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익산의근대농업과이리농림학교의사회사›도연.pdf ·...

29
105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 ** 원도연 *** | 원광대 < 목차 > 익산의 도시사와 이리농림 1. 익산의 근대농업 스테이션과 이리농림 2. 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과 이리의 도시형성 1) 이리 익산의 대규모 농장과 수리조합 2) - 이리농림학교의 설립과 근대농업의 완성 3) 식민지하 이리농림학교의 역할과 체제 3. 이리농림학교의 위상과 운영 1)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적 의미와 역할 2) 맺음말 이리농림과 지역사회 4. : 이 논문은 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 2017 임(NRF-2017S1A6A3A02 079082). 이 논문은 년 제 회 익산학 심포지엄 원광대학교 익산학연구소 주관 ** 2019 5 ( , 201 에서의 발표문 일제강점기 이리 의 근대성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 9.11.7.) ( ) 裡里 사 를 수정 보완한 것임 · . 원광대학교 디지털콘텐츠공학과 교수 *** 국문초록 이리가 도시로서의 역사를 시작한 시점은 이리역이 개통된 년이 1912 이리와 익산의 발전은 농업지역으로서 이곳에 차지하는 전략적 . 치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이리는 한국 근대농업의 중심지로 개척 .

Upload: others

Post on 07-Jul-2020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05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64) **65)

    원도연***66) | 원광대

    < 목 차 >

    익산의 도시사와 이리농림1.익산의 근대농업 스테이션과 이리농림2.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과 이리의 도시형성1)이리 익산의 대규모 농장과 수리조합2) -이리농림학교의 설립과 근대농업의 완성3)식민지하 이리농림학교의 역할과 체제3.이리농림학교의 위상과 운영1)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적 의미와 역할2)맺음말 이리농림과 지역사회4. :

    이 논문은 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2017임(NRF-2017S1A6A3A02 079082).이 논문은 년 제 회 익산학 심포지엄원광대학교 익산학연구소 주관** 2019 5 ( , 201

    에서의 발표문 일제강점기 이리 의 근대성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9.11.7.) ( )裡里「사 를 수정 보완한 것임· .」원광대학교 디지털콘텐츠공학과 교수***

    국문초록

    이리가 도시로서의 역사를 시작한 시점은 이리역이 개통된 년이1912다 이리와 익산의 발전은 농업지역으로서 이곳에 차지하는 전략적 위.치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즉 이리는 한국 근대농업의 중심지로 개척.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06

    되었으며 실제로 일제강점기 동안 이리에는 근대농업의 핵심시설이 차례로 설치되었고 한일 양국의 근대사를 관통한 주요 인물들이 이곳을주목했다 그 과정에서 이리농림학교는 익산의 근현대사에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리 익산의 근대농업을 구축한 대 핵심요소는. - 3익산 일대의 일본인 대농장과 수리조합 그리고 이리농림이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이른바 근대농업 스테이션이라고 불릴만한 것이었다 그.가운데서 이리농림학교는 농업교육을 중심으로 당시 최고의 선진교육시스템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식민지의 행정관료들과 테크노크라.트를 양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년대 일제의 농업정책은 토지조사사업을 통한 식민지 지주제의1910확립으로 조선을 안정적인 쌀공급지로 만드는 것이었다 년대 이. 1910리 익산으로 대거 유입된 일본의 이민자들은 대규모 농장을 건설하고-이 지역의 농민들을 소작농으로 전락시켰다 년대 들어서 일제의. 1920농업정책은 산미증식계획으로 발전했고 이를 위해 대규모 수리시설을건설하기 위한 수리조합을 결성하고 그 계획의 최종 단계로 이리농림학교를 유치했다 이 과정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 세력은 일본인.대지주들과 관료들이었으며 이들은 이리역 유치부터 이리의 도시형성과정 전체를 이끌었던 인물들이었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리농림학교는 설립되었다 일본인 학생과 조선.

    인 학생을 반반씩 모집하며 내선일체의 정신을 내세운 유일한 관립학교였고 년제 농업학교로 전문학교의 면모를 갖추었다 이리농림학교, 5 .는 개교와 함께 전국적인 명문이 되었다 이리농림은 당대 최고 엘리트.들이 모여들었고 그만큼 우수한 학업시설과 조직을 갖고 있었다 이리.농림학교는 당시로서는 매우 선진적인 농업기술을 익혔고 그 기술은조선의 농업기술로 전파되었다 이리농림학교에 맨 처음 설립된 학과는.농학과와 임업과였는데 그 목표는 식량증산과 산림녹화에 있었다, .또 이리농림은 농업기술 뿐만 아니라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전학생

    기숙사 생활을 통해 학생들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년대 중반부, 1930터는 학교를 군대식으로 편제하면서 병영화했다 또 이리농림은 학교.그 자체로서 다양한 분야에 매우 우수한 인재를 양성했고 스포츠 문,

  • 원도연

    107

    익산의 도시사와 이리농림1.

    전라북도 이리 시는 년 시군통합의 행정구역개편에 의해 익산으로( ) 1995裡里통합되면서 사라진 도시다.1) 이리가 도시로서의 역사를 시작한 시점은 당연히

    년 이리역의 개통과 함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후 년 일제의1912 . 1917행정구역개편에 의해 지정면 으로 지정되면서 한국 근대사에서 의미있는( )指定面도시로 부상했다.2) 이리가 지정면이 되었다는 사실은 크게 두 가지를 의미했

    1) 이리 가 기록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년 정조대 발간된 호구총수 다( ) 1789 .裡里이곳에 여기에 전주부 남일면 이리 라는 지명이 나타난다 년( ) ( ) . 1897南一面 裏里구한말한반도지형도 에 이리 가 지명으로 표기되는데 바로 이곳이 이리의( )裡里본래 땅 솜리다 이리는 본래 년 전주군 남일면에 속했으나 년 익산군. 1895 1899으로 귀속되었다 년 이리시사 등 참고. 1981

    2) 년 당시 개 면 중에서 개가 지정면 으로 지정되었다 전북에1917 2,512 23 ( ) .指定面서는 전주와 정읍 그리고 이리가 지정면이 되었다 지정면은 조선인과 일본인, .이 다수 집단이 되어 그 상황이 부 에 가까울만큼 발전된 지역이 선정되었( )府다 구체적으로는 도청소재지 군사도시 경부 경의 호남선 연선으로 다수의. , , · ·일본인이 거주하는 곳 등이었다 이정섭 일제 강점기 도시화와 인구이동. , : 193「년 부 와 지정면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 권 제0 ( ) ( ) , 52 1府 指定面 」

    학 음악 미술 등 각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를 계속 배출했다 특히 당, , .시로서는 생소했던 축구 야구 등에 능했고 씨름은 조선을 넘어 일본, ,전체에서도 십여년간 우승을 독차지할 정도로 대단한 실력을 보여주었다 그 과정에서 이리농림은 지역사회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았으.나 이리 익산의 지역사회에 늘 새로운 도전과 자극이 되었다 해방과- .함께 이리농림은 학교의 성격과 위상이 달라졌지만 일제강점기 이리-익산의 근대농업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리농림이 차지하는 의미와 역할은 결코 적지 않았다.

    주제어 이리역 이리농림학교 근대농업 스테이션 일제의 농업정책, , , ,▣ :관립학교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08

    다 첫째 대외적으로 년 이리역 개통 이후 이곳이 명실상부 호남의 관문. , 1912도시가 되었으며 그 주축은 일본인이었다는 점이다 둘째 내적으로는 이리역, . ,중심의 신도시와 금마 중심의 익산 가운데 도시발전의 중심이 이리로 완전히옮겨졌다는 사실이었다.

    년 이후 이리역 개통 이후 이리는 그야말로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를 겪1912었다 목천에서 인화동에 이르기까지 인가가 여호에 불과했던 이리는 호남선. 10개통 이후 년 일본인 명 조선인 명의 신도시로 발전했다 이러1915 2,053 , 1,367 .한 급속한 발전에 대해 일본인들은 미증유 의 일 이라고 했다“ ( ) ” .未曾有 3) 그리고 그 결과는 이리를 전주와 정읍 다음의 도시로 발전시켰다.그렇다면 이리는 왜 이렇게 빠른 시일 내에 급속하게 발전했으며 상전벽해,

    와 같은 변화를 이끌었던 힘은 무엇이었을까 현상적으로 우리는 년 호남. 1912선의 개통과 거점역으로서 이리역의 개설을 인식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농,업지역으로서 이리 익산지역이 놓인 전략적 위치가 결정적으로 중요했다 즉- .이리와 익산은 한국 근대농업의 중심지로 개척되었으며 실제로 일제강점기 동안 이리에는 근대농업의 핵심시설이 차례로 설치되었고 한일 양국의 근대사를관통한 주요 인물들이 이곳을 주목했다.그동안 이리 익산의 근대사는 상당한 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정승진 이- . ,

    규수 김경남 진실 등 일군의 연구자들은 년대 후반부터 익산이라는 도시, , 2000자체의 근대성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해왔다 이들의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농업경영 특히 수리조합과 농장에 대한 연구에서 출발하여 이리라는 근대도시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로 발전해왔다.4)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익산 특히 이리 라는 도시의 근대성과 이리농림학교와의 관계에 주목( )裡里했다 이리농림학교는 익산의 근현대사에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학교였.다 그러나 이리농림학교는 해방 이후 몇 차례의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전북대.학교와 통합되어 역사 속에 소멸된 학교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리농림학교를.감성적으로 회고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리농림학교는 근대도시 이리의 핵.

