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기 경기도 지역보건의료계획 · 2019-10-03 · 가-6. 치매관리사업 가-6-1)...

200
6기 경기도 지역보건의료계획 2017 년 시행결과 및 2018 년 시행계획

Upload: others

Post on 14-Aug-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경 기 도

    제6기 경기도 지역보건의료계획2017년 시행결과 및 2018년 시행계획

  • 목 차

    Ⅰ. 지역사회 현황분석 ······························································· 1

    Ⅱ.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추진체계 ··································· 2

    Ⅲ. 분야별 주요 성과지표 및 목표 ········································ 3

    Ⅳ. 분야별 중장기 추진 과제 ··················································· 5

    Ⅴ. 추진과제별 세부사업 결과 및 계획 ································ 6

    가. 지역주민 건강 향상을 위한 지역보건서비스 ······················ 6

    가-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6

    가-2.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13

    가-3. 감염병별 체계적 맞춤형 대응··············································· 18

    가-4. 정신보건사업············································································· 28

    가-5. 자살예방사업············································································· 30

    가-6. 치매관리사업············································································· 32

    가-7. 암관리사업················································································· 38

  • 가-8. 건강검진사업·········································································· 41

    가-9. 병상수급계획·········································································· 44

    가-10. 공공보건의료사업································································ 50

    가-11. 지역응급의료계획································································ 52

    나. 지역보건 전달체계 구축 및 활성화 ································· 62

    나-1) 지역보건 전달체계 개선······················································ 62

    나-2) 지역사회 자원협력 및 역량 강화······································ 65

    다. 지역보건기관 자원 재정비 ················································· 68

    다-1) 조직 및 체계정비·································································· 68

    다-2) 시설, 장비 확충 및 보강계획············································· 75

    다-3) 인력확충계획·········································································· 77

    Ⅴ-1. 감염병 위기관리 대책 ·········································· 78

    Ⅵ. 道 관할지역 추진과제‘17년 지원결과 및‘18년 지원계획 ··· 138

    Ⅶ. 통합지원단‘17년 운영결과 및‘18년 운영방향 ······· 142

    Ⅷ.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활동 ··········································· 145

    부 록(각종통계) ································································ 148

    ○ 암, 감염병, 의료기관, 지역사회건강조사, 자살현황

  • - 1 -

    Ⅰ. 지역사회 현황분석

    인 구

    ❍ 경기도 인구는 2017년 12,728천 명으로 매년 1~2%씩 증가하고 있으며, 전국 대비 25%를 차지함. 경기도는 전국보다 출생률은 높고, 사망률은

    낮은 편임

    ❍ 2018년에는 40∼49세의 인구가 가장 클 것으로 추계됨. 장년층 및 노년층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짐

    사망률

    ❍ 전국 연도별 사망순위는 큰 변화가 없었고,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폐렴, 고의적 자해(자살) 순이었음

    ❍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률은 경기도가 23.0명(인구10만명당)으로 전국 평균 25.6명보다 낮음(‘16년 기준)

    유병률

    ❍ 경기도 고혈압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은 20.7%로 전국 19.7%보다 높았음❍ 경기도 당뇨병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은 8.1%로 전국 7.9%보다 높았음❍ 암발생률 및 암사망률 등 전반적인 암 관련 지표가 전국평균 이하로 긍정적인 추세를 보이나 일부 암종(유방암 및 전립선암 발생률, 대장암

    및 유방암 사망률)에서는 전국 평균을 상회함

    ❍ 경기도 정신질환 유병자는 1,320천 명으로 추정되며, 알코올 의존·남용 유병자가 34만명, 불안장애가 66만명 수준으로 추정됨

    ❍ 경기도 65세 이상 인구 수의 약 9.95%(142천명)가 치매로 추정됨

    생활습관

    ❍ 2016년 현재흡연율은 22.1%로 전국 22.5%에 약간 낮은 편임❍ 경기도 고위험 음주율은 18.1%로 전국 18.6%와 약간 낮은 편임❍ 2016년 경기도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5%로 전국 22.2%에 비해 낮은 편임

    ❍ 2016년 경기도 비만율은 27.5%로 전국 27.9%에 비해 약간 높은 편임❍ 2016년 65세 이상 저작불편 호소율은 경기도가 38.9%로 전국 44.2%에 비해 낮은 편임

    ❍ 운전 시 안전벨트 착용률은 경기도가 88.4%로 전국 84.1%에 비해 높은 편임

    ❍ 스트레스 인지율은 30.3%로 전국 28.0%보다 약간 높았음❍ 우울감 경험률은 경기도가 6.5%로 전국 5.5%에 비해 약간 높은 편임

  • - 2 -

    II.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추진체계

  • - 3 -

    III. 분야별 주요 성과지표 및 목표

    추진과제 주요 지표명

    2015목표

    2016목표

    2017목표

    2018목표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 수정

    1.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기대여명(세) 82.7 82.4 83 82.4 83.3 82.4 83.6 -

    성인 남자 흡연율(%) 40 39.8 38 40 36 40 34 39

    고위험음주율(%) 18.8 18.8 18.7 18.8 18.6 18.8 18.5 18.8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21.4 22.1 22.8 20.4 24.2 20.4 25.6 -

    걷기 실천율(%) 43.6 41.5 45.5 43.5 47.4 43.5 49.3 -

    건강 식생활 실천 인구비율(%) 33 37.3 33.4 42.9 34 42.9 34.5 45

    적정체중(18.5≤BMI

  • - 4 -

    추진과제 주요 지표명

    2015목표

    2016목표

    2017목표

    2018목표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 수정

    4. 정신보건, 자실예방 및 치매관리사업

    중증정신질환자 등록관리율(%) 12.4 11.7 12.0 13 12.6 15 13 15.5

    도 자살률1)(명/인구십만명당) 27.9 25.7 25.2 25.3 24.8 23.0 24.3 22.4

    청소년2)자살률(명/인구십만명당) 7.4 4.0 6.2 3.6 5.5 4.9 5.3 4.8

    중장년3)층자살률(명/인구십만명당)

    28.3 28.5 26.2 27.0 24.8 24.4 24.0 23.1

    노인4)자살률(명/인구십만명당) 72.7 61.3 61.0 64.6 62.2 55.5 60.2 46.9

    치매조기검진율(60세이상)(%) 18.0 12.0 14.0 12.5 14.0 12.5 14.5 16.0

    치매등록관리(명) 45,000 47,077 47,000 48,758 48,000 55,880 50,000 68,570

    치매파트너(명) 15,000 22,207 18,000 20,172 20,000 22,713 22,000 27,000

    5. 암 관리 사업

    암 검진 수검률(%) 41.74 42.98 43.00 46.04 46.05 42.86 46.10 43.00

    재가암환자 관리인원(명) 9,240 9,617 9,650 9,518 9,600 9,461 9,650 9,600

    암 교육・정보제공(명) 10,000 10,998 11,000 14,807 12,000 11,178 13,000 12,000암환자 프로그램 보건소 지원(개소)

    4 6 7 7 10 10 15 -

    6. 건강검진 사업

    일반건강검진수검률(%) 44.7 36.5 44.7 37.7 44.7 36.4 44.7 38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수검률(%) 58.7 44.7 58.7 46.3 45.5 43.4 45.6 45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률(%) 69.5 65.3 69.5 61.6 63.4 61.7 63.5 63

    7. 공공보건 의료사업

    취약계층 진료비 지원(명) 34,000 35,814 35,000 35,631 35,000 36,550 35,000 36,000

    중증장애인 치과 진료소 운영(명) 3,400 3,101 3,500 4,222 4,390 4,668 4,570 4,700

    가정간호(명) 17,000 19,810 18,000 16,275 18,000 16,690 18,000 -

    무료이동진료(명) 46,000 33,250 47,000 31,326 47,000 27,854 47,000 30,000

    8. 지역응급 의료계획 심정지 생존율(%) 6 6.8 7 8.2 5.8 미정 9 6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인 경우 당해연도가 아닌 전년도 통계로 발표됨. 따라서 자살률의 목표·실적은 전년도 실적(자살률)으로 기입함.

    2) 10~19세 기준으로 함.3) 2015~2017년은 목표·실적은 20~64세 기준이었으나 2018년 수정목표는 20~59세를 기준으로 함.

    4) 2015~2017년은 목표·실적은 65세 이상 기준이었으나 2018년 수정목표는 60세 이상을 기준으로 함.

