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12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440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ask-based Program: Focused on English Village 임희주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Hee-Joo Im([email protected]) 요약 영어마을은 한국 고유의 영어교육 모델로서, 2004년 최초 설립이래로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설립·운영되 어지고 있다. 이에 영어교육관계자들은 영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어마을에 많은 관심 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영어마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할만한 영어마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논문은 아직 미비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영어마을 프로그램으로 과업중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 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현장으로 ‘A’ 영어마을이 선정되었고, Brown[17]과 Long과 Crookes[36]가 제안한 모형을 바탕으로 영어마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7단계를 제시하고, 각각의 단 계에 대한 설명과 활동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운영시 고려해야 될 점을 논 의 하였고, 본 연구가 과업중심 어린이영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 중심어 :과업중심 프로그램영어마을초등학습자Abstract English village in Korea is an unique model for English education and a number of English village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2004. Although educators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have acknowledged English village’ growth,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development of English villag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ffective task-based program in English village in Korea. ‘A’ English Village is chosen for analysis and Brown’s[17] and Long & Crookes’[36] frameworks are adapted for developing task-based English village program. The study included seven step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xplanations and activities for each step are illustrated in detail. Finally, operational considerations for English village program are discussed and som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ask-based language teaching for young learners. ■ keyword :Task-based ProgramEnglish VillageYoung Learners* 본 논문은 임희주[10]박사학위논문의 일부분을 수정·보완하였다. 접수일자 : 2013년 06월 10일 수정일자 : 2013년 06월 26일 심사완료일 : 2013년 07월 01일 교신저자 : 임희주, e-mail : [email protected] I. 서 론 현재 전국적으로 지방자치단체나 시·도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영어마을 또는 영어체험학습 시설이 약 45개 가 운영되고 있으며, 초등학교 내에 영어체험학습센터 도 전국적으로 약 154개[2]가 설치운영 중에 있다. 영어 마을은 한국의 고유한 모델로 해외에 나가지 않고서도 국내에서 실제 영어권나라와 같이 영어를 자연스럽게

Upload: others

Post on 21-Mar-2021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440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Development of Task-based Program: Focused on English Village

임희주

단국 학교 교양기 교육원

Hee-Joo Im([email protected])

요약

어마을은 한국 고유의 어교육 모델로서, 2004년 최 설립이래로 지 까지 국 으로 설립·운 되

어지고 있다. 이에 어교육 계자들은 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에서 어마을에 많은 심

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어마을 로그램에 한 효과성을 입증할만한 어마을 로그램 개발에 한

논문은 아직 미비하다. 본 연구는 효과 인 어마을 로그램으로 과업 심 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

는데 목 이 있다. 연구 장으로 ‘A’ 어마을이 선정되었고, Brown[17]과 Long과 Crookes[36]가 제안한

모형을 바탕으로 어마을 로그램을 개발하 다. 본 연구는 로그램 개발 7단계를 제시하고, 각각의 단

계에 한 설명과 활동을 소개하 다. 마지막으로 실제 용 사례를 바탕으로 운 시 고려해야 될 을 논

의 하 고, 본 연구가 과업 심 어린이 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 다.

■ 중심어 :∣과업중심 프로그램∣영어마을∣초등학습자∣

Abstract

English village in Korea is an unique model for English education and a number of English

village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2004. Although educators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have acknowledged English village’ growth,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development of English villag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ffective task-based program in English village in Korea. ‘A’ English Village is chosen for

analysis and Brown’s[17] and Long & Crookes’[36] frameworks are adapted for developing

task-based English village program. The study included seven step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xplanations and activities for each step are illustrated in detail. Finally, operational

considerations for English village program are discussed and som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ask-based language teaching for young learners.

■ keyword :∣Task-based Program∣English Village∣Young Learners∣

* 본 논문은 임희주[10]박사학 논문의 일부분을 수정·보완하 다.

수일자 : 2013년 06월 10일

수정일자 : 2013년 06월 26일

심사완료일 : 2013년 07월 01일

교신 자 : 임희주, e-mail : [email protected]

I. 서 론

재 국 으로 지방자치단체나 시·도 교육청에서

주 하는 어마을 는 어체험학습 시설이 약 45개

가 운 되고 있으며, 등학교 내에 어체험학습센터

도 국 으로 약 154개[2]가 설치운 에 있다. 어

마을은 한국의 고유한 모델로 해외에 나가지 않고서도

국내에서 실제 어권나라와 같이 어를 자연스럽게

Page 2: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 영어마을 중심으로 441

사용함으로써 활발한 의사소통능력을 길러 뿐만 아

니라 해마다 어학습으로 지출되는 사교육비를 이

고자하는데 설립취지를 두고 있다[59]. 한 어캠

는 실 으로 부족한 공교육 어시간[5]을 보완할 수

있는 안이 될 수도 있다는 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어마을은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만과 일본

등지로 확산되고 있으며, 재 만에는 약 47개의

어마을이 설립되어 운 되고 있는 실정이다[22]. 한

국내학생 뿐만 아니라 비 어권문화(일본, 국, 태국,

만 등) 학생들이 국내 어마을에 방문하는 수도 매

년 꾸 히 늘고 있다[55].

그러나 기에 상했던바 와는 달리 어마을 로

그램의 효과성[6][9][4][12]에 한 논의는 계속되어지

고 있다. 우충환[4]은 시설투자 만큼의 심층 인 어마

을 수업 로그램 운용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

했고, 이종복[9]은 제 로 된 어마을 로그램 개발이

나 평가 없이 선행 어마을의 모방 로그램으로 설립

된 시설은 산 낭비가 될 수 있다고 지 했다.

