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31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항공, 음식료, 유통화장품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Upload: others

Post on 17-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항공, 음식료, 유통화장품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2: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Page 3: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Summary

I.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 및 평가절하에 대한 5가지 Q&A

글로벌 환율전쟁 본격화? 환율제도 개편에 무게 중심 감안하면 환율전쟁 본격화 가능성 미미

위안화 평가절하 정도는? 장기적으로 위안/달러환율 6.80위안 내외로 10% 상승 가능성

원/달러환율 영향은? 위안화 약세에 동조화되며 하반기 중 원/달러환율 1,200원대 상승 예상

한국 수출에는 부정적 or 긍정적? 부정적이나 원/위안환율 유지되면 한국수출에 긍정적

미 연준 금리인상 지연? 9월 금리인상 유효하나 첫 번째 인상 이후 온건한 정책 강화요인

II. 원/달러 환율과 KOSPI 추이는 반비례 관계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고시환율 정책 변경은 위안화가 이제까지와는 달리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과 동조화될 것임을 시사함.

속도조절이 있을지라도 위안화 환율 방향성은 이미 설정돼 있을 가능성이 높음

Fed 금리 결정이 더욱 주목 받게 됐음. 9월 FOMC 회의로 예상되는 Fed 금리인상 결정은 신흥국 통화가치 약세 압력을 가

중시킬 수 있고, 이는 글로벌 유동성의 위험자산 회피를 자극하게 됨

한국의 원화표시 수출은 늘어날 전망. 이는 국내 기업이익 전망 하향조정 압력 완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다만 수요 요인

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는 점에서 긍정적 영향력은 한계를 가짐. KOSPI 추세적 흐름이 원/달러 환율과는 반비례, 외

국인 누적 순매매와는 정비례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

III. 위안화 절하에 따른 업종별 영향 분석

위안화 평가절하는 업종 공통적으로 부정적

중국 매출비중 및 중국업체와 경쟁강도가 높은 산업의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

IT, 철강/비철금속, 기계/조선, 자동차

원화 환율이 위안화 약세와 동조할 경우(원/달러 환율 1,200원대 상승 가정) 위안화 약세에 따른 부정적 영향 완화 가능

반면, 국내 내수비중이 높고 중국업체와 경쟁강도가 낮은 산업의 경우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음

화학/정유, 항공운송, 음식료, 유통/화장품

Page 4: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Page 5: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Contents

Summary

I.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 및 평가절하에 대한 5가지 Q&A

II. 원/달러 환율과 KOSPI 추이는 반비례 관계

III.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IT

철강/비철금속

기계/조선

자동차/부품/타이어

화학/에너지

항공운송

음식료

유통/화장품

2

6

15

21

22

23

24

25

26

27

28

29

Page 6: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6_ www.Eugenefn.com

6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경제 경제 이상재

02)368-6162 / [email protected]

I.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 및 평가절하에 대한 5가지 Q&A

질문 1. 글로벌 환율전쟁 본격화? 환율제도 개편에 무게 중심 감안하면 환율전쟁 본격화 가능성 미미

질문 2. 위안화 평가절하 정도는? 장기적으로 위안/달러환율 6.80위안 내외로 10% 상승 가능성

질문 3. 원/달러환율 영향은? 위안화 약세에 동조화되며 하반기 중 원/달러환율 1,200원대 상승 예상

질문 4. 한국 수출에는 부정적 or 긍정적? 부정적이나 원/위안환율 유지되면 한국수출에 긍정적

질문 5. 미 연준 금리인상 지연? 9월 금리인상 유효하나 첫 번째 인상 이후 온건한 정책 강화요인

8/11 중국 인민은행,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 개편 및 1.9% 위안화 평가절하 단행

중국 인민은행이 전격적으로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 개편과 위안화 기준환율 대폭 상향 조치를 단행했다.

먼저,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과 관련하여 종전 인민은행이 독자적으로 결정해 고시하던 방식에서 전일

종가와 시장조성자의 주문가격(market makers’ quotes)을 반영하여 발표하는 방식으로 개편했다. 다음으

로 미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 기준환율을 6.1162위안에서 6.2298위안으로 전일대비 1.9% 상향조정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동 조치의 배경으로써 첫째, 위안화의 실질실효환율이 시장의 평가와 달리 고평가됨에 따

라 위안화 기준환율을 시장기대와 일치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했으며 둘째, 위안화 기준환율과 시장환율

간의 격차가 누적 확대됨에 따라 일회성 조정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중국 인민은행의 전격적 위안화 기준환율 상향 조정은 8월 11일 및 12일 이틀 연속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

타했다.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뉴욕, 유럽 주가가 급락했고, 원/달러환율 및 동남아국가 환율, 엔화가치 등

이 큰 폭 하락했으며,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이 급락했다. 반면에 글로벌 채권시장은 안전자산 선호

가 확산되며 강세를 보였다.

중국 인민은행발 위안화 평가절하 우려가 일시적 현상인지 아니면 글로벌 통화전쟁을 통해 세계경제의 위기

감을 가중시킬 것인지에 대해 5가지 Q&A를 통해 우리의 시각을 제시한다.

도표 1 8/11 중국 인민은행, 환율제도 개편 통해 시장환율과의 괴리 축소 유도

-0.20

-0.15

-0.10

-0.05

0.00

0.05

0.10

0.15

0.20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위안)(위안)spread(우)

시장환율(좌)

고시환율(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7: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7

7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Q&A 1. 위안화 평가절하 계기로 통화전쟁 본격화? 인민은행 금융완화 미수반 감안하면

가능성 미미

8/11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환율 산정방식 개편 및 기준환율 대폭 인상 배경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위안화 평가절하를 통한 경기부양 목적이다. 지난 수년간 선진국 중앙은행의 금융완화정책으로 인해

위안화 실질실효환율이 고평가된 가운데 올해 들어 세계교역마저 위축됨에 따라 중국 수출의 마이너스 행진

과 제조업 경기침체 심화로 이어졌다. 따라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써,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평가절하를 수출가격 경쟁력 제고조치를 단행했다는 시각이다.

이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 연준, 일본은행, 유럽중앙은행 등 선진국과 주요 개도국의 금융

완화를 통한 자국통화가치 하락 유도정책에 중국 인민은행이 본격 참여했음을 의미한다. 글로벌 통화전쟁

시대의 본격 개막이며, 1920년대 대공황 사례에서 보여주듯이 글로벌 통화전쟁은 필연적으로 국가간 무역

전쟁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세계경제의 대공황 도래 우려를 자극한다.

둘째, 위안화의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편입 과정에서 문제가 된 걸림돌의 해소 목적이다. 즉,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 개편을 통해 SDR 편입의 걸림돌인 위안화 통용의 폐쇄성 및 국내외 적용환율의

차이 등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는 시각이다. 이 경우 동 조치로 인해 위안화 평가절하가 단기적으로 이어

지나 조만간 안정된다는 점에서 중국 인민은행이 글로벌 통화전쟁에 동참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도표 2 6월 기준 중국 실질실효환율, 30% 고평가 도표 3 1-7월 중국 외환보유액, 1,917억달러 감소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5.0

5.5

6.0

6.5

7.0

7.5

8.0

8.5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0=100)(위안)위안/달러환율(좌)

중국 실질실효환율(우)

-150

-100

-50

0

50

100

15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0억달러)(10억달러) 외환보유액 증감(우)

외환보유액(좌)

자료: BIS,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8: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8_ www.Eugenefn.com

8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도표 4 중국 수출, 위안화 실질실효환율과 밀접한 역(-)의 관계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40

-30

-20

-10

0

10

20

30

40

50

6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0=100)(%YoY)

중국 수출(좌)

중국 실질실효환율(역계열,우)

자료: BIS, CEIC, 유진투자증권

중국 인민은행이 단행한 금번 조치의 분명한 목적을 예단하기는 시기상조이다. 그러나 중국 인민은행이 위

안화 환율제도를 개편한 이후 제시한 자료를 보면, 동 조치를 계기로 글로벌 환율전쟁이 본격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첫째, 중국 인민은행이 외환시장 개혁과 관련하여 거시경제 및 금융발전 환경에 맞춰 양방향으로의 환율 유

연성을 강화시키는 가운데 적응적이고 균형적인 수준에서 환율이 기본적으로 안정되도록 유지할 것임을 밝

혔기 때문이다(the PBC will enhance the flexibility of RMB exchange rate in both directions and

keep the exchange rate basically stable at an adaptive and equilibrium level).

