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c industry networkequipment -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 t1 bsc msc pstn...

32
2000년 IT Bubble 붕괴 이후 오랜 시간 침체를 겪었던 네트워크 장비 시장에서 Smart Phone 수요 확대에 따른 무선 Traffic 증가 속에 교체 수요가 점진 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Mbps 이상 전송이 가능한 LTE의 경우 빠른 Download 속도로 Battery 소모를 줄여준다 는 점에서 사업자들의 LTE 투자를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4G의 표준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2010년 수요는 네트워 크의 효율성을 높이는 Switching 장비 위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네 트워크 장비 업종 Top Picks로 Cisco Systems와 삼성Wibro에 관련 MLB 매 출이 증가하고 있는 대덕전자, 이수페타시스와 중계기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영 우통신을 제시한다. 전송 속도가 빨라야 Battery 소모가 적다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노근창 연구위원 3787-2301 [email protected] Industry Analysis 통신장비업종 Overweight (유지)

Upload: dinhanh

Post on 28-Apr-2018

217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2000년 IT Bubble 붕괴이후오랜시간침체를겪었던네트워크장비시장에서SmartPhone수요

확대에따른무선Traffic 증가속에교체수요가점진적으로발생하고있다.특히, 20Mbps이상전송이가능한

LTE의경우빠른Download속도로Battery소모를줄여준다는점에서사업자들의LTE투자를자극할것으로보인다.하지만,

아직 4G의표준이정해지지않았다는점에서 2010년수요는네트워크의효율성을높이는Switching장비위주로전개될것으로보인다.네

트워크장비업종TopPicks로CiscoSystems와삼성Wibro에관련MLB매출이증가하고있는대덕전자,이수페타시스와중계기수출이증가하고있는영

우통신을제시한다.

전송속도가빨라야Battery소모가적다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노근창연구위원

[email protected]

본사서울특별시영등포구여의도동 23-8 여의도파이낸스타워(Finance Tower) 1층 TEL : 3787-2114 FAX : 3787-2140

영업부 TEL : 3787-2401 FAX : 782-0326 법인영업팀 TEL : 3787-2305 FAX : 785-6408

금융센터 TEL : 1588-6655 www.hmcib.com

Industry Analysis

통신장비업종 Overweight(유지)

Investment Point│01

Ⅰ.산업전망│021. 산업Overview│02

2. 네트워크장비산업의이해│07

Ⅱ.주요산업이슈│131. 통신과방송융합Bundle Service│13

2. 4G통신기술│16

Ⅲ.관련기업분석│211. 대덕전자 (008060)│21

2. 이수페타시스 (007660)│24

3. 영우통신 (051390)│27

Contents

본조사지표는고객의투자에정보를제공할목적으로작성되었으며,어떠한경우에도무단복제및배포할수없습니다.본자료는과거의자료를기초로한투자참고자료로서향후주가움직임은과거의패턴과다를수있습니다.또한본자료에수록된내용은당사가신뢰할만한자료및정보로얻어진것이나,그정확성이나완전성을보장할수없으므로투자자자신의판단과책임하에최종결정을하시기바랍니다.따라서어떠한경우에도본자료는고객의주식투자의결과에대한법적책임소재의증빙자료로사용될수없습니다.

본사서울특별시영등포구여의도동23-8여의도파이낸스타워TEL : 3787-2114FAX : 3787-2270영업부 TEL : 3787-2401~5FAX : 3787-2140법인영업팀 TEL : 3787-2305FAX : 785-6408금융센터 TEL : 1588-6655

계동지점서울특별시종로구계동140-2현대빌딩(계동사옥)본관 1층TEL : 746-7050~2FAX : 746-7069

강남센터지점서울특별시강남구역삼동679-4 ING타워(현대모비스본사) 12층TEL : 564-3636FAX : 564-2112

성북지점서울특별시성북구석관동349-1 (장위뉴타워2층)TEL : 909-4231~9FAX : 942-0480

강동지점서울특별시강동구성내동440-30 (경일빌딩3층)TEL : 478-8040~8FAX : 478-8049

양천지점서울특별시양천구신정동1021-9 (현대프라자2층)TEL : 2646-5161~5FAX : 2646-6004

명동지점서울특별시중구을지로2가199-39 (아르누보센텀4층)TEL : 776-8260~6FAX : 776-8015

서초지점서울시서초구서초동1674-1 (정보통신공제조합3층)TEL : (02)587-5600FAX : (02)587-5615

양재지점서울시서초구양재동(현대기아자동차본사 1층)TEL : (02)3464-7800FAX : (02)3464-7810

반포지점서울시서초구반포동20-45(반포자이상가4층)TEL : (02)537-0098FAX : (02)537-3838

포천지점경기도포천시신읍동43번지 (동아예원프라자3층)TEL : (031)531-5955FAX : (031)531-5958

평촌지점경기도안양시동안구호계동1042-1 (인탑스빌딩3층)TEL : (031)446-7001~4FAX : (031)446-8283

성남지점경기도성남시수정구단대동180-3 (삼원프라자3층)TEL : (031)735-2900FAX : (031)735-2950

남양지점경기도화성시장덕동 772-1(현대기아자동차기술연구소설계1동 1층)TEL : (031)368-1770FAX : (031)368-1768

인천연수지점인천광역시연수구연수2동598 (CMG빌딩4, 5층)TEL : (032)817-9455~9FAX : (032)815-8278

대전지점대전광역시서구둔산동1291번지고운손빌딩2층TEL : (042)477-0071FAX : (042)477-8181

청주지점충북청주시상당구북문로 1가114 (동학빌딩 2층)TEL : (043)221-2300FAX : (043)221-2300

충주지점충북충주시연수동899 (대훈빌딩 2층)TEL : (043)844-5590~3FAX : (043)845-4200

충주지점충북충주시연수동899 (대훈빌딩 2층)TEL : (043)844-5590~3FAX : (043)845-4200

천안지점충남천안시서북구쌍용 1동202-1 JG빌딩 3층 (이마트옆)TEL : (041)573-8600FAX : (041)573-1199

당진지점충남당진군당진읍수청리982 (수청빌딩3층)TEL : (041)353-4230FAX : (041)353-4237

대구지점대구광역시수성구범어동561-1 (범우빌딩3층)TEL : (053)745-1582FAX : (053)745-1575

북대구지점대구광역시북구동천동896-2 (칠곡메가타운2층)TEL : (053)327-2601~3FAX : (053)327-2604

울산지점울산광역시남구삼산동 1525-10(정앤정빌딩2층)롯데백화점맞은편TEL : (052)221-4100FAX : (052)221-4200

북울산지점울산광역시북구신청동312-1 (현대하이플러스2층)TEL : (052)224-6100FAX : (052)224-6200

상안영업점울산광역시북구상안동357 (프리지아상가2층)TEL : (052)225-4600FAX : (052)225-4700

양산지점경남양산시북부동698-8 (경남제일상호저축은행3층)TEL : (055)387-5500~9FAX : (055)387-0018

부산지점부산시해운대구우동 1435-1우신골든스위트2층 (해운대마린시티카멜리아옆)TEL : (051)744-6700FAX : (051)742-2020

금정지점부산시금정구구서동248-10 (현대자동차금정사옥5층)TEL : (051)583-7300FAX : (051)583-2020

광주지점광주광역시서구치평동1176-1 (동양빌딩3층)TEL : (062)718-5000FAX : (062)718-5005

전주지점전북전주시완산구서신동970-1알파빌딩3층 (롯데백화점옆)TEL : (063)276-1300FAX : (063)276-4004

창원지점경남창원시상남동35-6(신우주차빌딩2층)TEL : (055)275-0015FAX : (055)289-0081

원주지점경남원주시단구동 1511-2스타월드(롯데시네마빌딩)4층TEL : (033)764-4114FAX : (033)764-4224

▶본사및지점망

네트워크장비 산업

2010. 2. 5 Smart Phone이 4G의 조기 도입을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email protected]

비중확대 [유지]

전세계 네트워크 장비 시장 규모

Smart Phone 확대에 따른 Traffic 증가가 네트워크 장비 수요 자극

2000년 IT Bubble 붕괴 이후 오랜 시간 침체를 겪었던 네트워크 장비 시

장에서 Smart Phone 수요 확대에 따른 무선 Traffic 증가 속에 교체 수요가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Mbps 이상 전송이 가능한 LTE의 경우

빠른 Download 속도로 Battery 소모를 줄여준다는 점에서 사업자들의 4G

투자를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4G의 표준이 정해지지 않았고 사

업자들의 설비 투자에 여전히 보수적이라는 점에서 2010년 투자는 네트워크

의 효율성을 높이는 Switching 장비 위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2010년과 2011년에 장기 바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4G는 LTE에서 진화할 것으로 예상 / Wibro는 WLL을 대체

4G는 All IP기반 하에 이동중 100Mbps, 정지 상태에서 1Gbps, MIMO,

SDR, Femto지원 등을 갖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현재 4G 후보군으로 LTE

와 Wibro가 경쟁하고 있지만, Multi Mode 관점에서 LTE가 4G로 진화할 것

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와 Intel이 주도하는 Wibro는 선진 시장보다는 신흥

시장의 WLL 네트워크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Top Picks : 대덕전자, 이수페타시스, 영우통신

네트워크 장비 업종 Top Picks로 Cisco Systems와 삼성전자 Wibro 기지

국에 관련 MLB를 공급하는 대덕전자, 이수페타시스와 일본 통신 사업자에 중

계기 수출이 확대되고 있는 영우통신을 제시한다.

