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41
Lee Jin Han 이진한

Upload: others

Post on 23-Jan-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Lee Jin Han이진한

Page 2: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인사말

서울시립미술관은 2008년부터 역량 있는 유망 작가들을 지원하는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 해로 8회를 맞이하는 〈Emerging Artists: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은 “작가는 전시를 통해 성장한다”는 취지 아래 한국 미술계의 신선한 변화와 작가 양성을 목표로 작가들의 개인전 개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전시에 소요되는 실질적인 경비뿐 아니라, 전시의 완성도를 높이고 나아가 작가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하고자 단체 워크숍과 1:1 전문가 매칭 등의 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전도 유망한 작가들이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작가들의 발전을 위한 안정적인 발판이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미래가 촉망되는 16명의 작가들의 행보를 애정 어린 시선으로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홍희 서울시립미술관장

Foreword

Seoul Museum of Art (SeMA) has initiated artists supporting program for emerging artists in 2008.

Its 8th year, the program aims to create a new transit in Korean art scene and nurture artists with belief that “artists grow with opportunities to exhibit their works”. This program not only subsidizes the expenses incurred in holding a solo exhibition for artists but also provides collective workshops and 1:1 critic matching program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exhibition and boost their desire for creative activities.

SeMA will continue to commit ourselves to its long-term goal to support talented emerging artists with opportunities to devote their works, and become a reliable foothold for them to continue to develop their artistic capacities. We hope you devoted to continue to offer your encouragement and support for the aspiring artists who arrived here through fierce competitions.

Thank you.

Kim, Hong-hee Director of Seoul Museum of Art (SeMA)

Page 3: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임산 큐레이터, 비평가/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

“회화는 스스로의 경험과 사고와 감정을 온전히 소유하는, 어찌 보면 이룰 수 없는 불가능한 꿈을 꾸고 그것을 이루려는 행위이다”라는 이진한 작가의 진술에서 나는 그녀가 회화를, 더 나아가 예술적 행위 모두를 대하는 태도를 읽는다. 그녀의 선언적 고백은 예술가로서의 내밀한 진정성을 강화하는 조건과 동기를 함의한다. 자신의 심미적 느낌을 숨김없이 드러낼 수 있는 매개적 과정에 주목하게 만드는 그 짧은 문장은 한편으로, 삶과 예술 사이에서 이성의 형식화와 감각의 비논리적 출현이 서로 엮는 간섭과 은폐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과 다름 아니다. 예술가는 자신의 삶에서 온 몸과 온 마음으로 만나는 수많은 어떤 ‘순간’을 드러낼 때 특유의 주관성을 내세운다. 그렇지만 그 철저히 ‘모던’한 개인적인 느낌을 예술작품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총체적 인간성을 다시 살필 진지함의 요소들을 재구성해야만 한다. 사우스플로리다대학의 철학자 찰스 귀넌(Charles Guignon)은 이러한 의지적 행동이 곧 예술가의 진정성으로 이어진다고 말한 바 있다. 물론 예술가는 그 내면화에로의 부정적 매몰을 경계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자신의 소중한 순간들에 대한 심미적 돌아봄은 자아 발견에 그칠 게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예술가가 도전하는 그 “불가능한” 영역의 가능화는 현실이라는 지평에서 다시금 예술의 자유가 열어야 하는 타자와의 대화의 장으로부터 시작될 것이다. 이진한의 전시에서 ‘나’와 ‘당신’이, ‘밤’과 ‘낮’이, 전시회의 제목과 작품의 제목이 서로 자리를 바꾸듯이 그렇게.

