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12
22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제 제호 19 , 1 , 2010 3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19, No. 1, 22-33, March, 2010 연구의 필요성 1. 개인의 생활태도와 습관은 만성 퇴행성질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질병 치료와 예방 , 을 위한 의료 서비스만으로 부족하여 개인 자신의 올바른 생활양식과 건강에 좋은 환경여건 조성이 절대적으로 요 구된다 간호사를 비롯한 건강관리 전문가들에게 이러한 . 건강한 생활습관 추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이미 여 러 문헌에서 개인의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 문제에 대해 서 다루어지고 있다 건강증진 생활습관이 (Pender, 1996). 란 안녕과 자기 성취감과 개인의 만족감을 유지 증진하기 " 위한 개인이 스스로 시작하는 다면적인 양상의 인식과 행 동 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 (Walker, Sechrist, & Pender, 이는 건강증진에 있어서 개인의 책임이 큼을 시사 1987), 한다.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건강행위는 습관이 되고 일 단 형성된 습관은 개선 및 변화시키기가 어렵다 성인 초 . 기인 대학생은 발달 단계상 청년기 후기에서 성인기 초기 에 속하는 연령층으로 전통적인 건강 지표인 사망률과 질 , 병 이환률로 측정했을 때 가장 건강한 시기이다 그러나 . 이러한 건강을 과신하여 건강행위에 대한 관심이 없고 불 , 건전한 생활태도로 인해 다양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가능 주요어 : 간호대학생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아존중감 ,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Lee, Suk Jeong,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98 Saemoonan-gil, Jongno-gu, Seoul 110-102, Korea. Tel: 82-2-3700-3675, Fax: 82-2-3700-3400, E-mail: [email protected] 투고일 수정일 게재확정일 2009 10 30 / 1 : 2009 11 25 ,2 : 2010 3 6 / 2010 3 9 한국과 중국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1 이숙정 · 2 최인선 · 3 적십자간호대학 교수 1 조교수 , 2 중국 연변대학 부교수 , 3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Self-esteem of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ho, Hee 1 · Lee, Suk Jeong 2 · Cui, Ren-Shan 3 1 Professor, 2 Assistant Professor,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3 Associate Professor, Yian Bian University, Chin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China. Methods: With a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a total of 305 Korean and 317 Chines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was measured by Walker's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strument and self esteem was measured by Rosenberg's self esteem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Korean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health responsibility, nutritional habi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piritual growth compared with Chinese students, but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n Chinese students.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were self-esteem, n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levels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i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onclusion: Nurse educators should con- sider to develop health-promoting activities and programs reflecting curricular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Key Words : Nursing student, Health promotion, Lifestyle, Self-esteem

Upload: others

Post on 04-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22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제 권 제 호 년 월19 , 1 , 2010 3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19, No. 1, 22-33, March, 2010

연구의 필요성1.

개 생 태도 습 만 퇴 질 생에

향 미 리 질병 료,

료 비스만 여 개 신

생 식과 건강에 경여건

다 간 사 비 건강 리 가들에게 러.

건강 생 습 강 고 어 미 여

러 헌에 개 생 습 과 건강 에

다루어지고 다 건강 진 생 습(Pender, 1996).

란 과 취감과 개 만 감 지 진"

개 스스 시 다 상 식과

동" (Walker, Sechrist, & Pender,

건강 진에 어 개 책 시사1987),

다.

장 간에 걸쳐 루어지 건강 습 고

단 습 개 변 시키 가 어 다.

생 달 단계상 청 후 에

에 연 통 건강 지 사망 과 질,

병 가장 건강 시 다 그러.

러 건강 과신 여 건강 에 심 없고,

건 생 태도 다 건강 래 가능

주요어 : 간호대학생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아존중감,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Lee, Suk Jeong,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98 Saemoonan-gil, Jongno-gu, Seoul 110-102, Korea.Tel: 82-2-3700-3675, Fax: 82-2-3700-3400, E-mail: [email protected]

투고일 년 월 일 수정일 차 년 월 일 차 년 월 일 게재확정일 년 월 일2009 10 30 / 1 : 2009 11 25 , 2 : 2010 3 6 / 2010 3 9

한국과 국 간 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 감

조 희 1 이숙정· 2 최인선· 3

십 간 1, 2 연변, 3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Self-esteem

of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ho, Hee1 · Lee, Suk Jeong2 · Cui, Ren-Shan3

1Professor,

2Assistant Professor,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3Associate Professor, Yian Bian University, China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China. Methods:With a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a total of 305 Korean and 317 Chines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was measured by Walker's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strument and self esteemwas measured by Rosenberg's self esteem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Results:Korean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health responsibility, nutritional habi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piritual growth comparedwith Chinese

students, but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n Chinese students.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were self-esteem, n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levels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i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Conclusion:Nurse educators should con-

sider to develop health-promoting activities and programs reflecting curricular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KeyWords :Nursing student, Health promotion, Lifestyle, Self-esteem

Page 2: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Vol. 19, No. 1, 2010 23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후 건강과 삶 질에 향

미 다 특 간 생들(Steptoe et al., 2002).

건강 리 우고 실천 ,

사 에 건강 리에 역 담당 비

들 건강 습 가짐 상 에게 건,

강 실천 모 보 도 비 어 다.

