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 programs at a glance - file.hanrimwon.comfile.hanrimwon.com/psk/images/b.pdf · 16 2017...

43
14 2017 Spring Scientific Programs at a Glance Conference Room A (2F) Conference Room B (2F) Conference Room C (2F) Conference Room D (2F) Conference Room E (2F) Conference Room F (2F), etc 09:00-10:00 Registration (Lobby, 1F) Poster Posting Ⅰ (Lobby, 1F) Young Scientists Session 1 Young Scientists Session 2 Poster Posting Ⅰ (Lobby, 1F) 10:00-12:20 [S1] Cutting-Edge Analytical Techniques in Forensic Science [S2] Biological and Chemical Diversity of Natural Products [S3]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Novel Therapeutics [S4] Outcome-Based Education (OBE)! A New Paradigm of Educational Reform: From Theory to Practice [S5] Current Trend of Biotechnology Based Drug Delivery System [S6] The Presence and Future at Subcellular Organelles 12:30-13:30 Luncheon (Cafeteria, 1F) [S7] Luncheon Symposium: Analysis of Pharmceutical Components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Dong-il Shimadzu Corp.) ※ Lunch Included Luncheon (Cafeteria, 1F) 13:30-14:20 [PL] Plenary Lecture "Anti-tumor Immunity of GITR Ab and a New APC Based Therapeutic Vaccine" - Kang, Chang-Yuil (Conference Room A+B, 2F) 14:30-16:50 [S8] Development of Immunothera- peutics in Korea [S9] Novel Strategies for Cancer Therapies [S10] Cancer Therapeutics Development via Drug Development Network (DDN): The 4th Wave in Science (Drug Development Network) [S11] Implementation and Impact of Multidisciplinary Team-Based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S12] Natural Product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13]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Student Practice Experiences in Pharmacy School [S14] Regulatory Issues and Related Policy for Biotherapeutics (KBioHealth NDDC/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14:30-16:5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uditorium, 2F, No. 202) 17:00-18:00 Poster Standing Ⅰ (Lobby, 1F) General Assembly (Conference Room C, 2F) 18:00-20:00 Gala Dinner (Conference Room A+B, 2F) Open Innovation for Pharmaceutical Sciences and New Drug Development 2017. 4. 20.(Thu)

Upload: others

Post on 03-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14

2017 Spring

Scientific Programs at a Glance

Conference Room A (2F)

Conference Room B (2F)

Conference Room C (2F)

Conference Room D (2F)

Conference Room E (2F)

Conference Room F (2F), etc

09:00-10:00Registration (Lobby, 1F)

Poster Posting Ⅰ (Lobby, 1F)Young Scientists

Session 1Young Scientists

Session 2Poster Posting Ⅰ (Lobby, 1F)

10:00-12:20

[S1] Cutting-Edge

Analytical Techniques in

Forensic Science

[S2] Biological

and Chemical Diversity of

Natural Products

[S3]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Novel

Therapeutics

[S4] Outcome-Based Education (OBE)! A New Paradigm of Educational Reform: From

Theory to Practice

[S5]Current Trend of Biotechnology Based Drug

Delivery System

[S6]The Presence and Future

at Subcellular Organelles

12:30-13:30 Luncheon (Cafeteria, 1F)

[S7] Luncheon Symposium: Analysis of Pharmceutical Components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Dong-il Shimadzu Corp.)

※ Lunch Included

Luncheon (Cafeteria, 1F)

13:30-14:20[PL] Plenary Lecture "Anti-tumor Immunity of GITR Ab and a New APC Based Therapeutic Vaccine"

- Kang, Chang-Yuil (Conference Room A+B, 2F)

14:30-16:50

[S8] Development of Immunothera-

peutics in Korea

[S9] Novel Strategies

for Cancer Therapies

[S10] Cancer

Therapeutics Development

via Drug Development

Network (DDN): The 4th Wave in

Science(Drug

Development Network)

[S11] Implementation and Impact of

Multidisciplinary Team-Based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S12] Natural Product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13]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Student Practice Experiences in

Pharmacy School

[S14]Regulatory Issues and Related

Policy for Biotherapeutics(KBioHealth NDDC/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14:30-16:5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uditorium, 2F, No. 202)

17:00-18:00Poster Standing Ⅰ (Lobby, 1F)

General Assembly (Conference Room C, 2F)

18:00-20:00 Gala Dinner (Conference Room A+B, 2F)

Open Innovation for Pharmaceutical Sciences and New Drug Development

2017. 4. 20.(Thu)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15

2017. 4. 21.(Fri)

Conference Room A (2F)

Conference Room B (2F)

Conference Room C (2F)

Conference Room D (2F)

09:00-10:00Registration (Lobby, 1F)

Poster Posting Ⅱ (Lobby, 1F) Young Scientists Session 3

Young Scientists Session 4

10:00-12:20[S15]

Cutting-Edge Bio Imaging Technology

[S16] Application of Cutting-

Edge Omics Technologies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S17] The Future of Employment and Professionals

Training of Pharmaceutical Industries

12:30-13:30 Luncheon (Cafeteria, 1F)[S18] Luncheon Symposium: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INIST (INIST Corp.) ※ Lunch Included

13:30-14:20 [S19] Seoripul Pharma Forum: The Role of PSK for Pharmaseutical Industry (Conference Room A+B, 2F)

14:30-16:50[S20]

Development of Nanomedicine

[S21] Translational Chemistry for Target Validation

[S22] Autophagy: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herapeutic Targets

[S23] Strategy to Improve

Patent and Technology Transfer of University

17:00-18:00 Poster Standing Ⅱ (Lobby, 1F)

18:00 Closing

Poster Posting & Standing Ⅰ 2017. 4. 20(Thu)

P3. Pathology / Physiology, P5. Microbiology / Immunology, P7. Pharmacognosy / Oriental Medicine, P8. Analytical Chemistry, P9. Pharmaceutics / Physical Pharmacy, P10. Clinical Pharmacy / Pharmacy Practice / Hospital Pharmacy,

P11. Industrial Pharmacy / Social Pharmacy

Poster Posting & Standing Ⅱ2017. 4. 21(Fri)

P1. Pharmacology, P2. Toxicology / Hygienics, P4. Biochemistry, P6. Medicinal Chemistry

16

2017 Spring

Symposia SynopsisPlenary Lceture

Anti-tumor Immunity of GITR Ab and a New APC Based Therapeutic VaccineGITR 항체와, 새로운 항원제시세포 치료 백신의 항암 면역 반응

Thursday, April 20th, 2017, 13:30-14:20, Conference Room A+B

본 기조강연에서는 세계적으로 개발 되고 있는 다양한 암 면역치료에 대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이와 더불어 본 연구진이 개발하고 현재 임상시험이 진행중인 B세포 및 단핵구 기반 항암 면역 치료 백신의 효능 및 치료기전을 소개한다. 본 연구진이 개발한 면역 치료 백신은, NK, CTL을 포함한 인체에서 가용한 대부분의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암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히고 해당 내용을 Nature Medicine에 게재한 GITR 공자극 항체가 CD4 세포의 아형인 Th9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항암 면역반응을 일으킨다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Symposium 1

Cutting-Edge Analytical Techniques in Forensic Science첨단 분석기법의 법과학적 응용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A

법과학(Forensic Science)은 첨단 분석기법과 약물학/독성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불법마약류, 부정의약품, 부정식품, 농약을 비롯

한 기타 독극물과 관련된 사건사고 및 범죄 해결을 위한 응용학문 분야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가 되는 마약류나 의약품, 독극물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산, 유통, 사용과 관련된 범죄해결을 위하여 첨단 분석기법의 개발과 응용이 필수적이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첨단 분석기법의 법과학적 응용’이라는 주제로 법과학 분야에서의 첨단 분석기법 개발과 응용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토론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법과학 전문가 2인을 비롯하여 이 분야

에서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 중인 4인의 연자로 심포지엄을 구성하였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대구과학수사연구소의 민지숙 박사는 법과학 분야에서 다동위원소 분석의 응용에 대하여 실제 사례와 함께 강연할 예정이며, 한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문준

관 교수는 농약 중독과 관련하여 다양한 생체시료에서 농약의 동시분석법 개발 및 응용에 관하여 강연할 예정이다. 또한, 국립과학

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의 장문희 박사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타액에서의 약물분석의 법과학적 활용에 대한 강연을 통해 기존의 약물분석 시료인 혈액의 대체시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순천대학교 약학대학의 백만정 교수는 신종마약인 γ-hydroxybutyric acid 노출에 따른 유기산 및 아미노산 대사변화를 통해 γ-hydroxybutyric acid의 영향과 향후 진단기법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Symposium 2

Biological and Chemical Diversity of Natural Products천연물 신약소재의 생물 및 구조 다양성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B

의약품 개발의 중요한 자원으로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생물다양성협약에 따라 그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고 지속가능한 천연물

자원 확보를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심포지엄은 의약품 개발에 있어서 천연물 신약소재의 생물 및 구조 다양성 연구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에 대해 논의한다. 중국 Guangxi Normal University의 Heng-Shan Wang교수는 중국 YAO민족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오동찬 교수는 곤충 공생균으로부터 신규 생리활성 천연물 발

17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심상희 교수는 약용식물 내생균이 생산하는 생리활성 대사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성균관대학교 김기현 교수는 한국자생 야생버섯으로 부터 분리된 물질의 생리활성에 대해 많은 연구 결과를 얻고 있다.