이진한 작가는 사람을 만나고 소설을 읽고 영화를 보고 음식점에 가고 쇼핑을 하고 대중가요를 듣고 인터넷 서핑을 한 후, 그림을 그리고 싶어 했다. 물론 작가 자신은 이러한 일상적 행위들의 주어이다. 그런데 그녀 자신은 일상에서의 사건과 관계를 맺는 무척이나 의식적인 주체임에도, 자신을 대신할 새로운 주체를 그림의 주어로 내세운다. 그녀의 그림의

주어는 일차적으로 현실 표면에 대한 경험과 관찰의 결과로 생성되지만, 이와 동시에 현실 이면의 무의식적 층위에 대한 의미론적 판단을 행하고 서술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어찌 보면 초현실적 배경에서 부각되는 그녀의 그림 속 기표들은 그 새로운, 또 하나의, 이중적 주어가 세상에서 고른 수사적 표현물일 수 있다. 그것은 갇혀 있는 생명을 꺼내는 일이기도 하고, 이름 붙일 수 없었던 것에 이름을 붙이는 미적 기획이 되기도 하다. 나는 이진한 작가의 이러한 그리기 방식이 곧 회화가 지향할 또 하나의 길이라고 평하고 싶다. 회화의 재현적 숙명과 그것을 둘러싼 억압 구조로부터 벗어나는 그 길은, 회화의 보편적 권력을 불가피하게 반복적으로 세속화하는 데 있지 않고 그 자체에 내포된 모순을 정지된 시간의 화면에 펼쳐 보이는 소박한 시도로부터 출발한다. 화가의 진정한 심미성은 현실의 그럴듯함의 구실이 되는 당연한 지표들의 범주 그 바깥을 향하게 하는 표현의 발견에 있는 것 아니겠는가.

이진한 작가가 이 전시회에서 소개하는 또 하나의 표현 방식은 “너와 나와 우리의 사전”이라는 제목의 영어사전이다. 단어의 뜻을 기술하는 사전은 순수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또 다른 비밀을 만들어내어 의미 세계의 곤경을 창조하는 미로 같은 사물이다. 언어는 의미를 적극적으로 포섭하지만 결코 그 존재가 투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가가 자신만의 사전을 만들었다. 사전에 수록된 단어들은 선형적 관계로 설명되지 못하는 일상의 경험과 그것의 시각적 현전 앞에서 작가 자신이 매번 직면하는 개념어들이다. 그리고 자신의 회화에 동원된 비유의 대상 혹은 그 수사적 전략도 언급한다. 이러한 언어적 실천은 궁극적으로 작가가 자기 자신을 말하고자 하는 모종의 욕구에서 비롯할텐데, 그 내면적 필요는 이 글의 서두에서 언급한 고백과 관계할 것이다. 이는 자신의 삶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이고

것 과의

대화

꾸는모든

Page 4: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아니다. 오히려 내면에서 행해지는 미적 충동을 타자에게 털어 놓으며 스스로를 계속 분절해내려는 건넴의 이야기에 가깝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녀의 사전은 궁극적으로 스스로를 확인하는 긍정의 가치이면서, 동시에 예술적 욕망과 감각적 매개체의 확장 사이에서 혹여 맞닥뜨릴지 모를 자폐적 의식과의 생산적 단절로도 볼 수 있겠다.

회화가 본격적으로 세속의 말을 전한지 천년 가까운 세월이 흐르는 동안, 때로는 언어의 잔재를 치우려고도 했고 때로는 언어 자체로 다시 환원하고 싶어 했음을 우리는 안다. 이진한 작가는 이미저리의 과잉 시대에서 선별하여 거두어들이는 회화적 현실을 선보이며 여전히 다양한 매개체가 우리 지각에 가져올 가능성을 실험하는 중이다. 말과 사물의 관계를 조정하려하고, 그리기와 글쓰기의 기원에 의해 부과된 감각적 궁지를 벗어나려고도 한다. 이러한 시도 속에서 자기의 심미적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은 표현의 한계에 대한 조건이 되고, 감수성의 파동이 전한 흔적들을 갈무리하는 강렬한 동기로 발전한다. 이번 전시에서 그녀의 예술가로서의 진정성은 서정적이면서도 이성적인 주해로서의 그림과 글의 통일에 대한 노력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매개체 자체의 이름으로 행하는 입장은 어떤 결정의 답보다는 유동하는 비결정의 영역에서 표명된다. 그렇기에 꿈꾸는 모든 것과 나누는 그녀의 예술적 시도는, 자신의 삶을 작품으로 통하게 하는 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서 한발 더 나아가 예술가와 작품 모두를 동요시키는 대화에 가깝다. 요컨대 내면의 다양함을 해방시키기 위한, 자기 고유의 물음들을 현실의 대화 속에 내어 놓는 실천이다.