그동 간 생에게 강 역량 간 사

비 사고 간 원 사 통능, ,

등 장 에 집 개개

건강에 개 고 건강 습

여 상 들에게 건강 역 모

에 별 강 지 었다.

편 간 생들 과 과 강 상실습 등,

스 빈틈없고 시간 여 본 건강

진 실천 지 못 경우가 많다(Kim, Jung, &

간 생 타 과 생보다 많 스트Lee, 2002).

스 겪 것 타났고 감에 향

주 건 게 지 못 게 간 사,

장 어 움 겪게 다(Park, 1999).

감 간 생 건강 진 가장 결

용 감(Lee & Han, 1996),

사람 신 모든 생 가 고 보람 다

고 생각 고 신감 가지고 동 에 원만 사

생 고 감 낮 사람들,

만 경 에 게,

심리상태 극 생 태도 갖게 어 에 장

가 다 그러므 미래 간 사들 건강(Han, 2002).

진 생 식 어떻게 실 고 지 보고

감 건강 진 생 식에 향 미 지

람직 건강 재 향 시

다.

건강 진 생 식 상 특징 그

라 질병 경험 사 경에 향 다

(Pender, Walker, Sechrist, & Framk-Stromberg, 1990).

과 과거 랫동 경 사 등 여, , ,

러 에 계 맺고 고 재,

다 사 도 여 과거처럼 에게 향

주고 지 지만 취업과 생

간 역 등 연 집단,

과 래가 많 지고 다 들 건강 도모.

각각 차 고 여 건강 진 생

식 비 고 건강 도모 다고 생각 다 특.

라 간 생 각 라 사람들 건강 리

책 질 도 간 다 과 청

특징 같 도가 다

에 여 라 간 생들 건강

진 생 식 어떻게 다 지 다 지 것,

건강에 가 간 차 고 라 간

생 건강 진시킬

용 가능 그램 개 향 시 것

다 연 에 동 상 생 건강.

진 생 식에 연 생 사 연

에 거 없(Hui, 2002; Lee & Yuen Loke, 2005)

역사 경 등 여러 에, , ,

과 생 경우 신건강과 스트

스 처에 사 연 (Cui, 1999; De, Oh, &

들 건강 진 생 식에Kim, 2008) ,

다룬 연 없다.

에 건강 진 생 식에 향 미

진 개 들 가간 차 감 에도 생

들 삶 질에 향 미 생 만 도 비

여 변 들 건강 진 생 식에 향 미 지

보고 다.

연구목적2.

본 연 체 목 다 과 같다.

� 과 간 생 건강 진 생 식과

감 비 다.

� 간 생 건강 진 생 식과 감과

계 다.

� 간 생 건강 진 생 식에 향 미

다.

연구 법

연구설계1.

본 연 과 간 생들 건강 진 생

식과 감 고 들 건강 진 생,

식에 향 비 연

다.

Page 3: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24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조 희 ·이숙정 ·최인선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2.

본 연 연변 과 울 개 간3

에 재 과 여 생 상1 3 2007 9

월 에 월 지 료 집 다 지10 10 20 .

집 각 장 동 얻어 생,

들에게 연 목 과 내용 지

고 참여 원 생 상 집,

다 상 가 참여 원 지 에 언 든지 철.

가 가능 집 어진 모든 료들 처,

리 고 연, 목 에 결 지

후 사 시 연 참여 동 도

다 상. 용 여G*Power 3.0 multiple

시 상 다 과 같regression

다. error⍺ 개0.05, power 0.95, predictor 4

지 상 가 에 락624

상 여 각각 라에 료 집 다320 .

충 게 답 지 고18 622

료 고 고, 305 317

었다.

연구도구3.

사도 지 용 지,

질 내용 사 건강 진 생 식 감, ,

개 주 다 과 간 생에3 .

게 지 내용 동 게 사 어

간 생에게 실시 내용 어version

어 모 능통 게 가 어 역 고,

다시 개 어 능통 게 다 가가 역 역2

여 내용 후 사용 다.

건강 진 생 양식1)

Walker Hill-Polrecky 가 개 건강 진 생(1996)

식 다 에 사 도 개 역6

었다 습 건강책 감 신체. 9 , 9 ,

동 등 개 역 건강 진 내용8 3

포 고 계 스트 스 리, 9 , 8 ,

장 등 개 역 신사 과 내용9 3

포 었다 습 식사 태 식 택에.

내용 고 건강책 감 신 건강에 책 갖고,

도움 거 내용 ,

신체 동 규 운동습 여 에 내용

다 계 감과 가 움 포 간 계.

지 내용 고 스트 스 리 스트 스 식,

고 스트 스 동과 등에

내용 건강 장 삶 목 신에, , ,

만 감과 평 계 등 내용 다.

도 개 고 생 식 지 가52 ' ', '

', ' 주 상 등 척도 가', ' ' 4

건강 진 생 식 지 미 다.

어 version Kim 역 고 타당도 도(2001)

사용 고 식 취량 내용,

게 도 보충 여 원 Walker

허락 사용 다 월 통 허(2007 8

락 통보 도 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고 개 역 신뢰도=.94 , 6 Cronbach's⍺ ⍺

었 본 연 에 었고 개=.79~.94 , .90 , 6

역에 타났다.70~.84 .