둘째, 이번 조치에서 위안화 평가절하가 단행되었지만 대규모 금융완화조치가 수반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선

진국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미 연준 및 ECB, BOJ는 모두 대규모 양적완화조치 단행과 이를 통한 자국

통화의 약세를 유도했다. 그러나 중국 인민은행의 금번 조치는 환율제도 개편이다.

8/11 중국 인민은행은 독단적인 위안화 기준환율 인상조치는 1회성임을 분명히 한 가운데 13일 성명을 통

해 위안화 평가절하가 마무리되었음을 선언했다. 여기에 중국정부가 지난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래 위

안화 환율의 인위적 약세정책을 추진하지 않았다는 대외적 명분을 중시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중국발 환율

전쟁의 본격화를 우려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Page 9: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9

9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Q&A 2. 위안/달러환율 향방은? 장기적으로 10% 평가절하된 6.80위안 도달 가능성

금번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의 개편 이후 위안화 환율의 향방과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향후 위안화의 기준환율 결정에서 시장의 영향이 커진다는 점이다. 위안화 기준환

율이 전일 종가와 시장조성자의 주문가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환율의 향방과 관련하여 여전히 인민은행의 의중이 강력하게 반영된

다는 점이다. 위안화 기준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조성자가 대부분 중국 인민은행의 영향권 하에 있는 국

영은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번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에도 불구하고 중국 환율제도는 여전히 관리된 변

동환율제도의 큰 그림에서 변함이 없다.

금번 조치 이후 위안화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중국 인민은행이 재차 독단적으로 위안화 기준환율을 상향시킬 가능성이다. 그러나 이번 위안화 기준

환율 상향조치가 일회성(one-time correction)임을 명시했을 뿐만 아니라 추가 평가절하가 없음을 분명했

다는 점에서 동 가능성은 거의 없다.

둘째, 위안화 시장환율의 상승이 익일 기준환율의 상승으로 연결되면서 위안화 환율의 상승세가 이어질 가

능성이다. 이는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조치가 단행된 11일에 위안화 시장환율이 6.3231위안으로 전일대비

0.1134위안 급등했고, 12일 위안화 기준환율이 전일비 0.1008위안 상승한 6.3306위안으로 고시된 데서

입증된다. 8월 12일 위안화 시장환율 종가는 전일비 0.0623위안 상승한 6.3854위안이다. 따라서 위안화

기준환율이 시장에 의해 결정되지만, 중국 환율결정에 여전히 인민은행의 영향력이 큰 점을 감안하면 당장

위안화의 대폭 절하추세가 이어질 여지는 작다.

지난 2014년 3월 위안화 환율 변동 폭을 상하 1%에서 2%로 확대하는 조치가 단행된 당시 위안/달러환율

은 6.13달러에서 두 달 이후 6.25달러로 2% 상승했다. 중국 인민은행의 환율변동폭 확대조치가 위안화 약

세 유도정책으로 해석되면서 시장환율이 상승했다.

이번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조치의 경우에도 장기적으로 위안화 시장환율의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중국 인민은행이 외견상 시장 친화적 환율제도 개편 명분을 제시했지만, 암묵적으로는 위안화 평가절하를

일정부분 유도하여 수출경기 회복을 도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우리는 위안/달러환율이 장기적으로

10% 절하된 6.80위안 내외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한다.

도표 5 05년 관리변동환율제도 도입 이후 위안화 강세 도표 6 2014년 3월 변동폭 확대 이후 위안화 약세

8.00

8.05

8.10

8.15

8.20

8.25

8.30

1/05 3/05 5/05 7/05 9/05 11/05

(위안)

5.90

5.95

6.00

6.05

6.10

6.15

6.20

6.25

6.30

1/14 3/14 5/14 7/14 9/14 11/14

(위안)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10: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10_ www.Eugenefn.com

10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Q&A 3. 원/달러환율 영향은? 위안화 상승에 동조화되며 하반기 중 1,200원선 안착 예상

8/11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기준환율 전격 상향조치로 인해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일비

15.9원 급등한 1,179.1원으로 상승한 데 이어 12일에도 전일비 11.7원 상승한 1,190.8원을 기록했다.

2011년 10월 4일 이후 3년 10개월래 최고치이다. 그러나 위안화 환율의 상승세가 정체된 13일에는 하루

만에 16.8원이나 급락하며 1,174원으로 후퇴했다.

우리는 금번 위안화 환율제도 개편을 계기로 장기적으로 원/달러환율의 1,200원선 안착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한다. 달러/위안환율이 당사 예상대로 장기적으로 6.80위안으로 10% 상승할 경우 원/달러환율

의 상승압력이 높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첫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의 결정요인에 기존의 미 금리인상 기대에 따른 달러 강세요인보다 강

력한 위안화 환율 상승요인이 가세했다. 여기에 위안화 환율 상승이 한국경제에 부정적이라는 인식이 확산

되면서 외국인 주식순매도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수급 측면에서 원/달러환율 상승압력을 높인다.

둘째, 한국 외환당국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나 한국 고유의 국가 위험요인이 아닌 위안화 환율 약세에 동조

화되어 원/달러환율이 상승할 경우 이를 일정부분 용인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 정책당국 입장에서는 수출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원/달러환율의 점진적 상승 필요성도 있다. 따라서 가계부채 확대의 부작용이 있는

기준금리 인하 없이 원/달러환율의 상승은 큰 부담 없이 수용될 수 있으며, 역외 선물환투자자는 이를 계기

로 원/달러환율 상승에 투기적 배팅을 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원/달러환율의 상승이 한국경제의 체계적 위험 신호로 해석될 가능성이 적다. 1,200원대 원/달러환율

은 항상 한국경제의 위기국면에서 나타나며 한국경제의 국가신인도 하락으로 연결되었지만, 이번에는 원/달

러환율이 1,200원선에 진입하더라도 국가신용등급 하락으로 연결될 가능성은 없기 때문이다.

Page 11: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11

11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도표 7 8/11 이후 원화와 위안화 동반 급등 도표 8 8/11-12일 아시아 주요국 환율 변동률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5.0

5.5

6.0

6.5

7.0

7.5

8.0

8.5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원/달러)(위안/달러) 위안화환율(좌)

원화환율(우)

-0.5%

-0.3%

0.5%

1.1%

1.2%

1.3%

2.4%

2.8%

-1% 0% 1% 2% 3%

호주 달러

일본 엔

태국 바트

필리핀 페소

싱가포르 달러

유로

대한민국 원

인니 루피아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도표 9 한국 정책당국, 실질실효환율의 고평가 완화 계기로 인식 가능성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2010=100) 한국 실질실효환율

중국 실질실효환율

미국 실질실효환율

자료: BIS, 유진투자증권

Page 12: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12_ www.Eugenefn.com

12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Q&A 4. 한국 수출에는 부정적 or 긍정적? 원/달러환율 동반 상승할 경우 한국수출에

긍정적

위안화 환율 상승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의 두 가지 경로이다.