Shan Lim, curator and critic/professor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Painting is to dream the impossible—of wholly privatising one’s experience, ideas, and emotion—and of making it manifest.” This statement by Lee gives me a glimpse of her attitude towards painting and art in general. This dichotomy, pitting rationality and formality against irrationality and sensation, reveals something key about her aesthetic sensibility as an artist. Her declarative confession uncovers a precondition, a motive that reinforces her innate authenticity as an artist. I believe that the artists expose their own subjectivity when they encounter “the moments” of daily life as a series of whole-bodied and wholehearted commitments. To turn one’s own private, intensely interior and “modern” feelings into an artwork demands that the artist reconfigure the component of authenticity. Charles Guignon at South Florida University has stated that wholeheartedness of commitment is pivotal to attaining the authenticity of an artist, but he also warns that such commitment mus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elf-absorption which threatens such an undertaking; aesthetic reflection on one’s cherished moments should not give way to self-centredness. To me, her attempt to make the “impossible” realm of dreaming possible in painting begins from a conversation. In dialogue, we find a space where the autonomy/idiosyncrasy of the art object may be born—just as in this exhibition, ‘I’ and ‘you, ‘night’ and ‘day’ are freely interchanged with one another, subjectivities slipping in the same way as the title of the exhibition gives way to the title of an individual painting.

She meets people, reads novels, watches movies, eats in restaurants, goes shopping, listens to pop music, surfs the Internet, and

after that, she paints. Presumably the artist herself is a subject in such daily acts, a subject she later replaces with the subject of painting. Although the subject is the result of experience and external observation,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arrating an unconscious, internal ‘reality’. Therefore the subject that stands out from the dream-like pictorial space in her painting seems like an arbitrary figure of speech, but this capriciousness corresponds to the artist’s analysis of language as fluid and continually moving, as something discovered by two subjects simultaneously (the subject of painting and the artist herself as subject). To paint like this is to bring language into the light. To name an unnamable metaphor. I would like to propose that Lee’s way of painting offers a new form of contemporary perception, one rich with possibilities for the medium. She is attempting a different kind of expression that projects outwards from a collection of subjective prompts, escaping the reason and authority of traditional ‘still life’ as limited by logic, and relying instead on the thoughtful possibilities of an imagined situation. With this undertaking, she accrues the authentic aesthetics of a painter. In her paintings, the metaphorical images pause their movements, resting a moment between definitions, momentarily escaping the tyranny of continuously producing meaning.

A dictionary is at once factual – offering precise and authoritative definitions of words, giving limits to language – whilst at the same time it presents us with a mysterious, maze-like construction that delineates the complexity of language’s evolution, overlap and etymology.

