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10
Fixed Income Strategy 신동수 02)368-6181 [email protected]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변동성 리스크, 그러나 금리 방향은 상승 채권시장 Overview 지난 9월 큰 폭으로 하락했던 시장금리가 10월 들어 큰 폭으로 상승 했다. 10 월 금통위 가 예정되어 있지 만 비전통적 정책의 선호 등 금리정책을 통한 추가 완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 국내 코로나 19 진정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로 완화 , 수출 증가 등 완만한 경기회복 기대도 유효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변 화로 미국의 경기부양 기대도 높아졌다 . Risk on 이 강화되고 낮은 쿠폰금리, 자본이익 손실 우려 등 채권 투자 매력도 약하다. 금리의 변동성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상승 압력은 계속될 것 이다. 주요 금리 등락폭 종목 10/8 (%) 전주말비 (bp) 전년말비 (bp) CD 91일 0.630 0.0 -90.0 통안1Y 0.699 2.5 -67.0 통안2Y 0.831 2.9 -53.6 국고3Y 0.907 6.1 -45.3 국고5Y 1.207 10.0 -27.3 국고10Y 1.543 11.3 -14.0 국고20Y 1.660 9.6 -3.1 국고30Y 1.670 9.3 -1.2 회사채AA- 2.241 4.8 30.4 회사채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 일) 가 예정되어 있지만 기준금 리가 만장일치 동결 되며 이벤트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다. 다수의 금통위원이 완화 기조 유지를 주장했 지만 금리정책보다는 비전통적 수단을 통한 선별적 지원을 선호 했다. 연말까지 5조원의 국고채 단순매 입 중 3조원이 남았지만 대규모 국고채 발행 부담을 완화하기에는 미흡하다. 정부가 2025년 재정준칙 도입을 발표했지만 중기 재정 전망에서 국가채무비율이 2024 년 58.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준칙 도입이전까지 확장 적 재정정책에 따른 국고채 발행 우려도 커졌다 . 한 은의 국고채 추가 매입 등 정책변화가 없다면 10월 금통위 결과가 금리 추세를 변화시키기는 어려울 것 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더 큰 규모의 경기부양 시사로 국의 경기부양 기대도 높아졌다 . 경기부양 규모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추가 재정 부양이 성장 개선과 Risk on 의 강화, 국채 발행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 는 점에서 체권시장에는 악재 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며 금리 레벨이 다시 높아졌지만 채권 투자 환경은 여전히 비우호적이다. 글로벌 추 가 완화 기대가 약화되었고 재정 확대로 인한 물량 경계감과 마찰적 금리 상승 리스크는 여전히 높다. 약화된 채권 투자 매력을 감안하면 중장기적 금리 상승에 대응해 매수보다는 캐리와 리스크 관리가 바 직하다.

Upload: others

Post on 13-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Fixed Income Strategy 신동수 02)368-6181 [email protected]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변동성 리스크, 그러나 금리 방향은 상승

채권시장 Overview

지난 9월 큰 폭으로 하락했던 시장금리가 10월 들어 큰 폭으로 상승했다. 10월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지

만 비전통적 정책의 선호 등 금리정책을 통한 추가 완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국내 코로나19 진정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로 완화, 수출 증가 등 완만한 경기회복 기대도 유효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변

화로 미국의 경기부양 기대도 높아졌다. Risk on이 강화되고 낮은 쿠폰금리, 자본이익 손실 우려 등 채권

투자 매력도 약하다. 금리의 변동성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상승 압력은 계속될 것이다.

주요 금리 등락폭

종목 10/8

(%)

전주말비

(bp)

전년말비

(bp)

CD 91일 0.630 0.0 -90.0

통안 1Y 0.699 2.5 -67.0

통안 2Y 0.831 2.9 -53.6

국고 3Y 0.907 6.1 -45.3

국고 5Y 1.207 10.0 -27.3

국고 10Y 1.543 11.3 -14.0

국고 20Y 1.660 9.6 -3.1

국고 30Y 1.670 9.3 -1.2

회사채 AA- 2.241 4.8 30.4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월 금통위(10/14일)가 예정되어 있지만 기준금

리가 만장일치 동결되며 이벤트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다. 다수의 금통위원이 완화 기조 유지를 주장했

지만 금리정책보다는 비전통적 수단을 통한 선별적

지원을 선호했다. 연말까지 5 조원의 국고채 단순매

입 중 3조원이 남았지만 대규모 국고채 발행 부담을

완화하기에는 미흡하다.