    호 대한지리학회 참조, , 2017. p. 1093) 산하영이 이리안내( ), , 1915山下英爾4) 후지이 간타로에 대한 이규수 의 연구나 정승진 의 연구가 수(2005) (2009, 2011)

    리조합과 농장연구에 맞춰져 있었다면 이후 진실 김경남 의 연구, (2014), (2016)는 익산의 도시형성사와 구조사 연구로 발전했다.

  • 원도연

    109

    심이었으며 그 역할은 이리라는 도시를 뛰어넘어 그 자체로 한국의 근대농업에중요한 메시지를 갖고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차원에서 이리농림학교의 의미와 성격

    을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이리농림학교와 이리 익산 근대농업의 연관성이다. , · .이리의 근대농업을 구축한 대 핵심요소는 익산 일대의 일본인 대농장과 수리3조합 그리고 이리농림이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이른바 근대농업 스테이션이, .라고 불릴만한 것이었다 둘째 그렇다면 이리농림은 어떤 학교였는가를 살펴보. ,고자 한다 그동안 이리농림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이리농림.학교의 설립과정이나 이리농림의 항일운동 내용에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이리.농림을 하나의 학교이자 식민지 지배를 위한 교육기관 자체로 바라보는 연구는많지 않았다 이리농림은 농업교육 외에도 당시 최고의 선진교육 시스템을 갖.고 있었고 이는 식민지의 행정관료들과 테크노크라트를 양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이리농림은 어떤 내용과 체제로 학교교육을 수행했으며 지.역사회와 어떻게 연결되었는가를 보고자 한다.

    익산의 근대농업 스테이션과 이리농림2.

    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과 이리의 도시형성1)

    이리 의 등장은 군산 개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군산은 일찍이 호남평( ) .裡里야의 수탈을 위한 항구도시로 개발되었는데 이곳에 모여든 일본인들이 토지매,수와 상업을 목적으로 전북 각 지역으로 진출했다 이리에 맨 처음 들어온 일.본인은 년 군산에서 이리로 이주한 후쿠오카현 출신의 다나카 도1906 ( )福岡縣미지로 였다( ) .田中富次郞다나카 도미지로의 이리 진출은 년대 일제의 식민지 농정이 본격화 되기1910

    이전으로 매우 기민한 결정이었다 당시 만경강 일대는 아직 전형적인 옥답으.로 발전하지 못한 미간지 상태였으나 장차 광활하고 생산력 높은 농토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한 땅이었다 정승진은 이곳이 호남평야라는 전통 곡창지대를.배후지로 둔 양호한 입지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미곡유통을 매개로 이, ‘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10

    리 군산 오사카라는 수직적 지역연계가 군산개항과 함께 급부상하고 있던 지- - ’역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5)

    다나카 도미지로는 익산의 이러한 지형적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다나카.도미지로에 뒤이어 이리 익산 일대를 주목한 후지이 간타로와 같은 수리전문가-들의 손길을 거치면서 이곳은 일제의 야심찬 곡창지대로 변화하게 되었다 실.제로 한국 최초의 근대 수리조합사업도 만경강 북안의 이른바 전주평야 일대‘ ’에서 벌어졌다 이 일대는 본래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가 잦은 수리불안정. ‘답이었으며 이후 이곳은 점차 양전 으로 개간되면서 인구가 유입되고 마’ , ( )良田을이 커지며 시장이 들어섰다.6)

    년대 일제 농업정책의 핵심은 두 말할 나위 없이 토지조사사업이었다1910 .토지조사사업의 핵심은 근대적 토지소유제도를 완성하고 조선에 식민지 경제구조의 구축을 위한 토대를 확립하는 것이었다 즉 토지조사사업으로 그동안 전.통적으로 농민들이 점유해온 농지를 합법적으로 전유하고 그로써 한국의 농민들을 반봉건적 영세소작농으로의 전락시키는 일종의 식민지 지주제의 확립을목표로 했다.7)

    년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은 결과적으로 농촌 수공업의 해체 식민지 상1910 ,품화폐경제로의 편입 농민의 기본권 제약 등으로 이어졌다 정태헌은 일제의, .이러한 공격적이고 전략적인 식민정책이 가능했던 것은 년 전후 제 차 세1916 1계대전을 경과하면서 일본으로 유럽 각국의 주문이 쇄도하고 이를 통해 각종,식민지 금융기관의 예금과 대출 규모가 급증하는 일본 상공업의 비상한 발전에힘입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일본의 무역수지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한.것도 제 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인 년부터였다1 1917 .8)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일본은 내지일본인의 조선 농업이민을 적극적으로 장( )려하여 일본 내의 인구폭증을 해소하고 한편 조선의 식민지배를 강화하는 효과

    5) 정승진 위계적 복합공간으로서의 식민도시 이리 아세아연구, , ( ) , 55(4),裡里「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참조, 2012. p. 201-202

    6) 정승진 앞의 글, p.2037) 정연태 년대 일제의 과 소위 을 중심, 1910 : ‘ ’農業政策 植民地 地主制 米作改良政策「

    으로 한국사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 , 1988. p. 414」8) 정태헌 년대 일제의 식민지 자본주의 체제 구축 과정 아시아문화, 1910 , (15),「 」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0.11. p. 9

  • 원도연

    111

    를 거두고자 했다 토지조사사업은 이러한 목적에 가장 부합했고 선진적 농법. ,을 이식하여 조선 농업을 개량 하는 방법으로 쌀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했다 일제는 이를 위해 동양척식회사를 설립하고 이민을 장려하면서 기간지 이.민 을 시도하였으나 조선인 농민의 반대투쟁에 부딪치면서 미간지 이민으로 전략을 선회했다.9)

    이들 저명한 일본인 농장들은 이리 전역에서 지역개발을 주도했다 특히 이‘ ’ .들의 영향력과 힘을 결정적으로 보여준 것은 호남선 거점역을 이리로 유치한것이었다 이들은 이리의 도시계획의 방향을 놓고 이른바 지방정치를 주도했는.데 여기에는 물론 박기순 백인기 등 일부 조선인 농장주도, , ( , )白寅基 華星農場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당시 금마 군산 전주를 놓고 경합하던 호남선을 이. , ,리로 유치했고 이는 이리의 발전을 극적으로 앞당기는 효과를 가져왔다, .10)

    일본은 군수품의 원활한 보급과 미곡의 수탈을 위해 좀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수단을 고민했는데 바로 그 결과가 전주 군산간 도로였다 전군도로- .는 년 월 일에 대한제국 궁내부 치도국 전주출장소가 공사를 시작하여1907 5 1 1

    년 월 개통되었다 전군도로는 전주 동산촌 대장촌 목천포 대야 군산908 10 . - - - - -으로 대부분 일본인 농장들이 있는 곳을 지났다.

