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고장성납 - memory.library.kr통명성왕의 전 부인이 낳은 유리(해뿜)가...

162

Upload: others

Post on 11-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LH 고장 성납

    앓횡 城 I휩 x. 1~1훈

  • L뼈 그포짧성남

    앓향 城 I휩 x1tl웰

  • 빌간축사

    살기좋은도시,스마트성남

    6

    한 춘 섭(성남문화원장)

    우리 성남은 세게 역사상 보기 드물게 1Il}른 속도로 성장 발전해

    온도사업니다

    옛 광주의 행정구역에 속했던 시절부터 2011년 현재, 인구 100만

    을 바라보는 국내 10벤째 규모의 큰 도시로 성장하기까지 세계 도

    시발전사의 모텔과도 같이 그 위상은 높아졌습니다. 1 9

  • 。l를 널리 알려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우리 성남의 오랜

    역사적 전둥을 조사히1 t.j-가고, 자랑스런 문화유산에 담긴 의미릎

    연구하여 시민틀에게 년리 알리기 위한 노역을 펼치고 있습니디.

    성남지역에서 활동했던 역사적 연물들의 밥자취플 찾아내고, 이틀

    역사인물들의 애국섬과 효행, 선행 등을 기념하는 각종 행사블 개

    최하여 우리 성남윤 자랑스런 역사와 문화의 도시, 충효 · 청백랴

    의 도시로 만듣고자노력하고 았습니다.

    지금까지의 성파록 설례를 소개한다면, 고려 말의 학자인 둔촌

    이집과층신송산조건,조선시대 정백려 탄천 이지직, 임진왜란전

    사자 이경류, 북별운동의 주역이었던 백헌 이경석, 여류문사 강정

    일당, 영문장가인 금릉 남공청, 삼족오분양이 새겨진 연성군 이곤

    묘비, 의병장 남상목과 윤치장, 독립운동가 한순회 · 한백봉 • 남대

    회 동 수많은 애국충침을 싣천한 인물들에 대한 학숭적 연구와 기

    념사엽을전개하고있습니다 그리고천럼산봉수터의 원형복원사

    업, 분당 오괴플 두레농약의 복원과 전승, 판교 쌍용거줄다리기의

    복원과 전송사엽, 3 . 1절, 광복절, 개천철 등 기념사엽, 둔촌 청소

    년 백일장, 둔촌 시조시 백엘장, 둔촌 한시 백일장, 둔촌 한중문화

    교류사업, 강정일당상의 제정과 운영, 송산 백일장, 성남사랑 백일

    장동션조들의 엽적융계승하고발전시키기 위한사업올다양하게

    개최해왔습니다.

    이 책자는 우리 고장 청소년들이 내 고장 성남의 역사와 문호}들

    탐구하는 데 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제작되었으며,{내 고장

    성남@을 동해 성남이 역사적으로 자랑할 만한 역사 이야기를 지니

    고 었다는지부섬을갖게 되는 계기가 되기듭 바랍니다.

    2011년 원 얼

  • 8 ~ 내고장성남

    • 청소년틀이 쉽게 이해 할수 있도록 쉬운문장으로쓰고자노력했다 •

    • 이해를톱기 위해 사진 배치를늘렸다

    • 새로운문화유적의 지정 빚 발굴 성과등을반영하였다 •

    • 이 책의내용에대한자세한문의

    성남문화원(부성) 향토문화연구소 031-756-1002

    상뇨꽉;‘ • 한춘섭, 영남문화유잔J , 동명사, (1999.2)

    • 한춘섭 외.내 고장 성남., 4차 개정판, 성남문화웬, (2000.4)

    ·한춘섭 ·윤종준.역사속으로의 성남여행J ,성남문화원 , 2009.6

    • 한춘섭 융종준.성남 옛 이야기J , 성남문화원, 2010.12

    • ,판교 • 도촌지구 발굴 문화재의 보존방안J , 성남문화원 처1113회 학술회의

    논문집, 2000.10

    • ,성남시의 역사와문화유적J ,토지박물관,성남시 (2001)

    • r조선왕조실록』

    • r.증정남한지』

    ·인터넷사이트 성납시청,캐니빌리지,한마음복지관,네이버

    않꽉관굉윷j

    • 왼쪽우1- 성남시 이름의 상정인 남한산성 남문〈지회문(ji和門》

    왼쪽가운데-살기 좋은도시 성남

    왼쪽이래-분당구미동오라뜰농악

    ·오른쪽 탄천 이지직 션생 묘의 운인석-벼슬을버리고탄친가에서 유유

    자적하며 살았던 탄천 선생의 곧은 지조를 상징하듯 입술을 표현

    하지않은것아특정이다

  • 치예 ~ 9

    차례

    빌깐축사 • 한춘성 ........ … .......... … ............ … 6 일러두기 ...........•........ … .................. ……… .8

    제1장성남의역사 1 선사시대의성남 .................................... j.j

    2. 심팩시대의성남 ... … ...................... ‘ 17 3 고려시대의 성님 .. … ............................ 18

    4. 조선시대의성남 ... … .............................. 19 5 근대의 성남 ........ … ............................. 22

    6.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 " .. ‘ ........... ‘ ... 24

    저12장섬남의 마를 유래 1 싱님이라는시이름의뜻 “ 30 2. 수정구 ............................................. 32

    (1) 신흥동 .......................................... 32

    (2) 태평동 ....................................... 33

    (3) 수진동 ....................................... 34

    (4) 단대동 .......................................... 36

    (5) 산성동 ..... ““ ‘ .•................•..... 38

    ω) 양지동 .......................................... 39

    (7) 복정동 .......................................... 40

    (8) 신촌동 .......................................... 1j2

    (9) 고등동 .......................................... 43

    (10) 시흥통 ....................................... “ 3 증원구 ‘ .............................. 46

    (1) 성남통 ......................... . ........... 1j6

    (2) 충통 ............................................ 46

    (3) 끔광통 ............................. "‘’ •........ 47

    (4) 은행동 ........................ … ............... 49 (5) 상대원봉 .......... ……… ·…… .. …·… 50 (6) 하대원동/도촌동 ............ … ............... 52

  • IO 4 내고장성님

    4. 분당구 .......................... ".............. ‘ %

    (1) 분당통 ................................. ……… 51 (2) 수내동 .............................. 영

    (3) 정자동 ............... , •• , •• " •••• ’ ·… .. 57 (4) 서현동 .................. “ 59

    (5) 이매동 ...................................... 61

    (6) 야탑동 ‘ ..................................... 62

    (7) 판교동 ...................................... 66

    (8) 금곡동 ....... ‘ ................ ‘ .69 (9) 구마동 … ............... ‘ ................... 71

    (10) 운중동 .......................................... 72

    쩌13장섬남의 문호맨산과 인물 1 민속놀이·민요·전설 .... … ..... ‘ ........ 76

    (1) 판교 쌍용 거줄다랴기(민속놀이) ......... 76

    (2) 판교 다리 밟기(민속놀이) .................. 78

    (3) 야탑피의 미을제사(민간신앙) ......... … 78 (4) 이무술 집터 다지는소리(민요) ............ 79

    (5) 구미통오리뜰두레농악(민속놀이) ... …HO 2. 국가지정문화재 ............................... 82

    3 경기도지정문화재 ...................... ‘ .... ’‘ 90

    (1) 봉국사대광명전 .......................... 90

    (2) 방경암마애여래조냉 ........................ 92

    (3) 충숙공이수선생요 ........ “ ..... “ ‘% (4) 이경석선생묘 ............................... 94

    (5) 한산이씨묘역 ........................... “ %

    (6) 전주이씨시원군파묘역 ............. 96

    (7) 전주이씨 태안군파 묘역 .... “‘ · “ 96 (8) 천린산용수지 … .............................. 97 (9) 둔촌이집선생묘역 ................ 100

    (1 0) 수내동가옥 ........ …·… .................. 107

  • 자리I_.

    (11) 청주한씨 문정콩파묘역, 신도비 “‘ 108

    (12) 풍산꾼 이종린 묘역 ..... … ............ … 110 (13) 소목장/백골 ·… … ........................ 110 (14) 나전칠기장/친장 ........ … ...... ‘ ..... 110 (15) 벼루장 ............ …·… ........ 111 (16) 화각장 ............................ ‘ 111

    (17) 대목장/도편수 · … ... ………… 112 4. 싱남시 지정 앙토유적과 잉울 .... ‘ … 112

    (1) 강정알당 .............. … .112

    (2) 둔촌이집 ............................ 115

    (3)송산조견 .................................. 115

    (4) 금릉남공첼 ... ……·… .. … ......... 119 (5) 경헌 조몽정 .................................... 120

    (6) 삼족오가 새겨진 연성군 이곤 묘비 ..... 121

    (7) 광주이씨 묘역군“ ................. “ ..... 123

    (8) 전주이씨 신종군 이효백 묘역 ." .. ‘ 125

    (9) 청주한씨 청련콩파묘역 ‘ … 127

    제4장성남의어제와오늘 1 성남지역천주교순교사 ‘ - ‘ ......•......... 130

    2. 성남지역 의벙항전 .. ‘ " .. … ...... ‘ 132 (1) 제1차 의병 항전과 생남지역익 활롱 133

    (2) 제2차의병항전과성남지역익활동 .. ‘ 133

    (3) 제3차 의병 향전파 성남지역익 활동 .... ‘ 135

    3 성님의 3.1운동괴 신간회 활동 ........... 135

    4 오늘의성남 · ‘ ........... 139

    (1) 산천 ............... … .......... 139 (2) 시장 , …·……… .. … ....................... 142 (3) 공원 및 체육시설 ’ ‘ ........ H1

    (1) 챔샤 , 공연장 • 극장 ........................ I 5B

    (5) 로서관 문화시설 ...................... 159

  • --빼뿜J‘니펴

    -「-」

    훌톨!FI‘ι

  • 성남의역사

    1 선사시대의성남

    2 e능딘국시대의성남

    3. 고려시대의성남

    4 조선시대의성남

    5. 근대의성남

    6.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 14 ‘"" 내고징성닝

    저11장-성남의역사

    1. 선사시대의성남

    세계의 문명은 강을 중심으로 해서 발달하였다. 중국의 황하, 이

    집트의 나일강, 인도의 인더스강, 메소포타미아의 티그리스와 유

    프라테스강 주변으로 문명이 발달했는데, 그것은 물이 풍부한 곳

    이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고 배륜 이용한 교통이 펀리했기 때문이

    다. 성납 주변으로는 한강이 흐르고 있고 ‘한강의 기적’ 이라고 할

    만큼 눈부산 발전을 이루고 있다. 한강의 한 지류인 탄천은 성납시

    지역을관동하고 있고, 탄천을중심으혹 현대사회, 득히 최근 약 40

    년 사이에 급속도로 도시 발전을 이루어 인구 100만 명을 바라보는

    우리나라 10대 도시로 발전했다.

