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28
펨토초 레이저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terly Magazine 더 밝은 미래를 “KERI ON더 편리한 세상으로 “CARRY ON계간 N 2014 Vol. 4 첨단 전기기술이 만들어가는 세상

Upload: others

Post on 17-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펨토초 레이저

KO

RE

A E

LE

CT

RO

TE

CH

NO

LO

GY

RE

SE

AR

CH

INS

TIT

UT

E2

01

4 V

ol. 4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terly Magazine

더 밝은 미래를 “KERI ON”

더 편리한 세상으로 “CARRY ON”

계간 N 2014 Vol. 4첨단 전기기술이 만들어가는 세상

Page 2: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TV를 재미있게 시청하는 꼬꼬마케리! 그런데 리모컨 작동이 안되네요.

배터리가 방전됐어요!

밖에 날씨는 춥고, 나가기는 싫고…….

어떻게든 오늘밤만이라도 리모컨을 사용할 방도는 없을까요?

꼬꼬마케리가 항간에 떠도는 모든 수법을 총 동원합니다.

배터리 흔들기, 혀에 대보기, 배터리 던지기, 냉장고에 넣기…….

이것저것 방법을 동원하니 작동되는 리모컨! 힘은 약하지만

그래도 리모컨을 쓸 수 있어 꼬꼬마케리는 행복합니다.

그렇다면 배터리가 다시 살아난 이유는 무엇일까요?

항간에 떠도는 배터리 살리기 방법이 사실이었을까요?

배터리가 방전이 된 경우에도 배터리 내부에 잔존하는 에너지가 늘 일부

남아있게 됩니다. 잔존 에너지량은 배터리의 성능과 사용 특성에 따라서

다른데, 보통 시간을 두면 배터리 내부의 잔존에너지가 저절로 평형에 도

달하여 일부 양을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특히 냉장고 등 저온에 넣어두

면 평형에 도달하는 동안의 자기방전 저항이 감소하여 조금 더 많은 에너

지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배터리가 되살아나는 현상은, 항간

에 떠도는 수법과는 별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터리가 평형에 도달해

자연스럽게 일부 충전되는 결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일시적인 현상이며, 오래 지속되는 효과를

누리기는 힘듭니다. 특히 장기간 오래 사용한 배터리의 경우에는 이미 에

너지 저장 능력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수명이 끝난 경우

내부저항이 증가한 경우이므로 시간이 지난다고 할지라도 다시 사용하기

는 힘듭니다.

여기서 잠깐! 항간에 떠도는 소문 하나를 더 확인해볼까요? 휴대전화 배

터리가 방전될 경우, 어떤 번호에 전화를 걸면 급속 충전된다는 소문, 들

어보셨나요? 하지만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닙니다. 과학은 자연스러움입니

다. 잠깐 배터리가 살아났다면 그것은 심리적인 부분이지 실제로 충전된

것은 아니니 믿지 마세요!

배터리 수명이 끝나면 잠깐이라도 살릴 방도가 있나요?박사님 궁금해요

KERI는 배터리에 관해 국

민들이 가지고 있는 오해와

속설을 풀어주고, 올바른

배터리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국민 배터리 가

이드북을 제작하여 발표할

예정입니다. (2014년 12월

예정)

답변 KERI전지연구센터도칠훈박사

Page 3: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C O N T E N T S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terly Magazine

ON

펨토초 레이저

KO

RE

A E

LE

CT

RO

TE

CH

NO

LO

GY

RE

SE

AR

CH

INS

TIT

UT

E2

01

4 V

ol. 4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terly Magazine

더 밝은 미래를 “KERI ON”

더 편리한 세상으로 “CARRY ON”

계간 N 2014 Vol. 4첨단 전기기술이 만들어가는 세상

| 발행처 한국전기연구원 홍보협력실

| 발행인 박경엽

| 편집인 류동수

| 기 획 송대익 055_280_1170

서재훈 055_280_1153

동경진 055_280_1152

| 주 소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로 10번길 12

| 발행일 2014년 11월 14일

| 디자인 에듀톡톡 031_908_7262

| 통권 8호

2014 Vol. 4

CEO Message

04 박경엽 KERI 신임원장 취임사

Special Issue

06 초미세 가공 산업용 첨단 레이저 기술 개발

시험인증 뉴스

08 KERI, 저압 직류 차단기 분야 시험 설비 구축

08 제13회 대전력 시험기술교육 개최

09 4000MVA 대전력시험설비 주설비공사 상량식 개최

09 KERI의 앞선 기술을 배우러 왔어요!

R & D 뉴스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공동연구성과 해외 저명 학술지 잇단 조명

14 245kV 혼합가스 스위치기어 개발

전시 & 교육기부

16 ‛찌릿한 전기, 짜릿한 체험’ KERI 전기파크를 가다

18 한국전기산업대전 참가 /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참가

19 찌릿찌릿 STEAM 전기교실 운영 / KERI와 함께 과학자의 꿈을!

사회공헌

20 KERI 임직원 따뜻한 추석 만들기 봉사활동 / 사랑의 헌혈 캠페인 진행

소통 3.0

22 언론에서 본 KERI

23 가장 많이 보도된 KERI 뉴스 TOP5

23 KERI 공식캐릭터, ‛꼬꼬마케리’의 탄생 비화를 아시나요?

23 SNS 공감 ‘좋아요!’

포상

21 장관상, KERI인상, UST총장상

협력 3.0

1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상천 이사장 내방

15 KERI-전기산업진흥회 ‘남북 전력기자재 통일 포럼’ 개최

15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 경남지역센터 상호협약식

열린 KERI

24 친환경 전기차 시대 우리가 이끌어갑니다(KERI 전기추진연구센터)

26 2014년 KERI 신입사원 소개 및 포부

27 꼬꼬마의 그림일기(아이스버킷 챌린지에 도전하다!)

Page 4: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안녕하십니까 ?

먼저, 부족한 저를 이 자리에 설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성원을 보내주신 KERI 가족여러분, 그리고

재료연구소 강석봉소장님과 외빈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우리 KERI는 1976년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로 설립되어 지금까지 정성계 소장님, 오창석 소장

님, 안우희 소장님, 변승봉 소장님, 윤문수 소장님, 권영한 원장님, 박동욱 원장님, 유태환 원장님

그리고 김호용 원장님의 헌신적인 노력과 그동안 함께 한 KERI 전 가족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오

늘의 자랑스런 KERI가 있게 된 것을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3년간 많은 가치 있는 연

구성과를 창출하여 우리 연구원을 세계 일류 전기전문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애써주신

전임 김호용 원장님께 이 자리를 빌어 특별히 감사드립니다.

저는 우리 모두가 지금까지 이룩한 훌륭한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 연구원이 진일보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우수 국가출연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

하여 KERI의 12대 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우선 전반적인 경영방침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

니다.

기관장이란, ‘직원이 공감하는 비전을 설정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방향을 결정하는 사람’이라고 생

각합니다. 즉, 출연연의 기관장은 사업의 포트폴리오 매니저(Portfolio Manager)로서 방향을 설정

하고 그에 맞는 사업을 선정한 후, 가장 우수한 책임자 또는 집단에 맡기고, 그 성과에 대해 공정하

게 평가하고 보상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시다시피 KERI는 OK 가치를 창조하는 전기전문 연구기관으로서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데 있습

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인간의 편리한 삶, 행복한 삶, 건강한 삶 그리고 풍요로

운 삶을 실현하기 위한 전기기술 개발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저는 기관장으로서 이러한 KERI 존재이유와 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기관운영의 중장기 비전으로

“2025년까지 세계일류 전기전문 연구기관 달성”, 단기 비전으로는 “2018년까지 본격적인 대형성

과 창출 시대 개막”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중장기 비전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으로는 첫째, 연구분야를 KERI의 고유임무 중심으로 선택과 집

중을 하고 둘째, 연구센터를 임무형 일몰조직이 중심인 Hybrid 연구조직으로 운영하며 셋째, 연구

원 전반의 운영은 자율과 책임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넷째, 개방형 연구체제 활성화를 위해 융복합

취 임 사

04CEO Message

Page 5: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2014 Vol. 4ON

연구를 장려하며 설비와 인력투자 등 모든 일상업무는 효율성을 중시하

겠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추진전략은 당연히 장기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합니

다. 따라서 저는 제 임기 동안에 이러한 전략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튼튼

한 토대를 구축하고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하겠습니다. 그리고 단기비전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으로는 가치 있는 과제선정, 이후에는 자율과 책임

을 최대한 부여하는 것입니다.

우리 연구원은 이미 지난 3년간 단기 비전 달성을 위한 훌륭한 토대를 갖

추었다고 봅니다. 2011년에 현재의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였고 연구·

시험 분야의 대형 Infra구축사업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그리

고 무엇보다도 큰 기대를 걸고 있는 Top-down 과제 12개를 현재 수행

중이며 곧 신규로 8개 과제에 대한 착수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밖

에도 좋은 융복합과제, 창의과제, 장기육성 전문화과제, 기초원천과제 등

도 현재 수행 중이거나 곧 수행될 것입니다.

제대로 된 과제 및 책임자 선정, 관리 및 통제보다는 자율과 책임 부여,

연구원들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조성 등으로 단기 비전 달성은 충

분히 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제가 가지고 있는 연구개발에 대한 철학을 말씀드리면, 첫

째, 우리가 수행하는 과제결과물의 기여대상이 인류, 국가사회, 기관, 개

인 순으로 되었으면 합니다. 둘째, KERI의 연구개발 수행방향은 가치 있

는 연구개발, 기업이 안하거나 못하는 분야를 지향해야 하며 세계최고 수

준이 달성될 때까지 과제를 장기지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KERI 가족 여러분 !