A

W ITHEVERYTH I NG

THATDREAMS

CON V E R SATI ON

Page 5: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큐레이터 전효경

이것은 작업에 대한 글이 아니라 작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는 그림을 그릴 때 발을 많이 그린다고 했다. 그 말을 듣고 그의 그림을 다시 보니 그는 그의 발이 무엇을 밟고, 어딘가를 딛고 있다는 사실을 보통 사람들 보다 더 많이 의식하는 듯 했다. 그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되기 전부터, 그는 그냥 그런 방식으로 자신과 자신이 아닌 것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인 것 같았다. 그가 그림을 그리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 발을 쳐다보며 그린 그림들 중 두 종류의 그림을 꼽을 수 있는데 그의 발이 닿은 곳이 그에게 익숙하고 친밀하다고 느꼈던 자리와 또 발이 만난 낯설었던 곳에 대해 그린 그림이 있다. 그는 그 사건과 순간에 대해 오래 생각한 것이다. 그는 맨발로 다른 사람의 발을 만졌을 때를 생각했다. 나는 그때가 그의 발이 친밀함을 느꼈던 순간이라고 짐작했다. 그것은 실수로 다른 사람의 발을 밟아서 아주 잠깐 서로의 발을 닿았다 떼는 상황이 아니라 가만히 남의 발에 자신의 발을 놓아 발의 온도를 서로 올려주는 상태였다. 그는 추울 때나 바닥이 차가울 때 그렇게 하는 게 양말을 신는 것보다 더 좋았다. 손과 손이 맞닿았을 때보다 훨씬 확률적으로 흔치 않은 순간이었다. 그는 발이 기억하는 그 살가운 순간을 되뇌기 위해 두 사람의 발을 여러 번 그렸다. 두 사람의 발은 네 개지만, 그 순간에 대한 기억이 겹겹이 쌓여서 그런지 그는 여러 개의 발로 생각의 화면을 충분히 채운 것 같다. 그래서 여러 개의 발을 그린 그림은 그림의 온도가 높다. 그는 반대로 발이 닿은 곳이 낯선 때에도 그림으로 기록했다. 이번에 그가 대면한 것은 상태가 아니고 상황이었다. 그의 속도감 있는 필치와 많이 계획한 것 같지 않아 보이는 즉흥적인 붓의 방향과 색의 선택이 빠르게 사라지는 기억을 잡아두려고 애썼다는 것을 단번에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꽤나 짱짱하게 완성된 것을 보면 그 낯섦을 피하려 하지 않고 어느 순간부터는 꾹꾹 눌러서 정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원래 낯설다는 것은 정리가 잘 되지 않는 감정인데, 이 상황을 그릴 때 사실을 묘사하고 설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기 보다는 그의 발이 디딘 곳의 생경한 느낌 자체를 정리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낯선 느낌은 항상 어딘가 안개 낀 것처럼 확실하지 않으니까 그 자체를 뚜렷하게 규명하고자 함이 아니었을까. 그렇지만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 그 낯섦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상황이 그려진 그림 역시 그 온도가 높았다. 그가 직접적이고 본능적으로 발의 형태를 그리지 않았을 때도 그가 발에 대해 생각한다는 것을 느꼈는데, 그것은 그림에서 그의 발이 디디고 있는 곳의 깊이가 느껴졌을 때였다. 한 예로 악몽을 꾸는 침대 위에 있는 발이 심연으로 빠져드는 느낌과 물이 찰랑찰랑한 해변가를 거니는 그림을 볼 때, 발의 감각이 그가 과거의 어떤 상황을 떠올리게 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발의 자리가 그의 관찰을 도와주었다. 그에게는 발로 무엇을 디디고 있는가의 문제가 눈으로 무엇을 목도할 수 있었는가의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 같다. 몸의 많은 감각 기관을 차치하고 발의 국소적인 촉감에 의존한 관찰 방법은 지극히 사적이고 주관적이라 실제 세계나 사실과는 별로 상관이 없는 어떤 형태로 정리될 때가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당연히 그런 주관적인 것이 그다지 문제되지는 않는다. 모든 작가는 세상을 관찰하고 관찰의 결과물은 각자의 주관적인 방식과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런 관찰의 행위를 하기 위한 당위성과 객관성을 스스로 찾아 내는 것이 더 중요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에게는 그 당위성을 획득하기 위해 발이 느낀 칠흑 같은 낯섦을 차곡차곡 정리하는 일이 그의 하루 일과 중 매우 중요한 일이었을 것임을 짐작해본다. 그 일을 해내는 노력이 그림을 그리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큰 에너지를 필요로 할 것 같다. 아마 그 일을 하는 것만으로도 그의 하루 하루가 모자랐을 것이다.