    탄천 주변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틀이 살기 시작하였다. 선사시

    대란사람들이 문지플만틀어서 기콕을남기기 이전의 역사를말하

    는데, 특히 돌을 사용하여 사냥을하거나도구릎 제작해서 쓰던 시

    대부터 청동기를사용하던 시대를말한다. 우리나라는돌을자연석

    그대로쓰던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연서 여러 가지 문

    화릎 남겼는데, 우리 성남시에도 판교의 삼평통에서 구석기시대의

    유적이확인되었다

    선사시대의 사람들은 강물이 흐르는주변에 모여 살면서 물고기

    즐 잡거나 산에서 사냥을 하여 먹고 살았는데, 대표적으로 서울 송

    파구의 가락동 • 풍납동 · 송파동 • 강남구 역삼동 · 강동구 암사

    동 하남시의 미사리에서 선사유적지가 발견되었다 그동안 경기

  • 뺀원띈~. 15

    도 지역에서는 연천 전곡리, 파주 기윌리, 주원려, 광주의 장지리,

    남양주 호평동에서 구석기 유적이 별굴 조사되었는데, 성남 지역

    에는구석기시대의 유적이 확인되지 않다가 2008년에 비로소조사

    결과가발표되었다 판교지역에서는구석기시대의유플외에도신

    석기시대의 빗살무늬 토기, 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 화살촉

    등 343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탄천이 흐르는 성남지역은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

    고 았어서 선사시대의 유적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도촌동 • 야탑

    동 · 시송통 • 분당통 • 수내동등에서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 다수

    발견되었다. 득히 분당 지역을 개발할 떼에는 고인툴 116기가 확인

    되었고 이 가운데 일부는 중앙공원 내 약수터 앞에 복원해 놓았다.

    또한 분당구 금토통 • 수진동에서 무늬 없는 토기, 삼평동에서 빗

    살무늬토기가 발견되었고, 판교 지역을 개발하면서 구석기시대의

    유적도 확인하여 탄전윤 중심으로 한 생남지역에는 얀류의 발자취

    가오래 전부터 있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성남시의 연혁〉

    ’상고시대 • BC 18년 백제의 온조(없祚)황이 도읍지로 정한 하남 위례성의 옛

    터엄

    • B.C 6년 온조가 한산 아래에 백성틀을 이주 시카고 하남위례성을

    축조함(온조짱 13)

    • ß.c. 5년 온조가 하남 위례성으로 도읍응 옮김(온조양 14)

    ’삼국시대 • 고구려 장수왕 63년(4ï5) 북한산군(~ti'1i山째) 편입

    • 신라 진흥왕 14년(553) 한산성에 신주(해川)설치

    ’통일신라시대 • 신라 운」듀왕 4년(664) 한산주(;%111川)로 개칭

  • 16 d 내고잠성낭 fτ---←←{

    ,고려시대

    • 고려 태조 23년(940) 광주(Ji;;川)로 개칭

    • 고려 성종 2년(983) 광주목(많}↑j짜)_Q_로 승격

    ,조선시대

    • 조선 태조 4닌(1395) 양핑도 소관을 경기도로 이관

    ·조선 인조 4년(lG2Gl 읍치릎고골에서 남한산성으혹옮김

    • 조선 인조 15년(1637) 광주부(lff)로승격

    • 조선 숙종 9년(IGB3) 유수부(핍守Jlf)보 승격

    • 조선 고종 32년(1895) 광주균(廣씨‘폐)으휴 개편

    ’현대 -1%4년 3원 3일 광주꾼중부면 성남출장소 섣치

    -1%9년 8월 l일 광주문 성남지구 도시건설 사업소설지

    -1970년 1휠 24힐 광주군 내단지사업소 섣치

    -1971년 8원 1일 경기도 직할출장소 설치

    -1973년 7월 1일 성남시로 승격(1설, 10과, 2,개 사업소, 2개 출장소,

    18개동사무소)

    -1988년 성남시 수정줄장소 및 중원출장소 설치

    - 1989년 수정구와 증원구로 승격 설치

    -1989년 분당지구 신도시 건설계획 공식받표, 개반지원사업소 섣치

    운영

    -1991년분당구로승격

    - 2011년 현재 성남시는3개구 ,18개동 관할

    :::;. ~

    !톨틀틀1:."

  • 센현띈윈L훌~ '7

    옳쏠필 j 편 툴희실촉

    2. 삼국시대의성남

    성남시는 기원전 18년, 백제의 첫 임금인 온조왕이 도읍지로 정

    한,하남위례성의 옛터로추정되는유서 깊은지역에자리잡고있

    다. 온조왕은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의 셋째 아들이다. 북부여에서

    통명성왕의 전 부인이 낳은 유리(해뿜)가 증본부여(후本技餘 · 고

    구려)로 와서 고구려의 태자가 되자 형인 비류(佛流)와 함께 남쪽

    으로 내려와 비류는 미추흘(弼耶忽)로 가고, 온조는 하남(河南)의

    위례성(빵禮城)에 도읍을 정하고국호른 십제(十濟)라 하였다.

    열마 뒤 비류가 죽고 그 백성들이 위례성에 모여들어 국호를 백

    제로고치고통명왕묘(來明王웹)를세워 제사를지냈다.

    한강은 군사적 전략과 물자의 수송, 사맘의 이동에 있어 가장 빠

    르고편리한수단이였기 떼문에 고대의 국가는물길을차지하는 데

    에 총력을 기울였고 국력이 가장 강한 나라가 한강의 주요 거점을

    차지하였다. 삼국은 한강 일대플서로 차지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

    였는데, 남한산성이나 서울의 아차산성, 풍납토성, 몽촌토성, 하남

    의 이생산성 등의 성은 세 나라가 경쟁하였던 것을 보여주는 문화

    유산으로 지금까지 념。} 었다.

    고구려 장수왕은 475년에 백제를 공격하여 한산성을 함락하고

  • 18 -.c? LK 고징성남 (f••••

    아차산에 북한산군윤 설치했다- 백재의 재21대 개로왕(재위 455~

    475)은 고구려의 천자 도럼의 꾀에 빠져 국가재정을 낭비하고 왕족

    중심의 접권체제릎 추구하여 백제 내부의 결속력을 약화시켰고,

    결국은 장수왕의 침입을 받아 죽게 됨무로써 495년에 걸친 백제의

    한성시대는막을내리게 되었다.

    551년에는 백제 성왕이 신라와 연합군을 결성하여 한산성을 다

    시 달환하였고, 553년 신라 진흥왕은 백재와의 씨움에서 한산성을

    빼앗아 신주(船101)릎 설치하고 김유신 낌L군의 할아버지인 김무력

    을군주로삼았다.

    분당의 서현동에는 백제시대의 접터가 조사된 바 았고, 최근 판

    교지역에서 고구려식의 무텀과 백제식의 무덤이 함께 발굴되어 성

    남지역이 삼국시대에도중요한지역이었음을증병해주고있다.

    3. 고려시대(918~1392)의 성남

    성남지역은 고려 태조23년(940)에 처음으로 광주라 블려졌고,

    983년(성종 2) 전국에 12목을 설치할 때 광주목으로 되었다. 이때

    광주목의 관할지역은 4군(천령 ,현재의 여주,죽주, 현재의 안성,

    이천, 과천)과 3현(지평 : 현재의 양평군 지평읍, 용구 , 현재의 용

  • 얀, 양큰 ; 현재의 양평)을

    거느리게 하고 목사가 다스

    렸다.

    995년(성종 14)에 12목제

    대신 12주 절도사제와 10도

    제른함께 실시할때 관내

    도에 소속되어 봉국군 절도

    사른 두었으며, 1018년(현

    종 9)에는 $낼도에 소속되

    면서 절도사제플 폐지하여

    안무사가 설치되었다 그

    후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광주목으로복구되었다.

    경기도광주지역의 흙은

    도자기릎줍기에 매우좋은

    것이어서 고려 말충렬왕

    때에는 강화도에서 유리기

    와를굽기 위해 광주에서

    제1징 성냥의 억사 환 19

    흙을 가져갔다- 그리고 고려 고종 18년과 19년에 몽고군이 우리나

    라에 침입하였을 때 광주사람들은 성을잘 지켜 불리쳤으므로 염금

    이 세금과부역을 면제하여 주기도했다.

    4. 조선시대(1392~1910)의 성남

    조선시대에 이르러 1113년(태종 13) 경기 좌 · 우도를 풍합하여

    경기도로 확정했을 때에 성남을포함한광주는 경기도에 속하였다.

    선조 10년에는 광주부로 숭격되어 부윤이 임명되었다, 임진왜란이

  • 20 d 대고장싱남

    일어나던 1592년에 유수 겹 수어부사로, 1623년(인조 원년)에는 유

    수로 승격되어 수어사를 겸하면서 성남지역은 수원, 개성, 강화도

    와 함께 서울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지역으로 지정되었다.3년 뒤

    남한산성을 대대적으로 고쳐 쌓아 수어청을 설치하면서 치소(治

    所)도성 안으로옮겨 목사겸 방어사가다스리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성남은 서울에서 남쪽 지방으로 가는 중요한 킬목이

    되었다. 조선이 1392년 건국하고 개성에서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

    면서 성남 지역은 중요한 교통로가 되었던 것이다. 조운흘(趙~f6 ,

    1332~1404)이라는 사랑은 중요한 벼슨을 거친 후 자은사(鉉恩놓)

    의 승려 종림(宗林)과 교유하며 판교원(板橋院) . 사평원(沙平院)을

    중건하여 스스로 원주(院主)가 되었다. 조운흘은 출입할 적에 소들

    타고 다녔고, 떨어진 옷과 짚신을 신고 지내며 일꾼들과 노고블 같

    이하였으므로그가 높은 벼슬을하는사람인지 얄아보는자가 없을

    정도였다. 판쿄원에서는 서울의 성 쌓는 사랍들이 오가면서 병이

    있는자에게 의원을 청하여 병을 진찰하고 약을 지어 주었고, 또한

    음식도 공급하여 병이 나으면 식량을 주어서 보냈다. 우정승 김사

    형이 이를듣고 임금께 아뢰니, 임금이 곡식과 염장(盤醫=소금과

    장)을 내려 주도록 명하였다.

    옛날에 지방으로 내려가던 길목이던 이곳은 오늘날에도 경부고

    속도로가 지나가는길목이다. 서울에서 호남이나 부산지방으로 전

    하는 소식이나 왕명을 띠고 가는 신하가 처음으로 머무르는 곳이

    양재역 말죽거리였고, 이어서 판교역이 다음 코스였다. 말죽거리

    에서 판교역으혹 념어가는고개가달래내 고개였다. 그고개 위에

    는 성황당이 있었고, 판교에는 주막거리가 형성되어 지방으로 가

    는사람들이 쉬어가는판교원이 있었다.

    또한 청계산자곽에 조선시대에 중앙과 지방을 연결하는주요국

    방시설붙인 봉수대가 달래내 고개 위에 있었으니, 이것이 천림산

  • 치11장 성닝의 역사 흉 21

    (天짧山) 봉수이다. 세종대왕 때 전국의 봉수대를 새롭게 정비할

    때, 전국을 다섯 개의 큰 노선으로 연결하였고, 다시 그 다섯 개의

    직봉(直條)노선 사이사이릎 연결하는 간봉(間짧)으로 연견하여 마

    치 거마줄처럼 연락망윤구성하였다. 천띔산봉수는 일본의 왜구틀

    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된 부산 다대포에서 춤발한 신호륜 용인 석

    생산으로부터 받아서울의 옥역산(木찌山 =남산)으로 전달하논제

    2거(엔)노선의 마지막 봉수였다 목벽산에서는 지방에서 올라오는

    5거(샌)의 직봉(直챔)선호를 종합하여 병조(兵훨)에 보고하였다.