저는 장단기 비전 달성은 물론 우리 연구원을 굳건한 반석위에 올려놓아

후배들에게 자랑스럽게 물려주기 위하여 몇 가지 당부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보다 도전적이고 가치 있는 과제를 발굴하여 훌륭한 성과를 창출

함으로써 국가사회의 발전에 기여합시다. 근래에 들어서 출연연구기관은

대내외적으로 연구생산성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에 크게 기여하는 대형

성과 창출이 미흡하며, 우리 연구원도 인력의 고령화로 열정과 도전보다

는 무사 안일주의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출연연구기관은 과학기

술적 성과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임무이며, 이 임무는 부담이

아닌 우리 개개인의 자부심과 긍지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힘의 원천이라

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도전적이고 가치 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거기에

전념/몰입하여 은퇴시에는 연구개발 성과에 대해 본인 스스로도 자부심

을 가지며 대외적으로도 인정과 칭송을 받는 훌륭한 성과창출에 주력합

시다.

둘째, 매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봅시다. 시대정신을 바꾼 새 철학자로 인

정받는 데카르트는 “나는 의심한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

재한다”라고 했습니다. 우리 개개인은 매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려고 하

는 시도와 함께 현재상태를 개선하고 발전된 대안을 제시할 때에 진정한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KERI 가족 여러분!

저도 훌륭한 KERI의 일원임이 무척 자랑스러우며, 우리 연구원의 발전

은 물론 직원 여러분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도 물심양면 지원을 아끼지 않

을 것입니다. 아울러, 연구원 발전과 직원들의 복지를 위해 항상 열린 마

음으로 협력해 주시는 정성환 노동조합 지부장님, 임원 및 대위원 여러분

께도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공동의 목표를 향해 긴밀하게 협력해 주실 것

을 부탁드립니다.

끝으로 기관의 발전을 염원하며 불철주야 노력해 주신 우리 연구원의 모

든 임직원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전기연구원장 박 경 엽

▲ KERI 제12대 박경업 원장이 11월 17일 취임식을 갖고 공식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0405

Page 6: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KERI RSS센터가 러시아의 원천 광학 기술을

응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펨토초1) 레이저 기술

을 개발하는데에 성공했다.

펨토초 레이저는 1,000조 분의 1초라는 극히

짧은 시간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레이

저를 말한다. 대한민국이 주도하고 있는 주력

산업군에 적용범위와 산업적 부가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첨단 영상 의료 기술과 레이저, 우

주 항공 전기전자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원천,

기초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국립광학연

구소(SOI)를 비롯한 러시아 파트너 연구기관과

전기전자 제어기술 및 상용화 시스템 기술에서

탁월한 기술역량을 보유한 KERI의 협력이 실

질적인 열매를 맺게 됐다는 점에서 한-러 기술

합작 연구의 바람직한 모델로 그 의미가 크다.

KERI가 운영하고 있는 RSS(Russia Science

Seoul)센터2)(센터장 : 강욱)는 서울시에서 지자

체 최초로 시행한 지역연구개발사업인 ‘서울시

R&D 지원사업’3)의 지원을 받아 차세대 초미세

가공을 위한 최첨단 레이저 광원인 펨토초 레이

저를 개발했다고 10월 1일 밝혔다.

KERI RSS센터가 개발한 펨토초 레이저는 펄

스폭 180 펨토초(fs·1,000조 분의 1초), 최대

평균 출력 10와트(W), 반복율 500kHz4)(킬로헤

르츠·1,000헤르츠)의 특징을 나타내는 산업용

펨토초 레이저 광원 제작 기술이다. 펄스 반복

율 및 평균 출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

작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향후 초미세 가공

이 요구되는 산업현장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우리나라는 미국, 독일, 일본

등의 글로벌 기업들과의 펨토초 레이저 및 그

응용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쾌거를 이루

게 됐다.

현재 각국 과학자들은 가장 강력하고 가장 짧은

펄스폭을 갖고, 가장 작고 안정적인 레이저 시

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레이저 초

미세 가공기술은 국가 첨단산업분야(IT, NT,

BT, ET 등)의 주력제품군에 적용될 수 있는 국

가주력 청정 제조기반기술이다. 특히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초미세 가공은 가공물을 플라

즈마 상태로 직접 변화시켜 가공하므로, 열영

향 영역이나 열손상 및 크랙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세대 초미세 가공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면 다광자 흡수

라고 불리는 비선형 광학현상에 의해 가공이 이

루어지므로, 레이저 빔의 회절한계보다 미세한

형상의 가공이 가능하여 최상의 정밀가공을 필

요로 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발광

다이오드, 인쇄전자회로기판, 바이오 및 의료

분야 등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환경 친화

적인 기술이다. 예를 들어, 초고정밀도의 미세

구조 가공 외에도 외과 수술(안과, 피부과, 치

과)에 사용하면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깨끗한

수술이 가능하다.

반면 국내 레이저 산업은 매우 취약하다. 현재

대부분의 레이저를 해외에서 수입하여 레이저

응용장비 제작에 적용하고 있다. 차세대 제품

으로 분류되는 펨토초 레이저의 경우, 이제 막

산업용 장비에 도입하려는 단계다. 또한 기존

의 펨토초 레이저는 기초 연구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비싸다. 펄스 반복율도 낮

아서 생산성이 낮고 장시간 동작 안정성이 나

초미세 가공 산업용 첨단 레이저 기술 개발

한국-러시아 기술 접목, 빈약한 레이저 분야 차세대 미래산업으로 견인

개발된 펨토초 레이저 장비

펨토초 레이저 발생과정

1) 펨토초 레이저(10-15초/1000조 분의 1초), 나노초(10-9초/10

억 분의 1초), 피코초(10-12초)

2) KERI를 총괄주관기관으로, 러시아연방 국립광학연구소

(SOI), 이요페 물리기술연구소(IPTI), 상트페테르부르그 국립

대학교(SPSU), 상트페테르부르그 파블로프 국립의과대학교

(SPSMU), 모스크바 국립대학교(MSU) 등이 참여하여 첨단융

복합 관련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 및 연구 인력 교류와 연구 협

력, 사업화 등을 추진 중인 한-러 합작 연구센터

3) 서울시 R&D 지원사업은 지자체 최초의 연구개발 지원사업으로

2005년부터 서울시에서 독자적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서울산

업진흥원이 사업의 전담기관을 담당하고 있다.

4) 반복율은 매초 전송되는 펄스의 수를 말한다. 즉, 500kHZ는 1

초당 펄스가 50만번 발생한다는 뜻이다. 펄스 반복율과 평균 출

력은 높을수록 유리하다. 반면, 펄스폭은 좁을수록 미세하고 매

끄러운 가공이 가능하다.

첨단산업 미래

좌우할 1,000조 분의 1초

기술 개발됐다

SpecialIssue

06

Page 7: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기존 레이저와 펨토초 레이저의 초미세 가공 비교1

펨토초 레이저 적용 분야

빠서 의료 및 산업현장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ERI 연구팀은 러시아의 광학 기술과 KERI

가 그동안 축적해 온 원천 레이저 설계 기술과

모듈제작 기술, 레이저 제작 및 안정화 기술 및

상용화기술과 접목해 맞춤형 펨토초 레이저 및

가공 시스템으로 탄생시켰다.

KERI 연구진이 개발한 펨토초 레이저 기술은

연구 단계 수준이 아닌 상용으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고출력 극초단 레이저 시스템 기술이

다. 컴팩트한 크기와 장시간 동작 및 장비 결합

시에도 출력 안정도 1% 이하를 갖는 높은 신뢰

성이 특징이다. 그동안 연구실 수준에서 확인

된 우수한 연구결과들을 산업현장에서 구현 가

능한 수준으로 국내 최초 개발함으로써 초정밀

안과수술 등과 같은 의료산업, 차세대 정보 저

장장치 등과 같은 IT산업, 초고속 영상 등과 같

은 바이오 산업을 아우르는 초미세 레이저 가공

장비 시장의 문을 열게 됐다는데 큰 의의가 있

다. 빈약한 국내 레이저 산업을 국제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레이저 분야 미래 산업으로 성장시

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개발 기술은 국내기업인 한빛레이저에 기

술이전 돼 상용화가 추진중이다. 한빛레이저

김정묵 대표는 “KERI로부터의 이번 기술이전

으로 레이저 광원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경우 필

요한 출력 및 파장 등의 스펙을 지닌 제품을 저

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하고 “최근

매우 많은 분야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펨토초 레이저의 초미세 가공용 광원으로

의 응용 요구에 발맞춰 향후 펼쳐질 펨토초 레

이저 가공 장비 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

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등에 따르면 현재 세계 레

이저 가공기 시장은 연평균 28%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의 KERI전자기파응용연구센터김광훈센터장

Email [email protected]

문의 KERI전자기파응용연구센터양주희선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기술이전 기업 예상 매출액>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해외시장규모 - - 500 1,500 3,000

점유율 - - 0.4% 1% 2%

국내시장규모 - - 1,000 2,100 3,000

점유율 - - 12% 20% 25%

합계규모 - - 1,500 4,100 6,000

점유율 - - 6.3% 11% 14%

<국내 레이저 시장>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CAGR(‘09-’12)

레이저가공기 95,757 108,780 123,574 140,380 13.60 %

펨토초레이저 5,324 4,906 5,351 6,640 7.64 %

<세계 펨토초 레이저 시장 현황>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CAGR

시장규모 107.1 111 114 119 124 131 138 4.30 %

기존 레이저와 펨토초 레이저의 초미세 가공 비교2

0607

2014 Vol. 4ON

Page 8: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KERI, 저압 직류 차단기 분야 시험 설비 구축

제13회 대전력 시험기술교육 개최

KERI가 ‘상용전원 직류 저압단락설비’를 안산분원에 성공적으로 구축하

고 10월 16일 준공식 행사를 가졌다. ‘상용전원 직류 저압단락설비’는 7

월 28일 착공해 80일 만에 준공했다. 기존 보유한 교류 시험설비에 직류

관련 설비를 추가해 직류 300V에서 10kA의 단락시험 및 직류 750V에서

2kA의 부하개폐시험이 가능하다. 이번 시험설비 준공으로 KERI는 저압

직류 보호기기(차단기, 개폐기, 퓨즈 등)에 대한 형식시험설비를 모두 갖

춰 공인시험성적서의 발행이 가능하게 됐다. 국내 직류 기기 제조기술 향

상, 개발기간 단축과 예산절감 및 수출증대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KERI는 의왕분원에 직류 800V에서 70kA의 단락시험 및 2kA의

부하개폐시험이 가능한 시험설비를 구축, 상용전원으로 시험할 수 없는

대용량 기기의 시험도 가능해졌다.