  • - 5 -

    Ⅳ. 분야별 중장기 추진과제추진분야 (중장기) 추진과제 (세부)사업명

    가. 지역주민건강 향상을 위한 지역보건서비스

    가-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가-1-1) 독거노인 건강관리사업

    가-1-2)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가-2.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가-2-1)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가-3. 감염병별 체계적 맞춤형 대응 가-3-1)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가-3-2) 급성감염병 관리

    가-3-3) 결핵관리사업

    가-3-4) 국가예방접종사업

    가-3-5)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구축가-4. 정신보건사업 가-4-1) 정신건강증진사업가-5. 자살예방사업 가-5-1) 자살예방사업가-6. 치매관리사업 가-6-1) 치매 조기검진사업

    가-6-2) 가족사랑 이음센터(치매안심센터 연계 운영)

    가-6-3) 광역치매센터 운영가-7. 암관리사업 가-7-1) 국가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의료비 지원가-8. 건강검진사업 가-8-1) 건강검진사업가-9. 병상수급계획 가-9-1) 병상수급계획가-10. 공공보건의료사업 가-10-1) 공공보건의료사업가-11. 지역응급의료계획 가-11-1) 경기도 心사랑 사업

    가-11-2) 경기도 급성심·뇌혈관 권역화 모델 개발

    가-11-3) 재난 응급의료 지원체계 구축

    나. 지역보건 전달체계 구축 및 활성화

    나-1. 지역보건 전달체계 개선 나-1-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나-2. 지역사회 자원협력 및 역량 강화 나-2-1) 부문간 협력 강화

    나-2-2) 도의 리더십 강화

    나-2-3)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

    다. 지역보건기관 자원 재정비

    다-1. 조직 및 체계정비 다-1-1) 보건국 분리 신설 (안)

    다-1-2) 보건복지국 감염병관리과 1팀 증설(안)다-2. 시설장비 확충 및 보강계획 다-2-1) 공공의료기관 및 보건소 시설확충

    다-2-2) 장비 확충다-3. 인력확충계획 다-3-1) 인력의 양적 확충 및 질적 강화계획

  • - 6 -

    Ⅴ. 추진과제별 세부사업 결과 및 계획

    가. 지역주민 건강 향상을 위한 지역보건서비스 가-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가-1-1) 독거노인 건강관리사업

    가) 추진배경

    ❍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해 독거노인 수 증가에 따라 노인층의 건강과 생활기능유지를 위한 예방적 중재 필요성 대두

    ❍ 가정방문이 필요한 취약계층이 건강, 복지 등 복합적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요구를 감안하여 보건‧복지 원스톱서비스 제공 필요

    ❍ 빈곤, 고령, 질병, 장애 등 건강위험요인이 큰 취약계층의 건강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정방문을 통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독거노인관리대상수(명)

    10,500 9,868 11,000 11,812 11,500 13,294 12,000 13,000

    연간 독거노인방문횟수(회)

    52,500 48,629 55,000 65,106 57,500 72,112 60,000 65,000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② 성공 또는 부진요인, 사업개선 방향

    ❍ 지역사회 의료자원 연계를 통한 의료취약계층 적극 발굴 및 대상자별 맞춤형 방문서비스 실시로 지역사회 건강형평성 제고

    ❍ 시․군 방문건강관리사업 우수사례 발굴 및 공유 필요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달성도(%)(실적/목표)

    2018 (수정)목표

    독거노인 관리대상 수(명)

    11,500 13,294 115.6 13,000

    자살에 대한생각률(%)

    11.6 10.7 92.2 11.6

    보건소 내외연계 건수 (회)

    3.5 3.5 100 3.5

    연간 독거노인방문횟수(회)

    57,500 72,112 125.4 65,000

  • - 7 -

    라) 주요사업내용

    ① 내용

    ② 연계・협력 ❍ 지역자원들과 MOU를 체결하여 지역사회 자원들을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및 독거노인

    건강관리 활성화

    ❍ 방문간호사 1인당 30명의 독거노인 관리를 통한 중재프로그램으로 신체적․정신적 건강 향상 ‧ 신체적 건강 : 병의원 방문횟수 및 허약상태 감소 ‧ 정신적 건강 : 사회적지지 활동 증가로 자살에 대한 생각 및 노인우울검사 감소와 인지 기능점수 향상

    ❍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방문건강관리) 전문 인력 교육 ・ 사업담당자, 전문 인력 대상 전문 인력 교육 4회 실시(574명) ③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문헌고찰

    매뉴얼 확산프로그램 교육

    보건소 견학

    중재방법 사례 조사

    포커스그룹 인터뷰경기도 담당자와 협의

    실무자 간담회

    전문가 자문회의

    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우수사례 경연대회

    우수사례 수집

    연구 성과 발표회 및 최종보고

    대상자 발굴 방문간호인력 역량 강화 표준관리지침 개발

    ∙ 유관부서와 연계 체계 구축강화

    ∙전문교육을 통한 실무 역량강화

    ∙ 전문가(의료, 사회복지, 보건등)활용

    ∙서비스 관리에 대한 홍보강화

    ∙정기적인 현장 방문을 통해기술지원

    ∙대상자 집단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우수사례 조사 및 우수대상자 발굴 담당자 포상

    ∙방문건강관리사업 중간평가실시

    ∙대상자 개별관리매뉴얼개발 및교육

  • - 8 -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투 입 2017년 2018년

    인 력(명)

    사업단 2 2

    경기도담당인력 1 1

    시․군 방문 전문인력 410 429

    ※ 예산 :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에서 예산만 분리 편성

    바) 자체평가방안

    ❍ 자체평가에 의한 평가 - 현장방문에 의한 중간평가 ❍ 만족도 조사 등 서면평가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최지현 건강증진과 지역보건팀 031-8008-4378

  • - 9 -

    가-1-2)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가) 추진배경

    ❍ 아토피‧천식 아동이 일반 아동과 같은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알레르기 증상 완화 기회 상실

    ❍ 아동기에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성인기 중증 질환으로 이행, 경제적 부담 손실 초래, 환자와 가족, 사회의 부담이 모두 증가

    ❍ 따라서 국가적 차원 및 도 차원에서의 아동기 알레르기 질환관리를 위한 체계 구축 및 전략 수립이 필요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아토피·천식안심학교운영지원(개교)

    420 463 460 533 460 640 480 650

    아토피·천식예방관리교육지원(회)

    120 157 150 152 140 113 150 150

    알레르기질환상담건수(건) 2,500 4,808 4,000 5,108 3,500 4,876 4,000 4,000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주요성과지표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

    (실적/목표)

    2018 (년)

    수정 목표아토피·천식안심학교 참여학교 460 640 139 650

    기 지정(인증) 안심학교 관리 52 44 85 45

    추가지정 희망 안심학교 관리 5 16 320 10

    안심학교 유병조사 DB 관리(개교) 57 473 829 470아토피·천식예방관리 교육지원 140 113 81 150

    알레르기질환 상담건수 3,500 4,876 139 4,000

    교육․홍보자료 제공(부) 150,000 157,165 105 160,000

    천식발작 응급키트 제공(개) 150 267 178 250신규 교육자료 개발(건) 1 1 100 1

    앱, 홈페이지 운영(접속수) 150,000 263,123 175 200,000

    SNS 운영(구독/조회수) 43,000 46,318 108 44,000

    매체 홍보(건) 60 100 167 70홍보부스 운영(회) 2 4 200 3

    심포지엄(회) 0 0 0 0

  • - 10 -

    ② 성공 또는 부진요인, 사업개선 방향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운영을 통해 도-보건소-학교 및 지역사회 간 상호연계로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의 효율적인 운영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증가(2016년 533개교→ 2017년 640개교)에 따른 교육자료 제공 및 교육 지원 등의 수요 증가로 홍보부스 운영, 심포지엄 개최 실적 저조

    ⇒ 2017년에도 안심학교 수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홍보부스 운영과 심포지엄 횟수를 조정하여

    교육자료 제공 및 교육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목표 수정

    ❍ 아토피‧천식 아카데미 참석 학교에 한해 천식발작 응급키트를 제공하나, 아카데미 참석이 어려운 학교가 많아 천식발작 응급키트 제공률 저조

    ⇒ 아카데미 참석이 어려운 학교에 대해「찾아가는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교육을 실시

    함으로써 천식발작 응급키트 보급 확대 추진

    라) 주요사업내용

    ① 내용

    아토피 천식안심학교 운영지원

    아토피 천식예방관리 교육지원

    교육 홍보자료개발 및 제공

    아토피 천식예방관리 홍보

    ∙인증안심학교프로그램참여학교관리 ∙전문상담교육 ∙교육홍보자료제공

    ∙매체활용홍보- 홈페이지, SNS, 앱운영

    ∙기지정(인증) 안심학교관리 ∙구급대원, 의료인,

    보건교직원보건소담당자교육

    ∙ 천식발작 응급키트제공

    ∙보건소행사시홍보부스운영∙추가지정희망안심

    학교관리

    ∙지역주민교육강좌 ∙ 신규 교육홍보자료개발∙안심학교유병조사데이터베이스관리

    ② 연계・협력

    구 분 자 원 목 록 내 용

    협력체계시군구 보건소, 타 광역 아토피·천식교육정보센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한국천식알레르기 협회 도(센터)를 중심으로 연계 및

    협력관계 유지, 자원 활용을 통한

    사업의 효율성 증대지역사회자원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교육청, 소방서,지역사회 내 기타 유관기관 등

    보건의료자원 병의원, 학·협회, 의사회, 간호사회,보건관련 센터 등

  • - 11 -

    ③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아카데미계획수립및교육실시

    안심학교 운영 지원안심학교 인증 지원

    예방관리 교육지원

    알레르기 질환상담

    신규 교육·홍보자료 개발기존 자료 활용 개발

    교육홍보자료 제작 및 보급

    SNS, 블로그, 앱 등 운영

    행사 연계 매체 홍보평가대회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예 산

    주 요 사 업소요 예산(천원)