    년 호남선 철도부설이 계획이 세워지면서 철도노선을 유치하기 위한 갈1905등이 첨예하게 나타났다 일본은 처음 금마 전주 목포의 노선을 염두에 두었. - -지만 금마와 전주에서는 격렬한 반대운동이 일어났다 전주의 호남선 반대는.전주의 맥이 끊어진다는 풍수설을 믿는 전주 유림들의 문제도 있었지만 근본,적으로는 호남선 개통과 함께 전주 중심의 전통상권이 무너질 것을 우려한 지역유지들의 이해관계가 더 컸다.철도부설을 계기로 마침내 이리는 근대 신흥도시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하

    며 계획적인 틀을 적용하여 개발된 개항도시나 조계지와는 다르게 교통과 연계

    9) 최병택 강제병합 전후 일제의 농업 개량 방침 역사와 현실 한국역사, ' ' , 78,「 」연구회 참조, 2010. p 385

    10) 김경남은 이리역의 이전과정을 분석하면서 박기순 박영철 부자의 이리역 인근-토지소유 현황을 밝혔다 이는 이리역의 유치가 결코 전주 유림들의 반대에 의.한 차선의 선택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김경남 일제하 식민도시 개발과. , 「조선인 자본가형성의 특징 전북지역 박기순 박영철 일가를 중심으로 영- ,ㆍ 」남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참조, , 2016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12

    하여 형성 발달한 근대 한국 산업경제도시의 도시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도시모델로 성장했다 호남선 부설공사가 시작된 년 월과 년. 1911 8 1912 4월 익산군청과 우편소 헌병분대가 각각 금마와 대장촌에서 이리로 옮겨 오면,서 익산지방의 중심지로 부각되었다 특히 이리의 중심성은 년 호남선 개. 1912통 년 전라선철도 부설을 계기로 각종 관공서와 학교가 집중되었고 이리, 1914 ,역 주변으로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시가지가 번성하기 시작하였다.11)

    여기에 년 이리가 지정면으로 지정되면서 이리는 정치사회적으로도 매우1917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특히 일본인 농장주와 상공업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오.하시 가 년 설립을 주도한 이리번영조합은 이리역 유치는 물론 수( ) 1911大橋與市리시설의 건립 이리농림학교의 유치 등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 가운, .데 박기순 당시 익산군수 박영철의 과 같은 조선인 유력자도 이러한( , )朴基順 父지방정치에 참여하였다‘ ’ .12)

    이리 익산의 대규모 농장과 수리조합2) -

    이리 익산은 일본인의 식민지 이민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도시였다 정· .승진은 이리 익산을 이민도시 혹은 식민도시로 불렀는데 이곳은 인근의 옥구·군산 김제와 마찬가지로 소작제 대농장뿐 아니라 일인이민촌이 식민초기부터( ),발달하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불이농장이 있었던 오산면 이리의 경계를 이루었. ,던 목천포 오산리 대장촌 황등 등에는 일본인 이민촌이 호남선을 따라 분포, , ,했다 특히 목천포에는 오산학교조합인근 오산면의 관할지역으로서 전술한 동. ( )척의 이민촌이 여기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다.13)

    이렇게 이리 익산에 대규모로 조성된 일본인 농장과 년대의 수리조합· 1920그리고 이리농림학교는 이리 익산의 근대농업을 이끄는 일종의 스테이션으로-기능했다 표 는 년대까지 설립된 이리 부근의 농장들이다 익산 지. < 1> 1910 .역의 주요 대지주들은 구이리 오산면 일대 대장촌 황등과 함열 지역 등에 집, , ,

    11) 이경찬 철도시설과 연계한 이리 도시구조와 도시경관의 근대성 해석 건축, ,「 」역사연구 참조21-6, 2012. p.64-67

    12) 정승진 앞의 글 참조, 2012. p. 20913) 정승진 실패한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 ’ , ,(59), , 201「 」

    5. p. 356

  • 원도연

    113

    중되어 있었다 특히 이리의 초기 개발에서는 의 인가 의 인. “ ,裡里 大橋 大橋 裡里가 를 논할 정도로 이리에서는 일본인 유력자인 오하시 의 영향력이” ( )大橋與市상대적으로 컸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리의 근접지인 오산리 및 황등에서.후지이 농장 대장촌춘포에서 호소카와 농장 동양척식주( ) , ( ) ( ) ,藤井寬太郞 細川護立식회사 이리지점 등은 유력 대지주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14)

    표 년 이전 이리 부근의 농장들< 1> 1919

    명칭 창업년월 소재 경영자 비고농장多木 1918 함열면 와리 多木久米次郞농장今村 1896 춘포면 대장촌리 今村一次郞농장關 1917 함라면 금성리 關 宗一郞농장月桐 1907 황등면 황등리 月桐和三농장田板 1897 춘포면 용연리 田板佐三郞농장西岡 1909 금마군 동고도리 西岡 穰

    동척지점 1908 익산면 이리 佐佐木久松 동척지배인농장細川 1904 춘포면 대장촌리 永原邦彦농장大橋 1907 익산면 이리 山崎增平 大橋與市농장華星 1911 익산면 이리 靑田竹治 백인기 경영농장三重 1917 익산면 이리 阿波榮一농장不二 1914 오산면 오산리 佐藤福太郞농장眞田 1904 오산면 송학리 眞田奇助

    자료 진실 일제강점 초기 일본인의 이주와 도* : , , 1928. ,木元壽 益山郡事情 裡里「시 형성 전북대학교 석사논문 에서 재인용, , 2014. p.34 .」

    이리 익산의 이러한 변화는 이곳을 한국을 대표하는 농업도시로 이끌었다- .정승진은 산하영이 의 이리안내 를 분석했는데 년판에서는 수리( ) 1915山下英爾다음으로 농업이 등장하는 한편 년판에는 농업과 수리가 각각 순서가 바뀌1927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는 당시 이리 익산이 농업을 중심으로 미곡. ·

    14) 는 이리에 대해 첫째 지미가 뛰어나고 둘째 수리사업이 완성된다면, ,山下英爾수해의 걱정이 없고 셋째 철도의 개통에 의해 운수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농,경지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의 책. ( , , 1915, p.山下英爾83)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14

    증산에 특화된 일종의 농업도시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가 주목한 것은‘ ’ .년 옥구서부 수리조합을 필두로 년 임익수조 임익남부수조 년1908 , 1909 , , 1910

    전익수조 년 임옥수조 등 개 조합이 집중적으로 설립되었다는 사실이다, 1911 5 .이 가운데 임익남부수조와 임옥수조는 후지이 간타로의 주도 하에 년 익옥1920수조라는 대규모 저수지형 수리조합으로 합병되었다.15)

    일제가 추진한 식민지 조선에서의 농정기조는 조선을 식량 및 공업원료의 공급기지로 구축하는 것이었다 조선총독부가 년 발표한 농업진작의 목표는. 1921 ‘ ’

    식량품의 생산을 증대할 것 수이입 농산물은 가능한 자급을 도모( )輸移入① ②할 것 내지 와 인접국에 대하여 수이출 할 전망이 있는 산물은( ) ( )內地 輸移出③생산의 개량증식을 도모하고 조선 내의 소비를 절약하여 수이출액의 증가에,중점을 둘 것 등이었다.16)

    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의 실행기구인 동양척식 주식회사동척는( ) ( ) 1東洋拓殖년 이리에 들어왔다 다쿠쇼쿠 란 식민지 개척을 말했다 동척은 일제908 . ‘ ( )’ .拓殖

    가 조선의 토지와 자원을 수탈할 목적으로 만든 기관으로 창립자는 이토 히로,부미 였다 동척의 주도 하에 농업을 목적으로 하는 일본인이 이주하( ) .伊藤博文였고 동척에서는 년 신평리와 동자포 주변에 소작료 수납소를 설치하여, 1911수만 마지기의 사유지를 관리하였다 동척은 토지를 수탈한 뒤 일본인 빈농들.을 이주시켜서 그 밑에 한국 소작농을 두어 농장을 경영하는 방식을 취하였다.동척이 활동하던 시절 년까지 무려 만명의 한국인이 농토와 경작지를1926 30빼앗기고 만주로 쫓겨갔으며 일본인 농민들은 만호 가까이 늘어났다, 1 .그러나 일제의 농업개량을 위해서는 대규모 수리시설이 필요했다 일본에 비.

    해 기후가 상대적으로 건조한 탓에 수리시설에 상당한 자본이 투하될 필요가있다는 점은 이미 강점 전부터 누차 확인된 바였다 토지개량은 수리사업과 치.산사업을 그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조선의 농업이 발전하지 못한 것은 모.두 물 때문이므로 근본적 치수책을 수립하고 모범적 식림을 결행하는 것이( )水개량의 급무라는 것이었다.17)

    년대 이후 일제는 수리조합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수리1920 .

    15) 정승진 참조, 2012. p.21016) 정연태 앞의 글, 1988. p. 41517) 최병택 앞의 책 이영학 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 한국민, p. 407. , 1920 ,「 」

    족문화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의 연구도 참조69, , 2018

  • 원도연

    115

    조합사업의 배경은 물론 일본의 산미증식계획에 의한 것이었다 년대의 토. 1910지조사사업을 통해 토지를 장악하고 제 차 세계대전을 통해 경제적 부를 축적1한 일본이 년 일본 내의 쌀파동을 겪으면서 조선에 산미증식계획을 이식한1908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었다 수리조합사업은 산미증식을 위한 기반시설의 구축.을 의미했고 이는 한편으로 일제의 조선지배에 대한 자신감이 표현된 것이기,도 했다 어쨌든 일제의 수리조합사업은 산미증식계획 기간 동안 크게 확충되.어 전국적으로 총 개의 수리조합이 설치되었다 년대까지 총 조합 수가187 . 1910개소에 불과하던 것에 비하면 실로 비약적인 발전이었다 수리조합 사업은14 .

