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86510.pdf ·...

10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4, No. 2, November, 30, 2012 제권제호 4 2 ISSN 2092 945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Upload: others

Post on 09-Feb-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4, No. 2, November, 30, 2012

    제 권 제 호4 2 ISSN 2092 945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제 호4 2 2012. 11. 30

    차 례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1

    김덕주 양영애,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 9

    김미점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15

    박주형 강신욱,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23

    박윤희 차수민,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지식 및 교육에 관한 연구 ········································································· 31

    유화영 양영애,

    삼킴장애 환자의 관리를 위한 주 돌봄자의 지식 및 교육 요구도 조사 ····································· 43

    송선희 박진성,

    작업치료사의 상지통증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51

    박윤희 정재엽,

    뇌졸중 환자의 인지장애를 선별하기 위한 몬트리올 인지평가의 적절성 ···································· 59

    정재엽 차수민,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른 학업성취도 연구 ················································· 67

    박주영 김은정,

    청양군 다문화 가정의 현황 분석 ···································································································· 73

    김미점

    병원 근로자의 노후생활 준비도 연구 ···························································································· 79

    박보라 신중일,

  •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4, No. 2 2012. 11. 30

    CONTENTS

    A study of Korean Elderly Health Care System and It’s Improvement Plan ················· 1

    Kim, Deok-Ju, Yang, Young-Ae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n Services Utilize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9

    Kim, Mi-Geom

    A systematic review of mirror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on stroke in

    Korea ················································································································································ 15

    Park, Ju-Hyung, Kang sin-uk

    Study of Stress in Patients with Stroke ················································································· 23

    Park, Yun-Hee, Cha, Su-Min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Education of the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 31

    Yu, Hwa-Yeong, Yang, Yeong-Ae

    The Management of Dysphagia Patients of Knowledge for Caregivers & the

    Educational Needs Survey ··········································································································· 43

    Song, Sun-Hee, Park, Jin-Sung

    Effect of stress from Busi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Focus on Pain in the upfper

    limbs ················································································································································· 51

    Park, Yun-Hee, Jung, Jae-yup

  •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The Adequacy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for Stroke Patients with Cognitive

    Disorder ··········································································································································· 59

    Jung, Jae-yup, Cha, Su-Min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Related to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Major in Occupational Therapy) ··························································· 67

    Jung, Jae-yup, Cha, Su-Min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ies ····················· 73

    Kim, Mi-Geom

    A Study on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of Hospital Worker ············································· 79

    Park, Bo-Ra, Shin, Jung-Il

  •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김덕주 양영애* , **,***

    한림대학교 치료과학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 론.Ⅰ

    년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전체 인2008

    구대비 노인인구 비율이 에 달하고 저출산의 지10% ,

    속적인 진행으로 년에는 그 비율이 년2020 15%, 2026

    에는 를 넘게 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20%

    이라고 한다보건복지가족부 노인인구가 증가( , 2009).

    함과 동시에 신체적 정신적으로 허약한 고령노인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

    라는 전 세계에서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최단기간

    내 고령화 사회로 되어가고 있지만 늘어가는 노인인,

    구에 비해서 노인복지정책의 기능이 매우 취약한 편

    이다국민건강보험공단( , 2005).

    또한 급격한 산업화와 핵가족화 그로인한 노인부,

    양의식의 약화로 인하여 단독노인들의 수가 증가하였

    으며 이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약화와 같은 노년기에,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보건의료체계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고찰 문제점의 도출 일본의 노인보건의, ,

    료체계에 대한 검토 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한 노인보건의료체계의 방향을 모색하

    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의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 문제점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였고 이를바탕으로, , ,

    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건의료정책에는 노인보건의료서비스 노인건강지원사업 노인재가의료복지 노인, , ,

    장기요양보험 등이 있으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급, .

    성기중심의 의료체계 건강검진의 부정기적인 실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저소득층 에게만 제, ,

    공되고 있는 노인재가의료복지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다.

    결론

    일본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정기적이고 꾸준한 플랜을 세워 노인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해 나가고,

    건강증진 질병예방 조기진단 조기치료 등과 같은 예방의료를 중요시 하며 질환의 종류와 기능장애, , ,․

    의 정도에 따라 분리 수용할 수 있는 의료체계를 마련한다면 의료비 절감과 더불어 전문화된 노인보

    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노인보건의료체계 노인건강지원사업 노인재가의료복지 노인장기요양보험, , ,

    교신저자 김덕주 논문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0 17 : 2012 11 01∥ ∥

  •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할 수 없게

    만들었다 질병양상의 변화를 보면 과거 인류 역사에. ,

    서 질병의 전형적인 형태였던 전염병이나 위생과 관

    련된 질병 등 급성질환들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인구

    의 노령화와 생활행태의 변화에 다른 만성퇴행성 질

    환이 주류를 이루어 가는 추세가 뚜렷하다 한국보건.

    사회연구원에서 시행하여 발표한 전국노인생활실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들 중 진단받은 만성질,

    환자 비율이 나 되었고 그 중에서도 개 이상의90.9% , 3

    만성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진 노인이 에 달하고54.8%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현재 우리나라 세( , 2005). 65

    이상의 노인의 상당수가 장기간 치료 요양을 요하는,

    당뇨 관절통 고혈압 등 만성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 ,

    고 기타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효율,

    적으로 치료 요양할 시설과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노,

    인부양가정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노인건강문제를 더 이상 노인자신과 가족차원의 문제

    로 볼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국가 사회적인 차원의,

    보건의료복지정책을 마련하여 노인건강문제를 해결

    해 나가야 할 것이다김옥희( , 2010).

    선진산업국가들의 경우를 보면 이러한 의료수요와

    관련된 환경변화가 병원 및 병상구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급성질환자용 병상이 급격히 감소한

    반면에 요양원 등 장기요양을 위한 기관과 병상은 증

    가하고 있다원영희 즉 후기고령자를 중심으( , 2001). ,

    로 한 노인계층의 급증으로 인하여 노인에 대한 의료

    서비스이용 및 지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노인계층에 적합한 보

    건의료체계의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보건의료체계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고찰 문제점의 도출 일본의 노인보건의, ,

    료체계에 대한 검토 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한 노인보건의료체계의 방향을 모색하고

    자 한다.

    본 론.Ⅱ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문제점1.

    노인보건의료 서비스1)

    현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건의료서비스의 흐

    름을 살펴보면 지역사회서비스 노인주거복지서비스, , ,

    노인의료복지시설 서비스 급성기 의료서비스 등이,

    상호연계 되어 있다 지역사회서비스에는 방문보건서.

    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단기입소서비스 등이 있다 그, , .

    리고 노인들의 기능상태에 따라 독립적인 생활이 가

    능한 경우 양로원 노인주택 등에 해당되는 노인주거,

    복지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상태가 떨어져,

    요양이 필요한 경우 노인의료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단위 2000 2010 2015 2020 2025 2030

    노년부양비 % 10.0 14.2 16.1 18.9 24.3 29.8

    세인구0 14∼ 천명 10,080 9,515 9,013 8,633 8,448

    세인구15 64∼ 천명 35,506 36,316 36,446 35,465 34,130

    노령화지수 % 32.9 49.9 61.4 76.5 99.8 120.3

    유년부양비 % 28.4 26.2 24.7 24.3 29.8

    총부양비 5 42.6 42.3 43.7 48.6 54.5

    출처 건강보험심사평원: , 2005

    표 1.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3

    있다 노인은 보통 하나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

    고 일정정도의 기능손상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또 기능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시설서비스와 재가서비스를 이용해야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급성기 질환 중심으로 의료체계가 짜여있

    어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노인들이 급성기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보건의료비용 상승을 유발하

    기도 한다서미경 등( , 2005).