    조선시대의 한강 남쪽 일대는 중요한 군사훈련장으로 할용되었

    다. 옛날 심국시대에는 백제가 한강 남쪽에서 수시로 문대를 사열

    했던 현장인데, 조선시대에도 군사 훈련장으로 활용된 것이다. 또

    한 성남 지역은 역대 염긍들의 사냥터로 활용되었다, 조선시대 임

    금들의 사냥은단순한사냥의 목적이 아니라군사훈련의 성격을 띠

    엿 지도에 묘시딘 성님지역(굉어도j

  • 22 τ~ 내고징성님

    고있었다.

    이때 군사훈련을 하면서 임금이 머무르던 곳이 바로 성남의 낙생

    지역이었다. 국왕이 낙생 역 앞 듣에서 머플있다고 한 기록이 았고,

    파오달(일종의 천막 같은 것)에 마블렀다고 한 기록, 낙생 행궁에서

    머물렸다고 한 기록 동으로 보아 군사훈련 때와 같이 야전 훈련을

    겸한 것으로 짐작된다 역사 기록을 살펴보면 세종대왕은군사훈련

    을 참관하고 대야왼(현재 하대원동 대하초등학교 터)에 와서 머무

    료기도했다.

    조선시대에 성남 지역은 남한산성이 있어서 한양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곳으로 인식되었다. 그리하여 인조임금 때에는 냥한산성을

    새로쌓았는데 적의 침입을방어하기애 가장좋은 입지조건을갖추

    고 있다. 성 안에는 유사시 임금이 거처할 수 있는 행궁을 갖추었

    고, 군사 지휘소인 수어장대플 비풋한 무숭연마를 히는 연무관 둥

    의 시섣을갖추었다. 병자호란때에는군사들의 식량이 띨어져서

    부득이 청나라에 항복을하였지만 산성 자체는 매우튼튼하게 쌓아

    진것이었다

    5. 근대의성남

    근대 개화기로 들어서면서 오랜 전통의 행정구획은 1895년(고총

    35) 전국 8도 체제에서 정부제로 고쳐져 한성부의 관할에 속하게

    되었고 광주부에사 광주군으혹 되었다. 1911년 낙생면사무소가 판

    교리에 문을 열어 낙생면 • 돌마면 • 대왕변을 풍합 관할하다가

    1911년 상직리에 대왕면사무소릎 개설하고, 돌마면은 1911년 말

    정자리에 면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13년 총독부령으로 공포된 “도의 관할 구역” 에 의해 광주군 군

    내면 소속의 7개 리(산성 ·검복·불당·오전·광지원·용미 ·상

  • 23 젠1편원렌I_(!)

    」EI

    펴~*3pλ

    -뀔

    ·ra펴ij췄τaa입찌껴찌깡g%κ

    캉*AA찌 -〉찌*fi£1ι”4fJQJn*!;a샤{9r‘

    -섣

    〉&ι%r1책싸%애써없,*{강f「써쫓영셨짧£-b*a*@6*vA

    ;r--휴짧양 -%

    종〈샘 찌%셔찌써때*AAa얘어어왔연CfA4Ua*잇생항얘쩌Aj@싸ιfι~;

    tι4에‘ιV양4요h 「뭔

    @좋?O셔써시씨ιA깨*꺼쩌*iξr

    &X얘”λι~

    -얘얘AV피“ι셔fx,짜‘~ιr4”μ써3ιν~얘ι

    ←펀

    Z값싸jA@샤Z 싸샌J*”“”%ι

    짜하3동@센Ta*3ι”*싸이강3%이」%”

    x’디ιιtιι

    •i

    성xι”ιj”ψ*{i”‘꺼入/야”찌꺼샤싸

    μγ장씨샤π?tμ示,1-κr

    컸μ&zg파→*Li

    £{@ -뱅

    ν

    떼*ηLμtisγ*f4*iM값앞까차4쇼윗}찌꺼강“TtXRf”

    f£J??μ£깅섯샤」Ltιih

    →픽

    샤강t}4L1t;rfa?↑샤익t?경꺼ιτrj셔£·샤싸써파찌4f쫓껴써ιμfr

    씌’낀껴Aμ샤(*셔《%성?0ιι

    )셈

    →후‘재lmzrrl…-잉시써암깅;f*%kiιιιι@L써

    ipi셨좁AK”μ*3mi~써니서‘?“꺼헤ιt4

    시μ*jt&*ι”’ν3-ι3-74-

    례‘κ샤#1

    4κ”샤 -(t?

    누잉씨꺼Tfra@a 꺼써i?‘

    ζ 셔P’ι〕2 O

    /1

    41 ·44

    * 섰 책 4γ ir Jk j~.it

    k?” *Y{JAa f

    fεAJ칸 유

    산콕리)와 세촌면 소속의 7개

    리 중 6개 리(단대 · 상대원 •

    수진 · 복정 · 창곡 · 단)가 통

    합되어 중부연이 신설되였으

    며, 세촌면 1개 리(하대원)는

    돌마변에펀입되었다.

    근대 시기에 접어들어 우리

    나라는 일본의 침략£로 전국

    토가 피해릎 입게 되었는데, 이

    때 성남지 역에서는 일본의 친

    략에 대항하여 싸우는 의병운

    동이 열어났다 1895년에는 명

    성황후가 일본 자객틀에 의해

    돌아가시자 다음 해에 김하략,

    구연영, 염옥여 등의 의병부대

    가이천지역방춘식의병과연

    합하여 백현(넋고개 : 광주와

    이천 사이의 고개 이름)전투에

    서 일본군을 격파한 후, 남한산

    성 안에 있던 심진원 의병부대

    와 합류하여 1 ,600여병이 집결

    하였고, 서울의 일본군을 공격

    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전투를

    벌였다.

    1907년 8월 1일에는 조선의

    군대가 강제로 해산 당했는데,

    이때 성남 출신의 남상목 의병

  • 24 -d 내고장싱남

    대장과 윤치장 의병장이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수차례 전투릎 치

    렀다. 남상옥 의병장은 경기도와 충청도, 문경새재 등지에서 의병

    환동윤 벌였다.1907년 7월 50여명의 의병을 모아 충청북도 음성에

    서 일본문과 교전하였고, 다시 안성으로 진격하여 승리를 이끌었

    다- 그리나붙행하게도 1908년 얼본 힌병에 체포되어 서대문 형무

    소에서 고문을 받아 끝내 순국하였다

    1919년 3월 1일에는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되었는데, 성남지역에

    서는 지금의 율동공원 지역인 돌마변에서 한백봉, 한순회 퉁이 지

    도자가 되고, 낙생면에서는 연장을 지낸 남태희가 주도하여 3천명

    이 염는주민들이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수진동과 태평동 일

    대의 숭골지역주민 300여 병도만세시위들일으켜 남한산성 안에

    었던 면사무소로볼려가안세 시위룰전개하였다. 이때 햇불을올

    려 하남지역이나광주 지역의 주민들과동시다발적으로만세들 외

    침무로써 일본측을 당황케 하였다.

    이후로도 우리 고장의 선조들은 천도교 광주교구창이던 한순회

    등을 중심으로 신간회 등의 단체플 설립하여 애국계몽운동과 독핍

    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마.

    6.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1) 광주군 직할 성남출장소 섣치

    1946년 당시 중부면은 연 중앙에 남한산성의 준렁이 았고 그 서

    남 기숨에 마을이 형성된 세촌변의 6개 리(단대 탄 • 수진 · 상대

    원 • 복정 • 창곡 지역 27.43knì)를 관할하기 위하여 중부연 성남 출

    장소를 설치하여 탄리에 사무실을 두었다가 1948년 수진리로 옮겨

    사무를 보게 되었다 그 후, 인구가 늘어나면서 1964년 ‘광주군 직

    할 성남출장소’ 로 승격되어 인구 및 행정 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 대처히는광주군수 직할체제로 전환되었다.

    (2) (모란개척단〉의 활통

    제1장 성님의 익사 -‘ 25 -

    6.25 전쟁으로 인하여 전국이 갯더미로 변해버렀고 국민들은 어

    려운 생활을 이어가야했는데, 성남 지역에서는 전국에서 처음으혹

    새마을 운동과 같은 운통이 전개되었다.1960년 김창숙 육군 대령

    이 성남지역에 틀어와서 그 당시 자갈밭 황무지였던 모란 시장 부

    근을 개간하기 시작했다. 이때 청년 %멍을 모으고 “보란개척단” 이

    라 이픔 짓고, 남한산성에서 흘러 내려오는하천에 둑을 쌓았다.

    지금은 그 하천이 도로로 변하였고 지하첼 8호션이 하천 옆 지하

    에서운행되고있다.

    “모란개척단”이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1년이며, 전국 최초의

    새미윤 운동이라고 i5}는 경북 청도의 새마을 운동보다 10년이나

    앞서는 것이었다.

  • 26 4 내고잠성남 {•

    것이다. 이 무럽에 만듭어진 모란시장은 이제 세계적으로 얄려진

    민속시장으로발전하였다

    (3) 경기도 성남출장소 송격

    서울시의 주택단지 경영사업의 시행으로 광주군 성남출장소 관

    할 인구가 14만여 멍으로 갑자기 증가하여, 기존 광주군 성남출장

    소 관내 6개리와 대왕면 • 낙생면 • 돌마면 전 지역을 관할 구역으

    로 하여, 1971년 9월 경기도 관할 성남출장소를 설치하여 집무를

    개시하게되었다

    (4) 성남시승격

    1971년 10월, 성남 도시건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하여 서

    울특별시에서 시행하던 “주택단지 경영사업”윤 경기도에서 인수

  • 센원뭔윈!_~훌 27

    하였다. “성남개발 3개년 투자계획” 에 의해 도시 건설사업이 착수

    되자 연구와 각종 시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얘 따라 정부에

    서는 수도권의 인구 집중 억제와 수도권 주변의 무갤서한 도시 확

    산 방지 및 서울특별시 외곽 도시의 합리적인 육성을 위해 득별법

    윤재정공포하였다.

    1973년 7월 1일, 경기도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되어 2개 출

    창소 .18개 동사무소플설치하여 시 행정업무릎 시작하게 되었다.

    (5) 인구 100만의 첨단도시

    1988년 7원에 성남시 수정출장소 및 중원출장소가 설치되었다

    가, 1989년 5원, 각각 수정구와 중원구로 승격되었다. 또한 1989년

    4월 성남시 남쪽지역의 ‘남단녹지”플중심으로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분당지구 개발지원 사업소를 셜치하여 운영

    하게 되었고, 1991년 9원, 분당출장소가 분당구로 숭격되어 오늘에

    -'---r-;

  • 28 ...", 내고징성남 '"•••---

    인구 10C만익성남

    이르고있다.

    이로써 성남시는 2011년 9월 30일 현재, 3개 구 48개 동에 인구

    979 ,795명 명의 거대 도시로 발전하였으며, 유치원 115곳, 초둥학

    교 66개교, 중학교 45개교, 고둥학교 상개교, 전문대 2개교, 대학교

    2개교 등, 전국에서 제10위 규모의 큰 도시로 발전하였다.