H E R

EK E N

F E ET

Due to its paradoxical fixity of meaning combined with the entanglement of the dictionary form, language cannot carry clear or bounded sense as we expect, so Lee has created her own dictionary: alongside her paintings we are presented with her artist’s book “Your, My and Our Dictionaries.” This is structured as a two-channel text: key words the artist encounters in daily life are given definitions from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OED) alongside the artist’s own definitions (Jin’s English Dictionary – JED) as shaped by her experience, thoughts, feelings and painting methodology. Such a linguistic undertaking stems from the artist’s desire to speak for herself, from the position of overt subjectivity implied by the quotation at the beginning of this essay. She has written a dictionary not as the story of her life, or out of a desire to assert some kind of linguistic authority, but rather as a linguistic record that continually articulates the artist herself, sharing her internal aesthetic impulse with the reader. In doing this, she has sought to sidestep rational calculation and instead revel in the sensory enjoyment her art allows: her dictionary is of value precisely because it affirms this subjective, unbounded and confirmed self.

For a long time, painting has been trying to grapple with the words of the world. It has sometimes tried to escape language, and at other times to embody it, but it has always been in contention, in conversation with its unavoidable shadow. By studying language in relation to painting, Lee challenges the painting scene of today, an age of excessive imagery in which the painter’s choice of image on canvas becomes ever more important. Her experience with different media such as novels or the lyrics of Korean Pop music is crucial to her search for an extended sensory language, one fit for contemporary painting and the

most up-to-date imagery. In this sense, she finds her critical stance as a balance between object and language, free from the sensory dilemma imposed by the division of painting and writing. Her methodology encompasses a range of linguistic and painterly expressions, developing a practice that is attuned to both language and image. In the exhibition, her authenticity as an artist is evident in her efforts to unite painting with writing as an annotation that is both lyrical and rational. She acts as a subject traveling between painting and writing, thus turning herself into a continually-moving subject. Her experiment is to have a conversation with everything that dreams, to assume license to contemplate one’s life as an artwork that shapes both the artist and the art. This conversation with dreaming things constitutes the artist’s experience, thoughts and feelings which are then activated through the process of painting. These inward-turned questions of dreams are opened out in her practice, released into the company of the audience.

Page 6: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Hyo Gyoung Jeon, curator

This is not about works of art, but the story of an artist.

She said she paints a lot of feet. When I look at her paintings again after learning this, she seems to be more conscious than others of the fact that her feet are stepping on something, and standing on somewhere; she must have been a person who thought about herself, and what was not herself, even before she became a person who painted. In her several modes of work, there are two kinds of painting that relate to her feet: paintings of places her feet have touched and found familiar and intimate, and places where her feet have stumbled upon the unfamiliar and unexplored. It feels that she must have cogitated upon moments and fleeting incidents for a long time.

She has thought of times her bare feet have touched another’s. I assume this is a moment when her feet feel intimacy, not like stepping on someone’s foot by mistake—attaching and detaching for a very brief moment—but of laying one’s feet atop and amongst another’s to touch and warm one another. She must have preferred it to putting on socks when the air was chilly or the floor was cold. It is a statistically rarer moment than touching someone’s hand. To rehearse the tender encounter that her feet remember, she repeatedly paints the feet of two people. Their feet are four in number, but as layers of memory pile up, the canvas becomes crowded with several feet, multiplying with memories. The paintings with many feet feel warm in temperature.

Conversely, she has also painted an encounter between feet and an unfamiliar spot. This time what she confronts is not a state, but a situation. Her speedy brushstrokes and the seemingly unplanned, spontaneous paths of the brush combine with improvisatory color choices to show a hasty pursuit of an elusive memory – one that’s slipping away even as its afterthought is tethered to the canvas. However, when you look at the tight and complete painting, you see that it’s not trying to drift away from or deny the unfamiliarity of the moment, but rather to settle it down at some point, to solidify it with firm presses. While unfamiliarity is a feeling that’s difficult to pinpoint, the purpose of painting the situation might not be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facts but rather somehow reconciling the crude sensation itself, rendering that upon which her feet have touched. The blurry and foggy sensation of uncertainty is elucidated in the painting: unfamiliarity is explicitly at stake.