0

50

100

150

200

250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F 2012F

-40

-20

0

20

40

60

80

100네트워크 장비 수요 증감률 (YoY)

(십억USD) (%)

2000년 IT Bubble 붕괴 이후

시장 지속적으로 축소

Forward Solution 2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Ⅰ. 산업 전망

1. 산업 Overview

Smart Phone 확대에 따른 무선 Data Traffic 증가는 새로운 Catalyst

Smart Phone 확산에 따른 무선 Data Traffic 증가 속에 네트워크 장비 Upgrade에 대한 기

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AT&T Wireless의 경우 iPhone 사용자들의 Traffic 증

가 속에 Network Bottle Neck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2010년 Capex를 2009년 대비

USD 20억 이상 늘릴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하지만, WCDMA, Wibro 등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잘 갖추어진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무선 Traffic 증가에 따른 Bottle Neck 문제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이동 중에 20Mbps 이상의 속도로 대용량 Data를 받으려는 수요

가 확대될 경우 이동통신 Network는 지금의 HSDPA에서 LTE (Long Term Evolution)로

변경될 것으로 예상된다.

범세계적으로 아직 4G에 대한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무선 Data Traffic 확

대에 따라 이동통신 네트워크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만, 선진국의 특정 사업자

를 중심으로 LTE 투자와 네트워크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Router, Switch와 같은 Switching

장비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유선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Backbone망 (Longhaul과

Metro 장비)은 외산 장비 업체가 장악하고 있으며, Access 장비에서만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동통신 장비 시장은 삼성전자와 LG노텔이 양분했지만 수출 시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재는 삼성 Wibro 장비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림1> Smart Phone과 네트워크 장비 산업

자료 : HMC투자증권

IWF

E1 / T1

BSC MSC

PSTN

Internet

Server

Ethernet

Router

BTS

Radio Access Network

Core Network

중계기

스마트폰 보급률 확대 속에무선 Data Traffic 증가

네트워크 Upgrade 수요 증가

IWF

E1 / T1

BSC MSC

PSTN

Internet

Server

Ethernet

Router

BTS

Radio Access Network

Core Network

중계기

스마트폰 보급률 확대 속에무선 Data Traffic 증가

네트워크 Upgrade 수요 증가

3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그림2> Smart Phone 출하량 추이 <그림3> 전세계 네트워크 장비 수요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2007 2008 2009 2010F 2011F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Smart Phone 증감률(백만대) (%)

0

50

100

150

200

250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F 2012F

-40

-20

0

20

40

60

80

100네트워크 장비 수요 증감률 (YoY)

(십억USD) (%)

2000년 IT Bubble 붕괴 이후

시장 지속적으로 축소

자료 : Gartner, HMC투자증권 자료 : Gartner, HMC투자증권.

<표1> 전세계 네트워크 장비 시장 전망 (USD 백만)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F 2011F 2012F 2013F

Access장비 27,846 21,494 18,626 15,404 15,724 16,756 18,646 13,667 13,318 12,417 11,772 11,737 12,014 12,514

Switching장비 44,505 29,703 21,966 15,038 14,249 13,894 13,801 17,713 19,438 18,778 19,192 19,434 20,366 21,793

광전송장비 33,862 24,131 14,010 10,243 11,482 12,971 14,571 14,259 14,680 13,703 13,850 13,950 13,980 14,318

이동통신 장비 50,748 49,323 39,632 34,130 37,834 39,339 41,042 49,045 47,506 44,781 42,504 43,721 45,329 47,669

기타 46,244 44,957 40,072 28,254 29,382 31,234 33,221 16,611 13,288 10,631 8,505 6,804 5,443 4,354

Total 203,205 169,608 134,306 103,069 108,671 114,194 121,281 111,294 108,231 100,310 95,823 95,645 97,131 100,649

Access장비 13.7% 12.7% 13.9% 14.9% 14.5% 14.7% 15.4% 12.3% 12.3% 12.4% 12.3% 12.3% 12.4% 12.4%

Switching장비 21.9% 17.5% 16.4% 14.6% 13.1% 12.2% 11.4% 15.9% 18.0% 18.7% 20.0% 20.3% 21.0% 21.7%

광전송장비 16.7% 14.2% 10.4% 9.9% 10.6% 11.4% 12.0% 12.8% 13.6% 13.7% 14.5% 14.6% 14.4% 14.2%

이동통신 장비 25.0% 29.1% 29.5% 33.1% 34.8% 34.4% 33.8% 44.1% 43.9% 44.6% 44.4% 45.7% 46.7% 47.4%

기타 22.8% 26.5% 29.8% 27.4% 27.0% 27.4% 27.4% 14.9% 12.3% 10.6% 8.9% 7.1% 5.6% 4.3%

자료 : Gartner, HMC투자증권

Forward Solution 4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유선 Backbone 장비는 외산 업체 / 이동통신 Backbone은 한국 업체

통신 장비는 네트워크 범위에 따라 Longhaul 장비 (국가와 국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장

거리 네트워크)와 Metro장비 (도시 내의 주요 전화국을 연결하는 장비), Access 장비 (전화국

에서 가입자 단까지 연결되는 장비)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Longhaul과 Metro 장비를

Backbone장비라고 지칭한다. 또 이와는 별개로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에게 연결되는 장비는

이동통신 장비라고 지칭하며, 무선으로 연결되는 장비를 Air Interface 장비라고 지칭된다. 주요

Air Interface 장비로는 기지국과 중계기가 있다. 현재 한국의 경우 유선통신 Backbone장비는

외산 업체가 장악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Backbone 장비와 유선 Access 장비만을 한국 업체들

이 차지하고 있다.

<그림4> 유선통신 네트워크 장비 개념도

자료 : HMC투자증권

<그림5>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 개념도

자료 : HMC투자증권

이동교환국 (MSC)

기지국제어기(BSC)

기지국(BTS)

중계기(Repeater)

중계기

(Repeater)

휴대폰

PDA

Laptop PC

서울

부산

Longhaul 장비

강남 전화국

서초 전화국

Metro 장비

서초 전화국

APT

Access 장비

Backbone 장비

광전송장비

Switching 장비

서울

부산

Longhaul 장비

강남 전화국

서초 전화국

Metro 장비

서초 전화국

APT

Access 장비

Backbone 장비

광전송장비

Switching 장비

5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그림6> 한국시장 통신장비 주요 공급 업체

자료 : HMC투자증권

2010년 한국 통신 사업자 Capex 2009년 대비 4.3% 증가 예상

2010년 한국 통신 사업자들의 Capex는 2009년 대비 4.3% 증가한 6.2조원으로 전망되며,

1) WiFi 투자, 2) 3G망 Upgrade, 3) IPTV용 가입자망 투자가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

다. 아직 4G에 대한 표준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WCDMA, Wibro, WiFi 인프라 투자가 잘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경우 대규모 투자가 단행될 가능성은 낮다.

SKT는 YoY로 1.1% 감소한 1.75조원의 Capex 계획을 발표하였다. WiFi를 제외하고는 신

규 통신 인프라 투자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WiFi 투자는 AP (Access Point)와 Switch 위주

로 투자된다는 점에서 그 규모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SKT는 공공 장소를 중심으로

Hot Spot을 설치하고, Membership 제휴사를 중심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발표하였다. 한편,

KT는 YoY로 8.2% 증가한 3.2조원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부분 투자는 Wibro 전국망

투자와 WiFi에 할당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7> SKT Capex <그림8> KT Capex

-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F

(억원)

-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F

(억원)

자료 : SKT, HMC투자증권 자료 : KT, HMC투자증권

Backbone 장비 Access 장비

광전송장비

Switching 장비

이동통신 장비

Backbone 장비 Access 장비

광전송장비

Switching 장비

이동통신 장비

Forward Solution 6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살아남은 네트워크 장비 업체 점진적 회복 예상 / PCB등 부품 업체 주목

2000년 IT Bubble때 한국도 유선통신 사업자들의 Broadband 인프라 투자 확대와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Digital 이동통신 인프라 투자가 겹쳐지면서 많은 통신 장비 업체들이 호황을 누렸

다. 하지만, 2000년을 정점으로 통신 사업자들의 합병과 구조조정 속에 인프라 투자가 급감하면

서 삼성전자, LG전자, 대우통신, 현대전자 등의 대기업들도 유선통신 장비 사업부터 구조조정을

단행하였고, 2007년 이후부터는 삼성전자의 Wibro 기지국 장비 사업을 제외하고 대기업들은

사업을 대부분 정리하였다. 현재는 중소 기업만이 가입자망 장비와 관련된 부품을 납품하고 있

다.

2010년의 경우 Switching장비와 WiFi 장비를 제외하고는 대규모 투자가 없을 것이라는 점

에서 여전히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4G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경우 점진적인 수

혜가 예상되지만, 국가별 인프라 투자의 시차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회복 속도는 완만한 수준

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통신 사업자들의 입장에서도 기술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가능성이 낮으며 무선 Traffic 증가로 사용자들의 불만이 높아지는 지역에 대해서만 증설 투자

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Smart Phone 수요 확대에 따른 무선 Data Traffic 수요 증가

로 수혜를 볼 회사들은 WiFi 확대와 관련된 Switch 업체들로 제한될 전망이다.

우리는 네트워크 장비 업종 Top Picks로 Cisco와 같은 세계적인 Switching 장비 업체에 관

련 PCB를 납품하는 대덕전자, 이수페타시스와 일본과 삼성전자 Wibro용 중계기 수출 증가가

예상되는 영우통신을 제시한다.

<그림9> 국내 통신업계 Capex 추이

0

2

4

6

8

10

12

14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이동통신 Capex 유선통신 Capex(조원)

2000년 IT Bubble 이후 삼성전자, LG전자

대우통신, 현대전자 등 대기업들 사업 대부분 정리 →

살아남은 회사들은 중소 기업뿐

자료 : HMC투자증권.