    2017년 2018년

    안심학교 운영지원 사업비 11,560 23,400

    예방관리 교육지원 사업비 14,250 14,200

    교육·홍보자료 개발 및 제공 사업비 56,690 70,790

    예방관리 홍보사업비 25,200 26,500

    ❍ 인력

    구분 자격 전문분야 고용형태 인력수

    센터장 알레르기 전문의 센터운영 및 사업 총괄,아토피·천식 사업자문 비상근(계약직) 1

    센터직원간호사 사업진행, 상담 및 강의 상근(계약직) 4

    행정 홍보 및 예산 등 행정 상근(계약직) 1

    총 계 6

  • - 12 -

    바) 자체평가방안

    구분 내용

    아토피·천식 안심학교운영지원

    질적평가 보건·보육교사 설문조사 현황인증 안심학교 평가

    양적평가 인증 안심학교 지원안심학교 유병조사 DB관리

    아토피·천식 예방관리교육지원

    질적평가보건소 담당자 설문조사 현황지역사회주민 설문조사 현황전문 상담 만족도 조사

    양적평가

    보건소 담당자 및 보건보육교사 교육지역주민 교육소방방재청 구급대원 의료인 교육소규모 환자·보호자 교실센터직원 직무교육전문 상담

    교육·홍보 자료 개발 및제공

    질적평가 자문위원/학·협회/질병관리본부 감수

    양적평가신규 개발기존 자료 활용 개발교육·홍보자료 배부 수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홍보질적평가 센터 홍보 정성평가지역사회네트워크 구축 정성평가

    양적평가 센터 홍보지역사회네트워크 구축

    기타 양적평가 평가대회 개최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최지현 건강증진과 지역보건팀 031-8008-4378

  • - 13 -

    가-2.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가-2-1)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가) 추진배경

    ❍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 질병부담 1위를 차지하며, 고혈압과 당뇨병은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으로 고혈압 유병률은 2016년 29.1%로 2015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이고 당뇨병 유병률 역시 2015년까지 9%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6년부터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2016 국민건강통계)

    ❍ 경기도의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경기도 22.9%, 전국 25.2%), 당뇨병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경기도 9.0%, 전국 10.5%)은 전국보다 낮았

    으나, 고혈압 약물치료율(경기도 87.1%, 전국 90.3%)과 당뇨병 치료율(경기도

    86.5%, 전국 88.7%)이 전국 수준보다 낮아 적극적인 고혈압과 당뇨병의 관리가

    요구됨. 또한 현재흡연률(경기도 21.8%, 전국 20.9%)과 월간음주율(경기도 61.0%,

    전국 57.4%)은 전국과 비슷하거나 높아 고혈압‧당뇨병 관리에 필수적인 건강행태가 적절하지 못함

    ❍ 따라서 국가 차원 및 도 차원에서 고혈압․당뇨병을 비롯한 심뇌혈관질환의 지속적인 예방관리 체계 구축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함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고혈압 조절율(유병자기준)1) 43.8 46.2 44 46.5 47 46.5 48 46.7

    당뇨병 조절율(유병자 기준)1) 29.3 26.6 26.3 32.9 27.6 32.9 29 29

    고혈압 약물치료율(30세 이상)2) 89 86.6 88 87.1 88.6 87.1 90 87.5

    당뇨병 치료율(30세 이상)2) 90.5 83.5 87 86.5 87 86.5 89 88

    고혈압 관리교육이수율2) 32.8 25.6 32 25.9 28 25.9 30 27

    당뇨병 관리교육이수율2) 42.8 36.6 43 38.3 38 38.3 40 39

    (단위 : %)

    1) 2016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2017 2) 2016 지역사회 건강통계(경기도), 2017

  • - 14 -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1) 2016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2017 2) 2016 지역사회 건강통계(경기도), 2017 ② 성공 또는 부진요인, 사업개선 방향

    ❍ 당뇨병 조절률과 당뇨병 관리교육 이수율은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이는 그동안 일차의료기관 및 건강보험공단과 연계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에서 당뇨병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지속적인 교육홍보사업을 수행한 결과로 판단됨. 지표가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체계적, 장기적인 교육홍보사업 계획 및 실행이 요구됨

    ❍ 고혈압 조절률, 고혈압 약물 치료율, 당뇨병 치료율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음. 이는 고혈압과 당뇨병 치료율의 경우 60세 이상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나, 30대

    와 40대의 치료율이 30-70% 수준으로 현저하게 낮기 때문임. 따라서 젊은 연령대의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주요 타깃으로 하는 맞춤형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을

    개발‧확산해야 하며, 특히 뉴미디어 중심으로 체계적 홍보, 확산, 관리 체계 요구됨 ❍ 또한 고혈압 관리교육 이수율 역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50대

    이상이 24~26%로 30~40대의 28~29%에 비하여 낮기 때문. 따라서 50대 이상을

    대상으로 고혈압 관리교육의 필요성을 중점적으로 홍보하고, 현황 분석 및 요구

    도 조사에 기반한 장기 전략이 필요함

    ❍ 향후 젊은 층 대상의 교육콘텐츠 개발 전략 및 50대 이상 대상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의 중요성 홍보 전략을 수립하고, 심뇌혈관질환 고위험자 및 유질환자가

    스스로 질환관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확산할

    예정임

    주요성과지표2017 목표

    (%)

    2017 실적

    (%)

    달성도(%)

    (실적/목표)

    2018목표 수정

    고혈압 조절율(유병자기준)1) 47.0 46.5 98.9 48.0 46.7

    당뇨병 조절율(유병자 기준)1) 27.6 32.9 119.2 29.0 29.0

    고혈압 약물치료율(30세 이상)2) 88.6 87.1 98.3 90.0 87.5

    당뇨병 치료율(30세 이상)2) 87.0 86.5 99.4 89.0 88.0

    고혈압 관리교육이수율2) 28.0 25.9 92.5 30.0 27.0

    당뇨병 관리교육이수율2) 38.0 38.3 100.8 40.0 39.0

  • - 15 -

    라) 주요사업내용

    ① 대상

    - 경기도 고혈압‧당뇨병 유질환자 및 고위험자 - 경기도 보건소 및 고혈압‧당뇨병등록교육센터 담당자 및 실무자 ② 내용

    고혈압․당뇨병환자등록교육모델구축및평가

    지역사회기반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확산

    고혈압·당뇨병교육·홍보전략개발및통계생산

    ∙ 5개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모니터링

    ∙경기도각시군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구축

    ∙근거기반고혈압·당뇨병교육자용교육자료개발및배포

    ∙ 1차의료기관을연계한등록관리시스템운영지원

    ∙교육상담표준화교육자료, 상담매뉴얼개발및제공

    ∙근거기반고혈압·당뇨병환자용교육자료개발및배포

    ∙등록의료기관연계상시교육및상담운영지원

    ∙교육상담체계확산및모니터링∙온라인및미디어기반고혈압·당뇨병자가관리정보배포

    ∙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전문인력교육

    ∙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사업효과평가

    ∙당뇨병환자건강정보문해력조사분석

    ㉮ 고혈압‧당뇨병 환자 등록교육모델 구축 및 평가○ 5개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모니터링(광명, 남양주, 부천, 안산, 하남)○ 5개시 소재 1차 의료기관 연계 등록관리시스템 운영 지원

    ○ 5개시 등록 의료기관 연계 상시교육 및 상담 운영 지원

    ○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전문인력 교육- 고당센터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심화이론교육, 통합워크숍, 건강상담워크숍, 당뇨

    병자가관리 워크숍 실시

    ㉯ 지역사회 기반 고혈압‧당뇨병 교육상담 표준화모델 확산○ 고혈압‧당뇨병 교육상담 표준화모델 구축 및 확산- 2013년에 개발된 고혈압‧당뇨병 교육상담 표준화모델을 2014년부터 실시, 총 37개 보건소에서 표준화사업 실시(신규 12개 보건소 포함)

    ○ 교육자료 및 상담 매뉴얼 제공

    - 표준화사업 운영매뉴얼 및 교육상담에 필요한 주교재 및 부교재 총 14종

    제공

    ○ 교육상담체계 확산 및 모니터링

    - 교육상담 모니터링(연 4회), 운영회의(연 2회), 월례회의(연 2회) 및 상시 업

    무지원 실시

    - 고당센터와 표준화사업지역 보건소의 멘토링 시스템 구축

  • - 16 -

    ○ 고혈압‧당뇨병 교육상담 표준화사업 효과평가- 5기 표준화사업 참여자 중 교육상담 프로그램 이수자를 대상으로 지식도,

    자가관리 실천도, 자가관리 자기효능감의 교육전후 차이 비교

    ㉰ 고혈압‧당뇨병 교육‧홍보전략 개발 및 통계 생산○ 고혈압‧당뇨병 교육자용 교육자료 개발 및 배포- 실무자를 위한 이상지질혈증 교육모듈 개발 및 온라인 배포

    ○ 고혈압‧당뇨병 환자용 교육자료 개발 및 배포- 닥터순의 Talk 당뇨병① 개발 및 온라인 배포

    - 똑똑한 환자 시리즈5(이상지질혈증 편)개발 및 온라인 배포

    - 환자용 고혈압‧당뇨병 워크북 및 이동형 교육자료 온라인 배포- 환자용 교육홍보자료(6종) 공동 제작

    ○ 온라인 및 기반 고혈압‧당뇨병 자가관리정보 배포- 경기도 고혈압‧당뇨병 광역교육센터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운영- 국민보건캠페인 해피투게더 공중파 라디오(EBS) 음원 송출