아존 감2)

Rosenberg 가 개 감 도 사용(1965)

도 신뢰도 타당도가 도 재,

계 리 사용 고 다 도 개 당시.

주 고등 생 상 개 었고5,024 ,

개 목 척도 어 다 가10 4 .

감 것 미 다 도. Jun

연 에 도 신뢰도가(1974) Cronbach's =.85⍺

타났고 본 연 에 타났다, .76 .

자료분석4.

집 료 그램 용 여SPSS/WIN 15.0

다 개 특 건강 진 생 식과. 2

감 차 통계 과 t-test x2 test

다 건강 진 생 식 감과 만. ,

도 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고 건강 진 생 식 역별 비 평균과,

편차 고 목별 비 척도 주, 4 ' '과

상 개 목 택 경우 건강 진' ' 2 생

식 고 것 지 과 가, ' ' ' '

개 목 택 경우 건강 진 생 식 지2

Page 4: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Vol. 19, No. 1, 2010 25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것 다시 여 각 목별 습 가지고

상 차 x2 다 건강 진 생test .

식에 향 미 , ,

생 만 도 감 독립변 여, Stepwise

다multiple regression .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1.

상 간 생 간 생305 , 317

모 여 다 평균 연. 21.1±2.34 ,

간 생 평균 연20.0±1.15

고 연 별 비 상, 19

간 생124 (39.1%), 91 (30.3%)

많고 상, 22 106 (35.3%), 26 (8.2%)

간 생 많 다 별. 1

간 생 많 고184 (58.0%) , 3

간 생 많 다 생163 (53.4%) .

에 간 생 만 지40 (13.2%)

고 만 간 생, 136 (44.7%) ,

만 지 고 만58 (18.3%) , 63 (19.9%)

것 타 라 간 생 생 만 도,

통계 차 가 었다(Table 1).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비교2.

상 건강 진 생 식과 감 비 결과

같다 건강 진 생 식 게 건강 진Table 2 .

신사 어 비 다 건강 진.

건강책 감 습 신체 동 비 고 신, , ,

사 계 스트 스 리 장, ,

비 다 건강 진 생 식 가 간 비 보.

간 생들 경우 계 가 2.95±0.47

가장 게 타났고 간 생들 경우,

장 가장 게 타났다 신체건강2.63±0.49 .

각각 라 건1.83±0.49, 2.04±0.43

강 진 생 식 개 역 가장 낮게 타났다6 .

가 비 보 건강 진 생 식

간 생 간 생보다 게 게

타났다(t=4.716, p< 건강 진 가지.001). 3

역 모 가 간에 차 가 었 건강책,

감과 습 간 생 간 생 보

다 게 게 타났 (t=4.72, p<.001; t=2.702,

p=.007), 신체 동 간 생 간

생보다 게 게 타났다(t=-3.338, p 신=.001).

사 가지 역에 계3

장 간 생 간 생보다 게

게 타났고(t=11.350, p<.001; t=5.083, p< 스.001),

트 스 리 가 생 간에 차 가 없었다

(t=-1.783, p=.075).

그리고 감 간 생 간

생보다 게 낮 다(t=-5.751, p<.001).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3.

상 건강 진 감과 계 Table

3과 같다 간 생과 간 생. 616

건강 진 감 만 도 통계

게 상 계 타내었다(p<.001).

Table 1.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N=622)

Characteristics CategoriesKorea (n=305) China (n=317)

x2 or t p

n (%) or M±SD n (%) or M±SD

Age (year) 19≤20~21

22≥

91 (30.3)103 (34.3)106 (35.3)21.1±2.34

124 (39.1)167 (52.7)26 (8.2)

20.0±1.15

68.304

7.231

<.001

<.001

Grade 13

142 (46.6)163 (53.4)

184 (58.0)133 (42.0)

8.223 .004

Satisfaction of school life DissatisfiedNeutralSatisfied

40 (13.2)128 (42.1)136 (44.7)

58 (18.3)196 (61.8)63 (19.9)

44.104 <.001

Page 5: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26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조 희 ·이숙정 ·최인선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의 문항별 비교4.

상 건강 진 별 비 결과 Table 4

과 같다 습 에 지 량 식단 과 취. ' ', '

채 취 취 단 질 취', ' ', ' ', ' ', '

등 간 생 간 생 보다'

게 많 (p< 식사 경우 간.05),

생 다 고 답 고 간271 (85.5%) ' ' ,

생 다 고 답 여 통계174 (57.2%) ' '

게 식사 생 었다(x2=60.99, p<

건강책 감 개 목 에 건강 향상시키.001). 9 '

것에 거 그램 시청 다 목TV '

가 간 차 가 없었고 지 개 목, 8

차 가 타났 (p< 간 생.05),

간 생보다 많 고 었 개 건강, '

리 그램에 참여 다 목' 24

간 생 통계(7.9%), 60 (18.9%)

게 게 다

신체 동 개 목 에 주8 ' 20

상 격 운동 간 생 간' 28 (9.2%),

생 고 운동 후 목 심 동84 (26.5%) , '

에 도달 다 목 간 생' 25 (8.3%),

간 생 게 운동78 (24.6%)

게 고 게 다, (x2=31.37, p<.001; x2=29.91,

p=< 편 주 스트 운동 간.001). ' 3 '

생 간 생105 (34.4%), 75 (23.7%)

간 생 게 많 것 타났다

(x2=8.76, p=.003)

대상자의 정신사회적 안녕의 문항별 비교5.