These paintings of situations are warm in temperature as well. It feels like she is still thinking about the feet even when they aren’t present, when the painting elicits the depths of where she had trodden. When I look at the feet lying on the bed it’s as if they are having a nightmare that they’re falling into an abyss, or as I contemplate the feet strolling along the rippling beach, I realise that for her the sensation of the feet plays a crucial role in revisiting situations in the past. The position of the feet anchors her observation. For her, the matter stepped on by the feet is more important than that which is witnessed by the eye.

Using the localised tactility of the feet as the primary mode of observation leaves many of the other sensory organs aside. It is an extremely private and subjective experience and thus often

results in records which are not obviously tethered to the real world or apparent facts. Of course such subjectivity is not a problem: every artist observes the world from their own viewpoint, resulting in works shaped by their own methodology and visual sensibility. However, to feel emboldened to trust to one’s subjective observation confers a legitimacy on it: I imagine it must have taken daily commitment and dedication to neatly pile up the pitch-dark unfamiliarity felt in the feet to accrue that sense of legitimacy. The effort to do so must have taken more energy than the act of painting itself. To her, a day would have seemed short with the work of willing subjectivity into legitimacy.

H E R

EK E N

F E ET

Page 7: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Page 8: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

Page 9: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

Page 10: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3

Page 11: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4

Page 12: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5

Page 13: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6

Page 14: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7

Page 15: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8

Page 16: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9

Page 17: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0

Page 18: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 1

Page 19: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2

Page 20: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3

Page 21: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4

Page 22: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5

Page 23: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6

Page 24: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7

Page 25: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 8

Page 26: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19

Page 27: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0

Page 28: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1

Page 29: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2

Page 30: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3

Page 31: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4

Page 32: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5

Page 33: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6

Page 34: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7

Page 35: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8

Page 36: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9

Page 37: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30

Page 38: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Page 39: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List of works

1당신의 낮 나의 밤 Your Day My Night, 2015린넨에 유채 Oil on linen200 × 180 cm

2너는 나의 봄 나는 너의 무지개 You’re my Spring I’m your Rainbow, 2015린넨에 유채 Oil on linen200 × 180 cm

3배트맨되기

Becoming Batman, 2015린넨에 유채 Oil on linen200 × 180 cm

4My Favourite Book, 2015린넨에 유채와 금, 은안료Oil and gold, silver pigment on linen220 × 160 cm

5모든 새는 그림자가 있다The Shadows of a Bird, 2014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72.5 × 60.5 cm

6샤워생각

Shower Thought, 2014린넨에 유채와 금안료Oil and gold pigment on linen200 × 180 cm

7어둠이 담요처럼 그를 덮었다Blanky Night|Darkness Draws in and Shrouds Him from the World, 2015 린넨에 유채와 금안료Oil and gold pigment on linen200 × 180 cm

8김정은

Kim Jong-un, 2014린넨에 유채와 금안료Oil and gold pigment on linen200 × 180 cm

9f(PAINTERS), 2014린넨에 유채Oil on linen220 × 320 cm

10인터네셔널

International, 2014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80.5 × 80.5 cm

1 1어둠이 담요처럼 그를 덮었다Blanky Night, 2014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162 × 130 cm

12버블팝

Bubble Pop, 2012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40 × 40 cm

13핑크림

Pinkream, 2014캔버스에 유채와 금안료Oil and gold pigment on canvas91 × 91 cm

14니 얼굴에 쓰여 있는Written in your Face, 2012, 2015캔버스에 유채와 스프레이페인트Oil and spray paint on canvas100 × 110 cm

15Foot in Foot, 2015린넨에 유채Oil on linen90 × 80 cm

High-Up, 2015린넨에 유채Oil on linen90 × 100 cm

16비치뷰

Beach View, 2014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92 × 92 cm

17식물들의 사생활The Private Lives of Plants, 2014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162 × 260 cm (2 parts)