중전기기산업체와 국내 전력회사의 설계, 생산, 품질관리, 연구업무 종사

자를 상대로 진행되는 제13회 대전력시험기술교육이 9월 16일과 17일,

이틀간 KERI 창원본원 본관동 강당에서 진행됐다. KERI 류형기 선임시

험본부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교육에는 KERI의 앞선 시험인증 기술

을 배우기 위해 중전기기산업체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교육을 통해 KERI는 참가자들에게 대전력시험 관련 국제시험규격

동향 및 통계 분석 자료를 제공했으며, 직접시험과 합성시험을 비롯한 각

종 시험방법과 설비 관련 교육을 진행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세계최고 수

준을 자랑하는 KERI 대전력시험설비와 4,000MVA 주설비공사 현장 투

어 기회를 가졌고, 현장 관계자들과의 질의응답 및 소통의 시간을 통해

업체 간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기회도 가졌다.

KERI는 중전기기산업 관련 국제시험규격 및 대전력시험기술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대전력시험기술교육을 개최해 오고

있으며,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문의 KERI스마트그리드기기평가실류재남선임기술원

Email [email protected]

문의 KERI대전력평가본부김은실

Email [email protected]

시험인증뉴스

08

Page 9: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4,000MVA 대전력시험설비 주설비공사 상량식 개최

KERI의 앞선 기술을 배우러 왔어요!

KERI가 지난 10월 23일, 창원본원에서 ‘4,000MVA 대전력시험설비 주설

비공사 상량식’을 개최했다. 시험설비의 성공적인 완공을 기원하기 위해

열린 이번 상량식에는 박경엽 원장을 비롯한 KERI 간부 및 임직원들이 참

석했다. 총 사업비 1,600억 원이 소요되는 4,000MVA 대전력시험설비 증

설사업은 올해 4월 1일 기공식을 가졌고 2015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KERI는 지난 2011년 STL(세계단락시험협의회)에 가입하게 됨으로써 세

계적으로 인정받는 시험기관으로 발돋움했지만, 시험설비 용량이나 운영

에서는 세계 1, 2위를 다투는 선진 시험기관인 네덜란드의 KEMA나 이탈

리아 CESI에 비해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

번 증설사업을 통해 세계수준의 설비와 운영시스템을 보유하게 되어 고객

들에게 보다 우수한 시험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시험기관으로서 KERI

의 위상을 한층 높이게 됐다.

이번 설비증설을 통해 시험의뢰 적체 문제 해결은 물론 제품 개발시험 기

간을 단축함으로써 기술개발 걸림돌을 제거하고 수출역량을 강화할 수 있

다. 특히 국내 중전기기 업체들이 생산하는 대용량의 중전기기들에 대한

외국 시험소의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에서 모든 시험을 해소하도록 하여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남아시아 5개국(인도네시아, 라오스, 베트남, 대만, 말레이시아)에서

KERI의 앞선 기술을 배우기 위해 10월 21일 한국을 방문했다. ‘전력기

기 시험기술 연수’라는 주제로 약 8일간 진행된 이번 연수를 통해 각 국

의 기술자들은 KERI의 시험분야 노하우를 배우고 대전력평가실, 고전압

시험동을 비롯한 KERI 현장 시설투어 기회를 가지며 시험기술 업무능력

을 습득하는 유익한 시간을 가졌다.

문의 KERI대전력증설사업본부김맹현본부장

Email [email protected]

▲ 4,000MVA 대전력시험설비 증설사업 조감도

0809

2014 Vol. 4ON

Page 10: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태양전지, 이젠 옷감처럼 짜낸다”

KERI,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가볍고, 다양한 무늬로 제조하거나 의류 등에 삽입 가능

텐트·컨버터블카·군복 등 레저·국방 분야 외 다양한 활용 전망

# 2020년 대한민국 아프카니스탄 파견부대. 각종

첨단 전자장비로 무장한 한국군은 넓은 작전반경

으로 이동시간이 길거나, 많은 장비 이동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개별 전자장비 이용에 큰 어려움이 없

다. 의복에 부착되거나 천 재질에 삽입돼 짜여진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의 첨단기술 덕분이다. 병사

들은 작전지역에 설치한 군용막사나 개인 야전텐

트, 군모나 전투복을 태양전지로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 작전에 필요한 각종 소형 전자기기를 이용하

고 있다.

광합성 작용을 본 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

지를 옷감처럼 베틀에서 짜낼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됐다. KERI 나

노융합기술연구센터 차승일·이동윤 박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의 하나인 옷감형(직조형)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몸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

(Wearable Device)가 차세대 핵심 기술 및 산

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지난해 구글이 ‘구글 글

래스’를 출시한 데 이어 올 초 세계적 가전쇼에

서 삼성, 소니, 퀄컴 등이 시계형과 밴드형 기

기를 앞다퉈 공개했다. 스마트안경, 스마트시

계, 스마트팔찌, 스마트신발 등이 웨어러블을

대표하는 기기들이다. 응용분야도 군사, 소방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진 것부터 생활보조, 건강

관리, 인포테인먼트, 인간능력 향상 등으로 점

점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에 필

요한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는 효과적인 전력원

의 개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

은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의 자체 전력원으로서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된 옷감형 태양전지는 염료감응형 태양전

지5)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금속과 세라믹 섬유

를 이용해 태양전지의 전극(음극과 양극) 구조

를 옷감처럼 직조공정을 통해 베틀(직조기)로

짜내고, 스크린 프린팅6)의 공정으로 광전극과

염료를 프린팅함으로써 옷감 형태의 태양전지

를 완성했다.

옷감형 태양전지는 옷감처럼 유연하고 부드러

우며, 옷감과 마찬가지로 재봉과 재단이 가능

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 환경과 응

용 대상에 따라서 여러 가지 패턴(무늬)을 적용

해 제작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기존의

면, 실크, 팰트 등의 천에 직조 공정으로 제조

된 전극을 재봉하여 부착(부착형)하거나, 기존

옷감을 제조할 때 태양전지를 삽입(옷감 삽입

형)할 수 있고, 모두 직조로만 제조(직조형)하

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어, 응용 범

위와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현재 옷감형태의 태양전지 개발은 선진국에서

도 경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도는 직조 공정 중에 섬유들이 필연적으로 겪

게 되는 장력(당기는 힘)과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 직조물을 제조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하였다. KERI 연구팀의 연구에서는 직조 공정

으로 태양전지의 전극을 제조하고, 최종적으로

스크린 프린팅을 통한 프린팅 공정을 적용함으

그림1. 부착형 직조 태양전지의 공정 개념도

그림3. 옷감 삽입형 태양전지의 구조

그림2. 부착형 태양전지 공정사진. (좌측 상)제조된 직조 광전극,

(중)재봉틀을 이용하여 기존 옷감에 부착, (하)부착된 태양전지

5)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본딴 태양전지의 일종. 6) 옷감 인쇄 방식의 하나.

R & D뉴스

10

Page 11: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문의 KERI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이동윤책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문의 KERI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차승일선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로써 직조기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를 가능

하게 했다.

개발된 기술은 IT기반의 생활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웨어러블 기기

는 대개 구글글라스 등 안경이나 삼성 기어 등

시계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안경밴드나 시

계줄 등에 이 기술을 적용해 기기 전원으로 활

용할 수 있다. 또 최근 레저활동의 대세인 캠핑

에서도 유용하다. 현재 캠핑장에서 이용할 각

종 전자기기를 위해 무거운 배터리를 따로 들

고 가거나 캠핑장의 부족한 전원을 활용했지

만, 타프와 텐트 등에 적용된 태양전지를 이용

하면 캠퍼들의 짐부담을 줄일 수 있다. 가정에

서도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나 커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군사용 적용 가능성도 높다. KERI가 ‘미래 전

장 변화 이끌 5대 첨단 전기기술’ 발표(2012.6)

에서 전망한 바와 같이 각종 전기전자장비의 사

용이 필수적인 미래 전장(戰場)에서는 군사용

휴대용 초경량 전지와 더불어 작전 지역 현장에

서 직접 전투나 장거리 이동,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 등에 필요한 전기를 현장에서 직접 생산하

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경우,

군용막사, 전투용배낭, 군모 등에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기술을 적용, 현장에서 전기를 생산

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KERI 차승일 선임연구원은 “이번 개발은 직조

구조를 제대로 활용한 태양전지로는 세계최초

의 개발성과로서 아직까지 밀봉 기술, 전해질

기술, 효율 최적화 기술 등 상품화까지 해결해

야 할 과제가 남아있지만 가장 핵심인 직조 태

양전지 구조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에 남아 있는

기술적 문제는 응용 범위와 연계하여 개발해 나

갈 예정”이라고 밝히고, “우선은 레져용 및 군

사용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웨어러블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고 있고, 건물 일체

형 태양전지의 요구도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분

야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망

했다.

이번에 개발된 전지의 효율은 당장 상용화에 충

분한 5%대에 달한다. 연구팀은 응용분야에 적

합한 후속 연구를 진행, 기술이전을 통해 빠른

시일내 상용화할 예정이다.

한편, 이 기술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신재

생에너지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개

발되었으며,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6월 24일자에 소개7)되어 관련 국내외

연구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염료감응태양전지(DSSCs)는기존의반도체방식의실

리콘태양전지나박막태양전지와는달리식물의광합성

작용을모사한전기화학적원리를이용하는태양전지이

다.염료와나노티타니아,전해질,상대전극,기판등으로

구성되고,효율은33%로단일태양전지로는가장높은

이론상의효율을지니고있으며,실제효율은10%내외

이다.