Symposium 3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Novel Therapeutics혁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융합학문적 접근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C

본 심포지엄은 치료제 개발을 위해 약물 디스커버리 과정에 도입될 수 있는 융합학문적 성격의 관련 연구 내용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주제는 NT, BT, IT 융합연구로써 도출될 수 있는 약물전달체, 면역치료제, 및 분자수준에서의 약물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

로, 이러한 융합적 성격의 학문이 약물 디스커버리 과정에 응용되어 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임용택 교수의 연구는 면역세포의 항암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입자의 합성 및 모듈레이터로써의 효과를 세포 및 동물 수준에서 관찰하는 것이

다. 정형일 교수의 연구 내용은 Nanoelectromechanical system을 이용해 제작한 패터닝을 통해 마이크로 및 나노실린지 어레

이를 개발하였고 이것의 약물 전달체로써의 효과와 그 응용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전상용 교수는 인체의 담액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적갈색 색소체인 빌리루빈을 기초로 한 새로운 개념의 다기능성 약물전달 나노입자의 합성 및 그 효능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송준명 교수는 항균성을 갖는 은나노입자의 모양의 따른 피부투과도 및 분자수준에서 약물 효능 평가를 위한 스크리닝 도구로써 잉크젯 프린팅에 기반한 효소 저해 에세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지연교수는 약물의 표적확인 및 이미징에 필요한 유기소분자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Symposium 4

Outcome-Based Education (OBE)! A New Paradigm of Educational Reform: From Theory to Practice성과기반교육! 교육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론에서 실제까지 ((사)한국약학교육협의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D

성과기반교육(outcome-based education, OBE)은 학생이 도달해야 하는 역량설정과 구체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학생평가 등을 시행하는 교육모델로, 전세계적으로 보건의료인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고등교육에서 교수·학습방법

의 최신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 심포지엄은 성과기반교육에 대한 기본개념과 이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교육철학 등을 알아보고, 현재 국외의 약학교육과 국내 타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성과기반교육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약학교육의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더불어 성과기반교육을 실제 교과과정 개발에 적용하고 있는 국내 사례를 고찰해 봄으로써, 이를 약학교육에 도입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서울대 오정미 교수는 국가 경쟁력 제고 및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약학교육에서 성과기반교육의 기본 개념 및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

이며, 서울대 성상현 교수는 미국을 비롯한 국외 약학교육에서 성과기반교육이 어떻게 도입되고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발표할 예정이다. 경희대 치과대학의 방재범 교수는 교육학자로서 의학 및 치의학교육과정에서 성과기반교육의 도입과 개발에 노력해왔던 다년간의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의 오희진 교수는 치의학교육에서 성과기반교육을 활용한 교과과정 개발의 실제 사례를 생생하게 공유함으로써, 약학교육에서 성과기반교육을 도입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현실적으로 부딪힐 수 있는 문제 및 이의 해결방법 등에 대해서 발표할 예정이다. 본 심포지엄을 통해서 국내 약학대학이 6년제 학제개편이라는 외적인 모습의 변화 뿐만이 아니라, 질적으로도 괄목할 만한 교육의 성장과 발전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서 요구하는 우수한 약사와 약과학자를 양성해 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18

2017 Spring

Symposia SynopsisSymposium 5

Current Trend of Biotechnology Based Drug Delivery System바이오 융합적 접근법을 통한 (바이오)의약품 전달 시스템 연구의 최근 동향(생명약학연구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E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제민 교수는 다년간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연구를 통해, 단백질, 항체와 같은 바이오 의약품의 특정 세포 내로의 전달 뿐만 아니라, 혈관-뇌장벽과 같은 조직장벽 투과를 통해 염증질환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유진욱 교수는 나노입자를 통한 세포 표적지향 약물 송달 시스템 연구를 통해, 각종 질환에 적용 가능한 신개념의 나노기술 기반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나동희 교수는 신종플루나 조류인플루엔자 등을 야기하는 인플루엔자 바이

러스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신규 나노구조 화합물 연구를 통해 바이러스 변이나 내성 바이러스 출현 등에 효과적일 수 있는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Symposium 6

The Presence and Future at Subcellular Organelles세포소기관연구의 현재와 미래(세포소기관연구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F

단일 타겟 단백질연구를 넘어서 세포소기관기능조절이 약물의 타겟이 될수 있음이 최근에 제시되어왔음. 세포소기관, 퍼옥시좀, ER, 미토콘드리아, 라이소좀에 대한 생리와 생화학적 연구흐름을 보여주며 저변 인프라를 확대하고자 함. 이 세션을 통하여 국내 각분야 전문가를 모시고 세포소기관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기초연구부터 심화연구진행까지 이해 확대하고자 함.

Symposium 7 (Luncheon Symposium)

Analysis of Pharmceutical Components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의약품 분리 및 분석

Thursday, April 20th, 2017, 12:30-13:30, Conference Room C+D

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란, 이동상을 임계압, 임계온도 이상으로 하여 초임계유체상태에서 분석하는 크로마토그래피법을 말한

다. 특히 이산화탄소가 비교적 저온에서 조작이 가능하고, 다른 물질에 비해 안전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

적으로 액체/기체와 비교하였을 때, 확산계수가 크고, 점도가 낮아 양쪽의 장점을 갖춰 보다 양질의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SFE(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은 높은 밀도를 유지하면서 낮은 점성과 액체의 100배 가량이나 큰 확산능력이 있기 때문에 액체추출법에 비교하여 효율이 높아 식품 및 의약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본 심포지엄에서는 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SFC)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시스템 그리고 그 응용분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SFE(초임계유체 추출)와 SFC(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온라인으로 연결한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하며, 실제로 이를 이용한 불안정한 성분의 안정적 분석, 광학이성질체의 초고순도 분리/정제, 천연물 내의 주요 성분 초고순도 분리/정제, 불순물 정제 그리고 기존 크로마토그래피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 또한, 실제로 응용하고 있는 기관의 실 분석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19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8

Development of Immunotherapeutics in Korea국내 면역치료제 개발 현황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A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와 더불어 최근 면역 checkpoint 저해제의 탁월한 항암치료효과로 인해 면역치료제에 대한 의약학 분야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면역치료제는 고전적으로 재조합단백질과 항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단백질 치료제와 더불어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및 장내미생물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모색되고 있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면역치료

법 및 면역치료제 개발 분야의 국내 최정상 전문가 네분을 모시고 국내 면역치료제 개발의 현황 및 미래 전략에 대하여 논의한다. 녹십자랩셀 황유경 연구소장은 allogeneic NK 세포를 활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항암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의 최근 연구결과 및 신약개발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또한 다른 종류의 면역세포치료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allogeneic NK 세포 치료법의 장단점을 알아본다. 제넥신의 서유석 대표는 차세대 면역치료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유전자면역치료법에 대한 주제로 강연을 한다. 특히 제넥신에서 개발 중인 HPV 백신의 개발 전략 및 실험 결과와 Hepatitis B 치료용 DNA 백신개발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논의한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고광표 교수는 최근 각종 질환의 원인 및 치료법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는 장내 microbiome 에 대한 연구 현황에 대한 강연을 할 예정이며, 이들이 치료제 개발에 활용되는 연구 사례 및 결과와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의한다. 오사

카대학의 장명호 교수는 미생물 및 음식물 등 외부에서 유래한 항원들에 끊임없이 노출되어 있는 장내 면역세포들이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어떻 녁할을 하는지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를 강연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장면역계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치료법 개발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심포지엄을 통하여 약학분야에서 면역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문적 지식 교환 및 활발한 학술적 논의를 본격화 하는 장이 될 것이다.

Symposium 9

Novel Strategies for Cancer Therapies항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B

본 심포지엄에서는 ‘항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라는 주제로 항암 치료법과 관련된 최신 연구 동향 및 활용 방안에 대해 다루고

자 한다. 주요 사망 원인 질환인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획기적

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치료법은 아직 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표적 항암제 및 면역치료제의 경우 특정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는 환자 등 일부 제한된 암종에 대해서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항암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 암의 발생, 성장, 악성화 과정에 대한 생물학적 기전 이해와 더불어 현재 임상 사용 중인 항암제들을 효과적

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환자군을 선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발굴 및 진단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심포지엄에서는 암화 및 암 악성화 과정과 관련된 생물학적 기반을 이해하고 이를 암의 진단, 치료 및 항암 신약 개발에 어떻게 활용

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부에서는 암화 및 악성화의 기전 연구과 관련하여 RUNX3의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

의 기능 및 작용기전 및 최근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는 면역 항암 요법과 관련하여 암세포의 면역 회피 과정에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진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의 역할 및 작용기전을 소개하고자 한다. 2부에서는 생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암의 진단 및 항암 신약 개발과 관련하여 표적 항암제 개발 및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발굴과 동반 진단

법 개발에 대한 연구 현황, 후성유전적으로 RUNX3 등의 종양 억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암 작용을 나타내는 니코틴산아미

드의 항암 효능, 작용 기전 및 임상 시험 현황, 그리고 최근 신약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drug reposition-ing을 활용한 유방암 억제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20

2017 Spring

Symposium 10

Cancer Therapeutics Development via Drug Development Network (DDN): The 4th Wave in Science신약개발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항암제개발: 제4의 물결(신약개발네트워크연구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C

새로운 대장암 치료 표적 발굴과 희귀 유전 질환 (가족성 대장 용종증) 치료제 발굴 (육종인 교수)

연세대학교 육종인 교수와 김남희 박사팀은 분자설계연구소 노경태-최지원 박사팀과 함께 윈트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새로운 표적

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팀은 단백질-단백질 결합 (protein-protein interaction)을 억제함으로서 독성이 거의 없고 윈트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적을 발굴하였다. 또한 이 표적에 작용하는 화합물을 찾아 희귀유전질환인 가족성 대장 용종증 (fa-milial adenomatosis polyposis)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번 연구 개발의 성과로 난치

성 희귀질환인 가족성 대장 용종증의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조만간 새로운 표적의 대장암 치료제 개발

이 기대된다.

암 유전체 정보와 신호전달 및 대사 네트워크 연구를 통한 새로운 항암전략 개발 (전상민 교수)

아주대학교의 전상민 박사 연구진은 암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실제 폐암에서 LKB1/KEAP1 유전자의 돌연변이 조합이 높은 비율 (~20%)로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이 돌연변이 조합이 암의 발생에 충분함을 규명함. 폐암에서 LKB1/KEAP1돌연변이 조합에 의해 조절되는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밝히고 이를 차단하는 병용 항암전략을 연구하고 있음.