상 신사 별 비 결과 Table

같다 계 개 목 에 다 사람과 미5 . 9 '

계 다 다 사람에게 뜻 게 다' ' '

개 목 가 간 차 가 없 상2 65%

간 생 고 었고 지 개 목 모, 7

간 생 간 생 보다 게 많

다 그 에 감 강 다. ' '

목 간 생 200 (65.6%)

간 생 매우 차 보 다37 (11.7%)

Table 2.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Self-esteem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N=622)

VariablesKorea (n=305) China (n=317)

t pM±SD M±S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2.46±0.36 2.33±0.32 4.716 <.001

Health promotion behaviorHealth responsibilityNutritional habitsPhysical activity

2.25±0.562.38±0.481.83±0.49

2.06±0.422.29±0.402.04±0.43

4.7202.702-3.338

<.001.007<.001

Psychosocial well-beingInterpersonal relationshipStress managementSpiritual growth

2.95±0.472.39±0.472.86±0.55

2.55±0.392.46±0.432.63±0.49

11.350-1.7835.083

<.001.075<.001

Self-esteem 2.10±0.40 2.29±0.42 -5.751 <.001

Table 3. Correlation amo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N=622)

Health promotion lifestyle Self-esteem Satisfaction of school life

r (p) r (p) r (p)

Health promotion lifestyle 1

Self-esteem .215 (<.001) 1

Satisfaction of school life .318 (<.001) .393 (<.001) 1

Page 6: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Vol. 19, No. 1, 2010 27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x2=181.49, p<.001).

스트 스 리 개 목 에 매 장 시간 갖8 '

다 체 스트 스 리 다 과', ' ', '

락시간 균 맞 다 목 가 간 차'

없었다 편 충 잠 다 간 생. ' '

간 생 고201 (63.4%), 152 (50.0%) 매'

간 상 다15~20 ' 136 (42.9%), 105

간 생 간 생보다(34.4%)

통계 게 많 고 었다(x2=11.37, p=

.001; x2= 4.71, p 삶에 꿀 없 것 들=.03). '

Table 4.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N=622)

Health promotion behaviorKorea (n=305) China (n=317)

x2 p

n (%) n (%)

Nutritional habit

Item 2: Choose a diet low in fat,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Item 8: Limit use of sugars and food containing sugar (sweets)

Item 14: Eat six 11 servings of bread, cereal, rice, and pasta each day

Item 20: Eat two to four servings of fruit each day

Item 26: Eat three to five servings of vegetables each day

Item 32: Eat two to three servings of milk, yogurt, or cheese each day

Item 38: Eat only two to three servings from the meat, poultry, fish,

dried beans, eggs, nuts group each day

Item 44: Read labels to identify nutrients, fats, and sodium content

in packaged food

Item 50: Eat breakfast

99

60

154

126

132

104

90

118

174

(32.6)

(19.7)

(50.7)

(41.3)

(43.3)

(34.4)

(29.5)

(38.8)

(57.2)

58

69

145

94

110

70

61

50

271

(18.3)

(21.8)

(45.7)

(29.7)

(34.8)

(22.1)

(19.2)

(15.8)

(85.5)

16.73

0.39

1.50

9.24

4.68

11.68

8.91

41.75

60.99

<.001

.533

.220

.002

.031

.001

.003

<.001

<.001

Health responsibility

Item 3: Report any unusual signs or symptoms to a physician or other

health professionals

Item 9: Read or watch TV programs about improving health

Item 15: Question health professionals to understand their instructions

Item 21: Get a second opinion when questioned about the advice

provided by health professionals

Item 27: Discuss my health concerns with health professionals

Item 33: Inspect my body at least monthly for physical changes/

danger signs

Item 39: Ask for information from health professionals about how to

take good care of myself

Item 45: Attend educational programs on personal health care

Item 51: Seek guidance or counseling when necessary

69

89

174

106

68

77

74

24

234

(22.6)

(29.2)

(57.4)

(34.9)

(22.4)

(25.3)

(24.3)

(7.9)

(77.2)

38

91

71

62

29

12

52

60

182

(12.0)

(28.7)

(22.4)

(19.6)

(9.1)

(3.8)

(16.4)

(18.9)

(57.4)

12.35

0.02

79.53

18.43

20.58

58.66

6.05

15.90

27.55

<.001

.896

<.001

<.001

<.001

<.001

.014

<.001

<.001

Physical activity

Item 4: Follow a planned exercise program

Item 10: Exercise vigorously for 20 min or more at least three times

a week; such as brisk walking, bicycling, aerobic dancing,

using a stair climber

Item 16: Take part in light-to-moderate physical activity, such sustained

walking for 30~40min, five or more times a week

Item 22: Take part in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ies, such as swimming,

dancing, and bicycling

Item 28: Do stretching exercise at least three times per week

Item 34: Get exercise during usual daily activities, such as walking,

using stairs

Item 40: Check my pulse rate when exercising

Item 46: Reach my target heart rate when exercising Nutritional habit

30

28

72

59

105

115

22

25

(9.9)

