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27
창체활동부 추진업무 세부 추진 내용 담당자 평가자료 부장/기획 자율활동 진로체험활동 청소년활동 진로진학상담 교육기부 위클래스 행복교육모니터 비교과대회 김한길 진로활동 개인 및 집단상담 비교과대회 학부모회 학부모회 진로아카데미 조석진 효 실천 시상 동아리활동 교육과정 내 동아리 활동 자율동아리 활동 박철호 동아리활동 시상 봉사활동 봉사활동 멘토링교육 이종석 봉사활동 시상

Upload: others

Post on 12-Sep-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창체활동부

추진업무 세부 추진 내용 담당자 평가자료

부장/기획

․ 자율활동

․ 진로체험활동

․ 청소년활동

․ 진로진학상담

․ 교육기부

․ 위클래스

․ 행복교육모니터

․ 비교과대회

김한길

진로활동

개인 및 집단상담

비교과대회

학부모회․ 학부모회

․ 진로아카데미조석진 효 실천 시상

동아리활동․ 교육과정 내 동아리 활동

․ 자율동아리 활동박철호 동아리활동 시상

봉사활동․ 봉사활동

․ 멘토링교육이종석 봉사활동 시상

Page 2: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창체활동

▶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교과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

하고 나눔과 배려를 할 줄 아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창의

적 체험활동은 기본적으로 자율성에 바탕을 둔 집단 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집단에 소속된 개인

의 개성과 창의성도 아울러 고양하려는 교육적 노력을 포함한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각

영역별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학생, 학급, 학년, 학교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게 학교에서 선택하여 융

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되는 영역과 활동 내용은 권고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학교에

서는 이보다 더 창의적이고 풍성한 교육과정을 선택과 집중하여 운영할 수 있다.

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건전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원만한 인간

관계를 형성하며 진로를 선택하여 자아실현에 힘쓰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창의적 체험활동에서는 학

생의 자주적인 실천 활동을 중시하여 학생과 교사가 공동으로 협의하거나 학생들의 힘으로 활동 계획을

수립하고 역할을 분담하여 실천하게 한다.

2. 목 표

(1) 종합 목표

학생들은 창의적 체험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개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ㆍ신장하고, 자율적

인 생활 자세를 기르며,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함으로써 공동체 의식과 세계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자질 함양을 지향한다.

(2) 영역별 목표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

자발성에 바탕을 둔 변화 환경 대응 및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량 형성

-적응 활동-자치 활동-행사 활동-창의적 특색 활동

취미 및 특기 계발. 협동적 학습 능력과 창의적 태도 형성

-학술활동-문화 예술 활동-스포츠 활동-청소년 단체 활동

나눔과 배려, 실천, 자연환경 보존, 생활습관 형성을 통한 삶의 가치 이해

-교내 봉사 활동-지역사회 봉사활동-자연환경 보호활동-캠페인 활동

자아 정체성 확립과 진로 탐색설계, 진로 결정 및 준비

-자기 이해 활동-진로정보탐색활동-진로 계획 활동-진로 체험 활동

3. 방향 및 편성

(1) 영역별 운영 방향 :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을 총 4단위로 운

영하고, 연간 최소 시수인 136시간 이상을 운영한다.

(2) 영역별 정규수업 시간 편성․운영

가. 자율 활동 : 월요일 7교시(매주)

나. 동아리 활동 : 목요일 5~6교시(매주)

라. 진로활동 : 학급별 주 1시간

다. 봉사 활동 : 월요일 7교시(연간 2회), 목요일 5~6교시(연간 4회)

Page 3: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 자율활동

1. 개념과 성격

자율 활동은 ‘자발성에 바탕을 둔 변화 환경 대응 및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량 형성’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자발성은 학생이 스스로 삶을 결정하는 의지로 표현될 수 있다. 자발성은 주어진 시간을 활용

하는 것만이 아니라 스스로 시간을 결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다.

2. 목표와 활동 영역

자율 활동은 각종 행사와 창의적 특색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

는 능력을 기르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 교

육과정에서는 자율 활동의 하위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하위 목표 주 관련 활동

(1) 전입학과 진급 등에 따른 생활 변화에 적응하고 이를 주도하는 능력을 길

러 원만하고 즐거운 학교생활을 한다.

적응활동

(학교폭력예방교육,

성교육 등)

(2) 다양한 협의 및 실천 경험을 통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민주적인 의사 결정의 기본 원리를 익힌다.

자치활동

(학급회)

(3) 학급과 학교에서 일어나는 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협의하고

실천함으로써 협동심과 유대감을 기른다.

(4) 교내외에서 실시되는 여러 행사의 의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행사에 자

발적으로 참여하여 학교와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가

진다.

행사활동

(교육여행, 수련회,

체육대회 등)

(5) 교장선생님 및 명사특강을 실시하고 효 실천교육을 강화한다. 학교의 전

통을 계승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통해 소속감과 애교

심을 기른다. 교장선생님의 특강은 청소년 진로문제, 국가 안보 문제, 정

치 사회적 이슈 등 다양한 주제로 진행한다.

창의적 특색활동

(교장 선생님 특강,

효 실천교육,

명사특강)

(6) 교내외, 개인 및 단체활동에 있어서 학생행동요령 및 안전교육 학생 안전 교육

<표> 자율 활동의 하위 목표와 주 관련 활동

Page 4: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3. 자율 활동 하위영역별 운영계획

월 주차 요일 교시 영 역 주 제 주관

3

1 목 1~2 행사활동 ㆍ입학식, 시업식ㆍ학교생활안내 교무기획부

1 목 3~4 적응활동 ㆍ신입생OT 교무기획부

2 월 7 학생안전교육 ㆍ(학교폭력이해) 학생인권부

3 월 7 적응활동 ㆍ직업흥미,직업가치관 검사 각 학년부

4 월 7 적응활동 ㆍ직업적성검사 학생인권부

5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구성 창체활동부

4

1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2 월 7 학생안전교육 ㆍ(마약류폐해 및 예방) 학생인권부

3 월 7 창의적 특색활동 ㆍ효 편지쓰기 창체활동부

4 월 7 학생안전교육 ㆍ(흡연폐해 및 예방) 학생인권부

5

2 월 7 창의적 특색활동 ㆍ효 발표대회 창체활동부

2 목~금 2일 적응활동 ㆍ체육대회 예체능보건부

3 월 7 창의적 특색활동 ㆍ교장선생님 특강(장애학생인권교육/자살예방) 창체활동부

4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5 월 7 학생안전교육 ㆍ(흡연폐해 및 예방/소방합동훈련) 학생인권부

6

1 월 1일 적응활동 ㆍ현장체험학습 각 학년부

2 월 7 창의적 특색활동 ㆍ교장선생님 특강(학생인권교육/성폭력) 창체활동부

2 수~금 3일 적응활동 ㆍ수련활동 2학년부

3 월 7 학생안전교육 ㆍ학교폭력예방교육 학생인권부

4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1,3학년부

7

1 월 7 학생안전교육 ㆍ(응급처치의 목적과 의의) 학생인권부

3 월 3~4 자치활동 ㆍ학생회장선거 학생인권부

3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3 화 8 창의적 특색활동 ㆍ명사초청특강 교무기획부

3 금 4 행사활동 ㆍ방학식 교무기획부

84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5 월 7 학생안전교육 ㆍ(응급처치전 유의사항 및 준비) 학생인권부

9

1 월 7 학생안전교육 ㆍ(지혈 및 상처처치/현장체험학습예방교육) 각 학년부

1 금~수 6일간 적응활동 ㆍ교육여행 1학년부

2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2,3학년부

3 월 7 학생안전교육 ㆍ(심폐소생술) 학생인권부

4 월 7 창의적 특색활동 ㆍ교장선생님 특강(학생인권교육/양성평등) 각 학년부

10

3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4 월 7 학생안전교육 ㆍ(자동제세동기의 사용) 학생인권부

5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11

1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2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3 월 7 학생안전교육 ㆍ(학생인권 및 안전교육) 학생인권부

