 학술행사를 위하여 철저히 준비

하였고 그 결과 각 프로그램 운영이 차질없이 진

행되었다. 이는 접수된 논문 수 및 등록인원 등의

양적인 면에서의 성과에서도 엿볼 수 있으며, 실

제 접수된 논문은 총 463편으로 최근 5년간 개최

된 학술대회(2013년 287편, 2014년 426편, 2015년

460편, 2016년 491편)에 비하여 뒤지지 않으며, 총

800여명의 참석인원과 23개의 전시부스는 다양한

관련분야 전문가 및 전문기관들이 참여했음을 나

타낸다. 또한 공주대학교 김이형 교수님과 국립재

난안전연구원의 정태성 박사님께서 헌신적인 노력

을 해주신 덕분에 국외 방재분야의 연구성과를 소

개하고 국내외 전문가들간의 교류의 장이 되었던

국제세션이 성공리에 개최될 수 있었다.

1. 개회식

201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개회식은 2월

16일 오후 1시 30분에 건국대학교 상허연구관 소

강당에서 내외빈을 포함한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먼저 전경수 학술부회장의 경

과 보고를 시작으로 ‘지속가능한 안전사회’라는 주

표 1. 201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준비위원회 명단

구 분 직 책 성 명 소 속

준비

위원회

위원장 박무종 한서대학교

부위원장 이정호 한밭대학교

기획

소위원회

위원장 정원석 경희대학교

위원

강두선 경희대학교

주부석 강릉대학교

주진걸 동신대학교

정건희 호서대학교

전환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최현일 영남대학교

학술

소위원회

위원장 정창삼 인덕대학교

위원

박승희 성균관대학교

이태삼 경상대학교

이승오 홍익대학교

송창근 인천대학교

손상영 고려대학교

김병식 강원대학교

행사

소위원회

위원장 이태형 건국대학교

위원

박대룡 건국대학교

김정중 경남대학교

최병호 한밭대학교

오정호 한국교통대학교

이주하 수원대학교

류두열 한양대학교

표 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구성(2013∼2017)

구분기조

강연

기획

세션

특별

세션

연구단

세션

전문분과

세션

일반/포스터 세

국제

세션

대학생

세션

신진학위

세션

2013년 1명 - 6개 기관 54편 - 233편 - - -

2014년 1명 1개 주제 8개 기관 34편 14개 분과 361편 11편 - 6편

2015년 2명 2개 주제 5개 기관 8개 기관 15개 분과 370편 14편 15편 15편

2016년 2명 1개 주제 7개 기관 3개 기관 10개 분과 341편 18편 4편 7편

2017년 1명 3개 주제 2개 기관 9개 기관 16개 분과 299편 16편 11편 4편

8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eminar & conference 2017년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결과보고

제로 정상만 회장의 개회사와 국민안전처 안영규

국장의 축사 및 건국대학교 유재원 부총장의 환영

사 등이 이어졌다. 이후 우리나라의 방재과학의 발

전에 기여한 재해대책 유공자에 대하여 국민안전

처 장관 표창 수여가 있었으며, 개회식을 마친 후

‘기후변화의 실체적 위협과 재난 : 전망과 과제’라

는 주제로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김명자 차기회장

의 기조강연이 성황리에 이루어졌다.

2. 특별세션 및 기획세션

특별세션은 학술대회 양일간 2개의 주제로 개최

되었으며, 첫째 날은 ‘재난관리 역량강화 방안’이

라는 주제로 ‘공공기관 재난관리 방안(LH공사 건

설안전처 이규호 차장)’, ‘예방중심 재난관리와 훈

련 일상화(경남도청 재난안전 건설본부 송병권 본

부장)’, ‘역량중심의 재난관리 평가 패러다임(국립

재난안전연구원 최우정 팀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또한 둘째 날은 ‘912 지진 이

후 우리나라 지진 대응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총 6개의 관련 발표가 있었으며 이는 최근 우리나

라의 지진 관련 현주소를 점검해볼 수 있는 계기

가 되었다.

기획세션은 총 3개의 주제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16일과 17일 양일에 걸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기

획한 ‘미래/복합 재난 안전관리 방안’이라는 주제

하에 총 24편의 관련 연구성과가 활발히 발표됨으

로써 그 어느 프로그램보다 뜨거운 열기를 나타내

었으며, 이외에도 ㈜이도의 ‘강우예측을 통한 재난

대응 체계구축’과 가천대학교의 ‘국내·외 소방시

설의 내진설계 및 재연설비 관련 연구’ 주제의 기

회세션들이 16일 오전·오후에 걸쳐 개최되었다.

3. 전문분과 세션 및 사업단/연구단 세션

현재 한국방재학회에서는 방재 관련 분야별 16

개의 전문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전문분과별로 1년 동안의 연구성과를 이번

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하였다.

사업단/연구단 세션의 경우 2014년 학술대회까

지 특별세션과 함께 진행되었으나 2015년 학술대

회부터는 이를 분리하여 기획되었다. 이는 방재관

련 연구의 다양성 및 규모가 점점 확대되어가는

현 상황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사업단 및 국책

과제 연구단의 연구 성과 소개와 교류를 위한 장

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로 마련되었

으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9개의

사업단/연구단이 참여하여 총 73편의 연구 성과가

발표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다.

