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korea 20130609

28
스트롱코리아 2020 2013.6. 10 스트롱코리아 2020 연구진 트리움 한국경제 한국연구재단

Upload: leo-kim

Post on 02-Jul-2015

177 views

Category:

Government & Nonprofit


2 download

DESCRIPTION

Treum's Consulting report on Creative Economy in 2013 / Keynote speech at STONG Korea in 9 June 2013

TRANSCRIPT

Page 1: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코리아 2020

2013. 6. 10

스트롱코리아 2020 연구진

트리움 한국경제 한국연구재단

Page 2: STRONG KOREA 20130609

목차

1.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1.  스트롱코리아란?

2.  창조경제를 위해 시급한 과제 및 자질

3.  스트롱코리아의 주안점

2.  스트롱코리아를 통한 국가 발전 방향 1.  새로운 지식산업 육성할 페러다임의 출현이 필요

2.  과거 벤처 산업화: 벤처인 역량 미비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

3.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조건

3.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1.  기업인의 역량 : 전문성과 근면함 만으로는 부족 - 다양한 가치(도덕성, 창의성, 리더십) 필요

2.  선진국들은 교육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육성

3.  우리나라, 교육 트랙 다원화를 통해 지식창조인력의 기업가 정신 육성 필요

4.  다양한 창업기회 제공으로 행복한 일자리를 추구해야

4.  결론 1.  성공적 달성을 위한 제안

2.  기업가 정신 참양한 지식창조인력을 통해 창업 생태계 구축

3.  SK plus를 제안하며: 새로운 인재 양성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4.  새로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2 / 26

Page 3: STRONG KOREA 20130609

1.  스트롱 코리아란?

2.  창조경제를 위해 시급한 과제 및 자질

3.  스트롱코리아의 주안점

3 / 26

1.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Page 4: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스트롱 코리아란? 4 / 26

Page 5: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스트롱 코리아 2020 연구 : 오피니언 리더 설문 조사

설문����������� ������������������  주관:����������� ������������������  트리움����������� ������������������  설문����������� ������������������  기간:����������� ������������������  ����������� ������������������  2013.5.����������� ������������������  20����������� ������������������  -����������� ������������������  25����������� ������������������  대상:����������� ������������������  오피니언리더����������� ������������������  43인����������� ������������������  

김재홍 나승일 이상목 한정화 김기문 남민우 손경식 이희범 강성원 권오준 김외현 윤부근 안승권 양웅철 이종근 하성민 변대규 양윤선 한경희 황철주 김기현 김영환 나성린 김종준 민병덕 서진원 이순우 강성모 김병철 신성철 임덕호 정갑영 김흥남 문길주 박상대 송종국

오세정 이승종 이준승 정연호 김명환 송재훈 이민화

창조적 경제 생태계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주요 핵심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정관계, 교육계, 재계 오피니언 리더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5 / 28

Page 6: STRONG KOREA 20130609

Q2. 창의적 혁신 위주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가장 취약한 자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0

2

4

6

8

10

12

도전정신 창의성 위험감수 다른 사고에 대한 유연성

25.6%

18.6%

11.6%

7.0%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창조경제를 위해 시급한 과제 및 자질 (설문조사 결과) 6 / 26

설문����������� ������������������  주관:����������� ������������������  트리움����������� ������������������  설문����������� ������������������  기간:����������� ������������������  ����������� ������������������  2013.5.����������� ������������������  10����������� ������������������  -����������� ������������������  25����������� ������������������  대상:����������� ������������������  오피니언리더����������� ������������������  43인����������� ������������������  

Q1. 벤처 및 창의적 지식기반 산업의 발전을 위해 무엇이 가장 시급히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기반 조성 자금 확보 산업 세계화 우수 인력 확보 지원 기업인 역량 강화 사회 인식 개선

22.0%

13.0%

26.2%

23.1%

15.8%

Page 7: STRONG KOREA 20130609

동기부여 아이디어

산업 확대

비즈니스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스트롱코리아 2020 주안점 (1) : ‘Human Factor’가 가장 중요

혁신

창의적 제도

행위자 동기부여

7 / 26

사람

•  사람이 가치(Value)를 창조하는 주인공이다

Page 8: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 코리아와 대한민국 혁신

스트롱코리아 2020 주안점 (2) : 지식창조인력 양성 •  새로운 국가 위상에 맞게 미래를 위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지식 창조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8 / 26

Page 9: STRONG KOREA 20130609

1.  새로운 지식산업 육성할 패러다임의 출현이 필요

2.  과거 벤처 산업화: 벤처인 역량 미비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

3.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조건

9 / 26

2. 스트롱 코리아를 통한 국가발전 방향

Page 10: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 코리아를 통한 국가발전 방향

새로운 지식산업 육성할 패러다임의 출현이 필요 10 / 26

Page 11: STRONG KOREA 20130609

0

5

10

15

20

25

30

매우 큰 성과 대체로 성과 그다지 없음 거의 없음

11.6%

60.5%

20.9%

7.0%

0

1

2

3

4

정부의 인위적 주도 벤처 산업의 세계화 미비 벤처 캐피탈 지원 부족 벤처인 역량 미비 사회적 이해 부족

27.3%

18.2%

0

36.4%

18.2%

스트롱 코리아를 통한 국가발전 방향

과거 벤처 산업화: 벤처인 역량 미비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

Q3. 2000년대 초 정부의 벤처 산업 발전 노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Q4. 성과가 적었다면 가장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1 / 26