2004년 국내의 제1호 어마을로 오 한 C 어마을

이 2012년 8년 만에 문을 닫게 되었다[60]. 이는 어마

을의 공 과잉으로 인한 자로 더 이상 운 할 수 없

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 막 한 시설 투자비를 들여

설립한 어마을들은 애물단지로 락하여 기능의

환까지 고려되어지고 있다[57]. 운 상의 자라는 이

유로 어마을이 설립된 목 조차 무시되기 보다는

어마을의 문제 을 보완하여 어마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앞에서 언 된 선행연구

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어마을의 로그램을 보완,

개발하여 효과 으로 운 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 한

과제일 것이다. 하지만, 몇 몇의 선행연구들은 로그램

의 방향제시나 제안 정도에 그치고 있고, 로그램에

한 구체 인 연구가 여 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

구는 국내 한 어마을인 A 어캠 1에서 재 실시

하고 있는 로그램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과업 심

(task-based) 로그램을 개발하고 한 모델 수업을

실행하여, 이에 따른 운 상의 고려할 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A 어마을에서 재

1) 본 논문에서 어마을 는 어캠 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시행되고 있는 로그램을 향상시키기 해서 어떻게

로그램이 보완·개선되어져야 하는가이다.

II. 문헌연구

1. 영어마을프로그램 선행연구 국내의 어마을은 2011년을 기 으로 약 22개[56]가

운 에 있다. 경기도에 첫 어마을이 문을 연 2004

년 이후에 국내 어마을에 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학술지에 어마을 연구들을 살펴보면, 어마을 로

그램과 련된 연구[6][9][4][12]와 등학교내의 어

체험센터의 로그램에 한 연구[2], 어마을 로그

램 참여 후 학습동기에 한 연구[22], 어마을 체험시

설 활용과 련된 연구[7][8], 어마을 활성화에 한

방안 연구[3], 그리고 어마을 평가모형 개발에 한

연구[1]등이 있다. 앞에서 언 한 것과 같이 어마을과

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에서도 많은 연구들이 어마을의 로그램과 커리

큘럼에 련되어 진행되었다. 이병민[6]과 임희주 등

[12] 연구에서는 어마을 체험수업을 찰하 고, 연

구의 결과로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활

발하지 못해 실제 의사소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학생들은 수업활동에 수동 참여를 보여 을 지

하 다. 이에 임희주 등[12]의 연구에서 Willis[54]의 과

업 심학습 단계를 용하여 수업시간 스 과 샘

수업 학습모형을 제안하 다. 어마을 로그램은

어마을 자체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사설 어체험센

터, 는 등학교 내 어체험센터에서도 운 되고 있

다. 학생을 상으로 한 우충환[4]의 연구에서도 어

마을 체험수업은 어구사 기회를 늘리고 수업참여가

확 되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에서 언 된

많은 선행 연구들은 어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자 설립된 어마을의 본 목 과는 다르게 어마을 수

업에서 어구사 기회가 부족하다는 을 언 하고 있

다. 이에 몇몇의 선행연구들[2][9]은 어마을 로그램

의 개발을 한 요구분석과 개발 차를 보여주었다. 강

후동 등[2]의 연구에서는 어체험 로그램 개발에

Page 3: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7442

한 효과 인 로그램개발을 한 요구조사를 실시하

다. 연구의 결과로 장기 어학습 로그램을 미리

계획 되어야하며, 다양한 수업모형을 개발해 학생 참여

동기를 유발도모하고, 상황 심의 재미 주의 학습보

다는 학습효과를 성취 할 수 있는 로그램 개발이 필

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종복[9]의 연구에서

는 개발과정을 재구성하는 차를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로 성공 인 로그램의 운 조건으로 정보공유

의 필요성, 인 네트워크의 구성 리, 교사 스태

의 선발 교육, 학생선발, 부수 효과에 해 제안

하 다. 어마을의 로그램이 개발이나 평가 없이 운

될 경우 경제 , 교육 효과 하에 한 우려도 언

하 다. 하지만 이종복[9]의 연구에서의 어체험센

터 개발과정은 로그램 개발 심이라기보다는 반

인 시설운 에 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앞에 언

한 선행연구에서 보듯이 어마을 로그램의 개발

차와 실행에 한 연구가 여 히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마을 로그램의 단 을 보완, 수정

하는 차에 해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은 교

육과정과 교수요목에 한 연구를 정리하 다.

2. 외국어교육에서의 교육과정(Curriculum) 커리큘럼을 넓은 정의로 계획, 실행, 그리고 교육 로

그램의 평가[40], 좁은 으로는 교수요목(syllabus)

과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syllabus) 사이를 구별했다. 교육과정은 언어학습, 학

습목 과 경험, 평가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의 계와

연 이 있고, 그와는 달리, 교수요목은 교육과정보다 좀

더 제한 이며 실제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일과 계가

있다고 언 한다.