7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표2> 네트워크 장비 업체 Food-Chain

구분 주요 장비 공급 업체

기지국 삼성전자, LG Nortel

기지국 RF부품 에이스테크, 케이엠더블유

기지국 안테나 에이스테크, 하이게인안테나

중계기 영우통신, 쏠리테크, 기산텔레콤, 위다스, C&S마이크로, 삼지전자

기지국,중계기 Amp 웨이브일렉트로닉스

필드 계측기 이노와이어

이동통신 장비

PCB LG이노텍, 대덕전자, 이수페타시스

Router, Switch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광전송장비 코위버, 우리넷

AP 다산네트웍스, 서원인텍 유선통신 장비

PCB LG이노텍, 대덕전자, 이수페타시스

자료 : HMC투자증권.

2. 네트워크 장비 산업의 이해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요소

통신장비는 크게 1) 전송장비, 2) 교환장비, 3) 단말기로 구분되며, 전송장비와 교환장비를 통

신 네트워크 장비라고 정의한다. 단말기는 PC 네트워크에서는 PC 또는 Modem, 이동통신 네트

워크에서는 휴대폰 등이 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에서는 유선전화기와 Fax 등이 될 수 있다. 통

신네트워크 장비는 해당 Traffic을 감당할 수 있는 Capacity에 따라 계위가 구분된다. 즉 낮은

계위의 통신장비는 가입자 단에 장착되며, 높은 계위의 장비는 Backbone망에 장착된다. 일반적

으로 계위는 Data처리 용량과 기능으로 구분된다.

통신장비는 유선통신장비와 무선통신장비, 또는 고정통신장비와 이동통신장비로 구분된다. 유

선통신장비는 선으로 연결되는 장비이며 무선은 말 그대로 선이 필요 없는 무선전화기, 휴대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고정통신장비와 이동통신장비는 Data Traffic의 이동성 유무에 의해 결

정된다. WiFi와 Mobile Wimax (일명 Wibro) 중에서 이동성이 보장되는 Wimax는 이동통신장

비이지만 100m이상을 벗어날 경우 접속이 안되는 WiFi는 고정통신장비이다. 휴대폰이 이동통

신장비인 반면 무선전화기는 고정통신장비이다.

한편, 이동통신 장비는 무선 기술에 Hand Off 기술을 부가시킨 장비로서 BTS (Base

Transceiver System), BSC (Base Station Controller), MSC (Mobile Switching Center)

등이 이에 해당한다. BTS와 BSC, MSC는 모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Forward Solution 8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그림10>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요소

자료 : HMC투자증권

이동통신 장비의 핵심은 기지국 / 고주파 확산 속에 중계기 수요 증가

이동통신 장비의 핵심 송수신 장비는 기지국 장비와 주요 전파를 증폭시켜주는 중계기로 구분

된다. 기지국 장비는 BTS (또는 Base Station)와 BSC, MSC로 구성되는데 통상적으로 하나

의 BSC에 20개의 BTS가 연동되고 하나의 MSC에 10개의 BSC가 연동된다. 현재 한국의

WCDMA의 주파수는 10Mhz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으며 7FA (Frequency Allocation)를 사

용하고 있다. 하나의 FA는 1천명이 사용 가능하며, 60명이 동시 통화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대도시는 6FA, 사람이 붐비지 않는 곳은 3FA/2FA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의 가장 큰 핵심 부품은 Digital Part이다. 통상적으로 Digital Part에는 Channel

Card와 CSM (Cell Site Modem)이 장착되며, 동 부문은 높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세계적인 회

사들만이 동 제품을 만들고 있다. 반면에 중계기에는 RF부품과 Amplifier가 들어간다. 중계기의

기능은 Capacity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계기 Infra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장비이다.

<그림11> 기지국 구조 <그림12> 중계기 구조

자료 : HMC투자증권 자료 : HMC투자증권

Antenna

Tx BPF

(송신필터)

Rx BPF

(수신필터) LNA

(저잡음증폭기)

Power

Divider

Directional

Coupler

(신호의

양 제고)

주파수 최적화

배분

Attenuator

(신호 감쇄)

COMU

Channel

Combiner Unit

Amplifier

shelf

Digital

Part

AFEU (Antenna Front End Unit)

RF Interface Unit Control

시스템 진단 장치

Duplexer

Duplexer

1st Filter Amplifier 2nd Filter HPA

HPA 2nd Filter Amplifier 1st Filter

Antenna Antenna

정보통신장비의 핵심 구성 요소

교환장비 전송장비 가입자단말

- Switch, Router - SDH,SONET, WDM - 휴대폰,Modem

정보통신장비의 핵심 구성 요소

교환장비 전송장비 가입자단말

- Switch, Router - SDH,SONET, WDM - 휴대폰,Modem

9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그림13> 이동통신 주파수 할당 구조

자료 : HMC투자증권

<그림14> WCDMA 네트워크 구조

자료 : HMC투자증권

중계기는 RF중계기와 광중계기로 구분

통상적으로 중계기는 광중계기와 RF중계기로 구분된다. 광중계기는 광케이블로 연결된 중계

기로 기지국 가격 (통상적으로 10만불)의 20% 수준에서 공급되고 있다. 광중계기의 핵심 기술

은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줘서 대용량의 Traffic을 기지국으로 전송해 주는 것이다. 하지

만 광중계기는 광케이블 인프라가 먼저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수출 시장은 제한적이다. 반면

에 RF중계기는 광케이블 인프라 없어도 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출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다만, RF중계기는 대용량 전송이 어렵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결함이 많았지만 최근 들어서 발

진 (Input과 Output되는 전파를 함께 증폭하는 현상) 등의 문제를 해소한 Smart 중계기가 개발

되면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소되고 있다. 특히,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3G와 Wibro 인프

라 투자가 확대되면서 기지국 소요수 (기지국의 Cell반경 축소에 따른 수요 증가)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목적으로 중계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Acronyms:

UTRAN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BS - Base StationBSC - Base Station ControllerRNC - Radio Network ContollerMSC - Mobile Switching Centre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HLR - Home Location RegisterGMSC - Gateway MSCEIR - Equipment Identification RegisterAuC - Authenitcation CentreSGSN - Serving GPRS Support NodeG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PSTN - Public Service Telecom Network

Packet Switched Transmission - GPRS Nodes

Core NetworkCore Network

GSM/GPRS Radio Access

BS BSC MSC/VLR GMSC

Circuit Switched Transmission - the sole core network path in GSM

EIR HLR AuC

SGSN GGSN

Subscriber Databases

PSTN

INTERNET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Node B RNC

UTRAN

Radio Access NetworkRadio Access Network

1개의 사업자

10 MHz주파수

할당

☞ 1FA=1.23 MHz

총 7 FA로 구성

1FA

7FA

6FA

5FA

4FA

3FA

2FA

Code 분할 다중화

기술을 통해, 1 FA 당

1,000명의 사용자 수용

Forward Solution 10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그림15> 광중계기 구조 <그림16> 광중계기 인프라 구축도

자료 : HMC투자증권. 자료 : HMC투자증권

광전송장비는 10G 이상은 외산 업체들이 주도

광전송 기술은 크게 동기식 기술과 비동기식 기술로 구분되며, 동기식 기술은 Sonet과 SDH

기술로 구분된다. Sonet과 SDH 기술은 회선 기반의 기술로서 안정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망과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장비와 포설 비용이 높고 유동적 인터넷 망과 높은 대역폭 제공이 어렵다

는 것이 단점이다. 광전송장비는 저용량에서 대용량의 다양한 계위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 업체

들의 경우 대부분 10Gbps 이하의 저용량 장비를 제조하고 있다. Backbone 장비는 대부분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장비로서 Nortel Networks와 Alcatel-

Lucent 등이 공급하고 있다.

전송기술은 FDM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TDM (시분할 다중 접속), WDM (파장 분할 다

중 접속)으로 구분되며, 대용량 Data는 대부분 WDM 방식으로 전송된다.

<그림17> 전송장비 전송 계위

자료 : HMC투자증권

Donor Unit Remote Unit

Optic ModuleStep

ATT

Step

ATT

Step

ATTBPF

BPF

E/O

O/E

O/E

W

D

M

W

D

M

O/E

E/O

E/O BPF

BPF

LNA

LNA

HPA

DUP

Divider

Step

ATTTx

Rx0

Rx1

-STS-241,244.16 MbpsOC-24

-STS-18933.12 MbpsOC-18

STM-16STS-482,488.32 MbpsOC-48

-STS-361,866.24 MbpsOC-36

STM-4STS-12622.08 MbpsOC-12

STM-64STS-1929,953.28 MbpsOC-192

STM-256STS-76839,183.12 MbpsOC-768

-STS-9466.56 MbpsOC-9

STM-1STS-3155.52 MbpsOC-3

STM-0STS-151.84 MbpsOC-1

SDHSonetTransmission Rate전송단위

-STS-241,244.16 MbpsOC-24

-STS-18933.12 MbpsOC-18

STM-16STS-482,488.32 MbpsOC-48

-STS-361,866.24 MbpsOC-36

STM-4STS-12622.08 MbpsOC-12

STM-64STS-1929,953.28 MbpsOC-192

STM-256STS-76839,183.12 MbpsOC-768

-STS-9466.56 MbpsOC-9

STM-1STS-3155.52 MbpsOC-3

STM-0STS-151.84 MbpsOC-1

SDHSonetTransmission Rate전송단위

11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그림18> 전송기술 변화 추이 <그림19> WDM 장비 구조

자료 : HMC투자증권 자료 : HMC투자증권

교환장비 시장의 매력은 통신 사업자 이외에 기업체 수요가 있다는 점

Computer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던 교환장비는 통신 네트워크 발달 속에 통신 부문

이 가장 큰 수요처가 되었다. 주요 교환장비로는 Switch와 Router가 있다. Router는 전송경로

최적화를 하는 장비이며, Switch는 여려 개의 Data 중계가 가능한 장비이다. Layer3 이상의

Switch는 대부분 Router 기능을 가지고 있다.