스크린 프린팅(스크린 인쇄)

나일론(Nylon),데트론(Polyester)또는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짜여진스크린망사를나무나알루미늄등의틀

에고정시켜그위에수공적또는광화학적방법으로판

막을만들어필요한화상이외의부분을막고그안에인

쇄잉크를부어스퀴지(Squeegee)라불리는주걱으로

스크린내면을가압하면서움직이면잉크는판막이없

는부분의망사를통과하여판밑에놓여있는종이나기

타피인쇄체에찍혀나와서인쇄된다.이러한인쇄방식을

‘스크린인쇄’라고하는데이를이용하면평면의피인쇄

소재뿐아니라병이나컵등의원통,원뿔체등의곡면에

도인쇄가가능하다.

용어 풀이

그림5. 옷감형 태양전지 샘플 그림4. 직조 구조 태양전지 제작을 위해 개발한 직조 장비

7) http://www.nature.com/srep/2014/140624/srep05322/full/srep05322.html?WT.mcid=FBKSciReports

그림6.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향후 적용 분야

1011

2014 Vol. 4ON

Page 12: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차세대 투명전극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나노튜브

(CNT)와 은나노와이어를 분산제 없이 수용액에 분산시

켜 한 번의 코팅으로 전기적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유연

투명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획기적 기술이 개발됐다.

KERI의 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 이건웅·한중탁 박사팀

은 자체 정부출연금사업과 미래부 글로벌프론티어 나

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 사업단(단장 조길원 교수)

참여를 통해 인듐주석산화물(ITO) 대체 투명전극 소재

인 은나노와이어와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제 없이 하나

의 용액(일액형)으로 제조하고 이를 단 한 번에 코팅함

으로써 은나노와이어의 단점인 전기적 안정성을 획기

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고 밝혔다.

연구팀은 은나노와이어에 전압을 걸어 전류가 흐를 때

접점에서 핫스팟이 형성되어 끊어지는 단점을 탄소나

노튜브와의 복합화를 통해 해결했다. 이를 통해 금속나

노와이어를 각종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에너지 소자

등의 안정적 유연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

트’ 온라인 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은나노와이어는 전기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고 지름이

작아 네트워크 구조의 투명전극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ITO 전극을 대체할 재료중의 하나

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은나노와이어 사이의 계면

에서의 저항으로 인한 전기적 안정성 저하로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

화학적인 처리를 통해 접점을 접합시키는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KERI 연구팀이 그 대안으로서 개발한 방법은 분산제의

사용없이 은나노와이어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혼합

한 일액형 코팅액을 플라스틱 기판에 도포하여 은나노

와이어를 탄소나노튜브와 연결시켜주는 방법이다. 이

를 통해 면저항 감소뿐만 아니라 은나노와이어 네트워

크의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은나노와이어 수용액에 분산

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4개의 수

소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했다.

탄소나노소재간 ‘반데르발스힘’(분자내 강한 인력)을 극

복하게 함으로써 고농도의 전도성 페이스트 제조하고,

이를 은나노와이어 분산액에 첨가하여 손쉽게 일액형

코팅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됐다.

이 방법은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액형 코팅액을 제

조하였기에 은나노와이어와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얽혀 있는 복합구조를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도입된 관능기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의 일함수가 은나노와이어와 비슷하게 작아져 은나노

와이어에서 탄소나노튜브로의 전자이동이 손쉽게 이루

어질 수 있어 은나노와이어 사이의 접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핫스팟에 의한 단절현상을 배제할 수 있었다. 그

동안 은나노와이어와 탄소나노튜브를 하이브리드 하

여 은나노와이어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

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KERI 연구팀의 무분산

제형 탄소나노튜브 분산기술을 접목한 탄소나노튜브와

금속나노소재의 복합화 기술은 안정성 있는 투명전극

제조의 공정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주요 개발자인 한중탁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은나노와

이어의 전기적 불안정성을 탄소나노튜브를 통해 해결

한 기술은 2013년 KERI가 세계최초로 개발한 무분산

제형 탄소나노소재 분산기술을 기반으로 한번의 코팅

에 의해 은나노와이어와 탄소나노튜브를 손쉽게 복합

화함으로써 이루어진 기술”이라고 강조하고, “은나노와

이어를 이용한 투명전극 등의 응용에 있어 지름이 작은

나노와이어 형태의 금속나노소재의 불안정성을 획기적

으로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로 각종 유연소

자의 유연전극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본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고, 관련

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 방안에 대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과학전문지 ‘네이

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 최근호(4월 25일)에 게재8)됐다.(논문

명: Electrically Robust Metal Nanowire Network

Formation by In-situ Interconnection with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분산제 없이 은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한번 코팅으로 투명전극 제조

ITO 대체용 유연 금속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의 단점 해결

일액형 코팅액으로 은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복잡구조 형성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탄소들이벌집처럼연결돼다발형태를이룬것으로지름

이1나노미터(10억분의1m)단위로머리카락의10만

분의1에불과하다.구리보다전기를1,000배나잘흘리

고강철보다100배나강해다양한전기전자소재로활용

이기대되는꿈의신소재다.

일액형(一液形) 코팅액(One-component Solution)

이질적인다양한성분들을하나로통합하고안정화를이

루어그사용과응용을편리하게한코팅솔루션(액체).

상세 설명

연구팀이이번에개발된탄소나노튜브를이용해은나노와이어의전기적불안정성을해결한기술은2013년KERI가세계최초로개발한무분산제형탄소나노소재분산기술을기반으로한번의코팅에의해은나노와이어와탄소나노튜브를손쉽게복합화함으로써이루어진기술이다.탄소나노튜브를분산제를사용하지않고은나노와이어수용액에쉽게분산이가능하고,도입된관능기에의해탄소나노튜브의일함수가제어됨으로써전류가은나노와이어에서탄소나노튜브를타고흐르게되어은나노와이어간접점에서의핫스팟형성을배제시켜투명전극의안정성을확보할수있게된다.

용어 풀이

탄소나노튜브와의 복합화를 통해 전기적 안정성이 확보된 은나노

와이어 투명전극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

8) http://www.nature.com/srep/2014/140425/srep048

04/full/srep04804.html

무분산제형 은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일액형 코팅

액으로 제조된 투명전극

문의 KERI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이건웅센터장

Email [email protected]

문의 KERI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한중탁책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R & D뉴스

12

Page 13: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정부출연연구소의 국제협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

미 양국 연구팀간의 공동연구의 결과물이 쏟아져

최근 국제 저명 학술지 등을 통해 활발히 소개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KERI 미래전략실 하윤철 박사는 지난 2012년 2월

당시 지식경제부 산하 출연(연)을 관할하던 산업

기술연구회(현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첨단기술정

보 해외협력사업이라는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일환

으로 2년간의 미국 파견길에 올랐다. 미국 듀크대

학교9)에서 ‘금속나노선 투명전극 기술’과 ‘전기폭발

나노분말 제조기술’을 공동연구하기 위해서였다.

금속나노선 투명전극 기술은 머리카락을 2천 분의

1로 줄인 50나노미터(nm) 굵기의 금속나노선을

투명한 필름 위에 얇게 입혀 전기가 흐르는 투명한

필름을 만드는 기술이다. 또 전기폭발 나노분말 제

조기술은 휴대폰 충전전류의 1만 배가 넘는 수십

킬로암페어(kA)의 전류를 눈 깜짝하는 시간보다

짧은 1천 분의 1초 이내에 샤프심처럼 생긴 금속와

이어에 흘려 100나노미터(nm)10) 이하의 나노입자

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이다.

재료전기화학을 전공한 하윤철 박사는 당시 KERI

강점분야인 고전압·대전류·펄스전원 등과 융합

할 수 있는 재료기술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 이

러한 관심으로 하 박사는 지난 2011년 전기폭발

기술을 다년간 연구해 온 KERI 조주현 박사팀과

리튬이차전지용 나노실리콘을 대량생산하는 원천

기술인 ‘실리콘 액중전기폭발 기술’을 개발하여 한

국과 미국, 일본, 중국에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하 박사는 또한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을 이용하

는 투명전극 기술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상업적 성

과를 일궈낸 KERI 나노카본 투명전극 연구팀의 휘

어지는 투명전극 기술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

었다.

이들 주제들에 대하여 하 박사는 미국측 공동 연구

팀으로 듀크대학교 화학과의 벤자민 와일리 교수

팀을 선택했다. 와일리 교수팀 또한 자신의 지도교

수였던 유난 시아 교수(현 조지아 공대 교수)의 나

노큐브 및 나노선 용액 합성기술을 상업적으로 응

용하기 위해 구리 나노선 투명전극 기술을 독자적

으로 개척해 가는 한편,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제조

하는 액중 전기폭발 기술도 KERI의 논문을 통해

독자적으로 연구해 가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호간 공통 관심을 토대로 진행된 한미 양

국 연구팀간의 공동연구 결과물이 하 박사가 2년

간의 파견기간을 마친 최근에 쏟아져 나오고 있어

눈길을 끈다.

우선 지난 3월 나노선의 굵기(수십 나노미터) 대비

최대 5,700배의 길이를 갖는 구리 나노선 합성기

술을 통해 구리 나노선 투명전극 기술을 진일보시

킨 연구성과가 영국 왕립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저널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Chemical Communications)의

표지논문으로 출판됐다.

이어 지난 4월에는 구리나노선에 백금을 코팅시

킨 코어-쉘 나노선(core-shell nanowire)으로

만든 투명전극으로 물분해 수소발생 기술을 획

기적으로 개선시킨 연구성과가 에너지 환경분야

의 최고 권위지인 에너지와 환경 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게재됐다.

5월에는 구리나노선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나노기술분야의 국제학술지 스몰

(Small)의 권두삽화 논문(frontispiece)으로 게재

됐다.

7월에는 구리 나노선의 성장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미국화학회의 나노분야 세계적인 저널

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의 온라인판으로 출

판됐으며, 액중전기폭발 나노입자 제조기술을 이

용한 전극용 구리합금 나노페이스트 관련 연구결

과도 논문초고 작성을 마치고 보완 실험이 진행 중

에 있다.