3 금 1일 적응활동 ㆍ학교축제 학생인권부

4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12

1 월 7 학생안전교육 ㆍ(기도폐쇄 원인증성 처치) 학생인권부

2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4 화 8 창의적 특색활동 ㆍ명사초청특강 교무기획부

4 목 8 창의적 특색활동 ㆍ명사초청특강 교무기획부

4 금 4 행사활동 ㆍ방학식 교무기획부

2

1 금 1~4 행사활동 ㆍ졸업식 교무기획부

2 월 7 자치활동 ㆍ학급회 각 학년부

2 수 4 행사활동 ㆍ종업식 교무기획부

Page 5: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순 직책 이름 비고

1 위원장 신익수 교감

2 부위원장 김한길 창체활동부장

3 위원 이종석 교사

4 위원 박철호 교사

▶ 봉사활동

1. 목 적

(1) 자기위주의 삶에서 벗어나 남을 배려하고, 봉사체험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

(2) 자원 봉사활동을 통한 미래사회 지향적인 21세기 바람직한 민주시민 양성

(3) 땀의 가치와 더불어 사는 삶의 기쁨을 체득하는 체험적 교육과정 정착

(4) 가정․학교․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자신의 역할을 스스로 찾아 봉사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분담하고 호

혜정신 함양

2. 운영 방향

(1) 학생 봉사활동의 지도를 위하여 봉사활동 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 예시나 기준이 없는 봉사활동의 인정 여부는 봉사활동 추진위원회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학교장

의 결재를 받아 인정하되 교육청 등 유관기관의 해석과 자문을 참고한다.

(2) 봉사활동은 [학교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과 [학교교육과정 이외의 봉사활동] 으로 구분하여 실

시한다.

(3) 모든 학생들이 봉사활동의 참뜻을 깨달아, 스스로 그 영역을 찾아서 바른 태도로 봉사활동에 임할

수 있도록 수시로 지도, 조언한다.

(4) 교육부나 도교육청의 봉사활동 추진계획(또는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학교 및 지역사회 실정에 맞

는 봉사활동을 학생들에게 안내한다.

(5) 개인별 실적을 누가 기록․확인하여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6) 교원․학생․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홍보 및 교육활동을 강화하고, 각 동아리 특성에 맞는 봉

사활동을 개발 추진하도록 한다.

(7) 지역의 사회복지시설(고아원, 양로원, 장애인 시설), 재해구호활동(가뭄 피해, 수해), 지역행사 조사

참여 활동, 독거노인 돕기 등 그 형태를 다양화하도록 노력한다.

(8) 동아리활동 등을 통해 축적한 재능을 봉사활동으로 연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

도한다.

(9) 자원봉사센터,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봉사활동 유관 기관 등과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생들이 다

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10) 학교교육과정 이외의 봉사활동은 담당 지도교사 또는 담임교사의 사전 지도를 받은 후에 실시하도

록 한다.

(11) 봉사활동 시간은 1일 8시간 이내 인정을 원칙으로 한다.

구분평일

(7교시 수업기준)평일

(6교시 수업기준)평일

(4교시 수업기준)휴업일

(토, 공휴일)

인정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 1일 8시간 이내로 인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학생의 징계, 학교폭력 관련 조시사항 등에 따른 학교 내

봉사활동, 사회봉사, 출석정지 기간의 봉사활동은 봉사활동 실적으로 인정 불가

Page 6: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12) 실제 봉사활동 시간에 한해 인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구분 출발현장

도착

준비 /

교육활동 식사 활동 평가

봉사활동

후 휴식

현장

출발도착 귀가

인정 활동인증대상시간

- 이동시간은 원칙적으로 불인정하되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자원봉사 등 국가적 재난극복을 위한 활동

의 경우 2시간 이내에서 이동시간 추가 인정

(13) 봉사활동 내용별 인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봉사활동 관련 교육 및 회의시간 : 봉사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본·전문교육 및 회의시간은 봉사

활동으로 인정

※ 봉사활동 시작 전에 실시하는 교육 등 봉사활동과 직접 관련된 시간은 인정

○ 문화공연 준비 : 공연에 의한 봉사활동 시 공연 당일 공식적인 준비시간 및 최종 연습시간은 인정

※ 봉사활동 현장에서 공연시작 전에 하는 공식적 공연준비나 최종 연습 등은 포함하되 공연 주체

의 일상적인 공연준비나 연습은 제외

○ 번역 : 공익적 목적에 의해 공식적으로 요청 받은 경우 200자 원고지 5매 당 또는 A4 1매를 1시간 기준

으로 인정

※ 점자, 녹음 등 번역과 유사한 활동의 경우에 유사한 기준을 정하여 인정

○ 행사참여 : 각종 행사에 따른 안내(내빈이나 주차), 주변정리, 홍보 등 실질적 봉사활동은 인정, 단순

참여는 불인정

※ 정부·지자체 기념식 등의 공공행사에 단순 동원식 참여 및 행정기관으로부터 활동비 등 대가를 받는

활동은 제외

○ 물품 및 현금기부 등 : 물품 및 현금 기부는 봉사활동 시간으로 환산하여 인정할 수 없음

예) 헌옷 모으기, 불우이웃돕기 성금 모금, 폐휴대폰 수거 등

○ 학생의 헌혈 자원봉사 시간 인정 : 헌혈(전혈, 성분헌혈) 4시간 인정

- 인정 횟수 전혈 5회, 성분헌혈 24회 이내

※ 헌혈자 본인만 인정, 헌혈증서를 양도 받은 자는 적용하지 않음

○ 건전한 사이버 문화 조성을 위한 캠페인 활동 인정 : 선플 최대 12시간 인정(60자 이상으로 20건당

일주일 최대 1시간 인정)

○ 부적절한 봉사활동 운영 사례 : 정치적 목적의 집회 참여 봉사활동, 모바일 광고 열람 및 인터넷 신

규 가입자 추천 시 봉사활동 확인서 발급, 봉사활동을 빙자한 수익사업 운영

○ 해외봉사활동 실적은 학교생활기록부에 실적 입력 금지

(14) 봉사활동 인정 가능한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시·도교육감, 교육장 및 학교장이 인정하는 기관

※ 학생봉사활동 인정 불가 기관 : 영리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기관(단체), 종교적·정치적 목적이나

소속회원의 이익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기관(단체), 공익 목적에 위배되는 기관(단체)

○ 자원봉사센터(안행부), 사회복지협의회(복지부), 청소년활동진흥센터(여가부)등에서 인정하는 기관

(15) 전라북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 협력학교로 등록하여 소양교육과 활동터전 및 기타 체험활동을 연계

추진한다.

Page 7: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3. 세부 추진계획

(1) 교외 봉사활동

-개인별, 동아리별, 학급별 등 다양하게 진행

-1365자원봉사포털(https://www.1365.go.kr/),

두볼(http://dovol.youth.go.kr/dovol/index.do)

vms(http://www.vms.or.kr/)에서 진행

(2) 교내 봉사활동

-단체 : 학년 전체

-개별 : 해당 활동 참가자 (*추가 가능)