Switch는 크게 Layer2, Layer3, Layer4로 나누어 지는데 Layer2 Switch는 OSI 7 계층의

2계층에 해당되는 PDU (Protocol Data Unit)를 Switching하는 것이다. Layer2 Switch는 물

리적인 Port로 입력되는 Packet을 받아 목적지 주소를 읽은 다음 MAC 주소 Table을 이용하

여 해당 Port로 Packet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Layer3 Switch는 Layer2 기술에 Routing 기능

을 추가한 것이다. Layer4 Switch는 Layer3 기술에 Application Level의 Switching 기술을

부가한 것이다. 교환장비는 전송장비와는 달리 Cisco 등 세계적인 업체들이 통신 인프라 수요

감소 속에서도 성장을 하였는데 가장 큰 이유는 통신 사업자 이외에 기업체라는 전방 시장이 있

기 때문이다.

<그림20> 교환장비 비교

자료 : HMC투자증권

1

TX

2

TX

n

TX

2

TX

n

TX

1

TX

SDH 시스템 SDH 시스템WDM 시스템

광다중화기 / 광트랜스폰더

광Fiber 광증폭기

WDM 수신기 / 역다중화기

1 2 n : 광신호 파장

BridgeRepeater Switch Router

복수의 LAN을 접속시킬 수

있고 어떤 LAN에서도 들어

온 신호를 증폭시켜 다른

LAN으로 출력하는 장치

데이터 축적 기능이 없기

때문에, 신호 출력시 다른

신호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없는 관계로 혼잡 완화

효과가 없음

수신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 이후, 재차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출

하는 장치

도착된 데이터 헤더 부분의

송신처 기록 능력 보유,

불필요한 데이터 유출을 막

는 필터링 기능을 통해, 혼

잡을 완화시키는 특징이 있음

Bridge와는 달리, 동시에

여러 개의 Data 중계 조

작을 병행할 수 있음

중계시의 처리 시간이 단축

되고 고속으로 동작하는 것이

여타 Lan장비와의 차이점임

데이터 테이블의 수신처 정보

와 행선지를 바탕으로 하여,

전송 경로 선택이 가능한

중계 장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필터링이

가능함과 동시에, 우선도가 높

은 데이터를 먼저 통과시키는

우선 제어 기능 보유

방식이 다른 LAN, WAN에서도

접속 가능

BridgeRepeater Switch Router

복수의 LAN을 접속시킬 수

있고 어떤 LAN에서도 들어

온 신호를 증폭시켜 다른

LAN으로 출력하는 장치

데이터 축적 기능이 없기

때문에, 신호 출력시 다른

신호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없는 관계로 혼잡 완화

효과가 없음

수신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 이후, 재차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출

하는 장치

도착된 데이터 헤더 부분의

송신처 기록 능력 보유,

불필요한 데이터 유출을 막

는 필터링 기능을 통해, 혼

잡을 완화시키는 특징이 있음

Bridge와는 달리, 동시에

여러 개의 Data 중계 조

작을 병행할 수 있음

중계시의 처리 시간이 단축

되고 고속으로 동작하는 것이

여타 Lan장비와의 차이점임

데이터 테이블의 수신처 정보

와 행선지를 바탕으로 하여,

전송 경로 선택이 가능한

중계 장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필터링이

가능함과 동시에, 우선도가 높

은 데이터를 먼저 통과시키는

우선 제어 기능 보유

방식이 다른 LAN, WAN에서도

접속 가능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분할 다중 접속 파장분할 다중 접속

- 음성 전송 - - 대용량 데이타 전송 -- 데이타 전송 -

진폭 변조(AM) 방식 이용

☞ 낮은 주파수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한

후에 다시 수신측에서 낮

은 주파수로 전환하는 기술

펄스코드변조(PCM) 방식 이용

☞ 일정한 높이의 직류 펄

스로 만드 후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잡음에 강한 고

품질의 정보 전송 가능

파장분할 다중접속 (WDM)

방식 이용

☞ 가상의 주파수를 발생

시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시키는 것을 가능케 함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분할 다중 접속 파장분할 다중 접속

- 음성 전송 - - 대용량 데이타 전송 -- 데이타 전송 -

진폭 변조(AM) 방식 이용

☞ 낮은 주파수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한

후에 다시 수신측에서 낮

은 주파수로 전환하는 기술

펄스코드변조(PCM) 방식 이용

☞ 일정한 높이의 직류 펄

스로 만드 후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잡음에 강한 고

품질의 정보 전송 가능

파장분할 다중접속 (WDM)

방식 이용

☞ 가상의 주파수를 발생

시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시키는 것을 가능케 함

Forward Solution 12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그림21> 전송 교환망 구조 <그림22> Layer3 Switch

자료 : HMC투자증권. 자료 : HMC투자증권

13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Ⅱ. 주요 산업 이슈

1. 통신과 방송 융합 Bundle Service

통신과 방송의 융합 더욱 가속화될 전망

전세계적인 IPTV 서비스 확산 속에 통신과 방송이 결합된 Bundle 서비스가 크게 확대될 것

으로 보인다. 특히 다양한 Application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다양한 기기들간의 Networking이

활성화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Contents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Apple은 iPhone과 iPod Touch의 성공신화를 Table PC와 Apple TV에서도 연결시키려 하고

있고, Sony도 Sony Picture, Sony Music, Play Station을 모두 연동시키는 복합 Contents사업

을 강화할 계획이다.

통신 기술도 유,무선 결합 속에 이동 중에도 20Mbps 이상이 가능한 4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2009년부터 Netbook 구매시 통신 사업자들이 2년 정액제에

가입한 소비자들에게 보조금을 주면서 휴대기기에 대한 보조금이 전 품목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

근 들어서는 위성방송과 IPTV가 내장된 TV가 출시됨에 따라 TV에 대한 방송 사업자들의 보

조금 지급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장기적으로 방송 사업자와 통신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장기 정액제에 가입하는 소비

자들에게 TV, Notebook, 휴대폰을 공짜로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Contents

간의 자유로운 전송과 끊기지 않는 접속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23> 통신 기술 발전 방향

자료 : HMC투자증권

아날로그 디지털 데이터서비스 멀티미디어 고속 통합

2세대 3세대 NGN

GSMWCDMA(HSDPA)

EDGN(GERAN)

GPRS

CDMADrieCDMA

2000(1x)

CDMA2000(3x)

1xEV-DO 1xEV-DV

무선LAN(2M,2.4GHz)

무선LAN(11M,2.4GHz)

무선LAN(54M,5GHz)

무선1394(100Mbps)

블루투스홈RF

PSTN Pre-NGN NGN

4G(ALL IP)

LTE/Mobile Wimax

아날로그 디지털 데이터서비스 멀티미디어 고속 통합

2세대 3세대 NGN

GSMWCDMA(HSDPA)

EDGN(GERAN)

GPRS

CDMADrieCDMA

2000(1x)

CDMA2000(3x)

1xEV-DO 1xEV-DV

무선LAN(2M,2.4GHz)

무선LAN(11M,2.4GHz)

무선LAN(54M,5GHz)

무선1394(100Mbps)

블루투스홈RF

PSTN Pre-NGN NGN

4G(ALL IP)

아날로그 디지털 데이터서비스 멀티미디어 고속 통합

2세대 3세대 NGN

GSMWCDMA(HSDPA)

EDGN(GERAN)

GPRS

CDMADrieCDMA

2000(1x)

CDMA2000(3x)

1xEV-DO 1xEV-DV

무선LAN(2M,2.4GHz)

무선LAN(11M,2.4GHz)

무선LAN(54M,5GHz)

무선1394(100Mbps)

블루투스홈RF

PSTN Pre-NGN NGN

4G(ALL IP)

LTE/Mobile Wimax

Forward Solution 14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그림24> 방송과 통신 결합 서비스 방향

자료 : HMC투자증권

BcN 확산 속에 Home Network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은 방송, 통신, 인터넷이 모두 결합된 광대역 통

합망으로서 지금까지 시범서비스 위주로 전개되었다. 물론 동 서비스가 확산되려면 인프라 투

자와 QoS (Quality of Service)와 다른 기종간의 H/W 통합 기술, Access 네트워크 기술간의

통합이 필요하다. 하지만, 방송과 통신의 Bundle 서비스 확산은 보다 고부가가치 서비스에 대

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BcN이 조기에 성장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특히, BcN은 Home

Network 수요를 자극하면서 관련 서비스 사업자와 제조 업체에게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25> BcN 구성도

자료 : HMC투자증권

통신 사업자

방송 사업자

소비자Bundle Service

Smart Phone

Net Book

Pay TV Tuner 내장 TV

다양한 Convergence Application 탄생

보조금지급

장기 정액제가입

통신 사업자

방송 사업자

소비자Bundle Service

Smart Phone

Net Book

Pay TV Tuner 내장 TV

다양한 Convergence Application 탄생

보조금지급

장기 정액제가입

15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그림26> Home 네트워크 구성도

자료 : HMC투자증권

프로그램제공자

방송 사업자

컨텐츠제공자

영화, 음악프로그램

S/W

위성

지상

Home Gateway

PC스토리지스캐너

프린터 등

Data

TVDVD

오디오DVR

게임기 등

Entertainment

휴대폰PDA

비디오폰Home Automation

Control

IEEE 1394RF, IR, 이더넷

Home

케이블인터넷서비스제공자

Data서비스

Forward Solution 16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2. 4G 통신 기술

All IP로 대표되는 4G는 LTE에서 진화할 것으로 예상

Smart Phone 확산 속에 차세대 통신 기술인 4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 2G가

Analog에서 Digital로의 변화였고, 3G는 2Mbps 이상의 속도와 Global Roaming이 초점이었

다면, 4G는 All IP 기반 하에서 100Mbps를 보장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이동 중에 100Mbps

에 가능한 기술은 없다. 4G의 가장 유력 후보인 LTE (Long Term Evolution)의 속도도 최근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 스웨덴의 TeliaSonera의 최고 전송 속도가 12Mbps에 지나지 않고 있

다. Smart Phone 활성화에 Battery소모가 주요 장애 요인이었다는 점에서 20Mbps 이상의

빠른 이동통신 기술은 Download 속도가 빠르며 이에 따라 Battery 소모가 작다는 점에서

Smart Phone 활성화를 위해 결국은 가야 할 방향이다.