  • 저l짧장 성남의마을유래

    1 성님이라는 시 이름의 뜻

    2. 수정구

    3 중원구

    4 분당구

  • 30 ~ 내고장성남 t ’ r •••••••••••

    저12장-성남의 마을유래

    1. 성남(城南)이라는 시 이름의 뜻

    “성남(城南Y’이라는 이름은 1946년부터 행정구역의 공식적인 명

    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 이름이 플리어지게 된 시기는 여러

    가지 자료호 보아 지금으로부터 약 2 ,000년 전인 백제 초기로 짐작

    된다. 성남이라는 이릎은 “성(城)의 남(南)쪽 .. 즉 남한산성의 남쪽

    이라는뜻으후처음에는우리 말과 한자응을섞어서 ‘성나미’ 를쓰

    면서시작되었다.

    아무튼 성남이라는 。l름은 남한산 · 남한산성과 떼려야 멜 수 없

    는 관계에 있다. 광주의 일부였던 성남이 남한산성의 정문인 남운

    (지화문)과 잇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남한산성의 전신인 위례성과

    주장성이 심국시대부터 있어 왔기에 성(城) 남쪽에 위치해 있다는

    의마로붙여진지병이다.

    1973년에 탄생된 성남시의 뿌리는 현 광주시 옛 고장, 즉 광주군

    안에서 중부 • 낙생 • 대왕 • 돌마 4개 면이 분리되어 신 도시가 되

    었다 서울 한강 남쪽으l ‘넓은 고을’ 일부였던 ‘성남’ 은 남한산과

    청계산 두 산 자팍에 에워싸여 ‘계란모양의 포근한 형상(포란지

    형Y 이기 때문에 수천 년 전이나 지금도 20-30여 각 성씨들의 집

    성촌생활현장의 흔적이 곳곳의 문화재로 전해요고 있다.

    고려시대의 학자둔촌 이집 선생,송산조건선생, 이경듀선생의

    순국 역사이야기, 애국자의 자취가 찾아지는 백헌 이경석 선생, 조

    선시대 긍릉 남공철 선생 등의 삶에서 성남시 탄생 이전의 역사흐

  • 전(찔련띈탤랜-훌 31

    름에서 〈충효의 고장〉이 아닐 수가 없는 곳이다. 개화기 이전, 서양

    에서 블어온 가톨릭과 개신교의 은믿한 전교로도 관심이 모아지는

    우리 성남시는 일제 강압과 침략에 대항한 남상목, 윤치장 의병대

    장들의 애국 활동과 한백봉, 한순회 둥이 주도한 1919년 3.1독립만

    세 운동까지 얼어난고장이다.

    1973년 7웰 1 엘, 성남시 승격 후 3개 구청 안에서 48개의 행정 동

    이 만틀어 지기까지의 역사는 불과 38년에 블과하지만, 곧 판교 신

    도시에 새로운 인구가 틀어오게 되면 인구 100만을 흘쩍 넘어서게

    될 우리 성남시의 오늘날 자화상은 수도권 최대의 정보산업 · 교

    육 • 문화의 소문난 신도시 위상을 지닌 곳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

    다. 지하철 분당선과 8호션, 금년 10원에 게통하게 될 신분당선 지

    하철, 그리고 동서남북윤 자유로 왕래할 수 였는 교동망의 확장으

    로 생활은 더욱 편리해지고, 도서관, 체육시설과 크고 작은 공원,

    가볼만한 등산코스와 병원, 백화정이 삶의 질을 높여 주며, 다양한

  • 3z 4씌표쉰낱

    문화예술공간, 성남시 전통문화와 향토유적들이 지역의 정체성을

    기꾸어나가고있다.

    2. 수정귀홍#區)

    (1) 신흥동(新햇삐): “새롭게 부흥 하여라, 즉 날로 발전히는 마

    을이되어라"

    신 도시 가꾸기 비전윤품고 있는 마을 이듬이다. ‘신흥동’ 은 3개

    동사무소로 나뉘어 있으며, 신흥1동에 교육청이 었던 건물에 성남

    문화원, 성남문화의 집, 신흥2동에 수정구청 및 희망대 공원 위에

    경기도됩 성남도서관과 수정 청소년수련관 그리고 세이브존 백화

    점, 신흥3동에 성남우체국이 위치해 있다 옛날 광주군 중부연 단

    대리 야산과 탄리 일부, 검단산 • 남한산 자락 일대가 주택지로 변

    하고, 주 도로는 수정로와 중앙대로7t 이어져 있으며, 이 도로는 가

    파흔 경사지와 골목길 그리고, 산성의 계곡 뱃가를 복개하여 넓은

    도로를 만들었고, 대부분 각 통별 골목길은 계단식 급경사지의 멸

    집 주벅지로 꾸며져 있다.

    신홍1통은 모두 좌목, 잡초가우거진 산이므로 사람들이 거의 살

    지 않았었고, 신흥2동은 ‘옹정촌(짧힘1)’ 이라는 옛 이름이 붙을

    만큼 산속 길을 드니들려면 옹기 항아리를 들어가는 것 같이 산위

    로 올라갈수록 넓은 수풀이 있었다고 전하며, 한편 글 공부하는 서

    당도 몇 군데 있었으묘로 독정리(證추里-일명, 독쟁이 마을)라고

    도불렀다고한다.

    신흥3동은 옛날부터 셋고개라는산 언덕 길가에 집 몇 채가 마을

    을형성했던야트막한산동네이면서몇그루의잡목들이군데군데

    있었다고전한다.

  • 지12징 성님의 미을유래 훌 33

    ----!

    (2) 태평동(太平삐) ‘ “근섬 없이 태평스럽게 잔 사는 지역”

    태평1동에 수정경창서, 태평2동에 시청과 봉국사(奉國춤) 사찰,

    태평3동에 한국전력 성남지정 외 수진, 태평 2개 초등학교와, 태평

    4동에는금빛, 성남초등학교와현충탑이 높은 뒷산에 위치해 있다.

    태평1동은농촌마을엣 한랴’ 일명, ‘아래숭골’의산자략을낀

    동네였다 서울로 왕래하는 ‘성남대로’ 주변이 예전에는 2차선 비

    좁은 비포장 도로 인접지역이면서 현 ‘수정로’ 복개된 도로 농로

    길가엔 넷불이 사시사철 흘러내리던 산 · 수플 • 밤나무와 도토리

    나무가 빽빽이 우거졌던 농촌마을이었다. 그러나 지큼은고속화도

    로와지하철 분당선 사이에 위치한 생활여건이 편리한마을로탈바

    꿈하였다.

    태평2동은 ‘숭콜’ 또는 ‘남씨골’ 로 볼려지던 곳으로서 봉국사

    옛 절이 산 중턱에 였으며1 볍륜사가 었던 곳이다. 다만, 구 성남시

    청 부근에는 630여개 묘소가 있었으며, 그 중에는 정묘호란 때 전

  • 34 ‘ 5 ’/ 내고장성님

    사한 남이흥 장군의 요역이 충남 당진군으로 강제 이장된 숨겨져

    있는 개발의 역사 이야기가 아쉬울 뿐이다 지난 36년 동안 성남시

    발전의 중심기관인 시청과 시의회 및 시민회관이 자량스럽게 위치

    해 있었는데 2009년 가을에 시청과 시의회는 여수동에 새로운 건

    물로옮겨갔다.

    태평3동은 일병 ‘윗숭골’ 옛마을 지역으혹 묘지(훌뼈)들이 여기

    저기에 보였던 야산 잡꼭이 우거진 산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주택

    들이 밀집핀 경사지역으로 남문로-단리로 제일로 2차선 도로에

    둘러싸여 았고, 비줍은 여라 가지 길 이픔에서 평원대군과 제안대

    군의 이름과중앙 민속시장윤 거쳐 윤어 섣 수 있는콜목걸 많은동

    네다.

    태평4동은 수정로에서 공원로와 태평로 사이에 위치해 있는 급

    경사지의 산중턱 밀집동네로 태평3동과 크게 다므지 않다 야산능

    선을 주택지로 꾸민 이 지역 뒷산에는 현충탑이 있으며, 선경아파

    트 뒤쪽은 능선길-달맞이길 샘터길 등의 골목듬이 산바람을 가

    르며 비좁게 열려 있다- 수정구 ‘영장산’ 일명, ‘성부잔’ 의 일부 마

    을 뒷산 등산길과 이웃에 위치한 봉국사-망경암 사찰을 갈 수 있

    는동네다.

    (3) 수진동(닮進삐)

    ‘수진동’ 은, 수진1동에 농협 성남시지부, 수진2동에 풍생중 · 고

    교와 성수, 수정초등학교와 모란전화국, 성남소방서와 수많은 숙

    박엽소들이 밀집 주택가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옛 광주군 세촌면 지역이던 수진리는 세종대왕의 일곱 번째 아들

    평원대군 묘소를 관리하는 ‘수진궁’ 의 관할이었다고 전하는 지명

    이 반영되어 있어서 엣 지명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동네 증에 한

    곳이다. ‘궁말 • 궁촌’ 이라고 불렀다가, 1914년 일제시대 행정구역

  • 제2장 싱님의마을유래 훤 35

    통폐합에 의해 ‘세고개 · 새터말 • 안말 · 신당’ 들판이 았는 고개

    u}-

  • 36 --ι 내고잠성낭

    풀같이 메운 건문과 거리 풍경이야말로 성남시 발전을 이끌어 가는

    신도시의 축소판중심 현장같다.

    (4) 단대동(당쪼패): 붉은 진흙의 고개마을

    탄대통’ 은 수정구에 속한 마을로 이곳의 주요 공공기관은 수원

    지방법원 성남지원,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칭, 성남여성복지회관,

    성남세무서, KT성남지사, 단대초등학교와 성남서중 문원중 · 상

    원여자중학교와 성보정보산업고등학교 그리고, 혜은학교가 있다.

    성보정보산엽고등학교는 성보여자상업고둥학교였으나 2에7년부

    터 남녀공학으로 되었다. 성남세무서는 현재의 위치에 2009년 7원

    부터 재건축을 하여 2011년 7원에 새 건물을 완공하였다.

    이 마을의 유래논 1914년 일제시대 당시 전국 행정구역 동폐합

    정책에 의해 옛 마을 이릅이었던 ‘은행정이 · 논골 · 금광리’ 를 동

    합하여 〈광주군 세촌연 단대리〉라고 하였으며, 후에 중부면에 편입

    된 마윤이다. 예전 중부면 단리’ 동너l에서 ‘상대원리’ 쪽으로 념어

  • "12장뿔판현랜 ~

    가는 고게 흙이 붉은 진흙의 고갯맏。1므로 n않아픔 단대려라고

    하였다고한다.