    노인건강지원사업 노인건강진단2) :

    노인건강진단 대상자는 노인복지법 제 조에 의거27

    하여 세 이상의 노인이 대상이 되며 건강진단과 보65 ,

    건교육을 받을 수 있다 년부터 국민기초생활 수. 2005

    급노인뿐만 아니라 차상위계층의 저소득 노인들도 대

    상에 포함되었다 년에 회 이상 국 공립병원 보건. 2 1 , ,

    소 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건강진단기관에서 대

    상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차 및 차로 구분하여 실시1 2

    한다보건복지부 노인건강진단을 받은 자 중( , 2004).

    에서 질병이 의심될 때에 한해 차 검진을 하게 된다2 .

    하지만 전년도 진단자 중 건강한 자는 그 해에 대상자

    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에 수혜대상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년에 회 이상이라는 건강. 2 1

    검진의 부정기적인 실시는 조기발견과 사전예방의 어

    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노인재가의료복지3)

    노인과그부양가족이필요로하는서비스를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제공하여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하

    고가족의부양부담을경감시키는것을목적으로하여

    재가노인과 그 가족을 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이다.

    재가의료복지에는 방문보건사업 가정간호사업 방문, ,

    요양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방문목욕 이외에도 노인, , ,

    보건의료용품사업 및 노인돌봄서비스 사업 등이 있다.

    이서비스를이용하는노인들은경제력과부양자의유

    무에따라무료 실비 유료서비스를받을수있다보건, , (

    복지부 하지만 정부지원에 의한 재가의료복지, 2004). ,

    서비스가주로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과저소득층

    에게만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의 평균 수명이 연장

    됨으로서 노인인구가 크게 증가하는 고령사회에 노령

    이나 기타 질병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여 타인의 도움

    과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보호 즉 장,

    기요양보호 의 비용을 사회보험 방식으(long term care)

    로 조달하기 위한 제도이다유혜경 노인장기( , 2008).

    요양보험은 세 이상의 노인 또는 세 미만의 자로65 65

    서 치매 뇌혈관성질환 등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개월 이상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6

    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장기요양보험료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의 부담금 등을 재원으로 하여 신체

    활동 가사활동의 지원 또는 간병 등의 서비스나 이에,

    갈음하는 현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기존 노인복지가.

    노인복지사업법에 근거한 것과는 달리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시행되

    고 있으며 등급 기준 등급 내에 있는 거동이, 1, 2, 3

    불편한 어르신들에게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부양가

    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

    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이정영 급( , 2010).

    여의 종류는 재가급여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 , ,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기타재가급여 시설급여노인, , ), (․

    의료복지시설 등에 장기간 동안 입소하여 신체활동

    지원 및 심신기능의 유지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등을․ ․

    제공하는 장기요양급여와 특별현금급여가족요양비) ( ,

    특례요양비 요양병원간병비 등이 있다보건복지가, ) (

    족부,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화 사회에 획기적으

    로 등장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지만 문제점 또한 지적되고 있다, .

    첫 번째 기존의 노인복지서비스가 기초수급자와,

    저소득층의 요양요구가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서비

    스를 제공하였다면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된 이후,

  •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에는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일정 수준이상의 요양욕구

    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로 인하여 기존서비스 체계에서 요양욕구가 상대적으

    로 낮은 저소득층과 기초수급자는 서비스를 받지 못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두 번째 본인부담금 이라는 제도 때문에 실제로 기,

    초생활수급자에 포함되지 않은 차상위계층 중 자기부

    담금 때문에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

    건복지부 에 따르면 년 등급 판정을 받(2011) 2010 1 3∼

    은 노인 만 명 가운데 인 만 명이 요31 5,994 11% 3 4,000

    양보험을 하지 않았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본인부담,

    금때문에요양보험의혜택을포기한것으로집계된다.

    세 번째 갱신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년부터, . 2009

    년 월까지 갱신 신청자는 모두 만 천명 인데2011 7 45 6 ,

    이 중 등급이 하향조정하여 탈락한 사람이 에 달한8%

    다 장기요양서비스를 통해 상태가 호전되면 서비스.

    가 중단된다는 것이다 또한 년에 한 번씩 갱신하게. , 1

    하는 것도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일일 수 있다.

    일본의 노인보건의료정책2.

    일본정부는 노인보건사업을 기간별로 계획하여 실

    시하고 있는데 년 실시된제 차 국민건강증진대, 1978 ‘ 1

    책이후 현재 제 차 계획을 추진 중이다 년에는’ 4 . 1970

    고령화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노인보건법 제정 골드‘ ’ ,

    플랜 과 뉴 골드플랜 의 수립 등 노인의료(1989) (1994) ,

    복지 연금 등 사회보장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고령자,

    정책이 발전적으로 시행되어 왔다오은환( , 2007).

    년대에 들어서서 건강하면서도 보람 있는 노후2000 ‘

    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종합적 사회 환경 창출의 중’

    요성을 강조한 정책인 골드플랜 년이21(2000 2004 )∼

    시행되었고 년 의료제도개혁을 통해 의료비 적, 2006

    정화의 종합적 추진 새로운 고령자의료제도의 창설, ,

    도도부현 단위를 축으로 한 보험자의 재편과 통합을

    추진시켰다 일본은 사회적 변화와( , 2004).川內規會

    가족기능의 약화 노인인구의 증가 노인의료비의 증, ,

    가 인간다운 삶의 질에 대한 자원 등을 배경으로 하,

    일본

    개호보험법( )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법( )

    예방급여개호보험법 제 조( 52 )∙

    개호급여의 재가서비스-

    지역밀착형서비스의 일부-

    인지증대응형 통원개호 소규모다기( ,

    능거택개호 인지증대응형 공동생활,

    개호)

    개호급여개호보험법 제 조( 40 )∙

    재가서비스1.

    방문개호-

    방문입욕개호-

    방문간호-

    방문재활-

    거택요양관리지도-

    통원개호-

    통원재활-

    단기입소 생활개호 및 요양개호-

    특정시설입소자 생활개호-

    복지용구 대여 및 특정복지용구판매-

    주택 개보수-

    시설서비스2.

    개호복지시설서비스-

    개호보건시설서비스-

    개호요양시설서비스-

    지역밀착형 서비스3.

    재가< >

    야간대응형 방문개호-

    인지증대응형 통원개호-

    소규모다기능형 거택개호-

    인지증대응형 공동생활개호-

    - 지역밀착형 특정시설 입소자 생활개호

    시설< >

    - 지역밀착형 개호노인복지시설 입소자

    생활개호

    재가급여∙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 야간보호- ,

    단기보호-

    - 기타 재가급여

    복지용구( )

    시설급여∙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

    공동생활가정

    특별현금급여∙

    가족요양비-

    특례요양비-

    요양간병비-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 2009

    표 2. 장기요양급여 종류

    여 년 개호보험법을 제정하였으며 년 법률1997 , 1997

    제정 이후 약 년이 경과한 년 월 일 법률이 시4 2001 4 1

    행되었다 년 개정된 일본의 개(Eto Mikiko, 2001). 2005

    호보험은 노령 또는 심신 장애인이 개인 또는 사회적

    원인에 의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람을 대

    상으로 식사 배설 목욕 등 전문적인 도움을 주어 신, ,

    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

  •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5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장기요양제도이다국민건강보(

    험공단, 2006).

    일본의 의료서비스를 보면 주로 만성기 치료를 필,

    요로 하는 환자를 위한 요양형 병상군이 있는 병원,

    급성기 또는 만성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노인을 위한

    노인병원 그 외에 고도의 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위한 대학병원 본원 국립암센터 순화기병 센, ,

    터 등의 특정기능병원이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의 노.