<그림27> 이동통신 기술 변화 추이

자료 : HMC투자증권

<그림28> 통신 기술 Positioning

자료 : HMC투자증권

1세대 2세대 3세대 3.9세대

아날로그 CDMA(미국식) Revision A UMB (?)

GSM(유럽식) WCDMA LTE

디지털 전환 Wi-Fi Mobile Wimax

1995년 1996년 2006년 2010년 2012년

4세대

17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6가지가 충족되어야 4G / LTE의 기술 개선을 통해 충족 예상

ITU는 4G의 충족 조건으로 6가지를 들고 있다. 1) 이동중에 100Mbps 보장, 2) 정지 상태

에서 1Gbps 보장, 3) All IP 기반의 네트워크, 4) MIMO (multiple input / multiple output), 5)

SDR (Software defined radio), 6) Femto 지원 (가정용 무선랜 기반의 네트워크 지원)등이다.

하지만, 이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술의 등장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당분간은 현재

의 LTE가 기존의 HSDPA와 HSUPA를 대체해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LTE 서비스는

북유럽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0년 하반기부터 일본의 이모바일, NTT-Docomo가 서비

스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Verizon Wirless, AT&T 등이 2010년말에 시범 서비스

를 할 계획이지만 상용 서비스는 2013년경에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LTE의 핵심 기술인 가입자 다중접속 기술은 Wibro와 마찬가지로 OFDM이다.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고속의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열을 낮은 전

송률을 갖는 많은 수의 데이터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부반송파로 사용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서 CDMA대비 주파수의 효율성이 크게 높다.

<그림29> LTE Performance

자료 : Gartner

<그림30> OFDM의 원리

자료 : HMC투자증권

Approx.Latency(in ms)

1

10

100

1,000

10,000

100K 1M 10M 100M 1GApprox. Typical User Bit Rates (in bps)

Data throughput discussions are misleading because of different spectrum.4G should focus on mobile broadband applications and not on pure speed rates

4G definition by ITU:

• Mobile 100Mbps

• Nomadic 1Gbps

• All-IP

• MIMO

• SDR

• Femto support

EDGE

WCDMAHSDPA(2007)

HSUPALTE

WiMAX802.16e-2005

Broadband-likeexperience

zone

Proposed LTEAdvanced and

802.16m(ITU 4G)EVDO

Rev.a

Forward Solution 18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다른 4G 기술 : MIMO와 Smart Antenna 기술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은 4G의 핵심 기술로서 기존의 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을 발전시킨 형태로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안테나를 여러 개 활용하여 여러 신호

를 한꺼번에 보내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 이를 통해 Bandwidth를 더 이상 늘리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System보다 더 많은 Data를 보내는 장점이 있다.

Smart Antenna 기술은 Antenna의 효율성을 높인 기술로서 사용자가 많은 지역에 높은

Beam을 할당하는 Beam Forming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Antenna의 경우 사용되

는 방향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파이득을 주도록 설계되어 있어 주파수 효율성이 낮다. 하지만,

Smart Antenna 기술은 채널간 방해 전파를 최소화하여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입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가 집중되어 휴대폰에서 저전력으로

통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Battery 소모를 줄이는데 획기적인 기술이다.

<그림31> Smart Antenna 기술

자료 : KMW안테나

Vertical Beam Down Tilting

Horizontal Beam Direction Steering

Horizontal BeamwidthSwitching

0

30

60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10

-20

-20-30 -10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10

-10

-20

-20-30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10

-10

-20

-20-300

30

60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10

-20

-20-30 -10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10

-10

-20

-20-30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10

-10

-20

-20-30

19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Wibro는 WLL 대체와 Consumer 기기와 결합 추세

삼성전자와 Intel이 주도하는 Wibro (공식명 Mobile Wimax)는 높은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확산되지는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Wibro가 활성화되려면 기존 통신 사업자들과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는 Chip회사들과의 교통정리가 먼저 필요하다. Wibro가 Single Mode로

서비스된다면 효율성 면에서 시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미 기존 통신 사업자들은 HSDPA 서

비스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망과의 연동되는 Multi Mode의 Chip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Qualcmm과 Nokia 등 원천기술이 있는 회사들과의 협상이 선행되어야 한다.

결국 Wibro는 이와 같은 한계로 인해 한국과 일본 등 일부 통신 선진국와 신흥 시장을 중심으

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선진 시장에서는 이동통신용 네트워크보다는 Netbook이나 PMP와

같은 Consumer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중동, 아프리카, 인도, 러시아, 중남미 등 유선 인프라 투자가 힘든 신흥 시장의

경우 기존의 음성 위주의 WLL (Wireless Local Loop)망을 Wibro망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

이다. 삼성전자의 주요 Wibro 장비 수출 지역도 선진국보다는 신흥 시장이 압도적으로 많다. 특

히, 인도가 2개의 사업자를 Wibro 서비스 업체로 정하면서 Wibro의 가장 큰 시장으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32> Mobile Wimax 구성도

자료 : HMC투자증권

WLL WibroWLL Wibro

Forward Solution 20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그림33> 삼성전자 Wibro 수출 지역

자료 : 삼성전자

21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 Compliance Notice

1. 대덕전자 (008060)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52주 최고/최저: 6,950원/2,520원

시가총액: 292십억원

일평균거래대금(60일): 26억원

자본금/액면가: 244억원/500원

외국인지분: 17.13%

주요주주: 김정식 10.9%

대덕전자에 대해 6개월 목표주가 10,500원 (2010년 EPS에 P/E 11배 적용)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동사는 Smart Phone 수요 성장의 가장 큰 수혜를 받는 PCB 회사인데, 이는

1) HDI는 Smart Phone의 적층 증가로 판가 상승, 2) PKG는 MCP용 CSP 출하량 증가로 수

익성 개선, 3) MLB는 매출 증가로 흑자 전환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동사의 거래선인 삼

성전자의 2010년 Smart Phone 출하량이 전년 대비 344.4% 증가한 4천만대로 예상되고,

NAND Bit Growth도 92.7%로 추정됨에 따라 이에 따른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덕전자는 한국을 대표하는 MLB 회사로서 세계 1위의 광전송장비인 Nortel에 관련 제품

을 공급하였다. 하지만, Nortel이 파산하면서 MLB 사업부도 함께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적

극적인 거래선 다변화를 통해 Cisco Systems,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로 거래선을 확대하

였고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는 의료장비와 군사장비 쪽으로도 거래선을 확대하였다. 2010년은

주력 거래선인 삼성전자와 Cisco Systems의 수주 증가로 MLB 사업부는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삼성전자가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Wibro 기지국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Cisco도 범세계적인 Switch 수요 증가 속에 수주 물량을 늘리고 있다는 점에서 수익성은 상향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

매출액

(십억원)

영업이익

(십억원)

세전이익

(십억원)

순이익

(십억원)

EBITDA

(십억원)

EPS

(원)

증감률

(%)

PER

(배)

PBR

(배)

EV/EBITDA

(배)

ROE

(%)

2007 319 -3 16 12 25 251 201.5 33.8/21.8 1.0 9.4 3.6

2008 336 6 -83 -67 33 -1,376 적전 -/- 0.8 5.8 -22.9

2009F 395 26 62 48 45 990 흑전 6.5 1.1 4.7 17.8

2010F 477 46 58 46 60 947 -4.3 6.3 0.9 3.0 14.8

2011F 544 52 66 53 62 1,087 14.8 5.5 0.8 2.4 15.1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

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노근창>이 조사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

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

용하시기 바라며 유가증권 투자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

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 조사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

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조사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 추천종목은 당사와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습니다. /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유가증권(DR,

CB, IPO, 시장조성 등)발행과 관련하여 지난 6개월간 당사가 주간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추천종목

은 전일 기준 당사에서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조사분석 담당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6개월 이내에 당해 기업에 대한 후속 조사분석자료가 공표되지 않을 수 있

습니다.

▶업종 투자의견 분류HMC투자증권의 업종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업종 펀더멘털과 업종주

가의 전망을 의미함.

·비중확대(Ov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개선과 함께 업종주가의 상승 기대

·중립(Neutral) : 업종 펀더멘털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음

·비중축소(Und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악화와 함께 업종주가의 하락 기대

▶투자기간 및 투자의견HMC투자증권의 종목추천에 대한 투자기간은 6개월, 투자의견은 3단계로 구분함.

·매수(Buy)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P 이상

·보유(Hold)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15%P 이내

·매도(Sell))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P 이하

목표주가 10,500원과 투자의견 매수 유지 / Smart Phone 수혜주

Buy (유지) 현재가(2/4) : 5,980원

목표주가 : 10,500원

Wibro와 Switch용 MLB 수요 증가로 수익성 개선

Forward Solution 22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그림1> Network장비용 MLB 거래선 <그림2> 제품별 영업이익률

Nortel

15%Harries

15%

삼성전자

Wibro

35%

기타

5% Cisco

30%

-25

-20

-15

-10

-5

0

5

10

15

20

2007 2008 2009F 2010F 2011F

HDI TLB MLB PKG

PKG Substrate와

MLB 수익성 개선

(%)

자료 : 대덕전자, HMC투자증권 자료 : 대덕전자, HMC투자증권.