    - 국민보건캠페인 해피투게더 동영상 제작 및 유튜브 업로드

    ○ 당뇨병환자 대상 건강정보 문해력 조사‧분석- 44개 보건소의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정보 문해력(Health Literacy)을 조사‧분석 하여 환자용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③ 연계・협력㉮ 고혈압‧당뇨병 환자 등록교육모델 구축 및 평가○ 공공기관, 의료기관 및 약국, 의사회, 약사회 등과 연계하여 고혈압‧당뇨병 환

    자의 조기발견 및 등록관리사업의 효과적 추진 도모

    ㉯ 지역사회 기반 고혈압‧당뇨병 교육상담 표준화모델 확산○ 건강보험공단 및 시청, 주민센터 등과 연계하여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조기발

    견과 체계적 교육상담 프로그램 수행

    ㉰ 고혈압‧당뇨병 교육‧홍보전략 개발 및 통계 생산○ 경기도 내 광역센터 및 지원단, 공중파 라디오 방송사와 연계하여 국민보건

    캠페인 해피투게더를 진행,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사업 홍보의 확산 기여

  • - 17 -

    ④ 추진일정(2018)

    세부 사업내용 추진일정(월)1 2 3 4 5 6 7 8 9 10 11 12

    고혈압당뇨병환자등록교육모델구축및평가

    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사업모니터링의료기관연계등록관리시스템운영지원의료기관연계교육및상담운영지원고당등록교육센터전문인력교육

    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확산

    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구축교육상담표준화교육자료제공교육상담체계확산및모니터링교육상담실무자역량강화

    고혈압당뇨병교육홍보전략개발및통계생산

    근거기반교육자용교육자료개발및배포근거기반환자용교육자료개발및배포온라인및미디어기반자가관리정보배포당뇨병환자건강정보문해력조사분석

    마) 자원투입 현황 및 계획

    ❍ 예 산(단위:백만원)

    주 요 사 업예 산

    2017 2018고혈압당뇨병환자등록교육모델구축및평가 10 15지역사회기반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확산사업 16 18고혈압·당뇨병교육·홍보전략개발및통계생산 52 45

    ❍ 인 력

    인력현황(총 5인)

    센터장(비상근) 1 예방의학 전문의, 보건학박사팀장 1 보건학박사기획·기술지원팀 2 간호학석사, 영양학석사홍보개발팀 1 영양학석사분석평가팀 1 보건학석사

    바) 자체평가방안(2018)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김수진 건강증진과 지역보건팀 031-8008-4320

    추진 과제 세부 지표 목표

    고혈압당뇨병환자등록교육모델구축및평가

    고혈압등록관리사업모니터링 4회의료기관연계등록관리시스템운영지원 상시의료기관연계상시교육및상담운영지원 상시고혈압당뇨병등록교육센터전문인력교육 6회

    지역사회기반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확산

    고혈압당뇨병교육상담표준화모델구축 총 37개 보건소교육상담표준화교육상담자료개발및제공 총 15종교육상담체계및운영현황모니터링 총 37개 보건소교육상담실무자대상역량강화 6회

    고혈압당뇨병교육홍보전략개발및

    통계생산

    교육자용개별교육자료개발및배포 상시환자용개별교육자료개발및배포 상시기반고혈압당뇨병자가관리정보배포 상시당뇨병환자건강정보문해력조사및분석 1회

  • - 18 -

    가-3. 감염병별 체계적 맞춤형 대응 가-3-1)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가) 추진배경

    ❍ 道 차원의 주요 감염병 관리를 위한 감시체계 역량 강화 필요❍ 감염병 발생보고 및 역학 조사 등 지역사회 초동 대처 능력 향상 필요❍ 감염병 관리 위한 보건의료기관의 교육·홍보 지원 강화

    나) 목표달성도

    주요성과지표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실적/목표)

    2018년목표 수정

    원인병원체규명률(%) 69 65 94 77 70

    ※ 성공요인 : 신속·정확한 역학조사 실시로 원인병원체 규명률 향상

    다) 주요사업내용

    1) 지역보건서비스 내용

    ❍ 사업주체 : 도 및 44개 보건소 ❍ 추진일정 : 연중 ❍ 사업대상 : 전 도민 및 학교·의료기관 등 ❍ 주요내용 : 감염병 발생 감시 및 예방홍보 관리, 역학조사 실시 2) 지역보건 전달체계 구축 및 활성화

    ❍ 도 및 시군보건소 담당자 역량 강화 - 기간 : 2018.3월~10월

    - 대상 : 총 47명(도2, 시군45)

    - 내용 : 지자체 감염병 예방관리 역량강화 교육(FETP) 실시

    * 2018년부터 FMTPⅡ(예방관리사업 중심) 교육에서 FETP(현장대응 중심)으로 전

    환하여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에서 교육 실시

    ❍ 도 역학조사관 및 감염병관리지원단 역학조사반원 역량 강화 - 기간 : 2018.4월~12월

    - 대상 : 도 역학조사관 및 감염병관리지원단 등 역학조사반원

    - 내용 : FETP(역학조사관 양성교육) 기본교육 및 지속교육 실시

    ❍ 경기도 감염병 주간 소식지 발간 및 홍보 - 기간 : 2018.1월~12월 (50주)

    - 대상 : 전 도민 및 학교·의료기관 등 질병모니터링기관

  • - 19 -

    - 내용 : 해당 주차 주요 감염병 발생 현황 및 유행 예보

    * 道 감염병 홈페이지(http://www.gidcc.or.kr/kr) 게시 ❍ 보건소 및 의료기관 감염관리 세미나 개최 - 일정/장소 : 2018.7월 중/ 헬스케어혁신파크(성남 분당)

    - 대상 : 보건소 및 의료기관 감염병 담당자 100여 명

    - 내용 : 감염병 예방관리 및 병원감염관리 교육 실시

    3) 추진일정

    세부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FETP 교육

    역학조사관 등 역량강화주간 소식시 발간

    세미나

    라)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인력/시설 : 총12명/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 * 인력 : 道 역학조사관 2, 지원단 9(예방의학 교수 1, 연구원 8) ❍ 사업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명 2017년 예산 2018년 예산

    계 761 772

    감염병관리지원단 운영비(1개소 10명) 600 611

    감염병전문가 FMTP교육(도 보건소 담당자 45명) 161 161

    바) 자체평가방안

    ❍ 홍보사업 등 추진 결과 및 역학조사 원인규명률 등 자체 평가 ❍ 감염병관리지원단 사업보고 평가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유권수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정책팀 031-8008-5424

    이인숙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조사TF팀 031-8008-5429

    김철희 감염병관리과 위기대응팀 031-8008-5436

  • - 20 -

    가-3-2) 급성감염병 관리

    가) 추진배경

    ❍ 최근 기후 온난화로 쯔쯔가무시증, 유행성이하선염, 수두, 성홍열 등 급성 감염병의 지속적 증가로 감염병별 맞춤형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도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함

    나) 목표달성도

    주요성과지표2017년목표

    (명)

    2017년실적

    (명)

    달성도(%)

    (실적/목표)

    2018년목표 수정

    말라리아 발생률(위험지역 인구10만명당)

    2.75 2.42100

    *발생율 저감 12%초과달성

    0.8 2.5

    ※ 성공요인 : 취약지 집중방역 및 말리리아 환자 완치 등 말라리아 퇴치사업 지속 추진

    다) 주요사업내용

    1) 지역보건서비스 내용

    ❍ 사업주체 : 도 및 44개 보건소 ❍ 추진일정 : 연중 ❍ 사업대상 : 전 도민 및 학교·의료기관 등 질병모니터링기관 ❍ 주요내용 : 감염병 발생 신속 파악, 예방 및 확산방지 등 조치 2) 지역보건 전달체계 구축 및 활성화

    ❍ 하절기 비상방역 근무 실시 - 기간 : 2018. 5월 ~ 9월

    - 대상 : 총 46명(도2, 시군 보건소 44)

    - 내용 : 감염병(집단설사) 등 특이상황 발생 감시 및 일일보고

    ❍ 질병정보 모니터망 운영 - 기간 : 연중

    - 대상 : 병의원, 약국, 학교 등 질병모니터요원 6,618명

    - 내용 : 관내 모니터망 연계 및 감염병 발생현황 확인(질병모니터요원 3~6월 중

    1회 교육 실시)

    ❍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구성 운영 및 위험지역 집단 집중 관리 - 기간 : 2018.1.1.~2018.12.31.