    현재 지하철 8후신 ‘단대오거리역1 과 ‘남한산성역’ 두 역(뽑)이

    동네 앞 길로 관통하고 있으며, ‘중앙로’ 넓은 길에 맞닿아 있는

    ‘음촌로(陰村路)’ 와 남한산성 순환도로 아래 밀집된 주택지는 교

    동이 펀리한완만한구풍지역이고, 대부분의 마을이 경사지이면서

    도 햇볍이 잘 드는 동쪽블 향하고 있다.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하면

    서 활기 념치는 도시 마음의 얀상윤 풍겨주는 단대동은 군데군데

    소규모의 아파트 단지 〈진로 • 미도 · 진홍아파트〉가 자리잡고 었

    다. 만대공원’길을오갚수었는이마윤은검찾지청-세무서-단

    대초등학교 길로 이어져 협소한 주댁 골옥길의 경사진 u)을로서 주

    댁 재개발 1순위 마을로 지정되어 있지만, 생활에 큰 플편 없이 쾌

    적하며 생활여건이 좋은동네다.

    한편, 경기 도랩공원 ‘남한산성1 을도보로오르내리는가까운곳

    ;→gζ~

    - J

    ‘ 1)’…,r i ‘ ~i~j;ï Þ.

    ::-ò:.2ι

    37

  • 38 ....::;:;' 내고징성남

    에위치한일병 ‘단대동닭죽촌n 진문업소는성남시개발초창기부

    터 여러지역사람들에게 인기 있었던먹거리 명소로소문나있다

    (5) 산성동(山뼈洞)

    ‘산성동’ 은 남한산성을 배경으로 자리잡고 았는 수정구 관할의

    마을이며, 1989년도 단대동에서 구역이 개편된 곳이다. 주요 공공

    기관은 수정운화정보센터, 시칩 도서관을 비롯하여 수정구 보건

    소 · 노인복지회판, 그리고 성남북초등학교와 창곡중학교, 영성여

    지중학교와 칭곡여자중학교 외 국책사업에 의해 운영되는 한국폴

    리텍 I 성남대학 등 여러 교육기관이 모여 있이 교육, 도서관, 복지

    의 요충지이면서 성남시 관문으로도손꼽힌다‘

    이 곳 동네 명칭은 남한산성과 마주하고 있는 마을이므로 ‘산성

    동’ 이라고 이름 지어 블려진 마윤이다. 다른 통네에 비해 경사진

    산자락이 많고 밀집된 주택지의 녹지(綠地)공간이 많은반면, 높은

    산 고개릎 다니는 느낌이 가는 곳이다. 지형상 펀리한 8호선 지하

    철 ‘산성역’ 이 마을 입구에 있고, 제2주거 환경개선 사업지구로서

    생활 분위기는 시원한 산 계곡에서의 자연적 혜택을 받는 느낌이

    다.

    4차선도로 ‘수정로’률경계로자리잡은 ‘단대동’은태평역 중

    앙시장-시청-수정구칭을 거쳐 냥한산성 남문까지 갈 수 있는 교

    동조건이 좋은 마을이다. 특히, 서울시에 직장윤 가진 성남시민들

    에겐 출퇴근이 비교적 펀리하고1 걸어 다닐 수 았는 벼좁은 골목길

    과소규모 아파트 단지가생겨 서민생환권에 크게 불편이 없다.

    주택지 인근마다 ‘쌍지공원’ · ‘양지공원’ • ‘우남공원’ · ‘산성 소공

    원’ 쉽터가였으며,신점사앞의 “산성동느티나무R는보호수로지

    정되어였다.

  • '112잠 성닝의마를유래 힘 39

    L .j:" i 1 , ιi 、 、‘".:、’、‘'"-"~-,, 、“;、、:::::r~.r:;::},~ - ,_‘ - - • \

    (6) 양지동(陽地洞)

    ‘양지동’ 은 수정구 관할의 마윤이며 남한산성 유원지로 연결되

    는 복개된 〈중앙대로》를 경계로 하여 맞은 편 동쪽은 은행동과 경

    계른 이룬다. 서쪽은산성동, 남쪽이 단대통, 북쪽은도렴공원 남한

    산성과경계하고있다.

    1973년도 성남市때 싣시 당시, ‘으능쟁이’ 지역을 갈라서 은행

    동 은행 1.2.3이었다가 1989년에 은행3통이 〈양지통〉으로 편입되

    었다. 이 마을은 동남향 양지(陽地)쪽에 위치하므후 ‘양짓만’ 이라

    불려져온곳이다

    마을 뒷산의 〈순환로〉옆에 조성되어 있는 ‘양지공원’ 과 그 길에

    서오르내렬수있는바달 ‘논콜갈’ 등동네산아래경사지가대부

    분이다. 한편, 골목 도로폭도 8m 이상 조성되이 교통도 편리하며,

    녹지공간이 풍부한 이 마을의 주요 공공기관은 을지의과대학 성남

    캠퍼스가 도로에 인접하여 있고, ‘청소년 문화의 집’ 외 양지초등

    학교와양지파출소 · 시립테니스장이 있다-

  • 40 .d 내 고징성닝 (T

    마을에 자리잡은 신세계 · 통보3차 · 양지 아파트 단지와 어우러

    진 다목적 쉽터(소공원) ‘한마음’ · ‘양지’ · ‘어련이 놀이터’ 가 단

    독 · 연립주택지 사이에 만들어져 있다. 한펀, 크게 알려지지 않고

    있는 문화유적 ‘영춘정지(迎春흉址Y 와 ‘양지동볼망비(陽地펴 不

    忘따Y 가산기숨에보존되어 있다.

    (7) 복정동(福1Þì싸)

    ‘복정동’ 은 수정구 관한의 마윤로 서울시에 인정한 성남시의 첫

    관문이다 지하철 분당선과 함께 뻗은 〈성남대로)-지하철 8호선

    과 같은 방향으로요가는 〈우남로〉를동네 경계로하여 동쪽에 ‘망

    경암(뿔京짧)’ 이 자리해 있는 영장산의 산 기숨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조선시대는 광주군 세촌면 관할이었으며, ‘기핫꼴’ · ‘안골’ · 자

    거리’ • ‘복츄쉴’ · ‘간이골’ · ‘시주’ • ‘양지말’ 등의 여러 콧작은자연

  • X댐 성님의마을유래 ~ 4'

    부락플 총칭하였고, 순수 고유어 ‘복우울’ 이 한자화 되어 만플어진

    통네이름이다.

    주요 콩콩기관은 복정초등학교와 서울국제학교를 비롯하여 몽

    서울대학 · 가천대학교 경원캠퍼스 빚 남성대 육군종합행정학교

    (복정동 중앙문사학교)와 상하수도 사업소, 영장산 꼭대기에 자리

    잡은 망경암 사찰이 서울을 한 눈에 내려다보고 있다. 이 절 뒷산

    꼭대기엔자연암벽에감실을만들고그안에불상 ‘마애여래좌장’

    이 새겨져 있으며, ‘망경암소비 (/J、뼈)’ 문화유산이 보존되어 있다.

    최근에 ‘쩍우물마을유리l비”도건림하였으며,복정동느티나무보

    호수가 이 마을을 지키고 었다.

    동서울대학 맞은 편 굴다리 쪽에는 상하수도사업소 하수처리과

    가 있고, 지하철 〈경원대역〉 그리고,(복정역〉과 함께 교육여건이

    손꼽히는마을이면서 도로교통도잘발탈되어 있다.

  • (8) 신촌동(新村폐)

    ‘신촌동’ 은 선촌리 · 오야리 · 성곡리 자연마을을 1973년 성남시

    로 펀업 · 합병시킨 수정구 관할의 통네로서 ‘대왕 • 판교로’ 가 마

    을 복판을 세로 질러 있으며, 통쪽경게가 탄천, 시쪽은 서울 강남

    구 · 송파구와 경계를 이룬다

    신촌동 안의 옛 미을인 팀박골 · 두집메 • 작은새말 · 큰새말 중

    에 ‘선촌리’ 로 ‘띨축년 대홍수(1925년Y’ 때에 현 서울 송파구 삼전

    도벌에서 이주하여 온사람들이 ‘새 터전을 이룬마을’ 이라고 전해

    오며, 이 중담박곧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없어진곳이다.

    오야동(챔野洞)은 옛 미을이픔 ‘오야리’ 가 오야실 왜실 오야

    소에서 블려졌으며, 예전 오동나무가 않았던 곳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 그밖에 심곡동(않깝洞)의 옛 취락n뉴올 가운넷말 · 아랫맏 •

    양지말 • 웃말 · 웅달딸 · 깊은 골 중에서 대부분이 인롱산 맡 깊은

  • 제2장성닝의마틀랜 • 43

    골짜기안의 마을이라 ‘성곡리’ 로 불려지게 된 곳이다.

    신촌동의 주요기관으호는 서울공항, 효성고동학고까 있다. 서울

    공항은 약 70여만 평 부지로 행정구역상 신촌동 • 고풍동 외 심

    곡 · 요야 · 둔전마을 등에 넓게 포함된 군사시설이고, 연명, ‘성

    남 · 서울공항’ 또는 K-1671지’ 라고도 룹리고 있다 주민 대부분

    은 도시형 상업으로 주민생활을 영위하고, 신촌몽 내 버섯생산 유

    몽사업 단지, 오야통내 오야 천주교회 · 은광교회, 심곡동의 효성

    고교 빛 군인아파트, 심곡교회, 신촌교회와 도시 인접의 인릉산이

    었으므로살기 좋은곳이다. 싱콕교회는수진동의 둔전교회와 함께

    설립된 지 100년이 념은 오랜 역시른 가진 교회이다. 둔전교회는

    원래 서울공항자리인 둔전마을에 았였으나 공항을만틀면서 수진

    동으로옮긴것이다.

    (9) 고등동(히짧떼)

    ‘고등통’ 은 고등리 · 상적랴 · 둔전리 자연마을을 1973년 성남시

    로 편입 , 합병시킨 수정구 관할의 통네로서 주요도로 ‘대왕 · 판교

    로’가마을복포판가로지르고,이외서울로연결되는 대곡터년’

    과 〈분당-내곡 도시고속도로), 양재 인터치l인지와 연결되는 〈경

    부고속도로),청계로 여수로등도로망이 잘정III된동네다.동쪽

    겸계로 탄천, 서쪽은 청계산망경대, 남쪽은판교쪽 시흥동, 북쪽이

    〈대왕 • 판교로〉상서울과 선촌동이 동 경계를 이룬다.

    고등동 지명은 고산리 · 풍자리 두 마을이름에서 첫 자릎 따서

    ‘고등동’ 이름이 지어졌으며, 고등리의 옛 촌락 이름이 〈안만 • 웃

    말 길아랫말 · 주막거리 • 새순q})으혹 볼리어지고 있다

    그밖에 상적통(上짧洞)은 옛 이름 ‘상적리’ 가 〈적푸리 · 옛골 ·

    윗골 · 아랫골〉 퉁£로 옛날 선비 · 호결들이 피리를 불며 놀았다

    하여분여진이픔이다.

  • 44 -

  • 저2짐 성닝익마윤유래 |흉 45

    의 고등동이다. 시흥동 마윤이름은용인사와서윤 발죽거리를 황래

    하던 걸옥에 있어 깊은산속 도적들윤 피해 새로 집단 이주하여 조

    성펀동네로 ‘새로홍성할수 있는마을’ 이란뜻이 담겨 있다. 급토

    동은금현동(金뼈洞)과둔토리(迎土띤) 두마을이픔에서 한 글지씩

    합성한 지명인데, 자연취락의 ,,]-을이릅에 ‘범말 · 샘골 • 졸J때 ·

    동간마을 · 듬박골’ 등이 전해온다.

