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industrial ventilation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up/kimkiyoun/13.pdf ·...

15
General Industrial Ventilation Source: ACGIH, Industrial Ventilation 6. 전체 환기

Upload: others

Post on 03-Apr-2020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General Industrial Ventilation

Source: ACGIH, Industrial Ventilation

6. 전체 환기

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① 오염물질의 농도를 낮추거나 ② 물리적인자(온도, 습도 등)의 강도 조정 : 적정한 실내 환경 조성

전체환기 사례 : • 사무실, 호텔, 병원, 지하철, 가정, 수영장, 자동차 등

전체환기(general ventilation)

General Industrial Ventilation

목적 • 유해물질 농도 감소, 건강유지 증진 • 화재나 폭발 예방 • 온도와 습도 조절 기능상 분류 • Dilution Ventilation • Heat control Ventilation 환기방법에 따른 분류 • 자연환기 • 인공환기 Source: ACGIH, Industrial Ventilation

대구 지하철참사와 공기조화설비

평상시는 실내 온.습도, 기류 등

으로 가장 쾌적한 조건으로 맞추어주기 위한 역할을 담당

화재시 사람의 생명 혹은 시설물 등의 보호 등에 결정적인 역할을 결정해주는 매우 중요한 건축기계설비

가정집 전체환기(자연환기)

들창형 벤틸레이터 설치

• 기상 조건에 따른 기류 변함

작업장 내부 기류 배출

작업장 외부 기류 유입

자연환기 사례(Ⅰ)

자연환기 사례(II) 모자동차 용해로 공장

금속 흄 및 가스 상승 작업장 재순환

금속 흄 및 가스 발생 상승

기류

벤틸레이터를 통해 배출

벤틸레이터 주변 정체 또는 작업장으로 하강

작업자 관찰

배출

Celling Grid System (Super Clean Room)

관리기준(C)에 의한 전체 환기량(Q)

Q = K(G/C) • 106

• 전체환기량 : Q

– 관리하고자 하는 농도(TLV 등)가 되는데 필요한 공기량 • 오염물질의 발생율 : G

– 가스, 증기의 발생률(m3/분) • 관리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농도 : C

– 가스, 증기의 TLV로 단위는 ppm 또는 mL/m3

• 안전계수 : K – 불완전 혼합으로 인한 안전계수로 유해성이 높을 경우 커짐

• 단위환산 에 따른 보정 : 106

전체환기량의 결정

농도 농도

Q ?

• 희석할 공기량을 어떻게 결정하는가 ?

–오염물질의 농도를 관리하고자 하는 농도 (노출기준)까지 깨끗한 공기로 희석

• 개념

–발생된 오염물질 양(G)을 노출기준(TLV)으로 나누어 주면 됨

전체 환기량(Q) =

• G : 공기 중으로 발생된 유해물질의 부피(L/시간)

– 증발했을 때 차지하는 부피로서 유해물질의 양(g)을 부피로 환산함

C

G K

① 사용량이 무게(g)로 주어질 경우

② 액체 비중(g/mL)과 사용량(mL)이 주어질 경우

유해물질의 양(g)을 부피로 환산 1 mol 분자량의 공기 중 부피 : 24.1 L

건강보호를 위한 전체환기 설치 조건

오염물질 독성이 비교적 낮아야 한다

오염물질이 증기나 가스

오염물질이 시간에 따라 균일하게 발생

오염물질이 널리 분포

오염물질 발생량이 적어야 한다 source : ACGIH, INDUSTRIAL VENTILATION

건강보호를 위한 전체환기의 설치 기본원칙

• 물질 농도 감소를 위한 필요 희석 공기량 선정

• 오염원 근처에 배기구 설치

• 공기의 공급 및 배기 사이에 오염원 위치

• replacement air system을 이용하여 공기 교환

• 공기 배출구와 근로자 위치 사이에 오염원 위치

• 배출된 공기가 다시 유입되지 않게 배출구 선정

배출구 선정

지붕으로부터 1.5미터 이상

공장 건물 높이의

0.3~1.0배 정도

건강보호를 위한 전체환기의 설치의 제한요소

희석을 위한 필요 환기량이 불가능한 경우 • 오염물질 발생이 과량

• 발생량이 많으면 필요 환기량 증가하여 비경제적

먼지나 흄이 발생되는 작업장 • 흄(Fume)이나 분진의 발산 속도와 발산율이 너무 높다

• 흄또는 분진의 발생량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

Source: ACGIH, Indus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