교육과정 개발은 일반 으로 디자인, 실행, 그리고 평

가를 포함한다[17][30][43]. 지난 40년간 언어교육과정

개발의 다양한 교육과정 모델과 과정들이 제안되어왔

다[17][29][30][39][40][43][48-51]. 교육과정 모형들

에 통 인 타입인 Brown[17]과 Richards[43]의 교육

과정 모형들은 외국어교육에서 다양한 언어 로그램

개발에서 여 히 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Brown과

Richards의 모형들은 거의 비슷한 체계로 구성되어있

으나, Brown 모형은 Richards의 모형과 다르게 언어

테스트(language testing)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어마

을은 체험수업의 마지막 단계로 상황에 맞는 목표과업

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Brown이 제시한 언어 테스트

단계에서 계획되고, 구성되어질 수 있다. 한

Brown[17]은 교육과정개발은 “스텝, 교사, 행정직원과

학생들 사이에서의 동의가 성장에 기여하는 활동의 연

속이다”(p. 19)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유기 인 계

를 요시하는 어마을의 교육과정[3]의 의미와도 부

합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논문의 어

마을 로그램 개발을 해서 Brown[17]의 모형이

용되었다.

[그림 1]에서 보듯이 Brown의 모형단계는 요구분석,

목표설정, 테스트, 자료개발, 교수 그리고 평가로 구성

된다. 본 모형에서 각각의 요소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해서 모든 다른 요소들과 서로 상호작용하는 활동의

연속이다. Brown은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을 해서

각각의 단계는 순서 로 나열되어져야한다고 주장한

다. 첫 번째, 요구분석(needs analysis) 단계는 커리큘럼

개발의 시작 단계로 필요한 모든 객 , 주 정보

를 체계 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커리큘럼의 디자인을 진행하게 되므

로 요구분석은 매우 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두 번

째 단계는 목표(goals)와 목 (objectives)을 설정하는

것이다. Brown은 목표를 인지하는 언어와 상황의 요구

(needs)를 바탕으로 바라고 달성할 수 있는 로그램의

목 들(purposes)과 목표들(aims)을 고려한 일반 인

설명이라고 정의하고, 교육 목 은 로그램이나 과

정이 끝난 후에 학습자들이 알고 수행하기를 기 하는

특정 지식, 행 , 그리고 기술 등을 설명하는 자세한 설

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p. 71). 세 번째, 평가(testing)

는 세 번째 단계의 목표와 목 을 바탕으로 개발된다.

평가는 로그램이나 과정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므

로 평가개발은 매우 요하다.

네 번째는 수업시간에 사용되는 수업자료(materials)

개발단계이다. 수업자료는 “교실에서 사용되어지는 기

법과 활동의 체계 인 묘사”(p. 139)로서 정의되어진다.

Page 4: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 영어마을 중심으로 443

다음으로 교수(teaching)단계에서 어떻게 로그램의

목표를 성취하고, 어떻게 분석 정보, 목 , 평가 그리고

수업자료가 용되는지를 보여 다고 Brown은 언 하

다. 마지막, 로그램 평가(evaluation)단계는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고 통합하는 진행 인 과정으로 정의

하 다. 한 “커리큘럼의 향상을 진시키고 특정기

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모든 련된 정보의 체계 인 수

집과 분석”을 포함한다고 언 하 다.

그림 1. 교육과정모형(p.20)[17]

3. 교수요목(Syllabus) 교수요목은 학자들에 의해 많은 타입으로 나눠지고

있다[17][38][43][51]. 교수요목의 다양성과 범 는 학자

들이 분류한 종류와 범 에 따라서 넓고 다채롭다. 한

국에 있는 부분의 어마을은 상황 심

(situation-based) 교수요목으로 디자인되어있다. 그러

나 상황 심 교수요목은 다른 상황에서 한 언어

용에 있어서 효과 인 언어학습이 이루어지기 힘들며

체계 인 수업개발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43]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임희주 등[12]과 이병천

[7]은 어마을 로그램에 과업 심 교수요목

(task-based syllabus)의 용을 제안하 다. 이에 다음

의 과제 심 교수요목에 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70년 몇 개의 언어교수에 신 인 과업 심

근법이 개발되고 시작되었다[52][53]. 1980년 까지,

과업 심 교수요목의 3가지 형태가 제안되었다. 이는

차(procedure)[42], 과정(process)[14][16], 그리고 과

업 심[36]이다. 이 에서 과업 심 언어교수는 과업

(task)을 기 분석의 단 로 보았다[23-25][32]. 넓은

의미에서 Crookes[23]는 과업은 “일이나 활동의 하나

로, 체 으로 특정 목 과 함께, 교육과정의 일부분으

로써 착수된 연구를 한 데이터를 끌어내기 해 사용

된,”(p. 1)것으로 보았고 교실 을 기 로 하고 있다

고 언 했다. 과업들이 교실로 이동되어질 때, 과업들은

교육과업[15][27][44]으로 정의되어진다. Nunan[41]은

실제세계의 과업과 교육과업 두 가지 종류의 과업을 언

하고 있고, 제2외국어 습득에서는 교육 과업을 강

조한다. Long과 Crookes[36]는 목표과업(target task)

의 구분은 요구분석(need analysis)과 교육과업들

(pedagogic tasks)을 통해서 발견되어지는 것으로써,

실제 으로 교실 안에서 용된다고 언 했다. 한

Long과 Crookes[36]는 과업 심 로그램을 디자인,

실행, 평가과정의 6단계로 제시하고 있다.