    - 대상 : 11개 시·군(경기북부10개 시군+김포시)

    - 내용 : 말라리아 예방사업 및 환자관리의 효율적 추진

  • - 21 -

    3)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급성감염병 관리

    라)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사업인력/시설 : 46개소(도 및 44개 시군보건소) ❍ 인력현황 - 도3, 시·군 보건소 각 1명

    - 질병모니터요원 6,618명

    구분 계 병․의원 약국 산업체보건관리자사회복지시설장

    보 건교 사 기타

    모니터요원 6,618 1,755 140 947 325 2,232 1,219

    ❍ 사업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명 2017년 예산 2018년 예산

    계 3,411 3,534

    말라리아 박멸사업(말라리아 방역차량 및 위험지역 방역) 518 584말라리아 퇴치사업 2,140 2,146

    감염병 예방용 방역약품 구입비 지원 392 441

    DMZ 군부대 등 민간자율방역지원 340 341

    공수병 예방사업 21 22

    마) 자체평가방안

    ❍ 연간 감염병 관리계획 수립 및 실적부진 평가 ❍ 말라리아 등 감염병 예방사업 우수기관 및 유공자 표창 바)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이인숙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조사TF팀 031-8008-5429

    이지혜 감염병관리과 위기대응팀 031-8008-5431

    홍준화 보건위생담당관 질병관리팀 031-8030-3274

  • - 22 -

    가-3-3) 결핵관리사업

    가) 추진배경

    OECD 가입 국가 중 우리나라가 결핵발생률 1위로 결핵환자의 조기발견 및 완치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바, 결핵 취약계층 및 고위험군 결핵검진, 결핵안심국가

    사업 등으로 지역사회 결핵확산 방지 도모

    나) 목표달성도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달성도(%)(실적/목표)

    2018년목표 수정

    인구10만명당 결핵환자 발생률(명) 50 50 100 48 48

    도말양성 결핵환자가족검진율(%) 85 99 116 99 99

    - 성공요인 :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배치된 결핵전문간호사의 환자관리, PPM(민간공공협의회) 의료기관과 도· 시군의 원활한 업무연계 등

    다) 주요사업내용

    ① 대상 : 취약계층 및 결핵 고위험군, 결핵환자 및 접촉자, 결핵 多발생 19개국 외국인,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 종사자 등

    ② 내용

    - 취약계충 및 고위험군 결핵검진(노숙인, 사회복지시설, 65세 이상 노인 등)

    - 대한결핵협회 경기도지부 이동검진차량 검진(흉부 X선 검사)

    - 결핵유소견자 추구관리 및 결과분석

    - 결핵관리 기반 강화

    - 결핵관리 전담인력 배치 운영 : 민간공공협력 의료기관 및 보건소배치

    - 결핵협회 부속의원 기능 강화 : 보건소 결핵관리 자문, 실시간 흉부x선 영상

    원격판독 지원 등

    - 해외유입 결핵관리

    - 결핵 多발생 19개국 외국인 대상 입국 전·후 결핵진단 의무화 - 외국인 근로(예정)자 결핵 및 잠복결핵검진 시범사업(복십자 의원 등 법무부

    지정 의료기관 실시)

    - 월 1회 외국인 밀집지역(축제, 종교행사 등) 결핵 이동검진(진료) 및 홍보

    - 보건소 결핵관리사업

    - 입원명령 환자 지원, 결핵환자 역학조사, 결핵환자 가족 검진, 보건소 결핵환자

    검사 및 진단,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

    - 집단시설(의료기관, 어린이집) 종사자 잠복결핵 검진 실시(약 28,000명)

    - 3개 권역별 민간공공협의회 개최(분기별 1회)

    - 권역별 민간의료기관과 보건소 간 결핵관리 강화

    - PPM사업 미 참여 의료기관 참여 지속적 확대

  • - 23 -

    ③ 연계・협력 - 도내 45개소 결핵관리실 및 27개 민간공공협의회(PPM) 의료기관 - 질병관리본부(결핵·에이즈관리과) - 대한결핵협회 경기도지부 ④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경기도 결핵관리종합계획 수립(3월)보건소 결핵관리사업(1∼12월)결핵관리사업(1∼12월)․취약계층이동검진/결핵소집단 유행검사․결핵협회 복십자의원 운영

    라) 자원투입 현황 및 계획

    ❍ 사업인력/시설 : 도 및 시군 보건소 결핵관리실 45개실 ❍ 인력현황 - 총 135명 (도 4, 시·군 보건소 45명, 보건소 결핵전담간호사 44명, 민간공공협의회

    27개 의료기관 42명

    (단위 : 백만원)사업명 2017년 예산 2018년 예산

    계 9,655 7,262보건소 결핵관리사업(입원명령 환자 지원, 보건소 결핵환자 검사 및 진단,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 결핵환자 가족검진비 등)

    6,319 3,623

    보건소 등 결핵환자관리사업(보건소 결핵전담간호사 44명 배치) 1,396 1,514의료기관 환자관리사업(병의원 PPM 간호사 42명 배치) 1,419 1,354결핵소집단 유행검사비 등 258 258결핵관리사업(결핵예방 홍보, 이동검진, 결핵협회 복십자의원 운영비) 200 444결핵전담간호사 인건비(도 2명) 63 69

    마) 자체평가방안

    ❍ 2018 결핵관리종합계획 수립 및 평가 ❍ 결핵예방사업 우수기관(보건소) 및 유공자 표창 바)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문정원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예방팀 031-8008-5434

    장연화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예방팀 031-8008-5435

    이혜원 보건위생담당관 질병관리팀 031-8030-3273

    심희원 보건위생담당관 질병관리팀 031-8030-3275

  • - 24 -

    가-3-4) 국가예방접종사업

    가) 추진배경

    ①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을 확대하여 보호자의 양육부담을 경감 하고, 접종률을

    향상하여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퇴치 기반 조성

    ② 면역력이 낮은 65세 이상 성인의 인플루엔자 접종률을 향상시켜 질병부담을 감소

    시키고 도민 건강 증진 도모

    나)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달성도(%)(실적/목표)

    2018년목표 수정

    영유아예방접종률(%) 93.0 94.18 101.2 93.5 94.5

    ② 성공 요인

    미접종자에 대한 적극적인 접종 홍보, 위탁의료기관 연계협력

    강화 및 원활한 백신 수급 관리

    다) 주요사업내용

    ① 대상 : 만12세 이하 어린이 및 만65세 이상 성인 ② 내용

    - 도 내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

    ․ 지원백신(17종) : BCG(피내용), B형간염,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IPV(폴리오), 수두, MMR(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일본뇌염(사백신, 생백신),

    Td(파상풍, 디프테리아), DTaP-IPV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DTaP-IPV/Hib(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b형 헤모필루스인플루엔

    자), Tdap(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Hib(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

    균, A형간염,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Flu(인플루엔자)

    ※ 2018년부터 초등학생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확대

    - 65세 이상 폐렴구균(보건소), 인플루엔자(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예방접종 지

    -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양성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수직감염 예방

    에 필요한 예방접종비용 및 검사비용 지원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시 역학조사

    ③ 연계・협력 - 도내 46개 예방접종실 및 민간 위탁의료기관

    - 질병관리본부(예방접종관리과), 백신제조사 및 도매상 등

  • - 25 -

    ④ 추진일정

    세부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위탁의료기관 지도 점검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시피해보상 신청인플루엔자 예방접종사업접종관련 안내문자 발송

    시군구 보건소 담당자 집합교육

    예방접종홍보캠페인(인형극등)합동평가 관리(부진 시군 방문)

    라) 자원투입 현황 및 계획

    ① 사업인력/시설 : 도 및 시군 보건소 예방 접종실 46개실

    ※ 도내 보건소는 44개소이나 시·군 예방접종업무는 46개 예방접종실에서 운영 중

    ② 인력현황

    ■ 도 3명, 시·군 보건소 예방접종실 46명, 이상반응 권역별 역학조사 4명

    ③ 사업예산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2017년 예산 2018년 예산계 167,097 181,349

    도내 위탁 민간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지원백신(17종) : BCG(피내용), B형간염, DTaP, IPV, 수두,MMR, 일본뇌염(사백신, 생백신), Td, DTaP-IPV, TaP-IPV/Hib,Tdap, Hib, 폐렴구균, A형간염, HPV(인유두종바이러스),Flu(인플루엔자)

    139,528 148,404

    65세이상 폐렴구균(도내보건소), 인플루엔자(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등예방접종 지원 25,884 31,267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산모로부터 출생하는 신생아의 주산기 감염예방 지원 506 466

    예방접종 통계관리, 사업추진 업무보조 인력 인건비 지원(보건소 46 도 1) 1,057 1,19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역학조사관 활동비 122 20

    마) 자체평가방안

    ■ 연 1회 (행정안전부 합동평가 지표에 의한 평가)

    바)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김미순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예방팀 031-8008-5433

    정미선 감염병관리과 감염병예방팀 031-8008-5432

    홍준화 보건위생담당관 질병관리팀 031-8030-3274

  • - 26 -

    가-3-5) 신종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가) 추진배경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지카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병 등 신종감염병의

    국내유입과 생물테러를 대비하여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

    나) 목표달성도

    주요성과지표2017년목표

    (회)

    2017년실적치

    (회)

    달성도(%)

    (실적/목표)

    2018년목표 수정

    감염병 대응훈련 수(회) 23 23 100 23

    ※ 성공요인 : 당초 계획된 시·군보건소 전수 훈련 실시

    다) 주요사업내용

    1) 지역보건서비스 내용

    ❍ 사업주체 : 도 및 44개 보건소 ❍ 추진일정 : 하반기(7월~10월) ❍ 사업대상 : 시군보건소 및 유관기관(의료기관, 경찰, 소방 등) ❍ 주요내용 : 신종감염병 위기관리 대응 훈련 및 생물테러 훈련 실시 2) 지역보건 전달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신종감염병 위기대응 훈련(도상훈련) - 일자 : ‘18년 10월 중

    - 장소 : 헬스케어혁신파크(성남시 분당구)