4. 국제세션(International Session)

국제세션은 국내외 신진 연구자 및 관련기관

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영어로 진행되는 세션

으로 구분되어 기획되었으며, 이 중 International

Special Session은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dapting Climate Change and Reducing Disaster

표 3. 국민안전처 장관 표창자

성 명 소속 및 직위

박무종 한서대학교 교수

정창삼 인덕대학교 교수

성기환 서일대학교 교수

김용성 강원대학교 교수

심우배 ㈜어스 대표

2017.03 Vol.17 No.2

Risk’라는 주제로 16일 10:45~12:15 사이에 진행되

었으며, 이와 관련된 4개의 주제 발표에 이어 토

론회가 개최되었다. 또한 16일, 17일 양일에 걸쳐

International General Session I & II를 통해 총 8편

의 논문 발표를 통하여 국내외 연구자들간의 교

류의 장이 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 참

석한 큐슈대학의 Kenichi Tsukahara 교수를 통

해 JSNDS(Japanese Sociery of Natural Disaster

Society)와 우리학회간의 상호 교류의 장을 더욱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5. 구두 및 포스터 세션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총 463편의 구두 및 포스

터 논문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에는 16개 전문분

야별 논문 외에도 새로운 연구자들을 소개하는 신

진학위 세션과 방재분야 저변 확대를 위한 대학생

세션 등이 구분되었다. 구두세션과 포스터 세션을

통해 발표된 논문들은 각 세션의 좌장과 학술위원

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구두 세션 발표 논문 중

19편, 포스터 세션 발표 논문 중 21편, 신진학위논

문 세션 5편, International Session 5편, 대학생세션

2편 등 총 52편이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선

정된 우수논문들에 대해서는 표창 수여와 함께 향

후 우리학회 논문집에 긴급논문의 형태로 심사과

정이 진행되어질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진다.

6. 정기총회 및 폐회식

2월 17일 오후 4시 15분부터는 약 300여명의 사

람들이 운집한 가운데 정기총회 및 폐회식이 진행

되었다. 김병식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정기총회는

표 4. 학회상 포상자

포상 부문 성 명 소 속

공로상

김문모 신구대학교 교수

송 범 대림 C&S 대표

조명희 경북대학교 교수

학술상

이종인 전남대학교 교수

최현일 영남대학교 교수

김상단 부경대학교 교수

기술상

윤여승 평화엔지니어링 부사장

홍완택 TAIS 대표

김진현 E8 대표

정성원 유량조사사업단 단장

논문상 정건희 호서대학교 교수

신진상논문부문

송영석 한서대학교

이정훈 부경대학교

이의훈 고려대학교

이종소 인하대학교

기술부문 조문수 대림건설

8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seminar & conference 2017년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결과보고

정상만 회장의 개회선언과 국민의례 및 회장 인사

말씀 후에 학회 발전과 방재과학기술 발전에 기여

한 공로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학회상

은 공로상, 학술상, 기술상, 논문상, 신진상, 언론인

상, 특별상 및 학회장 표창 등이 수여되었으며, 이

후 정기총회 회의결과 보고와 지난 일년간의 학회

주요 실적 보고 및 감사 보고가 있었다. 특히 지난

2월 3일에 있었던 제9대 회장선거 결과에 대한 보

고와 이에 대한 총회 인준이 이루어짐으로써 한서

대학교 박무종 교수가 한국방재학회 차기 회장으

언론인상정민호 THE KOREA TIMES 기자

김태문 국토매일 기자

특별상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연구원

학회장 표창

최익훈 한국환경공단 물환경본부장

김윤진 한국물포럼 과장

이명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성주현 한국시설안전공단

정인주 ㈜이도 대표

윤형구 대전대학교 교수

이재덕 대원토질

김주현 알지오 이엔씨 이사

MARLA M.REDILLAS Manila Water Company, Philippines

양기현 국민안전처 사무관

박덕근 재난안전연구원 연구원

이종진 K-water 연구원

유인상 공주대학교 박사과정

명수정 한국환경정책연구원 연구원

주진걸 동신대학교 교수

정원석 경희대학교 교수

이태형 건국대학교 교수

부천부안초등학교 4학년 이채은

부천부안초등학교 4학년 장재명

난지나르샤 동아리부천부안초등학교 4학년 강현

부천부안초등학교 4학년 김호윤

서울여의도초등학교 4학년 이태윤

서울여의도초등학교 4학년 이태민

2017.03 Vol.17 No.2

로 인준되었다.

정기총회에 이어 진행된 폐회식에서는 차기 학

술발표대회 개최교로 선정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의 전환돈 교수가 성공적인 대회 개최에 대한 포

부를 밝히는 시간을 가졌으며, 뒤이어 이틀간의 연

구논문 발표에 대한 우수논문상 시상과 참가자들

을 대상으로 추첨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로써 이틀

간의 201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의 모든 일

정을 마무리하고 내년을 기약하며 정상만 회장님

의 폐회 말씀으로 끝을 맺었다.

7. 맺음말

우리학회 학술발표대회는 매년 재난안전과 관련

된 관·산·학·연의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참

여하여 서로간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

눔으로써 방재분야 최대의 학술교류의 장으로 자

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지난 몇 년간의 학술발표대

회에서의 발표 논문수와 참여인원을 통하여 확연

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는 이러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국내외 우수논문의 발표 유치와 보다 다양

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질적 성장이 동반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끝으로 이번 학술대회를 준비하면서 많은 시간

과 노력을 할애해주신 준비위원회 위원 여러분께

이 자리를 통해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특히 학회

사무국의 김우태 사무국장님, 소선미 과장님, 정성

희 대리님 등 직원 분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번 학술발표대회의 주제인 ‘지

속가능한 안전사회’를 위하여 더욱더 이바지할 수

있는 한국방재학회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결과 보

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new BooKs guide 우리를 위협하는 지진과 생활

지진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 생활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요즈음 국내외적으