첫째, 위안화 평가절하가 한국의 대중 수출에 미치는 경로이다. 이는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이 혼

재되어 있다. 먼저 부정적인 측면은 위안화 환율 상승이 한국의 대중 수출단가 상승을 초래하여 대중 수출

물량을 위축시키는 영향이다. 반면에 긍정적인 측면은 한국과 중국의 수출이 보완관계에 있음에 따라 중국

수출이 증가하면 한국의 대중 중간재 수출의 증가를 통해 한국의 대중수출이 증가하는 영향이다. 그러나 최

근 중국과 한국 수출간의 경합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후자의 수출 증가효과보다는 전자의 수출 위축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둘째, 위안화 평가절하가 선진국 수출시장에서 한국 수출을 위축시키는 경로이다. 위안화 환율 상승은 중국

의 수출가격 경쟁력을 강화시켜 한국 수출시장의 시장 점유율을 하락시키기 때문이다. 동 영향 역시 한국과

중국의 수출의 경합관계가 크지 않았을 때는 영향이 적었지만, 최근 수출경합 정도가 커지면서 점차 부정적

영향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무역협회의 조사에 의하면 2014년 기준 한국과 중국 간의 수출 경합도는 0.35이다. 한국과 일본 간의 수출

경합도인 0.52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지만, 2010년(0.29)과 비교하면 4년 만에 0.06 높아졌다. 금번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 개편조치가 중국 수출의 확대로 연결될 경우 과거보다는 부정적 영향

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 위안화 환율 상승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위안화 환율은 상승하는 반면 원화환율의 이에 못 미

쳐 원/위안환율이 하락하는 경우를 전제한다. 따라서 만일 원/달러환율이 위안/달러환율과 동조화되어 원/

위안환율이 큰 폭 하락하지 않는다면, 위안화 환율 상승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히 긍정적으로

전환된다.

첫째, 한국의 대중 수출은 중국 수출 확대에 따른 물량 확대효과가 유효한 가운데 대중수출단가 측면에서도

오히려 인하 압력이 형성되며 수출물량이 증대된다. 둘째, 선진국 시장에서의 중국 수출품목과의 가격경쟁

력이 악화되지 않음에 따라 선진국 시장에서 한국 수출이 위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금번 금번 위안화 환율

상승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원/달러환율이 동반 상승하는가에 달려 있다.

Page 13: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13

13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도표 10 중국 수출과 한국 수출 추이

-40

-30

-20

-10

0

10

20

30

40

50

6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YoY)중국 수출

한국 수출

자료: CEIC, 유진투자증권

도표 11 한국과 중국 간의 수출경합도 추이 도표 12 한국과 일본 간의 수출경합도 추이

0.29

0.31

0.33

0.34 0.3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2010 2011 2012 2013 2014

0.44

0.46

0.50

0.52 0.52

0.38

0.40

0.42

0.44

0.46

0.48

0.50

0.52

0.54

2010 2011 2012 2013 2014

자료: 무역협회, 유진투자증권 자료: 무역협회, 유진투자증권

도표 13 2010년 2014년 한국과 중국 간의 업종별 수출경합도 변화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농수산물

플라스틱

및고무제품

섬유

/의복

/가죽제품

석유제품

화학제품

철강

및비철금속제품

가전제품

휴대폰

및부품

반도체

전기

/전자제품

자동차

및부품

조선

의료

/정밀

/광학기기

기계류

전품목

2010년 한중 업종별 수출경합도

2014년 한중 업종별 수출경합도

자료: 무역협회, 유진투자증권

Page 14: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14_ www.Eugenefn.com

14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Q&A 5. 미 연준 금리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한 미 연준 온건한 금리정상화 추진

강화요인

금번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방식의 개편은 중국 정부가 위안화 절하가 계속될 이유가 없다

고 밝혔지만 당분간 위안화 약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는 중국의 대미 수출 확대를 통해 미국

의 경상수지 적자를 확대시키는 한편 미국기업의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미국 재무부 역시 중국 정부에 대한 인위적인 환율정책 공세를 통해 위안화 약세흐름을 차단할 명분이 없다.

IMF가 중국 인민은행의 금번 조치를 중국의 환율제도 정비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환영한 데서 나타나듯이

시장의 수급에 의해 위안화 환율이 결정됨에 따라 공세의 여지가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위안화 평가절하로 인해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기업이익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미 연준이

금리인상을 통해 달러가치가 더욱 강해질 경우 경기침체가 초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금번 인민은행의 조치가 연준의 연내 금리인상 방침 및 9월 인상 가능성을 크게 훼손할 정도는 아니

지만 첫 번째 인상 이후 시장에 온건한 금리정상화가 진행됨을 더욱 강조하는 요인이 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단한다. 미 달러화 강세에 따른 기업의 부담을 연준이 계속 외면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도표 14 8/11 위안화 평가절하, 미 G6 달러인덱스 상승압력 약화요인

70

75

80

85

90

95

100

105

10 11 12 13 14 15

미 G6 달러인덱스('97=100)

자료: Thomson Reuters, 유진투자증권

Page 15: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15

15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투자전략 투자전략 박석현

02)368-6132 / [email protected]

II. 원/달러 환율과 KOSPI 추이는 반비례 관계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고시환율 정책 변경은 위안화가 이제까지와는 달리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과 동조

화될 것임을 시사함. 속도조절이 있을지라도 위안화 환율 방향성은 이미 설정돼 있을 가능성이 높음

Fed 금리 결정이 더욱 주목 받게 됐음. 9월 FOMC 회의로 예상되는 Fed 금리인상 결정은 신흥국 통화가

치 약세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고, 이는 글로벌 유동성의 위험자산 회피를 자극하게 됨

한국의 원화표시 수출은 늘어날 전망. 이는 국내 기업이익 전망 하향조정 압력 완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다만 수요 요인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는 점에서 긍정적 영향력은 한계를 가짐. KOSPI 추세적 흐름

이 원/달러 환율과는 반비례, 외국인 누적 순매매와는 정비례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고시환율 정책 변경은 위안화가 이제까지와는 달리 글로벌 외환

시장 흐름과 동조화될 것임을 시사함

중국 인민은행은 위안화 고시환율 정책을 변경하기로 8/11일 전격 발표했다. 이는 그 동안 글로벌 달러화

강세와 동떨어져 있던 위안화가 앞으로는 글로벌 외환시장과 동조화될 것임을 말해준다. 이에 따라 4일간

위안/달러 환율은 2.9% 수직 상승했다. 또한 NDF 위안/달러 환율과의 스프레드가 확대되며 추가적인 상승

전망이 반영되고 있다.

미국(달러) 외 통화에 대한 위안화의 과도한 평가절상 부담으로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위안

화 평가절하 단행. Fed 금리인상과 이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위안화 약세를 지속시킬 수 있음

중국 위안화는 지난해 이후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두드러졌던 달러화 강세 기간(동기간 G6 달러화 지수

+20.4%) 동안 안정세를 유지했던 몇 안 되는 통화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미국(달러) 외 통화에 대한 위안

화의 과도한 평가절상이 두드러졌다. 위안화는 유로화에 대해 지난해 이후 18.4% 강세(8/10일 기준)를 기

록했다. 지난해까지 유럽이 중국의 최대 수출 지역(국가별 기준)이었음을 감안할 때, 달러화 강세에 따른 부

담이 만만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아시아 통화에 대해서도 사정은 상황은 다르지 않다. 위안화는 2014년 이후 일본 엔화와 호주 달러, 한국

원화에 대해 각각 13.3%, 14.7%, 8.6% 강세를 기록했고, 기간을 넓혀 2013년 이후로는 각각 30.36%,

28.9%, 10.2% 강세를 기록하고 있다.

연내 Fed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경우 중국의 환율 부담(달러화 외

통화에 대한 위안화 고평가 확대)이 가속화될 수 있다. 중국의 7월 수출은 -8.3% yoy를 기록했고, 이에 따

라 올해 누적 기준 수출 증가율이 -0.5%로 반전됐다. 연간 수출 역성장은 리먼 사태 영향이 컸던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또한 대내외 경기 부진 속에 낮은 물가 상승률이 이어지고 있는데, 7월 생산자 물가는 -

5.4% yoy 를 기록하며 리먼 사태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Page 16: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16_ www.Eugenefn.com

16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이에 따라 Fed 금리인상 결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중국은 위안화 평가절하

를 단행했다. 이와 같은 중국 정부의 정책 결정은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과 동떨어졌던 위안화 움직임을 이

제부터는 위안화 역시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에 맞춰 움직이게 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Fed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위안화 약세를 지속시킬 수 있다.