(9.2)

(23.8)

(19.3)

(34.4)

(37.7)

(7.2)

(8.3)

23

84

64

45

75

139

17

78

(7.3)

(26.5)

(20.2)

(14.2)

(23.7)

(43.8)

(5.4)

(24.6)

1.36

31.37

1.16

2.96

8.76

2.43

0.93

29.91

.244

<.001

.282

.085

.003

.119

.336

<.001

Page 7: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28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조 희 ·이숙정 ·최인선

다 잠' 210 (69.1%), 158 (49.8%), '

거운 생각에 집 다' 163 (53.6%), 94

곤 지지 신 다(29.7%), ' '

간143 (47.2%), 109 (34.4%)

생 간 생보다 통계 게 많

고 었다(x2=23.79, p<.001; x2=36.74, p<

.001; x2=10.54, p<.001).

장 개 목 내가 향 장9 '

고 변 다고 다 루 루가 미 고 도' '

다 목 집단간 차 가 없었고 지 개' , 7

목 모 간 생 간 생에 비

여 통계 게 많 식 거 고

것 타났다(p<.005).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6.

건강 진 생 식에 어떠 향 미 지

여 감 생 만, , ,

도 독립변 귀 귀식 통계

고(F=66.439, p< 감.001), (β=.425,

t=11.376, p<.001), (β=-.275, t=-7.440, p<.001),

생 만 도(β=.151, t=4.103, p< 가 건강 진 생.001)

식에 향 미 것 었 , 들 변

었다 감 가장 향25.4% .

변 건강 진 생 식 15.3%

다 변 공차 계 가(Table 6). (tolerance) .87~

산 창.88,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1.12~

다 공 없 것 타1.16 났다.

Table 5. Comparison of Psychosocial Well-be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N=622)

Health promotion behaviorKorea (n=305) China (n=317)

x2 p

n (%) n (%)

Interpersonal relations

Item 1: Discuss my problems and concerns with people close to me

Item 7: Praise other people easily for their achievements

Item 13: Maintain meaningful and fulfill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tem 19: Spend time with close friends

Item 25: Find it easy to show concern, love, and warmth to others

Item 31: Touch and am touched by people I care about

Item 37: Find ways to meet my needs for intimacy

Item 43: Get support from a network of caring people

Item 49: Settle conflicts with others through discussion and compromise

207

243

260

252

223

202

200

251

203

(67.9)

(79.7)

(85.2)

(83.4)

(73.1)

(66.4)

(65.6)

(82.3)

(67.0)

146

156

259

210

218

85

37

209

128

(46.1)

(49.2)

(81.7)

(66.2)

(68.8)

(26.9)

(11.7)

(65.9)

(40.6)

30.13

62.71

1.41

24.16

1.42

97.47

191.49

21.61

43.15

<.001

<.001

.235

<.001

.233

<.001

<.001

<.001

<.001

Stress management

Item 5: Get enough sleep

Item 11: Take some time for relaxation each day

Item 17: Accept those thing in my life which I cannot change

Item 23: Concentrate on pleasant thoughts at bedtime

Item 29: Use specific methods to control my stress

Item 35: Balance time between work and play

Item 41: Practice relaxation or meditation for 15~20min daily

Item 47: Pace myself to prevent tiredness

152

88

210

163

66

119

105

143

(50.0)

(28.9)

(69.1)

(53.6)

(21.8)

(39.0)

(34.4)

(47.2)

201

112

158

94

88

139

136

109

(63.4)

(35.3)

(49.8)

(29.7)

(27.8)

(44.0)

(42.9)

(34.4)

11.37

2.90

23.79

36.74

3.05

1.58

4.71

10.54

.001

.089

<.001

<.001

.081

.209

.030

.001

Spiritual growth

Item 6: Feel I am growing and changing in positive ways

Item 12: Believe that my life has purpose

Item 18: Look forward to the future

Item 24: Feel content and at peace with myself

Item 30: Work toward long-term goals in my life

Item 36: Find each day interesting and challenging

Item 42: Am aware of what is important to me in lifeItem 48: Fell connected with some force greater than myself

Item 52: Expose myself to new experiences and challenges

201

240

269

195

217

138

223117

216

(65.9)

(80.0)

(88.5)

(63.9)

(71.1)

(45.4)

(73.4)(38.6)

(70.8)

223

211

233

141

165

124

18955

185

(70.3)

(66.6)

(73.5)

(44.5)

(52.1)

(39.1)

(59.6)(17.5)

(59.1)

1.42

14.15

22.50

23.69

23.92

2.51

13.1134.41

9.30

.234

<.001

<.001

<.001

<.001

.113

<.001<.001

.002

Page 8: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Vol. 19, No. 1, 2010 29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논 의

건강 진 생 식과 감 라 간에

차 가 었고 건강 진 생 식 목,

생 목 생 고

었다 건강 진 생 식 여 가지 역 신체.

동 라 모 가장 낮게 타났다.