    - 참석인원 : 지역거점병원, 국가지정격리병상 운영병원, 보건소 담당자 및 팀

    장, 보건환경연구원, 지원단 등 관계자 100여 명

    - 주요내용 : 신종감염병대응 전문가 강의 및 도상훈련 실시

    - 주요성과 : 신속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소통‧협력 체계 구축

    ■ 생물테러 대비‧대응 훈련(대규모 1회) - 일시/장소 : ‘18년 9월 중 / 시군 협의

    - 참여기관 : 8개 기관, 200여명(질병관리본부, 경기도, 참여기관 보건소, 관

    할 소방서, 관할 경찰서, 관할 군부대 화생방지원대, 국군수도의무사령부,

    道의료원) - 주요내용 : 생물테러(백색가루) 상황 가정한 실제 훈련 실시

    - 주요성과 : 초동대응기관(민・군・관・경) 합동 공조체계 구축* 기타 20여 보건소 자체 소규모 훈련 계획 수립 및 실시 결과 보고 추진

  • - 27 -

    ③ 추진일정

    세부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신종감염병 현장훈련신종감염병 도상훈련생물테러 대응훈련

    라)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① 사업인력/시설 : 23개소(도 및 44개 보건소 중 22개소)

    ② 인력현황 : 도2, 보건소 각2명

    ③ 사업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명 2017년예산2018년예산

    계 237 280

    감염병위기관리대응훈련(신종감연병대비훈련) 연1회 200여명 15 15

    신종감염병환자격리병상운영지원(국가지정격리병원 2개소) 120 160

    생물테러 이중감시체계 운영지원(7개 의료기관) 32 32

    생물테러대응 교육훈련(21개 보건소) 70 73

    마) 자체평가방안

    ■ 훈련 계획 및 실시결과 보고(중앙평가 연계)

    바)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손인태 감염병관리과 위기대응팀 031-8008-5430

    이지혜 감염병관리과 위기대응팀 031-8008-5431

  • - 28 -

    가-4. 정신보건사업 가-4-1) 정신건강증진사업

    가) 추진배경

      ❍ 도민 4명 중 1명은 우울·불안 등 정신 건강문제 경험자 수 증가 - 중증 정신질환자 유병률(알코올 제외/2017년 말) : 추정인원 99,322명

      ❍ 일반인 68% 정신건강서비스 인지하지 못함 * 15년 정신건강 태도 조사   ❍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 추세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 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중증정신질환자등록관리율(%)

    12.4 11.7 12.0 13 12.6 15 13 15.5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 2018 (수정)목표

    중증정신질환자등록관리율(%)

    12.6 15 119 15.5

    * 2017년 실적

    - 중증정신질환자등록관리율(%) : (중증정신질환자등록인원/추정수5))×100 = 15,731명/99,322 × 100

    ② 성공 또는 부진요인, 사업개선 방향

    ❍ 초발중증정신질환자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을 통한 만성화 예방 ❍ 의료기관 등 지역유관기관에 필요한 정보 공유 등 연계체계 강화 ❍ 개별 서비스 강화 등 사례관리 등을 통한 지속 관리 ❍ 최근 다양한 형태의 자연·인적·사회적 재난 발생 증가 - 세월호, 성남 환풍구 붕괴, 메르스, AI 등 각종 재난 발생 증가

    ❍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재난심리지원 체계 구축·운영 필요 ❍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재난심리지원 체계 구축·운영 필요 라) 주요사업내용

    ① 대 상 : 정신질환자 및 가족, 고위험 정신질환자, 일반인 등

    5) 추정수 : ‘17.12월말 기준 행정자치부 인구수 중 성인인구(18세~74세)

  • - 29 -

    ② 지원내용

    ❍ 중증정신질환자 지원 - 정신질환자 조기발견 및 사례관리, 치료연계, 정신보건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 만성 정신질환자 입소 ‧ 요양 보호, 사회복귀 훈련 실시 - 정신건강 인식개선 사업 : 캠페인 및 교육, 문화행사(음악제, 연극제 등)

    ③ 연계・협력 ❍ 도, 시ㆍ군, 지역정신건강증진센터(자살예방센터) 및 유관기관 간 통합체계 구축을

    통한 정신보건사업 활성화

    ❍ 시ㆍ군 보건소 및 지역 센터 사업 담당자 역량 강화 교육 실시

    ④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중증정신질환자지원사업

    정신질환자 등록 및 사례관리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훈련지원

    인식개선 사업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중증정신질환자 지원사업 예산 : 정신요양시설 + 정신사회복귀시설+특수근무 수당+정신건강증진센터 등

    바) 자체평가방안

    ❍ 평가방법 : 연 2회 이상 시ㆍ군별 실적보고에 따른 서면평가(보건복지부, 도) ❍ 평가내용 - 양적평가 : 중증정신질환자 등록관리 인원 및 사례관리 건수, 재난서비스 제공 인원 등

    - 질적평가 : 정부합동평가 정신건강증진 우수사례 제출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정연표 건강증진과 정신보건팀 031-8008-4756

    김보겸 보건위생담당관 질병관리팀 031-8030-3273

    세부 사업내용2017년 2018년

    인력(명) 예산(백만원) 인력(명) 예산(백만원)

    중증정신질환자 지원사업 420 51,282 563 60,508

  • - 30 -

    가-5. 자살예방사업 가-5-1) 자살예방사업

    가) 추진배경

    ❍ 한국의 자살률은‘03년 이후 줄곧 OECD 국가 1위 - 한국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자살 증가율은 최고 수준으로 종합

    적·체계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

    ❍ 도 자살사망자는 2016년 2,879명으로 전년대비 244명(7.81%) 25.6명 보다 낮은 수준이며, 작년 대비 2.3명(9.09%) 감소로 전국 16위 수준임

    * 자살사망자수- 전 국 : (2014) 13,836명 → (2015) 13,513명 → (2016) 13,092명- 경기도 : (2014) 3,139명 → (2015) 3,123명 → (2016) 2,879명

    * 자살률 (인구 10만명당)- 전 국 : (2014) 27.3명 → (2015) 26.5명 → (2016) 25.6명- 경기도 : (2014) 25.7명 → (2015) 25.3명 → (2016) 23.0명

    ❍ 도 노인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55.5명으로 전년대비 9.1명 감소하였으나, 전국 평균인 53.3보다 높은 수준으로 도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도 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27.9 25.7 25.2 25.3 24.8 23.0 24.3 22.4

    청소년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7.4 4.0 6.2 3.6 5.5 4.9 5.3 4.8

    중장년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28.3 28.5 26.2 27.0 24.8 24.4 24.0 23.1

    노인 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72.7 61.3 61.0 64.6 62.2 55.5 60.2 46.9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 2018 (수정)목표

    도 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24.8 23.0 107.8 22.4청소년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5.5 4.9 112.2 4.8

    중장년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24.8 24.4 101.6 23.1

    노인 자살률(명/인구10만명당) 62.2 55.5 112.1 46.9

    ② 성공 또는 부진요인, 사업개선 방향

    ❍ 도 자살예방시행계획에 연령대별 목표 수립 후 중점사업 분야 발굴·추진 - 노년층에 대한 적극 개입 필요

    ❍ 자살시도자 발생 시 신속대응이 가능한 위기관리체계 구축 ❍ 시ㆍ군 자살예방사업 우수사례 발굴 및 공유 필요

  • - 31 -

    라) 주요사업내용

    ① 대 상 : 도 내 자살시도자 및 가족, 우울증 보유자, 그 외 스트레스 취약계층 등

    ② 내 용

    - 도, 시 ‧ 군, 자살예방센터 및 유관기관 통합체계 구축 - 정신건강 핫라인(☎1577-0199) 운영 및 위기개입

    - 자살예방센터 13개소(도 1, 시 ‧ 군 12) / 전담인력 131명 배치 - 치료비 지원(1인당 연간) : 자살고위험군 40만원, 노인우울증 20만원

    - 노인자살예방사업 추진

    ③ 연계・협력 - 도, 시ㆍ군,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센터) 및 유관기관 간 통합체계 구축을 통한 자살

    예방사업 활성화

    - 시ㆍ군 보건소 및 지역 센터 사업 담당자 역량 강화 교육 실시

    ④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자살예방사업

    자살고위험군 등록및사례관리

    정신건강 핫라인 운영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

    자살수단 통제 사업

    생명사랑 문화 확산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 사업내용2017년 2018년

    인력(명) 예산 인력(명) 예산

    자살예방사업 142 6,724 142 7,434

    * 시·군 전담인력 131명 + 경기도 자살예방센터

    바) 자체평가방안

    ❍ 평가방법 : 연 2회 이상 시ㆍ군별 실적보고에 따른 서면평가(보건복지부, 도) ❍ 평가내용 - 양적평가 : 자살고위험군 등록관리 인원 및 사례관리 건수 등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김다정 건강증진과 정신보건팀 031-8008-4354

    김보겸 보건위생담당관 질병관리팀 031-8030-3273

  • - 32 -

    가-6. 치매관리사업 가-6-1) 치매 조기검진사업

    가) 추진배경

    ❍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노인 급증 ❍ 치매는 조기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할 경우 완치 또는 중증상태로의 진행 억제나 증상 개선 가능

    ❍ 치매를 적절히 관리하고 문제 증상을 개선할 경우 환자와 그 가족의 고통과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 가능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치매조기검진율(%) 18.0 12.0 14.0 12.5 14.0 12.5 14.5 16.0

    치매 등록관리(명) 45,000 47,077 47,000 48,758 48,000 55,880 50,000 68,570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실적/목표) 2018 (수정)목표

    치매조기검진율(%) 14.0 12.5 89.3 16.0치매등록관리(명) 48,000 55,880 116.4 68,570

    ② 치매조기검진율 부진요인 및 개선방안

    ❍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도내 치매환자가 급증하여 치매조기검진율 목표 달성이 어려움