<표1> 분기별 실적 추정 (십억원)

1Q09 2Q09 30Q9 40Q9F 2009F 1Q10F 2Q10F 3Q10F 4Q10F 2010F 2011F

HDI 36.5 37.7 38.0 41.5 153.7 38.9 44.5 46.6 39.0 169.1 185.8

TLB 18.3 16.7 20.1 21.6 76.7 18.8 19.4 23.8 22.9 84.9 101.5

MLB 19.0 18.2 20.0 23.8 81.0 19.0 19.4 29.5 34.2 102.0 110.5

PKG 14.3 18.7 23.0 28.0 84.0 28.3 29.5 32.1 31.6 121.5 146.4

매출액

합계 88.1 91.3 101.1 114.9 395.4 104.9 112.8 132.0 127.8 477.4 544.2

HDI 41.4% 41.3% 37.6% 36.1% 38.9% 37.0% 39.5% 35.3% 30.6% 35.4% 34.1%

TLB 20.8% 18.3% 19.9% 18.8% 19.4% 17.9% 17.2% 18.0% 17.9% 17.8% 18.7%

MLB 21.6% 19.9% 19.8% 20.7% 20.5% 18.1% 17.2% 22.3% 26.8% 21.4% 20.3%매출액 비중

PKG 16.2% 20.5% 22.7% 24.4% 21.2% 26.9% 26.2% 24.3% 24.7% 25.4% 26.9%

영업이익 7.3 6.5 3.9 8.6 26.4 8.8 10.7 13.3 12.6 45.5 52.1

영업이익률 8.3% 7.1% 3.9% 7.5% 6.7% 8.4% 9.5% 10.1% 9.8% 9.5% 9.6%

세전이익 -15.1 38.6 26.1 11.9 61.6 11.8 13.9 16.4 15.7 57.8 66.3

법인세율 15.2% 17.9% 23.8% 20.0% 15.0% 20.0% 20.0% 20.0% 20.0% 20.0% 20.0%

순이익 -12.8 31.7 19.9 9.5 48.3 9.4 11.1 13.1 12.5 46.2 53.0

원달러환율 1,411 1,290 1,245 1,170 1,279 1,180 1,160 1,160 1,150 1,163 1,168

삼성전자 휴대폰 출하량 (백만대) 46 52 59 70 228 62 69 72 61 264 307

삼성전자 DRAM Bit Growth 3.3% 20.3% 10.2% 1.2% 40.6% 6.5% 10.7% 24.2% 2.2% 51.7% 48.9%

삼성전자 NAND Bit Growth -8.9% 9.9% 15.8% 14.2% 35.2% 23.5% 18.1% 20.7% 10.6% 92.7% 76.2% 자료: 대덕전자, HMC투자증권

23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단위:십억원) (단위:십억원)

손익계산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대차대조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매출액 319 336 395 477 544 유동자산 273 234 248 262 285

매출원가 305 315 353 412 470 현금성자산 111 12 102 114 142

매출총이익 14 22 43 65 75 단기투자자산 52 122 33 33 33

판매관리비 16 16 16 20 22 매출채권 43 42 46 51 37

인건비 6 4 4 5 6 재고자산 33 33 38 38 44

일반관리비 9 10 10 12 13 비유동자산 123 134 145 173 203

판매비 1 1 1 2 2 투자자산 38 41 53 54 55

영업이익 -3 6 26 46 52 유형자산 80 78 85 113 141

(영업이익률) -0.8 1.7 6.7 9.5 9.6 무형자산 0 0 0 0 0

영업외수익 28 33 58 24 24 자산총계 396 367 393 435 488

이자수익 10 7 7 11 13 유동부채 53 112 91 97 107

외환이익 2 16 5 4 3 매입채무 37 27 57 64 74

지분법이익 1 0 2 8 8 단기차입금 0 0 0 0 0

영업외비용 9 122 23 11 10 유동성장기부채 0 0 0 0 0

이자비용 0 0 0 0 0 비유동부채 6 6 7 7 7

외환손실 2 9 6 4 3 사채 0 0 0 0 0

지분법손실 4 14 6 7 7 장기차입금 0 0 0 0 0

(영업외수지) 19 -89 35 12 14 부채총계 60 118 98 104 115

세전사업이익 16 -83 62 58 66 자본금 24 24 24 24 24

법인세비용 4 -16 13 12 13 자본잉여금 143 143 144 144 144

계속사업이익 12 -67 48 46 53 자본조정 등 -72 -80 -72 -72 -72

중단사업이익 0 0 0 0 0 이익잉여금 242 162 198 234 277

당기순이익 12 -67 48 46 53 자본총계 336 249 295 331 374

EBITDA 25 33 45 60 62 부채와자본총계 396 367 393 435 488

(단위:십억원) (단위:원,배,%)

현금흐름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투자지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영업활동현금흐름 25 51 31 60 80 EPS 251 -1,376 990 947 1,087

당기순이익 12 -67 48 46 53 수정EPS 247 -1,379 898 947 1,087

유형자산감가상각비 28 27 19 14 10 BPS 6,892 5,108 6,040 6,781 7,661

무형자산상각비 0 0 0 0 0 DPS 300 250 250 250 250

외화환산손실(이익) 0 1 2 0 0 CFPS 827 -826 1,378 1,243 1,283

지분법손실(이익) 2 14 4 -1 -1 EBITDAPS 520 669 928 1,228 1,264

운전자본감소(증가) -22 -21 -20 1 18 PER 28.5 - 6.5 6.3 5.5

기타 4 97 -21 0 0 수정PER 29.1 - 7.2 6.3 5.5

투자활동현금흐름 -21 -22 -28 -42 -59 PBR 1.0 0.8 1.1 0.9 0.8

설비투자 -30 -25 -26 -42 -38 EV/EBITDA 9.4 5.8 4.7 3.0 2.4

투자자산감소(증가) 2 -19 9 -2 -2 배당수익률 5.3 7.3 3.9 4.2 4.2

유형자산처분 0 0 0 0 0 매출총이익률 4.3 6.5 10.8 13.7 13.7

기타 7 23 -12 2 -19 영업이익률 -0.8 1.7 6.7 9.5 9.6

재무활동현금흐름 -27 -20 -11 -10 -10 순이익률 3.8 -20.0 12.2 9.7 9.7

단기차입금증가(감소) 0 0 0 0 0 EBITDA Margin 8.0 9.7 11.5 12.6 11.3

장기차입금증가(감소) 0 0 0 0 0 ROE 3.6 -22.9 17.8 14.8 15.1

사채증가(감소) 0 0 0 0 0 ROA 3.0 -17.6 12.7 11.2 11.5

배당금 -13 -12 -9 -10 -10 매출액증가율 -4.8 5.6 17.5 20.8 14.0

자본금증가(감소) 0 0 0 0 0 영업이익증가율 적전 흑전 352.0 72.6 14.5

기타 -14 -8 -1 0 0 순이익증가율 201.5 적전 흑전 -4.3 14.8

현금증가(감소) -23 9 -8 8 10 부채비율 17.7 47.4 33.2 31.6 30.6

기초현금 26 3 12 5 13 순차입금비율 -33.1 -5.0 -34.5 -34.5 -37.9

기말현금 3 12 5 13 23 이자보상배율 -35.0 70.1 4,644.7 0.0 0.0

Forward Solution 24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 Compliance Notice

2. 이수페타시스 (007660)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52주 최고/최저: 3,030원/1,330원

시가총액: 103십억원

일평균거래대금(60일): 30억원

자본금/액면가: 310억원/1,000원

외국인지분: 3.28%

주요주주: 이수 22.6%

이수페타시스에 대해 6개월 목표주가 3,700원 (2010년 EPS에 P/E 7배 적용)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이수페타시스는 세계 1위의 Switching 장비 업체인 Cisco의 제 1거래선으로

서 Cisco 수주 증가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동사의 주력 제품인 MLB는 25층

이상의 제품으로서 기술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다. 특히, 최근 제 1공급선 (이수페타시스,

Ibiden, NEC, Merix, TTM, Multek) 중 Multek과 일본 업체들의 어려움으로 인해 동사는

Cisco내에서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한, Alcatel-Lucent, Cray 등 다른

MLB 거래선의 수주 물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에는 세계 2위의 Switching 장비

업체인 Juniper Networks 등 신규 거래선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동사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Memory Module 사업을 정리하고 고수익성의 MLB와

Build Up 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Build Up은 자회사인 이수엑사보드에서 생산한 제품

을 LG전자 휴대폰 사업부에 납품하고 있다. 동사는 Via Fill (도금 방식의 일종으로 회로 디자

인과 미세 부품 실장에서 높은 경쟁력 확보)시설 투자를 통해 2010년 빠른 속도로 성장이 예

상되는 LG전자의 Smart Phone과 High-End Phone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으로 보인다. 높

은 성장성에도 불구하고 2010년 EPS 기준 현재 P/E는 4.7배로 지나치게 저평가된 상태로 판

단된다.

매출액

(십억원)

영업이익

(십억원)

세전이익

(십억원)

순이익

(십억원)

EBITDA

(십억원)

EPS

(원)

증감률

(%)

PER

(배)

PBR

(배)

EV/EBITDA

(배)

ROE

(%)

2007 201 1 2 -1 10 -23 적축 -/- 0.6 12.9 -0.8

2008 261 13 13 11 23 347 흑전 5.5/3.4 0.4 5.4 11.5

2009F 282 12 19 18 20 485 40.0 4.9 0.7 7.1 15.5

2010F 319 18 26 22 25 532 9.7 4.7 0.7 6.2 16.2

2011F 350 25 34 29 31 707 32.8 3.5 0.6 4.8 18.4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

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노근창>이 조사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

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

용하시기 바라며 유가증권 투자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

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 조사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

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조사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 추천종목은 당사와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습니다. /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유가증권(DR,

CB, IPO, 시장조성 등)발행과 관련하여 지난 6개월간 당사가 주간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추천종목

은 전일 기준 당사에서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조사분석 담당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6개월 이내에 당해 기업에 대한 후속 조사분석자료가 공표되지 않을 수 있

습니다.