    인들은 건강상태 필요도에 따라 개호복지서비스 요,

    양서비스에서부터 급성기 의료서비스까지 다양한 서

    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서비스정책을 보면,

    별도의 법령에 의한 노인보건제도가 마련되어 체계적

    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도 독,

    자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대상노인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 2004).鈴木隆雄大淵修一‧

    일본은 년 베이비붐세대가 모두 고령자로 편입2015

    되고 그 년 후인 년 후기고령자로 진입됨과 함, 10 2025

    께 치매고령자와 독거노인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세우고 있다 즉 정책. ,

    대응의 기본방향성을 예방중심적인 차원에서 개「

    호 개호 예방 모델로 치매고령자의 증가에 대+ ,」→「 」

    응하여 신체케어 신체 치매케어 모델로 독+ ,「 」→「 」

    거노인 노인부부세대 등의 급격한 증가에 대해서,

    가족동거 동거 가족 모델로 전환하였다이+ (「 」→「 」

    정남 윤철재, , 2010).

    결론 및 제언.Ⅲ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

    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일본의 사례와 비교한 다음, ,

    향후 우리나라 노인의료보건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해

    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반적인 노인보건의료 자원의 확충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민간 노인전문병원 설.

    립에 대해 융자를 지원하고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

    에서 노인병동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

    요하다 수술 등 급성 치료 이후의 재활이나 회복 요. ,

    양 및 말기 환자를 담당하는 호스피스 개념의 병원 등

    이 설립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

    다.

    둘째 노인건강진단제도의 확대도 필요하다 노인, .

    의 만성질환을 조기발견하고 사전 예방하는 것은 의

    료비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적은 예산으로도 큰 효과

    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의 노인건강진단제.

    도는 기본사항만 검진되기 때문에 효율성이 매우 낮

    다 따라서 골다공증 노인성 우울증과 치매 등의 질. ,

    환도 검진사항에 포함시키고 암 검사까지 검진항목,

    에 적용시켜 건강검진의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재가의료복지서비스는 주로 가사서비스 간, ,

    병서비스와 등에 집중되어 있는데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도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응급서비스.

    에 대한 지원을 확충하고 재가의료복지 서비스를 제

    공하는 사람들의 전문성도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개선도 이루어져야,

    한다 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되기 전 대부분의 차상위.

    계층 노인들이 지방자치단체 등의 지원으로 무료 돌

    봄 서비스 등을 받아왔지만 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되,

    고 나서는 실제로 기초생활수급자에 포함되지 않는

    차상위계층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

    생하고 있다 본인부담금이라는 것도 큰 원인으로 작.

    용된다 그동안 수행되었던 공공부조 중심의 노인복.

    지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장기요양보험제도가 함께 운

    영되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

    리고 장기요양 서비스를 통해서 상태가 좋아지면 서,

    비스가 중단되는데 상태가 좋아진다고 해서 바로 등,

    급외를 주어 탈락시키지 말고 현재의 좋아진 상태가,

    꾸준히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기간 서비스를 제공해

    야 할 것이다.

    한국은 년에 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인구2026 65

    의 이상으로 초고령사회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20%

    통계청 이에 따라 노인복지사업에 투자를 수( , 2005).

    행해야 하는 정부로서는 그 재정적 부담이 급속도로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일본의 사례를 보.

    면 알 수 있듯이 정기적이고 꾸준한 플랜을 세워 노인

  •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해 나가고 건강증진 질병예방, , ,

    조기진단조기치료 등과 같은 예방 의료를 중요시 한․

    다면 오히려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급증하고 있는 노인의료비 부담.

    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병원보

    다는 장기요양시설의 확대가 요구된다 현재 노인복.

    지법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는 요양시설을 치매 중풍,

    등 질환의 종류와 기능장애의 정도에 따라 분리 수용

    할 수 있도록 전문화 하고 이와 함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 (2005). :

    건강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일본개호보험의 재출발 서. (2006). .

    울 국민건강보험공단: .

    보건복지가족부 년도 노인실태조사 서. (2009). 2008 ,

    울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복지가족부 요양보호사 양성을 위한 표. (2010).

    준교재 개정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길잡이 통계 서울 보. (2011). . :

    건복지부.

    서미경 김혜련 한영자 등 보건의료서비스 공, , . (2005).

    급체계 개선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원영희 세기 노인복지 발전을 위한 행정체. (2001). 21

    계 개선방안과 국제회의 참여방안 미국의 노인복:

    지 행정체계 전북 전국노인복지단체협의회. : .

    오은환 일본의료제도개혁동향. (2007). . 국제사회보장

    동향 봄호, , 42 51.∼

    유혜경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에 따른. (2008).

    이용자 만족도 실태연구 서울 중앙대학교. : .

    이정영 노인장기요양 보호서비스의 발전 방. (2010).

    안에 관한 연구 치매노인과 부양자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대전 대전대학교- : .

    이정남 윤철재 일본의 고령자 보건의료 및 복, . (2010).

    지정책의 현황특성에 관한 연구 년대 고령자-2000

    의료복지정책의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

    설학회지, 16(3), 57-67.

    장인협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 (1987). . :

    출판부.

    통계청 년도 장래인구특별추계 서울 통. (2005). 2005 . :

    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 (2005).

    지욕구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 (2004). 21川內規會 施策ゴ ルド プラン におけるー ー

    元氣高齡者像 活動とコミュニケ ションー 靑林縣立

    , 5(1)保健大學雜誌 .

    ( ). (2004).鈴木隆雄大淵修一監修 包括的 作なプランの‧

    . :成 介護豫防完全 東京 東京都のために マニュアル

    .老人綜合硏究所

    국민건강보험공단http://www.nhic.or.kr/portal/site/main .

    (2009).

  •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7

    Abstract

    A study of Korean Elderly Health Care System and It’s Improvement Plan

    Kim, Deok-Ju*, M.O.T., Yang, Young-Ae**,***, Ph.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cience and Therapy, Hallym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de of aged life redesign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recognizes about the present situations of elderly health care sys-tem, and to recognize a direction of elderly health care system actuality of our country.

    Methods : We reviewed that elderly health care system, problem, case of Japan through a study of lit-erature, which is a basis that offers vitalization of elderly health care system.

    Results : In health medical treatment policy that is enforced present is elderly health support business,elderly home medical welfare,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ect. However, this policiesare displaying problem in a lot of places.

    Conclusion : Therefore, finding solution about these problems, establish policy laying on-time and constantplan, prevention medical care such as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early diagnosis,early treatment, may offer elderly health care system that is specialized with medical ex-pense curtailment.

    Key words : Elderly health care system, Elderly health support business, Elderly home medical welfare,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김미점

    충남도립청양대학 작업치료과

    국문초록

    서 론.Ⅰ

    최근 우리나라의 국제결혼이 전체 결혼건수의 10%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러한 국제결혼 가정이 급속하,

    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혼 가정의 어려. ,

    움은 한국사회와 가족관계의 부적응 경제적 어려움, ,

    자녀교육 문제 등을 낳고 있다김명현 김상찬( , 2011; ,

    김유정, 2011).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사회복지법에 따른 사회복

    지기관이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효율적 제공을 위해 문화적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김명현 정민화 또한 다문화( , 2011; , 2012).

    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해서 다문

    화가족이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하게 하도록 지원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다양한 가족 지원 서비스들

    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서비.

    스는 다문화 가족 및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크게 기본사업 특성화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

    다여성가족부 기본서비스는 공통적으로 제공( , 2012).

    하는 서비스이며 특성화서비스는 지역별 특성을 고,

    려하여 실시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전달체계는 공적 전달체계

    연구목적본 연구는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다문화 가정의,

    서비스 지원 확대와 질적 향상을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년도 월까지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비스 대상자2012 9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로 나타내었다247 , .

    연구결과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으로 첫째 서비스 이용자 현황은 대가 로 가장, , 20 52.2%

    많았고 자녀수는 명이 로 가장 많았으며 경제상황은 기초수급권자와 차상위계층이 를, 1 2 65.1% , 6.0%∼

    차지하였고 혼인신고율은 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현황은 부모교육 이용률이, 62.3% . ,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3.0% .

    결론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으로 이용자 현황은 대가 가장 많았고 자녀수는, 20 , 1∼

    명이 많았으며 경제상황은 차상위계층이하가 를 차지하였으며 혼인신고율이 높았다 서비스 프2 , 6.0% , .