교모세포종 성장, 암줄기세포 억제로 치료 가능성 제시 (강석구 교수)

대부분의 암은 표적항암제로 생존기간 연장 효과가 나타났지만, 유독 교모세포종은 현재까지도 어떠한 표적항암제도 표준 치료 대비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뇌종양이행성연구실(책임교수 강석구)이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전략 마련에 나섰다. 세브란스병원 외과 정재호 교수팀, KAIST 김필남 교수팀 등의 기초의학자와 공동 연구 및 협력해 수술만으로 완치 시킬 수 없는 교모세포종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치료법 개발을 다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최근에 바이구아니

드계열 약물(penformin)과 ALDH inhibitor 와 병용 투여한 결과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생물학적 변화와 동물실험에서 생존

율 증가를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특허 등록과 기술 이전을 이루고 임상 시험을 준비중이다.

신장암 새로운 원인 발견 및 치료제 선도물질 도출 (김수열 박사)

국립암센터 기초실용화연구부 김수열 박사 연구팀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신장암을 일으키는 새로운 원인을 발견해 국제학술

지에 소개하고, 최근에 ‘세포사멸과 질병’(Cell Death and Disease 7, e2200, 2016)에 뉴스로 소개 되었다. 또한 연구팀은 대구

신약개발지원센터 송민수 박사팀과 새로운 선도물질을 개발하여 비임상시험에서 약효가 뛰어남을 증명하였다. 이번 연구 및 개발의 의미는 신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표적을 발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며, 그동안 신장암 치료제는 다른 암에 사용하는 항암제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신장암을 정복 할 수 있는 표적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ERRγ 조절을 통한 미분화 갑상선암 신규 치료제 가능성 제안 (조성진 박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스페이스)의 조성진 박사 연구팀은 ERRγ 조절기전의 후보물질의 발굴하고 미

Symposia Synopsis

21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분화 갑상선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팀은 신규 약물타겟을 선정하고 유효물질 도출 및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화여 in-vitro 효능 및 ADMET 약물성을 고려한 최적화 수행 및 후보물질 도출을 성공하여, in vivo 효능 검증 등 미분화 갑상선암

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고 first-in-class 신약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Symposium 11

Implementation and Impact of Multidisciplinary Team-Based Pharmaceutical Care Services다학제 팀기반 약료서비스의 도입과 성과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D

타 보건의료직능인과의 효과적인 다학제 팀기반 약료서비스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것은 전문적인 약사 직능을 실현하고 환자서비스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심포지움에서는 다양한 질병관리

를 위해 국내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약사주도형 혹은 약사참여형의 다학제 팀기반 약료서비스를 소개하고 각각의 임상약료 실무사이트에서 도출된 성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국내 4개의 의료기관 입원환경과 외래환경에서 구축되어 수행되는 약료서비스 소개

와 성과발표는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다학제 약료서비스 모델 개발 및 적용과 같은 방법론적 토론과 국내에서 드문 외래환경 약료

서비스에 대한 발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화된 약사주도형 임상서비스로 익히 알려진 항암제 조제와 다학제팀내 약사 중재의 영향

을 소개하며, 선진외국에서 중요한 약사의 역할이 입증된 항균제관리 영역의 국내도입과 다학제적 협력의 성과, 업무개발 및 확대 방안에 대하여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 질 것이다.

Symposium 12

Natural Product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천연물과 4차 산업혁명(한국과학기술연구원)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E

본 세션은 천연물 소재 및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소재의 규격화된 생산을 기반으로, 제품개발, 품질관리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천연물 분야에서의 4차 산업혁명이 어떤 내용으로 정의될 수 있는지에 대한 도움을 주는 세션으로 구성하였다. 유지혜박사는 천연물의 규격화된 생산을 위해 최근 몇 년 사이에 시도되고 있는 스마트팜 재배에 관한 실질적인 내용을 소개하며, 스마트팜을 활용하여 생산된 고부가가치 작물에 대한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최성호 연구사는 식물자원 및 관련 재료의 수집·제작·보전 및 관리에 관한 주제를 소개하며, 생물다양성 정보 확보 및 관리, 생물종 동정, 식물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관리, 자원관 생물자원 정보 관련 정부 3.0 대응업무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양태진교수는 다양한 약용식물에 대한 기능 유전체학, 대사체학, 비교 유전체학 연구전문가로, 유전체학을 기반으로 유전 마커 발견 및 보조 대사 산물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생물정보학적으로 약용식물의 유전자와 유전체의 시각화 디스플레이를 개발

하고 있다.

22

2017 Spring

Symposium 13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Student Practice Experiences in Pharmacy School약학대학 실무실습의 현황과 발전방안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F

6년제 약학교육에서 실무실습이 의무화되어 교육이 시작된지 4년째로 접어들었다. 그동안 전국 35개 대학에서 의료기관실무실습, 지역약국실무실습, 제약산업실무실습 및 약무행정실무실습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의 실무실습 체계나 방법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그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발전방안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등을 제시하고 토론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병원약사회, 대한약사회를 대표하는 연자 각 1분씩과 임상실무실습, 제약산업실무실습, 약무행정실무실습을 담당하는 약대교수 각 1분씩 총 5분이 각 분야의 현황, 문제점, 발전방안 등을 발표하고 참석자들의 자유토론이 진행될 것이다.

Symposium 14

Regulatory Issues and Related Policy for Biotherapeutics바이오의약품 인허가 및 정책 세미나(오송신약개발지원센터/건강보험심사평가원)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uditorium (2F, No. 202)

바이오의약품 심사 및 평가 정책: 식약처의 바이오심사부에서 바이오의약품 심사 및 평가정책 전반을 발표함.바이오의약품 허가심사 동향 : 식약처 바이오심사조정과의 국내 신설 취지 및 최근 허가심사 동향을 발표함. 글로벌 바이오신약 연구개발에서 허가지원까지 : 오송신약개발지원센터에서 글로벌 바이오신약개발에서 허가시까지의 연계과정을 발표함.바이오의약품 급여평가 현황과 쟁점 : 바이오의약품의 유형별 건강보험 등재 기준 및 현황, 그간의 약가정책 변화를 고찰하고, 현재 바이오의약품 건강보험 급여평가와 관련된 주요 쟁점 및 향후 방향에 대해 발표함.국내개발 바이오혁신신약의 글로벌상업화 성공을 위한 국내 인허가 및 보험정책 제언: 글로벌 바이오신약 개발 및 기술수출 최근경

험사로서 코오롱 생명과학에서 국내개발 바이오신약의 글로벌상업화 성공을 위한 인허가 및 보험정책에 관하여 제언 발표함.

Symposium 15

Cutting-Edge Bio Imaging Technology첨단 바이오 이미징 기술

Friday, April 21st,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A

본 심포지엄에서는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첨단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직학적 분석기

법으로는 불가능한 살아있는 생체 및 세포 내부의 여러가지 생물학적 현상을 직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최신 광학기술에 기반한 첨단 바이오 이미징 기술과 그 활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첨단 바이오 이미징 기술은 신약 개발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

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관심있는 참석자에게 본 심포지엄은 좋은 소개의 장이 될 것이다.KAIST 박용근 교수는 살아있는 세포 내부의 다양한 세포소기관의 3D 영상화 및 물성 분석을 별도의 표지없이 수행할 수 있는 최신 단층홀로그래피 기술을 소개할 것이며, 이어서 POSTECH 도준상 교수는 림프구들의 다양한 면역기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Symposia Synopsis

23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있는 마이크로 구조물 기반 영상분석 기술을 소개할 것이다. KAIST 김필한 교수는 살아있는 생체 내부의 다양한 장기 및 조직에서 세포 수준의 영상분석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생체현미경(Intravital Microscopy)기술을 소개할 것이며, 이어서 KAIST 오왕열 교수는 역시 살아있는 생체 내부의 특히 혈관 및 그와 관련된 생리적 기능을 별도의 표지 없이 영상화할 수 있는 광결맞음단층

영상(OCT) 기술에 대해서 소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UNIST의 정웅규 교수는 생체조직에서 현미경 수준의 고해상도 영상을 대면

적으로 고속으로 획득할 수 있는 융합영상기술에 대해서 소개할 것이다.

Symposium 16

Application of Cutting-Edge Omics Technologies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신약개발을 위한 최첨단 오믹스 기법의 응용

Friday, April 21st,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B

지노믹스, 프로테오믹스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오믹스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첨단 오믹스 연구의 발달은 다른 기초 및 응용 연구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그 성공률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신약개발을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들 오믹스 분야 중에서, 신약 개발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오믹스 연구자들의 최근 연구 현황을 듣고, 그 흐름을 이해해 보자는 의도로 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본 심포지엄의 첫번 째 연자인 박영자 교수는 고감도 메타볼로믹스를 이용하여 질병을 조기 진단할 수있는 진단바이오마커를 발굴

하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 제작 및 신약 도출을 제시 할수 있는 경로 분석 연구를 오랫동안 수행해 오면서 해당분야에서 많은 우수한 논문을 발표해 오고 있고, 두번 째 연자인 조주연 교수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초기임상시험에서 수집되는 시료에서 유전체 및 대사체 오믹스 연구를 진행하여 약동학적 개인차, 새로운 유효성 마커 도출, 약물상호작용, 독성 예측에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도출되는 다양한 임상정보는 신약후보물질을 초기에 명확히 평가하여 Go/No-Go 결정, 후기 임상시험설계 등 신약

개발의 효율화에 기여해 오고 있다. 또한, 이상규 교수는 프로테오믹스를 바탕으로 신약후보물질의 독성 평가나 시판 약물 또는 유해

물질의 독성기전 규명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독성발현에 관여하는 단백질 번역후 수식화 (protein-modification)의 역할