Page 12: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 코리아를 통한 국가발전 방향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조건 (1): 핵심은 사람과 네트워크

창조 인재 / 문화 육성형

캐나다, 호주

문화, 교육방식, 사고방식 등 창조 인재 육성 인프라에 대한 강점을 경쟁 우위 요소로 특화

관용지수 (1위) 교육춤질 (2위) 학업 성취도 (5위) 표현 문화 지수 (6위)

이스라엘 “벤처 창업 – 성장 – Exit – 재투자” 의 생태계 선순환 구조의 반복 적용을 통한 “창업 국가” 모델 확립 창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11위) Angel 네트워크 / 클럽수 (1위) 파산 절차 용이성 지수 (3위)

미국, 영국, 프랑스 벤처 성장 단계별 자본 시장의 분업 및 협업 구조로 투자 전문성 및 효율성 극대화 - 초기 : 엔젤 투자 -  성장기 : VC -  도약기 : PE / 대기업 M & A 수 (1위) IPO 수 (1위) 벤처 캐피털 투자 규모 (4위)

핀란드, 스웨덴 나노, 바이오, 제약산업 등 첨단/융합 산업 발전에 집중, 대/중소 기업, 대학 간 협업 및 상생 기반 구축 산업 클러스터지수 (1위) ICT 이용성 지수 (4위) 산학 협력 지수 (4위)

주요 국가

특성

주요 지표

자본 주도 육성형 창조산업 / 융복합 육성 벤처 / 창업 생태계 육성형

다원성의 창의적 인재 투자자 인적 네트워크 자본 시스템의 발달 긴밀한 산학 주제간 협력

핵심은, 수준 높은 대학과 역량있는 주체들간의 네트워킹! 출처: 창조경제리포트 (DBR, 2013. 5. 25)

12 / 26

Page 13: STRONG KOREA 20130609

ㅍ����������� ������������������  

도전정신 위험감수

스트롱 코리아를 통한 국가발전 방향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조건 (2): High Value의 선순환 - 성공적인 창업과 선순환 통한 잠재가치의 실현

창의성 다원성

창업교육 초기투자

현장 멘토링 장기 투자

창업 비전 핵심 가치 매니지먼트

장기 리더쉽

장기 인재 양성 사회적 가치 창출

High Value 리더쉽 사회적 존경

동기부여 아이디어

산업 확대

비즈니스

13 / 26

Page 14: STRONG KOREA 20130609

1.  기업인의 역량 : 전문성과 근면함 만으로는 부족 – 다양한 가치(도덕성, 창의성, 리더십) 필요

2.  선진국들은 교육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육성

3.  우리나라, 교육 트랙 다원화를 통해 지식창조인력의 기업가 정신 육성 필요

4.  다양한 창업기회 제공으로 행복한 일자리를 추구해야

14 / 26

3.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Page 15: STRONG KOREA 20130609

ㅍ����������� ������������������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기업인의 역량, 전문성과 근면함 만으로는 2% 부족 - 다양한 가치 (도덕성, 창의성, 리더십) 필요

도전정신 위험감수

창업 비전 핵심 가치 매니지먼트

장기 리더쉽

장기 인재 양성 사회적 가치 창출

High Value 리더쉽 사회적 존경

창의성 다원성

창업교육 초기투자

현장 멘토링 장기 투자

아이디어

비즈니스

?����������� ������������������  

동기부여

산업 확대

15 / 26

Page 16: STRONG KOREA 20130609

16 / 26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창의성이 최우선적 개선 과제이며 리더십에 대한 집중 교육 필요

최우선 개선 덕목 유지 관리 덕목

중점 개선 덕목 상대적 강점 덕목

����������� ������������������  ����������� ������������������  ����������� ������������������  

����������� ������������������  ����������� ������������������  ����������� ������������������  

높음

낮음

향 후 집 중 도

낮음 높음 현재수준

창의성

공학윤리

리더십

열정

전문성 문제해결능력

공학한림원, “우수인력 양성 종합 보고서” (2013.1)

•  공학한림원 설문조사(2013) 결과에 대한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

Page 17: STRONG KOREA 20130609

17 / 26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전문성 외에 다양한 가치(도덕성, 창의성, 리더십)를 함양하길 원해

글로벌이슈 자랑스러움

리더십

엔지니어모델

자랑스런 엔지니어들의 덕목들 사이의 배치 (대학생 대상 설문)

창의성

나의모델 도덕성

전문성 부의창출

국가발전

공학한림원, “우수인력 양성 종합 보고서”(2013.1)