    로그램 이용률은 부모교육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 ,

    센터의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서비스 이용률을 최대한 확대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서비스 이용 현황,

    교신저자 김미점 논문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0 20 : 2012 11 01∥ ∥

  •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와 비정부 전달체계가 있으며김명현 정민화( , 2011;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형태에 따라 독립형 센2012),

    터와 병합형 센터로 나눌 수 있다 독립형 센터는 다.

    문화가족 지원에 필요한 전문인력과 시설을 가춘 법

    인단체 중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지정을 받고 국비· ,

    또는 지방비로 운영하는 센터이다여성가족부( , 2012).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비정부전달체계로 청양

    군의 위탁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독립형센터이다 청.

    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안정적

    인 정착과 건강한 가족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들을 실시하고 있다.

    본연구의목적은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서비

    스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다문화 가정,

    의 서비스 지원의 확대와 질적인 향상을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Ⅱ

    연구대상1.

    년도 월까지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2012 9

    비스 이용자 총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247 .

    연구방법2.

    본 연구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청양군SPSS 12.0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을 빈도 및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Ⅲ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1.

    서비스 이용자 현황1)

    서비스 이용자 현황을 살펴보면 연령은 대 명, 10 3

    대 명 대 명 대이상1.2%, 20 129 52.2%, 30 57 23.1%, 40

    구분 인원명( ) 백분율(%)

    연령

    대10 3 1.2

    대20 129 52.2

    대30 57 23.1

    대이상40 58 23.5

    합계 247 100.0

    자녀수

    없음 63 25.5

    명1 2∼ 161 65.1

    명이상3 23 9.3

    합계 247 100.0

    경제상황

    차상위계층이하 15 6.0

    일반 232 93.9

    합계 247 100.0

    혼인신고

    신고 154 62.3

    미신고 93 37.7

    합계 247 100.0

    표 1. 서비스 이용자 현황 (N=247)

    명 로 나타났다 자녀수는 자녀가 없는 경우58 23.5% .

    가 명 명 명 명 명이상 명63 25.5%, 1 2 161 65.1%, 3 23∼

    로 나타났다 경제상황은 차상위계층이하가 명9.3% . 15

    이며 혼인신고율은 명 로 나타났다6.0% , 154 62.3% .

    위의 결과에 따라 서비스 이용 연령은 대가20

    자녀수는 명 명이 로 가장 많은 것으52.2%, 1 2 65.1%∼

    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황은 차상위계층이하가 이, 6.0%

    고 혼인신고율은 로 나타났다62.3% .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현황2)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현황은 부모교육 이용률

    가족통합 집합한국어교육 방문13.0%, 12.1%, 11.3%,

    한국어교육 운전면허 자녀교육 통6.9%, 3.6%, 3.2%,

    번역서비스 취업지원 어울림사업0.4%, 0.4%, 0.4%,

    서비스 거부자 로 나타났다0.4% .

    위의 결과에 따라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률은 부모,

    교육이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3.0% .

  •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11

    서비스 프로그램 인원명( ) 백분율(%)

    부모교육

    이용 32 13.0

    미이용 215 87.0

    합계 247 100.0

    가족통합

    이용 30 12.1

    미이용 217 87.9

    합계 247 100.0

    집합한국어교육

    이용 28 11.3

    미이용 219 88.7

    합계 247 100.0

    방문한국어교육

    이용 17 6.9

    미이용 230 93.1

    합계 247 100.0

    운전면허

    이용 9 3.6

    미이용 238 96.4

    합계 247 100.0

    자녀교육

    이용 8 3.2

    미이용 239 96.8

    합계 247 100.0

    통번역서비스

    이용 1 0.4

    미이용 246 99.6

    합계 247 100.0

    취업지원

    이용 1 0.4

    미이용 246 99.6

    합계 247 100.0

    어울림사업

    이용 1 0.4

    미이용 246 99.6

    합계 247 100.0

    서비스 거부자

    있음 1 0.4

    없음 246 99.6

    합계 247 100.0

    표 2.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현황 (N=247)

    고 찰.Ⅳ

    본 연구는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

    용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다문화 가정의 서,

    비스 지원 확대와 질적인 향상을 위해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이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자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 범247

    위의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진행되는 연구에서. ,

    는 연구대상 범위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현황으로 서비스 이용,

    자 현황은 대가 로 가장 많았고 자녀수는20 52.2% , 1∼

    명이 로 가장 많았다 또한 경제상황은 차상위2 65.1% .

    계층이하가 를 차지하였고 혼인 신고율은6.0% 62.3%

    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현황은 부모교,

    육 이용률이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13.0% .

    문화 가정의 현황을 분석하는 연구들에서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의 가족구성의 세부적인 내용을 검토하는

    연구김미점 정민화 보다 대부분 다문화( , 2011; , 2012)

    가정의 유형별 분석을 하는 보고들이 많다김명성( ,

    김은정 서혁 이는 본 연구에서 다2009; , 2009; , 2007).

    문화 가정의 가족구성을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서비스

    이용률을 분석한 것이 다문화 가정의 서비스 지원 프

    로그램의 활성화 및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진행되는 다문화 가정의 서비스 지원의 확대와 질적

    인 향성을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청양군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보다 더 다양하게 모

    색하여 서비스 이용을 최대한 확대시키도록 개선 및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결 론.Ⅴ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 현황은 대가 로 가장, 20 52.2%

    많았고 자녀수는 명이 로 가장 많았다 경, 1 2 65.1% .∼

    제상황은 차상위계층이하가 를 차지하였고 혼인6.0%

  •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신고율은 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프로그램62.3% . ,

    이용 현황은 부모교육 이용률이 로 가장 많았13.0%

    다.

    본 연구에서 얻은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

    황 분석을 기초로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들의 개발 및 적용 후 효과에 관한 후속연구

    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면 한다.

    참 고 문 헌

    김명성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 (2009).

    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실천, 8, 29.

    김명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 시스템과. (2011).

    역량강화. 인문과학연구, 16, 25-55.

    김미점 다문화 가정의 자녀 통합 서비스 현황. (2011).

    분석.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3(2), 1-5.

    김상찬 김유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권보, . (2011).

    호를 위한 법적 과제. 법학연구, 43, 319-344.

    김은정 다문화 가정의 사회통합 과정에 따른. (2009).

    정부 지원 정책분석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 : .

    사학위논문.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교육 지원. (2007).

    방안. 인간연구, 12, 1-24.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2012). 2012 .

    정민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취업지원 효과. (2012).

    성 향상 방안 연구. 글로벌정치연구, 5(1), 55-94.

  • 청양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13

    Abstract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n Services Utilize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Kim, Mi-Geom, Ph.D. courses of Special Education Dep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gnam Provincial Cheongyang College

    Objective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n services utilize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ethods : The way of this study was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n services utilize of cheongyanggun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subject was 247 utilizer attending in service program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result analysis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 The analysis result was the most presented, about age 20 years old 52.2%, children number 12persons 65.1%. The analysis result was the presented, the lower economic situation 6.0%,∼

    the rate of marriage declaration 62.3%. The analysis result was the most presented, the utilizerate of parents education 13.0%.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uture study will need the clinical study and program de-veloping for quality improve of services of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Key Words : Cheongyang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center, Present Situation on Services Utilize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박주형 강신욱*, *

    경북전문대학교 작업치료과*

    국문초록

    서 론.Ⅰ

    뇌졸중은 뇌혈관의 출혈이나 허혈 등의 문제로 인

    하여 흔히 신체 한쪽의 편마비가 발생하게 되는 질환

    으로 운동 기능장애 인지 및 지각장애 감각장애 언, , ,

    어장애등이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뇌졸(Reed, 1991).

    중은 만성질환으로서 장기간의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

    지만 지속적인 재활치료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영구적

    인 장애가 남게 되는 경우도 많다(Olsen, 1990).