에 주목하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어서 박성혁 교수는 대사체학을 이용한 약물의 독성이나 질병, 특히 암의 진단에 관해서 연구

를 해왔고, 최근에는 Live metabolomics 라는 살아있는 세포에서의 대사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암세포의 대사연구에 적용하고 있다. 끝으로, 포닥으로 연구 수련 중인 정경아 박사는 항암 타겟으로서의 NFE2L2/NRF2 역할 연구에 참여해왔고, 암세

포에서 NFE2L2/NRF2 활성이 miRNA 수준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조절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microRNA들의 생물학적 기능

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여오고 있다. 이와 같은 대사체, 임상, 독성, 진단, 작용기전 연구 등과 관련되어 진행되고 있는 오믹스 연구에 대한 이해는 신약개발을 위한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4

2017 Spring

Symposium 17

The Future of Employment and Professionals Training of Pharmaceutical Industries제약산업 일자리의 미래와 전문인력 양성

Friday, April 21st,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C+D

세계적 저성장 기조와 함께 그동안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이끌어온 기존 제조업의 성장률 저조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비해 제약산업

은 꾸준한 성장을 지속하면서, 향후 한국 경제를 이끌어 나갈 주요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제약산업의 발전에 따라 제약산

업 미래 일자리의 모습은 어떠할 것이며, 제약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전문인력의 양성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주제

이다. 본 심포지움에서는 제약산업 일자리의 미래와 전문인력 양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하여, 4개의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으로 구성하였다. 고용보험정보 등 통계 정보를 통해 제약산업의 중장기 고용동향 및 최근의 고용 변화에 대한 소개가 있고, 이어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의 제약산업 분야 일자리의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제약산업에서의 약학대학 교육의 역할과 보건복지부가 지원하고 있는 제약산업특성화 대학원의 현재와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Symposium 18 (Luncheon Symposium)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INIST 기업가정신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을 일꾼 이니스트 김국현의 뚝심 리더십(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Friday, April 21st, 2017, 12:30-13:30, Conference Room C+D

1. 기업가정신으로 위기를 넘고 기회를 만들어 가다.원료영업, 원료합성, 완제의약품, 신약개발로 이어가는 꿈과 비전은 바로 기업가정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위기의 순간을 돌파하는 힘도 바로 기업가정신이다. 김국현 회장이 이야기하는 이 시대에 필요한 기업가정신은 무엇인지 들어 보자.2. 인재경영 사람중심경영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을 만든다.창업하면서 ‘사람이 중심이 된 좋은 회사를 만들자’라고 다짐했다고 한다. 김국현 회장이 이야기하는 ‘좋은 회사’란 일하는 직원들이 즐겁게 웃으면서 다닐 수 있는 회사이다. 특히 제약업계에서 화재가 되었던 이니스트 사명의 의미는 ‘IN(인)과 1ST(첫째)’ 의 합성어

로 사람과 환자가 최우선이라는 휴머니즘의 가치를 담고 있다.3. 기부하고 희열감을 느껴라

김국현 회장은 투철한 기부철학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적극 실천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공식후원회 ‘미래사랑’ 회장을 맡고 있는 김국현 회장은 지속적인 후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의약업 분야의 성과 뿐 아니라 적극적인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

아 충북대 명예약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기부하고 희열감을 느끼는게 결국은 본인 스스로가 행복할 수 있는 비결을 들어보자.

Symposia Synopsis

25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19

Seoriful Pharma Forum: The Role of PSK for Pharmaceutical Industry서리플 제약산업포럼: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약학회의 역할

Friday, April 21st, 2017, 13:30-14:20, Conference Room A+B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석관 박사님의 “한국 제약산업의 현황과 미래” 주제 발표 후 패널토론으로 한국제약산업발전을 주제로 국내 각계의 최고 전문가들을 모시고 논의하고자 합니다. 특히 제약산업발전 방안을 논의면서 대한약학회의 역할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패널리스트: 손여원 원장(식품의약품안전연구원), 이승규 부회장(한국바이오협회), 갈원일 부회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최수진 MD(산자부 R&D전략기획단), 손동환 교수(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이용복 교수(전남대학교 약학대학), 남수연 대표(벤처대표, 전 유한양행 연구소장), 주 청 전무(신풍제약 연구소장), 한용해 박사(대웅제약), 김흥재 박사(엔지켐생명과학)

Symposium 20

Development of Nanomedicine나노의약 개발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A

최근 나노기술에 기반한 질병의 진단 또는 치료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나노메디슨 연구분야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약물전달기술은 세계적으로 대등한 잠재력과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분야로서, 특히 나노기술 기반 의약품개발, 영상용 나노입자 개발, 의약품 의용기기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대 사회가 미래사회로의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그 중요도가 더욱 높게 평가되는 나노 의약분야는, 국내에 축적된 나노기술이 약물전달 분야에 창의적으로 응용되어 산학

연의 관련 연구개발 주체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선도할 수 있도록 육성된다면 향후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강력한 파급효과를 나타나리라 예상된다. 각기 다른 연구 경험에 기초하여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결실을 맺는 다학제간의 융복합연구가 필수

적인 나노의학 분야의 연구의 특성때문에 물리, 화학, 생물, 공학 등 다양한 배경의 전문가 그룹으로 이루어진 견고한 연구 네트워크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심포지움은 유기적 산학 기술연계와 MD, PhD가 결속된 다학제간 연구자간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

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여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나노의약품 창출에 앞장서고자 다양하고 알찬 토픽의 세션을 준비하였다.

Symposium 21

Translational Chemistry for Target Validation타깃검증 중개화학 연구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B

신약개발에 있어서 표적분자를 효과적으로 검증가능케 하는 물질 개발은 혁신신약 발굴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번 2017년 춘계국제학술대회에서 약품화학분과회는 “타깃검증 중개화학 연구”라는 주제로 국책 연구소 및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최근 연구동향을 여성의화학자 5분의 연구실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과학기술원의 치매DTC융합연구단의 배애님 단장

은 신경퇴화 및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의 응집을 조절할수 있는 물질 개발의 연구로 라이브러

리 스크리닝을 통한 신규 스캐폴드 도출 및 최적화 연구에 대해 발표한다.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화학 연구실의 박현주 교수는 유전자 조절기전인 후성유전학적 효소 억제제 개발을 위해 컴퓨터 시물레이션을 바탕으로 한 접급법을 소개한다. 한국화학연구원 의

26

2017 Spring

약화학연구센터의 이선경 박사는 질환과 관련된 타겟을 의약화학 관점에서 신약 창출이 가능한 타겟 선정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다. 구체적 타겟(NHE-1, PAR-1)에 대해 특허성이 있는 신규 골격 검증과정을 실제 연구사례를 통해 미래적 발전 방향을 도모한다. 가천대

학교 약학대학 신약개발연구실의 김미현 교수는 비금속 산화제 조건에서 아미노알코올을 C(sp3)-H 기능화된 CDC 반응을 통해 신규 아노머성 N,N-다이아릴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 약물 골격의 합성방법을 소개하고 합성한 신규 약물의 타겟을 찾기 위한 약물 구조 기반타겟 프로파일링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의 현순실 박사는 류신과 라이신으로 구성된 양면성 알파나선 펩타이드를 이용한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의 개발 방법과 이의 치료제로써의 활용 전략을 소개한다.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의 개발은 세포 내 약물의 전달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고, 기존의 저분자 물질과 비교하여 단백질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같은 거대 분자들이 약물로써의 장점이 부각됨에 따라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의 개발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Symposium 22

Autophagy: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herapeutic TargetsAutophagy: 분자적 기전에서 질병 치료 타깃까지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C

오토파지(Autophagy, 자가포식)는 세포 내 불필요한 단백질이나 손상된 소기관을 분해하고 이를 재활용하거나 세포의 에너지원

으로 사용하는 작용으로, 세포가 생존하고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현상이다.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오토파지는 ‘자신’을 뜻하는 ‘Auto’와 ‘먹는다’를 뜻하는 ‘phagein’이 합쳐져 ‘스스로를 먹는다’는 의미다.세포는 오토파지를 통해 빠르게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세포 내 다양한 구성 성분들의 재생에 필요한 여러 물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시 오토파지를 통해 세포 안에 들어온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없앨 수도 있으며 배아의 발달 과정과 세포 분화에서도 오토파지가 관여한다. 이 외에도 오토파지는 노화 현상의 조절자로도 작용한다. 이러한 오토파지 작용 기전의 이상은 암이나 파킨슨병, 2형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의 발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우리 몸의 근간이 되는 세포의 생리 작용을 조절하는 핵심 현상 중의 하나인 오토파지의 작용 기전과 암, 난치성 뇌질환, 대사 질환, 노화 등 여러 질병과의 연관성에 대한 최신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러한 질환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치료법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Symposium 23

Strategy to Improve Patent and Technology Transfer of University대학 특허 및 기술이전 활성화 전략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D

본 심포지엄은 결핵균을 이용한 암 치료 백신개발 및 패혈증 치료제 개발 연구로 잘 알려진 면역학 권위자인 박영민 건국대 의학전

문대학원 교수, 항암제 동반진단 사업단장으로 동반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술이전한 서울대 신영기 약학대학 교수, 개방형혁신

신약 중개연구센터장으로 다수의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하여 여러 제약사에 기술이전한 동국대 이경 교수를 연자로 하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약개발 연구가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노하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박영민 교수는 현재 주목받고 있는 패혈증 치료제 개발 전략에 대해 강연하며, 신영기 교수는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과 실제 임상적용을 연결하여 동반진단의 실제 개발

과 상업화에 필요한 전략을 사례를 중심으로 강연한다. 이경 교수는 HIF의 활성을 조절하는 신규 항암치료제, BLT2 억제 선도물질

의 최적화를 통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전임상후보물질, 벤조퓨란 화합물을 이용한 난치성 염증질환 치료제, 비알콜성지방간질환 및 간섬유화 제어 치료후보물질 등 다수의 신약후보물질의 기술이전 사례를 강연한다.