하윤철 박사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결코 한 분야

의 연구팀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고 단순 협동연

구 수준이 아닌 학제간 또는 기술분야간 융합연구

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최근 미래창조

과학부의 출연연간 융합연구 강화 정책은 매우 긍

정적”이라고 밝혔다.

하 박사는 융합의 범위를 보다 확장해 나갈 계획이

다. 양자계산 분야 국내 전문가와의 공동연구를 통

해 나노선 성장의 비밀을 한층 깊이 파헤친다는 계

획이다. 아울러 값비싼 은 나노선을 저가의 구리

나노선으로 대체하는 차세대 투명전극 기술과 상

용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이차전

지용 코어-쉘 나노선 소재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 박사는 KERI와 듀크대학교,

국내 대학 및 관련분야 산업체를 아우르는 글로벌

융합연구를 기획 중이다.

한편, 하윤철 박사는 귀국 후 KERI 미래전략실로

파견되어 기관의 미래기술 기획을 담당하고 있다.

문의 KERI미래전략실하윤철선임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KERI 하윤철 박사(뒷쪽 오른쪽에서 2번째)와 듀크대 연구팀과의

나노소재 분야 공동연구 결과가 잇달아 국제 저명 학술지에 발표

되며 눈길을 끌고 있다. 뒷줄 맨 왼쪽이 듀크대 화학과의 벤자민

와일리 교수

9) 2014년 미국내 대학순위 7위 선정

10) 머리카락 굵기의 1천분의 1보다 작은 길이

나노분야 공동연구성과 해외 저명 학술지 잇단 조명

KERI-美듀크대 연구팀 국제공동연구 결과물 쏟아져

국제공동 융합연구로 나노선 투명전극 기술혁신 촉진

1213

2014 Vol. 4ON

Page 14: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245kV 혼합가스 스위치기어 개발

온난화가스 SF6 50% 저감 가능

캐나다, 러시아 등 극한지역 수출 등에 유리한 고지 점령

국내외 전력산업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스위치기어의 절연에 사용되는 온난화 가스인

SF6를 절반가량 적게 사용하면서도 동등 수준

의 성능을 발휘하는 초고압 스위치기어가 개발

됐다.

KERI 전력기기연구센터(센터장:이우영)이 최

근 전력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일진전

기(주)와 공동으로 245㎸ 혼합가스(SF6 50% +

N2 50%) 스위치기어(Switchgear)를 국내 최

초, 세계 2번째로 개발했다.

현재 대부분의 스위치기어에 사용되고 있는

SF6는 지구 온난화 계수가 CO2의 23,900배

에 달할만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지구온난

화 가스 중에서 가장 크다’는 유엔 산하 국제협

의체인 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공표에 따라 1990년대 말

부터 전 세계적으로 SF6 사용에 대한 규제가 시

행돼 왔다. 이러한 규제에 따라 유럽과 일본 등

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SF6가스를 대체하기 위

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는 72.5㎸ 이하

의 배전급에서는 SF6 대신 진공밸브(Vacuum

Interrupter) 또는 건조공기(Dry Air)로 대체하

는 기술이 완성 단계에 와 있다. 하지만 초고압

급에서는 유럽과 일본 등을 비롯한 일부 선진국

에서 관련 연구가 시도되고 있음에도 아직 미진

한 상태이다.

이번에 개발된 245㎸ 혼합가스 스위치기어는

기존의 SF6를 50% 가까이 저감하면서 기존과

동일한 성능(정격전압 245㎸ 정격전류 4000A

정격차단전류 40㎄, 주파수 50Hz)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순수 100% SF6로도 고장전류 차단

성능을 보유하는 것이 쉽지 않은 차단부를 SF6

가스 50%와 친환경 가스 N2 50%를 혼합하여

기존과 동일한 차단성능을 개발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은 KERI가

자체 개발한 차단성능 예측프로그램으로 설계

변수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은 KERI가 국내기업에 이전한 프로그

램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SF6+N2

혼합가스 아크 플라즈마 물성치 계산, 혼합가

스 복사흡수계수 계산, 혼합가스 난류 유동 및

전류 영점 영역에서의 해석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에 245㎸ 혼합가스 스위치기어 개발에서

얻어진 기술은 기존의 순수 100% SF6 가스 스

위치기어의 소형경량화(Compact)에 활용될 예

정이다. 소형경량화에 비례해 SF6 가스 사용량

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은 특

히, 러시아, 캐나다와 같은 극한지역에서 스위

치기어가 액화(보통 순수 SF6가 5bar로 채워

짐, 그 때의 액화온도는 -31℃)되는 문제를 근

본적으로 해결(SF6+N2 혼합가스인 경우의 액

화온도는 -55℃)할 수 있어, 이 지역의 시장진

출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하고 있다.

스위치기어

스위치기어는전력공급망의여러부분에서전력을공급

또는차단하기위하여사용되는커다란스위치이다.정전

으로인한영향을최소화하기위해전력망안에서고장을

격리시키는데스위치기어를사용한다.일단고장이수리

되면스위치기어는전력을재공급하도록작동된다.

용어 풀이

개발된 245㎸ 혼합가스 스위치기어

문의 KERIHVDC연구본부전력기기연구센터이우영센터장

Email [email protected]

14R & D뉴스

14

Page 15: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 경남지역센터가 (재)경남테크노파크(7. 31)와 한국

철도기술연구원 남부연구지원사무소(8. 1)와 각각 상호협약식을 체결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① 지역 내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② 기술커뮤니

티 구성·운영 ③ 기술상담회 개최 및 기술수요 도출 등을 공동으로 추진

등이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상천 이사장이 KERI 창원

본원을 방문했다.

이상천 이사장은 KERI 임직원과의 대화를 통해

연구현장에서의 애로사항을 직접 듣고 발전방

안을 논의하는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국가

과학기술 발전의 주춧돌이 될 LBTS, 4,000MVA

공사현장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고 KERI의

성공적인 도약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국회 신성장산업포럼(대표 노영민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KERI와 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

가 공동주관으로 참여하는 ‘남북 전력기자재 통

일포럼’이 9월 15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본격적인 통일담론과 남북관계 해

빙기를 대비해 남북 전기산업 현황을 진단하고

전력기자재 표준화 방안 등을 생각해 보는 행사

로, 전기산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는 의미

있는 행사로 전기산업계 산·학·연 관계자 200

여 명이 참석했다.

KERI 윤재영 박사가 ‘북한 전력산업 현황 및 전

력기자재 표준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

섰고 이어 ‘북한 전력수급 분석과 남북협력 방

안’(에너지경제연구원 김경술 박사), ‘한전의 남

북 전력협력 추진방향’(한국전력공사 박갑호 부

장), ‘통일 전후 동서독 전력산업 통합사례와 시

사점’(통일연구원 손기웅 박사)에 대해 분야별로

패널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KERI-전기산업진흥회,

‘남북 전력기자재 통일 포럼’ 개최(9. 15)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 경남지역센터 상호협약식(7. 31 ~ 8. 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상천 이사장 KERI 내방(8. 22)

협력 3.0

1415

2014 Vol. 4ON

14

Page 16: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찌릿한 전기, 짜릿한 체험’

KERI 전기파크

KERI, ‛2014 창원 평생학습박람회&과학축전’ 참가

맑고 선선해 나들이하기 좋은 9월, 많은 부모님

들과 아이들이 창원컨벤션센터를 찾았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로 많은 분들이 이곳을 방문했을

까요?

그 이유는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 동안 창

원컨벤션센터에서 ‘2014 창원 평생학습박람

회&과학축전’이 열렸기 때문입니다. KERI도

학생들에게 다양한 전기기술을 체험할 기회를 주기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과학축전에 참가했

습니다.

이번 KERI 전시부스에는 ▲초전도 자기부상열차 주행모델 ▲열전발전으로 가는 기차 ▲손과 발

을 이용한 자가발전기 ▲압전발전시스템 ▲저속 고토크 직접구동 전동기 ▲레일건 모형 ▲코일건

모형 ▲감전체험기 ▲솔라셀 풍차 만들기 등 총 9종의 전기기술 응용 체험전시물 및 프로그램이

진행됐습니다. ‘전기 파크(Park)’라는 부스 컨셉트에 맞게 부스를 방문하는 학생들이 놀이공원처

럼 재밌게 첨단 전기기술을 체험하고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했습니다. 그럼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큰 인기를 끈 KERI 전기파크의 주요 체험전시물을 살

펴볼까요?

1. 솔라셀 비행기 만들기 체험

솔라셀 비행기 만들기 체험은 태양전지의 힘으

로 움직이는 비행기를 직접 만들어보고 작동시

켜보는 프로그램입니다. 1회당 18명씩, 하루

에 단 4회만 진행되기 때문에 사전신청 경쟁률

이 무척이나 치열했습니다. 태양전지의 원리를

익히고 관련 전시물을 직접 만들어 보는 과정을

통해 아이들이 학습과 재미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유익한 체험입니다.

16전시 &교육기부

Page 17: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2. 열전발전으로 가는 기차

열전발전이란 열전반도체모듈의 양쪽 사이에

온도차가 생기면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입니다.

아이들이 열전발전판에 따뜻한 손을 올려놓으

면 내부의 차가운 냉각기와의 온도차로 인해 전

기가 발생하고, 그 힘으로 모형기차가 움직입

니다. 보다 빨리 달리는 기차를 만들고자 냉각

판을 비비기도 하고, 볼을 대기도 하는 아이들

의 순수함에 절로 미소가 지어집니다. 체험은

물론 어떠한 원리에 의해 기차가 움직이는지 설

명도 들을 수 있어서 일석이조!

3. 감전체험기

전기에 감전된 적이 있나요? KERI 전기파크에

서는 찌릿찌릿한 전기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

었습니다. +(양극)와 -(음극)의 전기를 동시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몸에 전류가 흐르는 감전의

원리를 이용한 체험물입니다. 감전의 경험이

없다보니 무서워하는 아이들부터 무덤덤한 반

응의 3살 여자아이까지, 다양한 표정과 반응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짧지만 직접 전기를 느

껴보며 감전의 원리를 이해하고 감전의 위험성

에 대한 경각심도 일깨워주는 체험물입니다.

