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26
2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 - 말소리 생성 과정과 조음 기관 - <학습목표> 말소리 생성에 필요한 발음 기관의 명칭을 익힌다. 말소리가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한국어 자모음의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익힌다. 참고문헌 : 신지영(2000) <말소리의 이해>, 이진호(2014)<국어 음운론 강의>

Upload: others

Post on 01-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 - 말소리 생성 과정과 조음 기관 -

lt학습목표gt

bull 말소리 생성에 필요한 발음 기관의 명칭을 익힌다 bull 말소리가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bull 한국어 자모음의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익힌다

참고문헌 신지영(2000) lt말소리의 이해gt 이진호(2014)lt국어 음운론 강의gt

음성학의 발전 과정

인도 음성학 (BC 4 5세기)

중국 (운학 성립)

한국 (훈민정음 15세기)

생리적 연구

과학적 연구

조음점과 조음방식에 의한

음 분류

서양 그리스의 언어 연구 음향적 인상 연구 자음과 모음 설명

현대 음성학 (19세기 후반)

발음 기관의 위치와 명칭

발음 기관과 그 명칭 1 비강

2 윗입술

3 아랫입술

4 윗니

5 아랫니

6 치경

7 경구개

8 연구개

9 구개수

10 구강

11 인강

12 후두덮개

13 성대

14 혀

위아래 조음 기관의 부위별 명칭

1 치경

2 경구개

3 연구개

4 구개수

1 혀끝

2 혓날

3 혓몸

3-1 전설

3-2 중설

3-3 후설

4 혀뿌리

말소리 생성 과정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음성학의 발전 과정

인도 음성학 (BC 4 5세기)

중국 (운학 성립)

한국 (훈민정음 15세기)

생리적 연구

과학적 연구

조음점과 조음방식에 의한

음 분류

서양 그리스의 언어 연구 음향적 인상 연구 자음과 모음 설명

현대 음성학 (19세기 후반)

발음 기관의 위치와 명칭

발음 기관과 그 명칭 1 비강

2 윗입술

3 아랫입술

4 윗니

5 아랫니

6 치경

7 경구개

8 연구개

9 구개수

10 구강

11 인강

12 후두덮개

13 성대

14 혀

위아래 조음 기관의 부위별 명칭

1 치경

2 경구개

3 연구개

4 구개수

1 혀끝

2 혓날

3 혓몸

3-1 전설

3-2 중설

3-3 후설

4 혀뿌리

말소리 생성 과정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3: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발음 기관의 위치와 명칭

발음 기관과 그 명칭 1 비강

2 윗입술

3 아랫입술

4 윗니

5 아랫니

6 치경

7 경구개

8 연구개

9 구개수

10 구강

11 인강

12 후두덮개

13 성대

14 혀

위아래 조음 기관의 부위별 명칭

1 치경

2 경구개

3 연구개

4 구개수

1 혀끝

2 혓날

3 혓몸

3-1 전설

3-2 중설

3-3 후설

4 혀뿌리

말소리 생성 과정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4: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발음 기관과 그 명칭 1 비강

2 윗입술

3 아랫입술

4 윗니

5 아랫니

6 치경

7 경구개

8 연구개

9 구개수

10 구강

11 인강

12 후두덮개

13 성대

14 혀

위아래 조음 기관의 부위별 명칭

1 치경

2 경구개

3 연구개

4 구개수

1 혀끝

2 혓날

3 혓몸

3-1 전설

3-2 중설

3-3 후설

4 혀뿌리

말소리 생성 과정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5: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위아래 조음 기관의 부위별 명칭

1 치경

2 경구개

3 연구개

4 구개수

1 혀끝

2 혓날

3 혓몸

3-1 전설

3-2 중설

3-3 후설

4 혀뿌리

말소리 생성 과정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6: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말소리 생성 과정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7: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세 과정

말소리의 생성

발동 과정

발성 과정

조음 과정

발동 과정

(기류의 조달)