▶업종 투자의견 분류HMC투자증권의 업종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업종 펀더멘털과 업종주

가의 전망을 의미함.

·비중확대(Ov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개선과 함께 업종주가의 상승 기대

·중립(Neutral) : 업종 펀더멘털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음

·비중축소(Und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악화와 함께 업종주가의 하락 기대

▶투자기간 및 투자의견HMC투자증권의 종목추천에 대한 투자기간은 6개월, 투자의견은 3단계로 구분함.

·매수(Buy)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P 이상

·보유(Hold)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15%P 이내

·매도(Sell))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P 이하

목표주가 3,700원과 매수의견 유지 / Cisco Systems의 제 1 거래선

Buy (유지) 현재가(2/4) : 2,505원

목표주가 : 3,700원

높은 성장성에도 지나치게 낮은 Valuation

25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그림3> 거래선별 매출액 비중 (2009년) <그림1> 제품별 매출액 추이

LG전자

23%

Alcatel-

Lucent

10%

기타

12% Cisco

34%

삼성전자

계열

21%

0%

20%

40%

60%

80%

100%

2007 2008 2009F 2010F 2011F 2012F 2013F

MLB Build Up LCD 기타

자료 : 이수페타시스, HMC투자증권 자료 : 이수페타시스, HMC투자증권.

<표2> 분기별 실적 추정 (십억원)

1Q09 2Q09 30Q9 40Q9F 2009F 1Q10F 2Q10F 3Q10F 4Q10F 2010F

MLB 30.4 32.1 34.8 40.1 137.4 35.5 37.6 39.5 46.0 158.6

Build-Up 17.7 21.7 23.8 25.0 88.2 21.5 24.1 25.5 26.1 97.2

LCD 8.0 8.7 7.6 5.6 29.9 12.0 10.1 7.8 5.8 35.6

기타 8.5 5.0 6.6 6.2 26.3 5.8 6.5 7.5 7.4 27.1

매출액

합계 64.6 67.4 72.9 76.9 281.8 74.8 78.3 80.3 85.2 318.6

MLB 47.1% 47.6% 47.7% 52.2% 48.8% 47.5% 48.0% 49.2% 53.9% 49.8%

Build-Up 27.4% 32.1% 32.7% 32.5% 31.3% 28.7% 30.8% 31.8% 30.6% 30.5%

LCD 12.3% 12.9% 10.4% 7.3% 10.6% 16.0% 12.8% 9.7% 6.8% 11.2%매출액 비중

기타 13.1% 7.3% 9.1% 8.0% 9.3% 7.8% 8.3% 9.3% 8.6% 8.5%

영업이익 2.2 2.9 3.5 3.1 11.6 2.5 4.8 5.4 5.5 18.2

영업이익률 3.4% 4.3% 4.8% 4.0% 4.1% 3.4% 6.1% 6.7% 6.5% 5.7%

세전이익 2.8 5.5 6.6 4.4 19.2 3.9 6.2 7.9 7.8 25.8

법인세율 26.2% -2.6% 9.9% 10.0% 8.7% 15.0% 15.0% 15.0% 15.0% 15.0%

순이익 2.0 5.6 5.9 4.0 17.6 3.3 5.3 6.7 6.6 21.9

원달러환율 1,411 1,290 1,245 1,170 1,279 1,180 1,160 1,160 1,150 1,163

삼성전자 휴대폰 출하량 (백만대) 46 52 60 70 228 63 69 72 64 268

LG전자 휴대폰 출하량 (백만대) 23 30 32 37 121 31 34 36 37 139

삼성전자 DRAM Bit Growth 3.3% 20.3% 10.2% 9.2% 43.7% 2.1% 13.0% 31.8% 9.1% 55.9% 자료: 이수페티시스, HMC투자증권

Forward Solution 26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단위:십억원) (단위:십억원)

손익계산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대차대조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매출액 201 261 282 319 350 유동자산 71 88 104 117 134

매출원가 190 235 252 281 303 현금성자산 1 6 12 15 23

매출총이익 12 26 29 38 46 단기투자자산 1 5 7 7 7

판매관리비 11 13 18 19 21 매출채권 37 39 49 54 60

인건비 2 3 2 0 0 재고자산 22 24 29 32 35

일반관리비 8 9 10 0 0 비유동자산 122 119 121 129 139

판매비 0 0 0 0 0 투자자산 38 42 51 65 80

영업이익 1 13 12 18 25 유형자산 81 74 66 61 57

(영업이익률) 0.5 5.1 4.1 5.7 7.2 무형자산 1 1 1 0 0

영업외수익 9 26 29 20 21 자산총계 193 207 225 245 274

이자수익 3 2 1 2 2 유동부채 92 95 61 62 64

외환이익 3 17 13 4 4 매입채무 7 6 10 11 13

지분법이익 0 6 12 14 15 단기차입금 60 64 34 34 34

영업외비용 8 26 22 12 12 유동성장기부채 15 14 5 5 5

이자비용 3 5 4 4 4 비유동부채 10 11 38 38 38

외환손실 2 21 16 8 8 사채 0 0 0 0 0

지분법손실 1 0 0 0 0 장기차입금 5 6 30 30 30

(영업외수지) 1 0 8 8 9 부채총계 102 106 99 100 102

세전사업이익 2 13 19 26 34 자본금 31 32 41.2 41 41

법인세비용 3 2 2 4 5 자본잉여금 41 41 41 41 41

계속사업이익 -1 11 18 22 29 자본조정 등 -2 -4 -3 -3 -3

중단사업이익 0 0 0 0 0 이익잉여금 21 31 47 66 93

당기순이익 -1 11 18 22 29 자본총계 91 101 125 145 172

EBITDA 10 23 20 25 31 부채와자본총계 193 207 225 245 274

(단위:십억원) (단위:원,배,%)

현금흐름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투자지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영업활동현금흐름 -5 11 12 12 17 EPS -23 347 485 532 707

당기순이익 -1 11 18 22 29 수정EPS -23 345 481 532 707

유형자산감가상각비 8 9 8 7 6 BPS 2,925 3,125 3,041 3,517 4,167

무형자산상각비 1 1 1 0 0 DPS 50 60 60 60 60

외화환산손실(이익) 0 7 -2 0 0 CFPS 269 646 725 704 850

지분법손실(이익) 1 -6 -12 -14 -15 EBITDAPS 323 715 560 615 753

운전자본감소(증가) -16 -15 -5 -7 -8 PER - 4.0 4.9 4.7 3.5

기타 2 4 4 4 4 수정PER - 4.0 4.9 4.7 3.5

투자활동현금흐름 -28 -4 -2 -5 -7 PBR 0.6 0.4 0.7 0.7 0.6

설비투자 -37 -2 -1 -1 -2 EV/EBITDA 12.9 5.4 7.1 6.2 4.8

투자자산감소(증가) 7 0 -5 -28 -30 배당수익률 3.7 4.7 2.9 2.4 2.4

유형자산처분 1 1 0 0 0 매출총이익률 5.7 10.1 10.5 11.8 13.3

기타 1 -2 3 24 25 영업이익률 0.5 5.1 4.1 5.7 7.2

재무활동현금흐름 34 -3 -4 -2 -2 순이익률 -0.4 4.2 6.2 6.9 8.3

단기차입금증가(감소) 19 0 -27 0 0 EBITDA Margin 5.0 8.7 7.2 8.0 8.9

장기차입금증가(감소) 3 3 25 0 0 ROE -0.8 11.5 15.5 16.2 18.4

사채증가(감소) 0 0 0 0 0 ROA -0.4 5.5 8.1 9.3 11.2

배당금 -2 -2 -2 -2 -2 매출액증가율 9.9 29.4 8.1 13.1 9.8

자본금증가(감소) 0 0 1 0 0 영업이익증가율 흑전 1,306.9 -12.1 57.3 37.8

기타 14 -5 -2 0 0 순이익증가율 적축 흑전 59.3 25.0 32.8

현금증가(감소) 1 4 6 4 8 부채비율 112.4 105.4 79.1 69.2 59.3

기초현금 0 1 6 11 15 순차입금비율 86.5 77.1 45.9 37.3 27.1

기말현금 1 6 11 15 23 이자보상배율 0.3 2.7 2.6 4.6 6.4

27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 Compliance Notice

3. 영우통신 (051390)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52주 최고/최저: 9,670원/3,380원

시가총액: 93십억원

일평균거래대금(60일): 59억원

자본금/액면가: 57억원/500원

외국인지분: 0.24%

주요주주: 우병일 23.3%

영우통신에 대해 6개월 목표주가 11,000원 (2010년 EPS에 P/E 10배 적용)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동사는 한국을 대표하는 중계기 회사로서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 인도

네시아 등으로 중계기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Wibro 중계기

수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동사의 주력 제품은 RF중계기로 일본 KDDI에 지금

까지 35,000대를 수출하였고, KDDI의 일본 Coverage를 감안할 때 향후에도 25만대 이상을

수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의 다른 통신 사업자와의 거래선 다변화도 2010년 내에 가시

화될 것이라는 점에서 동사의 실적 모멘텀은 2010년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동사는 기존 중계기와는 달리 Noise 제거 기능을 향상한 Smart 중계기를 개발하여 거래선

내의 입지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Wibro ECS (Eco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 개발에도 성공하여 삼성전자의 Wibro 인프라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

다. 현재 삼성전자는 동사를 포함해 2개사와 함께 Wibro 인프라 수출을 확대하고 있는데 대부

분 신흥 시장의 통신 사업자라는 점에서 경제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중계기에 대한 비중을

높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매출액

(십억원)

영업이익

(십억원)

세전이익

(십억원)

순이익

(십억원)

EBITDA

(십억원)

EPS

(원)

증감률

(%)

PER

(배)

PBR

(배)

EV/EBITDA

(배)

ROE

(%)

2007 26 2 3 2 3 190 144.8 47.4/21.4 1.7 19.0 5.3

2008 38 9 10 8 9 701 269.5 8.0/2.6 0.9 2.0 18.2

2009F 33 12 12 10 13 891 27.2 7.2 1.2 3.2 19.0

2010F 41 13 15 12 14 1,073 20.3 7.7 1.3 3.7 18.6

2011F 54 14 16 13 15 1,165 8.6 7.0 1.1 3.0 17.1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

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노근창>이 조사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

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

용하시기 바라며 유가증권 투자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

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 조사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

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조사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 추천종목은 당사와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습니다. /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유가증권(DR,

CB, IPO, 시장조성 등)발행과 관련하여 지난 6개월간 당사가 주간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추천종목

은 전일 기준 당사에서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조사분석 담당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6개월 이내에 당해 기업에 대한 후속 조사분석자료가 공표되지 않을 수 있

습니다.