정부가 2025년 재정준칙 도입을 발표했지만 중기

재정 전망에서 국가채무비율이 2024년 58.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준칙 도입이전까지 확장

적 재정정책에 따른 국고채 발행 우려도 커졌다. 한

은의 국고채 추가 매입 등 정책변화가 없다면 10월

금통위 결과가 금리 추세를 변화시키기는 어려울 것

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더 큰 규모의 경기부양 시사로 미

국의 경기부양 기대도 높아졌다. 경기부양 규모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추가 재정 부양이 성장 개선과

Risk on의 강화, 국채 발행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

는 점에서 체권시장에는 악재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며 금리 레벨이 다시 높아졌지만

채권 투자 환경은 여전히 비우호적이다. 글로벌 추

가 완화 기대가 약화되었고 재정 확대로 인한 물량

경계감과 마찰적 금리 상승 리스크는 여전히 높다.

약화된 채권 투자 매력을 감안하면 중장기적 금리

상승에 대응해 매수보다는 캐리와 리스크 관리가 바

람직하다.

Page 2: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2_ Eugene Research Center

금리 동향: 10년물 중심의 상승과 커브의 차별화

국내금리, 투자환경 악화되며 장단기 금리 동반 상승

지난주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9월 시장금리의 하락

을 견인했던 외국인의 국채선물 순매수세가 약화된데다 미국 경기

부양 기대 강화, 7개월만에 증가한 국내 수출 등으로 주가가 반등하

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시장금리가 상승하

면서 이전의 박스권 하단으로 인식되었던 국고채 3 년 0.90%, 10

년 1.50%를 3주만에 다시 상회했다.

국고채 30년물 입찰금리가 전 영업일 종가보다 높게 형성된데다 금

리 상승으로 비경쟁인수 부담이 커지면서 장기물 금리가 더 큰 폭으

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국고채 3/10년 격차는 63.6bp로 2015년

8/3 일 64.2bp 이후 최대치로 확대되었다. 다만 10 년물의 상대적

약세로 국고채 10/30년 격차는 12.7bp로 2주 연속 축소되었다.

해외금리, 미국 경기부양책 기대로 상승 및 장단기 금리차 확대

해외금리는 경기부양 기대와 주가 상승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심리

가 약화되면서 상승했다. 특히 마이너스 금리 도입 기대가 약화된

영국 국채10년 금리는 4주 연속 상승했고, 경기부양 기대가 강화

된 미국 국채 10년금리는 2주 연속 상승하며 한때 0.80%를 상회

하기도 했다. 미 연준의 장기적 제로금리 유지와 국채 매입 유지가

채권금리의 추가 상승을 제한하기는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기존보다 큰 규모의 경기부양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상승 압력은 계

속되었다.

전반적으로 Risk on의 강화로 해외금리가 상승하면서 장단기 금리

격차도 확대 패턴으로 전환되었다. 미국 국채 2/10 년 격차는 지난

6월 이후 다시 60bp를 상회하였다.

도표 1 한국 주요 금리 추이 도표 2 주요국 금리, 2주 연속 하락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도표 3 외국인 국채선물 누적순매수와 국고채 3년 금리 도표 4 주요국 국채 2/10년 격차 추이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0.25

0.50

0.75

1.00

1.25

1.50

1.75

2.00

2.25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국고 3Y 국고 5Y

국고 10Y 국고 20Y

국고 30Y 기준금리

(%)

-1.0

-0.5

0.0

0.5

1.0

1.5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캐나다

(%)

0.60

0.80

1.00

1.20

1.40

1.60

-10

-5

0

5

10

15

20.1 20.3 20.5 20.7 20.9

외국인 KTB 국채선물 누적 순매수(좌)

외국인 LKTB 국채선물 누적 순매수(좌)

국고채 3년 금리(우)

(%)(만계약)

0.0

0.2

0.4

0.6

0.8

1.0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캐나다

(%p)

Page 3: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Eugene Research Center _3

금리정책보다는 비전통적정책을 통한 선별 지원

10월 금통위,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 전망

10/14 일 10 월 금통위가 열린다. 지난 8 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0.50%)를 만장일치로 동결했고, 9/15일 발표된 의사록에서 추가

완화 필요성을 주장한 금통위원은 한 명도 없었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불확실성을 고려해 완화 기조의 유지가 필요하지만 추가 인하

보다는 모두 현재의 기준금리 유지를 주장했다.