Symposia Synopsis

27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Young Scientists Session 1 ~ 4

-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1 ■Date & Location : 4/20(Thu), 09:00-10:00, Conference Room C (2F) ■ Research regions : P3. Pathology / Physiology, P5. Microbiology / Immunology, P9. Pharmaceutics /

Physical Pharmacy

-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2 ■Date & Location : 4/20(Thu), 09:00-10:00, Conference Room D (2F) ■Research regions : P7. Pharmacognosy / Oriental Medicine, P8. Analytical Chemistry, P10. Clinical Pharmacy / Social Pharmacy / Hospital Pharmacy, P11. Industrial Pharmacy / Social Pharmacy

-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3 ■Date & Location : 4/21(Fri), 09:00-10:00, Conference Room C (2F) ■Research regions : P1. Pharmacology, P2. Toxicology / Hygienics

-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4 ■Date & Location : 4/21(Fri), 09:00-10:00, Conference Room D (2F) ■Research regions : P4. Biochemistry, P6. Medicinal Chemistry

Memo

Programs for Symposia

30

2017 Spring

PL [April 20(Thu) 13:30-14:20] [Conference Room A+B]

Anti-tumor Immunity of GITR Ab and a New APC Based Therapeutic Vaccine

KANG Chang-Yuil*1,2

1Laboratory of Immunology.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2Department of Molecular Medicine and Biopharmaceutical Sciences,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ield of cancer immunology has significantly progressed recently. The involvement of the immune system in the tumor therapy now become major place. Based on this, in the first part of my presentation, major characteristics and progress of various cancer immunotherapeutic approaches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part, IL-9 dependent mechanism, which was studied in our laboratory, of anti-tumor effect of GITR antibody. In the last part, a new antigen presenting cell (APC) based cancer therapeutic vaccine, which was developed in our laboratory, will be introduced.

Plenary LectureAnti-tumor Immunity of GITR Ab and a New APC Based Therapeutic VaccineGITR 항체와, 새로운 항원제시세포 치료 백신의 항암 면역 반응

Thursday, April 20th, 2017, 13:30-14:20, Conference Room A+B

ChairpersonLee, Chong-Kil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이종길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PL 13:30~14:20

Anti-tumor Immunity of GITR Ab and a New APC Based Therapeutic VaccineGITR 항체와, 새로운 항원제시세포 치료 백신의 항암 면역 반응

Kang, Chang-Yuil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강창율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31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1 Cutting-Edge Analytical Techniques in Forensic Science 첨단 분석기법의 법과학적 응용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A

Organizer & Chairperson

Lee, Sooyeun (College of Pharmacy, Keimyung University)이수연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S1-1 10:00~10:25

The application of multi-isotope analysis to forensic science법과학에서 다동위원소 분석의 응용

Min, Jisook (Daegu Institute, National Forensic Service)민지숙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대구과학수사연구소)

S1-2 10:25~10:50

Pesticide analysis by tandem mass spectrometry in biological samples질량분석기를 활용한 생체시료에서의 농약 분석법 개발

Moon, Joon-Kwan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문준관 (한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ffee Break (10:50~11:05)

S1-3 11:05~11:30

Oral fluid as a promising alternative biofluid for drug analysis약물분석용 대체시료로서의 타액

Jang, Moonhee (Seoul Institute, National Forensic Service)장문희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S1-4 11:30~11:55

Metabolomic study of urinary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following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γ-hydroxybutyric acid in ratsγ-Hydroxybutyric acid 노출 쥐 모델에서 뇨 중 유기산 및 아미노산 대사체학 연구

Paik, Man-Jeong (College of Pharmacy, Sunchon National University)백만정 (순천대학교 약학대학)

32

2017 Spring

Symposium 2Biological and Chemical Diversity of Natural Products천연물 신약소재의 생물 및 구조 다양성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B

Organizer Lee, Dongho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이동호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Chairpersons

Oh, Hyuncheol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오현철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Jang, Dae Sik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장대식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S2-1 10:00~10:30

Pharmaco-chemical studies on four Yao Medicine from Guangxi China 중국 광시성 YAO족의 민속의약 4종에 대한 약화학적 연구

Wang, Heng-Shan (Guangxi Normal University, China)왕행산 (광서사범대학, 중국)

S2-2 10:30~11:00

Discovery of new bioactive natural products from insect symbionts 곤충 공생균으로부터 신규 생리활성 천연물 발굴

Oh, Dong-Chan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오동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1:00~11:10)

S2-3 11:10~11:40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medicinal plants약용식물 내생균이 생산하는 생리활성 대사체 연구

Shim, Sang Hee (College of Pharmacy, Duksung Women’s University)심상희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S2-4 11:40~12:10

Search for bioactive metabolites from Korean wild mushrooms한국 야생버섯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 연구

Kim, Ki Hyun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김기현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33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3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Novel Therapeutics혁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융합학문적 접근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C

Organizer & Chairpersons

Song, Joon Myong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송준명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Oh, Hyuncheol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오현철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S3-1 10:00~10:25

Nanoadjuvant for cancer immunotherapy and infectious disease control암 면역치료와 감염병을 위한 나노보조제

Lim, Yong Taik (Department of Nano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임용택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S3-2 10:25~10:50

Microneedle applications for biopharmaceutical drugs바이오팜 약물의 마이크로바늘 응용

Jung, Hyungil (Department of Biotechnology, Yonsei University)정형일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S3-3 10:50~11:15

Shape-dependent skin penet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은나노입자의 모양 의존성 피부 투과

Song, Joon Myong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송준명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1:15~11:20)

S3-4 11:20~11:45

Biomedical applications of bilirubin nanoparticles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생의약적 응용

Jon, Sangyo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IST)전상용 (KAIST 생명과학과)

S3-5 11:45~12:10

Development of novel heterocyclic scaffolds for drug discovery 신약발굴을 위한 신규 헤테로고리 화합물체의 개발

Lee, Jeeyeon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이지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34

2017 Spring

Symposium 4Outcome-Based Education (OBE)! A New Paradigm of Educational Reform: From Theory to Practice성과기반교육! 교육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론에서 실제까지 ((사)한국약학교육협의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D

Organizer & Chairpersons

Yoon, Jeong-Hyun (College of Pharmacy, Pusan National University)윤정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Han, Gyoonhee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한균희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S4-1 10:00~10:25

The principles and critical issues of outcome-based education (OBE)성과기반교육이란?

Oh, Jung Mi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오정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S4-2 10:25~10:5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utcome-based education in pharmaceutical education worldwide국외 약학교육에서의 성과기반교육의 개발과 적용

Sung, Sang Hyun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성상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0:50~11:05)

S4-3 11:05~11:3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BE in healthcare professional education in Korea국내 보건의료교육에서의 성과기반교육의 개발과 적용

Bang, Jaebeum (School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방재범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S4-4 11:30~11:55

Practical application of OBE in curriculum design교과과정 디자인에 있어서 성과기반교육의 실제적용

Oh, Heejin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오희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1:55~12:20 Panel Discussion

35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5Current Trend of Biotechnology Based Drug Delivery System바이오 융합적 접근법을 통한 (바이오)의약품 전달 시스템 연구의 최근 동향 (생명약학연구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E

Organizer & Chairperson

Cha, Hyuk-Jin (Department of Life Science, Sogang University)차혁진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S5-1 10:00~10:40

Tissue barrier penetrating therapeutic biologic molecule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염증질환 치료를 위한 조직장벽투과 바이오약물 개발

Choi, Je-Min (Department of Life Science, Hanyang University)최제민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S5-2 10:40~11:10

Nitric oxide delivery systems and theirs biomedical applications산화질소 송달시스템과 생체의학적 응용

Yoo, Jin-Wook (College of Pharmacy, Pusan National University)유진욱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1:10~11:50)

S5-3 11:50~12:30

Dendrimer-based nanomedicine for inhibiting influenza virus infection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를 위한 덴드리머 기반 나노메디신

Na, Dong Hee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나동희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36

2017 Spring

Symposium 6The Presence and Future at Subcellular Organelles세포소기관연구의 현재와 미래 (세포소기관연구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F

Organizer & Chairpersons

Chae, Han-Jung (Medical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채한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

Park, Raekil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 & Engineering, GIST)박래길 (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S6-1 10:00~10:30

Pathologic alterations in organellar Ca2+ homeostasis세포소기관 칼슘조절 이상

Park, Kyu-Sang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박규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S6-2 10:30~11:00

The functional role of lysosome under ER stressER stress에서 lysosome의 역할

Chae, Han-Jung (College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채한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Coffee Break (11:00~11:10)

S6-311:10~11:40

A new views of peroxisome functions: Beyond H2O2 decay퍼록시좀의 새로운 기능

Park, Raekil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 & Engineering, GIST)박래길 (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S6-4 11:40~12:10

ER stress and translation initiation control소포체 스트레스와 단백질 개시조절

Back, Sung Hoon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Ulsan)백승훈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37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7 (Luncheon Symposium)Analysis of Pharmceutical Components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의약품 분리 및 분석

Thursday, April 20th, 2017, 12:30-13:30, Conference Room C+D

Organizer & Chairperson

Song, Un-tak (Dong-il SHIMADZU)송언탁 (동일시마즈)

S7-1 12:30~12:45

Introduction of on-lin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Chromatography system온라인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의 소개

Cho, Yoonseong (Dong-il SHIMADZUl)조윤성 (동일시마즈)

S7-2 12:45~13:00

Separation and analysis of drugs using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의약품 분리 및 분석

Lee, Do Weon (Korea Supercritical Technologies, Inc.)이도원 (한국초임계㈜)

38

2017 Spring

Symposium 8Development of Immunotherapeutics in Korea국내 면역치료제 개발 현황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A