4. 손과 발을 이용한 자가발전기

자가발전기는 직접 손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

를 생산해내는 기술입니다. 발생된 전기 에너

지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고, 전기 에너지의

양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불이 들

어오는 원리입니다. 전구 1개를 켜는데 이렇게

나 힘들다니! 우리 아이들이 전기의 소중함을

알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5. 압전발전시스템

마지막으로 소개할 전시물은 압전발전시스템입

니다. 매트를 밟으면 에너지가 변환되어 전기

가 생산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현재 부산

서면 지하철역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라고 합

니다. 세게 밟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가 생산되

기 때문에 너도 나도 많은 에너지를 생산시키기

위해 쿵쿵쿵 뛰는 학생들의 모습이 웃음을 자아

냈습니다.

이 외에도 KERI 전기파크에서는 초전도자기부

상열차, 레일건과 코일건 등 다채로운 전기기

술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단순히 눈으로 보고 듣는 것이

아닌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물이 많아 더욱

뜻 깊은 행사였습니다. 재미는 물론 평소 이해

하기 어려웠던 전기 상식을 쉽게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KERI의

기술들이 곳곳에 숨어있었던, ‘찌릿찌릿 KERI

전기파크!’ 많은 아이들이 과학적 호기심을 고

취하고 전기 분야 기술에 대한 이해력이 향상되

었기를 바랍니다.

KERI SNS 과학기자단 2기

이지혜 기자

1617

2014 Vol. 4ON

Page 18: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한국전기산업대전 참가(9. 23 ~ 26 / 일산킨텍스)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참가(10. 14 ~ 16 / 서울코엑스)

KERI가 9월 23일부터 나흘간 일산 킨텍스에

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전기·전력 기자재 국

제 전시회 ‘2014 한국전기산업대전(SIEF)’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KERI는 초소형 가스터빈

과 다양한 고속 응용 분야의 전동기 및 발전기

에 적용 가능한 ‘아몰퍼스코어를 이용한 초소

형·초고속 전동발전기’와 실제 풍력발전기와

같이 다양한 조건을 모의한 제어시스템의 성

능을 평가하는 ‘DFIG(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풍력발전기용 제어시스템 성능평

가 설비’를 포함한 13점의 연구성과물을 선보

였다. 또 군용 차량 탑재형 통신 장비의 무정전

운전을 위한 ‘군용 UPS용 양방향 배터리 충전

기’, 그리고 스마트그리드 환경과 같은 미래형 분산전원 시스템에 적합한 ‘분산전원용 스마트 PCS’ 등과 같이 KERI의 중소기업의 기술지원사업을 통

해 개발된 우수성과물(10점)도 함께 전시했다.

KERI가 10월 14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

서 열린 국내 최대규모 에너지 전시회인 ‘201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

에서 KERI는 ‘녹색에너지존’과 ‘스마트그리드

존’이라는 2가지 주제로 총 21점의 전시물을 출

품했다.

KERI는 ‘녹색에너지존’을 통해 옷감처럼 짜낼

수 있는 ‘섬유형 유연태양전지’와 깜빡임 문제

를 해결하여 조명시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

일으킬 ‘AC 직구동 기술’, 실시간 스마트폰 충

전을 가능하게 할 ‘소형 3차원 모바일 기기 무

선 충전기술’을 비롯한 17점의 친환경 에너지

기술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그리드존’에서는 ‘전기자동차용 전력선 통신시스템’, ‘Smart Nano-Grid ICET 통합 플랫폼’, ‘스마트홈에 최적화된 ALL-IP 수요반응 시스템’,

‘HVDC 제어통신 기술’을 통해 21세기 에너지산업을 이끌어갈 고효율 친환경 스마트그리드 전시물 4점을 소개했다.

문의 KERI홍보협력실최영태팀장(전시홍보)

Email [email protected]

한국전기산업대전 KERI 부스 조감도

201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KERI 부스 조감도

18전시 &교육기부

Page 19: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찌릿찌릿 STEAM 전기교실 운영

KERI와 함께 과학자의 꿈을!

KERI가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인 ‘KERI 찌릿

찌릿 STEAM 전기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KERI 찌릿찌릿 STEAM 전기교실 프로그램’

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지원하는 ‘STEAM 아

웃리치 프로그램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운영

되는 프로그램이다. STEAM 프로그램이란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의 약자로 과학, 기술, 공학, 예

술, 수학의 학문간 융합을 통해 학생들의 상

상력과 창의성을 극대화 하는 융합인재교육이

다. 중학교 교과과정에 포함된 전기기술에 대

한 원리이해, 체험활동 진행을 통한 과학마인

드 고취 및 이공계에 대한 관심 환기로 융합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존

강의중심의 과학교육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손

으로 만들어 보며 재밌게 과학의 원리를 이해

할 수 있도록 체험식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기획된다.

시범운영의 일환으로 KERI는 ‘2014 경남학

생 창의력페스티벌 창의콘서트(8. 30)’, ‘2014

창원 평생학습박람회&과학축전(9. 19~20)’,

‘K-걸스데이(10. 29)’에 참가해 초전도교실과

무선전력전송교실을 진행했으며 사전예약을

통해 접수된 김해여자고등학교를 비롯한 15개

학교 학생들이 참가했다.

KERI 초전도연구센터 고락길 박사, 김호섭 박

사의 지도로 진행된 초전도교실에는 초고속

자기부상열차의 핵심기술로 응용되는 초전도

마이스너 현상의 원리를 배우고 선재형 초전

도 자기부상 열차를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전선의 연결 없이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

진방식으로 전기를 송전해 휴대전화, 노트북

등의 전기기기의 무선충전에 활용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에 대한 강의는 KERI 융복합의

료기기센터 박영진 박사가 진행했다.

학생들의 과학적 상상력과 창의성 향상에 기

여할 ‘KERI 찌릿찌릿 STEAM 전기교실’ 프로

그램은 초전도교실, 무선전력전송교실로 구성

된다. 오는 12월까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

한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2015년도부터 교육

기부형식으로 본격 운영된다.

찌릿찌릿 (知 it 智 it)이란?

: ‘찌릿찌릿’은 전기를 알고(知) 지혜롭게(智) 활용하자는 뜻으로,

KERI만의 고유한 과학문화 확산 및 교육기부 브랜드로 사용되고 있다.

KERI는 ‘연구자와 함께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 ‘찌릿찌릿 전기교실’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문화 확산과 미래의 우수한 전기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창원창덕중(9. 30) ▲ 창원경원중(10. 2) ▲ 창원팔용중(10. 10)

1819

2014 Vol. 4ON

Page 20: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신촌로134번길 43

담당자 민경희(T.055-286-1117~8)

계좌번호 농협866-01-195114(예금주:선린복지재단)

풀 잎 마 을

KERI 임직원 따뜻한 추석 만들기 봉사활동

지체장애인 복지시설 ‘풀잎마을’ 찾아 추석맞이 성금 전달 및 봉사활동

KERI 임직원들이 8월 30일(토) 창원시 성산구 신촌동에 소재하는 지체장애인 복지시설 ‘풀잎마을’을 찾아

추석맞이 이웃사랑 성금을 기탁하고 봉사활동을 가지는 시간을 가졌다.

KERI 임직원들은 봉사동아리 ‘두드림’을 중심으로 지난 5월부터 매달 1회 정기적으로 풀잎마을을 방문하

여 장애인들을 위한 목욕봉사, 식사제공, 환경미화 등의 활동을 펼쳐왔다. 이번 성금은 매달 KERI 임직원

사회봉사성금과 직원 급여의 일부를 모은 것이다. 풀잎마을 외에도 해마다 독거노인, 소년소녀 가장, 위탁

가정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날 봉사활동에 참여한 KERI 홍보협력실 송대익 팀장은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이웃과 함께하는 나눔의 의미를 되살리고자 작은 성의이지만 풀잎마을에 기탁하게 됐다.”고 말했다.

KERI는 이번 행사 외에도 매년 각 부서별 자율 계획에 따라 ▲1부서 1소외 계층 돕기 캠페인 ▲저소득층

및 결손가정 아동 초청 과학체험 행사 ▲다문화 결손가정 후원 행사 ▲고아원, 양로원 등 사회복지시설 돕

기 행사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적극 펼치고 있다. 임직원들도 ‘두드림’ 등 개별 사회봉사동아리를 조

직해 활동하고 있다.

한편 사회복지법인 선린복지재단 풀잎마을은 1955년 ‘축복산육아원’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돼 2003년에

지금의 명칭을 가지게 됐다.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에게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및 사회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길러주고 잔존능력을 개발하여,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 구성원으로 살

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약 80명의 장애인들이 생활하며 의료,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다.

풀잎마을 후원은 기부금, 물품, 봉사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가 가능하다.

KERI 임직원들이 10월 1일(수)에 창원본원에서 사랑의 헌혈 캠페인

을 진행했습니다. KERI는 매년 2회씩 사랑의 헌혈 캠페인을 펼치며

이웃사랑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헌혈 캠페인 진행

KERI가

풀잎마을 아이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문의 KERI봉사동아리‘두드림’김기홍회장

Email [email protected]

20사회공헌

Page 21: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KERI, UST 총장상 수상 졸업생 배출

2014년 전기기기 산업발전

유공자 장관 표창8월의 KERI인상

대전력평가2실

김원만 선임기술원

미래전략실

하윤철 선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이하 ‘UST’) 후기 학

위수여식에서 KERI 캠퍼스의 파키스탄 유학생

인 우메르 파루크 석사(KERI 캠퍼스, 전기기능

소재공학)가 세계적인 학술잡지 ‘머티어리얼 레

터’에 1저자 논문게재 성과를 인정받아 UST 총

장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우메르 파루크 석사는 KERI 캠퍼스 전지연구

센터에서 UST 대학원생으로서 근무하며 전기

기능소재공학을 전공했다. ‘리튬-이온배터리용

금속을 이용한 실리콘기반의 음극제’라는 주제의 논문을 세계적 학술잡지 출

판업체인 엘스비어사의 ‘머티어리얼스 레터’ 제 1저자로 논문을 게재하고, 이

를 포함한 총 14건(국제 학술지 7건, 국내외 학술대회 7건)의 우수연구논문을

학위기간 내 발표하는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창출했다.