8월 금통위 이후 코로나19도 신규 감염자가 두 자리 수 대로 진정

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도 1 단계로 완화되었다. 경기선행지수가 3

개월 연속 상승했고 9월 수출도 7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산

업연구원의 제조업 경기조사도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개선될 것

으로 전망했다.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완만한 경기회복세를 감안할

때 향후 추가 금리인하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10월 금통위에서

7월과 8월에 이어 기준금리의 만장일치 동결이 전망된다.

도표 5 금통위원별 정책 성향(8월 금통위 의사록)

자료: 한국은행, 유진투자증권

도표 6 경기선행지수, 소매판매 vs 기준금리 추이

자료: Refinitiv,통계청, 유진투자증권

단순매입의 확대 또는 정례화 시그널 여부가 관건

향후 한은의 통화정책은 금리 상승에 따른 정책 효과 약화의 방어,

즉 단순매입 등 비전통적 수단을 통한 시장 안정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지난 9/8 일 한은은 연말까지 5 조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매입 확대

를 발표했다. 지난 9/24 일 2 조원의 국고채 단순매입이 나서 잔여

규모는 3조원에 불과하다. 과거 보다 급증한 국고채 물량 부담을 해

소하기에는 미흡하다. 시장여건에 따른 마찰적 금리 상승도 반복되

고 있다. 따라서 10 월 금통위에서는 시장금리 안정을 위한 국고채

단순매입의 확대 또는 정례화 가능성 여부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

다. 만약 기존의 단순매입에 그치고 추가 매입 시그널도 없다면 물

량 부담에 따른 마찰적 금리 상승 리스크는 계속될 것이다.

도표 7 한국은행 잔존만기별 국고채 단순매입 현황

자료: 한국은행, 유진투자증권

도표 8 2020년 국고채 발행 현황 및 잔여 규모

자료: 기획재정부, 유진투자증권

금통위원 기준금리 통화정책 환경 평가와 정책 성향

A위원 동결 ■ 현재의 기준금리 유지하고 금리외 다른 통화정책 수단 활용

B위원 동결■ 코로나19 영향 약화되면서 경기 회복이 전망될 때까지 완화적 운용

■ 완화기조 장기화에 따른 금융불균형 위험에 대해 각별한 유의 필요

C위원 동결■ 실물경제의 조속한 회복을 위한 완화 기조 유지

■ 자산시장 동향 예의 주시 및 생산적 부분으로의 자금 유도 방안 강구

D위원 동결■ 금융상황 완화 정도, 실물경제 지원에 결코 부족하지 않은 수준

■ 정책금리 조정을 통한 추가 완화보다는 특정 부문의 선별적 지원

E위원 동결 ■ 현재의 완화적 수준 유지하에 다양한 정책 수단간의 협조적 관계 강화

F위원 동결■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불가피하나 기준금리 동결이 바람직

■ 완화 지속에 따른 자산시장 영향과 금융안정을 저해 효과 면밀한 관찰

0

1

2

3

4

5

6

-6

-3

0

3

6

9

12

15

18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경기선행지수(좌)

소매판매(좌)

기준금리(우)

(%,YoY) (%)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20 4/10 7/2 8/31 9/24

3년 미만 3~5년 5~10년 10년 초과(억원)

174.5

135.5

39.0

14.5

15.1

13.0

10

12

14

16

18

0

30

60

90

120

150

180

210

연간 1~9월 10~12월

발행 규모(좌)

월평균 발행 규모(우)

(조원) (조원)

Page 4: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4_ Eugene Research Center

재정준칙 도입 이슈로 계속될 물량 부담

정부 2025년부터 재정준칙 방안 도입 발표

지난 10/5일 정부는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2025년

부터 국가채무비율을 GDP대비 60%이내, 통합재정수지를 GDP대

비 -3%이내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즉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정건

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코로나 19 와 같은 심각한 경제 위기 상황에

서는 준칙 적용에 예외를 두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정부의 국가채무 60% 한도는 올해 4 차례 추경을 감안한

43.9%보다 무려 16.1%p 나 높다. 더구나 정부의 중기재정 전망을

살펴보면 2024 년도에는 국가채무비율이 58.6%까지 확대된다. 재

정준칙 적용시점을 2025년으로 세우면서 그 이전까지 확장적 재정

정책 기조를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도표 9 추경에 따른 국가부채 및 재정수지 변화