분월

차요일

교시

(시간)활동 내용 참가인원 주관

3 2 월 7 봉사활동 소양교육 1~2학년 전체 봉사활동 담당자

4 3 목 5,6 능안자구길 마실길 가꾸기 1~2학년 전체 학년부

6 3 목 5,6 능안자구길 마실길 가꾸기 1~2학년 전체 학년부

9 3 목 5,6 능안자구길 마실길 가꾸기 1~2학년 전체 학년부

10 3 목 5,6 능안자구길 마실길 가꾸기 1~2학년 전체 학년부

3~

12

시오전 8시 교내 학급별 봉사활동

1,2학년 전체

(1주일씩 순환)학년부

별3~12

방과후 동아리별 봉사활동 희망 동아리 각 동아리 지도교사

점심시간 교내 튜터링 봉사활동 희망 학생 봉사활동 담당자

점심시간

방과후교내 학교적응 돕기 봉사활동

기숙사생 중 희망

학생기숙사 지도교사

상시교내 행사활동 방송 촬영 편집

봉사활동방송반 학생 방송반 지도교사

점심시간

방과후교내 학생회 캠페인 활동 학생회 학생 학생회 지도교사

아침

점심시간

방과후

교내 선도부 봉사활동 선도부 학생 학생회 지도교사

점심시간 교내 도서관 운영 봉사활동MAKE PUBLIC 동아

리 학생도서관 지도교사

오전 8시 학급문고 관리 봉사활동 학급별 관리자 학급문고 지도교사

상시 또래 상담 봉사활동힐링캠프 동아리

학생

힐링캠프 동아리

지도교사

점심시간 교내 효 캠페인 봉사활동 희망 학생 효 캠페인 지도교사

상시 교내 진로활동 서포터스, 멘토 희망 학생 진로교사

간부수련회 중 봉사활동 학생회 학생 학생회 지도교사

해양수련원 프로그램 중 해변

정화 봉사활동2학년 전체 학생 학년부

교내 축제 안전지도 봉사활동

학생회 학생 학생회 지도교사교내 축제 기획 및 홍보 봉사활

Page 8: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서식3] 개인 봉사활동 실시 계획 및 확인서

인 적

사 항

학교명: 완산고등학교

학 번: 학년 반 번 성명 : (인)

계 획 서 확 인 서

활동일시:20 년 월 일( 일간)

시~ 시까지 ( 10 시간)

활동일시:20 년 월 일( 일간)

시~ 시까지 ( 10 시간)

대상기관 : 완산고등학교

활동장소 : 면학관 활동장소: 면학관

활동영역 : 지역사회 봉사활동

활동내용 : 지도활동 재능나눔

활동영역 : 지역사회 봉사활동

활동내용 : 지도활동 재능나눔

유의사항 : 의 견:

위와 같이 봉사활동을 하고자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20 년 월 일

성명 : (인)

위와 같이 실시하였음을 확인합니다.

기관명: (직인)

(TEL. )

확인자 직급

성명 (인)

결재

담임

교사부장 교감(전결)

확인서 발급번호

※ 활동 전에 계획서 결재를 득한 후 활동할 것(결재는 전결제도를 활용)

기관명, 직인, 확인서 발급번호가 있어야 함

Page 9: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 2017년 튜터링 제도 운영 세부계획

1. 개요

튜터링 제도는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유롭게 운영되는 것이 취지에 부합하다. 대상도

선후배형, 동아리형, 또래형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계획서 제출로 끝낼 경우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

기 쉬워 지도교사 감독 하에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일정시간 튜터링을 실시한다. 또한 참여자가 원하

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율적으로 튜터링 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단, 1학년에 한하여 1학기에는 튜터로

서 등록할 수 없다.

2. 세부 운영 방안

-감독형 튜터링과 자율형 튜터링, 투트랙으로 진행

-10시간의 공식 참여 시간을 트랙별 1:1로 나눠 각기 5시간 배정

가. 감독형·자율형 공통 사항

-학기별 참여 가능 약 13주, 그 중 10주 이상 참여해야

-30분(0.5시간)*10(회)=5시간

나. 감독형 튜터링

-개별 학생 주 1회 참여. 월~금 점심시간 30분간 진행(1시~1시 30분)

-그룹을 나눠 진행 매주 정해진 필수 참가 요일에 집합 점검

-튜터링 제도는 지속성에 의미, 10주 미만 참여시 생기부 기록 불가

-출석부 확인으로 끝

-장소 : 창체실

다. 자율형 튜터링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1학기 5시간 이상 진행

-1차 고사 후 중간 보고서 제출

-2차 고사 후 결과 보고서 제출

4. 유의사항

-제도 취지에 부합하지 못한 행위가 발생 시

1차 경고

2차 튜터링제 탈락, 기존 봉사시간 및 교과발달 특기사항 생기부 입력 불가

-튜터링 중 잡담, 지각, 불참 등 튜터와 튜티가 학습법을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제도 본연

취지에 어긋나는 행위 금지

5. 오리엔테이션

3월 27일(월), 오후 1시 강당

6. 튜터링 우수자 시상

-1학기 튜터링 제도 종료 후 튜티 성적 향상 조합 튜터-튜티 모두 시상

-성적 향상자 본인 제출 후 심사

-학기별 1,2차 고사 및 모의고사 성적 향상도 측정

Page 10: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서식1] 2017-1학기 튜터링 보고서

일시 : 월 일 ~ 월 일

△학번 : △이름 :

△과목 : △구분 ( 튜터, 튜티 )

순서

구분 1 2 3 4 5 6 7 8 9 10

일시

장소

교재

1. 학습 목표 2. 학습 내용

3. 건의 사항

위 내용은 사실과 틀림이 없습니다.

20 년 월 일

이름 : (서명)

Page 11: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특색 사업

1 창의적 체험 활동 활성화

Ⅰ. 추진배경

모두를 위한 창의 ․인성 교육

미래교육

수동적 교육에서능동적 교육

2009 개정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 부여

미래 성장 동력

자기의 꿈을 창조적으로 여는 리더 요구

Ⅱ. 추진 방향 및 중점 추진 과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내실화

교과활동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체험활동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 창의ㆍ인성 교육 전문성 강화

▪ 창의ㆍ인성을 길러주는 다양한 수업

문화 창출

▪ 교과교실제 인프라 구축

▪ 창의적 체험활동 자원 활용 및 프

로그램 추진

▪ 창의적 체험활동 시스템 구축

▪ 지역사회 교육기부 적극 유치

창의․인성교육 역량 강화 창의․인성교육 발현기회 확대

▪ 창의ㆍ인성 모델학교 견학 및 컨설

팅 의뢰

▪ 우수 교육사례 연구발표회 유치

로 교직원 및 학부모 연수

▪ 진로 중심 학생동아리 편성

▪ 동아리 중심 봉사활동 추진

Page 12: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Ⅲ. 과제별 세부추진 계획

1. 교과활동을 통한 창의 ․ 인성교육 활성화

(1) 창의․인성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수

- 창의·인성교육 수업지도안 개발 활용 연수 전달

- 창의체험자원지도 활용 연수 전달

- 창의ㆍ인성교육 기초 및 심화과정 연수, 컨설팅 신청· 유치

(2) 창의ㆍ인성을 길러주는 수업 문화 개선 노력

- 우수 수업모델 개발 및 수업 적용

- 창의․인성 교과 연구회 및 동아리 적극 참가·운영

- 창의·인성 우수발표회에 공모

- 교과교실제 기자제 활용 교육 지속적 추진

-수업연구 컨설팅 및 공개수업 실시

(3) 창의․인성을 융합한 수업 전개

- 교과 지도 내용 분석, 창의․인성요소에 따른 지도 방법 다양화

- 창의․인성요소에 따른 토론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지도 방법 다양화

2. 체험활동을 통한 창의 ․ 인성교육 강화

(1) 창의적 체험활동 자원 및 프로그램 개발 ․보급

가. 동아리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운영에서 동아리를 중심으로 봉사 활동, 진로 활동, 자율 활동 등이 운영되도록

한다.

나. 진로활동

① 학생의 발달단계와 흥미․적성 맞춤형 진로캠프 운영

- 일상에서 벗어난 색다른 환경에 노출시킨다.

- 가까운 사이면서도 일상에서 교류하기 어려운 환경을 제공한다.

- 같은 활동을 해 왔던 동료들과 일상에서 나누기 어려웠던 심층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한다.

- 자기의 진로탐색을 중심 축으로 한 다양한 정보, 활동,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 운영 대상을 가능한 한 다양화한다. 예)학급 단위, 유사영역 동아리 단위, 학교부적응학생, 진로 미결

정자, 위기(가능) 청소년, 사회적배려대상자, 다문화가정, 일본진출희망자

- 의미 있는 토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균형 있는 생활을 돕는다.