로지진 때문에 세상이 깜짝 놀라고 있다. 국내 경주지진(2016. 9. 12 규모 5.8 / 미국

USGS 규모 5.4) 을 비롯해서 주변 이웃 일본의 구마모토 지진(2016. 4. 16 규모 7.0),

이태리 중부 지진(2016. 8. 24 규모 6.2), 그리고 북한의 4차 핵실험 (2016. 1. 6 규모5.1)

과 5차 핵실험(2016. 9. 9 규모 5.3) 등이 발생하여 세상을 매우 놀라게 만들고있다. 필

자는 이러한 시기에 임하여 지진의 모든 것을 설명해주기 위해서 “지진공포와 생활”

이라는 새로운 견해를 가지고 그동안의 지진내용을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라는 취

지에서 본 저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본 저서는 필자가 지금까지 교육과 연구를 바탕으로 얻은 지진학의 모든 분야를

우리 생활과 밀접한 사항만 개념적 지식으로 저술한 지진학의 실용적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지진과학은 물리학에 기초하여 여러 분야(특히 지구물리, 해양학, 지구과학,

수학 등) 로 이루어진 종합과학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진학의 응용범위는 석유

탐사, 지구 내부의 물리 및 지진메카니즘과 지진파 연구를 포함한 고체지구물리학

(Solid-Earth Geophysics) 까지 광범위하다고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저술의 목적은 지

진학의 기본원리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응용결과와 최신정보(update) 화된 지식에 의

해서 만들어졌다.

자연재앙 중에서 가장 짧은 단위시간(수십 초) 이내에 가장 큰 피해를 초래하는 지

진은 오래 전부터 인간이 막을 수 없는 어떤 초자연적 힘(신) 으로 간주 되었지만, 과

학의 진화는 이것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

진은 완벽하게 예보할 수 없다. 다만 우리 인간은 지진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왜냐

하면 눈에 안 보이는 땅속에서 일어나는 지진 메커니즘과 지구내부 구조는 너무나 복

잡하기 때문이다. 현대과학으로 단기 지진 예보는 불가능하지만 중·장기 예보는 가

능하다. 지진피해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내진설계기술 개발과 지진조기경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방법도 고정된 개념이 아니고 계속해서 진

화하고 있다. 왜냐하면 지진과학은 컴퓨터기술의 급진적 성장(용량확장과 처리속도

단축) 으로 날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지진과학이야말로 인류가 발전시킬 곳이 무진장 많은 신비의 과학 분야임

에는 틀림없다. 또한 지진학은 비밀 핵실험의 탐지와 석유에너지 탐사에 유일하게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이다. 최근에 와서 북한 함경북도 풍계리에서 다섯 차례

(2006, 2009, 2013, 2016년 1월과 9월) 걸쳐 수행한 핵실험 탐지는 물론 핵실험 폭발

깊이와 규모(폭발량) 산정에 지진학을 적극 이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현대 지진

학을 응용한 또 하나의 예로 천안함침몰의 정확한 원인 규명에서 지진학의 과학적 역

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보여줄 수 있다.

이희일 박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 연구원

저자김소구 출판사도서출판 학산미디어

우리를 위협하는 지진과 생활

8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행사 및 회의

2017년한국방재학회학술발표대회결과보고

•일 시 : 2017년 2월 16일(목)~17(금)

•장 소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상허연구관

• 프로그램 :

- 2월 16일(목) : 개회식(장관 표창), 기조강연, 특별 세션,

기획 세션, 전문분과위원회 세션, INTERNATIONAL

SESSION, 사업단/연구단 세션, 구두/포스터 논문발

표 세션, 전시부스, 리셉션, 출판기념회

- 2월 17일(금) : 특별 세션, 기획 세션, INTERNATIONAL

SESSION, 사업단/연구단 세션, 구두/포스터 논문발

표 세션, 대학생 세션, 신진학위논문 세션, 전시부스,

정기총회(학회상 포상), 폐회식(우수논문상 수상)

•발표 논문 편수 구두 257편 포스터 206편 총 463편

•참석인원 학회회원 및 대학원생, 관계기관 800여명

참여

제9대한국방재학회회장선거

• 일 시 : 2017년 2월 3일(금) 16:00~18:00

• 장 소 : 취영루, 논현동(귀빈실)

• 결 과 : 제9대 학회장 선거에서 박무종 후보가 선거인

단 참석자 34인 만장일치로 당선인으로 선출

8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제1회이사회및선거인단연석회의

•일 시 : 2017년 2월 3일(금) 18:30~21:00

•장 소 : 취영루, 논현동(금실)

•참석자 : 회장단, 특별위원회, 감사, 상치위원회, 이사

(위임자 포함 36인)

•회의 내용

1. 제9대회장선거 결과보고

2. 2016 사업실적 및 결산, 2017 사업계획 및 예산, 신입회

원 승인

2017년3월확대회장단회의

•일 시 : 2017년 3월 25일(토) 09:00

•장 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12층 아이리스홀

•참석자 : 회장단, 회무분과위원회(위임자 포함 18인)

•회의 내용

1. 2017 학회 업무방향 설정

2. 2017 소한천 설계·실무 워크숍 계획

3. 2017 방재의 날 행사계획

4. 기타사항

제9대상치위원회워크숍및임원상견례

•일 시 : 2017년 3월 25일(토) 10:00

•장 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12층 아이리스홀

•참석자 : 회장단, 상치위원회, 이사(위임자 포함 53인)

제2회이사회

•일 시 : 2017년 3월 25일(토) 14:00

•장 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12층 아이리스홀

•참석자 : 회장단, 특별위원회, 감사, 상치위원회, 이사

(위임자 포함32인)