자료: 기획재정부, 유진투자증권

도표 10 국고채 발행 현황 및 계획

자료: 기획재정부, 유진투자증권

확장적 재정정책은 채권시장에 악재로 작용

정부의 재정준칙 도입 방안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채권시장에 악

재다. 첫째, 재정준칙 시행 이전까지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른 대규

모 국고채 발행의 지속이다. 정부가 국고채 수요기반을 강하고 있지

만 투자 환경에 따라 시장 소화 어려움과 마찰적 금리 상승 리스크

로 작용할 여지가 높다. 둘째, 재정건전성의 악화다. 정부의 재정준

칙 한도 계산식에 따르면 국가채무비율이 60%를 상회하더라도 통

합재정수지적자를 -3%보다 축소하면 재정준칙을 충족할 수 있어

국가 부채가 더 늘어날 여지도 높다.

과거 한국의 CDS 가 상승하는 국면에서 외국인의 채권투자는 감소

했다. 국가채무비율의 상승이 재정건전성 악화와 CDS 상승 리스크

라는 점에서 외국인 채권투자 환경에 부정적 일수 밖에 없다.

도표 11 중기 재정 전망

자료: 기획재정부, 유진투자증권

도표 12 CDS와 외국인 채권투자 증감

자료: Bloomberg,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36

38

40

42

44

46

-8

-6

-4

-2

0

2

본예산 1차 추경 2차 추경 3차 추경 4차 추경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통합재정수지(좌)

관리재정수지(좌)

국가채무(우)

(% of GDP) (% of GDP)

174.8 172.9

14.6 14.4

0

5

10

15

20

25

0

50

100

150

200

14 15 16 17 18 19 20 21

총발행(좌)

월평균 발행(우)

(조원) (조원)

30

35

40

45

50

55

60

-8

-6

-4

-2

0

2

19 20 21 22 23 24

관리재정수지(좌)

국가채무(우)

(% of GDP) (% of GDP)

-8

-6

-4

-2

0

2

4

6

8

10

0

50

100

150

200

250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외국인 채권투자 증감(우)

CDS 5y(좌)

(bp) (조원)

Page 5: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Eugene Research Center _5

미국 경기부양 기대와 장기물 발행 증가 부담

백악관의 추가 부양책 제안 등 강화되는 경기부양 기대

지난주 미국채 금리는 재정 부양 협상 소식 결과에 등락을 반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기부양 협상 중단을 지시로 미국채 금리가 하락

했고, 항공사, 중소기업 등에 대한 제한적 부양책에 이어 현재 논의

중인 것보다 더 큰 규모의 경기부양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미국채 금

리는 추가로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2.2조달러)이나 공

화당(1.8 조달러)이 제시한 것보다 더 큰 대규모 부양책 타결을 촉

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선회로 경기부양책 타결 기대는 한층 더 커졌

다. 특히 바이든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인프라 투자 등 대규

모 재정정책이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는 기대도 높아졌다.

도표 13 미국 주요 국채 금리와 2/10년 격차

자료: Refinitiv, 유진투자증권

도표 14 미연준 만기별 국채 순매입 현황

자료: 미연준, 유진투자증권

경기부양은 성장 개선과 국채 발행 확대 등 채권시장에 악재

아직 경기부양책이 결정되지 않았지만 경기부양 기대의 강화는 1)

성장 개선와 위험자산 선호 강화, 2)장기물 등 국채 발행 확대로 이

어진다는 점에서 채권시장에 부담에 악재다.

더구나 미국의 장기물 발행 압력은 확대되는 반면 미 연준의 자산매

입 규모는 오히려 축소 추세다. 미연준의 국채매입 규모는 지난

7~8월 주간 평균 179억달러에서 9월에는 174억달러에 줄었다.

미연준의 국채매입이 채권시장에 우호적이지만 매입 규모의 확대나

장기물 매입 확대가 아니라면 상승 추세를 막기에는 미흡하다.

아직 경기부양책 관련 불확실이 높지만 경기부양 기대가 강화될수

록 Risk on등 채권금리의 상방 압력도 강화될 것이다.