    뇌졸중 환자의 손상된 측의 사지를 더욱 많이 사용

    하게 하고 보다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발하기 위한 다

    양한 노력들이 기울여졌었다 일반적인 운동치료법으.

    연구목적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

    하였다.

    연구방법년 월부터 년 월까지 한국교원학술정보원를 통해서 학위 논문 및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2000 1 2012 8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거울치료 거울매개치료 뇌졸중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 .

    연구결과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측면에서는 각 군별 대상자 수가 명 이상인 연구는 편이었고 그 외20 1

    모든 연구들의 각 군 별 대상자 수는 이하로 이루어져 근거 수준이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설20 .

    계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 연구는 전체 연구 중 편이었고 그 외 편은 비 무작위(Randomaized trial) 7 3 -

    비교실험설계 연구들이었다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 측면에서는 편의 연구 모두 중등(Non-RCT) . 10

    도의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보였고 치료효과 측면에서는 총 편 중 편이 연구의 가설과 일, 10 9

    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편의 연구에서 본래 설정된 가설인 상지 고유수용1

    성 감각의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는 못하였다 각각의 연구별 거울치료의 적용에 있어서도 얻어진 효과.

    들로서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총 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 가장 많았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이6 4

    편으로 그 다음이었다 그 외 언급되어진 거울치료의 중재 적용 효과로는 하지 운동기능의 향상과 편.

    측무시의 감소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이 각각 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졌다, 1 .․

    결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거울치료 중재의 보다 다양한 치료적 가능성에 대

    한 연구가 요청된다.

    주제어 거울치료 거울매개치료 뇌졸중, ,

    교신저자 박주형 논문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0 03 : 2012 11 01∥ ∥

  • 1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로서 관절가동범위운동 근력강화운동 유산소운동, ,

    등의 방법들이 있었고 상상훈련을(Platz et al., 2005),

    통한 손상된 측의 사지의 움직임 증진을 촉진시키고

    자 하는 방법도 있었다 그리고 손상(Richardson, 1967).

    받지 않은 사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손상 받은 쪽의

    사지의 활동을 유도시키고자 하였던 강제유도운동치

    료 등도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서 많이 사용되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방법들은 그 치(Taub et al., 1993).

    료의 형태가 노동집약적이어서 치료사의 노력이 매우

    많이 요구되어지거나(Hu, Tong, Song, Zheng, and

    환자의 상상에 의존하여 치료가 진행되Leung, 2009)

    어지다보니 실제로 환자가 집중하여 상상을 수행하는

    지 확인 할 수 없다거나 치료를 수행하(Brodal, 1973)

    기에 너무 많은 시간 까다로운 적용 조건 등의 문제,

    가 발견되었다(Page, Sisto, Levine, Johnston, and

    Hughes, 2001).

    거울치료는 거울에 투영된 자신의 손상 받지 않은

    사지의 움직임에 대한 관찰만으로도 손상 받은 측 사

    지의 운동의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재활치료법이다(Stevens and Stoykov, 2003) .

    이러한 거울치료는 그 치료적 형태상의 측면에서 이

    전의 치료에서 발견되었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으며 손상 받지 않은 측 사지의 움직임을

    거울에 반영시킴으로서 손상 받은 측의 사지의 움직

    임으로 투영시키고 손상 받은 측의 사지에 포개어진

    시각 정보에 의한 움직임의 이미지가 뇌를 자극시킨

    다는 이론에 근거한다(Steven et al., 2001).

    거울치료는 과Ramachandran Roger-Ramachandran

    의 절단환자에서의 환상통 치료에 대한 연구에(1996)

    서 처음 소개되어졌으며 이후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

    적 움직임의 회복에도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국내에서도 년대 후반 이후부터 이에 대. 2000

    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거울치료의 뇌졸

    중 환자들에 대한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

    로 한 거울치료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

    고 연구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Ⅱ

    연구 설계1.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

    료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한 서술적 조

    사연구이다.

    연구 대상2.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년 월 이후부터2000 1 2012

    년 월 까지 발표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8

    치료 중재 관련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은 다음과 같다.

    선정기준1)

    거울을 치료적 중재 도구로 사용한 연구(1)

    전문을 구할 수 있는 연구(2)

    실험연구인 연구(3)

    대상자가 뇌졸중 환자인 연구(4)

    배제기준2)

    거울을 치료적 중재 도구로 사용하지 않은 연구(1)

    전문을 구할 수 없는 연구(2)

    실험연구가 아닌 연구(3)

    대상자가 뇌졸중이 아닌 연구(4)

    연구 방법3.

    자료 수집1)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는 국문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색어로서는 거울치료 거울매개치료 뇌, ,

    졸중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이용한 검색엔진으로는.

    한국교원학술정보원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검색된.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17

    논문은 총 개였으며 그 중 중복된 논문의 제외와 본54

    연구의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부합하다고 명의 연2

    구자에의해서합의된 편의논문이최종선정되었10 다.

    질적 평가 방법2)

    선정된 문헌에 대해서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

    로 미국작업치료협회(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의 근거수준 을 기Association: AOTA) (level of evidence)

    준으로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미국작업치.

    료협회에서 제시한 근거수준은 논문의 설계 유형 표,

    본 크기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기준으로 각각,

    의 연구들에 대한 객관적이 수준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한 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명(Trombly & Ma, 2002).

    의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근거수준을 검토하였고 일치

    하지 않은 연구의 경우에는 연구자간 토의를 통해 합

    의를 하여 기재하였다.

    연구 결과.Ⅲ

    선정 기준에 의하여 본 고찰의 대상으로 선정된 10

    편의 논문의 특성은 표 와 같다 각각의 선정된 연구2 .

    들을 살펴보면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단계 범 주 정 의

    설계

    Ⅰ무작위비교실험설계

    (Randomized trial)

    집단의 무작위 할당이나 일련의 반복 측정 설계 안에서의 두 집단 혹은 그 이상,

    집단의 비교 연구

    Ⅱ비 무작위 비교실험설계-

    (Non-RCT)

    집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 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 ,

    설계에서의 두 집단 혹은 그 이상 집단 및 처치의 비교연구,

    Ⅲ비 무작위 비교실험설계-

    (Non-subject Design)단일 집단 사전 사후 치료의 비교연구-

    Ⅳ개별실험설계

    (Single-Subject Design)치료적 중재를 통한 단일 대상의 측정

    Ⅴ사례 연구

    (case studies)서술 및 사례 연구

    표본

    크기

    A n 50≥ 개별실험설계 내에서 조건 집단 관찰 당 이상의 수, 50 n

    B n 20≥ 개별실험설계 내에서 조건 집단 관찰 당 이상의 수, 20 n

    C n 20< 개별실험설계 내에서 조건 집단 관찰 당 미만의 수, 20 n

    내적

    타당도

    1 높은 내적 타당도감손 비맹검 평가 불균등 중재 동시적 회복 등 타당도를 위협하거나(attrition), , ,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강한 통제

    2 중등도의 내적 타당도경과에 영향을 주는 명백한 변인들은 없지만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들이 한 두

    개 존재

    3 낮은 내적 타당도 의 요건들을 충족 못함1, 2

    외적

    타당도

    a 높은 외적 타당도대상자들이 모집단을 대표하고 치료적 중재가 자연적 환경집이나 임상에서 실행( )

    되었을 때도 현재의 결과를 보이거나 강한 이론적 배경을확보

    b 중등도의 외적 타당도 에서 제시한 기준들을 두 가지 정도 충족a

    c 낮은 외적 타당도 에서 제시한 기준들을 하나 및 그 이하로 충족a

    ATOA =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RCT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표 근거의 단계1. (level of evidence for AOTA evidence-based practice project)

  •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연구표본 크기 명( )

    근거의 단계 결과치료군 대조군

    백남영(2003) 31 33 B2bⅠ 하지 운동기능 향상

    이명모(2010) 13 13 C2bⅠ 상지 운동기능 향상

    구우진(2011) 15 15 C2bⅡ편측무시 감소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

    이송이(2011) 10 10 C2bⅡ상지 고유수용성 감각의

    유의미한 변화 없음

    유수전 외(2011) 15 15 C2bⅠ상지 운동기능 향상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

    우희순 외(2011) 6 8 C2bⅠ 상지 운동기능의 향상

    박진영(2011) 15 15 C2bⅠ

    상지 운동기능 향상

    손의 협응능력 향상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

    김현진(2011) 12 11 C2bⅠ 상지 운동기능 향상

    박미화(2012)실험군 1 : 7

    실험군 2 : 76 C2bⅡ

    상지 운동기능 향상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

    이제혁(2012)실험군 1 : 15

    실험군 2: 1515 C2bⅠ 근력 균형 보행능력 향상, ,

    표 2. 선정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거울치료 중재를 적용한 논문의 특성

    남영 의 연구가 총 대상자 명으로 가장 많아(2003) 64

    각 군 별 대상자 수가 이상인 유일한 연구였고 그20

    외 모든 연구들의 각 군 별 대상자 수는 이하로 이20

    루어져 근거 수준이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 설.