Page 17: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17

17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도표 15 위안/달러 및 위안/달러 NDF 도표 16 위안/달러 NDF와 위안/달러 Spread

5.9

6.0

6.1

6.2

6.3

6.4

6.5

6.6

6.7

'14-

01

'14-

04

'14-

07

'14-

10

'15-

01

'15-

04

'15-

07

(CNY)

-0.05

0.00

0.05

0.10

0.15

0.20

0.25

'14-

01

'14-

04

'14-

07

'14-

10

'15-

01

'15-

04

'15-

07

(CNY)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도표 17 주요국 통화에 대한 위안화 절상률 도표 18 G6 달러화 지수와 위안/달러 환율

-5%

0%

5%

10%

15%

20%

25%

유로 일본 엔 호주 달러 한국 원

2013년 2014년 2015년

5.9

6.0

6.1

6.2

6.3

6.4

6.5

78

83

88

93

98

103

Jan

Feb

Ma

r

Ap

r

Ma

y

Jun

Jul

Au

g

Se

p

Oc

t

No

v

Dec

Jan

Feb

Ma

r

Ap

r

Ma

y

Jun

Jul

Au

g

(CNY)

미국 달러화지수(좌)

위안/달러 환율(우)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도표 19 중국 연도별 수출 증가율 (2015년는 7월 YTD) 도표 20 중국 물가 상승률

-15.9%

31.3%

20.3%

7.9% 7.8% 6.0%

-0.5%

-20%

-10%

0%

10%

20%

30%

40%

20

09

20

10

20

11

20

12

20

13

20

14

20

15

YTD

-9

-6

-3

0

3

6

9

12

19

99

20

00

20

01

20

02

20

03

20

04

20

05

20

06

20

07

20

08

20

09

20

10

20

11

20

12

20

13

20

14

20

15

PPI

CPI

(yoy,%)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18: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18_ www.Eugenefn.com

18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Fed 금리 결정이 더욱 주목 받게 된 글로벌 금융시장 환경. 9월 FOMC 회의 금리인상 가

능성 여전히 높음

8/14일 위안화 고시환율은 소폭 하락(평가절상)하며 3일간 이어졌던 광폭 행보를 일단 멈췄다. 하지만 위안

화 평가절하가 일단락됐다고 받아들이긴 어렵다. 앞서 언급했듯이 향후 위안/달러 환율이 달러화 강세 흐름

과 연동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속도조절이 있을지라도 방향성은 이미 설정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

서 글로벌 금융시장 환경은 9월 FOMC 회의(16~17일)를 앞두고 Fed 금리 결정 전망에 더욱 민감해질 것

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전격적인 위안화 평가절하 여파로 잠시 주춤해지기도 했던 9월 FOMC 회의 금리인상 전망은 이내

다시 강화되고 있다. Fed 금리선물에 반영되고 있는 9월 FOMC 회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현재 50%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7월초 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물론 Fed 금리인상이 12월로 미뤄질 가능성 50% 가량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섣부른 예단은 금물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충분히 않은 인플레 레벨(6월 core PCE +1.3% yoy vs. 중기 목표치 +2.0%)보다는 지속

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고용시장 환경에 연준 위원들 정책 성향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고 있다는 점에서 9월

FOMC 회의 때까지 Fed 금리인상 전망에 대한 시장 우려가 이어질 수 있다.

Fed 금리인상 결정은 신흥국 통화가치 약세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고, 이는 글로벌 유동

성의 위험자산 회피를 자극하게 됨

신흥국 통화가치는 올해 들어 3년째 하락하고 있다. JP모건 신흥국 통화지수는 2013년과 2014년 각각 -

7.5%, -12.1%의 하락률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들어 8월 현재까지 -10.2%를 기록하며 하락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던 JP모건 아시아 통화지수는 지수구성비중이 높은 중국 위안화 평

가절하 영향으로 최근 하락률이 확대되고 있다.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 이유는 1) Fed 금리인상 전망에 따른 정책기조 차별화, 2) 중국 등 신흥국을 중심으

로 나타나고 있는 수요 부진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시작은 신흥국 통화 전망을 한층 약화

시키고 있다.

2013년 이후 3년째 지속되고 있는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은 주식시장 측면에서 선진국 증시에 대한 신흥국 증시 상

대강도 하락과 연동되고 있다. 통화가치 전망 약세에서 오는 환손실 위험과 신흥국 펀더멘털 전망의 상대적 부진이

신흥국 증시 기대 수익률을 떨어뜨리며 글로벌 유동성의 위험자산 회피 성향을 지속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에 대한 반전 시그널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Fed 금리인상과 중국경제 둔화 흐름은 신흥국 증시의 상

대적 약세를 지속시키게 될 것이고, KOSPI 역시 이러한 흐름에 구속될 수 있다.

Page 19: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19

19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도표 21 FOMC 회의 금리인상 내재확률 도표 22 FOMC 회의 금리인상 내재확률 변화

48.0%

73.8%

0%

10%

20%

30%

40%

50%

60%

70%

80%

9월 FOMC 회의 12월 FOMC 회의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2

/20

15

3/1

6/2

01

5

3/3

0/2

01

5

4/1

3/2

01

5

4/2

7/2

01

5

5/1

1/2

01

5

5/2

6/2

01

5

6/9

/20

15

6/2

3/2

01

5

7/8

/20

15

7/2

2/2

01

5

8/5

/20

15

9월 FOMC 회의

12월 FOMC 회의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도표 23 신흥국 통화가치 연간 하락률

(201년은 8월 현재 기준)

도표 24 신흥국 통화지수와 선진국증시 대비 신흥국증시

상대강도

-1.9%-2.8%

-4.3%

-7.5%

-12.1%

-10.2%

-14%

-12%

-10%

-8%

-6%

-4%

-2%

0%

2013년 2014년 2015년 YTD

JPM Asia Currency Index JPM EM Currency Index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3

-01

13

-04

13

-07

13

-10

14

-01

14

-04

14

-07

14

-10

15

-01

15

-04

15

-07

JPM EM Currency Index

MSCI 선진국지수에 대한 신흥국지수 상대강도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20: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20_ www.Eugenefn.com

20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원화 표시 수출액 증가는 국내 기업이익에 긍정적이나, 글로벌

수요 회복이 배제될 경우 긍정적 효과는 한계를 보이게 될 것

국내 수출 증가율(달러화 기준 yoy)이 올해 들어 7개월 연속 (-) 증가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원화표시

수출 증가율(yoy)은 원/달러 환율 상승 효과로 인해 6월과 7월 각각 +6.6%, +8.6%를 기록하며 2개월 연

속 호전됐다. 원/달러 환율 yoy 증가율이 7월 +12.3%에서 8월 14.4%로 확대되고 있어 원화 표시 수출 증

가율 호전이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실적에 긍정적이다.

하지만 환율 효과가 모든 것을 아우르지는 않는다. 통화가치 약세 시그널 자체가 펀더멘털 부진을 내포하고

있어 수요 부진이 환율 효과에 따른 긍정적 영향력을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원/달러 환율 상승이

국내 기업실적 전체적인 측면에서 (+)와 (-) 영향력을 동시에 행사하게 된다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원/달러 환율에 대한 외국인 누적 순매매 및 KOSPI 추이는 추세적으로 뚜렷한 반비례 흐

름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

원/달러 환율은 외국인 누적 순매매와 추세적으로 반비례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원화가치 약세(원/달러 환

율 상승)가 환손실 위험을 높임과 함께 펀더멘털 부진 우려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국내증시 외국인 매도와

연동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원/달러 환율은 KOSPI 추이와도 반비례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국내 기업

실적으로의 긍정적 효과가 주가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력이 기대만큼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점을 말해준다.