② 동아리활동이 특화된 진로교육 실시

-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행하여 진로목표를 세우도록 권장

- 합리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루트의 정보 제공

- 진로와 관련된 교과목 심화 학습 및 체험 기회 제공

- 스스로 선택하고 스스로 계획하여 자기 삶의 주인되는 습관 형성

- 학생의 수요․수준을 최대한 반영하는 유연한 교육 시스템 구축

- 프로그램별 학생 및 학부모 만족도를 학기별로 반영

-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동아리활동을 통한 진로탐색

(2)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체제 구축

가. 체험 기관, 체험 멘토 시스템

① 공공성 인정기관 소개하여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권장

② 동창회, 학부모회를 통한 동아리 멘토제 실시로 직장체험 및 전문지식 학습 기회 증대

Page 13: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③ 대학, 연구기관과 연계한 학과체험, 전문지식 학습, 교수 특강 유치

④ 체험활동 시 학교간 공조 체제 확보

- 박물관 체험학습

- 동아리별 연합활동(과학, 심리 등)

- 원거리 체험활동

나. 활동 평가를 통한 동기 유발

①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는 동아리 활동, 자율 및 창의적특색활동, 진로 활동, 봉사 활동, 4개 영역에

걸쳐 균형 있게 평가를 실시한다.

② 활동 결과에 대한 평가보다는 활동 과정에서의 참여 정도(출석 및 준비도), 협력 정도(대인 관계, 협

동심), 열성 정도(관심 및 참여 의욕), 활동 실적, 진보의 정도, 태도의 변화 등을 중시하여 골고루

반영하고 평정 척도표를 활용함으로써 종합하여 포괄적으로 실시한다.

③ 학생 개개인의 발달, 변화, 성취를 평가함과 아울러, 학급 또는 학교 차원에서 전체 집단의 성장, 발

달, 변화 등도 평가한다.

④ 평가는 학생을 비교하는 상대 평가가 아닌, 학생 각자의 성취도나 변화를 진단하는 절대 평가가 되

도록 한다.

⑤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활동 내용을 평가한다.

- 동아리 활동의 결과로서 학기별 활동집 제작 및 동아리 평가로 다음 학기 존속 여부 심사

- 꿈 발표대회 및 진로탐색 발표대회

- 봉사활동 스토리텔링 대회

(3) 교육기부 활성화

가. 학부모 및 동문선배 교육기부 기반 구축

① 학부모회의 학교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② 다양한 분야에 학부모 및 동문선배 전문가의 교육기부 및 교내외 봉사활동

③ 학교교육 및 자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녀교육으로 자녀의 진로탐색 능력 향상

④ 학교간 교육기부 자원 공유

⑤동아리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기부 유치

- 동아리 멘토와 동아리 지도교사의 공조 체제

- 교육기부를 활용한 동아리 행사 기반 구축

⑥교육기부 성과의 정기적 발굴 및 적극적 홍보

- 최근 졸업생 인력 풀

- 재학생 및 졸업생 학부모 인력 풀 지속적 관리

- 동문 선배 인력 풀, 특히 수도권 및 국제적 인물 섭외

3. 창의·인성 모델학교 벤치마킹

(1)우수학교 방문 및 우수교사 초청 특강

(2)창의·인성교육 유형별 워크숍 및 컨설팅 실시

(3)단위학교 교육개혁 과제를 학력향상형, 사교육절감형, 교육과정혁신형, 으로 유형화, 유형별 특색 있

는 창의ㆍ인성프로그램 적용

Page 14: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시기 일시 활동 주제 활동 내용

1~3학년

1학기

3월 삶, 진로, 직업의 중요성 생각하기 행복한 삶의 의미 알아보기나 자신을 알아보자 흥미,적성,성격,가치관

4월 직업병의 의미 및 발생 토의,글쓰기(1시간)나의 미래 모습 그리기 SWOT 분석, 비전맵 프로그램

5월 다양한 직업세계 이해 직업카드를 이용한 직업 탐색입학사정관제의 이해 입학사정관제 도전을 위한 전략짜기표준화 심리검사 이해하기 워크넷 직업심리검사 결과지 해석

Ⅳ. 기대 효과

○ 미래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인재 육성

○ 미래 사회 변화를 주체적으로 이끌 수 있는 자세와 능력을 갖춘 리더 육성

○ 창의성과 인성으로 새로운 시대를 개척할 전문인의 자질 육성

○ 자기 가치를 발휘하여 자아실현의 즐거움을 아는 인간 육성

맞춤형 진로 진학 상담 지도

1. 목적

(1) 자신의 특성, 소질과 적성, 능력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진로를 탐색한다.

(2) 각종 검사, 상담을 통해 진로 정보를 탐색하고 자신의 진로를 계획한다.

(3) 진로와 직업 선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설계한다.

(4) 학업과 직업 세계를 이해하는 직업 체험 활동 기회를 통해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한다.

2. 운영 방향

(1) 진로활동의 구체적인 학습 주제를 학생들의 흥미, 관심도, 발달 단계 및 학년 실정에 맞추어서 선정

한다.

(2) 진로활동의 내용 선정은 학생들의 진로희망분야별 단체 위주로 구성하여 직접적이고 체험적 활동으

로 한다.

(3) 진로체험활동은 개인, 단체별 희망을 존중하여 시행하되, 교내외 모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4) 학습 주제에 따른 다양한 집단(개인별,학급별,학년별,동아리별,희망직업 및 학과별 등)을 구성하여 다

양한 방법으로 운영한다.

(5) 학생안전교육을 통한 직업세계 교육을 실시한다.

3. 진로활동 수업 연간 계획(1~3학년)

Page 15: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6월 다양한 직업인 탐색 성공, 존경하는 직업인 탐색미래사회의 변화 이해 이상적인 미래세계 모습과 나의 사명

7월 직업인이 되는 경로 파악 전공계열, 학과, 취업시장 탐색직업과 윤리 나의 직업관 정립

방학 하계 나만의 성공전략 세우기 학습계획, 단기간 인생목표 및 전략직장탐방 및 봉사활동 속 직업세계 관심 있는 직장탐방 및 업무체험

2학기

9월 나의 진로와 관련된 진로 독후활동 진로독서활동 내용 작성나의 진로 장벽 및 갈등 진단 장벽을 알고 뛰어넘기

10월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의사결정 유형, 합리적 의사결정 훈련희망직업 선택 가치관을 통해 본 희망직업직업병의 예방과 대책 토의,글쓰기(1시간)

11월 희망 전공계열과 학과 고교 과정 및 전공학과 선택하기자기소개서 작성 및 수정

12월 진로계획 수립 로드맵 설계하기자아존중감 자기헌법, 비전선언서 작성하기

방학 동계 직장탐방 및 봉사활동 속 직업세계 관심 있는 직장탐방 및 업무체험나의 진로와 관련된 진로독서하기 진로독서활동 내용 작성

항목 시기 세부내용 비고

학생의 커리어 존 활용 방과후인터넷 활용 튜터링, 발표대회 준비, 동아리 기사 작성, 자율동아리 활동 등

공간 사용 예약제

꿈 발표대회 5월 교내 대회직업심리검사 3월, 9월 워크넷 3월, 사설기관 9월 검사지 해석 교육 철저,

개인상담 시 적극 활용

학부모 아카데미 3월~12월자녀의 흥미,적성,가치관 알기, 자녀의 학교생활계획, 미래 준비, 진학정보

연간 7회야간 시간

총동창회 진로멘토,동아리 발표회

6월 동문,학부모,지역명사 특강 멘토 멘티 관계 강화

7월 직장체험 진로체험8월 진로 드림캠프 대학생 멘토

10월 4주째 금요일 동아리별 발표회 진로와 관련된 동아리 활동

장려진로 및 학과체험(교외) 연중 전국 각 대학교진로 및 학과체험(교내) 연중 각 대학 설명회, 학과 특강 대학교 고교연계 프로그램 적

극 활용동아리 연계 진로활동 창체시간 동아리의 진로독서 활동 필

수, 진로관련 프로젝트 수행우수 활동 자료집 발간(학기별)

4. 진로교육 특색 프로그램

Page 16: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창의적이고 특기 개발에 중점을 둔 동아리 활동 강화1. 목 적

동아리 활동은 흥미와 적성을 공유하는 학생들끼리 모여서 스스로 활동내용을 선정하고 스스로 활동조직

을 꾸려가는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활동이다. 하고 싶은 활동을 함으로써 창의적인 사고를 경험할 수 있

고, 함께 함으로써 리더십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동아리 활동을

통해 현실적인 참여와 한계 인식, 객관적인 피드백을 최대화하고, 교내외에 단체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무엇보다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운영 방향

(1)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운영에서 동아리를 중심으로 봉사 활동, 진로 활동, 자율 활동 등이 운영되도록

한다.