1 8Volcano Duck and Three Moo Boxes, 2012린넨에 유채Oil on linen200 × 180 cm

19누에삐오

NUABO, 2012린넨에 유채, 스프레이페인트, 글리터Oil, spray paint and glitter on linen220 × 160 cm

Page 40: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20Shower Song, 2015캔버스에 은 피그먼트유채Oil and silver pigment on canvas38 × 46 cm

21노란 잠수함Yellow Submarine, 2014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184 × 219 cm

22저글링하는 남자Juggling Man, 2012린넨에 유채와 스프레이페인트Oil and spray paint on linen200 × 180 cm

23읽기

Reading, 2012린넨에 유채와 스프레이페인트Oil and spray paint on linen76.5 × 91.5 cm

24Feet and Feet, 2015린넨에 유채Oil on linen91 × 60.5 cm

25일렉트릭 쇼크Electric Shock, 2012린넨에 유채와 스프레이페인트Oil and spray paint on linen200 × 170 cm

26빅 피쉬Big Fish, 2012캔버스에 유채와 글리터Oil and glitter on canvas170 × 130 cm

27Muzik, 2012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50.5 × 60.5 cm

28Dear Mirror, 2012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40.5 × 31 cm

29뱅

Bang, 2012린넨에 유채Oil on linen50 × 40 cm

30두개의 달Two Moons, 2012, 2015린넨에 유채와 스프레이페인트Oil and spray paint on linen200 × 180 cm

Jin Han Lee (b.1982)Lives and works in London

Education2014 – MPhil/PhD Fine Art (practice-let) Slade School of Fine Art, UCL, London2012 MFA Fine Art, Goldsmiths, London2006 BFA Painting, Hong Ik University, Seoul

Solo Exhibitions2015 Your Night My Day, Gallery em, Seoul2012 I Eat Vomit, HADA Contemporary, London2012 Modernism of the Beholder, Alternative Space Loop,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2015 Today’s Salon, Common Center, Seoul2015 Bloomberg New Contemporaries 2015, One Thoresby Street, Nottingham;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s, London2013 Tradition, Pump House Gallery, London2013 Two Persons Show (with Ji-Sun Lee), HADA Contemporary, London2012 Meta Empire, Daegu Exco, Daegu2012 Saatchi Gallery and Channel 4’s New Sensations 2012, B1 Space, London2012 Cheongshim Peace World Centre Opening Art Project, Cheongshim Peace World Centre, Gapyoung2011 The 33rd Joong-Ang Fine Art Prize Selected Artists’ Show, Hangaram Museum, Seoul Arts Center, Seoul2011 Embracing the Void curated by HADA Contemporary, Albemarle Gallery, London2011 I am Solitary curated by Beers. Lambert Contemporary, 10 Vyner street Gallery, London2010 Future Futures Future: Korean Contemporary Artists, Korean Cultural Centre, London2010 Guasch Coranty Painting Prize, Center of Art Tecla Sala, Barcelona2010 Open Painting, Royal West England Academy, Bristol2009 Gathering Storms, Bayfield Hall, Norfolk

Award2015 Selected Artist, Bloomberg New Contemporaries 2015, London2015 The Jean Spencer and Malcolm Hughes Bursary, Slade School of Fine Art, UCL, London2015 The Faculty Postgraduate Research Student Fund, UCL, London2015 Seoul Museum of Art Emerging Artist Grant, Seoul2012 Selected Artist for Saatchi Gallery New Sensations 2012, London2011 2nd Prize, 33rd Joong-Ang Fine Art Competition, Seoul2011 Selected Artist for Alternative Space LOOP Young Artist Open Submission, Seoul2010 Selected Artist for 2010 Guasch Coranty Painting Prize, Barcelona

이진한 (b.1982)

학력

2014 –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 미술실기 박사과정 중, 런던2012 골드스미스, 런던, 석사2006 홍익대학교, 서울, 학사

개인전

2015 당신의 밤 나의 낮, 갤러리 엠, 서울2012 I Eat I Vomit, HADA 컨템포러리, 런던2012 관찰자의 포스트모더니즘, 대안공간 루프