그림 2. 과업중심 교수요목 구조(pp.46-47)[36]

[그림 2]에서 보듯이, 첫 번째 단계로 다양한 연구방

법과 상을 사용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두 번째 단

계로 목표과업이 설정한다. 세 번째 단계로 목표과업에

따른 교육과업들을 개발하여, 넷째 단계로 과업의 복잡

성을 고려하여 순서를 정해 나열한다. 다섯째 단계로

목표과업(target task)을 실행하기 한 한 과제

심교수법(Task-based Language Teaching)을 시행한

다. 이 모델에서 교사들이 학습자들의 형식 (focus

Page 5: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7444

on form)학습을 도와주는 동안에 과제들은 실제 의사

소통의 요구를 해 선택되어진다. 마지막으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제2외국어학습에서 과업의 의미는 Bygate, Skehan

과 Swan[19], Lee[31], Long[33], Nunan[41], Prabhu[42],

Richards, Platt와 Weber[44], Crookes[23], Skehan[46]

의 학자들에 의해서 각각 정의되어져왔다. 이와 같은

정의들은 다른 과업 심교수법에서 상당히 다른 을

제공하고 있다. 를 들어서, Long[32]은 과업 심 언

어교수에서 목표과업을 “사람들이 체 으로 일상생

활에서 하는 것”(p. 89)이라고 언 하고 있다. Skehan

의 정의는 Long과 함께 과업은 일상생활의 활동들

(daily activities)이라고 언 하고 있다. 어마을

로그램의 교육과업들은 음식주문, 편지보내기, 티

하기 등과 같은 일상 활동들의 수행으로 구성되어져있

다. 이에 본 논문에서 과업의 의미는 Long[32]과

Skehan[47]의 정의와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III. 영어마을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1. 연구 설계 1.1 연구 참여자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등학교 6학년 남·

여학생 각각 2명과 5명과 등학교 5학년 여학생 2명

모두 9명의 학생을 상으로 실시되었다. 모두 A 어마

을 정규 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이며, 모든 참여자는

어마을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표 1]에서 나타나듯이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어성취도는 어마을에서

실시된 벨테스트에서 등학교 5·6학년 수 에서

정도의 어실력을 보이고 있다. 의사소통을 측정하는

구두시험(oral test)에서 학생들은 외국인교사의 질문을

알아듣고 간단한 문장을 구성하여 답하는 수 을 보

으며, 기 인 문법과 어표 이나 문장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읽기시험(reading test)에서 학생들은 수

을 보 다. 어로 진행되는 수업을 이해하고 간단한

질문에 답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

표 1. 연구 참여자

학습자 성별연 령(학년)

어성취도2

Oral Test(20)

Reading test(30)

Total(50)

1 남 6 16 25 412 남 6 16 26 423 여 6 16 28 444 여 6 20 27 475 여 6 12 26 366 여 6 16 26 427 여 6 16 21 378 여 5 16 28 449 여 5 16 27 43

1.2 연구현장: A 영어마을본 연구는 서울에 치한 A 어마을에서 실시되었

다. A 어마을의 참여 상은 등학교 3학년부터

학생이며, 약 40개의 체험공간(우체국, 스토랑, 경찰

서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정규 로그램(5일), 주말 로

그램(2일), 방학 로그램(10일), 특별 로그램(1일) 등

다양한 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

로그램의 수업과정에 을 두었다. 그 이유는 다른

로그램들이 특정 기간에만 진행되는 것에 비해 정규

로그램은 일 년 동안 연속 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모든 체험수업은 어로 진행되며 각 수업은 45분으로

구성되어져있다.

1.3 연구자 역할본 연구에서 자는 연구자임과 동시에 교사로 참여

하 다. 본 연구자는 약 3여 년간 어마을에서 근무하

면서 로그램 는 교사 리 등의 다양한 업무를 담당

했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좀 더 심도 깊

은 연구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본 논문

에서 과제 심 수업에 한 진행을 기존의 어마을 교

사에게 맡기려고 시도 하 으나, 실 으로 선행 교사

교육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연

구자가 직 교사로 참여하 다.

2) 어성취도는 어마을 자체 벨테스트로 말하기와 읽기테스트로

나눠져 있으며, 학생들이 입소하는 첫날 이루어졌다. 말하기는 5단

계로 나눠져 만 은 20 이며, 읽기시험은 JET(Junior English

Test)를 로그램개발자에 의해서 편집되어 실시되었고, 30 만

으로 구성되었다.

Page 6: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 영어마을 중심으로 445

2. 영어마을의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절차

본 논문의 어마을 과업 심 로그램 개발은

Brown[17]의 교육과정개발의 6단계와 Long과

Crookes[36]의 과업 심 교수요목 6단계의 모델을 기

로 하여 개발되었다. 본 로그램 개발모델은 7단계

로 구성된다. [그림 3]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스텝 1

에서 요구분석이 실시되었고[11], 스텝 2에서 목표과업

(target task)가 선정되었고, 스텝 3에서 로그램의 스

과 개요가 제시되고 개발된 수업의 목표와 목 설

정이 되었다. 스텝 4에서 과제를 평가 할 테스트가 개발

되었다. 스텝 5에서 교육 과제들의 등 과 순서가 정

해져서 학습지도안이 제시되었다. 스텝 6에서는 과업

심교수법을 용 실행단계이며, 스텝 7에서 개발된

모델수업의 평가가 실행되었다.

그림 3. 영어마을 프로그램 개발 모델

2.1 요구분석단계Step 1: 요구분석 실시[11]

요구분석은 A 어마을에 참가한 등학생 9명과

어마을 교사와 로그램 개발자 4명을 상으로 실시

되었다. 학생 상으로 인터뷰와 학습일지작성, 설문조

사가 실시되었고 교사와 로그램 개발자 상으로 인

터뷰와 서류검토(수업지도안, 교수요목, 수업시간표)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의 교실참 과 작성이 이루어

졌다. 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첫째, 재 어마을

은 PPP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의 학습모

형으로 수업이 구성되어있다고 보고 이에 제한 을 보

완해 수 있는 과업 심(task-based) 교수요목을 바

탕으로 재개발되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한

어마을의 상황 심(situation-based) 커리큘럼보다는

주제 심(theme-based) 구성으로 재 디자인의 필요성

을 언 하고 있다. 셋째, 어학습의 인 시간을

확보하기 해서 어마을의 수업시간표의 변경이

실히 요구되어져야한다고 언 하고 있다. 한, 어마

을 로그램 개발자들의 인터뷰 홈스테이 수업이

개발하기 가장 꺼려하는 수업 의 하나 고, 한

수업내용을 구성하지 못해 거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수업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 홈스테이 체험

실에 한 로그램을 재 디자인하고 개발되었다.