(2) 활동 후 사진과 활동자료 등의 결과물을 반드시 산출하고 보관하고 출간한다.

(3) 학교는 행정 지원을 통해 학생 스스로 운영하는 동아리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를 확

보할 수 있도록 한다.

(4) 동아리 예산 운영을 공개적으로 하며, 예산 편성과 집행은 동아리자치회장단에게 맡긴다.

(5) 교육과정 내 동아리 1인 1부서 이외에 자율동아리 활동을 장려하여 활동사항을 생활기록부에 등재한

다.

(6) 교육과정 내 동아리는 크게 진로동아리와 전공동아리로 분류하여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을 장려한다.

(6) 교육과정 내 동아리는 학년제로 운영한다.

(7) 동아리 변경은 본인의 변경사유서를 담당교사가 심의하고, 가입을 원하는 동아리 지도교사와 회원들

의 승인을 얻어서 변경하거나, 동아리부서원들의 요구에 의해 퇴출을 원하는 부서원이 있을 경우,

지도교사와 동아리자치위원회에서 심의하여 1차 경고, 2차 퇴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새 동아리는 본

인의 의사에 따라 전공동아리에 가입하도록 한다.

(8) 자율동아리의 활동기간은 학생이 자율적으로 정한다. 구성인원은 동아리 연합, 동아리와 별도 조직,

학급 친구, 기숙사 방친구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활동내용은 스터디그룹, 프로젝트 수행, 취

미활동, 진로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 동아리와 동일한 의무 및 권리를

부여한다.

(8) 각 동아리 특성을 살리고, 동아리원들이 협의하여 동아리 단위 봉사활동을 개발 추진한다.

(9) 동아리활동 등을 통해 축적한 재능을 봉사활동으로 연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0) 동아리는 진로체험활동을 통하여 동아리 내실화를 가져오도록 한다.

(11) 동아리자치회를 활성화하여 현안에 따라 자치회의를 통한 자율적 활동을 장려한다.

월 3월 4월 5~6월 7월 8월 11월 12월

내용동아리 연간

계획 세우기

동아리자치

회 구성

총동창회

진로멘토링

총동창회

직장체험

총동창회

드림캠프

동아리

발표회

자료집발간,

우수동아리

선정

Page 17: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월 주 내 용 세 부 내 용 비 고

3

1~2 동아리 활동 교육 운영 방침 설명오리엔테이션

담임 선생님 전달

3정규 동아리 박람회, 개

별 홍보, 선발

교사 및 학생의 개설 희망동아리 수합

동아리신청서류 배부

전체동아리설명회, 동아리별 부스

동아리 홍보

부원 선발, 가입 접수, 1인1부서

강당, 교내 곳곳, 교실

4부원 선발, 동아리 가입,

조직부원 선발

강당, 교내 곳곳,

배정된 각 동아리 장소

기본자료 담임께 제공

담임교사가 동아리 배정

5 정규 동아리 활동동아리 활동 연간계획서 확정

동아리별 대외봉사활동 계획

4 1

동아리 자치회 구성 동아리 기장단이 투표로 3명 선발

동아리 현안 협의

‘우동사리’제작

우수활동동아리 선정

활동비 지출

자율동아리 조직1인 1부서

자율동아리 활동 연간계획서 접수

기본자료 담임께 제공

담임교사가 동아리 배정

5 4총동창회 진로멘토 직업

특강동아리 및 개인별 진로멘토 토요일 오전(3시간)

7 2총동창회 진로멘토 직장

체험동아리 및 개인별 진로멘토 금요일 오후(4시간)

11 2 동아리 발표회 활동성과 전시 및 체험부스 설치 동아리 자치회 운영(2시간)

12 1자료집 발간 및 동아리활

동 시상전체 동아리활동 자료집 동아리 자치회

순서

분야 동아리명 동아리 활동 기장 지도교사

1 인문사회 블랙스완 경제 탐구 2308 김태훈 박인호

2 인문사회 역사의 파도 역사 탐구 2327 홍승연 조석진

3 인문사회 역전재판 법학 탐구 2302 김민서 이현황

4 인문사회 교동 교육 활동 2215 신성일 김용훈

5 인문사회 정시 사회이슈 토론 2121 임도준 박상구

6 인문사회 토글토글 영어 토론 2721 유영훈 장유림

7 인문사회 힐링캠프 심리학 탐구 및 상담 2829 주혁진 김한길

8 인문사회 메이크퍼블릭 인문학 토론 2114 손정현 임은주

9 인문사회 프레테리아 역사 탐구 및 탐방 2224 이세찬 김지훈

10 인문사회 시뮬라시옹 철학 세미나 1218 유지훈 박제원

11 자연과학 코어 IT 탐구 및 제작 2717 선유승 이건웅

12 자연과학 W.T 공학 탐구 2704 김건호 이지화

3. 세부 계획

4. 동아리 활동 부서 조직

Ⅰ. 진로탐구동아리

Page 18: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13 자연과학 인터페론 생명과학 탐구 2524 유창근 김덕원

14 자연과학 라움 건축 탐구 2533 추강엽 오유경

15 자연과학 프레지 진로 및 프레지 탐구 2422 이수찬 박일

16 자연과학 WCA 큐브, 보드게임 2830 진성현 양국모

17 자연과학 하이스트 과학 탐구 2516 선유창조나연(정

지은)18 자연과학 아폽토시스 과학 탐구 2421 이동찬 김영수

19 자연과학 STEMCELL 생물 탐구 2833 한승훈 강원형

20 자연과학 헬네아 과학 탐구 2407 김진우 김현승

21 자연과학 전체이용가 게임 개발 3424 정성오정지은(조

나연)22 자연과학 네이처 과학 지식 활용 활동 3531 최호연 박범성

23 자연과학 FLY 드론 연구 3518 유다빈 백문수

24 자연과학 크리에이터 창의 발명 2602 김완준 전정훈

25 자연과학 physics 일본 공대 진학 3529 최승빈 김주태

26 스포츠 해트트릭 축구 2737 최규성 여인구

27 스포츠 스매시 탁구 3118 이도현 임완호

28 스포츠 하이클리어 배드민턴 3104 곽상민 이종석

29 스포츠 키프러스 농구 2112 박태수 황익주

30 스포츠 족발 족구 2317 이민형 박은일

31 예술창작 밀알 악기 합주 2703 국윤혁 소병수

32 예술창작 천둥소리 풍물 공연 2634 진수환 배현민

33 예술창작 WBS 학내 방송 2614 양정호 오재승

34 예술창작 MSG 힙합 공연 2820 시우영 고병현

순서

분야 동아리명 전공 학과 지도교사

1 인문사회 100분 토론국어국문학과, 역사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철학과, 문헌정보학과, 사회학과, 신문방송학과, 심리학과, 인류학과,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이수연

2 경영 신자유주의 경영학부, 경제학부 이승윤

3 사범 최고의 교사가정교육과, 교육학과, 국어교육과, 물리교육과, 생물교육과, 수학교육과, 역사교육과, 영어교육과,

유아교육과, 윤리교육과, 음악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지리교육과, 체육교육과, 특수교육학부, 화학교육과

방동주

4 자연 융합과 통섭 물리학과, 생명과학기술학부, 생물학과, 수학과, 지구환경과학부, 통계학과, 화학과 조승렬

5 공학 알파고건축학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산업공학과,

생물공학과, 신소재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과, 응용화학공학부, 전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부,