•회의 내용

1. 2017 학회 업무방향 설정

2. 2017 소한천 설계·실무 워크숍 계획

3. 2017 방재의 날 행사계획

4. 기타사항

구분 특별회원사

단체 A두산건설, 대림산업, 에스케이건설, 한국토지주택공사, 대우건설, 한국도로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단체 B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방재정공제회

단체 C㈜에프비지코리아, 한국시설안전공단, ㈜베이시스 소프트, ㈜인터엠

단체(도서관)

국회도서관, 국립산림과학원, 남서울대도서관, 경북대도서관, 경민대도서관, 국립환경과학원, 금오공과대학도서관

계 22개 기관

2017.03 Vol.17 No.2

NEW

MEM

BERS

|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

No. 회원번호 회원명 회원구분 소속 부서 직위 추천인

1 3692 정의인 평생회원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대학원생 김문모*

2 3693 박선종 정회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구조부지평가실 선임연구원 임홍재

3 3694 이겨레 정회원 강원대학교 구조연구실 박사과정 최성용

4 3695 정재환 정회원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석사과정 김문모*

5 3696 강정호 정회원 양대이엔지 경영 이사 구창민

6 3697 안병천 정회원 가천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김문모*

7 3698 안진희 정회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김문모*

8 3699 이창현 정회원 경희대학교 건축구조연구실 석사과정 김문모*

9 3700 김태봉 정회원 한밭대학교 강구조공학 석사과정 김문모*

10 3701 최지훈 정회원 가천대학교 설비소방공학과 대학원생 채승언

11 3702 송태협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연구위원 김문모*

12 3703 정용득 정회원 광운대학교 방재안전 석사과정 이원호

13 3704 방미진 정회원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대학원 석사과정 김문모*

14 3705 김성중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수석연구원 김문모*

15 3706 김현준 정회원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과정 김문모*

16 3707 천영우 정회원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교수 김문모*

17 3708 조양희 정회원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김문모*

18 3709 추다솜 학생회원 경북대학교 건축공학부 학사 신경재

19 3710 고수찬 정회원 롯데 롯데그룹 상무 김문모*

20 3711 이현우 정회원 (주)예담엔지니어링 항만사업부 과장 조용식

21 3712 김진수 정회원 한국수자원공사 충주댐관리단 단장 맹승진

22 3713 김상우 정회원 한국농어촌공사 충북지역본부 사업계획부 차장 맹승진

23 3714 이은형 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김상현

24 3715 윤정원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UST 통합과정 김문모*

25 3716 권회구 정회원 한국안전이엔지 한국안전이엔지 대표이사 김문모*

26 3717 민준기 정회원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이희영

27 3718 박종표 평생회원 주식회사 헥코리아 수자원환경사업부 이사 김문모*

28 3719 이장원 정회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장비센터 센터장 이영삼

29 3720 김종원 정회원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정원석

30 3721 최경민 정회원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학사과정 이정호

31 3722 박영환 정회원 광운대학교 재난안전공학 박사과정 양원직

8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

No. 회원번호 회원명 회원구분 소속 부서 직위 추천인

32 3723 우소영 정회원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33 3724 이원진 정회원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학사과정 이정호

34 3725 정호종 정회원 판교수질복원센터 성남사업소 주임 김문모*

35 3726 김태림 정회원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36 3727 정주영 정회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CT융합신기술개발팀 연구원 김문모*

37 3728 박현진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연구원 김문모*

38 3729 이세명 정회원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조교수 김화영

39 3730 황규관 정회원 충북대학교 내풍방재공학연구실 석사과정 김문모*

40 3731 정예찬 정회원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 석사과정 김문모*

41 3732 조민지 정회원 부산대학교 환경공학전공 석사과정 김문모*

42 3733 양병수 정회원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연구부 선임연구원 송창영

43 3734 백다원 학생회원 부산대학교 수자원환경실험실 학부생 김문모*

44 3735 김우용 정회원 K-water 융합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소 위촉연구원 임정열

45 3736 박예진 학생회원 한국교통대학교 철도시설공학과 석사과정 최상현

46 3737 박상진 정회원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실 석사과정 김문모*

47 3738 김유석 정회원 (주)대우건설 토목플랜트팀 수석연구원 추연욱

48 3739 장은세 정회원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김상현

49 3740 전석현 정회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50 3741 오천영 정회원 파라다이스세가사미 시공관리팀 기계부장 손봉세

51 3742 류동하 정회원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연구원 김문모*

52 3743 한일영 정회원 삼화건설환경(주) 연구개발실 부사장 최흥식

53 3744 홍아리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김문모*

54 3745 아나스타샤안 드라데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55 3746 최영환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박사과정 김문모*

56 3747 김영은 정회원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위촉연구원 김문모*

57 3748 정기문 정회원 경희대학교 수자원시스템공학 박사과정 김문모*

58 3749 최형욱 정회원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류동하

59 3750 이덕재 정회원 환경부 사고대응총괄과 연구원 김문모*

60 3751 이정환 정회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홍수연구소 연구원 김문모*

61 3752 김용민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책임연구원 김문모*

62 3753 윤준성 정회원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 대학원생 김문모*

2017.03 Vol.17 No.2

NEW

MEM

BERS

|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

No. 회원번호 회원명 회원구분 소속 부서 직위 추천인

63 3754 김병찬 정회원 베이시스소프트 연구개발 실장 김문모*

64 3755 권태영 정회원 노아SNC 연구사업본부 대리 장형수

65 3756 박종현 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김용탁

66 3757 박종찬 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구조실험실 석사과정 김문모*

67 3758 최한영 정회원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 정호종

68 3759 이향이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원 김문모*

69 3760 박대용 정회원 서울기전(주) 기술 연구소 연구원 김문모*

70 3761 박찬영 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71 3762 나우영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박통합과정 유철상