    - 전국 노인인구 7,156천명 중 19.5%인 1,394천명 경기도 거주 - 전국 치매환자 730천명 중 19.5%인 142천명 경기도 거주 ⇒ 경기도 내 46개 치매안심센터 설치로 치매 조기검진 및 등록관리 등 치매관리사업 집중

    실시

    라) 주요사업내용

    ① 대상 : 만 60세 이상, (선별·진단검사)무료, (감별검사)기준중위소득 120%이하인 자 ② 검진절차 및 지원내용

  • - 33 -

    구 분 검 사 내 용 지원내용 검사기관1단계 선별검사(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 무 료 치매안심센터

    2단계진단검사(진료, 신경인지검사,일상생활척도검사 등)

    (∼′18.06 ) 8만원이내 협약병원

    (′18.06 ∼) 무 료 치매안심센터

    3단계 감별검사(혈액 검사, 뇌 영상 촬영 등) 8 ∼11만원 협약병원

    ③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치매 협력병원과 협조체계구축치매 조기검진 및 조기 치료·관리를 위한 적극적 홍보치매검진결과에 따른 맞춤형서비스 연계

    결과 보고 및 성과 분석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인력업무내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보건소 치매사업 관련 인력(명) 138 140 150 781

    ❍ 예산 (단위 : 백만원)

    업무내용연도별 소요예산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치매 검진사업 970 980 990

    23,456치매노인 사례관리 467 470 475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3,356 3,400 3,425 4,406

    ※ (2018년) 치매 검진사업, 치매노인 사례관리 ⇒「치매안심센터 운영비」예산

    바) 자체평가방안

    ❍ 연1회 사업계획에 의한 평가 실시 후 환류하여 사업효과 높이고 원활하게 수행토록 함.❍ 평가방법 : 매년 12월말 실적 기준에 의함.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이혜원 건강증진과 건강정책팀 031-8008-4379

  • - 34 -

    가-6-2) 가족사랑 이음센터(치매안심센터 연계 운영)

    가) 추진배경

    ❍ 경기도 치매환자는 142천명으로 추정되고, 매년 급증하는 실정임. 이에 환자 및 가족의 부양 고통이 날로 심각하여 가족 동반자살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

    ❍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라 경기도에서 선도적으로 자체 추진하던 「가족사랑이음센터」를 국고보조사업인「치매안심센터」로 연계 운영하여 치매국가책임제의 조기 정착과 효율적 추진 도

    ❍ 치매 예방, 상담, 조기진단, 보건·복지 자원 연계 및 교육 등 유기적인 「치매통합관리 서비스」제공으로 치매 중증화 억제 및 사회적 비용을 경감하고, 치매환자·가족의 삶의 질 향상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가족사랑 이음센터 설치(개소) 3 3 5 5 7 4 -

    46(치매안심센터)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달성도(%)(실적/목표)

    2018 (수정)목표

    가족사랑 이음센터 설치(개소) 7 4 57.1 46(치매안심센터)

    ② 가족사랑 이음센터 설치 부진요인 및 개선방안

    ❍ 치매국가책임제(대통령공약사항) 시행으로 경기도 46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 추진함(′17.06~)에 따라 경기도 자체사업 가족사랑 이음센터 신규 설치가 4개소에 그침

    ❍ 기 설치된 「가족사랑 이음센터」를 「치매안심센터의 이음쉼터」로 연계 운영하여 치매 안심센터 조기정착 추진

    라) 치매안심센터 주요사업내용

    ① 수행기관 : 31개 시․군 46개 보건소 ② 사업내용

    ❍ 운영방법/조직 : 보건소 직접운영 원칙, 센터 당 5개팀 평균 25명 ❍ 주요내용 - 치매안심센터 : 상담 및 조기검진, 1:1 사례관리, 관련기관 연계 등 - 가족카페 : 치매환자 쉼터를 이용하면서 치매가족 정보교환 및 자조모임 지원 - 이음쉼터 : 상담이후 서비스 연계전까지 안정화(3~6개월)를 위한 단기이용시설

  • - 35 -

    ③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직무교육

    치매안심센터 운영 컨설팅요청 보건소 방문 상담 및 관리

    기존 가족사랑 이음센터 운영프로그램 보급

    결과 보고 및 성과 분석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인력업무내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가족사랑 이음센터 담당자(명) 6 16 27 781(치매안심센터)

    ❍ 예산(단위 : 백만원)

    업무내용연도별 소요예산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가족사랑 이음센터 305 785 1,45226,805

    (치매안심센터)

    바) 자체평가방안

    ❍ 연1회 사업추진 및 실적평가 실시 후 환류하여 사업효과를 높이고 원활하게 수행토록 함.❍ 평가방법 : (1차)서면평가, (2차)현장 및 전문가 평가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이혜원 건강증진과 건강정책팀 031-8008-4379

  • - 36 -

    가-6-3) 광역치매센터 운영

    가) 추진배경

    ❍ 경기도는 약 1,323만 명의 인구와 전국 노인의 19% 가량인 약 139만 명의 노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약 14만 여명이, 또한 국내 장기요양 판정자의 23%가 경기도

    에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됨

    ❍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치매 예방정보를 제공하고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 치매 환자와 가족이 사회와 소통하는 통로를 확보하여 사회통합에 기여 필요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치매예방교육(명) 500 4,000 3,900 4,115 4,300 4,778 4,500 4,800

    치매파트너양성(명) 15,000 22,207 18,000 20,172 20,000 22,713 22,000 27,000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실적/목표) 2018 (수정)목표

    치매예방교육(명) 4,300 4,778 111.1 4,800

    치매파트너양성(명) 20,000 22,713 113.6 27,000

    ② 성공 요인

    ❍ 유관기관과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교육 대상자 적극 발굴 라) 주요사업내용

    ① 수행기관 :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② 내용

    - 치매관리사업 기획 및 연구 - 치매안심센터 기술 및 성과평가 수행 지원, 종사자 교육 및 훈련 - 치매 관련 자원 강화 및 연계체계 마련 ③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치매예방 교육 수행

    치매예방 교육매뉴얼 제작

    치매예방 인식 홍보

  • - 37 -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 예산 (단위 : 백만원)

    업무내용연도별 소요예산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광역 치매센터 운영 600 654 754 743

    바) 자체평가방안

    ❍ 평가방향 : 보건복지부 광역치매센터 운영 지침 반영❍ 평가방법 : 사업의 기획 및 사업 추진, 성과에 대한 모니터링❍ 평가기준

    - 구조평가 : 사업수행을 위한 자원 확보, 사업계획의 적절성

    - 과정평가 : 프로그램 기획·운영 과정

    - 결과평가 : 성과 분석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이혜원 건강증진과 건강정책팀 031-8008-4379

  • - 38 -

    가-7. 암관리사업가-7-1) 국가 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의료비 지원

    가) 추진배경

    ❍ 저소득층 대상 암 검진, 암환자 의료비 지원 및 재가 암환자 관리 등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 주고 치료율 향상 도모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다) 목표달성도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② 사업개선 방향

    ❍ 암 검진에 대한 홍보 및 암 예방을 위한 교육․정보제공 확대

    라) 주요사업내용

    ① 검진대상 :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가입자 중 보험료 지역 월 90천원 이하, 직장 87천원 이하

    ② 검진내용 : 5대 암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암종별 대상자 기준 검진주기위 암 만 40세 이상 남녀 2년대장암 만 50세 이상 남녀 1년유방암 만 40세 이상 여성 2년자궁경부암 만 20세 이상 여성 2년간 암 만 40세 이상 남녀 (해당연도 전 2년간 고위험군*) 6개월

    * 고위험군 : 간경변증, B형간염항원양성, C형간염항체양성, B형또는C형간염바이러스에의한만성간질환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

    암검진 수검률(%) 41.74 42.98 43.00 46.04 46.05 42.86 46.10 43.00

    재가암환자관리인원(명) 9,240 9,617 9,650 9,518 9,600 9,461 9,650 9,600

    암 교육․정보제공(명) 10,000 10,998 11,000 14,807 12,000 11,178 13,000 12,000

    암환자 프로그램보건소 지원(개소) 4 6 7 7 10 10 15 -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 달성도(%)(실적/목표) 2018 (수정)목표

    암검진 수검률(%) 46.05 42.86 93.07 43.00

    재가암환자 관리인원(명) 9,600 9,461 98.55 9,600암 교육․정보제공(명) 12,000 11,178 93.15 12,000

    암환자프로그램보건소지원(개소) 10 10 100 15

  • - 39 -

    ③ 지원방법 : 검진대상자 통보(공단)⇒검진실시(검진기관)⇒비용청구(검진기관) ⇒비용지급 (공단)

    ※ 검진비용은 보건소에서 분기별로 공단에 입금, 예탁

    ④ 예 산 : 8,526백만원(본청 5,532백만원, 북부청 2,994백만원)

    ① 선정기준 및 지원내용

    구 분 선정기준 지원금액 지원기간

    성인의료급여수급자(전체 암종)

    당연 선정 급여 120만원비급여 100만원연속최대 3년

    성인 국가암검진수검자(5대 암종)

    국가암검진 수검자 급여 200만원 연속최대 3년

    소아 암환자

    의료급여 : 당연 선정건강보험 : 소득(중위소득 120%)․재산(최고 재산액의300%)기준 이하인 자

    백혈병 : 3,000만원백혈병 외 : 2,000만원(이식시 3,000만원)* 급여․비급여 구분없음

    만 18세미만연속

    성인 폐암환자원발성 폐암(C34)