토목공학과, 환경에너지공학과임효정

Ⅱ. 전공동아리

Page 19: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6 의료 명의 의학, 치의학, 한의학, 수의학, 간호학 양세원7 예술과 체육 예체능 미대, 음대, 체대 박찬용

순 분야 동아리명 활동내용 기장 지도교사 인원

1 인문사회 가이드북 영어 독해 작문 2702 경보성 이건웅 102 인문사회 경영자 혁명 경영학 탐구 2121 임도준 이현황 53 인문사회 글방 한자 학습 교재 제작 3318 서현일 오재승 34 인문사회 뉴스룸 교내 학보 제작 2205 김윤현 박철호 95 인문사회 디플로 시사 이슈 토론 1724 최성규 박은일 56 인문사회 써스펙트 법과 정치 탐구 1718 이윤재 김영수 147 인문사회 아스트라이어 법학 탐구 2302 김민서 이현황 108 인문사회 웰컴투재팬 일본 문화 탐구 2812 김우진 양국모 59 인문사회 정와대 정치시사 탐구 2327 홍승연 조석진 510 인문사회 좌우합작 시사 역사 토론 2219 유 건 양국모 611 인문사회 지동 지리 탐구 2311 박지홍 여인구 512 인문사회 토마토 주제 토론 3722 이동하 강원형 1413 인문사회 EBS 영어 성경 토론 2602 김완준 장유림 714 인문사회 SUN 영어 토론 2618 이상희 김영수 1115 자연과학 강약중강약 약학 탐구 2508 김진서 조영신 716 자연과학 메디컬 보건 캠페인 3330 전수민 조영신 317 자연과학 시냅스 봉사활동 1301 강상원 소병수 818 자연과학 업그레이드 공학 탐구 3531 최호연 김덕원 2319 자연과학 주물러 물리치료 탐구 3601 강동영 박찬용 720 자연과학 AT 건축 탐구 2533 추강엽 전정훈 921 자연과학 DUAL 과학 탐구 3626 이재호 백문수 522 자연과학 FBI 항공 탐구 2731 전재호 이건웅 1523 자연과학 FISIC 필기구 탐구 2625 이현규 전정훈 524 자연과학 ROOT 수학 탐구 3806 김상륜 오재승 425 자연과학 ROUTE 게임 제작 2608 박진용 김덕원 526 자연과학 SEE 환경 생태 탐구 2630 정찬영 강원형 827 자연과학 STEAM 과학 탐구 1220 이승준 박은일 928 자연과학 WMC 수학 잡지 제작 3609 김정로 백문수 1329 인문/자연 지고 교과 자율학습 2832 한수현 장유림 1030 예술 광대 마술과 연기 실습 2723 유호준 박철호 631 예술 DIY 디자인 실습 3121 이재오 오유경 532 진로 드림컨설팅 진로 캠프기획운영 2127 주상영 김한길 933 진로 컨피던스 진로 탐색 및 발표 2224 이세찬 전정훈 734 진로 JobRevolution 진로 탐색 2514 박진형 오유경 2035 봉사 봉즐 봉사활동 2126 조현우 양국모 736 봉사 심봉사 봉사활동 및 사회복지 탐구 3625 이승현 김한길 737 봉사 해피투게더 아동 돌봄 봉사활동 2207 동형기 김한길 6

Ⅲ. 자율동아리

Page 20: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 동아리 발표회 및 진로멘토링(11월 2주 금요일)

가. 목 적

1년 동안 활동해온 내용을 다른 동아리와 공유함으로 해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

혀주고 의미부여가 됨으로써 학생들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총동창회 선배 진로멘토에게 활동을

점검받음으로써 진로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나. 운영 방향

① 동아리 활동 내용을 색상지 또는 하드보지에 보고서의 형태로 제작

② 형식은 없으며, 개수의 제한도 없도록 한다.

③ 중앙복도에 전시하는 형태로 진행

④ 발표시간을 따로 정해서 학생들이 직접 발표를 할 수 있도록 권장

⑤ 진로멘토의 도움을 받아 활동을 점검하고 새로운 활동방향 추가

▶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

1. 평가 방침

(1) 각 영역별 활동 내용, 세부적인 평가 방법 및 기준은 교육과정을 준거로 하여 정한다.

(2) 영역별 평가는 학생들의 참여도, 활동 의욕, 활동 실적, 진보 정도, 태도 변화 등에 중점을 두어 평

가한다.

(3) 평소 수시 평가를 실시하며, 관찰된 학생의 활동 상황과 수상 실적 등의 누가 기록 자료를 토대로

학년말에 종합 평가한다.

2. 평가 내용

(1)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는 동아리 활동, 자율 및 창의적특색활동, 진로 활동, 봉사 활동, 4개 영역에

걸쳐 균형 있게 평가를 실시한다.

(2) 활동 결과에 대한 평가보다는 활동 과정에서의 참여 정도(출석 및 준비도), 협력 정도(대인 관계, 협

동심), 열성 정도(관심 및 참여 의욕), 활동 실적, 진보의 정도, 태도의 변화 등을 중시하여 골고루

반영하고 평정 척도표를 활용함으로써 종합하여 포괄적으로 실시한다.

(3) 학생 개개인의 발달, 변화, 성취를 평가함과 아울러, 학급 또는 학교 차원에서 전체 집단의 성장, 발

달, 변화 등도 평가한다.

3. 평가 방법

(1) 각 영역별로 학년 초 평가 관점을 마련하여 평가 척도를 작성, 활용한다.

(2) 평가는 학생을 비교하는 상대 평가가 아닌, 학생 각자의 성취도나 변화를 진단하는 절대 평가가 되

도록 한다.

(3)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활동 내용을 평가한다.

가. 동아리 활동의 결과로서 학기별 활동집 제작 및 동아리 평가로 다음 학기 존속 여부 심사

나. 각종 비교과대회 개최

(4) 영역별 평가는 다음과 같이 담당 교사가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되, 최종적으로 담임교사가 평가 결과

를 종합한다.

가. 자율 활동은 학급 또는 학교 집단 속에서의 기본 생활 습관 형성, 자신의 역할 분담, 다양한 친교

활동, 의사결정 과정에서 보여 지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 능력,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책임감

을 담임교사가 최종적으로 평가한다.

Page 21: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나. 동아리 활동은 부서 지도 교사 및 업무담당교사가 활동의 결과보다 활동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태

도와 행동의 변화ㆍ 발전을 평가한다.

다. 봉사 활동은 동아리지도교사, 학급 담임 및 업무담당교사가 평가하되, 학급 담임 교사가 봉사 활

동 확인서 (또는 봉사 활동 카드)에 의한 누가 기록부를 근거로 최종적으로 평가한다.

라. 진로활동은 진로교사가 자신에 대한 이해부터 출발하여 진로를 선택하고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수정하

는 단계까지 포함하여야 한다.

마. 동아리 활동의 평가는 각 부서별로 담당 교사가 다음 기준에 의해 평가하고, 종합적인 내용을 문

장으로 기술하여 평가한다.

① 참여도: 출석 상황(출석/총 활동 시간)

② 활동상황: 각 창의적 체험 활동 담당 교사가 4개의 평가 항목에 따라 행동 관찰

③ 태도: 각 동아리 활동별로 부서의 특징에 맞는 기준을 정하여 평가

< 개인별 동아리 활동 기준표 >

문항 행동 관찰 평가 항목평 가

가(양호) 나(보통) 다(부족)

1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며 협조적이다.

2 활동 계획 및 준비가 철저하고 맡은 일을 열심히 한다.

3 자신의 의견 및 주장을 잘 발표하고 실행한다.

4 과제 해결을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5 솔선수범하여 실천 후의 반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바.모든 창체활동은 학교 계획 또는 학교장의 승인을 받은 개인 계획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5) 평가 결과의 처리

가. 창의적 체험 활동의 평가는 총괄 평가적 성격보다는 형성 평가적 성격으로 학생 개개인의 계속적

진보와 계발을 돕는 자료로 활용되도록 한다.