72 3763 배민기 정회원 충북연구원 충북연구원 연구위원 김문모*

73 3764 김동준 정회원 (주)파라텍 제조본부 제조본부장 손봉세

74 3765 조병진 정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배현웅

75 3766 김세훈 정회원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 박사과정 김문모*

76 3767 문혜진 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77 3768 김종성 정회원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김문모*

78 3769 박재록 정회원 부산대학교 하천/수자원연구실 박사과정 신현석

79 3770 이칠우 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80 3771 김의용 정회원 (주)아리수엔지니어링 기술 대표이사 이원호

81 3772 나하나 정회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생 김문모*

82 3773 김학열 정회원 (주)세이프코리아 경영지원 대표이사 김문모*

83 3774 최시중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수석연구원 주진걸

84 3775 김봉성 정회원 소나테크 개발2팀 주임 김문모*

85 3776 손기준 정회원 소나테크 연구소 연구원 김문모*

86 3777 김태영 학생회원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학사과정 문대헌

87 3778 배인영 정회원 고려대학교 국제평화협력과 석사과정 김문모*

88 3779 문주환 정회원 성균관대학교 방재안전공학협동과정 석사과정 김문모*

89 3780 전장원 정회원 중앙대학교건설대학원 방재안전및유지관리   김문모*

90 3781 최홍근 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응용수문연구실 석사 김문모*

91 3782 탁성인 정회원 가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박사과정 김문모*

92 3783 홍정선 정회원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김문모*

93 3784 전제찬 정회원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연구원 김문모*

9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

No. 회원번호 회원명 회원구분 소속 부서 직위 추천인

94 3785 윤병하 정회원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전계원

95 3786 백승지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원 김문모*

96 3787 임혜선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연구원 김문모*

97 3788 김생기 정회원 삼광선재 직원 부장 김문모*

98 3789 강다슬 정회원 국민안전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원 김문모*

99 3790 정문경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박재현

100 3791 정원옥 정회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연구위원 윤주웅

101 3792 정지희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책임연구원 김문모*

102 3793 이형래 정회원 (주)전략해양  이사 이사 김문모*

103 3794 장태우 정회원 경기대학교 산업경영공학화 교수 김문모*

104 3795 최상윤 정회원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박사과정 김문모*

105 3796 구 슬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선임연구원 김영

106 3797 서보영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연구원 김문모*

107 3798 김관혁 정회원 한양대학교 해안공학 석사과정 김문모*

108 3799 이은한 정회원 광운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박사과정 이원호

109 3800 유재연 정회원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학사과정 이정호

110 3801 이진우 정회원 광운대학교 재난관리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111 3802 주부석 평생회원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교수 정원석

112 3803 박선빈 학생회원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김문모*

113 3804 최천규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신진연구원 김문모*

114 3805 찬드라 세카라스완디 정회원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석사과정 오랑치맥 솜야

115 3806 장은정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실 연구원 김문모*

116 3807 최정호 평생회원 주식회사 제이컴스 대표 대표이사 김문모*

117 3808 차민호 정회원 비즈(주) 부설연구소 연구원 김문모*

118 3809 이병일 정회원 비즈 연구소 소장 김문모*

119 3810 고미정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연구원 김문모*

120 3811 김다래 정회원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121 3812 이지완 학생회원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박사과정 김성준

122 3813 정충길 정회원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 박사수료 김문모*

123 3814 최성욱 정회원 동신대학교 동신대학교 석사과정 주진걸

124 3815 박정현 정회원 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주진걸

2017.03 Vol.17 No.2

NEW

MEM

BERS

|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

No. 회원번호 회원명 회원구분 소속 부서 직위 추천인

125 3816 김정환 정회원 인하대학교 통계학과 박사과정 김문모*

126 3817 서보람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민안전처 연구원 곽창재

127 3818 김도우 정회원 국립방재연구원 복합재난연구실 연구사 김문모*

128 3819 안희영 정회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연구원 김문모*

129 3820 김태수 정회원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책임연구원 한희수

130 3821 김상일 정회원 한방유비스(주) 설계사업본부 설계사업본부장 김문모*

131 3822 이문석 학생회원 호서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과정 김문모*

132 3823 이진우 학생회원 호서대학교 수공학 학부생 김문모*

133 3824 최민재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연구원 박재은

134 3825 이영섭 정회원 (사)방재관리연구센터 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박미리

135 3826 옥영석 정회원 (사)방재관리연구센터 방재관리연구실 선임연구원 김문모*

136 3827 이재영 정회원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박사과정 김문모*

137 3828 김현일 정회원 경북대학교 수자원연구실 석사과정 한건연

138 3829 김범진 정회원 경북대학교 수자원연구실 박사과정 김문모*

139 3830 이영학 정회원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연구원 이달원

140 3831 장태영 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141 3832 최경철 정회원 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단 기획팀 석사  김문모*