    계는 집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 ,

    을 만족시키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Randomized trial)

    연구는 전체 연구 중 편이었고 그 외 편의 연구에서7 3

    는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 ,

    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에서의 비

    교 연구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 연구들- (Non-RCT)

    이었다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에서는 비맹검 평.

    가나 동시적 회복 항목에서의 미비한 점과 짧은 치료

    기간으로 인해 단기간의 치료 효과만을 알 수 있는 단

    점으로 인해 조사된 모든 연구들에서 내적 타당도는

    외적 타당도는 의 평가를 내렸다 치료효과 측면2, b .

    에서는 총 편 중 편이 연구의 가설과 일치한 유의10 9

    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편의 연구1

    에서 상지 고유수용성 감각의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

    는 못하였다 각각의 연구별 거울치료의 적용에 있어.

    서 얻어진 효과들로서는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총 6

    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 가장 많았고 일상생활수행능

    력의 향상이 편으로 그 다음이었다 그 외 언급되어4 . ,

    진 거울치료의 중재 적용 효과로는 하지 운동기능의

    향상과 편측무시의 감소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

    향상이 각각 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졌다1 .

    고 찰.Ⅳ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

    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국내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

    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들의 중재효과를 정

    리하여 현재까지의 국내 거울치료 연구의 경향을 파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19

    악하고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치료사들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의 손상

    된 측의 사지를 치료하는 행위는 전통적으로 매우 높

    은 강도의 신체적 노동이며 환자와의 많은 신체적 접

    촉을 요구한다 거울치료는 전통(Yavuzer et al., 2008).

    적 치료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치료적 노동의 강

    도가 적고 환자들과의 신체적 접촉 또한 최소화 될 수

    있다우희순 장기연과 권혁철 또한 치료적 절( , , 2011).

    차가 비교적 간소하고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볼 수 있

    는 거울을 이용함으로서 환자들에게 거부감 없이 치

    료적 활동에 흥미를 유발 시킬 수도 있다유수전 황( ,

    기철 김희정과 권혁철, , 2011).

    과 의 연구Ramachandran Roger-Ramachandran(1996)

    이후 많은 연구들에서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거울치

    료의 연구들이 이루어져왔으며(Altschuler et al., 1990;

    본 연구Sathian et al., 2000; Stevens & Stoykov, 2003),

    결과에 의하면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년 후반2000

    이후 거울치료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졌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 모두는 적은 대상군과. ,

    짧은 치료기간 그리고 임상 환경이라는 배경으로 인,

    해 포괄적인 재활치료를 배제하지 못함으로 인해서

    연구의 내적 타당도 및 외적 타당도가 높은 결과를 보

    이지는 못하였다 또한 거울치료 중재의 치료적 효과. ,

    의 다양성 측면에서도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효

    과성을 언급한 구우진 의 연구를 제외한 대부분(2011)

    의 연구들이 손상된 측의 운동기능의 향상과 일상생

    활수행능력 향상과 같은 몇몇 영역들에 한정되는 결

    과를 보였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

    여서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높은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거울치료의 치료적 효과 측면,

    에서도 뇌졸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증상에 대

    한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 론.Ⅴ

    본 연구는 년 월부터 년 월까지의 국내2000 1 2012 8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연구경향의 파악을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수는

    백남영 의 연구가 총 대상자 명으로 가장 많아(2003) 64

    각 군 별 대상자 수가 이상인 유일한 연구였고 그20

    외 모든 연구들의 각 군 별 대상자 수는 이하로 이20

    루어져 근거 수준이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 설.

    계는 집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 ,

    을 만족시키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Randomized trial)

    연구는 전체 연구 중 편이었고 그 외 편은 비무작7 3 -

    위 비교실험설계 연구들이었다 내적 타당(Non-RCT) .

    도와 외적타당도에서는 편의 연구 모두 중등도의10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보였고 치료효과 측면,

    에서는 총 편 중 편이 연구의 가설과 일치한 유의10 9

    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편의 연구1

    에서 본래 설정된 가설인 상지 고유수용성 감각의 유

    의미한 변화를 얻지는 못하였다 각각의 연구별 거울.

    치료의 적용에 있어서 얻어진 효과들로서는 상지 운

    동기능 향상이 총 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 가장 많6

    았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이 편으로 그 다음이4

    었다 그 외 언급되어진 거울치료의 중재 적용 효과. ,

    로는 하지 운동기능의 향상과 편측무시의 감소 근,

    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이 각각 편의 연구에서1・

    언급되어졌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적은 대상자 수 짧,

    은 치료기간 전통적인 포괄적 재활치료의 동시 시행,

    으로 인해 그 근거의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거울치료

    의 중재 효과에 있어서도 손상된 측의 운동 기능과 일

    상생활수행능력과 같은 몇몇 주제들에 한정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추후의 연구에서는 추후의. ,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대상

    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

    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거울치료 중재

    의 보다 다양한 치료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

    다.

  •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참고문헌

    구우진 접이식 거울매개치료가 뇌졸중 환자. (2011).

    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 ,

    학교 경북, .

    김현진 거울치료를 병행한 기능적전기자극이. (2011).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회복 및 운동기능

    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서울, , . .

    박미화 고유수용성 감각치료를 병행한 거울. (2012).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 , .

    박진영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2011).

    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 ,

    제대학교 경남, .

    백남영 거울치료가 편마비환자의 하지 기능. (2003).

    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경북, , , .

    우희순 장기연 박우권 거울치료가 만성 뇌졸, , . (2011).

    중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

    치료학회지, 19(1), 93-103.

    유수전 황기철 김희정 권혁철 거울매개치료, , , . (2011).

    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2),

    25-37.

    이명모 거울치료프로그램이 급성 뇌졸중 환. (2010).

    자의 상지 운동회복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서울, , .

    이송이 거울을 매개체로 이용한 치료가 편마. (2011).

    비 환자의 상지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서울, , .

    이제혁 뇌졸중 환자에게 거울을 이용한 닫힌. (2012).

    사슬 하지 운동이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충주대학교 충북, , , .

    Altschuler, E. L., Wisdom, S. B., Stone, L., Foster, C.,

    Galasko, D., Llewellyn, D. M., et al. (1990).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fter stroke with a

    mirror. Lancet, 353(9169), 2035-2036.

    Brodal, A. (1973). Self-observations and neuroanatomical

    considerations after a stroke. Brain, 96(4), 675-94.

    Hu, X. L., Tong, K. Y., Song, R. Zheng, X. J., & Leung,

    W. W. (2009). A Comparison between electro-

    myography-driven robot and passive motion device on

    wrist rehabilitation for chronic stroke. Neurorehabili-

    tation and Neural Repair, 23(8), 837-4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21(2), 247-251.

    Page, S. J., Sisto, S. A., Levine, P., Johnston, M. V., &

    Hughes, M. (2001). Modified constraint induced ther-

    apy: A randomized feasibility and efficacy stud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8(5), 583-590.