    의료급여 : 당연 선정건강보험 : 최근3개월 평균보험료(지역 90천원, 직장89천원)

    의료급여 :- 급여 120만원- 비급여 100만원

    건강보험 : 급여 200만원

    연속최대 3년

    ② 지원방법 : 의료비 등록신청(대상자→보건소) ⇒ 소득 및 재산조사 실시 (보건소, 읍면동,

    시군구 통합조사관리팀) ⇒ 의료비 지원대상자 여부 결정(보건소) ⇒ 의료비

    지원신청(대상자) ⇒ 의료비 지급 (보건소)

    ③ 예 산 : 10,122백만원(본청 6,799백만원, 북부청 3,323백만원)

    ④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전년도 사업 정산

    사업비 교부(분기별)

    사업추진

    시군간 사업비 조정

    다음연도 사업예산 편성

  • - 40 -

    마) 자원투입현황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 사업내용예 산 액

    2017년 2018년

    암검진 사업 19,227 8,526

    암환자 의료비 지원 11,470 10,122

    재가 암환자 관리 227 204

    경기지역암센터 운영지원 155 146

    바) 자체평가방안

    ❍ 평가방법 : 연 1회 이상 실적보고에 따른 서면평가 ❍ 평가내용 - 암검진 수검률, 재가암환자관리 실적

    - 암 교육·정보제공, 암환자 프로그램 보건소 지원 실적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이혜원 건강증진과 건강정책팀 031-8008-4379

    박정자 보건위생담당관 의약무팀 031-8030-3283

  • - 41 -

    가-8. 건강검진사업 가-8-1) 건강검진사업 가) 추진배경

    ❍ 건강검진을 통해 만성질환 등을 조기발견, 치료‧관리함으로써 질병 발생률, 사망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검진 수검률이 낮은 의료급여수급권자 수검률

    향상 필요

    ❍ 보건소 등 만성질환관리사업 등 연계를 통한 건강검진 사후관리 필요

    나)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성과목표

    주요성과지표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기존목표 수정목표일반검진 수검률(%) 44.7 36.5 44.7 37.7 44.7 36.4 44.7 38

    생애검진 수검률(%) 58.7 44.7 58.7 46.3 45.5 43.4 45.6 45

    영유아검진 수검률(%) 69.5 65.3 69.5 61.6 63.4 61.7 63.5 63

    다) 목표달성도

    주요성과지표 2017년 목표 2017년 실적달성도(%)

    (실적/목표)2018 (수정)목표

    일반검진 수검률(%) 44.7 36.4 81.4 38

    생애검진 수검률(%) 45.5 43.4 95.4 45

    영유아검진 수검률(%) 63.4 61.7 97.3 63

    ① 2017년 시행결과 목표달성도 및 2018년 시행계획 목표 수정

    ※ ‘17년 실적치에 대비하여 성과목표 선정

    ② 성공 또는 부진요인, 사업개선 방향

    ❍ 의료급여수급권자 대상 건강검진사업 성인 대상자들의 병원 이용률 및 수검률 저조※ ‘16년 실적(의료급여수급권자, 건보공단통계연보) : (일반) 37.7% (생애) 46.3% (영유아) 61.6%

    ‘17년 실적(건강보험가입자, 건보공단 통계연보) : (일반) 36.4% (생애) 43.4% (영유아) 61.7%

    ❍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의 영유아건강검진 제도 개선(검진수가상승 등) 요구에 따른 영유아 검진기관 지정취소 요구로 일부 지역 영유아 부모에게 혼란 야기로 사업 추진의

    어려움

    ❍ 만성질환, 치매 관리사업 등 연계 가능 홍보 - 검진 결과 고위험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등) 노인들은 방문건강관리 인력과 연계하여

    건강관리 추진

    - 보건소 영양, 금연, 심뇌혈관 질환 등 건강증진프로그램 연계 추진

  • - 42 -

    ❍ 토요일 및 공휴일 검진 확대 - 맞벌이 부부, 직장인 등을 위해 의료기관 홍보를 통해 많은 기관들이 공휴일 검진기관

    지정을 받도록 독려

    ❍ 2018년도부터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의 대상자가 노년층까지 확대됨에 따라 미검진 사각 지대 해소에 대한 기대 및 건강 취약계층의 관리 향상 기대

    ❍ 주민자치센터, 전광판, 지역 언론 등을 통한 검진사업 홍보 지속 추진 ❍ 유선, 서한문 등을 통한 미 수검자 검진 독려

    라) 주요사업내용

    ① 대상 : 의료급여수급권자 (연령별)

    구 분 일반검진 생애검진 영유아검진

    대 상의료급여수급권자로서 만19~64세세대주, 만40~64세 세대원

    의료급여수급권자 만66세 이상 세대주 및

    세대원

    의료급여수급권자만 6세 미만 영유아

    ② 내용

    구 분 일반검진 생애검진 영유아검진

    지원내용

    심뇌혈관질환을 중심으로 11개질환을 조기발견하기 위한

    검진 지원

    성별 연령별 특성을고려한 검진 지원

    성장이상, 발달이상,안전사고, 청각이상,구강검사 등 월령별 총

    7회 무료검진

    ③ 연계·협력 : 경기도,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인지역본부(지사포함), 보건소 간 협력체계 구축, 보건

    소와 공단지사 간 간담회 실시, 검진계획 공유 및 공동 홍보 추진으로 도민들 건강검

    진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일정주기 마다 검진 참여토록 함

    ④ 추진일정

    세부 사업내용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계획수립

    홍보실적환류

    예산교부 간담회예산교부평가

    마) 자원투입 현황 및 계획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인력(도, 보건소)(명) 46 51 56 61

    예산(국비+지방비)(백만원) 1,241 1,208 1,015 1,215

  • - 43 -

    ❍ 검진사업비 예탁금 지출 현황 등에 따라 시‧군‧구간 예산 조정 ❍ 도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인지역본부, 보건소 간 협조체계 구축

    바) 자체평가방안

    ❍ 평가방법 : 매년 12월말 실적 기준에 의함 ❍ 평가내용 - 투입평가 : 년도별 예산, 인력, 시설, 장비 평가

    - 산출평가 : 연 2회 이상 실적(안전행정부, 보건복지부, 경기도) 평가

    - 결과평가 : 전년 대비 검진수검률 향상도, 홍보예산 및 홍보실적

    사) 담당자

    담당자 담당부서 전화번호

    심혜영 건강증진과 건강정책팀 031-8008-4346

    박정자 보건위생담당관실 의약무팀 031-8030-3283

  • - 44 -

    가-9. 병상수급계획

    가-9-1) 병상수급계획

    가) 추진배경

    ❍ 경기도 내 병상 수급과 관련 병상의 실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수요 공급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병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

    가-1) 의료기관 및 병상 수 현황

    - 2017년 6월말 기준 경기도 의료기관 수는 상급종합병원 5개소, 종합병원 55개소,

    병원 347개소, 요양병원 310개소, 의원 13,383개소 등이며, 이들 기관이 보유하는

    병상 수는 총 127,723병상으로 상급종합병원 4,947병상, 종합병원 19,551병상, 병원

    37,901병상 등으로 구성됨

    기관수 기준으로는 의원이 가장 많으며, 병상 수 기준으로는 요양병원과 병원의 구성비가

    각각 37%, 29.9%로 높은 비율을 보임

    가-2) 병상수급 분석

    ❍ 진료권 - 진료권은 시도별 병상수급계획 수립에 필요한 자원수급의 적정성(질, 양, 분포, 효율성,

    적합성, 통합성 등)을 판단하기 위한 지역단위로서 기존 시·군 단위를 활용

    - 지역의 유형화

    진료권 기본단위(인구수 15만명 내외)의 충족여부로서 독립적 진료권 형성 또는 중심지 기능이

    가능한 시·군과 인접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진료권 형성 필요 시군을 구분

    - 진료권 구분(24) : 수원시, 성남시+하남시, 의정부시, 안양시+과천시, 부천시, 광명시, 평택시,

    안산시, 고양시, 구리시+양평군, 남양주시+가평군, 오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용인시, 파주시, 이천시+여주시, 안성시, 김포시, 화성시,

    광주시, 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포천시

  • - 45 -

    ❍ 병상수요의 산출 - 병상수요 산출을 위한 병상의 유형은 병상유형간 기능정립 문제 관련하여 급성병상으로 한정

    - 병상이용률은 병상이용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 지표임. 병상이용이 항상

    예측가능하지 않음에 따른 여유분을 반영하는 의미와 환자안전의 측면에서 과밀화

    되지 않게 적정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의미를 동시에 내포함

    - 병상수요 산출을 위한 의료이용 자료는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청구자료를

    근거로 환자의 진료권별‧난이도별 환자수(청구건수), 병상이용률 등을 이용 - 해당 거주자의 의료이용을 기반으로 한 병상이용(기준값) 외에도 현재의 진료권별

    유출입을 반영한 병상이용(현황값), 각 진료권이 공급구조의 개선을 통해 적정수준을

    달성할 경우 고려(최대값)

    ❍ 병상수급 분석결과 - 병상수급분석은 병상수요량과 병상공급량의 차이로써 산출됨

    기본 분석대상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