142 3833 박소연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책임연구원 김문모*

143 3834 손정석 정회원 (주)차후 BR사업본부 선임연구원 정덕훈

144 3835 김도연 정회원 (주)차후 BR사업본부 본부장 김문모*

145 3836 유병현 정회원 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신진연구원 김문모*

146 3837 김영곤 정회원 강원대학교 도시환경방재전공 석사과정 김문모*

147 3838 이윤하 정회원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이지수

148 3839 황세운 정회원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교수 김문모*

149 3840 이지수 정회원 경주대학교 원자력방재학과 학과장/조교수 최준호

150 3841 강동호 정회원 강원대학교 도시환경방재전공 석사과정 김문모*

151 3842 김진혁 정회원 강원대학교 도시환경방재공학과 석사과정 김문모*

152 3843 김수현 정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김문모*

153 3844 김지영 정회원 사회안전컨설팅 기술연구소 연구원 김문모*

154 3845 이달원 정회원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교수 김용성

155 3846 김민규 정회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책임연구원 김문모*

92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한국방재학회 신입회원 |

No. 회원번호 회원명 회원구분 소속 부서 직위 추천인

156 3847 최정규 정회원 쌍용양회 동해공장 생산1팀 주임 곽동걸

157 3848 이창재 정회원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연구부 선임연구원 김문모*

158 3849 박홍기 정회원 서울시립대학교 제어계측네트워크 연구실 박사과정 김문모*

159 3850 조현만 정회원 부경대학교 해양공학 박사 전환돈*

160 3851 고광일 정회원 전남대학교 해양토목공학과 교수 이종인

161 3852 장순웅 정회원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 교수 전환돈*

162 3853 이수봉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연구원 김용민

163 3854 김은진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환경 및 건설공학 석사과정 전환돈*

164 3855 박희경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 전환돈*

165 3856 김영탁 정회원 (재)강원테크 강원테크 박사과정  전환돈*

166 3857 김보은 정회원 충북연구원 충청북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전문연구원 배민기

167 3858 김재홍 평생회원 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주진걸

168 3859 김선학 정회원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 김재홍

169 3860 조준원 정회원 대진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장석환

170 3861 오경두 정회원 육사 토목환경학과 교수(학처장) 전환돈*

171 3862 류제완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박사과정 조형민

172 3863 허진호 정회원 (주)모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구조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김희규

173 3864 서현민 정회원 (주)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토목CM부 차장 전환돈*

174 3865 홍미래 정회원 강릉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석사 전환돈*

175 3866 이준오 정회원 티웨이항공 운항통제실 사원 전환돈*

176 3867 라우승 정회원 보험개발원 정책보험팀 부장 전환돈*

177 3868 이춘식 정회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강두기

178 3869 강호선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책임연구원 전환돈*

179 3870 배창연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연구원 강호선

180 3871 이철희 정회원 (사)방재관리연구센터 연구원  전임연구원 이영섭

181 3872 김홍배 정회원 한국도로공사 기술심사처 부장 김낙영

182 3873 차석기 정회원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연구원 전환돈*

183 3874 조계춘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 전환돈*

184 3875 홍창호 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박사과정 조계춘

185 3876 김봉찬 정회원 요코하마 국립대학 환경정보학부 박사과정 서동구

186 3877 박봉진 평생회원 한국수자원공사 한탄강댐관리단 부장 전환돈*

* 추천인 없을 경우 기획부회장을 추천인으로 함

2017.03 Vol.17 No.2

| 한국방재학회 입회안내 |

www.kosham.or.kr

한국방재학회에입회를원하는분은학회홈페이지에서회원으로가입해주시기바랍니다.

향후,이사회의승인을득한후입회가확정됩니다.

•정회원은 방재과학기술에 관련한 과목을 이수한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한 사람, 또는 전문

대학을 졸업하고 관련분야 경력이 2년 이상인 사람들이 되며, 또한 본회 이사회에서 자격이 인정된

사람들이 된다. 정회원은 학회의 임원 선출에 관한 추천권을 포함하여 회원으로서의 모든 권한을

가진다.

•학생회원은 전문대학 또는 대학교 학부에서 관련학과를 전공하는 재학생들이 되며 임원

선출에 관한 추천권은 가지지 못한다. 학생회원은 재학중인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정회원으로의

자격변경 신청을 하여야 한다.

•특별회원은 한국방재학회의 설립취지와 목적에 찬동하는 방재과학기술과 관련된 관공서,

학회, 단체, 도서관 및 이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가입할 수 있다. 특별회원은 재해

영향평가 특별자문, 재해 사전점검 및 계획자문, 방재시설물 계획 및 시공 설계 자문, 건설안전

자문, 기술 교육 등에 최우선 배려와 학회 광고 게재료 할인 및 학회지 배포 등 의 혜택을 부여

한다.

『회원의 입회비와 연회비, 평생회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방재업무 담당 공무원은 이사회의 승인시 입회비를 면제받을 수 있다.

●● 학회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307호

●● 연 락 처 : 전화)02-567-6311 팩스)02-567-6313 이메일)[email protected]

●● 은행계좌 : 기업은행 02-567-63111 예금주 : 한국방재학회

●● 지로번호 : 6322818

94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한국방재학회 특별회원사입회신청서 |

본 서식을 작성하셔서 아래의 팩스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회원번호 분 류 단체A, 단체B, 단체C, 대학도서관

접 수 20 년 월 일 인 준 20 년 월 일

단 체 명(기관명)

사업자 등록번호

대표자 직위 및 성명

주 소 : ( - ) 전 화 : ( )

FAX : ( )

E-mail

www. Home Page

담당자 직위 및 성명

회원사의 업무 분야

본인(단체)은 귀 학회의 목적에 동의하여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합니다.