    Platz, T., Eickhof, C., Van-Kaick, S., Engel, U.,

    Pinkowaki, C., Kalok, S., et al. (2005).

    Impairment-oriented training or Bobath therapy for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 A single-blind, multi-

    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9(7), 714-724.

    Ramachandran. V. S., & Roger-Ramanchandran, D.

    (1996). Synaesthesia in phantom limbs induced with

    mirror. Proceeding Biological Sciences, 263(1369),

    377-386.

    Reed, K. L. (1991). Quick Reference to occupational

    therapy. Maryland: Aspen Publishers Inc.

    Richardson, A. (1967). Mental practice: A review and

    discussion part 1. The Research quarterly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38, 95-107.

    Steven, L. W., Pamela, A. C., Micheal, E., Audrey, L.

    A., Bryn, M., & Aimee, P. (2001). Assessing Wolf

    Motor Function Test as outcome measure for research

    in patients after stroke.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32(7), 1635-1639.

    Stevens, J. A., & Stoykov, P. M. E. (2003).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4(7), 1090-1092.

    Taub, E., Miler, N. E., Novack, T. A., Cook, E. W.,

    Fleming, W. C., Nepomuceno, C. S., et al. (1993).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21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and Rehabilitation, 74(4),

    347-354.

    Trombly, C. A. & Ma, H. I. (2002).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Ⅰ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3), 250-259.

    Yavuzer, G., Selles, R., Sezer, N., Sutbeyaz, S.,

    Bussmann, J. B., Koseoglu, F., et al. (2008).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3), 393-398.

  •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Abstract

    A systematic review of mirror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on

    stroke in Korea

    Park, Ju-Hyung*, M.O.T., Kang sin-uk* M.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buk College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mirror therapy meditation for domestic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12, we searched through KERIS the for essays post indoctoral thesis or academic magazine and mainly used vocabularies such as mirror ther-apy, mirror meditative therapy and stroke.

    Results : In aspect of subjects that had participated in each studies, the study with more than twentysubjects was only one and the number of subject of all the other studies was less thantwenty, which means level of reasonability was not so high. For research design of eachthesis, randomized trial was seven among every research and the other three was non-RCT.In aspect of internal/external justifiability, ten studies were in the middle level of in/ex-ternal justifiability, and in aspect of efficacy of therapy nine out of ten studies was con-firmed to have gained meaningful effect because it matched hypothesis of thesis. However,one study did not gain meaningful change of proprioceptive sense of upper extremityfunction. The development of motor function of upper extremity had been mentioned in to-tal six studies more than others as it was found efficacious and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second. The other meditative application effect of mirror therapythat was once mentioned is development of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of unilateralneglect, and of ability of muscle, sense of balance, and of walking.

    Conclusion : The future study is going to obtain more subjects according to such as result and to dosome work about continuous medical effect through investigation. The more studies aboutvarious medical possibility other than mirror therapy meditation will be required.

    Key Words : mirror therapy, mirror meditative therapy, stroke

  •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박윤희 차수민*, **

    영남외국어대학 작업치료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국문초록

    서 론.Ⅰ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한 국소 신경장애가 시간24

    이상 지속되거나 시간 이내에 사망에 이르게 하는24

    뇌혈관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대한노인병학회( ,

    한국인에게는 흔히 중풍이란 말로 더 잘 알려져2005)

    있으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들을 말한다김정미 뇌졸중은 의학의 발( , 2005).

    달과 더불어 생활수준의 향상 고령인구의 증가로 세,

    계에서 두 번째 사망원인이며 우리나라(WHO, 2007),

    에서도 악성 신생물 심장질환과 함께 성인 대 사망, 3

    원인의 하나이며 전체 사망자중 단일 질환 사망원인

    의 순위로인구 만 명당 명로 그 발생률이 점1 ( 10 64.3 ) ,

    차 증가 추세에 있다.

    뇌졸중은 사망률과 유병률이 높을 뿐 아니라 발병

    후 신체적 기능적 후유증을 남기게 되는 중증 질환으,

    로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 뇌졸중 환자의 가 현47.6%

    연구목적

    뇌졸중 환자가 뇌졸중 발병 후 가장 스트레스를 주는 외부적 또는 내부적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자 하며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중재 시 환자의 이해와 심리적 지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자, ,

    한다.

    연구방법

    년 월 일부터 동년 월 일까지 시에 위치한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각 병원에 외래 또는 입2012 9 5 9 18 D

    원한 뇌졸중 환자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과120

    스트레스 측정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개인 내적 스트레스는 평균 이였고 개인 간 스트레스는 개인2.94±1.34 , 3.42±1.44,

    외적 스트레스는 로 가지 영역 중 개인 간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3.34±1.42 3 .

    스 정도를 각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가족에게 짐이 된다는 생각이 든다 에 평균 로 스트레스를‘ ’ 3.89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문항이었고 병의 예후에 대한 걱정 이 평균 치료비가 많이 드는 것 에, ‘ ’ 3.73, ‘ ’

    대한 것이 평균 순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3.65 .

    결론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 요인은 환자의 재활동기와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삶의 질의

    문제에 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중재 는 의학적 처치 또는 재활의 과정에,

    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여러 가지 관점으로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접근을 통한 중재가 필요할 것

    이다.

    주제어 뇌졸중 스트레스,

    교신저자 박윤희 논문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0 13 : 2012 11 01∥ ∥

  •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존하는 후유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질병의 성격 상 발

    병 즉시 치명적인 경우보다는 장애를 남기는 경우가

    많다대한노인병학회 주로 나타나는 장애로는( , 2005).

    편마비 언어장애 지각 및 인지장애와 감각장애 보행, , ,

    장애 등의 신체적인 후유증과 함께 많은 심리적 장애

    를 동반하게 된다 뇌졸중으로 인해 장기적인 재활치.

    료가 요구되는 부담감으로 인해 경제적인 면에서 스

    트레스를 겪게 될 뿐만 아니라강종구 뇌졸중( , 2007),

    으로 인한 후유장애로 환자와 가족들이 신체적 사회,

    적 경제적 및 심리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특히 환자는 갑작스러운 질병에서 얻어진 언어장애, ,

    사지마비 인지기능 장애로 타인의 도움으로 일상생,

    활을 유지해야하는 과정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

    게 된다문석우 등( , 2004).

    마음의 안정이나 다른 사람과 함께 지내는 데 있“

    어서 큰 불편을 주는 신체적 정신적인 긴장 또는 그,

    러한 긴장을 유발하는 요소 인 스트레스는 즐거운 것”

    이든 즐겁지 않은 것이든 신체 기관에 어떤 부담을 주

    는 압박감으로 인하여 비 특징적인 신체 반응이 일어

    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트레스의 육체적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 동작 수행능력의 저

    하를 가져와 재활하고자 하는 의욕마저 저하시킨다.

    등 은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에 있어Franco (1993)

    서 대부분의 스트레스는 유전적 특성 심리적 방어기,

    제 일반적 건강상태 가정환경(psychological defenses), , ,

    지역사회형태 경제적 지원 삶의 수준 사회적 지지, , ,

    그리고 종교적인 신념 등의 정도에 따라 달리 나타난

    다고 한다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는 환자에게 부정.

    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

    구하고 신체장애나 언어장애 인지장애 등의 기능적,

    인 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중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뇌졸중 후 스트레스나 심리적 불안 상태에 대해서는

    기능의 상실이나 신체장애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

    는 일반적 반응으로 여겨져 스트레스에 대한 근본적

    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신체기능의 중재에 비해 과

    소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뇌졸중 발병 후 스트레스

    를 어느 정도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환자에게 스트레,

    스를 가장 많이 받는 외부적 또는 내부적 요인이 무

    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중.

    재 시 환자의 이해와 심리적 지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자 한다.

    연구 방법.Ⅱ

    연구대상1.

    본 연구는 시에 위치한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각D

    병원에 외래 또는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다음과 같은

    기준 조건에 합당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120 .