KOSPI 흐름은 추세적으로 외국인 누적 순매매 추이와 밀접하게 연동된다. 그리고 원/달러 환율이 KOSPI

와 외국인 동향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국면(원화가치 약세)을 지속하게 될 경우

KOSPI의 추세적 방향성이 위쪽을 향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Fed 통화정책의 본격적인 정상화

단계 진입을 앞둔 현 시점에서 원/달러 환율의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을 것이

다.

Page 21: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21

21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도표 25 수출액: 달러화 vs. 원화 도표 26 수출 증가율: 달러화 vs. 원화

42

44

46

48

50

52

54

56

35

37

39

41

43

45

47

49

51

53

11

-01

11

-07

12

-01

12

-07

13

-01

13

-07

14

-01

14

-07

15

-01

15

-07

(조원)(bil$) 수출액_달러화(좌)

수출액_원화(우)

-20

-10

0

10

20

30

40

50

11

-01

11

-07

12

-01

12

-07

13

-01

13

-07

14

-01

14

-07

15

-01

15

-07

(yoy,%)수출 증가율_달러화

수출 증가율_원화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도표 27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누적 순매매 도표 28 원/달러 환율과 KOSPI

-15

-10

-5

0

5

10

15

20

25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20

13

-01

20

13

-04

20

13

-07

20

13

-10

20

14

-01

20

14

-04

20

14

-07

20

14

-10

20

15

-01

20

15

-04

20

15

-07

원/달러 환율(좌)

외국인 누적 순매매(우)

(조원)(원)

1,700

1,750

1,800

1,850

1,900

1,950

2,000

2,050

2,100

2,150

2,20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20

13

-01

20

13

-04

20

13

-07

20

13

-10

20

14

-01

20

14

-04

20

14

-07

20

14

-10

20

15

-01

20

15

-04

20

15

-07

원/달러 환율(좌)

KOSPI(우)

(원)

자료: KOSCOM, 유진투자증권 자료: KOSCOM, 유진투자증권

도표 29 KOSPI와 외국인 누적 순매매

-15

-10

-5

0

5

10

15

20

25

1,600

1,70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20

13

-01

20

13

-04

20

13

-07

20

13

-10

20

14

-01

20

14

-04

20

14

-07

20

14

-10

20

15

-01

20

15

-04

20

15

-07

KOSPI 외국인 누적(우)

(조원)

자료: KOSCOM, 유진투자증권

Page 22: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22_ www.Eugenefn.com

22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1. IT IT 이정/윤혁진

02)368-6124_ [email protected] / 02)368-6499_ [email protected]

2. 철강/비철금속 철강/비철금속/항공운송 방민진

02)368-6179 / [email protected]

3. 기계/조선 기계/조선/건설, 부동산 이상우

02)368-6874 / [email protected]

4. 자동차/부품/타이어 자동차/부품/타이어 장문수

02)368-6199 / [email protected]

5. 화학/에너지 화학/에너지 곽진희

02)368-6170 / [email protected]

6. 항공운송 철강/비철금속/항공운송 방민진

02)368-6179 / [email protected]

7. 음식료 음식료/담배 오소민

02)368-6152 / [email protected]

8. 유통/화장품 유통/화장품 김지효

02)368-6173 / [email protected]

Page 23: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23

23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IT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정

02)368-6124 / [email protected]

전기전자 윤혁진

02)368-6499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TV, 스마트폰, 가전 등 세트업체들에게 부정적 →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등 핵심부품업체들에게는 다소 긍정적

중국 위안화 절하의 배경은, 1)중국 수출 부진에 따른 가격경쟁력 강화와 2)이를 통한 중국경기 부양임. 한국 IT업체들의 전체 매출액에서 중국

비중(1Q15기준 삼성전자 15.2%, SK하이닉스 19.8%, LG디스플레이 62.9%, LG전자 6.4%, 삼성SDI 36.0%, 삼성전기 32.1%, LG이노텍

9.4%)이 높기 때문에 중국 경기 불안은 한국 IT업체들의 실적에는 부정적 요소임

선진국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IT 세트업체들이 경쟁하고 있는 분야는 주로 스마트폰과 TV, 가전 등이 해당됨. 중국 위안화 절하를 통해 중국

IT세트업체들이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경우, 한국 IT 업체들에게 위협적일 것으로 판단됨. 화웨이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과 Hair 및 Hisense를

중심으로 한 TV, 가전 등에서 경쟁을 하고 있는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에게는 부정적일 전망. 하지만, 원화가 위안화에 연동되어 동반

약세가 될 경우 부정적 요소가 완화될 것임

중국 세트업체들의 수출이 증가할 경우, 핵심적인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국내 부품업체들에게는 다소 긍정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반도체와 LCD, AMOLED 패널 등을 공급하는 SK하이닉스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삼성전기는 긍정적일 전망

2. 원/달러 영향(환율 1,200원대 가정)

결론: 환율상승은 수출비중이 높은 IT업체들에게는 긍정적일 전망

위안화 약세에 동조하여 원달러 환율이 1,250원까지 상승할 경우, 수출비중이 높은 IT업체들의 실적에는 긍정적

원달러 환율이 10원 상승할 경우, 삼성전자는 연간 4,500억원, SK하이닉스 1,500억원, LG디스플레이 1,200억원, 삼성전기 160억원,

LG이노텍 160억원의 영업이익 개선효과가 있음. 따라서, 이번 위안화 절하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2H15에 1,250원까지 올라갈 경우, 2H15

한국 IT업체들의 실적에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됨

다만, 원화약세 속도보다 신흥국 환율의 하락 속도가 더 클 경우에는, 지난 1H15에 경험한 것처럼 환율효과가 신흥국 수요부진으로 상당부분

약화될 수 있음

3. 현재 글로벌 환율 혼란기에서 IT업체들이 투자대안처로 부각될 전망

중국 경제의 성장성이 약화되고 있는 점은 한국 IT업체들의 실적에는 궁극적으로 부담요인임

중국 위안화 절하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2H15 환율효과 기대감과 타섹터대비 높은 Valuation 매력도를 고려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삼성SDI, LG전자를 포함한 한국 IT업체들이 상대적인 투자대안처로 부각될 수 있을 전망

주요 IT업체의 매출액대비 중국 비중(1Q15기준) 1Q15 세계 스마트폰시장內 한국업체 및 중국업체 시장점유율

0

10

20

30

40

50

60

70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LG전자

삼성

SD

I

삼성전기

LG이노텍

(%)

0

5

10

15

20

25

30

35

한국기업 중국기업 한국기업 중국기업

(%)세계 시장점유율

(중국 시장 포함)

세계 시장점유율

(중국 시장 제외)

자료: 각 사, 유진투자증권 자료: IDC, 유진투자증권

Page 24: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24_ www.Eugenefn.com

24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철강/비철금속 철강/비철금속/항공운송 방민진

02)368-6179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득보다 실이 많다

중국의 철강재 과잉공급 해소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안화 약세는 철강사들에게 수출 확대 유인을 제공할 수 있음. 이는 국제 철강재

가격에 하방 압력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함

위안화 약세로 원자재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수입 여력이 축소될 가능성. 고급 철광석 등의 가격 인상 요인이 될 수 있으나 저급 철광석, 석탄,

아연 등 중국 자급비중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수입이 감소하고 국제 가격의 하방 압력이 지속될 수 있음

위안화 약세로 중국 완제품 수출이 개선될 경우 소재 수요가 증가한다는 측면은 긍정적. 다만 중국 철강재 수요의 50% 이상이

부동산/토목인프라 등에 의존하는 구조임을 감안할 때 환율절하에 따른 철강재 수요 개선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함. 비철금속이 실수요

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나을 수 있음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원화 약세에 따른 수혜는 비철금속 > 철강

당사 리서치센터 전망대로 위안화와 함께 원화 약세가 동반되어 위안/원 환율이 안정될 경우 수출 시장에서의 경합 부담은 제한될 수 있음

다만 달러 매출보다 원재료 수입이 많은 고로사(POSCO, 현대제철)는 원화 약세에 따른 당 분기 수출 단가 개선보다 후행적으로 반영될 원가

상승 효과가 클 수 밖에 없음. 이 부담을 가격인상으로 전가시킬 필요가 있는데 위안화 절하로 역내 가격이 하방 압력을 받는 상황에서는

여의치 않을 가능성(원/달러 10원 상승 시 POSCO 연간 영업이익 -0.3%, 현대제철 -0.9%)