첨부 : 사업자등록증 사본

20 년 월 일

신청인

(사)한국방재학회장 귀하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307호

전화) 02-567-6311 팩스) 02-567-6313 이메일) [email protected]

2017.03 Vol.17 No.2

| 한국방재학회지 광고신청서 |

본 서식을 작성하셔서 아래의 팩스나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신청기관

업체명

주소지

학회지 배송지

담당자 성명 부서 직위

연락처사무실 팩스 휴대폰

e-mail

2.신청내역및금액

구분 표2 표3 표4 앞내지 뒷내지

1회 1,000,000 1,000,000 1,200,000 1,000,000 800,000

1년(6회) 5,400,000 5,400,000 6,480,000 5,400,000 4,320,000

※ 한국방재학회지는 년 6회 발간됨

※ 1년 광고시 10% DC적용(특별회원사 10%DC 별도)

※ 계좌 : 기업 02-567-63111 / 예금주 : (사)한국방재학회

3.광고내용

- 광고형식 : B5 사이즈, 고해상도의 JPG 파일 또는 AI파일

게재면표2 표3 표4 앞내지 뒷내지

( ) ( ) ( ) ( ) ( )

게재월 1월호( ), 3월호( ), 5월호( ), 7월호( ), 9월호( ), 11월호( )

희망횟수 ( ) 회 광고 게재

귀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에 광고를 게재하고자 위와 같이 신청합니다.

첨부 : 사업자등록증 사본(계산서 발행용)

20 년 월 일

업체명

대표자(또는 담당자)

( 사 ) 한 국 방 재 학 회 장 귀 하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307호

전화) 02-567-6312 팩스) 02-567-6313 이메일) [email protected]

96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한국방재학회 국문논문집 |

Vol. 17, No. 1 (Feb. 2017)

k-12 학교 범죄예방환경개선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김진욱 1

건설안전사고 사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기법 적용 김연철·유위성·신윤석 7

샌드위치 패널 (대형물류)창고 실태조사를 통한 화재 시 건축적 대응 방안 기초연구

김동범·장주환 15

접합부의 형상비가 기둥-슬래브 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주하·이병수 23

화재 시 건축물의 개구부 개폐 여부에 따른 구조 성능 변화 예측을 위한 해석 연구

류진아·김희선 31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과 지지부 조건이 고려된 넓은 보의 전단강도 산정식 제안

이창현·이영학·강현모·김민숙 39

등가손상지수와 WIM 데이터를 이용한 잔존 피로수명 예측 - 1. 간편한 피로수명 평가법 제안 -

최진웅·박민석·김병화 47

등가손상지수와 WIM 데이터를 이용한 잔존 피로수명 추정 - 2. 감천교 피로수명 평가 -

최진웅·박민석·김병화 53

레일의 자기이력곡선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박범호·윤경민·이수열·손대락·임남형 61

SWMM의 관망 구성 밀도에 따른 도시 침수 범람 해석의 정확성 평가

박종표·강태욱·이상호 71

도시유출모형 관망 입력자료 자동추출 프로그램(SS-NET) 개발 박종표·이소영·이병주 79

영구 저류지 건설에 따른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효과분석 연구

이범섭·고건호·강호영·문영일 87

상수관망 지진재해 신뢰성 모형의 민감도 분석 유도근·강두선·박무종·주진걸 95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한 현 저수량 기준의 가뭄 대응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의 결정 및

저수지 운영 진영규·이상호·정태훈 107

토석류 모니터링 계측자료 신뢰도 향상을 위한 중앙값필터와 칼만필터 적용

김종락·유광태·장수현·박기정·이득수 117

RUSLE기법을 활용한 사방댐 유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및 유역특성 분석

지용근·박인찬·김병식 123

고온 환경에서 소방활동에 따른 심박수, 체온 및 염증지표의 연관성 유동훈·방창훈 131

공조겸용 제연시스템의 성능확보를 위한 압력손실에 관한 연구 김길중·민세홍 137

서울시 소방서비스의 공간적·사회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이달별 145

유리커튼월 시스템에서 커튼월용 노즐과 윈도우 스프링클러의 열차단 성능 분석

김지태·남준석·홍기배·김동준·성건혁·유홍선 155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제조시설 화재위험 예측모델 개발 연구

최우일·김연수·장대원·김길호·정윤섭 161

2017.03 Vol.17 No.2

| 한국방재학회 국문논문집 |

Vol. 17, No. 1 (Feb. 2017)

재하가열조건하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화재응력 저감도 분석 연구 황규재·여인환 169

전산유체해석에 의한 원전 정비편의시설의 위험성 평가 조남진·임동수·김도형·윤기열 177

소방 구조 활동을 위한 실시간 영상 개선 시스템에 대한 연구 김상준·임태섭·석재왕 183

교통분야 국가기반시설 재난관리 고도화 방향 송창영·박상훈 193

교량구간의 급속경화궤도 거동분석 최원석·이희영·이일화·장승엽·정원석 203

비규격 비닐하우스 보험심사를 위한 설계강도 산출모형 개발

김진호·김준영·이승수·변지석·정근채 209

해양자원이송용강관에 미치는 압축부 부분손상의 영향분석

마호성·조효상·원정훈·박상기·조광일 219

줄눈 채움재 크기에 따른 투수 블록 포장의 표면 침투율 이은구·김 건·안재훈·신현석 227

수치모형을 이용한 우수관거 내 토사퇴적량 산정 송양호·윤 린·이정민·이정호 235

온실에 대한 적설심 설계기준 개선방안 유인상·이영우·정상만 243

호우의 역추적기법을 적용한 예측강우 편의보정 나우영·조은샘·이진욱·유철상 253

기준저수량 산정에 따른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성 평가 -내성천유역을 중심으로-

임지상·강신욱·김한나·이을래 265

다기준 의사결정방법을 이용한 홍수방어 대안 선정 강성규·최시중·이동률 279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유역의 수문학적 지역화 -경기도 내 30개 지구를 대상으로-