생 상 다 연 결과 같 (Lee & Yuen

같 결과 생 청Loke, 2005; Hui, 2002),

신체 가장 건강 시 에 규

운동 감 지 못 여 운동 라 리

가 다 과업에 비 여 우 가 낮 것 다.

편 간 생들 본 연 비 집단,

간 생과 비 통계 게 신체

동에 낮 타내었고 생 상 같,

도 사용 Lee Yuen Loke 여 생 상(2005)

결과 비 도 신체 동 에 만 낮게 타났

다. Al-Kandari Vidal 쿠웨 트 여 간(2007)

생들 결과 비 도 간 생 신

체 동 낮게 타났다 것 간.

사과 시간 여 가 없거 운동 지 실,

천 가 쿠웨 트 등 다 라보, ,

다 어 것 닌가 생각 다 그런.

신체 동 목에 격 운동 목 심 에 도달

도 운동 간 생들 통계

게 많 주 연 운동 간 생들, 3

통계 게 많 다 것 에.

매체 향 거 스트 운동 동 상 게

상에 볼 닌가 생각 다 특 근.

에 연 스트3~4

가 동 상 개 매가 게 고 어 생들에

게 연 운동 동 고 근 용 게 것

닌가 생각 다 연 운동 특별 공간과.

시간 지 고 잠시 동,

에 과과 에도 근 매체

향 생들 비 과 비

여 다고 생각 다.

간 생에 어 습 단 식'

다 목 고 개 목 모 상 실' 8 29%

천 보 고 간 생 미만20%

실천 보 목 개 었다 그것 지3 . ' ,

포 지 스 식 취 포 단, ', '

질 취 식 등 목', ' ' ,

식 습 과 계가 다 리 에.

거 볶 것 특징 고 사람들 러 식

다 많 생들.

득 고 건강 생 습 여 고

지만 직도 생들 맛과 본 식습71.2%

에 라 식 택 고 에(Arkin, Sultan, &

러 결과가 타 것 사료 어Mahmut, 2008)

진다 편 간 생 식사 다 비. , ' '

생57.2% 58.7% (Lee & Yuen Loke, 2005)

사 결과 간 생 결과, 85.5%

비 여 매우 생 식사 것

타났다 근 에 간 생 상실습 에 체.

진 어 쓰러지 경우 볼 다 본 연 에.

식사 거 생 타 결과 간42.7%

생 체 진에 직 간 닌가 생각·

볼 겠다 골고루 습 식.

규 식사 등 매 매 습,

건강 에도 고 도 생 식,

사 거 다 결과 간 생 건강 에

리 강 시사 다.

건강책 감 역 신체 동 역 지 개5

역 에 가장 낮게 역 생 건강

건강 리가 가장 낮게 타 Choi (1999)

결과 사 다. Choi 에 상 들(1999)

직 고 건강 생 에 건강검진 건강

에 상담 못 거 내

건강 리 시 미 라

고 다 편 건강책 감 역에 간.

생 간 생과 비 여 건강책 감 역에

실천 보 지만 내 생들, 25%

고 었고 시 료 에게 질 거 언 다,

Table 6.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 Style(N=622)

Predictors β t p

Self-esteem

Nationality

Satisfaction of school life

.425

-.275

.151

11.376

-7.440

4.103

<.001

<.001

<.001

R2=.254, F=66.638, p<.001

Page 9: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30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조 희 ·이숙정 ·최인선

목 상 실천 보 개 건강 리57%

그램에 참여 다 낮7.9%

것 본 건강 그램 참여 못

만 건강상 편 없 도 고 미,

과 과 에 건강 질병 습 에 건강

다시 울 가 없다고 생각 도 다.

달에 신체 험 생 25.3%

생 에 지 지 고 건강에3.8% ,

걱 료 과 상 다 생 22.4%

생 에 지 지 다9.1% . 1995

건강 진 (health promoting schools) 동 실시

여 과과 에 건강 과목 어 다(Chen,

그럼에도 고 간 생들 건강에2004).

책 감 낮 원 건강 진 에 어 지식

만 시 고 태도 변 개 건강 리,

능 것과 계가 것 사료 다.

여 경우 상 여20

가검진 매달 도 고 (Chon et

생 상 므 건강al., 2009), 20

에 규 가검진 습

다 특 생 경우 신체 험. ,

건강에 료 과 상 거 지 고

므 그에 과 동 여가 겠다.

계 역 간 생에 개 역 가장6

타냈 도(2.95) , (2.55)

타냈 보다 게 게 타났다.

쿠웨 트 간 생 계 역 결과

같다 간 생 건강(Al-Kandari & Vidal, 2007).

진 에 실천 도가 가장 역 운'

계 타' Choi 연 결과 사 다 청(1999) .

에 체감 립 고 감

시 간 생 간 생 모,

계 역에 보 것 원만 간 계

타 과 감 가고 것

보여 간 사 사 비 고

것 보 다.

스트 스 리 충 다 생' '

생 고 매 간 상과50%, 63.4% , ' 15~20

다 도 생 생' 34.4%, 42.9%

실시 고 었다 편 삶에 꿀 없 것 들. , '

다 용 잠 생각 다' , ' ' '

곤 지 도 신 다 목 간'

생 간 생보다 게 타났다 거.