도표 15 미국 만기별 국채 발행 현황

자료: SIFMA, 유진투자증권

도표 16 미국 대선 후보별 지지율

자료: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0.0

0.5

1.0

1.5

2.0

2.5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국채 2y

국채 10y

국채 30y

10-2y

(%,%p)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20.3 20.4 20.5 20.6 20.7 20.8 20.9

15일 이내

16~90일

91일~1년

1~5년

5~10년

10년 초과

(10억달러)

0

20

40

60

80

0

500

1,000

1,500

2,000

2,500

17 18 19 20

Bonds(우)

Bills(좌)

Notes(좌)

(10억달러)(10억달러)

38

40

42

44

46

48

50

52

54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 트럼프

바이든바이든

50.6%

트럼프

42.5%

Page 6: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6_ Eugene Research Center

변동성 리스크, 그러나 금리 방향은 상승

매수보다는 중장기적 상승에 대비한 캐리와 리스크관리

지난 9월 큰 폭으로 하락했던 시장금리가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은의 추가 금리인하 기대가 약화되면서 단기금리의 레벨 부담이

커졌고, 외국인의 국채선물 순매수세가 약화된 탓이다. 미국의 경기

부양 기대로 Risk on 이 강화되면서 채권투자 심리가 악화된 점도

시장금리의 상승을 견인했다.

10월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지만 기준금리가 만장일치 동결되며 큰

이벤트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다. 다수의 금통위원이 완화 기조 유지

를 주장했지만 금리정책보다는 비전통적 수단을 통한 선별적 지원

을 선호했다. 연말까지 5조원의 국고채 단순매입 중 3조원이 남았

지만 대규모 국고채 발행 무담을 완화하기에는 미흡하다.

정부가 2025년 재정준칙 도입을 발표했지만 중기재정 전망에서 국

가채무비율이 2024 년 58.6%에 달한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준칙

도입이전까지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른 국고채 발행 우려도 커졌다.

한은의 국고채 추가 매입 등 정책변화가 없다면 10월 금통위 결과

가 금리 추세를 변화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도표 17 기준금리와 주요 금리간 격차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트럼프 대통령의 더 큰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 시사로 미국의 경기

부양 기대도 높아졌다. 아직 경기부양 규모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추가 재정 부양이 성장 개선과 Risk on 의 강화, 국채 발행 증가로

이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채권시장에는 악재다. 국내 코로나19 확산

세가 두 자리로 진정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로 완화되어 경

제활동이 개선될 여지도 높아졌다. 더구나 수출 증가 등으로 완만하

지만 경기 개선 기대도 유효하다.

시장금리가 단기 급등하면서 금리 레벨이 높아졌지만 채권 투자 환

경은 여전히 비우호적이다. 글로벌 추가 완화 기대가 약화되었고 재

정 확대로 인한 물량 경계감과 마찰적 금리 상승 리스크는 여전히

높다. 9월 금리 하락을 견인했던 외국인 국채선물 순매수도 약화되

었다. 채권 투자 매력 약화 등 악화된 채권 투자 환경을 감안하면 매

수보다는 캐리와 리스크 관리가 바람직하다.

도표 18 미국 국채 10년과 한국 국채 3년 금리 추이

자료: Refinitiv, 유진투자증권

도표 19 주간 채권수익률 변동 현황 및 전망

9/29 10/8

주간 변동 폭

(%p)

주간 전망

(10/12~10/16)

월간 전망

(10월)

국고채 3년(%) 0.846 0.907 0.061 0.85~0.97 0.85~1.00

국고채 5년(%) 1.107 1.207 0.100 1.15~1.27 1.13~1.33

국고채 10년(%) 1.430 1.543 0.113 1.49~1.61 1.46~1.65

회사채 AA-(3년, %) 2.193 2.241 0.048 2.19~2.30 2.16~2.35

자료: KOSCOM, 유진투자증권

0.0

0.5

1.0

1.5

2.0

-0.2

0.0

0.2

0.4

0.6

0.8

20.1 20.3 20.5 20.7 20.9

국고채 3년 - 기준금리(좌)

국고채 10년 - 국고채 3년(좌)

국고채 30년 - 국고채 10년(좌)

기준금리(우)

(%p) (%)

0

2

4

6

8

10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미국 국채 10y

한국 국채 3y

(%)

Page 7: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Eugene Research Center _7

채권수급 크레딧 채권: 은행채 발행 증가로 순발행 확대, 다만 회사채는 2주 연속 순상환

듀레이션: 투자환경 악화과 금리 급등에 따른 투자손실 우려로 축소

도표 20 주간 기관별 일평균 채권 순매수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21 주간 주요 크레딧 채권 순발행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22 투자자별 보유채권 듀레이션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1