    주요 공공기관으로는 서l종연구소를 비롯하여 국가기록원 나라

    기록관, 대통령기록관, 한국도로공사와 한국수자원공사 성남권 관

    리단이 었다. 손꼽히는 문화재로는 금토동 천렴산 봉수지(짧않址)

    와 캉정일탕(쫓靜一堂, 1772~1832) 사당과 묘소 그리고, 청계산

    천주교 성지, 동네 앞동산 능선에 위치해 있는 조선후기 대문장 •

    서 예가였던 영의정 금릉 남공철(南公짧, 1760~184이 묘소를 비롯

    하여, 윤치장(l876~ 1972) 의병장 외 병조판서 권정(權徵, 1538~

    1598)을 비롯한 무수한 역사인물의 묘소가 전해오고 었다.

    서「 tl

    m따

    당초 껴

    뼈m

    처」 의 씬 대빠

    의 마 망 ”u

    록 그「 잉“ 삐m

    개 큰간 잉 ”“……

    라 이「」 샤 m떼

    ---u-

    이”

    나 진 얘 께패

    진 야 mm

  • 46 송뾰원날

    3. 중원귀中뼈훌)

    (1) 성남동(城南洞)

    ‘성남동’ 은 중원구 및 분당구 관문이 되고, 지하칠 분당선과 8호

    선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다. 성남시 개발 이전에는 수진2리와

    탄2리의 일부지역이면서 모래-돌자갈의 논밭 들판 땅이딘 곳이

    다.1961년부터 김창숙중심의 민간단체였던 “모란개척단n 에 의해

    가강 먼저 개척되기 시작하여 성남시 상짐으로 시 명칭과 같은 마

    을이름이생겨났다.

    현재 ‘모란’ 에서 구획된 〈광명로 · 시민로 • 공단로〉에 에워싸얀

    성남동의 주요 공공기관은 중원구 청사를 비콧하여 성남종합운동

    장 및 실내체육관과 중원문화정보센터, 롤라 스케이트장, 보란 민

    속시장과 성호시장 그리고, 경사지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중앙

    초등학교 외 성남중학교 • 성일정보고교 둥 9개의 초 • 중둥교육시

    셜이 집중적으로자리해 있다.

    특히 지하철 ‘모란’ 환승역과 가끼운 ‘모란 민속시장’ 은 전국에

    서 가장 큰 규모의 5일장으로 전통적 엣 서민의 시장터 정취릎 매

    월 끝자리 4.9일에 경험할 수가 있다

    중원노인복지센터와 동사무소 건물이 새로 지어졌고, 복지촌 오

    거리 쌍지공원과 대원공원 안에 ‘대원 테니스장’ 그리고 지하주차

    장이 주만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 마윤 자장거리는 성남동 실버

    국악단 활약과 관내의 중앙초등학교 축구부 운영이야말로 전국권

    의명성을차지하고있다

    (2) 중동(中패): ‘성남시 도시 중섬부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중원구 중통’ 의 주요 공공기관은 성호지구대 중동치안센터와

    성남 제1초등학교가 있다. 밀집된 주택지와 비좁은 골목길의 교통

  • X 2 징 싱남의마을유래 -‘ 47

    난 해소를 위해 세이브존 옆 우리은행 앞에서 하대원 아튼 벌 아파

    트 엎까지의 터널 도로망이 뒷산을 관통한다. 중통 일대에도 계단

    식 급경사지 상가가 골목길 마다 연경되어 었으며, 예전의 산자박

    서너 곳에 만틀어져 있는 벤치와 대원 근린공원 퉁 편의시섣이 갖

    추어 있는 소공원 그리고, 중앙대로와 광명로가 이어진 중앙 지하

    상가 그리고, 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이 이웃하고, 삼창 · 약

    수 · 삼남 3곳 아파트가 있으므로 비교적 마을 전치l의 생활은 편리

    하다.

    득히, 구 통사무소에 자리잡은 보건복지부 시맴사엽 “중통 주민

    건강증진센터꺼 에서는 개인별 맞춤식 종합건강 상담을 제공함으혹

    써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고자 간호사, 영양사, 운동처방사, 금연

    상담사가고정배치 되어 있는마을이기도하다.

    (3) 금광통(金光폐)

    중원구 ‘금광통’ 은 단대 오거리에서 〈광명로 · 음촌로 · 금상로〉

  • 48 ~객모형흐

    도로가 경계지역이 되고, 냥한산성 쪽 “황송공원”으혹향하고 있는

    주택지는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았다. 골목길이나도로는 마치 비좁

    은 산 계곡 수풀길처럼 조1우 앞뒤 동너l틀이 멸집 상태다. 성남시

    개발 이전 이 지역은 남한산성 검단산에 붙어 있는 첩첩 산촌팍이

    었다

    주요 공공기관으로 금광1동에는 끔상 • 단남 · 하원초등학교를

    비롯하여 금광중학교 · 대원여지중학교와 끔광2동에는 성남동초

    등학교와숭신여자중 · 고교 및 신구대학둥이 자리해 있다

    금광2동은 남한산성에서 가까운 외곽지역으로 공한지가 넓어 주

    거환경이 쾌적하고, 주요 간선 도로망이 넓게 분포펀 곳으로 1914

    년 일제시대 지방 행정구역 통폐합 식민지 정책에 의해 당시, ‘은

    행정이 · 논골 금광리’ 세 마을이 광주군 중부변 ‘단대리’ 로 편업

    되고, 시송격에 따라 단대동’ 으로 불려지다가 1989년에 ‘단대3

    동’ 이 ‘금광동’ 이라바꿔졌다.

    이 마을의 유래는 고려 말 〈두문통 72현〉의 한 사람이었던 김약

    1J-=r-대학교

  • 제2잠 성닝의 마블 유해 ~ 얘

    시(金강I낼, 1335~1406)가 이곳에 숨어 살다가 세상을 떠나게 됨으

    로씨 그 후손들광산김씨가 집성촌략을 이루면서 ‘금광리’ 라 했다

    는옛말이 전해오고있다 마을인근의 여러곳에꾸며놓은가볼

    만한 쉽터 특히, ‘황송공원’ 피크덕장, 체육시설 휴식공간이 자랑

    한 만하고, 전국에 인기 있는 2년제 우수대학으로 발전하고 었는

    선구대학도 손꼽힐만하다.

    (4) 은행동(없쯤洞)

    중원구 ‘은행동’ 은 동쪽의 남한산성 맡 황송터년과 연결되는

    ‘순환로’ 가 산기숨 아래 있으며, 서쪽 경계는 중앙로, 남쪽은 현대

    아파트와맞붙은 ‘자혜로’ 가 洞 경겨l다. 이곳은 예전 ‘은행골’ 이라

    하던 산골짜기 지역으로 〈감나무콜 · 안곧 · 매나무골 • 이바라골〉

    동 자연마을이 합쳐졌으며, 300년이 넘는 은행나무가 븐행2동 사

    무소 뒤쪽에 두그루 있어서 분여진 이름이다

    은행1동은 19ì9년 9월에 분동(分洞)되었으며, 이곳엔 은행공원

    이 았고, 공공기관으로 동사무소와중부초퉁학교, 경로당 4개와 성

    남 YMCA복지관이 있는 마윤이다.

    은행2동엔 남한산성 역사공윈을 비롯하여 은행 주공아파트와은

    빚 마을아파트가 였으며, 인구면도가 높은 동네이면서 날맞아공

    원 · 노루목공원 · 표주박’ 둥 소규모 공원이 여러 군데 있는 비교

    적 교통이 편리한 곳이다, 공공기관으후 성남 민속공예 전시관, 상

    원초등학교와 은행초둥학교, 은행중학교 그리고, 산성 등산로 옆

    가파든 산중허리애 ‘약사샤 · ‘맥련샤 사찰(융찌), 야생화단지,시

    1l]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득히,(은행골마을측재〉가매년지속으로개최되면서 이때에마

    을제사들 은행나무 아래사 지내고, 우리 민족의 전풍흔례식도 거

    행하는 둥 옛 민속(Rifr)을 잘 보존시겨 나가는마을이기도하다

  • 50 -d 내고징성닙

    곰딛전경

    (5) 상대원동(上大院洞)

    ‘상대원동’ 은 남한산성 산자락 밑의 황송터널과 연결되는 남한

    산성 아래의 ‘순환로’ 와 ‘광멍로’, ‘읍촌로’ 와 ‘공단로’ 복판에 자

    리한 3개 마을이다. 이주 옛날에는 대야원이라는 역원이 있었고 역

    윈의 아래위의 마을을 동틀이 대윈리라고 하였다. 또 일명, ‘보곡

    동(굉유파V)' 으로도 불러 왔다고 한다. 상대원1동에는 옛 사기P않

    곡선 도로가 〈상대원 공단〉 옆으로 이어져 있으며, 시민 휴식의 소

    공원 논이터가 여러 곳 조성되어 있다.

    성남산업단지 본부플 위시하여 공단 내 850여 업체들 가운데 에

    스콰이이, 동양정밀, 대웅제약, 삼성테크원, 대한교괴서, 유한킴별

    리, 샤니, 파리바게트 외 도시정비사엽소(쓰레기소각장)와 중원 .

    상대윈초등학고까 자리잡고 있다. 상대원2동에 ‘공원로 · 음촌로’

    사이의 동사무소와 대원초등학교, 상대원3동에는 대일초등학교등

    이자리잡고있다.

    상대원1동은 ‘성남 제2.3공단’ 이라 하여 수백 개 공업생산 업

    체들이 집중적으로 위치해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대형아파트

  • 제2잠 성님의마을유래 뤘':1. 5T

    형 공장들이 게속 증가추세로 입주되며, 남한산성 순환로 인접지

    역에 산성, 산호, 일성, 궁전, 성지아파트 등 여러 아파트단지가 생

    겨났다. 특히, 대단지 ‘선경아파트’ 가 중원경찰서 우측에 자리하

    고, 마을과 공단 복합구성, 시설 녹지공간조성 외 대원터널 씨리

    에서 이배재 꽤 정상까지의 통산로가 잘 정비되어 었다. 그리고

    성남시 환경사업소가 이배재 JDH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상대원 2동 역시, 경사지 밀집된주택블이 공단에 인접한주거지

    로 4차선의 공단로 · 음총로 외에 대부분 골목길들이 비좁은 마을

    이다. ‘동원산업’ 과 ‘크란츠 테크노 아파트형 건물’ 동 중소업체

    260여 개 기업이 소재하며 언제나살기 좋은주민화합의 마윤로주

    민자치샌터에서 운영하는 인기 종목 스포츠맨스는 2007년도 성남

    시 최우수 팀이자 전국 제1위 수상실적도 누린바 있다

    상대원3동은 대일초등학교를 오갈 수 았는 고지대 분양지로 비

    좁은골목길과 ‘상대원시장’을중심으로부도심적상권형성이되

  • 52 ...,?' 내고장싱닝 (7

    었지만, 언제나 인구 이동이 많은 곳으로 금상로 옆의 ‘학년 쇼핑

    센터’ 와 ‘상대원 프라자 가 눈길을 끄는 건축물이다.2007년 동사

    무소들 새로지어 다양한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이 획기적으로 편

    성되어 운영 되고 있으며, 상대원3동 치안샌터와 동시무소가 가깝

    게 위치해 있는지역특성을가지고 있다.