상 등 시간 들여 스트 스 리

간 생 많 실천 고 마 생, ,

각 등 스트 스 리 시간 들지,

간 생들 많 실천 다 것.

시간에 쫓 간 생들에게 상

결과라 볼 다 본 연 에 스트 스 지에.

사 지 지만 연 결과에,

간 생과 간 생 신건강 스트 스

도 차 가 없게 타 결과 신(De et al., 2008) ,

건강 상태 생 생보다

지 다 결과가 다(Cui, 1999) . Cui (1999)

개 능 우 본주 가

생들에게 스트 스 용 여 신건강상태에 향

다 본 연 에 간 생.

에 충 지 못 생 고 곤 지50%

도 신 지 못 생 타52.8%

것 간 생들 편 지 못 타내 주

것 들 지 스트 스 리 여 시

간 리에 뿐 니라 신 에

다.

건강 역 경우 개 건강 진 생 식6

목 가장 타났 건,

강 보다 통계 게 낮

사 주 가 가 없 생 86.8%

에도 건강상태가 가장(Zhao, Li, & Wang, 2007)

것 건강 미 만 미

것 니고 삶 미 목 과 취 망과 삶 지 믿, , ,

과 신 포 개 에 본 연(Ross, 1995)

에 도 개연 보다 보편 건강

어 타 결과라 볼 다 본 연 에 삶에 목. '

다 날 다 내 신에 만 다 장'. ' ', ' ', '

목 다 내게 것 엇 지', '

지 다 새 운 도 에 신 열어 다 목', ' '

모 간 생 상 고 었60% ,

간 생들보다 통계 게 게 타

났다 건강 역 건강 신체 동.

습 역 목들보다 훨 많 생들

고 었 생들 당장 지 다고,

신체 동 습 지만 생 목 과

Page 10: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Vol. 19, No. 1, 2010 31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신에게 것 고 본 도

마 보여 주 것 건 신사

보여 주 것 라고 볼 다 편 연결. ,

어 다고 다 목 간 생 38.5%

고 간 생 차 가 었, 17.5% ,

공산주 가 재 동 가능

지 낮 보 것 생각 다.

생 에 만 생 44.7%

타 간 생 만 도가 통계19.9%

게 낮게 타났다 편 감. ,

간 생 간 생보다 낮게 타났다.

생 에 만 생 많고 간 생들에 비

여 경 곳에 살고 간 생

간 생에 비 여 감 낮게 타

것에 원 본 연 에 규 없 후

연 통 여 그 향 볼 가 다.

것 간 생 간 생보다

감 등 연 결과 다 결과De (2008)

다 료 집 통 재

사가 겠다 그런 감과 신체 동.

시사 Yoon 연 동 신체 동(2009)

과 감과 상 계 보고 고, Hyun

과 Bae 신체 동 많(2004)

감 다고 보고 여 본 연 에 간 생,

신체 동 많 것과 감 것

가능 보여 다 결과 과. , Kim

Lee 간 생 상실습 스트 스가(2005)

감 낮 다 연 결과 지어 보

간 생들 스트 스 지가 감

낮게 타났 가능 도 다 께 생들.

생들에 비 여 통계 차 없 스트

스 리 가 낮 므 스스 스트 스 상 에 처

용 도 재가 겠다.

편 Chung 연 에 감 간(2009)

생 상 능 과 상만 감 게 타 결과

본 연 에 간 생 감 낮 것

간 과 과 동 상실습에도 향

시사 다.

본 연 에 과 상 모 께

생 만 도가 감과 건강 진

생 식 가 게 타났다. Park, Bae Jung

간 에 만 도가 감(2002)

것 타 결과 결과 재 신

상 에 만 건강 생 고 다고 볼

다.

건강 진 생 식에 향 미

감 생 만 여 들 건강 진 생, ,

식 다 감25.4% . ,

간 생 간 생보다 생 에 만,

경우가 건강 진 생 식 가 게 타났다.

감 가장 향 변 건강 진 생

식 다 감 건강15.3% .

진 강 향 보고 결과(Lee & Han,

간 생 상 사1996) Park 결(1999)

과 같 감 건강 진 에 향,

갖지 못 것 타 Park 과(2002) Lee (1997)

결과 다 결과 다 러 상 결과가 타.

것 건강 진 에 향 미 다 들

통 지 거

없 상 었 가능

보여지 후 연 에 란변 통 고

집단 여 사 가 다.

본 연 결과 건강 진 생 식 개, 6

과 간 생에 다 게 타났고,

감 간 생 간,

생에 비 여 타냈 생 에 만,

경우가 건강 진 생 식 가 게 타났다 에.

간 생 단 상 건강 리

주도 역 만 강 것 니라 각 에 타

특징에 라 스스 건강 실천 도

고 감 상승과 생 만 감 상승시킬,

건강 진 그램 개 과 재 통 간 생

건강 돕고 극 간 에 지 것

사료 다.

결론 언

본 연 과 간 생들 건강 진 생

식과 감 고 들 건강 진 생,

식에 향 여 각 에 건강

진 그램 개 료 공 고 시도

었다 월에 월 지 달간 개 간. 2007 9 10 2 3

Page 11: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32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조 희 ·이숙정 ·최인선

과 개 간 여 생 료 집1 622

다 그 결과 간 생들 건강 진. ,

생 식 각각 다 상 띠어

게 타났고 건강책 감 습 계 장, , , ,

고 신체 동 게 게 타,

났다 건강 진 생 식에 향 미.