Step 2: 목표과업(target task) 선정

재 A 어마을의 약 40개 체험수업 요구분석에

서 언 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홈스테이수업이 수업

모델로 개발·실행되었다. 어마을은 상황 심의

로그램으로 구성되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주제

(theme) 심으로 다시 구성하여 각각의 목표과업을 선

정하 다.

표 2. 수정 후: 주제(theme)를 기초한 목표과업: 홈스테이

주 제 교실 환경 목 표 과 업 설 명

홈스테이(Homestay)

1. 식당(Dining Room)

식당에서 홈스테이 가족과 함께

저녁식사 하기.

학습자들은 다른 나라 문화의

가정에서 생화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생활에

필요한 에티켓(테이블매너,

테이블 담화, 통행금지, 음식 등)을

학습할 것이다. 목표과제를 수업의

마지막시간에 수행하게 될 것이다.

2. 부엌(Kitchen)

다른 나라 음식 만들어보기.

3. 거실(Living Room)

집안에서의 에티켓 배우기.

4. 친구의 집(Friend's house)

친구 집 방문하기.

5. 정원(Garden)

다른 문화에 대해 알아보기.

[표 2]는 홈스테이를 주제로 5개의 목표과업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의 개발부분은 5개의 홈스테이 수업

의 목표과업 ‘식당에서 홈스테이 가족과 함께 녁

Page 7: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7446

식사 하기'3에 한 수업개발을 진행하 다. 본 목표과

업은 학습자들이 개발된 로그램을 참여하고 난후 마

지막 5차시 수업에서 수행해야 할 과제이다.

2.2 프로그램 개발 단계Step 3: 목표설정

첫째, 어마을 로그램은 상황(situation) 신 주제

(theme)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있다. 어마을이 상황

별로 무작 로 나열되어있던 수업구성을 A 어마을 체

험교실과 목표 상의 연령을 고려해 학교, 홈스테이, 여

행, 문화, 건강, 상황, 그리고 쇼핑으로 주제를 잡고

각 주제에 맞는 목표과업을 설정하 다.

표 3. 정규프로그램 개요

정규 로그램 개요 수정 된 정규 로그램 개요본 프로그램은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의 네 가지 언어영역으로 균형 있게 구성되어있으며,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영어실력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킵니다.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부여해줄 뿐만 아니라, 말하기와 듣기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기존에 학습한 내용과 주제별로 학습하게 될 내용을 상황 체험실에 맞게 적용하여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수업시간에 학생들은 주제를 바탕으로 제시된 목표과업을 구두로 수행하게 될 것이다.

둘째, 주제 심의 로그램으로 개발된 정규 로그

램의 로그램 설명이 수정·보완되었다. [표 3]에서

어마을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규 로그램의 개요[59]

가 반 인 어실력 향상을 언 하고 있다. 하지만 1

주일이라는 로그램의 기간상 하지 않아 본 연구

의 취지에 맞게 다시 수정 제시되었다.

셋째, 어마을의 정규 로그램을 참여한 학생들

은 일주일간 약 40개의 체험수업을 받도록 구성되어있

다. 이를 본 로그램 개발취지에 맞게 수정하 다. 기

존 한 수업 당 1회(45분) 수업을 받던 수업시간표를 한

목표과제 당 5회(225분) 수업으로 변경하 다. 그래서

정규 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5일 동안 무작 로 30

개의 상황 체험실을 방문하는 기존의 로그램과 같이

단순한 방문으로 끝나지 않고 5개의 목표과업을 완성

할 수 있는 수업시간표로 제안하 다.

3) 수업의 이름을 목표과업인 ‘식당에서 홈스테이 가족과 함께 녁식

사 하기’를 축약해서 '다이닝룸'이라고 한다.

표 4. 수업목표와 목적

수 업 목 표

목표과업 식당에서 홈스테이 가족과 함께 녁식사 하기

다이닝룸

목 표(Goals)

이 수업과정은 주어진 상황에서 목표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진정성 있는 목적을 위한 테이블 담화와 매너를 개발하는 것이다.

목 적

(Objectives)

이 수업이 끝날 때, 학생들은... 1) 전통적인 서양음식과 한국음식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2) 식사시간에 먹는 음식에 대해서 테이블 담화를 나눌 수 있을 것이다.3) 테이블 차리고 그에 적절한 테이블 매너를 보여줄 수 있다.

넷째, 수업의 목표와 목 설정을 하 다. Brown [17]

는 목표설정은 요구분석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설정되어야하며, 목표(goal)는 주어진 시간 내에 로그

램이 무엇을 성취하기를 원하는지를 보여주어야 하고,

목 (objectives)는 학생들이 로그램을 완성했을 때

학습하고 수행하는 구체 인 지식, 행동 그리고 기술을

포함해야한다고 언 하고 있다. [표 4]는 다이닝룸 수업

의 목표와 목 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된 목표와 목

은 평가단계에서 목표과업수행에 해 평가한다.