    (6) 하대원통(下太院패)/도촌동(흉村폐)

    중윈구 ‘하대원동’ 은 광주군 세촌면 하대원리였다가 한때는 돌

    마면에 속하기도 하였다. 1914년에 광주군 돌마연 여수리 였다가

    1973년 성남시처l 이후 여수동으로, 2000년 10윌부터 하대원동으로

    마을 이릅이 바꿔진 고장이다. 옛 자연마을 〈안골 .ll}'같곧 • 뒷

    말 • 양지말 • 웅달딴〉퉁이 모여진 이곳엔 광주이씨와 밀양박씨가

    오랜 세월 정착한고장이기도하다.

    이 곳 관할의 법정동 〈여수동 : 麗水洞〉은 공기가 맑고 뱃불이 깨

    끗한 마을이고,(도촌동 · 島村洞〉은 1925년 대홍수 때 섬 모양같이

    온 마을이 물에 잠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갈현동 ‘ 흉~J\l i떠〉은

  • 에2장 성닝의 미를 윤랜 환 53

    침이 많았던 산 고개 마을의 의미가 있고,

  • 54 ~ 내고잠싱닝

    다. 대단위 야튼벌’ 아파트를 비롯하여 검단초동학교와 대하초동

    학교 그라고 영성중학교와 성남공업고동학교가 있으며 청소년수

    련관이 2008년에 완공되었다.

    특히, 하대원에는 〈둔촌 이 집 묘역과 사당〉을 위시하여 향토유

    적 체7호인 그의 아들 이지직 외 이장손 • 이융덕 • 이세정 • 이극

    돈 · 이극기 등의 요역과 여수통 공원지역 산속에도 〈성남시 향토

    유적 제3호송산 조 견 묘소〉와조칠산묘 그리고, 김유, 김양필, 이

    청산, 이택 묘들이 이곳저곳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둔촌 이집 선

    생의 묘역은 성남시 향토유적 제2호록 지정되었다가 2008년 5월에

    성남문화원의 청원에 의해 경기도기념물제219호로승격 지정되었

    으며, 모란시장에서 공단까지의 도로명이 〈둔촌대로〉라 붙여지게

    되었다.

    4. 분당귀훌홉圖

    (1) 분당동(益며펴)

    ‘분당동’ 은 1989년에 정부의 새도시 건설계획에 따라 상전벽해

    (청田쩔따)로 개발된 분당구와 똑같은 llH을이다. 원래 경부고속도

    로동쪽의 남단녹지대였으며, 광주군돌마연의 1개 마을 ‘분당랴’

    는전형적인농촌마을이었다 분당구전체들감싸는 ‘성덕산’을뒤

    로 하고, 중앙 · 율동공원과 밝응 물이 흐르는 분당천윤 끼고 있으

    므로 쾌적한 환경 속에 위치하고, 정감 넘치는 셋별마을 • 장안타

    운 · 양지마을로 동네가 어우리져 있다.

    옛날 지명은 ‘통이점’ 이었으나 일제 당시 전국의 행정구역이 축

    소, 변경되면서 옹기그릇을 구웠다는 마을 ‘분점리’ 와 제방(뚝) 또

    는당집이 있었다던 당우리’ 두지명에서 ‘분’+당’ 각 1자플합

    성시킴으로써 ‘당모루 • 장터 • 안골 • 첨골’ 이 모여졌다

  • 재2장 성닝의 D덩유래 • 55

    운당구청과문화의거이

    이곳의 공콩 주요기관은 장안 • 당촌초동학교, 장안중학교와 대

    진고풍학교 그리고 요한성당이 있으며, 가스공사 · 지역난방공

    사 · 한전발전소 외 근린공원 ‘태현 영장산 · 당콜공원’ 4개의 쉽

    터가 있으며, 율통 새마을연수원 입구의 효자촌 먹거리촌에는 150

    여엽소가자리해있다.

    태재고개로 연결되는 서현로와 한국지역난햄사 앞 분당로, 분

    당동사무소 앞 붕정로에 물리싸인 분당동은 이곳저곳의 벨라촌과

    화성 · 장안 • 건영아파트가 위치함으로써 마을의 분위기가 자연친

    화적이면서도주택지로서 재격을 이루고 있다

    (2) 수내통(鼓內洞)

    ‘수내동’ 은 성남대로와 함께 뻗친 지하철 분당선과 연접한 꽉짜

    여 진 주택지이고, 시민들에게 최고의 영소로 꼽히는 역사 • 문화

    휴식처얀 ‘중앙공원’ 과 고객만족을 위한 차별화된 상품으로 서비

  • 56 -d객모잠쉰르

    스를 제공하는 ‘롯데 백화점’ 이 우l치해 있다 수내1동에 초럼초동

    학교와 분당고교, 수내2동에 내정초둥학교와 내정중학교, 수내3동

    에 수내초 • 중 · 고교가 았고, 동국대 한방병원이 있는 선도시 마

    을이다. 분당 신도시 건설이 되기 전에는 한적했던 농촌지 역으로

    자연부락은 ‘숲안 · 넙엇말 · 역말 · 요곧 • 절골’ 이 지금의 수내동

    전역(全域)이다. 이곳은 일명 ‘양지마윤’ 로 불려진다‘

    이 일대는 한소}(짧山)이씨의 집성촌락이었고, 이씨 문중 선조 묘

    소 1971와 관련되는 각종 문화유적 이 있다. 오늘날의 10여만 평 경

    기도기념물 제 116호 중앙공원 안에는 연못과 이증, 이정룡, 이경

    • - “ • 、 ι j 류 정려, 신도비플 비롯

    하여 3세유사비, 말무

    덤,세장비,고인돌표본

    터 , 수내동 고옥(古屋),

    기우제단 터 외 200여년

    향나무와느티나무 등

    성남시전통문화유산이

    공원내에 잘이전·복

    원하여 보존중이며, 이

    로써 역사와낭만이 함

    께하는황새울·마루공

    윈이 탄친중로켠에 자

    리해 있으므로시민틀의

    쾌적한 레저 공간이 모

    두갖추어져있다.

    수내 1동은 성남대로

    (城펴大路)를 경계선으

    로 OJ쪽 수내로 · 백현로

  • 제2장 싱닝의마을유래 ~ 57

    사이에 밀집된 아파트 5개 단지가 각종 편의시설에 조회릎 이루었

    으며, 고충형의 금호 • 청구 · 한양아파트가 비약적으로 발전되는

    분당 중심지역의 만족도가 높고, 수내역 주변에 오피스텔, 업무시

    설, 학원 등이 많아도시환경의 새 모습윤느끼게 한다.

    분당의 젖줄과 같은 탄전이 휴식공간으후 잘 정돈되었으며, 현대

    사회의 무공해 첨단시설이 집중되어 있고, 매년 j벚꽃축제’ 를통해

    이웃과의 사랑을 실천하는 또 다른 지명, ‘양지마융’ 로 다양한 시

    민행사도개최한다.

    수내2동은 2차선도로 ‘돌마 · 수내 • 내정 · 펙현로’ 의 사각형 걸

    복판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둑판갇은도시 주택지로서 분당구 중앙

    부에 위치하고, 시민블의 휴식공간이 많아 안정적얀 마을로 발전

    되고 있다 매년 부녀회에서 마을 경로잔치틀 랜이고, 정월 대보름

    날 전체 동민의 민속놀이도 개최하며, ‘파크타운 기을 문화 축제’

    릎통해 삶의 질을높이는생활문호똘자체적으로꾸며 나간다.

    수내3동은 ‘푸른 마을’ 의 상정처럼 자리잡고 있으며, 동남쪽으

    로 멸려 보이는불곡산의 등산코스와 시민틀의 건강증진응 위한 체

    육시설이 잘갖추어져 있다. 분당구의 중섬부복합주거 지역이면서

    빈틈없이 조생된 자연과 어우러진 살기 좋은 마을에 교육환경까지

    잘갖추어었다‘

    (3) 정지동

    ‘정재훈(판子剛 은 탄천(찌川)을 낀 지하칠 정자역이 가까우며,

    분당구의 남쪽 중앙부에 위치하여 날로 발전되어 가는 마플이다.

    조선시대 광주군 돋마면 정자리와 낙생면 금곡리 일부의 농촌마윤

    이 그동안 몇 차에 관할구역 변경에 의해 1996년 1원부터 정자몽이

    신설되었다. 동쪽 경계는 불곡산이 바라보이는 정자2'3동, 서쪽

    은 경부고속도로 및 분당, 정자 포시고속 도로, 남쪽은 금곡1동과

  • 58 ~ι 내고장싱낭 rr-•)•••••

    경계하고, 북쪽은 수내1통과 인접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로상의 경

    계는 성남대로 · 백현로 · 불정로 안의 주택지 정71동이 최근 1~2

    년 사이, 탄천 및 경부고속도로 서울사업소 옆에 고층주상복합 아

    파트 단지 일명 “백궁 정자 Towrï은 한 달이 다르게 이색적으로

    변화되고있다.

    정자1동은 내정로들 경계하여 탄천의 다리 백현 · 백궁 • 궁내 ·

    신기 · 금곡 · 불정교 건너편 대왕 판교로 안의 지역이면서 주요

    기관 내정펴출소, 정자우체국과 지하칠 정자역, 분당등기소, 분당

    경찰서, 분당보건소 그리고, 늘푸른 • 정자 신기 · 백현초등학교

    와 분당 · 정자 • 백현 · 늘푸른 중학교, 늘푸은고등학교 외 동양파

    라곤 · 미켈란쉐르빌 · 아이파크 · 인델라지 등 고층 대형아파트가

    20여 단지 밀집된 도시n낼에 〈정자역 벤처타운〉 안의 ‘킨스타워’

    에는 국내 최대 첨단기업체틀이 입주하여 활기플 띠고 있다. 득히

    국내 최대의 포던 인터넷 엽체인 NHN(NAVER) 본사가 위치한 곳

    이기도하다

    정자2동은 내정로와 돌마로 사이의 마을로서 광주동정(짧州束

    추)이리는 왕설전용의 정자가 단천상류인 정자리에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동네 이름이다. 관내 주요기관으로는 한솔종합사회 복지관

    을 위시하여 세소망교회 • 성지 · 충성교회가 있으며, 한솔 • 정

    자 • 탄천초등학교약 한솔고등학교 외 한솔 · 한진 • 신화 · 주공아

    파트 단지가 었다 그 외 근린공원 3개와 한솔고등학교에 골프부

    (%년 창단)가 특이한 사항이다

    정자3동에는 국내 유일의 공기업인 한국가스공사, 한국동신공사

    KT, 한국주택협회 외 분당문화정보센터 도서관 외 상품구업과 운

    반-계산전과정이 셀프서비스로운영되는

  • 제2장 성닝의마을유래 훤 59

    그리고, 중앙고등학교와 계원예술고등학교와 아파트 단지로 한

    일 · 칭구 · 우성 · 동아아파트가 있으며, 정자공원이 넓게 위치해

    었다

    (4) 서현동(쁨뼈洞)

    ‘서현동’ 은, 1914년부터 ‘통로골 · 안곧 · 고개안 • 된섭말’ 자연

    마을이 분당 신도시로 개발되면서 ‘둔서촌(캘딴1)’ 마을과 ‘양현

    려(찌때벚)’ 두지명에서 한글자씌 따서 지은이픔이다.서현동관

    할 경계는 지하철 분당선 ‘서현역’ 의

  • 60 ~. 내고징싱낭

    순회의 묘역이 지역윤내 세울수 있는문화유적지 영소로 있다.특

    히 논받이 주택지로 변화된 율동공원 가는 도로 한 켠 ‘古家’ 음식

    점 뒷산에는 성남시 향토유적 제5호로 조선 중기 효자(孝子)

  • 지12장 성님의 n덜 유래 • 61

    주댁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마을이며, 학교 • 공원 · 금융기관 ·

    상가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그러므로 분당 타 지역에

    앞서 전풍적인 효자마을이다. 동남쪽의 새마을 고개와 태현 고개

    먼 산 경치를 앞에 둔 채 서현우체국과 서현청소년수련관, 분당등

    기소와 서당 • 양영초등학교, 양영중학교와 양영디지렬고등학교가

    있으며 낮으막한동산의 점골공원도 인근에 자리하고 었다.