분석 결과의 함의

•  대학생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한 MDS (Multi-dimensional scaling) 통계 분석

대학생들은 ‘나의 모델’ 이 되는

자랑스러운 엔지니어의 조건으로

‘도덕성’ 을 가장 기대하고 있음

Page 18: STRONG KOREA 20130609

미, 유럽 등 주요국 기업가정신의 육성은 엔지니어의 창업이전 단계 pre-start-up 에서 창업 이후 초기기업 early post-start-up 단계에 지원에 집중

중등교육부터 시작하여 대학 - 대학원까지 기업가정신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계

기업가 본연의 역량 과 전문성 의 두가지 영역을 중점적으로 개발

기업가적 역량 :

기업가적 포부 ( 포부, 글로벌 마인드, 자기성찰,

인문/사회/문화적 지식, 사회적 책임)

혁신성 ( 문제해결지향, 고객지향, 관찰력 ) 진취성 ( 도전정신, 자기주도성, 목표지향 )

위험감수 ( 모호함에 대한 인내, 위험감수 ) ����������� ������������������  

전문역량 :

지식재산기반능력 (지식재산기반 기술능력, 기초학문분야에

대한 지식,지식재산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

인지적 능력 ( 분석적 사고능력, 전략적 사고능력 )

대인관계 능력 ( 협상능력, 네트워킹, 팀워크 )

기술사업화 능력 (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시장조사 및

마케팅 능력, 비즈니스 모델 개발능력 ) ����������� ������������������  

18 / 26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선진국, 교육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육성에 심혈을 기울임

Page 19: STRONG KOREA 20130609

19 / 26

우리나라의 교육 과정, 기업가 정신 함양 크게 미흡

GEM (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 연구 결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은 국가의 경제적 발전과 고용 창출에 매우 중요한 영향 요소 임에도

국내의 경우 초•중•고 교육과정 에서의 기업가 정신 교육은 아직 크게 미흡

고등학교 교육에서 부분적으로 창업 및 기업경영에 대한 교육을 받고 있을 뿐이며,

학교 영역 내의 ‘ 비즈니스 ’, ‘ 창업 ’, ‘ 기업가정신 ’ 교육은 절대적으로 부족

대학 교육과정 역시 마찬가지

초중등교육 단계에서부터 창의적 교육 + 기업가정신의 강화가 필요

미래 우리나라를 이끌고 나아갈 기업인 육성에 필요한 기업가 정신 교육이 절실,

기존의 획일화된 인력 육성 트랙으로는 향후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산업계 리더를 양성할 수 없음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Page 20: STRONG KOREA 20130609

20 / 26

교육 트랙 다원화를 통해 지식창조인력의 기업가 정신 육성 필요

한국의 대학교육 : 창업 생태계 구축 위해 대학원 과정에서 트랙의 이원화 필요

학문적 경로(Academic Track) + 창업 경로 (Entrepreneurial Track)

Academic track

Entrepreneurial track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Page 21: STRONG KOREA 20130609

21 / 26

창업 등 다양한 기회 제공으로 행복한 일자리를 추구해야 이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McKinsey (2013), Beyond Korean Style: Shaping a New Growth Formula Inspired by "The story of Mr. Kim(s)": The mono-track of frustrated Korean elites

Page 22: STRONG KOREA 20130609

22 / 26

4. 결론

1.  성공적 달성 위한 제안

2.  기업가 정신 함양한 지식창조인력을 통해 창업 생태계 구축

3.  SK plus를 제안하며: 새로운 인재 양성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4.  새로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Page 23: STRONG KOREA 20130609

23 / 26

성공적 달성 위한 제안 결론

어릴때 부터 육성하여 기업에서 꽃피우게 하자

새로운 기업가정신을 통해서 행복한 일자리를 창출하자

창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인재양성 패러다임을 구축하자

Page 24: STRONG KOREA 20130609

24 / 26 결론

기업가 정신 함양한 지식창조인력을 통해 창업 생태계 구축

ㅍ����������� ������������������  

창업교육 초기투자

페이팔 네트워크: Exit 후 새로운 비즈니스 선순환 및 멘토링

한국에도 태터앤컴퍼니 출신들이 비슷하게 멘토 네트워크를 형성

도전정신 위험감수

창의성 다원성

현장 멘토링 장기 투자

Business Creation

창업 비전 핵심 가치 매니지먼트

장기 리더쉽

Industrial Expansion

장기 인재 양성 사회적 가치 창출

High Value 리더쉽

사회적 존경

동기부여

아이디어

Page 25: STRONG KOREA 20130609

25 / 26 결론

Strong Korea Plus : 새로운 고급인재양성 프로그램 제안

Page 26: STRONG KOREA 20130609

26 / 26

새로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결론

Page 27: STRONG KOREA 20130609

감사합니다����������� ������������������  

Page 28: STRONG KOREA 20130609

스트롱코리아 2020

2013. 6. 10

스트롱코리아 2020 연구진

트리움 한국경제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