나. 학년 말에 학년 수료 또는 졸업 사정회가 끝난 후 학급 담임 교사가 인수한 평가 결과를 기록한다.

다. 평소의 활동 상황을 누가 기록한 자료를 토대로 점수화(평어)하지 않고 문장으로 기술한다.

라. 동아리 활동은 활동한 부서명과 역할, 부서와 관련한 특별한 기능이나 능력 및 종합적인 활동 상황

을 누가 기록하고, 종합하여 그 내용을 문장으로 기록한다.

마. 봉사 활동은 연간 봉사 및 체험 활동 상황을 실시일자, 기간, 장소, 주관 기관명, 내용, 시간, 일수

를 실시 일자 순으로 봉사 활동 누가 기록부에 봉사활동 담당교사가 누가 기록한다.

Page 22: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 2017 비교과 대회 계획

1.목적

○ 교내외 창의적체험활동 활성화

○ 글쓰기 및 발표력 배양

○ 통합적 사고력 및 자료활용 능력 향상

2.운영 방향

○ 교내 창의적체험활동 연간계획과 유기적으로 조화된 대회 개최

○ 학생들의 생활리듬에 맞는 대회 일정 제공

○ 교내상 운영지침을 준수한 대회 운영

○ 수상비율은 참가자의 20%내외(대상:1명,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 공개방식은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 교내 각층 중앙현관 게시, 담임교사 홍보

3.세부 계획

연번 수상명 시행(월) 참가대상 담당부서 담당자 실시일

(예정)

1 항공캠프 활동대회 4월 체험활동 참가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4.09

2 효발표대회 5월 전교생 중 희망자 창체활동부 조석진 5.08

3 로봇시대 글쓰기대회 5월 전교생 중 희망자 학생회 학생회장 5.24

4 전공알림이 활동대회 5월 체험활동 참가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5.28

5 직업특강 활동대회 5월 체험활동 참가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5.28

6 꿈 발표대회 5월 전교생 중 희망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5.31

7자연과학 자유주제

발표대회6월 전교생 중 희망자 학생회 학생회장 6.07

8인문사회 자유주제

발표대회6월 전교생 중 희망자 학생회 학생회장 6.07

9 칭찬하기 대회 6월 칭찬받은 학생 창체활동부 김한길 6.30

10 직장체험 활동대회 7월 체험활동 참가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7.16

11 튜터링 수기대회 7월 튜터링 참가자 창체활동부 이종석 7.16

12 진로드림캠프 활동대회 8월 체험활동 참가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8.15

13 봉사활동 스토리텔링대회 9월 전교생 중 희망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9.27

14 칭찬하기 대회 10월 칭찬받은 학생 창체활동부 김한길 10.31

15 동아리 활동 발표회 11월 전교생 창체활동부 박철호 11.04

16자연과학 자유주제

발표대회11월 전교생 중 희망자 학생회 학생회장 11.08

17인문사회 자유주제

발표대회11월 전교생 중 희망자 학생회 학생회장 11.08

18 튜터링 수기대회 12월 튜터링 참가자 창체활동부 이종석 12.26

19 자기소개서대회 12월 전교생 중 희망자 창체활동부 이종석 12.26

20 기타 체험 활동대회 수시 체험활동 참가자 창체활동부 김한길 수시

4.기대효과

○ 창의적체험활동의 질적 향상

○ 진로역량을 길러 합리적 진로결정하기

○ 또래장학을 통한 배려와 나눔 경험하기

Page 23: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2 학부모 아카데미 공동체 형성

<학부모회 운영계획>

1. 목적

(1) 자녀에 대한 총체적 이해, 대학 입시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녀의 진로탐색과 대학진학

지도능력 향상

(2) 교육공동체로서 교육 본질에 합당한 학부모의 교육관 정립 및 학교교육에 대한 이해증진

(3) 자녀 학교교육에 대한 능동적 참여 권장

2. 운영방향

(1) 학기별 학교 교육활동의 내용과 결과를 수시로 알리고 진로신문, 창체활동자료집, 교육과정 홍보자료

를 배부한다.

(2) 학교의 다양한 행사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3) 학부모 아카데미를 연간 7회 운영한다(5회 강의+2회 상담주간).

3. 세부 운영계획

1) 03월 10일 – 학부모 학교 방문 설명회 / 심화반 학부모 모임

2) 04월 13일 - 학교 생활기록부 작성 요령

3) 05월 2주,4주 – 1학기 학부모 개별 상담 주간

4) 06월 22일 - 자기소개서 작성 및 면접 요령

5) 09월 7일 - 대입 수시 전형 설명(종합,논술)

6) 10월 2주,4주 – 2학기 학부모 개별 상담 주간

<2017 효 봉사단 운영계획>

1. 교내 효 봉사단을 운영하여 2017 교내 효 프로그램 및 교외 봉사활동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1) 봉사단 참여인원 : 2,3학년 신청자 - 활동 참가 우수자를 매학기 선발하여 생활기록부 봉사활동 특기

사항에 기록함.

(2) 효 프로그램 : 전교생 참여를 기준으로 함

1) 효 뿌리 찾기 : 족보, 파, 본가 알아보기, 부모님 고향 알아보기, 조부모님께 연락드리기 (대상 : 효

행 봉사단)

2) 부모님께 편지쓰기 : 4월 3주 자율활동 시간 실시 (대상 : 전교생)

3) 효 실천 발표대회 : 5월 1주 자율활동 시간 실시 (대상 : 전교생)

4) 효의 생활화 : SNS로 일상 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효 실천의 모습을 찍어 보내기

5) 효행 토론 : 4월 2주(목) 동아리 시간 실시 (대상 : 메이크퍼블릭, 정시, 와인 등 토론 동아리)

6) 효행 캠페인 : 4월 1,3,4주 5월 1주(목) 점심시간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효행 문화 의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활동

7) 효 특강 및 효행 봉사 : 효 특강 개최 및 효행 봉사활동

Page 24: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월별 활동 내용 비고

3월

▪연간 계획 수립 및 홍보

▪직업 심리검사 실시

1, 2학년(청소년 직업흥미, 적성, 가치관검사)

WORKNET(http://www.work.go.kr/youth/)

▪또래상담 동아리 결성 및 교육

▪Wee센터와 협력 체제 구축

▪진로진학 상담 실시(주당 8시간 이상)

▪요선도 및 부적응 학생 상담

▪학생상담자원봉사자 모

집 안내(학부모) 가정통

신문 발송

▪전문상담기관 활용

4 상담실 운영 계획Ⅰ상담실 운영

1. 운영 목적

(1) 생활지도 상담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내담자)과 상담자(교사)와의 인간 관계를 통해 문제 해

결 및 학생들의 잠재력을 발견하여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을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일상의 모든

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진로진학 상담은 진로 및 진학과 관련된 문제(개인의 진로발달 촉진, 진로계획, 진학·직업의 선택

과 결정, 준비행동, 직업적응, 진로변경 등)를 돕는 전문적 상담활동에 그 목적이 있다.

2. 운영 방침

(1) 진로진학 상담교사는 활동내용을 상담기록부에 작성한다. 상담내용은 비밀 보호를 위하여 상담일

자와 상담 주제 관련된 내용만 간략하게 작성한다. 상세한 내용은 기록으로 남기지 않는다. 만약

상담 내용이 긴급을 요할 경우에는 교장, 교감, 보건교사에게 신속하게 보고하여 조치하도록 한

다.

(2) 학생 상담 자원 봉사자(학부모)를 선정하여 생활지도 상담 활동(생활지도, 인성교육 상담 등)에 참

여하도록 하여 학생들이 교사나 부모가 아닌 또 다른 사람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깊이 있는 인

간 관계를 통한 상담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3) Wee센터 등과 상담 지도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한

다.

(4)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청소년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또래들의 문제 해결을 돕

는 상담 활동을 통하여 청소년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장려하면서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

에 그 목적을 둔다.

(5) 대입 진학을 위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진학 정보를 선생님들에게 제공한다.