    (5) 이매통(二梅洞)

    ‘이매동’ 은 동쪽켠 ‘매지봉’ 산자락에 ‘이매공원’ 을 거쳐 가는

    ‘돌마로(突馬路)’, 서쪽은 〈분당 · 정자 도시 고속 도로〉이며, 남쪽

    은서현동과북쪽은 야탑동과 경계를 이푼다.

    마을의 지세(地勢)가 매호F꽃이 벨어지는 것치럼 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동영(洞名)의 옛 이름블은 〈이무슬 돌 · 임의술 · 염의곡 •

    안골, 갓골 묻방아거리〉 등이 있었다 약 200여 년 전 순홍 안씨가

    첫 입주하여 동네가 만들어졌으며, 1914년부터 ‘이매랴’ 라 했다는

    말이전해온다.

    이매1통은 동쪽의 영창산 ‘모란봉’ 골짜기를 배경으로, 서쪽 〈탄

    천(벚 川)우로(右路))가 길게 형성된 자연미들 갖춘동이다. 옛 를마

    면사무소가 있었던 마을이며 성남시 농엽기술센터플 비롯하여

    (1π 분당지점), 이매 소방i뜰소, 성남상공회의소 외 이매초등학

    교 안말초등학교, 이매중학교, 돌마고등학교 송럼중 • 고등학교

    가 새로 터전을잡았고, 송림고교 배구부가 전국권 우승 팀이다. 또

    한 어린이 사물놀이반 활통이 두드러지며,(끔강 한신 통신3단

    지-통부 코오롱-청구-성지 진홍 통신 삼성 삼환〉아파트

    단지 엎을바라보는분당선 지하칠 ‘이매역’ 이 ‘성남대로’ 믿에 았

    으며, 각 편의시설과 교풍이 잘 갖춰진 이 마을 주민자치센터에서

    는 인터넷 카페 운영과 계간소식지도 발행 · 배포하고 있다.

  • 이매2옹은 단천변으로 함께 뻗어 있는 〈탄천 좌로〉를 통쪽 경계

    로하여 서쪽은판교동에 연접한도시 고속도로,남북켠엔탄천을

    오갈 수 있는 〈하탑교-방아교-이매교-양현교〉 등이 이 마을에

    포함돼있다.

    중산충주민으로 구성된 이 곳의 ”운-중천 사량동우회”가 탄천 살

    리기에 앞장서고 있으며, 주요 공공 기관으혹 매송초등학교와 매

    송중학교 그리고, 이매고등학교등이 있다.

    (6) 야탑동(野搭洞)

    ‘야탑동’은동쪽으로광주시쪽시계(市界) ‘남서울공원묘원’ 산

    자략이며, 서쪽엔 탄천총합운동장 옆의 〈분당 · 정자 도시 고속도

    로, 서울외관순환고속 국도>, 남쪽은 이매동과 북쪽은 성남동-법

    정동에 드는 여수동과 동 경계릎 이둔다.

    ‘야탑동’ 마을 이름은 ‘오야소(챔野所)’ 와 ‘탑동(행洞)’ 옛 자연

  • 제2장 싱님의 O덜 유aH @ 63

    부락 두 곳 이릅에서 합생(合成)시킨 것으로 ‘오야소’ 는 마을 주변

    들판에 오동나무가 많았던 데서 유래된 이픔이며, 일병 ‘오와소(五

    互所)’ 즉, 기와 굽딘 가마터가 다섯 곳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한

    다.

    야탑1동은 ‘성남대로(城南:k路)’ 및 〈분당 지하천〉 ‘야탑역’ 윤

    중심으로 ‘여수천(떠水 )11)' 을 세로 질러 간 동쪽의 ‘송립로’ 와 탄

    천을 가로 지른 남쪽 ‘번영로’ 그리고,(분당 정자 도시고속도로〉

    의 서쪽 켠이 통 지역의 경게다 4개 아파트 단지와 ‘맛고을’ 주택

    지로 구성되었고, 200!년 1월부터 동 명칭이 변경되어 분당의 관문

    이 되며, 역세권 대단위 상업지역으혹 문화여가와 생활체육 기반

    시설이 잔갖추어 있어 다양한 행정 서비스 욕구블보이고 있다.

    이 n연주요 콩공기관은분당보건소, 야탐우체국, 성남고속터미

    년, 탄천 종합운동장, 분당 차병원, 코리야디자인센터 외 야탑초퉁

    학교와 야탑중학교가 였고,

  • 64 ~관곤련흐

    파트와상가밀집지역으로교통이 발달되어 었다

    야탑2동은 ‘성남대로’ 땅 맡으로 왕래ú}는 ‘야탑역’ 을 동켠으로

    하여탄전과도시고속도로가서쪽으로경계되어뻗어진마을이다.

    주요 공공기관은 야탑 지구대를 비롯하여 하답초등학교-돌마초

    둥학교 및 하탑중학교가 있다. 이 동네는 〈선경 -대우 .7차 • 벽

    산 · 주공 · 경남 • 진흥 • 떠블파크〉 등 아파트 생활에 주거만족도

    최고인 콧이며, 상권(商않])이 매우 발달된 동네다.

    야탑3동은 서북 쑥 야탑l동과 여수 도촌동과 연접된 〈송럼로

    대원로〉가 경계선으로 면적이 아주 넓은 마윤이다. 크고 작은 주요

    공공기관도 대단히 많은 야탑3동 사무소 관할 내에는 2005년 10월

    에 개관된 ‘성남 아트샌터(Scongnam Art Center)’ 를 위시하여 중

    앙문화정보센터 도서관 외 성남여성회관, 중탑 사회복지관, 이매

    지하철역, 성남세관, 상탑초등학교, 야탑고교 태원고교 성남정

    보산업고교-영먹여자고교가 자리해 있다 그리고 성남시 차량등

  • 제2징 싱닝의 마을 유해 훌 65

    콕사업소와 경인지방노동청 성남지청이 이전해 와서 민원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이곳엔 녹지공간이 넓고, 첨단산엽 연구

    시섣이 많은 반면, 관할구역이 대단히 광활하므로 "11적한 도시공

    간이확보돼있다.

    동네 가운데 길 ‘하탑로(下웹路Y 주변엔 〈야탑 • 주공 · 한신 •

    영남 . SK)아파트 길 끝 ‘분당 테크노 파크’ 단지가 있고, ‘대원로

    (*院路)’ 주변의 〈삼익 • 매화 · 주공 · 현대벽산〉 아파트 단지와

    무수히 많은 밸리지 동네 끝에는 ‘탑골공원’ • ‘남서울공원묘원’ 인

    근의 산자락이 병풍처럼 둘러 있다.

    한편, 중원구청에서 도촌동을 거쳐 분당구 서현통을 관몽"6~는

    ‘롤마로(쫓딴路)’ 길가에는 한국 KT&G(담배인삼공사), 성은 특수

    학교 등의 공공기관이 자리해 있다 특히 올 해 8월 18연 성은학교

    옆에 문을 연 한n댐「복지관은 장애얀에게 맞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합적 사례관리플 표방하는 장애인종합복지관이다 교육,

  • 여가, 복지서비스, 일자리, 훈련,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장애아동

    전담보육시설 동 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한 공간에서 One-

    stop 서비스로 제공된다. 정보화도서관, 복지관 내 다목적 체육관

    및 수영장, 휘트니스 샌터 등 문화체육시설은 지역주민과 함께 사

    용하는지역사회문화 공간으혹설계되었다.

    (7) 판교동(板橋洞)

    ‘판교동’ 을 신도시 개발지구 이전 기준A로소개하면, 법정동 자

    연마을인 삼평 백현동마을을관장하는분당구 안의 동네였다. 동

    쪽이 〈분당 정자 도시고속화 도로〉와 나란히 흐르는 ‘탄천’ 옆의

    이매 ·서현·수내동이 경계(행界)이며,서쪽은판교분기점 〈서올

    외곽 순환고속도로〉 쪽 금토 · 운중동, 남쪽궁내동, 북쪽은 사송 •

    시홍통과 연접되고 있다.

    판교통은 원래 “광주군 낙생연 판교리” 였으나, 동네 이릅은 옛날

  • 쩨징 성님의마을유래 • 67

    마을 중간으로 흐르는 ‘운중천(월中 )1 1)' 에 널뺀지로 다리를 놓아

    조선시대 그 이전부터 서울과 삼남지방(三南뼈方) 왕래의 주요 길

    목으로 ‘널다리-너다리 너더리’ 순수한끌의 속음({δ몹)이 한자

    화(漢추化)완 지멍이다.1914년1 일제시대 행정구역 풍폐합 당시에

    ‘너븐바위(廣岩)‘ 를 포함하여 ‘판교리’ 라고 하였다"암평동’ 은

    옛 삼거리와보평리 두 마을이름에서 한달지찍 합생한지명이고,

    ‘백현동’ 은 변똥이 없다.1991년 9휠 17일, 분당구 개청에 따라 행

    정동 ‘판교동’ 이 문을 열었다.

    주요 공공기관은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을 비콧, 한국석유품칠검

    사소, 남서울컨트리클럽, 판교파출소, 판교우채국, 판교소1강피출

    소, 낙생초등학교, 낙생중 · 고동학교, 낙생농협 등이 〈대왕판교

    로 분당 • 내곡도시고속화도로〉 주변에 자리해 있었다.

    옛 전통마을의 노거수(老巨樹) 느티나무-회화나무 향나무들

    이 판교 · 백현동에 4~5백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채 남아 있였

    으며, “판교쌍용 거줄다리기” 민속행사가 정월대보름날 연례행사

  • 68

  • 제2장 성님의마을유래 (선 69

    가마터 등이 마을 연근 야산에 였었다.

    그러나, 2005년 이후 판교통 일대의 신시가지 조성사업이 착수된

    정황은 ‘너더리’ 의 ‘천지개벽’ 이라 할 수 있다. 히루 사이에 마을

    집터가 사라졌고, 한 달 간격으로 도로, 하천과 야산 옛 모습은 온

    데 간 데 없이 상전벽해(~Ill쩔il})로 새 세상의 ‘신도시’ 만들기 건

    설현장으로 뒤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