Step 4: 테스트개발

학생들은 수업의 마지막 날 목표과업에 한 수행평

가를 받게 된다. 과업수행 평가로, Brown, Hudson,

Norris와 Bonk[18]의 과제 의존(task-dependent) 평가

척도를 용하여 학생들의 특정과제의 수행능력을 평

가 척도표를 개발하 다. 평가 척도표는 두 가지 평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언어평가로 테이블 담화와 비언

어평가로 테이블 매 이며, 각각은 3가지 평가척도인

불충분함(Inadequate), 보통(Able), 능숙함(Adept)으로

구분되면 평가의 만 은 5 이다. 이 과업수행평가표는

7단계인 평가부분에서 수행평가의 척도로 사용되어진

다. 한 자가평가(self-assessment) 설문지를 Finch[28]의

설문모델을 바탕으로 재구성하 다. 참여자의 연령과

어마을이라는 을 고려하여 설문내용이 선택, 재편

집 되어졌다. 설문의 구성은 3부분으로 과업수행능력,

수업참여, 그리고 자신감에 한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Step 5: 수업자료개발

어마을 과업 심 로그램은 총 5차시로 개발되었

Page 8: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 영어마을 중심으로 447

다. 수업모델인 다이닝룸수업의 목표과업, ‘식당에서 홈

스테이 가족과 함께 녁식사 하기’에 맞게 교육 과

업 7개가 개발되었다. 교육과업들(pedagogical tasks)

은 차 으로 과제의 복잡성이 높아지는 과제의 순으

로 나열되어 구성되어진다[45]. 다이닝룸 수업 모듈의

교육 과업들은 1) 아침, 심, 녁에 먹는 서양음식

과 동양음식 차이를 구별하고 2) 각각의 음식의 맛을

표 하며 3) 한 테이블 매 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

성된다. 다이닝룸의 교육과업 모듈은 총 7단계로 진행

되며 각각의 교육 과제마다 수업진행 차를 포함하

고 있다. 목표과업은 언어 요소뿐만 아니라 비언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2.3 프로그램 운영 단계Step 6: 과업 심교수법(TBLT) 용

과업 심 로그램을 바탕으로 개발된 다이닝룸 수

업은 총 5차시수가 진행되었다.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을 지속 으로 모니터링 하 다. 학습활동

모국어사용을 계속하는 학생들이 수업분 기를 방해한

다면 어사용을 권장하고 지속 으로 찰한다[54].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학습자들로 하여 최 한 제공

된 자료를 스스로 사용하도록 하여 자기주도성을 높이

고, 그룹 활동의 참여를 높여서 어능력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을 도움을 수 있도록 한다. 한 학습자들

이 짝이나 그룹 활동을 하는 동안에 나타난 공통 인 언

어 오류(language error)를 활동이 끝난 후 칠 에

어 다시 한 번 확인 시키는 방식으로 형태 화(focus

on form) 문법교육을 실시한다[26][34][35][37]. 이를 통

해 본인의 실수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Step 7: 평가

본 연구에서 등학교 5, 6학년 9명을 상으로 실행

된 자가평가(self-assessment)에 의해 진행된 로그램

에 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가평가에서 학생

들은 스스로를 과제수행능력이 사 보다 사후 설문에

체 으로 향상되었다고 표시했다. 이는 다이닝룸 수

업의 학습목표를 잘 이해하고 성취했다는 정 인 결

과라고 볼 수 있다. 한 별 과업수행평가를 통해서

학습자들은 자유롭게 다양한 어표 을 활용하여 역

할극을 통해 과업을 수행하 다. 개발된 과업 심 로

그램은 어마을 로그램에서 부족한 발화의 기회

와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여 재 진행되는 수업활동과

같이 단순히 역할극(dialogue)을 암기하고 발화하는 정

도에서 벗어나서 스스로 구성하고 발화함으로써 의미

있는 어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수업 참여도

에서 학생들은 사 · 사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사 자

가평가에서 학습자들은 어마을에 참여하기 의

어마을 자체에 한 동기가 높았던 것으로 보 고,

한 사후 자가평가에서도 다양한 수업활동 참여와 과업

수행평가를 비하면서 스스로 극 인 수업참여를

했다고 믿었던 것 같다.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혼

자보다 짝 는 그룹 내에서 실행하는 수업활동에서 더

높은 참여를 보 다. 마지막으로 어에 한 자신감의

향상도는 사 · 사후의 결과가 비슷하거나 다소 낮아진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스스로 자신감 향상이 되

었다고 느끼기에는 어마을의 로그램이 다소 기간

이 짧았고, 학습 내에서 학생별로 어수 의 차이가

있었던 과 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IV. 제언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효과 인 어마을 로그램 개발로

과업 심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로그램을 제안하

고, A 어마을의 로그램의 개발 실행 사례를 보

여주었다. 어마을 장에서 로그램을 개발 운용

할 시에 다음과 같은 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과업 심 로그램을 개발할 때 과업에 한 평가과정

이 반드시 포함되어야한다. 어마을 체험 은 학습

목 으로의 구성되었다기 보다는 재미 주로 구성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로그램

구성에서 평가에 한 개발은 물론 체험수업에서의 학

습내용에 한 평가조차 제 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평가로 개발된 역할극은

학습자에게 능력에 맞는 역할을 부여하여 어구사의

기회를 증 하 고, 그룹이나 짝 활동을 통해서 활발한

Page 9: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7448

상호작용으로 극 인 수업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다.