Organizer & Chairpersons

Lee, Choongho (College of Pharmacy, Dongguk University)이충호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Heo, Teahwe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허태회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S8-1 14:30~15:05

Allogeneic natural killer cell application for cancer treatmentAllogenic NK 세포를 활용한 항암치료

Hwang, Yu Kyeong (Cell Therapy Research Center, Green Cross LabCell Corp.)황유경 ((주)녹십자 랩셀 세포치료연구소)

S8-2 15:05~15:40

Development of therapeutic DNA vaccines for chronic virus infection만성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용 DNA 백신 개발

Suh, You-Suk (Genexine Inc.)서유석 ((주)제넥신)

S8-315:40~16:15

Current status and future application of microbiome therapeutics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치료법의 현재와 미래

Ko, Gwang Pyo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고광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S8-4 16:15~16:50

Intestinal immune cells regulate metabolic diseases장 면역세포에 의한 대사질환의 조절

Jang, Myoung Ho (Immunology Frontier Research Center, Osaka University, Japan / SL BIGEN)장명호 (오사카대학교 면역학프런티어 연구센터 / SL 바이젠)

39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9Novel Strategies for Cancer Therapies항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B

Organizer & Chairpersons

Lee, Ho-Young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이호영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Lee, You Mie (College of Pharmac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이유미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S9-1 14:30~14:55

Runx3 plays a critical role in R-point and defense against cellular transformationR-point 조절을 통하여 세포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RUNX3의 역할

Bae, Suk-Chul (School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배석철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S9-2 14:55~15:25

Roles of immune suppressive myeloid cells in cancer골수유래 면역 억제 세포의 암에서의 역할

Youn, Je-In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연제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Coffee Break (15:25~15:35)

S9-315:35~16:00

Critical path for targeted drug development: from biomarker to companion diagnosis바이오마커 발굴부터 동반 진단에 걸친 표적 항암제 개발 과정

Shin, Young Kee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신영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S9-4 16:00~16:25

Anticancer activity of nicotinamide and phase 2b clinical trial on lung cancer니코틴산아미드의 항암효과와 폐암에 대한 2b상 임상시험

Park, Il Yeong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박일영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S9-516:25~16:50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breast cancer threapy: from basic to treatment using drug repositioning유방암특징 및 신약개발/신약재창출 연구 소개

Seo, Jae Hong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서재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40

2017 Spring

Symposium 10 Cancer Therapeutics Development via Drug Development Network (DDN): The 4th Wave in Science신약개발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항암제개발: 제4의 물결 (신약개발네트워크연구회)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C

Organizer Kim, Soo-Youl (National Cancer Center)김수열 (국립암센터)

Chairperson Noh, Minsoo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노민수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S10-1 14:30~14:55

Niclosamide is a potential therapeutics for Familial Adenomatosis Polyposis (FAP) via targeting Axin-GSK3 interactionAxin-GSK3 결합을 억제하여 가족성용종증 치료제의 가능성이 있는 니클로사마이드

Yook, Jong In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육종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S10-2 14:55~15:20

Accelerating precision cancer medicine by integrating cancer genomics with drug repositioning암 유전체 정보와 신호전달 및 대사 네트워크 연구를 통한 새로운 항암전략 개발

Jeon, Sang-Min (College of Pharmacy, Ajou University)전상민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S10-315:20~15:45

Targeting transglutaminase 2 induces abrogation of renal cell carcinoma in pre-clinical model트란스글루타미나제2의 억제를 통한 신장암 혁신 신약 개발

Kim, Soo-Youl (National Cancer Center)김수열 (국립암센터)

Coffee Break (15:45~16:00)

S10-416:00~16:25

Discovery of nuclear receptor (ERRγ)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anaplastic thyroid cancer (ATC) ERRγ 조절기전의 후보물질의 발굴하고 미분화 갑상선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 검증

Cho, Sung Jin (DGMIF)조성진 (대구신약개발지원센터)

S10-5 16:25~16:50

Targeting glioblastoma metabolism: Energy disruption induced therapeutic response in glioblastoma교모세포종 에너지 대사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 개발

Kang, Seok-G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강석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41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11Implementation and Impact of Multidisciplinary Team-Based Pharmaceutical Care Services다학제 팀기반 약료서비스의 도입과 성과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D

Organizer Kim, Hyunah (College of Phar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김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Chairpersons

Gwak, Hyesun (College of Pharmacy, Ewha Womans University)곽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Lee, Young Sook (College of Pharmacy, Keimyung University)이영숙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S11-1 14:30~14:5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team pharmaceutical care service model using service design framework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다학제 약료서비스 모델 개발 및 적용

Han, Nayoung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한나영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S11-2 14:55~15:20

Development of a pharmaceutical care service model for patients with diabetes in the ambulatory care setting외래환자 대상 당뇨병 약료서비스의 개발

Yoon, Jeong-Hyun (College of Pharmacy, Pusan National University)윤정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5:20~15:35)

S11-315:35~16:00

Clinical and economic impact of pharmacists’ intervention in a large volume chemotherapy preparation unit항암제 조제파트에서의 약사 중재의 임상적, 경제적 영향

Lee, Ju-Yeun (College of Pharmacy, Hanyang University)이주연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S11-416:00~16:25

A strategy for pharmacist-enhanced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in Korea and its effect항균제 관리팀에서 약사의 업무 개발 및 확대 방안

Kim, Hyung-Sook (Department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김형숙 (분당서울대병원 약제부)

16:25~16:50 Q&A, Panel Discussion

42

2017 Spring

Symposium 12Natural Product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천연물과 4차 산업혁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E

Organizer & Chairperson

Kim, Su-Nam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KIST)김수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연구소)

S12-1 14:30~14:55

Development of smart plant factory system for high value-added natural products스마트팜 기반 고부가가치 천연물 원료생산 시스템

Yoo, Jihye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Smart Farm Solution, KIST)유지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마트팜융합연구단)

S12-2 14:55~15:20

Current status of NIBR biological resources information system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 정보시스템 운영현황

Choi, Sung ho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최성호 (국립생물자원관)

Coffee Break (15:20~15:35)

S12-315:35~16:00

Genomics and breeding for quality improvement of herbal products약용식물 유전체 연구와 육종 및 이에 기반한 품질관리

Yang, Tae-Ji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양태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S12-416:00~16:25

Bio-synergy analysis with a virtual human system CODA 가상인체시스템 코다를 이용한 바이오시너지 분석

Lee, Doheon (KAIST)이도헌 (한국과학기술원)

S12-516:25~16:50

Application of virtual screening for biological dereplication of natural products가상탐색을 이용한 천연물의 생물학적 dereplication

Kim, Seung Hyun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김승현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43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13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Student Practice Experiences in Pharmacy School약학대학 실무실습의 현황과 발전방안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F

Organizers

Lee, Seok-Yong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이석용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Lee, Jeongmi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이정미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Chairpersons

Lee, Jeongmi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이정미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Sohn, Uy Dong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손의동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S13-1 14:30~15:10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institutional practice experiences의료기관실무실습의 현황과 발전 방안

Kim, Jaeyoun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김재연 (서울아산병원, 한국병원약사회)

S13-2 15:10~15:50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communit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s지역약국실무실습의 현황과 발전 방안

Jeong, Kyeong-Hye (College of Pharmacy, Choong-Ang University)정경혜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S13-315:50~16:25

Development plan for the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s from the university side대학 입장에서의 임상실무실습 발전 방안

Lee, Young Sook (College of Pharmacy, Keimyung University)이영숙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S13-416:25~16:50

Current status and future plan to improve field training education for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 pharmacy약무행정실무실습의 현황과 발전 방안

Kang, Hye-Young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강혜영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44

2017 Spring

Symposium 14Regulatory Issues and Related Policy for Biotherapeutics바이오의약품 인허가 및 정책 세미나

Thursday, April 20th, 2017, 14:30-16:5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uditorium (2F, No. 202)

Organizers

Cha, Kiweon (New Drug Development Center (NDDC), KBioHealth)차기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Lim, SangHe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임상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Chairperson Cha, Kiweon (KBioHealth NDDC)차기원 (오송 신약개발지원센터)

S14-1 14:30~14:55

Regulatory evaluation and related policy for biopharmaceuticals바이오의약품 심사 및 평가 정책

Kim, Dae cheol (Biopharmaceuticals & Herbal Medicine Evaluation Department, NIFDS, MFDS)김대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바이오생약심사부)

S14-2 14:55~15:20

Current trends in biopharmaceuticals approval in Korea바이오의약품 허가심사 동향

Park, Younjoo (Biopharmaceuticals Reveiw Management Division, MFDS)박윤주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심사조정과)

Coffee Break (15:20~15:30)

S14-315:30~15:50

Development to approval for global biotherapeutics: Bridging the translational death valley글로벌 바이오신약 연구개발에서 허가지원까지

Choi, Won-Chan (New Drug Development Center (NDDC), KBioHealth)최원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S14-415:50~16:10

Biological drug evaluation and reimbursement policy바이오의약품 급여평가 현황과 쟁점

Kim, Kook Hee (Pharmaceuticals listing div.1, Pharmaceutical benefit dept., HIRA)김국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등재1부 약제관리실)

S14-516:10~16:30

Domestically developed world class innovative biologics: strategic considerations of Innovation policy and system국내개발 바이오혁신신약의 글로벌상업화 성공을 위한 국내 인허가 및 보험정책 제언

Lee, Bumsup (Kolon Life Science, Inc.)이범섭 (코오롱생명과학(주))

16:30~16:50 Panel Discussion

45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15Cutting-Edge Bio Imaging Technology첨단 바이오 이미징 기술

Friday, April 21st,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A

Organizer & Chairpersons

Kim, Pilhan (Graduate School of Nanosciene and Technolog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김필한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Lee, Jung Weon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이정원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S15-1 10:00~10:25

Holotomography techniques for 3-D label-free images of live cells and tissues3차원 비표지 세포 이미징을 위한 단층홀로그래피 기술

