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yungsan mounatain

23
출발점 도착점 구파발 역 2번 출구 에서 출발하는 광탄리-금촌 행 333번 버스를 타고 보광사 정류장에서 내려 등산시작, 구파발 역에서 보광사 까지 대략 30~40분 소요, 30~40분 간격 배차

Upload: seoul-dongguk-univ

Post on 13-Jul-2015

666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출발점도착점

구파발 역 2번 출구 에서 출발하는 광탄리-금촌 행 333번 버스를 타고

보광사 정류장에서 내려 등산시작,

구파발 역에서 보광사 까지 대략 30~40분 소요, 30~40분 간격 배차

고령산/앵무봉 개념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서울은 소위 내사산으로 둘러진 영역, 외사산으로 쌓여진 영역

(대략 현재의 것) 으로 변천해 왔다.그림에서 외곽순환도로와 제2외곽순환도로의 중

간에 그려진 파란 선으로 표시한 구역이 바로 신외사산(新外四山) 네 곳을 연결한 내

부의 영역으로 미래(통일 후 한국)의 수도 서울의 구역이 될 것임을 감히 상상해 본다.

A=예봉산, B=광교산, C=계양산, D=고령산(앵무봉)/계명산.

통일 후 수도 서울의 확장 과 신외사산(新外四山)

예봉산

광교산

계양산

고령산

북악산에 오르면 4대문 안이 보이고---

북한산에 오르면 서울 전역이 보이고---

고령산에 오르면 서울을 포함하여 좀더 멀리 볼 수 있겠지 해서---

잔 설도 좀 남아있고--- 등산로는 잘 정비되어있고---

쉼터도 잘 만들어 놓았고---

병사들이 소대장과 같이 등산--- I군단 특공 병사들, 쾌활 해 보였다.

앵무봉

맞은편 장흥 쪽에서 올라올 때의 개념도

공군부대 출입금지구역

하산하면서 뒤돌아 보면---

나무 사이로 보이는 저수지?

양지바른 곳은 봄이 곧?

또 다른 등산로로 하산 완료

특이한 모양의 절 입구

보광교

구파발 행 버스를 기다리며---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