어마을의 로그램에서 학습에 한 평가를 포함하

지 않는다면 어마을은 학생들에게 자칫 잘못하면 그

냥 어 몇 마디 하면서 놀다가는 곳으로 략할 수 있

다. 특히 과업 심 로그램에서 과업수행에 해 다양

한 평가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어마을 체험수업

의 목표과업에 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어마을 체험수업에서 교육 보조자료가 과업

심 로그램에 맞게 제작되어지고 활용되어지는 것

이 필요하다. 정해진 교재와 수업분량이 있는 학교

어수업과 달리 어마을의 체험수업은 실제와 같은 환

경에서 자연스럽게 어 구사하는 것을 목 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제에 맞는 교육 자료를 수 별로 개

발하고[13], 실재 인 언어자료를 충분히 제공해주어

언어습득 환경을 조성하거나[4], 학습자들의 지 호기

심을 유발 할 수 있는 교재 학습자료를 보 [2]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학습자들이 과업 심의 다양한

수업활동에 참여할 때 교사는 참고자료(reference)를

미리 비하여 학습자 스스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마지막으로, 체험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의 역할이

요하다. 교사들에게 과업 심 로그램의 용과 실행

에 한 지속 인 교육이 필요하다. 어마을에서 일하

는 교사나 스텝은 학교나 사교육과는 다른 문성[9]이

요구된다. 어캠 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지식 달

보다는 주어진 환경에서 학습자들에게 어에 한 동

기를 유발시켜 극 으로 수업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

록 도와주는 것이다. 한 과업 심 로그램을 진행하

는데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요한다. 교사는 과

업에 한 이해뿐만 아니라 학습자 주도의 과업 심수

업에 한 이해가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방

법을 훈련받아서 체계 인 수업을 진행해야한다. 이는

정기 교사교육을 통해서 다양한 교수법과 수업진행

테크닉을 공유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몇 가지 제한 은 다음과 같다. 어마을

의 약 30개 체험수업 한 개의 체험수업 로그램 개

발에 그쳤으며, 다양한 로그램 정규 로그램으로

한정되었다는 과 학생들의 수 별 수업이 이루어지

지 못했다는 이다.

본 연구에서 보여 어마을 과업 심 로그램 개

발과정과 실행사례가 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

과 같다. 과제 심 로그램 개발은 존폐 기에 몰려있

는 어마을에 다른 안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체험공간을 보유하고 있는 등학교나 어센터,

어도서 에서도 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과업에 심

을 둔 로그램은 학습자로 하여 과업을 성취해나가

면서 어사용의 기회를 늘릴 뿐 아니라[21], 어린학습

자나 자 학생에게 용기를 북돋아 수 있다[54]. 마

지막으로 요구분석을 통한 로그램 개발은 지역이나

상 간의 차별화되고 체계화된 로그램을 설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라는 이유로 기존의

막 한 설비 투자되어진 어마을의 문을 무조건 닫거

나 용도변경을 생각하기보다는 극 인 과제 심

로그램의 개발을 통해서 기존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우선 으로 모색해야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강경옥, 정동빈, “ 어마을 평가 거 모형 개발",

미어문학, 제26권, 제4호, pp.143-167, 2008.

[2] 강후동, 김미경, 이재희, 이선, “효과 인 등학

교 어체험학습센터 로그램 개발을 한 요구

도 조사”, 어교육, 제63권, 제2호, pp.333-359,

2008.

[3] 안정미, 정동빈, “ 어마을 활성화를 한 소 트

화 방안연구”, 어 문학연구, 제34권, 제1호,

pp.193-222, 2008.

[4] 우충환, “ 어체험 수업 로그램 운용에 한

연구: 체험실별 학습자의 만족도를 심으로”,

미어문학, 제27권, 제1호, pp.151-170, 2009.

[5] 이병민, “EFL 어학습 환경에서 학습시간의 의

미”, 외국어교육, 제10권, 제2호, 2003.

[6] 이병민, “COLT를 통한 어마을 수업 특성 학

생과 어강사의 상호작용분석”, 어교육, 제64

Page 10: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 영어마을 중심으로 449

권, 제4호, pp.199-231, 2009.

[7] 이병천, “역할놀이 심 어체험학습시설 활용

방안에 따른 등 어 수 별 과제활동의 필요

성”, 등 어교육, 제13권, 제3호, pp.5-33, 2007a.

[8] 이병천, “ 등학교 어체험학습시설의 활용 실

태 개선방안”, 어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pp.251-278, 2007b.

[9] 이종복, “지역형 소규모 어체험센터 로그램

개발 사례”, 어어문교육, 제14권, 제3호,

pp.341-356, 2008.

[10] 임희주,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task-based 'English

village' curriculum in Korea, 미출간 박사학

논문, 앙 학교, 서울, 2011a.

[11] 임희주, “Needs analysis for effective English

village curriculum in Korea”, 어학, 제11권,

pp.627-647, 2011b.

[12] 임희주, 김 선, “ 어체험마을 학습모형에 한

연구”, 미어문학, 제27권, 제3호, pp.225-246,

2009.

[13] 김정오, “ 어체험센터의 황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461-470,

2012.

[14] M. P. Breen, Process syllabus for the language

classroom, In C. J. Brumfit (Ed.), General

English syllabus design: ELT document,

Oxford, UK: Pergamon Press, No.118, pp.47-60,

1984.

[15] M. P. Breen, Learner contributions to task

design, In C. Candlin & D. Murphy (Eds.),

Language learning task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pp.23-46, 1987.

[16] M. P. Breen and C. Candlin,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ve curriculum in language

teaching,” Applied Linguistics, Vol.1, pp.89-112,

1980.