Park, YongKeun (Department of Physic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박용근 (KAIST 물리학과)

S15-2 10:25~10:50

Lymphocyte function analysis using live-cell fluorescence imaging and microfabrication세포 형광이미징 및 마이크로구조물 기반 림프구 기능 분석

Doh, Junsang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TECH))도준상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Coffee Break (10:50~11:05)

S15-311:05~11:30

Intravital microscopy platform for in vivo drug efficacy and phenotype analysis생체내 세포수준 영상화를 위한 생체현미경 기술

Kim, Pilhan (Graduate School of Nanosciene and Technolog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김필한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S15-411:30~11:55

OCT Angiography for clinical and pre-clinical applications혈관영상을 위한 광결맞음단층영상 (OCT) 기술

Oh, Wang-Yuhl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오왕열 (KAIST 기계공학과)

S15-511:55~12:20

Large-scale Optical Imaging대면적 광학영상기술

Jung, Woonggyu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정웅규 (UNIST 생명공학과)

46

2017 Spring

Symposium 16Application of Cutting-Edge Omics Technologies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신약개발을 위한 최첨단 오믹스 기법의 응용

Friday, April 21st,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B

Organizer & Chairpersons

Park, Song-Kyu (College of Pharmacy, Korea University)박성규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Kwak, Mi-Kyoung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곽미경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S16-1 10:00~10:30

Discovery of novel diagnostic biomarrkers and drug candidates in malaria infection using High Resolution Metabolomics 고감도 대사체학을 이용한 말라리아 감염 진단표지자 및 신약 타깃의 발굴

Park, Youngja H. (College of Pharmacy, Korea University)박영자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S16-2 10:30~11:00

Application of metabolomics and genomics for new drug development in early clinical trials대사체 및 유전체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초기 임상시험에서의 신약 평가

Cho, Joo-Youn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조주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Coffee Break (11:00~11:10)

S16-311:10~11:40

The novel application of protein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for toxicological research독성학 연구를 위한 단백질 수식화 분석기술의 활용

Lee, Sangkyu (College of Pharmacy, Kyungpook University)이상규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S16-411:40~12:10

Live metabolomics reveals new insights in cisplatin resistance in bladder cancer실시간 대사체학을 이용한 방광암의 시스플라틴 내성 연구

Paek, Sunghyouk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박성혁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S16-512:10~12:20

New aspect of NFE2L2/NRF2 as a modulator of cancer mitochondria through miR-181cNFE2L2/NRF2의 miR-181c 발현을 통한 암세포 미토콘드리아 조절

Jung, Kyeong-Ah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정경아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47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17The Future of Employment and Professionals Training of Pharmaceutical Industries제약산업 일자리의 미래와 전문인력 양성

Friday, April 21st, 2017, 10:00-12:20, Conference Room C+D

Organizer & Chairpersons

Lee, Sang-Won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이상원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Lee, Eui-Kyung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이의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S17-1 10:00~10:20

A long-term forecast for labor demand and the recent employment in pharmaceutical industry제약산업의 중장기 인력 수요전망과 최근의 고용 동향

Jeong, Myung-Ji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정명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S17-2 10:20~10:40

Current status and vision of the employment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제약 선진국의 일자리 현황 및 전망

Um, Seung In (Korea Pharmaceutical and Bio-Pharma Manufacturers Association)엄승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S17-310:40~11:00

Analysis of the supply and demand of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국내제약업계의 수요와 공급분석

Park, Somin (College of Pharmacy, Ewha Womans University)박소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S17-411:00~11:20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vision of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pharmaceutical science제약산업특성화대학원의 현재와 미래 발전방안

Ha, Dongmun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하동문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1:20~11:35)

11:35~12:20

Panel Discussion김주영 (Kim, Ju-Young),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서동철 (Suh, Dong-churl),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최태홍 (Choi, TaeHong), 보령제약 (Boryung Pharmaceutical)박정태 (Park, Jungtae),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Korea Biomedicine Industry Association)김애리 (Kim, Aeri), 차의과대학교 약학대학 (College of Pharmacy, CHA University)

48

2017 Spring

Symposium 18 (Luncheon Symposium)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INIST기업가정신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을 일꾼 이니스트 김국현의 뚝심 리더십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Friday, April 21st, 2017, 12:30-13:30, Conference Room C+D

Organizer & Chairperson

Ko, Kihyun (INIST BIOPHARMA)고기현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S18 12:30~13:00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INIST 기업가정신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을 일꾼 이니스트 김국현의 뚝심 리더십

Kim, Kukhyun (INIST BIOPHARMA)김국현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Symposium 19 Seoriful Pharma Forum: The Role of PSK for Pharmaceutical Industry서리플 제약산업포럼: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약학회의 역할

Friday, April 21st, 2017, 13:30-14:20, Conference Room A+B

Organizer & Chairpersons

Son, Mi Won (Dong-A Pharm)손미원 (동아제약)

Jeong, Jin-Hyun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정진현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S1913:30~13:45

The challenges for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fter ‘Hanmi’‘한미’ 이후 한국 제약산업의 발전 과제

Kim, Seok-Kwan (Division for Industrial Innovation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산업혁신연구본부)

13:45~14:30

Panel Discussion김석관 박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손여원 원장 (식품의약품안전연구원), 이승규 부회장 (한국바이오협회), 엄승인 실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최수진 MD (산업통상자원부 R&D전략기획단), 손동환 교수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이용복 교수 (전남대학교 약학대학), 남수연 대표 (벤처대표, 전 유한양행 연구소장), 주 청 전무 (신풍제약 연구소장), 한용해 박사 (대웅제약), 김흥재 박사 (엔지켐생명과학)

49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20Development of Nanomedicine나노의약 개발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A

Organizer & Chairperson

Yun, Chae-Ok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윤채옥 (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S20-1 14:20~14:50

Oral delivery of lactoferrin protein-conjugated macromolecules for curing brain tumor 락토페린 단백질이 결합되어있는 macromoleculse의 경구투여를 통한 뇌종양 치료

Lee, Dong-Yun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이동윤 (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S20-2 14:50~15:20

Biomedical application of microneedle technology 생의학용 미세침 기술의 개발

Kim, Yeu Chu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KAIST)김유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Coffee Break (15:20~15:40)

S20-3 15:40~16:10

Drug-device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소화기계질환을 위한 의약품 의용기기 병용

Lee, Don-Haeng (School of Medicine, Inha University)이돈행 (인하대학교 의학전문 대학원)

S20-4 16:10~16:40

Evolving lessons on nanomaterial-coated viral vectors for local and systemic gene therapy아데노바이러스의 나노물질을 이용한 전달

Yun, Chae-Ok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윤채옥 (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50

2017 Spring

Symposium 21Translational Chemistry for Target Validation타깃검증 중개화학 연구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B

Organizer & Chairpersons

Oh, Kyungsoo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오경수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Kwak, Young-Shin (College of Pharmacy, Korea University)곽영신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S21-1 14:20~14:50

Tau-targeted drug discovery: A potential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타우-표적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연구

Pae, Ae Nim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Dementia,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배애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DTC융합연구단)

S21-2 14:50~15:20

In Silico design of epigenetic enzyme inhibitors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후성유전학적 효소억제제 설계

Park, Hyun-Ju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박현주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Coffee Break (15:20~15:30)

S21-3 15:30~16:00

Druggable target and validation of new Scaffold신약창출 가능한 타겟 선정 및 신규 골격의 검증

Lee, Sunkyung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이선경 (한국화학연구원)

S21-4 16:00~16:20

An organic synthetic methodology of anomeric N,N-diarylamino tetrahydropyran & chemo-centric target profiling of the scaffold아노머성 N,N-다이아릴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의 유기합성법과 약물 구조 기반 타겟 프로파일링

Kim, Mi-hyun (College of Pharmacy, Gachon University)김미현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S21-5 16:20~16:40

Development of cell penetrating peptide as drug delivery tools and their therapeutic potentials약물전달을 위한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의 개발 및 치료제로 써의 가능성

Hyun, Soonsil (The Institute of Molecular Biology and Gene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현순실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51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Symposium 22Autophagy: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herapeutic TargetsAutophagy: 분자적 기전에서 질병 치료 타깃까지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C

Organizer & Chairpersons

Woo, Hyun Ae (College of Pharmacy, Ewha Womans University)우현애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Kim, Woo-Young (College of Phar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김우영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S22-1 14:20~14:50

Ezetimibe, a hyperlipidemia drug, activates Nrf2 and protects mice from nonalcoholic steatohepatitis고지혈증 치료제인 Ezetimibe의 Nrf2활성 증가를 통한 마우스에서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억제효과 규명연구

Bae, Soo Han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배수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S22-2 14:50~15:20

Autophagy and nutrient signaling대사와 노화를 연결하는 분자적 기작 탐구

Lee, In Hye (College of Natural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이인혜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Coffee Break (15:20~15:40)

S22-3 15:40~16:10

Autophagy: Target of omega-3 fatty acids-induced cell death in cancer오토파지: 오메가-3 지방산의 항암작용에 대한 표적

Lim, Kyu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임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S22-4 16:10~16:40

Pharmacological modulation of cellular proteasome activity: its proteostatic and pathophysiological implications저분자물질을 이용한 세포 내 프로테아좀 활성 조절: 단백질 항상성과 생태병리적 의미

Lee, Min Ja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이민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52

2017 Spring

Symposium 23Strategy to Improve Patent and Technology Transfer of University대학 특허 및 기술이전 활성화 전략

Friday, April 21st, 2017, 14:30-16:50, Conference Room D

Organizer & Chairpersons

Lee, Hwa Jeong (College of Pharmacy, Ewha Womans University)이화정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Han, Sang-Bae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한상배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S23-1 14:20~15:00