    일제가 국가적으로 추진한 일종의 국책사업으로 공권력을 동원하여 강력하게추진했고 여기에 금융자본 기업 등이 식민지 권력과의 유착관계 하에 적극적, ,으로 나섰다 물론 그 궁극적인 결과는 농촌사회의 급격한 변동과 파탄 그리고. ,대지주를 제외한 농촌지역의 몰락을 가져왔다.18) 즉 일제의 수조사업정책은 조선인 중소지주나 농민 중심의 수리개발은 제한하고 식민지 권력과 대지주가 수리개발을 장악케 함으로써 토지개량사업의 성과 즉 산미증산의 성과를 독점하,여 일본 국내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였다고 볼 수 있다.19)

    이리 익산에서도 년대 산미증식계획과 그로 인한 수리조합사업이 대대· 1920적으로 일어났다 년 익옥수리조합의 설립은 이런 배경에서 이뤄졌다 일. 1920 .제는 미곡증산의 최대 장애를 관개용수의 불안정성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수리조합을 설립을 지원했고 때마침 일본에서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었다 이리 일, .대의 농장들은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수리시설을 갖추기 위해 만경강 중류의 임익남부수리조합과 익옥수리조합을 통합하여 익옥수리조합을 설립했다.20)

    그 추진주체는 임익수조의 조합장이었던 후지이 간타로였다 그는 익산 황등.제의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만 정보에 달하는 대규모 수조설치를 계획했다 여1 .기서는 주요용수원인 대아저수지의 축설 대간선수로를 통한 수리안정화 등을,

    18) 박수현 년대 수리조합사업에 대한 저항과 주도계층 한국독립운동, 1920 30 ,ㆍ「 」사연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참조20, , 2003. pp. 245-246

    19) 박수현 앞의 책, p. 25520) 조선의 수리왕으로 불렸던 후지이 간타로 가 이리에 와서 맨처음‘ ’ ( )藤井寬太郞

    주목한 것은 요교호로도 불렸던 황등호였다 황등호는 조선시대 호남과 호북을.가르는 경계였고 김제의 벽골제 고부의 눌제와 함께 호남의 대 저수지로 불, , 3렸다 조선초 폐제된 이 저수지를 살리기 위해 후지이 간타로가 년 임익수. 1909리조합을 만들고 공사를 했으나 결과는 실패였다.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16

    목표로 했다.21) 즉 익옥수리조합은 운암산 중턱의 대아리에 댐을 쌓아 저수지를 만들고 삼례의 비비정 부근에 만경강 취입구를 개축하여 물을 조절하는 홍,수방지체계를 만든 것이다 이 사업에 만원의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었다. 500 .현재의 가치로 약 조원의 자금이 투입된 것이다 이른바 대간선수로 건설사업1 .과 만경강 직강화 공사가 이렇게 진행되었다.대간선수로는 일제의 산미증산계획에 힘입어 세워진 익옥수리조합의 최대 공

    사였다 대아댐에서 흘러내린 물은 고산면 어우보 취수구에서 갈라져 옥구저수.지에 이르기까지 장장 에 이르렀다 수리가 안정되면서 군산과 김제의 간80km .척지까지 물이 흘렀고 경작지는 확대대과 생산량은 비약적으로 늘었다 대간선, .수로 건설 후 년 만경강 직강공사도 이루어졌다 만경강은 완주군에서 발1938 .원하여 전주 익산 김제 옥구 등지를 지나 서해바다로 흐르는데 그 길이는- - - 98.

    였다 그러나 곡강 을 바르게 펴는 직강 공사를 하면서 길이5 . ( ) ( ) 76曲江 直江㎞ ㎞에 이르는 제방을 축조하여 강의 실제 길이를 줄여 놓았다.대간선수로는 년 시작하여 년 완공되었다 대아댐과 만경강은 대동1920 1923 .

    맥 같은 대간선수로를 따라 물이 닿았고 생산량은 비약적으로 늘었으며 경작지는 확대되었다 그러나 근대적인 수리시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본을 위한 증. ‘미계획이었고 조선은 강력한 통제경제를 겪어야 했다 대규모 댐과 저수지가’ , .건설되면서 조선인들의 토지는 값싸게 팔리거나 강제수용되었고 소작인들의 수세부담은 높아져갔다 또 수리조합 구역 외의 농민들은 기존의 용수공급원을.잃으면서 가뭄과 홍수의 피해를 입었다.

    이리농림학교의 설립과 근대농업의 완성3)

    년 한국 근대농업의 한 획을 그은 이리농림학교가 드디어 개교한다1922 . 10여년 앞선 년 전주와 군산에 공립농업학교가 문을 열었으나 이 학교들은1910 2년제이후 년제의 실업학교였다 이리농림은 유일한 관립학교이자 년제 전문( 3 ) . 5학교로 조선학생과 일본학생 반반으로 구성된 이른바 내선공학 농, ‘ ( )’內鮮共學업학교였다.이리농림학교 설립청원에 앞장선 인물은 가타기리 와조 였다 그가( ) .片桐和三

    21) 정승진 앞의 책 참조, 2015

  • 원도연

    117

    처음 갑종 농림학교 설립을 청원했던 것은 년이었다 년 월 본도 실1915 . 1918 9업가 회의에서 전북에 갑종 정도의 실업학교 설립을 요망하는 협의가 있었다.그해 월 총독부에서는 전국 유일의 관립 농림학교를 창설하려는 안을 놓고11서울 대구 대전 이리 중에서 한 곳을 선택한다는 말을 듣고 당시 대장촌에서, , ,농장을 경영하던 이마무라 는 만약 이 정보를 여러 지방에서 알게( )今村一次郞되면 격렬한 경쟁이 야기될 것이라 생각하고 평소 뜻을 같이 했던 전북도회의원인 가타기리 를 다음날 방문 이리에 유치할 뜻을 굳히고 도 과정을( ) ,片桐和三찾아가 여러 가지 운동방법 설립모금을 위한 권유 등을 구체적으로 진전시킬,방안을 마련하였다.그후 익산군수 노무라 를 찾아가 뜻을 전하고 설립추진에 적극적인( )野村淸彬

    운동을 펴기 위해 년 월에 발기자대회를 이리 학교조합 사무소에서 개최1919 12하고 농업학교 설치를 위한 희사금 만원을 총독부에 제공하는 문제와 년10 1920부터 관립학교로서 개교할 방침 아래 설립신청을 하는데 관해서 명의 상무위12원을 선정했다.

    년 월 일 도가다오까 내무부장 모리야마 학무과장 가다1919 1 6 ( ) , ( ) ,片岡 守山기리 오오기 구라다 이마무라 등( ), ( ), ( ), ( ) 6片桐和三 扇米助 倉田光藏 今村一次郞명이 도일위원으로 선출되어 일본으로 떠나게 되었다.22) 이 당시 이들의 설립취지서는 다음과 같았다.

    중략 한국 내에서는 수리개간의 사업이 각지에 성행되고 한국의 보고( )…인 본도 농업진흥의 기운이 창대함에도 불구하고 심히 유감스러운 것은 한국특수의 영농 경작의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자신이 영농에 종사하여 지방에 모범이 될 사람이나 관청 혹은 농장 경영면에 지도력을 가진 사람들이 대개 일본에 있는 농업학교 출신자이어서 한국농사에 정통하려면 많은 경험이필요할뿐더러 장차 한국농업을 진흥시키려면 더욱 많은 경험과 지식을 필요로하는 바 현존 한국농업학교 출신자로는 아직 그양과 질이 심희 부족한 실정이다 수원에 있는 수원 농림전문학교는 소재지가 지방에 편재애 있고 학생 수용.에 제한이 있어 대량의 지도자를 수용 양성할 수 아 없는 점이 남한지방 농가자제의 농업 교육상 일대 결함이 아닐 수 없다 본도 익산군 이리는 전북 평야.지방의 중심일 뿐 아니라 교통까지 편리하여 남한지방 상급학교 소재지로서

    22) 이리농림학교의 설립과정에 대해서는 이리농림동창회 이리농림 년사, 50 , 197마츠모토 다케노리 식민지 조선의 농업학교와 지역사회 이리농림학교를2, , -「

    대상으로 역사문화연구 제 집 등을 참조, 59 , 2016」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18

    최적지이다 이하 생략. ( )… 23)

    마침내 년 월 일 조선총독부는 관립 농림학교의 위치를 이리로 결정1921 10 4발표함과 동시에 경성공립농업학교 다까바다께 마사오 교장을 본교( )高 正雄畠창립 사무 촉탁으로 임명하고 그 다음해인 년 월 전주고등보통학교 가와1922 2니시 교유에게 동 사무를 위촉했다 년 월 일 칙령 제 호 조선총독부. 1922 3 31 151산하 제학교 관제가 개정되어 동년 월 일 이리농림학교로 인가되어 동일부로4 1경성공립농업학교 다까바다께 교장이 본교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로써 이리농.림은 그 화려한 역사를 시작하게 되었다.이리농림학교 설립 청원은 기본적으로 일본인 대지주의 주도하에 이루어졌

    다 이리농림의 설립을 주도한 조직은 이리번영조합으로 이들은 일본인 대농장.주이거나 유력한 관료와 상인들이었다 이리번영조합의 초대 대표인 오하시농장.