발성 과정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기류의 변형)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8: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말소리 생성 과정 제1단계 발동 과정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9: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발동 과정 말소리 생성의 제1단계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기류 작용에 따른 소리의 명칭

보 기

폐 날숨 부아 날숨 소리 우리말의 모든 소리

성문

날숨 성문 날숨 소리 방출음

들숨 성문 들숨 소리 내파음

연구개 들숨 연구개 들숨 소리 흡착음

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 조달 과정 2 발동 과정의 두 기준 기류의 발동 장소 기류의 방향

lt발성 과정에 따른 말소리의 분류gt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0: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말소리 생성 과정 제2단계 발성 과정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1: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발성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성대 관찰 방법(4분)

성대의 움직임(13분)

1 발성 과정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 기류의 밸브 역할

2 발성 과정의 두 종류

무성음 유성음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2: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발성 유형에 따른 성대의 상태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3: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발성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2단계

여러 나라 언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비교

한국어

태국어

p (ㅂ)

(무기 무성)

p h(ㅍ)

(유기 무성)

prsquo(ㅃ)

(무기 무성)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힌두어 b

(무기 유성)

p

(무기 무성)

p h

(유기 무성)

b h

(유기 유성)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4: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말소리 생성 과정 제3단계 조음 과정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5: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조음 과정(1)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1 조음 과정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 변형 과정

2 조음 과정의 두 부류 자음 모음

자음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

자음의 종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로 자음을 분류

1 자음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을 분류하는 두 기준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6: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조음위치를 정하는 조음점과 조음체

조음점

조음체

대체로 조음점은 고정되어 있고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위로 움직여 조음 동작이 이루어진다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7: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조음 위치별 한국어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순치음

치음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경구개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

구개수음

성문음 ㅎ

조음 위치(그림)

훈민정음의 상형원리(4분)

영어 자음 f는 어떻게 발음하고 한국어 lsquoㅂrsquo과 조음위치가 어떻게 다를까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8: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조음 방법

폐쇄음(파열음) ㄱ ㄲ ㅋ ㄷ ㄸㅌㅂㅃㅍ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설측음 탄설음)

장애음

공명음

위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외에 한국어 자음 체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더 필요한 조음방법 분류 기준은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19: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한국어 자음 체계(19개 자음 음소)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경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장 애 음

공 명 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ㅉ ㅊ

ㅁ ㄴ ㅇ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평음 경음 격음

발성유형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0: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1)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2) 파열음 파찰음은 삼지적 상관속(평음-격음-경음)을 형성하고 마찰음은 이지적 상관속(평음-경음)을 형성한다 3) 음운적으로 한 종류의 유음만 존재하나 음성적으로 두 종류의 유음 소리를 낸다

4) 다른 언어에 비해 마찰음의 종류가 간단하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1: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조음 과정(2) 말소리 생성의 제3단계

2 모음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성도가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소리의 질(모음의 종류)가 달라짐

성도의 모양은 혀의 위치와 혀의 고저(개구도) 입술 모양으로 조정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입술 모양

전설모음 중설 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비원순모음)

모음을 분류하는 세 기준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2: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우리말 모음 체계(10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위 으 우

에 외 어 오

애 아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3: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우리말 모음 체계(7모음체계)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 으 우

에 어 오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4: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한국어 모음 사각도와 모음 위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5: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우리말 이중모음

1)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발음된다

2)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 형성에 관여하는 활음은 세 개이다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lsquo활음+모음rsquo의 결합 순서를 갖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한다

4)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따라 j계 이중모음 lsquoㅑ ㅕ ㅛ ㅠrsquo w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lsquoㅘ ㅝ ㅞ ㅟrsquo lsquoㅢrsquo 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

Page 26: 제2주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를 위한 음성학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 · 2016-09-09 · 3) 현대 한국어 이중모음은 ‘활음+모음’의

조음 과정(3) 자음과 모음의 명명법

자음의 명명법

모음의 명명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치경 유성 파열음

입술 모양 혀의 전후 혀의 고저

d

p 양순 무성 파열음

평순 전설 고모음 i

u 원순 후설 고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