    연구에 참여하는 환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뇌졸중 발병 후 개월 이상 인자1) 6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실시한 신경과적 검사에서2)

    실어증이 없는 환자

    한국판 이하3)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상 총점이 점 이상인자MMSE-K) 20

    자료수집 방법2.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명을 대상으로 예비10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문장을 수정 보완 확정하였,

    다 본 조사는 월 일부터 월 일까지 실시하였다. 9 5 9 18

    연구자료 수집은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연구자가 직

    접 면담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에게는 이 연

    구의 취지 및 연구방법 등에 관하여 설명을 한 후 대

    상자가 직접 읽고 작성하도록 하여 부의 자료를120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3.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

    기 위하여 박원경 이 번역한 의 스트레(1987) Neuman

    스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뇌졸중 환자가 여러.

    가지 제한을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가지 영역으로 분3

  •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25

    류하여 개인 내적 스트레스 문항 개인 간 스트레스15 ,

    문항 개인 외적 스트레스 문항으로 총 개의 문항6 , 4 25

    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스 정도는 점 척도로 점. 5

    수가높을수록스트레스정도가높은것으로나타난다.

    자료 분석 방법4.

    수집된 자료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SPSS 12.0

    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은. ,

    빈도 분석을 하였고 스트레스 수준 측정은 기술 분석,

    을 하였다.

    연구 결과.Ⅲ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연구 대상자의 특성1)

    연구 대상자의 특성으로 성별 연령 종교 교육정, , ,

    도 가족의 월 평균 수입 현재 치료비 부담자를 조사, ,

    하였다표 연구 대상자 명 중 남자가 명( 1). 120 72

    여자가 명 이었다 연령 분포는 최저(60%), 48 (40%) . 29

    세 최고 세이며 대가 명 으로 가장 높, 93 50 32 (26.67%)

    게 나타났다 종교는 명 이 종교를 가지고 있. 55 (45.8%)

    지 않다고 답하였다 교육정도는 중졸과 고졸이 명. 32

    로 가장 많았고 가족의 월평균 수입은 만원(26.) , 100

    이하가 명 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치료비53 (44.2%) ,

    는 자녀부담이 명 본인 또는 배우자 부담이48 (40%),

    명 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자녀부담이47 (39.2%)

    조금 더 많다는 결과를 보였다.

    연구 대상자의 발병횟수 마비부위 및 병력기간2) ,

    발병횟수와 마비부위 및 병력 기간을 조사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표 회 발생이 명 로 가장( 2). 1 86 (71.7%)

    높게 나타났고 마비부위는 왼쪽 편마비가 명, 69

    로 오른쪽 편마비에 비해 더 많았다 검사 시(57.5%) .

    특성 대상자 수명( ) 백분율(%)

    성별남자 72 60

    여자 48 40

    연령

    세 이하29 1 0.83

    세30 39∼ 5 4.17

    세40 49∼ 19 15.83

    세50 59∼ 32 26.67

    세60 69∼ 24 20

    세70 79∼ 18 15

    세 이상80 21 17.5

    종교

    없음 55 45.8

    기독교 17 14.2

    천주교 10 8.3

    불교 29 24.2

    기타 9 7.5

    교육정도

    무학 16 13.3

    초졸 22 18.3

    중졸 32 26.7

    고졸 32 26.7

    평균

    수입

    대졸이상 18 15.0

    만원 미만100 53 44,2

    만원 미만200 37 30.8

    만원미만300 12 10.0

    만원 미만400 7 5.8

    만원 이상400 7 3.3

    치료비

    부담

    부모 6 5.0

    본인배우자( ) 47 39.2

    자녀 48 40.0

    형제 2 1.7

    공공기관 16 13.3

    계 120 100.0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20

    까지의 병력기간 분포는 개월에서 개월로 평균1 139 ,

    개월의 분포를 보였다22.3 .

  •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 권 호4 2

    문항매우

    그렇다(5)

    어느

    정도

    그렇다(4)

    보통이다(3)

    별로

    심각하지

    않다(2)

    전혀 심각

    하지 않다(1)

    평균±

    표준편차

    병의 예후에 대한 걱정1. 39 30 36 10 5 3.73±1.13

    시력장애로 인한 불편2. 4 14 11 15 75 1.83±1.24

    감각이 없어 불편3. 21 24 31 17 27 2.96±1.40

    경직 이완으로 불편4. , 19 23 32 26 20 2.96±1.31

    통증으로 불편5. 13 21 41 21 24 2.82±1.25

    욕창 위해 자세변경 불편6. 14 17 31 25 32 2.63±1.39

    재활치료가 힘들다7. 19 23 37 21 20 3.00±1.30

    외모 변화 신경쓰임8. 15 17 32 22 34 2.64±1.36

    옷 입고 벗는 것에 제한9. 21 32 32 19 16 3.19±1.28

    신체활동 제한 받는 것10. 29 37 27 12 15 3.44±1.30

    식사 시 도움 받는 것11. 16 27 28 16 33 2.81±1.40

    위생 처리 시 불편12. 22 30 29 20 19 3.13±1.33

    대 소변 볼 때 불편13. , 22 29 25 19 31 3.03±1.41

    목발사용 불편14. W/C, 25 30 15 19 31 2.99±1.52

    계단 걷는 것 불편15. , 29 23 23 10 35 3.01±1.56

    평균 2.94±1.34

    가족에게 짐이 된다16. . 64 16 14 15 11 3.89±1.41

    배우자로서 할 도리 못함17. 54 21 17 15 13 3.73±1.42

    가족에게 의무를 못함18. 60 19 16 11 14 3.83±1.43

    친구 친척이 떠날까 걱정19. , 34 28 21 16 21 3.32±1.46

    부부생활에 제한받는 것20. 23 16 29 23 29 2.84±1.43

    외모변화에 신경쓰임21. 25 19 24 26 26 2.93±1.46

    평균 3.42±1.44

    치료비가 많이 드는 것22. 48 22 26 8 16 3.65±1.41

    원래 일로 돌아갈 수 있을까23. 41 21 18 18 22 3.34±1.53

    취미 여가활동 할 수 있을까24. , 28 24 32 19 17 3.23±1.35

    병원시설에 대한 불만25. 30 15 34 21 20 3.12±1.40

    평균 3.34±1.42

    전체 평균 3.12±1.38

    표 4. 연구 대상자가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

  •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27

    특성 대상자 수명( ) 백분율(%)

    발병횟수

    회1 86 71.7

    회2 25 20.8

    회3 9 7.5

    마비부위오른쪽 51 42.5

    왼쪽 69 57.5

    병력기간

    개월1 3∼ 6 5

    개월3 6∼ 12 10

    개월6 12∼ 27 22.5

    개월12 24∼ 35 29.17

    개월 이상24 40 33.33

    계 120 100.0

    표 2. 연구 대상자의 발병횟수 마비부위 병력기간, , N=120

    연구 대상자의 장애 정도3)

    연구 대상자의 언어장애 감각장애 보행 장애 기, , ,

    억력장애 일상생활 의존도에 대해 결과는 다음과 같,

    다표 연구 대상자 명 중 감각장애가 없다라( 3). 120 ‘ ’

    고 응답한 수가 명 이였고 감각장애가 한 가79 (65.8) , ‘

    지 이상 있다라고 응답한 수가 명 로 많게’ 68 (68.2%)

    나타났다 스스로 보행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수가. ‘ ’

    명 으로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기억력 장85 (70.8%) .

    애의 여부를 묻는 항목에는 명 이 기억장애65 (54.2%)

    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일상생활 의존도에 대한 항,

    목에는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 대상자가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2.

    연구 대상자가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를 각 영역별,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연구 대상( 3).

    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각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개인,

    내적 스트레스는 평균 이였고 개인 간 스트2.94±1.34 ,

    레스는 개인 외적 스트레스는 로3.42±1.44, 3.34±1.42

    가지 영역에서 개인 간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