    의 주인 오하시 요이치 나 간사인 오기 오네츠케 등( ) ( ) ( )大橋農場 大橋與市 扇米助은 이리농림학교의 유치과정에서 여전히 핵심인물로 등장한다 결국 이들이 호.남선 정차역으로 이리역을 유치하고 다시 갑종 농림학교인 년제 이리농림학교5를 유치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근본적인 힘은 이리 익산 일대의 대규모. ·농장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은 분명하다.물론 이리농림학교가 설립된 배경은 년대 이른바 문화정책의 산물이었1920 ‘ ’

    고 일본은 이 학교를 통해 식민지 시대의 전문관료나 식민지 경제체제의 핵심,인력을 양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있었다 식민지 교육의 특질은.식민지 사회를 살아가는 조선인들이 품고 있던 교육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접합되어 형성된다.24)

    무엇보다 이리농림학교의 설립은 이리 익산의 근대농업 스테이션이 완결적·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토지조사사업과 대규모 농장의 창출 수리조합을. ,통한 대간선수로의 건설과 훗날의 만경강 직강화 그리고 이리농림학교를 통한근대농업의 인재양성으로 일제의 근대농업 스테이션은 비로소 그 모습을 명확하게 드러내게 되었다.

    23) 이리농림동창회 이리농림 년사, 50 , 1972. p. 1524)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 :「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권 호, 16 2 , 2015. p. 148」

  • 원도연

    119

    식민지하 이리농림학교의 역할과 체제3.

    이리농림학교의 위상과 운영1)

    이리농림학교는 개교와 함께 전국적인 명문이 되었다 당시에는 학교의 수업.연한에 따라 졸업자들에 대한 사회적 대우에서 차이가 있고 학생들의 입학 선호도가 달랐기 때문에 수업연한이 짧은 을종학교로서는 갑종학교로 승격하는,목표를 무엇보다 우선하는 학교 발전의 과제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에 을.종 실업학교가 갑종으로 승격되는 일은 매우 지난한 과제였다.이리농림은 우수학생의 전국 유일의 갑종 실업학교로서 교운성쇠의 관건은

    오직 우량한 학생의 수용 및 우수한 교사 조직과 학교 설비의 완비에 있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질이 좋은 학생을 모집하기로 결의하고 전국을 학생 모집의 구역으로 하여 도 도청에 의뢰 동일 동시 입학시험을 치루었다13 , .이리농림학교의 년 입학률은 로 전국 최고 경쟁률을 보이고 있었다1934 6% .

    이리농림학교는 거의 매년 대 에 가까운 극단적인 입학 경쟁률을 보였다20 1 .이리농림학교의 입학생의 모집 방법도 다른 공립 실업학교들과 다르게 이리에있는 본교 외에도 경성과 대구의 지정된 보통학교들과 충북 경남 황해 평남, , , ,평북 강원 함남 함북 등 각 도청에서 실시되었다, , , .25)

    첫 입학시험은 월 일부터 일간 경성중학교와 전주소학교에서 실시하였는4 11 3데 지원자는 약 명에 달했다 그중 농림업과 학년 명 당시 각도의 농업500 . 1 50학교 수업연한이 년이어서 이들 졸업생의 진로를 고려하여 농업과 학년2 3 54명을 선발하였다.26) 식민지시기 실업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극심한 경쟁을뚫고 입학시험에 합격해야 했다 이리농림의 졸업생들은 거의 한결같이 극심한.입학경쟁을 기억하고 있다.

    내가 열 다섯 살 되던 해 마음 한구석에 장차 큰 사람이 되어 보겠다고 상“ ,급학교 진학을 결심하고 지원하게 되었던 것이 바로 이리농림이었다 당시의.이리농림의 명성은 전국에 떨쳐 있어 이 학교에 입학만 하게 되면 천하의 수재

    25) 안홍선 앞의 책 이리농림은 다른 학교와 달리 시험일자가 빨라 타 학, p.158.교와 중복응시가 가능했다 동아일보 년 월 일자. , 1934 2 1 .

    26) 이리농림동창회 이리농림 년사, 50 , 1972. p. 15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20

    인양 의기양양하였고 모든 사람들도 역시 그렇게 인정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학교 입학시험을 첫다는 사람들은 많았지만 합격하였다는 사람들은 적었다 그만치 이 학교에 들어가기가 어려웠다 내가 졸업하였던 부용보통학교에서는.여명의 지원자가 응시하였으나 단 한 사람만이 합격하였던 것이다 이때는40 .

    학생을 전국적으로 모집하였기 때문에 각도 도청 소재지에서 입학시험이 실시되었다 모집정원은 며 인데 이 주에서 한국학생은 명만 뽑았다 우리. 100 50 .때는 응모가 명이 넘었다 따라서 이라는 엄청난 경쟁을 거쳐 입학할900 . 18:1영예를 누렸던 것이 나의 운명을 결정하는 계기가 되고 만 것 같다 심종섭. ( ,임과 회 이리농림 년사 중11 , 50 )

    나도 조그마한 농가의 아들이다 아버지는 나의 상급학교 진학을 경제력이.약하니 단념하라고 허락하지 않았다 나는 나에게 물려줄 조그마한 땅덩이라.대신 그것으로 학비를 대여 달라고 아버지에게 소원을 했다 그 당시 중학 년. 5과정을 마치고 다시 상급학교에 간다는 것은 사실 한국사람으로써는 모든 면,에서 힘든 일이었다 이종진 농과 회 꿈이 많던 그 시절 이리농림. ( , 15 . ‘ ’, 50년사 중)

    초대 교장인 다까바다께 마사오 교장의 학교운영은 철저한 한일인( )高 正雄畠공존공영의 공학 과 학생은 전원 입사하게 한다는 기숙사 중심주의에 의한( )共學고원한 이상을 실현시켜 강의소박한 교풍을 확립한다는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이리농림 하면 기숙사 생활을 제일 먼저 들 수 있다 심지어 기.숙사 생활을 하지 않는 학생은 이리농림의 참맛을 모른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이리 농림과 기숙사 생활과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그래서인지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서 시달리면서도 뽀얗게 떠오르는 기숙사 생활의 가슴을 메우는 정겨운 추억을 잊지 못한다 회 정용해 동문의 회고록 이리농림 년사. (11 , 50 ,

    재인용1972, p88 )

    당시 이리농림학교의 기숙사 생활은 규율이 엄했고 군대식으로 시종하였다.사감 명 취사계 명 각실 명의 정원에다 상급생이 실장으로 임명되어 학5 , 2 , 10생 자율적인 기숙사 생활이 운영 하루의 생활은 아침 시 기상종으로 시작하. 6여 저녁 시 취침종으로 하루가 끝났다10 .

  • 원도연

    121

    표 이리농림학교 기숙사 하루 일정표< 2>

    기 상 06:00 저녁식사 18:00

    점 호 06:30 묵 학 19:00

    아침식사 07:00 점 호 20:00

    등 교 08:00 소등취침 20:30

    점 심 12:00

    자료 이리농림 년사 재구성* : 50 , 1972, p79

    그러나 이리농림의 초기 개척기를 제외하면 시설과 환경은 거의 전국 최고수준을 자랑했다 이리농림은 일본인들이 장기적인 안목으로 세운 학교였고 인.근의 대농장에서 후원을 받으며 최고의 시설을 보유했다.