[17] J. D. Brown, The elementary of language

curriculum: A system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New York: Heinle & Heinle, 1995.

[18] J. D. Brown, T. Hudson, J. M. Norris, and W.

Bonk, An investigation of second language

task-based performance assessments, Tech.

Rep. No.24,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Second Language Teaching & Curriculum, 2002.

[19] M. Bygate, P. Skehan, and M. Swain, (Eds.),

Researching pedagogic tasks: Second language

learning, teaching and testing, Harlow, UK:

Longman, 2001.

[20] C. N. Candlin, Syllabus design as a critical

process: ELT documents, No. 118, London:

Pergamon Press & The British Council, 1984.

[21] C. N. Candlin, Toward task-based language

learning, In C. N. Candlin & D. Murphy (Eds.),

Lancaster practical paper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Language learning tasks, Vol.7, pp.

5-22,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7.

[22] W. Y. Chang, Taiwanese elementary

students’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in English village program in

Kaohsiung coun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2010.

[23] G. Crookes, Task classification: A cross-

disciplinary review, No.4,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Center for Second

Language Classroom Research,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1986.

[24] G. Crookes and M. H. Long, “Task-based

second language teaching: A brief report (Pt.1),”

Modern English Teacher, Vol.24, pp.26-28,

1987a.

[25] G. Crookes and M. H. Long, “Task-based

second language teaching: A brief report (Pt.1),”

Modern English Teacher, Vol.24, pp.20-23,

1987b.

[26] C. J. Doughty and M. H. Long, “Optimal

Page 11: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7450

psycholinguistic environments for distance

foreign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and Technology, Vol.7, pp.50-80, 2003.

[27] R. Ellis,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8] A. Finch, English reflections: An interactive,

reflective learner journal, Kyungpook, Kore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29] K. Graves, Designing language courses: A

guide for teachers, Boston: Heinle & Heinle,

2000.

[30] R. K. Johnson, A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the coherent language curriculum. In R. K.

Johnson (Ed.), The second language curriculu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23, 1989.

[31] J. Lee, Tasks and communicating in language

classrooms, Boston: McGraw-Hill, 2000.

[32] M. H. Long, A role for instruc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K. Hyltenstam & M. Pienemann

(Eds.), Modelling and assess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pp.377-393, 1985.

[33] M. H. Long, Task, group, and task-based

interactions, University of Hawaii Working

Papers in ESL, Vol.8, pp.1-26, 1989.

[34] M. H. Long,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n K. de Bot.,

D. Coste., R. Ginsberg. and C. Kramsch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p.39-52, Amsterdam: John

Benjamins, 1991.

[35] M. H. Long, Focus on form i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R. D. Lambert & E.

Shohamy (Eds.), Language policy and

pedagogy: Essays in honor of A. Ronald

Walton, Amsterdam: John Benjamins, pp.179-

192, 2000.

[36] M. H. Long and G. Crookes, “Three approaches

to task-based syllabus design,” TESOL

Quarterly, Vol.26, pp.27-56, 1992.

[37] M. H. Long and P. Robinson,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5-41, 1998.

[38] S. McKay, “Syllabus: Structural, situational,

notional,” TESOL Newsletter, Vol.12, No.11,

1978.

[39] I. S. P. Nation and J. Macalister, Language

curriculum design, London: Routledge, 2010.

[40] D. Nunan, Syllabus desig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41] D. Nunan,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42] N. S. Prabhu, Second language pedagog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43] J. C. Richards,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4] J. C. Richards, J. Platt, and H. Weber,

Longman dictionary of applied linguistics,

London: Longman, 1985.

[45] P. Robinson, “The cognition hypothesis, task

design, and adult task-based language

learning,” Second Language Studies, Vol.21,

pp.45-105, 2003.

[46] P. Skehan, “A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task-based instruction,” Applied Linguistics,

Vol.17, pp.38-62, 1996.

[47] P. Skehan, A cognitive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age 12: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25954481184.pdf · Candlin[20]은 교육과정(curricula)과 교수요목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 영어마을 중심으로 451

[48] L. Stenhouse,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Heinemann,

1975.

[49] H. Taba,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1962.

[50] R. Tyle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instruction,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1949.

[51] R. White, The ELT curriculum: Design,

innovation and management, Oxford, UK: Basil

Blackwell, 1988.

[52] D. Wilkins, National syllabuses and the concept

of minimum adequate grammar. In S. P. Corder

& E. Roulet (Eds.), Linguistic insights in

applied linguistics, Brussels: AIMAV. Paris:

Didier, pp.119-128, 1974.

[53] D. Wilkins, National syllabus, London,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54] J. Willis, A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London: Longman, 1996.

[55]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

203/e2012032817595793820.htm

[56] http://pdf.hankooki.com/hk/view_hk.htm?exec=

viewsearch&height=1640&GCC=AA01099&CNo=1

34282981&scope=0&period=4&startdate=2001-01

-01&enddate=2013-03-22&page=1&page_size=1

0&idx=1

[57]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

ml?idxno=642659

[58] http://www.english-village.or.kr/exclude/userI

ndex/wwwIndex.do

[59] http://sev.go.kr/

[60] http://news1.kr/articles/976747

저 자 소 개

임 희 주(Hee-Joo Im) 정회원▪2011년 2월 : 앙 학교 어교

육학과( 어교육학 박사)

▪2011년 9월 ~ 재 : 단국 학

교 교양기 교육원 강의 담조

교수

< 심분야> : 과업 심(task-based) 커리큘럼, 어

교육 로그램개발