KERI 캠퍼스는 우메르 파루크 석사의 UST 총장상과 더불어 전기추진연구센터

류홍제 박사와 첨단의료기기연구센터 박영진 박사가 연구논문 지도상을, 안

석호 학생(에너지변환공학)과 김진욱 학생(전력정보통신공학)이 연구논문상을

각각 수상하는 쾌거도 함께 거뒀다.

KERI 캠퍼스는 또한 2013년도 UST 강의로 개설된 1,069개 과목 중 수강생의

강의평가, 캠퍼스 대표 교수의 추천을 거쳐 ‘대전류 펄스파워 발생 및 응용’을

강의한 KERI 진윤식 박사(에너지변환공학)가 우수강의상을 수상하는 등 총 6

명이 선정돼 전기분야 전문 대학원 과정으로서 우수한 강의 능력과 연구실적

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한편, UST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교육기능을 부여하여 출연

(연)의 풍부한 연구인력, 첨단시설 및 장비를 활용한 미래 인재양성 교육 및 출

연연구기관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국가연구소대학원

이다. 경남지역에 KERI 캠퍼스와 재료연구소 캠퍼스를 비롯해 서울, 경기, 인

천, 충남, 대전 등 총 31개의 캠퍼스가 운영 중에 있다.

KERI에서는 과학기술정책, 나노메카트로닉스, 에너지변환공학, 전기기능소재

공학, 전력정보통신공학 등 총 5개의 전공수업이 개설되어 있으며, 2011년 첫

박사과정 졸업자를 배출한 이후 매년 우수 강의상, 우수 교수상 및 우수논문

상 등의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KERI의 UST 석·박사과정은 일반 대학원과 마찬가지로 전기·후기(3월·9

월)로 나눠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입학과 동시에 수업과 연구 활동을 병

행하게 된다. KERI에서는 우수한 인력의 원활

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매

달 연수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으

며 우수 학생의 해외 연수 지원, 기

숙사 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

련해 전기 분야의 우수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KERI UST 석·박사 학위과정에 관한 문의

는 인력개발실(055-280-1129)로 문의하거나

KERI 홈페이지 내에 UST 석·박사 과정안내(https://

www.keri.re.kr/html/kr/sub01/sub01_0107.html)를

참고하면 된다.

2021

2014 Vol. 4ON

포상

Page 22: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8월 23일 MBC 뉴스투데이 등

총 3건의 보도(옷감형 태양전지 개발)

8월 22일 KBS 뉴스광장 등

총 5건의 보도(옷감형 태양전지 개발)

KBS대전 주사위, MBC포항 열린세상(8.11)

도칠훈 박사 인터뷰 / 여름철 배터리 관리법

창원 교통방송

임근희 박사 인터뷰 / 창원 교통의 미래 ‘전기자동차’

8월 21일 YTN 뉴스나이트 등

총 4건의 보도(옷감형 태양전지 개발)

8월 21일 KBS창원 뉴스9

육군대학 터 입주 MOU 체결

10월 6일 MBC 내일ON

스마트폰 배터리 빨리 충전하는 법

9월 1일 KBS 위기탈출 넘버원

휴대전화가 바닷물에 빠졌을 때 대처법

9월 2일 아리랑TV

옷감형 태양전지 개발

10월 4일 YTN24 등

총 3건의 보도(펨토초 레이저 개발)

언론에서 본 KERI

8월 7일 전자신문 9월 16일 매일경제

10월 16일 한국경제

8월 25일 경남신문

22소통 3.0

Page 23: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가장 많이 보도된 KERI 뉴스 TOP 5 (5월~7월)

SNS 공감 ‘좋아요!’KERI 공식캐릭터, ‛꼬꼬마케리’의 탄생 비화를 아시나요?

셀카봉으로 사진찍는 꼬꼬마케리

2014년 8월부터 10월까지 국민들에게 가장 큰 관

심을 받은 KERI-ON Vol.4 홍보순위 TOP5입니다.

1위는 ‘KERI 제12대 박경엽 원장 취임’ 기사입니

다. KERI를 이끌어갈 새로운 리더의 취임인 만큼

조선, 동아, 중앙 등 중앙지를 비롯 무려 41개의

매체가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2위는 옷감처럼 베

틀에서 짤 수 있는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

발’ 기사입니다. 기발한 소재와 뛰어난 활용성으로

MBC, KBS, YTN을 비롯한 주요 방송사 뉴스에 보

도됐습니다. 3위는 국내 레이저 기술을 한단계 앞

당긴 ‘펨토초 레이저 개발’ 관련 소식입니다. 역시

YTN, 한국경제 포함 총 17개 매체가 큰 관심을 보

였습니다. 4위는 KERI와 전기산업진흥회가 공동

주최한 ‘남북 전력기자재 통일 포럼 개최’, 5위는

세계에서 2번째로 KERI가 개발한 ‘245kV 혼합가

스 스위치기어 개발’건이 선정됐습니다.

KERI 공식케릭터 ‘꼬꼬마케리’는 귀여운 어린 아이

의 모습을 모티브로 한 의인화된 캐릭터입니다. 몸

통의 흰색과 옅은 하늘색은 전기에너지의 깨끗함

과 무한함을 상징하고 있으며, 상모를 닮은 타원형

의 끈은 전기에너지 흐름의 역동성을 표현하고 있

습니다. 끝부분의 원형 술은 전기에너지가 모여 미

래 세상을 바꿔나갈 강력한 힘으로 집약되는 모습

을 형상화했습니다.

꼬꼬마는 최근엔 귀여운 꼬마를 상징하는 별칭으

로 사용되지만 원래 실 끝에 새의 털이나 종이 오

리 따위를 매어 바람에 날리며 노는 아이들의 장난

감이나 군졸의 벙거지 뒤에 길게 늘여 꽂던 붉은

털을 말하며, 승리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꼬꼬마케리’는 순수하고 귀여운 어린아이의 모

습을 통해 청정 에너지인 전기를 표현하는 한편,

KERI가 기술선점 경쟁을 뚫고 세계 최고의 연구기

관으로 우뚝 서겠다는 다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위 KERI 제12대 박경엽 원장 취임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총 41개 매체

2위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MBC, KBS 등 총 33개 매체

3위 세계 수준의 산업용 ‘펨토초 레이저’ 국산화 성공 YTN, 한국경제 등 총 17개 매체

4위 KERI-전기산업진흥회, ‘남북 전력기자재 통일 포럼’ 개최 매일경제, 연합뉴스 등 총 13개 매체

5위 245kV 혼합가스 스위치기어 세계 2번째로 개발 연합뉴스, 전자신문 등 총 12개 매체

76명이 좋아합니다.

댓글보기

동네형 얼굴이커서셀카봉이있어도전체는못찍을듯?ㅋㅋ

김봉환 이뻐요~^^~

온새미로 이공귀여우셔랑~!!

정조 셀카봉은들었지만자세가어색한케리ㅎㅎ

유성현 케리님깨금발은설정인가요??

김수진 여전히귀여운우리꼬꼬마케리~

강진군 회사가참이쁘닷!뒤에꽃이이뻐용.부러워요ㅠㅠ

KERI의 귀여운 공식 캐릭터 꼬꼬마케리가 연구원에서 사진을 찍고 있네요^^

2223

2014 Vol. 4ON

Page 24: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현장을 뛰는 사람들 - KERI 전기추진연구센터

“친환경 전기차 시대 우리가 이끌어갑니다”

기름을 먹지 않고 전기모터로만 움직이기 때

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전기차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성능이

달리고 가격이 비싸 외면당했지만 이 같은 단

점을 보완한 전기차들이 속속 출시되면서 조

만간 대중화가 실현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에 세계 각국에서 전기차를 미래 먹거리로 꼽

고 개발과 보급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우

리나라에서는 창원에 위치한 KERI에서 전기

차 성능 향상과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전기 관련 기술과 전기·전자제품에 관해 국

내에서 KERI만큼 노하우를 축적한 곳이 없기

때문에 선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셈이다.

KERI 전기추진연구센터는 전기차 관련 요소

기술들을 집약적으로 연구하는 한편, 연구소

내 충전인프라 테스트베드(Test Bed)를 운영

하며 전기차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과 표준 선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KERI는 지난 1988년부터 전기차 관

련 기술 개발을 시작해 핵심 3대 기술인 2차

전지, 급속충·방전시스템, 제어시스템 기술

등을 확보하고 있다. 전기차용 모터, 인버터,

전력변환장치, 배터리, 급속충전기 등 전기차

구동의 핵심 부품 및 전력공급계통과 연계한

충전인프라 등을 집중 연구하고 있으며, 엔진

자동차에서는 필수적인 트랜스미션과 기어가

없는 ‘4바퀴 직축구동 전기차’ 개발에 착수했

다. 또한 리튬전지의 에너지밀도 향상과 신형

전지의 개발, 전기자동차의 보급 촉진을 위한

충전 시스템 등의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요

소기술 개발을 통해 전기차 조기 실용화 관련

기술에서 성과가 예상된다.

전기차 요소기술 모아 시스템화

KERI에서 전기차 관련 연구는 분야를 나눠

진행하고 있다. 모터는 전동력연구센터에서,

배터리는 전지연구센터에서 연구하고 있다.

충전기는 전기추진연구센터에서 지난 2011년

개발을 완료했다. 그중에서도 전기추진연구센

터는 각 연구센터의 요소기술들을 모아 시스

템화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연구인력은 정규연구원, 위촉연구원, 과학기

술연합대학원생 등 20여 명이다.