▶업종 투자의견 분류HMC투자증권의 업종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업종 펀더멘털과 업종주

가의 전망을 의미함.

·비중확대(Ov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개선과 함께 업종주가의 상승 기대

·중립(Neutral) : 업종 펀더멘털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음

·비중축소(Und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악화와 함께 업종주가의 하락 기대

▶투자기간 및 투자의견HMC투자증권의 종목추천에 대한 투자기간은 6개월, 투자의견은 3단계로 구분함.

·매수(Buy)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P 이상

·보유(Hold)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15%P 이내

·매도(Sell)) : 해당 종목의 초과수익률 -15%P 이하

목표주가 11,000원과 매수의견 유지 / 수출선 다변화 지속

Buy (유지) 현재가(2/4) : 8,210원

목표주가 : 11,000원

삼성전자와의 Wibro 협력 강화

Forward Solution 28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표3> 분기별 실적 추정 (백만원)

1Q09 2Q09 30Q9 40Q9F 2009F 1Q10F 2Q10F 3Q10F 4Q10F 2010F 2011F

일본 통신 사업자 9,742 4,728 7,204 7,433 29,107 9,935 5,293 8,614 7,986 31,828 40,595

삼성전자 18 - - 48 66 - 320 634 1,176 2,130 5,849

KT 108 92 98 731 1,029 499 798 735 950 2,982 3,167

기타 674 940 258 677 2,549 676 1,282 400 1,710 4,067 973

거래선별 매출액

합계 10,542 5,760 7,560 8,889 32,751 11,110 7,693 10,382 11,822 41,007 50,584

일본 통신 사업자 92.4% 82.1% 95.3% 83.6% 88.9% 89.4% 68.8% 83.0% 67.6% 77.6% 80.3%

삼성전자 0.2% 0.0% 0.0% 0.5% 0.2% 0.0% 4.2% 6.1% 9.9% 5.2% 11.6%

KT 1.0% 1.6% 1.3% 8.2% 3.1% 4.5% 10.4% 7.1% 8.0% 7.3% 6.3%매출액 비중

기타 6.4% 16.3% 3.4% 7.6% 7.8% 6.1% 16.7% 3.9% 14.5% 9.9% 1.9%

영업이익 3,067 2,488 3,244 3,070 11,868 3,828 2,357 3,574 3,433 13,191 14,101

영업이익률 29.1% 43.2% 42.9% 34.5% 36.2% 34.5% 30.6% 34.4% 29.0% 32.2% 27.9%

세전이익 3,869 2,247 2,912 2,816 11,844 4,138 2,703 3,951 3,818 14,609 15,865

법인세율 15.8% 7.1% 16.6% 16.6% 14.5% 16.6% 16.6% 16.6% 16.6% 16.6% 16.6%

순이익 3,260 2,086 2,428 2,347 10,121 3,450 2,253 3,294 3,182 12,179 13,226

원/USD 환율 1,507 1,324 1,324 1,315 1,364 1,323 1,316 1,271 1,214 1,264 1,210

원/100엔 환율 1,411 1,290 1,245 1,170 1,279 1,180 1,160 1,160 1,150 1,163 1,150 자료: 영우통신, HMC투자증권

29HMC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Center

노근창 연구위원 02) 3787-2301 / [email protected] 반도체/가전,전자부품 Analyst

(단위:십억원) (단위:십억원)

손익계산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대차대조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매출액 26 38 33 41 53 유동자산 34 39 53 66 82

매출원가 21 26 17 24 34 현금성자산 20 25 34 43 51

매출총이익 5 12 16 17 20 단기투자자산 1 1 4 4 4

판매관리비 3 4 4 4 6 매출채권 8 7 9 12 16

인건비 1 2 2 2 3 재고자산 3 4 4 5 7

일반관리비 1 2 2 2 2 비유동자산 15 16 15 15 14

판매비 0 0 0 0 1 투자자산 6 3 3 3 3

영업이익 2 9 12 13 14 유형자산 7 10 10 9 9

(영업이익률) 7.7 22.4 36.1 32.2 26.2 무형자산 0 0 0 0 0

영업외수익 2 6 3 1 2 자산총계 49 54 68 81 96

이자수익 1 1 1 1 2 유동부채 7 7 7 8 10

외환이익 0 4 1 0 0 매입채무 3 1 3 4 6

지분법이익 0 0 0 0 0 단기차입금 1 1 1 1 1

영업외비용 1 5 3 0 0 유동성장기부채 0 0 0 0 0

이자비용 0 0 0 0 0 비유동부채 1 1 1 1 1

외환손실 0 1 2 0 0 사채 0 0 0 0 0

지분법손실 1 1 1 0 0 장기차입금 0 0 0 0 0

(영업외수지) 1 1 0 1 2 부채총계 8 8 8 9 11

세전사업이익 3 10 12 15 16 자본금 6 6 6 6 6

법인세비용 1 2 2 2 3 자본잉여금 11 11 13 13 13

계속사업이익 2 8 10 12 13 자본조정 등 -1 -3 0 0 0

중단사업이익 0 0 0 0 0 이익잉여금 25 33 42 53 65

당기순이익 2 8 10 12 13 자본총계 41 46 60 71 83

EBITDA 3 9 13 14 15 부채와자본총계 49 54 68 80 94

(단위:십억원) (단위:원,배,%)

현금흐름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투자지표 2007 2008 2009F 2010F 2011F

영업활동현금흐름 4 12 9 10 9 EPS 190 701 891 1,073 1,165

당기순이익 2 8 10 12 13 수정EPS 188 701 887 1,073 1,165

유형자산감가상각비 1 1 1 1 0 BPS 3,630 4,090 5,294 6,266 7,331

무형자산상각비 0 0 0 0 0 DPS 50 100 100 100 100

외화환산손실(이익) 0 0 0 0 0 CFPS 244 770 954 1,125 1,205

지분법손실(이익) 1 0 0 0 0 EBITDAPS 230 828 1,104 1,214 1,282

운전자본감소(증가) 0 -2 -2 -3 -5 PER 31.8 5.4 7.2 7.7 7.0

기타 0 5 1 0 0 수정PER 32.1 5.4 7.2 7.7 7.0

투자활동현금흐름 -4 -4 -8 -9 -15 PBR 1.7 0.9 1.2 1.3 1.1

설비투자 -3 -3 0 0 0 EV/EBITDA 19.0 2.0 3.2 3.7 3.0

투자자산감소(증가) 0 1 -6 0 0 배당수익률 0.9 2.3 1.6 1.2 1.2

유형자산처분 0 0 0 0 0 매출총이익률 20.1 32.0 47.4 42.6 36.8

기타 -1 -1 -2 -9 -15 영업이익률 7.7 22.4 36.1 32.2 26.2

재무활동현금흐름 1 -4 1 -1 -1 순이익률 8.3 20.7 30.9 29.7 24.6

단기차입금증가(감소) 1 0 0 0 0 EBITDA Margin 10.1 24.5 38.3 33.6 27.1

장기차입금증가(감소) 0 0 0 0 0 ROE 5.3 18.2 19.0 18.6 17.1

사채증가(감소) 0 0 0 0 0 ROA 4.4 15.5 16.6 16.4 14.9

배당금 0 -1 -1 -1 -1 매출액증가율 -24.5 47.6 -14.8 25.2 31.1

자본금증가(감소) 0 0 2 0 0 영업이익증가율 38.8 330.5 37.1 11.6 6.9

기타 0 -3 1 0 0 순이익증가율 144.8 269.5 27.2 20.3 8.6

현금증가(감소) 1 4 2 0 -7 부채비율 18.4 16.4 12.7 12.3 12.7

기초현금 1 2 7 9 9 순차입금비율 -45.5 -50.6 -55.4 -59.6 -60.2

기말현금 2 7 9 9 1 이자보상배율 108.3 144.3 222.7 250.2 266.0

Forward Solution 30

기아자동차 (000270)

네트워크장비 산업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추이 ▶ 최근 2년간 대덕전자 주가 및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09/10/22 매수 8,250원

09/11/13 매수 8,250원

09/12/01 매수 8,900원

10/01/20 매수 10,500원

10/02/05 매수 10,500원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08/2 08/5 08/7 08/10 09/1 09/4 09/7 09/10 10/1

목표주가

대덕전자 주가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추이 ▶ 최근 2년간 이수페타시스 주가 및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09/12/24 매수 3,700원

10/02/05 매수 3,700원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08/2 08/5 08/7 08/10 09/1 09/4 09/7 09/10 10/1

목표주가

이수페타시스 주가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추이 ▶ 최근 2년간 영우통신 주가 및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10/01/13 매수 11,000원

10/02/05 매수 11,000원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08/2 08/5 08/7 08/10 09/1 09/4 09/7 09/10 10/1

목표주가

영우통신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