그룹전

2015 오늘의 살롱, 커먼센터, 서울2015 블룸버그 뉴컨템포러리 2015, One Thoresby Street, 노팅험;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s, 런던 2013 트레디션, 펌프 하우스 갤러리, 런던2013 이진한, 이지선 2인전, HADA 컨템포러리, 런던2012 메타 제국, 대구 엑스코, 대구2012 사치갤러리와 채널 4 주관 뉴 센세이션, B1 스페이스, 런던2012 청심평화월드센터 오프닝 아트 프로젝트, 청심평화월드센터, 가평2011 제 33회 중앙미술대전, 한가람미술관, 예술의 전당, 서울2011 Embracing the Void, HADA 컨템포러리 기획전, 앨버말 갤러리, 런던2011 I am Solitary, Beers.Lambert 컨템포러리 기획전, 10 Vyner street 갤러리, 런던2010 Future Futures Future: 한국 컨템포러리 아티스트, 주영 한국문화원, 런던2010 Guasch Coranty Painting Prize, Center of Art Tecla Sala, 바르셀로나2010 Open Painting, Royal West England Academy, 브리스톨

2009 개더링 스톰, 베이필드 홀, 노포크

수상내역

2015 블룸버그 뉴 컨템포러리 선정 작가, 런던2015 The Jean Spencer and Malcolm Hughes Bursary, 슬레이드 미술대학, 런던대학교, 런던2015 The Faculty Postgraduate Research Student Fund, 런던대학교, 런던2015 서울시립미술관 신진작가 지원금, 서울2012 사치갤러리와 채널 4 주관의 뉴센세이션 선정작가, 런던2011 제 33회 중앙일보 주최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서울2011 대안공간 루프 신진작가 공모 선정 작가2010 과슈코랑트 페인팅 프라이즈 선정 작가, 바르셀로나

Page 41: Lee Jin Han 이진한 · 2015. 11. 4. · 정립된 담화를 확인하기 after that, she paints.위함이거나 자신의 문맥에 맞는 C언어적 권위를 이루기 위함이

당신의 밤 나의 낮2015년 9월 10일 목요일 – 10월 24일 토요일이진한

주관

갤러리 엠

글 임산, 전효경, 이진한

디자인 스튜디오 힉 (서희선)

사진 임율 1, 3 – 5, 10 – 17, 21, 24, 25, 28, 30김동윤 6, 8, 18, 19, 22, 23, 26, 27, 29Thijs Groot Wassink 2, 7, 9

번역

조소진

인쇄 문성인쇄

발행일 2015년 10월 10일

발행처

서울시립미술관

후원 및 주최서울시립미술관

ISBN 978-89-94849-62-1 03650

감사의 말The Jean Spencer and Malcolm Hughes Bursary, 슬레이드 미술대학, 런던대학교, 런던The Faculty Postgraduate Research Student Fund, 런던대학교, 런던

본 전시는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시행중인 <Emerging Artists: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의 선정작가 전시입니다.

Your Night My DayThursday 10th September – Saturday 24th October 2015Lee Jin Han

Managed by Gallery EM

Text byShan Lim, Hyo Gyoung Jeon and Lee Jin Han

Graphic Design byStudio Hik (Heesun Seo)

Photo byYul Lim 1, 3 – 5, 10 – 17, 21, 24, 25, 28, 30Dong Yoon Kim 6, 8, 18, 19, 22, 23, 26, 27, 29Thijs Groot Wassink 2, 7, 9

Translated bySojin Cho

Printed byMunsung Printing

Published on10th October 2015

Published by Seoul Museum of Art

Supported bySeoul Museum of Art

ISBN 978-89-94849-62-1 03650

Thanks toThe Jean Spencer and Malcolm Hughes Bursary, Slade School of Fine Art, UCL, LondonThe Faculty Postgraduate Research Student Fund, UCL, London

This exhibition is supported by Seoul Museum of Art as part of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