전기추진연구센터의 주 분야는 센터의 이름

대로 전기추진시스템과 관련된 연구이다. 전

기차용 충전기 및 충전인프라를 비롯한 전기

차 기술과 전기선박 추진 기술 분야를 비롯해

펄스파워를 활용한 대기와 수질 오염 방지,

국방기술 및 바이오 관련 기술 개발을 담당하

고 있다. 특히 전기차 보급의 가장 큰 걸림돌

인 충전인프라 구축에 기여했다. 지난 2011

년 60㎾급 전기차용 급속충전기와 공동주택

용 및 주차장용 EV 완속 충전시스템을 개발

했으며, 창원시에만 완속충전기 48대, 급속

충전기 7대를 설치하는 등 보급에도 적극 나

섰다.

‘개조 전기차’ 사업 역점

전기추진연구센터가 현재 주력하고 있는 사

업은 그동안 연구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력

24열린 KERI

Page 25: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을 토대로 한 전기차 개조사업이다. 개조 전

기차란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과 연료

계통을 전기동력시스템(전기모터와 배터리)

로 바꾼 전기차를 말한다. 기술 진입장벽이

낮아 중소기업의 시장 접근성도 뛰어나다. 차

체와 섀시, 에어컨, 에어백 등 각종 편의·안

전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재활용 효과

도 높다. 국내에서는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선진국에서는 경제성, 탄소배출 저감,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자동차 선진국들은 이미 개조를 허용하거

나 기준을 완화하고 세금 감면, 보조금 지급

등 강도 높은 지원을 하고 있다.

전기차 개조는 기존 상용차에서 파워트레인

을 제거한 뒤 전기차로 만드는 것이다. 봉고

Ⅲ의 경우 출력 100㎾급 모터는 승차 정원 3

명, 적재중량 1t을 소화한다. 동력은 35㎾h

급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감당한다. 주행가능

거리는 100㎞ 이상, 최고시속 120㎞ 이상의

성능을 갖췄다. 급속충전할 경우 30분(80%),

완속충전 시 5~6시간이 걸린다.

전기추진연구센터는 근거리 도심 상용차를

상정하고 개조 전기차 제작을 완료했다. 특히

일정한 거리를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도심형

소형화물택배차량에 적합할 것으로 보고 있

다. 조만간 교통안전연구원의 인증을 받으면

택배용 실증사업에 투입하고 경남도와 창원

시에 각 5대씩 기증해 일반도로를 달리게 할

예정이다.

전기선박육상시험소 운영 맡아

전기추진연구센터는 전기선박육상시험소

(LBTS) 운영도 맡는다. 이 사업은 전기선박

의 전기추진체계 육상통합성능시험과 고부가

전기추진선박의 핵심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

지원에 필요한 기반 조성을 위해 추진됐다.

연구팀은 전기선박용 육상시험소 및 전기추

진 선박 연구를 위한 전기선박연구동을 구축

하고, 잠수함 추진체계 시험장비 설치 및 구

축을 통해 선박의 전기추진체계에 대한 육상

통합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아울러 선박의 추

진체계와 고부가 전기추진 선박에 대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기업에 기술 지원도 할

예정이다.

경남도와 KERI는 시험소 설립으로 인한 직

접효과가 시장 창출 1조 4,840억 원·일자리

창출 3,968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특

히 11개 완성부품 납품업체 매출도 9,557억

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기선박 육상시험소(LBTS) 조감도

상기글은8월11일자경남신문기사입니다.

전기추진연구센터는친환경과학기술의연구개발을통한

국민생활의복지증진과첨단전기전자기술의실용화를

목적으로하는기술개발을담당하고있습니다.

주분야는전기자동차관련으로충전기,충전인프라및전

기자동차기술과전기선박추진기술분야이며,펄스파워

를활용한대기와수질오염방지,국방기술및바이오관

련기술개발을담당하고있습니다.

또한첨단기술개발과응용기술개발의실용화로국가의

지속적성장발전에일익을담당하고있습니다.

전기추진연구센터는

전기 추진 제어 및 응용기술(고속전철, 전기자동차)

전기자동차 충전기 및 인프라, ESS 및 V2G 과 모니터링

기술

전기/전자력 추진용 펄스전원장치

산업용 및 고전압 대용량 전원장치

나노초 급 급준 펄스 발생 및 UWB 발생

펄스파워를 이용한 나노분말 제조

반도체 스위치 기반 펄스전원 시스템기술

고출력 밀리미터파 발생장치

주 요 연 구 내 용

문의 KERI전기추진연구센터류홍제센터장

Email [email protected]

2425

2014 Vol. 4ON

Page 26: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2014 KERI

신입사원 소개

KERI의 미래를 이끌어갈 2014 KERI 신입사원

이 한달간의 교육을 받고 업무를 시작했다. 총 8

명의 유능한 인재들이 선발되어 연구·시험·행

정 각 분야에서 KERI의 발전을 위해 열심히 힘

쓸 예정이다. 이번 KERI-ON Vol.4에서는 KERI

의 New Face들을 소개한다.

이수형

스마트전력망

연구센터

석오균

전력반도체

연구센터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미래를 책임

지고 있는 KERI에 입사하게 되어서

매우 기쁩니다. 스스로 많이 부족하

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걱정은

되지만, KERI에서 일을 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열심히 일하면서 성장

하는 과정동안 KERI의 발전, 그리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전력반도체연구센터

석오균입니다. 꿈에 그리던 KERI에

입사하게 되어서 대단히 기쁩니다.

열심히 배워 연구원에서 반드시 필

요한 인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

다. 잘 부탁드립니다!

김진욱

스마트배전

연구센터

이진우

전기특성평가실

KERI의 일원이 되어서 매우 기쁩니

다. 짧은 연구소 생활이지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이신 선배연구원들이

이루어 놓은 성과들을 보면서 KERI

구성원으로서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배워야할 것들

이 많지만, 미래에 KERI의 주역이

되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

가의 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구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

겠습니다.

항상 가고 싶다고 생각한 KERI에 입

사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새롭고 배울

것 또한 정말 많지만, 훌륭한 선배

님들께 배울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나 기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동기

들! 사랑합니다. ~^^

이병학

전자기파응용

연구센터

김아름

경영기획실

세계 최고 연구기관 중 하나인 KERI

에 입사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젊음

의 패기와 열정으로 항상 최고가 될

수 있는 연구원이 되어 본 연구원에

보탬이 되는 인재가 되겠습니다. 당

당한 모습으로 항상 먼저 인사드리

며 다가가겠습니다. 앞으로 잘 부탁

드립니다.

KERI에 입사하여 일하면서 하루하

루가 더욱 행복해지는 것 같습니다.

아직 부족한 면이 많지만, 열심히

배워 믿음직스러운 후배 및 동료가

되고 싶습니다. 앞으로도 항상 즐거

운 마음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

김상학

대전력설비

증설사업본부

지현미

인력개발실

안녕하십니까! 7월 1일부로 KERI의

일원이 된 김상학이라고 합니다. 학

부시절부터 꿈꿔왔던 직장에 입사

했다는 사실이 아직도 꿈만 같습니

다. 모든 것이 새롭고 낯설지만 빨

리 적응하고 업무에 정진하여 자랑

스러운 KERI인이 되도록 하겠습니

다. 또한, 선배님들과 많이 이야기를

나누며 가깝게 지내고 싶습니다. 지

나가며 인사드릴테니 아낌없는 조

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합격 소식을 들은 게 어제 같은데

어느덧 KERI 채용 담당자가 되어 업

무를 수행하고 있는 저 자신이 마냥

신기하고 뿌듯합니다. 눈에 보이진

않지만 세상을 반짝이는 전기처럼

지원업무 수행을 통해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 비전 달성에 보탬이 되는

행정원이 되겠습니다.

26열린 KERI

Page 27: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꼬꼬마케리 아이스버킷 챌린지에 도전하다!꼬꼬마의 그림일기

루게릭병 환자들을 돕기 위한 아이스버킷 챌린지가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던 와중, 나 꼬꼬마케리도 이런 의미

있는 캠페인에 참여하고자 얼음물을 뒤집어쓰기로 결심했다!! ‘아이스버킷 챌린지’는 전설의 야구선수 루 게릭의 사망으로 알려진 루게릭 병

환자를 돕는 캠페인이다. 루게릭 병은 몸의 근육을 서서히 마비시키는 원인 모를 희귀병으로 아직까지 치료법이 발견되지 않은 무시무시한 병이

라고 한다. 비록 얼음물을 뒤집어서 쓰는 것이 환자들이 받는 고통에 비하면 ‘세발의 피’ 이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그 마음을 느껴보고, 꼬꼬마

케리 친구들에게도 관심을 기울여 달라는 의미로 캠페인에 동참했다. 비록 온 몸이 젖고 캐릭터 탈을 말리느라 고생했지만, 마음만은 따뜻한

하루였다. 루게릭병 환자 여러분들 힘내세요!! ^^

날짜 ㅣ 2014년 9월 1일 월요일

날씨 ㅣ 물 젖어서 추운 듯?

제목 ㅣ 루게릭병 환자들을 위한 아이스버킷 챌린지 동참꼬꼬마케리 아이스버킷 유튜브

를 검색하세요!!KoKoma Keri

2627

2014 Vol. 4ON

Page 28: First in Korea, Best in the World Quaterly Magazine · 10 옷감형 유연 태양전지 최초 개발 12 매우 안정하고 저항 낮은 유연 투명전극 기술 개발 13 나노분야

새로운 소식 제보를 받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 계간 뉴스레터 KERI-ON은 임직원 여러분을 비롯해 유관기관, 고객 여러분들의 제보를 받습니다. 임직원분들이 전하는 KERI 관련 소식, 고객님들의

KERI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 그 어떤 것이라도 좋습니다. 뉴스레터에 원고를 게재하시고 싶으시거나 취재를 원하시는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알려주십시오. 취재

선정 또는 원고 게재시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제보하실 곳: 류동수([email protected]) 서재훈([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