(6) 상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개인 상담, 집단 상담, 대면 상담, 전화 상담, 사이버 상담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상담을 실시한다.

(7) 3월(1학기), 8월(2학기)은 학생상담주간으로 정하여 각 학년 담임교사는 학생과 1회 이상 상담을

실시한다.

3. 세부 운영계획

(1) 월별 세부 추진 계획

Page 25: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4월

▪학생 상담 자원 봉사자(학생,학부모) 간담회

▪튜터링 참가자 교육

▪자율적 협동학습 활동을 통한 또래상담 강화

▪정서행동발달 검사

5월 ▪정서행동발달 검사 관심군 상담 실시 담임, 상담교사

6월 ▪인터넷 게임 중독 학생 상담 실시 학생부와 연계 지도

7월 ▪상담 기법 자체 연수 실시▪전문기관 활용

▪연수자료 제작

8월 ▪방학 중 전화 상담 및 사이버 상담 실시진로 진학 정보

연중 제공

9월 ▪방학 중 또래상담 활동 평가

10월 ▪학생상담자원봉사자(학생,학부모) 간담회

11월 ▪요선도 및 부적응 학생 지도 학생생활부와 연계

12월 ▪상담 기법 자체 연수 실시 연수자료 제작

1월 ▪방학 중 전화 상담 및 사이버 상담 실시

2월 ▪연간활동 평가 및 활동실적 분석

항목 시기 세부내용 비고

커리어존, 창체실(상담실) 활용 상시

인터넷 활용 튜터링, 발표대회 준비, 동아리 기사 작성, 자율동아리 활동 등

공간 사용 예약제

진로체험 상시 직장, 연구소, 교육기관 체험 수시로 참가자 모집꿈 발표대회 5월 교내 대회

직업심리검사 3월, 9월 워크넷 3월, 사설기관 9월 검사지 해석 교육 철저,개인상담 시 적극 활용

학부모 아카데미 3월~12월자녀의 흥미,적성,가치관 알기, 자녀의 학교생활계획, 미래 준비, 진학정보

연간 7회야간 시간

총동창회 진로멘토,동아리 발표회

6월 동문,학부모,지역명사 특강 멘토 멘티 관계 강화 7월 직장체험 진로체험8월 진로 드림캠프 대학생 멘토

10월 4주째 금요일 동아리별 발표회 진로와 관련된 동아리 활동

장려진로 및 학과체험(교외) 연중 전국 각 대학교

진로 및 학과체험(교내) 연중 각 대학 설명회, 학과 특강 대학교 고교연계 프로그램 적극 활용

동아리 연계 진로활동 창체시간 동아리의 진로독서 활동 필수, 진로관련 프로젝트 수행

우수 활동 자료집 발간(학기별)

(2) 과제별 연간계획

Page 26: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3) 상담실 이용 계획

1. 개인상담진로교사 일정확인 → 상담신청서 작

성 → 상담예약 → 상담

1~7교시 일과 중 1시간 상담이

기본

2.동아리, 전공학습 활동진로교사 일정확인→창체실 사용신청

서 작성→사용예약→사용점심, 저녁, 야간 가능

3. 진로·진학 정보검색 수시 이용

4. 창체활동 수시 이용온라인심리검사, 국제성취포상제

기록

5 진로도서 열람 수시 이용 열람만 가능(대출 불가)

4. 기대 효과

(1) 학생들의 적성과 소질에 부합되는 진로진학 상담 실시

(2) 에듀팟의 활용을 통한 입학사정관제 전형 및 수시 모집 전형 준비

(3) 전문상담교사 및 학생 상담 자원봉사자, 또래 상담 학생들의 다양한 참여에 의한 상담 활동으로 폭

넓은 이해와 깊이 있는 인간 관계를 통한 상담 체험

(4) 각종 청소년 직업 심리검사 해석 프로그램의 도입에 의한 수준높은 진로진학 지도

▪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동기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적용

▪ 상담자(교사)와 내담자(학생)들간의 역동적 이해 실현

▪ 내담자의 대인관계 및 자신의 심리 역동적 이해 실현

▪ 내담자의 흥미, 적성, 진로 영역 이해 실현

ǁ 학생, 학부모 상담주간 운영 계획

1) 추진방향

❍ 담임교사 주도의 학생상담주간 운영(1,2학기 초)

❍ 상담교사 주도의 학생상담주간 운영(1,2학기 중간)

❍ 학부모 상담 주간은 매월 학부모 진로아카데미가 열리는 기간으로 설정

❍ 심리검사 등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하여 상담의 효과 극대화

❍ 필요에 따라 외부 전문 기관(상담기관 및 정신의학과)과 협력하여 상담활동

2) 주요 내용

❍ 새 학년을 맞아 다양한 위기상황 대처 및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담임교사 중심 학교상담 서비스

제공

- 예방적 상담 : 과거 교우관계 등 적응장애 이력 학생 집중

- 대응적 상담 : 학교폭력 가·피해학생, 정신·정서건강 문제 발생시

※ 의사소통기술, 위기 대처 전략 및 문제해결 기법 등에 대한 상담

- 학교폭력 가․피해자, 무단결석 등 학업중단 위기학생, 복교생 등 심층상담 필요 학생·학부모 대상

집중 상담

※ 학업중단숙려제 실시

❍ 상담교사의 위기유형별 맞춤식 상담서비스 제공을 통한 학교적응력 강화

- 다양한 심리검사를 통한 위기 상황 조기 진단․예방 및 심층 위기 상황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성격유형검사, 학습전략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등

- 학생․학부모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담 안내 교육 실시

※ 학업중단숙려제 실시 : 담임교사와 협조 / 2회 이상 상담

Page 27: 창체활동부school.jbedu.kr/.../7c7eaf0b0dbc4ed69e36f2dcac8f4838/01.pdf · 2019. 11. 19. · 창체활동 창의적체험활동 1. 성 격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 (야간상담) 취약계층 밀집지역 대상 상시상담 지정 등 야간상담 활성화

- 전주지역교육청에서 야간 상담을 운영하고 있음

- 상담주간 중 모든 Wee 센터는 야간상담 요일 지정운영을 통해 학교상담주간 중 위기징후 발견 학

생·학부모에 대한 상담 지원

- 완산고등학교 야간상담 : 학부모 진로아카데미 주간에 운영하며 학부모 상담 요청이 있을 때 운영

❍ (찾아가는 상담) 학생·학부모 행사장 등을 방문하여 대면기회 및 상담의 장 확대를 통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 지역사회 여건에 맞는 인적, 물적 기반을 활용한 상담 서비스 제공

-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상담 서비스 제공

※ 학부모회위원, 또래상담원 등 학교구성원 중심 상담을 통해 학생·학부모 상담 유도

※ 교육청 진로캠프 행사 등의 사업에 학부모 참여 극대화를 통한 상담 유도

3) 추진방법

❍ 전문인력이 없는 관계로 상담실 근무 교사와 보건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상담 및 심리 관련 전공

대학생 참여 확대를 통해 위기 학생 지원을 위한 멘토로 적극 활용

❍ 학업중단(위기) 학생 및 복교생 대상 특별상담 관리

- 교육지원청 및 단위학교별 학업중단 학생 현황 관리

- 여성가족부 CYS-Net과 연계한 상담 및 ‘학업중단숙려제’ 운영 등을 통해 위기 학생 지원

※ 학업을 중단할 의사가 있거나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시·도교육청이 자체 수

립한 운영기준에 따라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로 상담 의뢰하여 학업중단 숙려제 지원

❍ 보건교사 협조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 상담 자료로 활용

- 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 우울·ADHD·자살 징후 등 문제징후 학생에 대해 담임교사 면담과 Wee클

래스 연계를 통한 예방적 상담 적극 실시

- 전문가에 의한 심리·치료가 필요한 우선관리군 학생과 학교부적응 학생을 구분하여 Wee센터, 보건

복지부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등과 연계하여 상담․치료 지원

- 필요하다면 지역사회 마음치료센터(정신건강센터)에 의뢰하여 상담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