0

1

2

3

19.11 19.12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외국인 기금 자산운용사 보험 은행(조원)

-4

-2

0

2

4

6

8

19.11 19.12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조원)지방채 공사공단채 금융채 회사채 합계

9.8

10.1

10.4

10.7

11.0

11.3

5.4

5.5

5.6

5.7

5.8

5.9

6.0

6.1

6.2

19.11 20.1 20.3 20.5 20.7 20.9

기금(좌)

보험(우)

(년) (년)

0.0

0.5

1.0

1.5

2.0

2.5

3.0

3.5

4.0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19.11 20.1 20.3 20.5 20.7 20.9

외국인(좌)

투신(우)

은행(우)

(년) (년)

Page 8: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8_ Eugene Research Center

외국인 투자 외국인 채권 투자: 재정건전성 우려로 투자심리 위축되며 감소

외국인 국채선물 투자: 투자 환경 악화로 투자 삼리 위축되며 순매수세 약화

도표 23 주간 외국인 보유채권 상환원리금, 순매수, 보유잔액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24 주간 외국인 국고채 및 통안채 투자 증감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25 KTB 국채선물 가격과 외국인 누적순매수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120

125

130

135

140

145

150

155

-2

0

2

4

6

8

3/13 4/3 4/24 5/15 6/5 6/26 7/17 8/7 8/28 9/18 10/8

(조원)(조원) 상환원리금(좌) 순매수(좌) 보유 잔액(우)

0.52

-0.34

0.460.33

0.96

-0.72-1.0

-0.5

0.0

0.5

1.0

1.5

국고채 통안채

9/25-9/19

9/29-9/25

10/8-9/29

(조원)

10

15

20

25

30

35

109.0

109.5

110.0

110.5

111.0

111.5

112.0

112.5

19.11 19.12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KTB 국채선물가격(좌)

외국인 KTB 국채선물 누적순매수(우)

(만계약)(P)

Page 9: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Eugene Research Center _9

스프레드 장단기 금리차: 10년물의 상대적 약세로 차별화, 3/10년 확대, 10/30년 축소

신용스프레드: 절대금리 매력 vs 금리 상승 상충되며 정체 흐름 지속

도표 26 주간 국고채 기간물별 금리 변동과 Yield Curve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27 주요 국고채 금리간 스프레드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도표 28 주요 크레딧물 신용스프레드(3년물 기준)

자료: 연합인포맥스, 유진투자증권

-6

-3

0

3

6

9

12

15

0.40

0.60

0.80

1.00

1.20

1.40

1.60

1.80

3M 6M 9M 1Y 1.5Y 2Y 2.5Y 3Y 4Y 5Y 7Y 10Y 15Y 20Y 30Y

등락 폭(10/8-9/29, 우)

2020-09-29(좌)

2020-10-08(좌)

(%)

`

(bp)

-0.1

0.0

0.1

0.2

0.3

0.4

19.11 19.12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0.10

국고3-국고1 국고5-국고3

국고10-국고5 국고20-국고10

(%p)

0

10

20

30

40

50

60

70

80

19.11 19.12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회사채AA- 공사채AAA

은행채AAA 예보채

(bp)

Page 10: Global Macro Issue | 2020. 10. 12 국내채권 · 2 days ago · 회사채 BBB- 8.592 4.4 54.3 Risk on 의 강화와 물량 경계감, 계속될 상승 리스크 10 월 금통위(10/14일)가

Analyst 신동수 | Fixed Income Strategy

10_ Eugene Research Center

Compliance Notice

당사는 자료 작성일 기준으로 지난 3개월 간 해당종목에 대해서 유가증권 발행에 참여한 적이 없습니다

당사는 본 자료 발간일을 기준으로 해당종목의 주식을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조사분석담당자는 자료작성일 현재 동 종목과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동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조사분석담당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동 자료는 당사의 제작물로서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습니다

동 자료는 당사의 동의 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동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자료는 고객

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기간 및 투자등급/투자의견 비율

종목추천 및 업종추천 투자기간: 12개월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당사 투자의견 비율(%)

ㆍSTRONG BUY(매수)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0%이상 0%

ㆍBUY(매수)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5%이상 ~ +50%미만 85%

ㆍHOLD(중립)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0%이상 ∼ +15%미만 15%

ㆍREDUCE(매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0%미만 0% (2020.9.3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