Open translational research center for innovative drug개방형혁신신약중개연구센터

Lee, Kyeong (College of Pharmacy, Dongguk University)이경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S23-2 15:00~15:40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companion diagnostic system for anti-cancer drug항암제 동반진단 시스템 개발 및 상업화

Choi, Joon-Seok (College of Pharmac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최준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S23-3 15:40~16:20

SEPSIS: Mycobacterium tuberculosis DD-S001 as an LPS removal and bactericidal agent패혈증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략

Park, Yeong-Min (Medical Graduate School, Kunkuk University)박영민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53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Young Scientists Session 1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1■Research regions : P3. Pathology / Physiology P5. Microbiology / Immunology P9. Pharmaceutics / Physical Pharmacy4/20(Thu), 09:00-10:00, Conference Room C (2F)

Chairperson Lee, Sung Hee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이성희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Evaluators

Jung, Jong-Wha (College of Pharmac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정종화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Kim, Ji-Hun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김지훈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YSS1-1 (P3-14)09:00~09:05

Shear stress induces transverse Ca2+ waves via autocrine activation of P2X purinoceptors in rat atrial myocytesKim, Joon-Chul (College of Phar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SS1-2 (P3-29)09:05~09:10

Liver-specific deletion of RORα aggravates diet-induce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Kim, Hyeon-Ji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YSS1-3 (P3-33)09:10~09:15

Inhibition of 5-HT7 receptor signaling suppresses pancreatic cancer stem cell populationSuhrid Banskota (College of Pharmacy, Yeungnam University)

YSS1-4 (P5-1)09:15~09:20

IL-21-mediated reversal of NK cell exhaustion facilitates anti-tumor immunity in MHC class I-deficient tumorsSeo, Hyungseok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YSS1-5 (P5-12)09:20~09:25

Development of cell-penetrating bispecific STAT3 antibodyHahm, Young Hye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YSS1-6 (P5-15)09:25~09:30

Endogenously produced oxidized phospholipids secrete IL-1β through the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Lee, Hye Eun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YSS1-7 (P9-5)09:30~09:35

Dual drug-loaded zein nanoparticles for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s in metastatic prostate cancersSung, Min Hyun (College of Pharmacy, Yeungnam University)

YSS1-8 (P9-27)09:35~09:40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hree proteins from Shigella flexneriYoun, Wonsu (Department of Molecular Science and Technology, Ajou University)

YSS1-9 (P9-37)09:40~09:45

Drug repositioning of fluvastatin for breast cancer stem cells using hyaluronan-conjugated liposomeKim, Ye-Rin (College of Phar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YSS1-10 (P9-46)09:45~09:50

Cohesion-adhesion balance (CAB) in dry powder formulation of bosentan microparticles with different type of lactose carriersLee, Hong-Goo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54

2017 Spring

Young Scientists Session 2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2■Research regions : P7. Pharmacognosy / Oriental Medicine P8. Analytical Chemistry P10. Clinical Pharmacy / Social Pharmacy / Hospital Pharmacy P11. Industrial Pharmacy / Social Pharmacy4/20(Thu), 09:00-10:00, Conference Room D (2F)

Chairperson Chung, Woo-Hyun (College of Pharmacy, Duksung Women’s University)정우현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Evaluators

Seo, Min-Duk (College of Pharmacy, Ajou University)서민덕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Kim, Juyoung (College of Pharmacy, Woosuk University)김주영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YSS2-1 (P7-1)09:00~09:05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giogenesis inhibitors from the rare mushroom Calvatia nipponicaLee, Seulah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YSS2-2 (P7-20)09:05~09:10

Chemical constituents from Tetrastigma hemsleyanum and 2D NMR barcoding of the mixtures of chlorogenic acidsCai Yi Wang (College of Phar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SS2-3 (P7-32)09:10~09:15

Two new sesquiterpene lactones from the leaves of Laurus nobilis from LebanonAyman Turk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YSS2-4 (P7-48)09:15~09:20

The improving effect of aronia on hair growth in alopecia model Han, Jae-Bok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Convergence, Daegu Haany University)

YSS2-5 (P7-60)09:20~09:25

Inhibitory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Kim, Yu-Gyeong (College of Pharmacy, Keimyung University)

YSS2-6 (P8-7)09:25~09:30

Simple HPLC-UV method for quality control of Adenophorae RadixThi Phuong Duyen Vu (College of Phar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SS2-7 (P8-24)09:30~09:35

Metabolomic analysis of polyamines in plasma and lung tissues of mice with asthma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Lee, Hyeon-Seong (College of Pharmac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YSS2-8 (P10-7)09:35~09:40

BSA and ABCB1 polymorphism affect the pharmacokinetics of sunitinib and its active metabolite in Asian mRCC patients receiving an attenuated sunitinib dosing regimenBack, Hyun-Moon (College of Phar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SS2-9 (P10-27)09:40~09:45

Future issues and unmet needs for safety management of medicinesKim, Myeong Gyu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YSS2-10 (P11-15)09:45~09:50

Discrepancies of the evidence-of-risk and recommendation of new drugs for pregnant women in US, UK, Japan, and Korea regulatory body’s labelingNoh, Yunha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Univeristy)

55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Young Scientists Session 3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3 ■Research regions : P1. Pharmacology, P2. Toxicology / Hygienics4/21(Fri), 09:00-10:00, Conference Room C (2F)

Chairperson Seo, Min-Duk (College of Pharmacy, Ajou University)서민덕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Evaluators

Lee, Sung Hee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이성희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Cho, Hyosun (College of Pharmacy, Duksung Women’s University)조효선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YSS3-1 (P1-8)09:00~09:05

Ethyl{2-methyl-3-[2-(naphtho[2,1-b]furan-2-ylcarbonyl)carbohydrazonoyl]-1H-indol-1-yl}acetate)(1BO4) induced anticancer effect in lung cancer cell line A549 via senescence and tubulin aggregation.Park, Chan-Woo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YSS3-2 (P1-30)09:05~09:10

Pharmacokinetics of multiple-dose meloxicam in different CYP2C9 genotypesLee, Choong-Min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YSS3-3 (P1-36)09:10~09:15

The new synthetic drug 5-(2-Aminopropyl) indole (5-API) induces rewarding effects and increases dopamine D1 receptor gene expression in the striatum and prefrontal cortexChrislean Jun Botanas (College of Pharmacy, Sahmyook University)

YSS3-4 (P1-38)09:15~09:20

Involvement of CREB signaling in the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N-((3,4-Dihydro-2H-Benzo[h]chromen-2-yl)methyl)-4-Methoxyaniline in the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Lee, KyeongJun (College of Pharmacy, Dongguk University)

YSS3-5 (P1-41)09:20~09:25

Equol, a dietary daidzein gut metabolite, attenuates neuro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on in LPS-activated microglia and neuron Lalita Subedi (College of Pharmacy, Gachon University)

YSS3-6 (P1-66)09:25~09:30

Decreased lung tumor development in swAPP mice through decrease of Chitinase-3-like-1 expression and STAT3 activity via up-regulation of miRNA342-3pHwang, Chul Ju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YSS3-7 (P1-89)09:30~09:35

Toluene inhalation in mice affects emotional behavior and serotonin level in bloodKim, Jinhee (College of Pharmacy, CHA University)

YSS3-8 (P2-21)09:35~09:40

Identification of a sensitive urinary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for early detection of acute kidney injuryKim, Kyeong Seok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YSS3-9 (P2-30)09:40~09:45

Ubiquitin conjugating enzyme Ubc13 protect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linked to defect in mitophagyLee, Chae-Young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YSS3-10 (P2-34)09:45~09:50

Plasticity and heterogeneity of lipid metabolism in beige/brown adipose tissueSeun Akiindehin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

56

2017 Spring

Young Scientists Session 4

Poster Award Oral Presentation 4■Research regions : P4. Biochemistry P6. Medicinal Chemistry 4/21(Fri), 09:00-10:00, Conference Room D (2F)

Chairperson Jung, Young-Suk (College of Pharmacy, Pusan National University)정영석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Evaluators

Chung, Woo-Hyun (College of Pharmacy, Duksung Women’s University)정우현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Kang, Kyu-Tae (College of Pharmacy, Duksung Women’s University)강규태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YSS4-1 (P4-19)09:00~09:05

Nuclear export of HP1γ is responsible for HPV-mediated p53 degradation in cervical cancerYi, Sang Ah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YSS4-2 (P4-29)09:05~09:10

Protective activity of isonitramine on oxidative stress-induced pancreatic beta-cell dysfunction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Hwang, Su Jung (College of Pharmacy, Inje University)

YSS4-3 (P4-35)09:10~09:15

Oregonin-induced heme oxygenase-1 improves intestinal epithelial injury via ERK/JNK signalingJin-Hua Chi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

YSS4-4 (P4-42)09:15~09:20

α-Viniferin regulates MITF transcription in melanin production by inhibiting CREB phosphorylationYun, Cheong-Yong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YSS4-5 (P4-59)09:20~09:25

Sox2-mediated autophagy induction suppresses colon cancer cell growthKim, Seung-Min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YSS4-6 (P4-66)09:25~09:30

NMR spectroscopy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HSP70 and AIMP2-DX2 protein spectroscopy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HSP70 and AIMP2-DX2Kim, Ji Seon (College of Pharmacy, Korea University)

YSS4-7 (P6-4)09:30~09:35

Direct C(sp3)-H Alkylation of 8-Methylquinolines with Allylic Alcohols under Rh(III)-Catalysis Kim, Saegun (School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YSS4-8 (P6-37)09:35~09:40

Efficient synthesis of anti-hepatitis b agent, entecavirHyun, Young Eum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YSS4-9 (P6-41)09:40~09:45

Synthesis of substituted 2-bromopyridines from acetophenone and its derivativesRhee, Jeongtae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YSS4-10 (P6-47)09:45~09:50

Chemoselective acylation of 2-amino-8-quinolinol in the generation of C2-amides or C8-estersXiang Fei (College of Pharmacy, Gach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