    당시의 이리농림은 우선 외양으로 보아 훌륭하였다 즉 웅장한 층 교사에. 2수백종의 정원수로 다듬어진 수목원과 각종 실험실이며 실습장 그리고 다른학교에서는 보기 드믄 기숙사 등등 수원에 있었던 고등농림에 대응하리만치훌륭한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특히 그때 신설된 축산과는 시설 좋기로 전국에.이름이 높앗다 한편 교사진을 보아도 아까몬 현 동경대학 농학부 출신. ( )赤問의 수재들이 와 있었으며 그밖에도 일본의 각 명문교 출신 교사들이 전국 각처에서 뽑혀와 모두 실력파 일색으로 이름은 실업학교였으나 실업학교 치고는상당히 수준이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심종섭 임과 회. ( , 11 ,이리농림 년사 중50 )

    본관에 이어서 후관이 있었고 지금 농고 본관 자리에는 우리들의 꿈이 서,린 커다란 동의 기숙사가 나란히 서 있었다 운동장 북편에 양잠실 축산과2 . ,축사 및 특별교실 등이 있었는데 지금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실습장으로는.운동장 아래 있었던 채소포 그 북쪽에 화훼포 과수원 등이 있었고 교내답, , ,임과 묘포들이 있엇다 모두 알뜰하게 가꾸어졌으며 누가 보아도 자랑할만한.우수한 시설들이었다 권형로 임과 회 모교의 옛 모습 이리농림 년사. ( , 18 , ‘ ’ 50중)

    이리농림은 이리 근대스포츠의 메카와도 같았다 일제강점기 이리농고의 체.육에 대한 기록은 축구 야구 정구 뿐만 아니라 육상 씨름각희 등 거의 전, , , ( )종목에 걸쳐 기록을 남겼다 씨름은 년에 이리에서 시작되어 년에 고. 1927 1932창에서 경기가 개최되었고 년 조선신궁대회에 이리농림이 출전하여 우승했1934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22

    다는 기록이 있다 또 년 이리농림 축구부는 그해 월 호남축구대회에서. 1935 8우승한 후 월 열린 제 회 전조선 중등학교 축구대회에서 우승하면서 이리농9 7림의 첫 전국대회 우승의 기록을 세웠다.특히 씨름부는 전국의 패권 뿐 아니라 일본의 패권까지 장악했다 씨름은 무.

    사도에 통한다는 무도숭상의 학풍을 가졌던 한일공학인 본교는 씨름을 이리농림의 특기로 삼고 이를 권장했다 이 가운데 오사카 매일신문사 주최로 매년. 1월 사까이 시 오오하마에서 전일본 씨름대회가 개최되었는데 이 대회에는 조0 ,선을 대표하여 연 년을 경성사범학교가 출전하고 있었다 년 월 이리농3 . 1933 6림학교 씨름부가 처녀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하면서 년까지 년간 패권을1942 10양도하지 않는 씨름 이리농림으로 군림하기도 했다‘ ’ .

    아직도 기억에 생생한 것은 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선수였던 손기정1936씨와 예선에서 맞서 선두를 견주던 선배 최익환씨가 있었는가 하면 우리의 축구팀은 중앙에서 패권을 장악하고 있던 축구의 명문 휘문 또는 배재 등과 당당히 겨뤄 우승을 한 일들이다 야구도 호남의 왕좌를 누리고 있었으며 그밖에.이리농림은 씨름으로 유명하였다 멀리 일본에까지 가서 일인들을 누르고 우.승의 영광을 차지한 것도 이때였다 심종섭 임과 회 이리농림 년사. ( , 11 , 50중)

    이리농림학교 학생들의 수학여행도 매우 중요한 계기를 주었다 당시 학. 1,2년 학생들은 수원농림학교 농사시험장 등을 관람했고 학년은 박 일 일정으, 3 3 4로 월에 금강산 단풍을 답사하는 일정이었다 반면 학년은 일간 일정으로10 . 4 7월 중순 만주여행 봉천 무순 신경장춘 여순 안동을 거쳤는데 이는 만주5 - - ( )- -국의 막강한 힘을 보여주고 실감하게 하기 위한 여행이었다 마지막으로 학년. 5은 주간 일본을 여행하는 프로그램이었다 부산에서 관부연락선을 타고 현해2 .탄을 건너 시모노세키에서 내림 시모노세키에서 구주 로 건너가 아소활화. ( )九州산을 보고 온천 벳푸 교토 나라 됴코 여행하는 코스로 그 가운데 신사와 군, - - -항과 공장시설 등을 견학했다.

    이리농림학교는 입학하는 것도 문제였지만 그와 더불어 상당히 높은 수준,의 학자금을 지불할 수 있는 학부모의 경제력이 요구되었다 안홍선에 의하면.시기와 학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년대에는 월 원1920 20 , 1

    년대에는 월 원 정도의 최소 학자금이 필요했다930 30 .27) 사실 실업학교 학생

  • 원도연

    123

    들이 중등학교 진학에서 실업학교를 선택했던 이유는 졸업 후 취업이 용이하다는 점이었다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졸업생들의 진로는 동향은 첫째 관광서. ,취직자가 제일 많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주로 전매지국 농무과 산림과 산업, , ,과 농사시험장 영림서 군청 농회 세무서 종양장 종축장 금융조합 등을, , , , , , , ,들 수 있다.

    표 졸업생 활동상황 현재< 3> (1939.5.31. )

    구분관공서취직

    학교교원

    은행 회사·취직

    가사종사자

    상급학교입영자 사망

    제국대학 고등학교

    한국인 568 348 24 54 107 7 62 -일본인 583 225 33 106 141 1 99 11합계 1151 573 57 160 248 8 171 98 71

    자료 이리농림 년사 재구성* : 50 , 1972, p77가사종사자 중에는 병 또는 수험중인자 포함 상급학교 진학자는 재학 후 졸업한 자* .

    로 졸업후 상황은 각 란에 산입,

    이리농림은 전국에서 이름난 실업명문으로 자리를 굳혀갔고 엄격한 교풍과우수한 교육시설로 전국의 수재들이 모여 들었으며 이들은 졸업과 함께 당시유수한 직장으로 진출해갔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더욱 더 입학의 문은 좁아졌.고 졸업생들은 각기 전문 대학 또는 적성에 맞는 생활 전선으로 뿔뿔이 흩어,져 갔다.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적 의미와 역할2)

    박지원은 일제가 식민지 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한 년대의 상황 속에서 농1910업학교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지적했다 강점 직후 조선에 농.업학교 중심의 중등교육체계가 수립되면서 의 최고 교육기관이 된 농업학道內교는 해당 에 필요한 각종 인력을 공급하는 역할까지도 담당했다는 것이道

    27)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권 호, 16 2 , 2015. p. 152」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24

    다.28) 즉 식민지 농업교육은 농민순화와 체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중등교육기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당연히 일제강점기의.교육은 본질적으로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위한 정치사회적 기반을 조성위한 전략적 목표에 있었다.전라북도에서 최초로 설립된 실업학교는 대한제국칙령 실업학교령 년‘ ’(1909 )

    을 기반으로 하여 년 월에 설립된 공립전주농림학교 및 공립군산보통학교1910 4의 병설학교인 군산농림학교였다 조선 합병 이후 년 조선교육령 제정으. ‘ ’ , 1911 ‘ ’로 실업학교규칙이 공포되고 같은 해 위의 두 학교는 각각 전주공립농업학교‘ ’ , ‘ ’군산공립농업학교로 명칭이 바뀐다 수업연한은 년으로 규정하였다 이후‘ ’ . 2 . 191년에는 개의 간이 실업학교가 설립되고 년까지 그 수는 개교를 넘었2 2 , 1919 11다는 기술이 있다.29)

    이리농림학교는 당시 농업학교로서는 유일한 관립학교였고 거의 유일하게,조선인과 일본인의 재적자가 절반씩으로 구성된 유일한 내선공학 농‘ ( )’內鮮共學업학교였다 또 식민지 조선에서 년제 농업학교의 시초이기도 하였다 년. 5 . 1919까지는 모든 농업학교의 수업연한은 년이었다 년에 일부의 농업학교가2 . 1920수업연한을 년으로 연장하였다 이리농림학교는 설립 초기 농업과와 임업과의3 .제 학년 정원을 각 명으로 했으나 수업연한 년의 농업학교 졸업생의 진로1 50 , 2를 고려하여 제 학년을 한 학급 명으로 하고 편입생을 위하여 제 학년을1 50 3 50명으로 구성했다 이로써 년에 초대 편입생들이 이리농림 초대 졸업생으로. 1924되었다.박지원은 일제강점기 실업학교의 성격을 보통학교를 졸업한 조선인 학생들의