고려아연은 높은 달러화 매출 비중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의 수혜 가능(10원 상승시 연간 영업이익 +2.5%). 다만 위안화 약세가 달러화

강세에 기여할 경우 달러표시 메탈 가격에 하방 압력이 높아져 환율 효과를 상쇄할 가능성 있음

3. 긴 호흡으로 접근할 필요, 달러화 방향성이 관건

위안화 절하가 미국 무역적자를 심화시켜 금리인상 강도를 완화시키고 달러화 강세를 제한할 경우 메탈 가격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음

이 경우가 아니더라도 중국정부가 부동산 시장 활성화, 통화정책에 이어 환율정책까지 동원하고 있는 만큼 중기적으로 산업생산과 수출지표

개선 가능성은 열어둘 필요. 이에 따른 실수요 개선이 향후 메탈 가격을 지지할 가능성 상존

다만 단기적으로 중국의 저가수출 여력 확대, 원자재 수입 감소 등이 철강/비철금속 가격지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여 관련주 밸류에이션

개선을 제한할 것으로 전망함

중국 철강재 순수출과 동아시아 가격 추이 달러화와 상품가격 인덱스 추이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40

-20

0

20

40

60

80

100

02 04 06 08 10 12 14

중국 철강재 순수출

동아시아 HR가격

(백만톤) (달러/톤)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70

75

80

85

90

95

100

105

07 08 09 10 11 12 13 14 15

USD

Commodity Index(우)

자료: CEIC,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25: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25

25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기계/조선 기계/조선/건설, 부동산 이상우

02)368-6874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기계 - 중국 시장 부양 노력이나 큰 영향 없음 / 조선 – 중국업체 경쟁력 강화로 우려감 확대

기계: 중국업체와 실질 경쟁관계는 건설기계/공작기계 정도. 가격이 중시되는 신흥국 시장에서 중국업체 M/S 증가 우려. 국내업체 부진 우려

이미 중국 내수시장 경쟁격화 상황에서, 위안화 약세는 해외업체의 영업개선에 부정적임(중국 로컬 M/S 48.2%)

공작기계는 중국업체의 가격경쟁력 개선이 해외시장 경쟁격화와 연결될 것

조선: 위안화 절하로 중국경기 개선된다면, 원자재 수요 회복 기대감 존재. 커머디티 운송수요 증가로 선박발주 증가요인이 될 가능성 존재

다만, 유가부진으로 해양플랜트 발주가 없어, 상선수주에 집중하는 현 상황에서 위안화 약세는 중국업체와의 경쟁강도 강화 가능성 높음

단순 중소형 선박뿐 아니라 한국업체 우위선종이라 여겨졌던 대형컨테이너선, LNG선 등 역시 수주경쟁 치열해질 것. 수익성 악화 우려

해양플랜트 부실로 영업실적 악화된 상황에, 상선시장 경쟁격화는 이익창출 자체가 우려되는 진퇴양난 상황임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기계 - 공작기계 수출, 환율 절하 가정에도 여전히 부정적 / 조선 – 글로벌 조선업 불황이 더욱 큰 문제

기계: 위안화뿐 아니라, 원화 또한 절하 중이지만, 일본 엔화 절하 속도가 더욱 빠르기 때문에, 한국 공작기계 경쟁력은 급속히 하락할 것

6월 한국 공작기계 수출은 914억원(-27.5%YoY). 엔저에 힘입은 일본 공작기계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상황

중국의 위안화 절화로 한국 공작기계 업체들은 가격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상실. 환 이슈에도 경쟁력 열위상황 변함없음

조선: 원화 절하는 수주경쟁력에 도움을 줄 것이나, 과잉설비 부담으로 개선된 수익성을 저가수주로 연결할 우려 존재

2Q15 조선3사의 대규모 적자에서 확인했듯이, 저가수주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조선업에 대한 투자의견은 부정적

글로벌 조선업 불황기였던 1980년대말, 2000년대말과는 달리 중국업체 수준향상으로 더욱 치열해진 상황

3. 위안화 약세는 산업재 섹터에 기회보단 위협일 것. 일본과 중국 사이의 샌드위치 위협 고조

위안화 약세는 중국 경기개선 기대감으로 연결된다 하더라도, 국내 기계/조선업체의 실적에는 오히려 부정적일 가능성이 높음

한국과 중국은 대부분 제품에서 수출경합관계에 있기 때문. 원화약세가 동반되지 못한다면 수주/사업경쟁력은 오히려 악화될 예정

따라서, 일본 엔화약세로 하이엔드 시장에서의 경쟁열위뿐 아니라, 중국업체와의 로엔드 시장 경쟁열위가 동시에 진행되는 샌드위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 높음. 최대한 중국, 일본업체와 경쟁을 피하는 투자전략이 요구됨

기계, 조선업종 내에서 해외시장 경쟁강도가 비교적 낮은 한국항공우주(04710.KS), 현대엘리베이터(017800.KS) 추천

중국 굴삭기 시장, 로컬 업체들의 시장지배력 강화 위안화/달러 환율 및 중국 조선업체 수주

-

10.0

20.0

30.0

40.0

50.0

60.0

10.0

1

10.0

7

11.0

1

11.0

7

12.0

1

12.0

7

13.0

1

13.0

7

14.0

1

14.0

7

15.0

1

15.0

7

(%)중국 굴삭기시장 M/S

한국

일본

중국

구미

중국 로컬업체들의

높은 시장점유율

6.00

6.05

6.10

6.15

6.20

6.25

6.30

0

3

6

9

14.0

2

14.0

3

14.0

4

14.0

5

14.0

6

14.0

7

14.0

8

14.0

9

14.1

0

14.1

1

14.1

2

15.0

1

15.0

2

15.0

3

15.0

4

15.0

5

15.0

6

15.0

7

(mDWT) (CNY/USD)위안화/달러환율및 중국조선업체수주

수주

위안화/달러

위안화/달러와 중국

조선업체들의 수주는

동행하는 모습

자료: 중국공정기계횝회, 유진투자증권 자료: Clarksons, 유진투자증권

Page 26: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26_ www.Eugenefn.com

26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자동차/부품/타이어 자동차/부품/타이어 장문수

02)368-6199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자동차/부품 – 다소 부정적. 단, 단기적으로 중국산 수출 적어 영향 미미 / 타이어 – 부정적. 중국산 가격 교란요인 확대

자동차/부품: 다소 부정적

중국산 수출 영향은 단기적으로 제한적. 로컬 업체의 수출이 일부 존재하나 열등한 제품 경쟁력으로 역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

중국 수요 위축 지속 시, 업체간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경쟁이 추가적으로 심화될 우려 존재. 중국 경기 부양에 따른 수요 회복은 확인 필요

타이어: 부정적

전반적 수요 부진 속 저가 중국산 타이어의 가격 교란 요인 확대로 업황 부진을 심화시킬 것으로 판단

중국산 타이어는 반덤핑 관세 부과로 미국 타이어 시장 진입이 어려운 가운데, 3대 시장 중 유럽, 중국의 가격 경쟁을 심화시킬 전망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국내 수출비중(40.7%) 높은 기아차를 비롯, S&T모티브,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등 부품업체들에 긍정적

위안화 약세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수출 비중이 높은 부품업체와 완성차 업체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

자동차/부품: 원/달러 상승에 따른 수출 채산성이 개선되는 부품업체의 실적 개선이 완성차 대비 클 것으로 기대

단, 글로벌 수요가 저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절대물량(Q) 증가로 인한 실적 개선보다 점유율 회복(방어) 기대에 의한 투자심리 개선이 클 것

타이어: 업황 회복 지연 가능성 존재. 이에 Valuation 회복 기대보다는, 환율 효과가 업황 부진을 극복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