노용훈·이진욱·조은샘·유철상 287

추정오차분석을 통한 최적 강우관측망 구축에 대한 연구 이지호·전환돈 301

Cool Roof Database 분석을 통한 스테인리스 지붕재의 요구 성능에 관한 연구

박상우·양종민·이은택 313

일 강수량자료의 시간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추계학적 점 강우모형의 적용

이옥정·최정현·장수형·김상단 323

개발사업에 대한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 최종수·이정민·이승재 339

건물침수지역과 시가지유형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강상준 347

광역도시 사회경제적 재해 취약성 평가 박윤경·차우영·김정숙·김상단 353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충주댐 유역 미래 PMP 산정 이옥정·조덕준·김상단 365

도심수로내 조류발생 예측을 위한 CE-QUAL-W2 모델의 적용

김백중·백종석·이상진·정선아·김형산 375

보 건설 후 낙동강 하류 물금 지역의 수환경 및 조류 발생 특성 변화

김영우·이재호·박태주·변임규 383

빗물펌프장 운영시나리오에 기반한 홍수재해저감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심규범·조덕준·김응석 393

지역대기모델을 이용한 우리나라 최대 강수량 추정을 위한 사전 연구 -태풍 루사 강수량 재현-

이정훈·최정현·정현교·김상단 401

98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03 Vol.17 No.2

JDM Vol.2, No.1(January, 2017)

1. Production of Urban Debris Flow Hazard Maps: Case study in Daegu, Korea

Yoonkyung Park, Mookwang Sung, Wooyoung Cha, Sangdan Kim

2. Real Scale Experiments on Vehicle and Pedestrian Swept Away due to Rapid Flows

Dojoon Jung, Joongu Kang, Hong-Koo Yeo, Yonguk Ryu

3. Development of Large 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rototype for the Small Stream

Discharge Monitoring

Tae Sung Cheong, Taekjo Ko, Hyeonseok Choi, Seojun Kim

4. Preparation for Livelihood-Connected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Based on Empirical

Experiments

Jaeseung Joo, Dojoon Jung, Hyun Seung Cho

5. Manipulating Flood Simulator by Hand Gesture Interface

Eui Chul Lee, Dojoon Jung

Jour

nal o

f Disa

ster M

anag

emen

t

한국방재학회 영문논문집 발간안내

•저널명 : Journal of Disaster Management

•발간월 : 매년 1월, 4월, 7월, 10월

•저널홈페이지 : http://www.kojdm.or.kr

•투고시스템 : http://submission.j-kosham-eng.or.kr/

2017.03 Vol.17 No.2

| 한국방재학회 국문논문집 투고안내 |

우리학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방재학회논문집’은 한국연구재단의 학술등재지로서 일반

논문과 긴급논문 두 가지 방법으로 논문접수를 받고 있사오니 회원님들의 많은 관심과 투고

바랍니다.

[참고사항]

>> 일반논문 : 심사기간은 2주이며 게재가, 수정후게재가, 수정후재심, 게재불가로 판정됨

>> 긴급논문 : 심사기간은 10일이며 게재가, 수정후게재가, 게재불가로 판정됨

• 기타 : 논문투고는 홈페이지상의 논문투고시스템으로 투고해 주셔야 하며, 논문투고자는

미납연회비가 없는 정회원이어야 합니다.

●● 논문투고료(심사료)

>> 일반 논문투고료(심사료) : 60,000원

>> 긴급 논문투고료(심사료) : 150,000원

●● 논문게재료

※ . 한국방재학회 논문투고규정이 일부개정됨에 따라 2015년 1월부터 투고되는 논문의 기본 게재면수가 현재 8

쪽에서 6쪽으로 변경되었으며, 초과게재료가 상기와 같이 조정되었기에 `한국방재학회 논문집`에 투고하시는

회원님께서는 참고하여 주십시오.

●● 학회 입금계좌 : 기업은행 02-567-63112 예금주 : 한국방재학회

●● 논문구독을 희망하시는 분은 학회 홈페이지(http://www.kosham.or.kr)의

「논문구독신청」를 클릭하시어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논문구독료 20,000/년)

●● 문의 Email : [email protected]

감사합니다.

논문집편집위원회 위원장 이정호

100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한국방재학회지 투고안내 |

회원·비회원여러분의투고를환영합니다.

게재된원고에대해서는소정의원고료를드립니다.

※ 투고하실 때에는 다음과 같은 투고요령을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1. 원고는 HWP(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시고, 학회 이메일([email protected])로 원고

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2. 원고 분량은 A4용지 기준으로 4~7쪽(글자크기 11p, 줄간격 160%) 내외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권두언(시론)은 분량과 상관없음

3. 원고의 상단에는 투고자의 성명, 직장, 직위, 사진, 이메일 주소를 정확히 기재하여 주시고,

저자수는 3명 이내로 하여 주십시오.

4. 원고는 한글전용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 한자 및 외국어 표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 )속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본문, 그림, 표, 참고문헌 인용방법 등은 인터넷 홈페이지의 논문집 투고규정 및 논문작성

방법을 따라 주시기 바라며, 단위 표기는 SI 단위계를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원고를 투고하실 때 메일에 소정의 원고료 입금을 위한 계좌번호와 학회지를 받으실 주소를

명기하여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2017. 03 Vol.17 N

o.2

한국방재학회지 2017.03 통권 72호

Vol. 17 No. 2

한국방재학회지

The Magazine 2017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ISSN 1738-2416

www.kosham.or.kr

특집 빅데이터와 방재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빅데이터와 방재 : 두 가지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스마트 도시방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빅데이터와 대기확산테러 대응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험기반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