    실업교육을 위한 중등학교로 보았다 일제는 학교교육의 정치색을 탈각시키면서.제반 직능에 종사하는 하급 인력을 양성하고자 인문계 중등교육기관인 고등보통학교보다 실업학교를 정책적으로 증설했다는 것이다 특히 조선인을 대상으로.한 농업학교는 조선 농업의 개량 진보를 도모하려는 일제의 농업정책이 직‘ ’, ‘ ’접적으로 투영된 교육기관이었다 일제의 보통교육이 교육 수준을 통제하기 위. ‘ ’한 구호였던 반면 실업교육은 교육의 성격을 규정한 것이었다, ‘ ’ .30) 즉 명치농‘

    28) 박지원 앞의 글, p.15429) 마츠모토 앞의 글, p. 4030) 박지원 년대 일제의 중등 농업학교 운영과 조선인 졸업생의 진로 역, 1910 ,「 」

    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130, , 2014. p. 159

  • 원도연

    125

    법이라 불리던 농업기술체계를 일본 전역에 보급하는 과정에서 정비된 권농체’ ‘제를 조선에 이식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가 바로 조선의 농업학교였다는 것이’다 이리농림 역시 전북지역의 매년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품평회를 열어 농업.기술의 보급과 확산을 위한 기회를 가졌다.31) 이리농림의 이러한 품평회는 당시 주요 중앙 일간지에서 비중있게 다룰만큼 중요한 행사로 치러졌다 또. 1931년 월에는 이리농림 설립 주년을 맞아 이리역전에서 학교에 이르는 주요 도9 10로와 우편국 공설운동장에 이르는 간선도로에 가로수를 식재하는 행사도 있었,다 이리농림은 이 계획을 위해 년전부터 가로수 묘목을 육묘하는 등 노력을. 3기울였다.32)

    년에는 육군현역장교가 배속되면서 군사훈련이 시작되었다 이 제도는1930 .일본국내에서는 년부터 조선의 일본인 학교에서는 다음해인 년부터1925 , ‘ ’ 1926실시되었었다 년에 조선의 내선공학교에도 적용된 것에서 비롯된 것이. 1930 ‘ ’다.33) 이렇게 년대부터 시작된 일본의 전시체제와 함께 이리농림 내에서1930반일민족운동도 서서히 시작되었다 년 월 일자 동아일보는 농림교와. 1928 3 15 ‘조선인이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이리농림학교가 본래 조선인 본위로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일본인 본위가 되고 말았으며 입학생에 있어서 조선인“ ...측이 일본인측보다 저능하여 입학시험 합격률이 불급이라 하면 혹 그렇다 할지모르나 그도 아니다 오직 조선인 수용율을 그만큼 차별한 것이다 라는 기사. ”를 통해 조선인 합격자의 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년은 이리농림에서 반일민족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난 해였다 년 광1930 . 1929주학생운동의 영향을 받아 이곳에서도 독서회가 만들어졌고 그 여파로 년1930월 박승구가 퇴학을 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해 월에는 추계대운동회때2 . 11일본인 학생이 조선인을 차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월 일 이리농림. 11 10교생 백여명이 일선 학생의 대우차별을 철폐할 것 월사금과 교우회비를“ ( ) ,日鮮

    31) 동아 소채품평회 이리농림교에서 품평회에 대한 기사는 년1924.11.26. ‘ . ’, 1924처음 등장하는데 이후 이리농림은 매년 월 품평회를 열었던 것으로 보인다, 11 .품평회에서는 이리농림의 학생들이 가꾼 작물을 전시하고 때로는 판매도 했던것으로 보인다 매일신보 기사에는 품평회에서 얻은 이익금을 만주. 1931.11.28.군에 기부한다는 기사도 실려있다.

    32) 매일신문 일자, 1931.9.16.33) 마츠모토 앞의 글, p. 59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26

    감하할 것의 요구를 제출하고 정연하게 등교하여 학교당국의 처치를 기다리고”있었으나34) 학교측은 학생대표 명 중 윤수동 박사진 신정근 임방래 등 명8 , , , 5을 퇴학하고 라병소 윤석창 김춘표 등 명을 정학처분하며 강경대응했다 이, , 3 .사건은 결국 동맹휴학으로 번져갔다.35)

    그러나 이리농림의 반일투쟁을 상징하는 인물은 이상운과 그가 조직한 화랑‘회 사건이었다 화랑회는 이리농림의 이상운과 장지환 김직수 서공휴( )’ . , ,花郞會등은 여명의 학생 조직을 구성하고 조선의 역사를 학습하며 자주독립의식200 ,을 높혀 나갔다 이상운 등은 년 만경경 폭파사건을 모의하며 향후 게릴라. 1943전까지를 모색했으나 미수에 그쳤다 이들의 계획과 조직은 년 월 발각되. 1945 4어 이상운 등 명이 구속되었고 이상운 열사는 결국 세를 일기로 해방 직전13 18인 월 일 옥사하고 말았다7 17 .36)

    그러나 년대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이리농림은 사실상 전시체1940제로 재편되었다 년대에 입학한 이리농림 졸업생들의 회고를 보면 오전에. 1940농업기술을 중심으로 학습을 하고나면 오후 일과는 황등농장 등에서 고된 노역에 시달렸다는 기록이 대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일제 강점기 이리농림은 년. 1930대의 전성기를 지나면서 년대 식민지 전시체제로 편입되어갔다1940 .교육기관의 유치는 식민지 시기의 지역사회가 심혈을 기울인 중요한 과제의

    하나였다 일본은 근대 관료제도를 도입하여 국가를 운영했는데 일차적인 방식. ,은 당연히 일본인 관료를 직접 파견하여 통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함께.일제는 조선인에 대한 식민지 교육을 통해 조선인 엘리트들을 조선인 신식관‘료로 양성하여 궁극적으로 근대화의 인적자원이자 식민지화의 인적자원으로’ ‘ ’양성하는 노력을 기울였다.37)

    34) 동아일보 일자1930.11.20.35) 동아일보 일자1930.11.2236) 황성근 김형룡 익산시 독립운동사 참조· , , 1998.『 』37) 이송순 도쿄제국대학 농대와 년대 조선총독부 농업고등 기술관료 그룹의, 1910「

    형성 한국인물사연구 한국인물사연구회, (25), , 2016. p. 215」

  • 원도연

    127

    맺음말 이리농림과 지역사회4. :

    이리농림학교는 년 개교 이후 수차례의 변화를 거치며 해방 이후 전북대1922학교의 전신이 되었고 그 후신은 이리농업고등학교로 남았으나 년제 전문대, 2학 시절을 거쳐 결국 전북대학교와 최종적으로 통합되었다 지난 여년의 세. 100월을 거쳐 이리농림이 가장 빛났던 시기는 불행하게도 일제강점기였다고 하지않을 수 없다 그리고 우리는 곧 년에 이리농림 백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2022 1 .그러나 지금은 사라진 이리농림의 흔적과 발자취는 익산의 도시역사에서 결코가볍지 않다 이리농림은 일제강점기 일제가 특별하게 세운 전문학교였고 그. ,위상과 역할은 지역사회를 넘어 전국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당시 이리의 도시형성 과정과 익산지역의 농업발전은 이리농림과 긴밀한 관

    계에 놓여있었다 당시 익산의 농업은 김제와 삼례 그리고 군산 방향으로 옥구. ,일대를 포괄하고 있었으며 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은 이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일본 본토를 위한 식량공급기지로 만드는 것을 핵심으로 했다 이 과정에서.이리농림은 이 지역의 일제 농업정책을 완성시키는 핵심 인프라였다 이리농림.이 쟁쟁한 타 도시들을 제치고 이리로 위치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실제로 당시 이리에 거주하면서 활동하던 대농장의 일본인 지주들과 이.리신도시를 장악하고 있었던 상업자본가와 관료들은 이리역 유치 우편소와 경-찰서 이리 이전 동양척식주식회사 이전 이리농림 유치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본국 네트워크을 바탕으로 정치력을 발휘했다.이리농림은 설립 후 해방되기까지 한국학생들에게는 늘 최고 수준의 경쟁률

    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가 높은 학교였고 학생선발도 개 도청에서 각각 실시, 13할 정도로 엄격한 입시제도를 갖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전국의 수재들이 이리.농림에 입학했다 이리농림은 당시로서는 매우 선진적인 농업기술을 익혔고 그.기술은 조선의 농업기술로 전파되었다 이리농림에 맨 처음 설립된 학과는 농.학과와 임업과였는데 그 목표는 식량증산과 산림녹화에 있었다 또 이리농림은, .농업기술 뿐만 아니라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전학생 기숙사 생활을 통해 학생들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년대 중반부터는 학교를 군대식으로 편제하면서, 1930병영화했다 특히 년 중일전쟁 이후부터 해방까지는 오전에 학과를 마치고. 1938오후에는 실습농장으로 나가 하루 종일 노역에 시달리는 기형적인 학교생활이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28

    계속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리농림은 학교 그 자체로서 다양한 분야에 매우 우수한

    인재를 양성했고 스포츠 문학 음악 미술 등 각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를 계속, , ,배출했다 특히 당시로서는 생소했던 축구 야구 등에 능했고 씨름은 조선을. , ,넘어 일본 전체에서도 십여년간 우승을 독차지할 정도로 대단한 실력을 보여주었다 그 과정에서 이리농림은 지역사회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았으나 이.리 익산의 지역사회에 늘 새로운 도전과 자극이 되었다 이리농림은 학교 설립- .일이나 운동부의 전국제패 등 경사가 있을 때마다 이리역을 중심으로 가두행렬을 벌였다.