중국 내 생산능력 비중(43.9%) 높은 금호타이어와 원/달러 상승으로 미국 OE 수익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넥센타이어 수혜

3. 자동차/부품, 위안화 절하에 따른 원화 가치 동조화 시 저평가 인식 환기. 추세 상승 위해선 원/엔 환율, 수요 개선, 점유율 회복 확인 필요

원화 가치가 이번 위안화 절하로 동반 하락해 그 동안 큰 폭 하락한 엔화 가치와의 격차를 좁힐 경우 국내 자동차 섹터는 저평가 인식을

환기시킬 것으로 기대. 이는 1)원/달러 상승에 따른 수출주 투자심리 개선과 더불어 2)글로벌 자동차 수요 저성장에 따른 경쟁 심화 속에서 3)

원화대비 엔화 및 유로화, 이종통화 약세로 상대적인 경쟁력이 악화된 국내 자동차 업체의 Derating 요인을 완화

단, 주가 측면에서 자동차/부품의 상승 추세 지속을 위해서는 1)원/엔 환율의 방향성과, 2)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수요 개선, 3)현대기아차

점유율 회복에 따른 수익성 회복 확인이 필요

당사는 직수출 비중 높은 S&T모티브, 중국법인 엔진 수출 가능한 현대위아, 국내 수출비중 높은 기아차 추천

중국 자동차 판매 비중 / 현대기아차 수출 비중 (1H15) 주요 자동차부품 중국 매출 기여도 (1Q15)

22.3%21.1% 20.0%

25.0%

40.7%

0%

5%

10%

15%

20%

25%

30%

35%

40%

45%

현대차 기아차 글로벌

중국판매비중

국내수출비중

26.7%

19.8%

25.5%30.1%

35.3%

62.9%

0%

10%

20%

30%

40%

50%

60%

70%

현대모비스 한온시스템 만도

매출액

영업이익

자료: 유진투자증권 자료: 유진투자증권

Page 27: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27

27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화학/에너지 화학/에너지 곽진희

02)368-6170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화학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나 중국 수출 경쟁력 향상에 따라 화학제품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점에서는 긍정적

위안화 절하가 화학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임. 결론적으로 중국의 수출경쟁력 강화로 화학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원화 동반 약세시 국내

업체의 환율효과도 예상되어 긍정적. 한편, 중국과 경쟁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2차전지, 태양광 제품은 판가 하락 가능성 있어 다소 부정적

1)석유화학: 중국의 화학 자급률은 60%로 화학제품을 순수입하는 상태임. 이에 따라 중국은 한국 화학업체와 직접 경쟁하는 관계는 아님. 한국

수출 중 대중국 수출 비중이 40%이기 때문에 위원화 절하에 따라 제품가격 하락 우려가 있으나 달러 가격으로 거래되고 원화 또한 절하되고

있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2)정유: 석유제품은 중국 자급률이 100%에 달하나 중국의 수출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위안화 절하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

3)2차전지 등 경쟁제품: 중국 내부 생산량이 증가하고 경쟁강도가 높아진 2차전지, 태양광 제품은 다소 부정적

결론적으로 최근 화학주 주가 하락이 중국의 수요 둔화 우려가 주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중국 환율 정책은 성장 둔화에 대한

대응책이기에 중국 수출 증가에 따라 수요 신뢰성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업종에 긍정적. 유가의 저점 통과도 확인되어 감에 따라

화학업종의 상승 사이클 환경과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함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수출 비중이 높아 원화 약세시 수출 경쟁력 향상과 수익성 개선 예상되어 긍정적

정유/화학 업체의 매출액 대비 평균 수출 비중은 50%임. 화학제품은 달러 가격으로 거래되기에 원화 약세에 따라 한국 업체들의 수출 경쟁력

제고와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어 긍정적

원/달러 환율이 1,100원에서 1,210원으로 10% 원화약세시 업체별 순이익 증가는 SK이노베이션 2,790억원(2015년 순이익 19% 증가), 효성

1,250억원(+23%), 롯데케미칼 1,120억원(+9%), 한화케미칼 760억원(+52%)으로 추정됨(산정 내용과 활용은 아래 표의 주석 참조). 순이익

증가폭이 큰 업체는 한화케미칼, 효성, OCI 순으로 예상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정유/화학업체는 원화 약세에 따라 수익성 개선 효과가 예상됨. 특히, 전년대비 2015년 이익 개선폭이 큰 상황인데,

환율 효과까지 반영되어 이익 개선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긍정적

중국 화학자급률은 60%로 순수입해 한국과 경쟁강도 낮음.

중국 최종재 수출 증가로 화학 수요증가 예상되어 긍정적

원화 약세는 정유/화학 업체 수익성에 긍정적이며 전년대비

2015년 이익 개선폭 커 긍정적 효과 클 것으로 예상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한국 수출 중 중국비중

중국 합성수지 자급률(%)

76 125 20 279 112 61

0

0.1

0.2

0.3

0.4

0.5

0.6

0.7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한화케미칼

효성

OC

I

SK이노

롯데케미칼

LG화학

10% 원화 약세시 순이익 변동

2015년 예상 순이익

원화 10% 약세시 순이익 변동률

(십억원)

자료: KITA, CEIC, 유진투자증권

자료: 각 사, 유진투자증권

주: 2014년 대비 2015년 업체들의 실적 변동폭 커 1Q15 분기보고서를 기준으로

연간화 해 환율 시뮬레이션을 하기 적절치 않음. 이에 2014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환율 민감도 분석을 제공한 업체만 작성했으며 업체별 민감도 시뮬레이션을 토대

로 2015년 순이익 예상치 대비의 영향이기에 참고용으로만 설명 가능

Page 28: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28_ www.Eugenefn.com

28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항공운송 철강/비철금속/항공운송 방민진

02)368-6179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위안화 절하에 따른 중국발 여객 수요 우려는 과도하다

2004년 이후 위안화 절상 폭이 가장 완만했던 2010년 중국 출국자 수 증가율은 20%yoy를 상회했으며 위안화가 절하되었던 2014년에도

출국자 증가율은 +18.7%를 기록함. 결국 해외 여행 수요가 성장 초기단계(전체 인구 대비 출국자 수 비중 8.5%)에 있는 중국의 경우 환율에

의한 여객 수요 타격이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

위안화와 함께 절하되고 있는 원화로 위안/원 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중국계 인바운드 수요를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임.

특히 엔화 약세로 중국인들의 일본 입국(2014년 기준 240만명(+83.3%yoy)이 증가추세에 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원화 동반 약세가

이루어질 경우 한국향 수요 개선 요인이 될 것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원/달러 상승에 따른 대규모 환관련손실은 불가피

올해 원/달러 환율 급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아웃바운드 수요는 견조한 상황임. 유가 하락에 따른 유류할증료 인하와 저가 항공사들의 공격적

영업 등이 환율 절하에 따른 비용 증가를 상쇄하고 있다는 판단

환율 상승이 아웃바운드 여객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판단하나 대규모 외화부채를 지고 있는 국내 대형항공사들의 환관련손실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함(원/달러 환율 10원 상승 시 대한항공 외화환산손실 800억원, 아시아나항공 90억원)

3. 저유가 지속 가능성에 주목

위안화 약세에 의한 중국의 산업생산 회복 시점이 불확실하고 오히려 달러화 강세에 기여할 경우 유가는 상당기간 하방 압력을 받을 가능성

존재. 앞서 논의한대로 위안화 절하가 중국발 여객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면 항공업종 마진에 긍정적 환경으로 판단함. 특히

항공유가 이미 유류할증료 구간을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유가 하락은 Yield에 영향을 주지 않음

다만 유가 하락의 수혜를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MERS에 의한 여객 수요 회복이 필요함. 반기에 걸친 완만한 회복을 예상하며 위안화 절하가

이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관건임

위안화 가치와 중국 출국자 증감률 추이 싱가폴 항공유 추이

-10

-8

-6

-4

-2

0

20

10

20

30

40

5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중국 출국자(YoY)