감 만 도 고 그 감 가장, , ,

향 었다 감 도 에 비 여.

낮게 타났고 감과 건강 진 생 식 통계,

게 상 계가 었고 만 도가,

경우가 감 게 타났다.

과 에 간 생들 청 에

그들 달과업 체 립과 감

없 여 신 미래 비 시

다 시 에 건강 진 사고 통 여 건.

강 맞 고 탕 람직 간

사 역 닦 다 본 연 결.

과 차 에 라 과 생 건강 진 생

식 다 게 타났 므 각 에 실

생 식 들에 여 체 원

고 강 여 신체 신 건강 간, ,

사 건강 진 그램 개 다.

본 연 연변지역에 개1 ,

울지역에 개 만 상 간 생에게3

사 결과 것 체 간 생에게

에 어 움 다 본 연 통 여 동 개. 2

간 생 건강 공통 과 차

그 재 공 틀 마

었다.

REFERENCES

Al-Kandari, F., & Vidal, V. L. (2007). Correlation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enrollment level, and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of nursing students in Kuwait.

Nurs Health Sci, 9, 112-119.

Arkin, M., Sultan, A., & Mahmut, H. (2008). The investiga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behavior of Xinjiang

university students. J Xinjiang Univ Natural Sci Edition,

25(4), 474-479.

Chen, R. (2004). Current conditions and prospect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ctivity. Chin J Sch Health, 25(1),

114-116.

Choi, E. Y. (1999). Study on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5(2). 347-358.

Chon, S. J., Kim Kang, M. J., Park, J. S., Lee, M. H., Cho, K. S.,

Kim, H. K., et al. (2005). Adult health nursing. Seoul:

Hyunmunsa.

Chung, M. S. (2009). The relations of self-esteem, practical

performance, and practic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

dents.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8(1),

60-68.

Cui, S. M. (1999).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lege adjust-

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 and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De, J. C., Oh, K. O., & Kim, T. (2008). A comparative on the

stress, coping method,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7(1), 75-84.

Han, M. J. (2002). Developmental study of death anxiety ac-

cording to coping style, locus of control self-esteem.

Korean J Psychology, 21(2), 179-198.

Hui, W. C. (2002).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under-

graduate nurses in Hong Kong. J Prof Nurs, 18(2), 101-

111.

Hyun, S. K., & Bae, J. H. (2004). The effect of physical acti-

vity on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the

older women. Korean Sport Res, 15(6), 1213-1222.

Ju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29.

Kim, S. (2001).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Korean immigrants women at midlife. Unpub-

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 USA.

Kim, S. L., & Lee, J. E.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1(1), 98-106.

Kim, Y. H., Jung, M. S., & Lee, J. A. (2002). Study an health

promoting behavior determinant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16(2), 286-303.

Lee, J. K., & Han, A. K. (1996).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health pro-

moting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8(10), 55-67.

Lee, M. R. (1997).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7(1), 156-168.

Lee, R. L. T., & Yuen Loke, A. J. T. (2005).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Public Health Nurs, 22(3), 209-

Page 12: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 하여이변수들이건강증진생활양식에영향을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한다. 2.연구목적

Vol. 19, No. 1, 2010 33

한국과중국간호대학생의건강증진생활양식과자아존중감

220.

Park, H. S., Bae, Y. J., & Jung, S. Y. (2002). A study on self-

esteem. self-efficacy, coping methods, and the academic

and job 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1(4), 621-631.

Park, M. H. (1999). A Study on self-esteem and the health pro-

moting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1(1), 96-106.

Park, S. J. (2002). Predictive factor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Korean students 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s.

Toronto, Ontario: Prentice Hall Canada.

Pender, N. J., Walker, S. N., Sechrist, K. R., & Framk-Stromberg,

M. (1990).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the

workplace. Nurs Res, 39(6), 326-332.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s, L. (1995). The spiritual dimension: its importance to

patients' health,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nd its im-

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Int J Nurs Stud, 32, 457-

468.

Steptoe, A., Wardle, J., Cui, W., Bellisle, F., Zotti, A. M., Baran-

yai, R., & Sannderman, R. (2002). Trends in smoking, diet,

physical exercise and attitude toward health in European

university students from 13 countries, 1990- 2000. Prev

Med, 35, 97-104.

Walker, S. N., & Hill-Polrecky, D. (1996). Psychometric evalu-

ation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In: Pro-

ceedings of the 1996 Scientic Session of the American

Nurse Association's Council of Nurse Researchers (p. 110).

Washington DC.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

metric characteristics. Nurs Res, 38, 99-104.

Yoon, J. Y. (2009). Effects on self-respect and school life adap-

tion by each different degree of students' physical activi-

ties in a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ngju University of Education, Gongju.

Zhao, Z. B., Li, X. M., & Wang, Z. Y. (2007).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religious value and

countermeasures to the positive changes. J Hebei Normal

Univ Sci Technol (Soc Sci), 6(1), 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