    년대 중반부터 이리농림에서는 독립운동을 위한 학생운동이 활발하게 전1930개되었다 조선학생에 대한 일인교사들의 차별에 조직적인 저항운동이 벌어졌.고 조선학생들의 독서회가 계속 조직되면서 년대에는 무장투쟁이 시도되, 1940기도 했다 화랑회라는 독서회가 타격하고자 했던 것은 만경강 철교로 이 다리.는 호남평야의 식량을 군산항을 거쳐 일본의 전쟁터로 이송하는 핵심시설이었다 이 투쟁은 불행하게도 사전에 적발되어 이상운 열사가 해방을 한 달 앞두.고 옥사하는 비극으로 이어지기도 했다.이리농림은 이리 익산의 지역사회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았으나 이리- -

    익산의 도시형성 및 농업발전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발전해왔다 해방과 함께.이리농림은 학교의 성격과 위상이 달라졌지만 일제강점기 이리 익산의 근대농-업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리농림이 차지하는 의미와 역할은 결코 적지 않았다.

  • 원도연

    129

    참고문헌

    이리농림동창회 이리농림 년사, 50 , 1972, , 1928.木元壽 益山郡事情『 』

    산하영이 호남보고 이리안내( ), ( ): ,山下英爾 湖南寶庫 裡里案內 附近接地事情1915

    이리시사편찬위원회 이리시사, , 1981.

    김경남 일제하 식민도시 개발과 조선인 자본가형성의 특징 전북지역 박기, -「순 박영철 일가를 중심으로 영남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 2016ㆍ 」

    제국의 식민지 교통 통제 정책과 익산 신도시 건설 익산학 심포지______, ,「 」엄, 2018.5.

    김도형 일제강점 하 농업기술기구의 식민지 농업지배적 성격 농업사연구, ,「 」제 권 호 한국농업사학회4 1 , , 2005

    남궁봉 만경강유역의 개간과정과 취락형성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 .「 」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3(2), , 1997

    마츠모토 다케노리 식민지 조선의 농업학교와 지역사회 이리농림학교를 대상, -「으로 역사문화연구 제 집, 59 , 2016」

    박수현 년대 수리조합사업에 대한 저항과 주도계층 한국독립운동, 1920 30 ,ㆍ「 」사연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20, , 2003

    박지원 년대 일제의 중등 농업학교 운영과 조선인 졸업생의 진로 역, 1910 ,「 」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130, , 2014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권 호, 16 2 , 2015」

    이경찬 철도시설과 연계한 이리 도시구조와 도시경관의 근대성 해석 건축, ,「 」역사연구 21-6, 2012

    이규수 후지이 간타로 의 한국진출과 농장경영 대동문화연구, ( ) ,騰井寬太郞「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49, , 2005

    이송순 도쿄제국대학 농대와 년대 조선총독부 농업고등 기술관료 그룹의, 1910「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30

    형성 한국인물사연구 한국인물사연구회, (25), , 2016」이영학 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 한국학연구 제 집, 1910 , 36 , 2015.2.「 」

    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 한국민족문화 부산대학교______, 1920 , 69,「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이용상 익산의 철도교통과 지역의 변화 익산학 심포지엄, , , 2018.5.「 」이용수 년대 일제의 중등 농업학교 운영과 조선인 졸업생의 진로 역, 1910 ,「 」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 2014

    이정섭 일제 강점기 도시화와 인구이동 년 부 와 지정면 지, : 1930 ( ) ( )府 指定面「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 권 제 호 대한지리학회, 52 1 , , 2017」

    이한기 개화기 및 일제시기의 농사시험연구와 지도 농업사연구, , , 2002「 」정승진, 실패한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 , ,(59), , 2015「 」

    위계적 복합공간으로서의 식민도시 이리 아세아연구______, , ( ) ,裡里「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55(4), , 2012일제시대 식민 신도시의 출현과 주변농촌 전북 이리와 대장촌의 사______, ‘ ’ -「

    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쌀 삶 문명연구 창간호, · · , 2009」한국근대 지역사회의 변동과 일본적 제국주의 웅본 세천가의 전북______, -「

    익산 대장촌에서의 경험 한국사회경제학회 하계대회 발표문, , 2011」정연태 년대 일제의 과 소위 을, 1910 :農業政策 植民地 地主制 米作改良政策「 」「중심으로 한국사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 , 1988」

    년대 조선농지령과 일제의 농촌통제 역사와 현실 한국______, 1930 ' ' , 4,「 」역사연구회, 1990

    정태헌 년대 일제의 식민지 자본주의 체제 구축 과정 아시아문화, 1910 ,「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15), , 2000.11.

    조성운 년대 일제의 동화정책과 일본시찰단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920 , 2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진실 일제강점 초기 일본인의 이주와 도시 형성 전북대학교 석사논문, , ,裡里「 」2014

    최병택 강제병합 전후 일제의 농업 개량 방침 역사와 현실 한국역, ' ' , 78,「 」사연구회, 2010

    황성근 김형룡 익산시 독립운동사· , , 1998.『 』

  • 원도연

    131

    Abstract

    Iksan Modern Agriculture 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and Social History of Iri Agriculture and Forestry School

    Won, Do-yeon(Wonkwang Univ.)

    Iri( ) began its history as a city in 1912 when Iri Station opened.裡里The development of Iri and Iksan was crucial in its strategic locationas an agricultural region. In other words, Iri was pioneered as thecenter of modern agriculture in Korea, and in fact, during theJapanese colonial period, key facilities of modern agriculture wereinstalled in turn, and the main figures who penetrated the modernhistory of both Korea and Japan paid attention to this place. In theprocess,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played a very importantrol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Iksan. The three keyelements of the modern agriculture of Iri-Iksan were Japanese farms,hydraulic unions, and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Thesethree elements could be called Modern Farming Stations. Amongthem,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had the best advancededucation system at the time, centering on agricultural education.And it played a role in nurturing colonial administrators andtechnocrats.

    The agricultur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10s wasto make Korea a stable rice supplier by establishing a colonialholding system through land survey projects. Japanese immigrants,who came to Iri-Iksan in the 1910s, built large-scale farms andturned farmers in the region into tenant farmers. In the 1920s, theJapanese agricultural policy developed into a proliferation plan,

  • 일제강점기 익산의 근대농업과 이리농림학교의 사회사

    132

    forming a union to build a large repair facility, and attracting Iri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as the final stage of the plan. Themost powerful forces in this process were the Japanese landlords andbureaucrats, who led the entire process of Iri's urban formation.

    Through this process,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wasestablished. It was the only governmental school to raise the spirit ofthe whole nation by recruiting half Japanese students and halfKorean students.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became anational prestige with the opening of school. Iri Farming hasgathered the best elites of the time and had such excellent academicfacilities and organization.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haslearned very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at that time and it hasbeen spread to the agricultural technology of Chosun. The firstdepartments established in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wereagriculture and forestry, with the goal of increasing food productionand forestry.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also strictly controlledstudents not only through agricultural technology but also at thetime of unprecedented student dormitory life. In addition, this Schoolnurtured very talented people in various fields as schools, andcontinued to produce outstanding tal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sports, literature, music, and art. He was especially good at soccerand baseball, which he was unfamiliar at the time, and his wrestlingskills were so great that he won the championship for over a decadein Japan. In the process,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was notdirectly involved in the community, but it was always a newchallenge and stimulus to the Iri-Iksan community. In addition toliberation,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changed the natureand status of the school.

  • 원도연

    133

    Key words Iri Station, Iri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Mode▣ :rn Farming Stations, Japanese Agricultural Policy, State School

    접수일자 심사일자 게재결정: 2019. 11. 15 : 2019. 12. 30 : 2019.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