위안/달러(YoY, 역축, 우)

(%) (%)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bbl)

자료: COTRI,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29: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29

29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음식료 음식료/담배 오소민

02)368-6152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위안화 절하로 인한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판단

오리온의 경우 생산법인이 중국 내에 있기 때문에, 로컬생산&로컬판매가 가능, 위안화가 절하되어도 중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소비자가도

변화가 없고 상반기와 비슷한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그러나 빙그레의 경우 중국 내 판매법인만 있기 때문에 바나나우유 수출에 있어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이 조차도 수출규모가 100억원대에 불과하여 전사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중국 내에서 영업을 하는 업체의 경우 중국에서의 실적을 translation할 시 회계처리상 어닝이 감소할 수 있는 부분은 부정적(오리온, 빙그레,

삼립식품, MPK 등), 그러나 실질적으로 중국 내 영업활동이 악화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디스카운트 받을 요인은 아니라고 판단

중국 위안화 절하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이 경기부양이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소비심리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함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원재료 수입비중 높고, 외화부채가 큰 업체들한테는 디스카운트 요인

원달러 상승은 전반적인 음식료 업체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

그 이유는 원재료 매입 부담이 확대되고(소재업체, 주정업체, 농심, 대상, CJ제일제당), 외화부채를 많이 가지고 있는 업체 입장(KT&G)에서는

외화부채손실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최근 USDA(미국 농무성)의 글로벌 곡물 수급 전망 발표치를 확인하였을 때 대부분의 곡물의 생산량 전망치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상향 조정되었고, 곡물 가격이 폭락했음. 이로써 원달러 상승과 곡물가 하락이 일정부분 서로 상쇄되면서 음식료 업체 리스크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함

3. 음식료 내에서 매크로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내수에서 자가성장하는 업체들에 주목해야 함

옥석가리기가 필요: 음식료 업종 내에서는 위안화, 달러 등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고, 내수기반으로 자가성장하는 업체들이 존재. 내수의

견조한 수요와 성장 모멘텀을 가진 업체들은 고밸류에이션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

1) 기업화 진행으로 구조적인 성장: 식자재유통 ex) CJ프레시웨이>현대그린푸드

2) 새로운 시장의 개화로 성장: HMR, 리큐르 업체 ex) 롯데푸드>신세계푸드

3) 해외진출 모멘텀: 프랜차이즈의 해외진출 및 해외생산법인 설립으로 영업 거점 확대 ex) 동원시스템즈, MPK

오리온 지역별 매출 비중(2014년 기준) 최근 주요 곡물가 추이: 재고량이 상향조정되며 급락

한국, 32.4%

중국, 55.0%

그 외, 12.6%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2.0

1

12.0

4

12.0

7

12.1

0

13.0

1

13.0

4

13.0

7

13.1

0

14.0

1

14.0

4

14.0

7

14.1

0

15.0

1

15.0

4

15.0

7

(USD) Corn

Wheat

Soybean

자료: 오리온,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Page 30: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30_ www.Eugenefn.com

30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유통/화장품 유통/화장품 김지효

02)368-6173 / [email protected]

1. 위안화 절하 영향

결론: 성장성훼손 제한적. 환율과 중국인 여행객 디커플링 국면 확대 중

위안화 절하로 중국인의 여행소비여력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로 면세채널 익스포저가 높은 국내 화장품 브랜드 업체들 및 면세유통업체들

주가 약세. 국내 화장품업체들의 면세비중은 30% 내외에 해당. 면세업체들 매출의 40~50%가 중국인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 중국인 여행수요 둔화 우려있을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영향 제한적. 그 이유는 환율과 중국인 여행객의

decoupling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

1)중국인의 해외여행 비중은 전체 인구의 8.5%에 불과하여 속도의 차이일 뿐 중국인 여행객 증가는 지속될 것이고, 2)혹여 면세점 채널이

단기적으로 성장 둔화되더라도 이미 국내 화장품업체들은 중국 수출을 통해 면세채널 성장둔화에 대해 대처 가능함

중국 화장품 마켓은 연평균 8% 견조하게 성장 중이고, 국내 화장품업체들의 브랜딩 능력에 의해 중국 본토에서 국내업체들 선호도는 지속되고 있음

2분기 아모레퍼시픽의 면세점 매출액은 6월 메르스 영향이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55%yoy 증가. 4~5월에는 그만큼 면세점 성장률이

고신장했고, 면세점에서 ‘화장품’이란 컨텐츠 수요가 많았음. 또한 중국 본토로 수입되는 한국 화장품 규모도 매우 견조함

2. 원/달러 영향 (환율 1,200원 대 가정)

결론: 국내유통업체들에 영향 중립적 (원달러환율-소매판매 상관계수 0.04에 불과)

위안화 절하가 국내 유통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2003년부터 현재까지 원달러 환율과 소매판매액지수 상관계수는 0.04로 미미. 반면,

1인당 국민총소득과의 상관계수는 0.97로 매우 밀접하여 환율보다 경제성장과 소득증가 여부가 유통업 투자판단에 중요

유통업체들 중 이마트와 롯데쇼핑이 중국에 할인마트 및 백화점을 오픈하며 진출한 바 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함(이마트 2014년 중국법인

매출액 3,600억, 영업손실 920억원, 롯데쇼핑 중국 할인점 매출 1.3조원, 영업손실은 따로 파악되지 않으나 2014년 해외마트 전체 영업손실

1,400억원). 이 유통업체들은 최근 점포를 축소하고 점포 효율화 작업을 통해 이익개선에 힘쓰고 있어 사실상 중국법인 실적이 과거 대비 크게

확대될 개연성은 높지 않음

3. 유통업 투자전략: 저성장과 소득정체로 변모하는 소비 트렌드를 고려해야 함

‘복합쇼핑몰’ 출점을 통해 집객효과를 극대화하는 백화점업체- 신세계, 현대백화점

‘뉴럭셔리 브랜드’ 의류유통업체- 신세계인터내셔날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근거리 간단 쇼핑 발달- GS리테일, BGF리테일

HMR 관련 ‘PB상품과 수입와인’ 등 트렌드에 걸맞는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집객효과 최대화하는 대형마트- 이마트

중국 본토로 수입되는 화장품 금액(국가별) 환율과 요우커 디커플링

137,644 67,415

184,382 366,954

43,244 16,541 15,635

244,167

22,207 16,512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800000

900000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독일

한국

캐나다

스위스

2014

2015년 1-5월

(천$)

0

50

100

150

200

25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800,000

2003-

01

2003-

10

2004-

07

2005-

04

2006-

01

2006-

10

2007-

07

2008-

04

2009-

01

2009-

10

2010-

07

2011-

04

2012-

01

2012-

10

2013-

07

2014-

04

2015-

01

중국인입국자

위안화(명) (위안화)

자료: 유진투자증권 자료: 유진투자증권

Page 31: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 eugenefn.com · 2015-08-16 · 2015. 08. 17 Collaboration: 경제 및 전략/ IT, 철강, 기계조선, 자동차, 화학,

www.Eugenefn.com _31

31

리서치센터 |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경제 및 산업별 분석

Compliance Notice

당사는 자료 작성일 기준으로 지난 3개월 간 해당종목에 대해서 유가증권 발행에 참여한 적이 없습니다

당사는 본 자료 발간일을 기준으로 해당종목의 주식을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조사분석담당자는 자료작성일 현재 동 종목과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동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조사분석담당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동 자료는 당사의 제작물로서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습니다

동 자료는 당사의 동의 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동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

에도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기간 및 투자등급/투자의견 비율

종목추천 및 업종추천 투자기간: 12개월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당사 투자의견 비율(%)

ㆍSTRONG BUY(매수)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0%이상 3%

ㆍBUY(매수)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20%이상 ~ +50%미만 82%

ㆍHOLD(중립)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0%이상 ∼ +20%미만 15%

ㆍREDUCE(매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0%미만 0%

(2015.6.3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